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988B1 - 미저장 정보 저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미저장 정보 저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988B1
KR100732988B1 KR1020050104783A KR20050104783A KR100732988B1 KR 100732988 B1 KR100732988 B1 KR 100732988B1 KR 1020050104783 A KR1020050104783 A KR 1020050104783A KR 20050104783 A KR20050104783 A KR 20050104783A KR 100732988 B1 KR100732988 B1 KR 100732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orage
stored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913A (ko
Inventor
유대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4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988B1/ko
Publication of KR2007004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저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의 검색시 검색 대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미저장 정보 저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원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등록 저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저장 정보와 상기 저장정보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저장정보의 검색 과정에서 검색 대상 정보가 상기 저장정보에서 검색되지 않는 경우 검색대상 정보를 상기 저장정보로 저장하는 저장정보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저장 정보, 저장정보관리부, 자동저장, 전화번호부

Description

미저장 정보 저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unction of auto saving a missing data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미저장 정보 저장 확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원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미저장 정보의 저장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원 발명의 또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미저장 정보가 전화번호 정보인 경우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제어부 111 : 저장정보관리부
111': 전화번호관리부
120 : 카메라부
130 : 저장부 131 : 저장정보
131': 전화번호부
140 : 키입력부 150 : 표시부
160 : RF부 170 : 송수화부
본원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저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의 검색시 검색 대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미저장 정보 저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초기에는 통신수단의 기능만을 가졌다. 그러나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기능의 발달에 의해, 디지털카메라, 캠코더, 전자수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의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저장매체 기술의 발달로 인해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형의 휴대용 저장 장치의 기능까지를 제공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키입력부를 통해 각종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부에 해당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정보저장 기능의 대표적인 예로는 전화번호부, 전자수첩 기능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전화번호부의 경우에는, 전화번호등록, 최근 통화내역, 최근 수신내역, 부재중 수신내역, 전화번호 목록 보기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전자수첩의 기능으로는 모닝콜, 알람설정, 스케줄러, 계산기, 단위환산, 세 계시간, 바이오리듬 정보 제공 기능 등이 일반적이다.
사용자는 자신이 저장하기를 원하는 전화번호가 있는 경우에는 전화번호부의 전화번호등록 기능을 이용하여 상대방 이름, 이동통신 단말기 전화번호, 유선전화기 전화번호, 팩스 번호 등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전화번호를 저장, 변경 및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수첩 기능을 이용하여 모닝콜, 알람 정보, 스케줄 정보 등을 입력 저장 및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된 정보를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부의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전화번호부는 전화번호를 가장 기본적인 이름순, 번호순, 자음별로 보기, 그룹별로 보기, 사진별로 보기 등의 방법에 의한 검색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번호에 대해 어떤 기준으로 검색할지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저장 정보 검색의 경우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저장 정보가 검색되어 있지 않음을 알리는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하여 준다. 따라서, 사용자가 검색 대상이 되는 정보를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초기메뉴화면으로부터 해당 정보의 입력창까지 메뉴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이동하여야 하는 정보 저장의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행한 특정 검색 대상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정보의 등록 저장화면을 출력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미등록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미저장 정보 저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등록 저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저장 정보와 상기 저장정보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저장정보의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한 사용자의 검색대상 정보의 검색에서 상기 검색 대상 정보가 상기 저장정보에서 검색되지 않는 경우 검색대상 정보를 상기 저장정보로 저장하는 저장정보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저장정보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화면을 상기 표시부 상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정보의 등록, 저장, 변경, 갱신, 삭제 등의 관리를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저장정보 관리를 위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는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하여 사용자가 저장정보 중 특정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 검색 대상 정보를 상기 저장정보에서 읽어 들여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검색대상 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저장정보관리부가 구동되어 검색 대상 정보를 저장정보로 저장한다.
