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260B1 - Method for fabricating field emission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fabricating field emiss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260B1
KR100761260B1 KR1020050096218A KR20050096218A KR100761260B1 KR 100761260 B1 KR100761260 B1 KR 100761260B1 KR 1020050096218 A KR1020050096218 A KR 1020050096218A KR 20050096218 A KR20050096218 A KR 20050096218A KR 100761260 B1 KR100761260 B1 KR 100761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film
ion exchange
exchange resin
forming
organometallic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2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40657A (en
Inventor
이성은
성면창
김동천
최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6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260B1/en
Publication of KR20070040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6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260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Cold Cathode And The Manufa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본 나노 튜브를 전자 방출원으로 사용하는 전계 방출 소자에서 카본 나노 튜브의 밀도를 조절하여 전계 방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계 방출 소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카본 나노 튜브(CNT)가 형성될 영역에 이온교환수지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유기금속착제가 포함된 수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이온교환수지 패턴 상부에 유기금속착제를 흡착하는 단계와; 열처리 과정을 통해 상기 흡착된 유기금속착제를 금속촉매 도전막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촉매 도전막 상부에 카본 나노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CNT 밀도를 조절하여 전계 방출 효율을 증가시키고, 픽셀간 균일성과 뛰어난 양산성 그리고 저가공정으로 균일한 휘도를 갖는 대면적의 평판 표시 패널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eld emission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field emission efficiency by controlling the density of the carbon nanotubes in the field emission device using the carbon nanotubes as an electron emission source, the carbon nanotubes (CNT) is formed Forming an ion exchange resin pattern in a region to be formed; Adsorbing an organometallic complex on the ion exchange resin pattern us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n organometallic complex; Forming the adsorbed organometallic complex as a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through a heat treatment process; Forming a carbon nanotube on the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by controlling the CNT density to increase the field emission efficiency, a large-area flat plate having uniform luminance between the pixel uniformity and excellent mass production and low cost proces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duce a display panel.

Description

전계 방출 소자 제조 방법{METHOD FOR FABRICATING FIELD EMISSION DEVICE}Field emission device manufacturing method {METHOD FOR FABRICATING FIELD EMISSION DEVICE}

도1은 본 발명 전계 방출 소자 제조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 순서도.1 is a flow chart of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eld emis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a 내지 도2d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게이트 타입의 전계 방출 소자에 대한 제조 과정을 도시한 수순 단면도.Figures 2a to 2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side gate type field emis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a 내지 도3e는 본 발명에 따른 노멀 게이트 타입의 전계 방출 소자에 대한 제조 과정을 도시한 수순 단면도.Figures 3a to 3e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normal gate type field emis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금속착제 수용액의 딥핑시간에 따른 금속촉매 형성 밀도의 상관 관계도.Figure 4 is a correlation diagram of the density of metal catalyst formation according to the dipping time of the aqueous solution of the organic metal compl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전계 방출 소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본 나노 튜브를 전자 방출원으로 사용하는 전계 방출 소자에서 카본 나노 튜브의 밀도를 조절하여 전계 방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계 방출 소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eld emission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eld emission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field emission efficiency by controlling the density of the carbon nanotubes in the field emission device using the carbon nanotubes as the electron emission source. will be.

최근 위성 및 디지털 방송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고해상도를 갖는 대형 화면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가함으로서 평판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대와 역할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고, 아울러 고해상도를 가지면서 고휘도, 고선명한 화상정보에 대한 요구가 더욱 강해지고 있으며 이에 부합되는 대화면의 액정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에 대한 연구와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As satellite and digital broadcasting have been promoted in recent years, demand and interest for large screen displays with high resolution have increased, and expectations and roles for flat panel displays have become very important, and high resolution and high definition image information with high resolution Increasing demands, and research and investment in large-screen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anel (PDP), etc. are actively made.

그리고, 가장 널리 보급된 음극선관 티브이(CRT)의 경우 대면적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를 평판화한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고,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In the case of the most widely used cathode ray tube TV (CR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realizing a large area, and in recent years, there is a high expectation for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flattening this, and technology development has been made. ought.

일반적으로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는 가열된 필라멘트에서 전자가 방출되는 열전자 방출소자와 전계로 인해 페르미(Fermi) 준위 부근의 전자가 터널링 현상으로 방출되는 냉음극 전자 방출소자의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특히 냉음극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적인 방법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 바로 카본 나노 튜브(CNT)를 전자 방출원으로 하는 방식과 캐논/도시바에서 최근 발표한 표면전도형 전계방출소자(surface conduction electron emission device)를 들 수 있다. 그 외 메탈 팁을 이용한 스핀트 타입(spindt type), MIM 타입, BSD(Ballistic surface emitter display) 등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고 기술적인 진화가 거듭되고 있다.In general, a field emission display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a hot electron emission device in which electrons are emitted from a heated filament, and a cold cathode electron emission device in which electrons near the Fermi level are tunneled due to an electric field. In particular, among the various technical methods for implementing cold cathode electron emission display, the most attention is the method using carbon nanotube (CNT) as the electron emission source and the surface conduction field emission device recently announced by Canon / Toshiba ( surface conduction electron emission device). In addition, development of spindt type, MIM type, and BSD (Ballistic surface emitter display) using a metal tip is in progress, and technical evolution is being repeated.

