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893B1 - 폐골프공 외피탈피장치 - Google Patents

폐골프공 외피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893B1
KR100736893B1 KR20050090518A KR20050090518A KR100736893B1 KR 100736893 B1 KR100736893 B1 KR 100736893B1 KR 20050090518 A KR20050090518 A KR 20050090518A KR 20050090518 A KR20050090518 A KR 20050090518A KR 100736893 B1 KR100736893 B1 KR 100736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ed hole
golf ball
closed
pl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90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5753A (ko
Inventor
최원실
Original Assignee
최원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실 filed Critical 최원실
Priority to KR20050090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893B1/ko
Publication of KR20070035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63/0013Removing ol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55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using different melting or softening temperatures of the materials to be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4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4Balls
    • B29L2031/546Golf b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이 마모, 훼손되어 사용이 부적합하게 된 폐골프공(이하, 폐공이라 함.)을 코어와 외피를 분리시켜 재생시키기 위한 폐공의 외피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외피탈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폐공의 재생효율성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코자 하는 것인바,
폐공의 외피를 커터로서 절삭하여 벗겨내는 폐골프공의 외피탈피장치에 있어서, 폐공(A)을 탈피작업위치로 급송하는 피딩(Feeding)어셈블리(2)와; 투입된 폐공(A)을 고정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픽싱(Fixing)어셈블리(3)와; 폐공(A)의 외피를 벗겨내는 탈피작업을 수행하는 커팅(Cutting)어셈블리(5)로 이루어진 것에 요지가 있다.
폐골프공, 폐골프공 재생, 폐골프공 외피제거, 폐골프공 외피탈피, 폐골프공 피복제거, 폐골프공 피복탈피, 재생 골프공

Description

폐골프공 외피탈피장치{The peeling device for the waste golf ball}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전체 구성도로서
도 1a는 정면도, 도 1b는 측면도, 도 1c는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 c는 본 발명중 피딩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평면도, 도 2c 측면도이다.
도 3a, 3b는 본 발명중 픽싱어셈블의 일부 구성과 커팅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중 픽싱어셈블리의 발췌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중 커터에 의한 외피탈피작업 작용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기대
2; 피딩(Feeding)어셈블리
21;포스터 바아(Post Bar) 22;가이드판
23;이송플레이트 24;이송실린더
25;구동실린더 26;플로팅 조인트(Floating Joint)
27;흡착플레이트 28;가이드바아
29;흡착판
3;픽싱(fixing) 어셈블리
31;서포터 32;설치대
33;플로팅 조인트(Floating Joint) 34;승강플레이트
35;아이들 샤프트(Idle Shaft) 36;회전구동샤프트
37;모터
4;보호가드
41;브라켓 42;구동실린더
43;플로팅 조인트(Floating Joint) 44;승강판
45;가이드 46;지지공
5;커팅(Cutting) 어셈블리
51;이동블록 52;구동실린더
53;플로팅 조인트(Floating Joint) 54;가이드
55;팁홀더 56;피스
57;커터
본 발명은 표면이 마모, 훼손되어 사용이 부적합하게 된 폐골프공(이하, 폐공이라 함.)을 코어와 외피를 분리시켜 재생시키기 위한 폐공의 외피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외피탈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폐공의 재생효율성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코자 하는 것이다.
골프공은 내부 코어 외측에 외피가 둘러싸고 있어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타격 등에 의해 외피가 벗겨지거나 흠집이 발생하는 등으로 훼손되어 사용이 불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훼손되어 사용이 불가한 경우에는 폐공으로 취급되어 폐기되는 데, 이러한 폐공을 소각처리하는 데에는 상당한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도 유발하는 것이어서 폐공을 친환경적으로 재생시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폐공을 재생시켜 재활용코자하는 재생방법은 훼손된 외피를 벗겨서 분리해 내고 벗겨낸 외피를 재활용하여 코어 외측에 새로운 외피를 형성함으로써 재생시키는 방법과 훼손된 외피의 일부 외층을 연마 등으로 깎아낸 다음 새로운 재료로 외층을 입혀서 외피를 형성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여러 재생방법중 폐공의 외피을 벗겨내어 분리한 다음 새로운 외피를 형성하여 재생시키는 방법과 관련된다.
