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625B1 -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ting/receiving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ting/receiv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625B1
KR100771625B1 KR1020060035929A KR20060035929A KR100771625B1 KR 100771625 B1 KR100771625 B1 KR 100771625B1 KR 1020060035929 A KR1020060035929 A KR 1020060035929A KR 20060035929 A KR20060035929 A KR 20060035929A KR 100771625 B1 KR100771625 B1 KR 100771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rror correction
reed
solom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9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55494A (en
Inventor
최인환
구영모
강경원
곽국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5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625B1/en
Publication of KR20060055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4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6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13Linear codes
    • H03M13/15Cyclic codes, i.e. cyclic shifts of codewords produce other codewords, e.g. codes defined by a generator polynomial, Bose-Chaudhuri-Hocquenghem [BCH] codes
    • H03M13/151Cyclic codes, i.e. cyclic shifts of codewords produce other codewords, e.g. codes defined by a generator polynomial, Bose-Chaudhuri-Hocquenghem [BCH] codes using error location or error correction polynomials
    • H03M13/1515Reed-Solomon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 H03M13/256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with trellis coding, e.g. with convolutional codes and TC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3Joint error correction and other techniques
    • H03M13/6325Error control coding in combination with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22Intended application, e.g.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standard
    • H03M13/6538ATSC VB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04L27/04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gebr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기존의 방송 시스템과 호환 가능하면서 별도의 부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부가 데이터의 정보 비트를 부호화하여 패리티 비트를 발생시킨 후 상기 정보 비트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채널의 고스트 신호 및 잡음이 심한 채널에서도 MPEG 영상/음향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보다 신뢰성있게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신 시스템 내 슬라이서 예측기 및 트렐리스 복호기의 동작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transmitting additional data while being compatible with an existing broadcasting system. The system and method are characterized in that information bits of additional data are coded to generate parity bits and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bits, It is possible to transmit MPEG video / audio data and additional data more reliably even in a signal and a channel with high noise. In particular, the performance of the slicer predictor and the trellis decoder in the reception system can be greatly improved.

부가 데이터, 길쌈 부호화 Additional data, convolutional coding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ting/receiving}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도 1은 ATSC 8T-VSB 송신 시스템Figure 1 shows an ATSC 8T-VSB transmission system

도 2는 ATSC 8T-VSB 수신 시스템2 shows an ATSC 8T-VSB receiving system

도 3은 본 발명의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용 VSB 송신 시스템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VSB transmission system for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도 4는 널 시퀀스 삽입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ull sequence insertion

도 5는 트렐리스 부호기 및 프리코더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ellis encoder and a precoder;

도 6은 일반적인 피드백 형태의 1/2 길쌈 부호기의 구성 블록도6 is a block diagram of a 1/2 convolutional encoder in a general feedback form

도 7은 본 발명의 디지털 VSB 전송 시스템에서 1/2 길쌈 부호기와 트렐리스 부호기의 연접 상태를 보인 구성 블록도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catenated state of a 1/2 convolutional encoder and a trellis encoder in the digital VSB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1/2 길쌈 부호기의 구성 블록도8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selective 1/2 convolutional enco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가 데이터 심볼 지시부의 구성 블록도9 is a block diagram of a supplementary data symbol design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VSB 전송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10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VSB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46 : 부가 데이터 처리부 47 : 멀티플렉서46: Additional data processing unit 47: Multiplexer

48 : 제 1 부호화부 49 : 부가 데이터 심볼 지시부48: first coder 49: additional data symbol indicator

50 : 선택적 1/2 길쌈 부호기 51 : 제 1 복호화부50: selective 1/2 convolutional encoder 51: first decoding unit

52 : ATSC 8T-VSB 송신부52: ATSC 8T-VSB transmitter

본 발명은 기존의 수신 시스템과 호환 가능하면서 별도의 부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additional data while being compatible with an existing receiving system.

미국에서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위해 ATSC 8T-VSB(8Trellis-Vestigial Sideband) 전송 방식을 1995년 표준으로 채택하여 1998년 하반기부터 방송을 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도 미국 방식과 동일한 ATSC 8T-VSB 전송 방식을 표준으로 채택하여 1995년 5월 실험 방송을 시작하였고 2000년 8월 31일 시험 방송 체제로 전환 하였다.In the United States, the ATSC 8T-VSB (8Trellis-Vestigial Sideband) transmission method for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ing was adopted as the standard in 1995 and has been broadcasting since the second half of 1998. In Korea, the same ATSC 8T- The test broadcasting was started in May 1995 and the test broadcasting system was changed on August 31, 2000.

도 1은 종래 ATSC 8T-VSB 송신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conventional ATSC 8T-VSB transmission system.

도 1에서, 데이터 랜덤마이저(1)는 데이터를 랜덤하게 하여 리드 솔로몬 부호기(2)로 출력하며, 상기 리드 솔로몬 부호기(2)는 상기 랜덤마이즈된 데이터를 리드-솔로몬 부호화하여 상기 데이터 내에 20 바이트의 패리티 부호를 첨가한 후 데이터 인터리버(3)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인터리버(3)는 데이터를 인터리빙하여 트렐리스 부호기(4)로 출력하며, 상기 트렐리스 부호기(4)는 인터리빙된 데이터를 바이트에서 심볼로 변환시킨 후 트렐리스 부호화 한다. 멀티플렉서(5)에서는 트렐리스 부호화된 심볼열과 동기 신호들을 멀티플렉싱하여 파일럿 삽입기(6)로 출력하며, 상기 파일럿 삽입기(6)는 파일럿 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싱된 심볼열에 추가한 다. VSB 변조기(7)는 상기 파일럿 삽입기(6)에서 출력되는 심볼열을 8T-VSB 신호로 변조하여 RF 변환기(8)로 출력한다. 상기 RF 변환기(8)는 8T-VSB 신호로 변조된 기저 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RF 대역 신호는 안테나(9)를 통해 수신 시스템을 향해 전송된다.1, the data randomizer 1 randomly outputs data to the Reed-Solomon encoder 2, and the Reed-Solomon encoder 2 performs Reed-Solomon encoding on the randomized data to generate 20 bytes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data interleaver 3. The data interleaver 3 interleaves the data and outputs the interleaved data to the trellis coder 4. The trellis coder 4 converts the interleaved data from bytes to symbols and performs trellis coding. The multiplexer 5 multiplexes the trellis coded symbol stream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s and outputs the multiplexed signal to the pilot inserter 6, and the pilot inserter 6 adds the pilot signal to the multiplexed symbol stream. The VSB modulator 7 modulates the symbol stream output from the pilot inserter 6 into an 8T-VSB signal and outputs the 8T-VSB signal to the RF converter 8. The RF converter 8 converts the baseband signal modulated with the 8T-VSB signal into an RF band signal, which is transmitted toward the receiving system via the antenna 9.

도 2는 종래 ATSC 8T-VSB 수신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2 shows a conventional ATSC 8T-VSB receiving system.

