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236B1 -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236B1
KR100771236B1 KR1020060076673A KR20060076673A KR100771236B1 KR 100771236 B1 KR100771236 B1 KR 100771236B1 KR 1020060076673 A KR1020060076673 A KR 1020060076673A KR 20060076673 A KR20060076673 A KR 20060076673A KR 100771236 B1 KR100771236 B1 KR 100771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sensor
short
sensor data
sthq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1263A (ko
Inventor
이강우
강태근
박남식
남궁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1/592,35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70136740A1/en
Publication of KR20070061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6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memory, e.g. mailbo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물리적 센서의 드라이버를 통해서 원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하위 수준의 이벤트를 생성하는 센서 서비스(Sensor Service); 상기 생성된 이벤트와 이전에 발생된 이벤트를 하기하는 이벤트 인터셉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임시 저장하는 단기 이력큐(STHQ); 및 상기 생성된 이벤트와 단기 이력큐(STHQ)에 저장된 이전에 생성된 이벤트를 연결하여 해석하는 이벤트 해석 체인(EIC)을 형성하며, 상기 단기 이력큐(STHQ)와의 연동을 통해 이벤트를 생성 및 삭제하거나 생성된 이벤트를 상위 응용 서비스에서 필요로 하는 이벤트로 가공하는 이벤트 인터셉터(Event Interceptor)로 이루어진 센서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여, 다양한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황 지식을 바탕으로 능동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황 인식 시스템, 센서 프레임워크, 상황기반 응용, 단기 이력큐, 이벤트 인터셉터

Description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SENSOR DATA IN CONTEXT-AWAR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상황 인식 시스템의 구조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센서 프레임워크의 구조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센서 프레임워크 구성요소의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센서 프레임워크 내의 이벤트 인터셉트의 수행과정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센서 2 : 센서 프레임워크
21 : 센서 서비스 211 : 드라이버
22 : 단기 이력큐(STHQ) 23 : 이벤트 인터셉터
24 : 오버플로우 핸들러 25 : 이벤트 송신자
26 : 연결 모니터 3 : 상황 지식 관리자
4 : 작업 관리자
본 발명은 센서 프레임워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황 지식을 바탕으로 능동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황 인식 시스템에서 센서 프레임워크(Sensor Framework)는 물리 공간의 센서를 컴퓨터 상의 가상 공간으로 매핑하고, 이들 센서 데이터로부터 상황 지식(Context)을 추출하여 상황 지식 관리자(Context Manager)에 제공함으로써, 상황 기반 응용이 능동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온도/습도 센서 데이터 등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모든 데이터는 모두 센서 프레임워크에 입력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센서 프레임워크는 이러한 입력 데이터로부터 상황 지식을 추출하기 위해서 이들을 가공(interpretation)하는 역할도 수행해야 한다. 즉, 물리적인 센서들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응용 프로그램에서 이용하기 위해서, 물리적인 센서에서 직접 제공하지는 않으나, 여러 센서 데이터를 결합하여 새로운 물리적인 센서의 기능처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필요 없는 센서로부터 보내오는 데이터를 제거하거나 새로이 해당 정보를 필요로 하는 응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응용 프로그램의 변경 없이 이들 센서들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도 필요하다.
이와 같이, 센서 프레임워크는 센서로부터 오는 하위수준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황 기반 응용을 수행하는데 필요로 하는 상황 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이벤트들을 생성하는데, 다양한 센서에 의해서 생성되는 모든 이벤트들을 여과 없이 응용에 전달할 경우 오버플로우가 발생하거나 시스템이 과부하 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응용에서 필요로 하는 상황 지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벤트를 조합할 필요가 있고, 또한 의미없는 센서 데이터는 필터링하는 기능도 필요하다.