훼손된 외피를 분리하기 위한 폐공의 외피탈피장치로는 대표적으로 공개특허공보 제2003-0013217호가 알려져 있다.
상기한 기존 외피탈피장치는 수개의 집게판 중앙에 스톱퍼로서 폐공을 고정시킨 후 피스톤 로드에 의해 전후진 작동되는 외피분리칼의 경사형 칼날부가 외피를 절단하여 벗겨내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은 기존 외피분리장치는 폐공이 집게판 중앙에 탄력지지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경사형의 칼날부가 폐공의 외피를 찔러 들어가면서 외피를 벗겨내도록 구성되어 칼날부가 지나치게 깊게 전진하게 되면 외피 내측의 코어를 훼손시켜 코어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빈발하였을 뿐만 아니라 폐공이 원형(圓形)의 집게판에 의해 일방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칼날이 외피 내측으로 진입하여 폐공의 외피를 절삭하여 벗겨내게 됨으로써 외피와 함께 코어의 표면을 깎아내는 경우 역시 빈번히 발생하여 작업 불량률이 매우 높은 것이었다.
또한, 집게판이 폐공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여 외피 탈피과정에서 폐공이 집게판으로부터 이탈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고,
폐공을 자동으로 안정되게 고정지지시킬 수 있는 장치가 부재하여 폐공의 투입과정(폐공을 집게판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수작업에 의존하게 됨으로써 폐공을 외피탈피작업 위치로 투입하는 작업에 적지 않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생산성과 효율성이 저조한 것이었다.
본 발명에서는 폐공을 외피탈피작업위치로 자동 투입할 수 있게 하고 투입된 폐공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지지되어 외피탈피작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작업의 신속성과 능률성을 도모하며, 외피탈피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안정된 작업성으로 폐공의 재생을 위한 외피탈피작업이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폐공(A)을 작업위치로 급송하는 피딩(Feeding)어셈블리(2)와, 투입된 폐공(A)을 고정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픽싱(Fixing)어셈블리(3)와 폐공(A)의 외피를 벗겨내는 탈피작업을 수행하는 커팅(Cutting)어셈블리(5)로 대분 구성되는 바,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기대(1) 상에 폐공(A)을 외피탈피 작업위치로 급송, 투입하는 피딩(Feeding)어셈블리(2), 투입된 폐공(A)을 고정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픽싱(Fixing)어셈블리(3), 폐공(A)의 외피를 벗겨내는 탈피작업을 수행하는 커팅어셈블리(5)가 설치되어 폐공(A)의 외피탈피장치를 구성한다.
도 2a 내지 도 2 c는 피딩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폐공(A)을 탈피작업위치로 급송하기 위한 피딩어셈블리(2)는 폐공(A)을 회전지지하는 픽싱어셈블리(3)의 일측에 설치되는 바, 피딩어셈블리(2)는 포스터바아(21)에 가이드판(22)이 설치되고 가이드판(22)에는 이송플레이트(23)를 좌우로 슬 라이드안내하는 가이드(22a)(LM Guide 등)가 형성되며, 이송플레이트(23)는 가이드판(22)의 일측 브라켓(24a)에 고정시킨 이송실린더(24)에 설치되어 이송플레이트(23)를 좌우로 슬라이드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송플레이트(23)에는 상하로 구동하는 구동실린더(25)에 플로팅 조인트(Floating Joint)(26)로 흡착플레이트(27)가 설치되며, 흡착플레이트(27)에는 가이드바아(28)가 설치되어 상하 이동안내되고 일측 저부에 흡착판(29)이 설치된다.
상기 흡착판(29)은 에어콤프레셔(미도시)와 연결되어 진공흡착으로 폐공(A)을 흡착, 분리시킴으로써 탈착된다.
도 3a, 3b는 본 발명중 픽싱어셈블리(3)와 커팅어셈블리(5)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중 픽싱어셈블리(3)의 발췌 구성도이다.
