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076B1 - Signal disper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ignal disper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076B1
KR100727076B1 KR1020060017596A KR20060017596A KR100727076B1 KR 100727076 B1 KR100727076 B1 KR 100727076B1 KR 1020060017596 A KR1020060017596 A KR 1020060017596A KR 20060017596 A KR20060017596 A KR 20060017596A KR 100727076 B1 KR100727076 B1 KR 100727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mote
repeater
base station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5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명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60017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0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0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signal dispers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guarantee quality of a call connection in an area crowded with buildings like large apartment complexes, and to make it easy for plural repeaters to extend or contract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ith a tree structure by using a cable connected via an underground passageway in an area crowded with buildings. A signal dispersion system comprises main hubs(115), remote hubs(120,125,130), remote terminals(140,150,160), and antennas(122,132,142,152,162,172). The main hubs, installed at an indoor area, convert signals, received via a cable connected to a base station or a repeater, into optical signals or RF signals. The remote hubs, also installed at an indoor area, convert signals, received via a cable connected to the main hubs, into RF signals or optical signals. The remote terminals, also installed at an indoor area, amplify the RF signals received via an RF cable connected to the remote hubs. The antennas, connected to the remote terminals, are protruded on ground between buildings.

Description

신호 분산 시스템 및 그 방법{Signal disper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Signal dispersion system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이 건물 밀집 지역에 설치되는 현황을 나타낸 도면.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current state of the signal distribution system is installed in a dense build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이 적용되는 건물 간 지상에 설치된 안테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4 is a view showing an antenna system installed on the ground between buildings to which the signal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이 아파트 밀집 지역에 설치되는 현황을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gnal distribution system installed in a dense apartmen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에 의한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y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에 의한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시 필드 테스트 분석 결과를 도시한 도면. 7 and 8 illustrate field test analysis results when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y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에서 안테나별 필드 테스트 분석 결과를 도시한 도면.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eld test analysis result for each antenna in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5 : 기지국(BTS) 110 : 도너 광 유닛 105: base station (BTS) 110: donor light unit

115 : 메인 허브 120, 125, 130 : 원격 허브 115: main hub 120, 125, 130: remote hub

140, 150, 160, 170 : 원격 단말기 140, 150, 160, 170: remote terminal

122, 127, 132, 142, 152, 162, 172 : 안테나122, 127, 132, 142, 152, 162, 172: antenna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 분산을 포함한 신호 분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optical dispersion and a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기지국, 중계기, 기지국 제어기, 교환국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지국과 이동국은 일정한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며, 각 기지국 및 중계기는 일정한 통화반경을 가진다. 따라서 다수의 기지국을 적절히 배치하여 각 기지국의 통화반경을 서로 겹치게 함으로써 통화 가능한 지역을 넓힌다. 그러나 이러한 다수의 기지국의 배치에 의해 도시 전체를 커버한다고 하더라도 대형 건물이나 지하 공간, 고층 빌딩의 내부 및 주택가 밀집지 역에서는 통화가 가능하지 않는 통화 음영 지역이 발생한다. 이러한 통화 음영 지역의 발생으로 인해 이동 단말 사용자는 통화 음영 지역 내에서 원활한 통화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includes a base station, a repeater, a base station controller, an exchange station, and a user terminal.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communicate in a constant frequency band, and each base station and repeater has a constant call radius. Therefore, by appropriately dispos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to overlap the call radius of each base station to expand the coverage area. However, even if the entire base is covered by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call shadowing areas are not available in large buildings, underground spaces, interiors of high-rise buildings, and residential areas.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call shadow area, the mobile terminal user may not receive smooth call service within the call shadow area.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음영 지역 내에 고주파(RF;Radio Frequency) 방식의 중계기를 설치하여 음영 지역을 해소하였으나, 이는 누설 동축 케이블이 지나가는 통로에서만 전파가 방사되므로 대규모의 고층 건물에서는 케이블 길이가 길어져 전송손실이 발생하고 건물 내에 포설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ly, a radio frequency (RF) repeater was installed in the shaded area to solve the shaded area. However, since the radio waves are radiated only in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leaky coaxial cable passes, the cable length is large in large skyscraper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transmission loss occurs and the installation process in the building is not only complicated, but also expensive.

그로 인하여 고주파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건물 내의 음영 지역에 방사하는 광분산 안테나를 사용하였다. 광분산 안테나를 이용한 중계기는 고주파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하고 이를 광분산 안테나를 이용하여 음영 지역에 방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광케이블 및 광분산 안테나를 이용한 중계기를 설치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As a result, a light scattering antenna is used which converts a high frequency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and emits it to a shaded area in a building. Repeater using optical dispersion antenna converts high frequency signal into optical signal and transmits it through optical cable and emits it to shadow area using optical dispersion antenna.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cost is consumed in installing a repeater using the optical cable and the optical dispersion antenna.

따라서, 건물 밀집 지역에서는 지속적인 통화품질에 대한 고객불만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의 필요성 대두된다. 특히, 고밀도 대단위 아파트 단지 같은 건물 밀집 지역에서는 아파트 옥상에 광분산 중계기를 설치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전자파에 대한 거부감으로 집단 민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옥상 설치에 대한 임대료가 발생하고, 광중계기로는 지상과 지하를 동시에 서비스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하 및 건물내 통신 불능에 따른 소형, 댁내형 중계기 추가 설치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수의 광 중계기를 설치하더라도 통화 불량이 발생하는 지역이 발생하게 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measures to resolve customer complaints about continuous call quality in dense buildings. Especially in densely populated areas such as high-density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light scattering repeaters are installed on the roofs of apartments to provid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but group complaints may occur due to the rej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and rents for rooftops may occu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peater can not serve both the ground and the groun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cost of a small, home-based repeater due to the inability to communicate underground and in the building.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even if a plurality of optical repeaters are installed, an area where a bad call occurs will occur.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불요파 발생에 따른 통화품질 저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신호 분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a call quality degradation caused by the generation of unnecessary waves in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또한, 본 발명은 대단지 아파트와 같은 건물 밀집 지역에서 통화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신호 분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ensuring call quality in a dense area of a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complex.

