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842B1 - Th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personal computers, the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h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personal computers, the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842B1
KR100755842B1 KR1020050126867A KR20050126867A KR100755842B1 KR 100755842 B1 KR100755842 B1 KR 100755842B1 KR 1020050126867 A KR1020050126867 A KR 1020050126867A KR 20050126867 A KR20050126867 A KR 20050126867A KR 100755842 B1 KR100755842 B1 KR 100755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ain body
computer main
monitor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8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동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6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842B1/en
Priority to CNA2006101287536A priority patent/CN19756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8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A monitor and a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power of a computer body,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easily to turn on the power of the computer body even if a power switch of the computer body is installed to a place difficult to be easily accessed by a user, and effectively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computer body. An input part(321) inputs a signal for changing the power of the monitor to a power-on state from a power-off state. A controller(322) generates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command for turning one the power of the computer body (303) by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input part. A transmitter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computer body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If the power of the computer body is the power-off state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nitor(301), the computer body turns on the power of the computer body.

Description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Th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Personal Computers, the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Th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Personal Computers, the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와 컴퓨터 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nitor and a computer bod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와, 상기 컴퓨터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예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nitor capable of controlling a power supply of a computer main body and a cable connecting the computer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including a monitor capable of controlling a power supply of a computer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4 is a flowchart (flow 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system including a monitor capable of controlling a power supply of a computer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1,201,301:모니터 103,203,303:컴퓨터 본체101,201,301: monitor 103,203,303: computer body

102:모니터 전원 스위치 104:컴퓨터 본체 전원 스위치102: monitor power switch 104: computer body power switch

210,310:PC 파워 온(Power On) 신호 케이블210,310: PC Power On Signal Cable

211,311:제너럴(General) 신호 케이블211,311: General signal cable

321:입력부 322:제어부321: input unit 322: control unit

323:디스플레이부 324:모니터 전원 소프트웨어323: display unit 324: monitor power supply software

325:모니터 전원 공급부 326:PC 전원 공급부325: monitor power supply 326: PC power supply

327:CPU(Central Processor Unit) 328:PC 기동 판단부327: Central processor unit (CPU) 328: PC start determination unit

329:PC 비디오 카드(Video Card)329: PC video card

본 발명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nitor capable of controlling a power supply of a computer main body, a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와 컴퓨터 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와 컴퓨터 본체에서, 전원(power)을 온/오프(on/off) 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nitor and a computer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ior art. Hereinafter, a process of turning on / off a power in a monitor and a computer main body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103)와 모니터(101)의 전원이 별도로 제어되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본체(103)를 켜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책상 밑에 위치한 상기 컴퓨터 본체(103)의 전원 스위치(104)를 눌러서 켰으며, 상기 모니터(101)를 켜기 위해서는 다시 별도로 상기 모니터(101)의 전원 스위치(102)를 눌러서, 상기 모니터(101)의 전원을 온(on)상태로 전환시켰다.In the related art, as shown in FIG. 1, the power supplies of the computer main body 103 and the monitor 101 were controlled separately. For example, in order to turn on the computer main body 103, the power switch 104 of the computer main body 103 located under a desk is normally turned on, and in order to turn on the monitor 101, the monitor 101 is again separately turned on. The power switch 102 of was pressed to switch the power of the monitor 101 to an on state.

즉, 상기 컴퓨터 본체(103)와 상기 모니터(101)의 전원은 각각 제어되었으며, 상기 모니터(101)로 상기 컴퓨터 본체(103)의 전원을 제어할 수 없었다.That is, the powers of the computer main body 103 and the monitor 101 were controlled, respectively, and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103 could not be controlled by the monitor 101.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모니터와, 컴퓨터 본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onitor and computer main body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첫 째, 컴퓨터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 스위치를 눌러야 하므로, 상기 컴퓨터 본체의 전원 스위치가 반드시 사용자가 접근(access)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사용자로서는 매우 불편하고, 공간적 제약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in order to operate a computer system, since the power switch of the computer main body has to be pressed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power switch of the computer main body must be installed at a position accessible to the user. As a result, it is very inconvenient for the us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constraints are increased.

