KR100772385B1 -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 상에서 컨텐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 상에서 컨텐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385B1
KR100772385B1 KR1020050118669A KR20050118669A KR100772385B1 KR 100772385 B1 KR100772385 B1 KR 100772385B1 KR 1020050118669 A KR1020050118669 A KR 1020050118669A KR 20050118669 A KR20050118669 A KR 20050118669A KR 100772385 B1 KR100772385 B1 KR 100772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treaming
copy
unit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9622A (ko
Inventor
조준호
윤현식
최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8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385B1/ko
Priority to CN200610164517XA priority patent/CN1980113B/zh
Priority to US11/634,878 priority patent/US7958253B2/en
Priority to EP06125654A priority patent/EP1796010A3/en
Publication of KR20070059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74Peer-to-peer [P2P] networks for supporting data block transmission mechanisms
    • H04L67/1076Resource dissemination mechanisms or network resource keeping policies for optimal resource availability in the overlay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2Distributed fil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04L67/1065Discovery involving distributed pre-established resource-based relationships among peers, e.g. based on distributed hash tables [D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 상에서 컨텐트를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방법은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스토리지들로부터 컨텐트의 사본의 스트리밍을 수신하고, 컨텐트 사본의 스트리밍의 품질에 따라 컨텐트의 원본의 스트리밍을 선택적으로 수신함으로서 분산 스토리지로부터 아카이벌 조각 형태의 사본을 획득함으로서 발생하는 낮은 품질 및 신뢰성 상실을 극복하고, 높은 품질의 컨텐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 상에서 컨텐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ent on distributed storage system}
도 1은 종래의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명세를 획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명세를 이용하여 미디어 서버의 전원을 제어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전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 다.
본 발명은 컨텐트의 스트리밍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 상에서 컨텐트를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산 스토리지 기술은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스토리지들을 묶고, 이것을 논리적으로 하나의 큰 스토리지처럼 사용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것은 홈(home) 내의 미디어 서버의 스토리지 확장을 위해 사용되며, 홈 내에 존재하는 컨텐트에 대한 접근성(accessibility) 및 가용성(availability)을 높일 수 있다. 홈 내의 미디어 서버는 사용자들에게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지만, 홈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는 이 미디어 서버에 접근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분산 스토리지 기술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즉, 사용자가 분산 스토리지에 미디어 서버의 컨텐트를 백업해 놓으면, 사용자가 홈 외부에 있는 경우 또는 미디어 서버의 전원이 꺼져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분산 스토리지로부터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대표적인 분산 스토리지 기술로는 DHT(Distributed Hash Table)를 들 수 있다. DHT는 분산 스토리지 기술에 분산 해시 메커니즘을 적용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해시 값만 알고 있으면, 로컬 스토리지를 이용하는 것처럼 자유롭게 분산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산 스토리지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이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UNIX의 파일 시스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와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면, 데이터는 조각들로 분리된 후, 분산 스토리지를 구성하는 스토리지들에 골고루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가 API를 통해 데이터를 요청하면, 분산 스토리지의 내부 라우팅 메커니즘에 의해 이 데이터를 구성하는 조각들이 검색되고, 이 조각들은 하나의 데이터로 합쳐진다.
DHT의 API들로는 해시 키를 이용하여 DHT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Get(key), 해시 키와 데이터를 DHT에 저장하기 위한 Put(key, value), 해시 키와 데이터를 DHT로부터 삭제하기 위한 Destroy(key), 해시 키와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Update(key, value), DHT 분산 스토리지에 가입하기 위한 Join(node), DHT 분산 스토리지로부터 탈퇴하기 위한 Leave(node) 등이 있다. 현재 널리 알려진 DHT 적용 분산 스토리지 기술로는 Tapestry, Chord, OceanStore, CAN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1), 분산 스토리지(13) 및 미디어 서버(16)로 구성된다.
