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342B1 - System for Alarm Service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Google Patents

System for Alarm Service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342B1
KR100753342B1 KR1020050030552A KR20050030552A KR100753342B1 KR 100753342 B1 KR100753342 B1 KR 100753342B1 KR 1020050030552 A KR1020050030552 A KR 1020050030552A KR 20050030552 A KR20050030552 A KR 20050030552A KR 100753342 B1 KR100753342 B1 KR 100753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user
time
service system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5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08369A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루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루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루온
Priority to KR1020050030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342B1/en
Publication of KR20060108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3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3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프로그램의 알람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정보에 따라 콘텐츠의 방송 전에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 방송이 시작되는 것을 미리 알 수 있도록 하는 알람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알람서비스 시스템은,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알람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접속부; 상기 알람설정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알람설정 정보를 검색하여 알람발신 시간이 되면, 사용자의 DMB 단말기로 알람 신호를 송출하도록 발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알람 신호를 송출하는 발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람서비스 시스템은, 프로그램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콘텐츠의 방송시간이 변경된 경우에도 변경된 방송시간에 맞추어 알람신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service system of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gram, and more particularly, by sending an alarm signal to a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before broadcas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alarm information set by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service system that enables the user to know in advance that content broadcasting starts. Alarm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network connection unit for receiving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of the user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A database for storing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A controller for searching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controlling a transmitter to transmit an alarm signal to a user's DMB terminal when an alarm call time arrives;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by the controller. In addition, by updating the program information, the alarm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larm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broadcast time even when the broadcast time of the content is changed.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DMB, 알람예약, 알람시스템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alarm reservation, alarm system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의 알람서비스 시스템{System for Alarm Service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ystem for Alarm Service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람서비스 시스템의 운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alarm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알람서비스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larm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사용자가 알람설정을 할 수 있도록 알람설정 단말기 화면에 프로그램 편성표를 나타낸 것이다. 3 shows a program schedule on the screen of an alarm setting terminal so that a user can set an alarm.

도 4a 내지 도 4d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알람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4A to 4D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larm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5는 데이터베이스에 알람설정 정보가 저장된 형태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larm setting information is stored in a database.

도 6은 데이터베이스에 알람설정 정보가 저장된 형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6 illustrates another example in which alarm setting information is stored in a database.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프로그램의 알람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정보에 따라 콘텐츠의 방송 전에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 방송이 시작되는 것을 미리 알 수 있도록 하는 알람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service system of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gram, and more particularly, by sending an alarm signal to a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before broadcas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alarm information set by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service system that enables the user to know in advance that content broadcasting star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한다)은, 고화질의 디지털방송을, 전용 단말기를 통해 시청할 수 있는 형태의 방송이다. 종전의 지상파 TV, 케이블 TV, 위성방송 등이 정해진 시간에 TV 수상기 앞에 앉아야만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이른바 '고정 시청형태'의 방송인 것에 비해, DMB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이른바 '이동형 개인 시청형태'의 방송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DMB는, 차세대 이동형 멀티미디어 매체로서, 기존 방송에서 제공하던 뮤직비디오, 영화, 게임 등과 같이 다양한 콘텐츠의 제공이 가능하다.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DMB') is a type of broadcast that enables viewing of high-definition digital broadcasting through a dedicated terminal. Compared to conventional terrestrial TV, cable TV, satellite broadcasting, and so-called 'fixed viewing type' broadcasting where you can watch desired contents only when you sit in front of the TV receiver at a fixed time, DMB can watch desired contents anytime, anywhere, The so-called 'mobile personal viewing form' can be called a broadcast. The DMB is a next generation mobile multimedia medium, and can provide various contents such as a music video, a movie, a game, and the like that have been provided in a conventional broadcast.

이와 같은 다양한 방송 콘텐츠가 제공되는 환경에서, DMB 시청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정 콘텐츠에 대해 방송시간을 놓치지 않고 시청하기 위해 알람 설정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DMB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알람 설정 기능을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알람장치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an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broadcast contents are provided, the DMB viewer may set an alarm to watch one or more specific contents without missing a broadcasting time. In this case, the user may use the alarm setting function provided in the DMB terminal owned by the user, or may use a separate alarm device.

