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337B1 - Education system using network - Google Patents

Education system using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337B1
KR100752337B1 KR1020070047757A KR20070047757A KR100752337B1 KR 100752337 B1 KR100752337 B1 KR 100752337B1 KR 1020070047757 A KR1020070047757 A KR 1020070047757A KR 20070047757 A KR20070047757 A KR 20070047757A KR 100752337 B1 KR100752337 B1 KR 100752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index
terminal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7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호
이종석
정화식
손재구
Original Assignee
(주)셈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셈투유 filed Critical (주)셈투유
Priority to KR1020070047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3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337B1/en
Priority to PCT/KR2008/001870 priority patent/WO2008140187A1/en
Priority to JP2010508287A priority patent/JP20105270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05Languag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A learning system using the network is provided to enable a lecturer to transmit voice/learning contents to all learners, a group, or each learner by selecting a control icon of a textbook in lecturer terminal, and enable the learner to perform learning by selecting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textbook. The lecturer terminal(120) outputs an A/V(Audio/Video) signal by recognizing the contents of the textbook(100) and outputs a signal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voice or contents data, and controlling learner terminals(130) by recognizing a control icon(112) formed in the textbook. Each learner terminal displays the video signal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by recognizing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or receiving the voice or content data received from the lecturer terminal. The textbook includes the control icons(111) and a plurality of indexes indicating learning objects.

Description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Education system using network}Learning system using network

도 1은 종래의 학습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learning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을 나타낸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에서 강의자용 단말기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terminal for a lecturer in a 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에서 수강자용 단말기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student terminal in a 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5 is a network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의 제어 아이콘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icon of a 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의자용 단말기의 동작 순서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lectur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의자용 단말기의 동작 순서도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lectur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0: 교재 111: 인덱스110: Book 111: Index

112: 제어 아이콘 120: 강의자용 단말기112: control icon 120: lecturer terminal

130: 수강자용 단말기 140: 네트워크130: student terminal 140: network

150, 180: 입력부 160, 200: 처리부150, 180: input unit 160, 200: processing unit

170: 통신부 190: 수신부170: communication unit 190: receiving unit

121, 151: 센서 152, 182: 변환부121, 151: sensors 152, 182: converter

161, 201: 중앙처리장치 162, 202: 메모리161, 201: central processing unit 162, 202: memory

163, 203: 오디오 출력부 164, 204: 헤드폰잭163, 203: Audio output section 164, 204: Headphone jack

165, 205: 무선송신부 166, 206: 표시부165, 205: wireless transmission unit 166, 206: display unit

171, 191: 통신 모듈 172, 192: 모듈러잭171, 191: communication module 172, 192: modular jack

본 발명은 어학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센서를 내장한 강의자용 단말기와 수강자용 단말기들 간에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별도의 절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강의자의 교재에 있는 제어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수강자의 전체, 그룹 또는 개인에게 음성 및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 수강자의 단말기를 강의자가 제어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in particular, by constructing a network between a lecturer terminal and a lecturer terminal with a built-in sensor, and selecting a control icon in a lecturer's textbook without using a separate switch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 that can provide voice and learning contents to a group or an individual, and a lecturer can control each student's terminal.

일반적으로 외국어 등을 학습하는 그룹형태의 학습실에는, 강의자의 음성을 수강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마이크 시스템과, 학습용 콘텐츠를 들려주는 CD나 카세트 등과 같은 오디오기기 또는 디지털기기와, 상기 기기에서 나오는 음성을 수강자가 들을 수 있게 하기 위한 이어폰, 헤드폰, 무선 헤드셋 등의 장치를 구비해야 한다. In general, a group-type learning room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ncludes a microphone system capable of delivering a lecturer's voice to a participant, an audio or digital device such as a CD or a cassette for learning contents, and a voice from the device. Devices such as earphones, headphones, and wireless headsets should be provided for the user to hear.

종래의 학습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ventional learning system is described as follows.

도 1은 종래의 학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learning system.

종래의 학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의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와, 상기 마이크(1)에서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와, 상기 증폭기(2)에서 증폭된 신호를 각 수강자의 헤드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3)와, 상기 컨트롤 박스(3)를 통해 송신된 전기적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각 수강자가 듣도록 하는 다수개의 헤드폰(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conventional learning system includes a microphone 1 for converting a lecturer's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 amplifier 2 for amplifying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by the microphone 1, and the like. The control box 3 for transmitting th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er 2 to the headphone of each participant, and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box 3 into a voice signal to listen to each participant A plurality of headphones 4 are provid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학습 시스템은 강의자가 오디오신호를 전체 수강자에 동시에 보내는 것은 가능하지만 수강자들중 그룹 또는 개인적으로 한정하여 오디오 신호를 보낼 수 없고, 그룹 또는 개별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보내기 위해서는 이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야 했다.In the conventional learning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lecturer can send the audio signal to all the students at the same time, but it is not possible to send the audio signal by group or individual among the students. It was to be provided with a separate device for.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학습 시스템은 수강자가 단독으로 본인이 원하는 학습 내용 및 학습 위치 등을 선택하여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없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학습 시스템은 수강자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학습 시스템의 생산자, 더 나아가서는 학습 시스템 운영자의 입장만을 고려한 결과로 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learning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ould not learn efficiently by selecting learner's desired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posi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learning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viewed as a result of considering only the positions of the producers of the learning system, and further, the learning system operator, without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learne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의자가 강의자용 단말기를 통해 교재의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면 음성 또는 교재에 해당하는 콘텐츠 내용을 수강자들 전체, 그룹 또는 개인별로 전송할 수 있고, 수강자들의 단말기를 전체, 그룹 또는 개인별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강자 단독으로도 교재에 해당하는 콘텐츠 내용을 선택하여 학습 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the lecturer selects the control icon of the teaching materials through the terminal for the lecturer can transmit the contents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voice or teaching materials by the whole learners, groups or individual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 that can control the entire terminal, group, or individual, as well as learners can select and lear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Lab 형태의 학습실을 변경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설치비용으로 최대의 학습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 that can achieve the maximum learning effect with a minimum installation cost because the network can be configured without changing the existing lab-type learning room.

