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753B1 -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to mobile phone and keyboard - Google Patents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to mobile phone and key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753B1
KR100728753B1 KR1020020021452A KR20020021452A KR100728753B1 KR 100728753 B1 KR100728753 B1 KR 100728753B1 KR 1020020021452 A KR1020020021452 A KR 1020020021452A KR 20020021452 A KR20020021452 A KR 20020021452A KR 100728753 B1 KR100728753 B1 KR 100728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hangul
input
vowel
but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4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83069A (en
Inventor
김종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20021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753B1/en
Publication of KR20030083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0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7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한 문자판에 관한 것으로, 핸드폰이나 PCS폰 등의 무선단말기에서 한정된 버튼을 이용하여 한글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method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a dial that implements the method, and to a method for enabling convenient and rapid input of Hangul using a limited button in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CS phone.

본 발명은 14개의 한글자음이 표시된 '0'에서 '9'까지의 10개의 숫자버튼과; 상기 숫자버튼 상단부 중앙에 위치하는 한글모음을 표시하는 상하좌우 방향버튼과; 한글/영어/숫자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버튼 및 특수문자버튼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0 numeric buttons ranging from '0' to '9' in which 14 Korean consonants are displayed;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buttons displaying a Hangul vowel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number button; Consists of a conversion button and a special character button to switch between Korean / English / numeric mode.

본 발명에 의하면 문자를 입력할 경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인 또는 기업이 자신을 광고하거나 또는 그 기업상품 등의 홍보시, 상품 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대방 또는 소비자에게 오래 기억되고 쉽게 기억되게 할수가 있으므로 탁월한 광고홍보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racter is inp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haracter can be input simply and quickly. In addition, when an individual or a company advertises itself or promotes the corporate product, etc., it is possible to make it remembered and easily remembered by the other party or the consumer by using a tele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etc., thereby having an excellent advertisement and promotion effect.

무선단말기, 한글입력, 숫자버튼, 방향버튼, 특수문자버튼Wireless terminal, Korean input, number button, direction button, special character button

Description

무선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한 문자판{Method for inputing HANGUL into mobile phone and keyboard}Hangul input method of wireless terminal and character board embodying the method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to mobile phone and keyboard}

도 1은 일반적인 무선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를 보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angul input device of a typical wireless terminal,

도 2는 종래의 삼성의 '천지인'의 한글입력방법을 위한 휴대폰 문자판을 보여주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 dial of a mobile phone for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conventional 'Cheonjiin' of Samsung,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판을 보여주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 d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d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중앙프로세서 20 : 입력부10: central processor 20: input unit

30 : 액정표시부 40 : 메모리30: liquid crystal display 40: memory

100 : 본 발명의 문자판100: dia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한 문자판에 관한 것으로, 핸드폰이나 PCS폰 등의 무선단말기에서 한정된 버튼을 이용하여 한글을 편 리하고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method of a wireless terminal and a dial that implements the method, and to a method for enabling convenient and rapid input of Hangul using a limited button in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CS phone. .

이동통신기술의 발달로 핸드폰이나 PCS폰 등 무선단말기의 사용자수는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단말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여러가지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특히 편리한 한글입력의 필요성은 증가되고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number of users of wireless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CS phones is increasing rapidly. Accordingly, various services available through wireless terminals are being provided.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inputting a character, particularly convenient Hangul, in a wireless terminal is increasing.

특히 음성위주의 기존 이동통신인 2세대 이동통신(2G·셀룰러와 PCS)과 달리 차세대 이동통신 또는 제 3세대 이동통신시스템(3G)이라 불리며, 음성 및 영상데이터까지 송수신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이동통신인 IMT-2000이 상용화 된다면 무선단말기를 통한 문자입력기능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In particular, unlike the secon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2G, cellular and PCS), which are voice-oriented mobile communication, it is called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or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G), and is a multimedia mobile communication person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voice and video data. If IMT-2000 is commercialized, character input function through wireless terminal will become more important.

