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709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mode in mobile station with integrated camera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mode in mobile station with integrated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709B1
KR100754709B1 KR1020030065598A KR20030065598A KR100754709B1 KR 100754709 B1 KR100754709 B1 KR 100754709B1 KR 1020030065598 A KR1020030065598 A KR 1020030065598A KR 20030065598 A KR20030065598 A KR 20030065598A KR 100754709 B1 KR100754709 B1 KR 100754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vacy zone
zone information
camera
privac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5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29353A (en
Inventor
황유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5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709B1/en
Publication of KR20050029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3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7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생활 보호구역에서 카메라를 구비한 이통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카메라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비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새로운 셀에 진입하는 경우 해당 셀 내의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를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에 요청하여 상기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며,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 동작을 위한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감지하면 GPS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들 중 어느 하나가 일치하는지를 검사하여 일치하면 사용자에게 사생활 보호구역에 있음을 알리고 카메라 동작을 방지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function of a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in a privacy zon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at stores privacy zone information for limiting camera operation, and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a new cell, the privacy zone is stored in the privacy zone. Requests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o receive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stores it in the memory, and when the user detects that an input for camera operation is ma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It checks whether any one of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is matched, and if it matches, the user is notified of the privacy zone and controls to prevent camera operation.

사생활 보호, 카메라, 이동통신 단말기.Privacy, camera, mobile terminal.

Description

카메라 폰에서 카메라 기능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MODE IN MOBILE STATION WITH INTEGRATED CAMERA}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functions in a camera 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MODE IN MOBILE STATION WITH INTEGRATED CAMER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생활 보호 구역에서 카메라 폰의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limiting a camera function of a camera phone in a privacy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폰의 내부 구성도,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amera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 시스템, 카메라 폰 및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간의 신호 흐름도,3 is a signal flow diagram between a GPS system, a camera phone, and a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생활 보호 구역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4 is a control flowchart for limiting a camera function in a privacy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생활 보호 구역에 진입하였을 때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5A and 5B illustrate screens displaye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entering a privacy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생활 보호 구역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limiting a camera function in a privacy zone.

최근 들어 이동통신 분야가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별도의 카메라를 구비하지 않고도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를 내장하여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에 이르렀다. 이하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카메라 폰(Phone)이라 한다. 이러한 카메라 폰의 출시로 다양한 기능을 추구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었다. 사용자는 카메라 폰을 이용하여 어디에서든 사진을 찍을 수 있었다. 그러나 카메라 폰이 대중화되면서 대중 목욕탕이나 보안이 필요한 회사 등과 같은 사생활 침범 여지 있는 장소에서 카메라 폰 사용은 전적으로 카메라 폰을 구비하는 사용자에게 달린 문제였다. 이와 같이 사생활 보호 구역에서 카메라 폰의 카메라 기능 이용을 제한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또한, 사생활 보호 측면에서 카메라 폰은 사생활 침범의 소지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생활 보호 구역에서는 일일이 사용자의 카메라 폰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거나 보안을 위한 별도의 조치가 필요하였다. Recently, the field of mobile communication has been rapidly developed, and accordingly, various functions can be perform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it has come to be able to perform a camera function by embedding the camer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having a separate camera. 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camera is built is called a camera phone. The launch of such a camera phone was able to satisfy the needs of users pursuing various functions. The user could take a picture anywhere using the camera phone. However, as camera phones became popular, the use of camera phones in places subject to privacy invasion, such as public baths and companies that require security, was entirely a matter of the user with the camera phone. As such, there was no way to restrict the use of the camera function of the camera phone in the privacy zone. In addition, in terms of privacy, camera phones were subject to privacy invasion.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user should not use the user's camera phone in the privacy zone or needed additional measures for security.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대중 목욕탕이나 보안이 필요한 회사 등과 같은 사생활 침범 여지가 있는 장소에서 카메라 폰의 카메라 기능을 별도로 제한할 수 없어 사생활이 보호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ivacy cannot be protected because the camera function of the camera phone cannot be limited separately in a place where there is a possibility of privacy violation such as a public bath or a company requiring securit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생활 보호 구역 내에서 카메라 폰의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limiting the camera function of a camera phone within a privacy zon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GPS 수신부와 카메라 동작을 수행하는 카메라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비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새로운 셀에 진입하는 경우 해당 셀 내의 상기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를 상기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사용자에 의해 상기 카메라 동작을 위한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GPS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들 중 어느 하나가 일치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위치와 일치하는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가 있으면 사용자에게 사생활 보호구역에 있음을 알리고 상기 카메라 동작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oper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GPS receiver and a camera unit that performs camera operation, the method comprising: storing privacy zone information for limiting the camera operation; Providing a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requesting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in the cell to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a new cell; and protecting the privacy zone. Receiving and storing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a memory; and detecting the input of the camera operation by the use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and Stored in memory Checking whether any one of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tches, and if there is privacy zone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current location, notifying the user that the privacy zone is in the privacy zone and controlling to prevent the camera operation. It feature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 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사생활 침범 위험이 있는 구역에서는 자동으로 카메라 기능을 동작하지 못하게 하거나 동작시 경고음 등을 나오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업자에 의해 미리 사생활 보호 구역을 미리 데이터화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또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시스템을 이용하여 카메라 폰을 구비한 사용자가 사생활 보호 구역에 진입함을 인지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user from using the camera function by automatically disabling the camera function in the area where there is a risk of invasion of privacy or by emitting a warning sound during operation. Therefore, the privacy protection zone should be data-stored in advance by the operat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ystem is used to recognize that a user with a camera phone enters the privacy zone.

