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934B1 - USB Device for connect structure of chain-shaped - Google Patents

USB Device for connect structure of chain-shap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934B1
KR100754934B1 KR1020050072018A KR20050072018A KR100754934B1 KR 100754934 B1 KR100754934 B1 KR 100754934B1 KR 1020050072018 A KR1020050072018 A KR 1020050072018A KR 20050072018 A KR20050072018 A KR 20050072018A KR 100754934 B1 KR100754934 B1 KR 100754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usb device
chain
main body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0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17261A (en
Inventor
박규호
이철
이주평
임승호
유종운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50072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934B1/en
Publication of KR20070017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2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9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91Housing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에 관한 것으로, USB 장치가 다수개의 USB 장치와 체인형태로 상호 연결가능하게 이루어져 컴퓨터, 정보 단말기 등의 일반적인 장치에 USB 장치를 연결한 후 다른 USB 장치를 추가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개의 USB 장치를 일체로 사용할 수 있어 확장성이 향상되고, USB 장치의 각 연결부위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유연하고 탄성있게 제작됨으로써 신체에 탈/부착이 용이하며, 이로 인해 착용 및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이동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구성은, 내부에 USB 제어장치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 단부에 돌출형성되는 제1 인터페이스부와 그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지는 제1 USB 장치; 상기 제1 USB 장치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슬롯이 형성되는 제2 USB 장치; 상기 제1 USB 장치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 슬롯이 형성되는 제3 USB 장치; 상기 제1 USB 장치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에 USB 연결장치가 연결구비되는 제4 USB 장치;와 제5 USB 장치; 및 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USB 장치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device having a chain-type connection method, wherein the USB device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SB devices in a chain form, and then connected to a general device such as a computer and an information terminal, and then another USB device. It is possible to use a plurality of USB devices by attaching additionally, so that the expandability is improved, and each connection part of the USB device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makes it flexible and elastic, making it easy to detach / attach to the body. And, to provide a convenience of wearing and use, and to provide a USB device having a chain-shaped connection method that can improve mobility and portabilit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the main body having a USB control device therein A first interface port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and a second interface formed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irst interface portion USB device of claim 1 made of a; A second USB devic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USB device and having at least one USB slot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third USB devic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USB device and having at least one card slot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fourth USB devic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USB device and having a USB connection device connected to one side thereof; and a fifth USB device; And a connecting member; It is made, including, characterized in that each USB device is interconnected.

USB 장치, 본체부, 인터페이스부, USB 허브, 신호선, 연결부재, 커넥터, 버클 USB device, main unit, interface unit, USB hub, signal line, connecting member, connector, buckle

Description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USB Device for connect structure of chain-shaped}USB device having a chain-type connection method {USB Device for connect structure of chain-shap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USB 허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USB hub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USB device having a chain-shaped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USB device having a chain-shaped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USB device having a chain-shaped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USB device having a chain-shaped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USB device having a chain-shaped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7 is a view showing a USB device having a chain-typ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 **

1 :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1: USB device with chain type connection method,

10 : 본체부, 11 : USB 제어장치,10: main body, 11: USB control device,

12 : 케이스, 13 : USB 허브,12: case, 13: USB hub,

14 : 벽면, 15 : 신호선,14 wall, 15 signal line,

16 : 덮개, 17 : USB 슬롯,16: cover, 17: USB slot,

18 : 덮개홈, 19 : 카드 슬롯,18: cover groove, 19: card slot,

30 : 제1 인터페이스부, 31 : USB 수커넥터,30: first interface unit, 31: USB male connector,

33 : 수버클, 35 : 연결부,33: buckle, 35: connection,

50 : 제2 인터페이스부, 51 : USB 암커넥터,50: second interface unit, 51: USB female connector,

53 : 암버클, 55 : 스프링,53: arm buckle, 55: spring,

57 : 스위치, 70 : USB 연결장치,57: switch, 70: USB connector,

71 : 롤, 73 : 버튼,71: roll, 73: button,

74 : 스프링, 75 : 케이블,74: spring, 75: cable,

90 : 연결부재, 91 : 수결합편,90: connecting member, 91: male coupling piece,

93 : 결합홈, 95 : 암결합편,93: coupling groove, 95: female coupling piece,

97 : 길이조절부, 100a : 제1 USB 장치,97: length adjusting unit, 100a: the first USB device,

100b : 제2 USB 장치, 100c : 제3 USB 장치,100b: second USB device, 100c: third USB device,

100d : 제4 USB 장치, 100e : 제5 USB 장치.100d: fourth USB device, 100e: fifth USB device.

본 발명은 USB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USB 장치가 다수개의 USB 장치와 체인형태로 상호 연결가능하게 이루어져 컴퓨터, 정보 단말기 등의 일반적인 장치에 USB 장치를 연결한 후 다른 USB 장치를 추가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개의 USB 장치를 일체로 사용할 수 있어 확장성이 향상되고, USB 장치의 각 연결부위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유연하고 탄성있게 제작됨으로써 신체에 탈/부착이 용이한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USB device can be interconnected in a chain form with a plurality of USB devices, and then another USB device is added after connecting the USB device to a general device such as a computer and an inform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use by attaching and using a plurality of USB devices to improve the expandability, and each connection part of the USB device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made of flexible and elastic, so that the chain form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body It relates to a USB device having a connection method of.

최근 들어, 유비쿼터스 및 웨어러블 컴퓨팅(Wearable Computing) 장치에 대한 중요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의 적용 방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cently, the importance of ubiquitous and wearable computing devices is steadily increasing, and research on the application direction thereof is being actively conducted.

여기서, 유비쿼터스 및 웨어러블 컴퓨터란, 어디서나 네트워크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환경으로 정의되며, 이러한 유비쿼터스 및 웨어러블 컴퓨터 장치의 요건은 컴퓨터 본체와 여러가지 주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는 착용이 용이하고 간결해야 한다.Here, the ubiquitous and wearable computer is defined as an environment in which users can obtain th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user from anywhere on the network. The requirement of the ubiquitous and wearable computer device is that the interface between the computer body and various peripheral devices is easy to wear and concise Should be.