둘 째, 절전 모드(Display Power Management)에서, 예를 들어 스탠바이(stand-by)상태, 서스펜드(suspend)상태, 슬리핑(sleeping)상태인 경우, 모니터의 소비전력은 절감될 수 있지만,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효율적으로 온/오프 시킬 수 있는 기능은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Secondly, in the display power management mode, for example, in a stand-by state, in a suspend state, and in a sleeping stat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can be reduced,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re is no function that can effectively turn on / off the pow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 본체의 전원 스위치가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는 위치에 있어도, 상기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용이하게 온(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turn on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even when the power switch of the computer main body is not easily accessible by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nitor capable of controlling a power source of a switchable computer main body, a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컴퓨터 본체의 전원 소비량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itor capable of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computer main body which can effectively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mputer main body, a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니터의 전원을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변경시키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변경 신호를 입력받아,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명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를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signal for changing the power of the monitor from the off state to an on state, and receiving the change signal to turn on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a command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and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computer main body.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기설치되었거나, 또는 새로운 케이블을 통해 전송하거나,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mitting unit,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hrough a pre-installed, new cable, or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니터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변경된 경우,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명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는 모니터와,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하는 컴퓨터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a command fo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when the power of the monitor is chang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And a computer body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monitor to the computer main body, and a computer main body which receives the control signal and controls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to provide.

상기 컴퓨터 본체는,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받은 때, 상기 컴퓨터 본체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uter main body, when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when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is off, it is preferable to switch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to the on sta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니터의 전원을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변경시키는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 신호를 입력받아,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명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를 외부 장치로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nputting a signal for changing the power of the monitor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and receiving the change signal to turn on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on)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a command to output the control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To provide.

상기 외부 장치는, 컴퓨터 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ternal device preferably includes a computer bod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니터의 전원을 온(on)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의 전원이 온(on) 상태로 전환된 경우,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명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 장치의 전원이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urn on the power of the monitor (on) state, and when the power of the monitor is turned on (on), turning on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on) Genera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command,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power of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A control method of a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a power supply of a computer main body is provided.

상기 외부 장치는, 컴퓨터 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ternal device preferably includes a computer body.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니터의 전원 스위치를 이용하여,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시키며, 나아가 컴퓨터 본체의 전력 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wer supply of the computer main body by using the power switch of the monitor,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further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mputer main body.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와, 상기 컴퓨터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모니터와 상기 컴퓨터 본체간 송수신할 수 있는 케이블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nitor capable of controlling a power supply of a computer main body and a cable connecting the computer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 cab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for controlling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between the monitor and the computer main body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인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은 상기 컴퓨터 본체(203)와 모니터(2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computer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computer main body 203 and the monitor 201.

그리고, 상기 컴퓨터 본체(203)와, 상기 모니터(201)간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케이블(211,210)이 필요하다. 다만, 상기 케이블은 기존의 케이블에 별도로 핀(pin)을 추가시키는 방법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또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전용 케이블로 구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cables 211 and 210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signals between the computer main body 203 and the monitor 201 are required. However, the cable may be implemented by adding a pin to the existing cable separately, or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dicated cab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물론, 상기 케이블 대신에, 상기 컴퓨터 본체(203)와 상기 모니터(201)간, 상기 컴퓨터 본체(203)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정보를 무선 방식으로 송수신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무선 방식은 적외선(infrared rays) 신호 등이 적용될 수 있다.Of course, in place of the cable, information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203 between the computer main body 203 and the monitor 201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and received. For example, an infrared ray signal or the like may be applied to the wireless scheme.

상기 모니터(201)에서, 상기 컴퓨터 본체(203)와 각종 신호를 전송받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제너럴 신호 케이블(general signal cable)(211)로 연결되며, 상기 컴퓨터 본체(203)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단자로서는 예를 들어, ST(s/cable pin 5) 단자와 Hsync(s/cable pin 13) 단자와, 그리고 Vsync(s/cable pin14) 단자를 이용한다.In order to receive various signals with the computer main body 203, the monitor 201 is generally connected with a general signal cable 211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mputer main body 203. For example, an ST (s / cable pin 5) terminal, an Hsync (s / cable pin 13) terminal, and a Vsync (s / cable pin 14) terminal are used.

