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967B1 -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967B1
KR100724967B1 KR1020050090766A KR20050090766A KR100724967B1 KR 100724967 B1 KR100724967 B1 KR 100724967B1 KR 1020050090766 A KR1020050090766 A KR 1020050090766A KR 20050090766 A KR20050090766 A KR 20050090766A KR 100724967 B1 KR100724967 B1 KR 100724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broadcasting
broadcast
invitation messag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5871A (ko
Inventor
김재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0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967B1/ko
Priority to CN200610139346A priority patent/CN100579260C/zh
Priority to EP06020140A priority patent/EP1771017A3/en
Priority to US11/528,174 priority patent/US20070072544A1/en
Publication of KR20070035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5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vehicles as destination, e.g. accidents, stolen, rent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1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Alarm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들과 무선망으로 연결되어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난 방송 안내 서버를 포함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의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재난 상황 발생 시 상기 재난 방송 안내 서버가 소정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재난 방송 안내 서버가 상기 생성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기지국을 통해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이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재난 상황 발생 시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를 전송하여 자동으로 재난 방송을 수신하도록 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가 긴급한 재난 상황에 대한 대처를 신속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재난 상황에서 인명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입는 경우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 편리성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상황 발생 시 해당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이 재난 상황 발생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재난 방송 안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escription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ACCIDENT BROADCASTING GUIDE SYSTEM FOR PROVIDING ACCIDENT BROADCASTING GUIDE SERVIC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난 방송 안내 서버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난 방송 안내 서버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재난 방송 안내 서버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난 방송 안내 서버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재난 방송 시청 권유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재난 방송 시청 권유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재난 방송 시청 권유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난 상황 발생 시 해당 지역의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방송이라 함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을 대체하여 고화질과 고음질, 그리고 보다 높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하며, 위성 디지털 방송과 지상파 디지털 방송으로 분류된다.
위성 디지털 방송은 이동형 서비스를 주목적으로 하며, 휴대용 리시버Receiver(이동 전화, 개인 정보 단말기)나 차량용 리시버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채널 멀티미디어(Multimedia)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방송이다.
그리고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 라디오의 디지털화)가 모체인 지상파 디지털 방송은 현재 비어 있는 브이에이치에프 12번 채널을 이용해 이동 수신용 멀티미디어 방송을 하는 개념으로, 다채널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방송, 라디오 방송 및 데이터 방송을 복합적으로 송신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기존의 지상파 사업 자들은 1개의 아날로그 채널을 운영하였으나, 디지털 방송 사업자들은 다수의 디지털 채널을 운영하는 개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상기 지상파 디지털 방송에서 1개의 VHF(Very High Frequency) 채널에서 3개의 앙상블을 전송할 수 있고, 1개의 앙상블 당 비디오 1채널, 오디오 2채널, 데이터 1채널 정도의 서비스가 가능하며, 주로 차량에서의 이용을 염두에 두고 무료 방송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홍수, 지진, 폭풍, 해일 등과 같은 자연 재해를 비롯한 각종 재난 상황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재난 상황 발생 시 방송국에서는 통상 재난 방송을 방송하는데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있는 사용자들은 상기 재난 방송을 시청하면서 각종 상황에 따른 대처를 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의 집이나 건물 등에 있는 티브이(TV)를 이용하여 재난 방송을 시청할 수 없거나, 여타 이유로 티브이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가 재난 상황 발생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사용자가 재난 방송을 시청할 수 없으므로 긴급한 재난 상황에 대한 대처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인명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난 상황 발생 시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난 상황 발생 시 해당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가 재난 상황 발생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들과 무선망으로 연결되어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난 방송 안내 서버를 포함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의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재난 상황 발생 시 상기 재난 방송 안내 서버가 소정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재난 방송 안내 서버가 상기 생성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기지국을 통해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이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상황 발생 시 소정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을 안내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재난 상황 발생 시 소정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기지국을 통해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재난 방송 안내 서버와,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하며,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 수신 시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소정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이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 정보가 검출되면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검출된 채널 정보에 따라 해당 채널의 재난 방송을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재난 방송 출력 중에 상기 재난 방송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 권유 메시지 전송 요청이 있으면 상기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재난 방송 서비스를 안내하는 재난 방송 안내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은 재난 방송 안내 서버(100), 이동 통신 단말기들(200a, 200b, 200c) 및 기지국(300)을 포함한다.
