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413B1 - Mobile phone with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setting sleep mode and method for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with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setting sleep mode and method 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413B1
KR100764413B1 KR1020060052320A KR20060052320A KR100764413B1 KR 100764413 B1 KR100764413 B1 KR 100764413B1 KR 1020060052320 A KR1020060052320 A KR 1020060052320A KR 20060052320 A KR20060052320 A KR 20060052320A KR 100764413 B1 KR100764413 B1 KR 100764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time
sleep mode
mode
il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3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유노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60052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4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4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mobile terminal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setting a sleep mode and its method are provided to effectively use a sleep mode by controlling a call-reception tone in a general mode if a phone number of a caller belongs to a sleep exception list designat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a call of the designated person while he is asleep. A memory(110) stores information on sleep mode determining factors including a sleep time zone and a reference illumination intensity value. A time detecting unit(140) checks the current time. An illumination intensity detecting unit(150) detects illumination intensity around a mobile terminal. An incoming-call notifying unit(190) operates according to a certain control signal and outputs a bell sound or outputs a call-reception tone by generating vibration, a mute tone or blinking a lamp. A manipulation monitoring unit(160) monitors whether the terminal is manipulated or not.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a pre-set time zone, when the illumination intensity valu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illumination intensity, or when the monitored final manipulation time point exceeds the reference value of a non-use time previously set in the memory(110), a bell controller(200) sets a call-reception tone output mode to a sleep mode. When a call is received, if the call-reception tone output mode is the sleep mode, the bell controller(200) controls the incoming-call notifying unit(190) to output a call-reception tone set according to the sleep mode.

Description

취침모드 자동 설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MOBILE PHONE WITH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SETTING SLEEP MODE AND METHOD FOR}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utomatic setting of sleep mode and its method {MOBILE PHONE WITH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SETTING SLEEP MODE AND METHOD FO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착신음 제어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1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ing ton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ringing t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착신음 제어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ring tone controller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의 취침모드판단요소별 기준값과 그 검출 결과값을 도시한 테이블이다.4 is a table showing reference values for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s and detection results thereof of a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ringing t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착신음 제어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ring tone controller of FIG. 5.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메모리 111: 취침모드판단요소110: memory 111: sleep mode judgment element

113: 취침예외리스트 115: 전화번호부113: Sleeping exception list 115: Phonebook

120: 키입력부 130: 무선처리부120: key input unit 130: wireless processing unit

140: 시간검출부 150: 조도검출부140: time detector 150: illuminance detector

160: 조작감시부 170: 표시부160: operation monitoring unit 170: display unit

180: CID추출부 190: 착신알림부180: CID extraction unit 190: call notification unit

200: 벨제어부200: bell control uni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제어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수면시간대와 조도 등의 취침모드판단요소를 체크하여 이를 만족할 경우 자동으로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설정 제어함과 아울러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취침예외리스트에 속할 경우 착신음을 일반모드로 제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인 취침모드 자동 설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ng tone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particular, the terminal checks a predetermined sleep mode judgment element such as a sleep time zone and illuminance, and if it satisfies this, automatically sets the ring tone output mode to sleep mode and sends a call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leep mode automatic setting function which improves convenience by controlling a ringing tone in a general mode when the phone number belongs to a sleep exception list specified by a user.

이동통신단말기의 편리성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으로 인해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었으나, 취침 중에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잘못 걸려온 전화라든지 아니면 단문메시지 수신 등으로 인해 깊은 수면을 방해받는 경우가 자주 있으며, 취침시에는 어떠한 방해도 받고 싶지 않은 게 대부분의 사용자들의 요구이다.It has become a necessity of modern man due to the convenience and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it is often disturbed deep sleep by receiving wrong message or receiving short message during bedtime. It's a demand from most users that you don't want to receive.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수신 거부 시스템은 RF(Radio Frequency) 송수신부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방식이거나 아니면 벨소리를 음소거(Mute) 모드로 설정하는 방식,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 자체를 꺼버리는 방식 등이 있다.Conventional mobile phone rejection syst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RF (Radio Frequency) transceiver, or to set the ring tone to mute (Mute) mode, or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itself. And the like.

따라서, 상기 설정된 전화수신 거부 시간대를 취침 시간에 맞게 설정할 경 우, 취침 시간동안에는 전화나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전화벨이 울리지 않고, 알람 기능은 정상 동작한다.Therefore, when the set time zone for the incoming call rejection is set according to the bedtime, the telephone does not ring because the telephone or the short message cannot be received during the bedtime, and the alarm function operates normally.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수신 거부 시스템에서 취침 시간에 수면의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해서 설정하는 전화수신 거부와 알람 설정은 RF 송수신부의 전원을 완전히 오프시키는 방식이므로, 만약 주변 사람 중에 위급한 경우가 있어서 급히 연락을 취할 경우에는 아예 수신이 되지 않는 방식이었고, 또한 취침하는 동안에 수신이 전혀 안되기 때문에 기상 후에 전화 수신 목록을 알고 싶어도 알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all rejection and alarm setting, which is set so as not to disturb the sleep at bedtime in the conventional phone call rejection system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ethod of completel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RF transceiver. In case of emergenc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could not be received at all when it was urgently contact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0549929호에서는 동일 발신자의 호착신 횟수를 카운트한 후 임계 호착신 횟수를 초과할 경우 벨소리를 출력시키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No. 10-0549929 proposes a technique of outputting a ring tone when the number of call arrivals of the same caller is counted and then the number of threshold call arrivals is exceeded.

이와 같은 종래기술을 도 1의 플로우챠트를 통해 간단하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Looking at such a prior art briefly through the flow chart of Figure 1 as follows.

먼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키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취침시 알람 모드를 설정받고(ST1),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설정된 알람 모드를 인지한다(ST2). 즉, 사용자는 취침시에 이동통신단말기를 알람모드로 설정한다.Firs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leep mode alarm mode is set by the us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ST1), and the microprocessor recognizes the set alarm mode (ST2). That is, the user se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alarm mode at bedtime.

그리고, 키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취침시 전화수신 거부 모드 및 임계 동일 호수신 횟수를 설정받는다(ST3). Then, the user receives a phone input rejection mode and the same number of times of critical response when the user goes to b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ST3).

즉, 사용자는 취침시 이동통신단말기를 전화수신 거부 모드로 설정하고 전화수신 거부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조건인 임계 동일 호수신 횟수를 설정한다.That is, the user se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e time of bedtime to the call reception rejection mode and sets the threshold equal number of calls, which is a condition for canceling the call reception rejection mode.

이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설정된 전화수신 거부 모드 및 임계 동일 호수신 횟수를 인지한다(ST4).Accordingly, the microprocessor recognizes the set call rejection mode and the threshold equal number of times of reception (ST4).

이와 같이 설정한 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무선회로부를 통해 전화 호가 수신되었는지를 감시한다(ST5).After setting as described above, the microprocessor monitors whether a telephone call is received through the radio circuit unit (ST5).

상기 감시 결과(ST5),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화 호가 수신된 경우에 해당 동일 호수신 횟수를 누적한다(ST6).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ST5), the microprocessor accumulates the same number of deferred calls when a telephone call is received (ST6).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누적된 동일 호수신 횟수가 상기 설정된 임계 동일 호수신 횟수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ST7).The micro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accumulated same number of reversals is equal to the set threshold number of reversals (ST7).

