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488B1 - Method and System for Telephone Connection Related to Contents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Telephone Connection Related to Contents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488B1
KR100730488B1 KR1020050031800A KR20050031800A KR100730488B1 KR 100730488 B1 KR100730488 B1 KR 100730488B1 KR 1020050031800 A KR1020050031800 A KR 1020050031800A KR 20050031800 A KR20050031800 A KR 20050031800A KR 100730488 B1 KR100730488 B1 KR 100730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url
telephone number
d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8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09616A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루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루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루온
Priority to KR1020050031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488B1/en
Publication of KR20060109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6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4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한다)에 있어서의 콘텐츠 관련 전화접속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접속 방법에서는, 각 콘텐츠 제공자(CP; Contents Provider)로부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전송받아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ic Program Guide; 이하 "EPG"라 한다)를 편성하고, 상기 EPG에 따라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DMB 채널을 통해 송출함으로써,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시청자가,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전화번호 연락처로 DMB 단말기를 통해 호 접속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DMB 콘텐츠의 수신 중 시청자가 방송 콘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전화 연락처로 쉽게 접속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dialing a content related content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DMB"). In the telephone acces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program gui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PG") is received by receiving content information an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each content provider (CP). And the viewer receiving the contents information through the DMB terminal by sending the contents information and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information through the DMB channel according to the EPG. It provides the function to request cal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reception of DMB content, the viewer can easily access the telephone contact provided with the broadcast content.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DMB, 프로그램 가이드, EP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Program Guide, EPG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있어서의 콘텐츠 관련 전화접속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Telephone Connection Related to Contents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Method and system for telephone connection related to content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ethod and System for Telephone Connection Related to Contents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에서의 콘텐츠 관련 전화접속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related dialing system in DM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에서의 콘텐츠 관련 전화접속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2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content-related dialing method in DM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EPG 편성표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3 shows an example of the EPG organization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의 전화접속 방법에서, 호 접속 시도 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connection attempt process in detail in the telephone access method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MB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MB에서의 콘텐츠 관련 전화접속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related dialing method in DM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따른 전화접속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FIG. 7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the dial-up method according to FIG. 6.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있어서의 콘텐츠 관련 전화접속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DMB 콘텐츠의 수신 중 시청자가 방송 콘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전화 연락처로 쉽게 전화통화를 시도할 수 있는 전화접속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dialing a content related content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connection in which a viewer can easily make a telephone call to a telephone contact provided with broadcast content while receiving DMB content. It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은, 고화질의 디지털방송을, DMB 전용 단말기를 통해 시청할 수 있는 방송기술로서, 전송방식 및 네트워크 구성방식에 따라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나뉠 수 있다. 종전의 지상파 TV, 케이블 TV, 위성방송 등이 정해진 시간에 TV 수상기 앞에 앉아야만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이른바 '고정 시청형태'의 방송인 것에 비해, DMB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이른바 '이동형 개인 시청형태'의 방송이라고 할 수 있다.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is a broadcasting technology capable of viewing high-definition digital broadcasting through a DMB dedicated terminal, and may be divided into terrestrial DMB and satellite DMB according to a transmission method and a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Compared to conventional terrestrial TV, cable TV, satellite broadcasting, and so-called 'fixed viewing type' broadcasting where you can watch desired broadcasting programs by sitting in front of the TV receiver at a fixed time, DMB can watch desired contents anytime, anywhere. In other words, it can be called a 'mobile personal viewing form'.

상기 DMB 단말기로는, 예컨대, DMB 전용 수신기, 차량용 DMB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기능을 겸비한 DMB 단말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이동통신 기능을 겸비한 휴대용 DMB 단말기는, 그 휴대의 간편성을 고려할 때 널리 보급되리라 예상되고 있다. As the DMB terminal, for example, a DMB dedicated receiver, a vehicle DMB terminal, or a DMB terminal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may be used. Among these, the portable DMB terminal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simplicity of the portable.

한편, DMB 서비스에서는, 디지털 방송의 특성상 콘텐츠 정보 외에 그와 관련된 다양한 부가정보 및 쌍방향 대화통신이 가능하다. 예컨대, DMB 방송의 시청 도 중에, 방송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부가정보(예컨대, 드라마의 경우 각 배우들의 프로필 정보)를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예컨대, 방송 사업자가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해당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인터넷 웹싸이트의 주소를 함께 전송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이용자는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DMB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넷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관련 인터넷 웹싸이트에 접속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MB service, in addition to content information,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and two-way conversational communication related to the content are possible. For example, while watching a DMB broadcast,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being broadcast (for example, profile information of each actor in a drama) may be selected and provided. Or, for example, when a broadcaster provides broadcast content and transmits the address of an Internet website related to the broadcast content to the user, the user uses the Internet access function provided in the DMB terminal while watching the broadcast content. You can then try to access the relevant Internet website.

