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976B1 - Method of effective handover between two mobile communication modes and the dual mode terminal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of effective handover between two mobile communication modes and the dual mode terminal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976B1
KR100724976B1 KR1020050122496A KR20050122496A KR100724976B1 KR 100724976 B1 KR100724976 B1 KR 100724976B1 KR 1020050122496 A KR1020050122496 A KR 1020050122496A KR 20050122496 A KR20050122496 A KR 20050122496A KR 100724976 B1 KR100724976 B1 KR 100724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communication network
network
servic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2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9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9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n efficient handover method between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modes and a dual-mode terminal therefor are provided to disconnect a call logically only, without disconnecting the call with a server during handover so as to minimize call disconnection, thus a user can more smoothly use the currently used service even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If handover occurs while a service is performed, connec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which is currently used is terminated(400-425). A call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is terminated, and a socket which is a connection path for performing the service is closed to be on standby until the handover is finished(435,440). If the handover is finished, a call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is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and a new socket is generated to continuously perform the service(445-460).

Description

서로 다른 이동 통신 방식 간에 효율적인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METHOD OF EFFECTIVE HANDOVER BETWEEN TWO MOBILE COMMUNICATION MODES AND THE DUAL MODE TERMINAL THEREFOR}Efficient handover method between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and a dual mode terminal for the same method {METHOD OF EFFECTIVE HANDOVER BETWEEN TWO MOBILE COMMUNICATION MODES AND THE DUAL MODE TERMINAL THEREFOR}

도 1은 일반적인 CDMA 망과 WCDMA 망 시스템들이 설치된 영역을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ea in which a general CDMA network and WCDMA network systems are installed;

도 2는 일반적인 듀얼모드 단말기의 내부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dual mode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의 내부블록 구성도,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dual mod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핸드오버 시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매니저와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between a network manager and a network application for providing a service during hand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들 간에 핸드오버에 따른 호 끊김이 발생할지라도 이러한 호 끊김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서로 다른 이동 통신 방식 간에 효율적인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icient handover method between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to minimize such call dropping even if call dropout occurs due to handover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same. It relates to a dual-mode terminal for.

현재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 시스템은 이미 서비스 지역이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기반 시설이 완비되어 있다. 그러나, CDMA 시스템과 같은 2세대망에서 지원할 수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 시스템과 같은 3세대망이 차츰 도입되고 있으며, 과도기적으로 이러한 2세대망의 기반 시설을 이용하면서 3세대망이 설치된 영역에서는 3세대망의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듀얼모드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Currently,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ystems are already extensively serviced and fully equipped with infrastructure. However, third-generation networks such as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systems are gradually introduced to provide services that cannot be supported in second-generation networks such as CDMA systems. In the area where the 3G network is installed while utilizing the infrastructure of the 2G network, a dual mode terminal designed to receive specialized services of the 3G network has been developed.

이에 따라 최근 들어, 양쪽 기술(WCDMA 및 CDMA) 모두에서 동작될 수 있는 이동단말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야할 필요성에 의해 WCDMA 및 CDMA를 동시 지원하는 듀얼모드 단말기(dual mode user equipment or dual mode mobile terminal)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두 가지 모드를 구비한 하나의 듀얼모드 단말기는 상기 두 가지 모드에 대하여 최적으로 호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술들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 중 단말기 내부에서 WCDMA 모드와 CDMA 모드 사이를 전환할 때 요구되는 핸드오버에 관한 기술이 있다. In recent years, dual mode user equipment or dual mode mobile terminals which simultaneously support WCDMA and CDMA have been developed due to the necessity of providing a user with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in both technologies (WCDMA and CDMA). Developed. One dual-mode terminal having these two modes requires various technologies that are optimally compatible with the two modes. Among these techniques, there is a technique related to handover required when switching between WCDMA mode and CDMA mode in a terminal.