다만, 상기 ST(s/cable pin 5) 단자는 상기 컴퓨터 본체(203) 내부에서, 그라운드(Ground) 처리 되어 있으며, 상기 ST 단자를 이용하여, 제너럴 신호 케이블(general signal cable)(211)의 연결 상태를 상기 모니터(201)의 마이컴(Micom)(미도시)에서 확인할 수 있다.However, the ST (s / cable pin 5) terminal is grounded inside the computer main body 203, and a general signal cable 211 is connected using the ST terminal. The state can be confirmed by a Micom (not shown) of the monitor 201.

예를 들어, 상기 마이컴의 확인 결과, 상기 ST 단자가 0V로 감지되면, 상기 모니터(201)가 상기 컴퓨터 본체(203)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고, 상 기 ST 단자가 5V로 감지되면, 상기 모니터(201)와 상기 컴퓨터 본체(203)를 연결하는 제너럴 신호 케이블(general signal cable)(211)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of the microcomputer, if the ST terminal is detected as 0V, the monitor 201 may be determined to be connected to the computer main body 203, and the ST terminal is detected as 5V. 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that a general signal cable 211 connecting the monitor 201 and the computer main body 203 is not connected.

만약, 상기 ST 단자가 0V로 감지되어서, 즉 제너럴 신호 케이블(general signal cable)(211)로 상기 모니터(201)와 컴퓨터 본체(203)가 연결된 상태인 경우, Hsync 단자와, Vsync 단자를 통해, Hsync 신호 또는 Vsync 신호의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모니터(201) 내의 상기 마이컴은 DPMS(Display Power Management Signaling) 모드(mode)를 제어한다.If the ST terminal is detected as 0V, that is, when the monitor 201 and the computer main body 20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general signal cable 211, through the Hsync terminal and the Vsync terminal, By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Hsync signal or a Vsync signal, the microcomputer in the monitor 201 controls a Display Power Management Signaling (DPMS) mode.

다만, 여기서 상기 DPMS 모드라 함은,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컴퓨터 본체(203)를 통한 사용자의 어떠한 작업도 이루어 지지 않는 경우, 상기 모니터(201)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모드 등을 의미한다.However, the DPMS mode herein refers to a mod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201 when no user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computer main body 203 for a predetermined time.

즉, 제너럴 신호 케이블(general signal cable)(211)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컴퓨터 본체로부터 Hsync 신호 또는 Vsync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모니터는 DPMS로 동작하게 되는데, 특히 이 경우, 상기 컴퓨터 본체가 아이들(idle) 상태(예컨대, 컴퓨터 본체를 통한 작업이 없는 상태)인 경우와, 상기 컴퓨터 본체가 기동되지 않은 상태(예컨대, 컴퓨터 본체의 전원이 오프(off)상태)인 경우로 나누어 동작하게 된다.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sync signal or the Vsync signal is not applied from the computer main body while the general signal cable 211 is connected, the monitor operates as a DPMS, in this case, the computer The operation is divided into an idle state (for example, no work through the computer body) and a case in which the computer body is not started (for example, a power off state of the computer body). Done.

상기 모니터(201)의 전원 스위치가 온(on)된 경우, 상기 모니터(201)의 마이컴에서는 제너럴 신호 케이블(general signal cable)(211)의 연결 상태, Hsync 신호(수평동기신호)와 Vsync 신호(수직동기신호)의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제너럴 신 호 케이블(general signal cable)(211)은 연결된 상태이지만, 상기 Hsync 신호, Vsync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모니터(201)는 상기 컴퓨터 본체(203)의 전원을 온 시키는 신호를 생성하여, PC 파워 온 신호 케이블(210)을 통해, 상기 컴퓨터 본체(203)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power switch of the monitor 201 is turned on, the microcomputer of the monitor 201 connects the general signal cable 211, the Hsync signal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Vsync signal ( When the general signal cable 211 is connected but the Hsync signal and the Vsync signal are not applied, the monitor 201 monitors the computer main body (Vertical Sync Signal). A signal fo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203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mputer main body 203 through the PC power on signal cable 210.