또한, 본 발명은 건물 밀집 지역에서 지하 통로를 통해 연결된 케이블을 이용하여 복수의 중계기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여 트리(tree) 구조로 확장 및 축소가 용이한 신호 분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nd a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repeaters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 cable connected through an underground passage in a dense area of a building, thereby making it easy to expand and contract to a tre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설치된 다수의 소형 및 초소형 중계기가 필요하지 않아 재활용을 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신호 분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that can reduce the cost by recycling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a number of small and small repeaters currently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은 광분산을 이용하여 통합 인빌딩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음영 지역을 해소할 수 있는 신호 분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that can eliminate the shadow area by building an integrated in-building system using light dispersion.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이외의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other tha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 밀집 지역에서 기지국 또는 중계기와 사 용자의 이동 단말기 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기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광 신호 또는 R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옥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메인 허브; 상기 메인 허브에 광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RF 신호 또는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옥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원격 허브; 상기 원격 허브에 RF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되는 RF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며 옥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원격 단말기; 및 상기 원격 단말기에 연결되며 건물 간에 형성된 지상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신호 분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a base station or a repeater and a user's mobile terminal in a dense building area, the signal received by being connected via the cable to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and the optical signal or One or more main hubs which are converted into an RF signal and outputted and installed indoors; One or more remote hubs connected to the main hub through an optical cable and converting the received signals into RF signals or optical signals and outputting the signals; One or more remote terminals connected to the remote hub by amplifying and outputting an RF signal received and installed indoors; And one or more antennas connected to the remote terminal and protruding from the ground formed between buildings.

여기서, 상기 메인 허브, 상기 원격 허브 및 상기 원격 단말기는 지하 통로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Here, the main hub, the remote hub and the remote terminal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underground passage.

여기서, 상기 메인 허브, 상기 원격 허브 및 상기 원격 단말기는 각각 서로 다른 건물의 옥내에 설치될 수 있다. Here, the main hub, the remote hub and the remote terminal may be installed indoors of different buildings.

여기서, 상기 메인 허브, 상기 원격 허브 및 상기 원격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각 설치된 건물의 무선 품질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Here, at least one of the main hub, the remote hub, and the remote terminal may monitor the radio quality of the installed building.

여기서, 상기 안테나는 서로 대향하는 건물 사이에 형성된 지상에 설치될 수 있다. Here, the antenna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formed between the buildings facing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안테나는 사면이 건물로 둘러싸인 지상에 설치될 수 있다. Here, the antenna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surrounded by the building slo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은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며,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옥내에 설치된 옥내용 안테 나를 통해 방사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gnal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upler connected to the antenna and for branch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to radiate through the indoor antenna installed in the indo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은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기와 상기 메인 허브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출력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인 허브로 출력하고, 상기 메인 허브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기로 출력하는 도너 광 유닛(Donor Optic Uni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gnal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between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and the main hub converts the output signal of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to an optical signal and outputs to the main hub, the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hub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onor optical unit converting the RF signal into an RF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RF signal to the base station or the repeat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밀집 지역에서 기지국 또는 중계기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기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광 신호 또는 R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옥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메인 허브; 상기 메인 허브에 광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RF 신호 또는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옥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원격 장치; 및 상기 원격 장치에 연결되며 건물 간에 형성된 지상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신호 분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ystem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a base station or repeater and a user's mobile terminal in a dense building area, the signal received by being connected via the cable to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One or more main hubs which are converted into a signal or an RF signal and output and are installed indoors; At least one remote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hub via an optical cable and converting the received signal into an RF signal or an optical signal and outputting the signal; And one or more antennas connected to the remote device and protruding from the ground formed between the buildings.

여기서, 상기 원격 장치는 상기 메인 허브에 광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RF 신호 또는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옥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원격 허브; 및 상기 메인 허브 또는 상기 원격 허브에 RF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되는 RF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며 옥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원격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mote device may include one or more remote hubs connected to the main hub through an optical cable and converting the received signals into RF signals or optical signals and outputting the signals; And it may include one or more remote terminals that are installed indoors by amplifying and outputting an RF signal received by being connected to the main hub or the remote hub via an RF cabl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밀집 지역에서 기지국 또는 중계기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간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옥내에 설치되는 메인 허브가 지하 통로에 설치된 RF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 허브가 상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메인 허브에 지하 통로를 통해 연결된 원격 허브가 상기 출력된 광 신호를 수신하여 R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원격 허브에 지하 통로를 통해 연결된 원격 단말기가 상기 원격 허브에서 출력되는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건물 간에 형성된 지상에 돌출되어 설치된 안테나가 상기 RF 신호를 지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분산 시스템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a base station or repeater and a user's mobile terminal in a dense building area, the main hub installed indoors through an RF cable installed in an underground passage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nected base station or repeater; The main hub converting the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and outputting the optical signal; A remote hub connected to the main hub through an underground passage, receiving the output optical signal and converting the converted optical signal into an RF signal; Receiving, by a remote terminal connected to the remote hub through an underground passage, the RF signal output from the remote hub; And outputting the RF signal to the ground by an antenna connected to the remote terminal and protruding from the ground formed between the buildings to provid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signal distribu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는 커플러가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옥내에 설치된 옥내용 안테나를 통해 방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signal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he coupler connected to the antenna branch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and radiating through the indoor antenna installed in the indoor Can b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은 기지국(BTS)(105), 도너 광 유닛(DOU : Donor Optic Unit, 이하 '도너 광 유닛'이라고 함)(110), 메인 허브(MHU : Main Hub Unit, 이하 '메인 허브'라고 함)(115), 원격 허브(RHU : Remote Hub unit, 이하 '원격 허브'라고 함)(120, 125, 130), 원격 단말기(RU : Remote unit, 이하 '원격 단말기'라고 함)(140, 150, 160, 170) 및 안테나(122, 127, 132, 142, 152, 162, 172)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station (BTS) 105, a donor optical unit (DOU: Donor Optic Unit) hereinafter 110, and a main hub (MHU). Main Hub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in hub' (115), Remote Hub (RHU: Remote Hub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mote Hub') (120, 125, 130), Remote Terminal (RU: Remote unit, hereinafter) 140, 150, 160, 170, and antennas 122, 127, 132, 142, 152, 162, and 172.

