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058B1 -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by using mobile network - Google Patents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by using mobile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058B1
KR100758058B1 KR1020060050768A KR20060050768A KR100758058B1 KR 100758058 B1 KR100758058 B1 KR 100758058B1 KR 1020060050768 A KR1020060050768 A KR 1020060050768A KR 20060050768 A KR20060050768 A KR 20060050768A KR 100758058 B1 KR100758058 B1 KR 100758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information
route
communication terminal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7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국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0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0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058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Navigation (AREA)

Abstract

A naviga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ethod are provided to deliver access information for guiding the current path to another terminal if a terminal receiving a navigation service demands delivery of the access information, thereby more quickly and easily receiving the navigation service. A navigation server(30) comprises as follows. A path searcher(316) extracts all available paths to the destination from the departure by referring to a DB(314) once departur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A path determiner(318) determines a path capable of arriving at the destination in a short time as optimum path information. A map searcher(320) extracts map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from the departure. A controller(310) provides a path guide service by sending execution results of the determiner and the searcher to the first terminal. A callback access information generator(326) generates callback access information for receiving the path guide service in a connective way if delivery of the access information is requeste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NAVIGATION SYSTEM AND METHOD BY USING MOBILE NETWORK}Navig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BY USING MOBILE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naviga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네비게이션 서버의 세부 구성을 보인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navigation server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avigation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 네비게이션 서버 310 : 제어부30: navigation server 310: control unit

312 : 통신망 인터페이스 314 : 데이터베이스312 network interface 314 database

316 : 경로 탐색부 318 : 경로 결정부316: path search unit 318: path determination unit

320 : 지도 검색부 322 : 주소/POI 검색부320: Map search unit 322: Address / POI search unit

324 : 유사어 맵핑부 326 : 콜백 접속정보 생성부324: synonym mapping unit 326: callback access information generation uni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에게 이동통신망을 통해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route guidance servic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 user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운행 중에 경로를 안내하여 주는 네비게이션 서비스가 널리 보편화되었다. 차량용 네비게이션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과 지능형 교통정보 단말을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차량에 장착하고, 사용자가 목적지 및 출발지 정보를 입력하여 경로 정보를 요청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 정보센터에서 최적 경로를 탐색한 후, 경로 정보를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전송하여 주는 서비스이다.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전송된 경로 정보는 차량이 운행함에 따라 출력되어 운전자가 이를 참조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한다.As is well known, a navigation service for guiding a route while the vehicle is in operation is widely used. The vehicle navigation service includes a navigation terminal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ntelligent traffic information terminal in a vehicle, and when the user inputs destination and departure information and requests route information, the vehicle receives the departur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fter searching the optimal route in the center, the service transmits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navigation terminal. Rout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navigation terminal is output as the vehicle is driven so that the driver can drive with reference to it.

차량용 네비게이션 서비스는 차량의 운행 속도를 감안하여 차량의 위치를 보다 정확히 탐지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위치 측정 센터(Positioning Determination Entity; PDE)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In-vehicle navigation service needs a function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vehicle more accurately in consideration of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for this purpose, the navigation terminal periodically communicates with a Positioning Determination Entity (PDE) to receive from the GPS satellites.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position information.

현재의 네비게이션 서비스는 차량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위주로 하고 있으며,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5-104939호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한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The current navigation service is focused on providing a service to a vehicle, and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 pedestria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104939.

한편, 통상적인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사용 실태를 살펴보면 네비게이션 기능이 탑재된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data Assistant; PDA) 등을 차량에 설치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는다.On the other hand, when looking at the use of the conventional navigation system, a personal digital data assistant (PDA) equipped with a navigation func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to receive a navigation service.