도 1은 일반적인 무선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를 보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는 무선단말기의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프로세서(10)와; 상기 중앙프로세서(10)와 연결되고, 방향버튼과 숫자버튼 등 다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입력부(20)와; 상기 중앙프로세서(10)와 상기 입력부(2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프로세서(10)에서 처리된 결과를 표시해주고, 상기 입력부(20)에서 입력된 값을 표시해주는 액정표시부(30)와; 상기 중앙프로세서(10)와 연결되어 한글 폰트를 내장하고 있는 메모리(40)로 구성되었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angul input device of a typical wireless terminal. As shown in FIG. 1, a Korean input device of a general terminal includes a central processor 10 for controlling a system of a wireless terminal; An input unit 20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or 10 and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ttons such as direction buttons and numeric buttons;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30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or 10 and the input unit 20 to display a result processed by the central processor 10 and to display a value input from the input unit 20; The memory 4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or 10 and includes a Korean font.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무선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부(20)를 통해 숫자 또는 한글을 입력하면, 입력된 값을 중앙프로세서(10)가 처리하여, 입력된 숫자는 화면(30)에 그대로 표시해주고, 입력된 한글은 한글폰트 메모리(40)에 내장된 한글 폰트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값을 검색하여 한글입력 버튼에 의한 한글입력 내부 오토메타에 따라 한글조합형코드에서 한글완성형코드로 전환되도록 하여 액정표시부(30)에 표시해준다.In the general wireless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inputs a number or Korean through the input unit 20, the central processor 10 processes the input value and displays the input number on the screen 30 as it is. The Hangul is searched for the input value using the Hangul font embedded in the Hangul font memory 40, and converted from the Hangul combination code to the Hangul completion code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internal autometer by the Hangul input button. Mark it.

종래의 무선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으로는 삼성의 '천지인'이나 LG정보통신의 '나랏글2000' 등을 들 수 있다.The Korean input method of the conventional wireless terminal may include Samsung's 'Cheonjiin' or LG Information Communication's 'Naratgle 2000'.

도 2는 종래의 삼성의 '천지인'의 한글입력방법을 위한 휴대폰 문자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천지인'은 모든 모음을 천(·), 지(ㅡ), 인(ㅣ)의 조합으로 구성한 것으로, 모음 'ㅏ'는 'ㅣ'와 '·'를 조합하여, 'ㅑ'는 'ㅣ', '·' 및 '·'를 조합하여 해당모음을 입력하게 된다.2 is a diagram showing a dial of a mobile phone for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conventional 'Cheonjiin' of Samsung. 'Cheonjiin' consists of all vowels in the combination of thousand (·), ji (ㅡ), and phosphorus (ㅣ). The vowel 'ㅏ' combines 'ㅣ' and '·', and 'ㅑ' is 'ㅣ' , The combination of '·' and '·' is inputted.

자음은 하나의 버튼에 2개의 자음을 할당하여 버튼을 한번 또는 두번을 눌러 해당 자음을 입력하며, 'ㄲ', 'ㄸ', 'ㅃ' 등의 된소리는 연속해서 3번을 눌러 입력한다.Consonants are assigned two consonants to a button, press the button once or twice to enter the consonants, and 'ㄲ', 'ㄸ', 'ㅃ' and the like sound is entered by pressing three times in a row.

'나랏글2000'은 'ㄱ', 'ㄴ', 'ㄹ', 'ㅁ', 'ㅅ', 'ㅇ'을 기본자음으로 하고, '덧쓰기' 기능에 의해 그 외의 자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예를 들어 자음 'ㄷ'은 'ㄴ'과 '덧쓰기'의 조합으로, 'ㅈ'은 'ㅅ'과 '덧쓰기'의 조합으로 입력한다.'Naratgle 2000' is a basic consonant of 'ㄱ', 'ㄴ', 'ㄹ', 'ㅁ', 'ㅅ' and 'ㅇ', and the 'overwrite' function allows input of other consonants. For example, the consonant 'ㄷ' is entered as a combination of 'b' and 'overwriting', and 'ㅈ' is entered as a combination of 'ㅅ' and 'overwriting'.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한글입력 방식은 '0'에서 '9'까지의 숫자버튼을 나누어 여기에 모음과 자음을 할당하여 쓰기 때문에 모음과 자음을 양손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Hangul input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use vowels and consonants by dividing the vowels and consonants with both hands because they divide the number buttons from '0' to '9' and allocate vowels and consonant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모두 숫자버튼에 표시하지 않고 숫자버튼에는 자음만을 표시하고, 방향버튼에는 모음을 표시하여 한글 입력시 모음과 자음을 확실히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번호와 자음이 1대1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동전화기의 번호를 광고를 위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only the consonants in the number button, the vowel in the directional buttons without displaying both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Hangul on the number button The consonant can be used clearly.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gul input method in a wireless terminal that enables the number and consonant to be connected one-to-one so that the number of the mobile phone can be used for advertisemen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14개의 한글자음은 문자판 하단부에 위치한 0 ~ 9의 10개의 숫자버튼에 나누어 표시하고, 한글모음은 문자판 상단부 중앙에 상하좌우 4개 방향버튼으로 표시하고 , '*'버튼을 한글/영어/숫자 모드의 전환버튼으로 사용하고, '#'버튼을 특수문자버튼으로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ethod for inputting Hangul in a wireless terminal, 14 Hangul consonants are displayed divided into 10 number buttons of 0 ~ 9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ial, Hangul vowel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dial It is displayed by 4 direction buttons up, down, left and right, '*' button is used as a switching button of Korean / English / numeric mode, and '#' button is used as a special character button to input Korean characters.

