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156B1 -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156B1
KR100769156B1 KR1020070038666A KR20070038666A KR100769156B1 KR 100769156 B1 KR100769156 B1 KR 100769156B1 KR 1020070038666 A KR1020070038666 A KR 1020070038666A KR 20070038666 A KR20070038666 A KR 20070038666A KR 100769156 B1 KR100769156 B1 KR 100769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ontrol
command
electronic
voice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비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비전자
Priority to KR1020070038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156B1/ko
Priority to PCT/KR2008/000473 priority patent/WO2008130095A1/en
Priority to ZA200807141A priority patent/ZA200807141B/xx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내의 다양한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전자/전기장치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음성 인식을 통해 전자/전기장치의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으로 해당 전자/전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정내의 각 공간별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대수로 설치되는 전자/전기장치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가정내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개수로 설치되고, 음성 인식기능 및 리모콘의 기능이 제공되며,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를 인식하여 지정되는 제어 대상 전자/전기장치의 ID를 매칭한 다음 RF 통신으로 제어 데이터를 송출시키는 음성인식장치와, 전자/전기장치와 소정의 방식으로 접속되고, 음성인식장치에서 RF 통신으로 전송된 제어 데이터를 수신 복원하여 ID를 분석하고, 자신에 대한 실행 명령인지를 판단하여 접속된 전자/전기장치의 동작을 실행시켜며, 제어 동작의 실행 결과를 RF 통신으로 음성인식장치에 전송하는 중계장치를 포함하며, 음성인식장치와 중계장치 그리고 중계장치와 중계장치를 무선 데이터 채널로 연결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홈 네트워크, RF 통신, 음성인식장치, 리모콘, 중계장치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성인식 제어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중계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음성인식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실행에 대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음성인식장치 110 : 전원부
120 : 음성인식부 130 : 제어부
140 : 메모리부 150 : 무선 송수신부
160 : 키 매트릭스 170 : PSTN망 접속부
200 : 중계장치 210 : 무선 송수신부
220 : 코덱 230 : 제어부
240 : 메모리부 250 : IR 변환부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가정내의 다양한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전자/전기장치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음성 인식을 통해 전자/전기장치의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으로 해당 전자/전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의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다양한 문화생활과 쾌적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하여 가정내의 다양한 공간에는 TV, VCR, 오디오, DVD, 위성 수신기, 케이블 방송 수신기, 전등 온/오프장치, 커튼 개폐장치, 창문 개폐장치, 가스밸브 개폐장치, 출입문 개폐장치 등의 다양한 전자/전기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다양한 전자/전기장치들은 신축 주택이나 리모델링 주택에서 벽면 부착형(Wall Pad)으로 설치되고, 홈 서버와 통신버스로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를 구현하며, 원격지에서 인터넷이나 공중회선 통신망을 통해 동작이 제어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전자/전기장치들은 통상적으로 무선 제어장치인 리모콘이 제공되고 있어, 가정내에서의 동작 제어시에 대응되는 리모콘의 조작이나 사용자의 직접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사용자가 조작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가정내의 다른 공 간에 설치되는 전자/전기장치들에 대해서는 필요로 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가정내에서 홈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특정의 전자/전기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해당 제품이 설치되어 있는 공간내 혹은 리모콘의 제어 신호가 수신될 수 있는 공간에서만 원하는 동작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해당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이동하여 필요로 하는 동작을 작동시켜야 한다.
또한, 가정내에 홈 네트워크로 설치되는 다양한 전자/전기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대응되는 리모콘을 찾아 원하는 동작을 작동시켜야 하므로, 많은 리모콘의 관리에 있어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배터리의 소비가 증가하게 되어 경제적 손실 및 환경 오염이 크게 발생한다.
그리고, 인터넷 망이나 공중회선 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제어는 사용자가 제공되는 안내 메시지에 따라 원하는 전자/전기장치를 지정하는 키신호를 입력함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조작에 상당한 어려움과 번거로움이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홈 네트워크의 사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음성 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음성의 입력으로 가정내에 설치되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전자/전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어수단에 지정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입력되는 음성 명령의 인식에서 지정된 명령어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명령어에 매칭되는 전자/전기장치를 찾아 해당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공간에 동일한 기기 혹은 동일한 명령 어에 반응하는 장치를 한 개 이상 보유하고 있는 경우 음성 인식에 따른 제어 명령이 동시에 전달되어 기기들이 동시에 작동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거실과 침실 등의 공간에 같은 제조 회사에서 생산한 같은 모델의 텔레비전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텔레비전 켜" 라는 음성 명령의 인식에 따라 제어수단이 매칭되는 동작을 실행시키는 경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같은 제조회사에서 생산한 같은 모델의 텔레비전이 동시에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피 제어장치인 각각의 전자/전기장치들에 대하여 키워드를 부여하여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공간상에서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전자/전기장치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필요 이상의 실행 데이터가 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많은 음성 명령어가 존재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그 명령어를 모두 기억하고 있어야 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전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는 신축하는 건물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기 건축이 완료된 건물에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통신라인을 설치하거나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건축물에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별도의 통신라인의 설치는 설치 비용의 상승과 더불어 많은 어려움과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통신라인이 노출되어 실내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PLC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제어신호에 전력선의 노이즈가 유입되어 제어를 원하는 대상 장치에 대하여 안정적인 동작 제어가 실행되지 못하며, PLC에 대한 법적 규제에 의하여 광범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없어 신뢰성이 있는 동작 제어가 수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IR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의 경우 음영지역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치명적인 결합을 갖고 있어 네트워크의 구성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정내의 다양한 공간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전자/전기장치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전자/전기장치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며 음성 인식 기능이 제공되는 리모콘을 상호 연결하여 구축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음성 인식을 통해 특정 전자/전기장치의 제어 명령어를 인식하고, 제어 명령어를 지정된 전자/전기장치에 무선 데이터 통신으로 전송하여 공간상의 제약없이 해당하는 전자/전기장치를 동작시키며, 음영 지역이 발생하는 것을 보완하여 네트워크의 사각지역을 없애고, 하나의 공간에서 같은 기능을 수행하거나 동일 회사 같은 전자/전기장치의 같은 식별자(ID)로 다수개로 구성되는 전자/전기장치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내의 각 공간별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대수로 설치되는 전자/전기장치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가정내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개수로 설치되고, 음성 인식기능 및 리모콘의 기능이 제공되며,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를 인식하여 지정되는 제어 대상 전자/전기장치의 ID를 매칭한 다음 RF 통신으로 제어 데이터를 송출시키는 음성인식장치; 상기 전자/전기장치와 소정의 방식으로 접속되고, 상기 음성인식장치에서 RF 통신으로 전송된 제어 데이터를 수신 복원하여 ID를 분석하고, 자신에 대한 실행 명령인지를 판단하여 접속된 전자/전기장치의 동작을 실행시켜며, 제어 동작의 실행 결과를 RF 통신으로 상기 음성인식장치에 전송하는 중계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음성인식장치 혹은 중계장치는 음성 입력이 검출되면 이를 인식 및 분석하여 지정된 인식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 지정된 인식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인식 음성을 삭제하고, 지정된 인식어가 포함되어 있으면 음성 명령어로 판단하는 과정; 음성 명령어를 분석하여 제어 대상의 전자/전기장치의 ID를 추출하고, 제어 명령을 포함하여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제어 데이터를 RF 통신으로 대상 전자/전기장치를 접속하고 있는 중계장치에 전송하는 과정; RF 통신을 통해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중계장치는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ID를 분석하여 자신의 제어 명령인지를 판단하고, 자신의 제어 명령이면 전자/전기장치에 해당 동작을 실행시키는 과정 및; RF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동작이 실행되면 그에 대한 결과를 RF 신호로 전송하여 제어 데이터를 송신한 음성인식장치 혹은 중계장치에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음성인식장치(100)와 다수개의 중계장치(200A-200N) 및 다수개의 전자/전기장치(300A-300N)로 구성된다.