그런데, 복잡한 도심지 등에서는 주차 공간의 부족으로 인하여 목적지가 아닌 인근의 다른 건물에 차량을 주차하여야 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이 경우에는 차량에서 하차 후 원래의 목적지로 도보 이동함에 있어서 목적지로의 이동 경로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due to the lack of parking spaces in crowded urban areas, it is common to park a vehicle in a nearby building other than the destination.In this case, the path of travel to the destination when getting off the vehicle and walking to the original destination It may be difficult to pinpoint the

이때에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등의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다시 구동시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다시 제공받거나 자신이 휴대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차량용 또는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으면 원래의 목적지로의 이동 경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a navigation service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nstalled in the vehicle is driven again to provide a navigation service again or a vehicle or pedestrian navigation servic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rried by the vehicle, You can easily identify the route to your original destination.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차량 탑승 중에 사용하였던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다시 구동한 후 목적지 정보를 재입력하거나 자신이 휴대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네비게이션 서버에 접속한 후에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재구동 및 네비게이션 서버로의 접속에 소요되는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fter re-driving the navigation terminal used while riding the vehicle, inputting destination information again or accessing the navigation serv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has to enter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re was a problem, and there was an inconvenient problem of waiting time for restarting the navigation terminal and accessing the navigation server.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에서 접속정보의 전달을 요청하면 현재의 경로 안내를 위한 접속정보를 다른 단말기로 전달함으로써, 네비게이션 접속정보를 전달받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다 빠르고 쉽게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when the terminal receiving the navigation service requests the transfer of the access information, the access information for the current route guidance is transmitted to another terminal, thereby receiving the navigation access inform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navigation service faster and easier using a terminal.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으로서 이동통신망을 이 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서, 네비게이션 서버는,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가 전송되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모든 가능한 경로를 추출하는 경로 탐색부와, 경로 탐색부에서 추출한 경로 중 단시간에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최적 경로 정보로 결정하는 경로 결정부와, 경로 결정부에서 최적 경로를 결정하고 난 후,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지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지도 검색부와, 경로 결정부 및 지도 검색부의 실행 결과를 통신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와,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접속정보의 전달이 요청되면 현재의 경로 안내 서비스를 연결성이 있게 제공받을 수 있는 콜백 접속정보를 생성하여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콜백 접속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As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a naviga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navigation server that provides a route guidance service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sourc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route search unit extracts all possible routes from the source to the destination by referring to a database, and the route that can reach the destination in a short time among the routes extracted by the route search unit. Execution path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optimal path information, a map search unit for extracting map information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after determining the optimal path from the database, and the execution result of the path determining unit and the map search uni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1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route guidance service by transmit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allback for providing a current route guidance service with connectivity when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access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providing a route guidance service. And a callback access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access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access information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관점으로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방법은, 네비게이션 서버에 의해 이동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방법으로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접속정보의 전달이 요청되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로 안내 서비스를 위한 접속정보를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avigation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 navigation method for providing a route guidance service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y a navigation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viding a route guidance to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roviding a service; and transmitting the access information for the route guidance service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transfer of the access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providing the route guidance service. It includes.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으로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방법은, 네비게이션 서버에 의해 이동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방법으로서,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가 전송되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모든 가능한 경로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한 경로 중 단시간에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최적 경로 정보로 결정하는 단계와, 최적 경로를 결정하고 난 후,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지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최적 경로 정보 및 지도 정보를 통신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접속정보의 전달이 요청되면 현재의 경로 안내 서비스를 연결성이 있게 제공받을 수 있는 콜백 접속정보를 생성하여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avigation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 navigation method for providing a route guidance service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y a navigation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starting and destin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transmission, extracting all possible routes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by referring to the database, determining the optimal route information as the route that can reach the destination in a short time among the extracted routes, and after determining the optimal route, Extracting map information from a starting point to a destination from a database, providing optimum route information and map information to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terface, and providing route guidance services; and providing route guidance services.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the request from the transmission of the access information by generating a call back connection information that can be provided with the current route guidance allows the connectivity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도 1의 블록 구성도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Components of a naviga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block diagram of FIG. 1.

