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774B1 - Selecting system of music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electing system of music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774B1
KR100737774B1 KR1020060056674A KR20060056674A KR100737774B1 KR 100737774 B1 KR100737774 B1 KR 100737774B1 KR 1020060056674 A KR1020060056674 A KR 1020060056674A KR 20060056674 A KR20060056674 A KR 20060056674A KR 100737774 B1 KR100737774 B1 KR 100737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data
time
displayed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6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지명
Original Assignee
한국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방송공사 filed Critical 한국방송공사
Priority to KR1020060056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7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7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A device and a method for selecting music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easily and quickly select the music of desired mood without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music by comparing data extracted from music data with desired rhythm and tone data. The first transformer(160) extracts a fundamental frequency by performing Fourier transformation to the stored digital music. The second transformer(170) performs algebraic transformation to the stored digital music and extracts the rhythm from the transformed value. A storing part(120) comprises a program storing part(121), a music data storing part(123) storing the digital music, an energy data storing part(125) storing an algebraically transformed energy value and rhythm, and a frequency storing part(127) storing the transformed fundamental frequency. A comparator(140) compares the data inputted from an input part(180) with the energy, rhythm, and fundamental frequency data stored in the storing part.

Description

음악 선곡 장치 및 음악 선곡 방법{Selecting system of music and the method thereof}Selecting system of music and the metho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선곡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1 schematically shows a sel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선곡 과정에서 곡명 디스플레이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Figure 2 illustrates in more detail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song name in the sel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선곡 과정에서 분류 기준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classification criter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sel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음악 선곡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4 illustrates a music se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A/D 변환부에 의해서 변환된 음악의 시간-진폭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5 shows a time-amplitude graph of music converted by the A / D converter.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시간-진폭 관계를 대수적으로 변환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FIG. 6 illustrates a graph of a logarithmic transformation of the time-amplitude relationship shown in FIG. 5.

도 7은 도 6에서 추출한 박자 자료를 도시한 그래프이다.7 is a graph illustrating the time signature data extracted from FIG. 6.

도 8은 도 5에 도시한 시간-진폭 관계로부터 도출한 기본 주파수(Fundamental Frequency)를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8 is a graph illustrating a fundamental frequency derived from the time-amplitude relationship shown in FIG. 5.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음악 선곡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9A and 9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usic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선곡을 위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박자 입력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FIG. 10 illustrates a time signature graph displayed on a display unit for selection.

도 11은 선곡을 위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기본 주파수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11 illustrates a basic frequency graph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for selec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jor signs in the drawings

