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852B1 - Multi-mod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route thereof - Google Patents

Multi-mod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rout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852B1
KR100726852B1 KR1020060046844A KR20060046844A KR100726852B1 KR 100726852 B1 KR100726852 B1 KR 100726852B1 KR 1020060046844 A KR1020060046844 A KR 1020060046844A KR 20060046844 A KR20060046844 A KR 20060046844A KR 100726852 B1 KR100726852 B1 KR 100726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interface
mode terminal
network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8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병복
배명남
박애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8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Abstract

A multiple mode terminal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route by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easily accept connections to heterogeneous access networks by providing flexibility for extending an interface of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route. A multiple mode terminal comprises an interface unit(150) and a terminal operating unit(160). The interface unit(150) includes plural network interfaces supporting connections to plural access networks, and performs a conn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accessed network. The terminal operating unit(160) collects each state information of networks, which can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among the plural access networks, selects one among the networks which can provide the communication service, and changes data communication routes. The terminal operating unit(160) includes an access module(162), an IP layer module(164) and a communication route control interface module(168). The access module(162) includes plural equipment drivers for supporting an operating system of the multiple mode terminal and controls the interface unit(150) by being matched with each network interface within the interface unit(150). The IP layer module(164) supports an IP and includes a network selection algorithm for selecting networks, which can provide the communication service, among the plural access networks. The communication route control interface module(168) collects and manage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lural access networks which is a base for the selection of the networks and controls generation or release of the data transmission route via the selected network.

Description

다중 모드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신 경로 제어 방법{Multi-Mod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Route Thereof}Multi-Mod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Rout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이 다양한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터넷망에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ulti-mod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through various access networ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이 다양한 액세스 네트워크의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ulti-mode terminal is located in service coverage of various access networ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ulti-mod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이 갖는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tocol stack structure of a multi-mod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의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성하는 엔터티들의 동작 프리미티브를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 primitives of entities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of a multi-mod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중 모드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신 경로 제어 방법으로서, 특히, 복수의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지원하는 다중 모드 단말과 최적의 네트워 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통신 경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mode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path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munication path control method for enabl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an optimal network and a multi-mode terminal supporting access to a plurality of access networks. .

최근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인터넷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와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유선망을 이용하는 기존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와 달리 휴대 단말기,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의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양 방향 통신이 가능한 무선 데이터 통신이 급부상하고 있다.In recent year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re increasing in demand and interest in the use of the Internet. Unlike conventional data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wired network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mobile terminals, laptop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can be used anytime, anywher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hich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without restriction, is rapidly emerging.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e Access) 방식을 기초로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이를 비동기 방식으로 발전시킨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e Access) 방식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고정된 액세스 포인트를 중심으로 근거리 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무선 랜(WLAN)과 무선 랜의 고속 및 고품질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특징과 이동통신망의 서비스 가능 범위가 넓은 특징을 결합한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이 개발되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provided with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ervice based o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and furthermore, a broad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that has been developed asynchronously. The service is being provided.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a data communication method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in a short distance around a fixed access point, and enables high speed and high quality data communication services of a WLAN and a wireless LAN, and a service coverage rang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less portable internet system has been developed that combines a wide range of features.

이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각각의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만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이 사용되어 왔으며 이로 인하여 이동 단말이 위치하는 영역에서 제공받을 수 있는 최적의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As such various types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mobile terminals supporting only services provided by respective networks have been used, and thus, data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an optimal network that can be provided in an area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cannot be provided. There was a limit.