상기 기술 중에서 CNT를 전자 방출원으로 적용한 광소자는 크기, 구조, 안정성 면에서 기존의 전자 방출원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전계방출에서부터 면광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Among the above technologies, an optical device using CNT as an electron emission source is excellent in size, structure, and stability than conventional electron emission sources, and its value is recognized in various fields from field emission to surface light source.

이와 같은 CNT는 작은 직경(약 1.0∼수십[nm])을 갖기 때문에 종래의 마이크로팁형(spindt형) 전계 방출 팁에 비해 전계 강화 효과(field enhancement factor) 가 상당히 우수하여 전자방출이 낮은 임계 전계(turn-on field, 약 1∼5[V/㎛])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전력손실 및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such CNTs have a small diameter (about 1.0 to several tens of nm), they have a significantly better field enhancement factor than conventional microtip (spindt) field emission tips. Since it can be made in a turn-on field, about 1 to 5 [V / ㎛]),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power loss and production cost.

이런 CNT 전계 방출 소자의 CNT를 형성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 are several methods for forming CNTs of such CNT field emission devices,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CNT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셀을 구현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 방식에 따라 사이드 게이트 타입과 노멀 게이트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사이드 게이트 타입은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CNT가 표면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후처리 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전자빔의 퍼짐 현상으로 인한 크로스토크(crosstalk)가 발생하기 쉬워 별도의 그리드를 형성해야 하고, 사이드 영역으로 전자빔이 방출되므로 빔을 조절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First, there is a method of implementing a cell using a CNT paste, which can be divided into a side gate type and a normal gate type. The side gate type has a merit that the post-treatment process can be performed relatively easily becaus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and the CNT is exposed to the surface, but crosstalk occurs due to the spreading of the electron beam, thereby forming a separate grid. In addition, since the electron beam is emitted to the side region,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beam.

반면, 노멀 게이트 타입은 빔의 집속을 위하여 일정사이즈의 홀을 형성한 후 그 내부에 CNT 페이스트를 충진하여 CNT 전자 방출원을 제조하고, 그 위에 포커싱 전극 혹은 그리드를 형성하여 픽셀간 크로스토크를 방지하는 복잡한 공정을 통해 제조되나 소자의 안정적인 측면에 있어서 사이드 게이트 타입에 비해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normal gate type, a hole of a certain size is formed for focusing a beam, and then filled with CNT paste therein to produce a CNT electron emission source, and a focusing electrode or grid is formed thereon to prevent crosstalk between pixels. It is manufactured through a complicated process, but has an advantage over the side gate type in terms of the stable side of the device.

그리고, 화상표시장치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휘도의 균일성을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후처리 공정을 통해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 CNT 페이스트를 이용한 기술이 대면적의 패널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저가공정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인위적으로 CNT 밀도 및 균일성을 조절하기 쉽지 않고 CNT가 페이스트에 묻혀있기 때문에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후처리 공정이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utilize the image display device, there is a difficulty in securing uniformity of luminance, and thus, technology development is being progressed through various post-processing processes. In other words, the technology using the CNT paste has the advantage of utilizing a low-cost process in manufacturing a large area panel, but it is not easy to artificially control the density and uniformity of the CNT, and since the CNT is embedded in the paste, The treatment process is a very important variable.

CNT를 형성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화학 기상 증착법(CVD)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CVD를 이용하여 홀 내부에 선택적으로 CNT를 직접 성장시켜 전자 방출원으로 활용한다. 이런 CVD법은 원하는 홀 내부에 촉매영역을 배치하여 CNT를 선택적으로 성장시키지만, CNT가 기판상에 밀집해서 성장하고 길이, 양, CNT 간의 거리 등을 제어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CVD법을 전자방출소자에 이용할 경우 CNT에 전계를 인가해서 가능한 많은 전자 방출부를 얻기 위해서는 개개의 CNT를 CNT 길이 정도로 떨어져 배치된 CNT 한가닥 한가닥에 전계를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에 대한 제어가 쉽지 않다.Another method of forming CNTs may be formed using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which selectively grows CNTs directly inside the holes using CVD to serve as an electron emission source. This CVD method selectively grows CNTs by arranging a catalyst region in a desired hol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CNTs grow densely on a substrate and control length, amount, distance between CNTs,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CVD is applied to an electron-emitting device, it is important to concentrate an electric field on a single strand of CNTs separated by about the length of the CNT in order to apply an electric field to the CNT to obtain as many electron emitters as possible. .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미리 CNT를 용매에 혼합해서 도포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역시 CNT간의 거리나 밀도를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고 양호한 전자 방출 특성을 얻는 것이 어려웠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method in which CNTs are mixed and applied in a solvent in advance, and it is also difficult to control the distance or density between CNTs,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good electron emission characteristics.

CNT를 형성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Cu 등의 금속분말 중에 Fe, Ni 등의 촉매미립자를 혼합하여 압축, 소결을 통해서 촉매를 표면에만 노출시키는 방법이 있지마 Cu 역시 금속이기 때문에 촉매입자의 반응에 따라 촉매 본래의 성능이 발휘되지 않거나 또 기판의 소결에 고온을 요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Another method of forming CNTs is to mix catalyst particles such as Fe and Ni in metal powders such as Cu and expose the catalyst only to the surface through compression and sintering. Cu is also a metal. There were problems such as the inherent performance of the catalyst or the high temperature required for sintering of the substrate.