분산 스토리지(13)는 인터넷(12)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스토리지들로 구성된다. 분산 스토리지(13)에는 컨텐트의 사본(14)이 저장된다. 실제로는, 분산 스토리지(13)를 구성하는 다수의 스토리지들 각각에 컨텐트의 사본(14)의 아카이벌 조각들(archival fragments)(15) 단위로 저장된다. 컨텐트의 사본(14)의 어떤 아카이벌 조각이 어떤 스토리지에 저장되는가 하는 것은 분산 스토리지(13) 내부의 메커니즘에 따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서버(16)의 전원이 꺼져 있는 경우에 홈 내 또는 홈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1)은 분산 스토리지(23)로부터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11)에 수신된 컨텐트 사본(24)은 분산 스토리지(23)를 구성하는 다수의 스토리지들 각각에 저장된 아카이벌 조각들(15)의 합이다. 이것은 하나의 컨텐트를 여러 개의 조각들로 분리하여 여러 곳에 저장함으로서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 전체의 사용성(usability)을 높일 수 있고, 컨텐트의 접근성, 가용성, 보안성(security) 및 안정성(robustness)을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분산 스토리지 기술에 따르면, 하나의 컨텐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조각들이 여러 스토리지들에 저장되기 때문에 컨텐트 스트리밍 시점에 따라 가용한 스토리지들의 개수가 다르다. 그 결과, 컨텐트 스트리밍의 품질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 이것은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의 특성 상 네트워크 상의 노드들은 자유롭게 분산 스토리지에 가입하거나 탈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어떤 노드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아카이벌 조각을 획득할 수 없다는데 기인한다. 즉, 종래의 분산 스토리지 기술은 안정적인 컨텐트 스트리밍 내지 컨텐트 스트리밍 서비스의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어떤 컨텐트 스트리밍 시점에서 가용한 스토리지들이 거의 없을 수도 있으며, 가용한 스토리지들마저도 컨텐트 스트리밍 이외에 다른 많은 작업들을 병행하여 처리함으로서 컨텐트 스트리밍을 위한 리소스(resource)를 제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매우 낮은 품질의 컨텐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받게 되고, 이에 따라 분산 스토리지를 이용한 컨텐트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분산 스토리지로부터 아카이벌 조각 형태의 사본을 획득함으로서 발생하는 낮은 품질 및 신뢰성 상실을 극복하고, 높은 품질의 컨텐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방법은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스토리지들로부터 컨텐트의 사본의 스트리밍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본의 스트리밍의 품질에 따라 상기 컨텐트의 원본의 스트리밍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장치는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스토리지들로부터 컨텐트의 사본의 스트리밍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사본의 스트리밍의 품질에 따라 상기 원본의 스트리밍을 선택적으로 요청하는 제 1 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1 요청부에서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원본의 스트리밍을 수신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전송 방법은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스토리지들로 컨텐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토리지들로부터 상기 컨텐트의 사본을 획득한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로 상기 컨텐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전송 장치는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스토리지들로 컨텐트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외부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스토리지들로부터 상기 컨텐트의 사본을 획득한 단말이 상기 컨텐트의 원본을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제 1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판별부에서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로 상기 컨텐트를 선택적으로 전송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컨텐트 전송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21), 분산 스토리지(22) 및 미디어 서버(26)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21)은 분산 스토리지(23), 즉 인터넷(22)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스토리지들로부터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을 수신하고, 이것을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이때, 분산 스토리지(23)를 구성하는 스토리지들 중 가용한 스토리지들의 개수가 작은 경우 등과 같이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의 품질이 매우 낮은 경우, 다음과 같이 컨텐트 스트리밍의 소스를 컨텐트 사본(24)으로부터 컨텐트 원본(27)으로 교체한다.
즉, 사용자 단말(21)은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의 품질이 소정 수준 미만인 경우,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켜고, 이 미디어 서버(26)로 컨텐트 원본(27)의 스트리밍을 요청한다. 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단말(21)은 미디어 서버(26)로부터 컨텐트 원본(27)의 스트리밍을 수신하고, 이것을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이에 따라, 분산 스토리지(23)로부터 아카이벌 조각 형태의 사본을 획득함으로서 발생하는 낮은 품질 및 신뢰성 상실을 극복하고, 높은 품질의 컨텐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획득하고자 하는 컨텐트는 분산 스토리지(23)에 컨텐트 사본(24)의 형태로 존재함과 동시에 미디어 서버(26)에 컨텐트 원본(27)의 형태로 존재한다. 분산 스토리지(23)로부터 컨텐트 사본(24)을 획득하는 방식은 컨텐트에 대한 접근성 및 가용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컨텐트 스트리밍의 품질이 일정하지 않고,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디어 서버(26)로부터 컨텐트 원본 (27)을 획득하는 방식은 컨텐트 스트리밍의 품질이 일정하고, 신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컨텐트에 대한 접근성 및 가용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예 및 이하 실시예들은 상기된 두 방식의 장점만을 취합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1)에 탑재된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장치는 사본 요청부(211), 버퍼(212), 품질 측정부(213), 전원 제어 명세 획득부(214), 전원 제어 요청부(215), 예측부(216), 원본 요청부(217), 렌더러(218) 및 송수신부(219)로 구성된다.
사본 요청부(211)는 분산 스토리지(23)로 컨텐트의 사본(24)의 스트리밍을 요청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본 요청부(211)는 분산 스토리지(23)를 구성하는 스토리지들 각각이 탑재된 노드들로 이 노드들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트 사본(24)의 아카이벌 조각들을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사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것을 송수신부(219)로 출력한다.
버퍼(212)는 송수신부(219)에서의 수신 속도와 렌더러(218)에서의 렌더링 속도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송수신부(219)에 수신된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 및 컨텐트 원본(27)의 스트리밍을 버퍼링한다.