도너 광 유닛(110)은 기지국(105)과는 RF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메인 허브(115)와는 광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기지국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 케이블을 통해 메인 허브(115)에 출력하고 메인 허브(115)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105)으로 출력한다.The donor optical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105 via an RF cable,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hub 115 through an optical cable to convert an output signal of the base station into an analog optical signal, and then through the optical cable to the main hub 115. ) And converts the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hub 115 into an RF signal and outputs the RF signal to the base station 105.

메인 허브(115)는 도너 광 유닛(110)과 원격 허브(120, 125, 130) 사이에 광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도너 광 유닛(110)과 원격 허브(120, 125, 130)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한다. 메인 허브(115)는 도너 광 유닛(110)으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광 신호를 그대로 광 케이블을 통해 원격 허브(120, 125, 130)로 출력한다. 또한, 메인 허브(115)는 도너 광 유닛(110)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광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RF 케이블을 통해 원격 단말기(170(1))로 출력한다. 여기서, 가시거리 전 파, 회절 및 반사 효과 등(이하, 전파 특성이라 함), 장비(MHU, RHU, RU) 및 안테나 출력 세기, 건물 밀집 형태, 손실값 등을 고려하여 메인 허브(115)에 원격 허브(120, 125, 130) 또는 RU(50)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The main hub 115 is connected between the donor light unit 110 and the remote hubs 120, 125, 130 via an optical cable to provide a signal between the donor light unit 110 and the remote hubs 120, 125, 130. Send and receive The main hub 115 outputs the analog optical signal output from the donor optical unit 110 to the remote hubs 120, 125, and 130 through the optical cable as it is. In addition, the main hub 115 converts the analog optical signal output from the donor light unit 110 into an RF signal and outputs the RF signal to the remote terminal 170 (1) through an RF cable. Here, the main hub 115 is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visible distance propagation, diffraction and reflection effec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pagation characteristics), equipment (MHU, RHU, RU), antenna output strength, building density, and loss value. Remote hubs 120, 125, 130 or RU 50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일반적으로 근거리에서는 메인 허브(115)에 원격 허브(120, 125, 130)를 연결하지 않고 곧바로 원격 단말기(170(1))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하나의 메인 허브(115)에는 바람직하게는, 3개의 원격 허브(120, 125, 130)가 연결될 수 있다.In general, the remote terminal 170 (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hub 115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remote hubs 120, 125, and 130. In addition, three remote hubs 120, 125, and 130 may be connected to one main hub 115.

또한, 메인 허브(115)는 원격 허브(120, 125, 13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광 신호를 그대로 광 케이블을 통해 도너 광 유닛(110)로 출력하고 원격 단말기(170(1))로부터 출력되는 RF 신호를 아날로그 광 신호로 변환하여 도너 광 유닛(110)으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main hub 115 outputs an analog optical signal output from the remote hubs 120, 125, and 130 to the donor optical unit 110 via an optical cable as it is, and the RF output from the remote terminal 170 (1).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nalog optical signal and output to the donor light unit 110.

원격 허브(120, 125, 130)는 메인 허브(115)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광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RF 케이블을 통해 원격 단말기(140(1), 150(1), 160(1))로 출력하며, 원격 단말기(140(1), 150(1), 160(1))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아날로그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 케이블을 통해 메인 허브(115)로 출력한다.The remote hubs 120, 125, and 130 convert the analog optical signals output from the main hub 115 into RF signals to the remote terminals 140 (1), 150 (1), and 160 (1) through the RF cable. The RF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terminals 140 (1), 150 (1), and 160 (1) is converted into an analog optical signal and output to the main hub 115 through an optical cable.

그리고 메인 허브(115) 또는 원격 허브(120, 125, 130)에는 하나의 RF 케이블을 이용하여 8개 내지 10개 정도의 원격 단말기(140, 150, 160, 170)를 연결할 수 있다.The main hub 115 or the remote hubs 120, 125, and 130 may connect 8 to 10 remote terminals 140, 150, 160, and 170 using one RF cable.

원격 단말기(140, 150, 160)는 RF 케이블을 통해 원격 허브(120, 125, 130)와 연결되며 원격 허브(120, 125, 130)로부터 출력되는 RF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 (142, 152, 16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송신 신호를 증폭하여 RF 케이블을 통해 원격 허브(120, 125, 130)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 단말기(170(1))는 메인 허브(115)에 곧바로 연결되어 메인 허브(115)로부터 출력되는 RF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172(1))를 통해 이동 단말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remote terminals 140, 150, and 160 are connected to the remote hubs 120, 125, and 130 through an RF cable, and amplify the RF signals output from the remote hubs 120, 125, and 130 to antennas 142, 152, and 162. ) To the user terminal (not shown), amplifies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user terminal and outputs to the remote hub (120, 125, 130) through the RF cable. As described above, the remote terminal 170 (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hub 115 to amplify the RF signal output from the main hub 115 to output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antenna 172 (1). It may be.

여기서, 원격 허브(120, 125, 130)와 원격 단말기(140, 150, 160)는 메인 허브(115)와 원격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하므로, 원격 장치라고 할 수 있다. Here, the remote hubs 120, 125, and 130 and the remote terminals 140, 150, and 160 control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the main hub 115, and thus, may be referred to as remote devices.