이 때, 상기 컴퓨터 본체(203)가 기동되지 않은 상태(예컨대, 컴퓨터 본체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전송받은 컴퓨터 본체(203)의 전원을 온 시키는 신호에 따라, 상기 컴퓨터 본체(203)의 전원을 온(on)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computer main body 203 is not started (for example,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computer main body is turned off), the computer main body ( The power of the 203 can be turned on.

한편, 상기 컴퓨터 본체(203)가 아이들(idle) 상태(예컨대, 컴퓨터 본체를 통한 작업이 없는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컴퓨터 본체(203)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므로, 다시 상기 컴퓨터 본체(203)를 온 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 때에는 기존의 DPMS 동작을 유지하는 것으로 충분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mputer main body 203 is in an idle state (for example, there is no work through the computer main body), since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computer main body 203, the computer main body 203 is again present. There is no need to turn it on. Therefore, it is sufficient to maintain the existing DPMS operation at this time.

다만, 상기 컴퓨터 본체(203)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인지 여부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wsing Unit)가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서, 판단할 수 있다.However, whether or not power is supplied to the computer main body 203 may be determined by checking, for example, whethe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is operatin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including a monitor capable of controlling a power supply of a computer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3,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including a monitor that can control the power supply of the computer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스템은 모니터(301)와, 컴퓨터 본체(303), 그리고 케 이블(310,3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nitor 301, a computer body 303, and cables 310 and 311.

상기 모니터(301)는 모니터 전원 공급부(325), 입력부(321), 제어부(322), 디스플레이부(323), 그리고 모니터 전원 소프트웨어(32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nitor 301 includes a monitor power supply unit 325, an input unit 321, a controller 322, a display unit 323, and monitor power software 324.

상기 입력부(321)로 파워(Power)를 온(on) 시키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322)는 상기 모니터 전원 소프트웨어(324)에 따라, 상기 모니터 전원 공급부(32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23)를 통해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When a signal for turning on power to the input unit 321 is input, the controller 322 receives power from the monitor power supply unit 325 according to the monitor power software 324. The screen is controlled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323.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부(323)는 예를 들어, CRT(Cathode-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소자 등이 될 수 있다.However, the display unit 323 may be, for example, a cathode-ray tube (CRT),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device, or the like.

상기 컴퓨터 본체(303)는 PC 전원 공급부(326), PC 기동 판단부(328), CPU(327), PC 비디오 카드(32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mputer main body 303 includes a PC power supply unit 326, a PC startup determination unit 328, a CPU 327, a PC video card 329, and the like.

사용자 입력 등으로, 상기 PC 전원 공급부(326)가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CPU(327), 상기 PC 비디오 카드(329) 등이 작동된다.When the PC power supply unit 326 supplies power by a user input or the like, the CPU 327, the PC video card 329, and the like are operated.

상기 케이블(310,311)의 경우, 도 3에서는 제너럴(General) 신호 케이블(311)과, PC 파워 온(Power On) 신호 케이블(310)로 각각 도시하였지만, 하나의 케이블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또는 무선으로 상기 PC 파워 온(Power On) 신호 케이블(310)을 대체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cables 310 and 311, although shown in FIG. 3 as a general signal cable 311 and a PC power on signal cable 310, the cables 310 and 311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able or wirelessly. The PC power on signal cable 310 may be replaced.

