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841B1 - 방송 수신기의 선호채널 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기의 선호채널 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841B1
KR100752841B1 KR1020050085171A KR20050085171A KR100752841B1 KR 100752841 B1 KR100752841 B1 KR 100752841B1 KR 1020050085171 A KR1020050085171 A KR 1020050085171A KR 20050085171 A KR20050085171 A KR 20050085171A KR 100752841 B1 KR100752841 B1 KR 100752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preferred
information
preference
preferred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0478A (ko
Inventor
이민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5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841B1/ko
Publication of KR20070030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4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the reformatt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only on part of the stream, e.g. a region of the image or a time se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특히 영상 정보를 이용한 선호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선호채널 관리방법은, 선호 채널 등록/제거/조회/갱신 메시지의 수신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선호 채널 등록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현재 채널의 방송국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한 후 기 등록된 선호채널 정보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 등록된 선호채널 정보가 존재하면 사용자에게 갱신 여부를 통지하고, 기 등록된 상태가 아니면 채널정보 및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선호채널 정보를 구성하여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송 수신기, 선호 채널, 관리, 등록

Description

방송 수신기의 선호채널 관리장치 및 방법{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reference channel of broadcasting receiver}
도 1은 종래 선호채널 등록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2는 종래 선호채널 조회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선호채널 관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수신부 및 영상 처리부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도 3의 데이터 처리부 및 저장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6은 도 3의 선호채널 표시부의 상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호채널 관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8은 도 7에서 선호채널 등록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9는 도 7에서 선호채널 제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10은 도 7에서 선호 채널 조회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11은 도 7에서 선호채널 갱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호채널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호채널 데이터 필드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호채널 화면 구성 예.
도 16은 도 14에 구성을 이용한 선호채널 표시 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입력부 120...수신부
130..선호채널관리시스템 131...메시지 처리부
132...영상 처리부 132a...비트스트림 버퍼
132b...스케일러 132c...포맷 변환기 및 디코더
132d...제 1A/V스위치 133...선호채널관리부
134...데이터 처리부 135...선호채널표시부
140...저장장치 150...디스플레이 유닛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특히 영상 정보를 이용한 선호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지털 방송이 가속화되면서 위성/지상파/케이블을 통한 고화질/고음질 방송이 시작되고 있다. 기존의 아날로그 티브이에 비해 디지털 방송은 고화질, 고음질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방송의 장점이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은 비디오/오디오 압축방법(MPEG-2, AC-3)을 이용하여 고화질/고음질의 A/V를 압축하여 기존의 위성/지상/케이블 밴드를 통해 QPSK/VSB/QAM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한 채널에 다 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지상파 같은 경우는 기존의 한 채널에 SD 급은 4채널 이상, HD급은 1채널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와 더불어 디지털 티브이에서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부가정보를 A/V 데이터와 같이 전송하는데,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늘어난 채널에 대한 방송안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공중파 채널만을 수신할 수 있었던 과거와는 달리 케이블 또는 위성방송을 통한 다양한 방송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현시점에서 적게는 50여 개, 많게는 100여 개 이상의 채널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관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오디오/비디오 압축 기술 및 전송의 압축 기술의 신장으로 기존의 아날로그 보다 많은 채널을 방송할 수 있게 되었으며 사용자는 늘어난 채널 중에서 자기가 보고싶은 채널을 찾는데 상당한 시간을 소비해야만 한다. 그래서, 일반적인 디지털 티브이에는 선호채널이라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선호채널은 등록, 제거, 조회의 기본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등록 기능은 선택된 채널의 물리적 주파수 정보를 포함한 채널 관련 정보를 선호 채널 정보 구조에 맞춰 해당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기능이다. 상기 제거 기능은 등록 기능의 반대 기능으로서 선호채널 리스트에서 해당 선호채널 정보를 제거한다. 상기 조회기능은 기 등록된 선호채널 중 시청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선호채널에 쉽게 접근하여 상기 선호채널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선호채널 등록, 제거, 조회 방식은 각 티브이 제조회사마다 또는 특정 시스템마다 상이한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선호 채널 등록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로그램 시청 상태에서(S11), 사용자로부터 리모콘의 메뉴 키가 입력되면 메뉴 창이 표시된다(S12). 상기 표시된 메뉴 내에 구비된 채널편집 항목을 선택하게 되면(S13), 선호 채널로 등록 가능한 모든 채널번호를 2차원 배열로 화면에 표시해 준다(S14). 이런 상태에서, 리모콘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선호 채널로 등록하려는 채널을 일괄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S15), 선호 채널 키를 누름으로써 선호 채널로 등록이 완료된다(S16,S17).
