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642B1 -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입력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입력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642B1
KR100758642B1 KR1020027000275A KR20027000275A KR100758642B1 KR 100758642 B1 KR100758642 B1 KR 100758642B1 KR 1020027000275 A KR1020027000275 A KR 1020027000275A KR 20027000275 A KR20027000275 A KR 20027000275A KR 100758642 B1 KR100758642 B1 KR 100758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field
input
subchannel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9666A (ko
Inventor
마크 길모어 미어스
마크 세리단 웨스트레이크
아론 할 딘위디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20029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04N21/42638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involving a hybrid front-end, e.g. analog and digital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채널 입력의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실시예에서, 장치의 수신 모드가 먼저 결정된다. 그 다음에, 장치가 제 1 수신 모드에 있다고 결정되면, 제 1 채널 입력 포맷이 디스플레이된다. 그 대신, 장치가 제 2 수신 모드에 있다고 결정되면, 제 2 채널 입력 포맷이 디스플레이된다. 더욱이, 상기 제 1 채널 입력 포맷은 제 1 및 제 2 정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채널 입력 포맷은 제 3 정보 부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입력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HANNEL ENTRY FOR SELECTION OF A CHANNEL}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비디오 장치 등에서의 비디오 선택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채널의 입력(entry) 및/또는 선택을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전용 TV 환경에서, 아날로그(예를 들어, NTSC 또는 PAL) 텔레비전 채널로 직접 튜닝(tuning)하는 것은 원격 제어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비교적 쉽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원하는 채널에 대응하는 자리수(digit)를 누르기 위해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 상의 숫자 키패드를 사용한다. 단지 하나의 자리수만을 갖는 채널(예를 들어, 채널 6)에 대해,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2 자리수의 버퍼를 채우기 위해 채널 번호 앞에 리딩 제로(leading zero)를 입력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0" 다음에 "6"을 입력한다. 2 자리수의 채널에 대해, 사용자는 2 자리수를 입력하고, 그 후에 TV는 2 자리수를 수신한 후에 원하는 채널로 즉시 튜닝한다. 몇몇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해, 사용자는 채널 자리수 입력 후에 "엔터(enter)" 키를 눌러서, 비디오 장치는 지연되지 않고도 입력된 채널로 즉시 튜닝한다.
케이블 TV가 도입되었을 때, 3 자리수 채널은 흔한 것이 되었고, 다양한 방법이 3 자리수 채널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원격 장치 상의 "100" 키의 방법, 또는 "1을 장시간 누르는(long-1)" 방법(즉, 평상시보다 더 긴 기간 동안 "1" 자리수 키를 유지하는 것은 3 자리수 입력을 허용한다), 등을 포함한다.
종래에는, 예를 들어 휴즈 일렉트로닉스(Hughes Electronics)사가 제작한 DIRECTTV(등록 상표) 통합형 수신기-디코더(IRD)와 같은 위성 시스템에서 채널에 튜닝하는 것도 또한 직접적인 방식이었다. DIRECTTV 채널은 길이 면에서 3 자리수(예를 들어, 100으로부터 999까지의 범위)를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해야할 모든 일은 3 자리수 채널 번호를 입력하는 것이었고, DIRECTTV 시스템은 제 3 자리수 및 최종 자리수가 입력된 후에 상기 채널로 즉시 튜닝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미래에 DIRECTTV는 1 채널에서 9,999 채널까지를 가지거나, 또는 서브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텔레비전의 도입은 채널 입력 및 선택을 더 복잡하게 만들었다. 디지털 텔레비전의 일예는, 예를 들어 1995년 4월 12일에 미국 차세대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에 의해 준비된 HDTV 송신 표준용 디지털 텔레비전 표준, 또는 다른 ATSC 표준에 따르는 고선명 텔레비전(HDTV)이다. 그러한 표준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국은, 하나의 고선명 디지털 신호{예를 들어, 메인(main) 채널, 즉 메이저(major) 채널}를 방송하도록 선택할 수 있거나, 방송국은, 원하는 경우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다수의 표준 해상도 "서브채널", 즉 "마이너 채널(minor channel)"로 분할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이것을 "멀티캐스팅"(multicasting)이라 칭함}.
