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972B1 -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signal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signal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972B1
KR100722972B1 KR1020050100299A KR20050100299A KR100722972B1 KR 100722972 B1 KR100722972 B1 KR 100722972B1 KR 1020050100299 A KR1020050100299 A KR 1020050100299A KR 20050100299 A KR20050100299 A KR 20050100299A KR 100722972 B1 KR100722972 B1 KR 100722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zing
video data
data
unit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2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49312A (en
Inventor
서정욱
이동열
김환
박외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259,400 priority Critical patent/US7986846B2/en
Priority to CN2005101166274A priority patent/CN1767650B/en
Priority to EP05023380A priority patent/EP1655966A3/en
Publication of KR20060049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3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9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Abstract

디지털 방송수신장치의 비디오 복호기가,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리사이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리사이징제어부와, 복조된 비디오스트림에서 헤더정보를 분석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분리 출력하는 헤더분석부와, 헤더분석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데이타를 가변길이 테이블에 의해 원래의 화소 데이터 크기로 복호하는 가변길이복호부와, 복호된 비디오데이타를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부와, 역양자화된 주파수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를 리사이징 제어신호에 의해 2차원 공간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로 리사이징 변환하는 역변환부와, 역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와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 중 움직임보상 데이터를 움직임 보상하여 합산하는 움직임보상부로 구성된다.The video decoder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includes a resizing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esizing the received video data, a header analyzer for analyzing the header information from the demodulated video stream, and separately outputting the video data; Resizing control signal for variable-length decoding unit for decoding the video data outputted by the variable-length table into original pixel data size, inverse quantization unit for inverse quantization of decoded video data, and video data in dequantized frequency domain And an inverse transform unit for resizing and transforming the video data in the two-dimensional space region, and a motion compensator for motion compensating and adding motion compensation data among video data separated from the inverse transformed video data.

디지털방송수신기, 비디오복호기, 리사이즈,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video decoder, resize,

Description

디지털방송 수신기의 영상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SIGNAL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SIGNAL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복호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coder of FIG. 1. FIG.

도 3은 도 2의 역다중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demultiplexer of FIG. 2.

도 4는 도 2의 오디오복호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audio decoder of FIG. 2.

도 5는 도 2의 비디오복호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ideo decoder of FIG.

도 6a는 디지털 방송 수신신호의 RF 대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b는 도 6a에서 1채널의 RF신호 대역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c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IF 여파기의 필터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FIG. 6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RF band of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signal, FIG. 6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RF signal band of one channel in FIG. 6A, and FIG. 6C is a diagram illustrating filter characteristics of an IF filter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도 7a는 디지털 방송신호의 스트림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b는 디지털 방송신호에서 비디오 패킷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FIG. 7A illustrates a stream of a digital broadcast signal, and FIG. 7B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video packet in a digital broadcast signal.

도 8은 디지털 방송신호의 비디오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8 illustrates a video hierarchy of a digital broadcast signal.

도 9a - 도 9c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이미지 스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순행주사 및 격행 주사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9A to 9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mage scanning method of a digital broadcast signal, showing characteristics of a progressive scan and a perforated scan.

도 10a - 도 10b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블록 스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으 로, 지그재그 스캔 및 대체 스캔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10A to 10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block scan method of a digital broadcast signal, illustrating characteristics of a zigzag scan and an alternative scan.

도 11a - 1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되는 비디오신호를 리사이징하는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4*4, 8*2, 4*2 및 변형된 4*2 리사이징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11A-11D illustrate characteristics of resizing a received video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4 * 4, 8 * 2, 4 * 2 and a modified 4 * 2 resizing structure.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IDCT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조널필터를 사용하는 IDCT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DCT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n IDCT unit using a zone filter.

도 13a - 도 13c는 도 12와 같은 IDCT부에서 리사이장 영역의 설정 예를 도시하는 도면13A to 13C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a resize field in the IDCT unit as shown in FIG.

도 14a - 도 14d는 움직임보상부에서 움직임을 보상하는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하프펠, 쿼터펠 및 옥타펠 움직임 보상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14A to 14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haracteristics of compensating for motion in a motion compensator, and illustrating half-pel, quarter-pel, and octapel motion compensation characteristics.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복호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역변환부를 역이산여현변환부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15A and 15B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deo deco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n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unit with an inverse transform unit.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복호기에서 수신되는 비디오신호를 리사이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determining a control signal for resizing a video signal received at a video deco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도 15a 및 도 15b에서 리사이저를 구비하는 가변길이복호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1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ariable length decoder having a resizer in FIGS. 15A and 15B.

도 18은 도 15a 및 도 15b에서 리사이저를 구비하는 IDCT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18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DCT unit including a resizer in FIGS. 15A and 15B.

도 19는 도 15a 및 도 15b에서 리사이저를 구비하는 움직임보상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19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tion compensation unit including a resizer in FIGS. 15A and 15B.

도 20은 도 15a 및 도 15b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비디오복호기에서 수신되는 비디오신호를 복호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2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decoding a video signal received by a video decoder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15A and 15B.

도 21a - 도 21d는 원 비디오신호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사이징된 비디오신호의 가변길이복호 및 IDCT 결과 특성을 비교하는 도면21A to 21D are diagrams for comparing variable length decoding and IDCT result characteristics of an original video signal and a resized video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a - 도 22b는 원 비디오신호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사이징된 비디오신호의 움직임 보상 결과 특성을 비교하는 도면22A to 22B are diagrams comparing motion compensation result characteristics of an original video signal and a resized video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사이징되어 복호된 비디오신호의 신호대잡음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2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measuring a signal-to-noise ratio of a resized and decoded video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4a - 도 2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복호기에서 리사이징된 비디오신호의 신호대잡음비 특성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24A to 24D are diagrams for comparing signal-to-noise ratio characteristics of resized video signals in a video deco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a - 도 2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의 리사이징 결과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25A-25C illustrate an example of displaying a resizing result of video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a 및 도 26b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복호기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역변환부를 역인티져변환부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26A and 2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other configuration of a video deco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n inverse transformer transform unit with an inverse transform unit.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2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ditional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receiving and processing a broadcast signal.

일반적으로 현재의 휴대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를 탑재하거나 멀티미디어 기능을 강화하는 추세이다. 또한 현재 휴대단말기에 텔레비전 기능을 탑재하는 기술이 발표되고 있으며,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탑재도 연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현재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서비스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여야 하며, 이로인해 휴대단말기의 구성 및 처리 절차가 복잡해지고 있다. In general, the current portab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multimedia processor or to enhance the multimedia capabilities. In addition, a technology for embedding a television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has been announced, and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is being researched. Therefore, the current mobile terminal should be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that can service a variety of multimedia functions, which is complicated by the configuration and processing procedures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와 같이 카메라 및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경우, 휴대단말기는 상기 각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은 가능한 작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이동하여야 하므로 가능한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기능의 휴대단말기는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충실하게 처리하면서 부피를 작게하는 구성에 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should be able to process images by processing data received from the device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mobile terminal to perform the multimedia function as small as possible. It is advantageous to have the smallest possible size since the portable terminal must be carried and moved by the user. 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multimedia function is a trend that has been actively developed for the configuration to reduce the volume while processing the corresponding multimedia function faithfully.

현재 디지털 방송에 대한 표준이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의 경우 미국의 DMB 방식과 유럽의 DVB 방식이 있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수신을 위한 튜너(tuner), 복조기(demoulator) 및 복호기(decoder)등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용 튜너, 복조기 및 복호기는 휴대단말기의 RF부, 복조기 및 복호기와 다른 구성이 다. 즉,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휴대단말기의 통신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며, 복조 및 복호 방식도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부가적으로 구성하여야 하므로, 휴대단말기의 크기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Currently, standards for digital broadcasting are actively in progress worldwide. In the case of digital broadcasting, there is a DMB method in the US and a DVB method in Europe.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includes a tuner, a demodulator, a decoder, and the like,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tuner, demodulator, and decoder are different from the RF unit, demodulator, and decoder of the mobile terminal. That is,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es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communication frequency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demodulation and decoding method uses a different method. Therefore, since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must be additionall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increases.

따라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를 구현할 때,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을 휴대단말기의 특성에 맞춰 처리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크기 및 처리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예를들면 휴대단말기의 표시부는 일반 영상처리장치에 비해 소형이며, 따라서 표시할 수 있는 영상데이타도 다르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에 맞게 방송신호를 처리하면 휴대단말기의 구성 및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implementing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processing the received digital broadcast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terminal can improve the size and processing speed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example, the display portion of a portable terminal is smaller than that of a gener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us displayable image data is also different. Therefore, when the broadcast signal is processed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 configuration and processing speed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improv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 장치 및 이런 휴대단말기 장치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a method for process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such a portab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휴대단말기의 처리 규격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복호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processing a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ocessing standard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영상신호를 표시 규격에 맞도록 복호하여 표시할 수 있는 장 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and a method for decoding and displaying a video signal of a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a mobile terminal having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a display standar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방송 영상신호를 복호할 때 영상신호의 주사방식에 따라 영상신호의 영역을 선택하여 복호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nd decoding a region of a video signal according to a scanning method of the video signal when decoding a broadcast video signal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방송신호를 복호할 때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주사방식 및 표시부의 크기에 따라 영상신호의 영역을 선택하여 복호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nd decoding an area of a video signal according to a scanning method of a received video signal and a size of a display unit when decoding a broadcast signal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In provid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장치의 비디오 복호기가,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리사이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리사이징제어부와, 복조된 비디오스트림에서 헤더정보를 분석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분리 출력하는 헤더분석부와, 상기 헤더분석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데이타를 가변길이 테이블에 의해 원래의 화소 데이터 크기로 복호하는 가변길이복호부와, 상기 복호된 비디오데이타를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부와, 상기 역양자화된 주파수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리사이징 제어신호에 의해 2차원 공간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로 리사이징 변환하는 역변환부와, 상기 역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 중 움직임보상 데이터를 움직임 보상하여 합산하는 움직임보상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ideo decoder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sizing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esizing the received video data, and analyzing the header information in the demodulated video stream. A header analyzer which separates and outputs data, a variable length decoder that decodes the video data output from the header analyzer to the original pixel data size by a variable length table, and an inverse quantization that dequantizes the decoded video data. And an inverse transform unit for resizing the video data of the inversely quantized frequency domain into video data of a two-dimensional space region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motion compensation data of the inversely converted video data and the separated video data. Consists of a motion compensator that adds motion compensation And that is characterized.

그리고 상기 역변환부는 역이산여현변환부로써,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의 Y축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포인트 역이산여현변환기를 선택하는 Y축 리사이저와, 복수개의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며, 상기 선택된 포인트의 역이산변환기 가 리사이징된 영역의 Y축 비디오데이타들을 역이산변환하는 상기 Y축 역이산변환기들과,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의 X축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포인트 역이산여현변환기를 선택하는 X축 리사이저와, 복수개의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며, 상기 선택된 포인트의 역이산여현변환기가 상기 Y버퍼에 저장된 리사이징된 영역의 X축 비디오데이타들을 역이산여현변환하는 상기 X축 역이산여현변환기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rse transform unit is an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unit, the Y-axis resizer for selecting a point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er set by the Y-axis control signal of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The X-axis inverse discrete transformers for inverse discretely transforming the Y-axis video data of the resized region and the point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er set by the X-axis control signal of the resizing control signal. The X-axis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er is provided with a resizer and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and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er for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ing the X-axis video data of the resized region stored in the Y buffer. Characterized in consisting of.

또한 상기 가변길이복호부가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리사이징하는 리사이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수신되는 가변길이부호화 비디오 데이터를 원래 길이의 비디오데이타로 복호하는 테이블변환기와, 상기 테이블변환기에서 복호되는 비디오데이타를 저장하는 버퍼와,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리사이징 영역에 포함되는 블록의 데이터까지 복호하도록 상기 테이블변환기를 제어하며, 상기 버퍼에 상기 리사이징 영역의 비디오데이타들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리사이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resizer for resizing the separated video data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wherein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decodes the received variable length encoded video data into video data having an original length, and the table. A buffer for storing the video data decoded by the converter, the table converter to decode up to the data of a block included in the resizing area set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controlling to store the video data of the resizing area in the buff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resizer.

또한 상기 움직임보상부가, 상기 수신되는 움직임 보상 벡터값을 저장하는 버퍼와, 상기 움직임 벡터값을 비교하기 위해 이전 프레임 영상을 저장하는 이전영상저장부와, 상기 움직임 벡터값을 비교하기 위해 다음 프레임 영상을 저장하는 다음영상 저장부와, 상기 움직임벡터 값, 이전영상저장부 다음 영상저장부의 출력을 입력하며, 움직임보상선택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각각 하프펠, 쿼터펠 및 옥타펠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보상기들과,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하프펠, 쿼터펠 또는 옥타펠 보상기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리사이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tion compens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for storing the received motion compensation vector value, a previous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 previous frame image for comparing the motion vector value, and a next frame image for comparing the motion vector value. Inputs the next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otion, the motion vector value, the output of the previous image storage unit, and the next image storage unit, and are driven by a motion compensation selection signal to perform half-pel, quarter-pel and octapel motion compensation, respectively. Compensators and a resizer for selecting one of the half pel, quarter fel or octafel compensator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그리고 상기 리사이징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표시부 크기에 따라 상기 리사이징 제어 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resizing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resizing control valu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또한 상기 리사이징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표시부 화면크기 및 상기 헤더분석부에서 분석된 이미지스캔 방식에 의해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resizing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resizing control value by the display unit screen siz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the image scanning method analyzed by the header analyzer.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표시부 화면크기, 상기 헤더분석부에서 분석된 이미지스캔 방식 및 블록스캔 방식에 의해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resizing control value by the display unit screen siz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 image scan method analyzed by the header analysis unit, and the block scan method.

또한 상기 리사이징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표시부 화면크기, 상기 헤더분석부에서 분석된 이미지스캔 방식 및 블록스캔 방식,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호 속도에 의해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resizing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resizing control value based on the display unit screen siz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 image scan method and a block scan method analyzed by the header analyzer, and a decoding speed selected by a user.

또한 상기 리사이징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표시부 화면크기, 상기 헤더분석부에서 분석된 이미지스캔 방식 및 블록스캔 방식,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호 속도,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복호속도에 의해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resizing control unit may adjust the resizing control value according to the display unit screen siz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 image scan method and the block scan method analyzed by the header analyzer, the decoding speed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decoding speed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또한 상기 역변환부가 역인티져변환부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역인티져변환부는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의 Y축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포인트 역인티져변환기를 선택하는 Y축 리사이저와, 복수개의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며, 상기 선택된 포인트의 역인티져변환기가 리사이징된 영역의 Y축 비디오데이타들을 역인티 져변환하는 상기 Y축 역인티져변환기들과,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의 X축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포인트 역인티져변환기를 선택하는 X축 리사이저와, 복수개의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며, 상기 선택된 포인트의 역인티져변환기가 상기 Y버퍼에 저장된 리사이징된 영역의 X축 비디오데이타들을 역인티져변환하는 상기 X축 역인티져변환기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rse transformer may be an inverse integer transformer, and the inverse transformer may be a Y-axis resizer for selecting a point inverse integer converter set by a Y-axis control signal of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a channel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And a point de-integrator converter configured to de-integrate Y-axis video data of a resized region by an inverse-integrator converter of the selected point and an X-axis control signal of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 X-axis resizer for selecting a number, and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wherein the inverse-inverter converter of the selected point is the X-axis inverse for converting the X-axis video data of the resized region stored in the Y buffer.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he teaser converter.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장치의 비디오 복호기는,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리사이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리사이징제어부와, 복조된 비디오스트림에서 헤더정보를 분석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분리 출력하는 헤더분석부와, 상기 헤더분석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데이타를 가변길이 테이블에 의해 원래의 화소 데이터 크기로 복호하며, 상기 가변길이 복호시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리사이징 영역에 포함되는 블록의 데이터까지 복호하도록 상기 테이블변환기를 제어한 후, 상기 버퍼에 상기 리사이징 영역의 비디오데이타들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가변길이복호부와, 상기 복호된 비디오데이타를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부와, 상기 역양자화된 주파수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리사이징 제어신호에 의해 2차원 공간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로 리사이징 변환하는 역변환부와, 적어도 하나의 리사이징을 위한 움직임보상기를 구비하며,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움직임보상기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움직임보상기가 상기 역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 중 움직임보상 데이터를 움직임 보상하여 합산하는 움직임보상부와, 상기 역변환부 및 움직임보상부의 출력을 표시데이타 형태로 변환하는 색변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 로 한다.In addition, a video decoder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a resizing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esizing the received video data, and by analyzing the header information in the demodulated video stream A header analyzer for separating and outputting video data and video data outputted from the header analyzer for decoding to the original pixel data size using a variable length table, and in the resizing area set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during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A variable length decoder controlling the table converter to decode data included in the block, and storing the video data of the resizing area in the buffer, an inverse quantizer for dequantizing the decoded video data; Video data of the dequantized frequency domain An inverse transform unit for resizing and converting the video data in a two-dimensional space region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a motion compensator for at least one resizing, wherein the motion compensator is selected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the selected motion compensator A motion compensator for motion compensating and summing motion compensation data among the inversely converted video data and the separated video data, and a color converter for converting outputs of the inverse transform part and the motion compensator into display data. do.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송신신호를 RF 대역으로 상승변환하며, 수신되는 RF신호를 하강변환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RF통신부와, 상기 송신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며, 상기 수신되는 기저대역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 내장되고, 상기 디지털방송 수신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채널선택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 화면 크기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의 비디오 데이터를 리사이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채널선택에 의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신호의 채널을 선택하는 튜너와, 상기 선택된 디지털 방송채널의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와, 상기 복조된 디지털방송신호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을 분리하는 역다중화기와, 상기 분리된 비디오스트림의 데이터들을 복호하는 비디오복호기와, 상기 분리된 오디오스트림의 데이터를 복호하는 오디오복호기를 구비하며, 상기 비디오복호기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수신되는 비디오데이타의 복호영역을 리사이징하고 상기 리사이징된 영역의 비디오데이타들을 복호하는 복호기와, 상기 복호된 비디오데이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녹화모드시 상기 복조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를 저장하며, 상기 복호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일시저장하는 버퍼들로 구성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RF communication unit for converting the transmission signal to the RF band, down-converting the received RF signal to a baseband signal, and the transmission signal It is embedded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data processing unit for encoding and modulating and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baseband signal.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generates a channel selection signal by a user's selection, and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esizing the video data of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ed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a tuner for selecting a channel of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channel selection of the controller, and the selected digital broadcast channel A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a signal of the audio signal; A demultiplexer for separating the video stream, a video decoder for decoding the data of the separated video stream, and an audio decoder for decoding the data of the separated audio stream, wherein the video decoder is output from the controller. A decoder for resizing the decoding region of the video data received by the signal and decoding the video data of the resized reg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ecoded video data, and a digital broadcast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in the recording mode. And a memory comprising buffers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processed by the decoder.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장치에서 부호화된 비디오데이터를 복호하는 방법이,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리 사이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결정하는 과정과, 복조된 비디오스트림에서 헤더정보를 분석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분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리사이징하며, 상기 리사이징된 비디오데이타를 가변길이 테이블에 의해 원래의 화소 데이터 크기로 복호하는 과정과, 상기 복호된 비디오데이타를 역양자화하는 과정과, 상기 역양자화된 주파수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리사이징 제어신호에 의해 2차원 공간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로 리사이징 변환하는 역변환과정과, 상기 역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 중 움직임보상 데이터를 움직임 보상하여 합산하는 과정과, 상기 움직임 보상된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decoding the encoded video data i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ocess of determining a control signal for resizing the received video data, and the demodulated video stream Splitting and outputting the video data by analyzing the header information, resizing the separated video data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decoding the resized video data to the original pixel data size by a variable length table. Inversely quantizing the decoded video data, inversely transforming the dequantized frequency domain video data into video data in a two-dimensional space region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inversely transforming the video data. And movement of the separated video data The process of summing the data to the motion compensation and, characterized by constituted by any process which converts the motion-compensated video data to the data for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gures represent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하기 설명에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통신주파수, 데이터 구조 등과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such as communication frequency, data structure, etc.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are shown to provid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and also by their modification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복호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디 지털 방송 수신기의 표시화면의 크기 등을 분석하여 수신된 방송신호의 복호 영역을 리사이징하며, 이렇게 리사이징된 영역의 수신 데이터들을 복호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수신되는 데이터를 모두 복호하지 않고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특성에 따라 복호 영역을 적응적으로 리사이징하므로서, 복호시의 연산량을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특성에 따라 대폭 감축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복호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신호의 복호영역을 리사이징하는 요인은 디지털 방송신호를 표시하는 화면의 크기, 디지털 방송신호의 이미지 스캔 방식 및 블록 스캔 방식, 복호기의 복호 화질,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통신환경(복호 처리 속도)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리사이징 요인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이용하여 리사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5가지의 리사이징 요인들을 모두 감안하여 복호기의 리사이징을 제어하는 구성 및 방법을 제안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size of a display screen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performs a resizing of a decoding area of a received broadcast signal before performing a decoding operation in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decodes received data of the resized area. An apparatus and method are provided. Therefore, by adaptively resizing the decoding are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without decoding all the data received by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the amount of computation during decoding can be greatly reduc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It can save time. The factors resizing the decoding area of the received digital broadcast signal include the size of the screen displaying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the image scanning method and the block scanning method of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the decoding quality of the decoder, and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Decoding processing speed), and the like. A control signal for resizing may be generated using one or two or more of the above resizing factors,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resizing of the decoder in consideration of all five resizing factors and Suggest a method.