삭제delete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14개의 한글자음은 자음 'ㄱ'과 자음 'ㅋ'을 하나의 숫자버튼에 함께 표시하고, 마찬가지로 자음 'ㄷ'과 자음 'ㅌ'을, 자음 'ㅈ'과 자음 'ㅊ'을, 자음 'ㅍ'과 자음 'ㅎ'을 각각 하나의 숫자버튼에 함께 표시하고, 나머지 자음인 'ㄴ', 'ㄹ', 'ㅁ', 'ㅂ', 'ㅅ', 'ㅇ'을 각각 서로 다른 하나의 숫자버튼에 표시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14 Korean consonants display consonants' ㄱ 'and consonants' ㅋ' together on one number button, and likewise consonants' ㄷ 'and consonants' ㅌ', consonants' ㅈ 'and consonants' ',' Consonant 'ㅍ' and consonant 'ㅎ' together on one number button, and the remaining consonants 'ㄴ', 'ㄹ', 'ㅁ', 'ㅂ', 'ㅅ', 'ㅇ' You can input Hangul by displaying each one on a different number button.

상기 상하좌우의 방향버튼에서 상단버튼에는 모음'ㅡ'를 하단버튼에는 모음'ㅗ'와 모음'ㅜ'를 우측버튼에는 모음'ㅣ'를 좌측버튼에는 모음'ㅏ'와 모음 'ㅓ'를 표시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arrow buttons, the vowel 'ㅡ' is displayed on the top button, the vowel 'ㅗ' and the vowel 'TT' on the lower button, the vowel 'ㅣ' on the right button, and the vowel 'ㅏ' and the vowel 'ㅓ' on the left button. Hangul can be entered.

본 발명의 무선 단말기의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무선단말기의 문자판은 문자판 하단부에 위치하고 한글자음을 표시하는 10개의 숫자버튼과; 문자판의 상단부 중앙에 위치하고 한글모음을 상하좌우로 표시하는 4개의 방향버튼과; '*'버튼을 이용하여 한글/영어/숫자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하는 전환버튼 및'#'버튼을 이용하여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기능을 갖는 특수문자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al of the wireless terminal for realizing the method of inputting the Hangul of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ial 10 number buttons for displaying the Hangul consonants; Four direction button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dial and displaying Korean alphabet up, down, left and right;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pecial character button having a function for inputting a special character by using a switch button and a '#' button to switch to Korean / English / numeric mode using the '*' button.

상기 방향버튼은 인접하는 버튼 사이의 경계부분을 누르면 인접하는 양쪽 버튼에 표시된 두 개의 한글모음이 조합되어 함께 입력되도록 구성된다.The direction butt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boundary between the adjacent buttons is pressed, two Hangul vowels displayed on both adjacent buttons are combined and input togeth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판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문자판을 상단부와 하단부로 구분한다. 상단부는 메뉴버튼, 통화버튼, 방향버튼, 종료버튼을 배치하고, 하단부는 숫자버튼 0~ 9와, 특수문자 *와 특수문자 # 버튼을 배치한다.
즉, 한글자음을 표시하는 숫자버튼은 문자판의 하단부에 배치하고, 한글모음은 문자판 방향버튼 형상으로 하되, 문자판의 상단부 중앙에 배치시킨다.
상기 상하좌우의 방향버튼에서 상단버튼(▲ )에는 모음'ㅡ'를 하단버튼(▼ )에는 모음'ㅗ'와 모음'ㅜ'를, 우측버튼(▶ )는 모음'ㅣ'를 좌측버튼(◀ )에는 모음'ㅏ'와 모음 'ㅓ'를 표시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버튼은 한글/영어/숫자 모드의 전환버튼으로 사용되며, '#'버튼은 특수문자버튼으로 사용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3 is a view showing a d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d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l is divided into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The upper part places the menu button, the call button, the direction button, the end button, and the lower part places the number buttons 0-9, the special character * and the special character # button.
That is, the number buttons for displaying the Korean consonants are arranged at the lower end of the letter board, and the Korean vowels are arranged in the shape of the letter direction buttons.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al buttons, the upper button (▲) is a vowel 'ㅡ', the lower button (▼) is a vowel 'ㅗ' and a vowel 'TT', and the right button (▶) is a vowel 'ㅣ'. ), The vowel 'ㅏ' and the vowel 'ㅓ' can be displayed to input Korean characters.
'*' Button is used as a switching button of Korean / English / numeric mode and '#' button is used as a special character button.