하나의 단일 고선명 채널을 방송하고 있는(즉, 다수의 표준 해상도 채널을 멀티캐스팅하지 않는) 디지털 ATSC 채널은 항상 "1"이라는 하나의 서브채널 번호를 가질 것이다. 다수의 표준 해상도 채널을 방송하고 있는(즉, 멀티캐스팅하고 있는) 하나의 디지털 ATSC 채널은 "1"부터 "999"까지의 범위를 갖는 다수의 서브채널을 가질 수 있다. 메이저 채널 번호 및 마이너 채널 번호가 어떻게 송신되고, 처리되고 디스플레이되는지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동일한 양수인에게 모두 양도된, "메이저 및 마이너 채널 번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Major and Minor Channel Numbers)"이란 제목의 미국 특허 출원 번호(제 90/057,646호)와, 1998년 12월 22일에 상기 특허 출원에 이어 연속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제 09/218,518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디지털 채널은, 서브채널을 갖지 않는 아날로그 채널과 달리, 메이저 채널 번호와 마이너 채널 번호를 가질 수 있다. 아날로그 채널과 마찬가지로, DIRECTTV와 같은 위성 방송은 자신의 위성 방송의 송신과 연관된 서브채널을 현재 가지고 있지 않다.
본 발명자는, 하나 이상의 방송 포맷을 갖는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쉽고 직관적(intuitive)인 채널 입력 및 선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인식한다. 본 발명자는, 사용자 편의(user-friendly) 해법이, 여러 신호 소스(예를 들어, 아날로그, 디지털, 위성)에 대한 채널 뿐 아니라 디지털 서브채널의 직접적인 자리수 입력의 서로 다른 길이를 처리하기 위해 제공되어야 함을 인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하나의 고선명 채널 또는 이 고선명 채널의 서브부분(subpart)(예를 들어, 서브채널)만을 점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 장치에서의 채널 선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텔레비전 프로그램 및/또는 위성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는데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형태로, 본 발명은 채널 입력 처리 방법인데, 상기 방법은,
제 1 필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제 2 필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필드에 입력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필드에 입력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이전 결정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필드가 아닌 상기 제 1 필드에만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 1 필드에서의 입력에 대응하는 메이저 채널 번호를 갖는 제 1 이용가능한 채널로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은 채널 입력 처리 방법인데, 상기 방법은,
상기 장치가 제 1 또는 제 2 수신 모드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가 상기 제 1 수신 모드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 1 채널 입력 포맷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가 상기 제 2 수신 모드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 2 채널 입력 포맷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 1 채널 입력 포맷은 제 1 및 제 2 정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채널 입력 포맷은 제 3 정보 부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이용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를 병합하는 도 1의 시스템에 사용된 예시적인 장치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제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채널 입력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또 다른 채널 입력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예시적인 흐름도.
도 1을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10으로 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이, 본 발명의 원리를 이용할 수 있는 많은 시스템을 단지 예시 및/또는 대표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 시스템(10)은, 모니터 또는 다른 유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할 수 없는 텔레비전 장치(집합적으로 "텔레비전 장치")를 포함하는데, 상기 텔레비전 장치는 전체적으로 12로 표시된다. 텔레비전 장치(12)는, 링크 즉 라인(20)을 통해 수신된 바와 같이 직접 방송 위성(DBS: Direct Broadcast Satellite)으로부터의 디지털로 변조된 아날로그 오디오 및 비디오 텔레비전 신호 또는 송신 신호(transmissions)("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디코딩하고 처리하기 위해 적절한 회로, 소프트웨어,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적응된다. 그러한 신호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직교 위상 편이 변조) 포맷을 사용하여 디지털로 변조될 수 있다. ATSC DTV와 같은 텔레비전 장치(12)는, 링크 즉 라인(16)을 통해 수신되는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DTV: Digital Television) 안테나(14)로부터의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디코딩하고 처리하기 위해 적절한 회로, 소프트웨어,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또한 적응된다. 그러한 신호는 VSB(Vestigal SideBand: 잔류 측파대)를 사용하여 디지털로 변조될 수 있다.
텔레비전 장치(12)는, 링크 즉 라인(24)을 통해 수신되는 지상 아날로그 안테나(22)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 및 비디오 텔레비전 신호("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 뿐 아니라 링크 즉 라인(28)을 통해 CATV 시스템(26)으로부터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적절한 회로, 소프트웨어,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또한 적응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처리는 적절한 회로, 소프트웨어,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CATV 시스템(26)으로부터의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코딩되고 처리된다. 텔레비전 장치(12)가, 도시된 소스 이외의 소스로부터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도록 적응된다는 것 을 알아야 한다.