또한 등록된 선호채널에 대한 판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방송국 로고 그림을 시청자가 직접 로그 리스트에서 찾아 등록된 선호채널의 한 특성으로 등록시킬 경우 해당 방송국 로고 그림을 찾아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선호채널 등록 예를 보면, 방송국 이름, 방송형태(디지털, 아날로그)와 주파수 정보를 조합하여 특정 문자열을 만들어 선호채널에 대한 대표명(디지털 채널: KBS D9-1, 아날로그 채널 : KBS A9-0)을 만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선호채널에 방송국 로고 그림을 첨부시켜 시청자로 하여금 직감적으로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등록된 선호채널 조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는 선호채널 조회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프로그램 시청 상태에서(S21), 선호채널 키를 선택하면 화면 일측으로 모든 선호채널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해 주게 된다(S22). 이때, 사용자가 방향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선호채널을 탐색하여 특정 선호채널을 선택하게 된다 (S23,S24). 이에 따라 선택된 선호채널을 시청하게 된다(S25).
이와 같이, 선호채널의 등록은 선호채널 편집 메뉴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메뉴 방식으로 선호채널을 접근할 경우 적어도 2-3단계를 거친 후에 선호 채널의 등록이 이루어지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그리고, 선호채널을 조회할 경우 등록된 모든 선호채널들을 1차원 또는 2차원으로 나열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등록된 선호채널의 수가 화면에 모두 표시될 수 없을 정도로 많을 때 나열하는데 문제가 발생된다. 즉, 전체 선호채널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표시할 수밖에 없는 데 선호채널이 많아질수록 특정 선호채널을 찾기 위한 버튼의 누름 횟수가 크게 증가하게 되며, 이것은 시청자로 하여금 사용상의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선호채널 위치로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어, 특정 프로그램에 시청자의 선호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없다. 즉, 선호채널에서 어떤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방법이 없어, 다시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해 확인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선호채널 등록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선호 채널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선호채널 등록을 위해 일정 시간의 티브이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선호채널과 함께 영상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한 선호채널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선호 채널 내에서 특정 요일 및 시간에 방영되는 프로그램을 선호 프로그램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한 선호채널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선호 채널 관리장치는,
선호 채널의 등록, 갱신, 조회, 제거를 위한 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입력되는 선호 채널의 등록, 갱신, 조회, 제거를 위한 키 신호를 수신하는 메시지 처리부;
선호채널 등록 신호에 의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또는/및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영상신호를 샘플링하여 선호채널에 필요한 크기 및 포맷으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부;
선호채널 등록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해당 채널의 등록을 제어하고, 상기 등록된 선호채널 정보의 갱신, 조회, 제거 신호에 따라 선호 채널을 관리하는 선호채널 관리부;
상기 선호채널 정보를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조회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선호채널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선호채널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부에는 선호 채널의 등록을 위한 핫 키를 더 포함하며, 핫 키의 선택에 의해 선호채널 및 그 채널의 현재 프로그램 정보를 선호채널 정보로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호채널 정보는 선호 채널과 그 채널의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포함한 영상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 처리부는 선호 채널에 필요한 동영상 크기로 보정하는 스케일러와, 수신되는 비트 스트림의 복호화에 필요한 데이터 저장을 차단하기 위해 시퀀스 헤더 코드를 찾는 비트 스트림 필터와, 선호채널에 사용될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의 입력패스를 설정하기 위한 A/V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호채널 표시부는 하나 이상의 선호채널 배열 형태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배열 형태에 따라 선호채널 정보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호채널 표시부는 동일한 영상 크기 또는 서로 다른 영상 크기를 갖는 선호채널을 2차원 배열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호채널 표시부는 일정개의 프로그램 목록을 갖는 함께 선호채널 또는 현재 시청하고 있는 영상을 중심으로 주변에 선호채널들이 배열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선호채널 관리방법은,
선호 채널 등록/제거/조회/갱신 메시지의 수신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선호 채널 등록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현재 채널의 방송국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한 후 기 등록된 선호채널 정보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 등록된 선호채널 정보가 존재하면 사용자에게 갱신 여부를 통지하고, 기 등록된 상태가 아니면 채널정보 및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선호채널 정보를 구성하여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확인결과, 선호채널 제거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선호채널 리스트를 검색한 후 해당 선호채널이 있을 경우 그 선호채널의 정보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확인결과, 선호채널 조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등록된 모든 선호채널과 그 채널의 프로그램 영상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 이후, 입력되는 방향 키 또는 페이지 변환키에 응답하여 해당 방향으로 포커스 또는 페이지를 이동시키고, 입력되는 선택키에 응답하여 선택된 선호채널로 