또한, 본 발명은 학습실에서 학습한 콘텐츠를 학습실 이외의 장소에서도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 that can use contents learned in a learning room in a place other than the learning roo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은, 교재의 학습 대상물 내용을 인식하여 해당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비디오 신호를 표시함은 물론 상기 교재에 형성된 제어 아이콘을 인식하여 해당 음성 또는 교재의 학습 대상물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수강자들에게 선택적으로 전송하고, 수강자용 단말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강의자용 단말기와, 상기 교재의 학습 대상물 내용을 인식하여 해당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비디오 신호를 표시함은 물론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 또는 학습 대상물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비디오 신호를 표시하는 다수개의 수강자용 단말기와,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와 상기 다수개의 수강자용 단말기간을 통신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그 특징이 있다.The learning system using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y recognizing the content of the learning object of the teaching material to output the corresponding speech signal and display the video signal as well as to recognize the control icon formed on the teaching material Lecturer terminal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cont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of the voice or the teaching material to the learners, and outputs a signal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student terminal, and recognizes the content of the learning object of the teaching material and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A plurality of learner terminals for outputting and displaying a video signal as well as receiving content data corresponding to a voice or learning object transmitted from the lecturer terminal,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speech signal, and displaying a video signal; Between the plurality of student terminal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ng network.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learning system using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features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에서 강의자용 단말기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에서 수강자용 단말기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lecturer terminal in a 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student terminal in the learning system using th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재(110)의 학습 대상물 내용을 인식하여 해당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비디오 신호를 표시함은 물론 상기 교재(110)에 형성된 제어 아이콘을 인식하여 해당 음성 또는 교재에 해당하는 콘텐츠 내용을 수강자들 전체, 그룹 또는 개인별로 전송할 수 있고, 수강자들의 단말기를 전체, 그룹 또는 개인별로 제어할 수 있는 강의자용 단말기(120)와, 상기 교재(110)의 학습 대상물 내용을 인식하여 해당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비디오 신호를 표시함은 물론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된 음성 또는 학습 대상물에 해당하는 콘텐츠 내용을 수신하여 해당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비디오 신호를 표시하는 다수개의 수강자용 단말기(130)와,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120)와 상기 다수개의 수강자용 단말기(130)간은 통신하는 네트워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learning system using th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object of the textbook 110, outputs a corresponding voice signal, displays a video signal, and of course the textbook 110. Lecturer terminal 120 that can recognize the content of the corresponding voice or textbook by transmitting the cont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voice or teaching material by the whole, group or individual, and control the terminal of the learner by the whole, group or individual And, by recognizing the content of the learning object of the textbook 110 to output a corresponding voice signal and display a video signal, as well as receiving the content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voice or learning object transmitted from the lecturer terminal 120 A plurality of learner terminals 130 for outputting audio signals and displaying video signals; Between two participants for the terminal 13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network 140 to communicate.

여기서, 상기 교재(110)에는 상기 학습 대상물들을 표시하는 바코드 또는 점등과 같은 기호로 형성된 복수개의 인덱스(111)가 인쇄되고, 상기 인덱스(111)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인 교재(110)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제어 아이콘(112)이 인쇄되어 있다.Here, the text 110 is printed with a plurality of indexes 111 formed of a bar code or a symbol such as lighting to display the learning objects, the upper side of the textbook 110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index 111 is not formed or On the lower side, a control icon 112 is printed.

한편,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120) 및 수강자용 단말기(13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configurations of the lecturer terminal 120 and the learner terminal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교재(110)의 학습 대상물을 나타내는 인덱스(111) 또는 제어 아이콘(112)의 내용을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입력부(150)와, 상기 입력부(150)에서 출력된 인덱스(111)를 분석하여 기 저장된 상기 인덱스에 상응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출력 및 표시하거나 상기 입력부(150)에서 출력된 제어 아이콘(112)을 분석하여 상기 입력부(150)에서 출력된 음성신호 또는 상기 입력부(150)에서 읽혀진 학습 대상물의 인덱스를 상기 수강자들 전체, 그룹 또는 개인에게 출력하는 처리부(160)와, 상기 처리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콘텐츠 및 상기 입력부(150)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직렬 통신라인을 통해 수강자들 전체, 그룹 또는 개별적으로 송신하는 통신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lecturer terminal 120 recognizes the contents of the index 111 or the control icon 112 representing the learning object of the textbook 110 and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or converts a voice signal. Analyze the input unit 150 to amplify and output the electrical signal, and the index 111 output from the input unit 150 to output and display audio and video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tored indexes or to the input unit 150. A processing unit 160 for analyzing the output control icon 112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input unit 150 or the index of the learning object read from the input unit 150 to all the students, the group, or the individual;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ing unit 160, the content processed by the processing unit 160 and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input unit 150, the whole attendees, groups o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70 for transmitting individually.