DMB 단말기의 이와 같은 인터넷 접속 기능은, 콘텐츠 제공자 및 해당 콘텐츠의 시청자를 상호 연결시키는 데에 많은 편리함을 기여한다. 즉 콘텐츠의 방송 도중에 방송 중인 콘텐츠와 함께 전송된 관련 웹싸이트의 URL 주소로 접속하기 위해서, 해당 URL주소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 없이, 시청자는, 해당 콘텐츠의 방송 도중에 단지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설정된 특정 키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된다. This internet access function of the DMB terminal contributes a lot of convenience to interconnecting the content provider and the viewer of the content. That is, in order to access the URL address of the relevant web site transmitted along with the content being broadcast during the broadcast of the content, the viewer does not need to input the URL address one by one, but the viewer can only access the Internet during the broadcast of the content. Just press.

그러나, 콘텐츠 제공자 및 해당 콘텐츠의 시청자는, 상기와 같은 인터넷 접속 기능 외에 상호 전화 접속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예컨대, 홈쇼핑 방송에 있어서는 광고 중인 상품에 대한 상담이나 주문을 원하는 시청자는 방송 화면에 표시되는 전화번호 연락처에 전화를 걸어서 상담원과 통화를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담원과 전화통화를 하려는 시청자는, 방송화면에 표시되는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 통화모드로 전환한 후에 일일이 번호를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구나, 이동통신 기능을 겸비한 DMB 단말기의 경우, 간편한 휴대를 위해서는 화면의 크기를 작게 구성할 수 밖에 없는데,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에게는 이러한 작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것이다. However, the content provider and the viewer of the content may require mutual telephone connec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internet connection function. For example, in a home shopping broadcast, a viewer who wants to consult or place an order for a product being advertised may call a counselor by dialing a telephone number contact number displayed on a broadcast screen. In such a case, a viewer who wants to make a telephone call with a counselor has to check the telephone number displayed on the broadcast screen, and then enter a telephone number after switching to the call mode. Moreover, in case of a DMB terminal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a small screen size for easy portability, but it may not be easy to check the phone number displayed on such a small screen for a person with low vision. .

따라서, DMB 수신자가, 수신 중인 방송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화 연락처에 보다 간편하게 호 접속을 시도할 수 있는 기술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technology that allows the DMB receiver to more easily attempt to connect to a telephone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content being received.

본 발명에서는, DMB 방송 중 시청자가 방송 콘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전화 연락처로 보다 간편하게 전화통화를 시도할 수 있는 전화접속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a telephone that allows a viewer to more easily attempt to make a telephone call to a telephone contact provided with broadcast content during DMB broadcasting.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화접속 방법 및 전화접속 시스템과 연동하여 방송 콘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전화 연락처로 보다 간편하게 전화통화를 시도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DMB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MB terminal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telephone call can be more easily attempted with a telephone contact provided with broadcast content in association with the telephone access method and the telephone access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접속 방법은, 각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전송받아서 EPG를 편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DMB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전화번호 연락처로 호 접속을 요청할 수 있도록, 상기 EPG에 따라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DMB 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ccessing a phone, comprising the steps of: organizing an EPG by receiving content information and 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each content provider; And a DMB channel with content information an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PG, so that a user of the DMB terminal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can request a call connection to the telephone number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step of sending through.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는, DMB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DMB 채널을 통 해 수신하는 수신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수신한 정보 중에서 상기 방송 중인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 정보를 호 접속 발신이 가능한 다이얼 형태의 신호로 변환시키는 변환기; 및 상기 변환된 다이얼 형태의 신호로써 호 접속 요청신호를 발신하는 발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MB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r for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MB broadcasting station and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via the DMB channel; A detector for detecting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ing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detecte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into a dial type signal capable of making a call connection;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as the converted dial type sig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MB에서의 콘텐츠 관련 전화번호 정보 제공방법은, 각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설정하고, 상기 URL이 설정된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에 상기 설정된 URL을 대응시키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URL 정보를 기초로 EPG를 편성하는 단계; 상기 EPG에 따라 DMB 채널을 통해 상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URL 정보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URL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가 DMB 단말기를 통해 상기 URL로 인터넷 접속한 경우, 상기 URL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DMB 단말기가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를 갖는 연락처로 호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related phone number information in a DMB includes: receiving content information and 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each content provider; Setting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and mapping the set URL to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n which the URL is set; Organizing an EPG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through a DMB channel according to the EPG; Detecting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RL when the user who has received th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accesses the Internet through the DMB terminal through the URL; And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from the DMB terminal to a contact having the detected telephone nu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MB에서의 콘텐츠 관련 전화접속 시스템은, 각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URL을 설정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URL 정보를 게이 트웨이로부터 수신하여 EPG를 편성하는 저작도구; 및 상기 EPG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URL 정보를 송출하는 방송 송출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related telephone access system in DMB receives content information and 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each content provider, and obtains a UR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phone number information. A gateway to set up; An authoring tool for organizing an EPG by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a gateway; And a broadcast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P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있어서의 콘텐츠 관련 전화접속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telephone connection method related to content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에서의 콘텐츠 관련 전화접속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전화접속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의 DMB 단말기(60)는, 이동전화 기능을 겸비한 DMB 단말기임을 전제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접속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related dial-up system in a DM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dial-up method that may be executed by the system of FIG. It is assumed that the DMB terminal 60 in the embodiment of FIG. 1 is a DMB terminal having a mobile telephone function.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look at the dial-up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각 콘텐츠 제공자(10)는 시청자들에게 제공할 방송 콘텐츠를 게이트웨이(20)에 전송한다. 이 경우 각 콘텐츠 제공자(10)는, 콘텐츠 정보와 함께 그 콘텐츠와 관련된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전송한다(S10). 부가정보로는, 그 콘텐츠와 관련된 전화번호 정보 외에 해당 콘텐츠의 명칭, 방송쟝르, 상영시간, 주요키워드와 같은 메타 데이터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전화번호 정보는, 예컨대, 콘텐츠 제공자(10)가 어떤 상품에 대한 홈쇼핑 방송을 콘텐츠로 제공하는 경우, 그 상품의 주문이나 상담을 담당할 수 있는 전화 연락처로 설정할 수 있다. First, each content provider 10 transmits to the gateway 20 broadcast content to be provided to viewers. In this case, each content provider 10 transmits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content information and phone numb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S10). As the additional information, metadata, such as a name, a broadcast genre, a running time, a key keyword, and the lik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addition to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may correspond thereto.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may be set to, for example, a telephone contact who may be in charge of ordering or consulting a product when the content provider 10 provides a home shopping broadcast for a product as content.