품질 측정부(213)는 버퍼(212)에 버퍼링된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의 품질을 측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품질 측정부(213)는 버퍼(212)에 버퍼링된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 중 손실된 아카이벌 조각들의 개수, 단위 시간 당 수신되는 아카이벌 조각들의 개수 등을 측정함으로서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된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전원 제어 명세 획득부(214)는 품질 측정부(213)에 의해 측정된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의 품질이 소정 수준 미만인 경우, 컨텐트 사본(24)에 부속된 메타 데이터로부터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사항들이 기술된 전원 제어 명세(power control description)를 획득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원 제어 명세 획득부(214)는 품질 측정부(213)에 의해 측정된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의 품질이 소정 수준 미만임을 인지한 사용자로부터 컨텐트 스트리밍의 소스를 컨텐트 사본(24)으로부터 컨텐트 원본(27)으로 교체하라는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전원 제어 명세를 획득한다. 다만, 전원 제어 명세 획득부(214)는 상기된 요청을 수신하지 않고, 바로 품질 측정부(213)에 의해 측정된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의 품질이 소정 수준 미만인 경우에 전원 제어 명세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전원 제어 명세는 홈 게이트웨이(29)가 제공하는 미디어 서버(26)의 전원 제어 서비스에 대한 명세로서 전원 제어 서비스의 타입 또는 전원 제어 서비스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포맷으로 작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원 제어 서비스는 일종의 웹서비스로 볼 수 있으며, 이것의 프로토콜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전원 제어 명세(281)에는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 게이트웨이(29)의 주 소, 미디어 서버(26)의 식별 정보,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제어하기 명령 코드 등이 기재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명세를 획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 제어 명세 획득부(214)는 분산 스토리지(23)를 구성하는 스토리지들 각각이 탑재된 노드들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사본(24)의 아카이벌 조각들을 파싱함으로서 컨텐트 사본(24)에 부속된 컨텐트 메타 데이터(241)를 추출한다. 이어서, 전원 제어 명세 획득부(214)는 컨텐트 메타 데이터(241)로부터 이것에 부속된 컨테이너 메타 데이터(242)를 추출한다. 이어서, 전원 제어 명세 획득부(214)는 컨테이너 메타 데이터(242)로부터 이것에 부속된 미디어 서버 메타 데이터(243)를 추출한다.
미디어 서버 메타 데이터(243)는 미디어 서버(26)에 관한 디바이스 명세(28)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 명세(28)에는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 즉 미디어 서버(26)에 관한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명세(28)는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사항들이 기술된 전원 제어 명세(281)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원 제어 명세(281)는 컨텐트 사본(24)에 일 대 일로 매핑되어 있다기보다는 미디어 서버 메타 데이터(243)에 일 대 일로 매핑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원 제어 명세(281)가 디바이스 명세(28)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미디어 서버 메타 데이터(243) 내에 독자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DHT 방식의 분산 스토리지 기술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층적 구조를 지원하기 때문에 전원 제어 명세 획득부(214)가 상기된 바와 같이 계층적으로 전원 제어 명세(281)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원 제어 요청부(215)는 품질 측정부(213)에 의해 측정된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의 품질이 소정 수준 미만인 경우, 컨텐트 원본(27)을 보유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켤 것을 요청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원 제어 요청부(215)는 전원 제어 명세 획득부(214)에 의해 획득된 전원 제어 명세(281)에 기초하여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켤 것을 요청하는 전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것을 송수신부(219)로 출력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전원 제어 명세(281)는 홈 게이트웨이(29)가 제공하는 미디어 서버(26)의 전원 제어 서비스에 대한 명세이므로, 전원 제어 메시지는 홈 게이트웨이(29)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명세(281)를 이용하여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제어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1)은 분산 스토리지(23)로부터 컨텐트 사본(24)에 부속된 전원 제어 명세(28)를 획득하면, 이것을 이용하여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21)은 전원 제어 명세(281)에 기초하여 전원 제어 메시지의 헤더(header)의 목적지 주소 필드(destination address field)에 홈 게이트웨이(29)의 주소를 기록하고, 전원 제어 메시지의 페이로드(payload)에 미디어 서버(26)의 식별 정보 및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켤 것을 요청하는 명령 코드를 기록한다.
홈 게이트웨이(29)는 사용자 단말(21)로부터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켤 것을 요청하는 전원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홈 게이트웨이(29) 내부의 전원 제어 포인트(power control point)(291)는 이 전원 제어 메시지의 페이로드에 기록된 미디어 서버(26)의 식별 정보 및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켤 것을 요청하는 명령 코드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21)로부터 수신된 전원 제어 메시지가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켤 것을 요청하는 전원 제어 메시지임을 인지하고, 미디어 서버(26)로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켤 것을 지시하는 전원 구동 메시지를 전송한다.
일반적인 홈 디바이스 전원 제어 기술에 따르면, 홈 게이트웨이(29)는 전원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에 있는 디바이스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홈 게이트웨이(29)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대기 상태에 있는 디바이스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한다. 즉, 미디어 서버(26)의 전원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은 항상 동작 상태(active mode)에 있으며, 홈 게이트웨이(29)로부터 전원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미디어 서버(26)의 다른 부분들을 동작시킨다. 이와 같은 홈 디바이스 전원 제어 기술로는 랜(LAN) 상에서 매직 패킷(magic packet)을 이용하는 기술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즉, 상기된 전원 구동 메시지로 매직 패킷을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전원 제어 포인트(291)는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이 켜졌음을 확인하면,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이 켜졌음을 나타내는 전원 제어 응답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1)로 전송한다. 특히, 이 전원 제어 응답 메시지에는 전원 제어 응답 메시지 의 전송 시점이 기록되어 있다.