또한, 하나의 이동 단말에서 다양한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경우, 네트워크 관점의 핸드오버가 이루어졌으므로 네트워크의 트래픽 상황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의 특성까지 고려한 최적의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없다는 문제 점이 있었다. 따라서, 가입자 단말이 전술한 통신 서비스 중첩 영역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각 네트워크의 트래픽 상황 등을 고려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In addition, when one mobile terminal can support services of various network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optimal network servic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terminal as well as the traffic conditions of the network cannot be provided since the handover of the network is made. Therefore, when the subscriber station is located in the aforementioned communication service overlapping area, there is a need for stable data communication in consideration of traffic conditions of each network.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이 중첩된 지역에서 최적의 무선 품질을 갖는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는 다중 모드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신 경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mode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path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that can select a network having an optimal radio quality in a region where various network coverage areas overlap.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복수의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지원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접속된 네트워크에 따라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접속된 네트워크의 링크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액세스 네트워크 중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네트워크의 각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네트워크 중 하나의 액세스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데이터 통신 경로를 변경하는 단말 운영부를 포함한다.An interfac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s supporting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access network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and performing a conn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connected network; And when detecting a change in a link state of the connected network, collecting state information of a network capable of communication service among the plurality of access networks, and based on the collected state information, one of the networks capable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Selecting an access network includes a terminal operating unit for changing the data communication path.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을 이용한 통신 경로 제어 방법은, (a) 상기 다중 모드 단말과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는 사용 네트워크로 정보 서비스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정보 서비스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정보 서비스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수신한 응답 결과를 통하여 획득한 네트워크 인터페 이스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다중 모드 단말이 제공하는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스캔하여 무선 링크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및 (d) 상기 수신한 무선 링크 상태 결과를 기초로 통신 제어 인터페이스 경로 선택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복수의 액세스 네트워크 중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링크 연결을 요청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path using a multi-mode terminal includes: (a)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information service message to a use network where the multi-mode terminal and an internet protocol packet service are in progress; (b) receiving a response resul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service message from a using network that has received the information service message; (c) checking a radio link state by scanning a corresponding network interface provided by the multi-mode terminal based on the network interfac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received response result; And (d) executing a communication control interface path selection algorithm based on the received radio link state result to select a network capable of communication services from a plurality of access networks, and requesting a link connection to perform a handover.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 module described herein refers to a unit for processing a specific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신 경로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 multi-mode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path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100)이 다양한 액세스 네트 워크를 통하여 인터넷망(140)에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ulti-mod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140 through various access network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100)은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1 네트워크(110), 제2 네트워크(120) 및 제3 네트워크(130)를 비롯해 다양한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다중 모드 단말(100)은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을 의미하고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multi-mod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various access networks, including the first network 110, the second network 120, and the third network 130, which support an internet protocol based data communication service. I can connect it. Here, the multi-mode terminal 100 means a terminal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based on an Internet protocol, and may include a laptop,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중 모드 단말(100)은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터넷망(140)과 접속한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110), 제2 네트워크(120) 및 제3 네트워크(130)는 각각 무선 개인 근거리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제너럴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네트워크, 이동통신을 위한 광역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GSM),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3GE(3G Evolution) 네트워크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중의 하나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하, 제1 네트워크(110)는 무선랜 망으로, 제2 네트워크(120)는 3세대 프로젝트 파트너쉽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2: 3GPP2)의 이동통신망으로, 제3 네트워크(130)는 3세대 프로젝트 파트너쉽(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네트워크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The multi-mode terminal 100 connects to the Internet network 140 through an access network. Here, the first network 110, the second network 120 and the third network 130 are each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 general packet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networks, 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s (GSM),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ultiple Access: may be one of a plurality of networks that support packet data services based on Internet Protocol (IP), such as WCDMA) and 3G Evolution (3GE) networks. Hereinafter, the first network 110 is a wireless LAN network, the second network 120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2 (3GPP2), and the third network 130 is a thi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 Assume that it is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100)이 다양한 액세스 네트 워크의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ulti-mode terminal 100 is located within service coverage of various access network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다양한 네트워크들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지역 즉,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FIG. 2 illustrates a region in which data communication through various networks, that is, service areas of a network, overlap.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100)은 이종의 중첩된 네트워크들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다중 모드 상태가 되고, 특정한 하나의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단일 모드 상태가 된다.When the multi-mod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a service area of heterogeneous overlapping networks, the multi-mode terminal becomes a multi-mode state that can use a plurality of networks. The mode is entered.

이때,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이 중첩되는 지역에 위치하는 다중 모드 단말(100)은 각 네트워크의 신호 안정도, 트래픽 상황 및 각 단말이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의 종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데이터 통신 품질이 가장 좋은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다중 모드 단말(100)은 다양한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인터넷망(140)의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 기반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터넷망(140)과 복수의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연동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At this time, the multi-mode terminal 100 located in the region where the service areas of the network overlap, the network with the best data communication quality based on the signal stability of each network, traffic conditions and the type of network information that each terminal can support By performing the selection procedure, the dat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the selected network can be performed. That is, the multi-mode terminal 100 supports an interworking interface between the Internet network 140 and a plurality of access networks in order to use the Internet protocol packet-based data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Internet network 140 through various networks. do.

그리고 다중 모드 단말(100)은 가입자의 이동 및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가입자수의 증가로 인하여 네트워크 트래픽 상황이 변경되는 경우 최적의 무선 통신 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데이터 전송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mode terminal 100 may change the data transmission path in order to ensure the optimal wireless communication quality when the network traffic conditions change due to the movement of subscribers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other subscribers connected to the same network. .

종래의 네트워크 주체의 경로 제어 방식과는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100)은 단말 자체가 주체가 되어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의 통신 환 경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데이터 패킷 전송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168)을 제공한다. 따라서, 다중 모드 단말(100)은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168)을 사용하여 이동성과 관련된 이종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 로밍 서비스 등을 신속, 유연하게 개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Unlike the path control scheme of the conventional network subject, the multi-mod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ata packet transmission path by continuously checking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network to which the terminal itself is the subject. It provides a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168 that can be. Accordingly, the multi-mode terminal 100 can quickly and flexibly develop handover, roaming service, etc.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related to mobility using 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168.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다중 모드 단말(1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ulti-mod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100)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ulti-mod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100)은 인터페이스부(150) 및 단말 운영부(160)를 포함한다.The multi-mod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face unit 150 and a terminal operating unit 160.

