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095B1 -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095B1
KR100748095B1 KR1020060096426A KR20060096426A KR100748095B1 KR 100748095 B1 KR100748095 B1 KR 100748095B1 KR 1020060096426 A KR1020060096426 A KR 1020060096426A KR 20060096426 A KR20060096426 A KR 20060096426A KR 100748095 B1 KR100748095 B1 KR 100748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network
quality
dscp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순
최다혜
정유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96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095B1/ko
Priority to US11/904,529 priority patent/US788969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0Traffic poli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08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for supporting different services, e.g. a differentiated services [DiffServ] type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91Mapping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 H04W40/36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due to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하기 위해, 초기 망 설계 시 서비스 및 정책을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서비스 및 정책에 따른 서비스 품질 변수를 DSCP 필드로 반영하여 반영된 DSCP 필드 및 상기 서비스 품질 변수를 관리하는 망 내의 접속 라우터에 적용시킴으로써, 서비스 및 정책에 맞게 서비스품질을 보장할 수 있으며, 서비스품질을 보장하는 끊김 없는 핸드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SCP 필드를 이용함으로써 이동 IP망 상황에 따라 적용할 수 있고, 핸드오버 시 경로 밀착 서비스품질 시그널링을 재구동하는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으며, 인증 과정 및 IP 주소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DSCP 필드를 수정(리마킹)함으로써 타 사업자 접속망에서도 서비스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광대역 통합망, 접속망, 접속 라우터, 서비스품질(QoS), DSCP 필드, 핸드오버, 서비스 및 정책, 이동 IP.

Description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GUARANTEE QoS I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DEPLOYED MOBILE IP}
도 1은 일반적인 광대역 통합망의 다양한 접속망을 도시한 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통합망에서 이동 IP를 위한 서비스품질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통합망에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를 도시한 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대역 통합망에서 초기 망 설계 시 운용되는 서비스 및 정책 정의를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대역 통합망에서 핸드오버 발생 시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에서 인증 시 DSCP 필드를 마킹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접속망 에지(edge) 장비에 주어진 IP를 분류하여 DSCP 필드를 리마킹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Mobile IP)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대역 통합망(BcN :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은 레이어 3인 인터넷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유/무선 통합 및 방송 융합을 위한 망이다.
상기 광대역 통합망은 지원되는 무선망 관리 방법 중 하나로서, 이동 IP 기법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기술은 국제 표준화 기구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Telecom)에서 권고한 자원승인제어기능(RACF : Resource Admission Control Function)으로 세션별 인증 및 자원관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자원승인제어기능에는 당김 모드(pull mode)와 누름 모드(push mode)가 있다. 여기서 상기 당김 모드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등의 세션관리 프로토콜로 자원과 인증을 처리단계와, RSVP 등의 경로 밀착 서비스품질(quality of service : QoS) 시그널링(Path coupled QoS signaling)으로 이동 IP 데이터 경로를 따라 자원을 예약하는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 모드는 세션 관리 프로토콜로 자원과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와, 처리된 결과를 망에 반영하는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대응 노드와 이동 노드 사이의 서비스품질(QoS) 세션을 설정하는 기술에서는 자원예약 프로토콜(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이하, RSVP라 칭함)을 서비스품질을 위한 신호 프로토콜로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RSVP는 