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677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ial service in home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ial service in home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677B1
KR100745677B1 KR1020050119120A KR20050119120A KR100745677B1 KR 100745677 B1 KR100745677 B1 KR 100745677B1 KR 1020050119120 A KR1020050119120 A KR 1020050119120A KR 20050119120 A KR20050119120 A KR 20050119120A KR 100745677 B1 KR100745677 B1 KR 100745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priority
service
hom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1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59803A (en
Inventor
최창식
박완기
정연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19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677B1/en
Publication of KR20070059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8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6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25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for supporting services specification, e.g. SLA
    • H04L47/2433Allocation of priorities to traffic ty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08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for supporting different services, e.g. a differentiated services [DiffServ] type of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서버를 기반으로 다양한 네트워크 접속 단말기들을 연결하고,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상기 홈 서버가, 상기 접속 단말기들로부터 입력되는 패킷의 다중패킷필드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다중패킷필드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단말기들 및 상기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접속 단말기들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품질의 서비스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댁내 접속단말기의 기능 규격을 반영하여 댁내 품질 우선순위 정책에 반영시킬 수 있고, 고성능 고품질을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품질 보장도 지원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홈 서버를 이용하여 댁내망의 다양한 서비스 정책을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댁내망의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a home network that connects various network access terminals based on a home server and provides various services, wherein the home server extracts a multipacket field of a packet input from the access terminals; Determining the priority of the access terminals and the services using the extracted multipacket field, and setting a service of a desired qual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cess terminals. It can be reflected in the home quality priority policy by reflecting the function specification of the access terminal, and can also support quality assurance for multimedia services requiring high performance and high quality, and the user can control various service policies of the home network using the home server. By using the various services of the home network It is capable of providing effective.

홈 네트워크, 홈 서버 제어부, 홈 서버 스위치부, 댁내 P2P 장치, 가상랜 인식 장치, 타입 서비스 인식 장치, 높은/낮은 우선순위 장치. Home network, home server control unit, home server switch unit, home P2P device, virtual LAN recognition device, type service recognition device, high / low priority device.

Description

홈 네트워크에서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IAL SERVICE IN HOME NETWORK}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IAL SERVICE IN HOME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와 댁내 단말기 및 응용 서비스들로 이루어진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ome network including a service providing device, an indoor terminal, and application ser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에서 품질보장순위 결정시 사용되는 다중패킷필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ulti-packet field used in determining a quality guarantee rank in a hom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중패킷필드와 품질보장을 요구하는 서비스간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rrelation between a multipacket field and a service requiring quality guarante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에서 다중패킷필드 분석을 통한 품질보장순위 결정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determining quality assurance through multipacket field analysis in a hom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네트워크 접속 단말기를 연결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의 특성 및 사용자 요구에 따라 품질이 보장되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in a home network connecting various network access termin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differentiated service in which quality is guarante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 terminal and a user's request.

댁내에서 단일의 퍼스널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하던 기존의 홈 네트워크에서는 모뎀, ADSL, VDSL, FTTC, FTTH 등의 외부망 접속 성능의 개선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다양한 댁내의 단말기들이 IP 망으로 연동되고 각 단말기들을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제어할 수 있는 환경으로 댁내망이 발전함에 따라 외부망 접속뿐만 아니라 댁내망의 구성과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In the existing home network using a single personal computer (PC) in the home, the development of external network access performance such as modem, ADSL, VDSL, FTTC, and FTTH has been actively promoted. However, as the home network is developed into an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home terminals are interworked with an IP network and each terminal can be controlled under a network environment, research on the configuration and services of the home network as well as external network access is being conducted.

한편, 홈 네트워크에서는 향후 댁내 서비스로서 VoIP, VOD 및 IPTV 등과 같은 음성과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발전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들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home networks have been developed to provide services using voice and video data such as VoIP, VOD, and IPTV as in-house services in the future. Accordingly, many methods for smoothly supporting the services have been studied.

일반적으로 종래의 구축되어 운용되는 홈 네트워크 상에서는 댁내망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기능이 미비한 상태로 기존의 인터넷 및 데이터망으로서 운용하기에는 큰 문제점이 없었다. 그러나 상기 VoIP, VOD 및 IPTV 등과 같은 음성과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들과 같은 보다 차별화된 서비스를 수용하게 될 경우에는 댁내망 사용 환경에 따라서 음성 및 영상의 품질 저하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In general, there is no big problem to operate as the existing Internet and data network in the home network network quality of service (QoS) is inadequate in the conventional built and operated home network. However, when a more differentiated service such as services using voice and video data such as VoIP, VOD, and IPTV is accommodated, the quality of voice and video inevitably occurs depending on the home network environment.