일반적으로 핸드오버(Handover)는 듀얼모드 단말기가 WCDMA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에서 WCDMA 모드로 동작하다가 이 지역을 벗어나게 되면 CDMA 모드로 전환하는 등의 CDMA와 WCDMA 두 모드간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즉, 핸드오버란 듀얼모드 단말기가 송/수신을 수행 중인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호 끊김없이 안정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대상셀을 교체하는 기술을 말한다. 그러면 일반적인 CDMA 망과 WCDMA 망 시스템들이 설치된 영역에서의 핸드오버에 대 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CDMA 망과 WCDMA 망 시스템들이 설치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CDMA 망과 WCDMA 망 시스템들이 설치된 지역은 크게 CDMA 서비스만 가능한 CDMA 단독 지역과 CDMA 서비스 뿐만 아니라 WCDMA 서비스도 동시에 지원가능한 중첩 지역으로 나뉜다. In general, handover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a dual-mode terminal to switch between CDMA and WCDMA modes such as switching to CDMA mode while operating in WCDMA mode in a region where WCDMA service is available. That is, handover refers to a technology for replacing a target cell so that a user can communicate stably without disconnection when a dual mode terminal moves from a cell perform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to another cell. Next, a handover in an area where general CDMA network and WCDMA network systems are install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ea in which general CDMA network and WCDMA network systems are installed. Referring to FIG. 1, a region in which general CDMA network and WCDMA network systems are installed is largely divided into a CDMA exclusive region that can only support CDMA services and an overlapping region that can support WCDMA services as well as CDMA services.