인터페이스부(150)는 복수의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지원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부(150)는 복수의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지원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다중 모드 단말(100)이 각각 접속된 망에 적합하게 연결되도록 기능한다.The interface unit 150 includes a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s that support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access networks. Therefore, the interface unit 150 includes a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s that support the connection with the plurality of access networks, and functions so that the multi-mode terminal 100 is properly connected to each connected network.

인터페이스부(150)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3),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5) 및 제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7)를 포함한다.The interface unit 150 includes a first network interface 153, a second network interface 155, and a third network interface 157.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3),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5) 및 제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7)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미국 전기 전자 학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1394, 퍼스널 컴퓨터 규격 협회(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coiation: PCMCIA) 등과 같은 하드웨어 모듈의 형태인 네트워크 카드가 이용될 수 있으며,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갖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형태로 다중 모드 단말(100) 내에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The first network interface 153, the second network interface 155, and the third network interface 157 are commonly used Universal Serial Bus (USB),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 A network card in the form of a hardware module such as IEEE 1394, 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coiation (PCMCIA), etc. may be used, and in the multi-mode terminal 100 in the form of a software module having a protocol stack structure. Can be installed and used.

단말 운영부(160)는 접속 모듈(162),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 모듈(164), 전송 계층 모듈(166),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168) 및 이동성 서비스 모듈(169)을 포함한다.The terminal operator 160 includes an access module 162, an internet protocol layer module 164, a transport layer module 166, a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168, and a mobility service module 169.

단말 운영부(160)는 다중 모드 단말(100)의 운영 체제를 지원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terminal operating unit 160 supports the operating system of the multi-mode terminal 100 so that a data communication service desired by a user can be achieved.

접속 모듈(162)은 인터페이스부(150) 내의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매칭되어 인터페이스부(150)를 제어하고, 다중 모드 단말(100)의 운영 체제를 지원하기 위한 복수의 장치 드라이버를 포함한다.The connection module 162 includes a plurality of device drivers that match each network interface in the interface unit 150 to control the interface unit 150 and support an operating system of the multi-mode terminal 100.

접속 모듈(162)은 다중 모드 단말(100)과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연결고리가 되는 구성 요소로서, 하드웨어 구성 요소가 운영 체제 아래에서 적합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접속 모듈(162)은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다중 모드 단말(100)이 선택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다중 모드 단말(100)이 각 네트워크의 특성에 적합한 단말로 기능하게 한다.The connection module 162 is a component that is a connection between the multi-mode terminal 100 and each network interface, and allows the hardware component to perform a proper function under the operating system. That is, the access module 162 controls each network interface so that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hen the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network selected by the multi-mode terminal 100, the multi-mod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each network. Function as a terminal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 모듈(164)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168)은 다중 모드 단말(100)이 지원 가능한 복수의 액세스 네트워크 중에서 데이터 통신 품질이 가장 좋은 네트워크의 선택을 위한 네트워크 선택 알고리즘을 포함한다.The internet protocol layer module 164 supports the Internet protocol, and 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168 selects a network for selecting a network having the best data communication quality among a plurality of access networks that the multi-mode terminal 100 can support. Contains an algorithm.

전송 계층 모듈(166)은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및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을 지원하고, 데이터의 전송, 에러 복구, 흐름 제어를 정의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transport layer module 166 supports a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and a user datagram protocol, and defines data transmission, error recovery, and flow control to enable reliable data communication. .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168)은 네트워크 선택의 기초가 되는 복수의 액세스 네트워크들의 상태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며, 이들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 경로의 생성 및 해제를 제어한다. 즉,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168)은 네트워크 선택 알고리즘(Network Selection Algorithm)을 반복 실행함으로써 복수의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이 중첩되는 지역 내에서 다중 모드 단말(100), 액세스 네트워크 및 인터넷망(140) 사이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 경로를 제어한다.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168 collects and manages stat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access networks on which network selection is based, and controls generation and release of a data transmission path through the selected net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That is, 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168 repeatedly executes a network selection algorithm so that the multi-mode terminal 100, the access network, and the internet network 140 are located in an area where service areas of a plurality of networks overlap. Control the transmission path of data packets between.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168)은 다중 모드 단말(100)이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도착한 모든 데이터 패킷을 가로채서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 헤더를 분석한다.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168 analyzes the Internet protocol packet header by intercepting all data packets transmitted or received from the outside by the multi-mode terminal 100.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168)은 인터페이스부(150)의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의 신호 교환을 통하여 각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서의 수신 전계 강도의 변화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접속된 네트워크의 링크 상태 변화를 감지한다. 또한,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168)은 각 액세스 네트워크의 통신 상태 정보를 기록하는 인터페이스 상태 테이블을 생성하며 액세스 네트워크의 상태 변화에 따라 인터페이스 상태 테이블을 갱신한다.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168 periodically checks a change state of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in each access network through signal exchange with each network interface of the interface unit 150 to detect a change in link state of the connected network. do.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168 generates an interface state table for recording communication state information of each access network, and updates the interface state tab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state of the access network.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168)은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 상태 테이블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데이터 통신 품질이 가장 좋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즉, 액세스 네트워크를 선택한다.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168 selects a network interface having the best data communication quality, that is, an access net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in the interface state table.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168)은 네트워크 선택 알고리즘의 실행 결과 선택된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물리적 접속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정보와 해당 경로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경로 정보 테이블의 형태로 관리한다.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168 is a form of a path information table to enable transmission of data through the path and Internet protocol address information assigned to a network interface that supports a physical connection with the selected access network as a result of the network selection algorithm. Manage wit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100)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선택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며, 당업자가 통신 방식에 따라서 네트워크 선택 알고리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The network selection algorithm used in the multi-mod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only known technique,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select one of the network selection algorithms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이동성 서비스 모듈(169)은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168)과 연계하여 핸드오버 또는 로밍 서비스를 수행한다.The mobility service module 169 performs a handover or roaming service in association with 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168.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모드 단말(100)의 내부 구성을 프로토콜 스택 구조에 매칭시켜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4,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ulti-mode terminal 100 is described by matching the protocol stack structur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100)이 갖는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tocol stack structure of the multi-mod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100)은 물리 계층 및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구성된 프로토콜 스택 구조(Ⅰ)를 탑재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부(150)와 그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 스택 구조(Ⅱ ~ Ⅲ)를 담당하도록 구성된 단말 운영 부(160)를 포함한다.The multi-mod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face unit 150 configured to mount a protocol stack structure (I) composed of a physical layer and a data link layer, and a protocol stack structure (II to III) of an upper layer thereof. It includes a terminal operating unit 160 configured to handle.