예측부(216)는 전원 제어 요청부(215)에서의 요청에 의해 전원이 켜진 미디어 서버(29)와의 통신 환경을 고려하여 컨텐트 사본(24)으로부터 컨텐트 원본(27)으로 교체되는 지점을 예측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예측부(216)는 송수신부(219)로부터 입력받은 전원 제어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전송 시점과 전원 제어 응답 메시지의 도착 시점을 참조하여 컨텐트 원본(27)의 도착 시점을 계산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컨텐트 사본(24)으로부터 컨텐트 원본(27)으로 교체되는 지점을 예측한다. 여기에서, 전원 제어 응답 메시지의 전송 시점과 도착 시점의 차이는 미디어 서버(29)로부터 전송된 컨텐트 원본(27)의 스트리밍이 사용자 단말(21)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거의 일치한다.
원본 요청부(217)는 송수신부(219)에 수신된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의 품질에 따라 컨텐트 원본(27)의 스트리밍을 선택적으로 요청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본 요청부(217)는 전원 제어 요청부(215)에서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이 요청에 의해 전원이 켜진 미디어 서버(29)로 예측부(216)에 의해 예측된 지점을 시작으로 컨텐트 원본(27)의 스트리밍을 요청한다. 즉, 원본 요청부(217)는 미디어 서버(26)로 미디어 서버(26)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트 원본(27)을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원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것을 송수신부(219)로 출력한다.
렌더러(218)는 송수신부(219)에 수신된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 또는 컨텐트 원본(27)의 스트리밍을 렌더링하고, 이것을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특히, 렌더러(218)는 예측부(216)에 의해 예측된 지점 이전까지는 송수신부(219)에 수신된 컨 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을 렌더링하고, 예측된 지점부터는 송수신부(219)에 수신된 컨텐트 원본(27)의 스트리밍을 렌더링한다. 이와 같이,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이 켜지고, 이 미디어 서버(26)로부터 컨텐트 원본(27)의 스트리밍을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는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을 수신하기 때문에 컨텐트 소스의 교체 과정에서 스트리밍의 끊김이 없다.
송수신부(219)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다음과 같은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즉, 송수신부(219)는 사본 요청부(211)에서의 요청을 분산 스토리지(23)로 전송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송수신부(219)는 사본 요청부(211)에 의해 생성된 사본 요청 메시지를 분산 스토리지(23)를 구성하는 스토리지들 각각이 탑재된 노드들로 전송한다. 또한, 송수신부(219)는 사본 요청부(211)에서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분산 스토리지(23)로부터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을 수신하고, 이것을 버퍼(212)로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송수신부(219)는 사본 요청부(211)에 의해 생성된 사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분산 스토리지(23)를 구성하는 스토리지들 각각이 탑재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로부터 컨텐트 사본(24)의 아카이벌 조각들을 수신하고, 이것을 버퍼(212)로 출력한다.
또한, 송수신부(219)는 원본 요청부(217)에서의 요청을 미디어 서버(26)로 전송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송수신부(219)는 원본 요청부(217)에 의해 생성된 원본 요청 메시지를 미디어 서버(26)로 전송한다. 또한, 송수신부(219)는 원본 요청부(217)에서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미디어 서버(26)로부터 컨텐트 원본(27)의 스트리밍을 수신하고, 이것을 버퍼(212)로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 면, 송수신부(219)는 원본 요청부(217)에 의해 생성된 원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컨텐트 원본(27)의 스트리밍을 수신하고, 이것을 버퍼(212)로 출력한다.
또한, 송수신부(219)는 전원 제어 요청부(215)에서의 요청을 홈 게이트웨이(29)로 전송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송수신부(219)는 전원 제어 요청부(215)에 의해 생성된 전원 제어 응답 메시지를 홈 게이트웨이(29)로 전송한다. 또한, 송수신부(219)는 전원 제어 요청부(215)에서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이것을 예측부(216)로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송수신부(219)는 전원 제어 요청부(215)에 의해 생성된 전원 제어 응답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홈 게이트웨이(29)로부터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이 켜졌음을 나타내는 전원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것을 예측부(216)로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전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29)의 컨텐트 전송 장치는 메인 시스템(261), 전원 구동부(262) 및 송수신부(263)로 구성된다. 또한, 메인 시스템(261)은 분산 스토리지 가입부(2611), 전원 제어 명세 생성부(2612), 판별부(2613), 컨텐트 전송 제어부(2614) 및 스토리지(2615)로 구성된다. 특히, 미디어 서버(29)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트는 당연히 컨텐트 원본(27)이므로, 이하에서는 컨텐트 원본(27)을 간단히 컨텐트(27)로 표현하기로 한다.