시청채널을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호채널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현재의 요일 및 시간과 선호채널 정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요일 및 시간 값을 비교하여, 가장 근사 값을 갖는 선호채널들을 추출한 후 첫 번째 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호채널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주파수 순서 또는 방송형태(케이블, 지상파, 디지털, 아날로그)를 구분하여 각 페이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호채널 갱신은 주기적으로 또는 외부 이벤트 발생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호채널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선호채널의 등록, 조회, 갱신, 제거 등의 각 종 입력을 위한 입력부(110)와,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TV 수신부(120)와,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에서 영상신호를 선호채널 정보에 필요한 포맷으로 처리하고 선호채널 정보의 저장 및 표시 등의 관리를 위한 선호채널 관리시스템(130)과, 상기 선호채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140)와, 상기 선호채널 정보를 TV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15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선호채널 관리 시스템(130)은 상기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선호채널 정보의 등록/제거/조회/갱신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메시지 처리부(131)와, 상기 수신 방송신호에서 영상신호를 선호채널 정보에 맞는 포맷으로 변환하는 영상처리부(132)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선호채널 정보의 저장 및 표시를 관리하기 위한 선호채널 관리부(133)와, 상기 선호채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134)와, 상기 선호채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선호채널 표시부(135)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선호 채널 관리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입력부(110)는 원격 제어부 및 제어패널을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종 키 신호를 기기 본체(예: TV 본체)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입력부(110)에는 선호 채널의 등록, 조회, 제거, 갱신을 위한 핫 키(HOT KEY)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선호 채널 등록을 위한 핫 키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수신부(120)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 신호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디지털 비트 스트림 신호를 수신하고 복호화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아날로그 방송신호와 디지털 방송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또 디지털 방송 신호의 경우 2개의 디지털 방송 채널을 동시에 복호화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선호채널 관리 시스템(130)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선호 채널 정보에 대해 등록, 제거, 조회, 갱신 등을 관리하고 선호 채널 정보에 관련된 메시지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선호채널 관리시스템(130)은 메시지 처리부(131), 영상 처리부(132), 선호채널 관리부(133), 데이터 처리부(134), 선호채널 표시부(135)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131)는 입력부(131)로부터 입력되는 각 종 키 신호를 메시지로 처리하여 선호채널 관리부(133)에 전달하게 된다. 특히 선호채널의 등록, 제거, 조회, 갱신 등의 키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부(110)로부터 핫 키에 의해 선호채널 등록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시청 채널에 대한 선호 채널 등록 메시지를 선호채널 관리부(133)에 전달하게 된다.
영상 처리부(132)는 상기 수신부(120)로부터 입력되는 프로그램의 동영상을 선호채널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에 맞게 변형시키기 위한 것으로, 선호채널 등록과 함께 갱신 과정에서 사용된다. 상기 선호채널 등록 명령이 전달되면 현재 채널의 HD/SD 영상을 샘플링하여 선호채널 정보에 필요한 크기 및 형식으로 변환하여 선호채널 관리부(133)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선호채널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는 정지영상과 동영상 비트 스트림, 하이퍼링크(Hyperlink)로서, 정지영상에는 비압축 포맷과 JPEG과 같은 압축 포맷을 포함하며, 동영상 비트 스트림으로는 방송으로부터 입력되는 방송으로부터 입력되는 MPEG2 비트 스트림을 그대로 저장하여 사용되거나 추가적은 A/V 디코더(예: MPEG 4, H.264 등)를 통한 데이터 형식 변환을 거치 비트 스트림이 사용된다.
그리고, 선호채널 관리부(133)는 선호채널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하게 된다. 데이터 처리부(134)는 선호채널 정보를 데이터 처리하여 저장장치(140)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선호채널 표시부(135)는 선호채널 관리부(133)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저장장치(140)에 저장된 선호채널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150)의 화면에 표시해 주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선호채널 관리 동작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비트 스트림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10)를 통해 현재 채널에 대한 선호채널 등록 명령을 수신하게 된다. 이때, 선호채널 관리시스템(130)은 선호 채널의 등록 관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선호채널 관리시스템(130)의 메시지 처리부(131)는 상기 선호채널 등록 명령을 수신하여 선호채널 관리부(133)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영상 처리부(132)는 선호채널 관리 명령에 의해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의 HD/SD 영상을 샘플링하여 필요한 크기 및 형식으로 변환하게 된다. 여기서, 시청하고 있는 영상은 영상 처리부(132) 내에서 일정 시간 동안 버퍼링되며, 그 버퍼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샘플링을 수행하고 선호채널 정보에 필요한 영상 크기 및 형식으로 변환된다.
선호채널 관리부(133)는 상기 선호 채널의 샘플링된 영상과 등록하고자 하는 현재 채널의 방송국 정보와 현재 시간 및 요일 정보를 얻게 되며, 이러한 선호채널과 관련된 정보(영상, 시간, 방송국 정보 등)를 데이터 처리부(134)에서 데이터 처리하여 저장장치(140)에 저장하게 된다. 이로써, 선호채널 정보의 등록이 완료된다. 여기서 디지털 방송에 선호채널과 관련된 서브채널이 존재할 경우 서브채널도 별도로 등록 시청하거나 함께 등록될 수도 있다.