듀얼모드 단말기(100)는 WCDMA 망 즉, 중첩지역(160)에서 WCDMA 모드로 동작하다가 CDMA 단독 지역(150)에 진입하면 WCDMA 기지국이 발견되지 않으므로 CDMA 기지국을 탐색한 후, CDMA 기지국이 발견되면 CDMA 모드로 전환하여 핸드오버를 완료한다. 이와 반대로 중첩지역(160)으로 진입하게 되면 CDMA 모드로 동작중인 듀얼모드 단말기(100)는 소정 조건에 따라 다시 WCDMA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Since the dual mode terminal 100 operates in the WCDMA mode in the WCDMA network, that is, the overlapping region 160 and enters the CDMA exclusive region 150, the WCDMA base station is not found. Therefore, when the CDMA base station is found, the CDMA base station is found. Switch to mode to complete the handover. On the contrary, when entering the overlapping region 160, the dual mode terminal 100 operating in the CDMA mode performs a handover to switch back to the WCDMA m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이와 같이 CDMA 모드 및 WCDMA 모드를 지원하는 듀얼모드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도 2는 일반적인 듀얼모드 단말기의 내부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듀얼모드 단말기(100)는 크게 CDMA 모듈(110), WCDMA 모듈(120), 모드 선택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모듈은 해당 모뎀(도시하지 않음)과 RF부(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데, WCDMA와 CDMA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는 해당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뎀칩을 각각 사용한다. 여기서 각 모듈(110, 12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인 제어부(140)와 하드웨어 통신경로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의 통신 포트는 모드 선택부(130)를 통해 각각의 모듈(110, 120)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모드 선택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하에 듀얼모드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망이 CDMA 망(150)인지 WCDMA 망(160)인지에 따라 어느 하나의 모듈이 동작하도록 해당 모듈과의 연결을 수행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이 때, 모드 선택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핸드오버 결정에 따른 망에 연결되도록 해당 모듈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와 각 모듈(110, 120)은 모드 선택부(140)를 통해 1:1로 대응되고, 하나의 모뎀이 동작하고 있는 동안 나머지 모뎀은 전력소비를 막기 위해 전원 오프된 상태를 가진다. As such, the dual mode terminal supporting the CDMA mode and the WCDMA mode has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dual mode terminal. Referring to FIG. 2, the dual mode terminal 100 includes a CDMA module 110, a WCDMA module 120, a mode selector 130, and a controller 140. Each module consists of a corresponding modem (not shown) and an RF unit (not shown). Each terminal supporting WCDMA and CDMA modes uses a modem chip supporting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mode. do. In this case, each module 110 and 12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40 which is an application processor through a hardware communication path.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controller 140 is selectively connected to each module 110 and 120 through the mode selector 130. In other words, the mode selector 13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ny one module according to whether the network in which the dual mode terminal 100 is located is the CDMA network 150 or the WCDMA network 16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It acts as a switch to connect with the module. At this time, the mode selector 130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modul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handover decision of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Accordingly, the controller 140 and each module 110 and 120 correspond to 1: 1 through the mode selector 140, and the other modems are powered off to prevent power consumption while one modem is operating. Has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는 WCDMA 망에서 통화를 진행하고 있는 중에 WCDMA 망의 커버리지 영역을 벗어나 CDMA 망으로 이동할 경우, 사용자가 직접 CDMA 망으로 핸드오버를 시킬 것을 선택하지 않으면 호가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However, in the dual mod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f the user moves out of the coverage area of the WCDMA network to the CDMA network while the call is in progress on the WCDMA network, the call is disconnected if the user does not select to handover to the CDMA network. Occurs.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한 망 예를 들어, CDMA 망과 WCDMA 망 간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핸드오버가 요구되는 시점에 맞추어 호 끊김없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종래의 듀얼모드 단말기에서는 핸드오버 상황이 발생하여 호가 끊어질 경우 사용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은 더이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듀얼모드 단말기 화면에는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면서 이용중이던 서비스가 중단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시 이전의 서비스를 계속해서 이용하기 위해 다시 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핸드오버를 결정해야하고, 이는 호 접속이 이루어질때까지 대기 화면 상태로 기다려야 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불편한 일이다. 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ly, in a dual mode terminal that performs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example, between a CDMA network and a WCDMA network,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handover seamlessly in accordance with a time point when handover is required. It is important. However, in the conventional dual mode terminal, when the call is disconnected due to a handover situation, the application in use cannot provide any more services. Accordingly, a message indicating that a network error has occurred is displayed on the dual-mode terminal screen, and the service in use is interrupted. Therefore, the user must decide the handover so that the call can be connected again in order to continue using the previous service, which is very inconvenient for the user who has to wait on the idle screen until the call connection is made.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들 간에 핸드오버에 따른 호 끊김이 발생할지라도 이러한 끊김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서로 다른 이동 통신 방식 간에 효율적인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를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icient handover method between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for minimizing such disconnection even if a call drop occurs due to handover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It provides a dual-mode terminal for this purpos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들 간에 핸드오버에 따른 호 끊김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중에 핸드오버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핸드오버가 발생하더라도 서버와의 호를 끊는 대신 논리적으로만 호를 끊고, 핸드오버가 완료될 경우에 바로 다른 통신망을 통해 호를 연결함으로써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호 끊김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없이도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를 보다 원할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function for minimizing call dropout due to handover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a handover occurs while using a service, and even if a handover occurs, instead of dropping a call with the server, the call is only logically disconnected, and when the handover is completed, another communication network is immediately established. Continue to provide services by connecting ca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izing call dropping, a user can more smoothly use a service currently being used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이 구현된 듀얼모드 단말기(Dual Band-Dual Mode: DBDM)의 구성 요소 및 그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는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의 예로 CDMA와 WCDMA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Components and operations of a dual band terminal (DDM) in which the above functions are implement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particula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CDMA and WCDMA as examples of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모드 단말기(3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CDMA와 WCDMA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모듈(310, 320)을 각각 구비하고, CDMA 망과 WCDMA 망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기능을 갖는다. As shown in FIG. 3, the dual-mode terminal 300 includes modules 310 and 320 supporting CDMA and WCDMA communication technologies,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erforms handover between the CDMA network and the WCDMA network. Has the function for.

구체적으로 CDMA 모드 및 WCDMA 모드를 지원하는 듀얼모드 단말기(300)는 크게 CDMA 모듈(310), WCDMA 모듈(320) 및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에서도 CDMA 모듈(310)은 CDMA 망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며, WCDMA 모듈(320)은 WCDMA 망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이러한 각각의 CDMA 모듈(310) 및 WCDMA 모듈(320)은 제어부(330)와 하드웨어 통신 경로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모듈은 해당 모뎀(도시하지 않음)과 RF부(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듀얼모드 단말기(300)는 해당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뎀칩을 각각 사용한다.In more detail, the dual mode terminal 300 supporting the CDMA mode and the WCDMA mode includes a CDMA module 310, a WCDMA module 320, and a controller 330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In particular, the CDMA module 310 provides softwar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DMA network, and the WCDMA module 320 provides software for communicating with the WCDMA network. Each of the CDMA module 310 and the WCDMA module 32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30 through a hardware communication path. Each module includes a corresponding modem (not shown) and an RF unit (not shown). The dual mode terminal 30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modem chip supporting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mode. Use each.