100 : 음악 선곡 장치 110 : 재생부100: music selection device 110: playback unit

120 : 저장부 130 : 표시부120: storage unit 130: display unit

140 : 비교연산부 150 : 변환부140: comparison operation unit 150: conversion unit

160 : 제1 변환부 170 : 제2 변환부160: first conversion unit 170: second conversion unit

180 : 입력부180: input unit

본 발명은 음악 선곡 장치 및 음악 선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명, 작곡자, 음반명 등 음악에 대한 정보 없이도 원하는 분위기의 음악을 용이하게 선곡할 수 있으며, 특히 드라마나 다큐멘터리 등 제작시 제작되는 드라마나 다큐멘터리의 분위기에 적합한 배경 음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선곡할 수 있는 음악 선곡 장치 및 음악 선곡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 selection apparatus and a music selec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easily select music of a desired atmosphere without information about music such as the name of the song, the composer, the record name, and especially during production of a drama or a documenta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 selection apparatus and a music selection method capable of easily and quickly selecting a background music suitable for an atmosphere of a drama or a documentary.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음악 선곡 단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음악 선곡 단계에서 곡명 디스플레이 과정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곡명 디스플레이 과정에 따라 표시부(도시하지 않음)에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music selection step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detailed diagram illustrating a song title display process in the music selection step shown in FIG. 1, and FIG. The example displayed on the display part (not shown) is show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라 원하는 음악을 선택하는 때에는, 저장부(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된 음악에 대한 자료(곡명, 작곡가, 앨범명 등)를 표시부(도시하지 않음)에 디스플레이 하며(ST10), 선택자는 디스플레이된 음악 자료로부터 음악을 선택하여(ST20), 드라마나 다큐멘터리 등에 사용하기 위하여 다운로드한다(ST30).As shown in FIG. 1, when selecting a desired music according to the prior art, data (song name, composer, album name, etc.) about music stored in a storage unit (not shown)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not shown). (ST10), the selector selects music from the displayed music data (ST20) and downloads it for use in a drama or documentary (ST30).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부에 저장된 음악 자료 전체를 구분없이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선택에 장시간 소요되므로, 저장부에 저장되는 음악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르별(10), 곡명별(20), 가수별(30), 연도별(40), 주요가사별(50), 리듬별(60) 등으로 분류 기준에 따라 저장하고,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에 선택하려는 음악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에서 분류 기준을 먼저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분류 기준을 먼저 선택하도록 하고, 분류 기준을 선택하면 선택된 분류 기준에 해당되는 음악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여, 선택자의 선택 시간을 단축하기도 한다.As shown in FIG. 1, since the entire mus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displayed without distinction, it takes a long time to select, and as shown in FIG. 3, the music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classified by genre 10 and song name 20. , Singers 30, year 40, main lyrics 50, rhythm 60, etc. are stor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selected in the display unit 1 as shown in Figs. In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music to be displaye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re first displayed, the displayed classification criteria are first selected, and whe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re selected, the music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lassification criteria is displayed, thereby reducing the selection time of the selecto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음악 선곡 장치 및 방법은 음악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인 곡명, 작곡자명 등을 선택자가 미리 알고 있는 경우에 원하는 음악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드라마나 다큐멘터리 제작 시 제작되는 드라마 등에 적합한 분위기의 음악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없으며, 선택하는 경우에도 미리 정보 를 가지고 있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music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can select the desired music when the selector knows the name of the music, the composer's name, etc. which are the basic materials for the music, it is suitable for a drama or a drama produced during documentary produc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music of the atmosphere could not be easily selected, and even in the case of selection, the music had to be selected within a limited range having information in adva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악 자료로부터 추출한 데이터와 원하는 박자와 높낮이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여 음악을 선택함으로써, 음악을 선택하려는 선택자가 음악에 대한 기초 정보(곡명, 작곡자 등) 없이도 원하는 분위기의 음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악 선곡 장치 및 음악 선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selecting the music by comparing the data extracted from the music material with the desired time and height input data, the selector who wants to select the music basic information (music name, composer, etc.)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sic selection device and a music selection method that enable a user to easily and quickly select a music having a desired atmosphere without the ne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음악 선곡 장치는 디지털 변환하여 저장된 음악을 푸리에 변환하여 기본 주파수를 추출하는 제1 변환부와; 디지털 변환하여 저장된 음악을 대수 변환하고 대수 변환된 값으로부터 박자를 추출하는 제2 변환부와; 상기 음악을 푸리에 변환하여 기본 주파수를 추출하고 대수 변환하여 변환된 값으로부터 박자를 추출하도록 작동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저장부, 디지털 변환된 음악을 저장하는 음악 자료 저장부, 대수 변환된 에너지값과 박자를 저장하는 에너지 자료 저장부, 상기 변환된 기본 주파수를 저장하는 주파수 저장부로 이루어지는 저장부와; 상기 푸리에 변환 자료, 대수 변환 자료 및 디지털 변환된 음악 자료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sic selection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converter configured to perform Fourier transform on a digitally stored music to extract a fundamental frequency; A second conversion unit for performing a logarithmic conversion on the digitally stored music and extracting a beat from the logarithmic converted value; A program storage unit for storing a program operative to perform Fourier transform to extract the fundamental frequency and logarithmic conversion to extract a beat from the converted value, a music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digitally converted music, an algebraically converted energy value and beat An energy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frequency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nverted fundamental frequency;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Fourier transform data, the logarithmic conversion data, and the digitally converted music data.

