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014B1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ccording to moving of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ccording to moving of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014B1
KR100725014B1 KR1020050005394A KR20050005394A KR100725014B1 KR 100725014 B1 KR100725014 B1 KR 100725014B1 KR 1020050005394 A KR1020050005394 A KR 1020050005394A KR 20050005394 A KR20050005394 A KR 20050005394A KR 100725014 B1 KR100725014 B1 KR 100725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erminal
content
motion information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3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84628A (en
Inventor
정구민
차봉준
문승훈
김영찬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5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014B1/en
Publication of KR20060084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6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0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30Combinations of transducers with horns, e.g. with mechanical matching means, i.e. front-loaded ho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Details of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covered by H04R1/4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3Linear arrays of transdu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방법은, 제 1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움직임 정보가 반영된 제 2 영상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장치는 단말기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상기 움직임에 상응하는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움직임 인식부,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상기 움직임 정보를 반영한 제 2 영상 컨텐츠를 추출하는 영상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영상 컨텐츠 관리부로부터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의 특정 키패드의 입력 없이 단말기의 움직임만을 이용해 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컨텐츠를 확대, 축소하거나 상하, 좌우 이동시킬 수 있어, 단말기 화면의 크기로는 모두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Disclosed ar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first image content, generating mo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terminal, extracting second image content in which motion information is reflected in the first image content, and displaying the second image content. And displaying a mo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motion of the terminal to generate mo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and receiving the first image content and the mo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erminal.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extract second image contents reflecting the motion information in the first image contents, and a display unit to receive and display the second image contents from the image contents manag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contents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can be enlarged, reduced or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only by using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without inputting a specific keypad of the terminal, so that the image contents are not displayed in the size of the terminal screen.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us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display the desired portion.

단말기, 컨텐츠, 영상, 움직임 인식Terminal, Content, Video, Motion Recognition

Description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CCORDING TO MOVING OF TERMINAL}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ideo cont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terminal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CCORDING TO MOVING OF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단말기에서 수신한 외부 영상이다.4 is an external image received by a terminal to generate mo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에이되는 영상 컨텐츠이다.5 to 7 are image contents displayed on display according to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은 도 8 및 도 9에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의 순서도 이다.10 and 11 are flowcharts of a method of generating motion information in FIGS. 8 and 9.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단말기 30 : 컨텐츠 서버10: terminal 30: content server

40 : 인터넷망 110 : 영상 수신부40: Internet network 110: video receiver

120 : 움직임 인식부 130 : 송수신부120: motion recognition unit 130: transceiver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중앙처리부140: display unit 150: central processing unit

160 : 영상 컨텐츠 관리부 180 : 단말기 화면 160: image content management unit 180: terminal screen

본 발명은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를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축소, 확대 및 좌우에 해당하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에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playing image content corresponding to a reduction, enlargement, and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terminal.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최근에,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계속적인 발전에 따라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는 일반적인 음성통화 및 문자메시지 전송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 통화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In recent years,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the functions of terminals have been gradually diversified. In particular, the mobile terminal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internet access, video call and video message transmission as well as general voice call and text message transmission.

현재, 핸드폰, 피디에이(PDA) 및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는 상술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빠른 처리 속도를 갖는 중앙처리 장치 및 고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함은 물론, 더 많은 키패드와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Currently, mobile terminals such as cellular phones, PDAs and smart phones have a high processing speed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having a high processing speed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as well as more keypads and buttons. have.

또한, 화상 통화 또는 동영상의 처리를 위하여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 단말기도 보급되는 등 이동 단말기는 현대인들에게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In addition, mobile terminals equipped with cameras for processing video calls or moving images are also widely used.

이러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이동 단말기는 공간 등의 제약에 의해 구비할 수 있는 버튼의 수가 제약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As a method of inputting data using the mobile terminal, a method of inputting letters or numbers using a keypad is generally used. However, the mobile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button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limitation of space is limited. There is this.

