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314B1 - 무선 랜의 집합 프레임 처리를 위한 수신 스테이션, 수신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랜의 집합 프레임 처리를 위한 수신 스테이션, 수신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314B1
KR100767314B1 KR1020060041348A KR20060041348A KR100767314B1 KR 100767314 B1 KR100767314 B1 KR 100767314B1 KR 1020060041348 A KR1020060041348 A KR 1020060041348A KR 20060041348 A KR20060041348 A KR 20060041348A KR 100767314 B1 KR100767314 B1 KR 100767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pdu
information
delimiter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1064A (ko
Inventor
송경희
유광현
노경주
김윤주
민승욱
이석규
방승찬
류득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70061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랜(Wireless LAN)의 집합(Aggregation) 프레임 처리를 위한 수신 스테이션, 수신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랜의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부 및 MPDU(MAC Protocol Data Unit) 수신 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부는 수신된 집합 프레임에서 유효한 딜리미터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MPDU 수신 처리부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부가 추출한 딜리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MPDU 별 수신처리를 수행한다.
이로써, MPDU가 결합된 집합 프레임을 수신하더라도 MPDU 별로 블록응답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랜, IEEE TGn, 집합 프레임, AGGREGATION, 딜리미터

Description

무선 랜의 집합 프레임 처리를 위한 수신 스테이션, 수신 처리 장치 및 방법{STATION AND DEVICE FOR RECEIVING AGGREGATION FRAME IN WIRELESS LAN SYSTEM,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랜 시스템의 DCF 메커니즘에 따른 메시지 시퀀스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무선 랜 시스템의 블록응답 메커니즘에 따른 메시지 시퀀스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 분야인 무선 랜 시스템의 집합 프레임 메커니즘의 메시지 시퀀스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용 분야인 무선 랜 시스템의 집합 프레임 메커니즘에 따른 집합 프레임 포맷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장치를 적용한 수신 스테이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장치를 보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합 프레임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딜리미터 처리 단계를 세부적으로 보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7의 MPDU 수신 단계를 세부적으로 보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합 프레임 처리 과정을 상태 별로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무선 랜(Wireless LAN)의 집합(Aggregation) 프레임 처리를 위한 수신 스테이션, 수신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 분야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수요의 증가에 따라 고속의 데이터 전송 속도 및 증가된 커버리지 영역에 대한 요구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고속의 데이터 전송률과 더불어 향상된 QoS(Quality of Service) 보장 혹은 이동성 지원 등을 위한 표준 활동이 IEEE 802.11 내의 TG(Task Group)내에서 최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차세대 무선 랜에 대한 표준은 TG n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IEEE 802.11의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및 PCF(Packet Control Function)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개선된 QoS를 지원한다. 이러한 QoS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으로서, EDCA(Enhanced DCF), HCF(Hybrid Coordination Function), 블록응답(Block-ACK) 메커니즘(Mechanism)을 정의한다.
도 1은 종래의 DCF 메커니즘에서의 메시지 시퀀스를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DCF에 의한 응답 정책은 하나의 MPDU(MAC Protocol Data Unit) 프레임에 대해 하나의 응답 프레임 시퀀스로 이루어진다. 이때, MPDU 프레임과 응답 프레임 사이에는 DCF에서 정의하는 SIFS(Short Inter Frame Space)만큼의 구간을 필요로 한다.
그런데, 하나의 MSDU(MAC Service Data Unit) 프레임이 프레그먼트(Fragment)되어 여러 개의 MPDU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멀티플 송신(Multiple Transmition)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멀티플 송신은 MPDU 프레임과 응답 프레임 시퀀스 후 SIFS 이내 다음 MPDU 프레임을 보낸다. 이를 통해 DCF의 BACK OFF에 따른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블록응답(Block-ACK) 메커니즘에 따르면, 이러한 멀티플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 블록 단위의 데이터에 대한 응답 정보를 하나의 프레임으로 생성하여 채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블록응답 메커니즘에서의 메시지 시퀀스를 보인 도면이다.