서비스 품질(QoS) 흐름을 지원함으로써 현재의 인터넷 구조를 강화하고자 하는 자원예약 프로토콜이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에서 RSVP는 트래픽의 통과 경로를 따라 모든 라우터 노드에 수신기 서비스품질 요청을 제공하여 연상(경로/예약)을 유지하며, 자원의 각 라우터 내에 예약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핸드오버 시 RSVP를 재 구동함에 따른 연결 끊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 통합망에서 패킷의 DSCP 필드를 이용하여 이동 IP 서비스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대역 통합망에서 인증 과정 또는 IP 주소를 변경 시 DSCP 필드를 수정하여 적용함으로써 타 사업자간의 이동성 서비스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대역 통합망에서 끊김 없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중앙 집중적 자원관리부에서 망에 적용할 서비스와 서비스에 대응하는 DSCP 필드를 정의하여 접근망에 시행하고, 접근 에지 라우터에서 패킷의 DSCP 필드를 보고 서비스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방법은, 중앙 집중형 자원관리부에서, 초기 망 설계 시 서비스 및 정책을 정의하는 과정과, 상기 정의된 서비스 및 정책에 따른 서비스 품질 변수를 패킷의 차등 서비스 코드 포인트(DSCP) 필드로 반영하는 과정과, 상기 반영된 DSCP 필드 및 상기 서비스 품질 변수를 관리하는 망 내의 접속 라우터에 적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단말을 이용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방법은, 광대역 통합망에 접속된 임의의 접속망 내의 이동 단말이 방문 접속망으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상기 방문 접속망의 차등 서비스 코드 포인트(DSCP) 필드를 결정하는 과정과, 인증서버에서 상기 핸드오버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방문 접속망에 대한 새로운 IP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파악된 DSCP 필드를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새로운 IP 정보 전달 시 함께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전달받은 DSCP 필드를 헤더의 해당 필드에 마킹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전달받은 DSCP 필드가 마킹된 헤더를 포함하여 상기 방문 접속망을 통해 서비스품질을 보장하면서 전송할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IP)을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방법은, 핸드 오버 시, 중앙 집중형 자원 관리부가 상기 방문 접속망의 라우터에 새로 전달 받은(IPv4) 또는 새로 진입을 요구하는(IPv6) 경우 해당 5 튜플(tuple) 정보에 적합한 서비스 및 정책을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중앙 집중형 자원 관리부에서 상기 전송할 패킷의 헤더 내에 마킹된 상기 DSCP 필드를 상기 해당 5 튜플(tuple)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DSCP 필드 값으로 리마킹을 결정하고, 상기 접속망 라우터가 이를 반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시스템은, 초기 망 설계 시 다수의 접속망에 적용할 서비스 및 정책을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서비스 및 정책 및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차등 서비스 코드 포린트(DSCP)를 관리하는 서비스 및 정책 관리부와, 상기 정의된 서비스 및 정책에 따른 서비스품질 변수를 상기 차등 서비스 코드 포인트(DSCP) 필드에 반영하여 상기 다수의 접속망의 라우터에 적용시키는 서비스 및 정책 반영부를 갖는 중앙 집중형 자원관리부와, 상기 적용된 DSCP 필드를 통해 세션별로 상기 서비스 품질 변수에 맞는 대역폭을 보장하고, 링크의 용량을 초과하는 최초의 세션이 들어오면 상기 들어온 최초의 세션을 거절하는 서비스 및 정책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IP)를 수용한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시스템은, 초기 망 설계 시 서비스 및 정책을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서비스 및 정책에 따른 서비스 품질 변수를 패킷의 차등 서비스 코드 포인트(DSCP) 필드에 반영하여 다수의 접속망의 라우터에 적용시키는 중앙 집중형 자원관리부와, 상기 적용된 DSCP 필드를 통해 세션별로 상기 서비스 품질 변수에 맞는 대역폭을 보장하고, 링크의 용량을 초과하는 최초의 세션이 들어오면 상기 들어온 최초의 세션을 거절하는 상기 다수의 접속망의 라우터와, 이동 단말이 자신의 홈 망에서 방문 접속망으로 핸드오버 시,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새로운 IP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방문 접속망에 적용된 DSCP 필드를 파악하여 상기 새로운 IP 정보 전달 시 함께 전달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 ITU-T RACF의 누름모드에 적용가능하며, 패킷의 차등 서비스 코드 포인 트(Diffserv Code Point 이하, DSCP라 칭함) 필드를 이용하여 광대역 통합망의 이동 IP(Mobile IP)에 매듭 없는 핸드오버(seamless handover)를 제공하고, 서비스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광대역 통합망의 다양한 접속망을 도시한 망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광대역 통합망(BcN :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10)은 레이어 3인 인터넷 프로토콜(IP)을 기반으로 유/무선 통합 및 방송 융합을 위한 망으로서, 무선망(20a), 유선망(20b) 및 방송망(20c) 등의 다양한 접속망들(20)이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망들(20)에는 이동 단말들이 포함되며, 각각 접속 라우터(30)를 통해 상기 광대역 통합망(10)과 접속하게 된다.