기존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련된 기술로서, 특허출원 제10-2004-0024833호에서 발명의 명칭을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텔레비전 채널 자동 선별 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이 기술은 센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TV에 부착된 STB(Set-to-Box)에서 현 TV 시청자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이에 적합한 TV 채널을 지능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각 시청자가 소지하며 시청자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유무선으로 정보 송신이 가능한 센서와, 이 센서로부터 시청자 고유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허용 가능 채널을 자동 선별하는 STB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 기술은 센서와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조합, 필터링할 수 있는 모듈들을 제안하고는 있으나, 센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황 인식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율적인 관리 방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자유롭게 조합, 추출, 생성하기 위한 정형화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단기 이력큐(STHQ: Short-Term History Queue), 이벤트 인터셉터(Event Interceptor) 및 센서 서비스(Sensor Service)를 포함하는 센서 프레임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이전에 발생한 이벤트나 여러 이벤트를 연결하여 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이벤트를 가공하기 위한 저장소와 응용에서 필요로 하는 상황 지식을 만들기 위해서 이벤트의 필터링 및 조합하는 객체 및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은, (a) 물리적 센서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센서 서비스에서 이벤트를 생성시키는 단계; (b) 상기 생성된 이벤트와 단기 이력큐(STHQ)에 저장된 이전에 생성된 이벤트를 연결하여 해석하는 다수의 이벤트 인터셉터로 이루어진 이벤트 해석 체인(EIC)을 통해 이벤트를 생성 및 삭제하거나 생성된 이벤트를 상위 응용 서비스에서 필요로 하는 이벤트로 가공하여 상기 단기 이력큐에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기 이력큐에 저장된 이벤트를 상황 지식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응용 서비스가 실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물리적 센서의 드라이버를 통해서 원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하위 수준의 이벤트를 생성하는 센서 서비스(Sensor Service); 상기 생성된 이벤트와 이전에 발생된 이벤트를 하기하는 이벤트 인터셉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임시 저장하는 단기 이력큐(STHQ); 및 상기 생성된 이벤트와 단기 이력큐(STHQ)에 저장된 이전에 생성된 이벤트를 연결하여 해석하는 이벤트 해석 체인(EIC)을 형성하며, 상기 단기 이력큐(STHQ)와의 연동을 통해 이벤트를 생성 및 삭제하거나 생성된 이벤트를 상위 응용 서비스에서 필요로 하는 이벤트로 가공하는 이벤트 인터셉터(Event Interceptor)로 이루어진 센서 프레임워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상황 인식 시스템의 구조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센서(Sensors)(1)에 대해 센서 프레임워크(Sensor Framework)(2)는 물리 공간의 센서(1)를 가상 공간으로 매핑하고, 이들 센서 데이터로부터 상황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황 지식 관리자(3)에 제공함으로써, 상황 기반 응용이 능동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때, 센서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온도/습도 센서 데이터, 사용자 일정 데이터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센서 프레임워크(2)에서는 상황 데이터의 추출(interception) 뿐만 아니라, 이들을 가공(interpretation)하는 역할도 수행한 다. 즉, 센서 프레임워크(2)는 센서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조합한다. 한편, 물리 공간의 센서(1)를 가상 공간에 매핑한 것을 센서 객체(Sensor Object)라 정의하는데, 이후, 기재되는 “센서 서비스(Sensor Service)”는 센서 객체를 의미한다.
상황 지식 관리자(Context Manager)(3)는 센서 프레임워크(2)로부터 전달된 상황 정보와, 이 정보를 바탕으로 암묵적인 지식을 추론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 계층에서 관리하는 상황 지식은, 추후 상황 기반 응용이 실행될 때 참조된다. 따라서, 상황 지식 관리자(3)은 상황 지식을 표현을 위한 상황 모델과 함께, 센서 프레임워크가 상황 정보를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기능, 상황 지식을 검색하는 기능, 및 암묵적인 지식을 추론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작업 관리자(Task Manager)(4)는 상황 지식을 참조하여 응용을 기동시키고, 수행중인 상황 기반 응용 프로세스를 관리 또는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센서 프레임워크의 구조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 프레임워크(2)는 센서 서비스(Sensor Service)(21), 단기 이력큐(STHQ: Short-Term History Queue, 이하 “STHQ”라 함)(22), 이벤트 인터셉터(Event Interceptor)(23), 오버플로우 핸들러(Overflow Handler)(24), 이벤트 송신자(Event Publisher)(25) 및 연결 모니터(Connection Monitor)(26) 객체로 구성된다.
