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880B1 -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880B1
KR100723880B1 KR1020060049271A KR20060049271A KR100723880B1 KR 100723880 B1 KR100723880 B1 KR 100723880B1 KR 1020060049271 A KR1020060049271 A KR 1020060049271A KR 20060049271 A KR20060049271 A KR 20060049271A KR 100723880 B1 KR100723880 B1 KR 100723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quality
service
system loa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환
이용주
정기숙
최영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73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web services for network management, e.g.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O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 장치와 접근성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서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요구품질관리부, 현재 가용한 시스템 부하를 측정하여 측정한 시스템부하를 기초로 시스템 부하등급을 결정하는 시스템 부하 관리부 및 시스템 부하와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여부를 결정하는 요구품질 처리부로 구성되며, 품질보장을 제공하지 않는 기존의 개방형 서비스에 대하여 외부에 이미 공개한 개방형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지 않고 최선형 품질보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개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개방형 서비스의 품질보장을 위한 전용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다.
품질보장, 접근성 제어, 시스템 품질등급

Description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 장치 및 방법{Accessibility control device for providing controlled quality assurance servic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성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성 제어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 장치 및 방법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웹 서비스 기술을 이용해서 구현되고 제공되는 모든 종류의 개방형서비스에 대하여 서비스 사용자에게 기존에 공개한 개방형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지 않고 품질보장이라는 부가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접근성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웹 서비스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된 개방형 서비스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품질보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는 서비스 사용을 위해 접근하는 단계에서 서비스 사용자의 품질등급이 필요하다.
기존의 개방형 서비스는 서비스 구현시점에서 품질보장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외부에 이미 공개한 개방형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해야한다. 이처럼 개방형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 이미 개방형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기존 사용자들의 구현물에 대한 수정 및 시험을 포함한 재개발이 유발되고, 개방형 서비스를 이용해서 만들어진 개방형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서비스의 연속성도 보장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개방형 서비스에 품질보장이라는 부가가치를 기존에 이미 공개한 개방형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지 않고 구현하는 접근성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서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요구품질관리부; 현재 가용한 시스템 부하를 측정하여 측정한 시스템부하를 기초로 시스템 부하등급을 결정하는 시스템 부하 관리부; 및 상기 시스템 부하와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여부를 결정하는 요구품질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장치의 요구품질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를 상기 시스템 부하등급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 상기 시스템 부하등급이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와 동급이거나 하위 등급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시스템 부하등급이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보다 상위 등급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에러를 발생시키는 에러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서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요구품질관리단계; 현재 가용한 시스템 부하를 측정하여 측정한 시스템부하를 기초로 시스템 부하등급을 결정하는 시스템 부하 관리단계; 및 상기 시스템 부하와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여부를 결정하는 요구품질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방법의 요구품질 처리단계는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를 상기 시스템 부하등급과 비교하는 비교단계; 상기 비교단계의 비교결과, 상기 시스템 부하등급이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와 동급이거나 하위 등급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단계; 및 상기 시스템 부하등급이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보다 상위 등급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에러를 발생시키는 에러발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사용자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서 사용자 품질등급정보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하고 현재 가용한 시스템자원을 기초로 시스템 품질등급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시스템 품질등급정보와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서비스 사용자에게 품질보장이라는 부가가치를 기존에 이미 공개되어있는 개방형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지 않고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성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접근성 제어장치(110)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100), 접근성 제어장치(110), 웹서비스 인터페이스(120), IPC 인터페이스(130),서비스(140), 서비스 사용자(150) 및 인터넷(160) 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접근성 제어장치(110)는 요구품질 관리부(111)과 시스템 부하 관리부(112) 및 요구품질 처리부(113) 로 구성된다. 요구품질 처리부(113)는 비교부(114) 및 서비스 제공부(115)로 구성된다. 접근성 제어장치(110)는 J2EE 기반 웹서비스 플랫폼에 위치한다.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100)는 개방형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서비스요청메시지를 인터넷(160)을 통해 수신한다.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메시지에는 사용자 인증정보와 사용자 품질등급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접근성 제어장치(110)의 요구품질 관리부(111)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 메시지, 바람직하게는 SOAP 메시지 헤더에 저장된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 요구품질 관리부(111)는 사용자 품질등급정보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요구품질 리지스터에 저장한다.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는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는 품질의 등급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품질등급은 개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의 정책에 따라 몇 개의 등급(예:1,2,3 등급)으로 세분화한다.
