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708B1 -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708B1
KR100755708B1 KR1020060026176A KR20060026176A KR100755708B1 KR 100755708 B1 KR100755708 B1 KR 100755708B1 KR 1020060026176 A KR1020060026176 A KR 1020060026176A KR 20060026176 A KR20060026176 A KR 20060026176A KR 100755708 B1 KR100755708 B1 KR 100755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orary
content
license
keys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6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708B1/ko
Priority to US11/703,119 priority patent/US20070239617A1/en
Priority to JP2007043431A priority patent/JP2007257626A/ja
Priority to EP07104034A priority patent/EP1837789A2/en
Priority to CNA2007100883635A priority patent/CN101042721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37Time limited access, e.g. to a computer o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은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인증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는 임시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라이센스와 상기 임시 라이센스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RM, 라이센스, 임시, 컨텐츠, 암호, 과금, 인증

Description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suming contents using temporary license}
도 1은 종래의 수퍼디스트리뷰션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라이센스를 발급하여 싱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시나리오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임시 라이센스와 인증 라이센스의 구성을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임시 라이센스와 임시 라이센스를 이용하여 보호되는 컨텐츠를 생성하기위해 각 구성요소간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시스템 내에서 임시키를 생성하기위해 각 구성요소간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트래킹&리포팅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임시 컨텐츠를 복호화하고 사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서버 520: 키 생성기
540: 컨텐츠 암호부 600: 디바이스
620: 사용트래킹&리포팅부 640: 키 생성기
본 발명은 DRM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성장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컨텐츠를 분배하고 획득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만들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면, 오히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컨텐츠를 쉽게 복사하고, 변형하고, 불법적으로 유통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 소유자의 권한을 보호하고 불법적인 분배를 제어하는 컨텐츠 보호에 관련된 다양한 기술의 발전은 불가피한 요소가 되고 있다.  
DRM은 컨텐츠 소유자가 소유자의 저작권을 보호하고 소비자가 컨텐츠를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텐츠의 안전한 분배 및 확산, 정책에 따른 컨텐츠 제어 등이 포함된 기술을 말한다.
수퍼디스트리뷰션(Superdistribution)이란 컨텐츠 판매자가 소비자에게 컨텐 츠를 분배하는 대신에 소비자 개개인을 통하여 컨텐츠가 분배되는 방법을 가리킨다. 수퍼디스트리뷰션(Superdistribution)은 기존의 고전적인 컨텐츠 분배 방법에 비하여 컨텐츠의 확산 속도가 빠르며, 판매자 입장에서의 유통 및 광고 비용이 줄어드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소비자 입장에서 컨텐츠 획득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종래의 수퍼디스트리뷰션 방법은 컨텐츠를 전송하는 소스 시스템(Source System) A와 컨텐츠를 사용하기 위하여 컨텐츠를 전송받는 싱크 시스템(Sink System) B로 구성되어 있다. 소스 시스템과 싱크 시스템이 모두 동일한 도메인 내에 포함되느냐 포함되지 않느냐에 따라서 컨텐츠 분배 메카니즘이 달라질 수 있다.
대부분 종래의 수퍼디스트리뷰션 기술은 매우 강력한 가정에 기반하고 있다. 그 가정은 싱크 시스템은 전송 받은 암호화된 컨텐츠(Protected Content)의 라이센스(License)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기 위하여 온라인 연결성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특성이다.
따라서, 싱크 시스템 B는 소스 시스템 A에게 희망하는 컨텐츠 전송을 요청하게 되면, 소스 시스템 A는 싱크 시스템 B가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기기인지를 인증 등의 절차를 통하여 검사한다. 그리고 싱크 시스템 B가 적법한 기기로 판정된 경우, 소스 시스템 A는 라이센스는 전달하지 않고, 암호화된 컨텐츠만을 전달한다.
암호화된 컨텐츠를 수신한 싱크 시스템 B는 암호화된 컨텐츠에 삽입된 정보로부터 라이센스가 구매 가능한 곳의 주소를 획득하고, 주소로부터 라이센스를 구매 과정을 통하여 전송 받는다. 그리고 싱크 시스템 B는 구매한 새로운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컨텐츠에 대한 권한을 행사한다.