여기서 'ㅑ', 'ㅕ', 'ㅛ' 등의 모음은 'ㅑ'는 'ㅏ' 와 'ㅡ'의 두개의 버튼을 눌러 입력하고, 'ㅕ'는 'ㅓ' 와 'ㅡ'의 두개의 버튼을 눌러 입력하며, 'ㅛ'는 'ㅗ'와 'ㅣ'의 두개의 버튼을 눌러 입력한다.Here '모음', 'ㅕ', 'ㅛ', etc. '은' is entered by pressing the two buttons 'ㅏ' and 'ㅡ', 'ㅕ' is the two '개의' and 'ㅡ' Input by pressing button, 'ㅛ' is input by pressing two buttons, 'ㅗ' and 'ㅣ'.

그러나 'ㅚ' 또는 'ㅟ'와 같은 모음을 입력할 때에는, 'ㅚ'의 경우 'ㅗ'와 'ㅣ'버튼을 누르면 'ㅛ'의 모음이 입력되므로 'ㅗ'버튼 한번과 'ㅣ'버튼 2번을 눌러 입력하고, 'ㅟ'의 경우 'ㅜ'와 'ㅣ'버튼을 누르면 'ㅠ'의 모음이 입력되므로 'ㅜ' 버튼 한번과 'ㅣ'버튼 2번을 눌러 입력한다.However, when entering a vowel such as 'ㅚ' or 'ㅟ', the '모음' button once and the 'ㅣ' button 2 Press to enter. In case of 'ㅟ', if you press 'TT' and 'ㅣ' button, 'vo' will be input. So, press 'TT' button and 'ㅣ' button 2 times.

'ㅞ'의 모음을 입력할 경우에는 'ㅜ'버튼 한번 'ㅓ'버튼 한번 그리고 'ㅣ'버튼 한번을 눌러 입력한다.When entering a vowel of 'ㅞ', press the 'TT' button once, the 'ㅓ' button once, and the 'ㅣ' button once.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에 의한 한글입력의 예를 몇가지 들면 다음과 같다.Some examples of Hangul input by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여 --> 'ㅇ' + 'ㅓ'(ㅏ버튼 2번) + 'ㅡ'(ㅡ버튼 한번)W-> 'ㅇ' + 'ㅓ' (ㅏ button 2) + 'ㅡ' (ㅡ button once)

예 --> 'ㅇ' + 'ㅓ' + 'ㅡ'(ㅡ버튼 한번) + 'ㅣ'(ㅣ버튼 한번) Example-> 'ㅇ' + 'ㅓ' + 'ㅡ' (ㅡ button once) + 'ㅣ' (ㅣ button once)

에 --> 'ㅇ' + 'ㅓ' + 'ㅣ'(ㅣ버튼 한번) On-> 'ㅇ' + 'ㅓ' + 'ㅣ' (ㅣ button once)

야 --> 'ㅇ' + 'ㅏ'(ㅏ버튼 한번) + 'ㅡ'(ㅡ버튼 한번)Hey-> 'ㅇ' + 'ㅏ' (ㅏ button once) + 'ㅡ' (ㅡ button once)

애 --> 'ㅇ' + 'ㅏ' + 'ㅣ'(ㅣ버튼 한번) Ah-> 'ㅇ' + 'ㅏ' + 'ㅣ' (ㅣ button once)

얘 --> 'ㅇ' + 'ㅏ' + 'ㅡ'(ㅡ버튼 한번) + 'ㅣ'(ㅣ버튼 한번) This-> 'ㅇ' + 'ㅏ' + 'ㅡ' (ㅡ button once) + 'ㅣ' (ㅣ button once)

요 --> 'ㅇ' + 'ㅗ'(ㅗ버튼 한번) + 'ㅣ'(ㅣ버튼 한번)Yo-> 'ㅇ' + 'ㅗ' (ㅗ button once) + 'ㅣ' (ㅣ button once)

외 --> 'ㅇ' + 'ㅗ' + 'ㅣ'(ㅣ버튼 2번)Etc-> 'ㅇ' + 'ㅗ' + 'ㅣ' (ㅣ button 2)

왜 --> 'ㅇ' + 'ㅗ' + 'ㅏ' + 'ㅣ'(ㅣ버튼 한번)Why-> 'ㅇ' + 'ㅗ' + 'ㅏ' + 'ㅣ' (ㅣ button once)