그리고 메인 허브(115)는 자체적으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없기 때문에 메인 허브(115)에 연결된 다수의 원격 허브(120, 125, 130)와 원격 허브(120, 125, 130)에 연결된 다수의 원격 단말기(140, 150, 160)에 다수의 안테나(122, 127, 132, 142, 152, 162, 172)를 설치하며, 원격 허브(120, 125, 130) 또는 원격 단말기(140, 150, 160, 170) 당 안테나 2국소 이상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hub 115 may not be installed with its own antenna, a plurality of remote hubs 120, 125 and 130 connected to the main hub 115 and a plurality of remote terminals connected to the remote hubs 120, 125 and 130 may be used. A plurality of antennas 122, 127, 132, 142, 152, 162, and 172 are installed in the 140, 150, and 160, and the remote hubs 120, 125, 130 or the remote terminals 140, 150, 160, and 170 are installed. More than 2 antennas per antenna can be installed.

이러한 장비(메인 허브, 원격 허브, 원격 단말기) 및 안테나(122, 127, 132, 142, 152, 162, 172)는 전파특성, 출력 세기, 건물의 밀집 형태, 손실값 등을 고려하여 설치될 수 있다.Such equipment (main hub, remote hub, remote terminal) and antennas 122, 127, 132, 142, 152, 162, and 172 may be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utput strength, density of buildings, loss values, and the like. hav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은 기지국 또는 중계기(205), 메인 허브(215), 원격 허브(220, 225, 230), 원격 단말기(240, 250, 260, 270) 및 안테나(222, 227, 232, 242, 252, 262, 272)를 포함한다. 메인 허브(215)는 기지국 또는 중계기(205)에 직접 연결되며 별도의 도너 광 유닛(110)이 마련되 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메인 허브(215)는 기지국 또는 중계기(205)로부터 출력된 RF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 케이블을 통해 원격 허브(220, 225, 230)로 출력한다. 또한, 메인 허브(215)는 기지국 또는 중계기(205)로부터 출력된 RF 신호를 그대로 RF 케이블을 통해 원격 단말기(270(1))로 출력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station or repeater 205, a main hub 215, remote hubs 220, 225, 230, remote terminals 240, 250, 260, 270 and antennas. (222, 227, 232, 242, 252, 262, 272). The main hub 215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205 and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a separate donor light unit 110 is not provided. Accordingly, the main hub 215 converts the RF signal output from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205 into an optical signal and outputs the optical signal to the remote hubs 220, 225, and 230 through an optical cable. In addition, the main hub 215 outputs the RF signal output from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205 to the remote terminal 270 (1) through the RF cable as it is.

이상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분산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를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분산 시스템을 설치되는 건물의 형태와 관련시켜 구체적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general has been described above.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building in which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With reference to the form of the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이 건물 밀집 지역에 설치되는 현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310), 도너 광 유닛(320), 메인 허브가 설치된 건물(330), 원격 허브가 설치된 건물(340), 원격 단말기가 설치된 건물(350, 360)이 도시된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ilding dense area. Referring to FIG. 3, the base station 310, the donor light unit 320, the building in which the main hub is installed 330, the building in which the remote hub is installed 340, and the buildings 350 and 360 in which the remote terminal is installed are illustrated.

건물에 설치된 각각의 장비는 옥내(지하 포함)에 설치되며, 각각의 장비는 지하 통로를 통해서 연결된다. 즉, 각각의 장비를 건물의 옥상 등의 지상에 설치하는 경우 전자파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한 집단 민원, 옥상 설치에 대한 임대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장비는 옥내의 보일러실, 기관실, 지하실, 주차장, 전기실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너 광 유닛(320), 메인 허브 및 원 격 허브는 서로 광선로로 연결되며, 원격 허브와 원격 단말기간 및 메인 허브와 원격 단말기간의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동축 케이블의 길이는 손실률, 확장성 등의 조건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0M 정도가 될 수 있다. Each piece of equipment in the building is installed indoors (including underground), and each piece of equipment is connected through an underground passageway. In other words, if each equipment is installed on the ground of the building's rooftop, etc., problems such as group complaints due to the rej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and rent for the rooftop installation may occur. Can be installed in parking lot, electric room, etc. Here, the donor light unit 320, the main hub and the remote hu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ay, and the cable between the remote hub and the remote terminal, and the main hub and the remote terminal may be connected by a coaxial cable. The length of the coaxial cabl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conditions such as loss rate, expandability, and the like, and may preferably be about 200M.

또한, 지상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각각의 장비에 연결되는 안테나는 지상으로 돌출된다. 안테나가 지상으로 돌출되는 형태는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주위 건물의 밀집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on the ground, an antenna connected to each device protrudes to the ground. The shape of the antenna protruding to the ground can vary widely, and preferably, depends on the density of the surrounding buildings.

또한, 각각의 건물에 설치된 도너 광 유닛(320), 메인 허브, 원격 허브 및 원격 단말기는 각 건물의 전파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장치는 각 건물의 전파의 송수신 양호 상태, 불요파의 많고 적음 등의 전파 환경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각 건물의 전파 상태를 쉽게 측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손쉽게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각 장비의 모니터링 기능은 통상의 이동 통신 사업자에는 당연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donor light unit 320, the main hub, the remote hub, and the remote terminal installed in each building may monitor the propagation environment of each building. That is, each device ha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measure the propagation status of each building by monitoring the radio wave environment such as good reception and reception of each building's radio waves, many and few unnecessary waves, and easily take the corresponding measures. Since the monitoring function of each device is a natural technology for 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광중계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임대료, 전기료 등의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전용 회선도 길이를 짧게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비뿐만 아니라 운용비도 절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conventional optical repeater, so that the cost of rent, electricity, etc. can be reduced, and the length of the dedicated circuit can be shorten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operating cost as well as the installation cost.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이 적용되는 건물 간 지상에 설치된 안테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밀집된 건물들(410, 420), 옥외형 안테나(430), 커플러(440), 옥내에 설치된 옥내형 안테 나(450, 460), 신호 분산 시스템(470)이 도시된다. 4 is a view showing an antenna system installed on the ground between buildings to which the signal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dense buildings 410 and 420, outdoor antenna 430, coupler 440, indoor antennas 450 and 460 installed indoors, and signal distribution system 470 are illustrated.