또한, 단말기에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데 있어 상기 키패드를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를 축소하거나 확대할 경우, 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확대된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단말기 화면 영역 밖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displaying image content on a terminal, when the image content is reduced or enlarged using the keypad, an image outside the terminal screen area cannot be displayed with respect to the enlarged image content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서 단말기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인식한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for displaying the imag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cognized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image content displayed by recognizing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in th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n object.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단말기 화면 보다 큰 영상 컨텐츠를 단말기의 움직임을 통해 제공하는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 이다.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terminal that provides the image content larger than the terminal screen by displaying the image cont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은,
A-1) 제 1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A-2)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A-3)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움직임 정보가 반영된 제 2 영상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A-4)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 A-2)는,
A-2-1) 상기 단말기의 영상 수신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A-2-2) 상기 영상 수신부를 통해 제 1 외부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외부 영상을 움직임 인식에 대한 기준 외부 영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A-2-3) 상기 영상 수신부를 통해 제 2 외부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상기 기준 외부 영상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thod for displaying the image cont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1) displaying the first image content;
A-2) generating mo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A-3) extracting second image content in which motion information is reflected in the first image content; And
A-4)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second image content,
The step A-2) of generating the motion information,
A-2-1) driving an image receiver of the terminal;
A-2-2) receiving a first external image through the image receiving unit, and setting the first external image as a reference external image for motion recognition; And
A-2-3) receiving a second external image through the image receiving unit and comparing the second external image with the reference external image to calculate mo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은,
B-1) 컨텐츠 서버에서 단말기로 제 1 영상 컨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B-2) 상기 단말기가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3) 상기 단말기가 컨텐츠 서버로 상기 움직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4) 상기 컨텐츠 서버가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상기 움직임 정보를 반영한 제 2 영상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B-5)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 B-2)는,
B-2-1) 상기 단말기의 영상 수신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B-2-2) 상기 영상 수신부를 통해 제 1 외부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외부 영상을 움직임 인식에 대한 기준 외부 영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B-2-3) 상기 영상 수신부를 통해 제 2 외부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상기 기준 외부 영상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ethod for displaying the image cont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1) transmitting first image content from a content server to a terminal, wherein the terminal displays the first image content;
B-2) generating, by the terminal, mo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B-3) the terminal transmitting the motion information to a content server;
B-4) extracting, by the content server, second video content reflecting the motion information on the first video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second video content to the terminal; And
B-5) the terminal displaying the second image content, and the step B-2) of generating the motion information,
B-2-1) driving an image receiver of the terminal;
B-2-2) receiving a first external image through the image receiving unit, and setting the first external image as a reference external image for motion recognition; And
B-2-3) receiving a second external image through the image receiving unit and comparing the second external image with the reference external image to calculate mo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는, 단말기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상기 움직임에 상응하는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움직임 인식부;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상기 움직임 정보를 반영한 제 2 영상 컨텐츠를 추출하는 영상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영상 컨텐츠 관리부로부터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인식에 대한 기준 외부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 1 외부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기준 외부 영상과 비교하기 위한 제2 외부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영상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움직임 인식부는 상기 제2 외부 영상을 상기 기준 외부 영상과 비교하여 상기 외부 영상의 변화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상기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image cont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ovemen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to generate the mo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An image content management unit receiving the first image content and the mo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erminal and extracting the second image content reflecting the motion information in the first image content;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second image content from the image content manager and display the second image content;
The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imag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first external image for setting as a reference external image for the motion recognition of the terminal, and a second external image for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external image,
The motion recognition unit may generate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by changing the external image by comparing the second external image with the reference external imag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움직임 인식부, 상기 영상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각각 서로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움직임 인식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서로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며, 상기 영상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단말기와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컨텐츠 서버에 구비되어,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로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otion recognition unit, the image content management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each wired to each other and are provided in the terminal. The motion recognition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wired to each other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the video content manager is provided in a content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through an internet network. The content server receives the first video content and the mo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The second image cont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이하에서는 첨부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Hereinafter,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First,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10)는 영상 수신부(110), 영상 컨텐츠 관리부(160), 디스플레이부(140), 움직임 인식부(120) 및 중앙 처리부(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n apparatus 10 for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receiving unit 110, an image content managing unit 160, a display unit 140, The motion recognition unit 120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50 are includ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움직임 인식부(120), 영상 컨텐츠 관리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40)가 각각 서로 유선으로 연결되어 단말기에 구비되는 경우이다.Meanwhil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where the motion recognition unit 120, the image content management unit 160, and the display unit 1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ire and are provided in the terminal.

상기 영상 수신부(110)는 단말기(10)에 구비된 카메라 등을 통해 단말기(10)의 외부 환경을 영상으로 수신한다. 즉, 상기 단말기(10)를 영상 인식 모드로 설정하여 영상 수신부(110)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이때, 영상 수신부(110) 구동 후 최초로 수신하는 외부 영상을 제 1 외부 영상이라 하며, 이를 움직임 인식에 대한 기준 외부 영상으로 설정한다.The image receiver 110 receives an external environment of the terminal 10 as an image through a camera provided in the terminal 10. That is, the terminal 10 is set to the image recognition mode to drive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In this case, the first external image received after driving the image receiver 110 is called a first external image and is set as a reference external image for motion recognition.