그런데, 사용자가 콘텐츠의 방송시간에 맞추어 알람 설정을 하는 경우, 사용 자는 방송편성표, 예컨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ic Program Guide; 이하 'EPG'라 한다)에 기재된 콘텐츠의 명칭 및 방송시간 등을 확인한 후, 알람장치의 입력키 등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알람시간을 입력함으로써 알람을 설정하게 된다. However, when the user sets an alarm in accordance with the broadcast time of the content, the user checks the name and broadcast time of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broadcast schedule, for example, the electric program guide (EPG). By setting the alarm time you want through the input key of the alarm device, you can set the alarm.

그러나, 알람 설정을 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다수인 경우, 알람장치의 키버튼을 통해 알람시간을 일일이 입력하는 것은 시간이 비교적 많이 걸리게 되고,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을 가져다 줄 것이다. However, if there are a large number of contents to be set for the alarm, inputting the alarm time one by one through the key button of the alarm device is relatively time-consuming and will be cumbersome for the user.

또한, 일단 알람시간을 일일이 입력하여 설정한 경우라도, 방송사 등의 사정으로 콘텐츠의 방송시간이 변경되기라도 하면, 해당 알람설정 시간은 이미 무의미한 것으로 되어 버린다. 예컨대, 특정 콘텐츠의 방송 시작 5분 전에 알람시간을 설정하였는데, 방송사 등의 사정으로 콘텐츠의 방송시간이 1시간 늦춰진 경우, 사용자가 사전에 이를 알고서 알람 설정 시간을 수정하지 않는 이상, 알람신호는 이미 설정된 시간에 따라 실제 방송되기 1시간 5분전에 발생할 것이다. 이처럼 콘텐츠의 방송 시간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알람 설정을 하는 데에는, 키버튼을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과, 콘텐츠의 방송시간 변경시 이미 설정된 알람시간이 무의미한 것으로 되는 문제점이 있다. Moreover, even if the alarm time is input and set once, even if the broadcast time of the content is changed due to a broadcaster or the like, the alarm setting time is already meaningless. For example, if the alarm time is set 5 minutes before the start of the broadcast of a specific content, but the broadcast time of the content is delayed by 1 hour due to the broadcaster's circumstances, the alarm signal has not been corrected unless the user knows it in advance and corrects the alarm setting time. It will occur 1 hour 5 minutes before the actual broadcast according to the set tim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sets the alarm in relation to the broadcast time of the content, inconvenient to input the key button manually, and the alarm time set when the broadcast time of the content is changed is meaningless.

따라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있어서 다수의 콘텐츠에 대하여 보다 간편하게 알람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나아가 콘텐츠의 방송시간 등이 변경된 경우, 이를 반영하여 알람설정을 한 사용자에게 정확한 방송시간 정보를 알려 줄 수 있는 알람서비스 제공방법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i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 alarm time can be easily set for a plurality of contents, and when the broadcasting time of the contents is changed, the alarm can be notified to the user who set the alarm time by reflecting the correct broadcasting time information. There is a request for a service providing metho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DMB 사용자가 콘텐츠의 방송시간에 맞추어 알람설정을 하는 경우, 알람시간을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도 다수의 콘텐츠에 대하여 간편하게 알람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알람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larm service system that can easily set an alarm time for a plurality of contents when the DMB user sets the alarm in accordance with the broadcast time of the content without having to input the alarm time one by o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알람 설정된 콘텐츠의 방송시간이 변경된 경우에도 변경된 시간에 맞추어 사용자에게 알람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알람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larm service system that can send an alarm signal to a user according to the changed time even when the broadcasting time of the alarm set content is chang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알람서비스 시스템은,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알람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접속부; 상기 알람설정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알람설정 정보를 검색하여 알람발신 시간이 되면, 사용자의 DMB 단말기로 알람 신호를 송출하도록 발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알람 신호를 송출하는 발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larm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network connection unit for receiving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of the user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A database for storing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A controller for searching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controlling a transmitter to transmit an alarm signal to a user's DMB terminal when an alarm call time arrives;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by the controller.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람서비스 시스템(200)의 운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는, 알람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알람설정 단말기(100)와, 알람설정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설정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알람 수신기로 알람신호를 전송하 는 본 발명의 알람서비스 시스템(200)이 도시되어 있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alarm service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shows an alarm setting terminal 100 for setting alarm information and an alarm service system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to an alarm receiver of a user according to sett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alarm setting terminal. It is.