이후, 선호 채널 조회를 요청할 경우 상기 저장된 선호채널 정보를 읽은 후 선호채널 표시부(135)를 통해 디스프레이 유닛(150)의 화면상에 표시해 주게 된다. 이때, 각각의 선호채널 정보에는 선호채널과 방송국 이름, 상기 선호채널과 관련된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이하 영상 정보라 함)이 함께 재생되거나 표시된다. 이러한 채널에 밀접한 영상 정보를 갖는 선호채널을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선호 채널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의 동영상 재생은 상기 선호채널 등록시 일정 시간(예: 10초) 동안 동영상 비트 스트림이 선호채널에 매칭되어 저장됨으로써, 선호채널 조회시 해당 선호채널 표시 창에 상기 저장된 동영상 비트 스트림이 재생 된다.
여기서, 선호채널 표시부(135)는 다수개의 선호채널 정보들을 이용하여 표시부 화면상에 선호채널 리스트들을 표시하게 되는데, 영상을 갖는 선호채널 정보들을 일정한 크기의 매트릭스 형태로 나열할 수도 있고, 또는 중앙에 선택된 선호채널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고 그 영상 표시 영역의 외측으로 선호채널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선호채널 표시부(135)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선호채널들의 배열 방식(또는 표시 샘플)들을 제공하고 있어, 선호채널 관리부(133)는 사용자에게 어느 하나의 배열 방식으로 선택하도록 제공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선호채널들의 배열 방식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호채널 관리부(133)는 선호채널들의 사용 빈도를 일정 시간(1주일 또는 1달) 주기로 체크한 후,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것부터 가장 낮은 순의 선호채널 정보의 표시 창 크기를 비례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선호채널 정보의 표시 창 크기의 최대 및 최소 크기를 미리 정의한 후,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가장 큰 크기를 갖게 표시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단계적으로 크기를 감소시켜 표시하면서, 가장 작은 빈도를 갖는 선호채널을 가장 작은 크기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가장 작은 빈도를 갖는 선호채널 정보가 일정 시간(예: 1개월)동안 지속되면 선호채널 정보에서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가 정의한 기간을 초과할 경우 삭제할 수도 있다. 그 선호채널 정보의 삭제시 사용자에게 통보 여부를 시스템에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선호채널 관리부(133)는 선호채널 정보에 해당되는 영상이 준비 또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프로그램 안내정보(EPG)를 이용하여 현재 시간부터 이후에 진행하게 되는 몇 개의 프로그램 목록(예; 3-4개)을 시간 순에 맞게 텍스트 형식으로 기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목록의 텍스트는 프로그램 안내 정보(EPG)로부터 검출한 후 해당 선호채널 정보에 각각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의 선호채널의 영상과 프로그램 목록은 옵션으로 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선호채널 관리부(133)는 주파수 순서로 표시할 수도 있고, TV 방송 형태(KBS, MBC 등) 등으로 구분하여 그룹단위 또는 페이지 단위로 표시해 줄 수도 있다.
그리고, 선호채널 관리부(133)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선호채널 갱신 주기가 되면 선호채널을 갱신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선호채널 갱신 요청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선호채널을 갱신할 수도 있다.
또한 선호채널 관리부(133)는 선호채널 정보에 대해 이전 또는 이후 일정 기간(예: 1주일) 내의 각 선호채널의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등록된 선호채널에서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의 방송될 프로그램을 검색, 조회할 수도 있다. 또한 동일 선호채널 내에서 다른 요일, 시간에 방영되는 프로그램을 선호 프로그램으로 등록하여 시청자에게 구체적인 선호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쉽게 빠른 채널 선택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부 및 영상 처리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신부(120)는 입력 소스인 지상파, 위성, 케이블, 네트워 크(100)를 통해 수신되는 비트 스트림을 복수개의 디지털 튜너(121,122) 또는 네트워크 소켓(123)으로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제 1A/V 스위치(124)에 의해 선택되어 출력되는 비트 스트림은 비트 스트림 버퍼(125)에 임시 저장된다. 상기 비트 스트림 버퍼(125)에 저장된 비트 스트림은 영상 처리부(132)의 비트스트림 필터(132a) 및 디코더(예: MPEG2)(126)로 출력되며, 디코더(126)는 비트 스트림을 재생시켜 주기 위해 디코딩하며, 디코딩된 데이터는 프레임 버퍼(129)에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120)는 아날로그 TV 수신부(127)도 포함하여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ADC(128)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프레임 버퍼(129)로 출력하게 된다. 프레임 버퍼(129)는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영상 처리부(132)의 스케일러(132b)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영상 처리부(132)는 비트 스트림 필터(132a), 스케일러(132b), 포맷 변환 및 인코더(132c), 제2AV 스위치(132d)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비트 스트림 필터(132a)는 상기 비트 스트림 버퍼(125)로부터 입력되는 비트 스트림의 시퀀스 헤더부터 저장되도록 필터링을 수행하게 된다.