도 2에서 복조기(11)는 안테나(10)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의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바꾸고, 동기 및 타이밍 복구기(도시되지 않음)는 세그먼트 동기 신호, 필드 동기 신호, 그리고 심볼 타이밍을 복구한다. 한편, 콤 필터(12)는 NTSC 간섭 신호를 제거하고, 채널 등화기(13)는 슬라이서 예측기(14)를 사용하여 전송 중에 왜곡된 채널을 보정한다. 위상 복원기(15)는 수신된 신호의 위상을 복원하고, 트렐리스 복호기(16)는 상기 위상 복원된 신호 상에 비터비 복호를 수행하여 데이터 디인터리버(17)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디인터리버(17)는 상기 VSB 전송 시스템의 데이터 인터리버(3)의 역동작을 수행하여 리드 솔로몬 복호기(18)로 출력하고, 상기 리드 솔로몬 복호기(18)는 리드 솔로몬 부호화된 신호를 복호한다. 한편, 데이터 디랜덤마이저(19)는 상기 전송 시스템 내 상기 데이터 랜덤마이저(1)의 역동작을 수행한다.2, a demodulator 11 converts a signal of an RF band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0 into a baseband signal, and a synchronization and timing recovery unit (not shown) receives a segment synchronization signal, a field synchronization signal, Lt; / RTI > On the other hand, the comb filter 12 removes the NTSC interference signal, and the channel equalizer 13 uses the slicer predictor 14 to correct the distorted channel during transmission. The phase reconstructor 15 restores the phase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trellis decoder 16 performs Viterbi decoding on the phase recovered signal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data deinterleaver 17. The data deinterleaver 17 performs an inverse operation of the data interleaver 3 of the VSB transmission system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Reed-Solomon decoder 18, and the Reed-Solomon decoder 18 decodes the Reed-Solomon encoded signal . Meanwhile, the data derandomizer 19 performs an inverse operation of the data randomizer 1 in the transmission system.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ATSC 8T-VSB 수신기는 단지 MPEG 데이터만을 수신할 뿐 부가 데이터(예, 프로그램 실행 파일, 증권 정보등)를 수신할 수는 없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ATSC 8T-VSB receiver only receives MPEG data and can not receive additional data (e.g., program executable file, security information, etc.).

즉, 북미 및 국내에서 디지털 방송 표준으로 채택된 8T-VSB 전송 방식은 MPEG 영상/음향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개발된 시스템이다. 그러나, 요즈음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인터넷이 널리 사용됨에 따라서 디지털 가전과 컴퓨터 및 인터넷 등이 하나의 큰 틀에 통합되어 가는 추세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통하여 영상/음향 데이터에 더하여 각종 부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That is, the 8T-VSB transmission method adopted as a digital broadcasting standard in North America and domestic is a system developed for transmission of MPEG video / audio data. However, as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technology is rapidly developing and the Internet is widely used these days, digital home appliances, computers, and the Internet are being integrated into a single large frame. Therefore, in order to meet various demands of us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various additional data in addition to video / audio data through a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그리고, 부가 데이터 방송의 일부 이용자는 간단한 형태의 실내 안테나가 부착된 PC 카드 또는, 포터블 기기를 이용하여 부가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실내에서는 벽에 의한 차단과 근접 이동체의 영향으로 신호 세기가 크게 감소하고, 반사파로 인한 고스트와 잡음의 영향으로 방송 수신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영상/음향 데이터와는 달리 부가 데이터 전송의 경우에는 보다 낮은 오류율을 가져야 한다. 영상/음향 데이터의 경우에는 사람의 눈과 귀가 감지하지 못하는 정도의 오류는 문제가 되지 않는 반면에, 부가 데이터의 경우에는 한 비트의 오류가 발생해도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채널에서 발생하는 고스트와 잡음에 더 강한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Some users of the supplementary data broadcasting are expected to receive supplementary data broadcasting using a PC card or a portable device with a simple indoor antenna. In the indoor environment, signal intensities The broadcast reception performance may be degrad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ghost and noise due to the reflected waves. However, unlike general video / audio data, additional data transmission should have a lower error rate. In the case of video / audio data, errors that can not be detected by the human eye and ears are not a problem, but in the case of additional data, a bit error may cause serious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hat is more resistant to ghost and noise in the channel.

이때, 부가 데이터 전송은 통상, MPEG 영상/음향과 동일한 채널을 통해 시분할 방식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그런데, 디지털 방송이 시작된 이후로 시장에는 이미 MPEG 영상/음향만 수신하는 ATSC VSB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MPEG 영상/음향과 동일한 채널로 전송되는 부가 데이터가 기존에 시장에 보급된 기존 ATSC VSB 전용 수신기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아야 한다. 이와 같은 상황을 ATSC VSB 호환으로 정의하며, 부가 데이터 방송 시스템은 ATSC VSB 시스템과 호환 가능한 시스템이어야 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additional data transmission will normally be done in a time division manner over the same channel as the MPEG video / audio. However, since the start of digital broadcasting, ATSC VSB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which receives only MPEG video / audio, is widely available in the market. Therefore, the additional data transmitted on the same channel as the MPEG video / audio should have no influence on the existing ATSC VSB dedicated receiver which has been introduced to the market. This situation is defined as ATSC VSB compatibility, and the additional data broadcasting system should be a system compatible with the ATSC VSB syst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관련 특허를 기 출원한 바 있다(출원번호 : P01-3304, 출원일 : 2000.1.19).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applied for a related patent (Application No. P01-3304, filed on January 19, 2000).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디지털 방송 채널을 통하여 MPEG 영상/음향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디지털 VSB 전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VSB transmission system for multiplexing and transmitting MPEG video / audio data and additional data through the same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ATSC 8T-VSB 수신 시스템과 호환이 가능하도록 부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지털 VSB 전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VSB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additional data so as to be compatible with an existing ATSC 8T-VSB reception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송되는 부가 데이터의 부호화 이득을 높여 수신기측에서 채널의 잡음과 고스트에 대해 우수한 성능을 갖도록 하는 디지털 VSB 전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VSB transmission system that enhances the coding gain of additional data to be transmitted and has excellent performance for channel noise and ghost at the receiver s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VSB 전송 시스템은, 부가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MPEG 트랜스포트 패킷의 포맷으로 변환하는 부가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부가 데이터와 MPEG 방송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된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랜덤마이즈, 리드 솔로몬 부호화에 의한 패리티 부가, 데이터 인터리빙 및 바이트-심볼 변환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제 1 부호화부와, 입력되는 데이터가 부가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 1 부호화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1/n(n은 자연수) 부호율로 부호화하는 제 2 부호화부와, 상기 제 2 부호화부의 출력 데이터에 대해 심볼-바이트 변환, 데이터 디인터리빙을 수행한 후 상기 제 1 부호화부에서 부가된 리드 솔로몬 패리티를 상기 디인터리빙 된 데이터로부터 제거하는 제 1 복호화부와, 상기 제 1 복호화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트렐리스 부호화, 리드 솔로몬 부호화에 의한 패리티 부가, 데이터 인터리빙을 수행한 후 변조하여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VSB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an additional data processing unit for encoding additional data and converting the additional data into a format of an MPEG transport packet; a multiplexing unit for multiplexing and outputting the additional data and MPEG broadcast data; A first encoder for sequentially performing data randomizing on the multiplexed data, parity addition by Reed-Solomon coding, data interleaving, and byte-symbol conversion, A second encoding unit for encoding the data output from the encoding unit with 1 / n (n is a natural number) code rate; and a second encoding unit for performing symbol-byte conversion and data deinterleaving on the output data of the second encoding unit, 1 < / RTI > encoder removes the Reed-Solomon parity added from the deinterleaved data And a first decod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modulation after performing the parity addition, the data interleaved by the trellis encoding, Reed-Solomon coding for data output from the first decoding unit.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부호화부는 피드백 형태의 1/2 길쌈 부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cond encoder is a feedback type half convolutional encoder.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부호화부는 부가 데이터의 정보 비트에 대해 1/2 길쌈 부호화를 수행하여 패리티 비트를 발생시킨 후 상기 송신부 내의 트렐리스 부호기의 상위 비트로는 부호화되지 않은 정보 비트를, 하위 비트로는 패리티 비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cond encoder generates parity bits by performing ½ convolutional encoding on the information bits of the additional data, and then outputs the unencoded information bits as upper bits of the trellis encoder in the transmitter, parity And outputs a bit.