블록응답 전송 과정에서는, 송신 단말이 블록단위 내에서 전송된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SIFS 이내에 멀티플 전송을 한다. 그리고 정해진 블록응답 크기의 MSDU(n개의 MPDU로 구성됨) 송신을 완료한다. 이후 블록응답 요청 (Block ack request) 프레임을 전송하여 수신 단말로부터 블록응답(Bloack ack) 프레임을 수신한다.
그런데, IEEE 802.11 TGn 무선 랜 표준의 목표는 PHY 계층에서의 데이터 전송률의 증가뿐 아니라 PHY 계층에서의 단위 주파수당 데이터 전송 효율과 MAC과 그 상위 계층에서의 전송률의 목표를 3bit/sec/Hz 이상 및 100Mbps로 각각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전송률 증가를 위하여 동일한 목적지를 가지는 다수의 프레임들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결합하여 전송하는 집합 프레임 메커니즘을 정의한다.
그러나 SIFS 별로 MPDU 프레임이 구분되어 MPDU 별로 수신 처리가 용이한 블록응답 메커니즘과 달리 집합 프레임 메커니즘은 MPDU 프레임이 구분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를 위한 별도의 수신 처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한 데이터 전송을 정의하는 집합 프레임 메커니즘에 따른 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장치는,
무선 랜(Wireless LAN)의 집합(Aggregation) 프레임 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집합 프레임의 수신 및 상기 집합 프레임에서 유효한 딜리미터(delimeter) 정보-여기서 딜리미터 정보는 MPDU(MAC Protocol Data Unit)의 길이 정보를 포함함-를 추출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부; 및 상기 딜리미터 정보를 이 용하여 상기 집합 프레임을 MPDU 별로 수신 처리하는 MPDU 수신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방법은,
무선 랜의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수신된 집합 프레임에서 딜리미터(delimeter) 정보-여기서 딜리미터 정보는 MPDU(MAC Protocol Data Unit)의 길이 정보를 포함함-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딜리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MPDU 별 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MPDU 별로 블록응답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집합 프레임 수신 스테이션은,
집합 프레임의 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무선 랜의 수신 스테이션에 있어서,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수신된 프레임의 벡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프레임이 집합 프레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신 프레임 판단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수신 프레임의 판단 결과에 따른 MPDU 수신 프레임 처리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집합 프레임의 길이 정보에 해당하는 MPDU 별 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MPDU 수신 처리부; 및 상기 집합 프레임에서 상기 MPDU 별 수신 처리를 위한 딜리미터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MPDU 수신 처리부에 제공하는 딜리미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 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랜의 집합 프레임 처리를 위한 수신 스테이션, 수신 처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 분야인 무선 랜 시스템의 집합 프레임 메커니즘에 따른 메시지 시퀀스를 보인 도면이다.
IEEE 802.11 TGn 규격의 무선 랜(Wireless LAN)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목적지를 가진 여러 프레임들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결합한 즉 집합 프레임 송신을 정의하여 채널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한다.
즉 도 3에 따르면, SIFS 구간 이내에 집합 프레임(A-MSDU)을 전송하고 그에 대한 블록응답(BLOCK ACK) 프레임을 수신한다.
여기서, 집합 프레임(A-MSDU)은 MPDU 프레임이 프래그먼트 되어 여러 개의 MPDU로 구성된 MSDU를 이루고, 이러한 MSDU가 다수 결합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용 분야인 무선 랜 시스템의 집합 프레임 메커니즘에 따른 집합 프레임 포맷을 보인 도면이다.
즉 도 4에 따르면, 집합 프레임은 각 MPDU 데이터 프레임에 딜리미터(Delimiter) 필드(P101)가 추가로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딜리미터 필드(P101)는 MPDU 데이터 프레임을 구별하기 위한 딜리미터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MPDU 데이터 프레임의 길이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2 바이트), 딜리미터 길이 정보에 대한 순환 잉여 검사(Cyclic Residuncy Check, 이하 CRC라 기술함)필드(1 바이트), 딜리미터 정보임을 알려주기 위한 패턴 필드(1 바이트)를 포함한다.
