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421B1 -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supporting dual mod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supporting dual mod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421B1
KR100767421B1 KR1020060001489A KR20060001489A KR100767421B1 KR 100767421 B1 KR100767421 B1 KR 100767421B1 KR 1020060001489 A KR1020060001489 A KR 1020060001489A KR 20060001489 A KR20060001489 A KR 20060001489A KR 100767421 B1 KR100767421 B1 KR 10076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network
wireless
selection
communication termina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4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73517A (en
Inventor
하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1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421B1/en
Publication of KR2007007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5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4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0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 B65D90/105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for undergroun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를 근거로 무선 네트워크(Wireless Network)를 선택함으로써, 무선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택 기준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를 제공하는 MM (Mobility Management) 부와; 미리 설정된 트리 형태가 적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를 근거로 무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MMI (Man Machine Interface) 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supporting the dual mode, by selecting a wireless network based on at least one or more predetermined selection factors,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optimal wireless network considering the wireless environment. .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M (Mobility Management) unit for providing at least one selection factor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set by the user; And a man machine interface (MMI) unit for determining a wireless network based on the at least one selection factor to which a preset tree shape is applied.

Description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SUPPORTING DUAL MODE AND METHOD THEREOF}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mode and its metho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SUPPORTING DUAL MOD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dual mo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upporting a dual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upporting dual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이동 통신 단말기 110: MMI (Man Machine Interface) 부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MI (Man Machine Interface) unit

120: MM (Mobility Management) 부120: MM (Mobility Management) part

130: 제 1 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부130: first 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part

140: 제 2 RRM 부140: second RRM part

150: 제 1 기저대역 및 RF (Radio Frequency) 부150: first baseband and RF (Radio Frequency) unit

160: 제 2 기저대역 및 RF 부160: second baseband and RF uni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무선 네트워크(Wireless Network)를 선택할 수 있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dual mode capable of selecting an optimal wireless network considering a wireless environment and a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BS (Base Station; BS)에 의해 형성되는 서비스 영역 안에서 이동하면서 MSC(Mobile Switching Center; MSC)의 스위칭 제어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즉시 상대방을 무선 호출 및 무선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이동 통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수용할 뿐만 아니라 고속화 되는 추세이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communicate within a service area formed by a base station (BS) while instantly making a wireless call and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other party anytime, anywhere through switching control of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As a mobile device,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is not only accommodating wireless data services worldwide but also increasing in speed.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과 같이 인가가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1 무선 네트워크 뿐만 아니라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Fi (Wireless Fidelity), 및 근거리 무선 통신과 같이 인가가 필요 없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2 무선 네트워크들을 통해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nd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Through a first wireless network that uses a frequency band that requires authorization as well as second wireless networks that use a frequency band that does not require authorization, such as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Wireless Fidelity (WiFi),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Provides wireless data service.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he dual mod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dual mo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인가가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1 무선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과 상기 인가가 필요 없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2 무선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 사이에서 미리 설정된 작동 모드에 따라 무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dual mo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uses a service area of a first wireless network that uses the frequency band requiring authorization and a second using a frequency band that does not require authorization. The wireless service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preset operation mode between service areas of the wireless network.