분산 스토리지 가입부(2611)는 분산 스토리지(23)에 가입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수신부(263)로 출력하고, 이 가입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분산 스토리지 (23)에 가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서 분산 스토리지(23)에 가입한다. 분산 스토리지(23)가 DHT 방식을 따른다면, 분산 스토리지 가입부(2611)는 Join(node) API를 전송함으로서 분산 스토리지(23)에 가입할 수 있다.
전원 제어 명세 생성부(2612)는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사항들이 기술된 전원 제어 명세(281)를 생성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이 전원 제어 명세(281)에는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 게이트웨이(29)의 주소, 미디어 서버(26)의 식별 정보,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제어하기 명령 코드 등이 기재되어 있다.
메시지 판별부(2613)는 송수신부(263)에 수신된 메시지가 분산 스토리지(26)로부터 컨텐트 사본(24)을 획득한 사용자 단말(21)이 컨텐트 원본(27)을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원본 요청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컨텐트 전송 제어부(2614)는 분산 스토리지 가입부(2611)에서의 가입 결과 또는 메시지 판별부(2613)에서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송수신부(263)에서의 컨텐트 전송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컨텐트 전송 제어부(2614)는 분산 스토리지 가입부(2611)에 의해 분산 스토리지 가입이 완료된 경우에 송수신부(263)에 분산 스토리지(23)로 컨텐트(27)를 전송할 것을 지시한다. 또한, 컨텐트 전송 제어부(2614)는 메시지 판별부(2613)에 의해 송수신부(263)에 수신된 메시지가 원본 요청 메시지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송수신부(263)에 사용자 단말(21)로 컨텐트(27)를 전송할 것을 지시한다.
스토리지(2615)는 컨텐트(27) 및 전원 제어 명세 생성부(2612)에 의해 생성 된 전원 제어 명세(281)를 저장한다. 특히, 스토리지(2615)는 분산 스토리지 가입부(2611)에 의한 분산 스토리지(23) 가입에 따라 분산 스토리지(23)를 구성하는 하나의 스토리지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된 분산 스토리지 가입부(2611), 전원 제어 명세 생성부(2612), 판별부(2613), 컨텐트 전송 제어부(2614) 및 스토리지(2615)로 구성된 메인 시스템(261)은 사용자에 의해 미디어 서버(36)의 전원 스위치가 온(on)된 경우에만 동작한다. 반면, 하기될 전원 구동부(262) 및 송수신부(263)는 항상 동작 상태에 있다.
전원 구동부(262)는 송수신부(263)에서의 전송 동작 및 다른 작업들이 처리된 이후에 메인 시스템(261)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서 홈 게이트웨이(29)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대기 상태에 들어간다. 또한, 전원 구동부(262)는 송수신부(263)에 수신된 메시지가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켤 것을 지시하는 전원 구동 메시지인 경우, 메인 시스템(261)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서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켠다. 상기된 바와 같이, 이 전원 구동 메시지는 전원 제어 명세(281)를 획득한 사용자 단말(21)로부터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켤 것을 요청 받은 홈 게이트웨이(29)가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켤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이며, 전원 구동 메시지로 매직 패킷을 사용할 수 있다.
송수신부(263)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다음과 같은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즉, 송수신부(263)는 컨텐트 전송 제어부(2614)에서의 제어에 따라 스토리지(2615)에 저장된 컨텐트(27)를 전송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송수신부(263)는 컨텐트 전송 제어부(2614)의 지시에 따라 분산 스토리지(23)로 컨텐트(27)를 전 송하거나, 사용자 단말(21)로 컨텐트(27)를 전송한다. 특히, 송수신부(263)가 분산 스토리지(23)로 컨텐트(27)를 전송할 때, 스토리지(2615)에 저장된 전원 제어 명세(281)도 함께 전송된다.
분산 스토리지(28)를 구성하는 스토리지들 모두에 전원 제어 명세(281)가 저장될 수도 있고, 그 스토리지들 중 일부에만 전원 제어 명세(281)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것은 분산 스토리지(28)의 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사용자 단말(21)이 전원 제어 명세(281)를 원활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분산 스토리지(23)를 설계하는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문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21)의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21)의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장치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방법에도 적용된다.
7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1)은 분산 스토리지(23)로 컨텐트의 사본(24)의 스트리밍을 요청한다.
7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1)은 71 단계에서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분산 스토리지(23)로부터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을 수신한다.
73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1)은 72 단계에서 수신된 컨텐트 사본(24)의 스트 리밍을 렌더링하고, 이것을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7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1)은 72 단계에서 수신된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의 품질을 측정한다.
7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1)은 73 단계에서 측정된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의 품질이 소정 수준 미만인 경우에는 76 단계로 진행하고,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의 품질이 소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72 단계로 돌아간다.