상기 음악 선곡 장치는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자료와 저장부에 저장된 에너지자료, 박자 및 기본 주파수 자료와 비교 연산하는 비교 연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The music selec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comparison operation unit which compares the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with the energy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beat and the fundamental frequency data,

상기에 있어서, 표시부에 대수 변환 자료가 디스플레이될 때 대수조정아이콘도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logarithmic adjustment icon is also displayed when the logarithm conversion dat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음악 선곡 방법은 디지털 신호로 저장된 음악 자료를 대수 변환하여 저장하고 대수 변환된 자료로부터 박자 자료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디지털 신호로 저장된 음악 자료를 푸리에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추출된 박자 자료와 푸리에 변환된 자료를 곡명, 작곡자명과 함께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On the other hand, the music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nverting and storing the music data stored as a digital signal logarithm data extracted from the logarithm converted data; Fourier transforming and storing the music data stored as a digital signal; And storing the extracted beat data and the Fourier transformed data together with the song name and composer name.

이에 더하여 디스플레이된 시간-박자 그래프에 시간에 따른 박자를 입력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된 시간-주파수 그래프에 시간에 따른 기본 주파수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관계수를 입력하는 단계와; 저장된 자료와 입력된 자료를 비교 연산하는 단계와; 연산결과에 따라 일치하는 곡명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된 곡명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o this, the step of inputting the time signature over time in the displayed time-time graph; Inputting a fundamental frequency over time in the displayed time-frequency graph; Inputting a correlation coefficient; Comparing and storing the stored data and the input data; Displaying a matching song na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sult; And selecting the displayed song name.

상기 디스플레이된 시간-박자 그래프와 시간-주파수 그래프에는 시간축으로 일정 간격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조정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ed time-time graph and the time-frequency graph are characterized in that adjustment icons display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time axis are displayed.

그리고 상기에 있어서, 시간-박자 그래프와 시간-주파수 그래프가 디스플레이될 때 상관계수 입력부도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above, when the time-time graph and time-frequency graph is display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nput unit is also displayed together.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음악 선곡 장치 및 음악 선곡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일 유사한 작용을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 의 기술과 동일한 명칭을 사용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music selection apparatus and a music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name as that of the prior art is used for the configuration having the same operation as that of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음악 선곡 장치(100)를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5는 A/D변환되어 저장된 음악 자료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음악 자료를 대수 변환한 그래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대수 변환 그래프로부터 박자(Tempo)를 추출하여 저장한 그래프이며, 도 8은 도 5에 도시한 음악 자료를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하여 기본 주파수를 추출하여 저장한 그래프이다.4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music sel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music data stored by A / D conversion, Figure 6 is a music material shown in FIG. Is a graph of logarithmic transformation, FIG. 7 is a graph obtained by extracting and storing a tempo from a logarithmic transformation graph illustrated in FIG. 6, and FIG. 8 is a graph obtained by Fourier transforming the music data illustrated in FIG. 5. This graph is extracted from frequency and saved.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음악 선곡 장치(100)의 제1 변환부(160)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A/D(Analog to Digital) 변환되어 저장된 음악 자료를 푸리에 변환하여 기본 주파수를 추출하여 추출된 기본 주파수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기본 주파수의 자료로 주파수 저장부(127)에 저장한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converting unit 160 of the music sel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and stores the A / D (Analog to Digital) converted music data as shown in FIG. 5. Fourier transform to extract the fundamental frequency and store the extracted fundamental frequency in the frequency storage unit 127 as data of the time-base frequency as shown in FIG.

마찬가지로 제2 변환부(170)에서는 도 5에 도시한 음악 자료를 대수 변환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수 변환된 자료를 시간에 대하여 에너지 자료로서 에너지 자료 저장부(125)에 저장한다.Similarly, the second converter 170 converts the music data shown in FIG. 5 logarithmically and stores the logarithmically converted data in the energy data storage unit 125 as energy data with respect to time.