그러면 이와 같은 광대역 통합망의 서비스 품질 제공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통합망에서 서비스품질 제공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품질 제공 시스템은 접근망(20)에 접속하는 이동 단말(110)과, 광대역 통합망(10)에 연결된 라우터(120)와, 중앙 집중형 자원관리부(130)와, SIP 서버(140) 및 인증 서버(1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품질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이동 단말(111)에 포함된 패킷 생성부(111)와, 접속 라우터(120)에 포함된 서비스 및 정책 수행부(121)와, 중앙집중형 자원관리부(130)에 포함된 서비스 및 정책 관리부(131) 및 서비스 및 정책 반영부(132)를 구비함으로써, DSCP 필드를 이용하여 IP 서비스품질을 제공하 기 위해 기능을 분산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서비스품질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 이동 단말이 현재 접속망에서 다른 접속망(타 사업자 이동망)으로 이동하여 핸드오버가 발생하면, 끊김 없이 서비스품질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핸드오버 시의 광대역 통합망의 구조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러한 경우의 서비스품질 제공은 인증서버(150) 및 SIP 서버(140)와 연동하여 인증과정 또는 IP 주소를 변경 시 DSCP 필드를 수정하여 적용함에 따라 다른 접속망(20b)에서도 서비스품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DSCP 필드는, IPv4의 IP 헤더(Header) 내 TOS 필드 혹은 IPv6의 Traffic Class 필드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Pv4의 TOS 필드 혹은 IPv6 Class 필드는 접속 라우터에 의해 IP 패킷이 중간 경유 라우터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전달될지를 구분하여 이를 표시하는 필드이다.
이러한 DSCP 필드는 TOS필드의 하위 2비트는 사용하지 않고, 상위 6비트를 사용한다. 상기 상위 6비트에 할당된 값이 패킷이 경유하는 라우터에서 패킷이 전달되는 순서(패킷 스케쥴링)와 버퍼 할당과 같은 패킷 전달 방식을 결정하게 되며, 패킷이 다른 도메인(접속망)에 전달되면서 재 기록될 수 있다.
그러면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서비스품질 제공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초기 망 설계 시 운용되는 서비스 및 정책 정의 과정과, SIP 서버를 통한 호 승인 시 자원 할당 과정과, 핸드오버 발생 시 처리 과정 등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SIP 서버를 통한 호 승인 시 자원 할당 과정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내용(표준ITU-T, IETF에 명시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나머지 과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품질 제공 시스템에서 초기 망 설계 시 운용되는 서비스 및 정책 정의를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210단계에서 중앙 집중형 관리부(130)는 상기 서비스 및 정책 관리부(131)를 통해 망에 적용해야 할 서비스 및 정책을 정의한다. 이때, 사업자가 다른 접근 망이 존재하면 사업자 별 각각의 서비스를 정의한다.