즉, 비트 스트림 필터(132a)는 MPEG2 비트 스트림의 복호화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비트 스트림의 시퀀스 헤더부터 저장될 수 있도록 시퀀스 시작 코드를 찾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시퀀스 시작 코드 이후부터 다음 단으로 비트 스트림을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스케일러(scaler)(132b)는 동영상 크기와 선호채널에서 사용하려고 하는 영상의 크기간에 차이가 발생될 때 이를 보정해 주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하드웨 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포맷 변환 및 인코더(132c)는 영상 포맷(압축 또는 비 압축 포맷)을 선호채널 정보의 표시 창에 맞게 변환을 수행하고, 인코딩을 수행하게 된다. 즉, 포맷 변환과 함께 추가적인 인코더(MPEG4,H.264 등)를 이용하여 데이터 형식 변환을 거친 비트 스트림이 사용된다.
제 2AV스위치(132d)는 선호채널 관리부(133)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정지영상, 동영상)에 맞게 비트 스트림 필터(132a)의 출력단 또는 포맷 변환 및 인코더(132c)의 출력단으로 입력신호 패스를 설정해 준다. 제 2AV 스위치(132d)는 상기 선호채널 정보에 맞게 변환된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선호채널 관리부(133)로 출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 및 저장 장치를 나타낸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134)는 선호채널 관리부(134)에 의해 제어를 받아 데이터를 처리하게 되는데, 데이터 버퍼(134a) 및 데이터 입출력 관리자(data IO mansger)(134b)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버퍼(134a)는 선호채널 관리부(133)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데이터 입출력 관리자(134b)는 선호채널 정보를 저장장치(130)로 입/출력 관리하게 된다.
상기 저장장치(140)는 네트워크(141), 메모리 카드(142), 플레쉬 롬(143), HDD(144), EEPROM(145) 등의 로컬 메모리를 포함하여, 선호채널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또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저장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호채널 표시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선호채널 표시부(135)는 선호채널 조회 요청 메시지가 입력되면 선호채널관리부(133)의 제어를 받아 TV 화면에 이미 등록된 모든 선호채널을 도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선호채널 표시부(135)는 데이터 파서(data parser)(135a), 디스플레이 관리부(Display manager)(135b)를 포함하며, 데이터 파서(135a)는 선호채널 관리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선호채널 정보를 파싱하여 비트맵 데이터(bitmap data), 그래픽 데이터(graphic data), 텍스트(text) 데이터로 나누어 출력하게 되며, 디스플레이 관리부(135b)는 선호채널 정보의 위치와 색, 그리고 표시되는 형태를 결정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50)으로 출력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유닛(150)은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부(135b)에 의해 선호채널 정보를 오버레이 레이어 또는 비트맵 레이어의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선호채널 표시부(135)에 의해 TV 화면에 선호채널이 표시되는 형태는 예컨대, 도 15와 같이 16개의 동일한 영상 크기를 갖는 선호채널 영역(161)이 2차원 배열 형태로 나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현 예는 도 16과 같다. 이러한 선호채널 조회 상태가 되면 상기 선호채널과 함께 일정 시간 동안의 동영상(또는 정지영상)이 재생(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채널에 대해 직감적으로 조회할 수 있고, 방영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3과 같이 중앙에 현재 시청하고 있는 TV 영상 영역(162)을 표시하고 그 TV 영상 영역을 중심으로 주변에 12개의 선호채널 영역(161)을 나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선호채널 정보들이 표시되면 선호채널 검색, 제거 등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선호채널 관리부(133)는 선호채널과 관련하여 모든 관리와 조절을 수행하며, 입력부(110)를 통해 시청자로부터 선호채널 명령(등록, 제거, 조회, 갱신)을 받으면 각 명령의 종류에 따라 기타 기능 모듈들을 조율하게 된다.
이러한 선호채널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시청자가 선호하는 채널을 쉽고 빠르게 조회하고 선택할 수 있으며, 특히 등록된 선호채널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특정 선호채널을 빨리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호채널 관리를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스템이 시작과 함께 초기 값이 설정되면(S101) 입력부로부터 시청자가 요청한 메시지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102).