알람설정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알람 설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용 단말기로서, 인터넷 접속 기능을 구비한 DMB 단말기(110) 또는 개인용 컴퓨터(120)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인터넷 접속 기능을 구비한 일반 이동통신 단말기 역시 알람설정 단말기(100)로 될 수 있다. The alarm setting terminal 100 is an input terminal for a user to input alarm setting information. The alarm setting terminal 100 may correspond to a DMB terminal 110 or a personal computer 120 having an internet access function.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ternet access function may also be an alarm setting terminal 100.

알람설정 단말기(100)와 알람서비스 시스템(200)과는 인터넷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10)는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처럼, 알람설정 단말기(100)는 인터넷 네트워크(10)를 통해 상기 알람서비스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The alarm setting terminal 100 and the alarm service system 200 may be connected through an internet network 10, and the internet network 10 may be wired or wireless. As such, the alarm setting terminal 100 may access a web page provided by the alarm service system 20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10.

한편, 알람서비스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유선 인터넷 네트워크로 접속하는 경우, HTML과 같은 마크업랭귀지로 작성된 웹페이지가 제공되도록 하고,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로 접속하는 경우, WML, HDML, mHTML 등과 같은 마크업랭귀지로 작성된 웹페이지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larm service system 200, when the user is connected to a wired Internet network, such that a web page written in a markup language such as HTML is provided, and when connected to a wireless Internet network, such as WML, HDML, mHTML, etc. Web pages written in markup language can be provided.

사용자가, 장차 방송될 DMB 콘텐츠 중에서 방송 시작 전에 알람 신호를 받기를 원하는 콘텐츠 및 알람수신 시간을 설정하면, 알람서비스 시스템(200)은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알람 수신기(300)로 알람신호를 발신한다. When the user sets a content and an alarm reception time that the user wants to receive an alarm signal from before the start of broadcasting, the alarm service system 200 sends an alarm signal to the user's alarm receiver 300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Send.

이러한 본 발명의 알람서비스 시스템(200)의 기능을, 도 2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알람서비스 시스템(200)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람서비스 시스템(200)은, 네트워크 접속부(210), 데이터베이스(220), 제어부(230) 및 발신부(240)를 포함한다. The function of the alarm service system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larm service system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the alarm service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twork connection unit 210, a database 220, a control unit 230, and a transmitter 240.

네트워크 접속부(210)는 인터넷 네트워크(10)에 접속하여, 알람설정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되는 알람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경로 역할을 한다. The network connection unit 210 connects to the Internet network 10 and serves as a reception path for receiving alarm sett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alarm setting terminal 100.

사용자가 알람설정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210)를 통해 알람서비스 시스템(200)이 제공하는 웹싸이트에 접속하여 전자프로그램가이드(EPG) 정보를 기초로 원하는 콘텐츠에 대하여 알람을 설정한다. 상기 EPG 정보는, EPG 편성국에서 제작한 것을 제공받아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였다가, 알람서비스 시스템(200)이 제공하는 웹싸이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A user accesses a web site provided by the alarm service system 200 through the network connection unit 210 to set an alarm and sets an alarm for desired content based o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information. The EPG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EPG organization, stored in a database, and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website provided by the alarm service system 200.