상기 제 2 부호화부에는 입력되는 데이터가 부가 데이터인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 2 부호화부로 출력하는 부가 데이터 심볼 지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encod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data symbol indicat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data is additional data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second encoding un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내지 도 5는 본 출원이 기 출원한 특허(P01-3304, 2000.1.19)에 도시된 도면으로서, 종래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호환 가능하고 MPEG 데이터는 물론 부가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Figs. 3 to 5 are diagrams shown in patents (P01-3304, 2000.1.19) fil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which are compatible with the conventional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can transmit additional data as well as MPEG data.

도 3을 보면, 리드-솔로몬 부호기(20), 데이터 인터리버(21), 널 시퀀스 삽 입부(22), 및 MPEG 헤더 삽입부(23)는 부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으로서, 부가 데이터를 MPEG 트랜스포트 패킷과 동일한 구조로 만든다.3, the Reed-Solomon encoder 20, the data interleaver 21, the null sequence insertion section 22, and the MPEG header inserting section 23 are parts for processing the additional data, The same structure as the packet is made.

즉, 리드 솔로몬 부호기(20)는 부가 데이터를 리드 솔로몬 부호화하여 20바이트의 패리티 부호를 첨가하고, 데이터 인터리버(21)는 버스트 잡음에 대한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패리티가 부가된 부가 데이터를 인터리빙한 후 널 시퀀스 삽입부(22)로 출력하여 상기 부가 데이터에 널 시퀀스를 삽입한다. 여기서, 널 시퀀스를 삽입하는 이유는 열악한 채널 환경에서도 수신이 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That is, the Reed-Solomon encoder 20 adds Reed-Solomon coding of the additional data and adds 20 bytes of parity code. The data interleaver 21 interleaves the added data with the added parity to improve the performance against burst noise And inserts a null sequence into the additional data by outputting it to the null sequence inserting section 22. [ Here, the reason why the null sequence is inserted is that the reception can be performed well even in a poor channel environment.

도 4는 도 3의 널 시퀀스 삽입부(22)에서 부가 데이터에 미리 정한 시퀀스를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으로서, 1개 비트의 부가 데이터가 입력되면 도 4와 같이 1개 비트의 널 비트를 삽입하여 2개의 비트를 출력하므로, 한 개의 바이트가 입력되면 두 개의 바이트로 출력된다.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inserting a predetermined sequence into additional data in the null sequence inserting unit 22 of FIG. 3. When one bit of additional data is input, one bit of null bits When two bytes are input, one byte is output, and two bytes are output.

한편, MPEG 헤더 삽입부(23)는 상기 널 시퀀스가 삽입된 부가 데이터에 3바이트의 MPEG 헤더를 삽입하여 MPEG 트랜스포트 패킷과 동일한 포맷으로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부가 데이터는 멀티플렉서(24)에서 기존의 MPEG 트랜스포트 패킷 즉, MPEG 영상/음향 데이터와 시분할 다중화되어 8T-VSB 송신부(25)로 출력된다. 상기 8T VSB 송신부(25)는 상기된 도 1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MPEG header inserting unit 23 inserts the 3-byte MPEG header into the additional data into which the null sequence is inserted so as to form the same format as the MPEG transport packet. The generated additional data is time-division multiplexed with the MPEG transport packet, that is, the MPEG video / audio data, and output to the 8T-VSB transmitter 25 in the multiplexer 24. The 8T VSB transmitter 25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FIG.

즉, 164 바이트의 부가 데이터 패킷이 리드 솔로몬 부호기(20)에서 리드 솔로몬 부호화되어 184바이트의 패킷으로 변환되고, 이것이 데이터 인터리버(21)에서 인터리빙되어 순서가 바뀐 후에 널 시퀀스 삽입부(22)에서 널 시퀀스가 삽입되면 2 개의 184 바이트 패킷이 출력된다. 그리고, MPEG 헤더 삽입부(23)에서 각각의 패킷에 3바이트의 MPEG 트랜스포트 헤더가 추가되면, 2개의 187 바이트의 패킷이 멀티플렉서(24)로 출력되고, 이렇게 생성된 2개의 패킷은 각각 VSB 시스템의 세그먼트 단위로 MPEG 트랜스포트 패킷과 다중화된 후 8T VSB 송신부(25)를 통해 전송된다.That is, an additional data packet of 164 bytes is subjected to Reed-Solomon coding in the Reed-Solomon encoder 20 and converted into a packet of 184 bytes. After this is interleaved in the data interleaver 21 and the order is changed, When the sequence is inserted, two 184-byte packets are output. When a 3-byte MPEG transport header is added to each packet in the MPEG header inserting unit 23, two 187-byte packets are output to the multiplexer 24, A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8T VSB transmission unit 25. The 8T VSB transmission unit 25 transmits the MPEG transport packet to the 8T VSB transmission unit 25 through the MPEG transport packet.

이때, 상기 부가 데이터에 삽입된 널 비트는 8T-VSB 송신부(25) 내에서 랜더마이징되고, 이어서 리드 솔로몬 부호화된다. 이 부호화된 널 비트는 인터리빙된 후 트렐리스 부호기(도시되지 않음)의 한 입력(d0)으로 인가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 신호(d0)는 상기 트렐리스 부호기에 입력되는 두 비트들 중 하위 비트에 해당한다. 그리고, 널 비트가 전술한 바와 같은 처리 과정을 거쳐 트렐리스 부호기의 하위 비트로 입력되는 비트의 열을 설명의 편의상 미리 정의된 시퀀스라 칭한다.At this time, the null bits inserted in the additional data are reordered in the 8T-VSB transmitter 25 and then reed-solomon encoded. This encoded null bit is interleaved and then applied to an input d0 of a trellis encoder (not shown). Here, the input signal d0 corresponds to a lower bit of two bits input to the trellis encoder. The sequence of bits in which the null bits are input to the lower bits of the trellis encoder through the processing as described above is referred to as a predefined sequenc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5는 도 3의 ATSC 8T-VSB 송신부(25)에서 사용하는 트렐리스 부호기 및 프리코더의 구성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으로서, 트렐리스 부호기(28) 및 프리코더(27)는 두 개의 입력 비트들(d0)(d1)에 대해 세 개의 출력 비트들(c0)(c1)(c2)을 출력한다. 미설명 부호 29는 8T-VSB 변조기로서, 상기 트렐리스 부호기(28) 및 프리코더(27)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세 개의 출력 비트들(c0)(c1)(c2)을 해당하는 변조값(z)을 출력한다. 도 5에서, 27a 및 28b는 가산기를, 27b,28a, 및 28c는 레지스터들을 지시한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ellis encoder and a precoder used in the ATSC 8T-VSB transmitter 25 of FIG. 3. The trellis encoder 28 and the precoder 27 have two input bits (c0) (c1) (c2) for the output signal (d0) (d1). Reference numeral 29 denotes an 8T-VSB modulator which demultiplexes the three output bits c0, c1, and c2 output from the trellis encoder 28 and the precoder 27 by a corresponding modulation value z ). In Fig. 5, 27a and 28b denote adders, and 27b, 28a and 28c denote registers.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력 비트(d1)은 상기 프리코더(27)에 의해서 프리 코딩되어 출력 비트(c2)로 되고, 상기 입력 비트(d0)는 그대로 출력 비 트(c1)으로 치환된다. 한편, 출력 비트(c0)는 상기 트렐리스 부호기(28)의 레지스터(28c)에 저장된 값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트렐리스 부호기(28) 및 프리코더(27)의 출력 비트열(c0,c1,c2)에 따라 8T-VSB 변조기(29)의 신호 레벨(z)이 결정된다.5, the input bit d1 is precoded by the precoder 27 to become an output bit c2, and the input bit d0 is replaced with an output bit c1 as it is . On the other hand, the output bit c0 is determined by the value stored in the register 28c of the trellis encoder 28. [ The signal level z of the 8T-VSB modulator 29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utput bit streams c0, c1, and c2 of the trellis encoder 28 and the precoder 27. [