지하 또는 건물 내부에 설치된 신호 분산 시스템(470)은 상술한 도너 광 유닛, 메인 허브, 원격 허브 및 원격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격 단말기에 커플러(440)가 결합하며, 커플러(440)에는 옥외형 안테나(430) 및 옥내(지하 포함)에 설치된 옥내용 안테나(450, 460)가 결합한다. 여기서, 지하에 설치된 안테나(450, 460)는 지하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옥내에 설치된 옥내형 안테나(450, 460)는 야기 안테나 또는 옴니 안테나와 같이 중소형 안테나가 될 수 있으며, 이외의 형태 및 기능을 가진 안테나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커플러가 신호를 분기하는 정도 등은 커플러의 성능, 기능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10dB 커플러인 경우 중계기 전체 전력이 35dBm일 때 커플러에서 분기하여 케이블을 통해 지하에 설치된 안테나(450)(예를 들면, 야기 안테나)에 방사되는 파워는 25dBm로서, 일반 소형 중계기 출력보다 좋으므로, 옥내 특히, 지하주차장을 커버 하기에 충분하다. 여기서, 커플러(440)는 분배기를 게재하여 지하에 설치된 안테나(450, 460)에 연결되며, 커플러(440) 삽입 손실은 약 0.3dB이며, 이러한 손실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큰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따라서, 지하 중계기(초소형, 댁내형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불요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signal distribution system 470 installed underground or inside the building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donor light unit, main hub, remote hub, and remote terminal. The coupler 440 is coupled to the remote terminal, and the coupler 440 is outdoors. The antenna 430 and the indoor antennas 450 and 460 installed in the indoors (including the underground) are combined. Here, the antennas 450 and 460 installed underground may provid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o user terminals in the basement. The indoor antennas 450 and 460 installed indoors may be small and medium antennas such as Yagi antennas or omni antennas, and it is natural that antennas having other shapes and functions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at which the coupler branches the signal may vary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function, etc. of the coupl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10 dB coupler, when the total power of the repeater is 35 dBm, the power radiated from the coupler to the antenna 450 (eg, Yagi antenna) installed underground through the cable is 25 dBm. As it is better, it is enough to cover indoors especially underground parking lot. Here, the coupler 440 is connected to the antennas 450 and 460 installed underground by placing a divider, and the insertion loss of the coupler 440 is about 0.3 dB, and such a loss has a great influence on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Do not.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n underground repeater (miniature, indoor type, etc.),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generation of unwanted waves.

또한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별도로 지하에 소형 또는 초소형 중계기를 설치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어가며 유지보수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지상 서비스 방법은 아파트 주차장입구, 계단 휀룸(공기출입구) 등 을 통하여 급전선을 연결하여 옥외출력을 약35dBm으로 서비스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되지 않던 RF장비를 설치함으로써 통화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system, a small or ultra small repeater must be installed in the basement separately, which is expensive and maintenance costs are continuously increased. However, the ground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call coverage by installing RF equipment that has not been previously installed by connecting a feeder line through an apartment parking lot entrance, a staircase room (air exit), and serving an outdoor output at about 35 dBm. Can be.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이 아파트 밀집 지역에 설치되는 현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아파트 동(503, 506, 509, 513, 516, 519, 523, 526, 529, 533, 536, 539, 543, 546, 549, 553, 556, 559, 563, 566, 569), 설치된 옥외형 안테나(572, 574, 576, 578, 582, 584, 586)가 도시된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apartment dense area. Referring to FIG. 5, apartment buildings 503, 506, 509, 513, 516, 519, 523, 526, 529, 533, 536, 539, 543, 546, 549, 553, 556, 559, 563, 566, 569 ), Installed outdoor antennas 572, 574, 576, 578, 582, 584, 586 are shown.

옥외형 안테나는 아파트 동(503, 506, 509, 513, 516, 519, 523, 526, 529, 533, 536, 539, 543, 546, 549, 553, 556, 559, 563, 566, 569)의 배치 형태에 상응하여 설치된다. 즉, 옥외형 안테나(572)는 삼면이 아파트 동(503, 506, 509)로 둘러싸인 지상에 설치되며, 그 이외의 옥외형 안테나(574, 576, 578, 582, 584, 586)는 사면이 아파트 동으로 둘러싸인 지상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밀집된 건물에 최상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가 옥외형 안테나 설치 위치가 될 수 있으며, 상술한 경우 이외의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파트 동이 한동씩 겹겹이 배열된 경우 각각의 대향하는 건물 사이에 형성된 지상의 중심부에 옥외형 안테나가 설치될 수도 있다. Outdoor antennas are for apartment buildings (503, 506, 509, 513, 516, 519, 523, 526, 529, 533, 536, 539, 543, 546, 549, 553, 556, 559, 563, 566, 569). It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That is, the outdoor antenna 572 is installed on the ground surrounded by apartment buildings 503, 506, and 509 on three sides, and the outdoor antennas 574, 576, 578, 582, 584, and 586 are apartments on four sides. It is installed on the ground surrounded by copper. In general, a location that can provide the best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a dense building may be an outdoor antenna installation location, and may be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case. For example, when apartment buildings are stacked one by one, an outdoor antenna may b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ground formed between each opposite building.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에 의한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기지국 또는 중계기(610)에 서 사용자 단말기(650)로 신호를 전송하는 순방향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역방향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y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base station or the repeater 610 will be described mainly in the forward direction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user terminal 650, but may be described in the same way for the reverse direction.