이동통신 단말기(10, 12)은 GPS 위성(40, 42, 44)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 하기 위한 GPS 수신기가 장착된 단말이어야 하며, GPS-One 단말 또는 일반 이동통신 단말기에 외장형 GPS 수신기를 장착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이동통신 단말기(12)는 이동통신 단말과 지능형 교통정보 단말을 포함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등의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구현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should be terminals equipped with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satellites 40, 42 and 44, and an external GPS receiver may be mounted on the GPS-One terminal or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Preferab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is implemented as a navigation terminal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ntelligent traffic information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과의 무선구간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 및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BTS/BSC; 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 12)의 위치를 측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 12)가 GPS 위성(40, 42, 44)으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 및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지연 정보, 파일럿 위상 정보 등을 포함하는 기지국 정보를 교환기(MSC, 22)를 통해 위치 측정 센터(PDE, 24)로 전송하며, 위치 측정 센터(24)는 이동통신 단말기(10, 12)의 위치정보(위도, 경도 정보), 기지국과의 지연 정보, 파일럿 위상 정보 등을 근거로 하여 위치를 계산한다. 또한, 위치 측정 센터(24)는 이동통신 단말기(10, 12)로부터 수신한 위도 및 경로 정보로부터 계산한 위치정보와 기지국 정보에 더하여, 홈위치 등록기(HLR, 도시하지 않음)가 관리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A base station controller (BTS / BSC) 20 that control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nd a base station supporting wireless section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need to measure the posi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10, 12 receives base station information,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s 40, 42, 44, delay inform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ilot phase information, etc. through the MSC 22; (PDE) 24, and the location measurement center 24 determines the loc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delay information with the base station, pilot phase information, and the like. Calculate In addition, the location measurement center 24 is a movement managed by 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not shown) in addition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calculated from the latitude and the pat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It is also possible to more accurately grasp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위치 결정 센터(MPC, 26)는 이동통신 교환망과 LBS(Location Based Service) 서버(28)와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LBS 서버(28)의 위치정보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 12)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 12)의 위치정보를 LBS 서버(28)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 결정 센터(26)를 통해 LBS 서버(28)로 위치정보가 전송되면, LBS 서버(28)는 이를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에 활용되도록 한다.The Location Determination Center (MPC) 26 serves as a gateway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network and the Location Based Service (LBS) server 28,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of the LBS server 28.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12) to the LBS server (28). When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LBS server 28 through the location determination center 26, the LBS server 28 is to be utilized for providing various location-based services.

네비게이션 서버(30)는 차량 및 보행자를 위한 경로 정보 및 지도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데, 경로 정보는 주소, 도로명, 주요 지형지물 정보(Point Of Interest; POI) 위주로 구현된다. 네비게이션 서버(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 12)의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요청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 12)로부터 전송되는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에 따라 경로를 탐색하고 결정하여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10, 12)로 전송하여 준다. 이때, 출발지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0, 12)의 현재 위치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한 위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출발지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0, 12)의 사용자가 주소, 도로명, 건물 이름 등을 이용하여 검색하거나, 사용자의 최근 네비게이션 경로 검색 리스트, 사용자가 저장해 둔 장소 리스트로부터 검색하거나 시설물명으로 검색하거나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목적지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목적지 위치를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지정하는 경우 네비게이션 서버(30)는 LBS 서버(28)와 연계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검색하여 경로 정보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10, 12)로 제공하여야 한다. 특히 네비게이션 서버(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 12)를 통해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10, 12)로부터 접속정보의 전달이 요청되면 현재의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접속정보를 미리 설정한 이동통신 가입자번호 또는 접속정보의 전달 요청시에 입력되는 이동통신 가입자번호로 전송한다.The navigation server 30 holds route information and map information for vehicles and pedestrians. The route information is implemented based on an address, a road name, and a point of interest (POI). As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requests a navigation service, the navigation server 30 searches for and determines a route according to the sourc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and determines the route. The terminal transmits the data to the terminals 10 and 12. In this case,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may be a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or a location arbitrarily designat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can be searched by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12 using an address, a road name, a building name, or the like, searched from a user's recent navigation route search list, a list of places stored by the user, or a facility name. Alternatively, the location of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designated as a destination. If the destination location is designated as the location of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navigation server 30 searches for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LBS server 28 and requests the route information. Shall be provided. In particular, the navigation server 30 may receive the current route guidance service when the transfer of the access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while providing the route guidance servic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The acces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preset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number or a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number input at the time of request for delivery of the access information.

네비게이션 서버(3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어부(310), 통신망 인터페이스(312), 데이터베이스(314), 경로 탐색부(316), 경로 결정부(318), 지도 검색부(320), 주소/POI 검색부(322), 유사어 맵핑부(324) 및 콜백 접속정보 생성부(326) 등을 포함한다.Looking a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navigation server 30, as shown in Figure 2, the control unit 310, the network interface 312, the database 314, the route search unit 316, the route determination unit 318, map search The unit 320, an address / POI search unit 322, a similar word mapping unit 324, a callback access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26, and the like.