그러면, 부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기존의 8T VSB 수신기에서는 이러한 트랜스포트 패킷의 헤더에 주어진 PID(Packet Identification)를 통하여 기존의 MPEG 트랜스포트 패킷만을 선택하여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고, 부가 데이터 패킷은 버리게 된다. 한편, 부가 데이터까지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는 다중화 정보를 이용하여 MPEG 트랜스포트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 패킷을 역다중화한 후 부가 데이터 패킷을 처리한다.In the conventional 8T VSB receiver which can not receive the additional data, only the existing MPEG transport packet is selected through the PID (Packet Identification) given in the header of the transport packet to receive the digital broadcast, and the additional data packet is discarded do. Meanwhile, the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up to the additional data demultiplexes the MPEG transport data and the additional data packet using the multiplexing information, and then processes the additional data packet.

한편, 본 발명은 미리 정의된 시퀀스를 전송하는 대신에 상기 트렐리스 부호기의 상위 비트(d1)로 입력되는 부가 데이터를 하위 비트(d0)로도 입력받아 1/2 부호율로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추가의 부호화 이득을 얻을 수 있다.In the meantime, instead of transmitting a predefined sequen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ceives additional data input to the upper bit (d1) of the trellis encoder and transmits the lower bit (d0) at a 1/2 coding rate . This provides additional coding gain.

즉, 부가 데이터 심볼의 경우에 트렐리스 부호기로 입력되는 2개의 비트 중에서 상위 비트는 정보 비트로 이용되고, 하위 비트는 미리 정의된 비트로 사용이 되는데, 이 미리 정의된 비트 대신에 상기 정보 비트를 부호화하여 얻은 비트를 트렐리스 부호기의 하위 비트(d0)로 출력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정보 비트는 1/2 부호율을 갖는 부호기 즉, 1/2 부호기를 이용하여 부호화할 수 있으며, 상기 부호화에 의해 달라지는 비트를 본 발명에서는 패리티 비트라 한다. 이와 같이 1/2 부 호율로 부호화하여 얻은 정보 비트의 패리티 비트를 미리 정의된 시퀀스 대신 트렐리스 부호기로 전송함으로써, 추가의 부호화 이득을 얻을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additional data symbol, the upper bits among the two bits input to the trellis encoder are used as information bits, and the lower bits are used as predefined bits. Instead of the predefined bits, And outputs the obtained bits to the lower bit (d0) of the trellis encoder. Herein, the information bits can be coded using an encoder having a 1/2 coding rate, that is, a ½ encoder, and bits varying according to the coding are referred to as parity bit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transmitting the parity bits of the information bits obtained by coding with the 1/2 partial rate to the trellis encoder instead of the predefined sequence, a further coding gain can be obtained.

이때, 상기 1/2 부호기의 출력은 기존의 트렐리스 부호기에 의해 다시 부호화되므로, 1/2 부호기는 바람직하게는 길쌈 부호기가 적합하다.At this time, since the output of the 1/2 encoder is re-encoded by the existing trellis encoder, a convolutional encoder is preferably used as the 1/2 encoder.

특히, 상기 1/2 부호화한 심볼의 패리티 비트는 8T-VSB 수신기에서 트레이닝(training) 시퀀스로 사용될 수 없으므로, 이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기존의 트렐리스 부호화기와 같은 피드백 형태의 길쌈 부호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존의 ATSC 8T-VSB 수신기에서는 도 4에서 보여준 트렐리스 부호기의 레지스터(28c) 값(s0)을 예측함으로써, 채널 등화기 내의 슬라이서의 성능을 개선하여 고스트 제거 능력을 향상시켰는데, 이것은 트렐리스 부호기의 레지스터 값이 바로 출력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Particularly, since the parity bits of the 1/2 coded symbols can not be used as a training sequence in an 8T-VSB receiver, it is desirable to use a feedback type convolutional encoder such as a conventional trellis coder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Do. That is, in the conventional ATSC 8T-VSB receiver, the performance of the slicer in the channel equalizer is improved by predicting the value (s0) of the register 28c of the trellis encoder shown in FIG. 4, This is because the register value of the trellis encoder is directly outputted.

따라서, 본 발명의 1/2 부호기도 피드백 형태의 길쌈 부호기를 사용하면, ATSC 8T-VSB 수신기에서 1/2 부호기의 레지스터 값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서의 예측 성능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Therefore, the 1/2 co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edict the register value of the 1/2 encoder in the ATSC 8T-VSB receiver by using the feedback type convolutional encoder,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the slicer.

도 6은 레지스터의 개수가 M개인 피드백 형태의 1/2 길쌈 부호기의 구성 블록도로서, 정보 비트 u는 출력 비트 d1으로 그대로 출력되고, 상기 정비 비트 u를 부호화한 패리티 비트 d0는 레지스터 r1의 값이 출력된다.FIG. 6 is a block diagram of a 1/2 convolutional encoder having a feedback type M-number of registers, in which the information bit u is directly output as an output bit d1, and the parity bit d0 obtained by coding the maintenance bit u is a value of the register r1 Is output.

도 7은 레지스터의 개수가 2개인 경우의 일 실시예로서, 1/2 길쌈 부호기와 트렐리스 부호기가 연접된 모습을 보여준다. FIG. 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1/2 convolutional encoder and the trellis coder are concatenated in one embodiment in which the number of registers is two.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부가 데이터의 정보 비트 u는 1/2 길쌈 부호기(31) 로 입력되어 부호화됨에 의해 패리티 비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정보 비트 u는 트렐리스 부호기의 상위 비트(d1)로, 상기 패리티 비트는 상기 트렐리스 부호기의 하위 비트(d0)로 입력된다.7, the information bit u of the additional data is input to the 1/2 convolutional encoder 31 and coded to generate a parity bit, and the information bit u is converted into an upper bit d1 of the trellis encoder , And the parity bit is input to the lower bit (d0) of the trellis encoder.

이때, 상기 길쌈 부호기(31)는 널 비트가 삽입된 부가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만 길쌈 부호화를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트렐리스 부호기 앞단에 추가되는 1/2 길쌈 부호기는 도 8과 같이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선택적 길쌈 부호기이다. At this time, the convolutional encoder 31 should perform convolutional coding only on the additional data symbols into which null bits are inserted. Accordingly, the 1/2 convolutional encoder added to the front end of the trellis encoder is an optional convolutional encoder selectively operating according to the input as shown in FIG.

즉, 입력 심볼이 미리 정의된 시퀀스가 포함된 부가 데이터 심볼인 경우에는 상위 비트 d1로는 입력 비트가 그대로 출력되고, 하위 비트 d0로는 미리 정의된 시퀀스 대신에 상위 비트 d1을 길쌈 부호화하여 얻어지는 패리티 비트가 출력된다. 반면에 부가 데이터 심볼 이외의 경우에는 입력 두 비트가 모두 그대로 상,하위 비트 d1,d0로 출력된다. 이러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길쌈 부호기는 하나의 트렐리스 부호기에 각 하나씩 총 12개가 사용된다.That is, when the input symbol is a supplementary data symbol including a predefined sequence, the input bit is directly output as the upper bit d1, and the parity bit obtained by convolutional encoding the upper bit d1 instead of the predefined sequence is used as the lower bit d0 .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ther than the additional data symbol, the two input bits are directly output as upper and lower bits d1 and d0. A total of twelve selectively used convolutional encoders are used for one trellis encoder.