센서 서비스(21)는 물리적 센서의 드라이버(211)를 통해서 원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하위 수준의 이벤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소 프트 센싱 개념으로 물리적 센서와 밀 결합(tightly coupled)되며, 이 센서 서비스(21)에서 생성된 이벤트는 이벤트 해석을 위한 이벤트 인터셉터(23)로 전달된다. 예를 들면, RFID 안테나로부터 RFID 태그가 감지된 경우 센서 서비스에서 “TagEntered”라는 이벤트를 생성하는 경우일 것이다.
STHQ(22)는 이전에 발생한 이벤트나 여러 이벤트를 연결하여 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이벤트를 발생시키거나 발생된 이벤트를 상위 응용 서비스에서 필요로 하는 이벤트로 가공하기 위한 임시 저장소이다. STHQ(22)는 재구성되면서 고정 길이를 갖는 큐(Queue)로써 이벤트 해석에 활용되며 필터링 결과에 따라서 큐의 중간에 있는 엔트리가 삭제될 수도 있다. 전송이 완료된 이벤트도 큐에 계속 유지되며 큐가 풀이되기 전까지 유지되어 이벤트 해석 시 이력(history) 정보로 활용된다. 서비스 관리자가 관리하는 모든 서비스들이 이 큐를 공유하며 이벤트 조합/생성(aggregation)에 사용한다. STHQ(22)에 저장되는 엔트리는 이벤트(event), 타임스탬프(time stamp), 딜리버드(delivered)의 세가지 정보를 갖는다. 이벤트는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객체이고, 타임스탬프는 이벤트의 생성 시점으로 큐에 삽입된 시점과 거의 일치한다. 딜리버드는 이벤트가 상황 지식 관리자에게 전달되었는지 전달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미 전송된 이벤트도 큐의 공간이 허락하는 한 저장하여 히스토리(history) 정보로 활용함으로써 효과적인 필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이벤트 인터셉터(23)는 응용에서 필요로 하는 상황 지식을 만들기 위해서 이벤트의 필터링 및 조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센서 프레임워크(2)에는 응용 서비스 에서 공통으로 필요로 하는 상황 지식을 만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이벤트 인터텁셉터(23)들이 포함될 수 있다. 센서 프레임워크(2) 내에 이벤트 인터셉터(23)들을 연결하는 체인을 이벤트 해석 체인(EIC; Event Interpretation Chain, 이하, “EIC”라 함)이라 하며, 이 EIC를 통해 다수의 이벤트 인터셉터(23)들이 새로운 이벤트를 생성하는데 참여할 수가 있다. EIC를 구성하는 이벤트 인터셉트의 예는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EIC로 연결된 이벤트 인터셉터(23)들은 이벤트 필터링과 조합/생성을 수행하고, EIC의 모든 이벤트 인터셉터(23)들을 거친 이벤트만 STHQ(22)에 삽입된다. 각 이벤트 인터셉터(23)는 STHQ(22)에 도달한 이벤트를 필요에 따라서 조작할 수 있다. 이벤트 인터셉터(23)는 이벤트 삭제, 이벤트 변형, 이벤트 생성 및 STHQ(22) 내의 이벤트 삭제의 이벤트 조작 연산을 제공한다. 센서 프레임워크(2)는 이벤트 인터셉터(23) 및 EIC의 관리를 위하여 JMX(Java Management Extensions)을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인터셉터의 동적 추가/삭제 가능하게 함으로써 동적 재구성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EIC내의 인터셉터 순서의 동적 변경이 가능하다.
오버플로우 핸들러(24)는 EIC의 마지막에 저장되는 이벤트 인터셉터로서 STHQ(22)가 오버플로우되는 경우 특정 정책(policy)에 따라 STHQ(22)에 저장된 이벤트를 제거하거나 현재 검사중인 센서의 이벤트를 제거함으로써 STHQ(22)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오버프로우 핸들러(24) 인터셉터는 다량의 이벤트가 동시에 발생되는 경우 혹은 네트워크 단절 상태에서 이벤트 전송이 지연되는 경우 동작한다.