유 --> 'ㅇ' + 'ㅜ'(ㅗ버튼 2번) + 'ㅣ'(ㅣ버튼 한번)U-> 'ㅇ' + 'ㅜ' (ㅗ button 2) + 'ㅣ' (ㅣ button once)

위 --> 'ㅇ' + 'ㅜ' + 'ㅣ'(ㅣ버튼 2번)Up-> 'ㅇ' + 'ㅜ' + 'ㅣ' (ㅣ button 2)

웨 --> 'ㅇ' + 'ㅜ' + 'ㅓ' + 'ㅣ'(ㅣ버튼 한번)Web-> 'ㅇ' + 'ㅜ' + 'ㅓ' + 'ㅣ' (ㅣ button once)

이 --> 'ㅇ' + 'ㅣ'(ㅣ버튼 한번)This-> 'ㅇ' + 'ㅣ' (ㅣ button once)

으 --> 'ㅇ' + 'ㅡ'(ㅡ버튼 한번)U-> 'ㅇ' + 'ㅡ' (ㅡ button once)

자음의 입력은 다음의 방법에 의한다. 자음 'ㄱ'과 자음 'ㅋ'을 숫자 '3'버 튼에 함께 표시하고, 자음 'ㄷ'과 자음 'ㅌ'을 숫자 '9'버튼에 함께 표시하고, 자음 'ㅈ'과 자음 'ㅊ'을 숫자 '0'버튼에 함께 표시하고, 자음 'ㅍ'과 자음 'ㅎ'을 숫자 '7'버튼에 함께 표시하며, 나머지 자음인 'ㄴ', 'ㄹ', 'ㅁ', 'ㅂ', 'ㅅ', 'ㅇ'을 각각 숫자 '6', '2', '1', '4', '5', '8'버튼에 표시한다. Consonant input is done by the following method. The consonant 'ㄱ' and the consonant 'ㅋ' together on the number '3' button, the consonant 'ㄷ' and the consonant 'ㅌ' together on the number '9' button, and the consonant 'ㅈ' and the consonant 'ㅊ'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number '0' button, and the consonant 't' and the consonant 'ㅎ' ar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number '7' button, and the remaining consonants 'b', 'ㄹ', 'ㅁ', 'ㅂ', 'ㅅ' and 'ㅇ' are displayed on the numbers '6', '2', '1', '4', '5' and '8' buttons respectively.

'ㄲ', 'ㄸ', 'ㅃ' 등의 된소리는 'ㄲ'은 숫자 '3'버튼을 연속해서 3번 눌러서, 'ㄸ'은 숫자 '9'버튼을 연속해서 3번 눌러서, 'ㅃ'은 숫자 '4'버튼을 연속해서 2번 눌러서 입력한다.'된', 'ㄸ', 'ㅃ', etc., 'ㄲ' press the number '3' button three times in a row, 'ㄸ' press the number '9' button three times in a row, 'ㅃ' Is entered by pressing the number 4 button twice in success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음의 입력은 상기와 같은 된소리의 입력시 버튼을 3번이나 눌러야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된소리가 없는 자음인 'ㄴ'과 'ㅌ', 'ㅇ'과 'ㅋ', 'ㄹ'과 'ㅊ', 그리고 'ㅍ'과 'ㅎ'을 각각 하나의 버튼에 함께 표시하고, 된소리가 있는 자음을 포함한 그 외의 자음을 자음마다 각각 하나의 버튼에 표시하여 된소리의 입력시 버튼을 2번만 눌러서 입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input of the conson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void having to press the button three times when the input of the sound as described above 'b' and 'ㅌ', 'ㅇ' and 'ㅋ', ' ',' And 'ㅊ' and 'ㄷ' and 'ㅎ' are displayed together on one button, and other consonants, including consonant consonants, are displayed on one button for each consonant. It is also possible to enter it by pressing it once.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방향버튼은 인접하는 버튼 사이의 경계부분을 누르면 인접하는 양쪽 버튼에 표시된 두 개의 한글모음이 조합되어 함께 입력되도록 구성되는데, 도 3의 문자판을 참조하여 모음 'ㅢ'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방향버튼 중에서 상단버튼과 우측버튼의 경계부분을 누르면 상단버튼과 우측버튼이 미세한 시간간격을 가지면서 입력되게 된다. 이때 0.2∼0.3초 정도의 일정한 시간간격을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두 개의 버튼이 눌려질 경우 두 개의 버튼에 표시된 각각의 모음을 조합하여 하나의 모음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단버튼과 우측버튼의 경계부분을 눌러 모음'ㅢ'를 표시할 수가 있다. 즉 경계부분을 누를 경우 인접하는 두 개의 버튼이 미세한 시간간격을 두고 눌려지게 되므로, 인접하는 두 개의 버튼에 표시된 두 개의 모음이 조합되어 하나의 모음으로 표시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button is configured to be input together by combining the two Hangul vowels displayed on both adjacent buttons when pressing the boundary between the adjacent buttons, input the vowel 'ㅢ' with reference to the dial of FIG.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below. If the upper part of the direction button and the right part of the button is pressed, the upper button and the right button are input with minute time interval. At this time, if two buttons are pressed within the set time by setting a certain time interval of 0.2 to 0.3 seconds, one vowel can be displayed by combining the vowels displayed on the two buttons. You can display the vowel 'ㅢ' by pressing the border of the and right buttons. That is, when pressing the boundary portion, two adjacent buttons are pressed with a small time interval, so that two vowels displayed on two adjacent buttons are combined and displayed as one vowel.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모음 'ㅑ'는 방향버튼에서 상단버튼과 좌측버튼의 경계부분을 눌러, 모음 'ㅕ'는 상단버튼과 좌측버튼의 경계부분을 누른 후 좌측버튼을 한번 더 눌러, 모음 'ㅛ'는 하단버튼과 우측버튼의 경계부분을 눌러, 모음 'ㅠ'는 하단버튼과 우측버튼의 경계부분을 누른 후 하단버튼을 한번 더 눌러 입력한다.In this way, the vowel 'ㅑ' presses the boundary between the top and left buttons on the direction button, and the vowel 'ㅕ' presses the border between the top and left buttons and then presses the left button once more. Press the lower part of the border button and the right button, the vowel 'ㅠ' press the lower part of the button and the right button, then press the lower button once more.