상기 저장정보관리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의 일 기능으로 상기 제어부에 통합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와 별도로 분리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미저장 정보 저장 방법은, 사용자 검색 대상 정보를 저장정보에서 검색하는 정보검색과정과; 상기 정보검색과정의 검색 결과 상기 대상 저장정보가 상기 저장정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대상 정보를 상기 저장정보에 등록 저장하는 정보저장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저장과정은 상기 검색 대상 정보의 저장을 확인하는 저장확인과정과; 상기 저장확인과정에서 저장 확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검색대상정보저장화면을 출력하는 정보저장화면출력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본원 발명에서 상기 저장정보는 모닝콜, 알람, 스케줄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저장 및 관리 대상이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정보를 말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 (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및 데이터 통신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며 또한 저장정보의 등록, 갱신, 변경, 삭제 등을 수행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사진 또는 동영상촬영을 수행하는 카메라부(120)와; 전화번호데이터, 영상이미지데이터, 사용자 입력 정보,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소프트웨어 등의 저장정보(131)를 저장하는 저장부(130)와;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키입력부(14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동상태와 상기 저장정보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15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이동통신망과 RF신호를 송수신하는 RF부(160)와; 사용자의 음성통화를 위한 오디오 신호를 입출력하는 송수화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징적으로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저장정보(131)에서 특정 검색대상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 검색대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검색대상 정보를 상기 저장정보로 등록 저장하는 저장정보관리부(1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정보관리부(111)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저장정보의 검색시 검색 대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검색대상 정보를 검색항목에 따라 저장정보로 등록 저장한다. 이때, 상기 검색항목은 검색대상 정보의 입력을 위해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에 의해 판단된다. 즉, 전화번호 검색의 경우 전화번호 항목이 되며, 스케줄의 검색의 경우에는 스케줄이 된다.
상기 저장정보관리부(111)는 미 저장 정보의 저장을 사용자로부터 확인받기 위하여 미 저장 정보(검색 대상 정보)의 저장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 자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미 저장 정보(검색 대상 정보)의 저장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의 일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저장을 확인하면 저장정보관리부는 미 저장된 검색 대상 정보를 해당 항목을 선택하여 순차적으로 저장하거나, 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검색 대상 정보에 해당하는 항목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입력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미 저장된 검색대상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검색대상 정보로 등록 저장한다.
도 3은 본원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미저장 정보 저장 방법의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검색 메뉴 항목의 선택 및 검색 대상 정보의 입력에 의해 검색 대상 정보를 저장부(130)의 저장정보(131)에서 검색한다(S1).
S1 과정의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대상 정보가 저장정보에서 검색되는 지에 의해 검색 대상 정보가 저장정보(131)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S2).
S2 과정의 판단 결과 검색 대상 정보가 저장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장보에서 검색 대상 정보를 검출한 후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표시부(150)에 출력하여 준다(S3).
이 후 재검색 이 수행되는 지를 판단하여 재검색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S1 과정으로 이동하여 처리과정을 다시 재수행한다. 이와 달리 재검색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과정을 종료한다(S7).
상술한 S3 및 S7 과정과는 달리 S2 과정의 판단 결과 검색 대상 정보가 저장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검색 대상 정보를 저장정보로 저장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사용자 화면을 표시부(150)에 출력한다(S4).
사용자의 화면을 표시부(150)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저장정보로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검색 대상 정보를 저장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한다(S5).
S5 과정에서 사용자가 검색 대상 정보를 저장정보로 저장할 것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S7 과정으로 이동하여 재검색을 수행하는 지를 판단하여 재검색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S1 과정으로 이동하여 처리과정을 다시 수행하고, 재검색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과정을 종료한다(S7).
이와 달리 상기 S5 과정에서 사용자가 검색 대상 정보를 저장정보로 저장할 것을 선택한 경우에는 검색 대상 정보의 입력을 위해 사용자가 선택한 검색 메뉴를 이용하여 해당 메뉴 항목의 저장정보로 저장하거나, 해당 메뉴 항목의 저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한 후 사용자가 검색 대상 정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검색 대상 정보를 저장정보로 저장한다(S6).
S6 과정 이후에는 다시 재검색을 수행하는 판단하여 재검색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S1 과정으로 이동하여 처리과정을 다시 수행하고, 재검색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과정을 종료한다(S7).