접근성 제어장치(110)의 요구품질 관리부(111)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서비스의 사용을 허가/불허하는 처리하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한다.
요구품질 관리부(111)에서 구현되는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서비스 사용을 위한 요청이 오면 SOAP 헤더에서 획득한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인증정보를 사용하여 정당한 사용자인가를 인증한다. 정당한 사용자이면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품질등급정보를 요구품질레지스터에 저장한다. 요구품질 관리부(111)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품질등급 정보를 요구품질 처리부(113)에 전달하기 위해 요구품질레지스터가 이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방형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지 않고 요구품질 관리부(111)에서 획득한 사용자품질등급정보를 요구품질 처리부(113)로 전달할 수 있다.
접근성 제어장치(110)의 시스템 부하 관리부(112)는 현재 가용한 시스템부하를 측정한다. 시스템 부하 관리부(112)는 측정한 현재 가용한 시스템 부하를 기초로 시스템 부하등급을 결정한다. 시스템 부하등급은 개방형 서비스가 탑재되어 운용되는 시스템의 자원(CPU 등)을 측정하여 이를 기초로 개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의 정책에 따라 정해진다. 시스템 부하등급도 사용자의 품질등급과 마찬가지로 개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의 정책에 따라 몇 개의 등급(예:1,2,3 등급)으로 세분화한다.
요구품질 처리부(113)은 비교부(114) 및 서비스 제공부(115)로 구성된다. 비교부(114)는 사용자 품질등급정보와 시스템 부하등급을 비교한다.
서비스 제공부(115)는 시스템의 부하 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여부를 결정한다. 서비스 제공부(115)는 상기 비교부(114)의 비교결과, 상기 시스템 부하등급이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와 동급이거나 하위 등급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시스템 부하등급이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보다 상위 등급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에러를 발생시킨다.
서비스 제공부(115)에서 구현되는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제공부(115)는 서비스 제공 전에 요구품질레지스터를 읽어 사용자가 1등급 사용자인지 판단한다. 1등급 사용자이면 시스템 부하등급에 관계없이 요구품질레지스터를 초기화하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1등급 사용자가 아니면 다음으로 2등급 사용자인지 판단한다. 2등급 사용자이면 시스템부하레지스터를 읽어 현재 시스템부하 상태가 가장 높은 1등급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시스템의 부하등급이 가장 높은 상태이면 1등급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위해 에러를 발생하고 다시 초기 상태가 된다. 시스템 부하가 2등급 또는 3 등급인 경우에는, 요구품질레지스터를 초기화하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2등급 사용자가 아니면 3등급 사용자인가를 판단(305)한다. 3등급 사용자이면 시스템부하등급이 3등급인가를 판단하고 시스템 부하등급이 3등급이면 요구품질레지스터를 초기화하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스템 부하등급이 3등급이 아니면 에러를 발생하고 초기화한다.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웹 서비스 인터페이스(120)과 서비스(140)으로 구성되는 2-티어 구조이다.
웹 서비스 인터페이스(120)과 서비스(140)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인터페이스(130)로 연동한다. 소프트웨어를 Java로 구현하는 경우 IPC 인터페이스부(130)는 RMI(Remote Module Invocation)가 된다. 웹 서비스 인터페이스(120)은 n개의 웹 서비스 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서비스(140)는 n개의 서비스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성 제어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개방형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서비스요청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수신한다.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메시지에는 사용자 인증정보와 사용자 품질등급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 메시지, 바람직하게는 SOAP 메시지 헤더에 저장된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S210). 사용자 품질등급정보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요구품질 리지스터에 저장한다.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는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 는 품질의 등급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품질등급은 개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의 정책에 따라 몇 개의 등급(예:1,2,3 등급)으로 세분화한다.
