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787B1 - Complex button assembly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 - Google Patents

Complex button assembly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787B1
KR100745787B1 KR1020050115604A KR20050115604A KR100745787B1 KR 100745787 B1 KR100745787 B1 KR 100745787B1 KR 1020050115604 A KR1020050115604 A KR 1020050115604A KR 20050115604 A KR20050115604 A KR 20050115604A KR 100745787 B1 KR100745787 B1 KR 100745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jog
frame
composit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56652A (en
Inventor
이석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5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787B1/en
Priority to US11/605,285 priority patent/US7812271B2/en
Publication of KR20070056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6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7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부(21')가 형성되고 구획리브(27)에 의해 상기 관통부(21')가 구획되어 구성되는 버튼프레임(21)과, 상기 버튼프레임(21)에 중간부 양측이 지지되어 설치되고 양단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버튼부(36,36')가 탄성변형가능하게 상기 버튼프레임(21)에 지지되어 스위치(17')의 조작을 수행하는 버튼체(34)와, 상기 버튼체(34)의 중간부분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버튼프레임(21)에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별도의 스위치(46)의 조작을 수행하는 조그버튼(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에 의하면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버튼이 멀티미디어기기의 일측에 집합되어 있어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게 되고, 각각의 버튼의 동작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일측 버튼의 조작이 타측 버튼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되어 있어 제품의 조작 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button assembly of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netrating portion 21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button frame 21, and the penetrating portion 21' is defined by the partition rib 27, and the button frame 21 is intermediate to the button frame 21. Button body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first 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ortion (36,36 ') provided at both ends is supported on the button frame 21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7' And a jog button 50 which is exposed through the middle portion of the button body 34 and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button frame 21 to perform an operation of a separate switch 46.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ccording to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of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 button having various functions is aggregated on one side of the multimedia device to facilitate a user's operation, and the operation of each button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It is designed so that the operation of one button does not affect the operation of the other button, thereby increasing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product.

휴대, 멀티미디어, 조그버튼, 누름버튼 Mobile, Multimedia, Jog Button, Push Button

Description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Complex button assembly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Complex button assembly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버튼어셈블리가 채용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employing a composite butt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복합버튼어셈블리가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에서 분리되어 분해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the portable multimedia device.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복합버튼어셈블리가 채용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조작하는 것을 보인 조작상태도.Figure 4 is an operation state showing that the user is holding the handheld multimedia device employing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hand.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버튼체의 누름버튼부를 조작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Fig. 5A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unit of the button bod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조그버튼을 조작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5B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jog butt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케이스 12: 프레임10: case 12: frame

13: 전면판 14: 배면판13: front panel 14: back panel

16: 표시부 17: 메인기판16: Display part 17: Main board

17': 스위치 18: 누름버튼17 ': switch 18: pushbutton

20: 복합버튼어셈블리 21: 버튼프레임20: Composite Button Assembly 21: Button Frame

21': 관통부 23: 걸이리브21 ': penetration 23: hook rib

25: 체결편 27: 구획리브25: fastening piece 27: compartment rib

27': 체결리브 28: 가이드편27 ': Tightening rib 28: Guide piece

30: 지지단 32: 회전중심핀30: support end 32: rotation center pin

34: 버튼체 36,36': 제1 및 제2 버튼부34: button body 36,36 ': first and second button portions

38: 탄성레그 38': 핀공38: Elastic Leg 38 ': Pin Hole

40: 안착리브 42: 조그윈도우40: seating rib 42: jog window

44: 조그기판 45: 체결공44: jog board 45: fastener

46: 스위치 50: 조그버튼46: switch 50: jog button

52: 가이드리브 54: 돌기안착부52: guide rib 54: projection seat

56: 걸이돌기 58: 걸이후크56: hook hook 58: hook hook

본 발명은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기기의 조작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버튼을 구비한 복합버튼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button assembly having a variety of buttons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multimedia device.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외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케이스(1)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멀티미디어기 기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는 전면과 배면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데, 상기 전면에 표시부(3)가 구비된다. 상기 표시부(3)는 멀티미디어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실행에 따른 영상이 표시되는 부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is, the case 1 forms an appearance of the multimedia device in a substantially flat hexahedral shape. The case 1 has a relatively large area in the front and the rear surface, the display unit 3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The display unit 3 is a portion in which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multimedia apparatus or an image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multimedia file is displayed.

상기 표시부(3)의 하부에 해당되는 케이스(1)의 저면 하부에는 조그버튼(5)이 구비된다. 상기 조그버튼(5)는 그 움직이는 방향 및 움직인 정도 등에 따라 원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움직이지 않고 정중앙에 위치된 상태에서 눌러짐에 의해서도 원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A jog button 5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case 1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display unit 3. The jog button 5 may perform the desired control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degree of movement thereof, and may also perform the desired control by being pressed in a state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center without moving.