전술한 예로서, 텔레비전 장치(12)는 인디아나주, 인디아나폴리스에 위치한 톰슨 컨슈머 일렉트로닉스사가 제작한 모델 DTC 100 또는 DM1일 수 있다. 임의의 형태로,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장치(12)는, 디스플레이와, 통합형(integral) 제어 시스템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 On-Screen Display) 기능성을 지원/제공하기 위해 적절한 회로, 소프트웨어, 및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텔레비전 장치(12)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적절한 회로, 소프트웨어,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도시되고 및/또는 논의된 기능성 이외의 기능성, 및/또는 추가 성능을 가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DTC 100 텔레비전 장치(12)의 여러 구성 요소 중 적어도 몇몇 구성 요소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DTC 100 텔레비전 장치(12)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및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기 위해 적절한 회로, 소프트웨어,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적응된다. 도 2에 도시된 여러 가지 블록 및 상호 연결부(interconnections)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이용할 수 있는 텔레비전의 예시이다. 따라서, 상호 연결부 및 구성 요소에서의 변형은 변경될 수 있다.
텔레비전 장치(12)는 직접 방송 위성 튜너/IF 변환기(30)를 포함하는데, 상기 직접 방송 위성 튜너/IF 변환기(30)는, 라인(20)을 통해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오디오, 비디오, 및 VBI/다른 신호)를 수신하도록 적응되고,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의 다양한 채널로 튜닝시키고,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중간 주파수(IF)로 변환하 고, IF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여기서 QPSK로 변조된 것으로 나타남)를 DSS 링크(32)로 송신한다. DSS 링크(32)는 IF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복조하고, 그 결과로서 생기는(resulting)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링크 멀티플렉서(MUX)(34)로 송출(forwards)한다. 링크 MUX(34)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ARM 트랜스포트(transport)(36)로 선택적으로 송신한다. ARM 트랜스포트(36)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추출(extracts)하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MPEG/AC-3 오디오 디코더(38)로 송신된다. 오디오 디코더(38)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기(44)로 송신한다. D/A 변환기(44)는 결과로서 생기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프로세서(46)로 송신하는데,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46)는 처리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앰프(48)로 송신하며, 상기 오디오 앰프(48)는 오디오 스피커에 연결된다.
ARM 트랜스포트(36)는 또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디코더(50)로 송신된다. 디코더(50)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해 필요한 MPEG 회로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디코딩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로 송출되기 전에 추가 처리를 위한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기 및 필터(52)로 송신된다.
텔레비전 장치(12)는 또한 고선명(HD)/NTSC 튜너/IF 변환기 및 분할기(40)를 포함하는데, 상기 고선명(HD)/NTSC 튜너/IF 변환기 및 분할기(40)는, 지상 디지털 안테나(14)로부터 링크(16)를 통해 HD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오디오, 비디오, 및 VBI/다른 신호)를 수신하고, HD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다양한 채널로 튜닝시키 고, HD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중간 주파수(IF)로 변환하고, HD IF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여기서 VSB로 변조된 것으로 나타남)를 HDTV 링크(42)로 송신한다. HDTV 링크(42)는 HD IF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복조하고, 그 결과로서 생기는 디지털 신호를 링크 멀티플렉서(MUX)(34)로 송출한다. 링크 MUX(34)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ARM 트랜스포트(36)로 선택적으로 송신한다. ARM 트랜스포트(36)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MPEG/AC-3 오디오 디코더(38)로 송신된다. 오디오 디코더(38)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기(44)로 송신한다. D/A 변환기(44)는 그 결과로서 생기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프로세서(46)로 송신하고,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46)는 처리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앰프(48)로 송신하고, 상기 오디오 앰프(48)는 오디오 스피커에 연결된다.
ARM 트랜스포트(36)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또한 추출하고, 상기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디코더(50)로 송신된다. 디코더(50)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해 필요한 MPEG 회로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디코딩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로 송출되기 전에 추가 처리를 위한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기 및 필터(52)로 송신된다.
고선명(HD)/NTSC 튜너/IF 변환기 및 분할기(40)는 디지털 케이블 소스(26)로부터 링크(28)를 통해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또한 수신하고,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처리한다. 추가적으로, 고선명(HD)/NTSC 튜너/IF 변환기 및 분할기(40)는 PIP(Picture-In-Picture: 픽쳐- 인-픽쳐) 성능을 제공한다.