모음'ㅚ'의 경우에는 하단버튼과 우측버튼의 경계부분을 누른 후 우측버튼을 한번 더 눌러 입력한다.In the case of the vowel 'ㅚ', press the border between the bottom and right buttons, and then press the right button again to enter.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 외에도 다른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의하면, 모음'ㅣ'를 표시하는 버튼으로 모음 'ㅖ'와 모음 'ㅒ'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자음 다음에 'ㅣ'버튼을 2번 누르면 'ㅖ'모음이 입력되고 'ㅣ'버튼을 3번 누르면 'ㅒ'모음이 입력된다. 또한 모음'ㅡ'를 표시하는 버튼으로 모음 'ㅙ'와 모음 'ㅞ'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자음 다음에 'ㅡ'버튼을 2번 누르면 'ㅙ'모음이 입력되고 'ㅡ'버튼을 3번 누르면 'ㅞ'모음이 입력된다.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의 예를 몇가지 들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ways in addition to the above embodiments. 4 is a view showing a d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4, a vowel 'ㅖ' and a vowel 'ㅒ' can be inputted with a button indicating the vowel '|'. In other words, if you press the 'ㅣ' button twice after the consonant, the 'ㅖ' vowel will be input. If you press the 'ㅣ' button three times, the 'ㅒ' vowel will be input. In addition, the vowel 'ㅡ' button displays the vowel 'ㅙ' and the vowel 'ㅞ'. That is, if you press the 'ㅡ' button twice after the consonant, the 'ㅙ' vowel will be input, and if you press the 'ㅡ' button three times, the 'ㅞ' vowel will be input. Some examples of Hangul inp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re as follows.

예 --> 'ㅇ' + 'ㅖ'(ㅣ버튼 2번) Example-> 'ㅇ' + 'ㅖ' (ㅣ button 2)

얘 --> 'ㅇ' + 'ㅒ'(ㅣ버튼 3번) This-> 'ㅇ' + 'ㅒ' (ㅣ button 3)

왜 --> 'ㅇ' + 'ㅙ'(ㅡ버튼 2번) Why-> 'ㅇ' + 'ㅙ' (ㅡ button 2)                     

웨 --> 'ㅇ' + 'ㅞ'(ㅡ버튼 3번)Web-> 'ㅇ' + 'ㅞ' (ㅡ button 3)

상기 예에서의 모음 이외의 모음과 자음의 입력방법은 상기의 실시예와 같다.The input method of vowels and consonants other than vowels in the above example is the same as in the above embodiment.