이때, 상기 판단 결과(ST7), 상기 누적된 동일 호수신 횟수가 상기 설정된 임계 동일 호수신 횟수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호수신 감시 과정(ST5)으로 회귀한다.At this time,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ST7), the cumulative number of the same number of new lake gods is not the same as the set threshold equal number of lake gods, the microprocessor returns to the lake god monitor process (ST5).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ST7), 상기 누적된 동일 호수신 횟수가 상기 설정된 임계 동일 호수신 횟수와 동일한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벨소리 발생을 명령한다(ST8).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ST7), the cumulative number of the same number of new deferred number is the same as the set threshold number of the same number of deferred number, the microprocessor instructs the ringtone generation (ST8).

상기 벨소리 발생 명령에 따라 벨소리 신호를 발생시키고, 해당 발생된 벨소리 신호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벨소리로 변환한 후 외부로 출력된다(ST9). A ring tone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ring tone generation command, and the generated ring tone signal is output to the outside after being converted into a ring tone that a user can hear through the speaker (ST9).

이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벨소리 제어방식은 사용자가 일일이 알람모드를 직접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방식이고, 위급한 경우에도 착신자의 취침모드 설정 상태를 모르는 발신자가 호접속을 여러번이나 시도하기란 쉽 지 않은 상황이며, 상당히 위급한 경우에는 여러번의 호접속을 시도하는 것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는 등 제반 상황에 상당히 취약한 방식인 것이다. The conventional ring control method that operates as described above is quite cumbersome and inconvenient because the user must set the alarm mode manually, and it is easy for a caller who does not know the receiver's sleep mode setting state to try to make a call several times even in an emergency. This is a very vulnerable situation, such as trying to make multiple call connections in the case of a very urgent situation may be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면시간대와 조도 등의 취침모드판단요소를 자동으로 체크하여 이를 만족할 경우 자동으로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설정함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인 취침모드 자동 설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check the sleep mode judgment elements such as sleep time zone and illuminance, and if the call is satisfied, automatically set the ring tone output mode to the sleep mode, which increases the ease of use of the sleep mode automatic setting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취침모드판단요소를 자동으로 체크하여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설정하되,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취침예외리스트에 속할 경우 착신음을 일반모드로 제어하는 취침모드 자동 설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check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to set the ring tone output mode to sleep mode, if the caller's phone number belongs to the sleep exception list specified by the user sleep mode automatic contro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tting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취침모드판단요소를 자동으로 체크하여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설정하되,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착신자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었을 경우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제어함과 아울러 발신자단말기로 취침 중임을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자동 전송하는 취침모드 자동 설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check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and set the ring tone output mode to sleep mode, when the caller's phone number is registered in the phone book of the called party's terminal to control the ring tone output mode to sleep mode an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having an automatic sleep mode setting function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text message indicating that the user is sleep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제어 장치에 있어서, 수면시간대와 기준조도값을 포함한 취침모드판단요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현재 시간을 체크하는 시간검출부; 이동통신단말기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검출부; 착신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벨소리 출력이나 진동 발생, 묵음 또는 램프의 점멸을 통해 착신음을 출력하는 착신알림부; 및 상기 시간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현재시간이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수면시간대이고 상기 조도검출부를 통해 출력되는 조도값이 메모리에 설정된 기준조도 이하일 경우에는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설정하되, 호착신시 착신음출력모드가 취침모드일 경우에는 취침모드에 대응하여 설정된 착신음을 출력하도록 착신알림부를 제어하는 벨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echnica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ring tone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including the sleep time zone and the reference illumination value; A time detector for checking a current time; An illuminanc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peripheral illumin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incoming call notification unit which is oper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when receiving an incoming call and outputs a ringing sound through a ring tone output or vibration, silence or a flashing of a lamp; And when the current time detected by the time detector is a sleep time zone preset in the memory and the illuminance value output through the illuminance detecto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illuminance set in the memory, the ring tone output mode is set to sleep mode. When the output mode is the sleep mode, the bel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unit to output the ring tone set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단말기의 조작여부를 감시하는 조작감시부를 더 구비하되, 벨제어부는 상기 조작감시부를 통해 감시한 최종 조작시점이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미사용시간을 경과할 경우에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whether the terminal is operated, and the bell control unit may set the ring tone output mode when the last operation time monitored by 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has passed the unused time preset in the memory. And set to sleep mode.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의 최종 조작시점은 착신 시점을 기준으로 키입력부를 마지막으로 조작한 시간 또는 최종 통화종료 시점이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미사용시간과 수면시간대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Specifically, the final operation time of the terminal is the time when the key input unit was last operated or the last call termination time based on the incoming time, and the unused time and the sleep time zone stored in the memory are configured to be changed by the user. .

또한, 상기 조도검출부는 촬영영상의 휘도로 조도를 검출하는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lluminance detecting unit may be a camera that detects illuminance based on the brightness of the captured ima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제어 장치에 있어서, 수면시간대와 기준조도값을 포함한 취침모드판단요소 및 발신자전화번호인 취침예외리스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취침모드판단요소의 각 기준값과 취침예외리스트에 대한 목록을 입력 받는 키입력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포함된 시간정보를 검출하는 시간검출부; 이동통신단말기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검출부; 호착신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CID추출부; 호착신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벨소리 출력이나 진동 발생, 묵음 또는 램프의 점멸을 통해 착신음을 출력하는 착신알림부; 및 상기 시간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현재시간이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수면시간대이고 상기 조도검출부를 통해 출력되는 조도값이 메모리에 설정된 기준조도 이하일 경우에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CID추출부를 통해 추출한 발신자전화번호가 취침예외리스트에 속하는지를 체크한 후 취침예외리스트에 속할 경우 착신음을 미리 지정된 일반모드로 제어하는 벨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technica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ring tone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including the sleep time zone and the reference illumination value and the sleep exception list which is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list of each reference value and a sleep exception list of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s stored in the memory; A time detector detecting ti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n illuminanc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peripheral illumin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D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when the call; An incoming call notification unit which is oper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when the incoming call is made and outputs a ringing tone through the occurrence of a ring tone or vibration, silence or flashing of a lamp; And setting the ring tone output mode to sleep mode and extracting the CID when the current time detected by the time detector is a preset sleep time zone in the memory and the illuminance value output through the illuminance detector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set in the memory. And a bel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inging tone in a predetermined general mode when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extracted through the unit belongs to the sleeping exception list after checking whether the calling party phone number belongs to the sleeping exception list.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단말기의 조작여부를 감시하는 조작감시부를 더 구비하되, 벨제어부는 상기 조작감시부를 통해 감시한 최종 조작시점이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미사용시간을 경과할 경우에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whether the terminal is operated, and the bell control unit may set the ring tone output mode when the last operation time monitored by 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has passed the unused time preset in the memory. And set to sleep mode.