음성인식장치(100)는 음성 인식기능이 제공되며 RF 통신방식을 갖는 리모콘으로, 가정내의 임의의 공간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개수로 설치되며, 마이크(Mic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를 인식하고, 음성 명령어에 지정 되는 전자/전기장치(300)의 ID를 매칭시켜 무선 데이터 통신으로 중계장치(200)에 전송한다.
또한, 음성인식장치(100)는 인터넷 망 및 공중회선 통신망에 접속되며, 인터넷 망 혹은 공중회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가정내의 전자/전기장치(300)를 제어하고자 하는 음성 명령어를 인식하고 지정되는 전자/전기장치(300)의 ID를 매칭시켜 무선 데이터 통신으로 중계장치(200)에 전송한다.
상기 음성인식장치(100)는 중계장치(200)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으로 제공되는 동작 실행의 결과를 수신 및 복조하여 스피커(Spk1)를 통해 안내 메시지로 송출한다.
상기 음성인식장치(100)와 중계장치(200)간의 무선 데이터 통신은 RF 방식의 통신을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외에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 블루투스(bluetooth)방식, AM(amplitude modulation)방식 및 FM(frequency modulation)방식 등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설계에 따른 다양한 방식을 더 포함한다.
또한, 음성인식장치(100)는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공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각각은 독립적인 ID를 적용하여 상호 RF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하나의 공간에서 어느 하나의 음성인식장치(100)는 다른 어느 하나의 음성인식장치(100A)를 접속하며, 어느 하나의 음성인식장치(100)로부터 RF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전자/전기장치(300)를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른 하나의 음성인식장치(100A)는 중계장치의 기능으로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대상 전자/전기장치(200)를 접속하고 있는 중계장치(200)에 RF 통신으로 전달한다.
즉,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공간에 하나 이상의 음성인식장치(100)를 설치하여 통신 반경을 확장하고, 음성인식장치(100A)를 중계장치의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를 인식하여 동일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전기장치의 동작을 중계장치(200)의 중계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인식장치(100)는 음성 명령어의 인식을 통해 중계장치(200)를 거치지 않고, 자신이 설치 공간에 설치된 텔레비전(300F)을 RF 혹은 IR을 통해 제어한다.
중계장치(200)는 가정내의 각 공간별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대수로 설치되는 전자/전기장치(300)와 다양한 방식으로 접속되며, 음성인식장치(100)에서 전송되는 무선 통신 데이터를 수신 복원하여 수신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ID와 등록된 자신의 ID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 제어 명령어에 따라 해당하는 동작을 실행시킨다.
또한, 상기 중계장치(200)는 제어 명령어의 동작 실행의 결과를 무선 데이터 통신으로 상기 음성인식장치(100)에 전송한다.
상기 중계장치(200)는 전자/전기장치(300)와 IR 및 RF 통신으로 접속된다.
이외에 중계장치(200)와 전자/전기장치(300)의 접속에 있어 PLC 통신, 블루투스 통신, RF통신, 통신버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며, 각각의 전자/전기장치(300)와는 튜닝(Tunning) 개념으로 접속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전자/전기장치(300)에 통신모듈로 이루어지는 중계장치(200)를 장착하거나 접속하는 방식으로, 가정내에서 전자/전기장치(300)의 새로운 설치나 교환 등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하는 전자/전기장치(300)에 중계장치(200)를 장착하거나 상기한 방식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호 접속한다.
상기 중계장치(200)는 학습기능 및 만능 리모콘 기능이 더 포함되어 가정내의 각 전자/전기장치(300)에 대한 IR 제어 코드가 설정이나 학습에 의해 저장된다.
상기 음성인식장치(100)나 중계장치(20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공간에서 사용자가 명령을 수행하는 공간의 음성인식장치(100)나 중계장치(200)가 시스템 상에서 명령체계에 우선이 되며, 작동 실행 후 실행결과를 음성 명령한 음성인식장치(100)나 중계장치(200)에만 동작이 실행되었음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송출한다.
상기 가정의 다양한 공간에 설치되는 각각의 전자/전기장치(300)와 접속되는 각각의 중계장치(200)는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어느 하나의 중계장치(200)를 마스터로 설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상호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통신 영역을 확보하며, 네트워크상의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하여 음영지역에서 가까운 하나의 중계장치(200)에 다른 중계장치(200)의 식별자(ID)를 등록시켜 상,하 개념의 종속적 인 형태로 튜닝 개념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보다 넓은 통신 영역을 확보한다.
상기 중계장치(200)간의 상호 무선 통신은 바람직하게는 RF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하나, 이외에 IR 통신이나 블루투스 등의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계장치(200)간의 상호 무선 통신은 음성인식장치(100)와 중계장치(200)의 통신 방식이 동일 내지 유사하게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중계장치(200)는 복수개의 무선 채널을 구비하여 어느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제어 명령어인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도중에 다른 채널을 통해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자/전기장치(300)는 가정에서 다양한 문화생활과 쾌적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하여 다양한 공간에 설치되는 DVD(300A), TV(300B), 에어콘(300C), 전등(300D), 냉장고(300E), 창문 개폐장치(300N) 등을 포함하는 VCR, 오디오, 위성 수신기, 케이블 방송 수신기, 커튼 개폐장치, 가스밸브 개폐장치, 출입문 개폐장치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성인식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인식장치(100)는 전원부(110)와 음성인식부(120), 제어부(130), 메모리부(140), 무선 송수신부(150), 키매트릭스(160), 공중회선 통신망 접속부(170) 및 인터넷 망 접속부(180)을 포함한다.
전원부(110)는 수납된 배터리나 상용전원 혹은 어댑터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음성인식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하 소자에 필요한 전원(V1,V2)으로 변 환하여 공급한다.