여기서, 상기 입력부(150)는 상기 교재(110)의 학습 대상물을 나타내는 인덱스(111) 또는 제어 아이콘(112)의 내용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151)와, 상기 센서(151)에서 인식된 인덱스(111) 또는 제어 아이콘(112) 내용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환부(152)와, 강의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53)와, 상기 마이크(153)에서 출력된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15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Here, the input unit 150 is a sensor 151 for recognizing the contents of the index 111 or the control icon 112 representing the learning object of the textbook 110, and the index (recognized by the sensor 151 ( 111 or a conversion unit 152 for converting the contents of the control icon 112 into digital signals, a microphone 153 for converting the lecturer's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electricity output from the microphone 153. And an amplifier 154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 typical signal.

여기서, 상기 센서(151)는 광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인덱스(111) 또는 제어 아이콘(112)에 근접되어야 하므로 상기 단말기의 끝단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sensor 151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terminal because it is composed of an optical sensor and should be close to the index 111 or the control icon 112.

상기 처리부(160)는 상기 각 인덱스(111)에 상응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62)와, 상기 입력부(150)로부터 출력된 인덱스(111)를 분석하여 상기 메모리(162)에 저장된 상기 인덱스에 상응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리딩하여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150)에서 출력된 제어 아이콘(112)을 분석하여 상기 입력부(150)에서 출력된 음성신호 및 상기 인덱스 데이터를 상기 수강자들 전체, 그룹 또는 개인에게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6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61)에서 출력된 상기 인덱스(111)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163)와, 상기 오디오 출력부(163)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헤드폰으로 출력하기 위한 헤드폰잭(164)과, 상기 오디오 출력부(163)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무선송신부(165)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61)에서 출력된 상기 인덱스(111)에 상응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표시부(16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processor 160 analyzes the memory 162 storing audio and video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indexes 111 and the index 111 output from the input unit 150 to the memory 162. The audio and video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tored indexes are read and output, the control icon 112 output from the input unit 150 is analyzed, and the voice signal and the index data output from the input unit 150 are all the participants. , A central processing unit 161 for selectively outputting to a group or an individual, and an audio output unit processing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dex 111 outpu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61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to a speaker ( 163, the headphone jack 164 for outputting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unit 163 to the headphone, and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unit 163 Further included is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165 and a display 166 for displaying the processing of the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said index (111) received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61 for transmitting to.

여기서, 상기 표시부(166)는 단말기의 부피를 줄이고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해 LCD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display unit 166 is preferably formed of an LCD to reduce the volume of the terminal an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상기 통신부(170)는 상기 처리부(160)의 중앙처리장치(161)의 제어에 의해 수강자들 전체, 그룹 또는 개인별로 통신 패킷을 구성하는 통신 모듈(171)과 상기 통신 모듈(171)에서 출력된 통신 패킷을 각 수강자용 단말기로 출력하기 위해 통신 라인을 연결하는 모듈러잭(17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The communication unit 170 is outputt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71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71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packet for all the students, groups or individuals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61 of the processing unit 160 It comprises a modular jack 172 connecting a communication line to output a communication packet to each student terminal.

상기 수강자용 단말기(1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교재(110)의 학습 대상물을 나타내는 인덱스(111)의 내용을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입력부(180)와,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120)에서 출력된 음성신호 및 인덱스를 수신하는 수신부(190)와, 상기 입력부(180)에서 출력된 인덱스(111)를 분석하여 기 저장된 상기 인덱스에 상응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출력 및 표시하거나 상기 수신부(190)를 통해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120)의 입력부(150)에서 만들어진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수신부(190)를 통해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120)에서 출력된 인덱스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상기 인덱스에 상응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출력 및 표시하는 처리부(20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student terminal 130, as shown in Figure 4, the input unit 180 for recognizing the contents of the index 111 representing the learning object of the teaching material 110, converts 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s; The receiver 190 receiving the voice signal and the index output from the lecturer terminal 120 and the index 111 output from the input unit 180 are analyzed to output audio and video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tored indexes. And display or output a voice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150 of the lecturer terminal 120 through the receiver 190 and output the same through a speaker or output from the lecturer terminal 120 through the receiver 190. And a processor 200 that receives the index and outputs and displays an audio and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ored index.

여기서, 상기 입력부(180)는 상기 교재(110)의 학습 대상물을 나타내는 인덱스(111)의 내용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181)와, 상기 센서(181)에서 인식된 인덱스(111) 내용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환부(18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Here, the input unit 180 is a sensor 181 for recognizing the contents of the index 111 representing the learning object of the textbook 110, and the contents of the index 111 recognized by the sensor 181 digital signal The conversion unit 182 for converting the output to the output is configured.

여기서, 마찬가지로 상기 센서(181)는 광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수강자용 단말기(130)의 끝단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likewise, the sensor 181 is composed of an optical sensor and is preferably formed at the end of the student terminal 130.

상기 수신부(190)는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120)에서 출력된 통신 패킷을 분석하여 해당 신호만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191)과,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120)의 통신부(170)와 상기 수강자용 단말기(130)의 통신 모듈(191) 사이에 통신라인을 연 결하기 위한 모듈러잭(19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The receiver 190 analyzes a communication packet output from the lecturer terminal 120 to receive only a corresponding signal, the communication unit 170 of the lecturer terminal 120 and the learner terminal. It comprises a modular jack 192 for connecting a communication line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191 of 130.