구체적으로 상기 메모리는, 수면시간대와 조도 및 미사용시간에 대한 각 기준값을 포함하고 있는 취침모드판단요소 영역; 호착신시 취침모드에 관계없이 착신음을 일반모드로 작동시킬 발신자전화번호가 수록되어 있는 취침예외리스트 영역; 및 발신자별 이름과 전화번호 목록이 수록된 전화번호부 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memory includes a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region including respective reference values for the sleep time zone, illuminance, and unused time; A sleep exception list area containing a caller's telephone number for operating a ringing tone in a normal mode regardless of the sleep mode when the call is received; And a phone book area in which a name and a phone number list of each caller are included.

상기 취침모드판단요소는 상기 취침모드판단요소는, 수면시간대, 조도, 이동 통신단말기의 미사용시간, 착신음출력모드 및 취침모드시 착신음의 형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orm of sleep time zone, illuminance, unused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ing tone output mode and the ring tone in the sleep mode.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제어 방법에 있어서, 수면시간대와 기준조도값을 포함한 취침모드판단요소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설정하는 제 1단계; 현재 시간을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수면시간대인지를 판단하는 제 2단계; 상기 수면시간대일 경우에는 조도검출부를 통해 주변 밝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 3단계; 상기 현재 시간이 수면시간대이고 일정 조도 이하일 경우에는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자동 설정하는 제 4단계; 및 호착신시 착신음출력모드가 취침모드인지를 판단하고 취침모드일 경우에는 취침모드에 대응하여 설정된 착신음을 출력하는 제 5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chnica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ring t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first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including the sleep time zone and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set in the memory ; A second step of checking a current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 sleep time zone is preset; A thir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mbient brightness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in the sleep time zone; A fourth step of automatically setting a ringing tone output mode to a sleep mode when the current time is a sleep time zone and below a predetermined illuminance; And a fif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ringing tone output mode is the sleep mode when the call is received, and outputting the ringing tone set according to the sleep mode in the sleep mode.

상기 제 4단계에서 취침모드로 제어하기 전, 이동통신단말기의 최종 조작시점을 체크하여 최종 조작시점이 미리 설정된 미사용시간을 경과할 경우에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checking the final operation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fore controlling the sleep mode in the fourth step, and controlling the ring tone output mode to sleep mode when the final operation time has elapsed in advance. It featur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제어 방법에 있어서, 수면시간대와 기준조도값을 포함한 취침모드판단요소와 호착신시 취침모드에 관계없이 착신음을 일반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한 취침예외리스트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설정하는 제 1단계; 현재 시간을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수면시간대인지를 판단하는 제 2단계; 상기 수면시간대일 경우에는 조도검출부를 통해 주변 밝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 3단계; 상기 조도가 기준값 이하일 경우에 조작감시부를 통해 단말기의 미사용시간이 일정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 4단계; 상기 현재 시간이 수면시간대이고 일정 조도 이하이며 미사용시간이 일정시간을 경과하였을 경우에는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설정하는 제 5단계; 상기 취침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호착신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취침예외리스트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6단계; 및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취침예외리스트에 속하지 않을 경우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취침예외리스트에 속할 경우 착신음을 미리 설정된 일반모드로 제어하는 제 7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technica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ing tone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ring tone mode determination element including the sleep time zone and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and ringing tone regardless of the sleep mode when the call is in the normal mode A first step of receiving a sleep exception list for operation and setting it in a memory; A second step of checking a current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 sleep time zone is preset; A thir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mbient brightness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in the sleep time zone; A four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nused time of the terminal has elapsed by 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when the illuminance is lower than a reference value; A fifth step of setting a ringing tone output mode as a sleep mode when the current time is a sleep time zone, a predetermined illuminance level, and the unused time has elapsed for a predetermined time; A sixth step of extracting a caller's telephone number which has been received in the sleep mod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aller belongs to a sleep exception list; And a seventh step of controlling the ring tone output mode to sleep mode when the caller's phone number does not belong to the sleep exception list, and controlling the ring tone to a preset general mode when the caller's phone number belongs to the sleep exception lis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제 6단계에서 추출한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취침모드 작동 중임을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etermining whether the caller's phone number extracted in the sixth step is a phone number registered in a phone book; If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is registered in the phone book, controlling the ring tone output mode to sleep mode;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text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leep mode is in operation to the send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메모리(110), 키입력부(120), 시간검출부(140), 조도검출부(150), 착신알림부(190) 및 벨제어부(20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ringing t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110, the key input unit 120, the time detector 140, the illuminance detector 150, and the incoming call alerter And a bell control unit 200 and the like.

상기 메모리(110)는 수면시간대와 기준조도값 및 취침모드시에 출력하고자 하는 착신음의 형태(묵음 또는 램프점멸)를 포함한 취침모드판단요소(111)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 상기 취침모드판단요소(111)의 각 기준값들은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수면시간대 등의 각 기준값들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memory 110 stores information on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111 including a sleep time zone, a reference illuminance value, and a shape of a ringing tone (silent or flashing lamp) to be output in the sleep mode. Each reference value of the determination element 111 is set as a default, but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change each reference value such as a sleep time zone.

상기 키입력부(120)는 메모리(110)에서 제공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취침모드판단요소(111)인 수면시간대와 조도 및 미사용시간에 기준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통화나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숫자/문자키, 메뉴키,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key input unit 120 receives a reference value from the user in the sleep time zone and illuminance and unused time of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111 through a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memory 110, or a number for performing a call or various functions. It consists of text keys, menu keys, and touch screen.

상기 무선처리부(130)는 이동통신망과 무선신호를 교환하는 변조기와 송신증폭기 및 수신증폭기와 복조기 등으로 이루어져 이동통신망을 통해 각종 통신서비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wireless processing unit 130 is composed of a modulator, a transmission amplifier, a reception amplifier and a demodulator for exchanging radio signals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시간검출부(140)는 무선처리부(130)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제공받은 후 송신 정보에 포함된 소정의 시간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ime detector 140 is configured to detect predetermined ti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processor 130.

상기 조도검출부(15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 조도검출부(150)는 감지된 조도에 대응되는 소정 레벨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조도센서 또는 벨제어부(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된 임의 영상의 휘도를 이용하여 조도를 검출하는 카메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도검출부(150)로 카메라를 이용할 경우 현재 대부분의 단말기에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도센서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The illuminance detector 150 is configured to detect the ambient illumin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lluminance detector 150 outputs a detection signal of a predetermined leve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illuminance of the illuminance sensor or the bell controller 200. And a camera for detecting illuminance using the luminance of an arbitrary image captur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When the camera is used as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150, since the camera is installed in most terminals, the illumination sensor does not need to be separately installed.

상기 착신알림부(190)는 착신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벨소리 출 력이나 진동 발생, 묵음 또는 램프의 점멸 등을 통해 착신음을 출력하는 벨출력수단, 진동모터, 및 점멸수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착신음은 벨소리뿐만 아니라 진동, 묵음 및 램프점멸 등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다.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190 is oper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when the incoming call is composed of a bell output means, a vibration motor, and a flashing means for outputting the ringing tone through the ring output or vibration, silence or flashing of the lamp, etc. It is. The ring tone is a term that includes not only the ring tone but also vibration, silence and lamp flashing.