그리고 상기 단말기(10)를 움직인 후에 수신한 외부 영상을 제 2 외부 영상이라 하며, 이를 상기 기준 외부 영상과 비교하여 단말기(10)의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한다.The external image received after moving the terminal 10 is referred to as a second external image, and is used as information for generating mo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by comparing it with the reference external image.

상기 움직임 인식부(120)는 상기 영상 수신부(110)에서 인식한 상기 기준 외부 영상 및 상기 제 2 외부 영상의 변화를 통해 단말기(10)의 움직임 정보를 생성한다.The motion recognition unit 120 generates mo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through the change of the reference external image and the second external image recognized by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예컨대, 상기 움직임 인식부(120)는 상기 기준 외부 영상에 대한 제 1 기준 포인트 값 및 상기 제 2 기준 외부 영상에 대한 제 2 기준 포인트 값을 설정한다.For example, the motion recognition unit 120 sets a first reference point value for the reference external image and a second reference point value for the second reference external image.

한편,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 값 및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 값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기 화면(180)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중심에 해당하는 각각의 포인트 값을 말한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first reference point value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 value refer to respective point values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180.

즉, 도 4의 (4a)는 제 1 외부 영상인 기준 외부 영상이며 제 1 기준 포인트 값은 (5, 5)이다. 그리고 도 4의 (4b)는 제 2 외부 영상이며 제 2 기준 포인트 값은 (2, 5)이다. That is, FIG. 4A is a reference external image which is the first external image, and the first reference point value is (5, 5). 4B is a second external image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 value is (2, 5).

이와 같이,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 값 및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 값을 설정한 후, 상기 두 값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 외부 영상에 대한 제 2 외부 영상의 변위 정보를 산출한다.As described above, after setting the first reference point value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 value, the displacement information of the second external ima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external image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two values.

예컨대, 상기 예에서 제 1 기준 포인트 값인 (5, 5) 및 제 2 기준 포인트 값인 (2, 5)을 비교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대적으로 (3, 0) 값에 상응하는 움직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외부 영상은 기준 외부 영상을 수신한 단말기(100)의 위치에서 우측 방향으로만 "3"에 상응하는 위치만큼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above example, when the first reference point value (5, 5)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 value (2, 5) are compared, the terminal 100 has a relative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value (3, 0). It can be seen.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external image has moved by a position corresponding to “3” only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that has received the reference external image.

또한, 단말기(10)에 관성 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n inertial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terminal 10 to generate the motion information.

상기 영상 컨텐츠 관리부(160)는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한 영상 컨텐츠에 상기 움직임 정보를 반영한 영상 컨텐츠를 추출한다. The video content manager 160 extracts the video content reflecting the motion information from the video content displayed on the terminal 10.

이때,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한 영상 컨텐츠를 제 1 영상 컨텐츠라하고, 상기 움직임 정보를 반영한 영상 컨텐츠를 제 2 영상 컨텐츠라하면, 영상 컨텐츠 관리부(160)는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대한 기준 영상 컨텐츠 및 확대/축소 영상 컨텐츠 등.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하여 여러 가지 움직임 정보가 반영된 영상 컨텐츠를 미리 관리하고 있어,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를 추출한다.In this case, when the video content displayed on the terminal 10 is called the first video content, and the video content reflecting the motion information is called the second video content, the video content manager 160 displays the reference video for the first video content. Content and zoom video content. The video content reflecting various motion information is previously manag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video, and the second video content is extracted.

또는, 상기 기준 영상 컨텐츠를 통해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움직임 정보가 반영된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를 생성한다.Alternatively, the second video content is generated by reflecting motion information in the first video content through the reference video content.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한다.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the first image content and the second image content.

상기 중앙 처리부(150)는 상기 영상 수신부(110), 영상 컨텐츠 관리부(160), 디스플레이부(140) 및 움직임 인식부(120)를 제어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시킨다.The central processor 150 controls the image receiver 110, the image content manager 160, the display 140, and the motion recognizer 120 to perform respective functions.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displaying of image conten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evic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움직임 인식부(12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서로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20)에 구비되며, 상기 영상 컨텐츠 관리부(160)는 상기 단말기(20)와 인터넷망(40)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컨텐츠 서버(30)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이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ion recognition unit 120 and the display unit 140 are wired to each other provided in the terminal 20, the image content management unit 160 is the terminal 20 And the content server 30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40.

따라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는 단말기(20) 및 컨텐츠 서버(30)를 포함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2, the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20 and a content server 30.