상기 케이스(1)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누름버튼(7)이 설치된다. 상기 누름버튼(7)들은 각각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것, 동작모드를 바꾸는 것 등이 있다. 상기 케이스(1)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연결잭(9)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잭(9)을 통해서는 외부기기와의 연결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이어폰, 마이크, 리모콘 등이 각각의 연결잭(9)에 연결되어 사용된다.A plurality of push buttons 7 ar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ase 1. Each of the push buttons 7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For example, turning the power on and off, changing the operation mode, and the like. A plurality of connection jacks 9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is performed through the connection jack 9. For example, earphones, microphones, remote controls and the like are used to connect to each connection jack (9).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잡고 손가락들을 사용하여 상기 조그버튼(5)이나 누름버튼(7) 등을 조작하면서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조그버튼(5)을 조작하도록 엄지손가락을 케이스(1)의 전면에 두고, 검지손가락은 케이스(1)의 측면에 구비되는 누름버튼(7)을 조작하고, 나머지 3개의 손가락과 손바닥의 일부를 사용하여 케이스(1)를 잡게 된다.The conventional portable multimedia apparatu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used while the user manipulates the jog button 5 or the push button 7 by using the fingers with one hand. In general, the thumb is placed on the front of the case (1) to operate the jog button (5) with the thumb of the right hand, the index finger operates the push button (7)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ase (1), the remaining 3 The case 1 is held by using the four fingers and a part of the palm.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에서는 다 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ortable multimedia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엄지손가락으로 조그버튼(5)을 조작하고 검지손가락으로 측면의 누름버튼(7)을 조작하는 경우 케이스(1)를 나머지 손가락과 손바닥 일부만으로 지지하여 잡아야 하므로 멀티미디어기기를 안정적으로 잡을 수 없어 조작중에 멀티미디어기기를 놓쳐 낙하되어 파손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First, when operating the jog button (5) with the thumb and the push button (7) on the side with the index finger, the case (1) must be supported by only the rest of the fingers and palms, so you cannot hold the multimedia device stab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ultimedia equipment is missed during the operation and falls, causing damage.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네 손가락과 손바닥을 이용하여 케이스(1)를 지지하여 잡고, 엄지손가락을 움직여 조그버튼(5)과 누름버튼(7)을 조작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엄지손가락의 동선이 길어 조작에 상대적으로 시간이 많이 걸리는 불편한 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by holding the case 1 using four fingers and palms except the thumb, the jog button 5 and the push button 7 can be operated by moving the thumb.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a long movement of the thumb is relatively long.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그버튼(5)과 누름버튼(7)이 서로 별개로 구성됨에 의해 이들 버튼(5,7)을 구성하는 부품도 별도로 설계되어야 하고, 조립작업도 각각 별개로 이루어져야 하는 등의 제작상에 불편한 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jog button 5 and the push button 7 are separatel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arts constituting these buttons 5 and 7 should be designed separately, and the assembling work should be made separately. It is also inconvenient in produ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버튼을 모아서 구성된 복합버튼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composite button assembly configured by collecting buttons having various functio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합버튼어셈블리에서 일측 버튼의 조작이 타측 버튼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manipulation of one button does not affect the operation of the other button in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 은 멀티미디어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복합버튼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의 메인기판에 실장되는 스위치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부가 형성되며 구획리브에 의해 관통부가 구획되어 구성되는 버튼프레임과, 상기 버튼프레임에 중간부 양측이 지지되어 설치되고 양단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버튼부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의 조작을 수행하는 버튼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constituting the appearance of the multimedia device in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or operation, the inside of the case A switch mounted on the main board, a button frame coupled to the case and penetrating through the inner part, and having a penetrating part partitioned by partition ribs, and both sides of the middle part being supported and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button frame. It comprises a button body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ortion provided in the.

상기 버튼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버튼체의 중간부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1버튼부와 제2버튼부의 탄성변형의 기준점이 되는 회전중심핀이 구비된다.The inside of the button frame is provided with a supporting end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button body, the center of rotation pin is provided as a reference point of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first button portion and the second button portion.

상기 버튼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버튼부 선단 하면 양측에는 상기 버튼부에서 연장되어 버튼부와 나란하게 탄성레그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레그의 선단에는 상기 회전중심핀이 관통하는 핀공이 형성된다.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ortion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utton body are provided with elastic legs extending from the button portions to be parallel to the button portions, and the rotation center pins penetrating at the ends of the elastic legs. A ball is formed.

상기 버튼체의 중간에는 조그윈도우가 형성되고, 상기 조그윈도우에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상기 버튼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그버튼이 더 구비된다.A jog window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button body, and the jog window is further provided with a jog button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button frame in at least one direction to operate a switch.

상기 버튼프레임의 구획리브에는 가이드편이 각각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편과 구획리브의 사이에 상기 조그버튼의 양단에 구비되는 가이드리브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편의 상단과 조그버튼의 하면은 서로 대응되는 곡면으로 된다.The guide ribs are provided in parallel in the partition rib of the button frame, and guide rib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jog button are inserted between the guide piece and the partition rib so as to be movable, and the upper end of the guide pie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jog button are The curved surfaces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조그버튼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는 상기 버튼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조그기판상에 실장된다.The switch operated by the jog button is mounted on a jog board fixed to the button fram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부가 형성되고 구획리브에 의해 상기 관통부가 구획되어 구성되는 버튼프레임과, 상기 버튼프레임에 중간부 양측이 지지되어 설치되고 양단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버튼부가 탄성변형가능하게 상기 버튼프레임에 지지되어 스위치의 조작을 수행하는 버튼체와, 상기 버튼체의 중간부분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버튼프레임에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별도의 스위치의 조작을 수행하는 조그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the penetrating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and the penetrating part is formed by the partition rib, and the button fram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part is supported and installed at both ends First and second button parts are elastically deformable, the button body is supported by the button frame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switch, and exposed through the middle portion of the button body and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to the button frame separatel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jog button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switch.

상기 버튼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구획리브의 면에는 구획리브와 평행하게 가이드편이 형성되어 상기 조그버튼의 이동을 안내하는데, 상기 가이드편과 구획리브의 사이에는 상기 조그버튼의 하면 양단에 구비되는 가이드리브가 위치된다.The guide ribs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partition ribs facing each other of the button frame in parallel with the partition rib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jog button. The guide rib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jog button between the guide pieces and the partition ribs. Is located.