음성인식부(120)는 마이크(Mic1)와 스피커(Spk1)가 연결되며, 마이크(Mic1)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를 인식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하고, 제어부(130)에서 제공되는 동작 실행 결과의 응답을 복조하여 스피커(Spk1)를 통해 송출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분석되는 음성 명령어에서 예를 들어 "에스비" 하는 인식어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하여 정상적인 음성 명령어로 판단하고, 인식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는 인식된 음성 명령어를 클리어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 명령어를 분석하여 제어 대상의 전자/전기장치(300)를 추출하고, 해당하는 전자/전기장치(300)의 ID를 매칭한 다음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여 중계장치(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에스비" 라는 음성 명령어의 인식어가 존재하고 있으나, 제어 대상의 전자/전기장치(300)를 지정하는 ID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동일 공간에 설치되는 어느 하나의 전자/전기장치, 예를 들어 도 1에서 텔레비전(300F)을 제어하고자 하는 명령어로 판단하여, 중계장치(200)의 중계를 거치지 않고 해당하는 텔레비전(300F)을 RF 방식 혹은 IR 방식으로 직접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공중회선 통신망 접속부(170) 혹은 인터넷 망 접속부(180)를 통해 원격지에서 입력되는 음성 명령어를 분석하여 제어 대상의 전자/전기장치(300)를 추출하고, 해당하는 전자/전기장치(300)의 ID를 매칭한 다음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여 중계장치(200)에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중계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결과를 음성 인식부(120)에 제공하여 스피커(Spk1)를 통해 음성 안내로 송출되도록 한다.
메모리부(140)는 상기 제어부(130)가 인식하는 음성 명령어의 "키워드", "전자/전기장치 지정어"와 ID를 매칭시키기 위한 테이블과 "동작 명령어"를 포함하여 데이터로 변환하는 테이블이 설정된다.
무선 송수신부(150)는 상기 제어부(130)에서 인가되는 동작 명령어와 ID가 매칭된 전자/전기장치(300)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통신으로 대상 전자/전기장치(300)를 접속하고 있는 중계장치(200)에 전송하고, 중계장치(200)에서 전송되는 동작 결과를 수신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150)는 무선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에 대하여 RF 신호 혹은 IR 신호로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그 이외의 다른 무선 통신방식에 대해서도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키 매트릭스(160)는 음성인식장치(100)의 제반적인 동작 설정과 튜닝 개념으로 신설되거나 교환되는 전자/전기장치(300)에 연결되는 중계장치(200)의 ID를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버튼이 구비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중계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장치(200)는 전원부(210)와 무선 송부신부(220), 제어부(230), 메모리부(240), 코덱(250), IR변환부(260) 및 IR 송신부(270)를 포함한다.
전원부(210)는 수납된 배터리나 상용전원 혹은 어댑터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을 중계장치(200)를 구성하는 각 부하 소자에 필요한 전원(V21,V22)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무선 송수신부(220)는 RF 신호를 통해 음성인식장치(100)와 접속되어 전자/전기장치(300)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복조하고, 전자/전기장치(300)의 제어 결과를 음성인식장치(100)에 전송한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220)는 이웃하는 다른 어느 하나의 중계장치를 RF 신호로 접속하여 음성인식장치(100)의 RF 신호를 중계 서비스하는 기능이 더 포함된다.
제어부(230)는 무선 송수신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ID를 추출하여 자신에게 설정된 ID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ID가 일치하는 경우 데이터에 포함된 전자/전기장치(300)의 제어 명령어를 IR 변환부(260)에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30)는 무선 송수신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음성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코덱(250)에 제공한다.
메모리부(240)는 접속된 전자/전기장치(300)를 제어하는 IR 제어코드와 중계장치(200)의 고유 ID 및 제어부(230)의 동작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코덱(250)은 제어부(230)에서 제공되는 음성 메시지를 복조하여 스피커(Spk2)를 안내 메시지로 송출하고, 마이크(Mic2)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어를 변조하여 제어부(230)에 제공한다.
상기 코덱(250)에 접속되는 마이크(Mic2)를 통해 음성 명령어를 입력함으로써 자신이 접속하고 있는 전자/전기장치(300)를 제어하거나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다른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전기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IR 변환부(26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전자/전기장치(300)의 제어 명령어를 IR 제어코드로 변환하여, IR 송신부(270)를 통해 제어 대상의 전자/전기장치(300)에 전송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음성인식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인식부(100)는 음성 명령어의 인식에 필요한 설정된 주파수, 바람직하게는 29.4912MHz의 주파수를 발진하는 발진기(121)와, 음성 명령어를 인식하는 프로세서인 DSP(122)와, 마이크(Mic1)에서 입력되는 음성 명령어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고, 동작 실행에 따른 응답을 음성으로 복조하는 코덱(123)과, DSP(124)의 음성 인식 실행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24), 음성 명령어의 인식 및 그 실행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125), 인식된 음성 명령어의 중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JTAG(126) 및 코덱(123)에서 복조된 음성을 설정된 레벨로 증폭하여 스피커(Spk1)를 통해 송출시키는 증폭기(127)를 포함한다.
전술한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리모콘 기능을 갖는 음성인식장치와 중계장치, 중계장치와 중계장치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시스템에서 음성 명령어의 입력을 통해 전자/전기장치의 제어를 실행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기상태 혹은 어느 하나의 동작이 실행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성인식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에서 일 예를 들어, "에스비 안방 텔레비전 켜" 라는 음성 명령어를 발성하게 되면, 음성 지향성으로 구성되는 마이크(Mic1)는 음성 명령어를 음성 인식부(120)에 인가한다.
따라서, 음성 인식부(120)내의 DSP(122)는 코덱(123)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조되어 인가되는 음성 명령어를 발진기(121)의 주파수에 따라 인식한 다음 인터페이스인 JTAG(126)를 통해 인식된 음성 명령어를 제어부(130)에 인가한다.
제어부(130)는 인가되는 음성 명령어를 분석하여 예를 들어 "에스비" 하는 인식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인식어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하여 정상적인 음성 명령어로 판단하고, 인식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는 인식된 음성 명령어를 클리어한다.
상기에서 인식어가 존재하여 정상적인 음성 명령어로 판단되면 음성 명령어를 분석하여 위치 지정하는 키워드인 예를 들어 "안방"과 제어 대상 전자/전기장치(300B)를 지시하는 명령어인 예를 들어 "텔레비젼" 및 제어 명령어인 예를 들어 "켜"를 추출한다.
이후, 메모리부(140)에 설정된 테이블로부터 키워드와 제어대상 기기에 매칭되는 ID를 추출하여 매칭한 다음 제어 명령어를 포함하여 RF 송신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부(150)에 제공한다.
따라서, 무선 송수신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제어 대상의 전자/전기장치(300B)의 ID가 매칭되는 제어 명령을 RF신호로 변조하여 중계장치(200)에 전송한다.