기대(1)상의 서포터(31) 상단에 설치대(32)가 형성되고, 설치대(32)상에는 구동실린더(32a)가 상하로 구동되게 설치되어 플로팅 조인트(33)로서 승강플레이트(34)를 설치되며, 승강플레이트(34)는 가이드바아(34a)로서 상하로 승강 안내되고 승강플레이트(34)에는 하향으로 아이들(Idle) 샤프트(3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 샤프트(35)와 상하 일직선상의 기대(1) 상면에는 회전구동샤프트(36)를 설치하되, 상기 회전구동샤프트(36)는 구동모터(37)와 연동되게 설치되어 회전구동된다.
상기 구동모터(37)와 회전구동샤프트(36)는 도시한 예에서와 같이 벨트(38)와 풀리(39) 등의 여러 동력전달수단으로 연동되게 설치될 것이다.
한편, 상기 아이들샤트프(35)와 회전구동샤프트(36)의 일측에는 보호가드(4)를 설치하는 바,
보호가드(4)는 브라켓(41)상의 구동실린더(42) 일측에 플로팅조인트(43)로서 승강판(44)을 설치하여 가이드(45)로서 상하슬라이드 안내되게 설치되어 승강판(44)에 형성된 지지공(46)이 회전구동샤프트(36) 위에서 회전구동샤프트(36) 상단에 올려놓는 폐공(A)이 회전구동샤프트(36) 위로 안정되게 올려짐과 동시에 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승강판(44)은 회전구동샤프트(36) 상부(폐공(A)을 감싸는 높이의 위치)에서 폐공(A)이 회전구동샤프트(36) 위로 안전하게 안착되고 이탈되지않게 하는 것이며, 회전구동샤프트(36) 위로 폐공(A)이 올려지고 상부 아이들샤프트(35)가 하향작동되어 상하 샤프트(35,36) 사이에 안정되게 폐공(A)이 고정, 지지되면 다시 승강판(44)은 하측으로 이동하여 아래측에 위치함으로써 커터(57)가 폐공(A)의 외피탈피작업을 수행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게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승강판(44)의 지지공(46)은 당연히 폐공(A)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구성된다.
한편, 커팅어셈블리(5)는 픽싱어셈블리(3) 일측에 설치되어 픽싱어셈블리(3)의 상하 샤프트(35,36) 상에 고정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폐공(A)의 외피탈피작업을 수행하는 된다.
커팅어셈블리(5)는 픽싱어셈블리(3) 방향으로 커터(57)가 설치된 이동블록(51)이 일측 구동실린더(52)에 플로팅 조인트(53)로서 연결되어 기대(1)상의 가이 드(54)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이동된다.
그리고 커터(57)는 이동블록(51)상의 팁홀더(55)에 피스(56) 등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커터(57)는 폐공(A)의 외피 외면을 따라 절삭하여 탈피작업을 수행하는 호형커터(57a)와 평면커터(57b)로 이루어진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은 각 장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 및 전기제어장치 등이 내설되는 콘트롤박스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거, 세척된 폐공(A)을 가열시켜 외피를 연화시킨후 외피를 절삭하여 탈피시키는 재생공정에서 폐공(A)을 피딩어셈블리(2)로서 탈피작업위치로 급송하여 픽싱어셈블리(4)로 고정지지시킨후 회전시키면서 커터(57)로서 외피탈피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급 및 가열장치(미도시)로부터 이송라인(6)을 통해 피딩어셈블리(2)로 이송된 폐공(A)은 이송플레이트(23)상에 설치된 흡착플레이트(27)가 구동실린더(25)에 의해 하향이동하여 에어콤프레셔와 연결된 흡착플레이트(27)의 흡착판(29)에 흡착되고, 폐공(A)을 흡착한 흡착플레이트(27)는 상향이동된 후 흡착플레이트(27)가 결합된 이송플레이트(23)가 가이드판(22)의 가이드(22a)에 안내되어 픽싱어셈블리(3)상의 회전구동샤프트(36)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회전구동샤프트(36)측으로 이동된 흡착플레이트(27)는 흡착판(29)에 흡착된 폐공(A)을 회전구동샤프트(36) 직상부에서 이탈시켜 폐공(A)을 회전구동샤 프트(36) 상단으로 올려놓은 다음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여 다시 다음 폐공(A) 급송작업을 위해 대기하였다가 투입된 폐공(A)의 외피탈피작업이 완료되면 다음 폐공(A)의 급송작업을 전기한 과정으로 수행한다.