이때, 제어부(330)의 통신 포트는 칩 스위치(Chip switch)(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CDMA 모듈(310) 또는 WCDMA 모듈(32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제어부(330)와 각 모듈(310, 320)은 칩 스위치를 통해 1:1로 대응되어 연결된다.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controller 330 has a configuration tha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DMA module 310 or the WCDMA module 320 using a chip switch (not shown). As such, the controller 330 and each module 310 and 320 are connected in a 1: 1 correspondence through chip switches.

한편, 핸드오버를 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모듈(310, 320)은 모두 전원 온 상태이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중에 서버와의 호를 끊는 대신에 논리적으로만 호를 끊고 핸드오버 완료에 따라 호가 다시 연결되면 계속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이와 같이 일시적인 호 끊김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핸드오버에 따른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단순히 일시적인 끊김 현상만을 느낄 뿐 계속적인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Meanwhile, in order to perform a handover, both modules 310 and 320 must be in a power-on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disconnecting a call with a server while providing a service, the module is only logically disconnected and the handover is completed. Therefore, when the call is reconnected, the function of continuously providing a service is implement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emporary call dropping can be minimized, the waiting time due to the handover can be minimized, and thus the user can simply use the temporary dropping phenomenon and continue to use the service.

내부적으로 호 끊김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30)는 네트워크 매니저(Network Manager)(340) 및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etwork Application)(35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In order to perform a function of minimizing call disconnection internally, the control unit 3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twork manager 340 and a network application 350. Can be.

이러한 네트워크 매니저(340) 및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에서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Detailed operations of the network manager 340 and the network application 350 will be described later.

먼저 네트워크 매니저(340)는 핸드오버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서비스를 수행중인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에 핸드오버가 발생했음을 알린다. 여기서, 네트워크 매니저(340)는 핸드오버하라는 신호를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거나 자체적으로 측정한 신호 레벨의 세기가 약할 경우에 핸드오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한다. First, the network manager 340 plays a role of managing handover, and notifies that a handover has occurred to a network application 350 performing a service. In this case, the network manager 340 determines that the handover is necessary when the signal for handover is received from the system or the strength of the signal level measured by itself is weak.

그리고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은 컨텐츠 서비스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써, 듀얼모드 단말기(300)는 브라우저 등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받아 미리 구현해놓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이 듀얼모드 단말기(300) 내부에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 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은 컨텐츠 서비스 제공자 등을 통해 컨텐츠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일종으로 제공받아 듀얼모드 단말기 내부에 구현될 수도 있고, 다르게는 소정의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The network application 350 is an application provided by content service providers. The dual mode terminal 300 may be pre-implemented by downloading from a network through a browser or the lik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application 350 is exemplified in the dual mode terminal 300, but the exemplary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network application 350 may be provided as a kind of application for executing content through a content service provider or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dual mode terminal, or alternatively, may be implemented in a server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content service.

이러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은 VOD 서비스 등 패킷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만일 WCDMA 모드에서 서비스 중일 경우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은 WCDMA 모듈(320)을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중에 네트워크 매니저(340)로부터 핸드오버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이벤트(event)를 수신하게 되면,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은 그 네트워크 매니저(340)에서 제공하는 함수를 이용하여 논리적으로 호를 끊는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WCDMA 모드에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도중에 핸드오버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이벤트를 수신하게 되면, 핸드오버 상황일지라도 서버와의 물리적인 연결을 끊지 않고 현재 이용 중이던 WCDMA 모듈(320)을 통한 데이터를 더 이상 수신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논리적으로만 호를 끊기 위해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은 서버로 호를 끊겠다는 요청을 보내지 않는다. The network application 350 may provide a packet type service such as a VOD service. If the network application 350 is serving in the WCDMA mode, the network application 350 processes data received through the WCDMA module 320 to provide a service. . When the service manager receives an event indicating that a handover has occurred while providing a service in this manner, the network application 350 logically uses a function provided by the network manager 340. Hang up. In detail, when the network application 350 receives an event indicating that a handover has occurred while providing a service in the WCDMA mode, the WCDMA that is currently being used without disconnecting a physical connection with the server even in a handover state may be received. It will no longer receive data through module 320. As such, the network application 350 does not send a request to the server to hang up the call only logically.