도 8을 보면, 각각의 길쌈 부호기는 바로 뒷단의 레지스터(37)에서 피드백되는 값 또는 최종단의 레지스터(40)에서 피드백되는 값을 선택 출력하는 멀티플렉서(36), 상기 멀티플렉서(36)의 출력을 일정 시간 저장하는 레지스터(37), 상위 비트 d1로 입력되는 값과 상기 레지스터(37)의 출력을 더하는 가산기(38), 상기 가산기(38)의 출력 또는 바로 뒷단의 레지스터(40)에서 피드백되는 값을 선택 출력하는 멀티플렉서(39), 상기 멀티플렉서(39)의 출력을 일정 시간 저장하는 레지스터(40), 및 상기 레지스터(40)의 출력 또는 하위 비트 d0로 입력되는 값을 선택 출력하는 멀티플렉서(41)로 구성된다.8, each of the convolutional encoders includes a multiplexer 36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value fed back from a register 37 immediately downstream or a value fed back from a register 40 at the final stage, an output of the multiplexer 36 An adder 38 for adding the value inputted to the upper bit d1 and the output of the register 37 and a register 37 for storing a value fed back from the register 40 or the output of the adder 38, A register 40 for storing the output of the multiplexer 39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a multiplexer 41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register 40 or a value input to the lower bit d0, .

만일, 입력 심볼이 부가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레지스터(37,40)에 저장된 값이 상위 비트 d1로 입력되는 값에 의해 변하면 안 된다. 즉, 입력 심볼이 부가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각 레지스터는 자신의 출력 값을 피드백받아 현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멀티플렉서(36,39,41)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는 입력 심볼이 부가 데이터 심볼인지 아닌지를 알려준다. 일 예로, 입력 심볼이 부가 데이터일 경우 상기 멀티플렉서(36,39,41)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는 '1'이고, 부가 데이터가 아닐 경우 '0'이라고 가정한다.If the input symbol is not the additional data, the value stored in the registers 37 and 40 should not be changed by the value input to the upper bit d1. That is, when the input symbol is not the additional data, each register must keep its current state by feedback on its output value. At this time, the control signal input to the multiplexers 36, 39, and 41 informs whether or not the input symbol is an additional data symbol. For example, when the input symbol is the additional data, the control signal input to the multiplexers 36, 39, and 41 is '1', and when it is not the additional data, it is assumed to be '0'.

따라서, 상기 멀티플렉서(36)는 입력 심볼이 부가 데이터인 경우 즉, 제어 신호가 '1'인 경우에는 상기 최종 레지스터(40)에서 피드백되는 값을 선택하여 레지스터(37)로 출력하고, 부가 데이터가 아닌 경우 즉, 제어 신호가 '0'인 경우에는 레지스터(37)에서 피드백되는 값을 선택하여 레지스터(37)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플렉서(39)는 제어 신호가 '1'인 경우에는 상기 가산기(38)에서 출력되는 값을 선택하여 레지스터(40)로 출력하고, 제어 신호가 '0'인 경우에는 레지스터(40)에서 피드백되는 값을 선택하여 레지스터(40)로 출력한다. 상기 멀티플렉서(41)는 제어 신호가 '1'인 경우에는 상기 레지스터(40)에 저장된 값을 선택하여 트렐리스 부호기의 하위 비트 d0로 출력하고, 제어 신호가 '0'인 경우에는 하위 비트 d0로 입력되는 값을 선택하여 상기 트렐리스 부호기의 하위 비트 d0로 출력한다. Therefore, when the input symbol is the additional data, that is, when the control signal is '1', the multiplexer 36 selects a value fed back from the final register 40 and outputs the selected value to the register 37, When the control signal is '0', the selector 37 selects the value fed back from the register 37 and outputs the selected value to the register 37. When the control signal is '1', the multiplexer 39 selects and outputs the value output from the adder 38 to the register 40. When the control signal is '0', the multiplexer 39 selects the register 40, And outputs the selected value to the register 40. [0050] FIG. When the control signal is '1', the multiplexer 41 selects the value stored in the register 40 and outputs the selected value to the lower bit d0 of the trellis encoder. When the control signal is '0', the multiplexer 41 outputs the lower bit d0 And outputs the selected value to the lower bit d0 of the trellis encoder.

도 9는 상기 제어 신호 생성 과정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로서, 설 명의 편의상 부가 데이터 심볼 지시부라 칭한다.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process, and is referred to as an additional data symbol indicat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때, 상기 부가 데이터 심볼 지시부는 한 바이트당 한 비트의 플래그를 할당하고, 부가 데이터일 경우와 아닐 경우에 플래그 값을 다르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데이터가 부가 데이터 패킷인 경우 MPEG 헤더에 해당하는 3비트 플래그는 '0'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널 비트가 삽입된 바이트에 대해서는 각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 한편, 입력되는 데이터가 MPEG 트랜스포트 패킷인 경우, 각 바이트에 할당되는 플래그를 모두 '0'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부가 데이터 플래그인 경우 3개의 '0'과 184개의 '1'을 갖는다. 그리고, MPEG 데이터 플래그인 경우 187개의 '0'을 갖는다. At this time, the additional data symbol instruction unit allocates a flag of one bit per byte, and sets the flag value differently when it is not the additional data. For example, when the input data is an appended data packet, the 3-bit flag corresponding to the MPEG header is set to '0', and each flag is set to '1' for the byte to which the remaining null bits are inser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put data is an MPEG transport packet, all the flags allocated to each byte are set to '0'.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additional data flag, it has 3 '0' and 184 '1'. In the case of the MPEG data flag, it has 187 '0'.

그리고, 이렇게 설정된 플래그 값에 적당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Then, appropriate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thus-set flag valu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일 실시예로, 도 3의 멀티플렉서(24)는 입력되는 데이터가 부가 데이터 패킷인지 MPEG 데이터 패킷인지 알 수 있으므로, 도 3의 멀티플렉서(24)에서 바이트-심볼 변환까지의 동작에서 상기 제어 신호를 만들어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ultiplexer 24 of FIG. 3 can determine whether the incoming data is an ancillary data packet or an MPEG data packet, so that it generates the control signal in the operations from byte-to-symbol conversion in the multiplexer 24 of FIG. You can give.

즉, 도 9와 같이 멀티플렉서(42)에서 다중화된 부가 데이터 플래그와 MPEG 데이터 플래그는 데이터 랜덤마이저를 그대로 바이패스하여 리드 솔로몬 부호기(43)로 출력된다. 상기 리드 솔로몬 부호기(43)에서는 추가되는 패리티 20 바이트에 대한 플래그 값을 '0'으로 설정하고 데이터 인터리버(44)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인터리버(44)에서의 데이터 인터리빙 동작에 따라 상기 플래그는 데이터와 함께 순서가 바뀌고, 바이트-심볼 변환부(45)에서 심볼로 변환되면 그 심볼에 해당 하는 제어 신호가 생성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9, the additional data flag and the MPEG data flag multiplexed by the multiplexer 42 bypass the data randomizer and are output to the Reed-Solomon encoder 43. The Reed-Solomon encoder 43 sets the flag value of the parity 20 bytes to be added to '0' and outputs it to the data interleaver 44. According to the data interleaving operation in the data interleaver 44, the flag is changed in order with the data, and the byte-to-symbol converter 45 converts the flag into a symbol, and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ymbol is generated.