인터페이스부(150)는 액세스 네트워크와 접속하여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nterface unit 150 connects to the access network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packets.

인터페이스부(150)는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및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의 기능을 구현한다.The interface unit 150 implements the functions of the data link layer and the 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부(150)의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다중 모드 단말(100)과 해당 네트워크와의 물리적 접속을 작동시키거나 유지하며 전기, 기계, 절차 및 기능적 측면들을 정의하는 물리계층 및 물리적 접속을 통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술을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s of the interface unit 150 operates or maintains a physical connection between the multi-mode terminal 100 and the corresponding network, and the physical layer and the physical connection that define the electrical, mechanical, procedural and functional aspects are reliable through the physical connection. It includes a description of the data link layer that provides data transmission.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3)는 무선랜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지원하는 물리 계층 기술 및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술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network interface 153 may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a physical layer technology and a data link layer technology that support a connection with a WLAN network.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5)는 3세대 프로젝트 파트너쉽2(3GPP2)의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지원하는 물리 계층 기술 및 데이터 링크 및 3 계층(Layer3) 시그널링 계층(레이어2 시그널링(Layer2 Signaling), 무선 링크 프로토콜(Radio Link Protocol: RLP), 링크 접근 제어(Link Access Control: LAC))의 기술을 수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second network interface 155 is a physical layer technology and data link and layer 3 signaling layer (Layer2 Signaling, Wireless) supporting 3G Project Partnership 2 (3GPP2) connec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can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technology of the Link Protocol (RLP), Link Access Control (LAC).

제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7)는 3세대 프로젝트 파트너쉽(3GPP)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지원하는 물리 계층 기술 및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술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세션 및 베어러 설정 기술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 SM), 무선 자원 제어(Radio Rource Control: RRC),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The third network interface 157 may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physical layer technology and the data link layer technology supporting the connection with the 3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 (3GPP) network as well as the session and bearer establishment technology. (Session Management (SM), Radio Rource Control (RRC), Radio Link Control (RLC)).

제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7)는 무선 접근 제어(Radio Access Control: RAC),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로지컬 링크 레이어(Logical Link Layer: LLC) 등과 하부의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계층을 포함한다.The third network interface 157 may include a radio access control (RAC), a radio link control (RLC), a logical link layer (LLC), and a lower media access control (Media Access Control). ) Layer.

제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7)는 3세대 프로젝트 파트너쉽 네트워크 내의 SGSN(Serving GPRS Supprot Network), GGSN(Gate GPRS Supporting Node) 등과의 시그널링(Signalling)을 통하여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세션(Session) 설정 및 베어러(Bearer) 설정 기능을 구현한다.The third network interface 157 is configured for mobility management, session establishment, and signaling through signaling to a Serving GPRS Supprot Network (SGSN), a Gate GPRS Supporting Node (GGSN), and the like in a thi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 network. Implement bearer configuration.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는 각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가 할당되어 운용된다.Each of the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s is assigned and operated with an internet protocol address.

이러한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세부 계층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including the protocol stack structure may be configured to have various detailed lay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accessible networks.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110)가 무선랜 망인 경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3)는 물리 계층 및 데이터 링크 계층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network 110 is a WLAN network, the first network interface 153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hysical layer and a data link layer.