제어부(310)는 네비게이션 서버(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통신망 인터페이스(312)는 LBS 서버(28) 또는 기타 외부 시스템과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controller 3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navigation server 3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interface 312 allow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LBS server 28 or other external system.

경로 탐색부(316)는 이동통신 단말기(10, 12)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가 전송되면 데이터베이스(314)를 참조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모든 가능한 경로를 추출하고, 경로 결정부(318)는 경로 탐색부(316)에서 추출한 경로 중 단시간에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최적 경로 정보로 결정하는데, 최적 경로는 목적지까지의 도달 시간이 짧은 순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 선택할 수 있다. 각각의 경로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0, 12)의 사용자에게 경로를 용이하게 안내하기 위한 주요 지형, 도로명, 지물 정보(인식하기 용이한 건물명, 버스 정류장명, 지하철역명 등)가 포함된다.When the sourc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the route search unit 316 extracts all possible routes from the source to the destination with reference to the database 314, and the route determiner 318 determines the route. Among the paths extracted by the searcher 316, a path that can reach the destination in a short time is determined as the optimum path information, and one or more optimal paths may be selected in the order of shortest arrival time to the destination. Each route information includes main terrain, road names, feature information (a building name, a bus stop name, a subway station name, etc.) for easily guiding a route to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지도 검색부(320)는 경로 결정부(318)에서 최적 경로를 결정하고 난 후,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지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14)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 12)의 사용자 요구에 따라 출발지 지도, 목적지 지도 등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지도는 벡터 맵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p retrieval unit 320 extracts the map information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from the database 314 after determining the optimum route in the route determination unit 318.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tarting map, a destination map, etc. according to a user reque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and such a map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vector map.

경로 결정부(318) 및 지도 검색부(320)의 실행 결과는 통신망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 12)로 전송되며, 이동통신 단말기(10, 12)는 수신한 경로 정보를 저장한 후 경로 안내를 개시한다.Execution results of the route determination unit 318 and the map search unit 320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nterface 312,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receive the received route information. After saving, start route guidance.

주소/POI 검색부(322)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 12)의 사용자가 출발지 및/또는 목적지 정보를 전부다 전송하지 않고 일부만 전송한 경우에 데이터베이스(314)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 12)로부터 전송된 출발지 및/또는 목적지 일부 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주소, 도로명, 지형/지물 정보 리스트를 추출하고,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10, 12)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출발지 정보로서 "삼성"만을 입력한 경우, 주소/POI 검색부(322)는 데이터베이스(314)에 저장되어 있는 "삼성"이라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모든 주소/POI 정보(삼성동사무소, 삼성동 무역센터, 삼성병원, 삼성역 등)를 추출하는 것이다.The address / POI retrieval unit 322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database 314 when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who want to use the navigation service transmits only a part of the source and / or destination information instead of all of them. All addresses, road names, and terrain / feature information lists including the source and / or destination parti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10, 12) are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12). For example, if the user inputs only "Samsung" as the source information, the address / POI search unit 322 may include all address / POI information including the text "Samsung" stored in the database 314 (Samsung Dong Office). , Samsung-dong Trade Center, Samsung Hospital, Samsung Station, etc.).

유사어 맵핑부(324)는 한글, 영문 등이 혼용되어 사용되는 지명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이를 하나의 지명정보로 맵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314)는 주소 및 POI 저장시 유사어 또한 함께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마트, E마트, e마트는 모두 동일한 정보인 것으로 저장하여 두고, 이동통신 단말기(10, 12)로부터 이마트, E마트, e마트 중 어느 하나가 전송되면 모두 동일한 정보로 해석하는 것이다.The synonym mapping unit 324 performs a function of mapping the place name information into one place name information when Korean and English names are mixed and used. To this end, the database 314 should also store similar words when storing addresses and POIs. For example, E-Mart, E-Mart, and E-Mart are all stored as the same information, and when any one of the E-Mart, E-Mart, and E-Mart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all are interpreted as the same information.