이때, 가정내에 설치되는 전자/전기장치(300)를 IR 통신 혹은 RF 통신으로 접속하고 있는 중계장치(200)내의 무선 송수신부(220)는 음성인식장치(100)에서 전송된 RF 신호를 수신 복원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230)에 제공한다.
제어부(230)는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어 대상기기를 지시하는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ID와 자신의 ID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ID의 비교 결과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수신된 데이터를 폐기하고, ID가 일치하는 상태이면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IR 변환부(260)에 제공한다.
따라서, IR 변환부(260)는 제어 데이터를 IR 신호로 변환한 다음 IR 송신부(270)를 통해 제어 대상의 전자/전기장치(300)에 송신하여 음성 명령어로 입력된 해당하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한다.
즉, 음성인식장치(100)에서 전송한 RF 신호는 중계장치1(200A) 내지 중계장치N(200N)가 수신하게 되는데, 중계장치2(200B) 내지 중계장치N(200N)은 수신된 RF신호에 포함된 ID와 자신의 ID를 비교한 결과 서로 일치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수신된 RF 신호를 폐기한다.
그러나, 중계장치1(200A)은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ID와 자신의 ID가 서로 일치하는 상태이므로, IR 제어코드를 송출하여 텔레비전(300B)의 전원을 켜는 동작을 실행시킨다.
상기와 같이 음성 명령어의 인식과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제어 대상인 텔레비전(300B)의 전원을 켜는 동작이 실행되면 중계장치1(200A)는 동작 실행에 대한 결과를 RF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음성인식장치(100)내의 무선 송수신부(150)는 중계장치1(200A)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를 수신 복조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제어부(130)는 무선 송수신부(150)에서 제공된 수신 데이터를 음성 인식 부(120)에 제공하여 음성으로 복조한 다음 스피커(Spk1)를 통해 음성 명령어로 지시된 안방 텔레비전의 전원이 정상적으로 켜졌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하여 준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공간에 하나 이상의 동일 기종, 예를 들어 텔레비전(300B)과 텔레비전(300F)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종래에는 "거실" 혹은 "안방"을 지정하는 위치 명령어를 부여하여야 원하는 텔레비전을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트여있는 하나의 공간에서 "안방 텔레비전 켜"나 "거실 불 켜" 등과 같은 불필요한 공간 명령어가 존재하게 되므로 사용상의 혼선은 물론이고 각 공간들의 음성 명령어 데이터를 중복해서 내장하여야 하고, 이로 인하여 메모리 확장과 수많은 데이터 정리 작업의 손실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트여있는 하나의 공간(거실)에서 음성인식장치(100)에게 "텔레비전 켜"를 명령하면 거실에 있는 텔레비전(300F)만이 켜 지게 되고 중계장치(200A)로 제어되는 텔레비전(300B)는 동일한 제품 임에도 작동하지 않게된다.
이는 거실에 설치되는 텔레비전(300F)은 음성인식장치(100)의 직접적인 제어에 의해 동작되므로, "텔레비전 켜" 라는 명령어는 음성인식장치(100)의 직접적인 제어를 요구하는 신호이며, 중계장치(200A)를 지정하는 I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각각 독립적인 ID가 존재하는 중계장치(200A)는 "텔레비전 켜" 라는 명령어를 자신의 명령어로 인식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다른 공간에 동일회사 의 동일 제품이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상태여도 동작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인식어가 포함되어 입력된 "에스비 텔레비전 켜" 라는 음성 명령어는 정상적인 명령어이므로, 제어부(130)는 음성인식장치(100)가 설치되는 공간과 동일한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전자/전지장치를 음성인식장치(100)가 직접적으로 제어하라는 명령어로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무선 송수신부(150)를 통해 RF 신호 혹은 IR 신호로 대상 전자/전기장치, 예를 들어 텔레비전(300F)을 제어하는 제어 코드를 송출하여 인식된 제어 명령의 동작을 실행시킨다.
이를 적용하여 각각의 공간상에 동일 회사의 동일 제품이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원하는 전자/전기장치에 대해서만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가정내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개수로 설치되는 음성인식장치(100)와 중계장치(200)간의 RF 통신으로 중계장치(200)에 각각 IR 및 RF로 접속되는 전자/전기장치(300)의 제어를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외에 음성인식장치(100)에 구비되는 제어부(130)에 공중회선 통신망 접속부(170) 혹은 인터넷 망 접속부(180)를 통해 원격지에서 중계장치(200)에 접속되는 전자/전기장치(300)를 제어하고자 하는 음성 명령어가 입력되는 경우 음성인식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 내지 유사한 동작으로 음성 명령어를 RF 신호로 중계장치(200)에 전송하여 해당하는 동작을 실행시킨다.
또한, 중계장치(200)간의 IR 혹은 RF 통신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중계장치(200), 일 예를 들어 중계장치1(200A)에서 음성 명령 어를 입력하여 중계장치N(200N)이 접속하고 있는 전자/전기장치(300N)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계장치1(200A)에 구비되는 마이크(Mic2)를 통해 음성 명령어, 예를 들어 "에스비 건너방 창문 열어"를 입력하게 되면, 중계장치1(200A)내에 구비되는 코덱(250)은 음성 명령어를 인식하여 제어부(230)에 인가한다.
이때, 제어부(230)는 인가되는 음성 명령어를 분석하여 예를 들어 "에스비" 하는 인식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인식어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하여 정상적인 음성 명령어로 판단하고, 인식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는 인식된 음성 명령어를 클리어한다.
상기에서 인식어가 존재하여 정상적인 음성 명령어로 판단되면 음성 명령어를 분석하여 위치 지정하는 키워드인 예를 들어 "건너방"과 제어 대상 전자/전기장치를 지시하는 명령어인 예를 들어 "창문" 및 제어 명령어인 예를 들어 "열어"를 추출함으로써, 전체적인 명령어인 "건너방 창문 열어"를 추출한다.
이후, 메모리부(240)에 설정된 테이블로부터 키워드와 제어대상 기기에 매칭되는 ID를 추출하여 매칭한 다음 제어 명령어를 포함하여 RF 송신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부(220)에 제공한다.
따라서, 무선 송수신부(22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제어 대상의 전자/전기장치(300N)의 ID가 매칭되는 제어 명령을 RF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한다.
이때, 중계장치N(200N)은 전송된 RF 신호에 포함된 ID와 자신의 ID가 일치하는 상태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 내지 유사한 동작으로 제어 대상인 전자/전 기장치(300N)를 제어하여 음성 명령어로 입력된 해당하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한다.
또한, 중계장치N(200N)은 동작 실행의 결과를 중계장치1(200A)에 전송하여 스피커(Spk2)를 통해 음성 명령어로 지시된 건너방 창문이 정상적으로 열려졌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하여 준다.
상기에서 음성인식장치와 각각의 중계장치 및 중계장치와 중계장치간의 RF 통신 채널은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연결되므로, 서로간 데이터 통신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새로운 음성 명령어가 검출되는 경우에도 다른 채널을 이용한 RF 통신을 정상적으로 진행하여, 제어 명령의 신속한 응답성 및 정확성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실행에 대한 흐름도로이다.