상기 단말기(20)는 인터넷망(40)을 통해 컨텐츠 서버(30)와 접속하고 컨텐츠 서버(30)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든 단말기로 영상 수신부(110), 움직임 인식부(120), 송수신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중앙처리부(150)를 포함한다.The terminal 20 is connected to the content server 3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40,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the motion recognition unit to all terminals that can receive and display the image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30 ( 120, a transceiver 130, a display 140, and a central processor 150.

상기 영상 수신부(110), 움직임 인식부(120), 송수신부(130),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도 1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the motion recognizing unit 120, the transceiving unit 130, and the display 14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상기 송수신부(130)는 상기 움직임 인식부(120)에서 생성한 움직임 정보를 컨텐츠 서버(30)에 전송하여 상기 움직임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컨텐츠를 수신한다.The transceiver 130 transmits the mo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otion recognition unit 120 to the content server 30 to receive imag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한편, 상기 움직임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는 이하, 컨텐츠 서버(30)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video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content server 30.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송수신부(130)를 통해 수신한 상기 움직임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한다.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imag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130.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영상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지원을 위해서 제이페그(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 플래시(FLASH), 3D 등의 이미지 솔루션(Solution)을 탑재한다. In addition, the terminal 100 includes an image solution such as 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 (JPEG), FLASH, 3D, etc. to support display of image content.

상기 중앙처리부(150)는 영상 수신부(110), 움직임 인식부(120), 송수신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하여 각각의 기능을 실행시킨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50 controls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the motion recognition unit 120, the transceiver 130 and the display unit 140 to execute each function.

한편, 상기 중앙처리부(150)의 제어를 통한 영상 수신부(110), 움직임 인식부(120), 송수신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40)의 실행은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구현된다.On the other hand, the execution of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the motion recognition unit 120, the transceiver 130 and the display unit 140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50 to display the image content display application from the content server 200. It is implemented by downloading and running it.

상기 컨텐츠 서버(30)는 인터넷망(40)을 통해 상기 단말기(20)와 접속되어 상기 단말기(20)의 요청에 의한 영상 컨텐츠를 전송한다.The content server 3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2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40 and transmits the image content at the request of the terminal 20.

이때, 단말기(20)의 움직임 인식 모드 변환 전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컨텐츠를 제 1 영상 컨텐츠라하며, 단말기(20)를 움직임 인식 모드로 변환한 후,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움직임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컨텐츠를 제 2 영상 컨텐츠라 한다.In this case, the image content displayed before the motion recognition mode conversion of the terminal 20 is referred to as the first image content, and after converting the terminal 20 to the motion recognition mode,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 The content is called second video content.

즉, 상기 컨텐츠 서버(30)는 동일한 영상에 대하여 축소 및 확대 등 복수 개의 영상 컨텐츠를 관리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움직임 정보가 반영된 제 2 영상 컨텐츠를 추출한다. That is, the content server 30 manages a plurality of image contents such as reduction and enlargement for the same image, and extracts the second image content in which the motion information is reflected on the first image content.

예컨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5a)는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해당하며, (5b) 내지 (5f)는 상기 움직임 정보가 반영된 제 2 영상 컨텐츠에 해당한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5, 5a corresponds to the first image content, and 5b to 5f correspond to the second image content in which the motion information is reflected.

즉, (5b)는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서 단말기(10, 20)를 뒤로 이동(Zoom out)한 상태에서 좌측으로 움직였을 때 생성된 움직임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컨텐츠이며, (5f)는 단말기(10, 20)를 앞으로 이동(Zoom in)한 상태에서 생성된 움직임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컨텐츠이다.That is, (5b) is imag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generated when the terminal (10, 20) is moved to the left in the state in which the terminal (10, 20) is zoomed out in the first image content, (5f) is the terminal 10 , 20) is imag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generated while zooming forward.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6a)를 제 1 영상 컨텐츠라고 하면 이때, (6b)는 단말기(10, 20)를 우측으로 움직였을 때 생성된 움직임 정보에 상응하는 제 2 영상 컨텐츠이다. As shown in FIG. 6, when 6a is the first video content, 6b is the second video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generated when the terminals 10 and 20 are moved to the right.

여기서,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인 (6b)를 통해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서 디스플레이 되지 않았던 의자가 화분의 우측에 있음을 알 수 있다.Here, it can be seen that the chair which is not displayed in the first image content is on the right side of the flower pot through the second image content (6b).

나아가, 이와 같은 방법으로 크기가 작은 단말기 화면(180)을 통해서도 큰 그림을 볼 수 있다.Furthermore, a large picture can be seen through the small screen 180 as described above.