이와 같이 EPG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EPG 정보를 확인하면서 알람신호를 수신하기를 원하는 콘텐츠 및 알람신호의 희망 수신시간을 설정한다. 이러한 정보 외에도, 사용자는 알람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알람수신기(300)의 전화번호를 설정한다. 알람수신기(300)의 전화번호로는, DMB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설정하거나, 또는 다른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The user, who has received the EPG information, sets the desired reception time of the alarm signal and the content that the user wants to receive the alarm signal while checking the EPG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is information, the user sets the phone number of the alarm receiver 300 for receiving the alarm signal. A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alarm receiver 300, a telephone number of the DMB terminal may be set, or a telephone number of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set.

데이터베이스(220)는 상기 알람설정 정보를 및 다른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필요한 정보라 함은, 사용자의 등록정보, 사용자의 DMB 단말기의 고유번호, EPG 정보 등과 같이 본 발명의 알람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220)는 상기 알람설정 정보를 사용자별, 콘텐츠별, 시간별로 각각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database 220 is a device for storing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and other necessary information. The information necessary herein means all information necessary to provide the alarm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user registration information, a unique number of the user's DMB terminal, EPG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database 220 may classify and store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by user, content, and time.

제어부(23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알람설정 정보에 따라, 알람발신 시간이 되면, 사용자의 알람 수신기(300)로 알람 신호를 송출하도록 발신부(240)를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에 다수의 사용자가 설정한 동 일한 알람 발신시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30)는 해당 시간이 되면 발신부(240)를 제어하여 각 사용자들에게 알람 신호를 전송한다. The controller 230 controls the transmitter 240 to transmit an alarm signal to the alarm receiver 300 of the user when the alarm call time arrives according to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220. For example, when the same alarm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set by a plurality of users is stored in the database 220, the controller 230 controls the transmitter 240 to provide an alarm signal to each user when the corresponding time is reached. send.

발신부(24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알람 수신기(300)에 알람신호를 전송한다. 알람신호로는, SMS(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ARS 자동전화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발신부(240)에서 송출하는 알람신호는, SMS 전송 네트워크(20)를 통해 사용자의 알람수신기(300)에 SMS 문자로 전송되거나, ARS 네트워크(30)를 통해 사용자의 알람수신기(300)에 ARS 안내전화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transmitter 240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the alarm receiver 300 of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s an alarm signal, SMS (short message service) or ARS automatic telephone can be used. That is, the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40 is transmitted as an SMS text to the user's alarm receiver 300 through the SMS transmission network 20 or the user's alarm receiver 300 through the ARS network 30.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RS helpline.

여기서, 알람수신기(300)는 통신기능을 구비한 DMB 단말기 또는 일반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알람설정을 한 DMB 단말기(110)가 알람수신기(300)로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Here, the alarm receiver 300 may correspond to a DMB terminal or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Of course, it is obvious that the DMB terminal 110 configured as the alarm may be the alarm receiver 300.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람서비스 시스템(200)에 의한 알람설정 과정을 살펴본다. 도 3은 사용자가 알람설정을 할 수 있도록 알람설정 단말기 화면에 프로그램 편성표를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할 경우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이다.Referring to Figure 3, it looks at the alarm setting process by the alarm service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program schedule on an alarm setting terminal screen so that a user can set an alarm, which is an example of a screen provided when a user uses a personal computer.

도 3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에게 회원가입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회원 가입시에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설정케 하고, 알람을 수신하고자 하는 수신기의 전화번호와 수신방법(SMS, ARS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기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를 제공하여 회원가입한 사용자는, 이후 웹페이지에 접속 시 회원인증을 거친 후에, 도 3과 같은 알람선택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ure 3, when the user wants to access the web page providing the alarm service to use the service, the service system may request the user to register. At the time of membership registration, an ID and a password may be set, and information including a telephone number and a reception method (SMS, ARS, etc.) of a receiver to receive an alarm may be entered. The user who has registered as a member by providing such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to move to an alarm selection screen as shown in FIG.