단계 S615에서, 기지국 또는 중계기(610)는 메인 허브(620)에 RF 신호를 전송한다. 메인 허브(620)는 수신한 RF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한 후 단계 S625에서, 원격 허브(630)에 광신호를 전송한다. 원격 허브(630)는 수신한 광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한 후 단계 S635에서, 원격 단말기(640)에 RF 신호를 전송한다. In step S615,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610 transmits an RF signal to the main hub 620. The main hub 620 converts the received RF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and then transmits the optical signal to the remote hub 630 in step S625. The remote hub 630 converts the received optical signal into an RF signal and then transmits an RF signal to the remote terminal 640 in step S635.

단계 S645에서, 원격 단말기(640)는 지상에 돌출되어 설치된 옥외형 안테나(650)로 RF 신호를 전송하고, 단계 S655에서, 옥외형 안테나(650)는 RF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660)로 전송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660)는 해당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In step S645, the remote terminal 640 transmits an RF signal to the outdoor antenna 650 protruding from the ground, and in step S655, the outdoor antenna 650 transmits an RF signal to the user terminal 660. . Thereafter, the user terminal 660 receives a corresponding signal and receive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여기서는, 기지국 또는 중계기(610)에 메인 허브(620)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사이에 상술한 도너 광 유닛이 게재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메인 허브(620)와 원격 단말기(640) 사이에 원격 허브(630)가 연결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허브(620)는 원격 단말기(640)에 직접 결합하여 RF 신호를 변환없이 전송할 수 있다. Here, the case where the main hub 62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or the repeater 610 has been described, but the above-described donor light unit may be placed therebetween. In addition, although the case in which the remote hub 630 is connected between the main hub 620 and the remote terminal 640 has been described, the main hub 620 is directly coupled to the remote terminal 640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can be transmitted without conversion.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에 의한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시 필드 테스트 분석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옥외형 옴니(Omni)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며, 도 8은 옥내형 옴니(Omni)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7 and 8 illustrate field test analysis results when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y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llustrates a case of using an outdoor omni antenna, and FIG. 8 illustrates a case of using an indoor omni antenna.

도 7을 참조하면, 안테나 타입은 옥외형 360-9-0(여기서, 360은 무지향성을 나타내며, 9는 게인(gain)을 나타내고, 0은 기울어진 정도를 나타낸다)이며, 저층의 경우 RSSI 값이 좋게 나타난다. 단말기의 Tx 파워가 낮게 형성되고, PN 폴루션이 상당 부분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들의 평균값은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7, the antenna type is an outdoor type 360-9-0 (where 360 represents omnidirectional, 9 represents gain, and 0 represents a degree of tilt), and in the case of the lower layer, the RSSI value. This looks good. It can be seen that the Tx power of the terminal is formed low and the PN pollutant is substantially removed. The average value of these data is as follows.

설치전Before installation 설치후after installing 편차Deviation RSSIRSSI -88-88 -75-75 -13-13 Ec/IoEc / Io -9-9 -3-3 -6-6 Tx-파워Tx-power 77 -8-8 -5-5

도 8을 참조하면, 안테나 타입은 옥내형 360-2-0이며, 상기 도 7에서 사용된 안테나보다는 게인이 작다. 3way로 방향을 조정하여 고층 RSSI 레벨값이 좋게 형성되며, 단말기의 Tx 파워가 낮게 형성되고, PN 폴루션이 상당 부분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들의 평균값은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8, the antenna type is indoor type 360-2-0, and the gai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antenna used in FIG. 7. By adjusting the direction to 3 way, it can be seen that the high RSSI level value is formed well, the Tx power of the terminal is formed low, and the PN pollutant is substantially removed. The average value of these data is as follows.

설치전Before installation 설치후after installing 편차Deviation RSSIRSSI -83-83 -67-67 -16-16 Ec/IoEc / Io -8-8 -3-3 -5-5 Tx-파워Tx-power 44 -8-8 -12-12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에서 안테나별 필드 테스트 분석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신호 분산 시스템의 안테나 타입 중 360-9-0 장비와 360-0-0 장비를 비교하였다.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eld test analysis result for each antenna in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he 360-9-0 and 360-0-0 equipment of the antenna type of the signal distribution system was compared.

안테나별 비교 결과 360-0-0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 고층에서 RSSI 이 좋게 나타나므로 건물의 고층을 커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데이터들의 평균값은 다음과 같다. As a result of comparing antennas, the use of 360-0-0 equipment shows good RSSI at higher floors, which has the advantage of covering the higher floors of buildings. The average value of these data is as follows.

360-9-0360-9-0 360-0-0360-0-0 편차Deviation RSSIRSSI -75-75 -67-67 -8-8 Ec/IoEc / Io -3-3 -3-3 -- Tx-파워Tx-power -8-8 -8-8 --

여기서, 360-0-0 장비는 360-9-0 장비에 비해 수직 빔 폭이 크기 때문에 거리가 짧으면서 고층 서비스를 하기에는 360-0-0 장비가 적합하다. Here, the 360-0-0 equipment is suitable for high-rise service with a short distance because the vertical beam width is larger than that of the 360-9-0 equipment.