그리고 상기 도 6에 도시한 에너지 자료로부터 소정 값 이상의 에너지를 시간에 대하여 추출함으로써 도 7에 도시한 시간에 대한 반복되는 박자(Tempo)를 추출하여 시간에 대한 박자 자료로 에너지 자료 저장부(125)에 함께 저장한다.The energy data storage unit 125 extracts a repetitive time signature (Tempo) for the time shown in FIG. 7 by extracting energy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from the energy data shown in FIG. 6 with respect to time. Save together.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너지 자료 그래프에 대수 조정 아이콘(20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마우스 표시부(203) 등으로 대수 조정 아이콘(201)을 상하로 조정하며, 조정된 대수 조정 아이콘(201)보다 큰 에너지값을 추출하여 시간에 대한 반복 주기로서 박자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6, the logarithmic adjustment icon 201 is displayed on the energy data graph, and the logarithmic adjustment icon 201 is adjusted up and down with the mouse display unit 203, and the adjusted logarithm adjustment icon 201 is displayed.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beat as a repetition period over time by extracting large energy valu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음악 선곡 장치(100)의 저장부(12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음악을 푸리에 변환하여 기본 주파수를 추출하고,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수 변환하여 변환된 값으로부터 박자(230)를 추출하도록 작동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21)와, A/D변환된 음악 자료를 저장하는 음악자료 저장부(123)와, 대수 변환된 에너지 자료를 저장하는 에너지 자료 저장부(125)와, 푸리에 변환된 주파수 저장부(127)로 이루어지면, 상기 저장부(121, 123, 125, 127)는 한 개의 저장부가 분할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개의 저장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서 표시부(13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음악 자료, 에너지 자료, 주파수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The storage unit 120 of the music sel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a fundamental frequency by Fourier transforming the music as shown in FIG. 8, and as shown in FIGS. 6 and 7. A program storage unit 121 for storing a program operable to extract the time signature 230 from the converted value by logarithmic conversion, a music data storage unit 123 for storing A / D converted music data, and a logarithmic conversion When the energy data storage unit 125 and the Fourier-transformed frequency storage unit 127 for storing energy data, the storage unit 121, 123, 125, 127 may be formed by dividing one storage unit.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eparate reservoir. In FIG. 4, the display unit 130 illustrates a configuration for displaying music data, energy data, frequency, and the like stored in the storage 12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음악 선곡 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A/D변환된 음악 자료로부터 기본 주파수와 박자를 추출하여 곡명, 작곡자명 등과 함께 저장하며, 따라서 곡명이나 작곡자명 등 음악에 대한 정보 없이도 기본 주파수와 박자로서 음악을 선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e music sel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extracts the fundamental frequency and the beat from the A / D converted music data and stores them together with the song name, composer name, etc. It is possible to select music by the fundamental frequency and time signature without information on the music such as the composer's nam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음악 선곡 장치(100)는 입력부(180)를 더 구비하여 원하는 주파수와 박자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입력부(180)를 통하여 입력된 자료와 저장부에 저장된 에너지자료, 박자 및 기본 주파수 자료와 비교 연산하는 비교연산부(140)를 더 구비한다.In addition, the music sel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180 to input a desired frequency and time signature,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80 and energy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It further includes a comparison operation unit 140 for comparing with the beat and the fundamental frequency data.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음악 선곡 장치(100)의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된 박자 및 주파수(높낮이) 입력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하지 않은 메뉴로부터 선곡이라는 명령을 입력하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그래프가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박자 및 높낮이 그래프에서 시간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박자 및 높낮이 조정 아이콘(242, 252)을 상하로 움직여 원하는 박자와 높낮이를 입력한다. 도 10 및 도 11에서 도면 부호 244, 254는 상관관계 입력부를 도시한 것으로 상관관계 입력부(244, 254)의 r은 상관계수를 도시한 것이다. 상관계수는 +1과 -1 사이에 있으며, 비교 자료들이 완전에 가까운 직선적 관계가 될수록 절대값은 1에 가까운 값이 된다. 10 and 11 illustrate a time and frequency (height) input proces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of the music sel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mmand of selection is input from a menu (not shown), a graph as shown in FIGS. 10 and 1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In the time and height graph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time and height adjustment icons 242 and 252 display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ith respect to time are moved up and down to input a desired time and height. 10 and 11, reference numerals 244 and 254 denote a correlation input unit, and r of the correlation input units 244 and 254 shows a correlation coefficien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between +1 and -1, and the absolute value is closer to 1 as the comparison data becomes a near linear relationship.