이벤트 송신자(25)는 STHQ(22)에 저장된 이벤트를 상황 기반 응용에 사용될 수 있도록 도 1에 제시한 상황 지식 관리자(3)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 모니터(26)는 전달해야 하는 상황 지식 관리자로의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센서 프레임워크 구성요소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3은 센서로부터 센서 데이터가 수집되어 상황 기반 응용에 사용되도록 상황 관리자에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 수행과정을 4 단계로 구성한다.
S1 : 물리적 센서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벤트를 생성한다. 센서 서비스(21)는 물리적 센서의 드라이버를 통해서 원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하위 수준의 이벤트를 생성한다. 생성된 이벤트는 EIC의 첫 번째 이벤트 인터셉터(23)로 전달된다.
S2 : 전달된 이벤트를 해석한다. 이벤트 인터셉터(23)는 응용에서 필요로 하는 상황 지식을 만들기 위해서 이벤트 해석을 통한 이벤트의 필터링 및 조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벤트는 EIC를 통과함으로써 해석되어 새로운 이벤트로 생성되거나 제거(S2-1)되기도 한다. 구체적인 예는 도 4에서 설명한다.
S3 : EIC내의 이벤트 인터셉터(23) 및 오버플로우 핸들러(24)를 모두 통과한 이벤트가 STHQ(22)에 저장된다. STHQ(22)는 이전에 발생한 이벤트나 여러 이벤트를 연결하여 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이벤트를 발생시키거나 발생된 이벤트를 상위 응용 서비스에서 필요로 하는 이벤트로 가공하기 위한 임시 저장소이다. STHQ는 재구성되면서 고정 길이를 갖는 큐로써 필터링 결과에 따라서 큐의 중간에 있는 엔트리가 삭제될 수도 있다(S3-1). 구체적인 예는 도 4에서 설명한다.
S4 : STHQ(22)에 저장된 이벤트는 이벤트 송신자(25)에 의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황 지식 관리자(3)에게 전달된다. 이후, 해당 이벤트를 필요로 하는 응용이 작업 관리자에 의해 실행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센서 프레임워크 내의 이벤트 인터셉트의 수행과정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4는 TagEntered, TagLeft pair 삭제 이벤트 인터셉트의 수행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벤트 인터셉터는 센서로부터 오는 이벤트를 해석하는 일종의 서비스로, 센서 프레임워크에 등록되는 이벤트 인터셉터들은 EIC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EIC 구성에 자주 포함되는 TagEntered, TagLeft pair 삭제 이벤트 인터셉트의 작업 수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TagEntered와 TagLeft는 RFID 안테나에 의해 발생되는 정보를 RFID 센서 서비스에 의해 생성되는 이벤트이다. RFID 안테나는 감지되는 Tag 정보들을 RFID 센서 서비스에 알려주면 해당 tag의 상태를 보고 TagEntered 혹은 TagLeft 이벤트를 생성한다. 이 때, 동일 tag이고 두 이벤트 모두 전송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STHQ(22)에 등록된 이벤트를 포함하여 해당 이벤트를 삭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STHQ(22)에는 TagEntered(tag01) tag01의 TagEntered 이벤트가 딜리버 된(delivered) 상태로 저장되어 있다(S11). 이 때 TagLeft(tag03)가 들어오면 TagEntered, TagLeft pair 삭제 이벤트 인터셉트는 이를 STHQ(22)에 저장한다(S12). 그 후, TagEntered(tag02) 이벤트가 발생하면 역시 STHQ(22)에 저장된다(S13). 그 다음 TagLeft(03) 이벤트가 발생하여 TagEntered, TagLeft pair 삭제 이벤트 인터셉트에 들어오면 해당 이벤트는 동일한 TagLeft(03)이 아직 전송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삭제한다(S14). 이것은 도 3의(S2-1)의 예이다. 그 후 TagLeft(tag02)이 들어오면(S15) 이전에 저장된 TagEntered(tag02)(S13) 아직 전송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의미 없는 정보가 되어 두 이벤트 모두 큐에서 삭제한다. 그 이유는 tag02를 가진 사용자가 해당 RFID가 인식하는 범위에 들어왔다가 이미 나가버렸으므로 해당 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의미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이것은 도 3에서 설명한(S3-1)의 이벤트 인터셉터의 해석 결과에 큐의 중간에 있는 엔트리가 삭제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반면에, TageLeft(tag01)이 들어오면 STHQ(22)에 저장한다(S16). 그 이유는 TageEntered(tag01)이벤트가 이미 상황 지식 관리자에게 전달되었기 때문에 TageLeft(tag01) 이벤트는 의미이므로 전송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STHQ(22)에는 이미 전송된 TagEntered(tag01) 이벤트와 TagLeft(tag01) 이벤트만 있다.