상기 처리부(200)는 상기 각 인덱스(111)에 상응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202)와, 상기 입력부(180) 또는 수신부(190)로부터 입력된 인덱스(111)를 분석하여 상기 메모리(202)에 저장된 상기 인덱스에 상응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리딩하여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20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01)에서 출력된 상기 인덱스(111)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수신부(190)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203)와, 상기 오디오 출력부(203)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헤드폰으로 출력하기 위한 헤드폰잭(204)과, 상기 오디오 출력부(203)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무선송신부(205)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01)에서 출력된 상기 인덱스(111)에 상응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표시부(20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processor 200 analyzes the memory 202 storing the audio and video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indexes 111 and the index 111 input from the input unit 180 or the receiver 190. A central processing unit 201 for reading and outputting an audio and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dex stored in the memory 202,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dex 111 outpu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1, or the An audio output unit 203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receiver 190 to a speaker, a headphone jack 204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r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unit 203 to headphones; And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transmitter 205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audio signal or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unit 203 and the index 111 outpu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1. Further included is a display 206 for displaying processing a call.

여기서, 마찬가지로, 상기 표시부(206)는 LCD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likewise, the display unit 206 is preferably formed of an LCD.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의자용 단말기(120) 및 수강자용 단말기(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라인(51)과,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120)에서 수강자용 단말기(130)로 음성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음성신호 라인(52)과,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120)에서 수강자용 단말기(130)로 통신 포맷에 의해 각 수강자용 단말기의 ID, 명령어 콘텐츠 데이터 등을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라인(5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5,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line 51 for supplying power to the lecturer terminal 120 and the lecturer terminal 130, and the lecturer terminal 120. Voice signal line 52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to the student terminal 130, and the ID, command content data of each student terminal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format from the lecturer terminal 120 to the student terminal 130 And a data transmission line 53 for transmitting and the like.

여기서, 상기 음성신호 라인(52)에는 신호 라인의 길이에 의해 음성신호가 손실됨을 복구하기 위한 증폭기가 복수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의 유선 통신은 RS-422 또는 RS-485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voice signal line 5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mplifiers for recovering the loss of the voice signal due to the length of the signal line. In addition, the wired communication of the network is preferably using the RS-422 or RS-485 metho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의 제어 아이콘은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control icons of the learning system using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의 제어 아이콘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icon of a 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아이콘은, 강의자가 음성신호를 수강자에게 송출하기 위한 MIC 아이콘(11)과, 강의자가 콘텐츠(교재의 학습 대상물의 인덱스)를 수강자에게 송출하기 위한 콘텐츠 아이콘(12)과, 상기 음성신호 및 콘텐츠를 전체 수강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전체 아이콘(13)과, 각 수강자가 개별적으로 학습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개별학습 아이콘(14)과, 수강자를 다수개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별로 상기 음성신호 또는 콘텐츠를 송출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5 그룹 아이콘(16 - 20)과, 수강자 개인별로 상기 음성신호 또는 콘텐츠를 송출하기 위한 개인 아이콘(21 - 31)과, 수강자용 단말기의 전원을 강제적으로 오프하기 위한 전원 아이콘(15)을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control i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 icon 11 for the lecturer to send a voice signal to the learner, a content icon 12 for the lecturer to send the content (index of the learning object of the teaching material) to the learner, and All icons 13 for transmitting voice signals and contents to all students, individual learning icons 14 for controlling each learner individually, and learner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and the voice signals for each group. Or forcibly turning off the first to fifth group icons 16-20 for transmitting content, the personal icons 21-31 for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or content for each student, and the students' terminals. It comprises a power icon 15 for the purpose.

상기 교재(110)에는 약 65,000개 정도의 영어 문장, 또는 한글 문장이 인쇄되어 있고, 이 개수는 교재를 선택한 후 콘텐츠를 선택하게 되면 65,000x192개 만큼 확장될 수도 있으며 각 문장마다 인덱스가 부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어 아이콘은 교재(110)의 상기 교재(110)의 각 페이지에 인쇄되거나, 홀수 또는 짝수 페이 지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인쇄될 수 있다. About 65,000 English sentences or Korean sentences are printed on the textbook 110, and the number may be extended by 65,000x192 when the content is selected after selecting the textbook, and an index is assigned to each sentence. . Such a control icon may be printed on each page of the textbook 110 of the textbook 110 or may be selectively printed on one of odd or even pages.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120)의 통신 모듈(171)과 상기 수강자용 단말기(130)의 통신 모듈(191)을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 tooth) 통신 모듈 등의 무선 통신 모듈을 사용하면 무선으로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120)와 다수의 수강자용 단말기(130)간에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Bluetooth (Bluetooth)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171 of the lecturer terminal 12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91 of the student terminal 130 tooth) If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communication module is us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lecturer terminal 120 and the plurality of learner terminals 130 may be wirelessly per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arning system using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120) 및 수강자용 단말기(130)는 각각 자체적으로 교재(110)에 인쇄된 인덱스(111)를 상기 입력부의 센서(151, 181)를 통해 인식하여 그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메모리(162, 202)에서 읽어와 스피커/헤드폰 및 표시부(166, 206)를 통해 출력하고 표시한다. First, the lecturer terminal 120 and the learner terminal 130 recognizes the index 111 printed on the textbook 110 through the sensors 151 and 181 of the input unit, respectively, and corresponding audio signals. And video signals are read from the memories 162 and 202 and output and displayed through the speakers / headphones and the display units 166 and 206.