하지만 기존의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xDSL 모뎀 역할을 수행하는 단순한 기능의 홈 게이트웨이 장치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홈 서버는 IP 셋탑 박스 등의 형태로 일종의 복합 단말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머물고 있으므로 다양해진 댁내 단 말기와 응용 서비스의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는 문제점 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기존의 인터넷 망에서 연구되어지는 가상랜(VLAN : Virtual Local Area Network) 및 차등 서비스(DiffServ : differentiated services) 등을 댁내에 수용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여기서 가상랜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여러 개의 LAN 세그먼트 상에 걸쳐 있는 일련의 종단 스테이션들이 그들의 물리적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마치 하나의 공통 LAN에 속해 있는 것처럼 통신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가상랜은 기존 LAN의 브로드캐스트와 멀티캐스트 트래픽이 전달되는 영역을 제한시켜 대역폭 낭비를 감소시키고 전체 네트워크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또한 가상랜은 가상 경계를 만들어 원하는 그룹에만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여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시킨다.However, in the existing home network environment, a simple home gateway device that functions as an xDSL modem is mainly used, and since home servers remain in the role of a kind of composite terminal in the form of an IP set-top box, various home terminals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meet the needs of the application service. Also,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methods for accommodating a virtual local area network (VLAN) and differentiated services (DiffServ), which are studied in the existing Internet network, have been proposed. A virtual LAN is a technology in which a series of end stations spanning multiple physically separated LAN segments can communicate as if they belong to one common LAN regardless of their physical location. Such a virtual LAN reduces bandwidth waste and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network by limiting the area where broadcast and multicast traffic of the existing LAN is transmitted. In addition, the virtual LAN enhances network security by creating a virtual boundary to transmit data only to desired groups.