예컨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7a)를 제 1 영상 컨텐츠라고 하면 이때, (7c)는 단말기(10, 20)를 뒤로 이동(Zoom in) 하였을 때 생성된 움직임 정보에 상응하는 제 2 영상 컨텐츠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when (7a) is referred to as the first image content, (7c) is a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generated when the terminals 10 and 20 are zoomed in. Video content.

즉, (7b)는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를 확대했을 때의 전체 영상 컨텐츠에 해당하며, 상기 (7c)는 상기 전체 영상 컨텐츠에서 단말기 화면(180)에 디스플레이 되는 부분에만 해당하는 영상 컨텐츠이다. That is, (7b) corresponds to the entire video content when the first video content is enlarged, and (7c) corresponds to only the portion of the full video content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180.

한편, (7b)가 단말기(10, 2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즉, 이때는 (7c)가 제 1 영상 컨텐츠에 해당된다) 단말기(10, 20)를 다시 상하 좌우 이동하였을 경우, 컨텐츠 서버(30)는 이에 상응하는 제 2 영상 컨텐츠를 추출한다.On the other hand, when 7b is displayed on the terminals 10 and 20 (that is, (7c) corresponds to the first video content at this time), the terminal 10, 20 is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again, and the content server ( 30 extracts second image content corresponding thereto.

예컨대, (7d) 및 (7e)는 단말기(10, 20)를 상하 이동하였을 때 생성된 움직임 정보에 상응하는 각각의 제 2 영상 컨텐츠이며, (7f) 및 (7g)는 단말기(10, 20)를 좌우 이동하였을 때 생성된 움직임 정보에 상응하는 각각의 제 2 영상 컨텐츠이다. For example, 7d and 7e are second image contents corresponding to motion information generated when the terminals 10 and 20 are moved up and down, and 7f and 7g are terminals 10 and 20, respectively. Are second imag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generated when left and right are moved.

이와 같이, 컨텐츠 서버(30)는 단말기(20)의 움직임 정보에 상응하여, (5b) 내지 (5f), (6b) 그리고 (7b) 내지 (7g) 등과 같은 제 2 영상 컨텐츠를 추출한다.In this way, the content server 30 extracts the second image content such as (5b) to (5f), (6b) and (7b) to (7g) and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

그리고 상기와 같이 추출된 제 2 영상 컨텐츠를 단말기(20)로 전송한다. The second image content extracted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

그러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즉, 도 8은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단말기에서 구현하는 순서도이고, 도 9는 단말기와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 가능한 컨텐츠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순서도이다.That is,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in the terminal, and FIG. 9 is a flowchart of implementing the method by interworking between the terminal and a content server accessible through an internet network.

먼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은 제 1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단계(S110), 움직임 정보 생성 단계(S120), 제 2 영상 컨텐츠 추출 단계(S130) 및 제 2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단계(S140)를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 8, a method of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displaying a first image content (S110), generating a motion information (S120), and a second method. An image content extraction step S130 and a second image content display step S140 are included.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단계(S110)에서는 단말기(10)에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영상 컨텐츠는 단말기(1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영상 컨텐츠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하거나 외부 저장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컨텐츠 등, 단말기(10)를 통해 디스플레이 가능한 모든 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며 이를 제 1 영상 컨텐츠라 한다.In the first image content display step (S110), the imag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10. The image content includes all image contents tha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terminal 10, such as image contents downloaded from an image content server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10 or received from an external storage device, and are called first image contents. .

상기 움직임 정보 생성 단계(S120)에서는 단말기(10)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며,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영상 수신부 구동 단계(S310), 기준 외부 영상 설정 단계(S320) 및 움직임 정보 산출 단계(S330)를 포함한다.In the motion information generating step (S120), mo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10. As shown in FIG. 10, the image receiver driving step (S310), the reference external image setting step (S320), and the motion information are shown. A calculation step S330 is included.

상기 영상 수신부 구동 단계(S310)에서는 단말기 외부 환경을 단말기 화면(180) 크기의 영상으로 수신할 수 있는 카메라 등과 같은 영상 수신부(110)를 구동시킨다.In the driving of the image receiving unit (S310),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such as a camera capable of receiving an external image of the terminal as an image of the terminal screen 180 is driven.

상기 기준 외부 영상 설정 단계(S320)에서는 영상 수신부(110)를 통해 제 1 외부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외부 영상을 움직임 인식에 대한 기준 영상으로 설정한다. In the reference external image setting step (S320), a first external image is received through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and the first external image is set as a reference image for motion recognition.