상기 과정에서 보호가드(4)의 승강판(44)에 형성된 지지공(46)은 폐공(A)이 회전구동샤프트(3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을 안정성을 제공하게 된다.
즉, 회전구동샤프트(36) 위로 폐공(A)이 올려지는 과정에서 보호가드(4)의 승강판(44)상에 형성된 지지공(46)은 회전구동샤프트(36)에 올려지는 폐공(A)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서포터(31) 상단 설치플레이트(32)에 설치된 승강플레이트(34)가 구동실린더(42)에 의해 하향 작동하여 승강플레이트(34)의 저부 아이들샤프트(35)가 폐공(A)의 상단 중심부를 지지함으로써 폐공(A)은 상하의 샤프트(35,36) 사이에서 상하 중심축이 고정지지되고, 이와 함께 지지공(46)으로 폐공(A)이 회전구동샤프트(3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있던 보호가드(4)의 승강판(44)은 회전구동샤프트(36)의 하부로 이동하여 폐공(A)의 탈피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폐공(A)이 픽싱어셈블리(3)의 하부 회전구동샤프트(36)와 상부의 아이들샤프트(35)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지지된 상태에서는 하부 회전구동샤프트(36)와 연동설치된 모터(37)가 구동되어 폐공(A)을 회전시키면서 커터(57)에 의한 탈피작업이 수행된다.
즉, 커터(57)는 이동블록(51)상의 팁홀더(55)에 설치되어 일측 구동실린더 (52)에 의해 기대(1)상의 가이드(54)를 따라 슬라이드이동되면서 상하 샤프트(35,36)에 고정된 폐공(A)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회전구동샤프트(36)는 모터(37)에 의해 회전구동되어 폐공(A)이 회전되어 탈피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하 샤프트(35,36) 사이에서 회전되는 폐공(A) 측으로 이동된 커터(57)는 팁홀더(55)상의 호형커터(57a)와 평면커터(57b)가 회전하는 폐공(A)의 호형 외표면을 따라 외피를 절삭하여 벗겨내게 되고 탈피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작업을 위해 대기하게 된다.
호형커터(57a)는 폐공(A)의 호형 외면을 따라 외피를 절삭하게 되고, 평면커터(57b)는 폐공(A)의 외표면 일부를 절단하면서 호형커터(57a)와 함께 탈피작업을 수행하여 외피를 벗겨내게 된다.
외피탈피이 완료된 폐공(A)의 코어와 외피는 각각 수거하여 통상과 같은 재생과정을 거쳐 재생시킴으로써 새로운 골프공을 제작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공을 외피탈피작업위치로 자동 투입하고 투입된 폐공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지지되어 외피탈피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의 신속성과 능률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안정된 작업성으로 폐공의 재생작업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잇점과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4)

  1. 폐공(A)을 탈피작업위치로 급송하는 피딩(Feeding)어셈블리(2), 투입된 폐공(A)을 고정, 회전시키는 픽싱(Fixing)어셈블리(3), 폐공(A)의 외피를 벗겨내는 탈피작업을 수행하는 커팅(Cutting)어셈블리(5)로 이루어진 폐골프공의 외피탈피장치에 있어서,
    피딩어셈블리(2)는; 포스터바아(21)의 가이드판(22)에 형성된 가이드(22a)에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안내되는 이송플레이트(23)와, 이송플레이트(23)의 구동실린더(25)에 상하로 승강작동되게 설치되는 흡착플레이트(27)와, 흡착플레이트(27)에 설치되어 폐공(A)을 탈착하는 흡착판(29)으로 이루어지고,
    픽싱어셈블리(3)는; 기대(1)상의 서포터(31) 상단 설치대(32)의 구동실린더(32a)에 상하로 승강작동되는 승강플레이트(34)에 설치되어 폐공(A)의 상부 중심축을 지지하는 아이들(Idle) 샤프트(35)와, 아이들 샤프트(35)의 상하 일직선상의 기대(1) 상면에 구동모터(37)와 연동되게 설치되어 폐공(A)의 하부 중심축을 지지하는 회전구동샤프트(36)와, 구동실린더(42)로서 상하로 승강 작동되는 승강판(44)에 지지공(46)이 형성되어 회전구동샤프트(36) 상단에 올려지는 폐공(A)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가드(4)로 이루어지며,
