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317B1 - Speaker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Speaker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317B1
KR100744317B1 KR1020050065984A KR20050065984A KR100744317B1 KR 100744317 B1 KR100744317 B1 KR 100744317B1 KR 1020050065984 A KR1020050065984 A KR 1020050065984A KR 20050065984 A KR20050065984 A KR 20050065984A KR 100744317 B1 KR100744317 B1 KR 100744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module
housing
terminal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9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10966A (en
Inventor
변창흠
박현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5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317B1/en
Publication of KR20070010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9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3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 유닛을 수용하는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개구들; 및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스피커 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하우징이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된 때, 상기 개구는 상기 스피커 홀에 연결되고, 상기 스피커 홀들은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측면에 각각 제공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은 모듈 하우징 내에 스피커 유닛을 수용한 상태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조립되어 조립이 용이하고,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조립되는 공간에 조립되므로 수용공간의 확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품 사양에 따라 스피커 유닛을 한 쌍으로, 스피커 유닛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각각 전달할 수 있는 한 쌍의 경로를 확보함으로써 스테레오, 3차원 입체 음향의 구현이 용이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eaker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module housing accommodating at least one speaker unit; A pair of openings formed on the module housing; And a pair of speaker holes formed on the housing of the terminal, wherein when the module housing is mounted on the housing, the opening is connected to the speaker hole, and the speaker holes are on the side of the terminal housing. Disclosed are speaker modules of a portable terminal, each provided. Since the speaker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sembled to the camera lens assembly in a state in which the speaker unit is accommodated in the module housing, the assembly is easy and the camera lens assembly is assembled in the space where the camera lens assembly is assembled. have. In addition, according to a product specification, a pair of speaker units and a pair of paths capable of delivering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units, respectively, ensure stereo and three-dimensional stereo sound.

단말기, 스피커 모듈, 카메라, 조립 Terminal, speaker module, camera, assembly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 {SPEAKER MODULE FOR PORTABLE TERMINAL}Speaker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SPEAKER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peaker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모듈의 모듈 하우징 중 상부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pper housing among the module housings of the speaker module illustrated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모듈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peaker module illustrated in FIG. 1 is assembled to a camera lens assembly;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모듈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peaker module illustrated in FIG. 1 is assembled to a camera lens assembly;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스피커 모듈이 단말기의 하우징에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mera lens assembly and the speaker module illustrated in FIG. 4 are assembled in a housing of a terminal;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스피커 모듈이 단말기의 하우징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6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mera lens assembly and the speaker module illustrated in FIG. 4 are assembled in a housing of a terminal;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0 : 스피커 모듈 101a, 101b : 모듈 하우징100: speaker module 101a, 101b: module housing

111 : 지지 리브 113 : 개구111: support rib 113: opening

123 : 가요성 인쇄회로 125 : 커넥터123: flexible printed circuit 125: connector

200 :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213 : 인쇄회로기판200: camera lens assembly 213: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eaker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사용자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해주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음성 통화서비스, 단문 메시지 전송으로부터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TV 시청, 온라인 게임, 주문형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contents)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device that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a user and a user or a user and a service provid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the like, including voice call service, short message transmission from mobile banking, Various types of contents, such as watching TV, playing online games, and video on demand, are provided to a user through a portable terminal.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에 통신회로, 송화부, 수화부 등의 입출력 장치가 설치된 바형 단말기, 바형 단말기에 플립 커버가 설치된 플립형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회전함으로써 개폐되고 입출력 장치가 각각의 하우징에 분산 배치된 폴더형 단말기 등으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 등이 등장하여 폴더형 단말기와 더불어 휴대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면서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들을 만족시키려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has a bar-type terminal provided with an input / output device such as a communication circuit, a transmitter, a receiver, and the like in one housing, a flip-type terminal provided with a flip cover in the bar-type terminal, and a pair of housings open and close and open and close. The device is classified into a foldable terminal or the like distributed in each housing. Recently, sliding terminals and the like have emerged,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satisfy various tastes of users while increasing portability and ease of use with a folding terminal.