76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1)은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의 품질이 소정 수준 미만임을 인지한 사용자로부터 컨텐트 스트리밍의 소스를 컨텐트 사본(24)으로부터 컨텐트 원본(27)으로 교체하라는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는 77 단계로 진행하고, 이 요청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72 단계로 돌아간다.
77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1)은 컨텐트 사본(24)에 부속된 메타 데이터로부터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사항들이 기술된 전원 제어 명세를 획득한다. 다만, 77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1)은 상기된 요청을 수신하지 않고, 바로 74 단계에서 측정된 컨텐트 사본(24)의 스트리밍의 품질이 소정 수준 미만인 경우에 전원 제어 명세를 획득할 수도 있다.
78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1)은 77 단계에서 획득된 전원 제어 명세(281)에 기초하여 컨텐트 원본(27)을 보유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켤 것을 요청한다.
79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1)은 78 단계에서의 요청에 의해 전원이 켜진 미디어 서버(29)와의 통신 환경을 고려하여 컨텐트 사본(24)으로부터 컨텐트 원본 (27)으로 교체되는 지점을 예측한다.
71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1)은 78 단계에서의 요청에 의해 전원이 켜진 미디어 서버(29)로 79 단계에서 예측된 지점을 시작으로 컨텐트 원본(27)의 스트리밍을 요청한다.
71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1)은 710 단계에서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미디어 서버(26)로부터 컨텐트 원본(27)의 스트리밍을 수신한다.
71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1)은 711 단계에서 수신된 컨텐트 원본(27)의 스트리밍을 렌더링하고, 이것을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전송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미디어 서버(26)의 컨텐트 전송 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6에 도시된 미디어 서버(26)의 컨텐트 전송 장치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방법에도 적용된다.
81 단계에서 미디어 서버(26)는 분산 스토리지(23)에 가입한다.
82 단계에서 미디어 서버(26)는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사항들이 기술된 전원 제어 명세(281)를 생성한다.
83 단계에서 미디어 서버(26)는 81 단계에서 분산 스토리지 가입이 완료된 경우에 분산 스토리지(23)로 컨텐트(27) 및 81 단계에서 생성된 전원 제어 명세 (281)를 전송한다.
84 단계에서 미디어 서버(26)는 83 단계에서의 전송 동작 및 다른 작업들이 처리된 이후에 메인 시스템(261)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서 홈 게이트웨이(29)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85 단계에서 미디어 서버(26)는 84 단계에서 진입한 대기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86 단계에서 미디어 서버(26)는 85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켤 것을 지시하는 전원 구동 메시지인 경우에는 87 단계로 진행하고, 전원 구동 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85 단계로 돌아간다.
87 단계에서 미디어 서버(26)는 메인 시스템(261)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서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을 켠다.
88 단계에서 미디어 서버(26)는 미디어 서버(26)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89 단계에서 미디어 서버(26)는 88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분산 스토리지(26)로부터 컨텐트 사본(24)을 획득한 사용자 단말(21)이 컨텐트 원본(27)을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원본 요청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그 결과 88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원본 요청 메시지인 경우에는 810 단계로 진행하고, 원본 요청 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88 단계로 돌아간다.
810 단계에서 미디어 서버(26)는 사용자 단말(21)로 컨텐트(27)를 전송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 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산 스토리지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사본의 스트리밍의 품질에 따라 컨텐트의 원본의 스트리밍을 선택적으로 수신함으로서 분산 스토리지로부터 아카이벌 조각 형태의 사본을 획득함으로서 발생하는 낮은 품질 및 신뢰성 상실을 극복하고, 높은 품질의 컨텐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산 스토리지로부터 컨텐트 사본을 획득하는 방식의 장점과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트 원본을 획득하는 방식의 장점을 모두 살릴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전자의 장점은 컨텐트에 대한 접근성 및 가용성이 높다는 것이고, 후자의 장점은 컨텐트 스트리밍의 품질이 일정하고, 신뢰성이 높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트 사본에 부속된 메타 데이터로부터 미디어 서버의 전원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사항들이 기술된 전원 제어 명세를 획득함으로서 사용자 단말이 미디어 서버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미리 알고 있지 않더라도, 미디어 서버의 전원을 켜고, 컨텐트 스트리밍의 소스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디어 서버의 전원이 켜지고, 이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트 원본의 스트리밍을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는 컨텐트 사본의 스트리밍을 수신하기 때문에 컨텐트 소스의 교체 과정에서 스트리밍의 끊김이 없다.