이와 같이 종래 CVD를 이용한 방법은 금속촉매의 균일한 분포와 주기를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 CVD로 성장할 경우 너무 밀집된 CNT 다발이 형성되어 오히려 전자방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such,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CVD has difficulty in controlling the uniform distribution and period of the metal catalyst, and thus, when grown by CVD, too much CNT bundles are formed, and thus, electron emission efficiency is lowe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 로, CNT를 형성할 영역에 감광성 이온교환수지를 패터닝하여 형성하고, 그 이온교환수지가 형성된 영역에 금속착제를 흡착하며 그 흡착된 금속착제를 열처리하여 금속촉매 도전막을 형성하고, 그 금속촉매 도전막 상에 CNT를 형성함으로써, CNT 밀도를 조절하여 전계 방출 효율을 증가시키고, 픽셀간 균일성과 뛰어난 양산성 그리고 저가공정으로 균일한 휘도를 갖는 대면적의 평판 표시 패널을 제작할 수 있는 전계 방출 소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formed by patterning the photosensitive ion exchange resin in the region where CNTs are to be formed, adsorbs the metal complex in the region where the ion exchange resin is formed and adsorbed thereon Heat-treat the formed metal complex to form a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and form CNT on the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to adjust the CNT density to increase the field emission efficiency, and to achieve uniform uniformity between pixels and excellent mass productivity and low cost proces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eld emission device capable of manufacturing a large area flat panel display panel having lumina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본 나노 튜브(CNT)가 형성될 영역에 이온교환수지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유기금속착제가 포함된 수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이온교환수지 패턴 상부에 유기금속착제를 흡착하는 단계와; 열처리 과정을 통해 상기 흡착된 유기금속착제를 금속촉매 도전막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촉매 도전막 상부에 카본 나노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n ion exchange resin pattern in the region where the carbon nanotubes (CNT) will be formed; Adsorbing an organometallic complex on the ion exchange resin pattern us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n organometallic complex; Forming the adsorbed organometallic complex as a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through a heat treatment process; Forming a carbon nanotube on the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기판 상부 동일 평면상에 게이트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캐소드 전극 상부 카본 나노 튜브 형성 영역에 이온교환수지를 형성하는 단계와; 유기금속착제가 포함된 수용액에 딥핑하여 상기 이온교환수지 상부에 유기금속착제를 흡착하는 단계와; 열처리 과정을 통해 상기 흡착된 유기금속착제를 금속촉매 도전막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촉매 도전막 상부에 카본 나노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gate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on the same plane on the lower substrate; Forming an ion exchange resin in the carbon nanotube forming region on the cathode electrode; Adsorbing the organometallic complex on the ion exchange resin by dipping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organometallic complex; Forming the adsorbed organometallic complex as a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through a heat treatment process; Forming a carbon nanotube on the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기판 상부에 캐소드 전극, 자외선 차단막, 유전층 및 게이트 전극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 유전층, 자외선 차단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캐소드 전극 일부를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캐소드 전극 상부에 이온교환수지를 형성하는 단계와; 유기금속착제가 포함된 수용액에 딥핑하여 상기 이온교환수지 상부에 유기금속착제를 흡착하는 단계와; 열처리 과정을 통해 상기 흡착된 유기금속착제를 금속촉매 도전막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촉매 도전막 상부에 카본 나노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sequentially forming a cathode electrode, an ultraviolet blocking film, a dielectric layer and a gate electrode on the lower substrate; Sequentially etching the gate electrode, the dielectric layer, and the UV blocking film to expose a portion of the cathode electrode; Forming an ion exchange resin on the exposed cathode electrode; Adsorbing the organometallic complex on the ion exchange resin by dipping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organometallic complex; Forming the adsorbed organometallic complex as a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through a heat treatment process; Forming a carbon nanotube on the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rst,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many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processing flows, are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provid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in Esau.

본 발명은 전자 방출원이 형성될 영역에 CNT 밀도를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는 감광성 이온교환수지를 형성하고, 그 이온교환수지 상부에 유기금속착제를 흡착시킨 후 소정의 열처리 과정을 통해 금속촉매 도전막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금속촉매 도전막 상부에 균일한 CNT를 형성하여 전계 방출 효율을 증가시키고, 픽셀간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hotosensitive ion exchange resin that can be formed by adjusting the CNT density in the region where the electron emission source is to be formed, adsorbs an organometallic complex on the ion exchange resin, and conducts a metal catalyst through a predetermined heat treatment process. The idea is to form a film and to form a uniform CNT on the formed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to increase the field emission efficiency and to improve the inter-pixel uniformity.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이온 교환을 할 수 있는 이온을 지닌 불용성 합성수지로서, 양이온교환수지·음이온교환수지가 있으며 그밖에 양쪽성수지·전자교환수지·킬레이트수지 등이 있다.The ion exchange resins are insoluble synthetic resins having ions capable of ion exchange, including cation exchange resins and anion exchange resins, and amphoteric resins, electron exchange resins, and chelate resins.

상기 이온교환수지 상부에 흡착되는 유기금속착제로는 팔라듐(Pd)을 들 수 있는데, 상기 Pd 유기금속착제가 녹아있는 수용액에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형성된 전계 방출 소자를 딥핑(dipping)하여 이온교환수지 상부에 유기금속착제를 흡착시킨다.The organometallic complex adsorbed on the ion exchange resin may include palladium (Pd), and the ion exchange resin is formed by dipping the field emission device in which the ion exchange resin is formed in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the Pd organometallic complex is dissolved. Adsorb organometallic complex on top.