그러면 220단계에서 중앙 집중형 관리부(130)는 서비스 및 정책 반영부(132)를 통해 정의된 서비스 및 정책에 따른 서비스품질 변수를 DSCP 필드로 반영한다. 그런 다음 230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및 정책 반영부(132)는 상기 반영된 DSCP 필드와 서비스품질 변수를 접속 라우터(120)내의 서비스 및 정책 수행부(121)로 전송하여 상기 접속 라우터(120)에 적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및 정책 수행부(121)는 수신되는 패킷의 DSCP 필드를 보고 세션별로 서비스품질 변수에 맞는 대역폭을 보장하고, 링크에 역량(capacity)을 초과하는 최초의 세션이 들어오면 이를 거절(drop)하여 기 설정된 세션에 혼잡을 주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핸드오버 발생 시 처리 과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품질 제공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발생 시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110)이 이동하여 핸드오버가 발생하면, 이동 단말(110)은 핸드오버 준비 요청 메시지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인증 서버(150)는 310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준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면, 320단계에서 게이트 제어를 위해 허가 여부를 판단한다. 그런 다음 인증 서버(150)는 330단계에서 상기 중앙 집중형 관리부(130)에서 정의된 방문 접속망(20b)에 상응하는 DSCP 필드 값을 파악한 후, 340단계에서 파악된 DSCP 필드 값을 장비와 이동 단말(110)에 적용한다. 이때, 광대역 통합망(BcN)의 접속망(20a)이 IPv4를 지원하면, DSCP 서버(도시되지 않음)와 연동하여 새로운 IP 주소를 얻고, 이렇게 얻은 주소에 대한 패킷의 TOS 필드를 방문하는 접속망(20b)에 상응하는 DSCP 필드로 리마킹(remarking)한다. 또한, 상기 광대역 통합망(BcN)의 현재 접속망(20a)이 IPv6을 지원하면 해당 주소의 트래픽 클래스(Traffic class) 필드를 방문 접속망(20b)에 상응하는 DSCP 필드로 리마킹(remarking)한다.
이후, 350단계에서 인증 서버(150)는 핸드오버 준비 요청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110)로 전송한다. 그런 다음 360단계에서 상기 인증 서버(150)는 이동 단말(110)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380단계에서 핸드오버 수행하고, 상기 이동 단말(110)로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런 다음 390단계에서 인증 서버(150)는 이전 접속망(홈망)(20a) 자원을 해제한 후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과정들에서 이용되는 DSCP 필드를 망에 적용하여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두 가지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그 첫 번째는 이동 단말에서 인증 시 DSCP 필드를 마킹하는 메커니즘이고, 두 번째는 접속 라우터(120a, 120b)에 주어진 IP를 분류하여 DSCP 필드를 리마킹하는 메커니즘이다.
상기 첫 번째 메커니즘은 인증 서버(150)에서 인증 후, 이동 단말(110)로 새로운 IP주소를 전송할 때 DSCP 필드를 함께 전송한다. 그러면 이동 단말(110)의 패킷 생성부(111)는 방문 접속망(20b)에서 서비스품질이 보장되도록 상기 수신된 DSCP 필드 값을 패킷의 헤더 내 해당 필드에 마킹하여 상기 방문 접속망(20b)을 통해 전송할 패킷을 생성한다. 만약, IPv6인 경우에는 인증 후, 인증 서버(150)는 이동 단말(110)로 방문 접속망(20b)의 DSCP 필드를 보내어 상기 이동 단말(110)에서 이를 마킹하도록 한다.
상기 두 번째 메커니즘은 인증 후, 중앙 집중형 자원관리부(130)는 SIP 서버(140)와 연동하여 얻은 IP 정보인 5 튜플(tuple) 정보(소스 IP 주소, 목적 IP 주소, 소스 포트 번호, 목적 포토 번호, 프로토콜 번호)를 기반으로 접속 라우터(120)에 DSCP 필드 값을 분류하여 리마킹하도록 설정한다. 이에 따라 접속 라우터(120)는 이동 단말(110)에서 들어온 패킷의 5 tuple을 보고 상기 설정된 DSCP 필드 값을 리마킹한다.