현재,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웹캠 등 많은 컴퓨터의 주변기기들이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인터페이스로 이용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유비쿼터스 및 웨어러블 컴퓨터에서 나타나고 있는 추세로서, 이의 적용 방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Currently, many computer peripherals, such as keyboards, mice, printers, webcams, etc., are using a USB (Universal Serial Bus) port as an interface, and this trend is appearing in ubiquitous and wearable computers. Is actively underwa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USB 허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USB 허브(210)는 컴퓨터 또는 정보 단말기(200) 등에 연결되되, 일측면에 다수개의 암 커넥터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USB hub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the figure, the USB hub 2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nnected to a computer or an information terminal 200, etc.,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emale connectors are formed on one side.

여기서, 상기 암 커넥터에 USB 포트를 갖는 USB 장치가 연결되나, USB 메모리(211)와 같이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별도의 케이블을 필요치 않으나, USB 디스크(212)나 USB 카메라(213) 등 비교적 그 크기가 큰 장치가 연결될 경우, USB 허브(210)의 좁은 면적에 다수의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가 있기 때문에 연결을 위한 별도의 케이블을 필요로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Here, a USB device having a USB port is connected to the female connector, but if the size is small, such as the USB memory 211, a separate cable is not required, but the size is relatively large, such as a USB disk 212 or a USB camera 213. When a large device is connected, there are a number of female connectors in the narrow area of the USB hub 210, so there is a need for a separate cable for connection.

이로 인해, USB 허브의 암 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는 USB 장치의 갯 수에 따라 케이블의 숫자 또한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공간이 복잡해지는 등 관리가 불편하고, 사용 및 움직임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result, the number of cables also increases proportional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B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female connector of the USB hub, resulting in inconvenience in management and inconvenience in use and movement.

또한, USB 허브에 형성되는 암 커넥터의 숫자가 제한되어 있어 USB 허브에 설치할 수 있는 USB 장치의 갯 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USB 허브의 암 커넥터의 양보다 많은 USB 장치의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female connectors formed in the USB hub is limited and the number of USB devices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USB hub is limi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more USB devices than the female connector of the USB hub.

뿐만 아니라, USB 장치의 USB 포트를 USB 허브의 암 커넥터에 연결할 경우 그 방향성에 있어 정확한 방향인지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connecting the USB port of the USB device to the female connector of the USB hub, it was troublesome to check the correct orientation of the USB device.

특히, 웨어러블 컴퓨터에 기존의 USB 허브를 적용할 경우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많아짐에 따라 움직임이 불편해지고, 관리가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확장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when the existing USB hub is applied to the wearable computer, there are problems that movement becomes inconvenient, management is cumbersome, and expansion is not easy as the number of cables for connection is increas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른 확장장치와 연결가능한 휴대형 통신 기기를 위한 확장장치 (출원 번호 : 10-2002-002729호)"가 제안되었으나, 커넥터의 형태가 복수 개의 확장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커넥터가 유연하지 않아 사람이 착용했을 경우, 휴대 및 착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extension device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another extension device (application number: 10-2002-002729) has been proposed, but the connector is designed to connect a plurality of expansion devices. The connector is not flexible, so when a person wears i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nd wea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USB 장치가 다수개의 USB 장치와 체인형태로 상호 연결가능하게 이루어져 컴퓨터, 정보 단말기 등의 일반적인 장치에 USB 장치를 연결한 후 다른 USB 장치를 추가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개의 USB 장치를 일체로 사용할 수 있어 확장성이 향상되고, USB 장치의 각 연결부위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유연하고 탄성있게 제작됨으로써 신체에 탈/부착이 용이하며, 이로 인해 착용 및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이동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USB device can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SB devices in the form of a chain interconnected USB device to a general device such as a computer, an information terminal, and then add another USB device It is possible to use a plurality of USB devices by using it as a unit, so that the expandability is improved, and each connection part of the USB device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s made flexible and elastic, so it is easy to attach / detach the body.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B device having a chain-type connection method that provides convenience of wearing and using and improves mobility and portabilit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USB 제어장치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 단부에 돌출형성되는 제1 인터페이스부와 그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지는 제1 USB 장치; 상기 제1 USB 장치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슬롯이 형성 되는 제2 USB 장치; 상기 제1 USB 장치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 슬롯이 형성되는 제3 USB 장치; 상기 제1 USB 장치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에 USB 연결장치가 연결구비되는 제4 USB 장치;와 제5 USB 장치; 및 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USB 장치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rtion consisting of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USB control device therein, a first interface portion protruding at one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second interface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USB device; A second USB devic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USB device and having at least one USB slot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third USB devic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USB device and having at least one card slot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fourth USB devic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USB device and having a USB connection device connected to one side thereof; and a fifth USB device; And a connecting member; It is made, including, characterized in that each USB device is interconnec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는 그 내부에 USB 허브 및 상기 USB 허브와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부를 연결하는 신호선이 구비된다.Preferably,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USB hub and signal lines connecting the USB hub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face parts therein.

여기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 단부에 돌출형성되되, 플랙시블한 재질의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고, 그 선단에 한 쌍의 수버클이 상호 대칭되게 돌출구비되며, 상기 각 수버클의 중심부에 USB 수커넥터가 돌출구비된다.Here, the first interface portion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by a flexible connecting portion, a pair of male buckle protruding symmetrically mutually at its tip, A USB male connector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buckle.

그리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 단부 양 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암버클과 상기 각 암버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USB 암커넥터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interface unit includes a pair of female buckl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a USB female connector formed at the center of each of the female buck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버클에 스프링을 갖는 스위치가 구비된다.Preferably, the arm buckle is provided with a switch having a spring.

한편, 상기 제3 USB 장치는 외측을 이루는 케이스가 경질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 벽면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 형성되는 카드 슬롯의 입구측에 덮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홈에 결합되기 위한 덮개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USB device is made of a hard material of the case forming the outside, the inner wall surface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cover groove is formed on the inlet side of the card slot formed on one side, the cover groove A cover is provided for engaging.