게이트웨이(20)는 각 콘텐츠 제공자(10)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 정보 및 관련 부가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한편, 이를 저작도구(30)에 전송한다. The gateway 20 stores the content information and related additio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content provider 10 in a database and transmits it to the authoring tool 30.

저작도구(30)는, 상기 게이트웨이(2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정보 및 관련 부가정보를 기초로, 각 콘텐츠들이 정해진 스케쥴에 따라 방송될 수 있도록 EPG를 편성한다(S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편성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EPG에 포함되는 콘텐츠 정보 및 관련 부가정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EPG 편성표에는 각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비롯하여, 각 콘텐츠의 명칭, 장르(예컨대, 드라마, 영화, 뮤직비디오, 홈쇼핑 등), 관련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웹싸이트 주소(URL)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The authoring tool 30 organizes the EPG so that each content can be broadcas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hedule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related additio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ateway 20 (S20). An EPG organization tab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shown in FIG. 3. Referring to FIG. 3, the content information and related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P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shown, the EPG schedule includes the name, genre (e.g., drama, movie, music video, home shopping, etc.) of each content, as well as 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and a website address that can provide related services ( URL) and the like can be included.

예컨대, 어떤 상품에 대한 홈쇼핑 방송 콘텐츠의 경우, 콘텐츠의 장르를 '홈쇼핑', 콘텐츠의 명칭으로서 해당 상품의 상품명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넷 쇼핑몰의 URL 정보 또는 해당 상품에 대한 상담이나 주문을 할 수 있는 전화 연락처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home shopping broadcasting content for a certain product, the genre of the content may be set as 'home shopping', and the name of the product may be set as the name of the content. In addition, URL information of an internet shopping mall selling the corresponding product or telephone contact information for consulting or ordering the corresponding product may be provided together.

이 경우 상기 전화 연락처 정보는, "021234567#11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키 "#" 다음에 기재된 숫자 '111'은, 콘텐츠 제공자(10)가 각 콘텐츠를 구별하기 위해 설정한 식별번호이다. 예컨대, 홈쇼핑 콘텐츠의 경우, 상기 식별번호를 상품의 고유번호로 설정함으로써, 전화 발신자가 어떤 상품에 대해 상담 또는 주문하기 위해 접속을 한 것인지 쉽게 알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lephone contact information may be expressed as "021234567 # 111". Here, the number '111' described after the identification key "#" is an identification number set by the content provider 10 to distinguish each cont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home shopping contents, by sett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as the unique number of the product, it is easy to know which product the caller has connected to consult or order.