고선명(HD)/NTSC 튜너/IF 변환기 및 분할기(40)는, 아날로그(NTSC) 텔레비전 신호를 지상 아날로그 안테나(22)로부터 링크(24)를 통해, 또한 아날로그 케이블 소스(26)로부터 링크(28)를 통해 또한 수신한다.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는 튜너에 의해 텔레비전 신호의 채널로 튜닝되고, 상기 튜너는 IF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를 NTSC 비디오 스위칭 장치(switcher)(56)에 제공한다. NTSC 비디오 스위칭 장치(56)는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를 최초 콤 필터(comb filter)/PIP 및 크로마(chroma) 디코더(58)에 제공하고, 그 후에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는 디코더(50)로 송신되기 전에 NTSC YUV A/D 변환기(66)로 송신된다.
텔레비전 신호 디코딩 집적 회로(IC), 즉 칩(50)은, 코밍(combing), 픽쳐-인-픽쳐(PIP), 크로마 디코딩 및 디지털화, MPEG 비디오 디코딩, NTSC 및 PAL 비디오 상향 변환(upconversion), OSD, 및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한 디코딩 IC는, 특히 본 명세서에 참고용으로 병합된, 파일 번호 4643, 1999년 1월의 해리스 반도체 데이터 시트(Harris Semiconductor Data Sheet), 플로리다 팜 베이(Palm Bay)에 있는 인터실 코포레이션(Intersil Corporation)(공식적으로 플로리다 멜버른에 위치한 해리스 포코레이션의 해리스 반도체)이 제작한 HMP8117 비디오 디코더일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예시적인 텔레비전은, 아날로그(예를 들어, NTSC), 디지털(예를 들어, ATSC) 또는 지상(로컬), 뿐 아니라 직접 위성 방송을 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는, 각 신호 소스에 대한 채널-입력 을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편의 해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인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는, 채널 번호를 입력한 후에 사용자가 입력을 확인하기 위해 원격 제어 장치 상의 "OK" 또는 "엔터" 키를 누르는 것{사용자가 OK 등의 키를 누르지 않으면, 유닛은 입력을 클리어(clear)할 것이고 튜닝하지 않을 것이다}을 공통적으로 공유하는 해법을 일실시예에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원격 장치 상의 "OK" 키를 누르는 명백한 동작으로 채널 입력을 확인하는 것은, 예를 들어 톰슨 컨슈머 일렉트로닉스가 제작한 TV에서 미리 요구되는 동작이 아닐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제어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30)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중의 하나) 또는 위성 프로그램의 수신을 선택하기 위해 토글(toggle) 스위치(31)를 가질 수 있다. 원격 장치(30)는 채널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자리수 키(32-1 내지 32-10), 및 채널 입력을 확인하기 위한 "OK" 키(33)를 또한 구비한다. 이러한 키 및 다른 키의 기능은 아래에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TV 모드에서의 채널 입력 처리: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토글 스위치(31)를 통해 방송 또는 케이블 텔레비전 프로그램(예를 들어, "TV"), 또는 위성 프로그램 을 수신하여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TV 모드(예를 들어, NTSC 및/또는 ATSC 채널을 수신하는)에 있을 때,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30) 상의 자리수 키(32-1 내지 32-10)를 누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채널 배너(40)에 있는 2개의 나란한(side-by-side) 자리수 입력 필드, 즉 정보 부분(41 및 42)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좌측 필드(41)는 메인 채널 입력을 위한 것이고, 우측 필드(42)는 서브채널 입력을 위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를 들어 기존 표준에 따라 TV 메인 채널(아날로그 또는 디지털이든지 간에)의 최대 길이가 3 자리수이고 디지털 서브채널의 최대 길이가 3 자리수이기 때문에, 각 필드가 각자 3 자리수를 소유할 수 있다는 것일 수 있다. 물론,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가, 2개의 입력 필드, 즉 정보 부분이 빈 공간으로 분리되는 표시를 가질지라도, 다른 표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또 다른 실시예는, 2개의 정보 부분, 즉 필드가 점선, 도트(dot) 또는 10진 기호(decimal symbol)와 같은 구획 문자(delimiter)에 의해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아날로그 NTSC 채널로 직접 튜닝하기 위해, 사용자는 메인 채널 번호를 입력하고, 채널 입력을 확인하기 위해 예를 들어 원격 장치(30) 상의 OK 키(33)를 누르는 것만이 필요하다. 이는, NTSC 채널이 서브채널을 가질 수 없어서, 사용자 및 유닛이 서브채널 필드를 무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일 고선명 채널을 방송하고 있는(즉, 다수의 표준 해상도 채널을 멀티캐스팅하지 않는) 디지털 ATSC 채널로 직접 튜닝하기 위해, 사용자는 메인 채널 번호를 입력하고, 입력을 확인하기 위해 원격 장치 상의 OK 키(33)를 누르는 것만이 필요하다.