상기 전자 방출원인 CNT의 밀도는 이온교환수지의 두께 혹은 금속착제 수용액의 딥핑시간을 통해 조절가능하며,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두께를 조절하는 방법의 일 예로 스핀 코터의 스피드를 이용하여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The density of the electron emission source CNT can be adjusted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ion exchange resin or the dipping time of the metal complex aqueous solution, and the thickness can be adjusted using the speed of the spin coater as an example of a method of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the ion exchange resin. have.

상기 딥핑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이온교환수지 상에 흡착되는 금속착제의 밀도가 증가하지만 일정 시간 이상에서는 포화상태가 되어 증가하지 않는다.The longer the dipping time is, the longer the density of the metal complex adsorbed on the ion exchange resin increases, but it does not increase due to saturat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계 방출 소자의 제조 과정을 보인 일 실시예 순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CNT 전계 방출원이 형성될 영역에 이온교환수지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Pd 유기금속착제 수용액에 딥핑하여 상기 이온교환수지 패턴 상부에 Pd 유기 금속착제를 흡착하고, 그 흡착된 Pd 유기금속착제를 소정의 열처리 과정을 통해 Pd 금속촉매 도전막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Pd 금속촉매 도전막 상부에 CNT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1 is a flow chart of an embodiment show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field emis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forming an ion exchange resin pattern in a region where a CNT field emission source is to be formed, and an aqueous Pd organometallic complex aqueous solution. Adsorbing the Pd organometallic complex on the ion exchange resin pattern to form a Pd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through a predetermined heat treatment process by dipp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on exchange resin pattern; Forming a CNT.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FED 구동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캐소드 전극과 게이트 전극 상부에 스핀 코팅에 의해 코팅되고, 상기 CNT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마스크 패턴을 사용하여 캐소드 전극 상부 영역에 형성된다.The ion exchange resin is coated by spin coating on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gate electrode for applying the FED driving voltage, and is formed in the cathode electrode region using a mask pattern used to form the CNT.

상기 이온교환수지 패턴 상부에 흡착된 Pd 유기 금속착제는 대기중에서 열처리(450~550[℃], 20~30분간)하여 PdO 도전막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PdO 도전막을 H2:N2=2:98인 혼합가스를 진공장치에 주입한 후 소정의 온도(약150~200[℃])에서 열처리하여 Pd 금속촉매 도전막(입자상)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PdO 도전막이 Pd 금속촉매 도전막으로 변환되면서 약 10% 이상의 수축이 추가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입자간의 밀도가 감소하게 된다.The Pd organic metal complex adsorbed on the ion exchange resin pattern is heat-treated in the air (450-550 [deg.] C. for 20-30 minutes) to form a PdO conductive film, and the formed PdO conductive film is H 2 : N 2 = 2: A mixed gas of 98 is injected into a vacuum apparatus, and then heat-treat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bout 150 to 200 [° C.]) to form a Pd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particle). At this time, since the PdO conductive film is converted into the Pd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additionally about 10% or more shrinkage occurs, thereby reducing the density between particles.

상기 Pd 금속촉매 도전막 상부에 형성되는 CNT는 질소로 희석된 0.1% 에틸렌 가스 기류하에서 소정의 조건(500[℃], 10~20분간)에 따라 열처리함으로써, 직경이 수~수십[nm]인 CNT가 성장된다.The CNT formed on the Pd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is heat-treated under predetermined conditions (500 [° C.] for 10 to 20 minutes) under a 0.1% ethylene gas stream diluted with nitrogen, and has a diameter of several tens to several tens of nm. CNTs are grow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계 방출 소자 제조 과정을 도시한 일 실시예 수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게이트 타입 전계 방출 소자의 제조 과정에 대한 수순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field e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cess cross-sectional view of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side gate type field emission device as shown in FIG.

그럼,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게이트 타입의 전계 방출 소자의 제조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ide gate type field emis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기판(10) 상에 순차적으로 유전층(20)을 형성하고, 그 유전층 상부에 Ti 및 폴리실리콘을 스퍼터 방법으로 적층한다. 그리고, 게이트 전극(30)과 캐소드 전극(40)을 형성하기 위해 포토 레지스터를 도포 한 후 사진식각 공정으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고, 불화탄소(CF4) 가스를 이용한 건식 식각을 통해 전극간 갭이 5[㎛]정도 되도록 게이트 전극(30) 및 캐소드 전극(40)을 형성한다.First, as shown in FIG. 2A, the dielectric layer 20 is sequentially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0, and Ti and polysilicon are stacked on the dielectric layer by sputtering. In addition, after the photoresist is applied to form the gate electrode 30 and the cathode electrode 40, a mask pattern is formed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and a gap between electrodes is 5 by dry etching using carbon fluoride (CF 4) gas. The gate electrode 30 and the cathode electrode 40 are formed so as to be about [μm].

그 다음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 전면에 스핀 코터를 이용하여 감광성 이온교환수지를 스핀 코팅하고, 40~60[℃] 가열판(hot plate)에서 2~3분간 건조한 후 캐소드 전극(40) 상부에 형성될 CNT의 성장영역(도2a)을 형성하기 위한 포토 마스트를 이용하여 노광하고 순수 물에서 현상하여 이온교환수지 패턴(50)을 형성한다.Then, as shown in Figure 2b, using a spin coater on the front of the structure spin-coated a photosensitive ion exchange resin, and dried for 2 to 3 minutes on a 40 ~ 60 [℃] hot plate (cathode electrode 40) Exposed using a photo mast for forming a growth region (Fig. 2a) of the CNT to be formed on the top) and developed in pure water to form an ion exchange resin pattern (50).