하지만 대부분의 제안된 서비스 품질(QoS) 해결 방안들은 기존 인터넷 외부망에서 활발히 논의되었던 상기 가상랜(VLAN)이나 차등 서비스(DiffServ) 기반의 개념들을 단순히 댁내망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셋탑박스 역할을 수행하는 홈서버나 단순한 네트워크 분배기능만을 수행하는 홈 게이트웨이 등의 장치에서는 이러한 댁내망에서의 다양한 네트워크 접속 단말기의 특성이나 댁내 사용자의 요구와 편의성에 부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However, most of the proposed quality of service (QoS) solutions simply apply the above-described concepts of VLAN or DiffServ based network to the home network. However, devices such as home servers that function as existing set-top boxes or home gateways that perform only simple network distribution functions do not meet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network access terminals in the home network or the needs and conveniences of home users. .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댁내 접속 단말기들은 상기 가상랜(VLAN)이나 차등 서비스(DiffServ) 등을 일률적으로 수용하기 어려우며, 더욱이 사업자 위주의 인터넷망과는 달리 댁내망에서는 댁내 사용자가 임의로 댁내망에서의 트래픽 우선순위와 서비스 품질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various types of home access terminals are difficult to uniformly accommodate the virtual LAN (VLAN) or differential service (DiffServ), and, unlike the service provider-oriented internet network, in the home network, the home user arbitrarily prioritizes traffic in the home network. There is a problem that should be able to set the ranking and the quality of servi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홈 서버 기반의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댁내 사용자에 의한 댁내 다양한 단말 기기와 서비스에 대한 차별화된 트래픽 처리 요구를 수용하기 위하여 다중패킷필드를 이용하여 댁내망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fferentiated service in a home network using multiple packet fields to accommodate differentiated traffic processing requests for various terminal devices and services in the home by a home user in a home server-based home network environment.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상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는, 다양한 네트워크 접속 단말기들을 연결하고, 댁내망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상기 접속 단말기들로부터 입력되는 패킷의 다중패킷필드를 추출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네트워크분배를 수행하는 홈 서버 스위치부와, 상기 접속 단말기들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품질의 서비스를 설정하고, 상기 추출된 다중패킷필드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접속 단말기들 및 상기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추출된 다중패킷필드의 태그(Tag) 필드를 통해 자신이 사용할 제어 패킷을 최우선순위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홈 서버 제어부와, 상기 패킷 홈 서버 스위치부를 통해 상기 홈 서버 제어부로 댁내 단말기간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추출된 다중 패킷필드의 소스 필드(SA)/목적지 필드(DA)를 통해 높은 우선순위를 할당받고, 상기 사용자의 개인적인 서비스 수행시 사용되는 댁내 정보공유(P2P)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홈 서버를 기반으로 다양한 네트워크 접속 단말기들을 연결하고,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상기 홈 서버가, 상기 접속 단말기들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품질의 서비스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단말기들로부터 입력되는 패킷의 다중패킷필드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다중패킷필드의 태그(Tag) 필드를 통해 제어 패킷을 첫 번째 패킷 포워딩(P0)시 시스템의 최우선순위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다중패킷필드의 상기 소스 주소(SA)/목적지 주소(DA) 필드를 통해 댁내 정보 공유(P2P) 서비스를 다음 높은 우선순위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pparatu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home network that connects various network access terminals, and provides various services of the home network, extracts a multipacket field of packets input from the access terminals, and A home server switch unit that performs network distribution according to a rank, and sets a service of a desired qual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cess terminals, and prioritizes the access terminals and the services according to the extracted multipacket field information. A home server controller which determines a priority and prioritizes a control packet to be used as its highest priority through a tag field of the extracted multipacket field; and a packet home server switch unit to the home server controller Request a service between premises terminals, source field (SA) of the extracted multiple packet fiel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me information sharing (P2P) device that is assigned a high priority through the / destination field (DA), and used when performing the personal service of the user.
In addition, a method for achieving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home network that connects a variety of network connection terminals based on a home server, and provides a variety of services, the home serv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cess terminal desired by the user A process of setting a quality service, extracting a multipacket field of packets inputted from the access terminals, and controlling a packet by first packet forwarding through a tag field of the extracted multipacket field. 0 ) determining the priority as the highest priority of the system, and determining the P2P service as the next higher priority through the source address (SA) / destination address (DA) field of the multiple packet field. And providing a corresponding service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y.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다양한 네트워크 접속 단말기를 연결하는 댁내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의 특성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품질의 네트워크 분배 기능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홈 네트워크는 외부망과의 접속 기능과 댁내망 분배기능을 수행하며, 댁내망의 서비스 품질(QoS : Quality Of Service) 제어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품질의 서비스를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홈 서버 기반의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양한 댁내 접속 단말기와 사용자에 의한 다양한 서비스 품질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태그(Tag) 필드, 소스 주소(Source Address 이하, SA라 약칭함),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 이하, DA라 약칭함) 필드, IEEE 802.1 P/Q 필드, 아이피 서비스 타입(IP ToS) 필드 등의 다양한 다중패킷필드를 이용하여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network distribution function of various qual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terminal and a user's request in an in-home home network environment connecting various network access terminals. To this end, the home network performs the function of accessing the external network and the distribution of the home network, and requests the service of desired quality by using the quality of service (QoS) control function of the home network. In the home server based home network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g field, a source address (hereinafter abbreviated as SA, abbreviated as SA), and a destination address in order to accommodate various quality of service requests by various home access terminals and users. Differentiated services are provided using various multipacket fields, such as a destination address (hereinafter, abbreviated as DA) field, an IEEE 802.1 P / Q field, and an IP service type (IP ToS) field.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함으로써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를 포함하는 상기 홈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fferentiated services by guaranteeing service quality in a home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home network including a device for providing differentiated services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와 댁내 단말기 및 응용 서비스들로 이루어진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ome network including a service providing device, an indoor terminal, and application servic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는 홈 서버 제어부(110)와, 홈 서버 스위부(1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home network includes a home server controller 110 and a home server switch 120.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를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홈 네트워크는 홈 서버 제어부(101)와 홈 서버 스위치부(102)를 포함하는 홈 서버(100)를 기반으로 다양한 네트워크 접속 단말기 및 서비스 장치와 연결한다. Referring to FIG. 1, a home networ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 home network includes various network access terminals based on a home server 100 including a home server controller 101 and a home server switch unit 102. And a service device.

상기 홈 서버(100)는 인터넷 망에 연결되며, 상기 홈 서버 스위치부(102)를 통해 다양한 접속 단말기의 서비스 요청 및 다양한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장치들과 연동한다. 즉, 상기 다양한 접속 단말기 및 서비스 장치들은 댁내 정보 공유(Peer to Peer 이하, P2P라 칭함) 장치(120)와, 가상랜(VLAN : Virtual Local Area Network) 인식(aware) 장치(130)와, 서비스 타입 인식(ToS aware) 장치(140)와, 높은 우선순위 장치(high priority device)(150)와, 낮은 우선순위 장치(low priority device)(160)등일 수 있다. The home server 10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and interoperates with service devices requesting various service terminals and various services through the home server switch 102. That is, the various access terminals and service devices include a home-to-peer sharing device (P2P) device 120, a virtual local area network (VLAN) recognition device (130), and a service. A type aware device 140, a high priority device 150, a low priority device 160, or the like.

홈 서버 제어부(Q.M. : QoS Manager)(101)는 댁내 접속 단말기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품질의 서비스를 설정하고, 상기 댁내 접속 단말기 및 서비스에 대한 품질보장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응용프로그램으로서 댁내 사용자에 의해서 정의된다. 이렇게 미리 정의된 품질보장 우선순위는 홈 서버 스위치부(102)에서 참조하여 패킷 포워딩 시에 우선순위 정보로써 활용되어진다. The home server controller (QM: QoS Manager) 101 sets a service of a quality desired by a us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home access terminal, determines a quality guarantee priority for the home access terminal and a service, and sets up a home as an application program. Defined by the user. This predefined quality assurance priority is used as priority information in packet forwarding with reference to the home server switch 102.