다수의 표준 해상도 채널을 방송하고 있는(즉, 서브채널을 멀티캐스팅하는) 디지털 ATSC 채널의 특정 서브채널로 직접 튜닝하기 위해, 사용자는, 도 6의 단계(6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필드(41)에 메인 채널 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 그런 후에, 사용자는, 도 6의 단계(6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채널 필드(42)로 이동시키기 위해 원격 장치(30) 상의 우측 화살표 키(34)를 누른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대시(dash), 도트 또는 마침표(period)로 표시되는 구획 문자 키는 커서 등을 서브채널 필드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3 자리수를 메인 정보 부분(41)에 입력하면, 커서 또는 포커스(focus)는 자동으로 서브채널 필드(42)로 이동될 것이다.
그런 후에, 사용자는 단계(607)에서와 같이 원하는 서브채널에 대한 자리수를 입력하고, 그 다음에 단계(608)에서와 같이 채널 및 서브채널 입력을 확인하기 위해 원격 장치(30) 상의 OK 키(33)를 누른다. 우측 화살표 키(34)를 누름으로써, 사용자는 서브채널 번호를 입력할 준비가 되어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단 서브채널 필드(42) 상에 밝은 부분(highlight)이 나타나면, 사용자가 좌측 화살표 키를 누르는 경우, 밝은 부분이 메인 채널 입력 필드(41)로 되돌아가고, 다른 필드에 있는 임의의 입력은 클리어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원리에 따라, TV 모드에서 사용자가 메인 채널 번호만을 입력하고, 서브채널 번호를 입력하지 않으면(예를 들어, "8, OK"), 그 다음에 사용자에게 투명(transparent)하고 사용자가 볼 수 없게 되는데, 도 6의 단계(6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은 서브채널 필드(42)에 "0"(제로) 자리수를 자동적으로 입력하여, 유닛은 "0"의 서브채널 번호를 갖는 채널을 자동적으로 탐색하기 시작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의 "0" 서브채널은 간단히 아날로그 채널을 표시한다. 유효한 서브채널만이 1 내지 999의 범위에 있기 때문에, 아날로그 채널은 기술적으로 서브채널을 갖지 않는다.
유닛이 아날로그 채널(채널 8 또는 8-0, 이것은 동일하다)을 발견하면, 상기 유닛은 상기 아날로그 채널로 튜닝할 것이다. 유닛이 "8" 또는 "8-0"을 발견하지 않으면, 그 다음에 유닛은, 단계(6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이 메인 채널에 대한 제 1 이용가능한 서브채널 번호를 갖는 채널을 발견할 때까지 1(예를 들어, 디지털 메인 채널)에서 시작하여 999(예를 들어, 8-1, 8-2, 8-3, 8-4,...,8-998, 8-999, 등)까지 메인 채널의 모든 서브채널을 탐색할 것이다. 그러므로, 단일 고선명 채널(예를 들어, 메인 채널, 즉 메이저 채널)을 방송하고 있는 디지털 ATSC 채널이 항상 "1"의 서브채널을 가질지라도, 사용자는 이것을 알 필요가 없거나 서브채널 필드에 "1"을 입력할 필요가 없는데, 그 이유는, "0"으로부터의 서브채널을 탐색하기 시작하는 동안 유닛이 제 1 이용가능한 서브채널을 발견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탐색은 최상위 서브채널에서 시작할 수 있거나, 단지 모든 디지털 채널을 검색하여 아날로그 채널을 스키핑(skipping)하기 시작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유효 메인 채널 번호를 입력하지만, 그 다음에 메인 채널 번호에 대해 무효인 서브채널(즉, 메인 채널에 대해 서브채널이 존재하지 않음)을 입력하면, 유닛은 단계(609 내지 610, 604 및 6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채널 번호에 이용가능한 제 1 이용가능한 서브채널로 튜닝할 것이다. 이러한 제 1 이용가능한 서브채널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최하위, 최상위 또는 가장 근접한 유효 서브채널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본 발명이, 사용자가 특정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채널 유형을 알지 못하거나 서브채널을 정확하게 입력할 필요가 없어서, 유효 서브채널, 또는 메인 아날로그(즉, 서브채널="0") 또는 디지털(즉, 서브채널="1") 채널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입력 방법은 몇몇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s: Electronic Program Guides)에서의 채널 번호 디스플레이 구성과 또한 호환되는데, 여기서 디지털 채널은, "대시" 문자의 좌측에 메인 채널 번호, 및 "대시" 문자의 우측에 서브채널 번호로 디스플레이된다(즉, 25-1, 25-2, 25-3, 26-3, 55-99, 등).