본 발명을 네트워크 기반 로봇에 적용할 경우에 외부의 센싱 기능과 외부의 프로세싱 기능을 네트워크를 통해 활용함으로써 기존 로봇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센서를 통해 외부 환경 변화를 인식하고 작업 수행과정을 통하여 대응할 수 있으므로 상황 지식 기반 응용 개발에 용이하다.
또한, 센서 서비스라는 단일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기 때문에 물리적인 센서 뿐만 아니라 사용자 프로파일, 선호사항 정보, 일정정보 등 다양한 정보도 이용할 수 있는 상황 인식 시스템 제공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이벤트 해석을 위한 컴포넌트를 동적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센서 데이터 제공이 가능하다.

Claims (12)

  1. (a) 물리적 센서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가상 공간에 매핑된 센서 객체에서 이벤트를 생성시키는 단계;
    (b) 상기 생성된 이벤트와 단기 이력큐(STHQ)에 저장된 이전에 생성된 이벤트를 연결하여 해석하는 다수의 이벤트 인터셉터로 이루어진 이벤트 해석 체인(EIC)을 통해 이벤트를 생성 및 삭제하거나 생성된 이벤트를 상위 응용 서비스에서 필요로 하는 이벤트로 가공하여 상기 단기 이력큐에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기 이력큐에 저장된 이벤트를 상황 지식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응용 서비스가 실행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인터셉터에 대해 JMX(Java Management Extensions)을 이용하여 이벤트 인터셉터의 동적 추가 및 삭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JMX(Java Management Extensions)을 이용하여 이벤트 해석 체인(EIC) 내의 이벤트 인터셉터 순서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모든 이벤트 인터셉터를 통과하는 이벤트만 단기 이력큐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단기 이력큐(STHQ)에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경우, 마지막 단계의 이벤트 인터셉터인 오버플로우 핸들러에서 특정 정책에 따라 단기 이력큐(STHQ)에 저장된 이벤트를 제거하거나 현재 검사중인 센서의 이벤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tag가 (c) 단계를 완료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 tag가 입력될 경우 해당 이벤트 인터셉터에서 상기 동일 tag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tag가 (c) 단계를 완료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리적 센서로부터 벗어날 경우에 동일 tag에 대해 해당 이벤트 인터셉터에서 삭제함과 동시에 상기 단기 이력큐(STHQ)의 엔트리에서 상기 생성된 tag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8. 물리적 센서의 드라이버를 통해서 원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하위 수준의 이벤트를 생성하는 센서 객체(Sensor Service);
    상기 생성된 이벤트와 이전에 발생된 이벤트를 하기하는 이벤트 인터셉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임시 저장하는 단기 이력큐(STHQ); 및
    상기 생성된 이벤트와 단기 이력큐(STHQ)에 저장된 이전에 생성된 이벤트를 연결하여 해석하는 이벤트 해석 체인(EIC)을 형성하며, 상기 단기 이력큐(STHQ)와의 연동을 통해 이벤트를 생성 및 삭제하거나 생성된 이벤트를 상위 응용 서비스에서 필요로 하는 이벤트로 가공하는 이벤트 인터셉터(Event Interceptor)
    로 이루어진 센서 프레임워크를 포함하는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인터셉터는 다수 마련되며 순차적인 연결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인터셉터의 마지막 이벤트 인터셉터는 특정 정책(policy)에 따라 단기 이력큐(STHQ)에 저장된 이벤트를 제거하거나 현재 검사중인 센서의 이벤트를 제거하는 오버플로우 핸들러(Overflow Handl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프레임워크에는 단기 이력큐(STHQ)에 저장된 이벤트를 상황 기반 응용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황 지식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이벤트 송신자(Event Publisher)를 더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프레임워크에는 이벤트 해석 체인(EIC)를 구성하는 이벤트 인터셉터의 동적 추가, 삭제 및 순서변경을 수행하여 재구성하는 JMX(Java Management Extensions)을 더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20060076673A 2005-12-08 2006-08-14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771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92,356 US20070136740A1 (en) 2005-12-08 2006-11-03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sensor data in context-awar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729 2005-12-08
KR20050119729 2005-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263A KR20070061263A (ko) 2007-06-13
KR100771236B1 true KR100771236B1 (ko) 2007-10-29

Family