특히,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경우들에 매우 유용하다. 첫째, 분산 스토리지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사본의 아카이벌 조각들 중 일부의 품질이 매우 낮은 경우에 컨텐트 스트리밍의 소스를 미디어 서버의 컨텐트 원본으로 교체함으로서 컨텐트 스트리밍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분산 스토리지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사본의 아카이벌 조각들 중 일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컨텐트 스트리밍의 소스를 미디어 서버의 컨텐트 원본으로 교체함으로서 컨텐트 스트리밍을 완성할 수 있다. 셋째, 분산 스토리지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사본이 완성된 형태로 존재하나 그 품질이 매우 낮은 경우에 컨텐트 스트리밍의 소스를 미디어 서버의 컨텐트 원본으로 교체 함으로서 컨텐트 스트리밍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6)

  1. (a) 단말은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스토리지들로부터 컨텐트의 사본의 스트리밍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된 사본의 스트리밍의 품질에 따라 상기 컨텐트의 원본의 스트리밍을 선택적으로 요청하는 단계;및
    (c) 상기 단말은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원본의 스트리밍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스토리지들 각각이 탑재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로부터 상기 사본의 조각들을 수신함으로서 상기 사본의 스트리밍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d)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된 사본의 스트리밍의 품질이 소정 수준 미만인 경우, 상기 원본을 보유하고 있는 서버의 전원을 켤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요청에 의해 전원이 켜진 서버로 상기 원본의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본에 부속된 메타 데이터로부터 상기 서버의 전원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사항들이 기술된 명세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획득된 명세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의 전원을 켤 것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에 의해 전원이 켜진 서버와의 통신 환경을 고려하여 상기 사본으로부터 상기 원본으로 교체되는 상기 컨텐트 상의 지점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예측된 지점을 시작으로 상기 원본의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방법.
  7.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스토리지들로부터 컨텐트의 사본의 스트리밍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사본의 스트리밍의 품질에 따라 상기 원본의 스트리밍 을 선택적으로 요청하는 제 1 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1 요청부에서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원본의 스트리밍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사본의 스트리밍의 품질이 소정 수준 미만인 경우, 상기 원본을 보유하고 있는 서버의 전원을 켤 것을 요청하는 제 2 요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요청부는 상기 제 2 요청부에서의 요청에 의해 전원이 켜진 서버로 상기 원본의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스트리밍 수신 장치.
  9.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a)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스토리지들로 컨텐트를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스토리지들로부터 상기 컨텐트의 사본을 획득한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로 상기 컨텐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전송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단말이 상기 컨텐트의 원본을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제 1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제 1 메시지인 경우에 상기 컨텐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전송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컨텐트 전송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의 전원을 켤 것을 지시하는 제 2 메시지인 경우에 상기 서버의 전원을 켜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서버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상기 컨텐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전송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전원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사항들이 기술된 전원 제어 명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컨텐트 및 상기 전원 제어 명세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전원 제어 명세를 획득한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의 전원을 켤 것을 요청 받은 홈 게이트웨이가 상기 서버의 전원을 켤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전송 방법.
  14.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스토리지들로 컨텐트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외부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스토리지들로부터 상기 컨텐트의 사본을 획득한 단말이 상기 컨텐트의 원본을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제 1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판별부에서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로 상기 컨텐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전송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컨텐트 전송 장치가 탑재된 서버의 전원을 켤 것을 지시하는 제 2 메시지인 경우, 상기 서버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켜는 전원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전원 구동부에 의해 상기 서버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상기 컨텐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전송 장치.
  16.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118669A 2005-12-07 2005-12-07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 상에서 컨텐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KR100772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669A KR100772385B1 (ko) 2005-12-07 2005-12-07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 상에서 컨텐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CN200610164517XA CN1980113B (zh) 2005-12-07 2006-12-06 在分布式存储系统上发送和接收内容的方法和设备
US11/634,878 US7958253B2 (en) 2005-12-07 2006-12-07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ent on distributed storage system
EP06125654A EP1796010A3 (en) 2005-12-07 2006-12-07 Receiving and transmitting distributed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669A KR100772385B1 (ko) 2005-12-07 2005-12-07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 상에서 컨텐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622A KR20070059622A (ko) 2007-06-12
KR100772385B1 true KR100772385B1 (ko) 2007-11-01

Family

ID=3783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669A KR100772385B1 (ko) 2005-12-07 2005-12-07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 상에서 컨텐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58253B2 (ko)
EP (1) EP1796010A3 (ko)
KR (1) KR100772385B1 (ko)
CN (1) CN19801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6838B1 (en) * 2007-04-30 2011-10-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sing a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of a device to create digital content for the device
EP2034699A3 (en) * 2007-08-16 2012-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interactions between a user and peers
KR101657565B1 (ko) * 2010-04-21 201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강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94159B1 (ko) 2010-04-21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강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10191439A1 (en) * 2010-01-29 2011-08-04 Clarendon Foundation, Inc. Media content ingestion