그러면, 사생활 보호 구역에서 카메라 폰의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생활 보호 구역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Next, a system for limiting the camera function of the camera phone in the privacy zon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limiting camera functions in a privacy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10)는 GPS 수신기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위치를 GPS 시스템(20)으로부터 계속하여 수신한다. 즉, 본 발명은 기존에 개발된 내장 카메라와 휴대폰에 내장되는 GPS 기능과 이동통신 사업자의 GPS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러한 GPS 기능이 현재까지는 위치 추적 서비스 등으로 제한적으로만 제공되고 있어 모든 휴대폰의 기본 기능은 아니지만, 사생활 보호 기능을 위해서는 카메라폰에 GPS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새로운 셀로 진입할 때마다 사생활 보호 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40)으로 사생활 보호 구역 정보를 요구하고 이를 수신하여 카메라기능을 제어한다. 사생활 보호 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40)은 공공구역이나 사진촬영을 금지할 필요가 있는 구역을 사생활 보호 구역 정보 데이터 베이스(42)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생활 보호 구역이란 대중 목욕탕이나 보안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회사 등의 카메라폰으로 인한 사생활 침범 여지가 있는 장소를 말한다. 또한, 이러한 사생활 보호 구역은 이동통신 사업자가 등록을 해서 목록을 관리하고, 필요한 경우 계속하여 업데이트 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has a GPS receiver to continuously receive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from the GPS system 20.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GPS function of a built-in camera and a mobile phone and a mobile service provider's GPS service. Although these GPS functions are currently limited to location tracking services and so on, they are not basic functions of all mobile phones, but for the privacy protection function, GPS functions must be built into the camera phone. When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enters a new cell,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40 requests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and receives it to control the camera functio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40 stores i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database 42 a public zone or a zone that needs to be prohibited from photographing. For example, privacy zones are places where there is a potential for privacy violations caused by camera phones, such as public baths or companies that require security. In addition, these privacy zones can be registered by the mobile operator to manage the list, and if necessary continue to update.