그리고, 상기 제4 USB 장치는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롤과 상기 롤에 권취되는 소정길이의 케이블과 스프링과 버튼이 구비되되, 상기 케이블의 단부 가 USB 연결장치에 연결된다.The fourth USB device includes a roll rotatably formed therein, a cab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ound on the roll, a spring, and a button, and an end of the cable is connected to the USB connection device.

여기서, 상기 USB 연결장치가 USB 카메라로 구비된다.Here, the USB connection device is provided as a USB camera.

한편, 상기 제5 USB 장치는 USB 연결장치 내부에 롤과 상기 롤에 권취되는 소정길이의 케이블과 스프링과 버튼이 구비되되, 상기 케이블의 단부가 제5 USB 장치 내부의 USB 허브에 연결된다.Meanwhile, the fifth USB device includes a roll, a cable of a predetermined length, a spring, and a button wound around the roll, and an end of the cable is connected to a USB hub inside the fifth USB device.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는 밴드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 단부에 수결합편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 결합홈을 갖는 암결합편이 구비된다.Here,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in a band shape, the male coupling piece is provided at one end, the female coupling piece having a coupling groove at the other end is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재의 적소에 길이조절부가 구비된다.Preferably,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is provided in place of the connecting memb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2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USB device having a chain-typ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USB device having a chain-typ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USB device having a chain-typ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ourth embodiment of a USB device having a chain-typ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USB device having a chain-typ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USB device having a chain-typ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1)는 제1 USB 장치(100a)와 제2 USB 장치(100b)와 제3 USB 장치 (100c)와 제4 USB 장치(100d)와 제5 USB 장치(100e)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USB device 1 having a chain-typ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USB device 100a, a second USB device 100b, and a third USB device 100c. It consists of the 4th USB device 100d and the 5th USB device 100e.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USB 장치(100a)는 본체부(10)와 제1 인터페이스부(30)와 제2 인터페이스부(50)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10)는 그 내부에 USB 제어장치(11)와 USB 허브(13) 및 각각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신호선(15)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2, the first USB device 100a includes a main body 10, a first interface 30, and a second interface 50. A USB control device 11 and a USB hub 13 and a plurality of signal lines 15 connecting to the USB control device 11 are provided therein.

그리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일측 단부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본체부(10)에 플렉시블한 재질을 갖는 연결부(35)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35)의 타단에 한 쌍의 수버클(33)이 상호 대칭되게 돌출구비되고, 상기 수버클(33)의 중심부에 USB 수커넥터(31)가 돌출구비된다.In addition, the first interface 30 is protrud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10,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35 having a flexible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10, the connecting portion ( A pair of male buckle 33 protrudes symmetrically from each other at the other end of 35, and a USB male connector 31 protrudes at the center of the male buckle 33.

여기서, 상기 수버클(33)은 고정력 및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질재질로 이루어진다.Here, the buckle 33 is made of a hard material to improve the fixing force and the bonding force.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50)는 상기 본체부(10)의 타측 단부 양 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암버클(53)과 상기 암버클(53)의 중심부에 별도의 USB 장치의 USB 수커넥터(31)가 결합되기 위한 USB 암커넥터(51)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interface unit 50 is a pair of female buckle 5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the USB male connector of a separate USB device in the center of the female buckle ( 31) is made of a USB female connector 51 to be coupled.

여기서, 상기 암버클(53)에는 스프링(55)을 갖는 스위치(57)가 구비되어 암버클(53)에 결합되는 다른 USB 장치의 수버클(33)의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암버클(53)과 수직되는 방향에 스위치(57)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각 스위치(57)의 단부가 스프링(55)과 각각 결합됨으로써 버튼(57)의 누름 시 암버클(53)에 결합된 수버클(33)의 단부를 내측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암버클(53)에 결합된 수버클(33)의 해제를 용이하게 하며, 스프링(55)의 탄성에 의하여 버튼(57) 을 다시 최초의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이루어진다. Here, the female buckle 53 is provided with a switch 57 having a spring 55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male buckle 33 of the other USB device coupled to the female buckle 53. That is, the switch 57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ir of arm buckle 53, respectively, the end of each switch 57 is coupled to each of the spring 55, the arm when the button 57 is pressed Pushing the end of the male buckle 33 coupled to the buckle 53 inwards facilitates the release of the male buckle 33 coupled to the female buckle 53, and the button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55) 57)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50)의 암버클(53)에 스프링(55)을 갖는 스위치(57)가 구비되어 결합되는 다른 USB 장치의 수버클(33)의 결합을 해제하기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암버클(53)에 결합되는 수버클(33)의 결합을 해제하기만 용이하다면 기타 다양한 구조의 해제장치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male buckle 33 of the second interface unit 50 is provided with a switch 57 having a spring 55 to release the coupling of the male buckle 33 of another USB device. Although it is configured to facilitate,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with a release device of various other structures as long as it is easy to release the coupling of the male buckle 33 coupled to the arm buckle (53).

그리고, 상기 암버클(53)은 이와 결합되는 USB 장치의 수버클(33)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질재질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emale buckle 53 is made of a hard material in order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with the male buckle 33 of the USB device coupled thereto.

한편, 상기 본체부(10)는 이에 연결된 다른 장치들과 연동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다양한 형태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본체부(10) 내에 구비되는 각 신호선(15)은 제1 인터페이스부(30)의 USB 수커넥터(31)와 USB 허브(13)를 연결하고, 상기 USB 허브(13)와 USB 제어장치(11)를 연결하며,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50)의 USB 암커넥터(51)와 USB 허브(13)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신호선(15)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0 is a part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function in conjunction with other devices connected thereto may be applied in various forms, each signal line 15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is a first The USB male connector 31 of the interface unit 30 and the USB hub 13 are connected, the USB hub 13 and the USB controller 11 are connected, and the USB female of the second interface unit 50 is connected. Each signal line 15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51 and the USB hub 13 is formed.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제1 USB 장치(100a)의 USB 제어장치(11)는 USB 디스크, USB 메모리, USB 카메라 등 일반적인 USB 장치 역할을 수행하는 회로가 될 수 있다.Here, the USB control device 11 of the first USB device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ircuit that performs a role of a general USB device such as a USB disk, a USB memory, a USB camera, and the like.