도 5를 참조한 동작의 설명은 음성인식장치(100)가 음성 명령어를 검출하여 중계장치(200)에 RF 신호로 전송하는 동작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동작 대기상태 혹은 임의의 동작을 실행하는 상태에서(S101) 음성인식장치(100)에 음성의 입력이 검출되면(S102) 이를 인식하고(S103) 입력된 음성을 구성하는 형식을 분석하여(S104) 음성 명령어를 구분하는 인식어, 예를 들어 "에스비" 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05).
상기 S105의 판단에서 음성 명령어를 구분하는 인식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인식된 음성을 삭제한 다음 상기 S101의 단계로 리턴하고(S106), 인식어가 포함되어 있으면 정상적인 음성 명령어의 입력으로 판단한다(S107).
이후, 음성인식장치(100)는 입력된 음성 명령어를 분석하여(S108) 제어 대상 전자/전기장치를 추출하여 그에 대한 ID를 매칭시킨 다음(S109) RF 신호로 변조하여 중계장치(200)에 전송한다(S110).
가정내의 공간에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각 중계장치(200)는 음성인식장치(100)에서 전송된 RF 신호를 수신 복조하여(S111), RF 신호에 포함된 ID와 자신의 ID를 분석 비교하여(S112) 서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113).
상기 S113의 판단에서 ID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수신된 RF 신호를 삭제하고(S114), ID가 서로 일치하는 상태이면 수신된 RF 신호에 명령어를 분석하여 제어 대상의 전자/전기장치(300)를 추출한다(S115).
이후, 추출된 제어 명령어를 IR 신호로 변조하여 제어 대상의 전자/전기장치(300)에 전송하여 동작을 제어한다(S116).
상기와 같이 음성 명령어의 입력에 따라 제어 대상 전자/전기장치(300)의 동작이 제어되면 중계장치(200)는 동작 실행의 결과인 완료 정보를 RF 신호로 변조하여 음성인식장치(100)에 제공한다(S117).
따라서, 음성인식장치(100)는 중계장치(200)에서 제공되는 동작 완료 정보를 음성으로 복원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음성 명령한 해당 전자/전기장치(300)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인지시켜 준다(S118).
또한, 임의의 중계장치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 명령어를 인식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중계장치간의 통신으로 해당하는 전자/전기장치를 제어하는 동작 역시 전술한 동작과 동일 내지 유지하게 진행되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리모콘 기능을 갖는 음성인식장치와 중계장치 그리고 중계장치간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가정내에 구비되는 다양한 전자/전기장치에 대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고, 무선 데이터 통신으로 이들을 제어함으로써,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RF 채널을 적용함에 따라 무선 데이터 통신에 안정성 및 신뢰성을 제공하고, 가정에서 동일 회사의 동일 전자/전기장치(텔레비전, 에어컨, 커튼, 냉온풍기, 창문 등)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이들에 대하여 각각의 장치를 간편하게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공간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만을 별도의 공간 선택없이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상에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네트워크상의 음영지역을 해소하고, 사용자가 명령을 수행하고 있는 공간이 홈 네트워크상에서 중심영역이 되는 튜닝 개념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필요로 하는 공간을 선택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비용절감과 사용상에 편리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음성 인식 기반의 무선 홈 네트워크 제어로 사용상의 편리성 및 효율성을 제공한다.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가정내의 각 공간별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대수로 설치되는 전자/전기장치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가정내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개수로 설치되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를 인식하여 지정되는 제어 대상 전자/전기장치의 ID를 매칭한 다음 RF 통신으로 제어 데이터를 송출시키는 음성인식장치; 상기 전자/전기장치와 소정의 방식으로 접속되고, 상기 음성인식장치에서 RF 통신으로 전송된 제어 데이터의 수신 복원 및 ID 분석을 통해 자신에 대한 실행 명령인지를 판단하여 접속된 전자/전기장치의 동작을 실행시켜며, 제어 동작의 실행 결과를 RF 통신으로 상기 음성인식장치에 전송하는 중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인식장치는 동일 공간 혹은 다른 공간에 설치되는 다른 하나 이상의 음성인식장치와 ID를 적용하여 상호간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른 하나의 음성인식장치는 중계장치의 역할을 실행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장치는 인터넷 망 및 공중회선 통신망과 접속되어, 인터넷 망 혹은 공중회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음성 명령어를 인식하고 지정되는 전자/전기장치의 ID를 매칭시켜 RF 통신으로 제어 데이터를 송출시켜 중계장치에 전송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장치는 음성 명령어를 인식하여 제어부에 제공하고, 수신된 동작 실행 결과를 복조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음성인식부와; 인식된 음성에 지정된 인식어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하여 음성 명령어로 인식하며, 음성 명령어에서 제어 대상의 전자/전기장치를 추출하여 ID를 매칭한 다음 RF 통신으로 중계장치에 전송하며, 중계장치에서 수신된 제어 결과를 음성 인식부에 제공하여 음성 안내로 송출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장치.
  8. 삭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장치는 복수개의 무선 채널을 구비하여 어느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도중에 다른 채널을 통해 다른 하나의 제어 데이터 및 동작 결과를 송수신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는 독립적인 ID를 갖고 이웃하는 다른 중계장치와 상호 RF 통신이 가능하며, 어느 하나를 마스터로 설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보다 넓은 통신 영역을 확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는 복수개의 무선 채널을 구비하여 어느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제어 명령어인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도중에 다른 채널을 통해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는 중계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하 소자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RF 통신으로 음성인식장치를 접속하여 제어 데이터 및 동작 결과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ID와 자신의 ID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면 제어 데이터를 IR 변환부에 인가하는 제어부;
    전자/전기장치를 제어하는 IR 제어코드와 중계장치의 고유 ID 및 제어부의 동작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음성을 변조하고, RF 통신으로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복조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코덱;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자/전기장치의 제어 명령어를 IR 제어코드로 변환하여, IR 송신부를 통해 해당 전자/전기장치에 전송하는 IR 변환부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부는 음성 명령어의 인식에 필요한 설정된 주파수를 발진하는 발진기;
    음성 명령어를 인식하는 프로세서인 DSP;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음성 명령어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고, 동작 실행에 따른 응답을 음성으로 복조하는 코덱;
    DSP의 음성 인식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음성 명령어의 인식 및 그 실행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
    인식된 음성 명령어를 인터페이스하는 JTAG;
    상기 코덱에서 복조된 음성을 설정된 레벨로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시키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장치.