상기 가이드편의 상단과 상기 조그버튼의 하면은 서로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An upper end of the guide pie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jog button are formed to have curved surfa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상기 버튼체의 제1 및 제2 버튼부의 선단 하면 양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와 나란히 연장되게 탄성레그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레그의 선단에 각각 형성된 핀공에는 상기 버튼프레임의 관통부 내면에 형성된 회전중심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의 탄성변형 기준점이 된다.An elastic leg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ortions of the button body so as to extend in parallel with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ortions, and an inn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button frame is formed in each of the pin hole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leg. The rotation center pin is formed in the elastic deformation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ortion.

상기 버튼체의 중간부 양단에는 안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프레임의 관통부 내면 양측에는 상기 안착리브가 안착되는 지지단이 더 구비된다.Mounting rib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button body, and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button frame are further provided with support ends on which the mounting ribs are seated.

상기 버튼프레임의 하단부에는 멀티미디어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결합되는 걸이리브와 체결편이 더 구비된다.The lower end of the button frame is further provided with a hook rib and the coupling piece coupled to the case constituting the appearance of the multimedia device.

상기 버튼프레임의 구획리브에는 체결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조그버튼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가 실장된 조그기판이 체결된다.A fastening rib is formed on the partition rib of the button frame, and a jog board on which a switch operated by the jog button is mounted is fastened.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에 의하면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버튼이 멀티미디어기기의 일측에 집합되어 있어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게 되고, 각각의 버튼의 동작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일측 버튼의 조작이 타측 버튼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되어 있어 제품의 조작 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도 있다.According to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of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 button having various functions is aggregated on one side of the multimedia device to facilitate a user's operation, and the operation of each button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It is designed so that the operation of one button does not affect the operation of the other button, thereby increasing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product.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composite button assembly of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버튼어셈블리가 채용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외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복합버튼어셈블리가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에서 분리된 상태의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ternal appearance of a portable multimedia apparatus employing a composite butt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the portable multimedia device. .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케이스(10)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케이스(10)는 전면과 배면이 대략 장방형으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진다. 상기 케이스(10)의 양측면은 평면으로 되나, 상면과 하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ase 10 has a substantially flat hexahedron shape. The case 10 has a relatively large area in the front and the back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Both sides of the case 10 are planar, bu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curved surfaces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상기 케이스(10)는 프레임(12), 전면판(13) 및 배면판(14)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2)은 케이스(10)의 골격과 양측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13)은 상기 프레임(12)에 장착되고 케이스(10)의 전면과 하면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배 면판(14)은 상기 프레임(12)에 장착되고 케이스(10)의 배면과 하면 일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판(13)과 배면판(14)의 하단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된다.The case 10 includes a frame 12, a front plate 13, and a back plate 14. The frame 12 forms the skeleton of the case 10 and both side surfaces thereof. The front plate 13 is mounted to the frame 12 and forms part of the front and bottom surfaces of the case 10. The back plate 14 is mounted to the frame 12 and forms part of the back and bottom surfaces of the case 10. Therefore, the lower ends of the front plate 13 and the back plate 14 are curved surfaces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참고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10)의 구성이 반드시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케이스(10)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면 되고, 예를 들어 하면이 반드시 곡면으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For reference, the configuration of the case 1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the same as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at is, the case 10 may be a substantially flat hexahedral shape,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 curved surface.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는 표시부(16)가 구비된다. 상기 표시부(16)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예를 들면 액정패널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판(13)의 일부가 투명하게 되어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된 내용이 케이스(10)의 전면으로 보이도록 된 것이다. 상기 표시부(16)에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동작상태나 멀티미디어 파일의 실행에 따른 영상 등이 표시된다.The front of the case 10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6. The display unit 16 is configured by,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panel provided inside the case 10, and a part of the front panel 13 is transparent so that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are displayed in the case 10. ) Is to be seen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16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the multimedia apparatus or an image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multimedia file.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메인기판(17)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기판(17)은 상기 전면판(13) 및 배면판(14)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2)에 직접 고정되거나 상기 액정패널에 고정되어 프레임(12)에 장착된다. 상기 메인기판(1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및 제2 버튼부(36,36')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17')가 설치된다.The main board 17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10. The main board 17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front plate 13 and the rear plate 14, and is directly fixed to the frame 12 or fixe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mounted on the frame 12. The main board 17 is provided with a switch 17 'ope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arts 36 and 36',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케이스(10)의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누름버튼(1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누름버튼(18)은 멀티미디어 기기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누름버튼(18)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도 상기 메인기판(17)에 실장된다.A plurality of push buttons 18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10. The push button 18 is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of the multimedia device. A switch (not shown) operated by the push button 18 is also mounted on the main board 17.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을 구성하도록 복합버튼어셈블리(20)가 구비된다. 상기 복합버튼어셈블리(20)는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에 구비되어 멀티미디어 기기의 동작수행을 위한 각종 명령을 입력받게 된다. 상기 복합버튼어셈블리(20)의 구성을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20 is provided to form an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20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case 10 to receive various commands for operating the multimedia device.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버튼프레임(21)은 복합버튼어셈블리(20)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버튼프레임(21)은 물론 상기 케이스(1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버튼프레임(21)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부(21')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에 장착된다.The button frame 21 forms a skeleton of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20. The button frame 21 of course also serves to form the upper appearance of the case 10. The button frame 2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e button frame 21 penetrates through the inside thereof and is provided with a through portion 21 'and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case 10.