상기 제2 USB 장치(100b)는 상기 제1 USB 장치(100a)와 동일하게 본체부(10)와 제1 인터페이스부(30)와 제2 인터페이스부(50)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부(10)의 일측면에 USB 슬롯(17)이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는 구조이다.The second USB device 100b includes a main body 10, a first interface 30, and a second interface 50 similar to the first USB device 100a, and the main body 10 USB slot 17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와 같이 본체부(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USB 슬롯(17)으로 인해 상기 USB 슬롯(17)에 연결되는 USB 허브(13)는 일반적인 USB 허브(13)의 역할을 담당한다.As described above, the USB hub 13 connected to the USB slot 17 due to the plurality of USB slots 17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serves as a general USB hub 13.

그리고, 상기 각 USB 슬롯(17)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되는 USB 허브(13)에 신호선(15)에 의하여 연결된다. 즉, 상기 본체부(10) 내의 USB 허브(13)와 제1 인터페이스부(30)의 USB 수커넥터(31)를 연결하고, 상기 USB 허브(13)와 제2 인터페이스부(50)의 USB 암커넥터(51)를 연결하며, 상기 USB와 각 USB 슬롯(17)을 연결하기 위한 신호선(15)이 각각 구비된다.Each of the USB slots 17 is connected to a USB hub 13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by a signal line 15. That is, the USB hub 13 in the main body unit 10 and the USB male connector 31 of the first interface unit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USB arm 13 of the USB hub 13 and the second interface unit 50 are connected. The connector 51 is connected, and signal lines 15 for connecting the USB and the respective USB slots 17 are provided.

상기와 같이, 제2 USB 장치(100b)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USB 슬롯(17)에 USB 디스크, USB 메모리, USB 카메라 등의 일반적인 USB 수커넥터(31)를 갖는 장치들을 연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devices having a general USB male connector 31 such as a USB disk, a USB memory, a USB camera, or the like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USB slots 17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USB device 100b.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3 USB 장치(100c)는 상기 제1 USB 장치(100a)와 동일하게 본체부(10)와 제1 인터페이스부(30)와 제2 인터페이스부(50)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부(10)의 일측면에 카드 슬롯(19)이 형성되는 구조이다.As shown in FIG. 4, the third USB device 100c includes the main body 10, the first interface 30, and the second interface 50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USB device 100a. It is configured as, the card slot 19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0 structure.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USB 장치(100c)의 일측면에 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카드 슬롯(19)이 형성됨으로써 일반적인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 드(Secure Digital Card), 일반적인 USB 장치 등의 저장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rd slot 19 having a USB interfa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USB device 100c so that a general CF card, a SD card, and a general USB card are formed. It is possible to connect a storage device such as a devic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USB 장치(100c)의 카드 슬롯(19)에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일반적인 USB 장치 등의 저장장치가 결합되어 연결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일반적인 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다양한 저장장치들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storage devices such as a CF card (Compact Flash Card), an SD card (Secure Digital Card), and a general USB device are coupled to the card slot 19 of the third USB device 100c.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various storage devices with a common USB interfac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인해, 일반적인 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다양한 저장장치들을 본 발명에 의한 제3 USB 장치(100c)에 결합시킨 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Due to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various storage devices having a general USB interface can be easily carried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third USB device 100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상기 본체부(10)는 카드 슬롯(19)에 결합되는 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각각의 저장장치들이 결합되기 용이하도록 외측을 이루는 케이스(12)가 경질재질 또는 고강도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main body 10 is preferably made of a hard material or a high-strength material of the case 12 is formed to the outside so that each storage device having a USB interface coupled to the card slot 19 is easy to be coupled.

한편, 상기 본체부(10)의 카드 슬롯(19)에 삽입되는 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저장장치들의 부피를 고려하여 상기 본체부(10)의 외측을 이루는 케이스(12)의 내부 벽면(14)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volume of the storage device having a USB interface inserted into the card slot 19 of the main body portion 10, the inner wall surface 14 of the case 12 forming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0 is elastic I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제3 USB 장치(100c) 본체부(10)의 카드 슬롯(19) 입구측에는 상기 카드 슬롯(19)에 삽입결합된 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각종 저장장치의 이탈 및 해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재질의 덮개(16) 및 상기 덮개(16)가 결합되기 위한 덮개홈(18)이 구비된다.In addition, at the inlet side of the card slot 19 of the main body 10 of the third USB device 100c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paration and release of various storage devices having a USB interface inserted into the card slot 19 are prevented. In order to cover the rubber cover 16 and the cover 16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18).

여기서, 상기 덮개(16)는 그 일측이 상기 카드 슬롯(19)의 가장자리에 위치 하는 본체부(10)와 연결되며, 이로 인해 상기 카드 슬롯(19)에 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저장장치의 삽입 시 사용자가 상기 덮개(16)의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을 삽지한 후 덮개(16)를 제거하여 카드 슬롯(19)을 노출시킨 후 상기 카드 슬롯(19)에 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저장장치를 삽입결합시키고, 다시 덮개(16)의 타측을 삽지한 후 덮개홈(18)에 끼움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진다.Here, the cover 16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one side of which is located at the edge of the card slot 19, so that the user when inserting a storage device having a USB interface in the card slot 19 Inserts the other side around one side of the cover 16, removes the cover 16 to expose the card slot 19, and inserts and combines a storage device having a USB interface to the card slot 19. Again inserting the other side of the cover 16 is made to fit into the cover groove (18).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USB 장치(100c)의 본체부(10) 카드 슬롯(19) 상에 고무재질의 덮개(16)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16)가 끼움결합되기 위한 덮개홈(18)이 형성되어 있으나, 카드 슬롯(19)에 결합되는 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저장장치의 이탈 및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면 상기 카드 슬롯(19)의 상부에 지퍼 또는 뚜껑 등의 기타 다양한 구조의 덮개(16)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cover 16 of rubber material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10 card slot 19 of the third USB device 100c, and the cover groove 18 for fitting the cover 16 is fitted thereto. Is formed, but the cover 16 of various other structures such as a zipper or a lid on the upper part of the card slot 19, if it can prevent the separation and release of the storage device having a USB interface coupled to the card slot 19 It may also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제3 USB 장치(100c)의 내부에 구비되는 USB 허브(13)는 신호선(15)에 의하여 제1 인터페이스 및 제2 인터페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카드 슬롯(19)에 연결된다.The USB hub 13 provided in the third USB device 100c is connected to the first interface and the second interface by the signal line 15, and is connected to the card slot 19.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4 USB 장치(100d)는 상기 제1 USB 장치(100a)와 동일하게 본체부(10)와 제1 인터페이스부(30)와 제2 인터페이스부(50)로 구성되되, 케이블(75)과 롤(71)과 스프링(74)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USB 연결장치(70)가 더 구비되는 구조이다.As shown in FIG. 5, the fourth USB device 100d may have a main body 10, a first interface 30, and a second interface 50 similar to the first USB device 100a. Consisting of, the cable 75 and the roll 71 and the spring 74 by the removable / attachable USB connector 70 is a structure further provided.