아울러, 온라인을 통한 휴대용 단말기로의 게임, 동영상 파일 전송, 모바일 뱅킹, 주문형 비디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 등 이동통신 서비스가 다양화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된 것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사용자들의 욕구가 다양해져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상업화가 가능해진 환경에 기인한 것이다.In addi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games, video file transmissions, mobile banking, video on demand, an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DMB') to portable terminals are diversifying. This diversific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is attributable to an environment in which the use of portable terminals has become commonplace and users' desires have diversified, allowing commercialization of services providing various contents through portable terminals.

이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점차 멀티미디어 서비스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피커 장치와 같은 출력 장치들의 성능이 나날이 향상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출력 장치들 뿐만 아니라, 단말기에 제공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등의 부가 장치들이 장착됨과 동시에 이들의 성능도 함께 향상되고 있다.As such, as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the portable terminal is gradually expanded to the multimedia service area, the performance of output devices such as display devices and speaker devices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mproving day by day. In addition to these output devices, as well as additional devices such as a camera lens assembly provided to the terminal is mounted, their performance is also improved.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의 성능 향상과 고성능화 추세의 부가 장치들이 장착되면서 단말기 내에서 이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립성 저하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m in the terminal as the perform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mprov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high performance device is install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oductivity is lowered due to deterioration in assembl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와 함께 조립됨으로써 실장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고, 이로써 단말기의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aker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that is easy to secure the mounting space by being assembled with the camera lens assembly, thereby improving the assembly of th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 듈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eaker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 유닛을 수용하는 모듈 하우징;A module housing containing at least one speaker unit;

상기 모듈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개구들; 및A pair of openings formed on the module housing; And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스피커 홀들을 포함하고,A pair of speaker holes formed on a housing of the terminal,

상기 모듈 하우징이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된 때, 상기 개구는 상기 스피커 홀에 연결되고,
상기 스피커 홀들은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측면에 각각 제공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을 개시한다.
When the module housing is mounted on the housing, the opening is connected to the speaker hole,
The speaker holes disclose a speaker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hous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100)은 개구(113)가 형성된 모듈 하우징(101a, 101b)) 내에 스피커 유닛(102)들을 수용시킨 구성이다.1 and 2, the speaker module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the speaker units 102 in the module housings 101a and 101b having the opening 113 formed therein. It is a configuration.

상기 모듈 하우징(101a, 101b)은 상부 하우징(101a)과 하부 하우징(101b)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스피커 유닛(102)들이 상기 모듈 하우징(101a, 101b)에 수용된다. 상기 스피커 유닛(102)은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나,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이 상용화되고 있으므로 한 쌍 이상을 설치하여 스테레오 또는 3차원 입체 음향 등을 구현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모듈 하우징(101a, 101b)에는 가이드 홀(127)이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 유닛(102)으로부터 연장된 가요성 인쇄회로(123)가 인출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123)의 단부에는 커넥터(125)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홀(127)은 상기 하부 하우징(101b)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101a)으로 연장된 가이드 리브(119; 도 3에 도시됨)가 상기 가이드 홀(127)을 폐쇄시키면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123)가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The module housings 101a and 101b include an upper housing 101a and a lower housing 101b, and a pair of speaker units 102 are accommodated in the module housings 101a and 101b. The speaker unit 102 may be configured as one, but since multimedia services are commercially available, it may be desirable to install one or more pairs to implement stereo or three-dimensional stereo sound. Guide holes 127 are formed in the module housings 101a and 101b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123 extending from the speaker unit 102 can be drawn out, an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123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or is provided a connector 125. The guide hole 127 is formed in the lower housing 101b, and the guide rib 119 (shown in FIG. 3) extending to the upper housing 101a closes the guide hole 127 while the flexible portion is closed. It restricts the flow of the printed circuit 123.