도 1은 종래의 수퍼디스트리뷰션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도메인(100) 내에 존재하는 두 기기(140, 150) 사이에는 도메인 키가 공유되고, 컨텐츠를 암호화한 키(CEK, Contents Encryption Key)(120)가 도메인 키로 암호화되므로, 도메인 내의 기기 사이에서 컨텐츠 공유가 가능해진다. 만약 싱크 시스템이 도메인 외부의 기기(152)인 경우에는 도메인 키를 소유하지 않았기 때문에, CEK를 접근할 수 없고 암호화된 컨텐츠(112)만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디바이스(152)를 통해 컨텐츠(112)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라이센스 발행자(13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152)에 저장된 컨텐츠(112)를 사용할 수 있는 CEK(122)를 구매해야 한다.
따라서, 외부 디바이스(152)가 항상 온라인(On-line)연결이 보장되는 핸드폰이나 PC일 경우에는 잘 동작하지만, 연결을 보장받을 수 없는 환경에서는 동작하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첫째, 싱크 시스템은 온라인 구매를 통하여 라이센스를 획득해야 하므로, 온라인 연결이 보장되어야 한다. 둘째, 싱크 시스템의 경우, 라이센스를 획득할 때까지 암호화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없다. 셋째, 소스 시스템과 싱크 시스템이 동일 사용자 혹은 동일 도메인의 기기에 포함되는 경우에도, 싱크 시스템에서 라이센스를 재구매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수퍼디스트리뷰션 방법은 소스 시스템과 싱크 시스템이 항상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가정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항상 라이센스를 재구매 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온라인의 상태가 아니라도 임시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임시 라이센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임시 라이센스를 통해 사용한 컨텐츠의 사용 내역에 대해 과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은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인증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는 임시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라이센스와 상기 임시 라이센스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은 임시 라이센스와 임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임시 라이센스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하여 임시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키로 상기 임 시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장치는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인증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인증 라이센스 생성부, 상기 컨텐츠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는 임시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임시 라이센스 생성부, 및 상기 인증 라이센스와 상기 임시 라이센스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장치는 임시 라이센스와 임시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임시 라이센스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하여 임시키를 생성하는 키 생성부, 및 상기 임시키로 상기 임시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게 되는 라이센스(License)는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정보, 컨텐츠를 사용에 부가되는 한정 사항 등이 제시된 권리 객체(Rights Object)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라이센스 또는 권리객체로 명명되지 않아도, DRM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개체를 본 명세서에서 라이센스로 통합하여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라이센스의 종류로 임시 라이센스(Temporary License)와 인증 라이센스(Authenticated License)로 나뉘어지는데, 임시 라이센스는 임시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이센스이며, 인증 라이센스는 구매 등을 통해 정식으로 취득한 라이센스를 의미한다. 통상 인증 라이센스는 업계에서 사용하는 라이센스와 동일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임시 라이센스와 구별하기 위해 인증 라이센스라 명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라이센스를 발급하여 싱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소스 시스템(210)은 싱크 시스템(220)에 원래의 암호화된 소스 컨텐츠(240) 와 임시 라이센스(230), 그리고 임시 라이센스(230)로 복호화가 가능한 임시 컨텐츠(242)를 송신한다. 임시 컨텐츠(242)는 암호화된 소스 컨텐츠(240)과 비교하여 한정적인 시간동안 사용하거나, 사용의 횟수 등이 제한된 컨텐츠이다. 한정된 조건에는 이벤트 방식(Event-driven)과 시간 제한적 방식(Time-drive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소스 컨텐츠(240)이 음악 컨텐츠인 경우, 임시 컨텐츠(242)는 앞부분의 1분만 들을 수 있거나, 전 부분 재생은 가능하지만 3회로 재생 횟수가 제한되거나, 또는 3시간 내에만 재생이 가능한 경우 등, 한정 사항이 가해진 것을 의미한다. 임시 컨텐츠(242) 역시 암호화 되어 있으나, 이는 임시 라이센스(230)를 통해 복호화가 가능하다. 싱크 시스템(220)은 수신한 소스 컨텐츠(240)를 당장 사용할 수는 없는데, 왜냐하면 소스 컨텐츠(240)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인증 라이센스(도 1의 120, 122)는 소스 시스템(210)이 전송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편, 싱크 시스템(220)에서 소정의 인증 라이센스를 구매하기 전까지 임시 라이센스(230)를 이용하여 임시 컨텐츠(242)를 이용한다. 임시 라이센스(230)를 통해서는 소스 컨텐츠(240)를 사용할 수 없다.