즉, 상기 제4 USB 장치(100d)의 본체부(10) 내의 적소에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스프링(74)을 갖는 롤(71)과 상기 롤(71)에 권취되도록 이 루어지는 소정길이를 갖는 케이블(75)이 구비된다.That is, a predetermined roll roll 71 and a roll 71 having a spring 74 made to be rotatable about a center in a proper position in the body portion 10 of the fourth USB device 100d. A cable 75 having a length is provided.

한편, 상기 제4 USB 장치(100d)의 본체부(10) 내에 구비되는 롤(71)에 케이블(75)이 자동으로 권취되도록 조절하는 버튼(73)이 상기 롤(71)의 중심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부(10)로 소정부분 노출되도록 구비된다.Meanwhile, a button 73 for adjusting the cable 75 to be automatically wound on the roll 71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of the fourth USB device 100d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oll 71. It is provided to expose a predetermined portion to the main body 10.

그리고, 상기 롤(71)에 권취되는 케이블(75)의 단부는 상기 본체부(10) 내에 구비되는 USB 허브(13)에 연결되며, 상기 USB 허브(13)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30)와 제2 인터페이스부(50)에 각각 연결된다.In addition, an end portion of the cable 75 wound on the roll 71 is connected to a USB hub 13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the USB hub 13 is connected to the first interface unit 30. And the second interface unit 50,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케이블(75)의 단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저장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USB 연결장치(7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USB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end of the cable 75 is preferably made of a USB connection device 70 for connection with a storage device having a commonly used USB interface, but may also be made of a USB camera.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로 형성되는 제4 USB 장치(100d)에 USB 연결장치로 USB 카메라가 연결될 경우, 그 사용은 먼저 사용자가 상기 제4 USB 장치(100d)의 USB 카메라를 삽지한 후 힘을 부가해서 당기어 상기 USB 카메라를 상기 제4 USB 장치(100d)에서 소정거리 이격시킨다. 이때, 상기 제4 USB 장치(100d)의 본체부(10)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74)을 갖는 롤(71)이 회전되면서 상기 롤(71)에 권취되는 케이블(75)이 소정길이 상기 본체부(10)의 외부로 노출된다.When the USB camera is connected to the fourth USB device 100d having the structure and shape as described above by the USB connection device, the use is performed after the user inserts the USB camera of the fourth USB device 100d first. And pull to separate the USB camera from the fourth USB device 100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is case, while the roll 71 having the spring 74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of the fourth USB device 100d is rotated, the cable 75 wound on the roll 71 has a predetermined length.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art 10.

이렇게 사용자가 상기 USB 카메라를 상기 제4 USB 장치(100d)의 본체부(10)에서 소정거리 이격시킨 후 사진 등을 촬영하거나 동영상, 화상 통신을 하며, 작업이 종료된 후 사용자가 제4 USB 장치(100d) 본체부(10)의 일측에 구비되는 버튼(73)을 눌러 케이블(75)을 다시 롤(71)에 자동으로 권취시킴으로써 사용이 종료된 다.In this way, the user takes the USB camera from the main body 10 of the fourth USB device 100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takes a picture or performs video or video communication. The use is terminated by pressing the button 7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o automatically wind the cable 75 again onto the roll 71.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4 USB 장치(100d)에 USB 카메라가 USB 연결장치(70)로 적용되었으나, 상기 제4 USB 장치(100d)에 연결되는 USB 연결장치(70)가 단순히 저장장치의 USB 인터페이스와 연결되기 위한 수커넥터 형상의 연결포트로 형성될 경우, 그 사용은 먼저 사용자가 상기 제4 USB 장치(100d)의 USB 연결장치(70)를 삽지한 후 힘을 부가하여 상기 USB 연결장치(70)를 상기 제4 USB 장치(100d)에서 소정거리 이격시키고, 상기 USB 연결장치(70)를 카메라, USB 포트를 갖는 저장장치 등에 구비되는 USB 인터페이스에 결합시켜 각종 데이터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데이터를 컴퓨터 등에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B camera is applied as the USB connector 70 to the fourth USB device 100d, but the USB connector 70 connected to the fourth USB device 100d is simply a USB interface of the storage device. In the case of using a male connector-shaped connection port to be connected with the user, the user first inserts the USB connector 70 of the fourth USB device 100d and then applies a force to the USB connector 70 ) Is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USB device 100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USB connection device 70 is coupled to a USB interface provided in a camera, a storage device having a USB port, and the like to receive various data, and transmit the received data.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to a computer or the like.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5 USB 장치(100e)는 상기 제4 USB 장치(100d)와 동일하게 본체부(10)와 제1 인터페이스부(30)와 제2 인터페이스부(50)로 구성되고, 케이블(75)과 롤(71)과 스프링(74)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USB 연결장치(70)가 더 구비되나, 상기 케이블(75)과 롤(71)과 스프링(74)이 USB 연결장치(70)에 구비되는 구조이다.As shown in FIG. 6, the fifth USB device 100e may have a main body 10, a first interface 30, and a second interface 50 similar to the fourth USB device 100d. It is composed of a cable 75, the roll 71 and the USB connection device 70 is detachable / attachable by the spring 74 is further provided, but the cable 75, roll 71 and the spring 74 ) Is provided in the USB connection device 70.