콜백 접속정보 생성부(326)는 이동통신 단말기(10, 12)를 통해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10, 12)로부터 접속정보의 전달이 요청되면 경로 결정부(318) 및 지도 검색부(320)에 의해 결정된 현재의 경로 안내 서비스를 연결성이 있게 제공받을 수 있는 콜백 접속정보를 생성한 후 미리 설정한 이동통신 가입자번호 또는 접속정보의 전달 요청시에 입력 설정하는 이동통신 가입자번호로 전송한다.If the callback access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26 is requested to transfer the access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while providing the route guidance servic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the call determining unit 318 and the map are provided. After generating callback access information that can be provided with connectivity to the current route guidance service determined by the search unit 320, the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number or a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number to be set at the time of request for delivery of access information. To sen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의 경로 안내 절차를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도 3을 참조하여 경로 안내 접속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2)를 제 1 단말기로 예시하였고,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제 2 단말기로 예시하였다.In describ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navigation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description of the known route guidance procedure will be omitted, and the process of transmitting route guidance connection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FIG. Let's explain. In FIG. 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is illustrated as a first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illustrated as a second terminal.

먼저, 네비게이션이 구동(S401)되어 네비게이션 서버(30)가 경로 결정부(318) 및 지도 검색부(320)에 의해 결정된 경로를 이동통신 단말기(12)에게 제공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중(S403)에 기 약정된 키버튼을 조작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접속정보를 기 설정된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전달하여 줄 것을 요청하거나 접속정보를 전달할 이동통신 가입자 번호를 입력한다(S405).First, the navigation is driven (S401) so that the navigation server 30 provides a route determined by the route determining unit 318 and the map search unit 32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S403). By operating a predetermined key button, a request is made to deliver the access information that can be provided with the route guidance service to the preset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or inputs the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number to which the access information is transmitted (S405).

그러면, 현재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던 이동통신 단말기(12)가 현재의 접속정보를 이동통신망 및 교환 시스템을 통해 네비게이션 서버(30)로 전송(S407)한다. 이때 전송되는 접속정보는 출발지, 현위치, 목적지 정보 등을 포함한다.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which has been provided with the current route guidance service transmits the current access information to the navigation server 3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witching system (S407). In this case, the transmitted access information includes a starting point, a current loc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이동통신 단말기(12)가 전송한 접속정보는 통신망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네비게이션 서버(30)로 전달되며, 네비게이션 서버(30)의 콜백 접속정보 생성부(326)는 이동통신 단말기(12)로부터 전송된 접속정보에 따라 현재의 경로 안내 서비스를 연결성이 있게 제공받을 수 있는 콜백 접속정보를 생성(S409)한다. 즉 경로 결정부(318) 및 지도 검색부(320)에 의해 결정된 경로 안내 서비스를 곧바로 제공받을 수 있는 접속정보로서 콜백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생성한다.The conn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is transmitted to the navigation server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nterface 312, and the callback connec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26 of the navigation server 30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In operation S409, the callback access information for receiving the current route guidance service with connectivity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access information is generated. That is, a callback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s generated as access information that can be directly provided with the route guidance service determined by the route determination unit 318 and the map search unit 320.

네비게이션 서버(30)는 콜백 접속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2)의 사용자가 미리 콜백 접속정보의 수신처로 등록하여 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가입자번호로 콜백 접속정보를 전송하거나, 단계 S405에서 접속정보의 전달을 요청하면서 입력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가입자번호로 콜백 접속정보를 전송(S411)한다.When the generation of the callback access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navigation server 30 transmits the callback access information to the subscriber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which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has previously registered as a destination of the callback access information, or In step S405, the callback acces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ubscriber number of the input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while requesting the transfer of the access information (S411).

이후, 콜백 접속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수신된 콜백 접속정보를 통해 교환 시스템 및 네비게이션 서버(30)에 곧바로 접속(S413)하게 된다. 즉 목적지 정보 등을 재입력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Thereaft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receiving the callback connection information directly connects to the switching system and the navigation server 30 through the received callback connection information (S413). In other words, there is no need to re-enter the destination information.