일정 조건, 또는 일정 시점에서 임시 라이센스(230)는 만료한다. 이는 전술한 사용 시간, 횟수, 기간의 한정 등이 충족될 경우이다. 임시 라이센스(230)가 만료하면 더 이상 싱크 시스템(220)에서는 임시 컨텐츠(242)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사용자는 싱크 시스템(220)을 온라인화 시키거나, 도메인에 참여시켜서 싱크 시스템(220)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인증 라이센스(260)를 구매하고, 소스 컨텐츠(24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시나리오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의 외부 디바이스의 예로는 PMP, MP3 등이 될 수 있다. 이들 기기들은 통상 PC 등의 호스트 기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전송받으며, 영구적인 온라인 연결을 가정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즉각적으로 라이센스를 구매하기 어려운 경우이다. 물론, 이외에도 온라인 상에 결합 가능하지만, 시험적인 컨텐츠 사용을 위해서도 본 시나리오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라이얼 버전(Trial version)과 같이 컨텐츠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도 본 시나리오의 임시 라이센스 발행 및 사용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300과 390은 각각 제 1 도메인과 제 2 도메인이다. 제 1 도메인의 사용자가 서버 또는 컴퓨터 등 도메인을 관리하는 디바이스(310)을 사용하여 외부의 라이센스 발행자와 컨텐츠 발행자로부터 라이센스와 컨텐츠를 구매한다. 이때, 통상의 인증 라이센스(330)와 암호화된 소스 컨텐츠(340) 외에도 임시 라이센스(332)와 임시 컨텐츠(342)도 함께 구매한다.
도메인 관리 디바이스(310)와 같은 소스 시스템은 컨텐츠 구매 서비스에 규정된 지불 프로토콜을 따라서 합법적인 비용을 지불하고 라이센스 패키지와 암호화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다. 라이센스 패키지는 일반적인 기존의 라이센스와 수퍼 디스트리뷰션을 위한 임시 라이센스로 구성된다. 비즈니스 시나리오와 구현 시스템에 따라서 라이센스 패키지는 일반적인 라이센스만이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소스 시스템 내부에서 일반적인 라이센스를 이용하여 임시 라이센스를 생성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라이센스 패키지는 소스 시스템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소스 시스템의 기기 식별자와 같은 정보로 암호화되어 안전한 영역(Secure area)에 저장된다.
도메인 관리 디바이스(310)는 그리고 도메인에 포함되지 않는 싱크 시스템인 외부 디바이스(320)에 임시 라이센스(332)와 임시 컨텐츠(342), 그리고 암호화된 소스 컨텐츠(340)을 함께 전송한다. 이때, 외부 디바이스(320)가 임시 라이센스와 임시 컨텐츠를 사용할 권한이 있는 디바이스인지 인증한다. 이는 임시 라이센스의 사용에 있어서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임시 라이센스를 제공하여, 임시 라이센스에 대한 공격 또는 변경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외부 디바이스(320)는 수신한 임시 라이센스(332)와 임시 컨텐츠(342), 그리고 암호화된 소스 컨텐츠(340) 중에서 임시 라이센스(332)를 사용하여 임시 컨텐츠(342)를 복호화하고 사용(Rendering)한다. 사용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로, 임시 라이센스(332)에 포함된 임시키(Temporal Key, TEMPK)를 사용하여 임시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은 일정 조건, 예를 들어 만료 시간, 만료 횟수 등에 따라 제한적인 사용이 된다. 임시 라이센스의 만료 조건이 만족되면 더 이상 임시 컨텐츠(342)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암호화된 소스 컨텐츠(340) 역시 인증 라이센스(330)를 가지고 있지 못하므로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외부 디바이스(320)가 제 2 도메인(390)에 결합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결합하거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온라인의 상태가 되면 외부 디바이스(32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인증 라이센스(370)을 구매할 수 있다. 구매한 인증 라이센스(370)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소스 컨텐츠(340)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임시 라이센스가 만료하기 전에도 인증 라이센스를 구매할 수 있다.
도 3의 시나리오에서 사용자가 임시 라이센스를 계속 사용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임시 라이센스의 만료 조건이 정확하게 명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외부 디바이스와 같은 싱크 시스템이 호스트 시스템에 USB 등을 통하여 연결될 때 호스트 시스템의 도메인 관리자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이 싱크 시스템이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고 있었는지를 검사하고, 사용한 경우에 임시 라이센스를 무효화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싱크 시스템이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에 대한 비용을 싱크 시스템 내부의 보안 로그(Secure Log)를 통하여 판매자에게 보고하고, 사용 비용을 추가적으로 지불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보안 로그(Secure Log)를 안전하게 구현하는 것이 보장받을 필요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임시 라이센스와 인증 라이센스의 구성을 비교하는 도면이다.