상기 버튼프레임(21)을 케이스(10)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버튼프레임(21)에는 상기 전면판(13)과 대응되는 부분에 걸이리브(23)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걸이리브(23)는 상기 전면판(13)의 상단 배면에 걸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걸이리브(23)의 선단에는 걸이턱(23')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전면판(13)에는 걸이턱(23')이 걸어지는 구성이 구비된다.The configuration for mounting the button frame 21 to the case 10 will be described. The button frame 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ok ribs 23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plate (13). The hook rib 23 is hooked to the top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13. To this end, a hook chin 23 ′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hook rib 23. Of course, the front plate 13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that the hanging jaw (23 ') is hooked.

상기 버튼프레임(21)중 상기 프레임(12)의 후단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또 다른 걸이리브(24)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리브(24)는 상기 프레임(12)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버튼프레임(21)중 상기 배면판(14)과 대응되는 부분에 체결편(25)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25)은 상기 배면판(14)을 프레임(12)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나사(도시되지 않음)가 관통하는 부분이다.Another hook rib 24 is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button frame 21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of the frame 12. The hook rib 24 is a part that is hooked to the frame 12. A plurality of fastening pieces 25 are formed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back plate 14 of the button frame 21. The fastening piece 25 is a portion through which a fastening screw (not shown) for fastening the back plate 14 to the frame 12 passes.

상기 관통부(21')를 구획하도록 구획리브(27)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리브(27)는 두 개가 상기 관통부(21')를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한다. 상기 구획리 브(27)에는 각각 체결리브(27')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27')는 상기 구획리브(27)의 서로 마주보지 않는 면에 형성된다. Compartment ribs 27 are provided to partition the through part 21 '. Two partition ribs 27 allow the penetrating portion 21 'to be divided into three spaces. Fastening ribs 27 'are formed on the partition ribs 27, respectively. The fastening ribs 27 'are formed on surfaces of the partition ribs 27 that do not face each other.

상기 구획리브(27)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가이드편(28)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편(28)은 각각 상기 구획리브(27)와 나란히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편(28)은 그 하단부가 상기 구획리브(27)에 일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구획리브(27)와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편(28)의 상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그버튼(5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Guide pieces 28 are formed on surfaces of the partition ribs 27 that face each other. The guide pieces 28 ar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compartment ribs 27, respectively. The lower end of the guide piece 28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artition rib 27, and the remaining part thereof is parallel to the partition rib 27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upper end of the guide piece 28 is formed round. This i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jog button 5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버튼프레임(21)의 내면중 상기 구획리브(27)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서로 마주보게 지지단(3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30)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튼체(34)를 지지하는 부분이다.A support end 30 is formed to face each other between the partition ribs 27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frame 21. The support end 30 is a part for supporting the button body 34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버튼프레임(21)의 내면중 상기 구획리브(27)와 버튼프레임(21)의 양단부 사이에는 각각 상기 구획리브(27)에 인접하여 회전중심핀(32)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중심핀(32)은 상기 버튼프레임(21)의 내면에 서로 마주보게 돌출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총 4개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중심핀(32)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튼체(34)의 탄성변형 기준점이 된다.Rotating center pins 32 are provided between the compartment ribs 27 and both ends of the button frame 21 in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frame 21 adjacent to the compartment ribs 27, respectively. The rotation center pin 32 is projected to face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frame 21, a total of four ar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center pin 32 is the elastic deformation reference point of the button body 34 to be described below.

버튼체(34)는 상기 버튼프레임(21)의 관통부(21')에 안착된다. 상기 버튼체(34)는 측면에서 볼 때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되도록 형상이 만들어진다. 상기 버튼체(34)에는 그 양단에 제1버튼부(36)와 제2버튼부(36')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버튼부936)와 제2버튼부(36')는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들 버튼 부(36,36')는 각각 사용자가 눌러 상기 스위치(17')를 조작하는 부분이다.The button body 34 is seated on the penetrating portion 21 ′ of the button frame 21. The button body 34 is shaped to be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button body 34 is provided with a first button part 36 and a second button part 36 'at both ends thereof. The first button portion 936 and the second button portion 36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These button sections 36 and 36 'are portions where a user presses to operate the switch 17', respectively.

상기 버튼부(36,36')의 선단부 하단 양측에는 각각 탄성레그(38)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레그(38)는 상기 버튼부(36,36')의 선단부에서 반대쪽 버튼부(36',36)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탄성레그(38)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가능한 것이다. 상기 탄성레그(38)의 각각의 선단에는 상기 회전중심핀(32)이 관통하는 핀공(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공(38')에 상기 회전중심핀(32)이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36,36')가 눌러지면 상기 탄성레그(38)가 탄성변형되면서 버튼부(36,36')가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상기 스위치(17')를 눌러줄 수 있게 된다.Elastic legs 38 are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ends of the button parts 36 and 36 ', respectively. The elastic legs 38 extend from the leading ends of the button parts 36 and 36 'toward the opposite button parts 36' and 36. The elastic leg 38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view of its material and shape. At each end of the elastic leg 38, a pin hole 38 'through which the rotation center pin 32 passes is formed. When the button parts 36 and 36 'are pressed while the rotation center pin 32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pin hole 38', the elastic legs 38 are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button parts 36 and 36 'are pressed. ) Is relatively lowered to press the switch 17 '.