한편, ATSC 8T-VSB 리드 솔로몬 부호기 이후에 부가 데이터 심볼의 미리 정의된 시퀀스가 1/2 길쌈 부호화를 통해 패리티 비트로 바뀌기 때문에, 기존의 ATSC 8T-VSB 수신기에서 리드 솔로몬 복호시에 부가 데이터 패킷에 오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영향을 막기 위해서는, 선택적 1/2 길쌈 부호기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리드 솔로몬 패리티 바이트를 다시 계산하여야 한다. 즉, 처음 부가 데이터(즉, 1/2 길쌈 부호화 전의 부가 데이터)에 부가되었던 리드 솔로몬 패리티 바이트를 제거하고 상기 1/2 길쌈 부호화된 부가 데이터에 대해 리드 솔로몬 패리티 바이트를 다시 부가하여야 한다.Meanwhile, since a predefined sequence of additional data symbols is changed to a parity bit through a 1/2 convolutional coding after the ATSC 8T-VSB Reed Solomon encoder, an error in an additional data packet Lt; / RTI > In order to prevent such an influence, the Reed-Solomon parity byte corresponding to the data converted by the selective 1/2 convolutional encoder must be calculated again. That is, the Reed-Solomon parity byte added to the first additional data (i.e., the additional data before the 1/2 convolutional encoding) is removed and the Reed-Solomon parity byte is added to the 1/2 convolutional encoded additional data.

이를 위해, 선택적 1/2 길쌈 부호기의 출력을 심볼-바이트로 변환하고, 데이터 디인터리버의 동작을 취한 후에 처음 계산되었던 리드-솔로몬 패리티를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리드 솔로몬 패리티가 제거된 데이터에 대해 ATSC 8T-VSB 송신부에서 다시 리드-솔로몬 부호화를 수행하여 리드 솔로몬 패리티를 부가한다. 그러면, 1/2 길쌈 부호화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리드 솔로몬 패리티가 부가되므로, ATSC 8T-VSB 수신기에서 리드 솔로몬 복호시에 부가 데이터 패킷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To this end, the output of the selective 1/2 convolutional encoder is converted into symbol-bytes and the Reed-Solomon parity that was first calculat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data deinterleaver is removed. Then, Reed-Solomon coding is performed again by the ATSC 8T-VSB transmitter on the data from which the Reed-Solomon parity is removed, and Reed-Solomon parity is added. Then, since the Reed-Solomon parity corresponding to the 1/2 convolutional coded data is added, an error does not occur in the additional data packet at the time of the Reed Solomon decoding in the ATSC 8T-VSB receiver.

이러한 과정을 도 10에 도시하였다.This process is shown in Fig.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VSB 전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 블록도로서, 부가 데이터에 대해 리드 솔로몬 부호화, 널 시퀀스 삽입, MPEG 헤더를 삽입하는 부가 데이터 처리부(46), 상기 부가 데이터 처리부(46)에서 출력되는 부가 데이터 패킷 또는, MPEG 데이터 패킷을 선택 출력하는 멀티플렉서(47), 상기 멀티플렉서(47)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패킷에 데이터 랜덤마이즈, 리드 솔로몬 부호화, 데이터 인터리빙, 바이트-심볼 변환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제 1 부호화부(48), 상기 제 1 부호화부(48)에서 출력되는 심볼이 부가 데이터 심볼인지 유무를 지시하는 부가 데이터 심볼 지시부(49), 상기 부가 데이터 심볼 지시부(49)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가 부가 데이터 심볼임을 가리키면 상기 제 1 부호화부(48)에서 출력되는 심볼에 대해 1/2 길쌈 부호화를 수행하는 선택적 길쌈 부호기(50), 상기 선택적 길쌈 부호기(50)를 통해 출력되는 심볼에 대해 바이트로 변환, 데이터 디인터리브, 리드 솔로몬 패리티 제거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제 1 복호화부(51), 및 상기 제 1 복호화부(51)에서 리드 솔로몬 패리티가 제거된 데이터에 대해 다시 리드 솔로몬 부호화, 데이터 인터리브, 트렐리스 부호화 등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8T-VSB 송신부(52)로 구성된다. 상기 8T-VSB 송신부(52)는 도 1의 구성에서 데이터 랜덤마이저만 생략되어 있다.FIG. 10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 digital VSB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n additional data processing unit 46 for inserting Reed-Solomon coding, null sequence insertion, and MPEG header into the additional data, A multiplexer 47 for selectively outputting an additional data packet or an MPEG data packet to be output, and a multiplexer 47 for sequentially performing data randomizing, reed-solomon coding, data interleaving, and byte-to-symbol conversion on the data packet output from the multiplexer 47 An additional data symbol instruction unit 49 for indicating whether the symbol output from the first encoder 48 is an additional data symbol or not, a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data symbol instruction unit 49, If the signal indicates that it is an additional data symbol, it performs 1/2 convolutional coding on the symbol output from the first encoder 48 A first decoding unit 51 for sequentially performing conversion to byte, data deinterleaving, and Reed-Solomon parity removing operations on the symbols output through the selective convolutional encoder 50, And an 8T-VSB transmitter 52 for sequentially performing Reed-Solomon coding, data interleaving, trellis encoding, and the like on the data from which the Reed-Solomon parity has been removed by the 1-decoding unit 51. The 8T-VSB transmitter 52 omits the data randomizer in the configuration of FIG.

즉, 부가 데이터는 부가 데이터 처리부(46)의 리드 솔로몬 부호기(46a), 데이터 인터리버(46b)(생략 가능), 널 시퀀스 삽입부(46c), 및 MPEG 헤더 삽입부(46d)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20 바이트의 리드 솔로몬 패리티, 널 시퀀스, MPEG 헤더가 삽입된 부가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된다.That is, the additional data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hrough the Reed-Solomon encoder 46a, the data interleaver 46b (not shown), the null sequence inserting unit 46c, and the MPEG header inserting unit 46d of the additional data processing unit 46 20 bytes of Reed-Solomon parity, a null sequence, and an MPEG header.

그리고, 멀티플렉서(47)는 상기 부가 데이터 패킷 또는 MPEG 영상/음향 데이터 패킷을 선택하여 제 1 부호화부(48)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부호화부(48)와 제 1 복호화부(51)는 길쌈 부호화 전의 부가 데이터에 삽입된 리드 솔로 몬 패리티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Then, the multiplexer 47 selects the additional data packet or the MPEG video / audio data packet and outputs it to the first encoding unit 48. Here, the first encoding unit 48 and the first decoding unit 51 are for removing the reed solomon parity inserted into the additional data before convolutional encoding.

즉, 상기 제 1 부호화부(48)의 데이터 랜덤마이저(48a)는 멀티플렉서(47)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랜덤마이즈를 수행하고, 리드 솔로몬 부호기(48b)는 리드 솔로몬 부호화를 수행하여 20바이트의 패리티를 부가한다. 데이터 인터리버(48c)는 패리티가 부가된 데이터에 대해 인터리빙을 수행하여 바이트-심볼 변환부(48d)로 출력한다. 상기 바이트-심볼 변환부(48d)는 인터리빙되어 바이트 단위로 출력되는 데이터를 2비트의 심볼로 변환하여 선택적 길쌈 부호기(50)로 출력한다.That is, the data randomizer 48a of the first encoder 48 performs randomization on the data output from the multiplexer 47, and the Reed-Solomon encoder 48b performs Reed-Solomon encoding, And parity is added. The data interleaver 48c performs interleaving on the data to which the parity is added and outputs it to the byte-symbol converter 48d. The byte-to-symbol converter 48d converts the interleaved data output in units of bytes into 2-bit symbols and outputs the 2-bit symbols to the optional convolutional encoder 50. [

이때, 상기 선택적 길쌈 부호기(50)는 부가 데이터 심볼 지시부(49)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1/2 길쌈 부호화를 수행하며, 이의 상세 동작은 상기된 도 6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상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In this case, the selective convolutional encoder 50 selectively performs 1/2 convolutional coding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additional data symbol instruction unit 49, and the detailed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I have omitted it, so I will omit it.