이와 같이 편성된 EPG에 따라, 각 방송 콘텐츠는 DMB 송출기(40)에서 송출되어 제1 네트워크를 통해 DMB 단말기로 전송된다(S30). 이 때 상기 전송되는 콘텐 츠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도 함께 전송된다. 제1 네트워크(50)로는, 위성 DMB의 경우에는 위성통신 시스템이 이에 해당될 수 있고, 지상파 DMB의 경우에는 지상파 통신 시스템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PG organized as above, each broadcast content is transmitted from the DMB transmitter 40 and transmitted to the DMB terminal through the first network (S30). At this time, the 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content is also transmitted. As the first network 50, a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may correspond to the satellite DMB, and a terrestrial communication system may correspond to the terrestrial DMB.

DMB 단말기(60)는, 상기 제1 네트워크(50)를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 정보 및 관련 부가정보를 수신한다(S40). 방송을 수신하는 동안, 수신자가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화 연락처로 통화접속을 원하는 경우, 통화접속을 시도할 수 있도록 설정된 DMB 단말기의 특정키를 조작함으로써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S50). 상기 접속시도 후의 단계는 일반적인 이동통신에 있어서의 접속방식과 동일하다. The DMB terminal 60 receives content information and related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network 50 (S40). While receiving the broadcast, if the receiver wants to make a call connection to the telephone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content, the receiver may attempt to connect by operating a specific key of the DMB terminal which is set to attempt the call connection (S50). The steps after the connection attempt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DMB 단말기(60)에서, 방송중인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화 연락처로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S50)를, 도 4를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n the DMB terminal 60, a step (S50) of attempting to connect to the telephone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being broadcast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as follows.

먼저, 수신 중인 방송 콘텐츠에 대응되는 전화 연락처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호 접속을 요청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DMB 단말기(60)에 미리 특정키를 설정해 놓는다. 예컨대, 방송 콘텐츠 수신 중에, 사용자가 DMB 단말기(60)의 특정키를 단일조작 함으로써, 즉, 특정키를 한 번 누름으로써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화 연락처로 호 접속 요청신호를 발신할 수 있도록 설정해 놓는다. First, a specific key is set in advance in the DMB terminal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a user can easily request a call connection to a telephone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content being received. For example, during reception of broadcast content, the user can set the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telephone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content by single operation of the specific key of the DMB terminal 60, that is, by pressing the specific key once. Release.

이와 같이, DMB 단말기(60)에 호 접속 요청을 위한 특정키를 설정해 놓은 상태에서, DMB 방송의 시청 중에 사용자가 상기 특정키를 한 번 누르면, DMB 단말기 내의 제어부는 수신된 정보 중에서 전화번호 정보를 검출한다(S52).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presses the specific key once while watching the DMB broadcast while the specific key for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set in the DMB terminal 60, the control unit in the DMB terminal receives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information. It is detected (S52).

검출된 전화번호 정보는, 방송 송수신을 위해 변환된 형태이므로, 변환기를 통해 호 접속이 가능한 다이얼 정보 형태로 변환된 후(S54) DMB 단말기 내의 발신 부로 인가한다. 발신부는 상기 다이얼 정보에 따라 호 접속을 요청하고(S56), 이후의 단계는 일반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Since the detected phone number information is converted to broadcast transmission / reception, the phone number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dial informa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a call through a converter (S54) and then applied to the caller in the DMB terminal. The calling unit requests a cal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dial information (S56), and subsequent steps may be made in the same manner as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와 같이, 방송 중에 DMB 단말기(60)에 구비된 특정키를 단일조작 함으로써 콘텐츠와 함께 전송된 전화번호 연락처로 호 접속을 시도하는 것은, 해당 콘텐츠의 방송시간 동안에만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As such, attempting to access a call to the telephone number contact transmitted with the content by single operation of the specific key provided in the DMB terminal 60 during the broadcast can be set to be possible only during the broadcast tim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이러한 호 접속 시도에 따라, 상기 DMB 단말기(60)가 제2 네트워크(70)를 통해, 방송 중인 콘텐츠에 대응하는 연락처와 접속이 이루어지면(S60), 발신자는 용건을 이야기 한 후 통화를 종료시키면 된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70)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에 해당한다. 통화 종료 후에는, DMB 단말기(60)가 원래의 콘텐츠를 자동으로 계속 방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call connection attempt, when the DMB terminal 60 is connected with a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being broadcast through the second network 70 (S60), the caller speaks and ends the call. do. 1 and 2, the second network 70 corresponds to a network for call connection in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fter the call ends, the DMB terminal 60 may be set to automatically continue to broadcast the original content.

한편, 상기한 도 2 및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접속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60)의 구성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는, 수신기(62), 검출기(64), 변환기(66) 및 발신기(68)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DMB terminal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lementing the telephone access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s 2 and 4 shown in FIG. As shown, the DMB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er 62, a detector 64, a converter 66 and a transmitter 68.