즉, 상기 교재(110)에 인쇄된 인덱스(111)를 상기 입력부의 센서(151, 181)를 통해 인식하고 상기 변환부(152, 182)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61, 201)는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인덱스(111)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메모리(162, 202)에서 읽어와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오디오 출력부(163, 203)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헤드폰을 통해 출력하거나 무선송신부(165, 205)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66, 206)는 LCD에 상기 비디오 신호를 표시한다. That is, the index 111 printed on the textbook 110 is recognized through the sensors 151 and 181 of the input unit, and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converters 152 and 182 and output. The CPU 161 and 201 analyze the converted digital data and read and output the audio and video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index 111 from the memories 162 and 202. The audio output unit 163 or 203 then outputs the audio signal through a speaker / headphone or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s 165 and 205. In addition, the display units 166 and 206 display the video signal on the LCD.

그리고, 강의자용 단말기(120)는 제어 아이콘(도 6)을 읽어와 수강자용 단말 기들 전체, 그룹 또는 개인별로 음성신호 및 인덱스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The lecturer terminal 120 reads the control icon (FIG. 6) and outputs data corresponding to a voice signal and an index for all the students' terminals, groups, or individuals.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의자용 단말기의 동작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lectur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각 수강자용 단말기(130)의 개별, 전체 및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ID가 부여된다. 즉 각 수강자용 단말기(130)에는 개별 ID(예를들면, 01H에서 F0H까지)가 부여되어 있고, 수강자용 단말기(130)들 전체를 선택하는 ID(예를들면, FFH), 제 1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ID(예를들면, FAH), 제 2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ID(예를들면, FBH), 제 3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ID(예를들면, FCH), 제 4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ID(예를들면, FDH), 제 5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ID(예를들면, FEH)가 부여된다. First, IDs for selecting individual, all, and groups of each student terminal 130 are given. That is, each student terminal 130 is assigned an individual ID (for example, 01H to F0H), and an ID (for example, FFH) and a first group for selecting the entire student terminal 130 are assigned. ID for selecting (eg FAH), ID for selecting the second group (eg FBH), ID for selecting the third group (eg FCH), selecting the fourth group ID for example (e.g., FDH) and ID for selecting the fifth group (e.g., FEH).

따라서, 제어 아이콘을 통해 각 수강자용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음성신호 및 인덱스 신호를 출력하거나 각 수강자용 단말기를 제어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Therefore, a case of selectively outputting a voice signal and an index signal or controlling each learner terminal through the control icon will be described.

먼저, 수강자용 단말기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아이콘을 인식한다(1S). 즉. 강의자용 단말기(120)의 센서(151)를 통해 도 6에 도시한 제어 아이콘 중 전체 아이콘(13), 제 1 내지 제 5 그룹 아이콘(16-20) 중 하나, 또는 개별 아이콘(21-31) 중 하나를 선택한다.First, a control icon for selecting a student terminal is recognized (1S). In other words. Through the sensor 151 of the lecturer terminal 120, one of the entire icons 13, one of the first to fifth group icons 16-20, or individual icons 21-31 of the control icons shown in FIG. Choose one.

이와 같이 상기 아이콘 중 하나가 센서(151)를 통해 인식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61)은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하여 ID를 부여한다(2S, 3S, 4S). 즉, 전체 아이콘(13)이 선택되면 그에 상응하는 ID(FFH)를 부여하고(2S), 그룹이 선택되면 그에 상응하는 ID(FAH, FBH, FCH, FDH, FEH 중 하나)를 부여하고(3S), 또한 개별 ID(01H - F0H 중 하나)를 부여한다(4S). As such, when one of the icons is recognized by the sensor 151, the CPU 161 assigns an ID to the selected icon (2S, 3S, 4S). That is, when the entire icon 13 is selected, a corresponding ID (FFH) is given (2S), and when a group is selected, a corresponding ID (one of FAH, FBH, FCH, FDH, FEH) is given (3S). ), And also gives an individual ID (one of 01H-F0H) (4S).

그리고, 상기 선택된 수강자용 단말기(130)에 음성신호를 송신할 것인가 콘텐츠(인덱스)를 송신할 것인가에 따라 MIC 아이콘(11) 또는 콘텐츠 아이콘(12)을 선택한다(5S).Then, the MIC icon 11 or the content icon 12 is selected according to whether to transmit a voice signal or a content (index) to the selected student terminal 130 (5S).

만약, MIC 아이콘(11)이 선택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61)는 통신라인(도 5) 중 오디오 전용 라인에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120)의 마이크(153)에서 출력된 음성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마이크(153)에 입력된 음성신호를 전송한다.If the MIC icon 11 is selected, the CPU 161 transmits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hone 153 of the lecturer terminal 120 to an audio line of the communication line (FIG. 5). Control and transmit the voice signal input to the microphone (153).

만약, 콘텐츠 아이콘(12)이 선택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61)는 통신 모듈(171)을 활성화 시키고(7S) 이어 상기 센서(151)를 통해 입력되는 인덱스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한다(8S).If the content icon 12 is selected, the CPU 161 activates the communication module 171 (7S), and then transmits cont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index input through the sensor 151 ( 8S).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와 같이 아이콘을 선택하여 진행하다가 각 수강자용 단말기(130)를 리셋시키기 위해서는 개별 학습 아이콘(14)을 선택하여 전송하거나, 각 수강자용 단말기(130)의 전원을 오프하고 싶을 경우 전원 아이콘(15)을 선택하여 전송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order to reset the respective student terminal 130 by selecting the icon as described above, to select and transmit the individual learning icon 14, or to turn on the power of each student terminal 130 If you want to turn off, select the power icon (15) to transmit.