  16.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장치와 가정내에 설치되는 각 전자/전기장치에 연결되는 중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인식장치와 중계장치에는 리모콘 기능과 각각에 자신을 인식하는 고유 ID가 설정되고, 음성인식장치와 중계장치 및 중계장치와 중계장치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무선 데이터의 통신 반경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동일 제품에 대하여 독립적인 제어를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장치와 중계장치는 홈 네트워크 영역의 확장이 필요한 경우에 확장되는 중계장치를 튜닝 형식으로 등록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확장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장치와 중계장치는 명령 실행부를 포함하며, 고유의 ID를 이용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동일 전자/전기장치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장치와 네트워크 시스템의 공간에서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하는 공간의 음성인식장치나 중계장치가 메인 마스터로 인식하고, 동작 실행 안내는 메인 마스터에서만 송출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장치.
  20. 삭제
  21. 음성인식장치 혹은 중계장치는 음성 입력이 검출되면 이를 인식 및 분석하여 지정된 인식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 지정된 인식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인식 음성을 삭제하고, 지정된 인식어가 포함되어 있으면 음성 명령어로 판단하는 과정; 음성 명령어를 분석하여 제어 대상의 전자/전기장치의 ID를 추출하고, 제어 명령을 포함하여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제어 데이터를 RF 통신으로 대상 전자/전기장치를 접속하고 있는 중계장치에 전송하는 과정; RF 통신을 통해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중계장치는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ID를 분석하여 자신의 제어 명령인지를 판단하고, 자신의 제어 명령이면 전자/전기장치에 해당 동작을 실행시키는 과정 및 RF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동작이 실행되면 그에 대한 결과를 RF 신호로 전송하여 제어 데이터를 송신한 음성인식장치 혹은 중계장치에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장치 혹은 중계장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채널을 구비하여 어느 하나의 채널이 사용중인 상태에서 음성 명령어의 입력이 검출되면 대기상태의 다른 채널을 점유하여 제어 명령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
KR1020070038666A 2007-04-20 2007-04-20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0769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666A KR100769156B1 (ko) 2007-04-20 2007-04-20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PCT/KR2008/000473 WO2008130095A1 (en) 2007-04-20 2008-01-25 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ZA200807141A ZA200807141B (en) 2007-04-20 2008-01-25 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666A KR100769156B1 (ko) 2007-04-20 2007-04-20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156B1 true KR100769156B1 (ko) 2007-10-22

Family

ID=38815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666A KR100769156B1 (ko) 2007-04-20 2007-04-20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69156B1 (ko)
WO (1) WO2008130095A1 (ko)
ZA (1) ZA200807141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709B1 (ko) * 2009-06-15 2011-10-11 브이 앤드 씨 컴퍼니 리미티드 영역 우선 음성인식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1832058B1 (ko) * 2016-05-30 2018-04-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음성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2325A (ko) * 2017-04-03 2018-10-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음성 전달 방법, 이를 구현하는 음성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90014697A (ko) * 2017-08-03 2019-02-13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음성브리지장치 및 음성인식처리장치, 그리고 그 동작 방법
KR20190071641A (ko) * 2019-06-04 2019-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 및 방법, 홈 어플라이언스 및 홈 어플라이언스 동작 방법
KR20200097839A (ko) * 2019-02-08 2020-08-2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홈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5137B2 (en) 2000-03-16 2014-02-04 Apple Inc. Fast, language-independent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by voice
US8677377B2 (en) 2005-09-08 2014-03-1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n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9318108B2 (en)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10002189B2 (en) 2007-12-20 2018-06-19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using an active ontology
US9330720B2 (en) 2008-01-03 2016-05-0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ltering audio output signals
US8996376B2 (en) 2008-04-05 2015-03-31 Apple Inc. Intelligent text-to-speech conversion
US20100030549A1 (en) 2008-07-31 2010-02-04 Lee Michael M Mobile device having human language translation capability with positional feedback
US8676904B2 (en) 2008-10-02 2014-03-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voice command and contextual data processing capabilities
US10241644B2 (en) 2011-06-03 2019-03-26 Apple Inc. Actionable reminder entries
US10241752B2 (en) 2011-09-30 2019-03-26 Apple Inc. Interface for a virtual digital assistant
US9431006B2 (en) 2009-07-02 2016-08-30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US8682667B2 (en) 2010-02-25 2014-03-25 Apple Inc. User profiling for selecting user specific voice input processing information
KR20120020853A (ko) * 2010-08-31 201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262612B2 (en) 2011-03-21 2016-02-16 Apple Inc. Device access using voice authentication
US10057736B2 (en) 2011-06-03 2018-08-21 Apple Inc. Active transport based notifications
US8994660B2 (en) 2011-08-29 2015-03-31 Apple Inc. Text correction processing
US10134385B2 (en) 2012-03-02 2018-11-2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ame pronunciation
US9280610B2 (en) 2012-05-14 2016-03-08 Apple Inc. Crowd sourcing information to fulfill user requests
US9721563B2 (en) 2012-06-08 2017-08-01 Apple Inc. Name recognition system
US9547647B2 (en) 2012-09-19 2017-01-17 Apple Inc. Voice-based media searching
ITUD20120184A1 (it) * 2012-10-31 2014-05-01 Steelco Spa Architettura elettronica per la gestione da remoto di apparecchiature, in particolare apparecchiature di lavaggio, e relativo metodo
EP3691179A1 (en) * 2012-12-18 2020-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ome device remotely in home network system
WO2014197336A1 (en) 2013-06-07 2014-12-1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s in interactions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US9582608B2 (en) 2013-06-07 2017-02-28 Apple Inc. Unified ranking with entropy-weighted information for phrase-based semantic auto-completion
WO2014197334A2 (en) 2013-06-07 2014-12-1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specified pronunciation of words for speech synthesis and recognition
WO2014197335A1 (en) 2013-06-08 2014-12-11 Apple Inc. Interpreting and acting upon commands that involve sharing information with remote devices
KR101922663B1 (ko) 2013-06-09 2018-11-28 애플 인크. 디지털 어시스턴트의 둘 이상의 인스턴스들에 걸친 대화 지속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0176167B2 (en) 2013-06-09 2019-01-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user intent from speech inputs
US10296160B2 (en) 2013-12-06 2019-05-21 Apple Inc. Method for extracting salient dialog usage from live data
JP6282516B2 (ja) 2014-04-08 2018-02-21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複数機器の音声操作システム、音声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14677B2 (en) 2014-04-11 2019-12-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rameworks and methodologies configured to assist configuring devices supported by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9966065B2 (en) 2014-05-30 2018-05-08 Apple Inc. Multi-command single utterance input method
US9842101B2 (en) 2014-05-30 2017-12-12 Apple Inc. Predictive conversion of language input