수신기(62)는, DMB 송출기(40)에서 송출하는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DMB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검출기(64)는, 사용자의 호 접속 요청 명령이 있는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호 접속을 위해 DMB 단말기(60)에 구비된 특정키를 누른 경우, 상기 수신한 정보 중에서 상기 방송 중인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검출한다. 변환기(66)는, 상기 검출된 전화 번호 정보를 검출기(64)로부터 인가받아서 호 접속 발신이 가능한 다이얼 형태의 신호로 변환시킨다. 발신기(68)는, 상기 변환된 다이얼 형태의 신호에 따라, 상기 방송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전화 연락처로의 호 접속을 위해, 호 접속 요청신호를 발신한다. The receiver 62 receives the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MB transmitter 40 and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through the DMB channel. The detector 64 corresponds to the content information being broadcasted among the received information when there is a user's call connection request command,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a specific key provided in the DMB terminal 60 for call connection. Detect phone number information. The converter 66 receives the detecte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from the detector 64 and converts the detecte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into a dial type signal capable of making a call connection. The transmitter 68 transmits a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for a call connection to a telephone contact associated with the broadcast content according to the converted dial type signal.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화 접속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160)는, 이동통신 기능 및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구비한 것을 전제로 한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lephone access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DMB terminal 1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has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wireless Internet access function.

도 4의 실시예에서는, DMB 단말기 내에서 콘텐츠와 함께 수신한 전화번호 정보를 다이얼 정보 형태로 변환하여 호 접속 요청신호를 발신한 것에 비해,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접속과정이 DMB 단말기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콘텐츠 제공자(1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및 관련 부가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게이트웨이(120)에서 제공하는 전화접속 메뉴를 통해 이루어진다. In the embodiment of FIG. 4, in the embodiment of FIG. 6, this connection process is performed in the DMB terminal, whereas the phone number information received together with the content in the DMB terminal is converted into dial information to transmit a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It is not made in the through, but through the dial-up menu provided by the gateway 120 that stores the content and related additio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er 10.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접속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게이트웨이(120)는 각 콘텐츠 제공자(10)로부터 콘텐츠 정보 및 콘텐츠 정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수신한다(S110). 여기서의 부가정보는,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콘텐츠와 관련된 전화번호 정보 외에 해당 콘텐츠의 명칭, 장르 등과 같은 데이터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dial-up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6 in detail as follows. First, the gateway 120 receives content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each content provider 10 (S110). As described above,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data such as name, genre, etc.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addition to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게이트웨이(120)는, 상기 관련 부가정보 중에서 해당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각 전화번호 정보마다 그에 대응하는 URL을 설정하고, 상기 URL이 설정된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에 상기 설정된 URL을 대응(맵핑)시킨다(S120). 이와 같이 콘텐츠 정보에 URL을 대응시켜서, 콘텐츠 정보가 DMB 채널로 송출될 때에 해당 URL 정보가 함께 송출되도록 한다. When the phone 120 includes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among the related additional information, the gateway 120 sets a URL corresponding to each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for which the URL is set. The set URL is mapped (mapped) at (S120). In this way, the URL is mapped to the content information so that the corresponding URL information is sent together when the content information is sent out through the DMB channel.

URL이 설정된 후, 게이트웨이(120)는 상기 콘텐츠 정보, 관련 부가정보 및 상기 새로 설정된 URL 정보를 저작도구(130)에 전송한다. 저작도구(130)는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각 콘텐츠가 정해진 스케쥴에 따라 방송될 수 있도록 EPG를 편성한다(S130). EPG 편성표에는, 상기한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각 콘텐츠의 명칭, 장르(예컨대, 드라마, 영화, 뮤직비디오, 홈쇼핑 등), 관련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웹싸이트 주소(URL)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다만, 각 콘텐츠의 전화번호 정보를 직접 포함시키는 것 대신에 해당 전화번화 정보에 대응하는 URL 정보를 포함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After the URL is set, the gateway 120 transmits the content information, related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newly set URL information to the authoring tool 130. The authoring tool 130 organizes the EPG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so that each content can be broadcas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hedule (S130).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 3 described above, the EPG program table includes names of contents, genres (eg, dramas, movies, music videos, home shopping, etc.), and website addresses (URLs) for providing related services. You can include information.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is included instead of directly including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each content.

이와 같이 편성된 EPG에 따라, 각 방송 콘텐츠는 DMB 송출기에서 송출되어 제1 네트워크를 통해 DMB 단말기(160)로 전송된다(S140). 이 때 상기 전송되는 콘텐츠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URL 정보도 함께 전송된다. 제1 네트워크로는, 도 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위성 DMB의 경우에는 위성통신 시스템이 이에 해당될 수 있고, 지상파 DMB의 경우에는 지상파 통신 시스템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PG organized as above, each broadcast content is transmitted from the DMB transmitter and transmitted to the DMB terminal 160 through the first network (S140). At this time,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transmitted content is also transmitted. As the first network, in the case of satellite DMB, a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may correspond to this, and in the case of terrestrial DMB, a terrestrial communication system may correspond to the first network.