즉, 케이블(75)과 상기 케이블(75)이 권취되는 롤(71)과 상기 롤(71)에 케이블(75)이 자동으로 권취되도록 조절하는 버튼(73) 및 스프링(74)이 상기 제5 USB 장치(100e)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5 USB 장치(100e)에 구비되는 USB 연결장치(70)에 구비되되, 상기 케이블(75)의 단부가 상기 본체부(10) 내에 구비되는 USB 허브(13)에 연결되며, 상기 USB 허브(13)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30)와 제2 인터페이스부(50)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fifth cable includes the cable 75, a roll 71 on which the cable 75 is wound, and a button 73 and a spring 74 for adjusting the cable 75 to be automatically wound on the roll 71. Not provided in the USB device 100e, but provided in the USB connection device 70 provided in the fifth USB device 100e, the end of the cable 75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portion 10 It is connected to the hub 13, the USB hub 13 has a structure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interface unit 30 and the second interface unit 50.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의 결합관계 및 사용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coupling relationship and the use process of the USB device having the chain-typ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nd form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상기 제1 USB 장치(100a)의 제2 인터페이스부(5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암버클(53)에 제2 USB 장치(100b)의 제1 인터페이스부(3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수버클(33)을 끼움결합시킨다.First, a pair formed in the first interface unit 30 of the second USB device 100b in a pair of arm buckle 53 formed in the second interface unit 50 of the first USB device 100a. Fit the male buckle (33).

이때, 상기 제2 USB 장치(100b)의 제1 인터페이스부(30) 중심에 구비되는 USB 수커넥터(31)가 상기 제1 USB 장치(100a)의 제2 인터페이스부(50)의 중심에 형성되는 USB 암커넥터(51)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In this case, the USB male connector 31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interface unit 30 of the second USB device 100b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interface unit 50 of the first USB device 100a. It is coupled to the USB female connector 51 and electrically connected.

그리고, 상기 제2 USB 장치(100b)의 제2 인터페이스부(5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암버클(53)에 제3 USB 장치(100c)의 제1 인터페이스부(3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수버클(33)을 끼움결합시키고, 상기 제3 USB 장치(100c)의 제2 인터페이스부(5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암버클(53)에 제4 USB 장치(100d)의 제1 인터페이스부(3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수버클(33)을 끼움결합시키며, 상기 제4 USB 장치(100d)의 제2 인터페이스부(5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암버클(53)에 제5 USB 장치(100e)의 제1 인터페이스에 구비되는 한 쌍의 수버클(33)을 끼움결합시킴으로써 각각의 USB 장치의 결합이 완료된다.A pair of arm buckle 53 formed in the second interface unit 50 of the second USB device 100b is provided in the first interface unit 30 of the third USB device 100c. The first buckle 33 of the fourth USB device 100d to the pair of female buckle 53 formed on the second interface unit 50 of the third USB device 100c. A pair of male buckle 33 provided in the unit 30 is fitted, and a fifth to the pair of female buckle 53 formed in the second interface unit 50 of the fourth USB device 100d. The coupling of the respective USB devices is completed by fitting the pair of male buckle 33 provided in the first interface of the USB device 100e.

이때에도, 상기 각 USB 장치의 제1 인터페이스부(30) 중심에 구비되는 USB 수커넥터(31)가 상기 USB 장치의 제2 인터페이스부(50)의 중심에 형성되는 USB 암 커넥터(51)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USB male connector 31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interface unit 30 of each USB device is coupled to the USB female connector 5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interface unit 50 of the USB devic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여기서, 상기 제5 USB 장치(100e)의 제2 인터페이스부(50)에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연결부재(90)가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재(9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USB 장치의 제1 인터페이스에 구비되는 한 쌍의 수버클(33)과 동일한 형상의 수결합편(91)이 구비되고, 그 타측 단부에는 상기 USB 장치의 제1 인터페이스에 구비되는 한 쌍의 수버클(33)이 결합되기 위한 형상의 결합홈(93)을 갖는 암결합편(95)이 구비된다.Here, the second interface unit 50 of the fifth USB device 100e is provided with a flexible connecting member 90, an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90, the first interface of the USB device is provided. A male coupling piece 91 having the same shape as a pair of male buckle 33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is provided, and a pair of male buckle 33 provided in the first interface of the USB device is coupled to the other end thereof. Female coupling piece (95) having a coupling groove (93) of the shape is provided.