상기와 같은 복호기의 리사이징 제어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화면을 분할하여 하나의 화면에 다수의 방송채널신호들을 표시하는 경우(예를 들면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이나 멀티 화면 표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는 소형이므로 상기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신호의 전체 화면을 표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복호기에서 복호할 방송신호를 리사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사이징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모든 리사이징 요인들을 고려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The resizing control of the decoder may be used when displaying a plurality of broadcast channel signals on a single screen by dividing the screen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example, a picture in picture (PIP) function or a multi screen display). .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since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is small, it is not necessary to display the entire screen of the received digital broadcast signa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coder decode the broadcast signal to be decoded so that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he resizing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all the resizing factors as described above.

이하 본 발명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Digital Broadcasting Receiver)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의 구성은 휴대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RF튜너110, 복조기120 및 복호기130을 구비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복호기130은 제어부10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 수신기의 복호기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n RF tuner 110, a demodulator 120, and a decoder 130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 decoder 130 may be built in the controller 100. In this case, the decoder performanc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receiver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키입력부170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기능키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수신을 위한 채널 선택, 방송수신모드 제어 등과 같은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키들이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key input unit 170 includes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text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he function keys include keys for selecting a function such as channel selection for digital broadcast reception, control of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키입력부170에서 키입력에 의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 수신기의 채널선택 제어데이타, 복조 및 복호기의 제어, 복호기의 복호 성능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데이타들을 발생한다. The controller 100 performs a function of performing overall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00 generates control data for determining channel selection control data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receiver, control of the demodulation and decoder, and decoding performance of the decoder by key input by the key input unit 170.

메모리18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방송수신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메모리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이 휴대단말기의 제어부 로써, 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다른 메모리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180은 영상메모리가 될 수 있다.The memory 180 may be composed of a program memory and a data memory. The program memory stores programs for receiving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broadcast, and stores progr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memory may be used as an image memory for storing digital broadcast receiver image data receiv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Here, when the controller 100 is a controller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includes another memory for executing a program, the memory 180 may be an image memory.

표시부15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상기 복호기130에서 처리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영상신호를 표시한다. 스피커16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상기 복호기130에서 처리되는 오디오신호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decoder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The speaker 160 performs a function of reproducing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decoder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RF튜너(RF tuner)110은 상기 제어부100의 채널 제어데이타에 의해 디지털 방송 채널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의 주파수를 하향변환하여 중간주파수 신호를 발생한다. 복조기120(demodulator)은 상기 변조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RF tuner 110 selects the digital broadcast channel by the channel control data of the controller 100 and down-converts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to generate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The demodulator 120 demodulates the modulated digital broadcast signal into an original signal.

복호기130은 상기 복조부120에서 복조된 방송신호를 영상 및 오디오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영상 및 오디오신호를 각각 복호하여 출력한다. The decoder 130 separates the broadcast signal demodulated by the demodulator 120 into a video and audio signal, and decodes and outputs the separated video and audio signal, respectively.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디지털 방송수신신호는 VHF(174MHz - 230MHz: C5 - C12) 영역 및/또는 UHF(470MHz - 862MHz: C21 - C69) 영역의 신호 및/또는 L-Band(1GHz - 2.6GHz) 가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방송채널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RF튜너110에서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제어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RF튜너110은 상기 채널 데이터에 따른 RF주파수를 생성하여 혼합하므로써, 선택된 채널의 중간주파수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 IF)는 36.17 MHz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is a signal in a VHF (174 MHz-230 MHz: C5-C12) region and / or a UHF (470 MHz-862 MHz: C21-C69) region and / or L-Band ( 1 GHz-2.6 GHz). 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a broadcast channel, the controller 100 outputs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selected by the RF tuner 110. The RF tuner 110 generates and mixes an RF frequency according to the channel data, thereby generating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frequency (IF) may be 36.17 MHz.

상기와 같은 아날로그의 중간주파수신호는 복조기120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복조기120은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변환(analog to digital conversion)한 후, 설정된 방식의 복조 방식으로 복조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변조 방식은 CODFM((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부호화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조기120은 Zarlink 사에서 제조 및 판매하는 MT352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복조부120에서 복조된 신호는 8비트의 MPEG-2 TS 데이터로 출력된다. 즉, 상기 복조부120은 상기 RF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선택된 채널의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며, 캐리어(carrier)수 및 추가 심볼 등에 따라 제어되며, FFT(Fast Fourier Transform) 순환회로를 돌게(looping) 된다. 그리고 상기 FFT신호는 에러보정을 통해 최종신호로 재생되기 위해 순서와 간격이 재구성되고, 최종 출력인 MPEG-2 TS로 출력된다.The analog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s applied to the demodulator 120. Then, the demodulator 120 demodulates the received analog signal by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and demodulates the demodulated signal according to the set method. Here, the modulation schem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may use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ODF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modulator 120 uses an MT352 manufactured and sold by Zarlink. In this case, the signal demodulated by the demodulator 120 is output as 8-bit MPEG-2 TS data, that is, the demodulator 120 converts the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output from the RF tuner 110 into digital data. The FFT signal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rriers, additional symbols, etc. The FFT signal is looped and the order and interval are reconstructed to reproduce the final signal through error correction. The final output is the MPEG-2 TS.

상기 복조기120에서 출력되는 MPEG-2 TS신호는 복호기130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복호기130은 수신되는 MPEG-2 TS신호를 각각 영상, 오디오 및 데이터로 분리하고 이들 각각을 복호한 후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영상신호는 RGB 또는 YUV 등의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오디오신호는 일반적으로 PCM 스테레오 사운드 형태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복호기13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상기 표시부150에 출력되어 표시되고 오디오신호는 스피커160에 인가되어 재생된다.The MPEG-2 TS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20 is applied to the decoder 130. The decoder 130 then separates the received MPEG-2 TS signal into video, audio and data, respectively, and decodes each of the received MPEG-2 TS signals and outputs the video and audio signals. In this case, the video signal may be a signal such as RGB or YUV, and the audio signal is generally output in the form of PCM stereo sound.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decoder 130 is output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audio signal is applied to the speaker 160 and reproduced.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RF튜너110에 사용자가 선택된 채널의 주파수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채널 제어데이타를 출력하며, 캐리어모드(carrier mode, 예를들면 2k, 8k 등) 등의 제어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복조기120에 는 각 국가별 방송 표준에 따라 달라지는 정보인 부호화율(code rate), 보호구간(guard interval) 등을 지정하여 복조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 또한 상기 복호기130에는 정해진 물리채널(physical channel) 안에서 실제로 시청할 서비스(service)를 지정하고, 프레임율(frame rate), 화면크기(display size) 등을 지정하는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동시에 재생, 정지, 녹화, 화면 캡쳐(screen capture) 등을 명령을 수행하며, 또한 복호화 과정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받는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To this end, the controller 110 outputs channel control data for determining a frequency domain of the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to the RF tuner 110, and outputs control data such as a carrier mode (for example, 2k, 8k, etc.). . In addition, the demodulator 120 specifies a code rate, a guard interval, and the like, which are information depending on broadcasting standards for each country, so that the demodulation operation can be normally performed. In addition, the decoder 130 designates a service to be actually watched within a predetermined physical channel, performs an initialization operation of specifying a frame rate, a display size, and the like, and simultaneously plays, stops, It performs commands such as recording and screen capture, and receives feedba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coding process.

그리고 상기 복호기130에서 복호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방송 신호의 입출력 버퍼 및 기타 설정의 저장 공간 및 복호화시의 임시버퍼로 사용될 수 있는 디코딩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이때 상기 디코딩 메모리는 상기 제어부100과 복호기130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코딩 메모리는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의 입출력버퍼로 사용될 수 있는 동시에, 복호되고 있는 정보들을 테이블로 저장한다. 상기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들로서는, 각 프레임의 헤더정보들 중 복호 과정에서 판단기준으로 사용되는 영상시퀀스(picture sequence, GOP seqeuce: IBBPBBP....)를 비롯한 여러 가지 정보들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디코딩 메모리는 상기 메모리180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메모리180을 영상메모리로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독립적인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 decoding procedure, the decoder 130 requires a decoding memory that can be used as an input / output buffer of a digital broadcast signal, a storage space for other settings, and a temporary buffer for decoding. In this case, the decoding memory may be used in common by the controller 100 and the decoder 130. The decoding memory may be used as an input / output buffer of the video and audio signals and at the same time store the decoded information in a table. As data that can be stored in the table,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including a picture sequence (GOP seqeuce: IBBPBBP ....) used as a criterion in the decoding process among the header information of each frame are stored. The decoding memory may be used as the memory 180, and when the memory 180 is used only as an image memory, a separate independent memory may be used.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상기 복호기13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The configuration of the decoder 130 i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상기 복호기13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decoder 130.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역다중화기210은 상기 복조기120에서 출력되는 복조된 MPEG-2 TS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오디오 및 영상 그리고 기타 데이터들로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기타 데이터는 디지탈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 및 오디오를 제외한 데이터로써, 프로그램 데이터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기타 데이터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방송신호를 영상 및 오디오신호로 한정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역다중화기210에서 선택할 방송의 정보, 즉 서비스(PID: product ID)를 선택하여 알려주며, 이에 따라 상기 역다중화기210은 상기 선택된 PID에 따라 상기 복조기120에서 출력되는 다양한 데이터들 중에서 목표가 되는 데이터를 골라 영상 및 오디오로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demultiplexer 210 receives demodulated MPEG-2 TS data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20 and separates each data into audio, video, and other data. In this case, the other data is data excluding video and audio included in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and may be program data.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data will be omitted.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broadcast signal will be limited to the video and audio signals.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00 selects and informs the broadcast information to be selected in the demultiplexer 210, that is, a service (PID: product ID), and accordingly, the demultiplexer 210 is selected from various data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20 according to the selected PID. It selects target data and separates it into video and audio.

입력버퍼220은 일반적인 큐(queue, FIFO와 유사한 구조로 입력과 출력이 반대로 이루어지는 일종의 circular buffer가 될 수 있음)로써, 실시간으로 역다중화되는 데이터를 뒷단의 비디오복호기230 및 오디오복호기250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 만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버퍼220은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같이 저장하는 단일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input buffer 220 is a general cue (a similar structure to a FIFO, which can be a kind of circular buffer in which the input and output are reversed), and the video decoder 230 and the audio decoder 250 at the rear can process the demultiplexed data in real time. Save as much data as there is. The input buffer 22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structure for storing video and audio data together, or may be configured as a structure for separately storing video and audio data.

비디오복호기230은 상기 영상데이타의 복호화를 담당한다. 이때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방송에서는 MPEG-2 비디오 ES(Elementary Stream)을 수신하여 YUV 4:2:0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단말의 표시부(LCD)에 맞는 출력을 해야 하므로, 상기 RGB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의 크기에 따라 비디오신호의 복호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변환된 RGB 데이터는 비디오 출력버퍼240에 저장되며, 출력 시점에 맞춰 출력된다.The video decoder 230 is responsible for decoding the video data. In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broadcasting, MPEG-2 video elementary stream (ES) is generally received and converted into YUV 4: 2: 0 data. However,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utput suitable for a display unit (LCD) of a mobile terminal is required. Therefore, it converts to the RGB data.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signal is selectively decod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The RGB data converted as described above is stored in the video output buffer 240 and output according to the output time point.

오디오복호기250은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를 담담하며, 상기 비디오 복호와 마찬가지로 MPEG-2 오디오 ES를 받아서 PCM 오디오로 변환한다. 상기 변환된 PCM 오디오신호는 오디오 출력버퍼260에 저장되었다가 출력시점에 맞춰 출력된다.The audio decoder 250 is responsible for decoding the audio signal. Like the video decoding, the audio decoder 250 receives MPEG-2 audio ES and converts it to PCM audio. The converted PCM audio signal is stored in the audio output buffer 260 and output at the time of output.

도 3은 상기 도 2의 역다중화기2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demultiplexer 210 of FIG. 2.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복조기120에서 출력되는 MPEG-TS 신호는 버퍼211에 저장된다. 상기 버퍼211은 카메라 인터페이스와 같은 고속 버스를 이용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인 큐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PID검사부(PID checker)213은 상기 MPEG-TS 데이터 스트림의 헤더에서 오디오 PID 또는 비디오 PID를 검색하여 각각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로 구분하고, 그 외의 데이터에 대한 PID를 검사한다. 비트파서(bit parser)215는 상기 PID 검사부213의 출력에 따라 상기 버퍼211에 저장된 TS 스트림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선택하여 버퍼217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버퍼217은 상기 도 2의 입력버퍼220이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역다중화기210은 상기 복조기120에서 출력되는 TS 스트림에서 헤더정보 내의 PID를 검사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를 구분하고, 그 구분된 결과에 따라 상기 TS 스트림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입력버퍼22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3, the MPEG-TS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20 is stored in the buffer 211. The buffer 211 stores a data input using a high speed bus such as a camera interface. It is desirable to have the form of a general cue. The PID checker 213 searches for an audio PID or a video PID in the header of the MPEG-TS data stream, classifies the audio PID into video and video data, and checks the PID of other data. The bit parser 215 selects audio and video data from the TS stream stored in the buffer 211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PID inspector 213 and stores the audio and video data in the buffer 217. The buffer 217 may be the input buffer 220 of FIG. 2. As described above, the demultiplexer 210 distinguishes the audio and video signals by examining the PID in the header information from the TS stream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20, and demultiplexes the audio and video signals in the TS stream according to the separated result. To store in the input buffer 220.

도 4는 상기 도 2의 오디오복호기25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4의 오디오복호기는 MPEG-1 Layer-1/2 의 복호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오디오복호기는 디지털방송(DVB, DMB)의 경우 AAC+, BSAC, WHA 오디오복호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udio decoder 250 of FIG. The audio decoder of FIG. 4 shows a decoder structure of MPEG-1 Layer-1 / 2. However, the audio decoder may be composed of AAC +, BSAC, and WHA audio decoders for digital broadcasting (DVB, DMB).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입력버퍼220에 충분한 양의 패킷데이타가 버퍼링되면, 헤더분석부(header analyzer and un-packer)253은 상기 입력버퍼220에 저장된 데이터의 패킹을 분해한(un-packing) 후 헤더를 분석하며, 헤더 분석결과를 매칭부253에 출력한다. 상기 매칭부(table constructor)253은 디코딩 테이블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분석된 헤더정보에 의해 상기 입력버퍼22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매칭시켜 비트 파싱(bit parsing)한다. 그리고 서브밴드분석부(sub-band analyzer)255는 상기 비트 파싱된 오디오 데이터의 서브밴드를 분석하며, 매트릭스계산부(analytic matrixer)257은 상기 서브밴드 분석에 의해 필터 행렬을 생성한 후 필터 계산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데이터결합부(data packer)259는 상기 매트릭스계산부257에서 출력되는 복호된 오디오 데이터를 시간 정렬하여 결합하며, 상기 데이터결합부259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데이타는 오디오출력버퍼260에 저장된다.Referring to FIG. 4, when a sufficient amount of packet data is buffered in the input buffer 220, a header analyzer and un-packer 253 un-packing the packing of data stored in the input buffer 220. The header is analyzed and the header analysis result is output to the matching unit 253. The table constructor 253 includes a decoding table and bit parses audio data stored in the input buffer 220 based on the analyzed header information. The sub-band analyzer 255 analyzes the subbands of the bit-parsed audio data, and the matrix matrix unit 257 generates a filter matrix by the subband analysis and then performs a filter calculation. Do this. Thereafter, the data packer 259 combines the decoded audio data output from the matrix calculator 257 by time alignment, and the audio data output from the data combiner 259 is stored in the audio output buffer 260.