그러면, 이하 GPS 수신부(202)와 카메라부(212)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내부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폰의 내부 구성도이다.Next,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cluding the GPS receiver 202 and the camera 21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amera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어부(200)는 새로운 셀 진입이 인지되면 사생활 보호 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40)으로 해당 셀 내의 사생활 보호 구역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메모리(206)에 이를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 동작이 있으면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메모리(206)에 저장되어 있는 사생활 보호 구역 정보들 중 어느 하나와 GPS 수신부(202)로부터 수신한 현재 이동통신 단말(10)의 위치가 일치하는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사생활 보호 구역에 있음을 알리고, 카메라 동작을 방지하도록 제어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ler 2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ew cell entry is recognized, the controller 200 requests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40 to receive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cell, receives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emory 206. do. Then, if there is a camera operation by the user, it is checked whether one of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stored i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emory 206 matches the position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202. do. If the test result matches, the user is informed that the user is in the privacy zone and controlled to prevent camera operation.

무선부(204)는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며,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고주파 무선 신호를 받아 고주파 무선 신호를 베이스 밴드 복조를 통해 하강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음성 처리부(210)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설정된 송신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한 후 이를 안테나(ANT)를 통해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키 입력부(214)는 키 매트릭스 구조로 구성이 된다. 상기 키 입력부(214)는 다수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키 데이터의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표시부(216)는 단말기의 현재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변화를 표시한다. 이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등과 같은 표시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생활 보호 구역과 현재 이동통신 단말(10)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사생활 보호 구역에 있음 알리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메모리(208)는 제어부(200)에서 처리되는 프로그램을 임시 저장하거나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이러한 메모리(208)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과 램(RAM)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생활 보호 구역 정보 메모리(206)는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4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한다. 음성 처리부(210)는 마이크(MIC)에 의해 입력된 전기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부(204)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성 처리부(210)는 상기 무선부(204)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하고 스피커는 이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카메라부(212)는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어 피사체를 촬영하며, 촬영에 따른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각 기지국의 셀 영역 진입 시 해당 구역 안에 있는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 내부 메모리(206)에 저장한다. 사업자가 관리하는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40)에 있는 전체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데이터 베이스(42)에 비해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내장된 이 메모리(206)는 하나의 셀 영역만 포괄하면 되므로 용량 요구가 큰 부하가 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가 카메라를 동작시키려고 하는 순간, 현재 위치 정보를 이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와 비교해서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에 포함된 위치에 현재 가입자가 있는지 확인을 하고, 만약 해당사항이 있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입자에게 이제부터 사생활 보호 모드로 설정됨을 표시한다. 이 사생활 보호 모드는, 카메라 동작을 방지시키는 방법과, 매 촬영 시 큰 경고음을 나게 함으로 인해 몰래카메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오차 거리 10m 이내의 해상도를 가진 GPS 기능이 휴대폰에서 가능해짐에 따라 사용자에게 카메라 사용에 불편을 주지 않으면서도 비교적 정밀하게 문제 될 수 있는 구역에서만 카메라 사용에 제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adio unit 204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0, and receives the high frequency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T to convert down the high frequency radio signal through baseband demodulation. In addition, the voice data input from the voice processor 210 is converted into a set transmission frequency band and then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ANT. The key input unit 214 has a key matrix structure. The key input unit 214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of key data to the controller 200 by a user's key input. The display unit 216 displays the current state of the terminal or changes in the progress of the program. Such a display device may be configured as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cation of the privacy zone and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oincide with each other, a screen indicating that the user is in the privacy zone is displayed. The memory 208 temporarily stores a program processed by the controller 200 or provides a program stored in the controller 200 to the controller 200. The memory 208 is composed of a ROM storing an operating program, an electrically programmable EEPROM, a RAM, and the like.