상기와 같은 형태 및 구조를 갖는 연결부재(9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수결합편(91)이 상기 제5 USB 장치(100e)의 제2 인터페이스부(50)에 형성되는 암버클(53)에 결합되고, 그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암결합편(95)이 상기 제1 USB 장치(100a)의 제1 인터페이스부(30)에 구비되는 암버클(53)에 결합됨으로써 전체 결합이 완료된다.The female buckle 53 formed at the second interface part 50 of the fifth USB device 100e is provided with a male coupling piece 91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90 having the above shape and structure. Is coupled to the female coupling piece 95 provid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coupled to the female buckle 53 provided at the first interface unit 30 of the first USB device 100a to complete the entire coupling.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USB 장치(100a)에 제2 USB 장치(100b), 제3 USB 장치(100c), 제4 USB 장치(100d), 제5 USB 장치(100e)가 순차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한 순서에 관계없이 상호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1 USB 장치(100a)에 제3 USB 장치(100c), 제2 USB 장치(100b),제5 USB 장치(100e), 제4 USB 장치(100d)가 순차적으로 연결되거나, 기타 다른 조합으로 상기 각 USB 장치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USB device 100b, the third USB device 100c, the fourth USB device 100d, and the fifth USB device 100e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first USB device 100a. It is possible, but made to be interconnected regardless of the above order. That is, a third USB device 100c, a second USB device 100b, a fifth USB device 100e, and a fourth USB device 100d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first USB device 100a, or any other.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respective USB devices in combination.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USB 장치(100a)에 제2 USB 장치(100b), 제3 USB 장치(100c), 제4 USB 장치(100d), 제5 USB 장치(100e)가 연결된 후 상기 제5 USB 장치(100e)의 제2 인터페이스부(50)에 형성되는 암커넥터에 연결부재(90)의 수결합편(91)이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제1 USB 장치(100a)와 제2 USB 장치(100b)를 연결한 후 상기 제2 USB 장치(100b)에 상기 연결부재(90)의 수결합편(91)의 연결하는 등 상기 USB 장치의 숫자에 관계없이 상호 연결시킨 다음, 마지막 USB 장치에 연결부재(90)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the second USB device 100b, the third USB device 100c, the fourth USB device 100d, and the fifth USB device 100e are connected to the first USB device 100a. Although the male coupling piece 91 of the connection member 90 is coupled to the female connector formed at the second interface unit 50 of the fifth USB device 100e, the first USB device 100a and the first connector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2 After the USB device 100b is connected, the second USB device 100b is connected to the second USB device 100b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he USB devices, such as by connecting the male coupling pieces 91 of the connection member 90, and then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connecting member 90 to the USB device.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1)를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할 경우 신체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97)가 상기 연결부재(90)의 적소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길이조절부(97)는 대략 클립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반적인 구조 및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Here, when the user wears a USB device 1 having a chain-shaped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adjusting part 97 for adjusting the length according to the body is provided in place of the connection member 90. It is preferably formed, the length adjusting part 97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lip shape, it is possible to have a general structure and form.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1)가 연결부재(90)의 길이조절부(97)에 의하여 길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다수개의 연결부재(90)를 상호 연결시키고, 연결된 다수개의 연결부재(90) 중 일단에 구비되는 연결부재(90)의 수결합편(91)과 타단에 구비되는 연결부재(90)의 암결합편(95)이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1) 중 후단에 구비되는 USB 장치의 암커넥터와 선단에 구비되는 USB 장치의 수커넥터에 연결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USB device 1 having the chain-type connection method is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by the length adjusting part 97 of the connection member 90, a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90 )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emale coupling piece 91 of the connecting member 90 provided a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90 and the connecting member 90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hain is connected to the chain It is also possible to be made to be worn on the user's body by connecting to the female connector of the USB devic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USB device 1 having a form of connection type and the male connector of the USB device provided at the front end.

상기한 바와 같은 결합구조를 갖는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1)는 각각의 USB 장치 중 제2 USB 장치(100b)의 각 USB 슬롯(17)에 USB 디스크, USB 메모리, USB USB 카메라 등의 일반적인 USB 수커넥터(31)를 갖는 장치들을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제3 USB 장치(100c)의 슬롯에 일반적인 CF 카드, SD 카드 및 일반 적인 USB 장치 등의 저장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제4 USB 장치(100d) 및 제5 USB 장치(100e)의 USB 카메라를 통하여 사진을 찍어 저장한 후 제1 USB 장치(100a)를 웨어러블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에 연결하여 각종 데이터를 전송하여 사용한다.The USB device 1 having a chain-shaped connection method having a coupl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a USB disk, a USB memory, a USB USB camera in each of the USB slots 17 of the second USB device 100b. Connect and use devices having a general USB male connector 31, such as a general CF card, an SD card, and a general USB device, to a slot of the third USB device 100c. 4 Take a picture through the USB camera of the USB device 100d and the fifth USB device 100e, and store the picture, and then connect the first USB device 100a to a wearable computer, a mobile terminal, a PDA, etc. to transmit and use various data. do.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While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appropriate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USB 장치가 다수개의 USB 장치와 체인형태로 상호 연결가능하게 이루어져 컴퓨터, 정보 단말기 등의 일반적인 장치에 USB 장치를 연결한 후 다른 USB 장치를 추가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개의 USB 장치를 일체로 사용할 수 있어 확장성이 향상되고, USB 장치의 각 연결부위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유연하고 탄성있게 제작됨으로써 신체에 탈/부착이 용이하며, 이로 인해 착용 및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이동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llows a USB device to be interconnected in a chain form with a plurality of USB devices, and then adds another USB device after connecting the USB device to a general device such as a computer and an inform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use a plurality of USB devices by using it as a unit, so that the expandability is improved, and each connection part of the USB device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s made flexible and elastic, so it is easy to attach / detach the bod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of wearing and use, and to improve mobility and portability.

Claims (11)