도 5는 도 2의 비디오복호기23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5는 MPEG-2 비디오복호기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H.264, WMV 또는 MPEG-4 비디오복호기는 상기 도 5와 약간 다른 구조를 가지지만, 가변길이로 부호화된 데이터를 원래의 크기로 복호하는 가변길이복호부(VLD), 2차원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를 2차원 공간 영역의 영상데이타로 변환하는 역변환부, 상기 영상데이타의 움직임을 보상하는 움직임보상부(MC) 등의 중요 부분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MPEG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는 비디오 복호기인 경우 상기 역변환부는 IDCT(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사용할 수 있으며, H.264 방식으로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는 비디오 복호기인 경우 상기 역변환부는 IIT(inverse integer transform)를 사용할 수 있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video decoder 230 of FIG. 2. 5 shows the structure of an MPEG-2 video decoder. Here, the H.264, WMV, or MPEG-4 video decoder has a slightly different structure from that of FIG. 5, but has a variable length decoder (VLD) for decoding the variable length coded data to its original size. Important parts, such as an inverse transform unit for converting data into image data of a two-dimensional space region and a motion compensator MC for compensating the movement of the image data, have the same configuration. The inverse transform unit may us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IDCT) when the video decoder decodes the MPEG coded data, and the inverse transform unit may use an inverse integer (IIT) when the video decoder decodes the data encoded by the H.264 method. transform).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입력버퍼220에 저장된 역다중화된 비디오 데이터는 헤더분석부311에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헤더분석부311은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의 디코딩을 위한 헤더 정보들을 추출하고, 실제 영상 압축 데이터만을 버퍼313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버퍼313은 한 프레임에 대한 정보가 전달될 때 까지 정보를 저장(buffering)한다. 이때 상기 버퍼313에 저장되는 프레임 영상은 I프레임, P 프레임 또는 B 프레임 영상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프레임은 인트라 프레임(intra frame)으로써 JPEG 영상데이타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움직임 보상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영상이다. 그러나 P프레임 및 B 프레임 영상은 논 인트라 프레임(non-intra frame)으로써, 각각 이전 프레임 영상임, 이전 프레임 영상 및 다음 프레임 영상을 참조하여 움직임을 보상하여야 하는 프레임들이다. 따라서 상기 버퍼313에 저장된 비디오신호가 I프레임이면, 상기 I프레임 영상신호는 가변길이복호부(Variable Length Decoder: VLD)에 인가되어 복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버퍼313에 저장된 비디오신호가 B프레임이거나 P프레임이면 상기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움직임 보상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the demultiplexed video data stored in the input buffer 220 is input to the header analyzer 311. Then, the header analyzer 311 extracts header information for decoding the video data stream and delivers only the actual image compressed data to the buffer 313. In this case, the buffer 313 stores the information until information on one frame is delivered. In this case, the frame image stored in the buffer 313 may be an I frame, a P frame, or a B frame image. Here, the I frame is an intra frame and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JPEG image data and does not perform a motion compensation operation. However, P-frame and B-frame images are non-intra frames, which are frames that should be compensated for by referring to the previous frame image and the previous frame image, respectively. Therefore, if the video signal stored in the buffer 313 is an I frame, the I frame video signal is applied to a variable length decoder (VLD) to perform a decoding operation. However, if the video signal stored in the buffer 313 is a B frame or a P frame, the motion compensation should be performed.

상기 복호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가변길이복호부315는 입력된 데이터를 순차로 읽어 들이며, 매칭테이블을 통해 디코딩을 수행하고, 이렇게 디코딩된 결과 중 가장 앞선 데이터를 역양자화부317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역양자화부(dequantizer)317은 상기 가변길이복호부315의 출력을 역양자화하여 주파수 도메인 데이터(frequency domain data) 중 DC 성분만을 추출하여 IDCT부319에 출력한다. 이후 상기 IDCT(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er)부319는 상기 역양자화 동작에 구해지는 DC성분을 기준으로 나머지 영역에 대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를 공간영역의 데이터(spacial domain data)로 변환한다. 이렇게 변환된 값은 MPEG-2의 경우에 YUV 4:2:0 형식을 갖게 된다.Referring to the decoding operation,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315 reads the input data sequentially, decodes the data through a matching table, and transfers the most advanced data of the decoded result to the dequantization unit 317. The dequantizer 317 dequantizes the output of the variable length decoder 315 to extract only the DC component of the frequency domain data and outputs the DC component to the IDCT unit 319. Thereafter, the IDCT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er) unit 319 converts data of the frequency domain into spatial domain data for the remaining domains based on the DC component obtained in the inverse quantization operation. The converted value has a YUV 4: 2: 0 format in the case of MPEG-2.

또한 움직임 보상이 필요한 P 및 B프레임 영상의 복호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P 프레임은 이전 프레임 영상을 필요로 하므로, 움직임보상부335는 상기 이전영상저장부331에 저장된 이전 영상데이타와 입력되는 P 프레임 영상을 비교하여 움직임 벡터를 검출한 후, 움직임 벡터 값에 따라 움직임을 보상한다. 두 번째로 B프레임은 이전 프레임 영상과 다음 프레임 영상을 필요로 하므로, 움직임보상부335는 이전영상저장부331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 영상과 다음영상저장부333에 저장되 다음 프레임 영상과 입력되는 B 프레임 영상을 비교하여 움직임 벡터를 검출한 후, 검출한 움직임 벡터 값에 움직임을 보상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P 및 B 프레임 영상은 상기 가변길이복호부315에 인가되어 상기 I프레임 영상의 복호시와 동일한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움직임보상부335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보상 데이터는 가산부337에서 이전의 I 프레임 또는 P프레임에서 IDCT 까지를 수행하여 추출된 데이터와 합산되며, 이때 합산된 데이터는 역시 YUV 4:2:0의 형식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decoding operation of P and B frame images requiring motion compensation will be described. First, since the P frame requires a previous frame image, the motion compensator 335 detects a motion vector by comparing the previous image data stored in the previous image storage unit 331 with the input P frame image, and then moves the motion vector according to the motion vector value. To compensate. Second, since the B frame requires the previous frame image and the next frame image, the motion compensator 335 stores the previous frame image stored in the previous image storage unit 331 and the next frame image stored in the next image storage unit 333 and the inputted B frame. After the motion vectors are detected by comparing the images, the motion is compensated for by the detected motion vector values. In addition, the P and B frame images are applied to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315 to perform the same procedure as the decoding of the I frame image. The motion compensation data output from the motion compensator 335 is added to the extracted data by performing IDCT in the previous I frame or P frame in the adder 337, and the summed data is also YUV 4: 2: 0. Has a form.

상기와 같이 출력되는 YUV 4:2:0 형식을 가지는 비디오 데이터는 이를 표시 하는 표시부150의 표시 특성에 맞게 변환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의 표시부150은 LCD를 사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50이 LCD(TFT LCD)인 경우에는 16비트 또는 18비트 RGB 형식으로 변환되어야 하며, 일반 모니터인 경우에는 24비트 RGB 형식으로 변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변환부(converter)321은 상기 YUV 4:2:0 형식의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부의 형식(예를들면 RGB 포맷)에 맞는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와 같이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출력버퍼240에 저장된다. The video data having the YUV 4: 2: 0 format output as described above should be converted according to the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unit 150 displaying the same. In general, the display unit 150 of the portable terminal uses an LC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50 should be converted into a 16-bit or 18-bit RGB format if the LCD (TFT LCD), and a 24-bit RGB format if the general monitor. Therefore, the converter 321 converts the YUV 4: 2: 0 format video data into video data that matches the format of the output unit (eg, RGB format), and outputs the video data. It is stored in the buffer 240.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살펴본다.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의 RF신호는 일반 텔레비전과 마찬가지로 VHF 대역과 UHF 대역에 존재한다. 또한 각 채널은 일정한 대역폭(예를 들면 8MHz bandwidth)을 가지고 있다. 도 6a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방식 수신기의 RF신호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6a는 386MHz를 중심으로, 각 주파수 대역별로 RF신호들이 존재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상기 도 6a와 같은 RF 채널들 중에서 특정 한개의 물리채널(physical channel: 8MHz)에 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채널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데이타를 상기 RF튜너110에 전달하며, 이에 따라 상기 RF튜너110은 상기 제어데이타에 따른 채널주파수를 발생하여 도 6b와 같이 선택된 특정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 RF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설정된 채널에 대하여 여파 동작을 수행하고, 여파된 신호를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로 주파수 변환(frequency down conversion)을 수행한 신호가 된다. 도 6c는 상기 도 6b와 같은 한 채널의 RF신호에 대하여 중심주파수(center frquency)를 주파수 이동을 하여 여파하고, 36.167MHz를 중심으로 하도록 혼합하여 IF신호로 변환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RF signals of digital broadcasting received from an antenna exist in the VHF band and the UHF band as in a general television. In addition, each channel has a constant bandwidth (for example, 8MHz bandwidth). 6A is a diagram illustrating characteristics of RF signals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system receiver. FIG. 6A illustrates that RF signals exist for each frequency band around 386MHz. FIG. 6B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specific physical channel (8 MHz) among the RF channels as shown in FIG. 6A. Therefore,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hannel, the control unit 100 transmits control data for selecting a channel to the RF tuner 110. Accordingly, the RF tuner 110 generates a channel frequency according to the control data, as shown in FIG. 6B. The signal of the selected specific channel is selected. The signal output from the RF tuner 110 is a signal obtained by performing a filtering operation on a set channel and performing a frequency down conversion of the filtered signal to an intermediate frequency. FIG. 6C illustrates a result of converting and filtering a center frequency (center frquency) of the RF signal of one channel as shown in FIG. 6B, and mixing the center frequency to 36.167 MHz to convert to an IF signal.

그러면 상기 복조기120은 입력되는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중간주파수 디지털 신호를 기저대역(baseband)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후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캐리어(carrier)의 수, 추가 심볼 등에 따라 제어하면서 FFT 순환회로를 루핑시킨다. 그리고 상기 FFT 순환회로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는 에러보정을 거쳐 최종 신호로 재생되기 위해 순서와 간격이 재구성되며, 최종 출력인 MPEG2-TS(Transport Stream) 데이터로 출력된다. 상기 상기 MPEG2-TS 데이터는 도 7a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TS 스트림은 188바이트 단위로 1 패킷(TS packet)을 구성하고, 상기 각 패킷은 헤더(TS header)와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들이 될 수 있으며, 그 순서는 다중화된(multiplexing)된 순서대로 정해지며, 규칙성은 가지지 않는다. 하기 <표 1>은 상기 도 7a의 TS 헤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표이다. The demodulator 120 then converts the input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converts the converted intermediate frequency digital signal into a baseband digital signal. Thereafter, the baseband signal is looped while controlling the baseband signal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rriers, additional symbo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FFT circuit is reconstructed in order and interval to be reproduced as a final signal through error correction, and output as MPEG2-TS (Transport Stream) data, which is the final output. The MPEG2-TS data may have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7A. Herein, the TS stream constitutes one packet in units of 188 bytes, and each packet includes a header and a data area. The audio / video data may be here, the order of which is determined in a multiplexed order, without regularity. Table 1 below is a table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TS header of FIG. 7A.

패킷 내용Packet contents 설명Explanation 비트할당Bit allocation Sync ByteSync Byte 0x47 동기화 코드0x47 sync code 88 Error IndicatorError Indicator TS 패킷 상의 에러 존재 유무Presence of errors in TS packets 1One Payload Start IndicatorPayload Start Indicator payload 시작 위치payload starting position 1One Transport PriorityTransport priority 디코더 우선순위Decoder Priority 1One PIDPID 패킷 형태 구분자Packet type separator 1313 Scrambling ControlScrambling Control 스크램블 모드Scrambled mode 22 Adaptation Field ControlAdaptation Field Control 어댑테이션 필드 데이터/페이로드 존재Adaptation field data / payload present 22 Continuity CounterContinuity Counter 4bit counter4bit counter 44

또한 도 7b는 상기 도 7a의 데이터 영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은 페이로드 영역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페이로드 영역은 어댑테이션 필드(adaptation field), PES 헤더 및 페이로드 영역(payload-video/audio data)으로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페이로드라는 용어는 비디오/오디오/데이타(여기서 데이터는 EPG 등과 같은 데이터가 될 수 있다.)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들 중 어댑테이션 필드에는 PCR(clock reference) 정보가 기본적으로 들어가며, 이외에 제작시에 추가한 정보들이 추가된다. 또한 상기 PES 헤더 영역에는 각 패킷을 디코딩하기 위한 정보들이 포함되며, 특히 PTS/DTS (Presentation Time Stamp, Decoding Time Stamp) 등 디코딩시 동기를 맞추기 위한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있다. 하기 <표 2>는 상기 데이터 영역의 PES 헤더 영역의 구성을 나타내는 표이다. 또한 상기 페이로드 영역에는 기본적으로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며, 앞서 PES 헤더 구조에서 부가적인 헤더 데이터(additional header data) 영역이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MPEG2 동영상으로 불리는 비디오 ES(Elementary Stream) 또는 오디오 ES이며, 또한 데이터 방송을 위한 바이너리 데이터가 될 수도 있다. FIG. 7B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 area of FIG. 7A. As shown in FIG. 7B, the data area may be a payload area. In this case, the payload region includes an adaptation field, a PES header, and a payload region (payload-video / audio data).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 payload is used as a term meaning video / audio / data (herein, the data may be data such as EPG). Among them, PCR (clock reference) information is basically included in the adaptation field, and additional information add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is added. In addition, the PES header area includes information for decoding each packet, and in particular, time information for synchronization, such as PTS / DTS (Presentation Time Stamp, Decoding Time Stamp), is included. <Table 2> is a table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ES header area of the data area. In addition, video or audio data basically exists in the payload region, and an additional header data region may be added in the PES header structure. The video and audio data of the payload region is a video ES (elementary stream) or audio ES, which is generally called MPEG2 video, and may also be binary data for data broadcasting.

패킷내용Packet contents 설명Explanation 비트할당Bit allocation Start codeStart code 0x0000010x000001 2424 Stream IDStream ID 스트림 구분자Stream delimiter 88 PES Packet LengthPES Packet Length "10""10" 22 PES Scrambling ControlPES Scrambling Control 스크램블 on/offScramble on / off 22 PES PriorityPES Priority 디코딩 우선순위Decoding priority 1One Data Alignment IndicatorData Alignment Indicator 디코딩 순서Decoding order 1One CopyrightCopyright 저작권 유무Copyright 1One Original or CopyOriginal or Copy 원본/복사본Original / Copy 1One PTS/DTS FlagPTS / DTS Flag PTS/DTS 존재 유무Presence of PTS / DTS 22 Etc. FlagEtc. Flag ESCR, ES 등 MEPT-2 표준에 따르는 flagFlag according to MEPT-2 standard such as ESCR, ES 66 PES Header Data LengthPES Header Data Length PES Packet Header의 전체길이Overall length of PES Packet Header 88 Additional Header DataAdditional Header Data 'data length-기본할당' 분량의 데이타'data length-base allocation' amount of data --

상기 복조기120에서 출력되는 MPEG2-TS 데이터를 입력하는 복호기130은 이를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로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기(210), 상기 역다중화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하는 오디오복호기250 및 비디오복호기2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비디오복호기는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복호하여 표시부150에 출력한다. 상기 복호기130에서 표시부150에 전달되는 데이터는 상기 표시부150이 입력받는 형태에 따라서 달라진다. 하기 <표 3>은 표시부150의 다양한 입력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The decoder 130 for inputting the MPEG2-TS data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20 includes a demultiplexer 210 for demultiplexing the video into audio and video data, and an audio decoder 250 and a video decoder 230 for decoding the demultiplexed audio and video data. It is composed. The video decoder decodes the received video data in units of frames and outputs the same to the display unit 150. Data transmitted from the decoder 130 to the display unit 150 varies depending on the form in which the display unit 150 is input. Table 3 below shows various input examples of the display unit 150.

Figure 112005060237715-pat00001
Figure 112005060237715-pat00001

또한 상기 복호기130에서 스피커160에 출력되는 신호는 일반적으로 오디오 코덱칩을 거쳐 출력되므로, PCM으로 복호되어 직접 출력되거나, 아날로그 오디오신호(raw audio analog signal)로 출력된다.In addition, since the signal output from the decoder 130 to the speaker 160 is generally output through an audio codec chip, the signal is directly decoded by the PCM or output as a raw audio analog signal.

이때 상기 RF튜너110과 복조부120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며 독립적으로 동작하나, NIM(Network Interface Module)로 불리우기도 한다.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RF튜너110 및 복조부120의 통신 방법은 I2C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과 복호기130의 비디오복호기230 간에는 방송수신 시작, 일시정지, 녹화, 종료, 프레임율 조정, 화면 리사이징, 색상밸런스 조정등을 위한 제어데이타들 및 이에 따른 비디오 디코딩 결과를 주고 받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과 복호기130의 오디오복호기250 간에는 시작, 녹음, 이퀄라이저, 볼륨, 음소거, 프레임율 조절을 위한 제어데이타들 및 이에 따른 오디오 디코딩 결과를 주고 받는다. 상기 제어부100과 복호기130 간의 입출력신호는 하기 <표 4>와 같다. In this case, the RF tuner 110 and the demodulator 120 perform different functions and operate independently, bu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network interface module (NIM). The control unit 100 may be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RF tuner 110 and the demodulator 120 is I2C. In addi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100 and the video decoder 230 of the decoder 130, control data for broadcast reception start, pause, recording, termination, frame rate adjustment, screen resizing, color balance adjustment, and the like, and the result of video decoding are exchanged. In addi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100 and the audio decoder 250 of the decoder 130, control data for start, recording, equalizer, volume, mute, frame rate control, and audio decoding results are exchanged. The input / output signals between the controller 100 and the decoder 130 are shown in Table 4 below.