상기 모듈 하우징(101a, 101b)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지지 리브(111)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리브(111)들은 하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와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과 도 4를 통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지지 리브(111)들의 외측면에는 각각 개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113)들은 각각 상기 모듈 하우징(101a, 101b)의 내부로 연결되어 상기 스피커 유닛(102)들로부터 출력된 음향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듈 하우징(101a, 101b)의 내벽,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하우징(101a)의 내벽에는 격막(115)이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 유닛(102)들로부터 출력된 음향들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차단하고 각각에 인접하는 개구(113)를 통해 출력시키게 된다. 즉, 상기 스피커 유닛(102)들은 각각 독립된 음향을 출력시켜 서로 다른 경로의 개구(113)를 통해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Support ribs 111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module housings 101a and 101b, respectively. The support ribs 111 are intended to stably maintain a coupling state with the camera lens assembly 200,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Openings 113 are formed on outer surfaces of the support ribs 111, respectively. The openings 113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odule housings 101a and 101b to transmit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units 102. In this case, a diaphragm 115 is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module housings 101a and 101b, specifically, an inner wall of the upper housing 101a to block the sounds output from the speaker units 102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It is output through the opening 113 adjacent to. That is, the speaker units 102 output the independent sound and transmit them through the openings 113 of different paths.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피커 모듈(100)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의 일측에 조립되어 단말기 내에 고정된다. 우선,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는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 소자와 줌 인/줌 아웃 기능을 수행하 는 경통 구조물(211) 등을 포함하며 그 일측에 인쇄회로기판(213)들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13)들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있다.The speaker module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camera lens assembly 200 and fixed in the terminal. First,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camera lens assembly 200 includes a camera element installed therein and a barrel structure 211 that performs a zoom in / zoom out function, and a printed circuit board on one side thereof. 213 are mounted. The printed circuit boards 213 are configured in pairs and face each other.

상기 모듈 하우징(101a, 101b)은 적어도 일면이 상기 인쇄회로기판(213)들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스피커 모듈(100)은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와 조립된다. 이때, 상기 모듈 하우징(101a, 101b)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지지 리브(111)들은 각각 상기 인쇄회로기판(213)들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를 감싸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리브(111)들이 형성된 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213)의 지지를 받게 된다.The speaker module 100 is assembled with the camera lens assembly 200 while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s 101a and 101b is supported by any on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s 213. In this case, the support ribs 111 formed at both ends of the module housings 101a and 101b respectively surround the edges of any on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s 213. Therefore, the surface on which the support ribs 111 are formed is supported by the printed circuit board 213.

상기 스피커 모듈(100)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와 조립이 완료되면 이들을 단말기(10)의 하우징(11)에 조립시키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스피커 모듈(100)은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에 조립된 상태로 단말기(10)의 하우징(11)에 조립된다. 상기 하우징(11)의 양 측면에는 각각 상기 개구(113)들과 연결되는 스피커 홀(19)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 유닛(102)들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상기 개구(113)들과 스피커 홀(19)들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다.When the speaker module 100 is assembled with the camera lens assembly 200, they are assembled to the housing 11 of the terminal 10. 5 to 7, the speaker module 100 is assembled to the housing 11 of the terminal 10 while being assembled to the camera lens assembly 200. Speaker holes 19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housing 11 to be connected to the openings 113, respectively. Therefore,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units 102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s 113 and the speaker holes 19.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은 모듈 하우징 내에 스피커 유닛을 수용한 상태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와 조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조립이 용이하고,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조립되는 공간에 조립이 가능하여 조립 공간 확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품 사양에 따라 스피커 유닛을 한 쌍으로, 스피커 유닛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각각 전달할 수 있는 한 쌍의 경로를 확보함으로써 스테레오, 3차원 입체 음향의 구현이 용이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peaker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with the camera lens assembly in a state in which the speaker unit is accommodated in the module housing and is easy to assemble, and can be assembled in a space where the camera lens assembly is assembled. There is an advantage of easy assembly space secured. In addition, according to a product specification, a pair of speaker units and a pair of paths capable of delivering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units, respectively, ensure stereo and three-dimensional stereo sound.