재난 방송 안내 서버(100)는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200a, 200b, 200c)과 무선망을 통해 연결되며, 재난 상황 발생 시 소정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생성하여 기지국(300)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들(200a, 200b, 200c)에게 전송한다.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에는 소정 장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의 채널 정보(예컨대, 방송 채널 번호)와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가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임을 알리는 식별자를 포함한다.
기지국(300)은 재난 방송 안내 서버(100)와 정보를 교환하면서 이동 통신 단말기들(200a, 200b, 200c)이 접속해야 할 기지국(300)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채널을 송신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들(200a, 200b, 200c)은 이들 기지국(300)과 무선 채널을 설정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그러면 상기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의 재난 방송 안내 서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난 방송 안내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재난 방송 안내 서버(100)는 수신부(110), 송신부(120), 서버제어부(130), 메시지생성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재난 상황 발생 시 서버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장 치(예컨대, 방송국이나 별도 서버)로부터 소정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의 채널 정보(예컨대, 채널 번호)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110)는 소정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세지를 수신하여 서버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송신부(120)는 서버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를 재난 상황 발생 지역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전송한다.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난 방송 안내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130)는 재난 상황 발생 시 메시지 생성부(140)를 제어하여 소정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메시지 생성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소정 디지털 방송(예컨대,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생성된 시청 권유 메시지는 재난 방송의 채널 정보와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임을 알리는 식별자를 포함한다.
그러면 메시지 생성부(140)가 채널 정보와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시청 권유 메시지를 SMS 방식의 메시지로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표 1 내지 표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표 1 내지 표 4는 표준에 준하여 SMS 방식의 메시지를 구성하기 위해서 존재하는 각각의 필드들에 대한 표를 나타낸다.
[표 1]
Field Length(bits)
SMS_MSG_TYPE 8
One more occurrences of the following parameter record:
PARAMETER_ID 8
PARAMETER_LEN 8
Parameter Data 8xPARAMETER_LEN
[표 2]
Parameter Type
Teleservice identifier Mandatory
Service Category Optional
Originating Address Mandatory[1]
Originating Subaddress Optional[1]
Destination Address Mandatory[2]
Destination Subaddress Optional[2]
Bearer Reply Option Optional
Bearer Data Optional
[1] For Mobile-terminated message(not present in mobile originated messages) [2] For Mobile-orginated message(not present in mobile terminated messages)
[표 3]
Field Length(bits)
PARAMETER_ID 8
PARAMETER_LEN 8
IDENTIFIER 16
[표 4]
Field Length(bits)
SUBPARAMETER_ID 8
SUBPARAM_LEN 8
Subparameter Data 8xSUBPARAM_LEN
표 1에 표시된 필드들 중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 권유 메시지를 SMS 방식의 메시지로 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필드는 파라미터 식별자(PARAMETER ID) 필드가 텔레서비스 식별자(Teleservice Identifier)일 경우이므로 다른 필드들 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PARAMETER ID 필드에 가능한 값은 표 2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 상기 PARAMETER ID 필드가 상기 Teleservice Identifier일 경우 필드는 표 3과 같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Teleservice Identifier의 식별자(IDENTIFIER)값이 상기 방송시청 권유 메시지를 SMS 방식의 메시지로 구성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값이다.
상기 Telelservice Identifier의 IDENTIFIER값은 메시지가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s Service) 또는 CBS(Cell Broadcasting Message) 등인지를 구분하는 값으로써 상기 각각의 값들은 이동 통신 사업자 망들과 규약된 값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Telelservice Identifier의 IDENTIFIER값에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로 구분시키기 위한 값인 소정 방송 식별자를 새롭게 기록한다. 따라서 식별자가 새로이 기록됨으로써 상기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로 구분되는 SMS 방식의 메시지에는 채널 번호를 저장하는 공간이 할당되기 위해서 상기 표 4와 같은 구조의 필드들이 추가된다.
메시지 생성부(140)는 소정 식별자를 상기 Telelservice Identifier의 IDENTIFIER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시청 권유 메시지로 구분되는 SMS 방식의 메시지에 추가된 표 4의 필드에서 서브파리미터_식별자(SUBPARAMETER_ID)를 채널 번호임을 나타내기 위한 식별자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가 채널 번호임을 알린다. 그리고 메시지 생성부(140)는 서브파라미터 데이터(Subparameter Data)를 채널 번호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에 채널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채널 정보와 식별자가 포함된 SMS 방식의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가 생성된다.