이때,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되는 상기 미리 설정된 작동 모드 즉, 1)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만을 사용하는 Licensed Wireless Network Only의 제 1 작동 모드, 2)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가 존재할 때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만이 존재할 때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Licensed Wireless Network Preferred의 제 2 작동 모드, 3)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가 존재할 때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만이 존재할 때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Unlicensed Wireless Network Preferred의 제 3 작동 모드, 4)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만을 사용하는 Unlicensed Wireless Network Only의 제 4 작동 모드들 중에 어느 하나에 따라 무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vided into four predetermined operation modes, that is, 1) a first operation mode of the Licensed Wireless Network Only using only the first wireless network, and 2) when the first wireless network exists. A second mode of operation of a Licensed Wireless Network Preferred that uses the first wireless network and uses the second wireless network when the first wireless network does not exist and only the second wireless network exists, 3) the second wireless 3) a third mode of operation of Unlicensed Wireless Network Preferred, which uses the second wireless network when the network is present and uses the first wireless network when the second wireless network does not exist and only the first wireless network is present. Any of the fourth modes of operation of Unlicensed Wireless Network Only using only the second wireless network; Or it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wireless servic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작동 모드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를 결정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에 상관없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서비스를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dual mo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by using the wireless network set by the user, regardless of the performance of the wireless network by determining the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t operation mode, the wireless service must be used. .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를 근거로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함으로써, 무선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supporting dual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lecting a wireless network based on at least one predetermined selection factor.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택 기준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를 제공하는 MM (Mobility Management) 부와; 미리 설정된 트리 형태가 적용되는 상기 선택 인자를 근거로 무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MMI (Man Machine Interface)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dual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ity Management (MM) unit for providing at least one or more selection factor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set by the user; And a man machine interface (MMI) unit for determining a wireless network based on the selection factor to which a preset tree shape is appli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택 기준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를 제공하는 단계와; 미리 설정된 트리 형태가 적용되는 상기 선택 인자를 근거로 무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for supporting the dual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oviding at least one selection factor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set by the user; Determining a wireless network based on the selection factor to which a preset tree shape is appli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택 기준에 따라 접속된 제 1 무선 네트워크를 제 2 무선 네트워크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for supporting the dual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 of switching the first wireless network connected to the second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set by the user It is done.

이하에서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를 근거로 무선 네트워크(Wireless Network)를 선택함으로써, 무선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dual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electing an optimal wireless network in consideration of a wireless environment by selecting a wireless network on the basis of at least one preset selection factor and it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때,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등을 포함하는 인가가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1 무선 네트워크와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Fi (Wireless Fidelity),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포함하는 상기 인가가 필요 없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2 무선 네트워크들을 의미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제 1 및 제 2 무선 네트워크를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하도록 한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안한다.In this case, the wireless network include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nd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A first wireless network using a licensed frequency band including a license and a frequency band using the unlicensed frequency band includ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 wireless fidelity (WiFi),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wo wireless network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dual mode to enable such a first and second wireless network support in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택 기준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를 제공하는 MM (Mobility Management) 부(110)와; 상기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를 근거로 무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MMI (Man Machine Interface) 부(120)와; 상기 결정된 무선 네트워크에 따라 해당하는 채널을 할당하 는 제 1 및 제 2 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부(130, 140)와; 상기 할당된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및 RF (Radio Frequency) 부(150, 1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dual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ity management (MM) unit 110 which provides at least one or more selection factors determined according to selection criteria set by a user; A Man Machine Interface (MMI) unit 120 for determining a wireless network based on the provided at least one selection factor; First and second 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s 130 and 140 for allocating corresponding channel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wireless network; And first and second baseband and radio frequency (RF) units 150 and 16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hrough the assigned channel.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크게 미리 설정된 트리 형태가 적용된 선택 인자나 미리 설정된 가중치가 부여된 선택 인자를 근거로 무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데 이를 각각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상기 미리 설정된 가중치가 부여된 선택 인자를 근거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etermines a wireless network based on a selection factor to which a large preset tree shape is applied or a selection factor to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is assigned. Hereinafter, a method of supporting the dual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determining the wireless network based on the predetermined weighted selection fact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upporting a dual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택 기준를 설정하는 단계(S310)와; 상기 설정된 선택 기준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를 제공하는 단계(S320)와; 상기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에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S330)와;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선택 인자를 근거로 무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단계(S340)와; 상기 결정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S3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method for supporting the dual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tting selection criteria set by a user (S310); Providing at least one selection factor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t selection criteria (S320); Assigning a predetermined weight to the provided at least one selection factor (S330); Determining a wireless network based on the weighted selection factor (S340); And connecting to the determined wireless network (S350).