위성 모드에서의 채널 입력 처리:
유닛(12)과 같은 비디오 장치가 위성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 상의 자리수 키를 누르면, 도 5에 도시되고 도 6의 단계(620 및 625)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단지 하나의 채널 입력 필드(51)만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는, DIRECTTV 위성 채널이 현재 서브채널을 갖지 않기 때문이다. 위성 모드에서, 채널 입력 필드(51)는 100 내지 9999의 범위를 갖는 길이 면에서 3 자리수 또는 4 자리수 중 하나로 이루어진 채널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자가 3 자리수보다 적게 입력하고 OK를 누르면, 도 6의 단계(640 및 6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효 입력을 표시하기 위해 텍스트 스트링(text string) "???"이 채널 입력 필드(51)에 점등된다(flashed). 그 다음에 사용자는 다른 채널 입력을 시도할 수 있다. 유효 위성 채널이 1 내지 9999의 범위를 가질 수 있는 다른 실시예에서, 그러한 에러 메시지는 생성되지 않을 것이다. 이 시스템은 입력된 채널로 튜닝을 간단히 시도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채널 및 서브채널을 정확히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신속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채널의 유형(즉,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이 무엇인지를 또는 채널의 유효 서브채널이 무엇인지를 기억해야 하는 것을 또한 덜어준다. 더욱이, OK 또는 유사한 기능 키가 채널 입력을 확인하기 위해 자리수를 입력한 후에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적어도 다음의 장점을 갖는다: 1) 사용자는 유닛이 채널 입력을 허용하는 특정 시간의 양을 기다릴 필요가 없고, 2) 사용자는 채널 번호 앞에 "리딩 제로"를 입력할 필요가 없고(예를 들어, 채널 8을 취하기 위해 "0,0,8"을 입력하는 것 대신, 사용자는 채널 8을 취하기 위해 단지 "8,OK"를 입력해야 한다), 3) 사용자가 디지털 채널을 입력할 때 부정확한 서브채널 또는 채널 입력을 클리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채널 입력을 부정확하게 시작하면, 사용자는 OK를 누르기 전에 채널을 수정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당업자가, 사용자에게 OK 또는 다른 유사한 확인 키를 누르는 것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구현한다는 것을 당업자는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리딩 제로를 입력해야 할 것이거나, 타이머(timer)는 사용자 입력의 종료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설계 및/또는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발명은 이러한 개시의 사상 및 범주 내에서 추가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은 일반적인 원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임의의 변경, 사용, 또는 개조(adaptations)를 커버(cover)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더욱이, 본 출원은, 본 발명이 속하고 첨부된 청구항의 한계 내에 포함되는 기술 분야에서 알려지거나 관습적인 실시 내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로부터 그러한 변형(departures)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비디오 장치 등에서의 비디오 선택 처리 방법 및 시스템, 더 구체적으로, 채널의 입력(entry) 및/또는 선택을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등에 이용된다.

Claims (20)

  1. 제 1 필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제 2 필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필드에 입력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필드에 입력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전 결정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필드가 아닌 상기 제 1 필드에만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 1 필드에서의 입력에 대응하는 메이저(major) 채널 번호를 갖는 제 1 이용가능한 채널로 튜닝(tun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입력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용가능한 채널은 아날로그 텔레비전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 입력 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용가능한 채널은 단일 고선명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 입력 처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용가능한 채널은, 최하위 이용가능한 서브채널 번호, 및 상기 제 1 필드에서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메이저 채널 번호를 갖는 채널인, 채널 입력 처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드로의 입력은 수치 자리수(numeric digit)에 의한 것인, 채널 입력 처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드로의 입력은 수치 자리수에 의한 것인, 채널 입력 처리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 자리수 다음에 확인 키가 후속하는, 채널 입력 처리 방법.