따라서 회원인증을 거친 사용자는, 알람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의 전화번호나 수신형태(SMS, ARS 등)를 알람설정을 할 때마다 반복하여 기재할 필요가 없다. 물론 미리 설정해 놓은 것과 다른 연락처로 수신하기를 희망하는 경우에는 해당 수신기의 전화번호나 희망 수신형태에 대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who has been authenticated does not need to repeatedly record the telephone number or reception type (SMS, ARS, etc.) of the receiver for receiving the alarm signal every time the alarm is set. Of course, if you want to receive to a different contact than the pre-set can be configured to change the information about the telephone number or the desired reception type of the receiver.

알람 예약설정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알람서비스 시스템의 웹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는 회원인증을 거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편성정보가 포함된 알람선택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알람선택화면은, 여러 방송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다양한 채널의 콘텐츠 편성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alarm reservation setup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fter accessing the web page of the alarm service system, the user may move to an alarm selection screen including content organization information as shown in FIG. 3 after membership authentication. The alarm selection screen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content programming information of various channels provided by various broadcasting companies.

도 3의 알람선택화면에서는, 화면의 상단에 채널1, 채널2, 채널3...과 같은 방식으로 채널 선택란을 두어,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방송채널을 선택하면 해당 채널에서 방영될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채널1이 선택되어 있다. In the alarm selection screen of FIG. 3, a channel selection box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screen in the same manner as channels 1, 2, 3, and so on.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broadcasting channel, the content to be broadcasted on the channel is displayed. It is configured to be. In the embodiment of Fig. 3, channel 1 is selected.

사용자는 이와 같이 채널을 선택한 후, 각 콘텐츠의 명칭과 방송시간 등을 확인하면서 알람신호를 수신하기를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콘텐츠의 선택은, 콘텐츠 명칭의 좌측에 선택표시란을 두었는데, 사용자가 마우스 등을 통해 해당 선택표시란에 선택 표시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After the user selects a channel in this way, the user selects the content that the user wants to receive an alarm signal while checking the name and broadcast time of each content.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selection of the content is provided with a selection display column on the left side of the content name, but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display the selection display on the selection display column using a mouse or the like.

이와 같이 사용자가 알람신호를 수신하기를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한 후에는, 선택한 콘텐츠에 대한 알람희망시간을 선택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각 콘텐츠마다 각각 '1분전', '3분전', '5분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선택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희망시각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this way, after the user selects content that the user wants to receive an alarm signal, an alarm desired time for the selected content is selected.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3, each content is selected so that an alarm sounds at '1 minute ago', '3 minutes ago' and '5 minutes ago', or the user can directly set a desired time.

사용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채널의 콘텐츠에 대해서도 알람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람정보는, 알람서비스 시스템(200)의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다. In this way, the user can set alarm information for the contents of other channels. The alarm information set by the user is stored in the database 220 of the alarm service system 200.

이와 같이, 알람신호의 수신을 희망하는 콘텐츠 및 그 알람수신 희망시간을 선택한 사용자는, 예컨대, 화면상의 설정완료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클릭함으로써 알람설정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알람정보에 따라, 제어부(23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수신기의 전화번호로 알람신호를 전송한다. 다만 사용자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외의 다른 전화번호를 알람 수신번호로서 입력한 경우, 제어부(230)는 새로 입력된 전화번호로 알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user who has selected the content for which the alarm signal is to be received and the desired time for receiving the alarm can end the alarm setting by, for example, clicking the setting completion button (not shown)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alarm information set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230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a phone number of a receiver which is stored in advance. However, when the user inputs a phone number other than the pre-stored phone number as the alarm reception number, the controller 230 may transmit an alarm signal to the newly input phone number.

한편, 사용자는 알람설정 단말기(100)로서, 인터넷 접속기능을 구비한 DMB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알람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DMB 단말기(110)에서 알람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기본적인 설정방식은, 상기 도 3의 웹 페이지에서 설정한 방식과 동일하다. Meanwhile, the user may set the alarm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using the DMB terminal 110 having the Internet access function as the alarm setting terminal 100. An embodimen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larm information in the DMB terminal 110 is illustrated in FIG. 4. The basic setting method is the same as the method set in the web page of FIG.