상기 벨제어부(200)는 시간검출부(140)를 통해 검출한 현재시간이 메모리(110)에 미리 설정된 수면시간대이고 상기 조도검출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조도값이 메모리(110)에 설정된 기준조도 이하일 경우에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묵음 또는 램프점멸)로 설정함과 아울러 호착신시 착신음출력모드를 체크한 후 취침모드에 대응하여 설정된 착신음을 출력하도록 착신알림부(19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bell control unit 200 has a current time detected by the time detector 140 is a sleep time zone preset in the memory 110, and the illuminance value output through the illuminance detector 150 is a reference illuminance set in the memory 110. In the following case, the incoming call output mode is set to the sleep mode (mute or lamp flashing) and the incoming call output unit 190 is controlled to output the ringing tone set according to the sleep mode after checking the incoming call output mode. It is.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조작감시부(160)를 더 구비하여 단말기의 조작여부를 감시하되, 벨제어부(200)는 상기 조작감시부(160)를 통해 감시한 최종 조작시점을 체크하여 메모리(110)에 미리 설정된 미사용시간과 상호 비교한 후 최종 조작시점이 미사용시간의 기준값을 경과할 경우에는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monitoring unit 160 to monitor whether the terminal operation, the bell control unit 200 checks the last operation time monitored through 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160 to the memory 110 When the final operation time passes the reference value of the unused time after comparing with the preset unused time, it is configured to set the ringing tone output mode to the sleep mode.

상기에서 조작감시부(160)는 없어도 무방한 구성이지만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취침모드를 보다 정확하게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필요한 구성이며, 조작감시부(160)에 의해 감시되는 단말기의 최종 조작시점은 감시하는 현재 시점 또는 호착신 시점을 기준으로 키입력부(120)를 마지막으로 조작한 시점 또는 최종 통화종료 시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160 may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16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sleep mode more accurately according to a user's situation, and the final operation time of the terminal monitored by 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160 may be a current time point to be monitored or It is preferable that the time of the last operation of the key input unit 120 or the end of the last call on the basis of the call reception time.

아울러, 상기 취침모드판단요소(111)에 저장된 미사용시간은, 예컨대 10분 정도의 디폴트값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메모리(110)에서 제공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미사용시간의 기준값을 5분, 20분 또는 30분 정도로 변경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수면시간대도 디폴트로 21시부터 6시까지로 설정되어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기준값을, 예컨대 23시부터 6시까지 등으로 변경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조도도 디폴트로 10럭스(Lux) 정도로 설정되어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기준값을, 예컨대 50럭스 또는 1럭스 등으로 변경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unused time stored in the sleep mode determining element 111 is set to a default value of, for example, about 10 minutes, the user uses a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memory 110 to set the reference value of the unused time by 5 minutes and 20 minutes.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etting to minutes or 30 minutes, and the sleep time zone is also set by default from 21:00 to 6 o'clock, bu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reference value to, for example, from 23:00 to 6 o'clock by the user. Although it is set as about 10 Lux by default, it is comprised so that a user can change and set a reference value, for example, 50 lux or 1 lux.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착신음 제어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 3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ring tone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flow chart of FIG.

먼저, 취침모드판단요소(111)인 수면시간대와 조도 및 단말기의 미사용시간에 대한 기준값과, 취침모드시에 출력하고자 하는 착신음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수면시간대와 조도, 단말기의 미사용시간 및 취침모드시 착신음의 형태와 같은 취침모드판단요소(111)는 단말기 제조시나 프로그램 다운로드시에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취침모드판단요소의 기준값과 취침모드시의 착신음의 형태에 대한 변경도 가능하다. First, the sleep mode and illuminance of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111 and reference values for the unused time of the terminal and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ringing tone to be output in the sleep mode are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110. do. Of course, the sleep mode judgment element 111 such as the sleep time zone and illuminance, the unused time of the terminal, and the shape of the ringing tone in the sleep mode are set as a default when the terminal is manufactured or the program is downloaded.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reference value of the element and the shape of the ringing tone in sleep mode.

이와 같은 상태에서 벨제어부(200)는 시간검출부(140)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시간정보를 검출하여 현재 시간을 체크한 후 메모리(110)에 미리 설정된 수면시간대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1, S2). In such a state, the bell controller 200 detects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time detector 140, checks the current time, and then determines whether the sleep time zone is preset in the memory 110 (S1 and S2). ).

상기 수면시간대일 경우에는 벨제어부(200)는 조도센서 또는 카메라와 같은 조도검출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조도값을 제공받아 단말기의 주변 밝기가 메모리(110)에 미리 설정된 기준조도 이하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3, S4). In the sleep time zone, the bell controller 200 receives the illuminance value output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150 such as an illuminance sensor or a camera to determine whether the ambient brightness of the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illuminance set in the memory 110. (S3, S4).

상기 현재 시간이 수면시간대이고 검출한 조도값이 기준조도 이하일 경우에는 벨제어부(200)는 조작감시부(160)를 통해 감시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단말기의 최종 조작시점을 체크한 후 단말기의 최종 조작시점이 메모리(110)에 미리 설정된 미사용시간의 기준값을 경과할 경우 벨제어부(200)는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설정하게 된다(S5, S6, S7).When the current time is the sleeping time zone and the detected illuminance value is less than the standard illuminance, the bell controller 200 checks the final operation time of the terminal with reference to the information monitored by 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160 and then operates the terminal. When the time point passes the reference value of the unused time set in advance in the memory 110, the bell controller 200 sets the ring tone output mode to the sleep mode (S5, S6, S7).

도 4는 이와 같은 취침판단 영역의 테이블 구조를 도시한 일례로서, 취침모드판단요소와, 취침모드판단요소별 기준값과, 상기 취침모드판단요소별로 검출한 데이터와 상기 기준값을 상호 비교하여 체크한 상태결과값과, 취침모드판단요소별로 체크한 결과에 따라 설정된 착신음출력모드, 및 취침모드시의 착신음의 형태(예를 들어 묵음)가 각각 저장되어 있다. 4 is an example of such a table structure of the sleep determination region, and a state in which a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a reference value for each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data detected for each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and the reference value are compared and checked. The result value, the ring tone output mode set in accordance with the check result for each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and the form (for example, silence) of the ring tone in sleep mode are stored, respectively.

예컨대, 체크한 현재시간이 수면시간대인 21시와 6시 사이일 경우 상태 플래그는 '1'이 되고, 체크한 조도값이 10럭스(Lux) 이하일 경우에는 상태 플래그가 '1'이 되며, 체크한 미사용시간이 10분 미만일 경우에는 상태 플래그가 '0'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착신음모드가 일반모드 즉, 상태 플래그 '0'이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에서 검출한 현재 시간과 조도값 및 미사용시간이 모두 기준값을 만족할 경우 착신음은 취침모드로 설정, 즉 상태 플래그가 '1'이 되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checked current time is between 21:00 and 6 o'clock, the status flag is '1'. If the checked illuminance value is less than 10 Lux, the status flag is '1'. If one unused time is less than 10 minutes, the status flag is '0'. In this case, the ring tone mode becomes the normal mode, that is, the state flag '0'. Of course, when the present time, the illuminance value, and the unused time detected above all satisfy the reference value, the ringing tone is set to the sleep mode, that is, the status flag is '1'.