본 발명인 접근성 제어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서비스의 사용을 허가/불허하는 처리하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서비스 사용을 위한 요청이 오면 SOAP 헤더에서 획득한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인증정보를 사용하여 정당한 사용자인가를 인증한다. 정당한 사용자이면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품질등급정보를 요구품질레지스터에 저장한다. 획득한 사용자의 품질등급 정보를 요구품질 처리단계에서 이용하기 위해 요구품질레지스터가 이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방형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지 않고 요구품질 관리단계에서 획득한 사용자품질등급정보를 요구품질 처리단계로 전달할 수 있다.
시스템 부하 관리단계에서는 현재 가용한 시스템부하를 측정한다(S220). 시스템 부하 관리단계는 측정한 현재 가용한 시스템 부하를 기초로 시스템 부하등급을 결정한다. 시스템 부하등급은 개방형 서비스가 탑재되어 운용되는 시스템의 자원(CPU 등)을 측정하여 이를 기초로 개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의 정책에 따라 정해진다. 시스템 부하등급도 사용자의 품질등급과 마찬가지로 개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의 정책에 따라 몇개의 등급(예:1,2,3 등급)으로 세분화한다.
요구품질 처리단계는 비교단계(S230) 및 서비스 제공단계(S250)으로 구성된다. 비교단계(S230)에서는 사용자 품질등급정보와 시스템 부하등급을 비교한다.
서비스 제공단계(S250)에서는 시스템의 부하 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여부를 결정한다. 서비스 제공단계(S250)은 비교단계(S240)의 비교결과, 상기 시스템 부하등급이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와 동급이거나 하위 등급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시스템 부하등급이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보다 상위 등급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에러를 발생시킨다(S260).
서비스 제공단계(S250)에서 실시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제공단계(S250)는 서비스 제공 전에 요구품질레지스터를 읽어 사용자가 1등급 사용자인지 판단한다. 1등급 사용자이면 시스템 부하등급에 관계없이 요구품질레지스터를 초기화하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1등급 사용자가 아니면 다음으로 2등급 사용자인지 판단한다. 2등급 사용자이면 시스템부하레지스터를 읽어 현재 시스템부하 상태가 가장 높은 1등급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시스템의 부하등급이 가장 높은 상태이면 1등급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위해 에러를 발생하고 다시 초기 상태가 된다. 시스템 부하가 2등급 또는 3 등급인 경우에는, 요구품질레지스터를 초기화하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2등급 사용자가 아니면 3등급 사용자인가를 판단한다. 3등급 사용자이면 시스템부하등급이 3등급인가를 판단하고 시스템 부하등급이 3등급이면 요구품질레지스터를 초기화하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스템 부하등급이 3등급이 아니면 에러를 발생하고 초기화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품질보장을 제공하지 않는 기존의 개방형 서비스를 외부에 이미 공개한 개방형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지 않고 최선형 품질보장이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기 개발된 웹 서비스 기술을 이용한 개방형 서비스들을 별도의 수정 없이 최선형 품질보장을 제공하는 고급 서비스화 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방법을 기반으로 웹 서비스 기술을 이용한 개방형 서비스들의 품질보장을 위한 전 용 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서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요구품질관리부;
    현재 가용한 시스템 부하를 측정하여 측정한 시스템부하를 기초로 시스템 부하등급을 결정하는 시스템 부하 관리부; 및
    상기 시스템 부하와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서비스제공여부를 결정하는 요구품질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인증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품질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를 상기 시스템 부하등급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 상기 시스템 부하등급이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와 동급이거나 하위 등급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부하등급이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보다 상위 등급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에러를 발생시키는 에러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장치.
  7.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서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요구품질관리단계;
    현재 가용한 시스템 부하를 측정하여 측정한 시스템부하를 기초로 시스템 부하등급을 결정하는 시스템 부하 관리단계; 및
    상기 시스템 부하와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서비스제공여부를 결정하는 요구품질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인증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품질 처리단계는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를 상기 시스템 부하등급과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상기 비교단계의 비교결과, 상기 시스템 부하등급이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와 동급이거나 하위 등급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부하등급이 상기 사용자 품질등급정보보다 상위 등급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에러를 발생시키는 에러발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메시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방법.