결국 집합 프레임은 딜리미터 필드(P101) 및 딜리미터 필드(P101)에 포함된 길이 정보에 해당하는 MPDU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MPDU 단위 프레임(P103)이 다수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신 스테이션에서 딜리미터의 추출을 쉽게 하기 위하여 MPDU 프레임에 더미 데이터를 붙여 MPDU 단위 프레임(P103)의 길이 정보가 딜리미터 필드(P101)의 특정 바이트 즉 4 바이트의 배수값이 되도록 한다.
이하, 이러한 집합 프레임의 수신 처리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장치를 적용한 수신 스테이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메모리 디바이스(100), 수신 프레임 판단부(200),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부(300), MPDU 수신 처리부(400), 블록응답 프레임 처리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메모리 디바이스(100)는 집합 프레임의 처리를 위한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들의 장기간 저장에 사용된다.
수신 프레임 판단부(200)는 수신 프레임의 벡터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프레임의 집합 여부를 판단한다. 즉 집합 되어 보내진 것인지 일반 MPDU로 보내진 것인지를 판단한다.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부(300)는 수신 프레임 판단부(100)의 판단 결과, 수신된 프레임이 집합 프레임인 경우 전체 집합 프레임의 길이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집합 프레임에서 유효한 딜리미터 정보를 추출한다.
MPDU 수신 처리부(400)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부(300)가 추출한 딜리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MPDU 별 수신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반 MPDU 수신 처리부(420)와 집합 MPDU 수신 처리부(440)로 세분화된다.
일반 MPDU 수신 처리부(420)는 수신 프레임 판단부(100)의 판단 결과 일반 MPDU 프레임이 수신되었을 경우, 그에 따른 수신 처리를 수행한다.
집합 MPDU 수신 처리부(440)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부(300)로부터 제공받은 딜리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집합 프레임의 길이 정보에 해당하는 MPDU 수신 처리를 수행한다.
블록응답 프레임 처리부(500)는 MPDU 수신 처리부(400)에 의한 MPDU 수신 처리가 종료되면, MPDU별로 블록응답 프레임의 생성 및 전송을 비롯한 블록응답 메커니즘을 수행한다. 이때, 수신 프레임 판단부(1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일반 MPDU 프레임의 수신에 따른 블록응답 처리를 수행하는 제1 블록응답 프레임 처리부(520)와 집합 프레임의 수신에 따른 블록응답 처리를 수행하는 제2 블록응답 프레임 처리부(540)로 세분화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메모리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되어 수신 프레임 판단부(200),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부(300), MPDU 수신 처리부(400) 및 블록응답 프레임 처리부(500)의 연동에 따른 수신 스테이션의 프레임 수신 동작을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장치를 보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장치는 저장부(700),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부(800), MPDU 수신 처리부(900) 및 블록응답 프레임 처리부(1000)를 포함한다.
저장부(700)는 집합 프레임의 수신 처리를 위한 정보 및 딜리미터의 패턴을 정의한 정보를 저장한다.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부(800)는 딜리미터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프레임에 결합된 MPDU를 구별하고 수신 프레임을 MPDU 별로 수신 처리하는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는 보다 세부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메모리(820), 집합 프레임 수신 제어 모듈(840) 및 딜리미터 처리 모듈(860)을 포함한다.
제1 메모리(820)는 수신된 집합 프레임의 길이 정보를 저장한다.
집합 프레임 수신 제어 모듈(840)은 집합 프레임의 수신 처리에 관련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집합 프레임이 수신되면 집합 프레임의 길이 정보를 확인하여 제1 메모리(820)에 저장하고, 딜리미터 처리 모듈(860)을 구동한다.