인증 라이센스(410)에는 권리(412), 리소스(414), 조건(416)과 같이 컨텐츠를 사용하기 위한 정보들과, 인증 라이센스(410)의 보안성을 체크하고 인증하는데 필요한 서명(411)과 상세 정보(419)가 포함된다.
권리(412)는 컨텐츠에 대해 어떤 권리를 가지는지에 대한 정보이며, 리소스(414)는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CEK를 포함한다. 조건(416)은 컨텐츠를 사용시 부과되는 한정 조건을 의미한다. 재생 횟수, 재생 시간 등이 컨텐츠에 부가될 수 있다.
서명(411)은 라이센스가 다른 불법적인 접근에 의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기타 상세정보(419)는 복호화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라이센스 발행자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임시 라이센스(420)는 인증 라이센스(410)와 동일하게 권리(422), 조건(426), 서명(421), 상세정보(429)를 포함한다. 임시 라이센스(420)의 리소스(424)는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임시키(TEMPK)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이들 정보들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상술한다. 그리고 임시 라이센스의 만료 조건(428)을 가진다. 이는 조건(426)과 별도로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조건(416)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각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어드레싱(addressing)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구성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합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들은 시스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컴퓨터들을 실행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임시 라이센스를 생성하기위해 각 구성요소간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임시 라이센스는 통상의 인증 라이센스가 기기의 인증과정에서 발생하는 기기의 식별자를 통해 생성되는 방식과 다를 수 있다. 왜냐면, 임시 라이센스는 소스 시스템에서 임의의 싱크 시스템에 전송하기 때문에, 싱크 시스템이 소정의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임시 라이센스가 발급될 수 있다. 따라서, 임시 라이센스는 인증 라이센스와 다른 방식으로 생성 가능하다.
임시 라이센스를 발급하는 장치(500)는 만료 조건인 E와 컨텐츠를 수신한다. 만료 조건 E는 키 생성기(520)에 입력된다. 그리고 난수(Random number)를 생성하는 난수 생성기(510)에서 난수 R을 생성한다. 그리고 시크릿 공유 알고리즘(530)는 시크릿(Secret)을 생성한다. 시크릿 공유 알고리즘(530)은 시크릿을 N개의 정보로 나눈다. 이때 N개의 정보 중 K개의 정보를 알 경우 시크릿을 복원하는 특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N이 10이고 K가 7이라면, 6개의 정보를 사용해서는 시크릿을 알아낼 수 없으나 7개의 정보를 사용해서는 시크릿을 알아낼 수 있다. 이렇게 발생한 시크릿 S, 난수 R, 만료조건 E를 사용하여 TEMPK라는 임시키를 생성한다. 그리고 컨텐츠 암호부(540)는 임시키 TEMPK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암호화한다.
임시 라이센스를 발급하는 장치(500)는 서버가 될 수 있다. 도 5에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서버는 임시 라이센스 외에 인증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인증 라이센스부, 그리고 생성한 라이센스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임시 컨텐츠와 인증 라이센스로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된 소스 컨텐츠도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시스템 내에서 임시키를 생성하기위해 각 구성요소간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임시키(TEMPK)는 암호화된 임시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키이다. 그러나 임시키가 그대로 전송된다면, 암호화된 임시 컨텐츠의 무분별한 사용이 발생하므로 임시키를 그대로 전송하는 것 보다 임시키를 생성할 수 있는 자원(리소스)를 전송하는 것이 보안상 효율적이다.
도 6의 싱크 시스템(600)은 도 5에서 TEMPK를 생성하는데 입력정보가 되었던 만료 조건과 난수 R이 입력된다. 그리고 시크릿 S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키인 SS를 수신한다. 이들 값은 모두 임시 라이센스에 저장된 값이다. 싱크 시스템에서 TEMPK를 생성하는 부분(650)은 보안이 제공되는, 즉 외부로부터 변경되거나 변조되지 않도록 설계된 TRM(Tamper Resistant Module)이어야 한다.