Claims (9)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에 있어서, In the speaker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 유닛을 수용하는 모듈 하우징;A module housing containing at least one speaker unit; 상기 모듈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개구들; 및A pair of openings formed on the module housing; And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스피커 홀들을 포함하고,A pair of speaker holes formed on a housing of the terminal, 상기 모듈 하우징이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된 때, 상기 개구는 상기 스피커 홀에 연결되고,When the module housing is mounted on the housing, the opening is connected to the speaker hole, 상기 스피커 홀들은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측면에 각각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The speaker holes are each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housing speaker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모듈 하우징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The speaker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opening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module housing, respectively. 제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음향은 인접한 개구를 통해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The speaker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sound output from each of the speaker units is transmitted through an adjacent opening.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모듈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가요성 인쇄회로; 및A flexible printed circuit extending from the speaker unit and drawn out of the module housing; And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의 단부에 제공되는 커넥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The speaker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connector provided at the end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삭제delete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에 있어서, In the speaker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 유닛을 수용하는 모듈 하우징;A module housing containing at least one speaker unit; 상기 모듈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 및At least one opening formed on the module housing; And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스피커 홀을 포함하고,A speaker hole formed on the housing of the terminal, 상기 모듈 하우징이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된 때, 상기 개구는 상기 스피커 홀에 연결되고,When the module housing is mounted on the housing, the opening is connected to the speaker hole, 상기 단말기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상기 모듈 하우징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제공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지지를 받는 상태로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The terminal includes a camera lens assembly, an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is installed in the housing of the terminal while being supported by a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in the camera lens assembly.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하우징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양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 리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The speaker module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support ribs formed at both ends of the module housing and supporting both edg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지지 리브 상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모듈 하우징 내로 연결된 개구들을 더 구비하고,Further comprising openings respectively formed on said support ribs and connected into said module housing,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상기 개구들을 통해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And a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un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openings.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벽에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스피커 유닛들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상기 모듈 하우징 내에서 간섭되는 것을 차단하는 격막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And a diaphragm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module housing to block the sound output from each of the speaker units from interfering in the module housing.
KR1020050065984A 2005-07-20 2005-07-20 Speaker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07443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984A KR100744317B1 (en) 2005-07-20 2005-07-20 Speaker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984A KR100744317B1 (en) 2005-07-20 2005-07-20 Speaker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966A KR20070010966A (en) 2007-01-24
KR100744317B1 true KR100744317B1 (en) 2007-07-30

Family

ID=3801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984A KR100744317B1 (en) 2005-07-20 2005-07-20 Speaker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3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8264A (en) * 2016-05-20 2016-08-03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Loudspeaker modu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488A (en) * 2000-08-02 2002-02-09 홍경 Receiver-loud part integrating speaker and mobile phone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488A (en) * 2000-08-02 2002-02-09 홍경 Receiver-loud part integrating speaker and mobile phon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966A (en)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5317B2 (en) Keypad, sliding module and sliding module flexible circuit for portable terminal
KR100860679B1 (en) Speaker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US7920904B2 (en) Mobile terminal
US8155719B2 (en) Key input device for a portable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a sliding module therefor
US20070075679A1 (en) Portable terminal
US7986981B2 (en) Portable terminal with rotatable display
KR100651520B1 (en) Speak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20060164323A1 (en) Detachable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7859585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lens assembly
US20080226970A1 (en) Portable terminal
KR100744317B1 (en) Speaker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0703304B1 (en) Speaker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0663490B1 (en) Spearker for mobile phone using antenna mounting space
KR100703484B1 (en) Speak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076267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891972B1 (en) Portable terminal with mounting plate for micro phone holder
KR20090006372A (en) Portable type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 cover
KR100790137B1 (en) Portable terminal with strap hole
KR100790136B1 (en) Portable terminal with inclined combining protrusion
KR100744281B1 (en) Antenna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0690828B1 (en) Mobil phone of a two pcb type
KR20060060269A (e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ned and closed in direction of many
KR100770868B1 (en) Housing coupling element for portable terminal
KR100651538B1 (en) Portable terminal
KR100630073B1 (en) Projector using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