한편, 수강자용 단말기(130)는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120)에서 송출된 음성신호 또는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표시한다.Meanwhile, the student terminal 130 selectively receives and outputs or displays a voice signal or content data transmitted from the lecturer terminal 120.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강자용 단말기의 동작 순서도이다.8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studen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수강자용 단말기(130)의 중앙처리장치(201)는 통신 라인을 통해 입력되 는 통신 포맷의 헤드 데이터에 포함된 ID를 인식하여 인식된 ID가 자신의 단말기에 해당하는 ID인가를 판단한다(11S).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1 of the student terminal 130 recognizes the ID included in the head data of the communication format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to determine whether the recognized ID corresponds to the own terminal ( 11S).

만약, 자신의 단말기에 해당하지 않은 ID인 경우 통신 포맷의 명령어 및 인덱스 데이터를 무시하고(12S), 자신의 단말기에 해당하는 ID인 경우 통신 포맷의 명령어 및 인덱스 데이터를 수신한다(13S).If the ID does not correspond to the own terminal, the command and the index data of the communication format are ignored (12S). If the ID corresponds to the own terminal, the command and the index data of the communication format are received (13S).

그리고, 상기 명령어가 MIC 아이콘(11)에 의한 음성신호이면 해당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에서 처리하여 스피커/헤드폰 또는 무선 송신부를 통해 출력한다(15S).If the command is a voice signal by the MIC icon 11, the data is processed by the audio output unit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 headphone or the wireless transmitter (15S).

만약, 상기 명령어가 콘텐츠 아이콘(12)에 의한 콘텐츠 데이터(인덱스)이면 상기 콘텐츠 데이터(인덱스)를 수신하고(16S) 상기 인덱스에 해당하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상기 메모리(202)로부터 읽어와서(17S) 오디오 신호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203)를 통해 스피커/헤드폰 또는 무선 송신부(205)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비디어 신호를 상기 표시부(206)에 표시한다(18S).If the command is content data (index) by the content icon 12, the content data (index) is received (16S) and the audio and video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index are read from the memory 202 ( 17S) The audio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 headphone or the wireless transmitter 205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203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video signal on the display unit 206 (18S).

또한,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120)에서 개별 학습 아이콘(14) 또는 전원 아이콘(15)이 선택되어 전송되면, 상기 수강자용 단말기(130)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명령어를 인식하여 개별적으로 학습이 진행되도록 하거나(19S)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킨다(20S).In addition, when the individual learning icon 14 or the power icon 15 is selected and transmitted from the lecturer terminal 120, the learner terminal 130 recognizes a comman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the learning proceeds individually. (19S) or the terminal is turned off (20S).

이상과 같이 별도의 제어 장치가 필요 없이 인덱스 및 제어 아이콘이 인쇄된 교재만으로 그룹형태의 학습실의 기능을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only the textbook printed with the index and the control icon can be implemente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control devic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earning system using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수강자용 단말기를 통해 단독으로도 교재에 인쇄된 인덱스를 센서를 통해 인식하여 상기 인덱스에 해당하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출력 및 표시하므로 수강자들이 단독으로도 원하는 콘텐츠 내용을 선택하여 학습 할 수 있다.First, through the terminal for students to recognize the index printed on the textbook through the sensor to output and display the audio signal and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dex, so that the learners can select and learn the desired content content alone. have.

둘째, 강의자가 강의자용 단말기를 통해 교재의 제어 아이콘을 선택하면 음성 또는 교재에 해당하는 콘텐츠 내용을 수강자들 전체, 그룹 또는 개인별로 전송할 수 있고 각 수강자용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Second, when the lecturer selects the textbook control icon through the lecturer's terminal, the contents of the voice or the textbook can be transmitted to the entire learners, groups, or individuals, and each learner's terminal can be controlled, thereby improving learning efficiency. You can.

셋째, 별도의 장치를 구비 할 필요 없이 다수의 단말기와 모듈러 잭으로 연결되는 통신선만으로 학습실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설치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Third, the learning room can be configured only by the communication lin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modular jack, without having to provide a separate device can minimize the installation cost.

넷째, 교재와 단말기만 구비하면 학습실 이외의 장소에서도 학습할 수 있다.Fourth, if only the teaching materials and the terminal provided, you can learn in places other than the learning room.

Claims (12)