만료 조건 E는 만료 조건 체크(605)에서 체크한다. 내장된 보안 클럭(Secure Clock)(610)에서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이전에 사용했던 로그 정보, 사용 경과 등에 대한 정보 U를 수신한다. 사용 정보 U는 사용 트래킹&리포팅부(620)에서 생성한다. 사용 트래킹&리포팅부(620)는 사용 DB(68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이때, 사용 DB(680)는 통상의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시간 정보와 사용 정보를 통해 만료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료가 되었거나 또는 사용 정보가 조작되는 등의 경우가 발생했을때는 에러를 보고한다(615). 그리고 만료 조건에 이상이 없을 경우 만료조건은 TEMPK를 생성하기위한 하나의 입력값으로 키 생성기(640)에 입력된다.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TEMPK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난수 R, 시크릿, 그 리고 만료조건 E가 필요하다. 난수 R은 임시 라이센스의 리소스 영역에 저장되므로 저장된 난수 R을 사용한다.
시크릿은 주어진 값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값에서 시크릿을 계산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계산하기 위해 임시 라이센스의 리소스에 저장된 키들은 SS이며, 싱크 시스템 내에 내장된 키는 ES이다. ES는 외부에서 읽거나 쓰는 것이 불가능한 영역에 저장한다.
SS(Server Share)는 서버측에서 저장하고 있는 시크릿 S를 만드는데 필요한 K-1개의 키들을 의미한다.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시크릿 S는 N개의 키들을 통해 생성되며 이중에서 K개의 키를 통해 유추하여 그 값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서버측이 가지고 있는 K-1개의 SS(Server Share)로는 시크릿을 생성할 수 없다. 그러나 한 개의 키가 싱크 시스템 내부에 635와 같이 저장되어 있다. ES(Embeded Share)(635)에 저장된 키와 K-1개의 SS들에 의해 총 K개의 키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크릿 S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시크릿 S를 만드는데 필요한 키들이 SKey1, SKey2, ..., SKeyN이며, 이중에서 임시 라이센스의 리소스에 SKey1, SKey2, ..., SKeyK-1이 저장되어 있고, SKeyK가 내장되어 있다면 시크릿 공유 알고리즘에 의해 시크릿 S를 계산할 수 있다.
물론, 내장하는 키가 하나가 아닌 두 개이고, SS 키로 K-2개를 수신할 수 있다. 내장된 키를 가지지 않는 디바이스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임시 라이센스는 검증된 디바이스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를 보호할 수 있다.
키 생성기(640)에서 시크릿 S, 만료조건 E, 난수 R을 사용하여 임시키 TEMPK를 생성하면, 이를 사용하여 임시 컨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다. 상기 세가지 정보중 하나라도 없을 경우 TEMPK는 생성되지 않으며, 그 결과 임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없다.
도 6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임시 라이센스와 임시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를 별도로 포함할 수 있는데, 송신부는 임시 컨텐츠에 대한 오퍼레이션 결과를 송신하여 과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트래킹&리포팅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컨텐츠를 사용한 기록을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자체를 모두 변조, 변경을 막는 TRM(Tamper Resistant Module) 내에 설치하는 것은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통상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에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부분만 TRM 내에 둘 경우에도 보안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트래킹&리포팅부(620)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7과 같다. 690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이다. 레코드는 오퍼레이션(Operation, OP)의 식별자, 그리고 오퍼레이션의 종류, 서명으로 구성된다. 오퍼레이션의 식별자는 통상 1에서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값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순차적으로 오퍼레이션들의 정보가 저장되면, 추후 임시 컨텐츠의 사용 여부를 체크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는 변조될 수 있으므로, 620과 같이 체크 단계를 거쳐 서명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임시 컨텐츠를 사용하게 되면 OP 체크부(715)에서는 이전의 오퍼레이션에서 식별정보를 찾아서 이것이 마지막 OP의 숫자인지 체크한다. 예를 들어 i-1이 마지막 OP의 숫자로 저장되어 있으면, 이 값에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OP 카운터(705)를 통해 체크할 수 있다. OP 카운터(705)는 TRM 내의 시스템이므로 외부의 공격 에 의해 변조되지 않는다. OP 정보가 변경되었다면 에러 보고부(725)는 에러가 발생했음을 알린다. 한편 해쉬 생성부(710)는 i-1번째 레코드를 해쉬하여 해쉬 값을 구한다. 이는 현재의 오퍼레이션 정보를 저장시 서명 정보를 함께 저장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이전 오퍼레이션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다른 정보, 예를 들어 난수 R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쉬 함수를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서명 생성부(730)는 사인키(720)의 키와 해쉬된 i-1번째 레코드, 그리고 수행하고자 하는 오퍼레이션을 입력값으로 하여 서명을 생성한다. 이 서명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오퍼레이션과 함께 저장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비록 사용 오퍼레이션에 대한 정보는 통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만, 여기에 변조가 있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파트가 TRM 내에 존재하므로, 사용자의 사용 기록에 신뢰성을 부가할 수 있다. 즉 보안 로그(Secure Log)를 생성할 수 있다.