한편, 본 발명의 한글입력방법에 의하면 번호와 자음을 1대 1로 연결함으로써 이동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예컨대 '서초동 한국통신' 또는 '서초동 가시고기'나 '한국통신 프리텔'과 같은 명칭을 번호로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의 문자의 첫째 자음만을 따서, '서초동 한국통신'의 경우 'ㅅ'에 대응하는 숫자인 '5', 'ㅊ'에 대응하는 숫자인 '0', 'ㄷ'에 대응하는 숫자인 '9', 'ㅎ'에 대응하는 숫자인 '7', 'ㄱ'에 대응하는 숫자인 '3', 'ㅌ'에 대응하는 숫자인 '9'에 의해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number and the consonant one-to-one can achieve the advertising effect using the mobile phone number. Referring to FIG. 3, for example, when a name such as' Seocho-dong Korea Telecom 'or' Seocho-dong Korean Meat 'or' Korea Telecom Freetel 'is to be indicated by a number, only the first consonant of each letter is followed by' Seocho-dong Korea Telecom. '5' corresponding to 'ㅅ', '0' corresponding to 'ㅊ', '9' corresponding to 'ㄷ', '9' corresponding to 'ㅎ', '7' corresponding to 'ㅎ' , By the number '3' corresponding to 'ㄱ' and '9' corresponding to the number 'ㅌ'

서초동 한국통신 -----> 5 0 9 - 7 3 9 5 Seocho-dong Korea Telecom -----> 5 0 9-7 3 9 5

와 같이 나타낼 수 있고, 서초동 가시고기의 경우에는,In the case of Seocho-dong spiny meat,

서초동 가시고기 -----> 5 0 9 - 3 5 3 3 Seocho-dong Spiny Meat -----> 5 0 9-3 5 3 3

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한국통신 프리텔의 경우에는,In the case of KT Freetel,

한국통신 프리텔 -----> 7 3 9 5 7 2 9Korea Telecom Freetel -----> 7 3 9 5 7 2 9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Can be expressed as:

또는 서초동 극동렌트카와 같이 8글자의 한글을Or 8 letters of Hangul like Seocho-dong Far East Car Rental

서초동 극동렌트카 -----> 5 0 9 3 9 2 9 3Seocho-dong Far East Rental Car -----> 5 0 9 3 9 2 9 3

와 같이 숫자로 나타낼 수도 있다.It can also be represented numerically as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0'에서 '9'까지의 숫자버튼에는 모음을 표시하지 않고 자음 14자만을 나누어 표시함으로써, 문자의 첫째 자음만을 따서 특정 낱말 또는 상호나 상품을 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laying only 14 consonants without displaying a vowel on the number buttons from '0' to '9', a specific word or a trade name or a product is represented by a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only the first consonant of the letter. Made it possibl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뿐만 아니라 일반 유선전화기에서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도 이용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wireless terminals but also for Korean input methods in general landline telephones.

본 발명에 따라 무선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할 경우 종래의 방식에 의한 한글입력의 경우보다 버튼의 입력횟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10개의 숫자버튼에 자음을 모두 표시하고 모음은 별도의 버튼에 표시함으로써 특정 낱말 또는 상호나 상품을 숫자인 전화번호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므로, 개인 또는 기업이 자신을 광고하거나 또는 그 기업상품 등의 홍보시, 상품 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이를 상대방 또는 소비자에게 오래 기억되고 쉽게 기억되게 할 수가 있으므로 탁월한 광고홍보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haracter is input in a wireless terminal, the number of times of inputting a button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of Korean input by a conventional method. In addition, by displaying all the consonants on the 10 number buttons and the vowels on a separate button, it is possible to represent a specific word or trade name or product as a number phone number, so that an individual or a company advertises itself When promoting, using the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can be remembered for a long time and easily to the counterpart or consumer, it has an excellent advertising promotional effect.





Claims (5)