이때,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선택 기준으로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QoS나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사용 요금을 기준으로 적용하는데, 상기 무선 네트워 크의 QoS는 RSSI (Radio Signal Strength Indicator), SINR (Signal Interference Noise Ratio), 및 EC/IO (Energy of Carrier/Interference of Other's) 들 중에 어느 하나를 적용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사용 요금은 다양한 요금 체계들 예를 들면, 정액제나 시간, 지역에 따른 변동 요금들 중에 어느 하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pplied based on the QoS of the wireless network or the usage fee of the wireless network as the selection criteria, and the QoS of the wireless network is a Radio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and a Signal Interference Noise Ratio (SINR). ), And E C / I O (Energy of Carrier / Interference of Other's), and the usage fee of the wireless network may vary among various fee schemes, e.g. It is preferable to apply either.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supporting the dual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택 기준을 설정한다(S310). 즉, 상기 MMI 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QoS를 기준으로 적용하는 제 1 선택 기준이나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사용 요금을 기준으로 적용하는 제 2 선택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ts the selection criteria set by the user (S310). That is, the MMI unit 110 may set a first selection criterion applied by the user based on the QoS of the wireless network or a second selection criterion applied based on the usage fee of the wireless network.

상기 MM 부(120)는 상기 설정된 선택 기준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를 상기 MMI 부(110)에 제공한다(S320).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 사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의 종류,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QoS (Quality of Service), 무선 서비스의 종류, 상기 무선 서비스의 사용 요금들을 포함하는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는 저속이나 고속을, 상기 사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의 종류는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네트워크, 해당 네트워크 없음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QoS는 최상, 상, 중, 하를, 상기 무선 서비스 의 종류는 VBR (Variable Bit Rate), ABR (Available Bit Rate), CBR (Constant Bit Rate)를 나타낸다.The MM unit 120 provides the MMI unit 110 with at least one selection factor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t selection criteria (S320). The at least one selection factor may include a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ype of available wireless network, a quality of service (QoS) of the wireless network, a type of wireless service, and a usage fee of the wireless service. The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low speed or a high speed, the type of the available wireless network is the first wireless network, the second wireless network,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network, there is no corresponding network, the wireless network QoS of the best, upper, middle, lower, the type of the wireless service is VBR (Variable Bit Rate), ABR (Available Bit Rate), CBR (Constant Bit Rate).

이때, 상기 MM 부(120)는 상기 제 1 선택 기준이 설정될 때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 사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의 종류,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QoS (Quality of Service), 무선 서비스의 종류를 상기 선택 인자로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 2 선택 기준이 설정될 때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 사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의 종류, 무선 서비스의 종류, 상기 무선 서비스의 사용 요금을 상기 선택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first selection criterion is set, the MM unit 120 indicates the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ype of available wireless network, the quality of service (QoS) of the wireless network, and the type of wireless service. The selection factor may be determined, and when the second selection criterion is set, the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ype of available wireless network, the type of wireless service, and the fee for using the wireless service may be determined as the selection criterion. .

이에, 상기 MMI 부(110)는 상기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에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S330),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선택 인자를 근거로 무선 네트워크를 결정한다(S340). 즉, 상기 MMI 부(110)는 상기 설정된 사용 모드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에 일정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변적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MMI unit 110 assigns a preset weight to the provided at least one selection factor (S330), and determines a wireless network based on the weighted selection factor (S340). That is, the MMI unit 110 may not only give a constant weight to at least one or more selection factor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t use mode, but may also give a variable weight.

결국,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결정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S350). 즉, 상기 제 1 선택 기준이 설정될 때 상기 제 1 RRM 부(130)는 해당하는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제 1 기저대역 및 RF 부(150)는 상기 할당된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선택 기준이 설정될 때 상기 제 2 RRM 부(140)는 해당하는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제 2 기저대역 및 RF 부(160)는 상기 할당된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esses the determined wireless network (S350). That is, when the first selection criterion is set, the first RRM unit 130 may allocate a corresponding channel, and the first baseband and the RF unit 150 may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through the allocated channel. In addition, when the second selection criterion is set, the second RRM unit 140 allocates a corresponding channel, and the second baseband and the RF unit 160 can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through the allocated channel. have.