따라서, 상기 핀공(38')에 삽입된 상기 회전중심핀(32)을 기준으로 상기 버튼체(34)의 버튼부(36,36')의 탄성변형이 만들어진다. 즉, 상기 회전중심핀(32)에서 시작해서 상기 버튼체(34) 양단부의 상기 버튼부(36,36')의 탄성변형이 일어난다. 다시 말해 상기 회전중심핀(32)은 일측 단부의 버튼부(36,36')가 눌러져 탄성변형되었을 때, 타측 단부의 버튼부(36',36)측이 탄성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상기 안착리브(40)와 함께 수행한다.Therefore, elastic deformation of the button parts 36 and 36 'of the button body 34 is made based on the rotation center pin 32 inserted into the pin hole 38'. That is,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button parts 36 and 36 'at both ends of the button body 34 occurs starting from the rotation center pin 32. In other words, the rotation center pin 32 has a role of preventing the button portion 36 ', 36 side of the other end from being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button portions 36, 36' of one end thereof are pressed and elastically deformed. Perform with rib 40.

그리고, 예를 들어, 제1버튼부(36)가 눌러져 탄성변형될 때 제2버튼부(36')측의 회전중심핀(32)은 제2버튼부(36')가 버튼프레임(21)의 통공부(21')에서 지나치게 돌출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button part 36 is pressed and elastically deformed, the rotation center pin 32 of the second button part 36 ′ has the second button part 36 ′ of the button frame 21. It serves to support so as not to protrude too much from the through-hole 21 '.

상기 버튼체(34)의 중간 하단 양측에는 상기 버튼프레임(21)의 지지단(30)에 안착되는 안착리브(40)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리브(40)는 상기 버튼체(34)가 상기 버튼프레임(21)에 지지된 상태에서 일측 버튼부(36,36')가 눌러지더라도 타측 버튼부(36,36')가 탄성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Mounting ribs 40 which are seated on the supporting end 30 of the button frame 2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middle of the button body 34. The seating rib 40 does not elastically deform the other button portion 36 or 36 'even when one button portion 36 or 36' is pressed while the button body 34 is supported by the button frame 21. It plays a role of preventing.

상기 버튼체(34)의 중앙에는 조그윈도우(42)가 형성된다. 상기 조그윈도우(42)는 상기 버튼체(34)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것으로 대략 사각형상으로 된다. 상기 조그윈도우(42)는 상기 버튼프레임(21)의 구획리브(27) 사이의 공간과 연통된다. 하지만, 상기 조그윈도우(42)는 상기 구획리브(27)사이의 공간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진다. 즉, 구획리브(27)와 버튼프레임(21)의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가장자리를 둘러쌀 수 있도록 조그윈도우(42)의 형상과 면적이 결정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그버튼(50)이 상기 조그윈도우(4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면서도 조그윈도우(42)를 통해 탈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A jog window 4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utton body 34. The jog window 42 is formed to penetrate the button body 34 up and down to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e jog window 42 communicates with the space between the compartment ribs 27 of the button frame 21. However, the jog window 42 has a relatively smaller area than the space between the compartment ribs 27. That is, the shape and area of the jog window 42 are determined so as to surround the edge of the space formed by the edges of the partition rib 27 and the button frame 21. This is to prevent the jog button 50 to be described below from being detached through the jog window 42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jog window 42.

조그기판(44)은 상기 버튼프레임(21)에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조그기판(44)의 양단에는 체결공(45)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45)은 상기 버튼프레임(21)의 체결리브(27')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그기판(44)상에는 스위치(46)가 실장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46)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그버튼(50)에 의해 조작된다. 상기 조그기판(45)은 체결나사(48)에 의해 상기 버튼프레임(21)의 체결리브(27')에 체결된다. 참고로, 상기 조그기판(44)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상기 메인기판(17)에 스위치(46)를 실장할 수도 있다.The jog substrate 44 is mounted on the button frame 21. Fastening holes 45 are bored at both ends of the jog substrate 44. The fastening hole 45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rib 27 ′ of the button frame 21. The switch 46 is mounted on the jog board 44. The switch 46 is operated by the jog button 50 to be described below. The jog substrate 45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ribs 27 'of the button frame 21 by fastening screws 48. For reference, the switch 46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ard 17 without separately using the jog board 44.

조그버튼(50)은 상기 스위치(46)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버튼프레임(21)과 버튼체(34)의 사이에 설치되고, 그 일부가 상기 조그윈도우(4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조그버튼(50)의 하면 양단에는 가이드리브(52)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52)는 상기 구획리브(27)와 가이드편(28)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조그버튼(50)은 대략 곡면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특히 그 하면은 상기 가이드편(28) 상단의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조그버튼(50)은 상기 버튼체(34)에 대해 상기 케이스(10)의 전면과 후면 방향으로 움직이고, 중앙에서 눌러져 상기 스위치(46)를 조작하여 소정의 동작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The jog button 50 is for operating the switch 46,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button frame 21 and the button body 34, and a part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jog window 42. . Guide ribs 52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ttom of the jog button 50. The guide rib 52 is located between the compartment rib 27 and the guide piece 28. The jog button 50 has a substantially curved shape, and in particular, the bottom surface thereof is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guide piece 28. With this configuration, the jog button 50 mov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se 10 with respect to the button body 34, and is pressed in the center to operate the switch 46 to input a predetermined operation command. To receive it.

물론, 상기 조그버튼(50)이 상기 버튼체(34)에 대해 4방(전면방향, 후면방향 및 양측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46)도 이와 같은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Of course, the jog button 50 may be moved in four directions (front direction, rear direction and both sid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button body 34. In such a case, the switch 46 should also use one capable of detecting such an operation.