교재의 학습 대상물 내용을 인식하여 해당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비디오 신호를 표시함은 물론 상기 교재에 형성된 제어 아이콘을 인식하여 해당 음성 또는 교재의 학습 대상물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수강자들에게 선택적으로 전송하고, 수강자용 단말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강의자용 단말기와, It recognizes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object of the teaching material, outputs the corresponding audio signal, displays the video signal, and recognizes the control icon formed on the teaching material, and selectively transmits the cont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of the corresponding voice or teaching material to the students. A lecturer terminal for outputting a signal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student terminal; 상기 교재의 학습 대상물 내용을 인식하여 해당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비디오 신호를 표시함은 물론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 또는 학습 대상물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비디오 신호를 표시하는 다수개의 수강자용 단말기와, Recognizing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object of the textbook,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and displaying the video signal, and receiving the cont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or the learning object transmitted from the lecturer terminal,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video signal. A plurality of student terminals to display,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와 상기 다수개의 수강자용 단말기들 사이에 통신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 comprising a network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lecturer terminal and the plurality of learner terminal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교재는 상기 학습 대상물들을 표시하는 복수개의 인덱스와, 상기 제어 아이콘이 인쇄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The teaching material is a 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indexes for displaying the learning objects, and the control icon is print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는, 상기 교재의 학습 대상물을 나타내는 인덱스 또는 제어 아이콘의 내용을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전 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제 1 입력부와, The lecturer terminal includes: a first input unit for recognizing contents of an index or a control icon representing a learning object of the teaching material and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or amplifying a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상기 제 1 입력부에서 출력된 인덱스를 분석하여 기 저장된 상기 인덱스에 상응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출력 및 표시하거나 상기 제 1 입력부에서 출력된 제어 아이콘을 분석하여 상기 제 1 입력부에서 출력된 음성신호 또는 상기 제 1 입력부에서 읽혀진 학습 대상물의 콘텐츠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처리부와, Analyzing the index out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to output and display an audio and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stored index or analyzing a control icon out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to output the audio signal or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A processing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content data of the learning object read in the first input unit, 상기 처리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콘텐츠 데이터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강자용 단말기들에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And a communication unit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content data processed by the processing unit and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input unit to the learner terminals through a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ing uni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1 입력부는 상기 교재의 학습 대상물을 나타내는 인덱스 또는 상기 제어 아이콘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센서와, The first input unit may include a first sensor for recognizing an index representing a learning object of the textbook or the control icon; 상기 제 1 센서에서 인식된 인덱스 또는 제어 아이콘 내용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1 변환부와, A first converter converting the index or control icon content recognized by the first sensor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ting the digital signal; 강의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A microphone that converts the lecturer's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 마이크에서 출력된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hon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처리부는 상기 학습 대상물에 상응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The processor is a memory for storing audio and video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상기 제 1 입력부로부터 출력된 인덱스를 분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인덱스에 상응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리딩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 1 입력부에서 출력된 제어 아이콘을 분석하여 상기 제 1 입력부에서 출력된 음성신호 및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수강자들에게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 1 중앙처리장치와, Analyzing the index out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reading and outputting audio and video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index stored in the memory, analyzing the control icon out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and analyzing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And a first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controls to selectively output the content data to the students. 상기 제 1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된 상기 인덱스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 헤드폰 또는 무선으로 출력하는 제 1 오디오 출력부와, A first audio output unit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dex output from the first central processing unit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through a speaker, a headphone, or wirelessly; 상기 제 1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된 상기 인덱스에 상응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제 1 표시부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And a first display unit configured to process and display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dex output from the first central processing uni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처리부의 제어에 의해 수강자들에게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입력부의 음성 신호 또는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패킷을 구성하는 제 1 통신 모듈과,The communication unit compris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configuring a communication packet for transmitting voice signals or content data of the first input unit selectively to the attendees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ing unit; 상기 제 1 통신 모듈에서 출력된 통신 패킷을 각 수강자용 단말기로 출력하기 위해 통신라인을 연결하는 제 1 모듈러 잭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And a first modular jack for connecting a communication line to output the communication packet outpu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o each student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강자용 단말기는, 상기 교재의 학습 대상물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 입력부와, The student terminal may include a second input unit configured to recognize an index representing a learning object of the teaching material, convert the digit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 the digital signal;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에서 출력된 통신 포맷을 분석하여 상기 음성신호 및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A receiving unit for analyzing the communication format output from the lecturer terminal and receiving the voice signal and the content data; 상기 제 2 입력부에서 출력된 인덱스를 분석하여 기 저장된 상기 인덱스에 상응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출력 및 표시하거나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의 제 1 입력부에서 만들어진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에서 출력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상기 인덱스에 상응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출력 및 표시하는 제 2 처리부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Analyzing the index output from the second input unit to output and display audio and video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tored index, or receive and output a voice signal generated at the first input unit of the lecturer terminal through the receiver to output through the speaker. Or a second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content data output from the lecturer terminal through the receiver and to output and display audio and video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pre-stored indexes.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 2 입력부는 상기 교재의 학습 대상물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인식하기 위한 제 2 센서와, The second input unit includes a second sensor for recognizing an index indicating a learning object of the teaching material; 상기 제 2 센서에서 인식된 인덱스 내용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 변환부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And a second converter configured to convert the index content recognized by the second sensor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 the digital signal.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수신부는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에서 출력된 통신 패킷을 분석하여 해당 신호만을 수신하는 제 2 통신 모듈과, The receiving unit analyzes a communication packet output from the lecturer terminal and receives only a corresponding signal;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의 통신부와 상기 통신 모듈 사이에 통신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제 2 모듈러 잭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And a second modular jack for connecting a communication line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lecturer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 2 처리부는 상기 각 인덱스에 상응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제 2 메모리와, The second processing unit includes a second memory for storing audio and video signals corresponding to each index; 상기 제 2 입력부 또는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인덱스 또는 콘텐츠 데이타를 분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인덱스에 상응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리딩하여 출력하는 제 2 중앙처리장치와, A second central processing unit for analyzing the index or the content data inputted from the second input unit or the receiving unit and reading and outputting audio and video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index stored in the memory; 상기 제 2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된 상기 인덱스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스피커, 헤드폰 또는 무선으로 출력하는 제 2 오디오 출력부와, A second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dex output from the second central processing unit or an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receiving unit to a speaker, headphones, or wirelessly; 상기 제 2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된 상기 인덱스 또는 콘텐츠 데이타에 상응하는 비디오 신호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And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dex or content data output from the second central process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네트워크는, 강의자용 단말기 및 다수의 수강자용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라인과, The network may include a power supply line for supplying power to a lecturer terminal and a plurality of lecturer terminals;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에서 수강자용 단말기로 음성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음성신호 라인과, A voice signal line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from the lecturer terminal to the lecturer terminal; 상기 강의자용 단말기에서 수강자용 단말기로 통신 포맷에 의해 각 수강자용 단말기의 ID, 명령어 및 콘텐츠 데이터 등을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라인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And a data transmission line for transmitting ID, command, content data, etc. of each student terminal by a communication format from the lecturer terminal to the student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 아이콘은, 강의자가 음성신호를 수강자에게 송출하기 위한 MIC 아이콘과, The control icon is a MIC icon for the lecturer to send a voice signal to the learner, 강의자가 콘텐츠를 수강자에게 송출하기 위한 콘텐츠 아이콘과, A content icon for the lecturer to send the content to the learner, 상기 음성신호 및 콘텐츠를 전체 수강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전체 아이콘과,An entire icon for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and contents to all participants; 각 수강자가 개별적으로 학습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개별학습 아이콘과, Individual learning icons to control each learner individually, 수강자를 다수개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별로 상기 음성신호 또는 콘텐츠를 송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 아이콘과, At least one group icon for classifying a student into a plurality of groups and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or the content to each group; 수강자 개인별로 상기 음성신호 또는 콘텐츠를 송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인 아이콘과, At least one personal icon for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or content for each student; 수강자용 단말기의 전원을 강제적으로 오프하기 위한 전원 아이콘을 구비하 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 comprising a power icon for forcibl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student terminal.
KR1020070047757A 2007-05-16 2007-05-16 Education system using network KR1007523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757A KR100752337B1 (en) 2007-05-16 2007-05-16 Education system using network
PCT/KR2008/001870 WO2008140187A1 (en) 2007-05-16 2008-04-03 Education system using network
JP2010508287A JP2010527044A (en) 2007-05-16 2008-04-03 Learning system using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757A KR100752337B1 (en) 2007-05-16 2007-05-16 Education system using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337B1 true KR100752337B1 (en) 2007-08-29