DMB 단말기(160)는,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 정보 및 관련 부가정보를 수신한다(S150). 방송을 수신하는 동안, 수신자가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화 연락처로 통화접속을 원하는 경우, 우선 상기 URL 정보에 따라 호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무선 인터넷 접속을 시도한다. 이 경우, 수신자는 콘텐츠의 방송 중에 DMB 단말기(160)의 무선 인터넷 접속키를 단일조작 함으 로써, 즉, 접속키를 한 번 누름으로써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S160). 상기 접속키의 단일조작에 의한 상기 URL로의 인터넷 접속은, 상기 콘텐츠의 방송 중에만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The DMB terminal 160 receives content information and related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network (S150). While receiving a broadcast, when a receiver wants to make a call connection to a telephone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content, first, a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is attempted to a server providing a call connec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URL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receiver may attempt to connect by single opera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access key of the DMB terminal 160 during the broadcasting of the content, that is, by pressing the access key once (S160). The Internet connection to the URL by the single operation of the access key can be set to be possible only during the broadcast of the content.

상기 접속 시도 과정(S160)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DMB 방송의 시청 중에 사용자가 DMB 단말기(160)에 구비되어 있는 인터넷 접속키를 한 번 누르면, DMB 단말기(160) 내의 제어부(미도시)는 방송 중인 콘텐츠와 함께 수신된 정보 중에서 URL 정보를 검출한다. 그러고 나서,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URL에 따라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호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접속한다. Looking at the access attempt process (S160) in detail as follows. When the user presses the Internet access key provided in the DMB terminal 160 once while watching the DMB broadcast, a controller (not shown) in the DMB terminal 160 detects URL information among information received together with the content being broadcast. . Then, the controller connects to the server providing the call connection service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the detected URL.

상기 접속시도(S160)에 따라, 제2 네트워크(170)를 통해 DMB 단말기(160)가 상기 URL 주소로 접속하게 된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170)는,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에 해당한다. DMB 단말기(160)로부터 인터넷 접속이 요청되면, 게이트웨이(120)는 상기 URL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도 7 참조)로부터 검출하여 그 정보를 DMB 단말기(160)에 메뉴로 제공한다. 이 때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DMB 단말기(160)는 전화 통신 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로 호 접속을 요청하게 된다(S170). 이와 같은 호 접속 요청에 의해, 상기 DMB 단말기(160)와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 사이에 호 접속이 이루어지면(S180), 사용자는 전화통화를 한 후에 접속을 종료하면 된다. According to the access attempt (S160), the DMB terminal 160 accesses the URL address through the second network 170. In the embodiment of FIG. 5, the second network 170 corresponds to a wireless internet network. When the Internet connection is requested from the DMB terminal 160, the gateway 120 detects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RL from a database (see FIG. 7)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DMB terminal 160 as a menu.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e DMB terminal 160 switches to the telephone communication mode and requests a call connection to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telephone number (S170). When a call connection is made between the DMB terminal 160 and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telephone number by the call connection request (S180), the user may terminate the connection after making a phone call.

한편, 상기 게이트웨이(120)에서 DMB 단말기(160)에 제공하는 전화 번호 정 보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또는 ME(Mobile Explorer) 와 같은 무선 인터넷 전송규약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형태로서 표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hone number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ateway 120 to the DMB terminal 160 ma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language used in a wireless Internet transmission protocol such as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or ME (Mobile Explorer). .

WAP 서비스는 해당 이동통신사의 무선인터넷 서버에 접속하여 메뉴 접근 방식으로 원하는 콘텐츠를 찾아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서비스를 제공받는 동안 사용자는 서비스 이용에 대한 망 사용료와 유료 콘텐츠에 대한 정보 이용료를 지불하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이고, ME는 기존 인터넷의 기술적 방식을 그대로 수용한 무선 전송규약으로서, html을 약간 변형시킨 m-html 등의 언어를 사용한다. WAP service accesses the mobile internet company's wireless Internet server and finds the desired content through the menu access method, and the user pays the network fee for using the service and the information fee for the paid content while the service is provided. ME is a wireless transmission protocol that adopts the technical method of the existing Internet as it is, and uses a language such as m-html with a slight modification of html.

상기 WAP 서비스 또는, ME에서 사용되는 언어로써 상기 전화 연락처 정보를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The telephone contact information may be expressed as the language used in the WAP service or the ME as follows.