즉, 안테나의 빔 폭에는 수직빔 폭과 수평빔 폭이 있다. 여기서, 수직빔 폭은 지향성 안테나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직면 내에서의 최대 방사 전력의 반감치(半減値) 사이의 각도이며, 수평빔 폭은 지향성 안테나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평면 내에서의 최대 방사 전력의 반감치(半減値) 사이의 각도이다. 360-9-0 장비(예를 들면, 길이는 1560mm가 될 수 있다)는 이득이 높기 때문에 수직빔폭이 7'이며, 360-0-0 장비(예를 들면, 길이는 216mm가 될 수 있다)는 저이득이기 때문에 수직빔폭이 78'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워(power)가 3dB되는 부분이 빔수직각으로 고층 커버 시에는 360-9-0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고 360-0-0 장비 또는 360-2-0 장비(360-0-0 장비와 360-2-0 장비는 서로 수직빔 폭과 수평빔 폭이 유사함)가 많이 사용된다. 저층은 360-9-0 안테나를 사용하여도 커버리상 차이가 없다.That is, the beam width of the antenna has a vertical beam width and a horizontal beam width. Here, the vertical beam widt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of the directional antenna, and is an angle between half-values of the maximum radiated power in the vertical plane, and the horizontal beam widt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of the directional antenna, and the maximum radiated power in the horizontal plane. The angle between half-values of. 360-9-0 equipment (eg length can be 1560mm) has a high gain, so the vertical beam width is 7 ', and 360-0-0 equipment (eg length can be 216mm) Since V is low gain, the vertical beam width can be 78 '. In general, the part where power is 3dB is perpendicular to the beam, and when a high-rise cover is used, the 360-0-0 device or the 360-2-0 device (360-0-0 device) is used without using a 360-9-0 antenna. 360-2-0 equipment has a lot of vertical beam width and horizontal beam width. The bottom layer has no difference in coverage even with the 360-9-0 antenna.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불요파 발생에 따른 통화품질 저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distribution system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egradation of the call quality due to the generation of unnecessary waves in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대단지 아파트와 같은 건물 밀집 지역에서 통화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suring the call quality in a dense area of the building, such as apartment complex.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건물 밀집 지역에서 지하 통로를 통해 연결된 케이블을 이용하여 복수의 중계기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여 트리(tree) 구조로 확장 및 축소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ignal distribution system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easy to expand and contract to a tree structure by providing a plurality of repeate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a cable connected through an underground passage in a building dense area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현재 설치된 다수의 소형 및 초소형 중계기가 필요하지 않아 재활용을 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ignal distribution system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a large number of small and small repeaters currently install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cost by recycl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분산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광분산을 이용하여 통합 인빌딩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음영 지역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ignal dispersion system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shadow area by building an integrated in-building system using light dispers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 및 그 균등물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quivalents thereof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Claims (12)

건물 밀집 지역에서 기지국 또는 중계기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A system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a base station or a repeater and a user's mobile terminal in a dense building area,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기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광 신호 또는 R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옥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메인 허브;One or more main hub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and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or the repeater to convert the received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or an RF signal and output the converted signal; 상기 메인 허브에 광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RF 신호 또는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옥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원격 허브;One or more remote hubs connected to the main hub through an optical cable and converting the received signals into RF signals or optical signals and outputting the signals; 상기 원격 허브에 RF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되는 RF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며 옥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원격 단말기; 및One or more remote terminals connected to the remote hub by amplifying and outputting an RF signal received and installed indoors; And 상기 원격 단말기에 연결되며 건물 간에 형성된 지상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되, Includes one or more antennas connected to the remote terminal and protruding from the ground formed between buildings, 상기 메인 허브, 상기 원격 허브 및 상기 원격 단말기는 각각 서로 다른 건물의 옥내에 설치되어 지하 통로를 통해서 연결되고 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설치된 건물의 무선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신호 분산 시스템.And the main hub, the remote hub, and the remote terminal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doors of different buildings and connected through an underground passage, and at least one of them monitors the wireless quality of the installed build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테나는 서로 대향하는 건물 사이에 형성된 지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산 시스템.The antenna is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ground formed between the building facing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테나는 사면이 건물로 둘러싸인 지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산 시스템.The antenna is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pe is installed on the ground surrounded by the building.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며,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옥내에 설치된 옥내용 안테나를 통해 방사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산 시스템.And a coupler connected to the antenna and radiat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or the repeater to radiate through the indoor antenna installed indoor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기와 상기 메인 허브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출력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인 허브로 출력하고, 상기 메인 허브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기로 출력하는 도너 광 유닛(Donor Optic Unit)을 더 포함하는 신호 분산 시스템.Combined between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and the main hub to convert the output signal of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to an optical signal to output to the main hub, and converts the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hub to an RF signal to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Signal dispers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donor optical unit (Donor Optic Unit) for outputting. 건물 밀집 지역에서 기지국 또는 중계기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A system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a base station or a repeater and a user's mobile terminal in a dense building area,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기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광 신호 또는 R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옥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메인 허브;One or more main hub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and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or the repeater to convert the received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or an RF signal and output the converted signal; 상기 메인 허브에 광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RF 신호 또는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옥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원격 장치; 및At least one remote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hub via an optical cable and converting the received signal into an RF signal or an optical signal and outputting the signal; And 상기 원격 장치에 연결되며 건물 간에 형성된 지상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되, At least one antenna connected to the remote device and installed to protrude on the ground formed between the building, 상기 메인 허브 및 상기 원격 장치는 각각 서로 다른 건물의 옥내에 설치되어 지하 통로를 통해서 연결되고 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설치된 건물의 무선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신호 분산 시스템.And the main hub and the remote device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doors of different buildings and are connected through an underground passage, at least one of which monitors the radio quality of the installed building.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원격 장치는The remote device 상기 메인 허브에 광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RF 신호 또는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옥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원격 허브; 및One or more remote hubs connected to the main hub through an optical cable and converting the received signals into RF signals or optical signals and outputting the signals; And 상기 메인 허브 또는 상기 원격 허브에 RF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되는 RF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며 옥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원격 단말기를 포함하는 신호 분산 시스템.Signal distribution system comprising one or more remote terminals that are amplified and output the RF signal received by being connected to the main hub or the remote hub via an RF cable. 건물 밀집 지역에서 기지국 또는 중계기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간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of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a base station or a repeater and a user's mobile terminal in a dense building area, 옥내에 설치되는 메인 허브가 지하 통로에 설치된 RF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connected to the main hub installed indoors through an RF cable installed in an underground passage; 상기 메인 허브가 상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The main hub converting the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and outputting the optical signal; 상기 메인 허브에 지하 통로를 통해 연결된 원격 허브가 상기 출력된 광 신호를 수신하여 R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A remote hub connected to the main hub through an underground passage, receiving the output optical signal and converting the converted optical signal into an RF signal; 상기 원격 허브에 지하 통로를 통해 연결된 원격 단말기가 상기 원격 허브에서 출력되는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by a remote terminal connected to the remote hub through an underground passage, the RF signal output from the remote hub; And 상기 원격 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건물 간에 형성된 지상에 돌출되어 설치된 안테나가 상기 RF 신호를 지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And an antenna connected to the remote terminal and protruding from the ground formed between the buildings to output the RF signal to the ground. 상기 메인 허브, 상기 원격 허브 및 상기 원격 단말기는 각각 서로 다른 건물의 옥내에 설치되어 지하 통로를 통해서 연결되고 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설치된 건물의 무선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신호 분산 시스템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The main hub, the remote hub and the remote terminal are each installed indoors of different buildings and connected through an underground passage, any one or more of them i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of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for monitoring the wireless quality of the installed building .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는 커플러가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옥내에 설치된 옥내용 안테나를 통해 방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신호 분산 시스템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And a coupler connected to the antenna for branch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or the repeater and radiating the signal through the indoor antenna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KR1020060017596A 2006-02-23 2006-02-23 Signal disper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7270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596A KR100727076B1 (en) 2006-02-23 2006-02-23 Signal disper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596A KR100727076B1 (en) 2006-02-23 2006-02-23 Signal disper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7076B1 true KR100727076B1 (en) 2007-06-12