이하에서는, 미리 설정된 트리 형태가 적용된 선택 인자를 근거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 형태는 각 선택 인자들간의 계층적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선택 인자에 미리 설정된 트리 형태가 적용되면, 본 발명은 설정된 트리 형태로 선택 인자들 간의 계층적 관계를 구현한다. 예컨대, 상기 선택 인자들 중 가장 큰 판단 기준이 되는 선택 인자를 루트로 만들고, 나머지 선택 인자들을 노드로 만들며 그 무선 네트워크의 선택 결과를 리프로 만든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Hereinafter, a method of supporting the dual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determining the wireless network based on a selection factor to which a preset tree shape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n this case, the preset tree shape represents a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each selection factor. Therefore, when a tree shape set in advance is applied to the selection factor,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lection factors in the set tree shape. For example, the selection factor, which is the largest criterion of the selection factors, is rooted, the remaining selection factors are made nodes, and the result of selection of the wireless network is made a leaf.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upporting a wireless data ser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삭제delete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택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S410)와; 상기 설정된 선택 기준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를 제공하는 단계(S420)와; 상기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를 미리 설정된 트리 형태에 적용하는 단계(S430)와; 상기 트리 형태가 적용된 선택 인자를 근거로 무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단계(S440)와; 상기 결정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S45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제1선택 기준이 설정된 경우, MMI부(110)는 무선 서비스의 종류, 사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 무선 네트워크의 QoS를 선택 인자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MMI부(110)는 상기 선택 인자를 미리 설정된 트리 형태에 적용하여 계층적 관계를 구현한다. 다시 말해서, 무선 서비스의 종류를 가장 큰 판단 기준이 되는 루트로 하고, 나머지 선택 인자를 노드로 하며, 결정될 무선 네트워크를 리프로 하여 트리 형태를 구현한다. 이어서, 상기 계층적 관계에 따라 선택 인자를 고려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결정한다.
즉, 상기 MMI부(110)는 사용자가 음성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면 무선 서비스의 종류를 가장 먼저 고려하여 음성서비스에 적합한 인가가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1무선 네트워크로 선택의 범주를 좁힌다. 이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확인하여 그 이동 속도가 고속이면 상기 제1무선 네트워크의 QoS를 확인한다. 그 확인결과 상기 제1무선 네트워크가 음성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품질 제공하면 상기 제1무선 네트워크를 최적의 무선 네트워크로 결정한다.
As shown in FIG. 4, the method for supporting the dual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tting selection criteria set by the user (S410); Providing at least one selection factor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t selection criteria (S420); Applying the provided at least one selection factor to a preset tree shape (S430); Determining a wireless network based on a selection factor to which the tree shape is applied (S440); And connecting to the determined wireless network (S450).
For example, when the first selection criterion is set by the user, the MMI unit 110 provides a type of wireless service, an available wireless network, a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QoS of the wireless network as selection factors. In addition, the MMI unit 110 implements a hierarchical relationship by applying the selection factor to a predetermined tree shape. In other words, the tree type is implemented by setting the type of wireless service as the root which is the largest criterion, the remaining selection factor as the node, and the wireless network to be determined as the leaf. Then, the wireless network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election factor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voice service, the MMI unit 110 considers the type of the wireless service first and narrows the category of selection to the first wireless network using the frequency band that requires the proper authorization for the voice service. Subsequently, the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hecked, and if the moving speed is high, the QoS of the first wireless network is checked.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first wireless network provides sufficient quality to provide a voice service, the first wireless network is determined to be an optimal wireless network.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선택 인자로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가중치가 부여된 선택 인자를 대신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 형태가 적용된 선택 인자를 적용한다.The method for supporting the dual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method for supporting the dual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the selection factor to which the preset tree shape is applied is applied instead of the preset weighting selection factor as the selection factor for determining the wireless network.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서 CDMA, GSM, TDMA, WCDMA, IMT-2000, WLAN, WiFi,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무선 데이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들도 역시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In this cas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method of accessing CDMA, GSM, TDMA, WCDMA, IMT-2000, WLAN, WiFi,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s the wireless network has been describ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Wireless networks are also made in the same way as above.

뿐만 아니라, 최적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으로 RSSI, SINR, EC/IO, 및 사용 요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이나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요인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not only RSSI, SINR, E C / I O , and usage fees may be used as criteria for selecting an optimal wireless network, but factors that may improve performance or convenience of a user may be applied. .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은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를 근거로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함으로써, 무선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supporting the dual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n optimal wireless data network in consideration of a wireless environment by selecting a wireless network based on at least one preset selection factor. It can be effective.