상기 시청자의 입력 메시지가 입력되면 선호채널 등록 요청(S103), 선호채널 제거 요청(S104), 선호채널 조회 요청(S105), 선호채널 갱신 요청(S106) 메시지인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메시지가 선호채널 등록 요청 메시지이면 ①단계로 진입하게 되며, 도 8과 같이 수행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호채널 등록 요청 메시지일 경우, 현재 채널 정보를 수집하고(S111), 기 등록된 선호채널을 검색하게 된다(S112). 이때, 상기 선호채널이 기 등록 상태인가를 확인하고(S113), 기 등록 상태가 아니면 선호채널 정보를 구성하고(S114) 그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S115). 그러나, 기 등록상태가 아니면 사용자에게 갱신 여부를 질의하고(S116) 갱신을 선택하면 새로운 선호채널을 이용하여 선호채널 정보를 구성하게 된다(S117). 그러나, 갱 신 요청이 아니면 ⑤단계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선호채널 상태 정보 기록하기 위해 로그 파일로 저장하게 된다(S107).
이와 같이 선호 채널 등록 과정은, 선호채널 등록 요청 메시지를 받으면 우선 등록하고자 하는 현재 채널의 방송국 정보와 현재 시간 및 요일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방송국 정보에는 주파수 정보에 대한 인덱스 값과 디지털 TV의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로부터 얻을 수 있는 PMT(Program Management Table) PID(Packet ID), 방송국 이름 등이 있다. 이러한 정보를 얻은 후 선호채널 리스트 내의 기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기 등록 상태인지, 미등록 상태인지 판단하게 된다. 만약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는 선호채널 정보를 구성하여 저장장치에 저장시켜 준다. 그리고, 현재 채널이 기 등록상태일 경우에는 화면에 현재 채널이 기 등록되어 있음을 알리고, 기존 채널정보를 갱신시킬 것인지 질의한다. 시청자가 기존 정보의 갱신을 선택하면 새로운 정보로 갱신하게 되며 갱신을 거부할 경우에는 등록처리 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핫 키에 의해 선호채널 등록 메시지가 입력될 경우, 현재 채널이 기 등록된 상태이면 상기 현재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영상(동영상, 정지영상)만을 상기 선호채널에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선호채널의 영상 정보만을 교체하여 등록(또는 갱신 등록)할 수도 있다. 상기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의 등록 여부는 사용자에게 질의하여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S104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가 선호채널 제거 요청 메시지이면 ②단계로 진행하며, 도 9와 같이 수행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호채널 제거 과정은 현재 채널 정보를 수집하고(S121), 기 등록된 선호채널을 검색하게 된다(S122). 기 등록 상태인가를 확인한 후(S123), 기 등록상태이면 해당 선호채널 정보를 지우고(S124), 기 등록상태가 아니면 ⑤단계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선호채널 제거 요청 메시지의 경우에는 선호채널 리스트를 검색한 후 해당 선호채널이 있을 경우 저장장치에서 선호채널 정보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S105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가 선호채널 조회 요청 메시지이면 ③단계로 진행하게 되며, 도 10과 같이 수행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등록 선호채널이 화면에 표시되면(S131), 시청자로부터 방향키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 후(S132), 방향키 입력이 있으면 포인터 포커스(Pointer focus)를 변경하게 되며(S136), 방향키 입력이 아니고 페이지 변환키 입력이면(S133) 선호채널 페이지를 변경(이전, 이후 Page)하게 된다(S137). 그리고, 선호채널 페이지 변환키 입력이 아니고 선택키 입력이면(S134) 선택된 선호채널로 시청채널을 변경해 주고(S138), ⑤단계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TV 보기 신호가 입력(S135)되거나 소정 시간이 지나면 TV 시청 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선호채널 조회는 도 16과 같이 기 등록된 모든 선호채널을 TV 화면에 도시하여, 영상 정보와 채널 정보를 동시에 표시해 준다. 선호채널 조회 요청 메시지가 입력되면 현재 시청중인 TV 화면을 지우고 선호채널 화면들로 2차원 배열한다. 선호채널 조회모드에서는 "TV 보기" 메시지가 입력되기 전까지는 계속 이 모드가 유지된다. 방향키가 선택될 경우 현재 포커스 되고 있는 선호채널의 포커스 위치가 변경되며, 좌측 방향키를 누르면 좌측으로 포커스가 변경되고, 우측 방향키를 누르면 우측으로 포커스가 변경된다. 상하 ??향 키도 동일한 기능을 한다. 또한 선택키를 누르면 현재 포커스되고 있는 선호채널의 주파수 값으로 TV 튜너를 설정하고 선호채널 조회모드를 종료하고 선택된 선호채널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 등록된 선호채널의 수가 한 화면에 모두 표시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경우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수만큼 묶어 여러 페이지로 나누게 된다. 페이지 변환기(Prev, Next)는 상기 여러 페이지로 나눠진 상태에서 각 선호 채널 페이지간 이동시에 사용된다.