도 10과 도 11에 도시한 그래프를 통하여 원하는 박자와 높낮이 그리고 상관계수(r)를 입력한 후, 도시하지 않은 메뉴를 통하여 비교 연산 명령을 입력하면, 입력된 박자와 높낮이를 저장부(120)의 에너지 자료 저장부(박자저장부)(125)에 저장된 박자 자료 그리고 주파수 저장부(127)에 저장된 주파수 자료와 비교 연산하여, 입력된 상관계수(r)보다 큰 상관 관계를 갖는 음악을 검색하게 된다.After inputting the desired beat, height, and correlation coefficient (r) through the graphs shown in FIGS. 10 and 11 and inputting a comparison operation command through a menu (not shown), the storage unit 120 stores the input beat and height. Compare and calculate the time data stored in the energy data storage unit (beat storage unit) 125 and the frequency data stored in the frequency storage unit 127 to search for music having a correlation greater than the input correlation coefficient r. do.

상기에서 검색된 음악은 곡명, 작곡자 등과 함께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되며, 음악 선택자는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된 곡명 등으로부터 음악을 선택할 수 있게 되므로, 선택자가 임의로 입력한 박자와 높낮이를 가지는 음악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The searched music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long with the song name, composer, etc., and the music selector can select music from the song nam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so that the music having the beat and height arbitrarily input by the selector can be selected. You can choose.

도 4에서 미설명 부호 110은 재생부를 도시한 것이며, 150은 음악 자료가 아 날로그(Analog) 자료인 경우 디지털(Digital) 자료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도시한 것이며, 105는 상기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재생부(110)는 선택된 음악을 재생하여 선택자가 선택한 음악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며, 또한 저장부(120)에 저장된 음악 자료가 아날로그(Analog)자료인 경우 재생부(110)에 재생하면서 변환부(150)에서 디지털(Digital) 자료로 변환할 수도 있다.In FIG. 4, reference numeral 110 denotes a reproduction unit, 150 denotes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music data into digital data when the analog data is analog data, and 105 denote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figuration is shown. The playback unit 110 is configured to check the music selected by the selector by playing the selected music, and if the mus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is analog (Analog) data while playing in the playback unit 110 The conversion unit 150 may convert the digital data.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음악 선곡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상기 음악 선곡 장치(100)를 이용하여 음악을 선곡하는 과정(단계)을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9A and 9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usic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9A and 9B, a process (step) of selecting music using the music selection apparatus 100 is illustrated. It demonstrates in detail.

저장부(120)에 저장된 음악 자료가 아날로그 자료인 경우, 상기 음악 자료를 도시하지 않은 메뉴를 통하여 저장부(120)로부터 불러와서 재생 가능 상 상태로 한다(ST100). 상기 재생 가능한 상태의 음악 자료는 재생부(110)에서 재생되면서(ST110), 변환부(150)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A/D변환되어 음악자료 저장부(123)에 저장된다(ST120). 이때 A/D변환된 음악 자료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변환부(160)에서 푸리에 변환되어 주파수 저장부(127)에 저장되는(ST140)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변환부(170)에서 대수(Log) 변환되어 에너지 자료 저장부(125)에 저장되며(ST130), 표시부(130)에는 도 6에 도시한 에너지 자료 그래프가 디스플레이된다.When the mus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is an analog data, the music data is loaded from the storage unit 120 through a menu (not shown) to be in a playable state (ST100). The music data in the reproducible state is reproduced in the playback unit 110 (ST110), A / D converted as shown in FIG. 5 in the conversion unit 150 is stored in the music data storage unit 123 (ST120) ). In this case, the A / D-converted music data is Fourier-converted by the first converter 160 and stored in the frequency storage unit 127 as shown in FIG. 8 (ST140). Logs are converted by the converter 170 and stored in the energy data storage unit 125 (ST130), and the energy data graph shown in FIG. 6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도시된 에너지 자료 그래프의 대수 조정 아이콘(201)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우스 표시부(203) 등으로 상하로 조정하고 도시하지 않은 확인 버튼을 클릭 하면, 조정된 대수 조정 아이콘(201)이 위치한 값보다 큰 값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박자 자료로 추출되어 에너지 자료 저장부(125)에 함께 저장된다(ST138). 음악 자료가 변환되어 상기 주파수 저장부(127)와 에너지 자료 저장부(125)에 저장될 때, 곡명, 작곡가 등과 같은 음악 정보도 함께 저장된다(ST150).As shown in FIG. 6, when the logarithmic adjustment icon 201 of the illustrated energy data graph is adjusted up and down with the mouse display unit 203 or the like and clicks an OK button (not shown), the adjusted logarithm adjustment icon 201 is located. A value larger than the value is extracted to the beat data as shown in FIG. 7 and stored together in the energy data storage unit 125 (ST 138). When music data is converted and stored in the frequency storage unit 127 and the energy data storage unit 125, music information such as a song name, a composer, etc. is also stored (ST150).