Figure 112005060237715-pat00002
Figure 112005060237715-pat00002

이하의 과정에서는 상기 비디오 복호기230에서 화면 표시 방식에 따라 비디오복호기230에서 표시할 영상화면을 리사이징(resizing)하는 절차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process, a procedure of resizing an image screen to be displayed by the video decoder 230 according to a screen display method in the video decoder 2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표시되는 영상화면의 크기를 리사이징하는 요소(resizing factor)는 복수개의 요소들로 구성된다. 상기 리사이징 요소들로는 표시화면의 크기(display size), 화면출력방식(image scan), 블록 스캔 방식(block scan), 복호처리속도(decoding speed), 복호된 화면의 화질(decoding quality)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복호된 화면 영상을 리사이징할 때, 상기와 같은 리사이징 요소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모든 리사이징 요소들을 고려하여 리사이징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모든 리사이징 요소들을 고려하여 상기 표시부150에 인가되는 영상화면을 리사이징하는 경우를 살펴본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sizing factor for resizing the size of the video screen displaye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elements. The resizing elements may include a display size, an image scan method, a block scan method, a decoding speed, a decoding quality of a decoded screen, and the like. have. When resizing the decoded screen image, it may be implemented by using some of the above resizing elements, or may perform a resizing function in consideration of all the resizing element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oks at the case of resizing the video screen applied to the display unit 150 in consideration of all the above resizing elements.

상기 리사이징 동작을 설명하기 전에 상기 리사이징 기능을 수행하는 비디오복호기23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디지털 방송 송신 측의 비디오부호기에서 사용하는 영상부호화 방식은 MPEG2, H.264, MPEG4 등의 다양한 부호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수신기의 비디오복호기230은 비디오부호기에서 사용한 영상부호화 방식에 대응되는 복호 방식을 사용하여야 한다.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MPEG2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로 가정하며, 따라서 상기 도 5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비디오 복호기230은 MPEG2 비디오 복호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디오복호기230은 필요에 따라 H.264, MPEG-4 비디오복호기가 될 수도 있다.Before describing the resizing operation, the operation of the video decoder 230 performing the resizing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the video encoding method used in the video encoder of the digital broadcast transmission side, various encoding methods such as MPEG2, H.264, MPEG4 and the like may be used. In this case, the video decoder 230 of the receiver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should use a decoding method corresponding to the video encoding method used in the video encoder. In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is a receiver for receiving an MPEG2 video signal. It is assumed that the video decoder 23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5 may be an MPEG2 video decoder. However, the video decoder 230 may be an H.264, MPEG-4 video decoder as necessary.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헤더분석부(header analyzer)311은 도 8과 같은 MPEG2 비디오 ES 구조에서 각각의 레이어(layer)별로 패킷을 분리한 후, 분리된 레이어의 헤더들을 분석한다. 상기 MPEG2 비디오 계층 구조는 도 8a - 도 8f와 같이 6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Referring to FIG. 5, a header analyzer 311 separates packets for each layer in the MPEG2 video ES structure as shown in FIG. 8 and analyzes headers of the separated layers. The MPEG2 video hierarchical structure consists of six layers as shown in FIGS. 8A to 8F.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도 8a와 같은 비디오 시퀀스 계층(video squence layer)은 일련의 같은 속성을 갖는 화면 그룹이다. 상기 시퀀스 헤더의 주요 기능으로는 비트 스트림 도중에서 재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즉, 상기 시퀀스 헤더는 MPEG2에서 가장 기본적이로 전반적인 정보들이 존재하는 곳으로, 시퀀스 시작 코드 이후에는 화면의 수평크기, 수직크기, 화소의 종횡비, 픽쳐율, 비트율 VBV(video buffering verifier) 버퍼 크기, 제판 파라미터 플래그, 두 개의 양자화 매트릭스를 적재하는 플래그 등의 정보가 이어진다. 두 번째로 도 8b와 같은 GOP 계층(group of picture layer)은 랜덤 억세스 단위가 되는 화면 그룹의 최소단위로 편집을 위한 정보와 시퀀스 시작으로부터의 시간 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시작코드 이후에 다수의 플래그(time_code flag, closed_GOP flag, broken_link flag)들이 이어진다. 세 번째로 도 8c와 같은 픽쳐 계층은 한 장의 화면에 공통된 특성으로 화면 부호화 모드, 픽쳐 타입 등이 설정되어 있다. MPEG1에서 사용되어진 D 픽쳐는 빨리보내기, 빨리 뒤로보내기 등에 사용되는 DC성분만을 갖는 화면이 있고, 픽쳐 타입은 I,P,B 픽쳐로 구성되어져 있다. 시작코드 이후에 GOP중의 화면 순서를 나타내는 임시참조(temporal reference), 픽쳐타입, 부호기나 움직임벡터가 정수단위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움직임 벡터의 프레임 간격(F_code) 등이 이어진다. 네 번째로 도 8d와 같은 슬라이스 계층(slice layer)은 한 장의 화면을 임의의 길이로 분할할 소화면에 공통적인 정보들로써, 예로 양자화 특성 값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스 계층은 시작코드를 갖는 일련의 데이터 열 중의 최소 단위로 임의의 길이의 매크로블럭의 띠이며, 여러 픽쳐에 걸쳐 있을 수는 없다. 처음과 마지막의 매크로블록은 스킵(skip)할 수 없게 되어있고, 한 개의 매크로블록으로 구성된 슬라이스의 경우 그 매크로블록은 스킵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스 간 중복이나 스킵은 허용되지 않으며, 슬라이스의 수직위치는 슬라이스 시작코드 자체에 포함되고 슬라이스의 선두 매크로블럭의 수평위치는 매크로블록 계층의 매크로 블록 주소를 써서 나타낸다. 다섯 번째로 도 8e와 같은 매크로블록 계층(macroblock layer)은 상기 도 8f와 같은 블록계층이 복수개 링크되는 계층으로, 일반적으로 4개의 블록계층이 링크된다. 상기 매크로블록계층은 상기 슬라이스 층을 더욱 분할한 회소 블록에 공통적인 정보로서, 움직임 보상과 움직임 벡터값 등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매크로 블록 계층은 임의 개수의 매크로 블록 스터핑(stuffing), 매클록 블록 이스케이프(escape), 매크로블록 주소(macroblock address: MBA), 매크로블록 타입(type) 등이 차례로 이어진다. 마지막으로 도 8f와 같은 블록계층(block layer)은 전송과 압축의 최소 단위로써, 필요한 IDCT 계수를 포함하고, EOB(end of block)으로 종료된다. 상기 계수의 VLC가 64개 있을 때도 상기 EOB는 부가된다. 인트라 DC(intra DC)는 독자적인 VLC를 사용하며, 그 외의 것은 이차원 VLC에 의해 표현된다.Referring to FIG. 8, first, a video squence layer as shown in FIG. 8A is a screen group having a series of the same attributes. The main function of the sequence header is a function capable of enabling playback in the middle of a bit stream. That is, the sequence header is the most basic information in MPEG2, and after the sequence start code, the horizontal size, vertical size, pixel aspect ratio, picture rate, bit rate VBV (video buffering verifier) buffer size, Information such as plate making parameter flags and flags loading two quantization matrices is followed. Secondly, the GOP layer (group of picture layer) as shown in FIG. 8B is a minimum unit of a screen group that is a random access unit and has information for editing and a time from the start of a sequence. After the start code, a plurality of flags (time_code flag, closed_GOP flag, broken_link flag) are followed. Thirdly, a picture coding mode, a picture type, and the like are set in the picture layer as shown in FIG. 8C as characteristics common to one picture. A D picture used in MPEG1 has a picture having only a DC component used for fast forwarding, fast forwarding, and the like. The picture type is composed of I, P, and B pictures. After the start code, a temporary reference indicating the screen order in the GOP, a picture type, a flag indicating whether an encoder or a motion vector is an integer unit, a frame interval (F_code) of the motion vector, and so on are followed. Fourth, a slice layer as shown in FIG. 8D is information common to a small screen for dividing a single screen into an arbitrary length and includes, for example, a quantization characteristic value. The slice layer is a band of macroblocks of any length in the smallest unit of the series of data having a start code, and may not span several pictures. The first and last macroblocks cannot be skipped. In the case of a slice composed of one macroblock, the macroblocks can be skipped. The overlap or skip between the slices is not allowe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lice is included in the slice start code itself, and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leading macroblock of the slice is indicated by using the macroblock address of the macroblock layer. Fifth, a macroblock layer as shown in FIG. 8E is a layer in which a plurality of block layers as shown in FIG. 8F are linked. In general, four block layers are linked. The macroblock layer is information common to a recovery block obtained by further dividing the slice layer, and includes motion compensation, a motion vector value, and the like. The macroblock layer is followed by any number of macroblock stuffing, macroblock block escape, macroblock address (MBA), macroblock type, and the like. Finally, a block layer as shown in FIG. 8F is a minimum unit of transmission and compression, includes necessary IDCT coefficients, and ends with an end of block (EOB). The EOB is added even when there are 64 VLCs of the coefficients. Intra DC uses its own VLC, and the others are represented by two-dimensional VLC.

따라서 상기 헤더분석부311은 상기 도 8a - 도 8f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MPEG2 비디오 ES 구조에서 각 계층별로 패킷을 분리하여 시퀀스헤더(sequence header), GOP 헤더(Group of Picture header), 픽쳐 헤더(picture header), 슬라이스 헤더(slice header), 매크로블럭 헤더(macroblock header)를 분석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헤더 분석 결과에 따라 프레임율(frame rate), 영상크기(picture size), 영상코딩 타입(picture coding type; I frame, P frame, B frame), GOP 시퀀스(IBBPBBPBBP 또는 IBPBPBPBPBP 등의 MPEG2 표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I/P/B 프레임들로 구성되는 순서) 등을 확인하고, 이 결과를 이후의 복호 과정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header analyzing unit 311 separates packets for each layer in the MPEG2 video ES structure having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S. 8A to 8F, and includes a sequence header, a GOP header, and a picture header. header, slice header, and macroblock header are analyzed. And MPEG2 such as frame rate, picture size, picture coding type (I frame, P frame, B frame), GOP sequence (IBBPBBPBBP or IBPBPBPBPBP) according to the header analysis result as described above. Order of I / P / B frames in the standard), etc., and make the result available in the subsequent decoding process.

그리고 버퍼313은 상기와 같이 헤더분석부311에서 분리한 데이터에서 실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버퍼313에 저장되는 실제 데이터는 상기 매크록블럭모드에서 블록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도록 블록 데이터의 인덱스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가 I 프레임(intra frame)이면, 이 데이터는 가변길이복호부315에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가변길이복호부315는 상기 헤더분석부311에서 전달되는 정보(parsing information)에 따라 가변길이 디코딩을 수행한다. 상기 가변길이 복호 방법은 MPEG2 표준에서 제안하고 있는 호프만 압축(Huffman decoding) 방법을 이용한다. 이 방법은 각각의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읽어들여 정해진 표준테이블에 의해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가변길이복호 방법은 매크로블록 모드에서 복호를 수행할 때 최초로 수행하는 방법이다. 상기 가변길이복호부315는 가변길이 부호화(variable length coding: VLC)방법으로 압축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1개의 매크로 블록 전체의 데이터를 알아낼 때 까지 작업을 계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The buffer 313 stores the actual data from the data separated by the header analyzing unit 311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actual data stored in the buffer 313 includes an index of block data to extract block data in the macroblock mode. At this time, if the data is an I frame (intra frame), this data is input to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315. Then, the variable length decoder 315 performs variable length decoding according to the par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header analyzer 311.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method uses the Huffman decoding method proposed by the MPEG2 standard. This method refers to a process of reading each data bit by bit and converting the data into a predetermined standard table. The general variable length decoding method is the first method to perform decoding in the macroblock mode.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315 converts the stored data after being compressed by a variable length coding (VLC) method and converts the stored data into original data. Work continues until the data of one macro block is found.

상기 가변길이복호부315에서 복호된 결과 값은 역양자화부317에 입력되며, 여기서 MPEG2 동영상 압축의 핵심이되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에서의 DC 값을 추출한다. 그러면 상기 IDCT(역이산여현변환;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부319는 IDCT 방식의 복호를 수행한다. 상기 MPEG2에서는 상기 IDCT 단위를 8*8 화소(pixel) 영역으로 한정하고 있으며, 따라서 그 변환식(8*8 IDCT 변환식)은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The result value decoded by the variable length decoder 315 is input to the inverse quantizer 317, where the DC value is extracted from a 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which is the core of MPEG2 video compression. The IDCT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unit 319 performs IDCT decoding. In the MPEG2, the IDCT unit is limited to an 8 * 8 pixel area. Therefore, the conversion equation (8 * 8 IDCT conversion equation) is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Figure 112005060237715-pat00003
Figure 112005060237715-pat00003

상기 <수학식 1>의 2차원 변환은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x축에 대한 변환식을 거친 데이터에 대해 트랜스포즈(transpose)시키고 다시 y축에 대하여 동일한 IDCT를 수행한 것과 동일하다. 하기 <수학식 2>는 x축의 8포인트 IDCT 변환식을 나타내고 있으며, <수학식 3>은 y축의 8포인트 IDCT 변환식을 나타내고 있다.The two-dimensional transformation of Equation 1 is the same as that of transposing the data that has undergone the transformation on the x-axis and performing the same IDCT on the y-axis,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Equation 2 below shows an 8-point IDCT conversion equation on the x-axis, and Equation 3 shows an 8-point IDCT conversion equation on the y-axis.

Figure 112005060237715-pat00004
Figure 112005060237715-pat00004

Figure 112005060237715-pat00005
Figure 112005060237715-pat00005

한편 상기 버퍼313에서 출력되는 데이터가 P 프레임 또는 B프레임과 같이 I프레임이 아닌 프레임(non-intra frame)이면 움직임 보상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P 프레임 또는 B 프레임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움직임 보상 과정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IDCT 최종 결과와 비교하여 출력한다. 먼저 P프레임이면, 움직임보상부335는 이전영상저장부331)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영상데이타와 입력되는 P프레임 영상을 비교하여 움직임벡터를 계산하고, 이 계산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보상한다. 두 번째로 B프레임이면, 상기 움직임보상부335는 상기 이전영상저장부331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 영상과 다음영상저장부333에 저장된 다음 프레임 영상과 현재의 B프레임 영상을 비교하여 움직임 벡터 값을 계산하고, 이 계산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B프레임의 움직임 보상을 수행한다. 이때 MPEG2 표준에서 제안하는 상기 움직임 보상은 하프-펠 해상도(half-pel resolution) 수준을 적용하여 보간하므로써, 프레임 간의 상관성을 높이도록 한다. 즉,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움직임 정보는 상기 하프-펠 해상도로써 계산된다. 상기와 같이 계산된 움직임 보상 값은 가산부337에서 이전에 계산되어진 IDCT 값과 합쳐져서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data output from the buffer 313 is a non-intra frame such as a P frame or a B frame (non-intra frame), a motion compensation process is required. In the case of the P frame or the B frame as described above, the motion compensation process is additionally performed and the result is compared with the IDCT final result and output. First, if it is a P frame, the motion compensator 335 compares the image data of the previous frame stored in the previous image storage unit 331 with the input P frame image to calculate a motion vector, and compensates for the motion using the calculated result. . In the second frame B, the motion compensator 335 calculates a motion vector value by comparing the previous frame image stored in the previous image storage unit 331 with the next frame image stored in the next image storage unit 333 and the current B frame image. , The motion compensation of the B frame is performed using the calculated result. In this case, the motion compensation proposed by the MPEG2 standard interpolates by applying a half-pel resolution level, thereby increasing the correlation between frames. That is, mo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hannel is calculated as the half-pel resolution. The motion compensation value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is output by being combined with the IDCT value previously calculated by the adder 337.

이후 상기와 같이 최종적으로 IDCT 변환된 신호(I,B,P 프레임 영상)는 변환부321에서 표시부150에 맞는 형태의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때 상기 표시부150이 LCD 표시부이면 상기 변환부321은 YUV 비디오신호를 RGB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Then, as described above, the IDCT-converted signal (I, B, P frame image) is converted into a signal having a shape suitable for the display unit 150 by the converter 321 and output. At this time, if the display unit 150 is an LCD display unit, the converting unit 321 converts the YUV video signal into an RGB video signal and outputs the RGB video signal.

이때 상기 동영상, 특히 방송용 동영상에서 표시부150에 신호를 주사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 방법으로 구분된다. 그 하나는 순행주사(progressive scan) 방식이며, 나머지 하나는 격행주사(interlace scan) 방식이다. 도 9a는 순행주사 방식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b 및 도 9c는 격행주사 방식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9a와 같은 순행주사 방식은 각각 한 라인별로 출력 신호를 주사하는 방식이며, 상기 도 9b 및 도 9c와 같은 짝수 라인(even line)/홀수 라인(odd line)들로 나누어 신호를 주사하는 방식이다. In this case, a method of scanning a signal on the display unit 150 in the moving picture, particularly a broadcasting video, is divided into two methods. One is a progressive scan method and the other is an interlace scan method. 9A is a diagram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essive scan method, and FIGS. 9B and 9C are diagram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essive scan method. 9A is a method of scanning an output signal for each line, and a method of scanning a signal by dividing the signal into even lines / odd lines as shown in FIGS. 9B and 9C. to be.

한편 도 10a 및 도 10b는 MPEG2 등의 동영상 압축 방법에서 8*8 화소들을 1차원으로 변환하여 압축하는 방법인 스캐닝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DCT 계수들은 2차원 값이므로, 1차원으로 변환하여 부호화하여야 하는데, 이때 저주파신호는 저주파신호들 끼로 묶어놓고 고주파신호들은 고주파신호들끼리 묶어놓는 것이 압축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방법이 필요한데 이를 스캐닝(scanning)이라 한다. 상기 스캐닝 방법으로는 MPEG1,2에서 사용하는 도 10a와 같은 방식의 지그재그 스캔방법과, MPEG2에서만 제공되는 대체스캔(alternate scan) 방법이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 스캔 방법에서 각 픽셀들의 위치에 따른 순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10A and 10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anning method which is a method of compressing by converting 8 * 8 pixels into one dimension in a video compression method such as MPEG2. That is, since DCT coefficients are two-dimensional values, they should be converted and encoded in one dimension. At this time, the low frequency signals are bundled with the low frequency signals and the high frequency signals are bundled with the high frequency signals to increase the compression efficiency. Therefore, a method for this is required, which is called scanning. The scanning method includes a zigzag scan method as shown in FIG. 10A used in MPEG1 and 2, and an alternative scan method provided only in MPEG2. 10A and 10B show examples of the ord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ach pixel in each scan method.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리사이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휴대단말기는 표시부150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일반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표시부 사이즈보다 훨씬 작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의 표시부150의 크기에 맞도록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크기를 리사이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화면출력방식(image 스캔)이 상기 도 9a -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행주사 방식 및 격행주사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이미지 스캔 방식에 따라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리사이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 번째로 상기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스캐닝 방식에 따라 영상신호를 리사이징할 수도 있다. 네 번째로 휴대단말기는 일반 디지털 방송수신기와 달리 소형화된 제품이므로 디지털 방송신호를 디코딩하는 속도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 호의 처리속도에 따라 영상신호를 리사이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 번째로 휴대단말기에서 표시할 수 있는 디코딩 화질에 따라 화면 영상을 리사이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디오복호기230의 리사이징 제어신호 로 사용되는 리사이징 요인(resizing factor)는 하기 <표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5>에 나타낸 리사이징 요인 이외에 다른 요인들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A portable terminal having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is effective to resize the received video signal. That is, since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150 is limited, the portable terminal is much smaller than the display unit size of a general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resize the size of the received video signal to match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150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image signal received by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may use a forward scanning method and an annular scanning method as shown in FIGS. 9A to 9C.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resize the received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image scanning method of the received video signal. Third,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the image signal may be resized according to a block scanning method. Fourthly, since the mobile terminal is a miniaturized product unlike the general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there is a limit in the speed of decoding the digital broadcasting signal.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resize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processing speed of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Fifth, the screen image may be resized according to the decoding quality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zing factor used as the resizing control signal of the video decoder 230 may be represented as shown in Table 5 below. In addition, other factors than the resizing factors shown in Table 5 may be considered.