아울러, 상기에서 취침모드판단요소인 수면시간대는 현재시간을 매번 체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단말기 주변의 조도 검출과 단말기의 미사용시간의 검출은 수면시간대처럼 매번 체크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수면시간대 내에서 수초 단위나 수분 단위 등으로 일정 주기별로 체크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전력소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leep time zone, which is a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preferably checks the current time every time, but the illumination detection around the terminal and the detection of the unused time of the terminal are not checked every time like the sleep time zone, but basically within a few seconds within the sleep time zon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unit to be checked at regular intervals in units of units, minutes, and the like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이어, 외부로부터 호착신시에 벨제어부(200)는 현재 착신음출력모드를 체크하여 취침모드일 경우에는 착신음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취침모드(묵음)로 제어하게 된다(S9∼S11). Subsequently, when the cal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bell control unit 200 checks the current ring tone output mode and controls the ring tone to a predetermined sleep mode (mute) in the sleep mode (S9 to S11).

물론, 상기에서 수면시간대나 조도 등의 판단요소가 미리 설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아 취침모드가 아닐 경우에는 벨제어부(200)는 착신음을 일반모드(벨소리 또는 진동 등)로 설정하고(S8), 호착신시 착신음출력모드가 취침모드가 아닌 일반모드로 설정되었을 경우 착신음을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일반모드(벨소리 또는 진동 등)로 작동 제어하게 된다(S12).Of course, if the above factors do not fall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such as sleep time zone or illuminance, the bell control unit 200 sets the ring tone to the normal mode (ring or vibration, etc.) (S8) When the incoming ring tone output mode is set to the normal mode other than the sleep mode, the ring tone is controlled to be operated in the normal mode (ring tone or vibration, etc.) predetermined by the user (S12).

상기에서 취침모드 동작을 호착신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단문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에도 착신음을 동일한 절차를 통해 취침모드로 동작하게 됨은 당연하다. Although the sleep mode operation has been described in the case of a call reception, it is natural that the ring tone is operated in the sleep mode through the same procedure even when a short message is receiv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메모리(110), 키입력부(120), 시간검출부(140), 조도검출부(150), CID추출부(180), 착신알림부(190) 및 벨제어부(200)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 도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ringing t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110, the key input unit 120, the time detector 140, the illuminance detector 150, and the CID extractor are illustrated in FIG. It consists of 180,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unit 190, the bell control unit 200 and the lik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FIG.

상기 메모리(110)는, 수면시간대와 조도 및 미사용시간에 대한 각 기준값과, 상기 각 기준값과 검출한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상태값과, 상기 상태값에 따라 결정된 착신음출력모드 및 취침모드시 착신음의 형태를 포함하고 있는 취침모드판단요소 영역(111)과, 호착신시 취침모드에 관계없이 착신음을 일반모드로 작동시킬 발신자전화번호가 수록되어 있는 취침예외리스트 영역(113), 및 발신자별 이름과 전화번호 목록이 수록된 전화번호부 영역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 memory 110 has a reference value for a sleep time zone, illuminance and unused time, a state value indicating a result of comparing the reference value with detected data, and a ring tone output mode and a sleep mod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ate value. The sleep mode judgment element area 111 including the ring tone type, the sleep exception list area 113 containing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to operate the ring tone in the normal mode regardless of the sleep mode when the call is received, and the caller specific mode. It consists of a phone book area containing a list of names and telephone numbers.

상기 취침모드판단요소(111)에 대한 각 기준값은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으나, 메모리(110)에서 제공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수면시간대와 조도 및 미사용시간에 대한 기준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취침예외리스트(113)의 경우에는 전화번호부(115)에 등록된 전화번호를 모두 디폴트로 설정할 수도 있지만 메모리(110)에서 제공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 발신자만 취침예외리스트(113)로 지정할 수도 있다.Although each reference value for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111 is set as a default, the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memory 110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change the reference values for the sleep time, illuminance and unused time. In the case of the sleep exception list 113, all phone numbers registered in the phone book 115 may be set as a default, but a user may designate only a specific caller as the sleep exception list 113 through a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memory 110. It may be.

상기 키입력부(120)는 메모리(110)에서 제공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취침모드판단요소(111)의 기준값 및 취침예외리스트(113)의 목록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통화나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숫자/문자키, 메뉴키,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key input unit 120 receives a reference value of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111 and a list of the sleep exception list 113 from a user through a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memory 110, or a number for performing a call or various functions. It consists of a text key, a menu key, and a touch screen.

상기 시간검출부(140)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시간정보를 제공받아 현재 시간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ime detector 14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detect the current time.

상기 조도검출부(15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 조도검출부(150)는 감지된 조도에 대응되는 소정 레벨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조도센서 또는 벨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촬영된 영상의 휘도로 조도를 검출하는 카메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illuminance detector 150 is configured to detect the ambient illumin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lluminance detector 150 outputs a detection signal of a predetermined leve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illuminance of the illuminance sensor or the bell controller 200. And a camera for detecting illuminance with the luminance of the captured image under control.

상기 CID추출부(180)는 호착신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착신알림부(190)는 착신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벨소리 출력이나 진동 발생, 묵음 또는 램프의 점멸 등을 통해 착신음을 출력하는 벨출력수단, 진동모터 및 점멸수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CID extraction unit 180 is configured to extract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when the call is received, and the call notification unit 190 is oper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when the call is ringing or generating a vibration, silence or lamp It consists of a bell output means, a vibration motor and a blinking means for outputting the ringing tone through the flashing.

상기 벨제어부(200)는 시간검출부(140)를 통해 검출한 현재시간이 메모리(110)에 미리 설정된 수면시간대이고 상기 조도검출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조도값이 메모리(110)에 설정된 기준 이하일 경우에는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설정하되, 호착신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취침예외리스트(113)에 등록된 착신음출력 허용 발신자인지를 체크한 후 취침예외리스트에 등록된 발신자전화번호일 경우에는 착신음을 미리 설정된 일반모드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bell control unit 200 is the current time detected by the time detector 140 is a sleep time zone preset in the memory 110 and the illuminance value output through the illuminance detector 15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set in the memory 110. If the incoming call output mode is set to sleep mode, the caller's phone number registered in the sleep exception list after checking whether the incoming call output is allowed to be registered in the sleep exception list 113 by extracting the caller's phone number when the call is received. In the case, the ringing tone is configured to be controlled in a preset general mode.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조작감시부(160)를 더 구비하여 단말기의 조작여부를 감시하되 벨제어부(200)는 상기 조작감시부(160)를 통해 감시한 최종 조작시점을 체크하여 메모리(110)에 미리 설정된 미사용시간과 상호 비교한 후 최종 조작시점이 미사용시간이 기준값을 경과할 경우에는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설정 및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monitoring unit 160 to monito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but the bell control unit 200 checks the last operation time monitored through 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160 in advance to the memory 110 It is configured to set and control the ring tone output mode to sleep mode when the unused time has passed the reference value after comparing with the set unused time.