상기 선택적 1/2 길쌈 부호기(5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제 1 복호화부(51)의 심볼-바이트 변환부(51a)로 입력되어 다시 바이트 단위로 변환된 후 데이터 디인터리버(51b)로 출력된다. 상기 데이터 디인터리버(51b)는 바이트 단위의 데이터에 대해 상기 데이터 인터리버(48c)의 역동작을 수행하여 리드 솔로몬 패리티 제거부(51c)로 출력하고, 상기 리드 솔로몬 패리티 제거부(51c)는 상기 리드 솔로몬 부호기(48b)에서 부가된 리드 솔로몬 패리티를 제거한 후 ATSC 8T-VSB 송신부(52)로 출력한다. 상기 8T-VSB 송신부(52)는 상기 패리티가 제거된 데이터에 대해 다시 리드 솔로몬 부호화를 수행하여 리드 솔로몬 패리티를 부가하는 동작부터 순서대로 도 1의 과정을 수행하여 부가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data output from the selective 1/2 convolutional encoder 50 is input to the symbol-to-byte conversion unit 51a of the first decoding unit 51 and is then converted into a byte unit and then output to the data deinterleaver 51b . The data deinterleaver 51b performs inverse operation of the data interleaver 48c on the byte unit data and outputs it to the Reed-Solomon parity removing unit 51c. The Reed-Solomon parity removing unit 51c removes the reed- Solomon encoder 48b and outputs it to the ATSC 8T-VSB transmitter 52. The ATSC 8T- The 8T-VSB transmitter 52 sequentially transmits the additional data by performing the Reed-Solomon coding on the parity-removed data and adding the Reed-Solomon parity.

이때, 상기 부가 데이터 심볼 지시부(49)의 구성 요소인 멀티플렉서, 리드 솔로몬 부호기, 데이터 인터리버, 및 바이트-심볼 변환부는 상기 부가 데이터 심볼 지시부(49) 내에 도 9와 같이 따로 구성시킬 수도 있지만, 멀티플렉서(47)와 제 1 부호화부(48)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는, 상기 멀티플렉서(47)와 제 1 부호화부(48)의 각 블록마다 상기 플래그를 위한 비트 라인을 추가하면 된다.The multiplexer, the Reed-Solomon encoder, the data interleaver, and the byte-symbol converting unit, which are components of the additional data symbol indicating unit 49,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in the additional data symbol indicating unit 49 as shown in FIG. 47 and the first encoding unit 48 may be used as they are. In this case, the bit line for the flag may be added for each block of the multiplexer 47 and the first encoding unit 48.

한편, ATSC 8T-VSB 수신기는 상기된 전송 과정의 역동작을 수행하면 부가 데이터와 MPEG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ATSC 8T-VSB receiver can receive and process both the additional data and the MPEG data by performing the revers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process described above.

특히, ATSC 8T-VSB 수신기측에서는 c1을 결정하는 길쌈 부호기 내의 레지스터 값과 c0를 결정하는 트렐리스 부호기 내의 레지스터 값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채널 등화기는 상기 예측 정보를 이용하여 통상의 8레벨 슬라이서 대신 4배의 레벨간 거리를 갖는 2레벨 슬라이서를 사용할 수 있다.Particularly, on the ATSC 8T-VSB receiver side, the register value in the convolutional encoder for determining c1 and the register value in the trellis encoder for determining c0 can be predicted. Therefore, the channel equalizer uses the prediction information to replace the ordinary 8- Level slicer having a level-to-level distance can be used.

따라서, 채널의 고스트 신호 및 잡음 신호에 대해 상기 수신 시스템의 수신 성능은 더욱 크게 향상 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수신 시스템내 슬라이서 예측기 및 트렐리스 복호기의 동작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Therefore, the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reception system can be further improved with respect to the ghost signal and the noise signal of the channel, and in particular, the performance performance of the slicer predictor and the trellis decoder in the reception system is greatly improved.

즉, 신호들간 거리가 더욱 더 먼 슬라이서들(예, 2레벨 슬라이서)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신호 판정시 오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는 결정한 신호 간격이 멀어질수록 고스트나 잡음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이다.That is, it is possible to use slicers (e.g., two-level slicers) that are farther apart from each other to minimize errors in signal determination. This is because the farther the determined signal interval is, the less affected by ghost or noise.

한편, 본 발명의 VSB 전송 시스템은 부가 데이터의 전송 대신 또 다른 MPEG 영상/음향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존의 ATSC 8T-VSB 전송 방식으로 전송되는 MPEG 영상/음향 데이터보다 더 열악한 수신 환경(예를 들어, 실내 안테나 사용 수신)에서도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런 응용은 열악한 환경에 서는 최소한의 품질의 MPEG 영상/음향이 수신되도록 하고, 좋은 수신 환경에서는 보다 품질이 좋은 MPEG 영상/음향이 수신되도록 채널을 시분할로 나누어 사용할 때 적합하다.Meanwhile, the VSB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ransmission of another MPEG video / audio data instead of additional data transmission. In this case, reception is possible even in a poor reception environment (for example, receiving indoor antenna) than MPEG video / audio data transmitted in the conventional ATSC 8T-VSB transmission method. This application is suitable for receiving the MPEG video / audio with the minimum quality in a harsh environment and dividing the channel into time division so as to receive MPEG video / audio of better quality in a good reception environmen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VSB 전송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gital VSB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기존 ATSC 8T-VSB 수신기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동일 디지털 방송 채널을 통하여 MPEG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First, MPEG data and additional data can be multiplex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same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while maintaining compatibility with the existing ATSC 8T-VSB receiver.

둘째, 상기 부가 데이터의 정보 비트를 1/2 부호율로 부호화하여 패리티 비트를 발생시킨 후 상기 정보 비트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채널의 고스트 신호 및 잡음이 심한 채널에서도 MPEG 영상/음향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보다 신뢰성있게 전송할 수 있다.Second, parity bits are generated by encoding the information bits of the additional data at a coding rate of 1/2, and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bits. Thus, MPEG video / audio data and additional data can be transmitted even in a channel with a ghost signal and a noisy channel. It can be transmitted more reliably.

셋째, 상기 부가 데이터의 정보 비트를 1/2 부호율로 부호화하여 패리티 비트를 발생시킴으로써, 더 큰 부호화 이득을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수신 시스템 내 슬라이서 예측기 및 트렐리스 복호기의 동작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Thirdly, a larger coding gain can be obtained by encoding the information bits of the additional data at a 1/2 coding rate to generate parity bits. In particular, the performance of the slicer predictor and the trellis decoder in the receiving system is greatly improved .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laims.