Family

ID=3835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596A KR100727076B1 (en) 2006-02-23 2006-02-23 Signal disper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707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046B1 (en) 2009-06-16 2009-12-08 주식회사 쏠리테크 Optical repeater system
KR100940517B1 (en) * 2009-06-16 2010-02-11 주식회사 쏠리테크 Optical repeater system
WO2010147278A1 (en) * 2009-06-16 2010-12-23 주식회사 쏠리테크 Optical relay system
US11206599B2 (en) 2015-12-30 2021-12-21 Solid, Inc. Main unit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743A (en) * 1996-01-24 1997-08-12 정태기 Wireless signal relaying method
KR19990039433A (en) * 1997-11-12 1999-06-05 정선종 Indoor and outdoor wireless repeater
KR20020094536A (en) * 2001-06-12 2002-12-18 이스텔시스템즈 주식회사 An analog to digital optical distributed system for in-building
KR20060025398A (en) * 2004-09-16 2006-03-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rf split repeater
KR20060112268A (en) * 2005-04-25 2006-10-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adio repeater for in-building ser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743A (en) * 1996-01-24 1997-08-12 정태기 Wireless signal relaying method
KR19990039433A (en) * 1997-11-12 1999-06-05 정선종 Indoor and outdoor wireless repeater
KR20020094536A (en) * 2001-06-12 2002-12-18 이스텔시스템즈 주식회사 An analog to digital optical distributed system for in-building
KR20060025398A (en) * 2004-09-16 2006-03-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rf split repeater
KR20060112268A (en) * 2005-04-25 2006-10-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adio repeater for in-building ser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046B1 (en) 2009-06-16 2009-12-08 주식회사 쏠리테크 Optical repeater system
KR100940517B1 (en) * 2009-06-16 2010-02-11 주식회사 쏠리테크 Optical repeater system
WO2010147278A1 (en) * 2009-06-16 2010-12-23 주식회사 쏠리테크 Optical relay system
WO2010147277A1 (en) * 2009-06-16 2010-12-23 주식회사 쏠리테크 Optical relay system
WO2010147279A1 (en) * 2009-06-16 2010-12-23 주식회사 쏠리테크 Optical relay system
US8577222B2 (en) 2009-06-16 2013-11-05 Solid Technologies Inc. Optical repeater system
US11206599B2 (en) 2015-12-30 2021-12-21 Solid, Inc. Main unit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1904B1 (en) Side-to-side repeater
KR100908862B1 (en) Side-to-side repeater and adaptive cancellation for repeater
US6141557A (en) LMDS system having cell-site diversity and adaptability
US20060223439A1 (en) Wireless repeater assembly
Cox Universal portable radio communications
JP2001513969A (e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U2003219940C1 (en) Cellular signal enhancer
US11595110B1 (en) Radio frequency signal boosters for providing indoor coverage of high frequency cellular networks
KR100727076B1 (en) Signal disper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010038670A1 (en) Multibit spread spectrum signalling
US200700101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selective signal polarization and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200201197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assive cellular telephone repeater
AU6543799A (en) Modular and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KR19990029554A (en) Modular, distributed radio architecture and dual carrier access using the same antenna
EP0903048B1 (en) Lmds system having cell-site diversity and adaptability
KR1006762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repeating system of vessel
KR100648497B1 (en) Light dispersion system for out-building and provid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reof
Petrović et al. LTE performance in a hybrid indoor DAS (Active vs. Passive)
Asp et al. Passive intermodulation and network planning challenges in future indoor networks and energy efficient buildings
JP4109553B2 (en) Antenna module
KR100432300B1 (en) Method and device that radio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cloud buster
KR20060095084A (en) Rf repeater network system using cctv cable
KR20050008003A (en) The Repeater System and Apparatus for Building Area
KR10107037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ment noise figure using Reverse Call Counter(RCC) in dispersive system
KR100310989B1 (en) Antenna system using low power ampl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