  13. 제 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60049271A 2005-12-07 2006-06-01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238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8788 2005-12-07
KR1020050118788 2005-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3880B1 true KR100723880B1 (ko) 2007-05-31

Family

ID=3827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271A KR100723880B1 (ko) 2005-12-07 2006-06-01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8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703B1 (ko) * 2013-10-31 2015-04-16 주식회사 모두텍 사용자 행위 및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웹 서버의 접근 품질 보장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0926A (ko) * 1997-03-31 1998-11-25 나르시스씨알 통신 제어기 및 이 제어기에 의해 다수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수신되는 정보 신호를 라우팅하는 방법
KR20020053955A (ko) * 2000-12-26 2002-07-06 오길록 개방형 네트워크에서 프로그래머블 인터페이스를 사용한차등 서비스 제공 방법
US6442169B1 (en) 1998-11-20 2002-08-27 Level 3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bypassing data from egress facilities
KR20030018622A (ko) * 2001-08-30 2003-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별화된 서비스 구현을 위한 패킷 교환 장치
KR20040110864A (ko) * 2003-06-20 2004-12-31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순차적인 서비스 품질(QoS) 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는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0926A (ko) * 1997-03-31 1998-11-25 나르시스씨알 통신 제어기 및 이 제어기에 의해 다수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수신되는 정보 신호를 라우팅하는 방법
US6442169B1 (en) 1998-11-20 2002-08-27 Level 3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bypassing data from egress facilities
KR20020053955A (ko) * 2000-12-26 2002-07-06 오길록 개방형 네트워크에서 프로그래머블 인터페이스를 사용한차등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30018622A (ko) * 2001-08-30 2003-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별화된 서비스 구현을 위한 패킷 교환 장치
KR20040110864A (ko) * 2003-06-20 2004-12-31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순차적인 서비스 품질(QoS) 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는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703B1 (ko) * 2013-10-31 2015-04-16 주식회사 모두텍 사용자 행위 및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웹 서버의 접근 품질 보장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66057A1 (en) Detecting vulnerabilities in managed client devices
JP5522307B2 (ja) 仮想機械によるソフトウェアテストを用いた電子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の遠隔保守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8173938B (zh) 服务器负载分流方法及装置
KR101621128B1 (ko) 보안 관점의 분산 시스템 간의 데이터 전송 제어
US8321498B2 (en) Policy interface description framework
US9026595B2 (en) Intelligent connection manager
CN110839087B (zh) 接口调用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8417640B2 (en) Secure license key method and system
US20020120575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scertaining the status of a data processing environment
JP6093043B2 (ja) 品質設定可能ランダムデータサービス
CN110199283A (zh) 用于在网络功能虚拟化环境中认证平台信任的系统和方法
KR20170062244A (ko) Api 관리 장치
KR100723880B1 (ko) 품질보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근성 제어 장치 및 방법
AU2011332150B2 (en) Back-end constrained delegation model
KR101042110B1 (ko) 이에스비를 이용하는 오픈 소스 중계 장치 및 이를구비하는 시스템과 방법,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저장된 기록매체
Bisbal et al. Resource-based approach to feature interaction in adaptive software
CN109040161B (zh) 云制造服务管理系统及装置、方法
Demchenko et al. Security infrastructure for dynamically provisioned cloud infrastructure services
KR100739741B1 (ko) 인증정보의 제공에 의한 화상형성 시스템 및 방법과화상형성장치
KR101323583B1 (ko) Ocsp를 이용한 웹 어플리케이션 인증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웹 어플리케이션 인증 장치
JP4280110B2 (ja) 属性承認装置
Reddy et al. PRAN: A Provenance Based Model and Prototype to Strengthen Authentication
JP6053450B2 (ja)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Mosincat et al. Automated performance maintenance for service compositions
CN114448643A (zh) 网络切片数据验证方法及其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