제3 네트워크(130)가 3GE(3G Evolution) 네트워크인 경우, 제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7)는 물리 계층, 무선 데이터 링크 계층에 부가하여 세션 및 베어러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계층의 일부 기능을 분담하는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When the third network 130 is a 3G Evolution (3GE) network, the third network interface 157 performs some functions of the network layer that performs a function of establishing a session and a bearer in addition to the physical layer and the wireless data link layer. It can have a protocol stack structure that includes a sharing protocol.

단말 운영부(160)는 무선 링크의 이벤트 보고 등록/삭제 및 링크 이벤트 보 고가 등록되었을 경우, 링크 상태 변화에 따른 이벤트 보고를 수행하는 이벤트 서비스 엔터티(200)와, 네트워크 연결/해지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무선 상태 스캐닝 요구를 처리하는 커멘드 서비스 엔터티(220), 현재 접속된 네트워크의 인접 네트워크 정보(Neighbor Networks) 맵을 관리하는 정보 서버와 연계하여 핸드오버 또는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정보 서비스 엔터티(210)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event report registration / deletion and the link event report of the wireless link are registered, the terminal operating unit 160 performs an event service entity 200 that performs an event report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link state, and a network connection / release and a wireless network interface. A command service entity 220 for processing a state scanning request and an information service entity 210 for supporting a handover or roaming service in association with an information server managing a neighbor network information map of a currently connected network. To perform.

다중 모드 단말(100)은 물리 계층 및 데이터 링크 계층의 프로토콜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지원되도록 하고, 보다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을 단말 운영부(160)가 지원하며,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 중의 일부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분담되어 수행되도록 구성된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가능하다.The multi-mode terminal 100 supports the protocols of the physical layer and the data link layer at the network interface, the terminal operating unit 160 supports the higher layer protocol, and some of the higher layer protocols are shared at the network interface. It may be in any form as long as it is configured to be performed.

이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 스택 구성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50)와 연동되어 실행되는 단말 운영부(160)의 프로토콜 스택 및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이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ocol stack of the network interface, the protocol stack and the user application program of the terminal operating unit 160 executed in conjunction with the interface unit 150 may be determined.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다중 모드 단말(100)의 초기화 단계에서, 단말 운영부(160), 인터페이스부(150) 내의 복수의 네트워크 카드에는 세션 설정 및 베어러 설정 시그널링 과정을 통해서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로부터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할당받는다. 이러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의 설정은 다중 모드 단말(100)이 채택한 운영 체제 환경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에 따른다. 그리고, 단말 운영부(160)에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는 복수의 네트워크 내에서 다중 모드 단말(100)의 식별자로 사용된다.In the initialization step of the multi-mode terminal 1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plurality of network cards in the terminal operating unit 160 and the interface unit 150 are connected to the Internet from the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through a session setup and bearer setup signaling process. The protocol address is assigned. The setting of the Internet protocol address depends on the Internet protocol address setting method of the operating system environment adopted by the multi-mode terminal 100. The internet protocol address assigned to the terminal operating unit 160 is used as an identifier of the multi-mode terminal 100 in the plurality of networks.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다중 모드 단말(100)이 수행하는 네트워크 선택 및 경로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network selection and path control method performed by the multi-mod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100)의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168)을 구성하는 엔터티들의 동작 프리미티브를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imitive of entities configuring 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168 of the multi-mod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는 제1 네트워크(110)를 통한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다중 모드 단말(100)이 제1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110)을 벗어나서 이종의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을 향해 이동해 가는 경우,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168)의 기능에 의해 핸드오버가 완성되는 과정을 보인다.In FIG. 5, the multi-mode terminal 100 moves out of the first network service area 110 toward the heterogeneous network service area while the Internet protocol (IP) packet service through the first network 110 is in progress. In this case, the handover is shown by the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168 is completed.

이벤트 서비스 엔터티(Event Service Entity: ESE)(200)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 링크 상태 보고 등록을 요구한다. 여기서, 이벤트 보고 등록은 이벤트 서비스 엔터티(200)가 초기화 될 때 디폴트로 등록된다.The Event Service Entity (ESE) 200 requests registration of link status reporting at the data link layer. Here, event report registration is registered by default when the event service entity 200 is initialized.

다중 모드 단말(100)의 데이터 링크 계층은 링크 상태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Link_event.notification 메시지를 통해 상태 보고를 이벤트 서비스 엔터티(200)로 전송한다(S100). 이어서, 이벤트 서비스 엔터티(200)는 링크 상태 보고 결과를 이동성 서비스 모듈(169)로 전송한다.When the link state change is detected, the data link layer of the multi-mode terminal 100 transmits a status report to the event service entity 200 through a Link_event.notification message (S100). The event service entity 200 then sends the link status report result to the mobility service module 169.

이동성 서비스 모듈(169)은 정보 서비스 엔터티(Information Service Entity: ISE)(210)에게 핸드오버할 네트워크 정보 서비스를 요청한다.The mobility service module 169 requests a network information service to hand over to an information service entity (ISE) 210.