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emory 206 store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40. The voice processor 210 modulates an electric signal input by the microphone MIC, converts the electric signal into voice data,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o the wireless unit 204. In addition, the voice processing unit 210 demodulates the encoded voice data input from the wireless unit 204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result to a speaker, and the speaker converts it to an audible sound and outputs the audible sound. The camera unit 21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00 to photograph a subject, to output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and to generate screen data for displaying the image sig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tores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area when entering the cell area of each base station in the internal memory 206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ompared to the entire privacy zone information database 42 i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40 managed by the operator, this memory 206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nly needs to cover one cell area. Capacity demand is not a big load. In addition, the moment the user attempts to operate the camera,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re is a current subscriber at the location included i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and if applicable, the subscrib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Will now be in privacy mode. This privacy mode prevents the use of a hidden camera due to a method of preventing camera operation and a loud warning sound at every shoo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GPS function having a resolution of 10 m or less within an error distance is enabled in a mobile phone, it is possible to restrict the use of the camera only in an area where the user may have a relatively precise problem without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 시스템(20),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40)간의 신호 흐름도이다.3 is a signal flow diagram between a GPS system 20,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having a camera function, and a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는 GPS 수신부(202)를 구비하여 GPS 시스템(20)으로부터 300단계와 같이 계속하여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가 302단계에서 새로운 셀로 진입하면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40)으로 304단계에서 해당 셀 내의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를 요청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기지국의 셀 영역(cell area) 단위로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셀에 진입했을 때 해당 구역의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에 다운 로드한다. 이때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를 요청할 수도 있지만, 이는 데이터 양이 많기 때문에 자신이 진입한 셀 내에 있는 사생활 보호 구역의 정보만을 요청한다.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40)은 이를 수신하여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데이터 베이스(42)에서 요청된 셀의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를 읽어 308단계에서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310단계에서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40)으로부터 수신한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를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메모리(206)에 저장한다. 이후 31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 동작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카메라 동작이 있으면, 31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메모리(206)에 저장되어 있는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들 중 하나와 GPS 시스템(20)으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와 일치하는지를 검사한다. 어느 한 사생활 보호 구역 정보와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위치가 일치하면 316단계로 진행하여 사생활 보호 구역에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카메라 동작을 방지하도록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카메라 폰을 이용해 사진을 찍고자 할 경우, 카메라 폰에서는 GPS 시스템을 이용해 현재의 위치가 이동통신 사업자가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40)에 등록된 사생할 보호구역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확인 시 사생활 보호 구역일 경우, 이후 발생하는 카메라 동작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에게 사생활 보호 구역에 있음을 알리기 위해서 도 5a와 도 5b와 같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생활 보호 구역에 진입하였을 때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부(216)에 '사생활 보호 구역 들어감'이나 '사생활 보호 모드'라는 문구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카메라 촬영시 큰 경고음을 내게 함으로 카메라 촬영을 방지할 수 있고, 임시로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cludes a GPS receiver 202 and continuously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system 20 in step 300.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enters the new cell in step 30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requests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cell to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40 in step 304. As such,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enters a cell in units of cell areas of the base st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downloads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is time, all data stored i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may be requested, but since the data volume is large, only the information of the privacy zone in the cell to which the user enters is requested.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40 receives this, reads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of the cell requested from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database 42,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step 308.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tores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40 in step 310 i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emory 206. In step 312,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camera operation for taking a picture from the user. If there is a camera operati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14 to check whether one of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currently stored i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emory 206 matches the current position received from the GPS system 20. If any of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oincides with step 316 to inform the user that the privacy zone, and controls to prevent camera operation. 