상기 홈 서버 스위치부(102)는 네트워크분배 담당하며, 입력되는 패킷의 다중패킷필드 즉, IEEE802.3ac 태그(Tag) 필드, SA/DA 및 802.1P/Q 또는 IP 서비스 타입(ToS) 필드들을 추출하여 상기 홈 서버 제어부(101)로 전송한다. The home server switch unit 102 is responsible for network distribution and extracts multiple packet fields, i.e., IEEE802.3ac Tag field, SA / DA, and 802.1P / Q or IP Service Type (ToS) fields of an input packet. To the home server controller 101.

한편, 댁내망에는 다양한 기능과 용도를 지닌 접속 단말기가 존재하며, 댁내 사용자는 원하는 형태의 서비스를 다양하게 요청하게 된다. 이를 위한 댁내 P2P 장치(120)는 댁내 단말기 간 서비스를 요청하며, 사용자의 개인적인 서비스 수행 시 주로 사용되므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댁내 P2P 서비스의 구분은 두 Peer 단말기의 맥 주소(MAC Address)를 SA/DA로 정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ccess terminals with various functions and uses in the home network, and the home user requests various types of services. For this purpose, the indoor P2P device 120 requests a service between indoor terminals and has a high priority since it is mainly used when performing a user's personal service. The division of home P2P service is made by defining MAC addresses of two peer terminals as SA / DA.

상기 가상랜 인식 장치(130)는 단말기에서 802.1P/Q 가상랜(VLAN) 서비스가 지원 가능한 경우로서 단말기 자체의 우선순위로도 활용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단말기내의 서비스에 대해서 개별적인 품질보장을 세분화하여 요청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가상랜 인식 장치(130)는 동일 단말기 안에서도 VoIP나 VoD 및 IPTV 등의 고품질 서비스를 요하는 응용프로그램의 경우 높은 우선순위를 할당함으로써 원활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The virtual LAN recognition device 130 may be used as a priority of the terminal itself as the terminal can support the 802.1P / Q virtual LAN (VLAN) service, but the user subdivides the individual quality assurance for the service in the terminal. It is configured to request. That is, the virtual LAN recognition apparatus 130 supports smooth service by allocating high priority in the case of an application program requiring high quality services such as VoIP, VoD, and IPTV even in the same terminal.

상기 가상랜 인식 장치(130)와 마찬가지로 상기 서비스 타입 인식 장치(140)는 802.1P/Q 기능이 아닌 IP 차등 서비스(DiffServ : differentiated services)와 같은 IP헤더의 서비스 타입(ToS) 필드를 이용하는 기능을 가진 단말기에서 응용서비스별 세분화된 품질보장을 지원할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차등 서비스(DiffServ or DS : differentiated services)는 음성 등과 같이 데이터의 흐름이 끊어지면 안 되는 비교적 특별한 형식의 트래픽들에 대해, 다른 종류의 일반 트래픽에 비해 우선권을 갖도록 네트웍 트래픽을 등급별로 지정하고,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상기 차등 서비스(DiffServ)는 서비스의 등급, 즉 CoS(Class of Service)라고 불리는 형태로 트래픽을 관리하는 가장 진보된 방식이다. 상기 차등 서비스(DiffServ)는 802.1p에서의 태그 이용 그리고 ToS (Type of Service) 등과 같은 초창기 방식과는 달리, 주어진 네트웍 패킷을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단순히 우선 순위를 위한 태그를 붙이는 대신, 좀 더 복잡한 정책이나 규칙을 사용한다. Similar to the virtual LAN recognition device 130, the service type recognition device 140 uses a function of using a service header (IP type) field of an IP header such as IP differentiated services (DiffServ) rather than an 802.1P / Q function. It can be used when the mobile terminal supports granular quality assurance by application service. Differentiated services (DiffServ or DS: differentiated services) specify network traffic by class so that it has priority over other types of general traffic for relatively special types of traffic such as voice, etc. Protocol to control. The differential service (DiffServ) is the most advanced way of managing traffic in the form of a class of service, namely a class of service (CoS). DiffServ, unlike earlier approaches such as tag usage in 802.1p and Type of Service (ToS), instead of simply tagging for priority to determine how to deliver a given network packet, Use more complex policies or rules.

반면, 상기 높은/낮은 우선순위 장치(150/160)는 상기 부가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접속 단말기에서 맥(MAC) 주소만을 이용하여 단말기 전체에 대한 우선순위를 지정한다. 이로써 상기 높은/낮은 우선순위 장치(150/160)는 저속 트래픽만이 필요한 디바이스나 고속 트래픽이 요구되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우선순위 요청을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igh / low priority device 150/160 specifies the priority for the entire terminal using only the MAC (MAC) address in the access terminal that does not support the additional function. Accordingly, the high / low priority device 150/160 may make a priority request for a device requiring only low traffic or devices requiring high traffic.