이에 따라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에서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화면으로 출력하는 도중에 논리적으로만 호를 끊은 상태가 되는 것이므로, 순간적으로 정지 화면을 출력하고 있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핸드오버가 발생하더라도 호가 끊겼다는 걸 인지하지 못한 채 단순히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잠시 전송지 연이 발생하는 경우처럼 느끼게 된다. Accordingly, since the network application 350 is in a state where the call is only logically disconnected while the received data is processed and output to the screen, the network application 350 instantaneously outputs the still screen. Therefore, even if a handover occurs, the user may not recognize that the call is disconnected, and may feel as if the transmission delay occurs briefly according to network conditions.

한편, 핸드오버가 발생하게 되면 CDMA 모듈(310)의 전원이 켜지게 되어 두 개의 모듈(310, 320) 모두 전원 온 상태가 되는데, 이에 따라 외부적으로는 WCDMA 망에서 CDMA 망으로의 핸드오버가 되는 상황이라도 서버와 듀얼모드 단말기(300) 간의 물리적인 채널 연결은 계속적으로 유지되는 상태이다. 따라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는 외부적으로 핸드오버가 발생할지라도 일시 정지 화면을 출력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handover occurs, the power of the CDMA module 310 is turned on, and both modules 310 and 320 are powered on. Accordingly, the handover from the WCDMA network to the CDMA network is performed externally. Even in this situation, the physical channel connection between the server and the dual mode terminal 300 is continuously maintained. Therefore, the network application 350 may maintain a state of outputting a pause screen even when a handover occurs externally.

한편, 외부적으로 각 해당 망으로의 핸드오버와 별개로 듀얼모드 단말기(300)는 내부적으로 CDMA 모듈(310)과 WCDMA 모듈(320) 중 어느 모듈을 선택해야하는지를 정해야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매니저(340)는 현재까지 이용중이었던 WCDMA 모듈(320)을 통한 WCDMA 모드를 수행하는데 따른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Data protocol stack)을 종료한다.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handover to each network externally, the dual mode terminal 300 must determine which of the CDMA module 310 and the WCDMA module 320 to select internally. Accordingly, the network manager 340 terminates the data protocol stack according to performing the WCDMA mode through the WCDMA module 320 which has been in use until now.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매니저(340)는 핸드오버를 완료하기 위해 WCDMA 모듈(320)을 통한 통신하는데 필요했던 네트워크 자원을 정리한다. 즉, 네트워크 매니저(340)는 서버와 듀얼모드 단말기(300) 간의 소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연결통로인 소켓을 해제(close)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매니저(340)는 호 종료 및 소켓이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이벤트를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호 종료를 알리는 이벤트는 핸드오버에 의해 끊어졌다는 정보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network manager 340 organizes the network resources that were needed to communicate via WCDMA module 320 to complete the handover. That is, the network manager 340 closes a socket, which is a connection path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service between the server and the dual mode terminal 300. The network manager 340 transmits an event indicating that the call is terminated and the socket is released to the network application 350. In this case, the event indicating the call termination includes information that the call was terminated by handover.

이 두 가지 이벤트를 수신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은 네트워크 매니저(340)에서 네트워크와의 호를 정리하고 있다고 인지하게 된다. 즉, WCDMA 모듈 (320)을 통한 통신을 종료하는 대신 CDMA 모듈(310)을 통한 통신을 준비하고 있다고 인지하게 된다. 그리고나서 CDMA 모듈(310)의 전원이 켜진 후 그 CDMA 모듈(310)이 CDMA 통신을 수행을 수행할 수 있는 대기 상태로 전환된 경우 WCDMA 모듈(320)의 전원은 오프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매니저(340)는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인지하고, 핸드오버 완료를 알리는 이벤트를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에 전달한다. Upon receiving these two events, the network application 350 recognizes that the network manager 340 is arranging a call with the network. That is, instead of terminat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WCDMA module 320, it is recognized that communication is prepared through the CDMA module 310. Then, after the CDMA module 310 is turned on, when the CDMA module 310 is switched to a standby state capable of performing CDMA communication, the power of the WCDMA module 320 is turned off. Accordingly, the network manager 340 recognizes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d, and transmits an event indicating the handover completion to the network application 350.