딜리미터 처리 모듈(860)은 수신된 집합 프레임에서 MPDU 정보를 가지는 딜리미터 정보를 찾아 내어 처리한다. 이에 대한 기능별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메모리(862), 추출기(864) 및 유효 검사기(8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모리(862)는 딜리미터의 MPDU 길이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MPDU 길이 정보는 도 4를 참조할 때 딜리미터 필드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추출기(864)는 수신된 집합 프레임에서 유효한 딜리미터 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딜리미터 정보를 추출하여 유효 검사기(866)의 판단 결과에 따라 딜리미터 정보 추출을 반복하거나 또는 MPDU 수신 처리 동작을 지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출기(864)는 집합 프레임의 딜리미터 필드(P101)에서 4 바이트에 해당하는 정보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제2 메모리(862)에 저장한다.
이때, 처음 추출한 2 바이트에 해당하는 정보는 각각 MPDU 길이 정보의 하위 바이트 및 상위 바이트를 구성한다. 그리고 다음 추출한 정보는 MPDU 길이 정보의 CRC 체크를 위한 FCS 값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추출한 정보는 딜리미터임을 알려 주는 패턴 값에 해당한다.
유효 검사기(866)는 추출기(864)가 추출한 딜리미터 정보의 유효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유효 여부 검사는 두 가지로 이루어지고, 각 기능별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패턴 검사기(866a)는 마지막으로 추출한 정보가 딜리미터의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은 저장부(700)에 저장된 딜리미터의 패턴값과 마지막으로 추출한 정보의 동일 여부를 비교한 결과에 따른다. 여기서, 추출 정보가 딜리미터의 패턴 정보이면 MPDU 길이 정보의 유효성 검사를 지시한다. 또는 추출 정보가 딜리미터의 패턴 정보가 아니면 추출기(864)의 딜리미터 추출의 반복을 지시한다.
길이 정보 검사기(866b)는 패턴 검사기(866a)로부터 딜리미터의 패턴 유효 판단 결과를 수신하면 MPDU 길이 정보의 유효성을 검사한다. 이는 MPDU 수신 처리를 딜리미터의 길이 정보에 의해서 하므로, 잘못된 길이 정보에 의한 데이터 손실을 막아주고자 함이다.
이러한 유효성 검사는 제2 메모리(862)에 저장한 MPDU 길이 정보의 CRC를 생성한다. 이를 제2 메모리(862)에 저장한 CRC와 동일한 지 여부를 비교한 결과에 따른다. 여기서, 판단 결과, 유효한 길이 정보인 경우 MPDU 수신 처리 동작을 지시한다. 또는 유효한 길이 정보가 아닌 경우 추출기(864)의 딜리미터 추출의 반복 동작을 지시한다.
MPDU 수신 처리부(900)는 패턴 검사기(866a) 및 길이 정보 검사기(866b)의 판단 결과에 따른 MPDU 수신 처리 동작을 제어한다. 이는 기능별로 다음과 같은 세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3 메모리(920), 판단 모듈(940), MPDU 수신 제어 모듈(960) 및 더미 데이터 처리 모듈(980)을 포함한다.
제3 메모리(920)는 MPDU 별로 수신된 프레임 정보를 저장한다.
판단 모듈(940)은 제2 메모리(862)에 저장한 MPDU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한 MPDU 데이터 프레임의 유효성 검사를 통해 수신할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유효성 검사는 MPDU 데이터 프레임의 CRC 체크, 데이터 타입 검사 및 주소 값 검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는 통용되는 기술에 상응하는 것으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MPDU 수신 제어 모듈(960)은 판단 모듈(940)의 판단 결과를 토대로 제2 메모리(862)에 저장된 MPDU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MPDU 별 수신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수신된 MPDU 프레임의 헤더 및 데이터를 비롯하여 수신 시퀀스 번호를 제3 메모리(920)에 저장한다.