이와는 달리, 메시지의 내용 필드에 상기 식별자와 재난 방송의 채널 정보 즉, 채널 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할당하여 상기 식별자와 채널 번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서버 제어부(130)는 상기 생성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송신부(120)를 통해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서버 제어부(130)는 수신부(110)에 소정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재난 방송 시청 권유 메시지가 수신되면,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생성할 필요 없이 상기 수신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서버 제어부(130)는 수신부(110)에 수신된 재난 방송 시청 권유 메시지가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것이면 상기 수신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의 모든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재난 상황 발생 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재난 방송의 채널 정보를 저장하며, 재난 상황 발생 지역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라 가정한다.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210), 복조부(220), 메모리(230), 제어부(240)(예컨대, MSM), RF부(250), 키입력부(260), 오디오 처리부(270) 및 표시부(280)를 포함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부(21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소정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부(220)로 출력한다.
복조부(220)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210)로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으로 복조하여 제어부(240)로 출력한다.
메모리(2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2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복조부(220)에서 출력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역다중화 하여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과 영상 데이터 스트림으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 및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복호화한 후, 오디오 처리부(270) 및 표시부(280)로 각각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240)가 복조부(220)에서 출력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역다중화 하여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과 영상 데이터 스트림으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 및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복호화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부(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RF부(250)에 소정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이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를 검출한다.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임을 알리는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메시지를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로 판단한다.
제어부(240)는 상기 채널 정보를 검출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검출된 채널 정보에 따라 해당 채널의 재난 방송을 디지털 방송 수신부(210)로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 때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이면 상기 채널 정보를 검출하기 전에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로 알릴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재난 방송의 시청을 수락하는 입력 정보(예컨대, 키입력)가 입력되면 채널 정보를 검출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2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재난 방송 출력 중에 상기 재난 방송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 권유 메시지 전송 요청이 있으면 상기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는 제어부(240)가 직접 생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생성부(미도시)를 통해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제어부(240)는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시청 권유 메 시지를 상기 도 1의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난 방송 안내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재난 방송 안내 서버의 주소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RF부(25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하며, 고주파 처리부와 중간주파수 처리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의 포괄적 구성부를 의미한다.
RF부(250)는 제어부(24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예컨대, 단문 메시지),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키입력부(260)는 외부 명령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240)로 전달한다. 즉, 키입력부(260)는 키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제어부(240)로 전달한다. 상기 사용자 조작신호는 제어부(24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정보나 사용자 선택정보가 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70)는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270)는 RF부(250)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240)에 포함될 수도 있다.
표시부(280)는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해상도를 충분히 지원할 수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280)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난 방송 안내 서버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4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버 제어부(130)는 재난 상황 발생 시 외부 장치(예컨대, 방송국이나 별도 서버)로부터 소정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의 채널 정보를 수신부(110)로 수신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한다(S110). 이 때 서버 제어부(130)는 재난 상황 발생 지역의 정보를 별도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재난 상황 발생 지역의 정보를 상기 채널 정보와 함께 같이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재난 방송의 채널 정보는 재난 방송 프로그램의 개수에 따라 다수개가 될 수도 있다.
서버 제어부(130)는 상기 재난 방송의 채널 정보가 수신되면 메시지 생성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채널 정보와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생성한다(S120).
서버 제어부(130)는 상기 생성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기지국(200)을 통해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전송한다(S130).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재난 방송 안내 서버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5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버 제어부(130)는 재난 상황 발생 시 소정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소정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를 수신부(110)로 수신한다(S210).
서버 제어부(130)는 수신부(110)에 소정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재난 방송 시청 권유 메시지가 수신되면, 송신부(120)를 제어하여 상기 수신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기지국(300)을 통해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전송한다(S220).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난 방송 안내 서버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6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버 제어부(130)는 재난 상황 발생 시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위치한 소정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소정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를 수신부(110)로 수신한다(S310).
서버 제어부(130)는 수신부(110)에 상기 재난 방송 시청 권유 메시지가 수신되면, 송신부(120)를 제어하여 상기 수신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기지국(300)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전송한다(S320).
그러면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에 포함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재난 방송 시청 권유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240)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110)로 수신된 재난 방송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S410). 상기 출력부는 오디오 처리부(270) 및 표시부(280)를 의미한다.
제어부(240)는 상기 재난 방송 출력 중에 상기 재난 방송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 권유 메시지 전송 요청이 있는지 체크한다(S420). 사용자는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 전송 요청을 하기 위해 키입력부(260)에 미리 설정된 핫 키를 입력하거나 메뉴 키를 통해 시청 권유 메시지 전송 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핫 키는 키입력부(260)에 구비된 키들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별도로 구비된 키가 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 전송 요청이 있으면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소정 식별자와 상기 재난 방송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생성한다(S430).