선호채널을 도시하는 기준은 첫 번째 페이지의 경우, 확률적 통계 값을 이용하게 된다. 즉, 현재 요일, 시간, 선호채널 정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요일, 시간 값을 비교하여 가장 근사한 값을 갖는 선호채널을 N개(도 14의 경우 16개) 추출하여 통계적으로 입력부의 키 신호가 최소로 누를 수 있는 배치로 선호채널을 배치시킨다. 그 외의 페이지는 주파수 순서 또는 TV 방송 형태(케이블, 지상파, 디지털, 아날로그에 맞춰 분류 배열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S106 단계에서 입력 메시지가 선호채널 갱신 요청 메시지이면 ④단계로 진행하게 되며, 도 11과 같이 수행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호채널 갱신은 갱신 완료 여부를 확인한 후(S141), 갱신 완료가 아니면 갱신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별한 후(S142), 갱신 조건을 만족하면 AV데이터를 갱신하고(S143), 다음 선호채널을 선택하게 된다(S144). 상기 S142단계에서 갱신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때에는 다음 선호채널을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갱신 조건은 갱신 주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선호채널 갱신은 외부의 이벤트 발생시나 주기적인 갱신시간 설정에 따른 갱신 주기이면 수행하게 되는데, 시청자에게 최근의 선호채널에서 어떤 프로그램이 방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선호채널 갱신 과정은 기 등록된 모든 채널을 처리한 후 완료된다. 단 각 선호채널 갱신 조건에 만족할 때에만 그 선호채널의 갱신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호 채널 정보의 데이터 구조는 도 12와 같으며, 구체적인 필드 값은 도 13에 나열되어 있다. 도12에 도시된 선호채널 데이터의 내용은 방송국 정보, 프로그램 정보(N개), AV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필드 구조는 TV(T: Type, V: Value)로 구분되며, TLV(T: Type, L: Length, V: Value)로 구분된다. 도 13에 저장장치에 저장되는 선호채널 데이터 필드 값을 나타낸 것으로, 방송국, 방송국명, 주파수, PID, 방송형태, 프로그램, 프로그램 명, 요일, 시간, 빈도수, AV데이터, 데이터 형태, 포인터, 데이터를 포함하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입력부에 핫 키를 구비하여 원 스텝으로 선호채널을 등록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 보다 빠르고 쉽게 선호채널을 등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두 번째, 선호채널마다 방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AV 정보(정지영상, 동영상)를 함께 등록함으로써, 전체 선호채널을 조회할 경우 영상을 통한 직감적인 검색과 함께 한 화면에 여러 선호채널 영상을 동시에 도시하게 하여, 검색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 번째, 프로그램의 검색 대상을 낮추어 일정 시간, 일정 요일에 특정 프로그램을 시청할 경우에는 지능적인 선호채널, 선호프로그램의 조회가 가능하게 된다.
네 번째, 선호채널을 보다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주파수 순서, 방송형태, 다양한 선호채널 배열 형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한 선호채널 표시 형태로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 번째, 선호채널의 표시 형태에 대해 사용 빈도 수에 비례하는 선호채널 정보 표시 창의 크기를 제공함으로써, 선호채널의 사용 빈도 수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선호채널을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 번째, 선호채널 정보에 영상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이용하여 선호채널 정보에 현재 시청 프로그램부터 몇 개의 프로그램 목록을 제공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시청자가 선호채널 중에서 보고자 하는 프로그램이 있는지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선호 채널의 등록, 갱신, 조회, 제거를 위한 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입력되는 선호 채널의 등록, 갱신, 조회, 제거를 위한 키 신호를 수신하는 메시지 처리부;
    선호채널 등록 신호에 의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또는/및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영상신호를 샘플링하여 선호채널에 필요한 크기 및 포맷으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부;
    선호채널 등록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해당 채널의 등록을 제어하고, 상기 등록된 선호채널 정보의 갱신, 조회, 제거 신호에 따라 선호 채널을 관리하는 선호채널 관리부;
    상기 선호채널 정보를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조회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선호채널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선호채널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호채널 정보는 선호 채널과 그 채널의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포함한 영상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호채널 관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는 선호 채널의 등록을 위한 핫 키를 더 포함하며, 핫 키의 선택에 의해 선호채널 및 그 채널의 현재 프로그램 정보를 선호채널 정보로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호채널 관리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선호 채널에 필요한 동영상 크기로 보정하는 스케일러와, 수신되는 비트 스트림의 복호화에 필요한 데이터 저장을 차단하기 위해 시퀀스 헤더 코드를 찾는 비트 스트림 필터와, 선호채널에 사용될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의 입력패스를 설정하기 위한 A/V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호채널 관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채널 표시부는 하나 이상의 선호채널 배열 형태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배열 형태에 따라 선호채널 정보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호채널 관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채널 표시부는 동일한 영상 크기 또는 서로 다른 영상 크기를 갖는 선호채널을 2차원 배열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호채널 관리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채널 표시부는 동일한 영상 크기를 갖는 선호채널 영역을 2차원으로 배열하거나 또는 현재 시청하고 있는 영상을 중심으로 주변에 선호채널들이 배열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호채널 관리장치.