상기와 같이 음악이 변환되어 음악 정보와 함께 저장(ST150)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음 메뉴를 통하여 자료 검색 명령을 입력하면(ST200), 도 10과 도 11에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240, 250)가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된다(ST210, ST215).When the music is converted and stored together with the music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ST150), if a data retrieval command is input through a menu (not shown) (ST200), a graph as illustrated in, for example, FIGS. 240 and 250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ST210 and ST215).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240, 250)가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그래프(240, 250) 상에서 선택자는 마우스 아이콘(203) 등과 같은 입력부(180)를 통하여 박자 조정아이콘(242)과 주파수 조정아이콘(252)을 조정하여 원하는 박자와 높낮이의 분위기를 선택한다(ST220, ST225).When the graphs 240 and 250 as shown in FIGS. 10 and 11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the selector on the graphs 240 and 250 adjusts the beat through an input unit 180 such as a mouse icon 203 or the like. The icon 242 and the frequency adjustment icon 252 are adjusted to select the desired time and height atmosphere (ST220 and ST225).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상관계수 입력부(244, 254)를 통하여 비교의 기준이 되는 상관계수(r)를 입력하며(ST230, ST235), 도시하지 않은 메뉴에서 확인 명령을 입력하게 된다. 확인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부(120)의 에너지 자료 저장부(125)에 저장된 박자 자료, 그리고 주파수 저장부(127)에 저장된 주파수 자료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그래프(240, 250)에 입력한 박자 자료 및 주파수 자료를 비교 연산부(140)에서 비교 연산하여 검색하게 되며(ST240, ST245), 입력된 상관계수(r)보다 큰 값을 가지는 자료를 검색하게 된다(ST250, 255).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as a reference for comparison is input throug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nput units 244 and 254 shown in FIGS. 10 and 11 (ST230 and ST235), and a confirmation command is input from a menu (not shown). When the confirmation command is input, the time data stored in the energy data storage unit 125 of the storage unit 120 and the frequency data stored in the frequency storage unit 127 and the graphs 240 and 250 illustrated in FIGS. 10 and 11 are shown. The time and frequency data input to the comparison operation unit 140 is compared and searched (ST240, ST245), and the data having a value larger than the input correlation coefficient (r) is searched (ST250, 255).

상기 검색이 완료되면, 박자 자료로부터 검색된 음악의 곡명과 주파수 자료 로부터 검색된 음악의 곡명을 비교하여(ST260), 일치하는 곡명이 검색되면 표시부(130)에 일치하는 곡명이 작곡자 등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된다(ST270). 일치하는 곡명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그래프(240, 250)를 다시 디스플레이하여 최초로 입력된 상관계수(r)보다 작은 값을 입력하게 하거나, 박자나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When the search is completed, the song name of the music retrieved from the beat material and the song name of the music retrieved from the frequency data are compared (ST260). If a matching song name is found, the matching song name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composer and the like. (ST270). If a matching song name is not found, the graphs 240 and 250 shown in FIGS. 10 and 11 are displayed again so that a value smaller tha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first inputted or a beat or frequency can be adjusted. Repeat the above process.