Claims (16)

제1 경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제1 에러 정정 부호화를 수행하는 제1 에러 정정 부호화부;A first error correction coding unit for performing first error correction coding on data input through a first path; 제2 경로를 통해 입력되는 MPEG 데이터와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화부에서 제1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A multiplexer for multiplexing the MPEG data input through the second path and the first error correction-coded data in the first error correction coding unit; 상기 다중화부에서 다중화된 데이터에 대해 제2 에러 정정 부호화를 수행하는 제2 에러 정정 부호화부; 및 A second error correction coding unit for performing a second error correction coding on the data multiplexed by the multiplexing unit; And 상기 제2 에러 정정 부호화부에서 제2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를 변조하여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송신 시스템.And a transmitter for modulating and transmitting the second error correction coded data in the second error correction cod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화부는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error correction encoding unit 제1 경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리드-솔로몬 부호화를 수행하여 패리티를 부가하는 리드-솔로몬 부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송신 시스템.And a Reed-Solomon encoder for performing Reed-Solomon coding on data input through the first path and adding par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러 정정 부호화부는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error correction encoding unit 상기 다중화된 데이터에 대해 리드-솔로몬 부호화를 수행하여 패리티를 부가하는 리드-솔로몬 부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송신 시스템.And a Reed-Solomon encoder for performing Reed-Solomon coding on the multiplexed data to add parity. 삭제delete 제1 경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제1 에러 정정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a first error correction encoding on data input through a first path; 제2 경로를 통해 입력되는 MPEG 데이터와 상기 단계에서 제1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단계;Multiplexing the MPEG data input through the second path and the first error correction-coded data in the step; 상기 다중화된 데이터에 대해 제2 에러 정정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Performing a second error correction encoding on the multiplexed data; And 상기 제2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를 변조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송신 방법.And modulating and transmitting the second error correction coded data.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화 단계는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error correction encoding step 제1 경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리드-솔로몬 부호화를 수행하여 패리티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송신 방법.Wherein a parity is added by performing Reed-Solomon coding on data input through a first path.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러 정정 부호화 단계는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error correction coding step 상기 다중화된 데이터에 대해 리드-솔로몬 부호화를 수행하여 패리티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송신 방법.Wherein the parity is added by performing Reed-Solomon coding on the multiplexed data. 삭제delete 제1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가 MPEG 데이터와 다중화된 후 제2 에러 정정 부호화되어 전송되면, 이를 수신하여 복조를 수행하는 복조부;A demodulator for receiving the first error correction coded data after the first error correction coded data is multiplexed with the MPEG data and then transmitting the second error correction coded data and performing demodulation; 상기 복조부에서 복조된 데이터에 대해 제1 에러 정정 복호화를 수행하는 제1 에러 정정 복호화부;A first error correction decoding unit for performing a first error correction decoding on data demodulated by the demodulation unit; 상기 제1 에러 정정 복호화부에서 제1 에러 정정 복호화된 데이터로부터 제1,제2 에러 정정 부호화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분리하는 역다중화부; 및 A demultiplexer for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error correction-coded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error correction-decoded data by the first error correction decoding unit; And 상기 역다중화부에서 분리된 데이터에 대해 제2 에러 정정 복호화를 수행하는 제2 에러 정정 복호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And a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ing unit for performing a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ing on data separated by the demultiplexing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러 정정 복호화부는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error correction decoding unit 상기 복조된 데이터에 대해 리드-솔로몬 복호화를 수행하여 전송 중에 발생된 에러를 정정하는 리드-솔로몬 복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And a Reed-Solomon decoder for performing Reed-Solomon decoding on the demodulated data to correct errors generated during transmiss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러 정정 복호화부는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ing unit 상기 역다중화부에서 분리된 데이터에 대해 리드-솔로몬 복호화를 수행하여 전송 중에 발생된 에러를 정정하는 리드-솔로몬 복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And a Reed-Solomon decoder for performing Reed-Solomon decoding on data separated by the demultiplexer to correct an error generated during transmission. 삭제delete 제1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가 MPEG 데이터와 다중화된 후 제2 에러 정정 부호화되어 전송되면, 이를 수신하여 복조를 수행하는 단계;A first error correction coded data is multiplexed with the MPEG data, and the second error correction coded data is transmitted and then demodulated; 상기 복조된 데이터에 대해 제1 에러 정정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a first error correction decoding on the demodulated data; 상기 제1 에러 정정 복호화된 데이터로부터 제1,제2 에러 정정 부호화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분리하는 단계; 및 Separating first and second error correction-coded received data from the first error correction decoded data; And 상기 단계에서 분리된 데이터에 대해 제2 에러 정정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And performing a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ing on the separated data in the step (c).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러 정정 복호화 단계는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error correction decoding step 상기 복조된 데이터에 대해 리드-솔로몬 복호화를 수행하여 전송 중에 발생된 에러를 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And performing Reed-Solomon decoding on the demodulated data to correct errors generated during transmiss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러 정정 복호화 단계는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ing step 상기 단계에서 분리된 데이터에 대해 리드-솔로몬 복호화를 수행하여 전송 중에 발생된 에러를 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And performing Reed-Solomon decoding on the data separated in the step to correct errors generated during transmission. 삭제delete
KR1020060035929A 2006-04-20 2006-04-20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ting/receiving KR1007716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929A KR100771625B1 (en) 2006-04-20 2006-04-20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ting/recei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929A KR100771625B1 (en) 2006-04-20 2006-04-20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ting/receiv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446A Division KR100734351B1 (en) 2001-04-20 2001-04-20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494A KR20060055494A (en) 2006-05-23
KR100771625B1 true KR100771625B1 (en) 2007-10-30

Family

ID=3715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929A KR100771625B1 (en) 2006-04-20 2006-04-20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ting/receiv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62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698B1 (en) * 2006-06-30 2007-11-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Control method for recording of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WO2011043544A2 (en) * 2009-10-05 2011-04-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lay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cillary data for a terrestrial digital television broadcast, and method for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7068A (en) * 1991-02-26 1992-09-26 다니이 아끼오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playback device
KR940022524A (en) * 1993-03-31 1994-10-21 김광호 Error correction 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960019235A (en) * 1994-11-11 1996-06-17 김광호 Digital video tape recording method and playback method with improved error correction
KR960042679A (en) * 1995-05-29 1996-12-21 김광호 Digital video data recording / playback method and recording / playback device suitable for thi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7068A (en) * 1991-02-26 1992-09-26 다니이 아끼오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playback device
KR940022524A (en) * 1993-03-31 1994-10-21 김광호 Error correction 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960019235A (en) * 1994-11-11 1996-06-17 김광호 Digital video tape recording method and playback method with improved error correction
KR960042679A (en) * 1995-05-29 1996-12-21 김광호 Digital video data recording / playback method and recording / playback device suitable for th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494A (en) 200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351B1 (en)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 system
KR100793766B1 (en) Digital transmit system and method
KR100850932B1 (en) Digital transmit system and method
KR101191182B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KR101216079B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KR100771631B1 (en)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a Broadcasting system
KR1010809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 signal
CA2625018C (en) Trellis encoding device for encoding transmission stream and method thereof
KR101191181B1 (e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of digital broadcasting and data structure
KR101208504B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CA2680191C (en) Transmitter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stream and method thereof
KR101147760B1 (en) Transmitting/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digital broadcasting, and data structure
KR100813040B1 (en)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a Broadcasting system
CA2707816A1 (en) Vsb reception system with enhanced signal detection for processing supplemental data
WO2007046673B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KR101199373B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KR100771625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ting/receiving
KR100576551B1 (en) Digital television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using 16 state trellis coding
KR20070111406A (e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KR100813055B1 (e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data processing in the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KR100813054B1 (e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data processing in the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KR100720593B1 (e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100860037B1 (e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KR100904445B1 (en) Broadcasting transmitter/receiver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ing signal
KR100949973B1 (en) Broadcasting transmitter/receiver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ing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