정보 서비스 엔터티(210)는 IS.request 메시지, IS REQUEST FRAME 메시지 및 IS.indication 메시지를 통해 제1 네트워크(110)의 Peer 정보 서비스 엔터티에게 정보 서비스 메시지를 전송한다(S102).The information service entity 210 transmits the information service message to the peer information service entity of the first network 110 through the IS.request message, the IS REQUEST FRAME message, and the IS.indication message (S102).

제1 네트워크(110)의 정보 서비스 엔터티는 정보 서비스 서버(Information Service Server: ISS)로부터 인접 네트워크 맵을 검색하여 IS.response 메시지, IS REQUEST FRAME 메시지 및 IS.confirm 메시지를 통해 다중 모드 단말(100)의 정보 서비스 엔터티(210)로 전송한다(S104). 이어서, 다중 모드 단말(100)은 수신한 정보 서비스 결과를 이동성 관리 모듈로 전송한다.The information service entity of the first network 110 retrieves a neighboring network map from an information service server (ISS) and uses the IS.response message, the IS REQUEST FRAME message, and the IS.confirm message. The information service entity 210 is transmitted to (S104). Subsequently, the multi-mode terminal 100 transmits the received information service result to the mobility management module.

이동성 서비스 모듈(169)은 커멘드 서비스 엔터티(Command Service Entity: CSE)(220)에게 정보 서비스를 통하여 획득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를 기반으로 다중 모드 단말(100)이 제공하는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스캔하여 무선 링크의 상태를 체크한다(S106).The mobility service module 169 scans the corresponding network interface provided by the multi-mode terminal 100 based on the network interfac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information service to the command service entity CSE 220 and then wirelessly links the wireless link. The state of is checked (S106).

다시 말해, 커멘드 서비스 엔터티(CSE)(220)는 InterfaceScan.request 메시지를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전송한다. 이어서, 다중 모드 단말(100)의 데이터 링크 계층은 해당 네크워크 인터페이스(제3 네트워크(130))를 스캔하여 무선 링크의 상태를 전송받고, InterfaceScan.confirm 메시지를 생성하여 커멘드 서비스 엔터티(220)로 전송한다(S106).In other words, the command service entity (CSE) 220 sends an InterfaceScan.request message to the data link layer. Subsequently, the data link layer of the multi-mode terminal 100 scans the corresponding network interface (third network 130) to receive the status of the wireless link, generates an InterfaceScan.confirm message, and sends it to the command service entity 220. (S106).

이어서, 커멘드 서비스 엔터티(220)는 무선 링크 상태 결과를 이동성 서비스 모듈(169)로 전송한다.The command service entity 220 then sends a radio link status result to the mobility service module 169.

이동성 서비스 모듈(169)은 커멘드 서비스 엔터티(220)에게 수신한 무선 링크 상태 체크 결과를 기초로 통신 제어 인터페이스 경로 선택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액세스 네트워크(제3 네트워크(130))를 선택하고, 링크 연결을 요청함으로써 핸드오버를 완성한다(S108).The mobility service module 169 selects an access network (third network 130) by executing a communication control interface path selection algorithm based on a result of the radio link status check received from the command service entity 220, and establishes a link connection. The request is completed by completing the handover (S108).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멘드 서비스 엔터티(220)는 Link_connect.request 메시지를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전송한다. 이어서, 이동성 서비스 모듈(169)은 수신한 무선 링크 상태 체크 결과를 기초로 통신 제어 인터페이스 경로 선택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데이터 통신 품질이 가장 좋은 액세스 네트워크(제3 네트워크(130))를 선택하고, 링크 연결을 요청함으로써 핸드오버를 완성한다(S108). 핸드오버를 링크 연결 요청을 받은 데이터 링크 계층은 Link_connect.confirm 메시지를 생성하여 커멘드 서비스 엔터티(220)로 전송한다(S108).Specifically, the command service entity 220 transmits a Link_connect.request message to the data link layer. Subsequently, the mobility service module 169 executes a communication control interface path selection algorithm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ceived radio link status check to select an access network (third network 130) having the best data communication quality, and connects the link. Complete the handover by requesting (S108). The data link layer receiving the link connection request for handover generates a Link_connect.confirm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command service entity 220 (S108).

다중 모드 단말(100)은 제3 네트워크(130)로 링크가 완성되는 경우, 제1 네트워크(110)와 연결되었던 링크를 해제한다.When the link to the third network 130 is completed, the multi-mode terminal 100 releases the link that was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110.

다중 모드 단말(100)은 제1 네트워크(110)를 통한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 서비스를 제3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받는다.The multi-mode terminal 100 continuously receives an Internet Protocol (IP) packet service through the third network 130 through the first network 11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mplementation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다중 모드 단말을 이용하여 다양한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이 중첩된 지역에서 최적의 무선 품질을 갖는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ect the effect of selecting a network having an optimal radio quality in a region where various network coverage areas overlap by using a multi-mode terminal.