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take a picture using the camera phone, the camera phone uses the GPS system to check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s a privacy zone protected by the mobile operator registered i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40. do. In the case of the privacy zone when checking, it prevents the camera from occurring later. At this time, in order to inform the user that the privacy zon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ure 5a and 5b. 5A and 5B illustrate screens displaye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entering a privacy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216 displays the phrase 'enter privacy zone' or 'privacy mode' and at the same time emits a big beep when shooting the camera, thereby preventing camera shooting and temporarily preventing the camera function from being used. It may b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생활 보호 구역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그러면, 이제 상기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사생활 보호구역에서 사진촬영을 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4 is a control flowchart for limiting a camera function in a privacy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ext,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from taking a picture in the privacy zone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먼저. 제어부(200)는 4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는 GPS 수신부(202)를 통해 계속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위치를 수신한다. 이후 402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새로운 셀로 진입하는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새로운 셀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해당 셀 내의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를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40)으로 404단계에서 해당 셀 내의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를 요청한다. 이후 406단계에서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가 수신되면, 408단계로 진행하여 406단계에서 수신한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를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메모리(206)에 저장한다. 이후 41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 동작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카메라 동작이 있으면, 412단계로 진행하여 GPS 수신부(202)로부터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후 41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메모리(206)에 저장되어 있는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들 중 하나와 GPS 시스템(20)으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가 일치하는지를 검사한다. 어느 한 사생활 보호 구역 정보와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위치가 일치하면 416단계로 진행하여 사생활 보호 구역에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카메라 동작을 방지하도록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카메라 폰을 이용해 사진을 찍고자 할 경우, 카메라 폰에서는 GPS 시스템을 이용해 현재의 위치가 이동통신 사업자가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40)에 등록된 사생할 보호구역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확인 시 사생활 보호 구역일 경우, 이후 발생하는 카메라 동작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에게 사생활 보호 구역에 있음을 알리기 위해서 도 5a와 도 5b와 같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410단계에서 카메라 동작이 없는 경우와 414단계에서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메모리(206)에 저장된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들 중 하나와 현재 위치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418단계로 진행하여 해당기능을 수행한다.first. The controller 200 maintains the standby state in step 400.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ontinuously receive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GPS receiver 202. In step 402, the controller 200 check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enters a new cell. In the case of entering the new cell, the privacy protection zone information in the cell is requested to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40 in step 404, and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in the cell is requested. After the privacy protection zone information is received in step 406,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08 and stores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406 i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emory 206. Thereafter, in step 410, a check is made to see if there is a camera operation for taking a picture from the user. If there is a camera operati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12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202. Thereaft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14 to check whether one of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currently stored i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emory 206 matches the current location received from the GPS system 20. If any of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oincides with the step 416 to inform the user that the privacy zone, and controls to prevent the camera operation. 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take a picture using the camera phone, the camera phone uses the GPS system to check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s a privacy zone protected by the mobile operator registered i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40. do. In the case of the privacy zone when checking, it prevents the camera from occurring later. At this time, in order to inform the user that the privacy zon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ure 5a and 5b.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camera operation in step 410 and one of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stored i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emory 206 in step 414 and the current position does not match, proceed to step 418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사생활 침범 위험이 있는 구역에서는 자동으로 카메라 기능을 동작하지 못하게 하거나 동작시 경고음 등을 나오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여 카메라 폰의 사생활 침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camera phone from invading privacy by preventing the user from using the camera function by automatically disabling the camera function in a zone where there is a risk of privacy invasion or by generating a warning sound during operation. have.