이와 같이 구성된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홈 서버에서 추출하는 다중패킷필드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structure of a multipacket field extracted from a home server in a home network environ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에서 품질보장순위 결정시 사용되는 다중패킷필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ultipacket field used in determining a quality guarantee rank in a hom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홈 서버(100)는 홈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패킷의 구조(200)에서 초기 이더넷 헤더로부터 MAC 주소를 추출하며, MAC 주소와 IP 헤더 사이에 IEEE 802.ac Tag(210) 헤더 정보로부터 802.1P/Q 필드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home server 100 extracts a MAC address from an initial Ethernet header in a structure 200 of a packet used in a home network, and IEEE 802.ac Tag 210 between the MAC address and the IP header. Extract information on the 802.1P / Q field from the header information.

또한, 홈 서버 제어부(101)에서 수행되는 제어패킷들은 802.ac Tag 헤더 필드(220)를 이용하여 가장 우선순위가 높게 할당된다. 그리고 차등 서비스(DiffServ) 기능에 이용되는 서비스 타입(ToS) 필드(230)는 IP헤더의 내부에 위치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packets performed by the home server controller 101 are assigned the highest priority using the 802.ac Tag header field 220. In addition, the service type (ToS) field 230 used for the DiffServ function is located inside the IP header.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중패킷필드와 품질보장을 요구하는 서비스간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rrelation between a multipacket field and a service requiring quality guarante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첫 번째로, 홈 서버 제어부(101)와 댁내 단말기간 제어 경로에 사용되는 제어 패킷(300)들은 태그(QM_Tag) 필드(220)를 이용하며, 내부적으로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할당된다. Referring to FIG. 2, first, the control packets 300 used in the control path between the home server controller 101 and the indoor terminal use the tag (QM_Tag) field 220 and have the highest priority internally. Is assigned.

두 번째로, 댁내 P2P 서비스용 패킷(310)들은 SA/DA MAC 주소에 의해서 우선순위가 참조되며, 두 번째 높은 우선순위를 할당함으로써 댁내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 및 서비스에 대한 활용도를 높인다. Second, the home P2P service packets 310 are referred to by priority by SA / DA MAC address, and the second high priority is assigned to increase utilization of the home users' personal data and services.

세 번째로, 가상랜(VLAN) 또는 차등 서비스(DiffServ) 기능을 지원하지 않거나, 단말기 자체의 특성상 높거나 낮은 품질보장이 필요한 경우에는 DA 즉, 접속단말기(320)의 MAC 주소만을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할당한다. Third, if the LAN or DiffServ function is not supported or if a high or low quality guarantee is requir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minal itself, priority is obtained using only the MAC address of the access terminal 320. Allocate

마지막으로 각 단말기에서 서비스별로 세부적으로 품질보장이 가능한 경우(330)에는 가상랜(VLAN) 또는 차등 서비스(DiffServ) 기능을 활용하여 우선순위를 요청하며, 이는 단말기자체에 대한 우선순위할당(320)과 중복되어 정의될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해당 단말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서비스에 대한 세부화된 우선순위를 할당함으로써 하나의 단말기에서 여러 개의 우선 순위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Finally, if quality assurance is possible in detail for each service in each terminal (330), priority is requested by using a virtual LAN (VLAN) or differential service (DiffServ) function, which is assigned priority for the terminal itself (320). It can be defined in duplicate. That is, it is possible to basically specify the priority for the terminal,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a plurality of priorities in one terminal by additionally assigning a detailed priority for the service.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다중패킷필드를 이용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품질보장을 위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 method of providing differentiated services by determining priorities for quality guarantee in the home network environment using a multipacket field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에서 다중패킷필드 분석을 통한 품질보장순위 결정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quality assurance ranking determination procedure through multipacket field analysis in a hom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홈 서버(100)는 입력된 패킷으로부터 다중패킷필드를 추출한다. Referring to FIG. 4, in step 401, the home server 100 extracts a multipacket field from an input packet.

그러면 홈 서버(100)는 추출된 상기 다중패킷필드를 비교하여 패킷 포워딩시에 최종적으로 필요한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402단계에서 홈 서버(100)는 802.3 ac Tag 필드값이 홈 서버 제어부(Q.M.)(101)에서 사용되는지 확인하여 만약, 홈 서버 제어부(Q.M.)(101)에서 사용되는 경우 403단계에서 첫 번째 패킷 포워딩(forward_P0)시 시스템의 최우선순위로 할당한 후 404단계로 진행한다. Then, the home server 100 compares the extracted multipacket fields and performs a process of allocating finally required priorities in packet forwarding. Accordingly, in step 402, the home server 100 checks whether the 802.3 ac Tag field value is used in the home server control unit (QM) 101. If it is used in the home server control unit (QM) 101, the home server 100 first checks in step 403. In the first packet forwarding (forward_P 0 ), the system assigns the highest priority to the system and proceeds to step 404.