본 발명은 다중 모드 단말의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를 확장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함으로써 이종의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쉽게 수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provide the flexibility to extend 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of the multi-mode terminal to easily accommodate the connection with the heterogeneous access network.

본 발명은 단말이 주체가 되어 데이터 패킷 전송을 위한 액세스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위 계층에게 패킷의 전송 경로를 조절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의 통신 환경에서 이동성 서비스 개발을 원활하게 지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terminal to select an access network for data packet transmission, and provides a higher level interface for controlling a packet transmission path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mobility services in an Internet protocol (IP) based communication environment. You can expect an effect that you can support.

Claims (11)

삭제delete 복수의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지원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접속된 네트워크에 따라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 및An interfac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s supporting access to a plurality of access networks, and performing a conn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connected networks; And 상기 복수의 액세스 네트워크 중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네트워크의 각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네트워크 중 하나의 액세스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데이터 통신 경로를 변경하는 단말 운영부를 포함하며,A terminal operating unit configured to collect state information of a network capable of communicating services among the plurality of access networks, select one of the network capable of communicating services, and change a data communication path; 상기 단말 운영부는,The terminal operating unit, 상기 다중 모드 단말의 운영 체제를 지원하기 위한 복수의 장치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 내의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매칭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접속 모듈;A connection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device drivers for supporting an operating system of the multi-mode terminal and matching the respective network interfaces in the interface unit to control the interface unit;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상기 복수의 액세스 네트워크 중 상기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네트워크의 선택을 위한 네트워크 선택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 모듈;An internet protocol layer module supporting a network protocol and including a network selection algorithm for selecting a network capable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access networks; 네트워크 선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복수의 액세스 네트워크들의 상태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여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 경로의 생성 및 해제를 제어하는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 및A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that collects and manages stat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access networks that are the basis of network selection to control generation and release of a data transmission path through the selected network; And 상기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동하여 핸드오버 또는 로밍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성 서비스 모듈A mobility service module that performs handover or roaming service i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를 포함하는 다중 모드 단말.Multi-mode terminal comprising a. 제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은 각 액세스 네트워크의 통신 상태 정보를 기록하는 인터페이스 상태 테이블을 생성하고, 네트워크의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상태 테이블을 갱신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상태 테이블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단말.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generates an interface state table for recording communication state information of each access network, updates the interface state tab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network state, and the communication service is based on the interface state table information. Multi-mod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of possible networks. 제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 선택 알고리즘의 실행 결과 선택된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물리적 접속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정보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정보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경로 정보 테이블을 형성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단말.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generates a path information table to enable data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protocol address information and the Internet protocol address information assigned to the network interface supporting the physical access to the selected access network as a result of the network selection algorithm. Multi-mod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ation and management. 제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통신 경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의 신호 교환을 통하여 각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서의 수신 전계 강도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접속된 네트워크의 링크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단말.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interface module periodically checks a change in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in each access network through signal exchange with each network interface of the interface unit, and detects a change in link state of the connected network. Multi-mode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다중 모드 단말을 이용한 통신 경로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method using a multi-mode terminal, (a) 상기 다중 모드 단말과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는 사용 네트워크로 정보 서비스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a)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information service message to a usage network where the multi-mode terminal and the Internet protocol packet service are in progress; (b) 상기 정보 서비스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정보 서비스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b) receiving a response resul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service message from a using network that has received the information service message; (c) 상기 수신한 응답 결과를 통하여 획득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다중 모드 단말이 제공하는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스캔하여 무선 링크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및(c) checking a radio link state by scanning a corresponding network interface provided by the multi-mode terminal based on the network interfac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received response result; And (d) 상기 수신한 무선 링크 상태 결과를 기초로 통신 제어 인터페이스 경로 선택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복수의 액세스 네트워크 중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링크 연결을 요청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d) executing a communication control interface path selection algorithm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ceived radio link state, selecting a network capable of communication services from a plurality of access networks, and requesting a link connection to perform a handover; 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제어 방법.Communication path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액세스 네트워크와 링크 연결이 완성되는 경 우, 상기 사용 네트워크와 연결되었던 링크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제어 방법.If the link connection with the selected access network is completed in the step (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leasing the link that was connected to the use network. 제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사용 네트워크의 정보 서비스 엔터티는 상기 정보 서비스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연동하고 있는 정보 서비스 서버로부터 인접 네트워크 정보 맵을 검색하여 상기 정보 서비스 결과를 상기 다중 모드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경로 제어 방법.When the information service entity of the using network receives the information service message, the information service entity retrieves a neighbor network information map from an interworking information service server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service result to the multi-mode terminal. Way.
KR1020060046844A 2005-12-08 2006-05-25 Multi-mod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route thereof KR10072685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20001 2005-12-08
KR1020050120001 2005-1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6852B1 true KR100726852B1 (en) 2007-06-11