보안 로그의 생성을 통해, 임시 컨텐츠의 사용시 불법적인 접근 또는 변조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임시 컨텐츠의 사용 결과를 로그로 저장하여, 추후 과금을 할 수 있다. 이는 임시 컨텐츠의 사용을 높이면서도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한다.
따라서 상기 보안 로그가 더해질 경우 도 3의 시나리오에서 싱크 시스템인 320 디바이스가 도메인 또는 네트워크에 접근하여 인증 라이센스를 수신하기 위해 과금 과정을 진행시, 임시 컨텐츠의 사용도 함께 과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임시 컨텐츠를 복호화하고 사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임시 라이센스와 임시 컨텐츠, 그리고 암호화된 소스 컨텐츠를 수신한다(S810). 임시 라이센스에 포함된 난수 R, 임시 컨텐츠의 사용에 대한 만료 조건 E, 그리고 시크릿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K-1개의 키를 추출한다(S820). 그리고 만료 조건에 따라 더 이상 임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없는, 즉 사용이 만료된 상황인지 체크한다(S830). 만료된 상황이면 S860 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만료되지 않은 상황이면, 디바이스 내의 내장된 ES 키를 추출한다(S832). 그리고 앞서 임시 라이센스에서 추출한 R, E, K-1개의 키, ES를 사용하여 임시키를 생성한다(S834). K-1개의 키와 ES를 통해 시크릿을 생성하는 과정은 도 6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임시키를 사용하여 임시 컨텐츠를 복호화한다(S836). 임시 컨텐츠를 복호화하면 임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시 각 오퍼레이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7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임시 컨텐츠에 대한 최근 오퍼레이션의 정보를 추출한다(S838). 이전 오퍼레이션 정보에 오류가 존재하는 지 체크한다(S840). 오류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오퍼레이션 정보를 저장한다(S842). 오류가 존재할 경우는 완료한다. 오퍼레이션 종버를 저장하면, 임시 컨텐츠에 대해 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S844).
한편 임시 컨텐츠의 사용이 만료되면 암호화된 소스 컨텐츠를 사용하기 위해 인증 라이센스를 획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물론, 임시 컨텐츠가 만료되기 전이라도, 인증 라이센스를 획득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 라이센스를 획득하기 위해 네트워크 또는 도메인에 접속한다(S860). 컴퓨터와 같이 네트워크, 도메인에 연결된 기기에 접속하는 것을 통해 가능하다. 그리고 소정의 인증 과정 및 구매 과정을 거쳐 인증 라이센스를 수신한다(S870). 한편, 이전에 사용한 임시 컨텐츠의 사용 정보를 송신하여 이에 따른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S88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DRM의 수퍼디스트리뷰션에 있어서 기기가 항 상 온라인이어야 하는 제한 조건을 극복하므로, 온라인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시스템에서도 컨텐츠를 임시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함으로써 임시로 발행한 컨텐츠에 대한 사용에 따른 금액을 지불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의 효율적인 보호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임시 컨텐츠의 사용 영역이 확대되므로, DRM 시스템과 컨텐츠의 보호가 확산되고, 후불 서비스 등의 비즈니스 모델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30)

  1.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인증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는 임시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라이센스와 상기 임시 라이센스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임시 라이센스에 포함된 임시키를 사용하여 암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키는 소정의 난수 또는 상기 컨텐츠의 일부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만료 조건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생성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키는 시크릿 정보를 통해 생성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크릿 정보는 N개의 키로 생성이 되며, 상기 N개의 키 중에서 K개 이상의 키를 알 경우 계산 가능하며, 상기 임시 라이센스는 상기 N개의 키 중 K보다 작은 개수의 키를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라이센스로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된 소스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7. 임시 라이센스와 임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임시 라이센스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하여 임시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키로 상기 임시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컨텐츠의 암호화된 소스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임시 라이센스에 포함된 소정의 난수 또는 상기 임시 컨텐츠의 일부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만료 조건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상기 임시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임시 라이센스에 포함된 K보다 작은 개수의 키 및 내장된 K보다 작은 개수의 내장키를 사용하여 시크릿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크릿은 K개의 키를 사용하여 계산 가능한 정보인,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크릿 정보는 N개의 키로 생성이 되며, 상기 N개의 키 중에서 K개 이상의 키를 알 경우 계산 가능하며, 상기 임시 라이센스는 상기 N개의 키 중 K보다 작은 개수의 키를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임시 컨텐츠에 소정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오퍼레이션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전에, 이전에 저장된 오퍼레이션의 정보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하는 단계 이후에
    네트워크 또는 도메인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컨텐츠의 소스 컨텐츠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인증 라이센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임시 컨텐츠를 사용한 오퍼레이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또는 도메인을 구성하는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16.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인증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인증 라이센스 생성부;
    상기 컨텐츠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는 임시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임시 라이센스 생성부; 및
    상기 인증 라이센스와 상기 임시 라이센스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임시 라이센스에 포함된 임시키를 사용하여 암호화하는 암호화부를 더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소정의 난수 또는 상기 컨텐츠의 일부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만료 조건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상기 임시키를 생성하는 키 생성기를 더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시크릿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임시키를 생성하는 키 생성기를 더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시크릿 정보는 N개의 키로 생성이 되며, 상기 N개의 키 중에서 K개 이상의 키를 알 경우 계산 가능하며, 상기 임시 라이센스는 상기 N개의 키 중 K보다 작은 개수의 키를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장치.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인증 라이센스로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된 소스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장치.