US9633004B2 (en) 2014-05-30 2017-04-25 Apple Inc. Better resolution when referencing to concepts
US10170123B2 (en) 2014-05-30 2019-01-01 Apple Inc.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US9430463B2 (en) 2014-05-30 2016-08-30 Apple Inc. Exemplar-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9338493B2 (en)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US9818400B2 (en) 2014-09-11 2017-11-14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trending terms in speech requests
US10789041B2 (en) 2014-09-12 2020-09-29 Apple Inc. Dynamic thresholds for always listening speech trigger
CN105490890A (zh) * 2014-09-16 2016-04-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智能家庭终端及其控制方法
US10074360B2 (en) 2014-09-30 2018-09-11 Apple Inc. Providing an indication of the suitability of speech recognition
US9646609B2 (en) 2014-09-30 2017-05-09 Apple Inc. Caching apparatus for serving phonetic pronunciations
US9668121B2 (en) 2014-09-30 2017-05-30 Apple Inc. Social reminders
US9886432B2 (en) 2014-09-30 2018-02-06 Apple Inc. Parsimonious handling of word inflection via categorical stem + suffix N-gram language models
US10127911B2 (en) 2014-09-30 2018-11-13 Apple Inc. Speaker identification and unsupervised speaker adaptation techniques
US10152299B2 (en) 2015-03-06 2018-12-11 Apple Inc. Reducing response latency of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s
US9865280B2 (en) 2015-03-06 2018-01-09 Apple Inc. Structured dictation using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s
US9886953B2 (en) 2015-03-08 2018-02-0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ctivation
US9721566B2 (en) 2015-03-08 2017-08-01 Apple Inc. Competing devices responding to voice triggers
US10567477B2 (en) 2015-03-08 2020-02-18 Apple Inc. Virtual assistant continuity
US9899019B2 (en) 2015-03-18 2018-02-2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ructured stem and suffix language models
US9842105B2 (en) 2015-04-16 2017-12-12 Apple Inc. Parsimonious continuous-space phrase representation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10083688B2 (en) 2015-05-27 2018-09-25 Apple Inc. Device voice control for selecting a displayed affordance
US10127220B2 (en) 2015-06-04 2018-11-13 Apple Inc. Language identification from short strings
US9578173B2 (en) 2015-06-05 2017-02-21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ided communication with 3rd party service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10101822B2 (en) 2015-06-05 2018-10-16 Apple Inc. Language input correction
US11025565B2 (en) 2015-06-07 2021-06-01 Apple Inc. Personalized prediction of responses for instant messaging
US10255907B2 (en) 2015-06-07 2019-04-09 Apple Inc. Automatic accent detection using acoustic models
US10186254B2 (en) 2015-06-07 2019-01-22 Apple Inc. Context-based endpoint detection
WO2017020212A1 (zh) * 2015-08-02 2017-02-09 李强生 根据语音识别家用电器遥控器的方法以及遥控器
WO2017020208A1 (zh) * 2015-08-02 2017-02-09 李强生 根据虹膜匹配家用电器遥控器的方法以及遥控器
US10747498B2 (en) 2015-09-08 2020-08-18 Apple Inc.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US10671428B2 (en) 2015-09-08 2020-06-02 Apple Inc. Distributed personal assistant
US9697820B2 (en) 2015-09-24 2017-07-04 Apple Inc. Unit-selection text-to-speech synthesis using concatenation-sensitive neural networks
US11010550B2 (en) 2015-09-29 2021-05-18 Apple Inc. Unified language modeling framework for word prediction, auto-completion and auto-correction
US10366158B2 (en) 2015-09-29 2019-07-30 Apple Inc. Efficient word encoding for recurrent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s
US11587559B2 (en) 2015-09-30 2023-02-21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identification
US10691473B2 (en) 2015-11-06 2020-06-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US10049668B2 (en) 2015-12-02 2018-08-14 Apple Inc. Applying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s to weighted finite state transducer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US10223066B2 (en) 2015-12-23 2019-03-05 Apple Inc. Proactive assistance based on dialo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10446143B2 (en) 2016-03-14 2019-10-15 Apple Inc. Identification of voice inputs providing credentials
US9934775B2 (en) 2016-05-26 2018-04-03 Apple Inc. Unit-selection text-to-speech synthesis based on predicted concatenation parameters
US9972304B2 (en) 2016-06-03 2018-05-15 Apple Inc. Privacy preserving distributed evaluation framework for embedded personalized systems
US10249300B2 (en) 2016-06-06 2019-04-02 Apple Inc. Intelligent list reading
US10049663B2 (en) 2016-06-08 2018-08-14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DK179309B1 (en) 2016-06-09 2018-04-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home environment
US10067938B2 (en) 2016-06-10 2018-09-04 Apple Inc. Multilingual word prediction
US10192552B2 (en) 2016-06-10 2019-01-29 Apple Inc. Digital assistant providing whispered speech
US10586535B2 (en) 2016-06-10 2020-03-10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US10509862B2 (en) 2016-06-10 2019-12-17 Apple Inc. Dynamic phrase expansion of language input
US10490187B2 (en) 2016-06-10 2019-11-26 Apple Inc. Digital assistant providing automated status report
DK201670540A1 (en) 2016-06-11 2018-01-08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DK179415B1 (en) 2016-06-11 2018-06-14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arbitration and control
DK179049B1 (en) 2016-06-11 2017-09-18 Apple Inc Data driven natural language even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DK179343B1 (en) 2016-06-11 2018-05-14 Apple Inc Intelligent task discovery
US10474753B2 (en) 2016-09-07 2019-11-12 Apple Inc. Language identification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s
US10043516B2 (en) 2016-09-23 2018-08-07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11281993B2 (en) 2016-12-05 2022-03-22 Apple Inc. Model and ensemble compression for metric learning
US10593346B2 (en) 2016-12-22 2020-03-17 Apple Inc. Rank-reduced token representation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US11204787B2 (en) 2017-01-09 2021-12-21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US10417266B2 (en) 2017-05-09 2019-09-17 Apple Inc. Context-aware ranking of intelligent response suggestions
DK201770383A1 (en) 2017-05-09 2018-12-1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CORRECTING RECOGNITION ERRORS
DK201770439A1 (en) 2017-05-11 2018-12-13 Apple Inc. Offline personal assistant
US10395654B2 (en) 2017-05-11 2019-08-27 Apple Inc. Text normalization based on a data-driven learning network
US10726832B2 (en) 2017-05-11 2020-07-28 Apple Inc. Maintaining privacy of personal information
DK201770429A1 (en) 2017-05-12 2018-12-14 Apple Inc. LOW-LATENC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DK179496B1 (en) 2017-05-12 2019-01-15 Apple Inc.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DK179745B1 (en) 2017-05-12 2019-05-01 Apple Inc.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OF A DIGITAL ASSISTANT
US11301477B2 (en) 2017-05-12 2022-04-12 Apple Inc. Feedback analysis of a digital assistant
DK201770432A1 (en) 2017-05-15 2018-12-21 Apple Inc. Hierarchical belief states for digital assistants
DK201770431A1 (en) 2017-05-15 2018-12-20 Apple Inc. Optimizing dialogue policy decisions for digital assistants using implicit feedback
DK179549B1 (en) 2017-05-16 2019-02-12 Apple Inc. FAR-FIELD EXTENSION FOR DIGITAL ASSISTANT SERVICES