WAP의 경우: "wati://wp/mc;021234567#111"For WAP: "wati: // wp / mc; 021234567 # 111"

ME의 경우:"tel:021234567#111"For ME: "tel: 021234567 # 111"

여기서, 식별키 "#" 다음에 기재된 숫자 '111'은, 콘텐츠 제공자(10)가 각 콘텐츠를 구별하기 위해 설정한 식별번호이다. 예컨대, 홈쇼핑 콘텐츠의 경우, 상기 식별번호를 상품의 고유번호로 설정함으로써, 전화 발신자가 어떤 상품에 대해 상담 또는 주문하기 위해 접속을 한 것인지 쉽게 알 수 있다.Here, the number '111' described after the identification key "#" is an identification number set by the content provider 10 to distinguish each cont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home shopping contents, by sett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as the unique number of the product, it is easy to know which product the caller has connected to consult or order.

이처럼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콘텐츠의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URL 정보를 해당 콘텐츠 방송시 함께 송출하고, DMB 단말기(160)의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의 방송 도중에 상기 URL 주소로 접속한 경우, 해당 URL에 대응하는 전화 연락처로 호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FIG. 6, when the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content is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content broadcast, and the user of the DMB terminal 160 accesses the URL address during the broadcasting of the content, the corresponding URL Make a call connection to the telephone contact corresponding to.

도 6에 따른 전화접속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이 도 7에 도시되 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120), 저작도구(130) 및 DMB 송출기(140)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120)는 데이터 베이스(122) 및 검출기(1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the dial-up method according to FIG. 6 is shown in FIG. 7. As shown, it includes a gateway 120, an authoring tool 130, and a DMB emitter 140, which is configured to include a database 122 and a detector 124. Briefly, th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are as follows.

게이트웨이(120)는, 각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URL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각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 정보,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 및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여 새로 설정된 URL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22)를 구비하고 있다. The gateway 120 receives content information and 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each content provider and sets a UR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phone number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a database 122 for storing the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content provider,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and URL information newly se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is provided.

저작도구(130)는, 상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URL 정보를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수신하여, 각 콘텐츠가 정해진 스케쥴에 따라 방송될 수 있도록 EPG를 편성한다. The authoring tool 130 receives th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gateway 120 to form an EPG so that each content can be broadcas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hedule.

DMB 송출기(140)는, 상기 EPG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URL 정보를 DMB 채널을 통해 송출한다. The DMB transmitter 140 transmits th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through a DMB channel according to the EPG.

상기 송출된 정보를 수신한 DMB 단말기(160)의 사용자가, 수신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전화 연락처로 통화하기 위해, 상기 URL로 인터넷 접속을 요청한 경우, 게이트웨이 내 검출기(124)는, 데이터베이스(122)로부터 상기 URL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When the user of the DMB terminal 160 that has received the transmitted information requests the Internet connection to the URL to call a telephone contact associated with the content being received, the detector in the gateway 124, from the database 122 A function of detecting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RL is performed.

DMB 단말기(160)는, 이와 같이 검출된 전화번호를 갖는 연락처로 호 접속을 요청하게 된다. 즉, 검출기(124)에서 상기 URL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검출 하면, DMB 단말기(160)는 전화 통신 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를 갖는 연락처로 호 접속을 요청하게 된다. The DMB terminal 160 requests a call connection to the contact having the detected phone number. That is, when the detector 124 detects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RL, the DMB terminal 160 switches to the telephone communication mode and requests a call connection to the contact having the detected telephone number.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bove descrip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the common knowledge of.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MB에서의 콘텐츠 관련 전화접속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해, DMB 콘텐츠의 수신 중 시청자가 방송 콘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전화 연락처로 쉽게 접속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the method and system related to the content-related dialing in the DM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ewer can easily access the telephone contact provided with the broadcast content during the reception of the DMB content.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화접속 방법 및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DMB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방송 콘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전화 연락처로 시청자가 쉽게 접속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MB terminal configured to interoperate with the telephone connection method and system, so that a viewer can easily connect to a telephone contact provided with broadcast content.

Claims (9)