  8. 선호 채널 등록/제거/조회/갱신 메시지의 수신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선호 채널 등록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현재 채널의 방송국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한 후 기 등록된 선호채널 정보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 등록된 선호채널 정보가 존재하면 사용자에게 갱신 여부를 통지하고, 기 등록된 상태가 아니면 선호채널 정보를 구성하여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결과, 선호채널 조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등록된 모든 선호채널과 그 채널의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영상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호채널 관리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결과, 선호채널 제거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선호채널 리스트를 검색한 후 해당 선호채널이 있을 경우 그 선호채널의 정보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호채널 관리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방향 키 또는 페이지 변환키에 응답하여 해당 방향으로 포커스 또는 페이지를 이동시키고, 입력되는 선택키에 응답하여 선택된 선호채널로 시청채널을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호채널 관리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채널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현재의 요일 및 시간과 선호채널 정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요일 및 시간 값을 비교하여, 가장 근사 값을 갖는 선호채널들을 추출한 후 첫 번째 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호채널 관리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채널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주파수 순서 또는 방송형태(케이블, 지상파, 디지털, 아날로그)를 구분하여 각 페이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호채널 관리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채널 갱신은 주기적으로 또는 외부 이벤트 발생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호채널 관리방법.
KR1020050085171A 2005-09-13 2005-09-13 방송 수신기의 선호채널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752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171A KR100752841B1 (ko) 2005-09-13 2005-09-13 방송 수신기의 선호채널 관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171A KR100752841B1 (ko) 2005-09-13 2005-09-13 방송 수신기의 선호채널 관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478A KR20070030478A (ko) 2007-03-16
KR100752841B1 true KR100752841B1 (ko) 2007-08-29

Family

ID=4163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171A KR100752841B1 (ko) 2005-09-13 2005-09-13 방송 수신기의 선호채널 관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8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134B1 (ko) * 2005-10-31 2010-03-10 주식회사 케이티 맞춤형 동영상 모자익 전자적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18120B1 (ko) * 2007-12-03 2014-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호 녹화 목록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선호 녹화목록제공 방법
KR100947052B1 (ko) * 2008-04-21 2010-03-10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Iptv서비스의 방송 선택 메뉴를 전환하는 방법 및 그방법을 수행하는 iptv 서비스 장치
CN105187943B (zh) * 2015-09-21 2018-06-15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电视频道追加方法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763A (ko) * 2002-08-08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제어방법
KR20040041819A (ko) * 2002-11-12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 수신기의 채널 편집 제어방법
KR20040067993A (ko) * 2003-01-21 2004-07-30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전자 프로그래밍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22707A (ko) * 2003-08-29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장치의 핫키를 이용하여 설정된 사용자 선호 프로그램장르 별로 해당하는 epg 정보를 검색하여디스플레이하는 epg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763A (ko) * 2002-08-08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제어방법
KR20040041819A (ko) * 2002-11-12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 수신기의 채널 편집 제어방법
KR20040067993A (ko) * 2003-01-21 2004-07-30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전자 프로그래밍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22707A (ko) * 2003-08-29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장치의 핫키를 이용하여 설정된 사용자 선호 프로그램장르 별로 해당하는 epg 정보를 검색하여디스플레이하는 epg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478A (ko) 200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2867B2 (en) Recording apparatus
KR100680607B1 (ko) 프로그램 선택방법
US20150163545A1 (en) Identification of video content segments based on signature analysis of the video content
US8249430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with programming information
KR101002838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컨텐츠 운용방법
KR101467790B1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KR100752841B1 (ko) 방송 수신기의 선호채널 관리장치 및 방법
US20060156339A1 (en) Electric program guide receiving apparatus, digital television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531277B1 (ko) 프로그램 정보 관리를 위한 디지털 티브이 및 방법
KR101422010B1 (ko) 방송 수신기 및 방송 프로그램 검색 방법
KR100982642B1 (ko) 모자이크 형상 정보 송신 및 수신방법
US200501446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gram
US63448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object in TV program
KR101341454B1 (ko)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자동 채널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0762555B1 (ko) 방송 프로그램 정보 가이드 장치 및 방법
CN113973219B (zh) 取得节目信息的方法与电路系统
KR100672410B1 (ko) 디지털 수신기의 인엑티브 채널 처리 방법
JPH11122548A (ja) 放送受信方法及び装置
KR100753509B1 (ko) 영상기기 및 그를 이용한 방송프로그램 시청 히스토리 관리방법
JP2004112622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42610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서비스 전환방법 및디지털 방송 서비스 정보 제공방법
JP2004297355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の選局方法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919908B1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다운로드 방법
KR101650382B1 (ko) 채널 탐색/접근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1481687B1 (ko) 티브이 수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