US10311144B2 (en) 2017-05-16 2019-06-04 Apple Inc. Emoji word sense disambiguation
US10403278B2 (en) 2017-05-16 2019-09-03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honetic matching in digital assistant services
US10303715B2 (en) 2017-05-16 2019-05-28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US10657328B2 (en) 2017-06-02 2020-05-19 Apple Inc. Multi-task recurrent neural network architecture for efficient morphology handling in neural language modeling
US10445429B2 (en) 2017-09-21 2019-10-15 Apple Inc.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using vocabularies with compressed serialized tries
US10755051B2 (en) 2017-09-29 2020-08-25 Apple Inc. Rule-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10636424B2 (en) 2017-11-30 2020-04-28 Apple Inc. Multi-turn canned dialog
US10733982B2 (en) 2018-01-08 2020-08-04 Apple Inc. Multi-directional dialog
US10733375B2 (en) 2018-01-31 2020-08-04 Apple Inc. Knowledge-based framework for improving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US10789959B2 (en) 2018-03-02 2020-09-29 Apple Inc. Training speaker recognition models for digital assistants
US10592604B2 (en) 2018-03-12 2020-03-17 Apple Inc. Inverse text normalization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US10818288B2 (en) 2018-03-26 2020-10-27 Apple Inc. Natural assistant interaction
US10909331B2 (en) 2018-03-30 2021-02-02 Apple Inc. Implicit identification of translation payload with neural machine translation
US10928918B2 (en) 2018-05-07 2021-02-23 Apple Inc. Raise to speak
US11145294B2 (en) 2018-05-07 2021-10-12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delivering content from user experiences
US10984780B2 (en) 2018-05-21 2021-04-20 Apple Inc. Global semantic word embeddings using bi-directional recurrent neural networks
US10892996B2 (en) 2018-06-01 2021-01-12 Apple Inc. Variable latency device coordination
DK180639B1 (en) 2018-06-01 2021-11-04 Apple Inc DISABILITY OF ATTENTION-ATTENTIVE VIRTUAL ASSISTANT
US11386266B2 (en) 2018-06-01 2022-07-12 Apple Inc. Text correction
DK201870355A1 (en) 2018-06-01 2019-12-1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OPERATION IN MULTI-DEVICE ENVIRONMENTS
DK179822B1 (da) 2018-06-01 2019-07-12 Apple Inc. Voice interaction at a primary device to access call functionality of a companion device
US10496705B1 (en) 2018-06-03 2019-12-03 Apple Inc. Accelerated task performance
US11646024B2 (en) * 2021-05-10 2023-05-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reating a virtual context for a voice comman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920A (ko) * 2003-03-11 2003-04-07 현대통신산업 주식회사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감시 장치 및 그방법
KR20030047153A (ko) * 2001-12-08 2003-06-18 임소영 음성인식을 적용한 전자 기기의 신방식 유저 인터페이스시스템 및 방법
KR20030071975A (ko) * 2002-03-05 2003-09-13 에스엘투(주) 음성인식을 이용한 가정용 기기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방법
KR20030087337A (ko) * 2002-05-08 2003-11-14 에스엘투(주)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가정용 기기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02604A (ko) * 2005-03-24 2006-09-28 이지로보틱스 주식회사 로봇 리모컨 서비스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1763B1 (en) * 1999-08-17 2005-11-01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devices and sensors
KR20040042242A (ko) * 2002-11-13 200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홈서버를 이용하는 홈로봇 및 이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시스템
JP2006033795A (ja) * 2004-06-15 2006-02-02 Sanyo Electric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コンピュータにコントローラの機能を付与するプログラム、当該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およびサー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153A (ko) * 2001-12-08 2003-06-18 임소영 음성인식을 적용한 전자 기기의 신방식 유저 인터페이스시스템 및 방법
KR20030071975A (ko) * 2002-03-05 2003-09-13 에스엘투(주) 음성인식을 이용한 가정용 기기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방법
KR20030087337A (ko) * 2002-05-08 2003-11-14 에스엘투(주)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가정용 기기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27920A (ko) * 2003-03-11 2003-04-07 현대통신산업 주식회사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감시 장치 및 그방법
KR20060102604A (ko) * 2005-03-24 2006-09-28 이지로보틱스 주식회사 로봇 리모컨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709B1 (ko) * 2009-06-15 2011-10-11 브이 앤드 씨 컴퍼니 리미티드 영역 우선 음성인식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1832058B1 (ko) * 2016-05-30 2018-04-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음성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2325A (ko) * 2017-04-03 2018-10-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음성 전달 방법, 이를 구현하는 음성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320027B1 (ko) * 2017-04-03 2021-11-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음성 전달 방법, 이를 구현하는 음성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90014697A (ko) * 2017-08-03 2019-02-13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음성브리지장치 및 음성인식처리장치, 그리고 그 동작 방법
KR102052510B1 (ko) * 2017-08-03 2019-12-05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음성브리지장치 및 음성인식처리장치, 그리고 그 동작 방법
KR20200097839A (ko) * 2019-02-08 2020-08-2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홈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2303401B1 (ko) * 2019-02-08 2021-09-2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홈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90071641A (ko) * 2019-06-04 2019-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 및 방법, 홈 어플라이언스 및 홈 어플라이언스 동작 방법
KR102323656B1 (ko) * 2019-06-04 2021-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 및 방법, 홈 어플라이언스 및 홈 어플라이언스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807141B (en) 2009-11-25
WO2008130095A1 (en)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156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2255780A (zh) 家庭网络系统及其控制方法
US11651771B2 (en) Home appliance and speech recognition server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TWI469581B (zh) 智慧閘道、智慧家居系統及家電設備的智慧控制方法
US102173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iance control via a network
KR100856871B1 (ko)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CN206097455U (zh) 一种语音识别控制设备
US200201308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CN102902253A (zh) 具有语音控制功能的智能开关及智能控制系统
KR101059239B1 (ko)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모니터링 방법
US8634720B2 (en) Remote control relay for wirelessly-controlled devices
KR101253148B1 (ko) 스마트폰과 중계 홈서버를 이용한 적외선 신호 학습이 가능한 디지털기기 제어시스템
CN101127155A (zh) 选择性智能遥控系统及方法
CN104168167A (zh) 家用电器的无线网络配置方法、无线网络配置系统和装置
KR101826630B1 (ko)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CN111240222A (zh) 一种智能家居控制系统、方法及装置
US20190138184A1 (en) UI Management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326658B2 (en) Zon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configuring the same
CN112712683B (zh) 家电设备的控制方法、系统、遥控器和服务器
KR102569400B1 (ko) 허브 장치 및 이의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9062374A (ja) 管理装置、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64921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CN111103804A (zh) 控制方法、控制设备、终端、控制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US11852366B2 (en)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an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a voice command
JP2007318319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