반면, 홈 서버 제어부(Q.M.)(101)에서 사용되지 않는 경우 404단계에서 홈 서버(100)는 SA/DA 필드를 통해 댁내 P2P 서비스에 대한 결정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405단계에서 댁내 P2P 서비스에 대한 결정인 경우 두 번째 패킷 포워딩(forward_P1) 경우의 우선순위로 할당한다. 반면, 그렇지 않은 경우 406단계에서 홈 서버(100)는 DA 값에 대한 우선순위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요청이 있는 경우 407단계에서 추가 서비스별 설정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즉, 가상랜(VLAN) 또는 차등 서비스(DiffServ)가 지원되는 단말기에서 추가적으로 세분화된 필드에 의해서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지를 확인한다. 만약, 추가 서비스별 설정 요청이 있는 경우 408단계에서 홈 서버(100)는 802.1P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있는 경우 409단계에서 세 번째 또는 네 번째 패킷 포워딩(forward_P2/P3) 경우의 우선순위로 할당한다. 이때, 우선순위는 가상랜(VLAN) 또는 차등 서비스(DiffServ)가 지원되는 단말기에서 추가적으로 세분화된 필드에 의해서 결정된다. 반면, 802.1P가 없는 경우 410단계에서 홈 서버(100)는 다섯 번째 또는 여섯 번째 패킷 포워딩(forward_P4/P5) 경우의 우선순위로 할당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not used by the home server controller (QM) 101, in step 404, the home server 100 checks whether the home server P2P service is determined through the SA / DA field.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405, the decision on the home P2P service is allocated as the priority of the second packet forwarding (forward_P 1 ). On the other hand, if not, in step 406, the home server 100 checks whether there is a priority request for the DA value, and if there is a request, checks whether there is a setup request for each additional service in step 407. That is, it is checked whether the priority is determined by an additional subdivided field in a terminal supporting a virtual LAN (VLAN) or a differential service (DiffServ). If there is a request for additional service setting, the home server 100 checks whether there is 802.1P in step 408, and if there is a third or fourth packet forwarding (forward_P 2 / P 3 ) in step 409, Assign. In this case, the priority is determined by an additional subdivided field in a terminal that supports a virtual LAN (VLAN) or a differential service (DiffServ).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802.1P, in step 410, the home server 100 assigns priority to the fifth or sixth packet forwarding case (forward_P 4 / P 5 ).

상기 407단계에서 추가 서비스별 설정요구가 없는 경우 즉, 가상랜(VLAN)이나 서비스 타입(ToS)을 이용한 추가 서비스별 설정요구(802.1P/DiffServ)가 없는 경우 411단계에서 홈 서버(100)는 802.1P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있는 경우 409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412단계에서 일곱 번째 패킷 포워딩(forward_P6) 경우의 우선순위를 할당한다. 즉, 낮은 우선순위 장치(160)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If there is no setup request for each additional service in step 407, that is, if there is no setup request for each additional service (802.1P / DiffServ) using a virtual LAN (VLAN) or a service type (ToS), the home server 100 in step 411. If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802.1P exist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09, and if not, in step 412, the priority of the seventh packet forwarding (forward_P 6 ) is allocated. That is, the priority of the low priority device 160 is determined.

한편, 406단계에서 DA 우선순위 요청이 아닌 경우 413단계에서 홈 서버(100)는 추가 서비스별 설정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추가 서비스별 설정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408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추가 서비스별 설정 요청이 없는 경우 414단계에서 802.1P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있는 경우 409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415단계에서 여덟 번째 패킷 포워딩(forward_P7) 경우 우선순위를 할당한다. 즉, 홈 서버(100)는 모든 경우에 정의되지 않은 필드를 가진 패킷에 대해 할당되는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not the DA priority request in step 406, in step 413, the home server 100 checks whether there is a setup request for each additional service, and proceeds to step 408 if there is a setup request for each additional service.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setup request for each additional service, the process checks whether there is 802.1P in step 414, and proceeds to step 409. Otherwise, in step 415, priority is assigned in the eighth packet forwarding (forward_P 7 ). That is, the home server 100 determines the priority assigned to packets with fields that are not defined in all case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re of cours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댁내 접속단말기의 기능 규격을 반영하여 댁내 품질 우선순위 정책에 반영시킬 수 있고, 고성능 고품질을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품질 보장도 지원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홈 서버를 이용하여 댁내망의 다양한 서비스 정책을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댁내망의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flected in the home quality priority policy by reflecting the functional specification of the home access terminal, and can also support quality assurance for multimedia services requiring high performance and high quality. By provid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various service policies of the home network,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services of the home network to the user.