그 다음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절한 농도의 Pd 유기 금속 착제를 함유한 수용액상에 상기 구조물을 소정 시간 동안 딥핑(dipping)하여 상기 구조물 상부에 Pd 유기금속착제를 흡착시키고, 흡착이 완료된 구조물을 흐르는 물에 수초간 세정하여 상기 이온교환수지 패턴 상부에만 Pd 유기금속착제가 형성되도록 한다.Then, as shown in Figure 2c, by dipping the structure on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appropriate concentration of the Pd organometallic complex for a predetermined time (dipping) to adsorb the Pd organometallic complex on top of the structure, the structure is completed Pd organometallic complex is formed only on the ion exchange resin pattern by washing with water for several seconds.

상기 Pd 유기금속착제가 형성된 구조물을 대기중에서 20~30분간 450~550[℃]로 열처리하여 수[nm] 입자를 일정간격으로 가진 PdO 입자상으로 이루어진 도전막(PdO 도전막)이 상기 캐소드 전극(40) 상부 CNT 형성 영역에 형성된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Pd organometallic complex is formed is heat-treated at 450 to 550 [deg.] C for 20 to 30 minutes in the air to form a conductive film (PdO conductive film) having PdO particles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nm] particl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40) is formed in the upper CNT formation region.

상기 PdO 도전막을 Pd 금속촉매 도전막(60)으로 환원하기 위해 PdO 도전막이 형성된 구조물을 진공처리장치 내에 배치한 후 H2:N2가 2:98인 혼합가스를 일정 압력까지 진공처리장치 내로 도입하고, 약150~200[℃]로 열처리하여 CNT 성장에 적합한 Pd 금속촉매 도전막(입자상)(60)을 형성하는데, 상기 Pd 금속촉매 도전막(60)은 상기 PdO 도전막이 환원되면서 약 10% 이상의 수축이 발생하기 때문에 Pd 입자간 밀도가 감소하게 된다.In order to reduce the PdO conductive film to the Pd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60, a structure in which the PdO conductive film was formed was disposed in a vacuum processing apparatus, and then a mixed gas having a H 2 : N 2 of 2:98 was introduced into the vacuum processing apparatus to a predetermined pressure. Heat treatment at about 150 to 200 [deg.] C. to form a Pd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particulate) 60 suitable for CNT growth, wherein the Pd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60 is about 10% as the PdO conductive film is reduced. Since the above shrinkage occurs, the density between Pd particles decreases.

마지막으로, 도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Pd 금속촉매 도전막(60)이 형성된 구조물을 0.1%의 에틸렌 가스가 포함된 질소 환경에서 10~20분간 약500[℃]에서 열처리하여 상기 Pd 금속촉매 도전막(60) 상부인 CNT 성장 영역에 직경 수~수십[nm] 정도의 CNT(7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CNT(70)는 Pd 입자간 밀도가 감소된 Pd 금속촉매 도전막(60) 상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 너무 밀집된 CNT 다발로 인해 저하되었던 전자방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Finally, as shown in FIG. 2D, the Pd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60 is formed by heat treatment at about 500 [° C.] for 10 to 20 minutes in a nitrogen environment containing 0.1% of ethylene gas. CNTs 70 having a diameter of about several tens [nm] are formed in the CNT growth region on the conductive layer 60. At this time, since the CNT 70 is formed on the Pd metal catalyst conductive layer 60 having a reduced density of Pd particles, the CNT 70 may increase the electron emission efficiency that has been degraded due to the conventionally densely packed CNT bundle.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계 방출 소자 제조 과정을 도시한 일 실시예 수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멀 게이트 타입 전계 방출 소자의 제조 과정에 대한 수순 단면도이다.3 is a procedure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ield emission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normal gate type field emission device as shown.

그럼, 본 발명에 따른 노멀 게이트 타입의 전계 방출 소자의 제조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normal gate type field emis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기판(10) 상부에 캐소드 전극(80), 자외선 차단막(90), 유전층(100) 및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도전막(110)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홀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포토 레지스트(PR)를 도포한 후 홀이 형성될 영역을 패터닝한다.First, as shown in FIG. 3A, a cathode layer 80, an ultraviolet blocking layer 90, a dielectric layer 100, and a conductive layer 110 for forming a gate electrode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0. The photoresist PR is applied to form a hole pattern, and then the region where the hole is to be formed is patterned.

그 다음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PR이 패터닝된 구조물이 건식 식각에 의해 게이트 전극(110), 유전층(100), 자외선 차단막(90)이 순차적으로 식각되어 홀을 형성한 후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PR을 제거하며, 그 구조물 전면에 스핀 코터를 이용하여 감광성 이온교환수지(50)를 스핀 코팅하고, 40~60[℃] 가열판(hot plate)에서 2~3분간 건조한 후 자외선(UV)에 의한 백노광(후면노광)을 실시한다.Next, as shown in FIG. 3B, the gate patterned structure is sequentially etched by dry etching to form the hole after the gate electrode 110, the dielectric layer 100, and the UV blocking layer 90 are formed by dry etching. Remove the PR by using a spin coat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tructure by spin coating the photosensitive ion exchange resin (50), and dried for 2 to 3 minutes on a hot plate (40 ~ 60 [℃]) and then ultraviolet (UV) White exposure (back exposure) is performed.