상기 움직임 정보 산출 단계(S330)에서는 영상 수신부(110)를 통해 제 2 외부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기준 영상과 비교하고, 상기 기준 영상에 따른 상기 제 2 외부 영상에 대한 단말기(10, 20)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인트 값 설정 단계(S410), 변위 정보 계산 단계(S420) 및 움직임 정보 산출 단계(S430)를 포함한다.In the motion information calculating step (S330), a second external image is received through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image, and the movement of the terminals 10 and 20 with respect to the second external image according to the reference image is performed. Information is calculated, and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1, a point value setting step S410, a displacement information calculation step S420, and a motion information calculation step S430 are included.

상기 포인트 값 설정 단계(S410)에서는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상기 제 2 외부 영상의 변위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기준 포인트 값을 설정한다. In the step value setting step (S410), a reference point value for calculating displacement information of the second external ima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image is set.

예컨대, 도 4에서, 기준 영상 및 제 2 외부 영상의 기준 포인트는 "P"에 해당하며, 상기 기준 영상의 기준 포인트 값인 제 1 기준 포인트 값은 (5, 5)이고 상기 제 2 외부 영상의 기준 포인트 값인 제 2 기준 포인트 값은 (2, 5)이다.For example, in FIG. 4, reference points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econd external image correspond to “P”, and the first reference point value, which is the reference point value of the reference image, is (5, 5) and the reference of the second external image. The second reference point value, which is the point value, is (2, 5).

상기 변위 정보 계산 단계(S420)에서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 값과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 값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상기 제 2 외부 영상의 변위 정보를 계산한다.In the displacement information calculating step (S420), the displacement information of the second external ima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image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first reference point value with the second reference point value.

예컨대, 도 4에서 상기 제 2 외부 영상의 변위 정보는 기준 포인트 변위값 (-3. 0) 이며, 따라서 상기 제 2 외부 영상은 상기 기준 영상을 수신한 위치에서 단말기를 우측 방향으로만 "3"에 상응하는 만큼 움직였을 때의 외부 영상임을 알 수 있다.For example, in FIG. 4, the displacement information of the second external image is a reference point displacement value (−3.0), so that the second external image is “3” in the right direction only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reference image. It can be seen that it is an external image when moved as much as.

상기 움직임 정보 산출 단계(S430)에서는 상기 변위 정보 계산 단계(S420)에서 계산한 변위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를 설정한다. In the motion information calculating step S430,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is set based on the displacement information calculated in the displacement information calculating step S420.

예컨대, 도 4에서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상기 제 2 외부 영상의 움직임 정보를 우측 방향으로 "3"에 상응하는 만큼 움직였음을 나타내는 (3, 0) 등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n FIG. 4,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external ima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image may be set as (3, 0), etc., indicating that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external image has been moved by the number corresponding to "3" in the right direction.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 추출 단계(S130)에서는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상기 움직임 정보가 반영된 제 2 영상 컨텐츠를 추출한다.In the extracting of the second image content (S130), the second image content in which the motion information is reflected in the first image content is extracted.

즉,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는 현재, 단말기(10, 20)가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영상 컨텐츠이고,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는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상기 움직임 정보를 반영한 영상 컨텐츠이다.That is, the first image content is currently displayed by the terminals 10 and 20, and the second image content is image content reflecting the motion information in the first image content.

예컨대,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는 도 4의 (4a), 도 5의 (5a), 도 6의 (6a)에 해당하며,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는 도 4의 (4b) 내지 (4f), 도 5의 (5b), 도 6의 (6b) 내지 (6g)에 해당한다. For example, the first image content corresponds to (4a) of FIG. 4, (5a) of FIG. 5, and (6a) of FIG. 6, and the second image content of (4b) to (4f) of FIG. It corresponds to 5 (5b) and FIG. 6 (6b)-(6g).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단계(S140)에서는 상기 추출한 제 2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한다.In the displaying of the second image content (S140), the extracted second image content is display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 9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FIG. 9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 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은 제 1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단계(S210), 움직임 정보 생성 단계(S220), 움직임 정보 전송 단계(S230), 제 2 영상 컨텐츠 추출 단계(S240) 및 제 2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단계(S2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9, a method of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playing a first image content (S210), generating a motion information (S220), and transmitting a motion information. In operation S230, the second image content extraction step S240 and the second image content display step S250 are included.