더미 데이터 처리 모듈(980)은 MPDU 수신 제어 모듈(960)에 의해 MPDU 수신이 완료되면 MPDU 길이 정보에 따라 더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MPDU 길이 정보가 4의 배수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더미 데이터 처리 여부를 결정한다. 즉 MPDU 길이 정보가 4의 배수인 경우에는 추출기(864)의 딜리미터 추출 동작을 지시한다. 또는 MPDU 길이 정보가 4의 배수가 아닌 경우 즉
4n+1, 4n+2, 4n+3인 경우에는 각각 1 바이트, 2 바이트 및 3 바이트에 해당 하는 정보를 더 수신한 후 추출기(864)의 딜리미터 추출 동작을 지시한다.
블록응답 프레임 처리부(1000)는 제1 메모리(820)에 저장된 집합 프레임의 길이 정보에 해당하는 MPDU 별 프레임 수신이 완료되면, 블록응답 메커니즘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즉 수신된 각 MPDU 별 프레임에 대한 블록응답을 송신 스테이션에 보내어 알려주기 위한 블록응답 프레임의 생성 및 송신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제, 상술한 구성 요소 들간의 유기적인 동작에 따른 집합 프레임 처리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합 프레임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순서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집합 프레임 처리 과정은 집합 프레임 수신 단계(S100), 딜리미터 처리 단계(S200), MPDU 수신 단계(S300), 반복 여부 판단 단계(S400) 및 블록응답 처리 단계(S500)를 포함한다.
집합 프레임 수신 단계(S100)는 송신 스테이션이 전송한 집합 프레임을 수신하여 집합 프레임의 길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이때, 집합 프레임의 수신은 수신 프레임의 벡터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프레임이 집합 프레임인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따른다.
딜리미터 처리 단계(S200)는 상기 단계(S100)에서 수신한 집합 프레임에서 딜리미터 정보를 추출한다.
MPDU 수신 단계(S300)는 상기 단계(S200)에서 추출한 딜리미터 정보를 이용 하여 상기 단계(S100)에서 수신한 집합 프레임의 MPDU 별 수신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딜리미터 처리 단계(S200) 및 MPDU 수신 단계(S300)는 MPDU가 집합 프레임의 길이 정보에 해당하는 만큼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400) 그에 따라 반복 수행한다.
블록응답 처리 단계(S500)는 상기 단계(S100)에서 저장한 길이 정보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단계(S300)에서 MPDU 별 수신 처리가 완료되면 각 MPDU 에 대한 블록응답 프레임의 생성 및 전송을 수행한다.
여기서, 딜리미터 처리 단계(S200) 및 MPDU 수신 단계(300)에 관하여 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도 8은 도 7의 딜리미터 처리 단계(S200)를 세부적으로 보인 흐름도이다.
도 8에 따르면, 집합 프레임의 딜리미터 필드(P101)에 포함된 정보를 바이트 별로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한다(S201, S203, S205, S207).
이때, 상기 단계(S201)에서 수신한 1 바이트의 정보는 MPDU 길이 정보의 하위 바이트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S203)에서 수신한 1 바이트의 정보는 MPDU 길이 정보의 상위 바이트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S205)에서 수신한 1 바이트의 정보는 MPDU 길이 정보의 CRC 체크를 위한 FCS 값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S207)에서 수신한 1 바이트의 정보는 상기 단계(S201, S203, S205)에서 수신한 정보가 딜리미터 정보임을 나타내는 패턴 값이다.
그러면, 상기 단계(S207)에서 수신한 정보가 기설정된 딜리미터 패턴 값과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209).
판단 결과(S209),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단계(S201, S203, S205, S207, S209)를 반복한다.
판단 결과(S209), 일치하면 상기 단계(S205)에서 수신한 정보를 이용한 MPDU 길이 정보의 유효성을 검사한다(S211). 이때, 유효성 검사는 상기 단계(S201, S203)에서 수신한 MPDU 길이 정보에 대한 CRC 체크를 위한 FCS 값을 생성하여 상기 단계(S205)에서 수신한 FCS 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S211),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단계(S201, S203, S205, S207, S209, S211)를 반복한다.
판단 결과(S211), 일치하면 상기 단계(S201, S203)를 통해 획득한 MPDU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MPDU 수신 처리를 수행한다(S213).