Claims (25)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택 기준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를 제공하는 MM (Mobility Management) 부와;A MM (Mobility Management) unit for providing at least one selection factor for determining a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selection criteria set by a user; 미리 설정된 트리 형태가 적용되는 상기 선택 인자를 근거로 무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MMI (Man Machine Interface)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MMI (Man Machine Interface) unit for determining a wireless network based on the selection factor to which a preset tree shape is appli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The wireless network, 인가가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1 무선 네트워크와 상기 인가가 필요 없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2 무선 네트워크들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second wireless network using a frequency band requiring authorization and a second wireless network using a frequency band requiring no authorization.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는,The first wireless network,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들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One of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nd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mod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는,The second wireless network,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Fi (Wireless Fidelity), 근거리 무선 통신 들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mode, which is one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 wireless fidelity (WiFi),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는,The at least one selection factor is,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 사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의 종류,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QoS (Quality of Service), 무선 서비스의 종류, 상기 무선 서비스의 사용 요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 mobile terminal supporting dual mod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ype of available wireless network, a quality of service (QoS) of the wireless network, a type of wireless service, and a fee for using the wireless service. Communication terminal. 삭제delete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MMI 부는,The MMI unit, 미리 설정된 가중치가 부여된 선택 인자를 근거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determining the wireless network based on a predetermined weighted selection fact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택 기준은,The selection criteria,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QoS (Quality of Service)를 기준으로 적용하는 제 1 선택 기준과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사용 요금을 기준으로 적용하는 제 2 선택 기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first selection criterion applied based on a quality of service (QoS) of the wireless network and a second selection criterion applied based on a usage fee of the wireless network. .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1 선택 기준은,The first selection criteria,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 사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의 종류,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QoS (Quality of Service), 무선 서비스의 종류를 상기 선택 인자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ype of available wireless network, a quality of service (QoS) of the wireless network, and a type of wireless service as the selection factors.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2 선택 기준은,The second selection criteria,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 사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의 종류, 무 선 서비스의 종류, 상기 무선 서비스의 사용 요금을 상기 선택 인자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ype of available wireless network, a type of wireless service, and a fee for using the wireless service as the selection fact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정된 무선 네트워크에 따라 해당하는 채널을 할당하는 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부와; 상기 할당된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저대역 및 RF (Radio Frequency) 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unit for allocating a corresponding channe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wireless network; And a baseband and a radio frequency (RF)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hrough the allocated channel.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택 기준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를 제공하는 단계와;Providing at least one selection factor for determining a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selection criteria set by a user; 미리 설정된 트리 형태가 적용되는 상기 선택 인자를 근거로 무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And determining a wireless network based on the selection factor to which a predetermined tree shape is applied.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The wireless network, 인가가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1 무선 네트워크와 상기 인가가 필요 없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2 무선 네트워크들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And one of a first wireless network using a frequency band requiring authorization and a second wireless network using a frequency band requiring no authorization.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는,The first wireless network,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들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One of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nd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Characterized in that the dual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는,The second wireless network,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Fi (Wireless Fidelity), 근거리 무선 통신 들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 wireless fidelity (WiFi), or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supporting a dual mode of a mobile terminal.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인자는,The at least one selection factor is,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 사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의 종류,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QoS (Quality of Service), 무선 서비스의 종류, 상기 무선 서비스의 사용 요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A dual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ype of available wireless network, a quality of service (QoS) of the wireless network, a type of wireless service, and a fee for using the wireless service. How to support it. 삭제delete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미리 설정된 가중치가 부여된 선택 인자를 근거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And determining the wireless network based on a preset weighted selection factor.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선택 기준은,The selection criteria,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QoS (Quality of Service)를 기준으로 적용하는 제 1 선택 기준과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사용 요금을 기준으로 적용하는 제 2 선택 기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And a first selection criterion applied based on a quality of service (QoS) of the wireless network and a second selection criterion applied based on a usage fee of the wireless network. How to.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 1 선택 기준은,The first selection criteria,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 사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의 종류,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QoS (Quality of Service), 무선 서비스의 종류를 상기 선택 인자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The mobile terminal supports the dual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moving speed, the type of available wireless network, the quality of service (QoS) of the wireless network, the type of wireless service as the selection factor. Way.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 2 선택 기준은,The second selection criteria,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 사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의 종류, 무선 서비스의 종류, 상기 무선 서비스의 사용 요금을 상기 선택 인자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And determining a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ype of wireless network available, a type of wireless service, and a fee for using the wireless service as the selection factor.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택 기준에 따라 접속된 제 1 무선 네트워크를 제 2 무선 네트워크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And converting the connected first wireless network into a second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a selection criterion set by a user. 제 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선택 기준은,The selection criteria,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QoS (Quality of Service)를 기준으로 적용하는 제 1 선택 기준과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사용 요금을 기준으로 적용하는 제 2 선택 기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And a first selection criterion applied based on a quality of service (QoS) of the wireless network and a second selection criterion applied based on a usage fee of the wireless network. How to. 제 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는 인가가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는 인가가 필요 없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2 무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The first wireless network is a wireless network using a frequency band that requires authorization, and the second wireless network supports a dual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second wireless network uses a frequency band that does not require authorization. How to. 제 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는 인가가 필요 없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는 인가가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2 무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The first wireless network is a wireless network using a frequency band that does not require authorization, and the second wireless network supports a dual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wireless network using a frequency band requiring authorization. How to.
KR1020060001489A 2006-01-05 2006-01-05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supporting dual mode and method thereof KR1007674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489A KR100767421B1 (en) 2006-01-05 2006-01-05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supporting dual mod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489A KR100767421B1 (en) 2006-01-05 2006-01-05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supporting dual mod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517A KR20070073517A (en) 2007-07-10
KR100767421B1 true KR100767421B1 (en) 2007-10-17