상기 조그버튼(50)의 상면에는 돌기안착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안착부(54)는 상기 조그버튼(50)의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돌기안착부(54)에는 걸이돌기(56)가 설치된다. 상기 걸이돌기(56)는 사용자가 상기 조그버튼(5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걸이돌기(56)는 그 양단 하면에 걸이후크(58)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58)는 상기 걸이돌기(56)를 상기 돌기안착부(54)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걸이돌기(56)를 상기 조그버튼(5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Protrusion seating portion 54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jog button 50. The protrusion seating part 54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top surface of the jog button 50. The protrusion seating part 54 is provided with a hook protrusion 56. The hook protrusion 56 is to allow a user to easily manipulate the jog button 50. The hook protrusion 56 is provided with hook hooks 58 on both bottom surfaces thereof. The hook hook 58 is for fixing the hook protrusion 56 to the protrusion seating portion 54. Of course, the hook protrusion 56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jog button 50.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of the portable multimedia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복합버튼어셈블리(20)가 조립되는 것을 설명한다. 스위치(46)가 실장된 조그기판(44)을 상기 버튼프레임(21)의 하면에 체결한다. 즉, 상기 조그기판 (44)의 체결공(45)을 관통한 체결나사(48)가 상기 버튼프레임(21)의 체결리브(27')에 체결되게 한다.First,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20 will be described. The jog board 44 on which the switch 46 is mounted is faste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frame 21. That is, the fastening screw 48 penetrating the fastening hole 45 of the jog board 44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rib 27 'of the button frame 21.

다음으로, 상기 버튼프레임(21)상에 상기 조그버튼(50)을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조그버튼(50)의 하면에 구비되는 요입홈(도시되지 않음)에 상기 스위치(46)의 가동부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그버튼(50) 양단에 구비되는 가이드리브(52)가 상기 구획리브(27)와 가이드편(28)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편(28) 상단의 곡면이 상기 조그버튼(50) 하면의 곡면에 대응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조그버튼(50)의 돌기안착부(54)에는 상기 걸이돌기(56)가 이미 결합된 상태이거나 나중에 결합될 수 있다.Next, the jog button 50 is seated on the button frame 21. At this time, the movable portion of the switch 46 is coupled to the recess groove (not shown)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jog button 50. At this time, the guide ribs 52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jog button 50 are positioned between the partition rib 27 and the guide piece 28, and the curved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guide piece 28 is the jog button. 50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For reference, the hook protrusion 56 of the jog button 50 may be coupled to the hook protrusion 56 or later.

상기 조그버튼(50)이 조립된 상태의 버튼프레임(21)에 상기 버튼체(34)를 결합한다. 즉, 상기 버튼프레임(21)의 상부에서 상기 버튼체(34)가 상기 버튼프레임(21)의 통공부(21')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버튼체(34)의 탄성레그(38)에는 상기 회전중심핀(32)이 연결되도록 한다. 즉, 상기 탄성레그(38)의 핀공(38')에 상기 회전중심핀(32)이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버튼체(34)의 안착리브(40)는 또한 상기 버튼프레임(21)의 지지단(30)에 안착된다. The button body 34 is coupled to the button frame 21 in which the jog button 50 is assembled. That is, the button body 34 is seated on the through hole 21 ′ of the button frame 21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frame 21. At this time, the rotation center pin 32 is connected to the elastic leg 38 of the button body 34. That is, the rotation center pin 32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38 ′ of the elastic leg 38. The seating rib 40 of the button body 34 is also seated on the support end 30 of the button frame 21.

이와 같은 복합버튼어셈블리(20)의 조립은 메인 조립라인에 투입되기 전에 미리 수행된다. 따라서, 메인 조립라인에서는 복합버튼어셈블리(20)를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에 장착하기만 하면 된다.Such assembly of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20 is performed in advance before being put into the main assembly line. Therefore, in the main assembly line, it is only necessary to mount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20 on the upper end of the case 10.

즉, 상기 버튼프레임(21)의 걸이리브(23)가 상기 전면판(13)의 배면 상단에 걸어지도록 하고, 상기 체결편(25)은 상기 배면판(14)이 프레임(12)에 체결될 때, 함께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복합버튼어셈블리(20)의 제1버튼부(36)와 제2버튼부(36')는 상기 메인기판(17)의 스위치(17')를 조작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That is, the hook ribs 23 of the button frame 21 is hook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13, the fastening piece 25 is the rear plate 14 is fastened to the frame 12 When to be together. In this case, the first button portion 36 and the second button portion 36 'of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20 are in a state capable of operating the switch 17' of the main board 17.

상기와 같이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에 장착이 완료된 복합버튼어셈블리(20)를 조작하는 것을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합버튼어셈블리(20)는 특히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에 채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전체가 사용자의 한손에 잡힐 수 있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Manipulating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20, which has been mounted on the portable multimedia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ployed in particular in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entire case 10 may be effectively used in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that can be grabbed by a user.

사용자는 케이스(10)의 절반 정도를 손바닥으로 지지하고 검지손가락으로 복합버튼어셈블리(20)를 조작하고, 엄지손가락으로 누름버튼(18)들을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The user supports about half of the case 10 with a palm, manipulates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20 with the index finger, and manipulates the pushbuttons 18 with the thumb. This state is well illustrated in FIG. 4.

이때, 상기 검지손가락은 상기 버튼체(24)의 제1 및 제2 버튼부(36,36')를 눌러 상기 스위치(17')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36,36')가 눌러지는 방향은 도 5a에 화살표 a와 b로 잘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버튼부(36,36')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버튼부(36,36')를 사용자가 누르면, 상기 버튼부(36,36')의 선단이 눌러지면서, 상기 탄성레그(38)도 함께 눌러져 변형된다.At this time, the index finger can operate the switch 17 'by pressing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ortions 36 and 36' of the button body 24. FI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s 36 and 36 'are pressed is shown well by arrows a and b in FIG. 5A. The operation of the buttons 36 and 3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parts 36 and 36 ', the front ends of the button parts 36 and 36' are pressed, and the elastic legs 38 are pressed together to deform.