사용자는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동작 모드를 DMB 방송의 알람설정 모드로 전환한다. 알람설정 모드로 전환할 경우 인터넷 네트워크(10)를 통해 알람서비스 시스템(200)에 접속하게 되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방송 채널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방 송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채널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들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화면에 표시된다. 그러고 나서, 사용자가 알람신호를 수신하기를 희망하는 콘텐츠를 선택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알람희망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The user first switches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o the alarm setting mode of the DMB broadcast. When switching to the alarm setting mode is connected to the alarm service system 20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10, as shown in Figure 4a, it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a broadcast channel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broadcast channels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4B, contents provided by the selected channel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n, when the user selects the content that the user wants to receive the alarm signal, as shown in FIG. 4C, the screen is switched to a screen for inputting an alarm desired time for the selected content.

사용자는, 도 4c의 입력 화면을 통해 알람 희망시간을 입력한 후, 다시 다른 콘텐츠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알람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알람정보는, 알람서비스 시스템(200)의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다. After the user inputs an alarm desired time through the input screen of FIG. 4C, the user may set alarm information in the same manner with respect to other contents. The alarm information set as described above is stored in the database 220 of the alarm service system 200.

또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알람수신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추가로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d, it can be configured to further provide a screen for the user to select the alarm receiving method.

알람서비스 시스템의 제어부(230)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알람설정 정보에 따라, 발신부(240)를 통해 사용자의 알람 수신기(300)로 알람신호를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는 알람설정 정보, 또는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추출되는 알람설정 정보는, 사용자별, 시간별, 콘텐츠 별로 다양하게 분류하여 저장하거나 추출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230 of the alarm service system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the user's alarm receiver 300 through the transmitter 240 according to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220.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220 or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database 220 may be classified or stored in various ways for each user, time, and content.

도 5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는 알람설정 정보를 콘텐츠 별로 분류시켜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채널의 콘텐츠마다 방송시간 정보 및 알람신호를 수신할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분류되어 있다. 도 5의 표시된 내용을 살펴보면, '채널 1'의 '달콤한 인생'이라는 콘텐츠의 방송시작 5분전(즉, 5시 55분)에는 사용자 a, b, 및 c 에게 알람신호를 전송하고, 방송시작 3분전(즉, 5시 57 분)에는 사용자 d, e 및 f 에게 알람신호를 전송하며, 방송시작 1분전(즉, 5시 59분)에는 사용자 g, h, 및 i 에게 각각 알람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채널의 콘텐츠에 대해서도,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각 사용자들의 알람 수신기(300)에 알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FIG. 5 shows alarm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220 classified by contents. As shown in the figure, broadcasting tim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a user who receives an alarm signal are classified for each channel content. Referring to the displayed contents of FIG. 5, an alarm signal is transmitted to users a, b, and c five minutes before the broadcast start of the content called 'sweet life' of channel 1 (ie, 5:55), and the broadcast start 3 The alarm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s d, e and f at minutes before the broadcast (i.e. 5:57), and the alarm signal is sent to the users g, h and i at 1 minute before the broadcast (i.e. 5:59). It can be seen that it is configured. For the contents of other channels, an alarm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alarm receiver 300 of each user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도 6은 데이터베이스(220)에 알람설정 정보가 저장된 형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는 알람발신시간 정보가, '5분전, 3분전, 1분전'과 같이 표현된 것에 비해, 도 6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시각별로 표현되어 있다. 해당 시간이 도래하면 제어부(230)는 알람설정을 한 사용자에게 알람신호를 전송한다. 예컨대, 도 6에서, 채널 1의 콘텐츠 ‘달콤한 인생’과 관련하여, '7시 50분'이 되면 알람을 설정한 사용자 a', b', c' 에게 각각 알람신호를 발신한다. 6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form in which alarm sett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220. In FIG. 5, the alarm call time information is expressed as '5 minutes ago, 3 minutes ago, 1 minute ago', and in FIG. 6, each time directly input by the user is represented. When the corresponding time arrives, the controller 230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a user who has set an alarm. For example, in FIG. 6, in relation to the content 'sweet life' of the channel 1, when the signal is' 7:50 ', an alarm signal is sent to the users a', b ', and c' who set the alarm.