제어부(240)는 상기 생성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난 방송 안내 서버(100)로 전송한다(S440).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재난 방송 시청 권유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240)는 RF부(250)를 통해 소정 메시지를 수신한다(S510).
제어부(240)는 RF부(250)에 소정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소정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체크한다(S520). 상기 식별자는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의미한다.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소정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로 판단한다(S530).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시청 권유 메시지로 판단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 즉, 재난 방송의 채널 정보를 검출한다(S540).
제어부(240)는 상기 채널 정보를 검출한 후,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동작 모드를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S550).
제어부(240)는 상기 검출된 채널 정보에 따라 해당 채널의 디지털 방송 즉, 재난 방송을 디지털 방송 수신부(210)로 수신하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S560).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재난 방송 시청 권유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240)는 RF부(250)를 통해 소정 메시지를 수신한다(S610).
제어부(240)는 RF부(250)에 소정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소정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체크한다(S620). 상기 식별자는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의미한다.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소정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로 판단한다(S630).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로 판단되면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린다(S640). 이 때 제어부(240)는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로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40)는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의 수신을 알린 후, 재난 방송의 시청을 수락하는 사용자의 키 입력이 있는지 체크한다(S650). 제어부(240)는 상기 상요자의 키 입력이 있을 때까지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의 수신 알림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40)는 키 입력부(260)를 통한 사용자의 재난 방송 시청을 수락하는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수신된 시청 권유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를 검출한다(S660).
제어부(240)는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동작 모드를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S670).
제어부(240)는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드에서 상기 검출된 채널 정보에 따라 해당 채널의 재난 방송을 디지털 방송 수신부(210)로 수신하여 출력한다(S680).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난 상황 발생 시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를 전송하여 자동으로 재난 방송을 수신하도록 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가 긴급한 재난 상황에 대한 대처를 신속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재난 상황에서 인명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입는 경우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 편리성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상황 발생 시 해당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이 재난 상황 발생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들과 무선망으로 연결되어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난 방송 안내 서버를 포함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의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재난 상황 발생 시 상기 재난 방송 안내 서버가 소정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재난 방송 안내 서버가 상기 생성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기지국을 통해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이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방송 시스템의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과정은
    재난 상황 발생 시 상기 재난 방송 안내 서버가 외부 장치로부터 소정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의 채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의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과정은
    상기 재난 방송 안내 서버가 상기 생성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방식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의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는 상기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임을 알리는 식별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의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방송 안내 서버가 소정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소정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의 시청을 권유하는 시청 권유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재난 방송 안내 서버가 상기 수신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위치한 모든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의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방송 안내 서버가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소정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의 시청을 권유하는 시청 권유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재난 방송 안내 서버가 상기 수신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상기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의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7. 재난 상황 발생 시 소정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을 안내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재난 상황 발생 시 소정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기지국을 통해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재난 방송 안내 서버와,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하며,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 수신 시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방송 안내 서버는
    재난 상황 발생 시 소정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의 채널 정보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재난 방송의 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소정 방송국이 방송하는 재난 방송의 채널 청보를 포함하는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재난 상황 발생 시 상기 메시지 생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상기 송신부를 통해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재난 상황 발생 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재난 방송의 채널 정보와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임을 알리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소정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 재난 상황 발생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의 모든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서버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생성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방식으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
  13.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소정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이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 정보가 검출되면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검출된 채널 정보에 따라 해당 채널의 재난 방송을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과정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임을 알리는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메시지를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과정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이면 상기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는 단계와,