무선단말기의 문자판에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inputting Hangul into the dial of the wireless terminal, 14개의 한글자음은 문자판 하단부에 위치한 0 ~ 9의 10개의 숫자버튼에 나누어 표시하고, 한글모음은 문자판 상단부 중앙에 위치한 상하좌우 4개 방향버튼으로 표시하고 , '*'버튼을 한글/영어/숫자 모드의 전환버튼으로 사용하고, '#'버튼을 특수문자버튼으로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14 Korean consonants are displayed by dividing them into 10 number buttons of 0 ~ 9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ial, and the Korean alphabet is represented by 4 direction buttons located at the top of the dial. The '*' button is displayed in Korean, English, and numbers. Hangul input method of the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using the mode switching button, using the '#' button as a special character button to input Hangu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숫자버튼에는 자음 'ㄱ'과 자음 'ㅋ'을, 자음 'ㄷ'과 자음 'ㅌ'을, 자음 'ㅈ'과 자음 'ㅊ'을, 자음 'ㅍ'과 자음 'ㅎ'을 각각 하나의 숫자버튼에 함께 표시하고,In the number button, one consonant 'ㄱ' and one consonant 'ㅋ', one consonant 'ㄷ' and one consonant 'ㅌ', one consonant 'ㅈ' and one 'son' On the number buttons, 나머지 자음인 'ㄴ', 'ㄹ', 'ㅁ', 'ㅂ', 'ㅅ', 'ㅇ'을 각각 서로 다른 하나의 숫자버튼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The Korean input method of a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aining consonants 'ㄴ', 'ㄹ', 'ㅁ', 'ㅂ', 'ㅅ', 'ㅇ' are displayed on a different number butt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향버튼은 상단버튼에는 모음'ㅡ'를 하단버튼에는 모음'ㅗ'와 모음'ㅜ'를 우측버튼에는 모음'ㅣ'를 좌측버튼에는 모음'ㅏ'와 모음 'ㅓ'를 표시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The directional buttons display the vowel 'ㅡ' at the top button, the vowel 'ㅗ' and the vowel 'TT' at the bottom button, the vowel 'ㅣ' at the right button, and the vowel 'ㅏ' and the vowel 'ㅓ' at the left button. Hangul input method of a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무선 단말기의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문자판에 있어서,In the dial for realizing a method of inputting Hangul of a wireless terminal, 문자판 하단부에 위치하고 한글자음을 표시하는 10개의 숫자버튼과;10 numeric button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ial and displaying Korean consonants; 문자판의 상단부 중앙에 위치하고 한글모음을 상하좌우로 표시하는 4개의 방향버튼과; '*'버튼을 이용하여 한글/영어/숫자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하는 전환버튼 및 #'버튼을 이용하여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기능을 갖는 특수문자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문자판.Four direction button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dial and displaying Korean alphabet up, down, left and right; Character board of the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pecial character button having a function of inputting a special character using the switch button and the # 'button to switch to Hangul / English / numeric mode using the' * 'button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버튼은 인접하는 버튼 사이의 경계부분을 누르면 인접하는 양쪽 버튼에 표시된 두 개의 한글모음이 조합된 하나의 모음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문자판.[5] The dial of claim 4, wherein the direction buttons are inputted as a vowel in which two Hangul vowels displayed on both adjacent buttons are pressed when the boundary between the adjacent buttons is pressed.
KR1020020021452A 2002-04-19 2002-04-19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to mobile phone and keyboard KR1007287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452A KR100728753B1 (en) 2002-04-19 2002-04-19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to mobile phone and key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452A KR100728753B1 (en) 2002-04-19 2002-04-19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to mobile phone and key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069A KR20030083069A (en) 2003-10-30
KR100728753B1 true KR100728753B1 (en) 2007-06-19

Family

ID=3237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452A KR100728753B1 (en) 2002-04-19 2002-04-19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to mobile phone and key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7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191B1 (en) * 2002-09-13 2004-11-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s in handset and method thereof
KR100679421B1 (en) * 2005-04-25 2007-02-07 주식회사 소니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코리아 Keypad for inputting Hangul and Hangul inputting method using the same
EP1875620B1 (en) 2005-04-25 2012-03-2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Korea, Inc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s using the same
KR100720651B1 (en) * 2005-05-02 2007-05-23 주식회사 한영넉스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of electronic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940Y1 (en) * 2001-01-29 2001-07-19 정종희 A vowel input button of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940Y1 (en) * 2001-01-29 2001-07-19 정종희 A vowel input button of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069A (en) 200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331B1 (en) Method for searching phone-book i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10525446A (en) Character input structure and input method of 2-click keypad using Morse code,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the method
US200600124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n alphabet character in a terminal with a keypad
KR100728753B1 (en)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to mobile phone and keyboard
KR20000059919A (en) Method for inputing letters korean character i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75181B1 (en) Key pad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9990006320A (en) Text input system using telephone
KR20030031643A (en) A search method of the telephone number
KR100370427B1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19990007518A (en) Character input method of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JP2933058B2 (en) Mobile phone equipment
KR100852946B1 (en) A keypad array of mobile phone for Japanese
KR100983727B1 (en) English alphabet inputting method for mobile phone
KR100377416B1 (en) Telephone and Hangul inputting method using it
KR100306486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lephone to b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 easily
KR100905575B1 (en) Two dimensio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0795952B1 (en) Method for character inpu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09266A (en) Method of inputing letter which is located at the same key in succession
KR100686655B1 (en) Keypad for use wi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the same
KR100251719B1 (en) Apparatus for inputing and outputing character in keyphone system
KR100438559B1 (en) Character input method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09278B1 (en) Character input method
KR20040029599A (en) Hangul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04602B1 (en) Mobile terminal and its character input method for supporting user&amp;apos;s tractable input using shift key
KR100648348B1 (en) Input device of character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