Claims (11)

다양한 네트워크 접속 단말기들을 연결하고, 댁내망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In a home network that connects various network access terminals and provides various services of the home network, 상기 접속 단말기들로부터 입력되는 패킷의 다중패킷필드를 추출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네트워크분배를 수행하는 홈 서버 스위치부와,A home server switch unit which extracts multiple packet fields of packets inputted from the access terminals and performs network distribution according to priorities; 상기 접속 단말기들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품질의 서비스를 설정하고, 상기 추출된 다중패킷필드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접속 단말기들 및 상기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추출된 다중패킷필드의 태그(Tag) 필드를 통해 자신이 사용할 제어 패킷을 최우선순위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홈 서버 제어부와, Set a service of a desired qual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cess terminals, determine the priority of the access terminals and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multi-packet field, and the tag of the extracted multi-packet field ( A home server controller for determining the priority of the control packet to be used by the user through a Tag) field; 상기 패킷 홈 서버 스위치부를 통해 상기 홈 서버 제어부로 댁내 단말기간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추출된 다중 패킷필드의 소스 필드(SA)/목적지 필드(DA)를 통해 높은 우선순위를 할당받고, 상기 사용자의 개인적인 서비스 수행시 사용되는 댁내 정보공유(P2P)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장치. Request the service between the terminals in the home server through the packet home server switch unit, and is assigned a high priority through the source field (SA) / destination field (DA) of the extracted multiple packet field, Differentiated service providing device in a hom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me-to-house information sharing (P2P) device used when performing a personal ser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가상랜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기 자체의 우선순위로 이용되며, 상기 패킷 홈 서버 스위치부를 통해 상기 홈 서버 제어부로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에 대해 개별적인 품질보장을 세분화하여 요청하는 가상랜 인식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장치. The virtual LAN service may be used as a priority of the terminal itself, and further comprising a virtual LAN recognition device for subdividing and requesting individual quality assurance for the service of the terminal to the home server controller through the packet home server switch unit. Differentiated service providing device in a home networ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중패킷필드에서 아이피(IP) 차등 서비스와 같은 IP 헤더의 서비스 타입 필드를 이용하는 단말기에서 응용서비스별 세분화된 품질보장을 지원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서비스 타입 인식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장치. And a service type recognition device used when a terminal using a service type field of an IP header such as an IP differential service in the multipacket field supports granular quality assurance for each application service. Differentiated service providing device in the networ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부가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접속 단말기에서 맥(MAC) 주소만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 단말기 전체에 대한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높은 또는 낮은 우선순위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장치. Provided differentiated services in a hom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ess terminal that does not support the additional function further comprises a high or low priority device for assigning a priority to the entire access terminal using only the MAC (MAC) address Device. 홈 서버를 기반으로 다양한 네트워크 접속 단말기들을 연결하고,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상기 홈 서버가,In a home network that connects various network access terminals based on a home server and provides various services, the home server includes: 상기 접속 단말기들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품질의 서비스를 설정하는 과정과, Setting a service of a desired qual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cess terminals; 상기 접속 단말기들로부터 입력되는 패킷의 다중패킷필드를 추출하는 과정과, Extracting multiple packet fields of packets inputted from the access terminals; 상기 추출된 다중패킷필드의 태그(Tag) 필드를 통해 제어 패킷을 첫 번째 패킷 포워딩(P0)시 시스템의 최우선순위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과, Determining a priority of the control packet with the highest priority of the system at the first packet forwarding (P 0 ) through a tag field of the extracted multipacket field; 상기 다중패킷필드의 상기 소스 주소(SA)/목적지 주소(DA) 필드를 통해 댁내 정보공유(P2P) 서비스를 다음 높은 우선순위로 결정하는 과정과, Determining, at a next higher priority, an on-premises P2P service through the source address (SA) / destination address (DA) field of the multiple packet field;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방법. And providing a corresponding service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y.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다중패킷필드의 목적지 주소(DA) 필드에 따른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우선순위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목적지 주소(DA) 필드에 따른 우선순위 요청이 있는 경우 일곱 번째 패킷 포워딩(P6)시 우선순위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방법. Check whether there is a priority request from the user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address (DA) field of the multiple packet field, and if there is a priority request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address (DA) field, the seventh packet forwarding (P 6 ) takes precedence. Differentiated service providing method in a hom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by ranking.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추가 서비스별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다중패킷 필드의 802.1P 필드에 따른 우선순위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802.1P 필드에 따른 우선순위 요청이 있는 경우 세 번째 또는 네 번째 패킷 포워딩(P2/P3)시 우선순위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방법. If there is a priority request according to the 802.1P field of the multipacket field according to the additional service-specific setting request, and if there is a priority request according to the 802.1P field, the third or fourth packet forwarding (P 2 / P 3) Differentiated service providing method in the hom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iority.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802.1P 필드에 따른 우선순위 요청이 없는 경우 다섯 번째 또는 여섯 번째 패킷 포워딩(P4/P5)시 우선순위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방법. If there is no priority request according to the 802.1P field, the method for providing differentiated services in a home network,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iority at the fifth or sixth packet forwarding (P 4 / P 5 ) .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목적지 주소(DA) 필드에 따른 우선순위 요청이 없는 경우 추가 서비스별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다중패킷 필드의 802.1P 필드에 따른 우선순위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If there is no priority request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address (DA) field, checking whether there is a priority request according to the 802.1P field of the multipacket field according to a request for setting additional services; 상기 802.1P 필드에 따른 우선순위 요청이 있는 경우 세 번째 또는 네 번째 패킷 포워딩(P2/P3)시 우선순위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방법. If there is a priority request according to the 802.1P field, the method for providing differentiated services in a home network,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iority at the third or fourth packet forwarding (P 2 / P 3 ) .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802.1P 필드에 따른 우선순위 요청이 없는 경우 여덟 번째(P7)시 우선순위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방법. If there is no priority request according to the eighth field, 802.1P (P 7) when a differentiated service providing method in a home network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 priority.
KR1020050119120A 2005-12-07 2005-12-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ial service in home network KR1007456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120A KR100745677B1 (en) 2005-12-07 2005-12-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ial service in hom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120A KR100745677B1 (en) 2005-12-07 2005-12-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ial service in home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803A KR20070059803A (en) 2007-06-12
KR100745677B1 true KR100745677B1 (en) 2007-08-02