그러면,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은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이벤트가 네트워크 매니저(340)로부터 전송될 때까지 대기하다가 그 이벤트를 수신하게 되면 CDMA 모듈(3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한다. 즉, CDMA 모듈(310)을 통한 호를 연결하고 새롭게 연결된 CDMA 망에 맞게 새로운 소켓을 생성한 후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Then, the network application 350 waits until an event indicating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d is transmitted from the network manager 340 and starts receiving data from the CDMA module 310 when receiving the event. That is, after connecting a call through the CDMA module 310 and creating a new socket for a newly connected CDMA network, the service is continuously performed.

전술한 바에서는 WCDMA에서 CDMA로 핸드오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CDMA에서 WCDMA로 핸드오버하는 과정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이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the case of handover from WCDMA to CDMA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equally applicable to the process of handover from CDMA to WCDMA.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이 구현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핸드오버 시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매니저와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간의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between a network manager and a network application for providing a service during hand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ual mode terminal having the above-described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매니저(340)는 400단계에서 핸드오버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핸드오버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통상의 핸드오버 발생시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러한 기준을 근거로 네트워크 매니 저(340)는 410단계에서 핸드오버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여 핸드오버가 발생한 경우 415단계로 진행하여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으로 핸드오버 발생을 알리는 이벤트를 전달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network manager 340 determines whether a handover occurs in step 400. Here,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handover occurs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normal handover occurrence. Based on this criterion, the network manager 340 determines whether a handover has occurred in step 410, and if a handover occurs, the network manager 340 proceeds to step 415 and transmits an event informing the network application 350 of the handover occurrence.

한편,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에서는 네트워크 매니저(340)에서 핸드오버 여부를 판단하고 있는 동안에 405단계에서와 같이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수행 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은 제 1통신망 모듈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해당 서비스에 따른 화면을 출력한다. 이러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도중에 핸드오버 발생을 알리는 이벤트를 수신하게 되면,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은 425단계로 진행하여 제 1통신망 모듈을 통한 제 1통신망과의 호만을 종료한다. 즉, 논리적으로만 호를 끊고 서버와의 연결이 종료되지 않도록 서버로 호 종료 요청을 전송하지 않는다. 이러한 논리적인 호 종료를 통해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은 일단 현재 이용중이던 제 1통신망 모듈로부터 데이터를 받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화면에는 잠시 데이터 수신이 끊긴 것처럼 정지 영상이 표시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application 350 performs the service as in step 405 while the network manager 340 determines whether the handover. When performing such a service, the network application 350 processes data received from a server using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and outputs a screen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service. If the network application 350 receives an event indicating a handover occurrence while performing such a service, the network application 350 proceeds to step 425 to terminate only the call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That is, the call termination request is not transmitted to the server so that the call is logically disconnected and the connection with the server is not terminated. Through this logical call termination, the network application 350 does not receive data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that is currently in use, and thus the still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if the data reception was temporarily stopped.

이에 반해 네트워크 매니저(340)에서는 430단계에서와 같이 제 1통신망 모듈을 통한 통신을 정리하고 대신 핸드오버할 대상인 제 2통신망 모듈과의 통신을 준비해야 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매니저(340)는 43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의 제 1통신망에 대한 네트워크 자원을 정리하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로인 소켓을 해제한다. 그리고나서 네트워크 매니저(340)는 435단계에서 호 종료 및 소켓 해제를 알리는 이벤트를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에 전달한다. 그러면 네트 워크 어플리케이션(350)은 440단계에서와 같이 핸드오버가 완료될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On the contrary, in step 430, the network manager 340 needs to arrange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and prepare for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to be handed over. Accordingly, the network manager 340 proceeds to step 430 to clean up the network resources for the current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releases the socket which is a path for receiving data for service. In operation 435, the network manager 340 transmits an event to the network application 350 informing of call termination and socket release. Then, the network application 350 maintains the standby state until the handover is completed as in step 440.