또한, 도 9는 도 7의 MPDU 수신 단계(S300)를 세부적으로 보인 흐름도이다.
도 9에 따르면, 딜리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MAC 헤더를 수신한다(S301).
MAC 헤더의 수신이 완료되면(S303), MAC 바디 프레임을 수신한다(S305).
이때, MAC 바디 프레임은 딜리미터 처리에 따라 획득한 MPDU 길이 정보에 해당하는 만큼 수신한다(S307).
상기 단계(S301 내지 S307)에서 수신한 MPDU 프레임이 수신된 집합 프레임의 길이 정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9).
판단 결과(S309), 집합 프레임의 길이 정보에 해당하는 만큼 MPDU 프레임이 수신되었으면 블록응답 프레임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S311).
판단 결과(S309), MPDU 수신 프레임이 집합 프레임의 길이 정보에 해당하는 만큼 수신되지 않았다면 MPDU 처리 동작을 계속한다. 이때, MPDU 길이 정보가 4의 배수인지를 확인한다(S313).
확인 결과(S313), MPDU 길이 정보가 4의 배수라면 더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지 않으므로 바로 딜리미터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S317).
확인 결과(S313), MPDU 길이 정보가 4n+1, 4n+2, 4n+3에 해당하면 더미 데이터를 수신한다(S315). 여기서 더미 데이터란 딜리미터 필드(P101)를 포함하는 MPDU 단위 프레임의 길이 정보가 4의 배수에 해당하도록 덧붙여진 데이터이다.
따라서, 상기 단계(S315)는 MPDU 길이 정보가 4n+1인 경우 1 바이트에 해당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MPDU 길이 정보가 4n+2인 경우 2 바이트에 해당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MPDU 길이 정보가 4n+3인 경우 3 바이트에 해당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단계(S315)에서 더미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면, 딜리미터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S317).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합 프레임 처리 과정을 상태 별로 보인 도면이다.
도 10에 따르면, 시작 상태(1100), 수신 벡터 처리 상태(1200), 딜리미터 처리 상태(1300), MPDU 수신 처리 상태(1400) 및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상태(1500) 로 이루어진다.
수신 벡터 처리 상태(1200)는 수신 프레임의 수신 벡터 정보를 이용하여 집합 프레임인지 또는 일반 MPDU 프레임인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 결과에 따라 딜리미터 처리 상태(1300) 및 MPDU 수신 처리 상태(1400)로 넘어간다.
딜리미터 처리 상태(1300)는 집합 프레임의 유효한 딜리미터 정보를 추출한다.
MPDU 수신 처리 상태(1400)는 딜리미터 처리 상태(1300)에 의해 추출한 유효한 딜리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MPDU 수신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딜리미터 처리 상태(1300) 및 MPDU 수신 처리 상태(1400)는 딜리미터 정보의 추출 및 MPDU 수신 처리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그리고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상태(1500)로 넘어간다.