상기에서 미설명한 도면부호 130은 무선처리부로서 이동통신망과 무선신호를 교환하기 위해 송수신신호를 적절하게 처리하는 변조기와 송신증폭기 및 수신증폭기와 복조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도면부호 170은 표시부로서, 대기화면 상에서 소정의 제어 하에 메모리(110)에 저장된 취침설정관련 유저인터페이스나 입력된 각종 문자 및 추출한 발신자의 전화번호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Reference numeral 130, which has not been described above, is a wireless processing unit, and includes a modulator, a transmission amplifier, a receiving amplifier, a demodulator, etc., which appropriately processes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for exchanging a wireless signa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consists of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r the like to display a user interface stored in the memory 110 in the memory 110 under a predetermined control, various types of input characters, and the extracted caller's telephone number.

상기에서 시간검출부(140), 조작감시부(160), CID추출부(180) 및 벨제어부(200)는 편의상 기능적으로 분리한 것이고, 실제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단일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time detector 140, the operation monitor 160, the CID extractor 180, and the bell controller 200 are functionally separated for convenience,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device such as a microprocessor.

도 5와 같이 구성된 착신음 제어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 6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살펴보고자 한다.The operation of the ring tone control device configured as shown in FIG.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6.

먼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수면시간대와 조도 및 단말기의 미사용시간에 대한 기준값과 취침모드시 출력하고자 하는 착신음의 형태를 포함한 취침모드판단요소(111) 및 호착신이 될 경우 취침모드에 관계없이 미리 설정된 일반모드로 벨소리를 출력하고자 하는 발신자전화번호인 취침예외리스트(113)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하게 된다.First, through the predetermined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terminal,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111 including a reference value for the sleep time zone and illuminance, the unused time of the terminal, and the form of the ringing tone to be output in the sleep mode, and when the incoming call becomes a sleeper Regardless of the mode, the sleeper exception list 113, which is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to output the ringtone in the preset general mode,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stored in the memory 110 in advance.

이와 같은 상태에서 벨제어부(200)는 시간검출부(140)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시간정보를 검출하여 현재 시간을 체크한 후 메모리(110)에 미리 설정된 수면시간대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21, S22). In such a state, the bell controller 200 detects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time detector 140, checks the current time, and then determines whether the sleep time zone is preset in the memory 110 (S21, S22). ).

상기 수면시간대일 경우에는 조도검출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조도검출값을 제공받아 단말기의 주변 밝기가 메모리(110)에 미리 설정된 기준조도값 이하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23, S24). In the case of the sleep time zone, the illuminance detection value output through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150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ambient brightness of the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illuminance value preset in the memory 110 (S23 and S24).

상기 현재 시간이 수면시간대이고 검출한 조도값이 일정 기준조도 이하일 경우에는 벨제어부(200)는 조작감시부(160)를 통해 감시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단말기의 최종 조작시점을 체크한 후 단말기의 최종 조작시점이 메모리(110)에 미리 설 정된 미사용시간의 기준값을 경과할 경우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설정하게 된다(S25, S26, S27).If the current time is the sleep time and the detected illuminance valu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illuminance, the bell controller 200 checks the final operation time of the terminal with reference to the information monitored by 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160, and then ends the terminal. When the operation point passes the reference value of the unused time set in advance in the memory 110, the ring tone output mode is set to the sleep mode (S25, S26, S27).

물론, 상기에서 수면시간대나 조도 및 미사용시간 등의 취침모드판단요소(111)가 미리 설정된 기준범위에 속하지 않아 취침모드가 아닐 경우에는 벨제어부(200)는 착신음을 일반모드(벨소리 또는 진동)로 설정하게 된다(S28).Of course, when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111 such as the sleep time zone, illuminance and unused time does not belong to the preset reference range and is not in the sleep mode, the bell control unit 200 returns the ringing tone to the normal mode (ring tone or vibration). It is set (S28).

이어, 외부로부터 호착신시(S29)에 벨제어부(200)는 CID추출부(180)를 통해 발신자전화번호를 추출함과 아울러 착신음출력모드가 취침모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S30), 취침모드일 경우에는 CID추출부(180)를 통해 추출한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착신음출력 허용 대상에 속하는지를 메모리(110)의 취침예외리스트(113)를 통해 체크하게 되는 데(S31),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취침예외리스트(113)에 속할 경우에는 착신알림부(190)를 미리 설정된 일반모드로 작동 제어하게 된다(S32).Subsequently, when the cal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S29), the bell control unit 200 extracts the caller's phone number through the CID extraction unit 180 and determines whether the ring tone output mode is in the sleep mode (S30) and sleep mode. In the case, the caller's phone number extracted through the CID extraction unit 180 is checked through the sleep exception list 113 of the memory 110 to determine whether the incoming call output is allowed (S31). When belonging to the sleep exception list 113,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unit 190 is controlled to operate in a predetermined general mode (S32).

하지만, 상기에서 추출한 전화번호가 취침예외리스트(113)에 속하지는 않지만 전화번호부(115)에 등록된 발신자일 경우에는 벨제어부(200)는 착신음을 미리 설정된 취침모드(묵음 또는 램프점멸)로 제어하되(S33, S34),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메모리에 의해 취침모드 작동 중임을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자동으로 작성하여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안내멘트를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출력하여 취침모드 작동 중임을 알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35). However, if the phone number extracted above does not belong to the sleep exception list 113, but is a caller registered in the phone book 115, the bell controller 200 controls the ringing tone in a preset sleep mode (mute or lamp flashing). (S33, S34),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utomatically writes a text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leep mode is in operation by the memory and transmits to the sender's mobile terminal or outputs the announcement to the caller's mobile terminal sleep mode It is preferable to inform that the operation (S35).

물론, 발신자가 착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부(115)에 등록된 전화번호가 아니거나 취침예외리스트(113)로 등록된 전화번호가 아닐 경우에는 벨제어부(200)는 벨소리를 출력하지 않고 벨소리를 소정의 취침모드로 제어하게 된 다(S36). Of course, if the caller is not the telephone number registered in the phone book 115 of the called part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telephone number registered as the bedtime exception list 113, the bell controller 200 does not output the ring tone Control to a predetermined sleep mode (S36).

상기에서 취침모드 동작을 호착신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에도 메시지도착을 알리는 착신음을 동일한 절차를 통해 취침모드 또는 일반모드로 제어함은 당연하다. Although the sleep mode operation has been described in the case of a call reception, it is natural to control the ring tone notifying the arrival of the message in the sleep mode or the normal mode through the same procedure even when a message is received.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호착신시 취침모드판단요소에 의해 미리 설정된 벨소리의 출력모드(취침모드 또는 일반모드)를 체크하는 것이 아니라 호착신시 제반 취침모드판단요소를 순차적으로 체크하여 벨소리의 출력모드를 결정하는 방식도 사용가능함은 당연하지만, 이 경우에는 호착신시 취침모드판단요소를 각각 체크하는 과정에 의해 착신음의 출력이 다소 지연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방식은 아니다.Although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is not checked the output mode (sleep mode or normal mode) of the ring tone preset by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at the time of a call, but instead sequentially checks all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s at the time of a call. Of course,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output mode of the ringtone can also be used. However, in this case, the output of the ringing tone may be somewhat delayed by checking the sleep mode decision element at the time of the call.