각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전송받아서 EPG를 편성하는 단계; 및 Organizing an EPG by receiving content information an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each content provider; And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DMB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전화번호 연락처로 호 접속을 요청할 수 있도록, 상기 EPG에 따라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DMB 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According to the EPG, content information an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hrough the DMB channel so that a user of the DMB terminal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can request a call connection to the telephone number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nding out, 상기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DMB 채널로 송출되기 전에 무선 인터넷 전송규약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의 콘텐츠 관련 전화접속 방법.And converting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into a language used in a wireless Internet transmission protocol before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DMB channe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의 호 접속 요청은, 상기 DMB 단말기에 구비된 특정키의 단일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의 콘텐츠 관련 전화접속 방법. And the call connection request of the user is made by a single operation of a specific key provided in the DMB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특정키의 단일조작에 의한 호 접속 요청은, 호 접속이 요청되는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방송 중에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의 콘텐츠 관련 전화접속 방법.The call connection request by the single operation of the specific key is possible only during the broadcast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for which the call connection is reques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각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Receiving content information an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each content provider; 상기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URL을 설정하고, 상기 URL이 설정된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에 상기 설정된 URL을 대응시키는 단계; Setting a URL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and mapping the set URL to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in which the URL is set; 상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URL 정보를 기초로 EPG를 편성하는 단계; Organizing an EPG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상기 EPG에 따라 DMB 채널을 통해 상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URL 정보를 송출하는 단계; Transmitting th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through a DMB channel according to the EPG; 상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URL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가 DMB 단말기를 통해 상기 URL로 인터넷 접속한 경우, 상기 URL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Detecting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RL when the user who has received th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accesses the Internet through the DMB terminal through the URL; And 상기 DMB 단말기가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를 갖는 연락처로 호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며,Requesting a call connection from the DMB terminal to a contact having the detected telephone number, 상기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DMB 채널로 송출되기 전에 무선 인터넷 전송규약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의 콘텐츠 관련 전화접속 방법.And converting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into a language used in a wireless Internet transmission protocol before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DMB channel.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URL로의 인터넷 접속은, 인터넷 접속이 요청되는 상기 URL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방송 중에 상기 DMB 단말기에 구비된 특정키의 단일조작으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의 콘텐츠 관련 전화접속 방법.The Internet connection to the URL can be made by a single operation of a specific key provided in the DMB terminal during broadcasting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RL for which the Internet connection is requested. 각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URL을 설정하는 게이트웨이; A gateway for receiving content information and 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each content provider and setting a UR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phone number information; 상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URL 정보를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여 EPG를 편성하는 저작도구; 및 An authoring tool for organizing an EPG by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a gateway; And 상기 EPG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URL 정보를 송출하는 방송 송출부를 포함하는 DMB에서의 콘텐츠 관련 전화접속 시스템. And a broadcast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PG.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게이트웨이는, The gateway, 각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 정보, 상기 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 및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URL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A database for storing the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content provider,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and URL information se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And 상기 송출된 URL 정보를 수신한 DMB 단말기의 수신자가 상기 URL로 인터넷 접속을 요청한 경우, 상기 URL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의 콘텐츠 관련 전화접속 시스템. And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RL when the receiver of the DMB terminal receiving the transmitted URL information requests the Internet connection to the URL.
KR1020050031800A 2005-04-18 2005-04-18 Method and System for Telephone Connection Related to Contents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KR1007304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800A KR100730488B1 (en) 2005-04-18 2005-04-18 Method and System for Telephone Connection Related to Contents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800A KR100730488B1 (en) 2005-04-18 2005-04-18 Method and System for Telephone Connection Related to Contents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616A KR20060109616A (en) 2006-10-23
KR100730488B1 true KR100730488B1 (en) 2007-06-20

Family

ID=37615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800A KR100730488B1 (en) 2005-04-18 2005-04-18 Method and System for Telephone Connection Related to Contents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48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914B1 (en) 2006-03-20 2008-04-16 온타임텍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 using gateway server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gateway server implement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783A (en) * 2003-04-09 2004-10-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ve Multimedia Content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50014901A (en) * 2005-01-05 2005-02-07 서문종 Product trans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multi function tele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783A (en) * 2003-04-09 2004-10-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ve Multimedia Content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50014901A (en) * 2005-01-05 2005-02-07 서문종 Product trans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multi function tele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914B1 (en) 2006-03-20 2008-04-16 온타임텍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 using gateway server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gateway server implemen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616A (en) 2006-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19192B1 (en) System for interactive chat without a keyboard
US83021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PG, and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EPG
US20030232593A1 (en) Digital data transfer through different communication paths
US79913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which relates in broadcasting
US20060143651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US20030108022A1 (en) Information ac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method
WO20000793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ccessing web pages based on television programming information
US20070209008A1 (en) Portal system
KR201401256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a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US20060218608A1 (en) Reception device
KR20140016695A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broadcast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services
KR101372904B1 (en) smart IPTV settop box system having an internet telephone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US9032021B2 (en)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advertisement/news on scalable application service system
KR20050087819A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ervices which can be provided by at least two different services sources
KR100730488B1 (en) Method and System for Telephone Connection Related to Contents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KR1010506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for connecting ITP contents to a mobile terminal
KR100748273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according to broadcasting organization by user
KR101215870B1 (en) Transmission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Video Contents using Set-Top Box, and Method Thereof
US20120124623A1 (en) Communications system
JP4612446B2 (en) Receiving terminal device
TWI488462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information
KR101124204B1 (en) Transmission System for Providing URL Information using Multi Screen and Proxy server and Method Thereof
KR1006617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reserved recording using dgi in broadcasting website service
KR1006571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Using Comput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23778B1 (en) Recep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