ID=3835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673A KR100771236B1 (ko) 2005-12-08 2006-08-14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2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5566B2 (en) 2012-02-20 2015-09-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ensor data in sensor network using a feature vector identifier of the sensor dat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2181A (ja) 2003-12-16 2005-07-07 Ntt Docomo Inc コンテキストフィルタリング装置、コンテキストフィルタリング方法及びコンテキストフィルタリングプログラム
JP2005242984A (ja) 2003-10-22 2005-09-08 Sony Internatl Europ Gmbh モバイル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コンテキストアウェア自動サービス発見及び実行エンジン
JP2005260914A (ja) 2003-12-11 2005-09-22 Sony Internatl Europ Gmbh 動的な情報ソース管理
KR20060009788A (ko) * 2004-07-26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황인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2984A (ja) 2003-10-22 2005-09-08 Sony Internatl Europ Gmbh モバイル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コンテキストアウェア自動サービス発見及び実行エンジン
JP2005260914A (ja) 2003-12-11 2005-09-22 Sony Internatl Europ Gmbh 動的な情報ソース管理
JP2005182181A (ja) 2003-12-16 2005-07-07 Ntt Docomo Inc コンテキストフィルタリング装置、コンテキストフィルタリング方法及びコンテキストフィルタリングプログラム
KR20060009788A (ko) * 2004-07-26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황인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5566B2 (en) 2012-02-20 2015-09-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ensor data in sensor network using a feature vector identifier of the sensor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263A (ko)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0313B2 (en) Multi-threaded processing of search responses returned by search peers
US11061942B2 (en) Unstructured data fusion by content-aware concurrent data processing pipeline
US10713245B2 (en) Utilizing persistent and non-persistent connections for generating a job result for a job
EP1526457B1 (en) Context-aware automatic service discovery and execution engine in mobile ad-hoc networks
US9813528B2 (en) Priority-based processing of messages from multiple servers
CN109684036B (zh) 一种容器集群管理方法、存储介质、电子设备及系统
US20190243442A1 (en) Knowledge base in virtual mobile management
RU2605918C2 (ru)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функций в промышленной системе автоматизации и промышленная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зации
Da et al. Kalimucho: middleware for mobile applications
KR20170089067A (ko)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CN111966465B (zh) 一种实时修改宿主机配置参数的方法、系统、设备及介质
CN108696523B (zh) 一种通话服务的响应方法及设备
CN113867600A (zh) 处理流式数据的开发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10457132B (zh) 一种功能对象的创建方法、装置和终端设备
US7454475B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message content to group messages
US9122730B2 (en) Free-text search for integrating management of applications
KR100771236B1 (ko) 상황 인식 시스템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N112558968B (zh) 一种资源树视图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6950576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トポロジ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701367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sensor data in context-aware system
CN111611523B (zh) 资源管理系统、资源管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4637599A (zh) 云资源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2596752B (zh) 一种电子取证设备物联化方法及系统
CN103560976B (zh) 一种控制数据发送的方法、装置及系统
Bouix et al. The korrontea data mode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