또한, 수신 벡터 처리 상태(1200)에서 일반 MPDU를 수신하여 넘어온 경우 일반 MPDU에 해당하는 수신 처리를 수행한 후 시작 상태(1500)로 넘어간다.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상태(1500)는 집합 프레임의 길이 정보에 해당하는 만큼의 MPDU 수신 처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MPDU 수신 처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MPDU 수신 처리 상태(1400)에 의해 수신된 MPDU 별 블록응답 처리를 수행한 후 시작 상태(1100)로 넘어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프레임으로 묶어 데이터의 전송 지연을 최소화함으로써 고속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집합 프레임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8)

  1. 무선 랜(Wireless LAN)의 집합(Aggregation) 프레임 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집합 프레임의 수신 및 상기 집합 프레임에서 유효한 딜리미터(delimeter) 정보-여기서 딜리미터 정보는 MPDU(MAC Protocol Data Unit)의 길이 정보를 포함함-를 추출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부; 및
    상기 딜리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집합 프레임을 MPDU 별로 수신 처리하는 MPDU 수신 처리부
    를 포함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부는,
    수신된 집합 프레임의 길이 정보를 저장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제어 모듈; 및
    상기 집합 프레임 수신 제어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집합 프레임에서 상기 딜리미터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길이 정보에 해당하는 MPDU 수신 완료 여부에 따라 이를 반복 수행하는 딜리미터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딜리미터 처리 모듈은,
    상기 MPDU의 길이 정보, CRC(Cyclic Residuncy Check) 정보 및 딜리미터 패턴 정보로 구성된 상기 딜리미터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 및
    상기 집합 프레임에서 유효한 딜리미터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하는 추출기
    를 포함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딜리미터 처리 모듈은,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딜리미터 패턴 정보와 기설정된 딜리미터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딜리미터 정보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패턴 검사기; 및
    상기 패턴 검사기에 의해 유효한 정보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메모리에 저
    장된 CRC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MPDU의 길이 정보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길이 정보 검사기
    를 포함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PDU 수신 처리부는,
    상기 유효한 딜리미터 정보에 해당하는 MPDU 프레임의 유효성을 검사하여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
    상기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유효한 딜리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유효한 MPDU 프레임의 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MPDU 수신 제어 모듈; 및
    상기 MPDU 프레임의 길이 정보가 상기 집합 프레임에서 기설정된 MPDU 단위 프레임의 길이 정보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더미 데이터를 수신하는 더미 데이터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 프레임은
    상기 MPDU 프레임의 길이 정보를 나타내는 특정 바이트의 딜리미터 필드 및 상기 길이 정보에 해당하는 MPDU 프레임으로 구성된 MPDU 단위 프레임이 다수개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MPDU 단위 프레임의 길이 정보는 상기 특정 바이트의 배수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데이터 처리 모듈은,
    상기 MPDU 프레임의 길이 정보가 상기 특정 바이트의 배수값이 아닌 경우 해당 더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 프레임의 길이 정보에 해당하는 MPDU 별로 블록응답 처리를 수행하는 블록응답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장치.
  9. 무선 랜의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수신된 집합 프레임에서 딜리미터(delimeter) 정보-여기서 딜리미터 정보는 MPDU(MAC Protocol Data Unit)의 길이 정보를 포함함-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딜리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MPDU 별 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MPDU 별로 블록응답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전에,
    수신 프레임이 집합 프레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ⅰ) 상기 집합 프레임의 길이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ⅱ) 상기 길이 정보에 따른 상기 집합 프레임의 유효한 MPDU 딜리미터 정보의 추출을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ⅱ)단계는,
    (ⅱ-1) 수신한 딜리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MPDU의 길이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ⅱ-2) 수신한 딜리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MPDU의 CRC(Cyclic Residuncy Check)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ⅱ-3) 수신한 딜리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딜리미터 패턴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ⅱ-4) 상기 MPDU의 CRC 정보 및 상기 딜리미터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MPDU 수신 처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딜리미터 정보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ⅱ-4)단계는,
    상기 (ⅱ-3)단계에서 구성한 상기 딜리미터 패턴 정보를 기설정된 딜리미터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딜리미터 정보의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딜리미터 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ⅱ-1)단계에서 구성한 MPDU 길이 정보에 해당하는 CRC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CRC 정보를 상기 (ⅱ-2)단계에서 구성한 CRC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MPDU 길이 정보의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ⅱ-4)단계는,
    상기 딜리미터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MPDU 길이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경우 상기 (ⅱ-1)단계, 상기 (ⅱ-2)단계 및 상기 (ⅱ-3)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ⅰ) 상기 유효한 딜리미터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유효한 MPDU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ⅱ) 상기 MPDU 길이 정보가 상기 집합 프레임의 딜리미터 위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른 더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ⅰ) 단계와 (ⅱ)단계 사이에는,
    상기 수신된 각 MPDU 프레임의 길이 정보의 합이 상기 집합 프레임의 길이 정보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c)단계 또는 상기 (ⅱ)단계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방법.