다만, 상기 제너럴(General) 신호 케이블(311)은 비디오 신호(R/G/B 신호 등등), Hsync 신호, Vsync 신호, s/cable 연결 상태와 관련된 신호 등을 송수신하는 일반적인 케이블을 의미한다.However, the general signal cable 311 refers to a general ca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ideo signals (R / G / B signals, etc.), Hsync signals, Vsync signals, signals related to s / cable connection states,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PC 파워 온(Power On) 신호 케이블(310)은 상기 모니터(301)로부터 생성되고, 또한 상기 컴퓨터 본체(303)의 전원을 온(on) 시키라는 명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케이블을 의미한다. 상기 PC 파워 온 신호 케이블(310)은 종전에는 존재조차 하지 않았던 케이블이다.The PC power on signal cable 310 is generated from the monitor 301 and further includes a control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command to turn on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303. Means the cable to be transmitted. The PC power on signal cable 310 is a cable that has not even existed before.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모니터(301)와 상기 컴퓨터 본체(303)간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particular,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between the monitor 301 and the computer main body 30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상기 입력부(321)는 상기 모니터(301)의 전원을 온 시키는 신호를 입력하고, 이 때, 상기 제어부(322)는 상기 제너럴 신호 케이블(311)을 이용하여, 상기 제너럴 신호 케이블(311)의 연결 상태 및 Hsync/Vsync 신호 유무를 체크한다. 다만, 상기 제어부(322)는 예를 들어 마이컴(Micom)이 될 수도 있다.The input unit 321 inputs a signal fo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monitor 301, and at this time, the controller 322 connects the general signal cable 311 using the general signal cable 311. Check the status and presence of Hsync / Vsync signal. However, the controller 322 may be, for example, a micom.

상기 제어부(322)의 체크 결과, 상기 제너럴 신호 케이블(311)은 연결 상태이지만, Hsync/Vsync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322)는 상기 PC 파워 온 신호 케이블(310)을 통해, 상기 컴퓨터 본체(303)의 전원을 온 시키라는 명령을 포함한 제어신호를 상기 컴퓨터 본체(303)의 상기 PC 기동 판단부(328)로 전송한다.As a result of the check of the control unit 322, when the general signal cable 311 is connected, but there is no Hsync / Vsync signal, the control unit 322 via the PC power on signal cable 310, the computer main body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command to turn on the power of 303 is transmitted to the PC startup determination unit 328 of the computer main body 303.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PC 기동 판단부(328)는 상기 CPU(327)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CPU(327)가 동작되지 않고 있는 경우, 상기 PC 전원 공급부(326)를 제어하여, 상기 컴퓨터 본체(303)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The PC startup determination unit 328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checks the operation state of the CPU 327, and controls the PC power supply unit 326 when the CPU 327 is not operated. Power is supplied to the computer main body 303.

다만, 상기 CPU(327)가 이미 동작되고 있는 상태라면, 이미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별도로 다시 상기 컴퓨터 본체(303)에 전원이 공급될 필요는 없다.However, if the CPU 327 is already operating, since the power is already being supplied, power need not be supplied to the computer main body 303 agai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4 is a flowchart (flow 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system including a monitor capable of controlling a power supply of a computer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a control method of a system including a monitor capable of controlling a power supply of a computer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리모컨 또는 모니터 전원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모니터의 전원을 온(on) 시킬 수 있다(S401).The power of the monitor may be turned on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or a monitor power switch (S401).

상기 모니터의 전원이 온(on)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모니터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402).When the power of the monitor is turned on, the monitor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turn on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S402).

상기 모니터는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컴퓨터 본체로 전송한다(S403).The monitor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computer main body (S403).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컴퓨터 본체는, 상기 컴퓨터 본체의 전원이 온(on)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04).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본체내, CPU의 동작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컴퓨터 본체의 전원이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 computer body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of the computer body is on (S404). For example, the operation state of the CPU is checked in the computer main body to determine whether the power supply of the computer main body is on.

상기 판단 결과(S404), 상기 컴퓨터 본체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 상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온(on) 시킨다(S405).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404), when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is in an off state,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S405).

한편, 상기 판단 결과(S404), 상기 컴퓨터 본체의 전원이 온(on) 상태인 경우, 상기 컴퓨터 본체의 현재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미도시).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본체가 DPMS 상태인 경우, 상기 DPMS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S404),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is on (on), the current state of the computer main body is maintained as it is (not shown). For example, when the computer main body is in the DPMS state, the DPMS state may be maintained.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s can be seen in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한 수치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이거나, 단순한 예시인 바, 상기 수치들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nd, the above-mentioned numerical value is a preferred embodiment or merely an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erical values, and as can be seen in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monitor, the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computer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은 컴퓨터 본체의 전원 스위치가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는 위치에 있어도, 상기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용이하게 온(on)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can be easily turned on even when the power switch of the computer main body is not easily accessible by the user.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컴퓨터 본체의 전원 소비량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mputer main body.