Family

ID=3861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757A KR100752337B1 (en) 2007-05-16 2007-05-16 Education system using network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0527044A (en)
KR (1) KR100752337B1 (en)
WO (1) WO200814018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8918B2 (en) * 2013-07-04 2017-06-14 Sky株式会社 Learning support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861A (en) * 2002-10-02 2004-04-08 (주)네오파로스 Training apparatus using bar stickers for automatic access to multimedia contents and method thereof
KR20060011076A (en) * 2004-07-29 2006-02-03 (주)컴온테크 Quick jumping and instant play education system using tag on the book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4186A (en) * 1989-03-17 1990-09-28 Fujitsu Ltd Av control system of education system using personal computer
JP3136081B2 (en) * 1995-08-22 2001-02-19 智 下向 Learning support system
JP2003280506A (en) * 2002-03-20 2003-10-02 Ecc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picture for student in remote education system
JP2003316247A (en) * 2002-04-19 2003-11-07 Cosmotopia Japan Inc Foreign language learning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004012539A (en) * 2002-06-03 2004-01-15 Seiko Epson Corp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eaching material contents, and teaching material content providing program
US7967217B2 (en) * 2002-09-26 2011-06-28 Kenji Yoshida Information reproduction/i/o method using dot pattern,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mobile information i/o device, and electronic toy
US20050096938A1 (en) * 2003-10-30 2005-05-05 Zurimedi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access-controlling electronic content complementary to a printed book
KR20070024894A (en) * 2005-08-29 2007-03-08 (주)미디어파워하우스 The study continuity grant method of an off-line textbook and mobile fu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861A (en) * 2002-10-02 2004-04-08 (주)네오파로스 Training apparatus using bar stickers for automatic access to multimedia contents and method thereof
KR20060011076A (en) * 2004-07-29 2006-02-03 (주)컴온테크 Quick jumping and instant play education system using tag on the book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40187A1 (en) 2008-11-20
JP2010527044A (en) 201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793B1 (en) Smart Hearing Aid Device
CN101938391A (en) Voice processing method, system, remote controller, set-top box and cloud server
KR100752337B1 (en) Education system using network
WO2014123380A1 (en) Index code recognition multimedia learning device
KR2007000541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morse signal and analysis and conversion
KR101021599B1 (en) Study device having output capacity of voice and image
CN101098357B (en) Communication terminal for supporting braille inpu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raille using the terminal
WO2013151286A1 (en) System having electronic notebook func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104902389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750729B1 (en) Voice-Recognition Word Conversion Device.
US10152297B1 (en) Classroom system
KR200406324Y1 (en) e-learning A/V system
CN1251538C (en) Method for transmitting character message using voice recognition in portable terminal
KR100842458B1 (en) Remote controller module having mp3 recorder and two mp3 decoder and its application system
KR100807778B1 (en) Supplementary apparatus to learning
KR101840871B1 (en) Class language learning system including individual and group studying facility and method thereof
KR101562618B1 (en) system for clear voice in classroom
KR20140101655A (en) Multimedia Language Study Device Scanning With Index Tag
CN212061863U (en) Voice converter and voice conversion system
KR20100036841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27297Y1 (en) Control system for both direction indoor broadcasting
KR970060018A (en) Multimedia educational device
CN200956647Y (en) Wireless accessing fixed station with learning machine function
KR0175589B1 (en) Learning method of arithmetic operation using an answering machine
CN105679116A (en) English interactive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