이와 같은 경우, DSCP 1일 때 600Kbps의 서비스품질을 보장받을 수 있는 접속망(20a)에서 DSCP가 3일 때 600Kbps의 서비스품질을 보장받을 수 있는 접속 망(20b)으로 이동 단말(110)이 이동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첫 번째 메커니즘에서는 이동 단말(110)이 핸드오버한 후 접속망(20b)에 알맞은 DSCP 필드를 마킹한 패킷을 생성해서 접속하므로 서비스 품질을 보장받을 수 있다. 그리고 두 번째 메커니즘에서는 중앙 집중형 관리부(130)가 접속망(20b)의 접속 라우터(120b)에 이동 단말(110)에 부여된 5 tuple 정보 기반으로 DSCP를 1에서 3으로 리마킹 설정 명령을 내린다. 이에 따라 접속 라우터(120b)는 이를 수행하여 서비스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두 메커니즘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보장함으로써 끊김 없는 핸드오버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비스품질을 보장하는 끊김 없는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해 DSCP 필드를 이용함으로써 서비스 및 정책에 맞게 서비스품질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망 설계를 정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DSCP 필드를 이용함으로써 이동 IP망 상황에 따라 적용할 수 있고, 핸드오버 시 경로 밀착 서비스품질 시그널링을 재구동하는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으며, 인증 과정 및 IP 주소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DSCP 필드를 수정(리마킹)함으로써 타 사업자 접속망에서도 서비스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중앙 집중형 자원관리부에서, 초기 망 설계 시 서비스 및 정책을 정의하는 과정과,
    상기 정의된 서비스 및 정책에 따른 서비스 품질 변수를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차등 서비스 코드 포인트(DSCP) 필드로 반영하는 과정과,
    상기 반영된 DSCP 필드 및 상기 서비스 품질 변수를 관리하는 망 내의 접속 라우터에 적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IP)를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라우터에서, 수신된 DSCP 필드를 통해 세션별로 상기 서비스 품질 변수에 맞는 대역폭을 보장하는 과정과,
    링크의 용량을 초과하는 최초의 세션이 들어오면 상기 들어온 최초의 세션을 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방법.
  3. 광대역 통합망에 접속된 임의의 접속망 내의 이동 단말이 방문 접속망으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상기 방문 접속망의 차등 서비스 코드 포인트(DSCP) 필드를 결정하는 과정과,
    인증서버에서 상기 핸드오버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방문 접속망에 대한 새로운 IP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파악된 DSCP 필드를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새로운 IP 정보 전달 시 함께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전달받은 DSCP 필드를 헤더의 해당 필드에 마킹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전달받은 DSCP 필드가 마킹된 헤더를 포함하여 상기 방문 접속망을 통해 서비스품질을 보장하면서 전송할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을 이용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악된 방문 접속망의 DSCP 필드는 홈망과 동일한 서비스 품질을 갖는 DSCP 필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방법.
  5. 핸드 오버 시, 중앙 집중형 자원 관리부가 상기 방문 접속망의 라우터에 새로 전달 받은(IPv4) 또는 새로 진입을 요구하는(IPv6) 경우 해당 5 튜플(tuple) 정보에 적합한 서비스 및 정책을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중앙 집중형 자원 관리부에서 상기 전송할 패킷의 헤더 내에 마킹된 상기 DSCP 필드를 상기 해당 5 튜플(tuple)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DSCP 필 드 값으로 리마킹을 결정하고, 상기 접속망 라우터가 이를 반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SCP 필드는 초기 망 설계 시 정의된 상기 서비스 및 정책에 따른 서비스 품질 변수를 반영한 DSCP 필드로서 상기 광대역 통합망 내의 접속 라우터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악된 방문 접속망의 DSCP 필드는 홈망과 동일한 서비스 품질을 갖는 DSCP 필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방법.