한편, 네트워크 매니저(340)는 445단계에서 제 2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가 완료되는지가 감지되면 450단계로 진행하여 핸드오버 완료를 알리는 이벤트를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핸드오버가 완료되게 되면 제 1통신망 모듈의 전원은 오프되고 제 2통신망 모듈은 전원 온 상태 이후 제 2통신망을 통한 통신 준비 상태를 마치게 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은 455단계에서 제2통신망 모듈을 통한 제 2통신망과의 호를 연결하고, 제 2통신망에 맞게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소켓을 연결한다. 그러면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은 제 2통신망 모듈과 연결되어 460단계에서와 같이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즉,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은 제 2통신망 모듈을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해당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cted in step 445 whether the handover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is completed, the network manager 340 proceeds to step 450 and transmits an event indicating the completion of the handover to the network application 350. When the handover is completed, the power of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finishes the communication ready stat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fter the power-on state. Accordingly, the network application 350 connects a call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in step 455, and connects a new socket to enable service according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Then, the network application 3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to continuously perform a service as in step 460. That is, the network application 350 may process the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and output the data according to the service on the screen.

이와 같이 핸드오버할 대상 통신망 모듈에서 통신할 준비가 완료되면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350)은 잠시 중지했던 서비스를 계속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도중에 핸드오버 발생 시 서비스가 완전히 종료되었던 문제점을 방지하여 핸드오버 시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target network module to be handed over is ready to communicate as described above, the network application 350 continues the service that has been stopped for a while,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that the service is completely terminated when the handover occurs during the service, and the time required for handover Can be minimiz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오버 발생 시 서버와의 호를 끊지 않고 논리적으로만 호를 끊어 호 끊김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없이도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를 보다 원할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minimizing the call disconnection phenomenon by disconnecting only the call without logically disconnecting the call when the handover occurs, the user can more smoothly use the current service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

Claims (8)

서로 다른 이동 통신 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한 제1통신망 모듈 및 제 2통신망 모듈을 구비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효율적인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An efficient handover method in a dual mode terminal having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in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서비스 수행 도중에 핸드오버가 발생한 경우 현재 이용중인 제 1통신망 모듈과의 연결을 종료하는 과정과,Terminating the connec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currently in use when a handover occurs during service execution; 상기 제 1통신망과의 호가 종료되며 상기 서비스 수행을 위한 연결 통로인 소켓(socket)이 해제(close)되어 상기 핸드오버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하는 과정과,Waiting for the call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to terminate and a socket, which is a connection path for performing the service, is closed and the handover is completed; 상기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상기 제 2통신망 모듈을 통해 상기 제 2통신망과의 호를 연결하고, 새로운 소켓을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효율적인 핸드오버 방법.When the handover is completed, connecting the call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and creating a new socket to continuously perform the service. Handover metho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비스 수행 도중에 상기 핸드오버가 발생하면 상기 제 2통신망과의 호가 연결될 때까지 정지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효율적인 핸드오버 방법.And if the handover occurs during the service, outputting a still picture until a call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is connect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통신망 및 제 2 통신망은 WCDMA 망 및 CDMA 망에 각각 대응하는 망이며, 상기 제 1통신망 모듈 및 제 2통신망 모듈은 상기 WCDMA 망 및 CDMA 망을 통해 각각 송수신되는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하는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효율적인 핸드오버 방법.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re network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a WCDMA network and a CDMA network, and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are modules for processing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WCDMA network and the CDMA network, respectively. An efficient handover method in a dual mod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서로 다른 이동 통신 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한 제1통신망 모듈 및 제 2통신망 모듈을 구비하며, 효율적인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듀얼모드 단말기는,A dual mode terminal having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in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and performing an efficient handover includes: 상기 핸드오버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핸드오버가 발생하면 현재 이용중인 제 1통신망 모듈을 통한 통신 자원을 정리하고 상기 서비스 수행을 위한 연결 통로인 소켓을 해제(close)하며, 상기 핸드오버 완료 여부를 감지하는 네트워크 매니저(network manager)와,Detects whether the handover occurs; when the handover occurs, cleans up communication resources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currently in use, closes a socket that is a connection path for performing the service, and closes the hand. A network manager that detects whether the over is complete, 상기 네트워크 매니저로부터 핸드오버 발생을 알리는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제 1통신망 모듈과의 연결을 종료하고, 상기 네트워크 매니저로부터 상기 제 1통신망과의 호 종료 및 소켓 해제를 알리는 이벤트와 상기 핸드오버 완료를 알리는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제 2통신망 모듈을 통해 상기 제 2통신망과의 호를 연결하고, 새로운 소켓을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etwork application)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듀얼모드 단말기.Upon receiving an event informing of a handover occurrence from the network manager, the connec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is terminated, and an event for notifying a call termination and socket releas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network manager and notifying completion of the handover. Efficient hand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network application for connecting the call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when receiving an event, and creating a new socket to continuously perform the service. Dual mode terminal to carry out. 삭제delet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network application, 상기 서비스 수행 도중에 상기 핸드오버가 발생하면 상기 제 2통신망과의 호가 연결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정지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듀얼모드 단말기.If the handover occurs while performing the service, a dual mode terminal for performing an efficient handover, characterized in that to temporarily output a still picture until the cal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is connected.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 1통신망 및 제 2 통신망은 WCDMA 망 및 CDMA 망에 각각 대응하는 망이며, 상기 제 1통신망 모듈 및 제 2통신망 모듈은 상기 WCDMA 망 및 CDMA 망을 통해 각각 송수신되는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하는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듀얼모드 단말기.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re network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a WCDMA network and a CDMA network, and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are modules for processing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WCDMA network and the CDMA network, respectively. Dual-mode terminal for performing an efficient handover,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50122496A 2005-12-13 2005-12-13 Method of effective handover between two mobile communication modes and the dual mode terminal therefor KR1007249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496A KR100724976B1 (en) 2005-12-13 2005-12-13 Method of effective handover between two mobile communication modes and the dual mode terminal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496A KR100724976B1 (en) 2005-12-13 2005-12-13 Method of effective handover between two mobile communication modes and the dual mode terminal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4976B1 true KR100724976B1 (en) 2007-06-04