상술한 도 1 내지 도 3의 설명에서 상기 저장정보는 모닝콜, 알람, 스케줄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때 멀 티미디어 정보의 경우, 해당 항목의 검색이 없는 경우, 근거리 통신에 의한 다운로드 또는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것에 의해 멀티미디어 정보를 등록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본원 발명의 저장정보가 전화번호인 경우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이 전화번호의 검색 과정에서 전화번호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검색되지 않는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술한 도 1에서의 구성에서 저장정보관리부(111)가 전화번호관리부(111')가 되며, 저장정보(131)가 전화번호부(131')가 된다.
즉, 상술한 전화번호관리부(11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검색이 수행되는 경우 검색 대상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검색대상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에 등록 저장한다. 이때, 전화번호관리부(111')는 미 저장 전화번호의 저장을 사용자로부터 확인받기 위하여 미 저장 전화번호의 저장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한 후, 사용자가 저장확인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전화번호부에 등록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전화번호 등록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 소유자 명 등의 전화번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원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정보저장 매체로 사용시 정보의 검색 과정에서 검색 대상이 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해당 정보에 대한 저장을 위하여 사용자가 초기 메뉴로 이동하여 정보 저장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저장되지 않은 검색 대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등록 저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저장 정보와 상기 저장정보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저장정보의 검색 과정에서 검색 대상 정보가 상기 저장정보에서 검색되지 않는 경우 검색대상 정보를 상기 저장정보로 저장하는 저장정보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저장 정보 저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저장정보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정보의 저장 데이터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저장 정보 저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정보는 모닝콜, 알람, 스케줄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저장 정보 저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사용자 검색 대상 정보를 저장정보에서 검색하는 정보검색과정과;
    상기 정보검색과정의 검색 결과 상기 대상 저장정보가 상기 저장정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대상 정보를 상기 저장정보에 등록 저장하는 정보저장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미저장 정보 저장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과정은,
    상기 검색 대상 정보의 저장을 확인하는 저장확인과정과;
    상기 저장확인과정에서 저장 확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검색대상정보저장화면을 출력하는 정보저장화면출력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미저장 정보 저장 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정보는 모닝콜, 알람, 스케줄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미저장 정보 저장 방법.
KR1020050104783A 2005-11-03 2005-11-03 미저장 정보 저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KR100732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783A KR100732988B1 (ko) 2005-11-03 2005-11-03 미저장 정보 저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783A KR100732988B1 (ko) 2005-11-03 2005-11-03 미저장 정보 저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913A KR20070047913A (ko) 2007-05-08
KR100732988B1 true KR100732988B1 (ko) 2007-06-29

Family

ID=3827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783A KR100732988B1 (ko) 2005-11-03 2005-11-03 미저장 정보 저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9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1944A (ko) * 2003-12-19 2005-06-2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자동 완성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1944A (ko) * 2003-12-19 2005-06-2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자동 완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913A (ko) 200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5833B2 (en) Apparatus, method, computer program and mobile terminal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8275103B2 (en) Communication device, display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07221398A (ja) 携帯端末、動作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
KR101926736B1 (ko) 자원 검색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200800207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integration search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106162A (ko)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20100226485A1 (en) Telephone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processing program
EP1610533A2 (en)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s associated with a phone numb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9245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및 전화번호부 검색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92005B1 (ko)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 방법
JP2006039615A (ja) 端末装置およびメニュー表示方法
KR101013247B1 (ko)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060130810A (ko) 휴대 단말기의 일정 캘린더를 이용한 다이어리 관리 방법
KR101895701B1 (ko) 사용자 정보 푸시 방법 및 장치
KR20040023235A (ko) 이동통신기기의 화상전화번호부 자동검색 및 관리장치 및그 방법
KR100732988B1 (ko) 미저장 정보 저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KR101248165B1 (ko) 휴대전화 및 그 데이터 검색방법
KR100517337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사용 명함관리 방법 및 장치
JP200731226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JP2008217483A (ja) 携帯電話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における機能到達システム
KR100628072B1 (ko) 사진을 편집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기
JP5354648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5791502A (zh) 联系人查找方法及装置
KR20060127283A (ko) 저장시간순 정보 저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KR100594463B1 (ko) 전화번호부 기반의 영상 촬영 및 검색 기능을 가지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