Family

ID=3835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844A KR100726852B1 (en) 2005-12-08 2006-05-25 Multi-mod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rout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852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8598A1 (en) * 2007-12-17 2009-06-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supporting mobility using security tunnel
KR100922581B1 (en) 2006-12-01 2009-10-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eamless handover using multiple wireless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KR100943760B1 (en) * 2007-11-14 2010-02-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handover using a service masuringment management
KR101078349B1 (en) * 2009-12-21 2011-10-31 전자부품연구원 Device for supporting Multi Network Interface Switching And Method using the same
WO2013051754A1 (en) * 2011-10-07 2013-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accessing multiple networks, and communication equipment for same
KR101281742B1 (en) 2013-01-16 2013-07-04 (주)에이투유정보통신 Wireless access technology discover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access system
KR101292155B1 (en) 2011-10-21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078079B2 (en) 2011-10-07 2015-07-07 Lg Electronics Inc. Multi-network access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098A (en) * 2001-12-29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beam pattern in mobile communication using smart antenna
KR20040017965A (en) * 2002-08-23 2004-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 pass searcher and his contro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25352A (en) * 2002-09-19 2004-03-24 주식회사 케이티 Wireless data automatic connection method in multi-species wireless net environment
KR20050091477A (en) * 2004-03-12 2005-09-15 주식회사 케이티 Forward power control method in hierarchical cell architecture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050115182A (en) * 2004-06-03 200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ime division multiplexing fram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098A (en) * 2001-12-29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beam pattern in mobile communication using smart antenna
KR20040017965A (en) * 2002-08-23 2004-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 pass searcher and his contro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25352A (en) * 2002-09-19 2004-03-24 주식회사 케이티 Wireless data automatic connection method in multi-species wireless net environment
KR20050091477A (en) * 2004-03-12 2005-09-15 주식회사 케이티 Forward power control method in hierarchical cell architecture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050115182A (en) * 2004-06-03 200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ime division multiplexing fram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81B1 (en) 2006-12-01 2009-10-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eamless handover using multiple wireless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KR100943760B1 (en) * 2007-11-14 2010-02-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handover using a service masuringment management
WO2009078598A1 (en) * 2007-12-17 2009-06-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supporting mobility using security tunnel
KR101078349B1 (en) * 2009-12-21 2011-10-31 전자부품연구원 Device for supporting Multi Network Interface Switching And Method using the same
WO2013051754A1 (en) * 2011-10-07 2013-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accessing multiple networks, and communication equipment for same
CN103262493A (en) * 2011-10-07 2013-08-21 Lg电子株式会社 Method for accessing multiple networks, and communication equipment for same
US9078079B2 (en) 2011-10-07 2015-07-07 Lg Electronics Inc. Multi-network access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CN103262493B (en) * 2011-10-07 2016-06-22 Lg电子株式会社 Multi net voting cut-in method and communication equipment thereof
KR101292155B1 (en) 2011-10-21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81742B1 (en) 2013-01-16 2013-07-04 (주)에이투유정보통신 Wireless access technology discover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access system
WO2014112713A1 (en) * 2013-01-16 2014-07-24 (주)에이투유정보통신 Method where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wireless access scheme, and wireless access system
US9717041B2 (en) 2013-01-16 2017-07-25 A2Uict Co., Ltd. Method for discovering radio access technology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access system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4249B1 (en) Mobile wireless router
CN101006703B (en) Mobile multi-interface device, its operation method, wireless network and multi-interface mobile management system
KR100726852B1 (en) Multi-mod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route thereof
Akyildiz et al. A survey of mobility management in next-generation all-IP-based wireless systems
KR101022263B1 (en) Wireless Communication Components and Methods for Multiple System Communications
US8073446B2 (en) Radio network controller, wireless access gateway,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7468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s
Lampropoulos et al. Handover management architectures in integrated WLAN/cellular networks
CA2249863C (en) Optimum routing system
JP5348650B2 (en) Trust type acquisi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in non-3GPP access system
FI114840B (en) Change of Responsibility
JP5135339B2 (en) Network selection method
JP5059913B2 (en) Early determination of network support for mobile IP
US20070002811A1 (en) Mechanism to enable optimized provision of beacon information in WLAN networks
US200402037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verse handover in mobile mesh Ad-Hoc networks
JP2009112018A (en) Method for exchanging higher layer system information on wireless system and automatic system selection of wireless lans
JP2013059044A (en) Configuring base station to act as regional mobility agent
US8027322B2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mobile node and network node for notification about the proximity of a second wireless network via a first wireless network
JPWO2006048941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system and roaming method thereof
JP4606943B2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Narrow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obile Device
KR100950767B1 (en) Network access me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Deng Seamless Handover between CDMA2000 and 802.11 WLAN using mSCTP
Zhang End to end architecture and mechanisms for mobile and wireless communications in the Internet
Salberg WLAN-GPRS interworking
CHAMOLI A Decision Model for Universal Seamless Handoff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