일치하는 곡명이 검색되어 표시부(130)에 작곡자 등과 같은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면, 선택자는 디스플레이된 곡명들로부터 음악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음악이 원하는 분위기의 음악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재생부(110)를 통하여 재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재생을 통하여 원하는 음악인지 확인한 후, 선택 과정(ST280)을 통하여 음악 자료를 드라마 등을 제작하기 위한 자료로 다운로드하게 된다(ST290). When a matching song name is foun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with information such as composer, the selector may select music from the displayed song names, and the playback unit 110 may check whether the selected music is a music having a desired mood. It is also possible to play through. After confirming whether the music is desired through the reproduction, the music data is downloaded as a material for producing a drama through the selection process (ST280) (ST290).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상기에 기재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변형 가능한 범위로서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까지 확대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broadly interpreted to be equivalent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range that can be modified within a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본 발명에 따르는 음악 선곡 장치나 음악 선곡 방법에 의하여 음악을 선곡하는 경우에는 곡명, 작곡자명, 연주자명, 음반명 등 음악에 대한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도 특정한 분위기의 음악을 선곡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을 제작할 때 드라마나 다큐멘터리의 분위기에 적합한 배경음악을 곡명, 작곡자 등 음악에 대한 정보 없이도 누구나 용이하게 선곡할 수 있으며, 음악을 실질적인 빠르기나 높낮이에 따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case of selecting music by the music selection apparatus or the music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music having a specific atmosphere even in the absence of information on the music such as the name of the song, the name of the composer, the name of the performer, and the name of the record. When producing a documentary, anyone can easily select the background music suitable for the drama or the atmosphere of the documentary without the information on the music such as the name of the song and the composer, and it is effective to classify the music according to the actual speed or the height and make it into a database. .

Claims (7)

음악을 선곡하는 음악 선곡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음악 선곡 장치(100)는 디지털 변환하여 저장된 음악을 푸리에 변환하여 기본 주파수를 추출하는 제1 변환부(160)와; 디지털 변환하여 저장된 음악을 대수 변환하고 대수 변환된 값으로부터 박자(230)를 추출하는 제2 변환부(170)와; 상기 음악을 푸리에 변환하여 기본 주파수를 추출하고 대수 변환하여 변환된 값으로부터 박자(230)를 추출하도록 작동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저장부(121), 디지털 변환된 음악을 저장하는 음악 자료 저장부(123), 대수 변환된 에너지값과 박자(230)를 저장하는 에너지 자료 저장부(125), 상기 변환된 기본 주파수(220)를 저장하는 주파수 저장부(127)로 이루어지는 저장부(120)와; 상기 푸리에 변환 자료, 대수 변환 자료 및 디지털 변환된 음악 자료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선곡 장치(100).A music selection device (100) for selecting music, the music selection device (100) comprising: a first converter (160) for extracting a fundamental frequency by Fourier transforming music stored by digital conversion; A second conversion unit 170 for converting the digitally stored music logarithmically and extracting the time signature 230 from the logarithmically converted value; The program storage unit 121 stores a program operative to perform Fourier transform to extract the fundamental frequency, and the logarithmic conversion to extract the beat 230 from the converted value, and the music data storage unit 123 to store the digitally converted music. A storage unit 120 including an energy data storage unit 125 for storing logarithmic converted energy values and time signatures 230, and a frequency storage unit 127 for storing the converted fundamental frequencies 220; And a display unit (130) for displaying the Fourier transform data, the logarithmic conversion data, and the digitally converted music dat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선곡 장치(100)는 입력부(180)를 더 구비하고, 입력부(180)를 통하여 입력된 자료와 저장부에 저장된 에너지자료, 박자 및 기본 주파수자료와 비교 연산하는 비교연산부(1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선곡 장치(100).According to claim 1, The music selection device 100 further comprises an input unit 180, the comparison of the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80 and the energy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beat and the fundamental frequency data The music selection device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lculation unit (140). 제1 항 또는 제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부(130)에 대수 변환 자료 가 디스플레이될 때 대수조정아이콘(201)도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선곡 장치(100).The music sel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logarithmic adjustment icon (201) is also displayed when the logarithmic conversion materi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음악을 선곡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로 저장된 음악 자료를 대수 변환하여 저장하고(ST130) 대수 변환된 자료로부터 박자 자료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ST138)와; 디지털 신호로 저장된 음악 자료를 푸리에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ST140)와; 추출된 박자 자료와 푸리에 변환된 자료를 곡명, 작곡자명과 함께 저장하는 단계(ST1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선곡 방법.A method of selecting music, the method comprising: converting and storing music data stored as a digital signal (ST130) and extracting and storing time signature data from the logarithmically converted data (ST138); Fourier transforming and storing the music data stored as a digital signal (ST140); And storing the extracted beat data and the Fourier transformed data together with the song name and composer name (ST150). 제4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시간-박자 그래프(ST210)에 시간에 따른 박자를 입력하는 단계(ST220)와; 디스플레이된 시간-주파수 그래프(ST215)에 시간에 따른 기본 주파수를 입력하는 단계(ST225)와; 상관계수를 입력하는 단계(ST230, ST235)와; 저장된 자료와 비교 연산하는 단계(ST240, ST245)와; 연산결과에 따라 일치하는 곡명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T270)와; 디스플레이된 곡명을 선택하는 단계(ST2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음악 선곡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inputting a time signature over time in the displayed time-time graph (ST210); Inputting a fundamental frequency according to time in the displayed time-frequency graph ST215 (ST225); Inputting correlation coefficients (ST230, ST235); Comparing and storing the stored data (ST240, ST245); Displaying matching song names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 (ST270); And selecting the displayed song name (ST280). 제5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시간-박자 그래프(ST210)와 시간-주파수 그래프(ST215)에는 시간축으로 일정 간격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조정 아이콘(242, 252)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선곡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played time-time graph (ST210) and the time-frequency graph (ST215) display adjustment icons (242, 252) display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time axis. 제5 항 또는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간-박자 그래프와 시간-주파수 그래프가 디스플레이될 때(ST210, ST215) 상관계수(r) 입력부(244, 254)도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선곡 방법.7.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input unit 244, 254 is also displayed when the time-time graph and the time-frequency graph are displayed (ST210, ST215). How to choose music.
KR1020060056674A 2006-06-23 2006-06-23 Selecting system of music and the method thereof KR1007377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674A KR100737774B1 (en) 2006-06-23 2006-06-23 Selecting system of music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674A KR100737774B1 (en) 2006-06-23 2006-06-23 Selecting system of music and th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774B1 true KR100737774B1 (en) 2007-07-10