Figure 112005060237715-pat00006
Figure 112005060237715-pat00006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리사이징 요인들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리사이징 요인은 휴대단말기의 표시부150의 크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리사이징 요인들에 따라 영상크기를 리사이징하는 경우, 상기 <표 5>와 같은 모든 리사이징 요인들을 감안하여 영상크기를 리사이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리사이징 요인들을 선택하여 영상크기의 리사이징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모든 리사이징 요인들을 이용하여 화면을 리사이징하는 것으로 설명될 것이다.At this time, the most resizing factor of the resizing factors in the mobile terminal will be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150 of the mobile terminal. Therefore, when resizing the image size according to the resizing factors, the image size may be resized in consideration of all the resizing factors as shown in Table 5, and if necessary, one or more resizing factors may be selected to resize the image. You can also perform a resizing of the siz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as resizing the screen by using all the above resizing factors.

상기 비디오복호기230은 상기와 같은 리사이징 요인에 의해 수신되는 영상크기를 리사이징한다. 이때 상기 영상크기를 리사이징하는 구성은 비디오복호기230의 가변길이복호부315, IDCT부319 및 움직임보상부335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변길이복호부315, IDCT부319 및 움직임보상부335에서 영상크기를 리사이징하는 요인들은 각각 다를 수 있다. 상기 리사이징 요인에 따른 리사이징 제어신호들은 하기 <표 6> - <표 8>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리사이징 제어신호는 IDCT부319의 리사이징 제어신호이며, 이에 따라 가변길이복호부315 및 움직임보상부335의 리사이징 제어신호가 구분된다. 하기 <표 6>은 IDCT부319의 리사이징 제어신호로써, 설명(description)에 기재된 내용은 리사이징 요인들로써, 화면크기, 이미지 스캔 방식 및 디코딩 화질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IDCT부319의 리사이징 크기(제어신호)가 결정된다. The video decoder 230 resizes an image received by the resizing factor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for resizing the image size may be a variable length decoder 315, an IDCT unit 319 and a motion compensation unit 335 of the video decoder 230. In this case, the factors for resizing the image size in the variable length decoder 315, the IDCT unit 319, and the motion compensator 335 may be different. The resizing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resizing factor may be classified as shown in Tables 6 to 8. The most important resizing control signal is the resizing control signal of the IDCT unit 319, and thus the resizing control signals of the variable length decoder 315 and the motion compensation unit 335 are distinguished. <Table 6> is a resizing control signal of the IDCT unit 319,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may be screen size, image scanning method, and decoding quality as resizing factors, and accordingly, the resizing size of the IDCT unit 319 (Control signal) is determined.

Figure 112005060237715-pat00007
Figure 112005060237715-pat00007

또한 상기 가변길이복호부315의 리사이징 제어신호는 하기 <표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 6>의 IDCT부319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표 7a>는 지그재그 방식의 VLD 리사이징 및 효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표 7b>는 지그재그 방식 및 대체 방식의 VLD 리사이징 및 효과에 대한 대비를 나타내고 있다. In addition, the resizing control signal of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315 is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IDCT unit 319 of Table 6 as shown in Table 7 below. Table 7a shows the results of zigzag VLD resizing and effects, and Table 7b shows the contrast of zigzag and alternative VLD resizing and effects.

Figure 112005060237715-pat00008
Figure 112005060237715-pat00008

Figure 112005060237715-pat00009
Figure 112005060237715-pat00009

그리고 상기 움직임보상부335의 리사이징 제어는 화면크기, 디코딩 화질 및 디코딩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하기 <표 8>은 움직임보상부335의 리사이징 제어신호를 나타내고 있다.The resizing control of the motion compensator 335 is determined by the screen size, the decoding quality, and the decoding speed. Table 8 below shows the resizing control signal of the motion compensator 335.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0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0

이하 상기 비디오복호기230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크기를 리사이징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Hereinafter, an operation of resizing an image siz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ideo decoder 2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변길이복호부315에서 데이터 스킵 방법을 사용하여 리사이징 하는 동작을 살펴본다. First, an operation of resizing using the data skip method in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315 will be described.

상기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의 일종인 DVB-T 방송의 표준화면 크기는 720*576화소 크기를 갖는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경우에는 대략 176*208 화소 크기의 화면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신호를 일반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시부의 크기가 대형이므로 선명한 화질로 재생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신호를 휴대단말기에서 표시하는 경우에는 일반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화면크기 신호를 그대로 복호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며, 따라서 휴대단말기는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기 전에 리사이징하여 화면 크기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사이징 처리 동작은 압축 이전의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하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1
의 경우 (1/2, 1/4) 만을 예시로 하였지만, 8x8 블록을 갖는 경우에 1/8 ~ 7/8 리사이징이 모두 가능함은 자명하다. 한편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2
의 경우는 고속 IDC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보다 빠른 연산이 가능하다. (의견) 예시로 든 것은 1/2^n 뿐이지만 (1/2, 1/4), 1/8 ~ 7/8 까지의 리사이징이 모두 가능하다. 1/2^n을 주로 하는 이유는 2^n 인 경우 Fast Algorithm (Butterfly Algorithm)을 적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가로와 세로를 각각 1/2로 줄일 경우 4*4 영역만을 IDCT하게 되면, 상기 4*4 공간 영역 데이터가 추출되는데, 이 데이터는 8*8 IDCT 수행후 평균을 낸 결과와 거의 동일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standard screen size of DVB-T broadcasting, which is a kind of digital broadcasting, has a 720 * 576 pixel size.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has a screen size of approximately 176 * 208 pixels. Therefore, whe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signal is used in a general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is large, so that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signal can be reproduced with clear picture quality. However, whe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signal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it is not efficient to decode the screen size signal of the general digital broadcast receiver as it is, so that the mobile terminal resizes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before processing it to reduce the screen size. desirable. In addition, it is efficient to perform the resizing processing operation in a state before compression. Below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1
In the case of (1/2, 1/4), only 1/8 to 7/8 resizing is possible when having 8x8 blocks. Meanwhile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2
In the case of, the fast IDCT algorithm is applied for faster computation. (Comment) As an example, it is only 1/2 ^ n (1/2, 1/4), but all 1/8 to 7/8 resizing is possible. The reason why 1/2 ^ n is mainly used is because Fast Algorithm (Butterfly Algorithm) is applicable to 2 ^ n. For example, if the width and length are each reduced to 1/2, if only 4 * 4 region IDCT is extracted, the 4 * 4 spatial region data is extracted, which is almost the same as the averaged result after performing 8 * 8 IDCT. Do.

이때 상기 4*4 영역 이외의 값을 추출해 내는 것은 무의미하다. 즉, 가변길이 복호를 통해 테이블을 비교 참조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최종 블록의 마지막(end) 위치만을 추출해내면 되고, 실제 디코딩을 수행하는 영역만을 VLD와 IDCT를 하게되면 연산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meaningless to extract values other than the 4 * 4 region. That is, the process of comparing and referring to the table through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may be omitted, and only the end position of the final block may be extracted. If the VLD and IDCT are performed only in the region where the actual decoding is performed, the computation amount may be greatly reduced.

이하의 설명에서는 지그재그 스캔 방식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대체 스캔(alternate scan) 방식의 효과도 상기 지그재그 스캔 방식에서 얻을 수 효과와 거의 비슷하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the zigzag sca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alternate scan method are almost the same as those obtained in the zigzag scan method.

도 11a는 가로 및 세로 각각 1/2로 줄인 경우의 4*4 스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4 스캔 방법은 상기 4*4 영역을 추출하기 위하여 24번째 인덱스까지만 추출하면 되며, 이는 25/64로 연산량을 줄인 것과 같다. 상기 4*4 스캔 방법은 도 9a와 같은 순행 주사 방식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도 9b 및 도 9c와 같은 격행주사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가로축의 데이터는 충분한 반면 세로축의 데이터는 전체 시간 중 1/2 시간에만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순행주사 방식에서의 4*4 크기로 리사이징하는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격행주사 방식에서는 도 11b와 같이 8*2로 리사이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는 경험적으로 IDCT한 결과과 일반적인 자연 영상에서의 오른쪽 하단부의 데이터가 적게 나타난다는 효과를 이용한 것이기도 하다.FIG. 11A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4 * 4 scanning method in the case of reducing the width and length to 1/2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1A, the 4 * 4 scanning method needs to extract only the 24th index in order to extract the 4 * 4 region, which is equivalent to reducing the amount of computation to 25/64. The 4 * 4 scan method may be used in the forward scanning method as shown in FIG. 9A.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parallel scan method as shown in FIGS. 9B and 9C, the data on the horizontal axis is sufficient while the data on the vertical axis are transmitted only for 1/2 hour of the total time.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an effect similar to the effect of resizing to 4 * 4 size in the forward scanning method, it is preferable to resizing to 8 * 2 as in FIG. 11B. It also takes advantage of the result of the IDCT empirically and the less data in the lower right part of the natural image.

도 11c는 격행주사 방식에서 4*2로 리사이징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1c를 참조하면, 격행주사(interlace scan)에 대한 가로 및 세로 1/4 리사이징 또는 순행주사(progressinve scan)에 대한 가로 및 세로 1/2 리사이징 시에 상기한 바와 같이 우측 하단부의 데이터가 낮은 빈도로 나타나는 특성이 있으며, 격행주사에서 세로축 데이터의 보강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도 11c는 격행주사 방식을 사용할 때, 우측하단부의 데이터가 낮은 빈도를 가지는 특성 및 세로축의 데이터 보강을 위한 4*2 스캔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1c와 같은 스캔 영역은 12/64로 연산량을 줄인 것과 같다. 또한 상기와 같은 특성 등을 고루 조합하여 최적의 형태를 만들어낸 것 방법은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형 4*2(modified 4*2) 스캔 방법이며, 이는 10/64로 연산량을 줄인 효과를 가진다.FIG. 11C shows an example of resizing to 4 * 2 in a parallel scan method. Referring to FIG. 11C, wh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quarter resizing for an interlace scan or the horizontal and vertical half resizing for a progressinve scan are performed, There is a low frequency and there is a need for reinforcement of vertical axis data in parallel scan. Accordingly, FIG. 11C illustrates a 4 * 2 scan area for reinforcing data on the vertical axis and a characteristic in which data in the lower right end has a low frequency when using the parallel scan method. The scan area as shown in FIG. 11C is equivalent to reducing the amount of computation to 12/64. In addition, the method of creating an optimal shape by combin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is a modified 4 * 2 scan method as shown in FIG. 11D, which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amount of computation to 10/64. Have

두 번째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IDCT부319의 필터링(zonal filtering) 방법을 사용하여 리사이징을 수행하는 동작을 살펴본다.Secondly, the operation of resizing using the zonal filtering method of the IDCT unit 31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2는 IDCT부319의 필터(zonal filter)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FIG. 12 shows a zonal filter structure of the IDCT unit 319. FIG.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길이복호부315에서 일부 영역의 화소들만을 추출하여, 즉, 리사이징하여 VLD를 수행하였듯이, 상기 IDCT부319에서도 일부 영역만을 추출하여 IDCT를 수행하며, 이때 추출영역(즉,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필터를 조널 필터(zonal filter)라 한다. 상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N*N 영역에서 n*n 영역을 추출하여 프로세싱하는 경우, N에서 n으로 리사이징되었으므로, 각 경우에 취하는 IDCT 수학식도 하기 <수학식 4> - <수학식 6>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하기 <수학식 4>는 2 포인트 IDCT 수학식이고, <수학식 5>는 4 포인트 IDCT 수학식이며, <수학식 6>은 8 포이트 IDCT 수학식이다.Referring to FIG. 12,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315 extracts only pixels of a partial region, that is, resizes to perform VLD. In the IDCT unit 319, only some regions are extracted to perform IDCT. A filter that selects (ie, a partial region) is called a zonal filter. As shown in FIG. 12, when n * n regions are extracted and processed from the N * N regions, since they have been resized from N to n, IDCT equations taken in each case are also represented by Equations 4 to 6 below: It can be expressed as Here, Equation 4 is a 2-point IDCT equation, Equation 5 is a 4-point IDCT equation, and Equation 6 is an 8-port IDCT equation.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3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3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4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4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5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5

상기 <수학식 4> - <수학식 6>은 각각 시그마(sigma)를 취하는 반복 횟수가 2-8회로 차이가 나지만, 실제적으로 고속 연산(fast algorithm)인 버터플라이 알고리듬( butterfly algorithm)을 적용하면 IDCT부분만의 실제 속도는 그 이상으로 빨라지게 된다.In Equations 4 to 6,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aking sigma differs from 2-8 times, but if a butterfly algorithm, which is a fast algorithm, is actually applied, The actual speed of the IDCT part alone is much faster.

한편 상기 부호화 과정에서 DCT를 처리하면 DC 값을 포함하여 저주파 성분은 좌상으로 몰리는 특성을 이용하면, 블록 내에 0이 아닌 값들은 대부분 좌변에 존재한다. 이 점을 고려하여 8*4의 선택 영역 중 8*2 부분만의 연산을 수행하고, 다른 계수 값들은 0으로 가정하여 처리하면 행(row)처리 과정에서 사용되었던 곱셈 및 덧셈 그리고 쉬프트 연산이 대부분 1/2로 줄어든다. 또한 4*4의 선택 영역 중에서도 4*2 부분만을 처리하게 되면 8*4와 마찬가지로 행(row) 처리 과정의 연산들이 1/2로 줄어들게 된다. 이때 상기 선택영역은 도 13a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영역을 설정한 것과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DCT 수행시 8*2의 영역만을 선택하는 것과 8*2 IDCT는 차이가 있다. 즉, 8*2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는 행(row) 처리 과정은 2*1 1-D iDCT를 8번 수행하고 열(column) 처리 과정은 8*1 1-D IDCT를 4번 수행하는 반면, 8*2 IDCT인 경우 행(row) 처리 과정은 2*1 1-D iDCT를 8번 수행하고 열(column) 처리 과정은 8*1 1-D IDCT를 2번 수행하는 차이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CT is processed in the encoding process, when the low frequency component including the DC value is driven to the upper left, most non-zero values exist in the left side of the block. Considering this, if only 8 * 2 part of 8 * 4 selection is performed and other coefficients are assumed to be 0, multiplication, addition, and shift operation used in row processing are mostly performed. Reduced to 1/2 In addition, if only 4 * 2 is processed in the 4 * 4 selection area, the operations of the row processing are reduced to 1/2 like 8 * 4. In this case, the selection area may be the same as setting the scan area as shown in FIGS. 13A to 13C. Here, when performing the IDC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selecting only an 8 * 2 region and an 8 * 2 IDCT. That is, in the case of selecting the 8 * 2 area, the row process performs 2 * 1 1-D iDCT eight times and the column process performs 8 * 1 1-D IDCT four times. In the case of 8 * 2 IDC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row processing is performed 2 * 1 1-D iDCT 8 times and column processing is 8 * 1 1-D IDCT twice.

하기 <표 9>는 8*4 IDCT 및 4*4 IDCT에서의 행 IDCT(row IDCT) 결과를 도시하는 표이며, <표 10>은 8*4 IDCT 및 4*4 IDCT에서 선택영역의 행 IDCT 결과를 도시하는 표이다.Table 9 below shows the row IDCT results in 8 * 4 IDCT and 4 * 4 IDCT, and Table 10 shows the row IDCT of the selection in 8 * 4 IDCT and 4 * 4 IDCT. Table showing the results.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6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6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7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7

상기 <표 10>은 8*4 또는 4*4 선택영역의 행 IDCT를 처리한 후에 블럭 4개에 모든 IDCT 처리된 값을 저장하는 것으로, 8*2 영역만을 선택했다고 해서 blk[2]나 blk[3]이 0으로 채워지는 것이 아니다. 즉, 상기 8*4 또는 4*4 god IDCT 처리과정에서 블록의 선택영역을 제외한 부분을 0으로 가정하고 처리하였지만, 열(column)처리 과정은 8*4의 모든 블록의 IDCT 과정이 처리된다. 8*2 IDCT처럼 수평 성분을 1/4로 축소하는 경우는 수평방향으로 너무 많은 데이터가 손실되기 때문에 추후에 표시할 때 보간을 통해 표시를 해준다고 하여도 원래의 영상과 많은 차이가 난다. 그러나 이 방법을 적용하므로써 화질의 손실은 최소화하면서 연산량 부분에서 이득을 볼 수 있다. Table 10 above shows all IDCT processed values in four blocks after processing row IDCTs of 8 * 4 or 4 * 4 selection areas.Because only 8 * 2 areas are selected, blk [2] or blk [3] is not filled with zeros. That is, in the 8 * 4 or 4 * 4 god IDCT process, the process except for the selection area of the block is assumed to be 0, but the column processing process is performed for the IDCT process of all 8 * 4 blocks. In the case of reducing the horizontal component to one-quarter like 8 * 2 IDCT, too much data is los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it is ver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image even if it is displayed through interpolation for later display. However, by applying this method, we can benefit from the amount of computation while minimizing the loss of image quality.