이로써, 네비게이션 서버(30)는 콜백 접속정보를 통해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10)에게 이전의 이동통신 단말기(12)에게 제공하던 경로 안내 서비스를 연결성 있게 제공(S415)한다.As a result, the navigation server 30 provides the mobile terminal 10 connected through the callback connection information with the route guidance service previously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2 in a connected manner (S415).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의 적용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등의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통해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던 중에 복잡한 도심지 등에서 주차 공간의 부족으로 인하여 목적지가 아닌 인근의 다른 건물에 차량을 주차한 경우라면, 사용자는 차량에서 하차하면서 단계 S405를 통해 접속정보의 전달을 요청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자신이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콜백 접속정보를 수신 받아서 손쉽게 연속적인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경로 안내 정보를 참고하여 원하는 목적지에 신속하게 도착할 수 있다.First, if a user parks a vehicle in a nearby building other than the destination due to a lack of parking space in a crowded city center while receiving a route guidance service through a navigation terminal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nstalled in the vehicle, While getting off from the vehicle, a request is made to transfer access information through step S405. In this case, the user can receive the callback access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he always carries and can easily receive the continuous route guidance service, and can quickly arrive at a desired destination by referring to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또한,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던 중에 배터리의 소모로 인한 방전의 우려가 있을 경우에 접속정보 전달을 요청하면서 일행이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번호를 입력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 여부와는 무관하게 일행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경로 안내 서비스를 연속성 있게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while receiving a route guidance service through his mobile terminal, if there is a risk of discharge due to battery consumption, the subscriber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possessed by the party is requested while requesting the transfer of access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user can continuously receive the route guidance servic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group regardless of whether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wned by the user is exhausted.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당연히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has been described so far limited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construed as naturally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에서 접속정보의 전달을 요청하면 현재의 경로 안내를 위한 접속정보를 다른 단말기로 전달함으로써, 네비게이션 접속정보를 전달받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다 빠르고 쉽게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receiving the navigation service requests the transmission of the access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access information for the current route guidance to another terminal, thereby navigating more quickly and easily using the terminal receiving the navigation access information. The service can be provided.

Claims (9)

이동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서,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a navigation server that provides a route guidance service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는,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가 전송되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모든 가능한 경로를 추출하는 경로 탐색부와,The navigation server may include a route search unit that extracts all possible routes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by referring to a database when origi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경로 탐색부에서 추출한 경로 중 단시간에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최적 경로 정보로 결정하는 경로 결정부와,A rout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s optimal route information, a route that can reach a destination in a short time from the route extracted by the route search unit; 상기 경로 결정부에서 최적 경로를 결정하고 난 후,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지도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지도 검색부와,A map retrieval unit for extracting map information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after determining the optimum route in the route determining unit; 상기 경로 결정부 및 지도 검색부의 실행 결과를 통신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execution result of the route determination unit and the map search unit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terface to provide the route guidance service;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접속정보의 전달이 요청되면 현재의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를 연결성이 있게 제공받을 수 있는 콜백 접속정보를 생성하여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콜백 접속정보 생성부When the request for delivery of access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providing the route guidance service, the callback access information that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current route guidance service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lback connection information generator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콜백 접속정보는 콜백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인 것The callback access information is a callback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콜백 접속정보는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미리 설정한 이동통신 가입자번호 또는 상기 접속정보의 전달 요청시에 입력 설정하는 이동통신 가입자번호로 전송하는 것The callback acces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number set in advance by a subscriber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number to be input when a request is made to transfer the access information.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네비게이션 서버에 의해 이동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방법으로서,A navigation method for providing route guidance services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y a navigation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a) providing the route guidance service to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접속정보의 전달이 요청되면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를 위한 접속정보를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b) transmitting the access information for the route guidance service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transfer of the access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providing the route guidance service;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방법.Navigation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가 전송되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모든 가능한 경로를 추출하는 단계와,The step (a) may include (a1) extracting all possible routes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by referring to a database when origi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2) 상기 추출한 경로 중 단시간에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최적 경로 정보로 결정하는 단계와,(a2) determining a route that can reach a destination in a short time among the extracted routes as optimal route information; (a3) 상기 최적 경로를 결정하고 난 후,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지도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a3) after determining the optimum route, extracting map information from the source to the destination, from the database; (a4) 상기 최적 경로 정보 및 지도 정보를 통신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a4) providing the route guidance service by transmitting the optimal route information and map information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terface;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방법.Navigation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접속정보의 전달이 요청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The step (b) may include (b1) determining whether transmission of access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providing the route guidance service; (b2) 상기 접속정보의 전달이 요청되면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를 위한 콜백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생성하는 단계와,(b2) generating a callback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for the route guidance service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access information is requested; (b3) 상기 생성된 콜백 URL을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b3) transmitting the generated callback URL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방법.Navigation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네비게이션 서버에 의해 이동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경 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방법으로서,A navigation method for providing a route guidance service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y a navigation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가 전송되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모든 가능한 경로를 추출하는 단계와,Extracting all possible routes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by referring to a database when origi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추출한 경로 중 단시간에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최적 경로 정보로 결정하는 단계와,Determining a route capable of reaching a destination in a short time among the extracted routes as optimal route information; 상기 최적 경로를 결정하고 난 후,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지도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After determining the optimal route, extracting map information from the source to the destination, from the database; 상기 최적 경로 정보 및 지도 정보를 통신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Providing the route guidance service by transmitting the optimum route information and map information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terface;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접속정보의 전달이 요청되면 현재의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를 연결성이 있게 제공받을 수 있는 콜백 접속정보를 생성하여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When the request for delivery of access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providing the route guidance service, the callback access information that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current route guidance service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ep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방법.Navigation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콜백 접속정보는 콜백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인 것The callback access information is a callback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방법.Navigation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상기 콜백 접속정보는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미리 설정한 이동통신 가입자번호 또는 상기 접속정보의 전달 요청시에 입력 설정하는 이동통신 가입자번호로 전송하는 것The callback acces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number set in advance by a subscriber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number to be input when a request is made to transfer the access information.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방법.Navigation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60050768A 2006-06-07 2006-06-07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by using mobile network KR1007580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768A KR100758058B1 (en) 2006-06-07 2006-06-07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by using mobil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768A KR100758058B1 (en) 2006-06-07 2006-06-07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by using mobile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058B1 true KR100758058B1 (en) 2007-09-11