Family

ID=3835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496A KR100724976B1 (en) 2005-12-13 2005-12-13 Method of effective handover between two mobile communication modes and the dual mode terminal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97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4240A (en) * 2009-09-28 2011-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for usb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891A (en) 2003-10-20 2005-04-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891A (en) 2003-10-20 2005-04-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4240A (en) * 2009-09-28 2011-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for usb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85971B1 (en) 2009-09-28 201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for usb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103B1 (en) Methodd for performing handover between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and the dual mode terminal therefor
US8345626B2 (en) Handover method for minimizing packet call reconnection delay time between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schemes and multi-mode terminal for the same
US8068446B2 (en) Method of efficiently processing dormant state in packet service and multi-mode terminal for the same
US80413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connection time point for packet service
KR10133984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e connecting in a portable terminal
KR101151075B1 (en) Method roaming of dual mode terminal preventable ping pong situation and the dual mode terminal therefor
US20110182221A1 (en) Hybrid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gram
EP1521435A2 (en) Method for communication control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48652B2 (en) Method and multimode terminal for minimizing mute interval
KR20060098019A (en) Method of handover in dual mode mobile terminal
US20080025277A1 (en) Wireless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wireless LAN system
KR20070042200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program
US20070222852A1 (en) Method for provid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and terminal and system therefor
KR101085598B1 (en) Improved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 access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hand off timing in mobile terminal
US20030013440A1 (en) Wireless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wireless lan system
US20140018078A1 (en) Service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in portable terminal
KR100724976B1 (en) Method of effective handover between two mobile communication modes and the dual mode terminal therefor
KR100683299B1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KR20060110066A (en) Effective roaming method between two mobile communication modes and the dual mode terminal therefor
KR100713493B1 (en) Method for reducing consumption of an electric current in multi-mode terminal and the terminal thefefor
US20040014464A1 (en)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in radio lan system, control method of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WO20120518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ual-network terminal communication
US6178325B1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position registration in a multiple services communication system
JP2006320031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US20030139137A1 (en) Radio lan system and radio lan system controlling method and control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