하지만, 상기 탄성레그(38)의 선단에는 상기 회전중심핀(32)이 끼워져 있어 상기 탄성레그(38)는 상기 회전중심핀(32)을 중심으로 상기 버튼체(34)와 연결되어 있는 부분이 탄성변형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변형은 상기 버튼부(36,36')가 상기 스위치(17')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36,36')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버튼부(36,36')와 탄성레그(38)는 원형으로 복원된다.However, the rotation center pin 32 is fitted to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leg 38 so that the elastic leg 38 is connected to the button body 34 around the rotation center pin 32. Elastic deformation. This modification allows the button portions 36 and 36 'to operate the switch 17'. 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applied to the button parts 36 and 36 ', the button parts 36 and 36' and the elastic leg 38 are restored to a circular shape.

그리고, 상기 버튼체(34)는 그 중간부분의 안착리브(40)가 상기 버튼프레임(21)의 지지단(30)에 안착된다. 따라서, 일측 버튼부(36,36')가 탄성변형될 때, 타측 버튼부(36,36')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특히, 각각의 버튼부(36,36')에 구비되는 상기 탄성레그(38)의 탄성변형 중심이 각각 별개로 되어 있어 더욱 그러하다.In addition, the button body 34 has a seating rib 40 in the middle portion thereof is seated on the support end 30 of the button frame 21. Therefore, when one button portion 36, 36 'is elastically deformed, the other button portion 36, 36' is not affected at all. In particular, the centers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legs 38 provided in the respective button portions 36 and 36 'are separate.

한편, 상기 검지손가락은 상기 버튼체(24)의 조그윈도우(42)를 통해 노출된 조그버튼(50)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조그버튼(50)은 도 5b에 화살표 c와 d로 표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전면방향과 후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그버튼(50)의 이동은 상기 조그버튼(50)이 상기 버튼프레임(21)에 있는 상기 가이드편(28)에 의해 안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스위치(46)의 가동부가 그와 같은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On the other hand, the index finger can operate the jog button 50 exposed through the jog window 42 of the button body 24. The jog button 50 may be moved in the front direction and the rear direction of the case 10, as indicated by arrows c and d in FIG. 5B. This movement of the jog button 50 is because the jog button 50 can be guided by the guide piece 28 in the button frame 21. Of course, this is also because the movable portion of the switch 46 is configured to allow such movement.

한편, 상기 조그버튼(50)은 상기 스위치(46)를 수직하방으로 누르는 방향(도 5b의 화살표 e방향)으로도 동작된다. 즉, 상기 조그버튼(50)의 상면을 사용자가 눌러주면 상기 스위치(46)의 가동부를 상기 조그버튼(50)이 직접 눌러주도록 동작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jog button 50 is also operated in the direction of pressing the switch 46 vertically down (arrow e direction of Fig. 5b).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jog button 50, the jog button 50 directly operates the movable part of the switch 46.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참고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조그버튼(50)을 구비한 복합버튼어셈블리(20) 가 설명되었으나, 상기 조그버튼(50)없이도 복합버튼어셈블리(2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조그버튼(50)과 조그기판(44)등을 없애고, 조그윈도우(42)를 막아주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및 제2 버튼부(36,36')가 각각 눌러지면서 2가지의 동작을 받아 들일 수 있는 복합버튼어셈블리(20)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복합버튼어셈블리(20)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부품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For referenc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20 having the jog button 50 has been described, but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20 may be configured without the jog button 50. In this case, the jog button 50 and the jog substrate 44 may be removed and the jog window 42 may be blocked. 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arts 36 and 36 'are provided with a composite button assembly 20 which can accept two operations while being pressed.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20 can perform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functions with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parts.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of the portabl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복합버튼어셈블리를 미리 조립한 상태에서 메인 조립라인에 제공할 수 있어,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조립작업성을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can be provided to the main assembly line in a pre-assembled state, so that the assembly workability of the portable multimedia device can be relatively increas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어셈블리로 된 버튼어셈블리에서 버튼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버튼부가 각각 그 조작시에 탄성변형에 의한 영향을 서로에게 전혀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버튼어셈블리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portion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utton body in the one-assembly button assembly have no influence on each other by the elastic deformation during its operation. Therefore,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button assembly is also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누름버튼과 조그버튼을 하나의 조립체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버튼을 모아서 하나의 복합버튼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ush button and the jog button can be provided as one assembly, the buttons having various functions can be collected to provide one composite button assembly,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Claims (13)