Family

ID=3873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768A KR100758058B1 (en) 2006-06-07 2006-06-07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by using mobile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05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591A (en) * 2009-05-19 2010-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1950A (en) 2004-07-27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ultimedia content providing system, home content server, viewing device, and car navig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1950A (en) 2004-07-27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ultimedia content providing system, home content server, viewing device, and car navigation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591A (en) * 2009-05-19 2010-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176749B2 (en) 2009-05-19 2015-11-03 Lg Electronics Inc. Rendering across terminals
KR101602221B1 (en) * 2009-05-19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47435B2 (en) 2009-05-19 2017-01-17 Lg Electronics Inc. Rendering across terminals
US10310662B2 (en) 2009-05-19 2019-06-04 Lg Electronics Inc. Rendering across termina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3350B2 (en) Navigation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EP13587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sition profiles in mobile value-added services
KR101638135B1 (en) Navigation device, navig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10022305A1 (en) Car navigation apparatus,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a car navigation system
US200601168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ple route navigation
EP2418459A1 (en) Navigation system, route search server, route search agent server, and navigation method
CN101101218A (en) Navigation system working method capable of providing remote handle service
US20070213043A1 (en) Method of finding person using mobile messenger service and systems thereof
WO2001028270A1 (en) Downloading geographical data to a mobile station and displaying a map
TW201017111A (en) Navigation apparatus, server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point of interest data
KR20030071139A (en) Map ma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ingle path or multi paths to navigation service
KR20120064276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routes for mobile terminal
US20040225712A1 (en) Server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100727903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djacent position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6284246A (en) Taxi course search system
US7392132B2 (en) Position notifying device
KR20010099007A (en) System of Persional Navigation and Method thereof
CN102538794A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destination, and navigation device and system
KR100866756B1 (en) Method for leading a way and Server for the same based on user created contents
KR20060099782A (en) Wired and wireless internet based multi-modal integrated rout guidance system
KR100601863B1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destrian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758058B1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by using mobile network
JP2006292550A (en) Tourist route guiding system
KR20040077286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altime Route Information by Using Location Based Services
JPH11201769A (en) Communication type route guiding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ed for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