  8. 장치가 제 1 또는 제 2 수신 모드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가 상기 제 1 수신 모드에 있다고 결정되는 경우 제 1 채널 입력 포맷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가 상기 제 2 수신 모드에 있다고 결정되는 경우 제 2 채널 입력 포맷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 1 채널 입력 포맷은 제 1 및 제 2 정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채널 입력 포맷은 제 3 정보 부분을 포함하는, 채널 입력 처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부분은 메이저 채널 번호를 포함하는, 채널 입력 처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 부분은 마이너(minor) 채널 번호를 포함하는, 채널 입력 처리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 부분은 위성 채널 번호를 포함하는, 채널 입력 처리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정보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수치 자리수를 포함하는, 채널 입력 처리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정보 부분에 각각 대응하는 메이저 채널 및 마이너 채널 번호를 갖는 채널로 튜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입력 처리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 부분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를 갖는 채널로 튜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입력 처리 방법.
  15.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50)과,
    상기 제 1 필드 및 상기 제 2 필드에 입력이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36)을 포함하며,
    여기서 만약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제 1 필드 및 상기 제 2 필드에 상기 입력이 있는 지를 결정한 후, 상기 제 2 필드가 아닌 상기 제 1 필드에만 입력이 있는지를 결정하면, 튜닝 수단(40)으로 하여금 상기 제 1 필드에서의 입력에 대응하는 메이저 채널 번호를 갖는 제 1 이용가능한 채널로 튜닝하도록 하는, 채널 입력 처리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용가능한 채널은 상기 메이저 채널 번호를 갖는 제 1 튜닝가능한 서브채널인, 채널 입력 처리 장치.
  17. 제 1 필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제 2 필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필드에 입력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필드에 입력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필드 모두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 1 필드에서의 입력에 대응하는 메이저 채널 번호와, 상기 제 2 필드에서의 입력에 대응하는 마이너 채널 번호를 갖는 채널로 튜닝하려고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입력 처리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드에서의 입력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최하위 유효 서브채널 번호를 갖는 채널로 튜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입력 처리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드에서의 입력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최상위 유효 서브채널 번호를 갖는 채널로 튜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입력 처리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드에서의 입력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필드에서의 입력에 가장 근접한 유효 서브채널 번호를 갖는 채널로 튜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입력 처리 방법.
KR1020027000275A 1999-07-16 2000-07-14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입력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 KR100758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33999P 1999-07-16 1999-07-16
US60/144,339 1999-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666A KR20020029666A (ko) 2002-04-19
KR100758642B1 true KR100758642B1 (ko) 2007-09-14

Family

ID=2250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275A KR100758642B1 (ko) 1999-07-16 2000-07-14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입력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197079B1 (ko)
JP (2) JP4845311B2 (ko)
KR (1) KR100758642B1 (ko)
CN (2) CN1143529C (ko)
AU (1) AU6098000A (ko)
DE (2) DE60015337T2 (ko)
ES (2) ES2264514T3 (ko)
MX (1) MXPA02000552A (ko)
WO (1) WO20010067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8212B2 (en) * 2001-05-29 2009-07-28 Sanyo Electric Co., Ltd.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0730718B1 (ko) 2005-10-11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CN109194996B (zh) * 2018-10-30 2019-12-24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兼容模拟和数字节目的智能数字键换台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47192A1 (en) * 1994-06-28 1998-06-10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 television system having the capability to associate an HDTV and an NTSC channel
EP0849954A2 (en) * 1996-12-18 1998-06-24 Nextlevel Systems, Inc. Navigation among grouped television channel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581B2 (ja) * 1988-07-31 1994-05-18 株式会社ケンウッド 無線機
JP2936588B2 (ja) * 1989-07-27 1999-08-23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衛星放送受信機の表示装置