그 다음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노광된 상기 구조물을 순수 물에서 현상하여 CNT 성장영역인 홀 내부에만 이온교환수지(50)를 형성하고, 이온교환수지(50)가 형성된 구조물을 적절한 농도의 Pd 유기 금속 착제를 함유한 수용액상에 소정 시간 동안 딥핑(dipping)하여 상기 구조물 상부 및 홀 내부에 Pd 유기금속착제를 흡착시키고, 흡착이 완료된 구조물을 흐르는 물에 수초간 세정하여 상기 홀 내부의 이온교환수지(50) 상부에만 Pd 유기금속착제가 형성되도록 한다.Then, as shown in FIG. 3C, the white exposed structure is developed in pure water to form an ion exchange resin 50 only in the hole of the CNT growth region, and the structure having the ion exchange resin 50 formed at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Dipping on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Pd organometallic complex for a predetermined time to adsorb the Pd organometallic complex on the upper part of the structure and the inside of the hole, and wash the structure having been adsorbed in flowing water for several seconds. The Pd organometallic complex is formed only on the ion exchange resin 50.

그 다음 도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홀 내부에 Pd 유기금속착제가 형성된 구조물을 대기중에서 20~30분간 450~550[℃]로 열처리하여 수[nm] 입자를 일정간격으로 가진 PdO 입자상으로 이루어진 도전막(PdO 도전막)이 상기 홀 내부의 CNT 형성 영역에 형성된다.Then, as shown in FIG. 3d, the structure in which the Pd organometallic complex is formed in the hole is heat-treated at 450 to 550 [deg.] C for 20 to 30 minutes in the air to form PdO particles having water [nm] particles at regular intervals. A conductive film (PdO conductive film) is formed in the CNT formation region inside the hole.

상기 PdO 도전막을 Pd 금속촉매 도전막(60)으로 환원하기 위해 PdO 도전막이 형성된 구조물을 진공처리장치 내에 배치한 후 H2:N2가 2:98인 혼합가스를 일정 압력까지 진공처리장치 내로 도입하고, 약150~200[℃]로 열처리하여 CNT 성장에 적합한 Pd 금속촉매 도전막(입자상)(60)을 형성한다.In order to reduce the PdO conductive film to the Pd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60, a structure in which the PdO conductive film was formed was disposed in a vacuum processing apparatus, and then a mixed gas having a H 2 : N 2 of 2:98 was introduced into the vacuum processing apparatus to a predetermined pressur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about 150 to 200 [deg.] C to form a Pd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particulate) 60 suitable for CNT growth.

마지막으로, 도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홀 내부에 Pd 금속촉매 도전막(60)이 형성된 구조물을 0.1%의 에틸렌 가스가 포함된 질소 환경에서 10~20분간 약500[℃]에서 열처리하여 상기 Pd 금속촉매 도전막(60) 상부인 CNT 성장 영역에 직 경 수~수십[nm] 정도의 CNT(70)를 형성한다. 물론, 상기 CNT(70)는 Pd 입자간 밀도가 감소된 Pd 금속촉매 도전막(60) 상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 너무 밀집된 CNT 다발로 인해 저하되었던 전자방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Finally, as shown in FIG. 3e, the structure in which the Pd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60 is formed in the hole is heat-treated at about 500 [deg.] C for 10 to 20 minutes in a nitrogen environment containing 0.1% of ethylene gas. CNTs 70 having a diameter of about several tens [nm] are formed in the CNT growth region on the Pd metal catalyst conductive layer 60. Of course, since the CNT 70 is formed on the Pd metal catalyst conductive layer 60 having reduced density of Pd particles, the CNT 70 may increase electron emission efficiency that has been degraded due to the conventionally too crowded CNT bundle.

그리고, 상기 CNT를 성장시키기 위한 Pd 금속촉매 도전막의 입자간 형성 밀도는 Pd 유기 금속착제가 포함된 수용액의 딥핑시간 및 Pd 금속촉매 밀도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데, 도4는 적절한 농도를 가진 Pd 유기 금속착제가 포함된 수용액의 딥핑시간에 따른 Pd 금속 촉매 형성 밀도의 관계를 보인 것이다.In addition, the density of intergranular formation of the Pd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for growing the CNTs may be changed by the dipping time and the Pd metal catalyst density of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Pd organic metal complex.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nsity of Pd metal catalyst formation according to the dipping time of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complex is shown.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농도를 가진 Pd 유기 금속착제 수용액의 딥핑 시간이 길어질수록 Pd 금속촉매 형성 밀도가 증가하지만 일정 시간 이상부터는 Pd 금속촉매 형성 밀도가 포화 상태에 이르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Pd 유기 금속착제 수용액의 딥핑시간을 조절하여 CNT 형성 영역에 형성된 Pd 금속 촉매 도전막의 입자간 형성 밀도를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Pd 금속 촉매 도전막의 입자 상부에 형성되는 CNT 형성 밀도를 조절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as the dipping time of the Pd organometallic complex aqueous solution having a certain concentration increases, the Pd metal catalyst formation density increases, but the Pd metal catalyst formation density reaches a saturation state after a certain time. That is, by adjusting the dipping time of the Pd organic metal complex aqueous solu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terparticle formation density of the Pd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formed in the CNT formation region, and thus to control the CNT formation density formed on the particles of the Pd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have.