Family

ID=3850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489A KR100767421B1 (en) 2006-01-05 2006-01-05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supporting dual mod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4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986B1 (en) * 2007-11-15 2009-10-28 주식회사 케이티 Terminal unit for providing data roaming service restricted with whether or not offering QoS of roaming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101467843B1 (en) * 2008-07-11 201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ervice at a terminal supporting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KR101625930B1 (en) * 2009-10-30 2016-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ng methdo of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637A (en) * 2002-10-29 2004-05-07 퍼스널 텔레콤 주식회사 Apparatus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s route of a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637A (en) * 2002-10-29 2004-05-07 퍼스널 텔레콤 주식회사 Apparatus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s route of a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517A (en) 200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4947B1 (en)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 therefor
US73493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oft or softer handoff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382348B2 (en) Service priority in multi-cell networks
FI112769B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nel allocation utilizing power control and handover measurements of a mobile station
US8412220B2 (en) Method and system wherein timeslots allocated for common control channels may be reused for user traffic
JP4545939B2 (en) Resource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702336B2 (en) Channel assignment based on spatial strategies in a wireless network using adaptive antenna arrays
US6901254B2 (en) Method of selecting base transceiver system in communication system
US200601768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of base station for HSUPA
EP0975184A1 (en)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s and allocation scheme therefor
KR20000065047A (en) How to set up a call in a digital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085249B2 (en) Dynamic QoS for integrated voice and data CDMA/1XRTT networks
WO2008003815A1 (en) Improved radio resource allocation mechanism
EP1698137A1 (en) Method, system and a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adapted for selection of an access network
MXPA06013445A (en) Channel estimation and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measurements for a high-speed downlink gprs.
WO2001050807A1 (en) Channel assignment based on service type and user loca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frequency reuse groups
JP3652837B2 (en) TDMA communication system
RU2392755C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element, module and computer program distribution medium
KR200800339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panded data rate control ind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07415A (en)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equipment and terminal equipment
CN100481986C (en) Method and equipment for allocation the quantity of a channel to a mobile station as a function of the measured quality
KR100767421B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supporting dual mode and method thereof
US6804522B2 (en) Handover in cellular system utilizing narrow and wide beam antennas
MXPA06001692A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allocating wireless resources.
KR20110004567A (en) Cooperative management method of radio re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