Family

ID=38356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120A KR100745677B1 (en) 2005-12-07 2005-12-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ial service in home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67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635B1 (en) 2012-03-16 2018-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ource device in contents sharing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559A (en) 2000-12-28 2002-07-08 윤종용 Cal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quality of service and method thereof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32315A (en) 2002-10-09 2004-04-17 전자부품연구원 A traffic control technology in home network through adaptive priority control
KR20040066298A (en) 2003-01-17 2004-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ple connection service method on universal plug and play network
KR20050027731A (en) 2003-09-16 2005-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Network device to enable the service support according to quality of service, network system and method using this
KR20050040445A (en) 2003-10-28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discriminated services based on priority in wireless lan environment
KR20050081508A (en) 2004-02-13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media access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559A (en) 2000-12-28 2002-07-08 윤종용 Cal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quality of service and method thereof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32315A (en) 2002-10-09 2004-04-17 전자부품연구원 A traffic control technology in home network through adaptive priority control
KR20040066298A (en) 2003-01-17 2004-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ple connection service method on universal plug and play network
KR20050027731A (en) 2003-09-16 2005-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Network device to enable the service support according to quality of service, network system and method using this
KR20050040445A (en) 2003-10-28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discriminated services based on priority in wireless lan environment
KR20050081508A (en) 2004-02-13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media access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803A (en) 200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36606A1 (en) Management of Shared Access Network
US20060045074A1 (en) Guaranteeing quality of service (QoS) using bandwidth reservation in switch
US200800892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network traffic prioritization
US20070078955A1 (en) Service quality management in packet networks
US20080298237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of Providing QoS and Scalability in the Deployment of Real-Time Traffic Services in Packet-based Networks
CN1411210A (en) Method of acting address analytic protocol Ethernet Switch in application
WO2012016531A1 (en) Method and system of accessing network for access network device
CA2774281C (en) User access method, system, access server, and access device
WO2012016526A1 (en) Metropolitan area network communications method and communications system
US9042389B2 (en) Multi-access communications gateway
CN111193767A (en) Request data sending method and device and clustered server system
US7953090B2 (en) Method of making a router act as a relay proxy
KR1007456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ial service in home network
CN101238683A (en) Service quality in access network based on VLAN
Amelyanovich et al. Centralized control of traffic flows in wireless LANs based on the SDN concept
Montessoro et al. Advanced research issues for tomorrow's multimedia networks
US10015276B2 (en) Discovering data network infrastructure services
KR102343908B1 (en) service function chaining control method for network services of virtual customer premises equipment
CN114844733A (en) Interface management method for access user equipment and access user equipment
US20230275867A1 (en) Differentiated network services using map-t translation technology
TWI655851B (en) Traffic arrangement sysytem, traffic arrangement method and virtual gateway server
Li Locality aware peer assisted delivery: the way to scale internet video to the world
Zhao et al.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Technology: Progress and Standardization
El Gendy et al. A QoS Gateway Architecture in Enabling the First Mile for QoS-Dependent Applications and Appliances
Logota et al. Dynamic QoS Support for P2P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