  8. 초기 망 설계 시 다수의 접속망에 적용할 서비스 및 정책을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서비스 및 정책 및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차등 서비스 코드 포린트(DSCP)를 관리하는 서비스 및 정책 관리부와,
    상기 정의된 서비스 및 정책에 따른 서비스품질 변수를 상기 차등 서비스 코드 포인트(DSCP) 필드에 반영하여 상기 다수의 접속망의 라우터에 적용시키는 서비 스 및 정책 반영부를 갖는 중앙 집중형 자원관리부와,
    상기 적용된 DSCP 필드를 통해 세션별로 상기 서비스 품질 변수에 맞는 대역폭을 보장하고, 링크의 용량을 초과하는 최초의 세션이 들어오면 상기 들어온 최초의 세션을 거절하는 서비스 및 정책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시스템.
  9. 초기 망 설계 시 다수의 접속망에 적용할 서비스 및 정책을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서비스 및 정책에 따른 서비스품질 변수를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차등 서비스 코드 포린트(DSCP)에 반영하여 상기 다수의 접속망의 라우터에 적용시키는 중앙 집중형 자원 관리부와,
    상기 적용된 DSCP 필드를 통해 세션별로 상기 서비스 품질 변수에 맞는 대역폭을 보장하고, 링크의 용량을 초과하는 최초의 세션이 들어오면 상기 들어온 최초의 세션을 거절하는 상기 다수의 접속망의 라우터와,
    이동 단말이 자신의 홈 망에서 방문 접속망으로 핸드오버 시,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새로운 IP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방문 접속망에 적용된 DSCP 필드를 파악하여 상기 새로운 IP 정보 전달 시 함께 전달하는 기법을 포함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전달받은 DSCP 필드를 헤더의 해당 필드에 마킹하여 상기 방문 접속망을 통해 서비스품질을 보장하면서 전송할 패킷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집중형 자원 관리부는 상기 인증 또는 새로운 IP 정보를 획득 시 상기 방문 접속망으로 해당 5 튜플(tuple) 정보를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집중형 자원 관리부는 상기 인증된 상기 5 튜플(tuple)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DSCP 필드를 리마킹함을 결정하고, 상기 접속망 라우터에서 리마킹을 수행(enforcement)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서버에서 파악된 상기 방문 접속망에 적용된 DSCP 필드는 현재 접속망과 동일한 서비스 품질을 갖는 DSCP 필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시스템.
KR1020060096426A 2006-09-29 2006-09-29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48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426A KR100748095B1 (ko) 2006-09-29 2006-09-29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1/904,529 US7889693B2 (en) 2006-09-29 2007-09-2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QoS i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deploying mobile 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426A KR100748095B1 (ko) 2006-09-29 2006-09-29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095B1 true KR100748095B1 (ko) 2007-08-09

Family

ID=3860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426A KR100748095B1 (ko) 2006-09-29 2006-09-29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89693B2 (ko)
KR (1) KR100748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22432B (zh) * 2008-01-23 2011-08-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资源接纳控制的方法
US8009554B2 (en) * 2008-03-13 2011-08-30 Aspen Networks, Inc. Method for multiple link quality of service for voice and video over internet protocol
US8832208B2 (en) * 2008-08-18 2014-09-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andling of aggregate maximum bit rate by policy and charge control
US20110142058A1 (en) * 2009-12-10 2011-06-16 Telcordia Technologies, Inc. Bridge protocol for flow-specific messages
CN102791007B (zh) * 2011-05-17 2017-08-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
CN103096314B (zh) * 2011-11-01 2018-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反射QoS机制的方法、系统和PCRF
CN104137605A (zh) * 2012-11-15 2014-11-05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US9294973B2 (en) * 2014-04-04 2016-03-22 T-Mobile Usa, Inc. Peer-based handoff performance measurement
US10097546B2 (en) * 2015-07-22 2018-10-0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uthentication of a user device using traffic flow information
US20170085494A1 (en) * 2015-09-18 2017-03-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nverged network system independent of access scheme, and method thereof
CN114500384A (zh) * 2020-11-11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系统和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826A (ja) * 2001-06-22 2003-01-07 Sansei R & D:Kk 遊技機
US6661780B2 (en) 2001-12-07 2003-12-09 Nokia Corporation Mechanisms for policy based UMTS QoS and IP QoS management in mobile IP networks