하지만,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However,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fall within the claims appended to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수면시간대와 조도 등의 취침모드판단요소를 자동으로 체크하여 이를 만족할 경우 자동으로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설정함에 따라 사용자가 일일이 취침모드를 설정할 필요가 전혀 없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인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hecks the sleep mode judgment elements such as the sleep time zone and illuminance, and automatically sets the ring tone output mode to the sleep mode when the user is satisfied. It is effective.

또한, 취침모드판단요소를 자동으로 체크하여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설정하되,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취침예외리스트에 속할 경우 착신음을 일반모드로 제어함에 따라 수면 중에도 사용자가 지정한 사람의 전화를 받을 수 있어 취침모드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is automatically checked to set the ring tone output mode to sleep mode, but if the caller's phone number belongs to the sleep exception list specified by the user, the ring tone is controlled in the normal mo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use the sleep mode more efficiently because you can answer the call.

뿐만 아니라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취침예외리스트로 등록되어 있지 않더라도 사용자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친밀한 사람일 경우에는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제어하되 발신자단말기로 취침 중임을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자동 전송함에 따라 상대방의 불필요한 호접속이나 걱정 및 오해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caller's phone number is not registered as a bedtime exception list, if an intimate person is registered in the phone book of the user's terminal, the incoming call output mode is controlled to sleep mode, but the sender's terminal automatically sends a text message indicating that he is sleeping.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unnecessary call connection, worry and misunderstanding of the other party.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제어 장치에 있어서, In the ring tone control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수면시간대와 기준조도값을 포함한 취침모드판단요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A memory i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sleep mode determining element including a sleep time zone and a reference illuminance value is stored; 현재 시간을 체크하는 시간검출부; A time detector for checking a current time; 이동통신단말기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검출부; An illuminanc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peripheral illumin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착신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벨소리 출력이나 진동 발생, 묵음 또는 램프의 점멸을 통해 착신음을 출력하는 착신알림부; An incoming call notification unit which is oper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when receiving an incoming call and outputs a ringing sound through a ring tone output or vibration, silence or a flashing of a lamp; 단말기의 조작여부를 감시하는 조작감시부; 및Operation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상기 시간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현재시간이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수면시간대이고 상기 조도검출부를 통해 출력되는 조도값이 메모리에 설정된 기준조도 이하일 경우이거나 상기 조작감시부를 통해 감시한 최종 조작시점이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미사용시간의 기준값을 경과할 경우에는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설정하되, 호착신시 착신음출력모드가 취침모드일 경우에는 취침모드에 대응하여 설정된 착신음을 출력하도록 착신알림부를 제어하는 벨제어부;를 포함하고,If the current time detected by the time detector is a sleep time zone preset in the memory and the illuminance value output through the illuminance detector is equal to or less than a standard illuminance set in the memory, or the last operation time monitored by the operation monitor is preset in the memory. If the reference value of the unused time elapses, the ring tone output mode is set to the sleep mode, if the ring tone output mode when the incoming call ring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to output the ring tone set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Including, 상기 최종 조작시점은, 착신 시점을 기준으로 키입력부를 마지막으로 조작한 시점 또는 최종 통화종료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침모드 자동 설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The last operation time point, the time when the last operation of the key input unit on the basis of the incoming time or the end of the last cal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leep mode automatic setting function.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취침모드판단요소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침모드 자동 설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stored in the memory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leep mode automatic set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hanged by the user.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조도검출부는 촬영영상의 휘도로 조도를 검출하는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침모드 자동 설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leep mode automatic set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era to detect the illuminance with the brightness of the captured image.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제어 장치에 있어서, In the ring tone control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수면시간대와 기준조도값을 포함한 취침모드판단요소 및 발신자전화번호인 취침예외리스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A memory storing information on a sleep mode determining element including a sleep time zone and a reference illuminance value and a sleep exception list which is a caller's telephone number;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취침모드판단요소의 각 기준값과 취침예외리스트에 대한 목록을 입력받는 키입력부;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list of each reference value and a sleep exception list of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s stored in the memory;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포함된 시간정보를 검출하는 시간검출부; A time detector detecting ti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검출부; An illuminanc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peripheral illumin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호착신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CID추출부; CID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when the call; 호착신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벨소리 출력이나 진동 발생, 묵음 또는 램프의 점멸을 통해 착신음을 출력하는 착신알림부; An incoming call notification unit which is oper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when the incoming call is made and outputs a ringing tone through the occurrence of a ring tone or vibration, silence or flashing of a lamp; 단말기의 조작여부를 감시하는 조작감시부; 및Operation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상기 시간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현재시간이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수면시간대이고 상기 조도검출부를 통해 출력되는 조도값이 메모리에 설정된 기준조도 이하일 경우이거나 상기 조작감시부를 통해 감시한 최종 조작시점이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미사용시간의 기준값을 경과할 경우에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CID추출부를 통해 추출한 발신자전화번호가 취침예외리스트에 속하는지를 체크한 후 취침예외리스트에 속할 경우 착신음을 미리 지정된 일반모드로 제어하는 벨제어부;를 포함하고,If the current time detected by the time detector is a sleep time zone preset in the memory and the illuminance value output through the illuminance detector is equal to or less than a standard illuminance set in the memory, or the last operation time monitored by the operation monitor is preset in the memory. When the reference value of the unused time passes, the ring tone output mode is set to sleep mode, and after checking whether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extracted through the CID extraction unit belongs to the sleep exception list, the ring tone is previously designated. Bel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in the normal mode, including, 상기 최종 조작시점은, 착신 시점을 기준으로 키입력부를 마지막으로 조작한 시점 또는 최종 통화종료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침모드 자동 설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The last operation time point, the time when the last operation of the key input unit on the basis of the incoming time or the end of the last cal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leep mode automatic setting function. 삭제delete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메모리는, 수면시간대와 조도 및 미사용시간에 대한 각 기준값을 포함하고 있는 취침모드판단요소 영역; 호착신시 취침모드에 관계없이 착신음을 일반모드로 작동시킬 발신자전화번호가 수록되어 있는 취침예외리스트 영역; 및 발신자별 이름과 전화번호 목록이 수록되어 있는 전화번호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침모드 자동 설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The memory may include a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area including respective reference values for the sleep time zone, illuminance, and unused time; A sleep exception list area containing a caller's telephone number for operating a ringing tone in a normal mode regardless of the sleep mode when the call is received; And a phone book area in which a name and a phone number list of each caller are stored.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취침모드판단요소는, 수면시간대, 조도, 이동통신단말기의 미사용시간, 착신음출력모드 및 취침모드시 착신음의 형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침모드 자동 설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The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sleep time zone, illuminance, unused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ing tone output mode, and ring tone in sleep mode. .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제어 방법에 있어서, In the ring tone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수면시간대와 기준조도값을 포함한 취침모드판단요소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설정하는 제 1단계;A first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a sleep mode determination element including a sleep time zone and a reference illuminance value and se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n a memory; 현재 시간을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수면시간대인지를 판단하는 제 2단계;A second step of checking a current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 sleep time zone is preset; 상기 수면시간대일 경우에는 조도검출부를 통해 주변 밝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 3단계; A thir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mbient brightness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in the sleep time zone; 상기 현재 시간이 수면시간대이고 일정 조도 이하일 경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최종 조작시점을 체크하여 최종 조작시점이 미리 설정된 미사용시간을 경과할 경우에는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자동 설정하는 제 4단계; 및A fourth step of automatically setting the ring tone output mode to the sleep mode when the current time is in the sleep time zone and below a predetermined illuminance or when the last operation time passes by a preset unused time by checking a final operation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호착신시 착신음출력모드가 취침모드인지를 판단하고 취침모드일 경우에는 취침모드에 대응하여 설정된 착신음을 출력하는 제 5단계;를 구비하고,And a fif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ringing tone output mode is the sleep mode at the time of the incoming call and outputting the ringing tone set in correspondence to the sleep mode. 상기 최종 조작시점은 착신 시점을 기준으로 키입력부를 마지막으로 조작한 시점 또는 최종 통화종료 시점을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취침모드 자동 설정 및 제어 방법.The final operation time is the automatic operation of the sleep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hecking the time of the last operation or the end of the last call the key input unit on the basis of the incoming time. 삭제delete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제어 방법에 있어서, In the ring tone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수면시간대와 기준조도값을 포함한 취침모드판단요소와 호착신시 취침모드에 관계없이 착신음을 일반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한 취침예외리스트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설정하는 제 1단계;A first step of receiving a sleep mode determining element including a sleep time zone and a reference illuminance value and a sleep exception list for operating a ring tone in a normal mode regardless of the sleep mode when the call is received and setting it in a memory; 현재 시간을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수면시간대인지를 판단하는 제 2단계;A second step of checking a current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 sleep time zone is preset; 상기 수면시간대일 경우에는 조도검출부를 통해 주변 밝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 3단계; A thir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mbient brightness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in the sleep time zone; 상기 조도가 기준값 이하일 경우에 조작감시부를 통해 단말기의 미사용시간이 일정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 4단계;A four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nused time of the terminal has elapsed by the operation monitoring unit when the illuminance is lower than a reference value; 상기 현재 시간이 수면시간대이고 일정 조도 이하이며 미사용시간이 일정시간을 경과하였을 경우에는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설정하는 제 5단계;A fifth step of setting a ringing tone output mode as a sleep mode when the current time is a sleep time zone, a predetermined illuminance level, and the unused time has elapsed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취침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호착신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취침예외리스트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6단계; 및A sixth step of extracting a caller's telephone number which has been received in the sleep mod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aller belongs to a sleep exception list; And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취침예외리스트에 속하지 않을 경우 착신음출력모드를 취침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취침예외리스트에 속할 경우 착신음을 미리 설정된 일반모드로 제어하는 제 7단계;를 구비하고, And a seventh step of controlling the ring tone output mode to sleep mode when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does not belong to the sleep exception list, and controlling the ring tone to a preset general mode when the caller's phone number belongs to the sleep exception list. and, 상기 제 6단계에서, 추출한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착신음을 미리 설정된 취침모드로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취침모드 작동 중임을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취침모드 자동 설정 및 제어 방법.In the sixth step, determining whether the extracted caller's telephone number is a telephone number registered in the telephone book; If the caller's phone number is registered in the phone book, controlling a ringing tone in a preset sleep mode;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text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leeper mode is in operation to the send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60052320A 2006-06-12 2006-06-12 Mobile phone with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setting sleep mode and method for KR1007644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320A KR100764413B1 (en) 2006-06-12 2006-06-12 Mobile phone with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setting sleep mode and method 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320A KR100764413B1 (en) 2006-06-12 2006-06-12 Mobile phone with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setting sleep mode and method 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413B1 true KR100764413B1 (en) 2007-10-05