내부에 USB 제어장치(11)를 갖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측 단부에 돌출형성되며 수버클(33)을 구비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30)와 그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암버클(53)을 구비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50)로 이루어지는 제1 USB 장치(100a), 상기 제1 USB 장치(100a)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슬롯(17)이 형성되는 제2 USB 장치(100b), 상기 제1 USB 장치(100a)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 슬롯(19)이 형성되는 제3 USB 장치(100c), 상기 제1 USB 장치(100a)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본체부에 형성된 롤과 상기 롤과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USB 연결장치(70)가 구비되는 제4 USB 장치(100d), 상기 제1 USB 장치(100a)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본체부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롤이 형성된 USB 연결장치(70)가 구비되는 제5 USB 장치(100e) 중 적어도 2 이상의 USB 장치와; It is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10 having the USB control device 11 therein and the first interface portion 30 having a male buckle 33 and protruding at one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the other end thereof. And the first USB device 100a including the second interface unit 50 having the arm buckle 53 and the same shape as the first USB device 100a, but having at least one USB slot 17 on one side thereof. ) Is a second USB device 100b having a third shape, the third USB device 100c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USB device 100a and having at least one card slot 19 formed on one side thereof, The fourth USB device 100d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USB device 100a and includes a roll formed in the main body and a USB connection device 70 connected by the roll and a cable, and the first USB device 100a. USB connector 7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but the roll is connected by the body and the cable is formed At least two USB devices among the fifth USB devices 100e provided; 밴드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 단부에 상기 2 이상의 USB 장치 중 어느 하나의 USB 장치의 암버클과 결합가능한 수결합편(91)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2 이상의 USB 장치 중 나머지 어느 하나의 USB 장치의 수버클과 결합가능한 결합홈(93)을 갖는 암결합편(95)이 구비되며,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부(97)가 구비된 연결부재(90); It is formed in a band shape, one end is provided with a male coupling piece 91 that can be coupled to the female buckle of any one of the two or more USB devices, the other end of the USB device of the other one of the two or more USB devices A female coupling piece (95) having a coupling groove (93) engageable with the male buckle of the device, the coupling member (90) having a length adjusting portion (97) to adjust the length;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2 이상의 USB 장치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USB device having a chain-type connection method, comprising a, wherein the two or more USB devices are inter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부(10)는 그 내부에 USB 허브(13) 및 상기 USB 허브(13)와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부(30, 50)를 연결하는 신호선(1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The main body portion 10 is a ch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is provided with a USB hub 13 and a signal line 15 connecting the USB hub 13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face portions 30 and 50 therein. USB device with a form of conn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일측 단부에 돌출형성되되, 플랙시블한 재질의 연결부(35)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10)와 연결되고, 그 선단에 한 쌍의 수버클(33)이 상호 대칭되게 돌출구비되며, 상기 각 수버클(33)의 중심부에 USB 수커넥터(31)가 돌출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The first interface 30 is protru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0,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by a flexible connection part 35, and a pair of ends thereof. The male buckle (33) is protruding symmetrically mutually, the USB device having a chain-type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USB male connector (31) protruding in the center of each of the male buckle (33).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50)는 상기 본체부(10)의 타측 단부 양 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암버클(53)과 상기 각 암버클(53)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USB 암커넥터(5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The second interface unit 50 is a pair of female buckle 5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the USB female connector 51 formed in the center of each of the female buckle 53 USB device having a chain-shaped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암버클(53)에 스프링(55)을 갖는 스위치(5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USB device having a chain-type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rm buckle (53) is provided with a switch (57) having a spring (55).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3 USB 장치(100c)는 외측을 이루는 케이스(12)가 경질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 벽면(14)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 형성되는 카드 슬롯(19)의 입구측에 덮개홈(18)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홈(18)에 결합되기 위한 덮개(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The third USB device 100c is formed of a hard material having a case 12 forming an outer side thereof, and an inner wall surface 14 of which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formed at an inlet side of a card slot 19 formed at one side thereof. Cover groove (18) is formed, the USB device having a chain-type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16 is provided for coupling to the cover groove (18).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4 USB 장치(100d)는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롤(71)과 상기 롤(71)에 권취되는 소정길이의 케이블(75)과 스프링(74)과 버튼(73)이 구비되되, 상기 케이블(75)의 단부가 USB 연결장치(7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The fourth USB device 100d includes a roll 71 rotatably formed therein and a cable 75, a spring 74, and a button 73 of a predetermined length wound on the roll 71. USB device having a chain-type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cable (75) is connected to the USB connection device (70).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USB 연결장치(70)가 USB 카메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USB device having a chain-type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USB connection device 70 is provided as a USB camer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5 USB 장치(100e)는 USB 연결장치(70) 내부에 롤(71)과 상기 롤(71)에 권취되는 소정길이의 케이블(75)과 스프링(74)과 버튼(73)이 구비되되, 상기 케이블(75)의 단부가 제5 USB 장치(100e) 내부의 USB 허브(1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The fifth USB device 100e includes a roll 71, a cable 75, a spring 74, and a button 7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ound on the roll 71 in the USB connection device 70. And an end of the cable (75) is connected to a USB hub (13) inside the fifth USB device (100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50072018A 2005-08-06 2005-08-06 USB Device for connect structure of chain-shaped KR1007549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018A KR100754934B1 (en) 2005-08-06 2005-08-06 USB Device for connect structure of chain-shap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018A KR100754934B1 (en) 2005-08-06 2005-08-06 USB Device for connect structure of chain-shap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261A KR20070017261A (en) 2007-02-09
KR100754934B1 true KR100754934B1 (en) 2007-09-03

Family

ID=4163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018A KR100754934B1 (en) 2005-08-06 2005-08-06 USB Device for connect structure of chain-shap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93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6578A (en) 1998-01-13 2000-05-02 Advanced-Connectek, Inc.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KR20030061564A (en) * 2002-01-15 2003-07-22 주식회사 루트미디어 The USB storage removable device of switching HUB-form and the control method which has interval power supply and RAID, portable boot system, partition using by count controller
KR20050013738A (en) * 2003-07-29 2005-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Extensible Portable Storage
KR20050020030A (en) * 2003-08-20 2005-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Computer
US6893267B1 (en) 2003-08-07 2005-05-17 Wen Hsiang Yueh USB plug with a multi-directional rota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6578A (en) 1998-01-13 2000-05-02 Advanced-Connectek, Inc.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KR20030061564A (en) * 2002-01-15 2003-07-22 주식회사 루트미디어 The USB storage removable device of switching HUB-form and the control method which has interval power supply and RAID, portable boot system, partition using by count controller
KR20050013738A (en) * 2003-07-29 2005-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Extensible Portable Storage
US6893267B1 (en) 2003-08-07 2005-05-17 Wen Hsiang Yueh USB plug with a multi-directional rotation structure
KR20050020030A (en) * 2003-08-20 2005-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Comp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261A (en) 200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8316B2 (en)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strain mitigation in wearable electronic devices
US6529372B1 (en) Wearable computer-battery system
EP2843912B1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728976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glasses
US8298003B2 (en) Multi-functional adaptation winder
US10020668B2 (en) Charging apparatus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9331444B2 (en) Docking sleeve with electrical adapter
KR100719319B1 (en) Connector of Portable Device for Multimedia
EP1998415A1 (en) Multipurpose accessory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
WO200903571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ap member antenna element
US795093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overing lid for covering insert hole
JP2006108067A (en) Cable holder
US8029302B1 (en) Strap with charging and data transmitting function
TWM286465U (en) Backup battery of electronic device
US742061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wivel accessorial module
KR100754934B1 (en) USB Device for connect structure of chain-shaped
TWI466458B (en) Wireless signal receiver
KR101976824B1 (en) Hardware function expansion apparatus of mobile device
CN216599722U (en) Protective shell
KR101728616B1 (en) Hardware function expansion apparatus of mobile device
CN216720467U (en) All-in-one connector and mobile phone connecting line
CN211344531U (en) Intelligent mobile terminal clamping device
KR101278472B1 (en) Mouse for computer with usb socket
JP2008096611A (en) Camera, strap unit and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20150124291A (en) Neck 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