    커팅어셈블리(5)는; 구동실린더(52)로서 기대(1)상의 가이드(54)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작동되는 이동블록(51)상의 팁홀더(55)에 호형커터(57a)와 평면커터(57b)를 탈착가능하게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골프공 외피탈피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050090518A 2005-09-28 2005-09-28 폐골프공 외피탈피장치 KR100736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90518A KR100736893B1 (ko) 2005-09-28 2005-09-28 폐골프공 외피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90518A KR100736893B1 (ko) 2005-09-28 2005-09-28 폐골프공 외피탈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753A KR20070035753A (ko) 2007-04-02
KR100736893B1 true KR100736893B1 (ko) 2007-07-06

Family

ID=3815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90518A KR100736893B1 (ko) 2005-09-28 2005-09-28 폐골프공 외피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8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987B1 (ko) 2011-09-21 2011-11-29 양춘호 골프공 재생을 위한 탈피장치
KR101612233B1 (ko) 2015-10-08 2016-04-12 주연우 골프공 외피 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335A (ko) * 1999-04-01 2000-11-15 송철호 골프공 재생방법
KR20030013217A (ko) * 2001-08-06 2003-02-14 이통일 폐골프공의 외피분리장치
KR20050119048A (ko) * 2004-06-15 2005-12-20 최원실 폐골프공의 재생을 위한 피복분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335A (ko) * 1999-04-01 2000-11-15 송철호 골프공 재생방법
KR20030013217A (ko) * 2001-08-06 2003-02-14 이통일 폐골프공의 외피분리장치
KR20050119048A (ko) * 2004-06-15 2005-12-20 최원실 폐골프공의 재생을 위한 피복분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987B1 (ko) 2011-09-21 2011-11-29 양춘호 골프공 재생을 위한 탈피장치
KR101612233B1 (ko) 2015-10-08 2016-04-12 주연우 골프공 외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753A (ko) 2007-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083976U (zh) 一种钢管自动切割机
CN207549346U (zh) 一种塑胶水口料的自动切割机
KR101239678B1 (ko) 유리 도가니의 절단 방법 및 절단 장치
KR100885373B1 (ko) 감 탈피장치
CN204680650U (zh) 一种全自动卧式引脚套管成型机
CN207125276U (zh) 山楂去核机
WO2010096088A1 (en) Method for preparing ears of corn for automated handling, positioning and orienting
KR100736893B1 (ko) 폐골프공 외피탈피장치
KR20120054170A (ko) 자동 과일 박피기
KR101164675B1 (ko) 보호테이프의 절단방법 및 보호테이프 절단장치
CN211908212U (zh) 一种定尺裁线机
KR101612233B1 (ko) 골프공 외피 제거장치
CN205552646U (zh) 手机触摸屏分离装置
CN109158770B (zh) 配合机器人作业的圆柱电池剥壳机构
CN218425885U (zh) 一种滤波器生产用切割装置
CN108638264A (zh) 木材加工装置
CN212191758U (zh) 在线同步激光切割机构
CN211789362U (zh) 一种新能源电池环保回收装置
CN211967611U (zh) 一种塑料制品生产修边装置
CN107443448B (zh) 一种香菇的保鲜前自动切根设备
CN217471193U (zh) 一种削皮机
CN219123828U (zh) 一种剥皮机
CN108634338A (zh) 用于猕猴桃片的加工工艺
KR102515598B1 (ko) 감 가공장치
KR101579708B1 (ko) 과일 꼭지 제거가 가능한 과일 자동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