Family

ID=3941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320A KR100764413B1 (en) 2006-06-12 2006-06-12 Mobile phone with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setting sleep mode and method 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41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0601A1 (en) * 2007-11-30 2009-06-04 Sandra Irene Vargas Sleep mod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460513B1 (en) * 2009-08-21 2014-11-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Management Serve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Transformation to Sleep Mode
KR101624181B1 (en) * 2014-07-04 2016-05-26 김나윤 Play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925A (en) * 2001-02-28 2002-09-05 엘지전자주식회사 Mobile information terminal sleep function control method
KR20030040997A (en) * 2001-11-19 2003-05-2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bell sound during sleeping and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KR20040000904A (en) * 2002-06-26 2004-01-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phone with sleeping mode and method for the same
KR20040042988A (en) * 2002-11-15 2004-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mode converting in mobile phone
KR20040051344A (en) * 2002-12-12 2004-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sleep function i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KR20070000848A (en) * 2005-06-28 2007-01-03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utomatic sleeping mode by using accelerated velocity met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925A (en) * 2001-02-28 2002-09-05 엘지전자주식회사 Mobile information terminal sleep function control method
KR20030040997A (en) * 2001-11-19 2003-05-2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bell sound during sleeping and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KR20040000904A (en) * 2002-06-26 2004-01-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phone with sleeping mode and method for the same
KR20040042988A (en) * 2002-11-15 2004-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mode converting in mobile phone
KR20040051344A (en) * 2002-12-12 2004-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sleep function i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KR20070000848A (en) * 2005-06-28 2007-01-03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utomatic sleeping mode by using accelerated velocity met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0601A1 (en) * 2007-11-30 2009-06-04 Sandra Irene Vargas Sleep mod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RU2488221C2 (en) * 2007-11-30 2013-07-20 Майкрософт Корпорейшн Sleep mod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2138284B (en) * 2007-11-30 2013-09-04 微软公司 Sleep mod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600457B2 (en) 2007-11-30 2013-12-03 Microsoft Corporation Sleep mod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460513B1 (en) * 2009-08-21 2014-11-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Management Serve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Transformation to Sleep Mode
KR101624181B1 (en) * 2014-07-04 2016-05-26 김나윤 Play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4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Call in Absence of Mobile Terminal
JP2002218028A (e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and program
KR100713455B1 (en) Method for receiving called call and rejecting it selectively in portable radio telephone
KR100764413B1 (en) Mobile phone with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setting sleep mode and method for
KR100575926B1 (en) Method for notifying call receiving in wireless terminal
CN101472009A (en) Ringing device and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US7089041B2 (en) Method for managing incoming calls on a mobile phone
KR100408563B1 (en) Method for preferential incoming call alarm in the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KR100390504B1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sleep function control method
JP2006262270A (en) Telephone apparatus
KR20090061784A (en) Method for communicating emergency call in mobile terminal
JP2006270757A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originating emergency signal
KR100895157B1 (en) Method for notifying absence in mobile telephone
KR20060006616A (en) Method for rejecting reception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08771B1 (en) Receiving call alarm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and video apparatus
JP2872162B2 (en) Portable wireless device having silent and audible notification functions
JP3954738B2 (en) Telephone having alarm function and time notification method of telephone
KR100880983B1 (en) Method for indicating position in wireless telephone
KR100840760B1 (en) Mobile phone with a sound output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 luminance
KR100678030B1 (en) Method for performing automatic response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452924B1 (en) Mobile Terminal Sleeping Method for Manners
KR100962112B1 (en) Wirwless-wirwline telephone emergency conditions alarm device and method
JP2002281548A (en) Portable telephone set and portable telephone manner supporting method
KR100630552B1 (en) Method for notifying missed call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39840B1 (en) Method for selecting caller identifi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t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