  22. 임시 라이센스와 임시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임시 라이센스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하여 임시키를 생성하는 키 생성부; 및
    상기 임시키로 상기 임시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임시 컨텐츠의 암호화된 소스 컨텐츠를 수신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키 생성부는 상기 임시 라이센스에 포함된 소정의 난수 또는 상기 임시 컨텐츠의 일부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만료 조건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상기 임시키를 생성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장치.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키 생성부는 상기 임시 라이센스에 포함된 K보다 작은 개수의 키 및 내장된 K보다 작은 개수의 내장키를 사용하여 시크릿을 생성하며,
    상기 시크릿은 K개 이상의 키를 사용하여 계산 가능한 정보인,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시크릿 정보는 N개의 키로 생성이 되며, 상기 N개의 키 중에서 K개 이상의 키를 알 경우 계산 가능하며, 상기 임시 라이센스는 상기 N개의 키 중 K보다 작은 개수의 키를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장치.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임시 컨텐츠에 소정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오퍼레이션의 정보를 저장하는 리포팅부를 더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팅부는 상기 소정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전에, 이전에 저장된 오퍼레이션의 정보를 체크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장치.
  29.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네트워크 또는 도메인에 접속하여, 상기 임시 컨텐츠의 소스 컨텐츠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인증 라이센스를 수신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컨텐츠를 사용한 오퍼레이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또는 도메인을 구성하는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장치.
KR1020060026176A 2006-03-22 2006-03-22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및 장치 KR100755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176A KR100755708B1 (ko) 2006-03-22 2006-03-22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및 장치
US11/703,119 US20070239617A1 (en) 2006-03-22 2007-02-07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orarily accessing content using temporary license
JP2007043431A JP2007257626A (ja) 2006-03-22 2007-02-23 臨時ライセンスを用いてコンテンツを臨時に使用する方法及び装置
EP07104034A EP1837789A2 (en) 2006-03-22 2007-03-13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orarily accessing content using temporary license
CNA2007100883635A CN101042721A (zh) 2006-03-22 2007-03-16 使用临时许可临时访问内容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176A KR100755708B1 (ko) 2006-03-22 2006-03-22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708B1 true KR100755708B1 (ko) 2007-09-05

Family

ID=38179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176A KR100755708B1 (ko) 2006-03-22 2006-03-22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39617A1 (ko)
EP (1) EP1837789A2 (ko)
JP (1) JP2007257626A (ko)
KR (1) KR100755708B1 (ko)
CN (1) CN1010427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972B1 (ko) 2011-02-22 2013-05-15 아이피티앤드에이 주식회사 사용자 인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52173A1 (en) * 2004-11-18 2013-06-13 Contentguard Holdings,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tent access authorization
US10120983B2 (en) * 2006-12-15 2018-11-06 Nbcuniversal Media, Llc Digital rights management flexible continued usage system and method
JP2009296554A (ja) * 2008-06-09 2009-12-17 Sony Corp サーバ装置、ライセンス配布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受信装置
US9715580B2 (en) * 2011-01-19 2017-07-25 Disney Enterprises, Inc. Player specific limited licenses
KR101748732B1 (ko) * 2011-06-27 201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임시 키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장치
KR102329258B1 (ko) * 2014-10-28 2021-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모듈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장치
US20160364553A1 (en) * 2015-06-09 2016-12-15 Intel Corpor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rotected Content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FR3038415B1 (fr) * 2015-07-01 2017-08-11 Viaccess Sa Procede de fourniture d’un contenu multimedia proteg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602A (ko) * 2003-06-05 200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상에서의 컨텐츠 실행을 위한 라이센스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050000824A (ko) * 2003-06-25 2005-01-06 주식회사 코어트러스트 디알엠 기법을 적용한 소프트웨어 불법복제 및 불법사용방지방법 및 시스템
US20050198510A1 (en) 2004-02-13 2005-09-08 Arnaud Robert Binding content to an entity
US20060004667A1 (en) 2004-06-30 2006-01-0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operating system license revenue using an emulated computing environment