멀티미디어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복합버튼어셈블리에 있어서,In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constituting the appearance of the multimedia device to receive the operation signal for the operation, 상기 케이스 내부의 메인기판에 실장되는 스위치와,A switch mounted on the main board inside the case;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부가 형성되며 구획리브에 의해 관통부가 구획되어 구성되는 버튼프레임과,A button frame coupled to the case, penetrating through an interior thereof, and having a penetrating portion defined by a partition rib; 상기 버튼프레임에 중간부 양측이 지지되어 설치되고 양단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버튼부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의 조작을 수행하는 버튼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Composite buttons of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utton frame is supported by both sides of the middle portion is installed and comprises a button body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ortion provided at both ends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버튼체의 중간부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1버튼부와 제2버튼부의 탄성변형의 기준점이 되는 회전중심핀이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tton frame is provided with a supporting end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button body, each of the rotation center pin which is a reference point of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first button portion and the second button portion is provided Composite button assembly of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버튼부 선단 하면 양측에는 상기 버튼부에서 연장되어 버튼부와 나란하게 탄성레그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레그의 선단에는 상기 회전중심핀이 관통하는 핀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According to claim 2, wherein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ortion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button body extends from the button portion is provided with an elastic leg parallel to the button portion,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leg is the rotation Composite button assembly of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n hole penetrates the center pin.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체의 중간에는 조그윈도우가 형성되고, 상기 조그윈도우에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상기 버튼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그버튼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a jog window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button body, the jog window is further provided with a jog button which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button frame in at least one direction to operate a switch. Composite button assembly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프레임의 구획리브에는 가이드편이 각각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편과 구획리브의 사이에 상기 조그버튼의 양단에 구비되는 가이드리브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편의 상단과 조그버튼의 하면은 서로 대응되는 곡면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The guide ribs of claim 4, wherein the guide ribs are provided in parallel in the partition ribs of the button frame, and guide rib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jog button are movable between the guide piece and the partition ribs. The bottom of the jog button and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of the portable multimedi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버튼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는 상기 버튼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조그기판상에 실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of claim 5, wherein the switch operated by the jog button is mounted on a jog board fixed to the button frame.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부가 형성되고 구획리브에 의해 상기 관통부가 구획되어 구성되는 버튼프레임과,A button frame having a through portion formed therethrough and partitioning the through portion by a partition rib; 상기 버튼프레임에 중간부 양측이 지지되어 설치되고 양단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버튼부가 탄성변형가능하게 상기 버튼프레임에 지지되어 스위치의 조작을 수 행하는 버튼체와,A button body configured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middle part of the button frame, and to support the button fram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arts provided at both ends thereof are elastically deformable; 상기 버튼체의 중간부분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버튼프레임에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별도의 스위치의 조작을 수행하는 조그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And a jog button exposed through the middle portion of the button body and installed to be mov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button frame to perform an operation of a separate switch.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구획리브의 면에는 구획리브와 평행하게 가이드편이 형성되어 상기 조그버튼의 이동을 안내하는데, 상기 가이드편과 구획리브의 사이에는 상기 조그버튼의 하면 양단에 구비되는 가이드리브가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guide rib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utton ribs facing each other in parallel with the partition rib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jog button, the lower surface of the jog button between the guide piece and the partition ribs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of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ribs are provided at both end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의 상단과 상기 조그버튼의 하면은 서로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of claim 8, wherein an upper end of the guide pie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jog button are formed to have curved surfa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체의 제1 및 제2 버튼부의 선단 하면 양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와 나란히 연장되게 탄성레그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레그의 선단에 각각 형성된 핀공에는 상기 버튼프레임의 관통부 내면에 형성된 회전중심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의 탄성변형 기준점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lastic leg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ortions of the button body so as to extend in parallel with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ortions, respectively, And a rotation center pi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a penetrating portion of a button frame to become an elastic deformation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ortion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체의 중간부 양단에는 안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프레임의 관통부 내면 양측에는 상기 안착리브가 안착되는 지지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of claim 10, wherein seating rib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button body, and support ends for seating the seating ribs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part of the button frame. 제 11 항에 있어서, 버튼프레임의 하단부에는 멀티미디어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결합되는 걸이리브와 체결편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12. 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of claim 11,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button frame further comprises a hook rib and a fastening piece coupled to a case constitu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multimedia devi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프레임의 구획리브에는 체결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조그버튼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가 실장된 조그기판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The composite button assembly of claim 12, wherein the partition rib of the button frame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rib and a jog board on which a switch operated by the jog button is mounted is fastened.
KR1020050115604A 2005-11-30 2005-11-30 Complex button assembly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 KR1007457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604A KR100745787B1 (en) 2005-11-30 2005-11-30 Complex button assembly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
US11/605,285 US7812271B2 (en) 2005-11-30 2006-11-29 Complex button assembly and portable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604A KR100745787B1 (en) 2005-11-30 2005-11-30 Complex button assembly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652A KR20070056652A (en) 2007-06-04
KR100745787B1 true KR100745787B1 (en) 2007-08-02

Family

ID=3835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604A KR100745787B1 (en) 2005-11-30 2005-11-30 Complex button assembly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78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8695A (en) 2001-03-15 2002-09-27 Hosiden Corp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JP2004103253A (en) 2002-09-04 2004-04-02 Hosiden Corp Depression switch and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JP2004130979A (en) 2002-10-11 2004-04-30 Alps Electric Co Ltd Tactile force applying type inpu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8695A (en) 2001-03-15 2002-09-27 Hosiden Corp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JP2004103253A (en) 2002-09-04 2004-04-02 Hosiden Corp Depression switch and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JP2004130979A (en) 2002-10-11 2004-04-30 Alps Electric Co Ltd Tactile force applying type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652A (en)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9291B2 (en) Touch pad device for portable computer
US6972946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housing
CN1932711B (en) Multidirectional key
US20160147328A1 (en) Input device for a portable computer
US7812271B2 (en) Complex button assembly and portable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JP5947962B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05914073B (en) Button
KR101195682B1 (en) Portable multimedia device
KR100745787B1 (en) Complex button assembly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
KR20050066493A (en) Structure of button of control panel in washing machine
US7126071B1 (en) Key and input device containing the key
CN208061923U (en) A kind of key board unit
US7642477B2 (en) Button fixing mechanism
JP2012018448A (en) Electronic apparatus
JP3828451B2 (en) Reversible keyboar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70192463A1 (en) Electronic device
CN110837304B (en) Keyboard with a keyboard body
CN213845095U (en) Frame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2445359B (en) Touch control module
JPH0530261Y2 (en)
JP40791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H07200167A (en) Information processor
KR200339957Y1 (en) Display apparatus
KR200234571Y1 (en) User interface device having back button
CN115033113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