상기 알람신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문메시지(SMS), 자동안내전화(ARS call push)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단문메시지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예컨대, "OO(콘텐츠) 시작 1분전 입니다." 라는 메시지를 알람 설정을 한 사용자의 알람 수신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자동전화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음성으로 녹음하였다가 설정 시간에 맞추어 사용자의 알람 수신기(300)로 호 접속을 하여 안내를 하면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alarm signal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SMS or an ARS call push. If you provide it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for example, "one minute before the start of the content."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alarm receiver 300 of the user who has set the alarm. Even when using an automatic telephone, the above guide message may be recorded by voice, and then the call connection may be made to the user's alarm receiver 300 at the set time.

한편, 본 발명의 알람서비스 시스템(200)은, EPG 정보를 제공하는 EPG 편성국(400)에 접속하여 콘텐츠 방송시간이 변경될 때마다, 상기 변경된 시간만큼 알람신호 송출시간이 함께 변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콘텐츠의 방송시간이 변경된 경우, EPG 편성국(400)에서는 상기 변경된 정보를 알람서비스 시스템(200)에 제 공하고, 알람서비스 시스템 내의 제어부(23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어 있는 알람설정 시간을 상기 콘텐츠의 변경된 시간만큼 늦추거나 빠르게 함으로써 시간설정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Meanwhile, the alarm service system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alarm signal transmission time by the changed time whenever the content broadcast time is changed by accessing the EPG organization 400 that provides the EPG information. have. That is, when the broadcast time of the content is changed, the EPG programming station 400 provides the changed information to the alarm service system 200, and the controller 230 in the alarm service system stores the alarm stored in the database 220. The time setting information is updated by delaying or speeding the setting time by the changed time of the content.

이와 같이 시간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함에 따라, 알람서비스 시스템(200)은 보다 정확한 알람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실시예에서, 원래의 방송시간이 오후 8:00였던 A콘텐츠의 방송시간이 오후 8:30 으로 30분 늦춰진 경우, 이러한 변경정보를 EPG 편성국(400)으로부터 수신한 제어부(230)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어 있는 알람설정 정보를 상기 변경정보에 따라 업데이트 한다. 따라서 각 사용자에게 알람신호가 전송되는 시간도, 각각 30분 늦춰지게 된다. As the time setting information is updated in this way, the alarm service system 200 may provide a user with a more accurate alarm signal.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FIG. 5, when the broadcast time of the A content, which was originally broadcast at 8:00 pm, is delayed by 30 minutes to 8:30 pm, the controller 230 receives such change information from the EPG programming station 400. ) Updates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220 according to the change information. Therefore, the time that the alarm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user is also delayed by 30 minutes.

한편, 변경정보를 EPG 편성국(400)으로부터 수신한 때, 제어부(230)가 변경정보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보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실시예의 경우, "A콘텐츠의 방송시간이 오후 8:30 으로 늦춰졌습니다" 라는 안내메시지를 사용자의 알람 수신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hang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PG organization 400, the control unit 230 may be configured to send a message for guiding the change information to the us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 5, the announcement message "The broadcast time of A content has been delayed to 8:30 pm"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s alarm receiver 300.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bove descrip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the common knowledge of.

이상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람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DMB 사용자가 콘텐츠의 시간에 맞추어 알람설정을 하는 경우, 알람시간을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도 다수의 콘텐츠에 대하여 간편하게 알람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나아가 콘텐츠의 방송시간이 변경된 경우에도 사용자는 변경된 시간에 따른 알람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alarm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MB user sets the alarm in accordance with the time of the content, the alarm time can be easily set for a plurality of contents without inputting the alarm time one by one. Furthermore, even when the broadcast time of the content is changed,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n alarm signal according to the changed time.