KR20060040510A (ko) * 2004-11-06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임시 라이센스를 이용한 콘텐트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7013731A (ja) 2005-06-30 2007-01-18 Canon Inc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ドライバ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ライセンス管理サー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6411A (en) * 1994-01-13 1997-09-09 Mccarty; Johnnie C. System for computer software protection
EP1209592A1 (en) * 2000-11-28 2002-05-29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electronic content
WO2002101524A2 (en) * 2001-06-11 2002-12-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cense management server, license management system and usage restriction method
US7787619B2 (en) * 2002-01-29 2010-08-31 Avay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key management using multi-threshold secret sharing
US7885896B2 (en) * 2002-07-09 2011-02-08 Avaya Inc. Method for authorizing a substitute software license server
US7798900B2 (en) * 2003-04-03 2010-09-21 Igt Secure gaming system
CN101241735B (zh) * 2003-07-07 2012-07-18 罗威所罗生股份有限公司 重放加密的视听内容的方法
JP4218451B2 (ja) * 2003-08-05 2009-0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ライセンス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端末装置
US20050187879A1 (en) * 2004-02-19 2005-08-25 Microsoft Corporation Persistent license for stored content
US8010984B2 (en) * 2004-08-25 2011-08-30 Microsoft Corporation Redirection of streaming content
US7480701B2 (en) * 2004-12-15 2009-01-20 Microsoft Corporation Mixed-media service collections for multimedia platforms
US8290874B2 (en) * 2005-04-22 2012-10-16 Microsoft Corporation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streamed multimedia cont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602A (ko) * 2003-06-05 200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상에서의 컨텐츠 실행을 위한 라이센스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050000824A (ko) * 2003-06-25 2005-01-06 주식회사 코어트러스트 디알엠 기법을 적용한 소프트웨어 불법복제 및 불법사용방지방법 및 시스템
US20050198510A1 (en) 2004-02-13 2005-09-08 Arnaud Robert Binding content to an entity
US20060004667A1 (en) 2004-06-30 2006-01-0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operating system license revenue using an emulated computing environment
KR20060040510A (ko) * 2004-11-06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임시 라이센스를 이용한 콘텐트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7013731A (ja) 2005-06-30 2007-01-18 Canon Inc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ドライバ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ライセンス管理サー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972B1 (ko) 2011-02-22 2013-05-15 아이피티앤드에이 주식회사 사용자 인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7789A2 (en) 2007-09-26
CN101042721A (zh) 2007-09-26
US20070239617A1 (en) 2007-10-11
JP2007257626A (ja)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6504B1 (en) Flexible licensing architecture in content rights management systems
KR100755708B1 (ko) 임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및 장치
US82912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and electronic rights protection
US863962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and electronic rights protection
JP4272192B2 (ja) 安全な取引管理方法
US8886964B1 (en) Protecting remote asset against data exploits utilizing an embedded key generator
US20060149683A1 (en) User terminal for receiving license
US200700615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and electronic rights protection
WO2004006075A1 (ja) 開放型汎用耐攻撃cpu及びその応用システム
KR20200099041A (ko)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이용 권한 관리 장치 및 방법
Nair et al. Enabling DRM-preserving digital content redistribution
US76404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ed content rendering
US20190044709A1 (en) Incorporating software date information into a key exchange protocol to reduce software tampering
US20150262084A1 (en) Methods for defending static and dynamic reverse engineering of software license control and devices thereof
Nützel et al. How to increase the security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s without affecting consumer’s security
US11748459B2 (en) Reducing software release date tampering by incorporating software release date information into a key exchange protocol
KR20070113510A (ko) Drm 시스템에서의 보안 방법 및 시스템
CN116167020A (zh) 一种软件授权方法及系统
Kohno et al. On the global content PMI: improved copy-protected internet content distrib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