JP2013046386A (ja) * 2011-08-26 2013-03-04 Sharp Corp 表示装置、受信装置、表示方法、テレビジョン受像機、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2932442A (zh) * 2012-10-26 2013-02-13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用于分布式数据存储系统的设备、系统及方法
CN102932440A (zh) * 2012-10-26 2013-02-13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用于分布式数据存储系统的数据管理方法、设备和系统
US9819548B2 (en) * 2013-01-25 2017-11-14 Cisco Technology, Inc. Shared information distribution in a computer network
US10929551B2 (en) * 2013-03-13 2021-02-2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data assets
CN105431835A (zh) * 2013-06-06 2016-03-23 爱立信电视公司 内容传递网络中的自适应流式传输段文件的碎片整理
US10733225B1 (en) 2017-09-06 2020-08-04 Snap Inc. Scaled delivery of media con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386A (ko) * 2001-03-16 2001-07-25 정경석 고화질 동영상 데이터 실시간 제공시스템 및 고화질동영상 데이터 실시간 제공방법
KR20030014094A (ko) * 2001-09-14 2003-02-15 박영찬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파일 공동 전송 방법
KR20030026109A (ko) * 2001-09-24 2003-03-31 엠큐브웍스(주) 채널 적응적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JP2004241793A (ja) 2001-03-30 2004-08-26 Mitsubishi Electric Corp 動画像受信装置および動画像送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0108A (en) * 1984-03-26 1986-12-16 A. C. Nielsen Company Preprogrammed over-the-air marketing research system
JPH0664838B2 (ja) * 1988-09-02 1994-08-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イスクファイル装置
US5574861A (en) * 1993-12-21 1996-11-12 Lorvig; Don Dynamic allocation of B-channels in ISDN
US6003030A (en) * 1995-06-07 1999-12-14 Intervu,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storage and retrieval of data on a distributed computer network
US5757922A (en) * 1995-12-08 1998-05-26 Nippon Telegraph & Telephone Corp. Method and system for packet scrambling communication with reduced processing overhead
US5768528A (en) * 1996-05-24 1998-06-16 V-Cast, Inc. Client-server system for delivery of online information
US6112239A (en) * 1997-06-18 2000-08-29 Intervu, Inc System and method for server-side optimization of data delivery on a distributed computer network
US5928331A (en) 1997-10-30 1999-07-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tributed internet protocol-based real-time multimedia streaming architecture
JP3641163B2 (ja) * 1999-05-19 2005-04-20 株式会社東芝 分散型監視制御システム
GB9915341D0 (en) * 1999-06-30 1999-09-01 Nortel Networks Corp Multiple access parallel memory and method
US20020156842A1 (en) * 2001-04-23 2002-10-24 Envivio System for audio-visual media customization according to receiver attributes
JP4211282B2 (ja) * 2002-05-14 2009-01-21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蓄積方法及びデータ蓄積システム、並びに、データ記録制御装置、データ記録指令装置、データ受信装置及び情報処理端末
US6895196B2 (en) * 2002-10-08 2005-05-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mod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40049667A (ko) * 2002-12-06 200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04334793A (ja) * 2003-05-12 2004-11-25 Canon Inc 周辺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およびクライアントデバイスおよ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デバイス検索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051473A (ja) * 2003-07-28 2005-02-24 Sony Corp ネットワーク相互接続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相互接続方法、名前解決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834904B2 (en) * 2003-10-22 2010-11-16 Sam Systems, Inc. Video surveillance system
DE10350590A1 (de) * 2003-10-30 2005-06-16 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ichern von Daten bei mehreren unabhängigen Schreib-Lese-Speichern
US20050188403A1 (en) * 2004-02-23 2005-08-25 Kotzin Michael D.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and editing customized media streams to a content provid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386A (ko) * 2001-03-16 2001-07-25 정경석 고화질 동영상 데이터 실시간 제공시스템 및 고화질동영상 데이터 실시간 제공방법
JP2004241793A (ja) 2001-03-30 2004-08-26 Mitsubishi Electric Corp 動画像受信装置および動画像送信装置
KR20030014094A (ko) * 2001-09-14 2003-02-15 박영찬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파일 공동 전송 방법
KR20030026109A (ko) * 2001-09-24 2003-03-31 엠큐브웍스(주) 채널 적응적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96010A3 (en) 2009-04-29
CN1980113A (zh) 2007-06-13
CN1980113B (zh) 2012-09-05
US7958253B2 (en) 2011-06-07
KR20070059622A (ko) 2007-06-12
US20070136315A1 (en) 2007-06-14
EP1796010A2 (en)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385B1 (ko)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 상에서 컨텐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US8909738B2 (en) Redundant data forwarding storage
US797972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ing server copy of predetermined information when storing part is in power saving mode
JP2008516475A (ja)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を放送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819073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5495542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5284011B2 (ja) 印刷システム、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192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network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JP2009239870A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2504282A (ja) 選択的データ転送ストレージ
US20080007768A1 (en) Network device, network manager, network managing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clone process
WO2010057377A1 (zh) 前端设备、录像文件备份方法及其控制方法、装置及系统
JP200729360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69145B2 (en) Gateway apparatus
JP5060775B2 (ja) 分散ストレージシステム上でコンテンツ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JP4929142B2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010242A (ko) 비대칭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복제 방법
JP560162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処理プログラム
JP201000303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電力管理システム
JP2006338624A (ja) サーバ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サーバ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サーバ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
JP4177641B2 (ja) 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
JP201020512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012409B2 (ja) 画像管理装置、画像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74163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203986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