이하에서는 상기 도 8의 설명과 차이점만을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ly the difference from the description of FIG. 8 will be described.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단계(S210)에서는 컨텐츠 서버(30)가 단말기(20)로 제 1 영상 컨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20)는 수신한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는 단말기(20)의 요청에 의한 영상 컨텐츠이다.In the first image content display step (S210), the content server 30 transmits the first image content to the terminal 20, and the terminal 20 displays the received first image content. Meanwhile, the first video content is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terminal 20.

상기 움직임 정보 생성 단계(S220)는 상기 도 8의 움직임 정보 전송 단계(S12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motion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220 is the same as the mo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20 of FIG. 8,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움직임 정보 전송 단계(S230)에서는 단말기(20)가 컨텐츠 서버(30)로 움직임 정보 생성 단계(S220)를 통해 생성한 움직임 정보를 전송한다.In the mo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230), the terminal 20 transmits the mo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motion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220) to the content server 30.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 추출 단계(S240)에서는 컨텐츠 서버(30)에서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를 추출하여 단말기(20)로 전송하며,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를 추출하는 방법은 도 8의 제 2 영상 컨텐츠 추출 단계(S13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In the extracting of the second image content (S240), the content server 30 extracts the second image content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20.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second image content includes the second image content of FIG. 8.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extraction step (S130).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단계(S250)에서는 단말기(20)가 컨텐츠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제 2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한다. In the second image content display step (S250), the terminal 20 displays the second image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er 30.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 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technolog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will ha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단말기의 특정 키패드의 입력 없이 단말기의 움직임만을 이용해 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컨텐츠를 확대, 축소하거나 상하, 좌우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is enlarged, reduced, or moved up or down using only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without inputting a specific keypad of the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o move left and right.

따라서, 단말기 화면의 크기로는 모두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display the desired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for the image content that is not displayed at all the size of the terminal screen.

Claims (15)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displaying the image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A-1) 제 1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A-1) displaying the first image content; A-2)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A-2) generating mo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A-3)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움직임 정보가 반영된 제 2 영상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A-3) extracting second image content in which motion information is reflected in the first image content; And A-4)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A-4)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second image content, 상기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 A-2)는,The step A-2) of generating the motion information, A-2-1) 상기 단말기의 영상 수신부를 구동시키는 단계;A-2-1) driving an image receiver of the terminal; A-2-2) 상기 영상 수신부를 통해 제 1 외부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외부 영상을 움직임 인식에 대한 기준 외부 영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A-2-2) receiving a first external image through the image receiving unit, and setting the first external image as a reference external image for motion recognition; And A-2-3) 상기 영상 수신부를 통해 제 2 외부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상기 기준 외부 영상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A-2-3) receiving a second external image through the image receiving unit and comparing the second external image with the reference external image to calculate mo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How to displa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tion information is calculated. Ⅰ) 상기 기준 외부 영상에 대한 제 1 기준 포인트 값 및 상기 제 2 외부 영상에 대한 제 2 기준 포인트 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I) setting a first reference point value for the reference external image and a second reference point value for the second external image; And Ⅱ)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 값과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 값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 외부 영상에 대한 상기 제 2 외부 영상의 변위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변위 정보에 상응하여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Ii) comparing the first reference point value with the second reference point value, calculating displacement information of the second external ima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external image, and calculating mo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information; And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1 or 3, wherein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움직임 인식 솔루션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And a motion recognition solution capable of recognizing a motion of the terminal.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displaying the image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B-1) 컨텐츠 서버에서 단말기로 제 1 영상 컨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B-1) transmitting first image content from a content server to a terminal, wherein the terminal displays the first image content; B-2) 상기 단말기가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B-2) generating, by the terminal, mo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B-3) 상기 단말기가 컨텐츠 서버로 상기 움직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B-3) the terminal transmitting the motion information to a content server; B-4) 상기 컨텐츠 서버가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상기 움직임 정보를 반영한 제 2 영상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B-4) extracting, by the content server, second video content reflecting the motion information on the first video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second video content to the terminal; And B-5)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 B-2)는,B-5) the terminal displaying the second image content, and the step B-2) of generating the motion information, B-2-1) 상기 단말기의 영상 수신부를 구동시키는 단계;B-2-1) driving an image receiver of the terminal; B-2-2) 상기 영상 수신부를 통해 제 1 외부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외부 영상을 움직임 인식에 대한 기준 외부 영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B-2-2) receiving a first external image through the image receiving unit, and setting the first external image as a reference external image for motion recognition; And B-2-3) 상기 영상 수신부를 통해 제 2 외부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상기 기준 외부 영상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B-2-3) receiving a second external image through the image receiving unit and comparing the second external image with the reference external image to calculate mo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How to display. 삭제delet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tion information is calculated. ⅰ) 상기 기준 외부 영상에 대한 제 1 기준 포인트 값 및 상기 제 2 외부 영상에 대한 제 2 기준 포인트 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Iii) setting a first reference point value for the reference external image and a second reference point value for the second external image; And ⅱ)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 값과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 값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 외부 영상에 대한 상기 제 2 외부 영상의 변위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변위 정보에 상응하여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Ii) comparing the first reference point value with the second reference point value, calculating displacement information of the second external ima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external image, and calculating mo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information; And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제 5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버는The method of claim 5 or 7, wherein the content server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대한 기준 영상 컨텐츠 및 기준 영상에 대하여 다양한 영상 컨텐츠를 관리하여 상기 움직임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And display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wherein the imag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by managing various image contents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image content and the reference image for the first image content. 제 5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5 or 7, wherein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움직임 인식 솔루션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And a motion recognition solution capable of recognizing a motion of the terminal. 단말기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상기 움직임에 상응하는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움직임 인식부;A motion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a motion of the terminal and generating mo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상기 움직임 정보를 반영한 제 2 영상 컨텐츠를 추출하는 영상 컨텐츠 관리부; 및An image content management unit receiving the first image content and the mo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erminal and extracting the second image content reflecting the motion information in the first image content; And 상기 영상 컨텐츠 관리부로부터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A display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second image content from the image content manager and display the second image content;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인식에 대한 기준 외부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 1 외부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기준 외부 영상과 비교하기 위한 제2 외부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영상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The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imag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first external image for setting as a reference external image for the motion recognition of the terminal, and a second external image for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external image, 상기 움직임 인식부는 상기 제2 외부 영상을 상기 기준 외부 영상과 비교하여 상기 외부 영상의 변화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상기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And the motion recognition unit generates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by changing the external image by comparing the second external image with the reference external image. 제 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움직임 인식부, 상기 영상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각각 서로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And the motion recognition unit, the image content management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each wired to each other and are provided in the terminal.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움직임 인식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서로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며, 상기 영상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단말기와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컨텐츠 서버에 구비되어,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로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The motion recognition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wired to each other and provided in the terminal, and the video content management unit is provided in a content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nd receiving the first image content and the motion information from a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second image cont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 관리부는The video content management unit of claim 10, wherein the video content management unit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대한 기준 영상 컨텐츠 및 상기 기준 영상 컨텐츠에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반영된 복수의 영상 컨텐츠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And managing the plurality of video contents in which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reflected in the reference video content of the first video content and the reference video content.
KR1020050005394A 2005-01-20 2005-01-20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ccording to moving of terminal KR1007250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394A KR100725014B1 (en) 2005-01-20 2005-01-20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ccording to moving of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394A KR100725014B1 (en) 2005-01-20 2005-01-20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ccording to moving of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628A KR20060084628A (en) 2006-07-25
KR100725014B1 true KR100725014B1 (en) 2007-06-04