전술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GPS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GPS 시스템뿐만 아니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셀에 존재하는 사생활 보호구역이 적은 경우에는 다수의 셀을 하나로 묶어 하나의 셀과 같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 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using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GPS system,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as well as a GPS system may be simultaneously used. In addition, when there are few privacy zones present in one cell, a plurality of cells may be bundled together and viewed as one cell.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ose equivalent to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폰에 GPS 기능과 연계해 대중 목욕탕 등 공공장소에서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을 잠시 사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사용시 경고음을 내게 함으로 인해 카메라폰의 사생활 침범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possibility of invading the privacy of the camera phone by intermittent use of the camera function of the camera phone in a public place such as a public bath in conjunction with the GPS function in the camera phone or a warning sound when using the camera phone. There is this.

Claims (7)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며, GPS 수신부와 카메라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oper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including a GPS receiver and a camer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새로운 셀에 진입할 때마다 상기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에 해당 셀 내의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과,Requesting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privacy zone information in the cell whenever the mobile terminal enters a new cell; 상기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Receiving privacy zon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storing it in a memory;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 동작을 위한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GPS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들 중 어느 하나가 일치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Detecting whether an input for operating a camera is made by a user and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matches one of privacy zon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상기 현재 위치와 일치하는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가 있으면 상기 카메라 동작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 제어 방법.And controlling to prevent the camera operation whe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coincides with the current 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사생활 보호구역에 있음을 알리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informing the user that the user is in a privacy zone. 제 1항에 있어서, 사생활 보호구역에 있음을 알리는 문구를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사생활 보호구역에 있음을 알리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notifying the user that the user is in the privacy zone by displaying a phrase indicating that the user is in the privacy zone. 제 1항 혹은 제 3항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 시마다 큰 경고음을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사생활 보호구역에 있음을 알리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 제어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outputting a large warning sound every time the camera is photographed to inform the user that the user is in a privacy zo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생활 보호 구역 정보는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상기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에 등록되어 목록 형태로 관리되고, 필요한 경우 계속하여 업데이트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y a mobile service provider and managed in a list, and is continuously updated when necessary.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와,A GPS receiver for receiving a GPS signal, 다운로드된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를 저장하는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메모리와,A privacy zone information memory for storing downloaded privacy zone information; 상기 다운로드되는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부와,A wireless unit for receiving the downloaded privacy zone information; 상기 수신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새로운 셀로의 진입이 감지될 때마다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에 해당 셀 내의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를 요청하며, 카메라 동작이 감지될 때 상기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메모리에 저장된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와 상기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이 있으면 상기 카메라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 제어 장치.Determining the current position using the received GPS signal, whenever the entry into a new cell is detected,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requests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in the cell, when the camera motion is detected the privacy protection And a controller for comparing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stored in the zone information memory with the current position and matching the current position to control the camera not to operat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생활 보호 구역 정보는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상기 사생활 보호구역 정보 관리 시스템에 등록되어 목록 형태로 관리되고, 필요한 경우 업데이트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 제어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privacy zo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y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and managed in a list form, and is updated when necessary.
KR1020030065598A 2003-09-22 2003-09-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mode in mobile station with integrated camera KR1007547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598A KR100754709B1 (en) 2003-09-22 2003-09-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mode in mobile station with integrated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598A KR100754709B1 (en) 2003-09-22 2003-09-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mode in mobile station with integrated cam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353A KR20050029353A (en) 2005-03-28
KR100754709B1 true KR100754709B1 (en) 2007-09-03

Family

ID=37385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598A KR100754709B1 (en) 2003-09-22 2003-09-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mode in mobile station with integrated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70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82440A1 (en) * 2019-12-17 2021-06-17 Citrix Systems, Inc. System for preventing access to sensitive information and related techniqu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345A (en) * 2003-10-30 200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Camera action limi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15126422A1 (en) 2014-02-24 2015-08-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vacy zone
KR101658790B1 (en) * 2015-07-21 2016-09-23 박상운 Arable land authentication termi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8918A (en) * 2001-12-25 2003-07-11 Sony Corp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pi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8918A (en) * 2001-12-25 2003-07-11 Sony Corp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pictur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5-198918호(2003.07.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82440A1 (en) * 2019-12-17 2021-06-17 Citrix Systems, Inc. System for preventing access to sensitive information and related techn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353A (en) 2005-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4541B2 (en) Charg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EP15623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2068536A2 (en) Operation limiting technique for a camera-equipp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793621B1 (en)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accessing base station
EP1534030B1 (en) Preventing unauthorized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48418B1 (en) Restriction method and system for photographing in handheld terminal combined with camera
CN107506670B (en) Parameter loading method and device
KR1007547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mode in mobile station with integrated camera
EP25092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 misplaced mobile device
JP2006254249A (en) Camera starting setting system, mobile terminal with camera, base station, server and recording medium
EP13291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mobile electronic device based on location
JP2003101640A (en) Portable terminal
JP2006237981A (en) System and program for monitoring mobile terminal
KR20100102834A (en) Wireless internet access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85490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ervice zone
KR20140055793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private information by using nfc tag
JP2005136921A (en) Portable phone with unauthorized photography prevention function
JP2003174679A (en) Mobile communication suppress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47816B1 (en) Camera Function Control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Camera Phone
KR10043666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pictures in display phone
KR20050098744A (en) Received statement alarm system of cellular phone
JP403033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JP2001320473A (en) Communication device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power supply by gps and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5354251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limit release method
KR200362189Y1 (en) Received statement alarm system of cellular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605

Effective date: 200707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