US5020139A (en) * 1990-03-05 1991-05-28 Rca Licensing Corporation Three digit channel entry by use of an extended keypress
US5020140A (en) * 1990-03-05 1991-05-28 Rca Licensing Corporation Three digit channel entry system
JPH06334487A (ja) * 1993-05-25 1994-12-02 Sony Corp シンセサイザ受信機
JP3489205B2 (ja) * 1994-08-22 2004-01-19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3539454B2 (ja) * 1995-07-21 2004-07-0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H0974545A (ja) * 1995-09-04 1997-03-18 Sony Corp 文字放送番組選択方法、装置及び遠隔操作装置
JPH09270673A (ja) * 1996-03-29 1997-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受信装置
US6080913A (en) * 1996-09-25 2000-06-27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Binary methods of increasing accumulation of essential amino acids in seeds
JP3969770B2 (ja) * 1996-09-26 2007-09-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ルチチャンネル選択用インターフェイス
JPH10136276A (ja) * 1996-10-28 1998-05-22 Nec Home Electron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選局装置
JPH10145700A (ja) * 1996-11-05 1998-05-29 Toshiba Corp 選局装置
JP3480241B2 (ja) * 1997-05-26 2003-12-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信号再生装置
KR100242881B1 (ko) * 1997-05-30 2000-02-01 전주범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KR100217184B1 (ko) * 1997-06-30 1999-09-01 윤종용 디지털 다채널 텔레비젼 수상기의 채널 절환방법
KR100317629B1 (ko) * 1997-06-30 2002-04-24 윤종용 디지털텔레비젼수상기에서서브채널정보표시방법
JPH1127591A (ja) * 1997-07-03 1999-01-29 Sanyo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6111611A (en) * 1997-07-10 2000-08-2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System for forming and processing program specific information suitable for terrestrial, cable or satellite broadcast
JP3508818B2 (ja) * 1997-12-12 2004-03-22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プリセット式ラジオ受信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47192A1 (en) * 1994-06-28 1998-06-10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 television system having the capability to associate an HDTV and an NTSC channel
EP0849954A2 (en) * 1996-12-18 1998-06-24 Nextlevel Systems, Inc. Navigation among grouped television chan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64514T3 (es) 2007-01-01
EP1197079B1 (en) 2004-10-27
JP4845311B2 (ja) 2011-12-28
DE60028096T2 (de) 2006-11-23
CN1143529C (zh) 2004-03-24
EP1197079A1 (en) 2002-04-17
AU6098000A (en) 2001-02-05
JP2011120254A (ja) 2011-06-16
DE60015337T2 (de) 2005-10-20
DE60015337D1 (de) 2004-12-02
DE60028096D1 (de) 2006-06-22
CN1431824A (zh) 2003-07-23
WO2001006776A9 (en) 2002-05-02
JP2003505950A (ja) 2003-02-12
ES2226880T3 (es) 2005-04-01
MXPA02000552A (es) 2002-07-02
CN1361982A (zh) 2002-07-31
KR20020029666A (ko) 2002-04-19
JP5087673B2 (ja) 2012-12-05
WO2001006776A1 (en) 200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7508B1 (en) Channel entry for selection of a channel
US7092044B2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1106826B1 (ko) 현재 프로그램 시청동안 새로운 프로그램 정보의 자동 표시
US6603517B1 (en) Very low cost digital TV module
US6879349B2 (en) Broadcasting receiver with automatic audio selection function
JP2002517959A (ja) Atsc/ntscテレビ受信機におけるチャンネル選択方法
JPH0799616A (ja) テレビ受像機
GB2326551A (en) On screen display signal mixing
US20040239809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display multi-picture-in-guide information
CA27365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channel
EP2188982B1 (en) Device for receiving broadcasting program and method for displaying favorite channel
JP5087673B2 (ja) チャンネル選択のためのチャンネル入力
EP11688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text based information service
JP2004015486A (ja) 放送受信装置
US7907221B2 (en) Television device
EP1318674B1 (en) Channel entry for selection of a channel
JP2001230982A (ja) ディ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番組情報表示方法
KR101092442B1 (ko) 방송 수신기에 연결된 외부 a/v 기기 전환 제어 방법
KR10068793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77951B1 (ko) 아날로그/디지털 티브이
KR101491850B1 (ko) 문자 입력을 위한 osd표시 장치 및 방법.
WO2017114560A1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third-level channel picture-in-picture function
KR20010076437A (ko) 티브이의 부가정보데이터 저장방법
KR20000045835A (ko) 부화면의 문자를 주화면에 표시 방법
KR20060012377A (ko) 셋톱박스의 채널 변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