Family

ID=38503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674A KR100737774B1 (en) 2006-06-23 2006-06-23 Selecting system of music and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77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949A (en) * 2002-07-19 2004-01-31 이성진 Musictherapy system and method use of internet
KR20040027017A (en) * 2002-09-27 2004-04-01 정태후 Intelligent music player capable of automatically selecting music
KR20060003257A (en) * 2004-07-05 2006-01-10 주식회사 소디프 이앤티 Music sorting recommendation service system and music sorting recommendation service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949A (en) * 2002-07-19 2004-01-31 이성진 Musictherapy system and method use of internet
KR20040027017A (en) * 2002-09-27 2004-04-01 정태후 Intelligent music player capable of automatically selecting music
KR20060003257A (en) * 2004-07-05 2006-01-10 주식회사 소디프 이앤티 Music sorting recommendation service system and music sorting recommendation service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2980B2 (en)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earching performance data using query indicating musical tone generation pattern
JP5949544B2 (en) Retrieval of musical sound data based on rhythm pattern similarity
US6307139B1 (en) Search index for a music file
JP2009217260A (en) Method of performing acoustic object coordinate analysis and musical note coordinate processing of polyphony acoustic recording
US88925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n audio file from a collection of audio files using tonal matching
JP2008518270A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cting notes in an audio signal
JP5333517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9412113B2 (en) Performance data search using a query indicative of a tone generation pattern
WO2017056982A1 (en) Music search method and music search device
US6965546B2 (en) Sound critical points retrieving apparatus and metho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and sound signal editing apparatus using sound critical points retrieving method
US20110214556A1 (en) Rhythm explorer
Suyoto et al. Searching musical audio using symbolic queries
KR100737774B1 (en) Selecting system of music and the method thereof
JP5516720B2 (en) Category generation program, category generation apparatus, and category generation method
KR101238113B1 (en) System for Composing and Searching Accomplished Music Using Analysis of the Input Voice
JP4882980B2 (en) Music search apparatus and program
Lee et al. „Exploration of Practical Information Entry Technique of One-Shot Drum Audio Samples”
JP6554826B2 (en) Music data retrieval apparatus and music data retrieval program
JP2012159717A (en) Musical-data change point detection device, musical-data change point detection method, and musical-data change point detection program
Franklin et al. Composing and Improvising Using Sound Content-Based Descriptive Filtering
RU2808611C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output audio file or midi file through harmonic chord map
JP2005338353A (en) Music retrieving device
KR100497356B1 (en) Music searching method by frequency analysis and apparatus thereof
JP2004279462A (en) Karaoke machine
KR20040101592A (en) Music searching system based on mel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