그리고, 본 발명은 감광성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Pd 금속착제 도전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CNT를 성장시키길 원하는 곳에 다양한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감광성 이온교환수지의 두께를 조절하여 Pd 유기 금속착제의 밀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감광성 이온교환수지의 두께는 스핀 코터의 스피드를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저가공정으로 균일한 CNT 성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균일한 CNT 성장에 의해 픽셀간 균일성이 뛰어난 고효율의 대면적 FED를 제작할 수 있고, CNT를 전자 방출원으로 사용하는 모든 FED에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d metal complex conductive film using a photosensitive ion exchange resin, various patterns can be easily formed where CNTs are desired to be grown, and the thickness of the photosensitive ion exchange resin can be adjusted to adjust the thickness of the Pd organic metal complex. You can also adjust the density. Here, since the thickness of the photosensitive ion exchange resin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speed of the spin coater, it is possible to control uniform CNT growth in a low cost proces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high-efficiency large-area FED excellent in uniformity between pixels by uniform CNT growth, and can be applied to all FEDs using CNT as an electron emission source.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CNT를 형성할 영역에 감광성 이온교환수지를 패터닝하여 형성하고, 그 이온교환수지가 형성된 영역에 금속착제를 흡착하며 그 흡착된 금속착제를 열처리하여 금속촉매 도전막을 형성하고, 그 금속촉매 도전막 상에 CNT를 형성함으로써, CNT 밀도를 조절하여 전계 방출 효율을 증가시키고, 픽셀간 균일성과 뛰어난 양산성 그리고 저가공정으로 균일한 휘도를 갖는 대면적의 평판 표시 패널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patterning a photosensitive ion exchange resin in a region where CNTs are to be formed, adsorbing a metal complex to a region where the ion exchange resin is formed, and heat treating the adsorbed metal complex to form a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And by forming CNT on the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the CNT density is adjusted to increase the field emission efficiency, and a large area flat panel display panel having uniform luminance between pixels and uniform luminance is obtained by a low cost proces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duced.

Claims (11)

카본 나노 튜브(CNT)가 형성될 영역에 이온교환수지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Forming an ion exchange resin pattern in a region where carbon nanotubes (CNT) are to be formed; 유기금속착제가 포함된 수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이온교환수지 패턴 상부에 유기금속착제를 흡착하는 단계와;Adsorbing an organometallic complex on the ion exchange resin pattern us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n organometallic complex; 열처리 과정을 통해 상기 흡착된 유기금속착제를 금속촉매 도전막으로 형성하는 단계와;Forming the adsorbed organometallic complex as a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through a heat treatment process; 상기 금속촉매 도전막 상부에 카본 나노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소자 제조 방법.And forming a carbon nanotube on the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금속착제는 팔라듐(P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소자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rganometallic complex is palladium (P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수지 패턴 상부에 흡착된 유기금속착제는 대기중에서 열처리(450~550[℃], 20~30분간)하여 산화금속 도전막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산화금속 도전막을 H2:N2=2:98인 혼합가스 환경에서 150~20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금속촉매 도전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소자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rganometallic complex adsorbed on the ion exchange resin pattern is heat-treated in the air (450 ~ 550 [deg.] C., 20 to 30 minutes) to form a metal oxide conductive film, the formed metal oxide conductive film H 2 : N 2 = 2: 98 A field emission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150 ~ 200 [℃] in a mixed gas environment to form a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 튜브는 0.1%의 에틸렌 가스가 포함된 질소 환경에서 열처리(500[℃], 10~20분간)하여 상기 금속촉매 도전막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소자 제조 방법.The field emission of claim 1, wherein the carbon nanotubes are formed on the metal catalyst conductive layer by heat treatment (500 [deg.] C. for 10 to 20 minutes) in a nitrogen environment containing 0.1% of ethylene gas. Device manufactur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촉매 도전막의 입자간 형성 밀도는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두께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소자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rparticle density of the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is controlled by a thickness of the ion exchange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촉매 도전막의 입자간 형성 밀도는 상기 유기금속착제가 포함된 수용액의 딥핑(dipping)시간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소자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nsity of intergranular formation of the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is controlled by a dipping time of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organometallic comple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감광성 이온교환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소자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on exchange resin is a photosensitive ion exchange resin. 하부기판 상부 동일 평면상에 게이트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Forming a gate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on the same plane above the lower substrate; 상기 캐소드 전극 상부 카본 나노 튜브 형성 영역에 이온교환수지를 형성하는 단계와;Forming an ion exchange resin in the carbon nanotube forming region on the cathode electrode; 유기금속착제가 포함된 수용액에 딥핑하여 상기 이온교환수지 상부에 유기금 속착제를 흡착하는 단계와;Adsorbing an organometallic binder on the ion exchange resin by dipping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n organometallic complex; 열처리 과정을 통해 상기 흡착된 유기금속착제를 금속촉매 도전막으로 형성하는 단계와;Forming the adsorbed organometallic complex as a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through a heat treatment process; 상기 금속촉매 도전막 상부에 카본 나노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소자 제조 방법.And forming a carbon nanotube on the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하부기판 상부에 캐소드 전극, 자외선 차단막, 유전층 및 게이트 전극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Sequentially forming a cathode electrode, an ultraviolet blocking film, a dielectric layer, and a gate electrode on the lower substrate; 상기 게이트 전극, 유전층, 자외선 차단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캐소드 전극 일부를 노출시키는 단계와;Sequentially etching the gate electrode, the dielectric layer, and the UV blocking film to expose a portion of the cathode electrode; 상기 노출된 캐소드 전극 상부에 이온교환수지를 형성하는 단계와;Forming an ion exchange resin on the exposed cathode electrode; 유기금속착제가 포함된 수용액에 딥핑하여 상기 이온교환수지 상부에 유기금속착제를 흡착하는 단계와;Adsorbing the organometallic complex on the ion exchange resin by dipping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organometallic complex; 열처리 과정을 통해 상기 흡착된 유기금속착제를 금속촉매 도전막으로 형성하는 단계와;Forming the adsorbed organometallic complex as a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through a heat treatment process; 상기 금속촉매 도전막 상부에 카본 나노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소자 제조 방법.And forming a carbon nanotube on the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전극 상부에 형성된 이온교환수지는 백노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소자 제조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on exchange resin formed on the cathode electrode is formed by white exposure.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수지 패턴 상부에 흡착된 유기금속착제는 대기중에서 열처리(450~550[℃], 20~30분간)하여 산화금속 도전막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산화금속 도전막을 H2:N2=2:98인 혼합가스 환경에서 150~20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금속촉매 도전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소자 제조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8 or 9, wherein the organometallic complex adsorbed on the ion exchange resin pattern is heat-treated in the air (450 ~ 550 [deg.] C., 20 to 30 minutes) to form a metal oxide conductive film, the formed ox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ield emission device comprising forming a metal catalyst conductive film by heat-treating the metal conductive film at a temperature of 150 to 200 [deg.] C. in a mixed gas environment having H 2 : N 2 = 2: 98.
KR1020050096218A 2005-10-12 2005-10-12 Method for fabricating field emission device KR1007612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218A KR100761260B1 (en) 2005-10-12 2005-10-12 Method for fabricating field emiss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218A KR100761260B1 (en) 2005-10-12 2005-10-12 Method for fabricating field emiss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657A KR20070040657A (en) 2007-04-17
KR100761260B1 true KR100761260B1 (en) 2007-09-28