상기와 같은 방법은 MPEG 부호화 방식을 사용한 영상신호를 복호하는 비디오 복호기에서 IDCT부의 리사이징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상기 H.264와 같이 IT(integer transform)을 사용하여 영상신호를 부호화하는 경우에도 유사한 리사이징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비디오 복호기는 IIT(inverse integer Transform)부를 이용하여 리사이징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IIT부의 리사이징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above method shows the resizing effect of the IDCT unit in the video decoder which decodes the video signal using the MPEG encoding method. However, even when encoding an image signal using an IT (integer transform) as in H.264 may have a similar resizing effect. In this case, the video decoder may perform a resizing operation using an inverse integer transform (ITT) unit, and a resizing method of the IIT unit will be described later.

세 번째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움직임보상부335에서 최소 움직임 보상 방법을 사용하여 리사이징을 수행하는 동작을 살펴본다.Third, the operation of resizing using the minimum motion compensation method in the motion compensator 33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PEG2의 비디오 압축 규격에서 움직임 보상은 하프-펠 해상도(half-pel resolution) 수준을 적용 보간하여 상관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채널을 통해 전송된 움직임 정보는 도 14a와 같이 하프-펠 해상도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조널 필터(zonal filter)에서 8*8 블록 중 8*4 또는 4*4 영역만을 선택하여, 이에 맞춰 수평을 1/2 또는 수평 수직으로 각각 1/2로 축소된 영상을 출력하는 복호기를 구현할 경우에는 전송된 하프-펠 해상도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도 14b와 같은 쿼터-펠 해상도(quater-pel)으로의 보간을 통해 움직임 보상을 적용하여 움직임 보상시 발생하는 에러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조널 필터에서 8*8 블록 중 8*2 영역만을 선택하여, 이에 맞춰 수평을 1/4로 축소된 영상을 출력하는 복호기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전송된 하프-펠 해상도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도 14c와 같은 1/8-펠 해상도(octa-pel resolution)으로의 보간을 통해 움직임 보상을 적용하여 움직임 보상시 발생하는 에러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즉, 1/2로 축소었을 때는 전송된 6비트의 움직임 정보 중에서 하위 2비트는 쿼터-펠 해상도로 까지 보간할 수 있고, 1/4로 축소되었을 때는 전송된 6비트의 움직임 정보 중에 하위 3비트는 1/8-펠 해상도로 보간할 수 있는 정보를 담고 있다.In MPEG2's video compression standard, motion compensation allows for higher correlation by applying half-pel resolution levels. That is, the mo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hannel has a half-pel resolution as shown in FIG. 14A.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zonal filter, only the 8 * 4 or 4 * 4 region is selected among the 8 * 8 blocks, and accordingly, the image is reduced to 1/2 or horizontally vertically by 1/2 respectively. When the decoder is implemented, the motion compensation can be considerably reduced by applying motion compensation through interpolation from the transmitted half-pel resolution motion information to the quarter-pel resolution as shown in FIG. 14B. . Also, in the case of implementing a decoder that selects only 8 * 2 areas of 8 * 8 blocks in the Johnland filter and outputs a horizontally reduced image according to the figure, the motion filter of the transmitted half-pel resolution is shown in FIG. By interpolating to the same octa-pel resolution, motion compensation can be applied to reduce errors in motion compensation. That is, when reduced to 1/2, the lower 2 bits of the transmitted 6-bit motion information can be interpolated to the quarter-pel resolution. When reduced to 1/4, the lower 3 bits of the transmitted 6-bit motion information are reduced. Contains information that can be interpolated at 1 / 8-pel resolution.

도 14d는 쿼터-펠 해상도로 움직임 보상을 위한 보간 기법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하프 펠 비트를 Xh, Yh라 하고 쿼터-펠 정보를 가지는 비트를 Xq,Yq라 하면, 좌상단의 인테져 픽셀(integer pixel)로부터의 위치 Xdist=0.5*Xh+0.25*Xq, Ydist=0.5*Yh+0.25Yq가 된다. 상기 쿼터-펠 해상도 수준으로 움직임 보상을 할 때 쿼터-펠 위치(quater-pel position)에 위치되는 픽셀 d[i]는 좌상단의 인테져 픽셀 위치로부터 Xdist와 Ydist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가중치는 1-Xdist와 1-Ydist가 된다. 따라서 바이-리니어 보간(bi-linear interpolation)시 d[i]는 상기 <표 1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14D shows an example of an interpolation technique for motion compensation at quarter-pel resolution. If the half pel bit is Xh, Yh and the bit having quarter-pel information is Xq, Yq, the position from the upper left integer pixel Xdist = 0.5 * Xh + 0.25 * Xq, Ydist = 0.5 * Yh + 0.25Yq. When the motion compensation is performed at the quarter-pel resolution level, the pixel d [i] positioned at the quarter-pel position is located at a distance of Xdist and Ydist from the integrator pixel position of the upper left corner. Therefore, the weights are 1-Xdist and 1-Ydist. Accordingly, in bi-linear interpolation, d [i] may be represented as shown in Table 11 above.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8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8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디오복호기230이 상기 <표 5>와 같은 리사이징 요인에 의해 부호화된 영상을 리사이징하여 복호한다. 상기 <표 5>와 같은 리사이징 요인들 중에서 화면크기(display size, SD: full size, CIF:half size, QCIF:quater size) 및 화질(decoding quality)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스캔방식(image scan, block scan)은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신호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속도(decoding speed)는 휴대단말기의 통신 환경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1과 같은 구성을 디지털 방송 수신기 수신기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신호를 처리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의 크기 및 표시 화질을 선택한다. 이때 상기 화면의 크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풀사이즈(SD: 720*576화소), 하프사이즈(CIF: 360*288) 및 쿼터사이즈(180*244)들 중에 하나가 설정될 수 있으며, 화질은 고화질 및 일반화질이 될 수 있다. 또한 비디오복호기230은 수신되는 비디오 ES의 헤더에서 스캔 방식을 분석하여 리사이징 요인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스캔 방식은 이미지스캔 방식(화면출력 방식)으로는 순행주사와 격행주사가 될 수 있으며, 블록스캔방식으로 지그재그스캔과 대체스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록스캔 방식의 경우 지그재그 스캔 방식에 대해서만 고려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제어부100은 디지털 방송신호의 수신속도에 따라(즉, 통신환경)에 따라 디코딩 화질을 결정한다. 즉, 휴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 통신 환경이 양호하면 통신품질이 향상되며, 따라서 비디오복호기230은 양질의 디코딩 화질로 복호할 수 있으며, 통신환경이 열악하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신호의 디코딩화질이 저하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decoder 230 resizes and decodes an image encoded by the resizing factor as shown in Table 5. Among the resizing factors as shown in Table 5, the display size, SD: full size, CIF: half size, QCIF: quater size, and quality can be set by the user. The image scan and the block scan may be determined by the received digital broadcast receiver signal, and the decoding speed may be set by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mobile terminal. Therefore, whe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receiver processes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signal and displays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on the display unit 150, the user selects the size and display quality of the screen to be displayed.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screen may be one of full size (SD: 720 * 576 pixels), half size (CIF: 360 * 288), and quarter size (180 * 244) as described above, and the image quality is high quality. And general definition. In addition, the video decoder 230 determines a resizing factor by analyzing a scan method in the header of the received video ES. The scan method may be a forward scan and a parallel scan as an image scan method (a screen output method), and may include a zigzag scan and an alternative scan method as a block scan metho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block scan method only considers the zigzag scan metho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e decoding quality according to the reception speed of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ie,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That is, i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mobile terminal is good, the communication quality is improved. Therefore, the video decoder 230 can decode with high quality decoding quality. If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poor, the decoding quality of the received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signal is degraded. do.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비디오복호기230의 리사이징 사이즈는 상기 <표 5>와 같은 리사이징 요인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리사이징 요인만으로 부호화된 영상의 리사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리사이징 요인 중 화면크기 요인만으로도 리사이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비디오복호기230의 리사이징은 8*8, 4*4, 2*2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사이징 요인 중 화면크기 및 이미지스캔 요인만으로 리사이징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복호기의 리사이징은 순행주사이면 리사이징은 8*8, 4*4, 2*2가 될 수 있으며, 격행주사이면 리사이징은 8*4, 4*2, 4*2(modified)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디오복호기230의 리사이징은 상기 <표 5>와 같은 리사이징 요인들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 5>의 모든 리사이징 요인들을 고려하여 비디오복호기230의 리사이징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sizing size of the video decoder 230 may perform resizing of an image encoded by only one or more resizing factors among the resizing factors as shown in Table 5. That is, the resiz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only by the screen size factor among the resizing factors. In this case, the resizing of the video decoder 230 may be 8 * 8, 4 * 4, 2 * 2. In addition, when the resizing operation is performed only by the screen size and the image scanning factor among the resizing factors, if the resizing of the video decoder is a forward scan, the resizing may be 8 * 8, 4 * 4, 2 * 2. Resizing can be 8 * 4, 4 * 2, 4 * 2 (modified), and so on. Therefore, the resizing of the video decoder 230 may be used by setting one or more of the resizing factors as shown in Table 5. In the follow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resizing function of the video decoder 230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all the resizing factors of Table 5.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된 영상을 리사이징하여 복호하는 비디오복호기23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5a 및 도 15b에서 가변길이복호부315, IDCT부319 및 움직임보상부335에 표시된 R은 각각 해당 구성에서 설정된 리사이징 제어에 따라 영상을 리사이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도 15a는 I,B,P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영상들을 복호할 수 있는 비디오복호기23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5b는 I 및 P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영상들을 복호할 수 있는 비디오복호기23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15A and 15B illustrate a configuration of a video decoder 230 for resizing and decoding an encode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A and 15B, R shown in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315, the IDCT unit 319, and the motion compensation unit 335 respectively perform a function of resizing the image according to the resizing control set in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15A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video decoder 230 capable of decoding frame images consisting of I, B, and P frames, and FIG. 15B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video decoder 230 capable of decoding frame images consisting of I and P frames. The configuration is shown.

도 16은 비디오 복호기230의 리사이징 제어를 위한 리사이징 요인들을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6은 제어부100에서 리사이징 요인들을 분석하여 비디오 복호기230의 영상 리사이징을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determining resizing factors for resizing control of video decoder 230. FIG. 16 illustrates a procedure of controlling image resizing of the video decoder 230 by analyzing resizing factors in the controller 100.

상기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방송수신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리사이징 요인들을 분석하여 비디오복호기230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리사이징 요인들은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5가지 또는 그 이하가 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110은 511단계에서 출력화면 크기에 따라 영상화면의 크기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출력화면의 크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어부100이 표시부150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50은 휴대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가 전화인 경우 유럽형인 경우에는 176*208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국내형인 경우에는 176*200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00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150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Referring to FIG. 16, when the broadcast reception mode is set,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video decoder 230 by analyzing the resizing factors. In this case, the resizing factors may be five or less as shown in Table 5. First, in step 511,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e size of the video screen according to the output screen size.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output screen may be determined by a user input, and the control unit 100 may automatically set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15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150. The display unit 150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portable terminal. That is, when the mobile terminal is a telephone, the mobile terminal may have a size of 176 * 208 in the case of the European type, and may have a size of 176 * 200 in the case of the domestic typ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ntroller 100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150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화면 출력방식을 확인한다. 상기 화면 출력방식(image scan)의 정보는 비디오 영상의 헤더정보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비디오복호기230의 헤더분석기311은 수신되는 영상의 헤더에서 상기 이미지 스캔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513단계에서 현재 수신되는 있는 영상신호의 화면 출력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면 출력 방식은 상기 도 9a와 같은 순행주사(progressive scan) 방식과 상기 도 9b 및 도 9c와 같은 격행주사(interlace scan) 방식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checks a screen output method. The information of the image scan method is inserted in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video image. Accordingly, the header analyzer 311 of the video decoder 230 extracts the image scan information from the header of the received image and transmits the image scan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00. In operation 513, the controller 100 may check a screen output method of a video signal currently received. The screen output method may include a progressive scan method as shown in FIG. 9A and an interlace scan method as shown in FIGS. 9B and 9C.

또한 상기 제어부300은 블록 스캔 방식을 확인한다. 상기 블록 스캔 방식(block scan)의 정보는 비디오 영상의 헤더정보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비디오복호기230의 헤더분석기311은 수신되는 영상의 헤더에서 상기 블록 스캔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515단계에서 현재 수신되는 있는 영상신호의 화면 출력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스캔 방식은 상기 도 10a와 같은 지그재그 스캔(zig-zag scan) 방식과 상기 도 10b와 같은 대체 스캔(alternative scan) 방식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300 checks a block scan method. The block scan information is inserted into header information of a video image. Accordingly, the header analyzer 311 of the video decoder 230 extracts the block scan information from the header of the received image and transmits the block scan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00. In operation 515, the control unit 100 may check a screen output method of a video signal currently received. Here, the block scan method includes a zig-zag scan method as shown in FIG. 10A and an alternative scan method as shown in FIG. 10B.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비디오복호기230의 화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질(decoding quality)는 화면의 해상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여러 종류의 화질 종류를 설정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화질과 일반화질 두 종류인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송수신모드를 수행할 때 일반화질 또는 고화질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질 종류가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7단계에서 선택된 화질의 종류를 확인하며, 고화질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5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을 상향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일반화질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으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의 변경없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image quality of the video decoder 230 by the user's selection. Here, the decoding quality may affect the resolution of the screen, and various kinds of image quality may be set.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image quality is two kinds of high quality and general quality. Accordingly, the user may select general picture quality or high picture quality when performing the broadcast reception mode. Accordingly, when the type of the image quality is determined, the controller 100 checks the type of the image quality selected in step 517. If the image quality is high,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521 and adjusts the resizing control value upward. In case of the general picture quality,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the next step without changing the resizing control value.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휴대단말의 환경을 분석하여 복호 속도(decoding speed)를 결정한다. 상기 제어부100은 527단계에서 복호시 속도를 우선시하는 경우에는 525단계로 진행하여 리사이징 제어값을 하향 조정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을 변경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속도를 우선하는 경우에는 단위시간에 많은 수의 프레임 데이터들을 복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e decoding speed by analyzing the environment of the mobile terminal. If the control unit 100 prioritizes the speed at the time of decoding in step 527, the controller 100 adjusts the resizing control value downward in step 525. Otherwise, the controller 100 does not change the resizing control value. If the speed is given priority, a large number of frame data can be decoded in a unit time.

상기 리사이징 요인들에 의해 결정된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리사이징 제어값들을 각각 가변길이복호부315, IDCT부319 및 움직임보상부335의 각 리사이저부(resizer)410, 420 및 450에 각각 출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529단계에서 상기 비디오복호기230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 신호를 복호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비디오복호기230은 상기와 리사이징 제어에 따라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신호를 복호하여 표시부150에 출력한다. Determine a resizing control value determined by the resizing factors, and output the determined resizing control values to each of the resizers 410, 420, and 450 of the variable length decoder 315, IDCT unit 319, and motion compensation unit 335, respectively. do. In step 529,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video decoder 230 to decode the received video signal of the digital broadcast. The video decoder 230 decodes the video signal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d according to the resizing control and outputs the decoded video signal to the display unit 150.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531단계에서 현재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신호를 복호하는 리소스가 부족한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리소스는 상기 비디오복호기230의 상기 디코딩 속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가 디지털 방송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여 리소스(resource: 연산능력)가 부족한 경우, 또는 디지털 방송수신 환경에서 디코딩 정보가 부족한 경우(즉, 휴대단말기의 통신 환경이 열악해져 방송 수신 성능이 저하된 경우) 등에서는 상기 복호 속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531단계에서 현재 휴대단말기의 상태를 검사하여 리소스가 부족하거나 또는 디코딩 정보가 부족한 경우에는 525단계로 진행하여 리사이징 제어값을 하향 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현재의 리사이징 제어값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디코딩 동작을 계속 수행시킨다.In step 531,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a resource for decoding the video signal of the digital broadcast currently received is insufficient. Here, the resource affects the decoding speed of the video decoder 230. That is, when the mobile terminal runs another application while performing the digital broadcast service mode, the resource is insufficient or the decoding information is insufficient i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ing environment (that is,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mobile terminal is insufficient). Deterioration, and the broadcast reception performance is degraded). Therefore, in step 531, the controller 100 checks the state of the current mobile terminal and if the resource is insufficient or the decoding information is insufficient,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525 to adjust the resizing control value downward. Otherwise, the controller 100 adjusts the current resizing control value. The decoding operation is continued while maintaining the value of.

상기한 바와 같이 리사이저 요인에 따라서 리사이징을 제어하는 절차를 살펴보면, 사용자의 선택 또는 휴대단말기의 표시부150 크기에 따라 화면 크기를 결정하고,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신호의 스트림 성격에 따라 화면 출력방식 및 블록 스캔 방식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화질요소를 감안하여 복호 화질의 종류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자체의 판단에 따라 속도를 우선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을 하향 조절하여 복호 속도를 높게 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procedure of controlling the resizing according to the resizer factor 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siz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150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screen output method and block according to the stream characteristics of the received digital broadcast signal. The scanning method is determined, and the type of the decoded image quality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image quality element by the user's input. The controller 100 may increase the decoding speed by adjusting the resizing control value downward when prioritizing the speed according to its own determination.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와 같은 리사이징 요인들을 분석하여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한다. 이때 상기 가변길이복호부315, IDCT부319 및 움직임보상부335의 리사이징 제어값은 상기 <표 7a>, <표 7b>, <표 6> 및 <표 8>에 나타나 있다. 여기서 상기 <표 6>을 참조하여 IDCT부319의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하는 예를 살펴보면, 상기 출력화면 크기가 CIF 규격이고, 이미지 스캔이 순행스캔방식이며, 디코딩 속도가 일반이며, 디코딩 화질이 고화질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사이징 제어값으로 4*4로 결정한다. 또한 상기 출력화면 크기가 CIF 규격이고, 이미지 스캔이 격행주사방식이며, 디코딩 속도가 일반이며, 디코딩 화질이 고화질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사이징 제어값으로 8*4로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IDCT부319의 리사이징 제어값은 상기 가변길이복호부315에도 동일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움직임보상부335의 리사이징 제어값은 화면크기, 디코딩화질 및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즉, 화면크기가 CIF이고 디코딩화질이 고화질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움직임보상부335의 리사이징 제어값으로 쿼터펠(quater-pel)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화면크기가 QCIF이고 디코딩화질이 일반화질이고, 디코딩속도가 일반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움직임보상부335의 리사이징 제어값으로 하프펠(half-pel) 제어센호를 출력한다.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e resizing control value by analyzing the resizing factors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resizing control values of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315, the IDCT unit 319, and the motion compensation unit 335 are shown in Tables 7a, 7b, 6, and 8, respectively. Here, referring to Table 6, an example of determining the resizing control value of the IDCT unit 319 is that the output screen size is a CIF standard, the image scan is a progressive scan method, the decoding speed is general, and the decoding quality is high. In the case of,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4 * 4 as the resizing control value as shown in Table 6. In addition, when the output screen size is CIF standard, the image scanning is a progressive scan method, the decoding speed is general, and the decoding quality is high quality, the control unit 100 uses a resizing control value of 8 * as shown in Table 6. Determine 4 The same resizing control value of the IDCT unit 319 is used in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315 in the same way. In addition, the resizing control value of the motion compensator 335 is determined by the screen size, the decoding quality, and the speed. That is, when the screen size is CIF and the decoding quality is high quality, the control unit 100 outputs a quarter-pel control signal as the resizing control value of the motion compensator 335, the screen size is QCIF, and the decoding quality is general quality. If the decoding speed is normal, the controller 100 outputs a half-pel control sensor as the resizing control value of the motion compensator 335.