  17. 집합 프레임의 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무선 랜의 수신 스테이션에 있어서,
    집합 프레임 수신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수신된 프레임의 벡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프레임이 집합 프레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신 프레임 판단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수신 프레임의 판단 결과에 따른 MPDU 수신 프레임 처리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집합 프레임의 길이 정보에 해당하는 MPDU 별 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MPDU 수신 처리부; 및
    상기 집합 프레임에서 상기 MPDU 별 수신 처리를 위한 딜리미터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MPDU 수신 처리부에 제공하는 딜리미터 처리부
    를 포함하는 수신 스테이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MPDU 수신 프레임의 블록응답을 처리하는 제1 블록응답 처리부; 및
    상기 집합 프레임의 MPDU 별로 블록응답을 처리하는 제2 블록응답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수신 스테이션.
KR1020060041348A 2005-12-08 2006-05-09 무선 랜의 집합 프레임 처리를 위한 수신 스테이션, 수신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67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9924 2005-12-08
KR1020050119924 2005-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064A KR20070061064A (ko) 2007-06-13
KR100767314B1 true KR100767314B1 (ko) 2007-10-17

Family

ID=3835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348A KR100767314B1 (ko) 2005-12-08 2006-05-09 무선 랜의 집합 프레임 처리를 위한 수신 스테이션, 수신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3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75491A1 (en) * 2016-05-11 2019-03-07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ack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5289A2 (en) * 2007-09-12 2009-03-19 Lg Electronics Inc. Radio measurement procedure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wireless station supporting the procedures
KR100912079B1 (ko) * 2007-12-14 2009-08-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망에서 집합 프레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8873461B2 (en) 2010-02-12 2014-10-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acket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67476B2 (en) 2010-03-12 2015-10-20 Intellectual Discover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packe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713960A (zh) * 2019-10-25 2021-04-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发送方法、接收方法、装置、通信节点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080A (ja) 2000-05-24 2001-11-30 Toyota Industries Corp 無線通信装置
WO2005004500A2 (en) 2003-06-27 2005-01-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aggreg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050025518A (ko) * 2003-09-08 2005-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에서 맥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처리하는 방법 및그 장치
KR20060128297A (ko) * 2005-06-10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수집에 적합한 버퍼 디스크립터 구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080A (ja) 2000-05-24 2001-11-30 Toyota Industries Corp 無線通信装置
WO2005004500A2 (en) 2003-06-27 2005-01-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aggreg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050025518A (ko) * 2003-09-08 2005-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에서 맥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처리하는 방법 및그 장치
KR20060128297A (ko) * 2005-06-10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수집에 적합한 버퍼 디스크립터 구성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75491A1 (en) * 2016-05-11 2019-03-07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ack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US11540169B2 (en) 2016-05-11 2022-12-27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ACK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US11979771B2 (en) 2016-05-11 2024-05-07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ACK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US11979772B2 (en) 2016-05-11 2024-05-07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ACK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064A (ko)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4673B2 (ja) レイヤ2処理および無線通信用のプロトコルデータユニット作成の方法および装置
JP5113265B2 (ja) 通信フレーム中のヘッダをフォーマッ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5177995B2 (ja) フレーム集約
JP3891145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67314B1 (ko) 무선 랜의 집합 프레임 처리를 위한 수신 스테이션, 수신처리 장치 및 방법
US8494001B2 (en) Concatenated frame structure for data transmission
JP570741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フレーム生成、送信、及び受信方法とその装置
JP2008509622A (ja) Ackフレーム伝送方法及び装置
US97745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frame
JP2005312060A (ja) 無線近距離通信網での伝送されたデータストリームの受信通知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915315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エラー処理装置及び方法
JP2013017239A (ja) アップリンクプロトコル変更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3384415A (zh) 无线系统、rnc以及在rnc中使用的方法
EP265422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KR100734388B1 (ko) 무선 랜의 블록응답 프레임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블록응답 프레임 처리 방법
MXPA06005207A (en) Updating next-expected tsn and receiver window to avoid stall conditions
WO2009055971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e donné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