Claims (8)

모니터의 전원을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변경시키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signal for changing the power of the monitor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상기 변경 신호를 입력받아,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명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change signal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a command to turn on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And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computer main body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삭제delete 모니터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변경된 경우,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명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는 모니터; 그리고When the power of the monitor is chang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a control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a command fo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is generated, and the computer main body is connec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Monitor to transmit to; And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하는 컴퓨터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And a computer main body which receives the control signal and controls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컴퓨터 본체는,The computer body,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받은 때, 상기 컴퓨터 본체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And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computer main body is turned off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switching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to an on state. 모니터의 전원을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변경시키는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Inputting a signal for changing the power of the monitor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상기 변경 신호를 입력받아,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명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Receiving the change signal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a command to turn on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And 상기 제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외부 장치로 출력시키는 단계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외부 장치는 컴퓨터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의 제어방법.And the external device comprises a computer main body. 삭제delete 모니터의 전원을 온(on)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Turning on the monitor's power; 상기 모니터의 전원이 온(on) 상태로 전환된 경우,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명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Genera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a command fo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computer main body when the power of the monitor is turned on; 상기 제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상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 장치의 전원이 제어되는 단계Controlling power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외부 장치는 컴퓨터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제어방법.And the external device comprises a computer main body. 삭제delete
KR1020050126867A 2005-12-21 2005-12-21 Th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personal computers, the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7558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867A KR100755842B1 (en) 2005-12-21 2005-12-21 Th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personal computers, the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A2006101287536A CN1975631A (en) 2005-12-21 2006-09-03 Display and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computer host power supply and its controll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867A KR100755842B1 (en) 2005-12-21 2005-12-21 Th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personal computers, the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842B1 true KR100755842B1 (en) 2007-09-07

Family

ID=3812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867A KR100755842B1 (en) 2005-12-21 2005-12-21 Th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personal computers, the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55842B1 (en)
CN (1) CN1975631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5070B (en) * 2008-06-25 2011-12-07 联想(北京)有限公司 Out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6959729A (en) * 2016-01-08 2017-07-18 天津三星电子有限公司 A kind of electronic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903A (en) * 2001-09-14 2003-03-26 최우식 Computer power controller apparatus using a monitor power switch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50115527A (en) * 2004-06-04 2005-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Power control apparatus of computer using monitor power switch and method thereof
KR20060039084A (en) * 2004-11-02 2006-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mode of personal computer with moni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903A (en) * 2001-09-14 2003-03-26 최우식 Computer power controller apparatus using a monitor power switch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50115527A (en) * 2004-06-04 2005-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Power control apparatus of computer using monitor power switch and method thereof
KR20060039084A (en) * 2004-11-02 2006-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mode of personal computer with mon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75631A (en) 2007-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10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and display device
US2003010756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USB device thereof
US60853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PMS mode status using an OSD circuit
EP2544173A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0007943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000020185A (en) Display device
KR100755842B1 (en) Th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personal computers, the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90066947A (en) Dual computer system
KR100524010B1 (en) A electronic system having backlight adjusting function and backlight adjusting method thereof
KR100704667B1 (en) Display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98415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62802B1 (en) Monito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6649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monitor
KR2001006627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power of computer
KR10035714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dpm/power of computer
US20050174319A1 (en)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30047663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supplying to USB device thereof
KR100519299B1 (en) Display System Having Two-Way Control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09011575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JPH11282581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means therefor and display device
KR200172522Y1 (en) Displaying device for dpms mode in a computer system
KR101347572B1 (en) Display apparatus, host apparatus and power sav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KR20000002552U (en) Monitor power control circuit
KR200600390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mode of personal computer with monitor
KR20030070170A (en) Multi-function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