상기 도 15a 및 도 15b는 리사이징 기능을 가지는 비디오복호기230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도 15a는 I,B,P 프레임 영상을 복호하는 비디오복호기230의 구성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5b는 I 및 P 프레임 영상을 복호하는 비디오복호기230의 구성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도 15a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15A and 15B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video decoder 230 having the resizing function. 15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video decoder 230 that decodes I, B, and P frame images, and FIG. 15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video decoder 230 that decodes I and P frame images.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A.

상기 도 15a를 참조하면, 헤더분석부311은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헤더정보를 추출 및 분석한 후, 이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도 16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한 후, 이 값들을 각각 가변길이복호부315, IDCT부319 및 움직임보상부335의 각 리사이저410,420 및 450에 인가한다. Referring to FIG. 15A, the header analyzer 311 extracts and analyzes header information of a received video signal and transmits the header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00. Then,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e resizing control value while performing the procedure as shown in FIG. 16 and applies these values to the resizers 410, 420, and 450 of the variable length decoder 315, the IDCT unit 319, and the motion compensation unit 335, respectively.

도 17은 가변길이복호부315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315. FIG.

상기 도 17을 참조하면, 리사이저(VLD resizer)410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리사이징 제어값을 입력하며,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에 따라 상기 테이블변환부413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테이블변환부413의 출력을 출력버퍼415에 출력한다. 테이블변환부413은 가변길이 복호를 위한 테이블을 구비하며, 버퍼313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타를 입력하며, 상기 입력되는 가변길이로 부호화된 영상데이타를 원래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리사이저410의 제어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출력버퍼415는 상기 리사이저410의 제어하에 상기 테이블변환부413에서 원래의 데이터로 복호된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출력한다. Referring to FIG. 17, a VLD resizer 410 inputs a resizing control value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0, controls an operation of the table converter 413 according to the resizing control value, and controls the table converter 413. Outputs to the output buffer 415. The table converter 413 includes a table for variable length decoding, inputs image data output from the buffer 313, converts the input image data encoded with the variable length into original data, and outputs the resizer 410. The driv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output buffer 415 buffers and outputs the data decoded into the original data by the table converter 413 under the control of the resizer 410.

상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길이복호부230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리사이징 제어값에 따라 복호 동작이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은 <표 7a> 및 <표 7b>와 같은 값이 될 수 있으며, 여기에 블록스캔 방식의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들면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이 4*4의 지그재그스캔 방식이면, 상기 리사이저410은 상기 테이블변환부413을 제어하여 24번째 화소데이타까지 가변길이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출력버퍼415에는 0, 1, 2, 3, 4, 5, 6, 7, 8, 9, 11, 12, 13, 17, 18, 24번째의 16화소 데이터들이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이 4*4의 대체스캔 방식이면, 상기 리사이저410은 상기 테이블변환부413을 제어하여 25번째 화소데이타까지 가변길이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출력버퍼415에는 0, 1, 2, 3, 4, 5, 6, 7, 8, 9, 18, 19, 10, 21, 24, 25번째의 16화소 데이터들이 저장되도록 제어한다.As illustrated in FIG. 17, the variable length decoder 230 controls a decoding operation according to a resizing control value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0. In this case, the resizing control value may be a value as shown in Tables 7a and 7b, and includes information on a block scan method. For example, if the resizing control value is a zigzag scan method of 4 * 4, the resizer 410 controls the table converter 413 to decode variable length coded data up to a 24th pixel data, and the output buffer 415 The 16th pixel data of 0, 1, 2, 3, 4, 5, 6, 7, 8, 9, 11, 12, 13, 17, 18, and 24th are controlled to be stored. In addition, if the resizing control value is 4 * 4 alternative scanning method, the resizer 410 controls the table converter 413 to decode the variable length coded data up to the 25th pixel data, and 0 to the output buffer 415. 16, data of 1, 2, 3, 4, 5, 6, 7, 8, 9, 18, 19, 10, 21, 24 and 25 are controlled to be stored.

또한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이 4*2의 지그재그스캔 방식이면, 상기 리사이저410은 상기 테이블변환부413을 제어하여 11번째 화소데이타까지 가변길이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출력버퍼415에는 0, 1, 2, 3, 4, 8, 9, 11번째의 8화소 데이터들이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이 4*2의 대체스캔 방식이면, 상기 리사이저410은 상기 테이블변환부413을 제어하여 9번째 화소데이타까지 가변길이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출력버퍼415에는 0, 1, 2, 3, 4, 5, 8, 9번째의 16화소 데이터들이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if the resizing control value is a 4 * 2 zigzag scan method, the resizer 410 controls the table converter 413 to decode the variable length coded data up to the 11th pixel data, and 0 to the output buffer 415. The 8th, 1st, 2nd, 3rd, 4th, 8th, 9th and 11th pixel data are controlled to be stored. In addition, when the resizing control value is 4 * 2 alternative scanning method, the resizer 410 controls the table converter 413 to decode the variable length coded data up to the ninth pixel data, and 0 in the output buffer 415. And 16th, 1st, 2nd, 3rd, 4th, 5th, 8th, and 9th pixel data are stored.

상기한 바와 같이 가변길이복호부315는 리사이징 제어값에 의해 설정되는 일정 영역에서만 가변길이 복호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면된다. 따라서 처음 VLD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받아서 출력버퍼415에 출력하면서, 리사이징 제어값에 따라 출력 영역을 넘어선 경우에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바이패스시키며 VLD를 종료한다. 이런 경우, 상기 바이패스되는 데이터들은 복호에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들이므로 VLD 값이 제대로 넘어가지 않아도 전혀 상관이 없다. 이때 상기 가변길이복호부230은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이 설정되면, 설정된 리사이징 제어값의 마지막 화소 데이터까지 복호를 하게 되며, 이때 해당 리사이징 제어값의 마지막 화소 데이터는 지그재그 스캔 방식 및 대체스캔 방식에 따라 다르다, 상기 <표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리사이징에 따른 가변길이복호부230의 복호 계산 량이 대폭 감축됨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315 may perform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only in a predetermined region set by the resizing control value and confirm the result. Therefore, the first VLD is performed and the result is output to the output buffer 415. If the output area is exceeded according to the resizing control value, the input stream is bypassed and the VLD is terminated. In this case, since the bypassed data are data that are not used for decoding, it does not matter at all even if the VLD value is not properly crossed. In this case, when the resizing control value is set,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230 decodes the last pixel data of the set resizing control value, and the last pixel data of the resizing control value depends on the zigzag scan method and the alternative scan method. As shown in Table 7b, it can be seen that the amount of decoding calculation of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230 according to the resizing is greatly reduced.

도 18은 상기 비디오복호기230의 IDCT부319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8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DCT unit 319 of the video decoder 230. As shown in FIG.

상기 도 18을 참조하면, 버퍼421은 상기 가변길이복호부315의 출력버퍼415가 될 수 있다. 상기 IDCT부319은 먼저 Y축 화소들의 DCT를 수행한 후, X축 화소들의 DCT를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IDCT부319는 Y축 리사이저421 및 X축 리사이저431을 구비하며, 상기 Y 및 X 리사이저들은 상기 조널필터(zonal filter)에 의해 스캔영역이 결정된다. 먼저 Y리사이저421은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에서 Y축의 리사이징 제어값을 확인한 후, 상기 버퍼415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IDCT423-428들 중의 해당하는 IDCT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IDCT는 상기 버퍼415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IDCT하여 출력하여 버퍼429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Y축 데이터들의 IDCT를 수행하면 상기 버퍼429에 저장된다. 그러면 두 번째로 X리사이저431은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에서 X축의 리사이징 제어값을 확인한 후, 상기 버퍼429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IDCT433-438들 중의 해당하는 IDCT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IDCT는 상기 버퍼429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IDCT하여 출력하여 버퍼439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X축 데이터들의 IDCT를 수행하면 상기 버퍼429에는 Y축 및 X축 IDCT를 수행한 결과값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도 18은 Y축의 리사이징 제어 값에 의해 선택되는 IDCT변환기가 IDCT 동작을 수행한 후, X축의 리사이징 제어 값에 의해 선택되는 IDCT변환기가 IDCT 동작을 수행하여 리사이징 IDCT를 수행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먼저 X축의 리사이징 제어 값에 의해 선택되는 IDCT변환기가 IDCT 동작을 수행한 후, Y축의 리사이징 제어 값에 의해 선택되는 IDCT변환기가 IDCT 동작을 수행하여 리사이징 IDCT를 수행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Referring to FIG. 18, the buffer 421 may be an output buffer 415 of the variable length decoder 315. The IDCT unit 319 first performs DCT of the Y-axis pixels, and then performs DCT of the X-axis pixels. Accordingly, the IDCT unit 319 includes a Y-axis resizer 421 and an X-axis resizer 431, and the scan area of the Y and X resizers is determined by the zonal filter. First, the Y resizer 421 checks the resizing control value of the Y-axis in the resizing control value, and then transfers the data output from the buffer 415 to the corresponding IDCT among the IDCT423-428. Then, the IDCT outputs the IDCT data output from the buffer 415 and stores the data in the buffer 429. When IDCT of Y-axis data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IDCT is stored in the buffer 429. Secondly, the X resizer 431 checks the resizing control value of the X-axis in the resizing control value, and then transfers the data output from the buffer 429 to the corresponding IDCT among the IDCT433-438. The IDCT then IDCTs the data output from the buffer 429 and outputs the data in the buffer 439. When the IDCT of the X-axis data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buffer 429 stores the result values of the Y-axis and the X-axis IDCT. 18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n IDCT converter selected by the resizing control value of the Y axis performs an IDCT operation, and then an IDCT converter selected by the resizing control value of the X axis performs an IDCT operation to perform resizing IDCT. have. However, first, the IDCT converter selected by the resizing control value of the X axis performs the IDCT operation, and then the IDCT converter selected by the resizing control value of the Y axis performs the IDCT operation to perform the resizing IDCT.

상기 IDCT부319의 리사이징 제어값은 상기 <표 6>과 같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IDCT 리사이징 제어값이 8*4인 경우, 상기 Y리사이저421은 상기 버퍼415에 저장된 데이터를 8포인트 IDCT423에 전달하며, 상기 8포인트 IDCT423은 상기 버퍼415에서 전달되는 8포인트 Y축 화소데이타들을 IDCT하여 버퍼429에 저장한다. 그리고 X리사이저431은 상기 버퍼429에 저장된 데이터를 4포인트 IDCT435에 전달하며, 상기 4포인트 IDCT435는 상기 버퍼432에서 출력되는 x축 4포인 데이터(Y축 IDCT를 수행한 데이터)를 IDCT하여 버퍼439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IDCT 리사이징 제어값이 4*2인 경우, 상기 Y리사이저421은 데이터를 4포인트 IDCT425에 전달하고 X리사이저431은 데이터를 2포인트 IDCT437에 전달한다.The resizing control value of the IDCT unit 319 is determined as shown in Table 6. Therefore, when the IDCT resizing control value is 8 * 4, the Y resizer 421 transfers data stored in the buffer 415 to 8-point IDCT423, and the 8-point IDCT423 is 8-point Y-axis pixel data transferred from the buffer 415. IDCT them and store them in the buffer 429. The X Resizer 431 transfers the data stored in the buffer 429 to the 4-point IDCT435, and the 4-point IDCT435 IDCTs the x-axis 4-point data (Y-axis IDCT data) output from the buffer 432 to buffer 439. Store in When the IDCT resizing control value is 4 * 2, the Y resizer 421 transfers data to the 4-point IDCT425 and the X resizer 431 transfers the data to the 2-point IDCT437.

상기와 같이 IDCT의 경우, 각각 8*8, 8*4, 8*2, 4*4, 4*2, 2*2, 4*1, 2*1, 1*1 등의 리사이징 제어값에 따라 Y축 및 X축의 연산을 각각 수행한다. 이때 8포인트, 4포인트, 2포인트 IDCT 수식은 동일하므로, 상기 Y리사이저421 및 X리사이저431은 상기 IDCT 계수값을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에 따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DCT부319는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에 의해 결정되는 일부 영역만을 추출하여 Y축 및 X축의 IDCT를 수행하며, 나머지 영역의 데이터를 IDCT를 수행하지 않는 조널 필터(zonal filter)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IDCT부319의 리사이징은 상기 도 13a - 도 13c의 예시와 같이 리사이징 제어값에 의해 설정된 영역에 대하여 Y축 IDCT를 수행한 후 X축IDCT를 수행하면 나머지 영역의 화소들에 대해서는 IDCT를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DCT 리사이징 제어값 및 효과는 상기 <표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case of IDCT, according to resizing control values such as 8 * 8, 8 * 4, 8 * 2, 4 * 4, 4 * 2, 2 * 2, 4 * 1, 2 * 1, 1 * 1, etc. Perform the operation of Y-axis and X-axis respectively. In this case, since the 8-point, 4-point, and 2-point IDCT equations are the same, the Y resizer 421 and the X resizer 431 serve to transmit the IDCT coefficient value according to the resizing control valu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2, the IDCT unit 319 extracts only a partial region determined by the resizing control value to perform IDCT on the Y-axis and the X-axis, and does not perform IDCT on the data of the remaining region. Use zonal filter method. Accordingly, in the resizing of the IDCT unit 319, as shown in FIGS. 13A to 13C, if the Y-axis IDCT is performed on the area set by the resizing control value and the X-axis IDCT is performed, the IDCT is performed on the pixels of the remaining area. I never do that. Therefore, the IDCT resizing control values and 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presented as shown in Table 6.

도 19는 상기 비디오복호기230의 움직임보상부335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9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tion compensator 335 of the video decoder 230. FIG.

상기 도 19를 참조하면, 입력버퍼461은 상기 수신되는 비디오데이타의 움직임 벡터값을 입력하여 버퍼링한다. 리사이저450은 상기 리사이징 제어신호에 의해 해당하는 움직임보상부를 선택하며 상기 입력버퍼461의 움직임 벡터값을 전달한다. 움직임보상부들은 쿼터펠보상부463, 하프펠보상부465, 옥타펠보상부467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사이저450의 선택에 의해 구동되어 입력되는 현 프레임의 움직임벡터 및 이전 및(또는) 다음 영상의 움직임벡터 값을 이용하여 설정된 크기로 움직임을 보상한다. 출력버퍼469는 움직임이 보상된 상기 쿼터펠보상부463, 하프펠보상부465, 옥타펠보상부467의 출력을 버퍼링하여 출력한다. Referring to FIG. 19, an input buffer 461 inputs and buffers a motion vector value of the received video data. The resizer 450 selects a corresponding motion compensator based on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a motion vector value of the input buffer 461. The motion compensators may be composed of a quarter pel compensator 463, a half pel compensator 465, and an octafel compensator 467. The motion vector and the previous and / or ) Compensates for the motion with the set size using the motion vector value of the next image. The output buffer 469 buffers and outputs the outputs of the quarter-pel compensator 463, the half-pel compensator 465, and the octafel compensator 467 whose motion is compensated.

상기 움직임 보상부335의 동작을 살펴보면, 움직임보상부335의 리사이징 제어는 상기 <표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크기, 디코딩 화질 및 디코딩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움직임보상부335에서 하프펠로 고정하는 경우에는 움직임 보상시 디코딩 화질에 영향을 줄수 있다. 예를들면 8*8 화면에서 1.5화소 위치로 움직임을 보상하는 경우, 4*4 및 8*4 화면에서는 0.75 화소 위치로 움직임을 보상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4*4 또는 8*4 화면에서 하프펠 방식으로 움직임을 보상하는 경우에는 0,5 화소 위치 단위로 움직임을 보상하게 되어 디코딩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8*4화면의 X축 움직임 보상, 4*4화면의 Y축 및 X축 움직임 보상, 4*2화면의 Y축 움직임 보상들은 쿼터펠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움직임 보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4*4, 8*4, 4*2에서 디코딩 속도를 우선으로 하는 경우에는 하프펠 방식을 사용하고 화질을 우선으로 하는 경우에는 쿼터펠 방식 또는 옥타펠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4*2, 8*2, 2*2 방식에서 속도를 우선으로 하는 경우에는 하프펠 또는 쿼터펠 방식을 사용하고 화질을 우선으로 하는 경우에는 옥타펠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기본적으로 쿼터펠을 사용하는 H.264와 같은 비디오 복호기에서는 8*4, 4*4, 4*2와 같은 영상을 1/2로 리사이징하는 경우에는 옥타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tion compensator 335, the resizing control of the motion compensator 335 is determined by the screen size, the decoding quality, and the decoding speed, as shown in Table 8. When the motion compensation unit 335 fixes the half pel, the motion compensation may affect decoding quality. For example, in case of compensating for the movement of 1.5 pixels on an 8 * 8 screen, the motion should be compensated for at a 0.75 pixel position on 4 * 4 and 8 * 4 screens. In this case, when the motion is compensated by the half-pel method on the 4 * 4 or 8 * 4 screen, the motion may be compensated by the unit of 0,5 pixel positions, thereby reducing the decoding efficiency. Therefore, the use of the quarter-pel method can improve the motion compensation efficiency of the 8 * 4 screen X-axis motion compensation, the 4 * 4 screen Y-axis and X-axis motion compensation, and the 4 * 2 screen Y-axis motion compensat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half-pel method when the decoding speed is the priority in 4 * 4, 8 * 4, and 4 * 2, and the quarter-pel method or the octafel method when the image quality is the priority. Also, if the speed is prioritized in the 4 * 2, 8 * 2, and 2 * 2 methods, the half-pel or quarter-pel method should be used, and the octapeel method should be used when the image quality is the priority. In addition, in video decoders such as H.264 that basically use quarter-pel, octape can be used to resize images such as 8 * 4, 4 * 4, and 4 * 2 in half.