Family

ID=38176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218A KR100761260B1 (en) 2005-10-12 2005-10-12 Method for fabricating field emiss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26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2002A (en) * 1994-12-01 1996-06-21 Canon Inc Surface conductive electron emission element, electron source, image forming device using it and manufacture
KR20020018590A (en) * 2000-09-01 2002-03-08 미다라이 후지오 Electron-emitting device, electron source, image-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n-emitting device and electron-emitting apparatus
KR20020082420A (en) * 2001-04-19 2002-10-3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Metal or metal compound pattern and forming method of pattern, and electron emitting device, electron source, and image-forming apparatus using the pattern
JP2005209736A (en) 2004-01-20 2005-08-04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2002A (en) * 1994-12-01 1996-06-21 Canon Inc Surface conductive electron emission element, electron source, image forming device using it and manufacture
KR20020018590A (en) * 2000-09-01 2002-03-08 미다라이 후지오 Electron-emitting device, electron source, image-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n-emitting device and electron-emitting apparatus
KR20020082420A (en) * 2001-04-19 2002-10-3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Metal or metal compound pattern and forming method of pattern, and electron emitting device, electron source, and image-forming apparatus using the pattern
JP2005209736A (en) 2004-01-20 2005-08-04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657A (en) 200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2362B2 (en) Electron-emitting devices, electron sources, and image-forming apparatus
JP4648807B2 (en) Carbon nanotube emitt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ield emission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276842B2 (en) Electron-emitting device, electron source and image-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 emitting device
JP4802363B2 (en) Field emission cold cathode and flat image display device
US7583016B2 (en) Producing method for electron-emitting device and electron sour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tilizing producing method for electron-emitting device
US6780075B2 (en) Method of fabricating nano-tube, method of manufacturing field-emission type cold cath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JP503810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rface conduction electron-emitting device, surface conduction electron-emitting device, and electron source using the electron-emitting device
US20080122336A1 (en) Electron-Emitting Device, Electron Source Using the Sam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play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416141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or field emission display having carbon-based emitter
KR10062045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emitt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 sour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761260B1 (en) Method for fabricating field emission device
KR100819446B1 (en) Field Emission Display with Selective Aarray of Electron Emission Source and Manufacturing of Method the Same
KR100767420B1 (en) Method for fabricating field emission device
KR20050115057A (en) A long life-time field emitter for a field emission device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757427B1 (en) Carbon nano tube dispersed organic metal complex ink
JP2009146751A (en) Electron emission device, electron sour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774964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surface conduction electronemission display
KR10092621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Field Emitter Improved in Electron Emission Characteristic
KR100747332B1 (en) Method for fabricating Appratus for Field Emission Display
Lee et al. P‐40: Field Emission Properties of 4.5 inch Triode Type Flat Lamp using the Screen Printing Method
JP2006147162A (en) Electron emission element, cathode, electron source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m
KR20010095774A (en) Carbon nano tube field e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020005794A (en) Carbon nano tube field emission element and apparatus using it
JP2009170344A (en) Electron emission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electron emission element, electron source, and image display
JP200616483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 electron sour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