KR20060027919A (ko) * 2004-09-24 2006-03-29 주식회사 케이티 범용 단말기에서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트래픽 전송 방법
JP2006245691A (ja) 2005-02-28 2006-09-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QoS設定発行システム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2179B1 (en) 1999-02-26 2005-09-14 Lucent Technologies Inc. Mobile IP supporting quality of service
US7272651B1 (en) * 2001-08-28 2007-09-18 Cisco Technology, Inc. RSVP transmitter proxy
US7266121B2 (en) * 2002-12-27 2007-09-04 Nokia Corporation Flow labels
JP4197629B2 (ja) * 2003-07-01 2008-12-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および移動局
KR100853045B1 (ko) * 2003-08-14 2008-08-19 텔코디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자동 ip 트래픽 최적화
GB0323453D0 (en) * 2003-10-07 2003-11-05 Nokia Corp Quality of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s
KR100686834B1 (ko) 2004-08-05 2007-02-23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터널 생성시 QoS 제공방법
US7369856B2 (en) 2004-11-24 2008-05-0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to support fast hand-over of mobile subscriber stations in broadband wireless networks
PL1869929T3 (pl) * 2005-04-13 2016-06-30 Vringo Infrastructure Inc Techniki zarządzania zasobami łącza radiowego w sieciach bezprzewodowych przenoszących ruch pakietow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826A (ja) * 2001-06-22 2003-01-07 Sansei R & D:Kk 遊技機
US6661780B2 (en) 2001-12-07 2003-12-09 Nokia Corporation Mechanisms for policy based UMTS QoS and IP QoS management in mobile IP networks
KR20060027919A (ko) * 2004-09-24 2006-03-29 주식회사 케이티 범용 단말기에서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트래픽 전송 방법
JP2006245691A (ja) 2005-02-28 2006-09-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QoS設定発行システム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2003.08.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30574A1 (en) 2008-06-05
US7889693B2 (en) 201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095B1 (ko)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22707B1 (ko) 통합망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품질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70238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ata in a GPRS network based on a plurality of traffic classes
US72252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application-specific flows and assigning them to queues
JP4520705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EP2033451B1 (en) Qos-aware service flow mapping in mobile wireless all ip networks
US7209439B2 (en) Pool-based resource management in a data network
US7796608B2 (en) Edge-based per-flow QoS admission control in a data network
US20010027490A1 (en) RSVP handling in 3G networks
US2007028620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all Admission Control and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Packet-Based Networks
US20020152319A1 (en) Accounting management support based on QOS in an IP centric distributed network
US20020194369A1 (en) Policy-based synchronization of per-class resources between routers in a data network
US20060203773A1 (en) Method and mechanism for managing packet data links in a packet data switched network
KR20070118535A (ko) 제 1 네트워크 내 송신국과 제 2 네트워크 내 수신국사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제 1 네트워크 내 송신국과 제2 네트워크 내 수신국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JP2009105949A (ja) QoS制御を実行することが可能な端末
KR100525345B1 (ko) 차등 서비스망에서 플로우 클래스 갱신장치 및 갱신방법
KR100879164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 관리를 위한 결합 메커니즘
KR100811889B1 (ko) 광대역 통합망에서 단-대-단 서비스 품질 보장 방법
Qian et al. Study of QoS in UTRAN
Du et al. Dynamic Service Negotiation for Ensuring the Quality of Experience in Nex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lila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NGN prototype using WiMax as an Access Technology
AU2002244323A1 (en) Edge-based per-flow QoS admission control in a data network
AU2002244313A1 (en) Pool-based resource management in a dat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