Family

ID=3717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394A KR100725014B1 (en) 2005-01-20 2005-01-20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ccording to moving of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501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4466A (en) * 2006-11-03 2007-01-09 희 한 The vilture screen and mouse curcer moving method by movement of the display of hand helded information equipment
KR101875425B1 (en) * 2018-03-19 2018-07-09 이민영 System for education golf using an augmented real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6452A1 (en) 2001-10-24 2003-05-01 Sony Corporation Image information display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6452A1 (en) 2001-10-24 2003-05-01 Sony Corporation Image information display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628A (en) 200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1739B1 (en) Terminal, image communication control server, and system and method for image communication using same
US84669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all in a mobile terminal
EP1981254A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KR20120017870A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object information
CN106534667B (en) Distributed collaborative rendering method and terminal
WO2014208569A1 (en) Transmission terminal, program, image display method and transmission system
CN106453572B (en) Method and system based on Cloud Server synchronous images
CN113368492A (en) Rendering method and device
US20090029694A1 (en) Contro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20080254813A1 (en) Contro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CN101621603A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performing image processing operations
US20230300452A1 (en) Video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0719841B1 (en) Method for creation and indication of thumbnail view
KR1007250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ccording to moving of terminal
EP1983751A2 (en) Control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communications terminal
WO200510180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7244249A (en) Multimedia data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readabl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2948046A (en) Screen captur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16067001A (en) Transmission management system, transmission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2009089086A (en) Imag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25379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MI Screen and Local Screen in Specific Region
CN110430525B (en) Positioning method, server and mobile terminal
JP2009171272A (en) Video telephone terminal device
CN116866477A (en) Video color ring display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6033095A (en) Video display method and video spelling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