    상기 재난 방송의 시청을 수락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있으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재난 방송 출력 중에 상기 재난 방송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 권유 메시지 전송 요청이 있으면 상기 재난 방송의 시청 권유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난 방송 안내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과정은
    상기 생성된 시청 권유 메시지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방식으로 전송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50090766A 2005-09-28 2005-09-28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724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766A KR100724967B1 (ko) 2005-09-28 2005-09-28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및 그 방법
CN200610139346A CN100579260C (zh) 2005-09-28 2006-09-26 用于提供事故广播导航服务的事故广播导航系统及其方法
EP06020140A EP1771017A3 (en) 2005-09-28 2006-09-26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ccident broadcasting guidance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11/528,174 US20070072544A1 (en) 2005-09-28 2006-09-27 Accident broadcasting guidance system for providing accident broadcasting guidance ser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766A KR100724967B1 (ko) 2005-09-28 2005-09-28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871A KR20070035871A (ko) 2007-04-02
KR100724967B1 true KR100724967B1 (ko) 2007-06-04

Family

ID=37648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0766A KR100724967B1 (ko) 2005-09-28 2005-09-28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072544A1 (ko)
EP (1) EP1771017A3 (ko)
KR (1) KR100724967B1 (ko)
CN (1) CN10057926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817B1 (ko) * 2010-06-24 2010-10-20 (주)오에이전자 배터리 잔량을 관리하는 재해방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8393B2 (en) * 2007-04-10 2010-08-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et tracking
CN101383668B (zh) 2008-10-27 2010-09-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接收紧急广播消息的终端、芯片及方法
KR101138331B1 (ko) * 2010-04-23 2012-04-25 주대식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이용한 안내/광고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397039B2 (en) * 2012-12-05 2019-08-27 Origin Wireless,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fall-down detection based on a wireless signal
WO2016018063A2 (ko) * 2014-07-30 2016-02-04 넥시스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처리 시스템 및 방법
EP3367640A4 (en) * 2015-10-20 2019-05-22 Sony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KR102329984B1 (ko) 2016-01-08 2021-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645A (ko) * 2000-09-06 2002-03-13 강문수 무인 기상/재해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030084859A (ko) * 2003-10-13 2003-11-01 선진테크 주식회사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개별 재난경보시스템
KR20050092972A (ko) * 2004-03-17 2005-09-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ms를 이용한 친구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6123A (en) * 1994-07-15 1997-06-03 Rich; Richard S. Traffic alert and collision avoidance coding system
US5815802A (en) * 1996-07-16 1998-09-29 Highway Technologies, Inc. Traffic alert warning system and method for alerting vehicle operators of road conditions
US6028514A (en) * 1998-10-30 2000-02-22 Lemelson Jerome H. Personal emergency, safety warning system and method
US6876835B1 (en) * 2000-10-25 2005-04-05 Xm Satellite Radi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demand access of stored content at a receiver in a digital broadcast system
US7054592B2 (en) * 2001-09-18 2006-05-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nsmission apparatus and reception apparatus
US20030143974A1 (en) * 2002-01-30 2003-07-31 Randy Navarro Emergency warning indication over a wireless network
US7039386B2 (en) * 2002-04-18 2006-05-02 Lucent Technologies Inc. Cellular base station broadcast method and system
US20050037728A1 (en) * 2003-08-13 2005-02-17 Binzel Charles P. Emergency broadcast mess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645A (ko) * 2000-09-06 2002-03-13 강문수 무인 기상/재해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030084859A (ko) * 2003-10-13 2003-11-01 선진테크 주식회사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개별 재난경보시스템
KR20050092972A (ko) * 2004-03-17 2005-09-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ms를 이용한 친구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817B1 (ko) * 2010-06-24 2010-10-20 (주)오에이전자 배터리 잔량을 관리하는 재해방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79260C (zh) 2010-01-06
US20070072544A1 (en) 2007-03-29
EP1771017A2 (en) 2007-04-04
CN1941936A (zh) 2007-04-04
KR20070035871A (ko) 2007-04-02
EP1771017A3 (en)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967B1 (ko)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및 그 방법
US67654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to a selective call device about a broadcast
JP2007142744A (ja) 携帯無線通信端末及び緊急放送送受信システム
EP1850585A2 (en)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US20070288954A1 (en) Wallpaper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channel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KR1007033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JP4472683B2 (ja) ユーザー提報を放送するための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システム及び方法
US7801479B2 (en)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n a weak electromagnetic field region and an apparatus therefor
JP4199568B2 (ja) 携帯端末
KR1007133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부가서비스를 실행하는 방법
JP2006054702A (ja) 緊急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携帯通信端末装置
KR10075464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전송 방법
KR100754694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39104B1 (ko) 디지털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63967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32991B1 (ko) 긴급방송 자동시청기능이 구비된 디엠비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770888B1 (ko) Dmb 단말기에서 매너 지역 알림 방법
EP1835643A1 (en) Method for simultaneously outputting first and second digital broadcast data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100754618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237966A (ja) 情報伝送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124403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KR20070059614A (ko) 디지털 방송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방법,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11244036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KR20060090122A (ko) 디지털 텔레비전을 이용한 안내메시지 전송시스템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