Claims (6)

DMB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DMB 방송 시작 전에 알람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system for providing an alarm service before the start of DMB broadcasting to the user of the DMB terminal,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알람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접속부; A network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an internet network to receive alarm setting information of a user; 상기 알람설정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A database for storing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알람설정 정보를 검색하여 알람발신 시간이 되면, 사용자의 DMB 단말기로 알람 신호를 송출하도록 발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A controller for searching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controlling a transmitter to transmit an alarm signal to a user's DMB terminal when an alarm call time arrives; And 상기 제어부에 의해 알람 신호를 송출하는 발신부를 포함하되, Includes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by the control unit,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알람 설정을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전자프로그램가이드(EPG)에 포함된 각 콘텐츠 프로그램에 대하여 알람 설정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알람 설정을 선택한 경우 선택된 콘텐츠 프로그램에 대한 둘 이상의 알람 발신시간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의 알람서비스 시스템.When the user sets an alarm, the system provides the user with a function to select whether or not to set an alarm for each content program included in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and when the user selects an alarm setting, the system is selected. Alarm service system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function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ny one of the two or more alarm transmission time for the content progra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알람 신호는, 단문메시지(SMS) 또는 자동안내전화(ARS)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의 알람서비스 시스템.The alarm signal is an alarm service system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the user by a short message (SMS) or an automatic guide telephone (A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서비스 시스템은,According to claim 1, The alarm service system,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편성국으로부터 콘텐츠 방송시간의 변경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의 알람서비스 시스템.Alarm service system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ceive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content broadcast time from the EPG programming statio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편성국으로부터 콘텐츠 방송시간의 변경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변경된 방송시간에 맞추어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수신 시간을 함께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의 알람서비스 시스템.When receiving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content broadcasting time from the electronic program guide station,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alarm receiving time set by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broadcasting time, the alarm service system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편성국으로부터 콘텐츠 방송시간의 변경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변경정보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알람수신기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의 알람서비스 시스템.When receiving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content broadcast time from the electronic program guide organization, the control unit, the alarm service i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haracterized in that to send a guide message for the received change information to the alarm receiver of the user system.
KR1020050030552A 2005-04-13 2005-04-13 System for Alarm Service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KR1007533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552A KR100753342B1 (en) 2005-04-13 2005-04-13 System for Alarm Service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552A KR100753342B1 (en) 2005-04-13 2005-04-13 System for Alarm Service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369A KR20060108369A (en) 2006-10-18
KR100753342B1 true KR100753342B1 (en) 2007-08-30

Family

ID=37628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552A KR100753342B1 (en) 2005-04-13 2005-04-13 System for Alarm Service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34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497A (en) * 2002-09-09 2004-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the method of wireless schedule management
KR20040072145A (en) * 2003-02-10 200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PVR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the reserved record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497A (en) * 2002-09-09 2004-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the method of wireless schedule management
KR20040072145A (en) * 2003-02-10 200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PVR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the reserved record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369A (en)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22042B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hared folder via television
JP4344185B2 (en) Client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ub-client terminal device, computer-executabl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07270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which relates in broadcasting
US20070141980A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using the same
US20070214475A1 (en) Viewing/listening restri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
CN101379821A (en) Efficient streamed content delivery to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JP4991678B2 (en) Terminal device, computer-executabl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0692978B1 (en) Broadcast receiver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JP2002199316A (en) Remote program reservation system
KR100753342B1 (en) System for Alarm Service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KR1019821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bject for auxiliary service associated with broadcast service in Broadcast receiver
KR100994827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n insert title and broadcast receiver thereof
KR1009246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nnel information
KR100731666B1 (en) A system of provid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ontents using cell broadcasting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KR20060023365A (en) The method of delivering a information for interworking wireless internet service in broadcasting service
KR1016950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ty service
JP4145134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19744B1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 related to a broadcasting program on the air for a mobile phone with a broadcast receiver
KR101528484B1 (en) Broadcasting Terminal,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Broadcast Connection Information
JP4654652B2 (en) Communications system
KR100416255B1 (en) Televsion having short message sevice function
KR100732528B1 (en) Broadcast information service method
KR100679399B1 (en) Method for surveying viewing rate using data broadcasting
JP4913948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JP5546520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