여기서 상기 비디오 복호기230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도 16의 529 과정은 도 20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 과정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The video decoder 230 may be configured in software. In this case, the process 529 of FIG. 16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20. 2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video decod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도 16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가변길이복호부315, IDCT부319 및 움직임보상부335의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한다. 이후 부호화된 비디오데이타가 수신되면, 611단계에서 수신되는 비디오 스트램의 헤더를 분석하며, 613단계에서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한다. 이후 615단계에서 프레임을 분석한다. Referring to FIG. 20,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e resizing control values of the variable length decoder 315, the IDCT unit 319, and the motion compensator 335 while performing the procedure of FIG. 16. Thereafter, when the encoded video data is received, the header of the video strm received in step 611 is analyzed, and the video data received in step 613 is stored in a buffer. In step 615, the frame is analyzed.

이때 상기 프레임 영상이 I프레임 영상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6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7단계에서 상기 결정된 VLD 리사이징 제어값에 의해 수신되는 비디오데이타의 복호 영역을 리사이징하며, 상기 리사이징된 영역에 존재하는 가변길이 부호화된 화소데이타들을 가변길이 복호 테이블을 참조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호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621단계에서 상기 가변길이 복호된 비디오 데이터들을 역양자화하여 DC 계수를 추출한다. 상기 역양자화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제어부100은 623단계에서 상기 결정된 IDCT 리사이징 제어값에 따라 역양자화된 비디오데이타들을 리사이징한 후 리사이징된 Y축 및 X축 비디오데이타들을 IDCT 계산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IDCT부319의 리사이징은 상기한 바와 같이 Y축과 X축의 리사이징 영역이 다르거나 같을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상기 리사이징된 Y축 및 X축의 화소 수에 대응되는 포인트 IDCT를 이용하여 IDCT 계산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IDCT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제어부100은 625단계에서 저장한다.If the frame image is an I-frame image,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it in step 615 and resizes the decoding area of the video data received by the determined VLD resizing control value in step 617, and the variable length existing in the resized area. The encoded pixel data is decoded into original data with reference to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table. In step 621, the control unit 100 dequantizes the variable length decoded video data and extracts a DC coefficient. After performing the dequantization process, the controller 100 resizes the dequantized video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DCT resizing control value in step 623 and then performs IDCT calculation on the resized Y-axis and X-axis video data. In this case, the resizing of the IDCT unit 319 may be different from or the same in the resizing area of the Y axis and the X axis. Accordingly, IDCT calculation is performed using the point IDC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pixels on the resized Y-axis and the X-axis. After performing the IDCT procedur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00 stores in step 625.

여기서 상기 617단계 - 623단계의 동작은 상기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블록 단위(8*8)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가변길이복호, 역양자화 및 IDCT 동작은 매 블록단위의 영상데이타들에 대하여 수행되며, 블록 단위로 복호된 데이터는 623단계에서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와 같은 복호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1프레임 크기의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복호 동작을 종료하면 6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며, 상기 1프레임 크기의 복호된 비디오 데이터를 625단계에서 RGB 데이터로 변환한다. 즉,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는 YUV 데이터이므로 상기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는 RGB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가 RGB 데이터이면 상기 625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The operations in steps 617 to 623 are performed in block units (8 * 8) as shown in FIG. 8F. Accordingly,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inverse quantization, and IDCT operations are performed on image data in units of blocks, and the data decoded in units of blocks is stored in step 623. In this case, when the decoding operation on the video data having the size of one frame is terminated by repeating the decod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is in step 623, and the decoded video data having the one frame size is converted into the RGB data in step 625. To convert. That is, since the input data is YUV data, the input data is converted into RGB data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In this case, if the received video data is RGB data, step 625 may be omitted.

그러나 상기 615단계에서 현재의 프레임 영상 데이터가 P프레임 또는 B프레임인 경우에는 627단계 - 631단계에서 상기 617단계 623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가변길이복호, 역양자화 및 IDCT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63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현재 수신되는 프레임 데이터의 움직임을 보상하며, 상기 움직임 보상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복호된 비디오 데이터에 가산한 후, 623단계에서 이를 저장한다. However, if the current frame image data is a P frame or a B frame in step 615, variable length decoding, inverse quantization, and IDCT operations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step 627 through step 631 in step 623. In step 633, the controller 100 compensates for the movement of the currently received frame data, adds the motion compensated video data to the decoded video data, and stores the same in step 623.

여기서도 617단계 - 635단계의 동작은 상기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블록 단위(8*8)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가변길이복호, 역양자화 및 IDCT 동작은 매 블록단위의 영상데이타들에 대하여 수행되며, 또한 매 블록 단위로 움직임이 보상되는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IDCT 데이터에 가산되어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와 같은 복호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1프레임 크기의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복호 동작을 종료하면 6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며, 상기 1프레임 크기의 복호된 비디오 데이터를 625단계에서 표시부150에 표시될 수 있는 형태(예를들면 RGB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633단계의 움직임 보상과정에서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 P프레임 데이터이면 이전 프레임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움직임 차에 따른 보상을 수행하며, B프레임 데이터이면 이전 및 다음 프레임 데이터들과 비교하여 그 움직임 차에 따른 보상을 수행한다.Herein, operations 617 to 635 are performed in block units (8 * 8) as shown in FIG. 8F. Accordingly,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inverse quantization, and IDCT operations are performed on image data in units of blocks, and video data whose motion is compensated in units of blocks is added to and stored in the IDCT data. In this case, when the decoding operation on the video data having the size of one frame is ended by repeating the decod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it in step 623 and detects the decoded video data having the one frame size on the display unit 150 in step 625. Convert to a form that can be displayed (eg RGB data). At this time, if the received data is P frame data in the motion compensation process of step 633, compens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motion compared to previous frame data, and if it is B frame data, the motion difference is compared to previous and next frame data. Perform rewards accordingly.

상기한 바와 같이 비디오복호기230은 상기 도 15a 및 도 15b와 같이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도 20과 같이 상기 제어부100에서 소프웨어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ideo decoder 23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as illustrated in FIGS. 15A and 15B, and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in the controller 100 as illustrated in FIG. 2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휴대단말기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 크기에 따라 입력되는 부호화 영상데이타를 복호하기 전에 리사이징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리사이징은 한 가지 리사이징 요인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큰 리사이징 요인은 상기 표시부150의 화면크기가 될 수 있으며, 나머지 리사이징 요인들의 우선순위는 디지털 방송신호의 이미지 스캔신호(interlace scan, progressive scan), 블록스캔(zig-zag scan, alternative scan), 복호 속도(decoding speed), 복호 화질(decoding quality) 등이 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zes the encoded video data input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before decoding it. The resizing of the input video data may be variably set according to one resizing factor. The largest resizing factor may be the screen size of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priority of the remaining resizing factors is an image scan signal (interlace scan, progressive scan) or block scan (zig-zag scan, alternative scan) of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 Decoding speed, decoding quality, and the like.

도 21a - 도 2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8*8 비디오복호기 및 4*4 비디오복호기의 화면 출력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도 21a 및 도 21b는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뉴스를 각각 8*8 및 4*4 비디오복호기를 사용하여 복호한 결과를 도시하는 화면 예이며, 상기 도 21c 및 도 21d는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광고(advertisement)를 각각 8*8 및 4*4 비디오복호기를 사용하여 복호한 결과를 도시하는 화면 예이다. 여기서 상기 8*8 비디오 복호기와 4*4 비디오 복호기의 비교에서 4*4 비디오복호기는 VLD 제어 및 리사이즈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움직임 보상은 하프-펠 방식을 사용한 경우의 예이다. 21A to 21D show screen output examples of an 8 * 8 video decoder and a 4 * 4 video deco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A and 21B are screen examples showing the results of decoding the received digital broadcast news using an 8 * 8 and 4 * 4 video decoder, respectively, and FIGS. 21C and 21D illustrate a received digital broadcast advertisement ( An example of a screen showing the result of decoding an advertisement using an 8 * 8 and 4 * 4 video decoder, respectively. In the comparison of the 8 * 8 video decoder and the 4 * 4 video decoder, the 4 * 4 video decoder includes a VLD control and a resize part, and motion compensation is an example of using a half-pel method.

도 22a - 도 2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각 하프펠 방식 및 쿼터펠 방식을 사용하는 움직임보상부들을 포함하는 비디오복호기의 출력 예시화면이다. 상기 도 22a 및 도 22b의 두 영상화면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22A to 22B illustrate screens of outputs of a video decoder including motion compensation units using a half-pel method and a quarter-pel method,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two image screens of FIGS. 22A and 22B do not show a big difference.

상기 도 21a - 도 22b와 같은 실험결과는 도 23과 같은 구성으로 비디오복호기230의 PSNR(peak signal noise ratio: 신호대잡음비)를 측정하여 객관적인 화질 비교를 수행하였다. 상기 도 23과 같은 구성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기준이되는 영상은 8*8 IDCT에 의해 계산된 해상도(full resolution) 영상인 만큼, 4*4 등올 리사이징할 때 기본적으로 3-4dB 가량의 화질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상기 PNSR 비교표가 도 24a - 도 24d에 도시되었다. 도 24a는 디지털 방송뉴스의 8*8 및 4*4 비디오복호기의 PNSR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4b는 디지털 방송광고의 8*8 및 4*4 비디오복호기의 PNSR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4a 및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8*8 비디오디코더의 해상도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사이징된 4*4 비디오복호기의 PSNR을 비교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해상도 감소에 따른 PSNR 저하 이외의 추가적인 저하가 거의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24c는 디지털 방송뉴스의 4*4 및 4*2 비디오복호기의 PNSR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4d는 디지털 방송광고의 4*4 및 4*2 비디오복호기의 PNSR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4*2 비디오디코더가 4*4 비디오디코더에 비하여 상당히 연산량을 줄일 수 있는 고속 알고리듬인데 반하여 화질 열화는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The experimental results of FIGS. 21A to 22B are performed to objectively compare image quality by measuring the PSNR (peak signal noise ratio) of the video decoder 230 with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3.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3, the reference image is a full resolution image calculated by 8 * 8 IDCT, so that the degradation of image quality of about 3-4 dB is basically generated when resizing 4 * 4 lights. May appear. In view of the above, the PNSR comparison table is shown in FIGS. 24A to 24D. FIG. 24A is a diagram showing PNSR characteristics of 8 * 8 and 4 * 4 video decoders of digital broadcasting news, and FIG. 24B is a diagram showing PNSR characteristics of 8 * 8 and 4 * 4 video decoders of digital broadcasting advertisements. As shown in FIGS. 24A and 24B,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resolution of the 8 * 8 video decoder with the PSNR of the 4 * 4 video decoder resiz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Here, it can be seen that the additional degradation other than the PSNR degradation due to the decrease in resolution is hardly seen. 24C is a diagram showing PNSR characteristics of 4 * 4 and 4 * 2 video decoders of digital broadcasting news, and FIG. 24D is a diagram showing PNSR characteristics of 4 * 4 and 4 * 2 video decoders of digital broadcasting advertisements. . Here, the 4 * 2 video decoder is a fast algorithm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mputational amount compared to the 4 * 4 video decoder, whereas the image quality is hardly deteriorated.

하기에 표시되는 <표 12> - <표 1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복호기230을 리사이징하는 경우의 연산횟수 비교를 나타내고 있다. 소프트웨어에서의 연산은 크게 쉬프트(shift)/덧셈/곱셈/if 및 for 구문으로 구분지울 수 있다. 하기 <표 12>는 가변길이복호부315에서 연산량 비교를 나타내는 표이며, <표 13>은 IDCT부319에서 연산량 비교를 나타내는 표이고, <표 14>는 역양자화부317에서 연산량 비교를 나타내는 표이며, <표 15>는 움직임보상부335에서 최적화전 및 최적화 후의 연산량 비교를 나타내는 표이다.Tables 12 to 15 show a comparison of the number of operations when resizing the video decoder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s in softwar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shift / add / multiply / if and for constructs. <Table 12> is a table showing the comparison of the calculation amount in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315, <Table 13> is a table showing the comparison of the calculation amount in the IDCT unit 319, <Table 14> is a table showing the comparison of the calculation amount in the inverse quantization unit 317 <Table 15> is a table showing the amount of computation before and after optimization in the motion compensator 335.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9
Figure 112005060237715-pat00019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0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0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1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1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2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2

또한 비디오복호기230의 디코딩 속도는 연산량에 비례하지만, 이를 컴퓨터와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 상에 구현하여 실제 시스템에서의 성능을 비교하면 하기 <표 16> - <표 17>과 같이 나타난다. 이때 사이 컴퓨터 상의 고속 처리 엔진으로 인해 보다 빠른 속도가 나오는 경우가 있으며,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이보다 더 나은 성능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베디드 시스템의 경우는 완벽한 프레임 레이트 계산이 어려워 대략적인 값을 도시하였다. 상기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 비교한 결과를 살펴보면, 8*8 비디오복호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2*2 비디오복호기를 사용하면 약 5-8배의 성능 향상이 나타나고 있다. In addition, the decoding speed of the video decoder 230 i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computation, but when implemented on a computer and an embedded system, the performance of the actual system is compared as shown in Tables 16 and 17. In this case, the high-speed processing engine on the computer may generate a higher speed, and in an embedded system, a better performance may be obtained. In the case of the embedded system,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the perfect frame rate, and thus the approximate values are shown. In comparison with the embedded system environment, when the 2 * 2 video decoder is used, the performance improvement is about 5-8 times higher than the 8 * 8 video decoder.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3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3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4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4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5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5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의 디지털 방송은 상기한 바와 같이 DVB(digital video broadcasing) 방식의 규격과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의 규격이 있다. 그리고 상기 DVB 방식은 지상파 방송의 규격인 DVB-T와 위성방송 규격인 DVT-H가 있다. 상기 DMB 및 DVB 방식에서 사용하는 영상은 MPEG 방식과 H.263 방식들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MPEG 방식은 이산여현변환(DCT) 방식을 사용하며, 상기 H.263 방식은 계수변환(integer transform: 이하 IT라 칭한다)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상기 DCT 또는 IT 변환된 영상을 역변환하기 위한 IDCT 또는 IIT(inverse integer transform)를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경우, 상기 비디오복호기230은 상기 DCT 방식의 비디오 데이터 및 IT 방식의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general, digital broadcasting of a mobile terminal has a standard of digital video broadcasing (DVB) an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The DVB system includes a terrestrial broadcast standard DVB-T and a satellite broadcast standard DVT-H. The video used in the DMB and DVB schemes may use MPEG and H.263 schemes. The MPEG method uses a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method, and the H.263 method uses an integer transform (hereinafter, referred to as IT) method. Therefor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should have an IDCT or inverse integer transform (ITT) for inverting the DCT or IT transformed image. Accordingly,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 video decoder 230 preferably has a function of decoding the DCT video data and the IT video data.

또한 상기 DMB 및 DVB 방식은 모바일 환경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바일 환경에서는 SD급 영상(720*576) 이외에 CIF급 영상(355*288)을 전송한다. 이때 상기 CIF급 영상을 전송하는 경우에도 휴대단말기의 표시부(LCD 등)에 적절한 속도(frame rate)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리사이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인 경우, 상기 표시부150은 176*208의 해상도를 가지며, 따라서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인 경우 상기 CIF급 영상을 표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인 경우 상기 수신되는 영상은 1/2 리사이징 영상(176*144)으로 표현하는 이 바람직하며, 채널 선택 및 ESG(electronic service guide)인 경우에는 1/4 리사이징 영상(88*72)으로 표현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도 25a의 빨간색 점선 영역의 영상은 상기 ESG의 CIF 영상을 1/4로 리사이징 한 경우에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영상이고, 도 25b의 빨간색 점선 영역의 영상은 상기 채널 선택 UI 영상을 1/4로 리사이징한 경우에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영상이다. 그리고 도 25c는 파란색 영역은 CIF 영상을 1/2로 리사이징한 영상(176*144)이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영상이다. 실제로 단말의 수신 상태 및 메뉴 UI에 의해 표시부150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므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전용으로 처리하는 장치(표시부가 CIF급과 같거나 그 이상의 영상들을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수신기)가 아닌 경우에는 리사이징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MB and DVB schemes preferably consider a mobile environment. In the mobile environment, the CIF image 355 * 288 is transmitted in addition to the SD image 720 * 576. In this case, even when transmitting the CIF-class image, it is preferable to resize in order to express a frame rate suitable for the display unit (LCD, etc.)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case of a general portable terminal, the display unit 150 has a resolution of 176 * 208, and thus, in the case of a general portable terminal, the CIF image cannot be expressed.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general mobi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ed image is preferably represented by 1/2 resizing image (176 * 144), and in the case of channel selection and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1/4 resizing image (88). 72) is desirable. The red dotted line image of FIG. 25A is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when the CIF image of the ESG is resized to 1/4, and the red dotted line image of FIG. 25B is 1/4 of the channel selection UI image. This is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when resizing. FIG. 25C illustrates an image in which an image 176 * 144 resized by half of a CIF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in FIG. 25C. In fact, since the display unit 150 is not properly utilized by the reception state of the terminal and the menu UI, it is not a device that processes digital image data exclusively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processing image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CIF level). In such cases, it may be efficient to use a resizing technique.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의 송신측에서 DCT 방식을 사용하는 비디오 부호기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휴대단말기의 비디오복호기230은 상기 도 15a 또는 도 15b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기 디지털 방송의 송신측에서 IT 방식을 사용하는 비디오 부호기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휴대단말기의 비디오복호기230은 도 26a 또는 도 26b와 같이 구성하면 된다. 상기 도 26a 및 도 26b는 디지털 방송송신기에서 IT(integer transform)을 사용하여 영상신호를 부호화한 신호를 수신하여 복호하는 비디오 복호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IT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호하기 위하여 IIT(inverse integer transform)부71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도 26a 및 도 26b를 설명하기 전에 상기 IIT부710의 동작을 먼저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video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video encoder using the DCT scheme at the transmitting side of the digital broadcast, the video decoder 230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5A or 15B. However, when transmitting the video data through the video encoder using the IT method at the transmitting side of the digital broadcast, the video decoder 230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26a or 26b. 26A and 26B illustrate a configuration of a video decoder which receives and decodes a signal obtained by encoding an image signal using an IT (integer transform) in a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In order to decode the IT signal into an original signal, An inverse integer transform (IIT) unit 710 is provided. Here, the operation of the IIT unit 710 will be described first before explaining FIGS. 26A and 26B.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지털 방송(예를들면 DVB-H)의 경우에는 영상신호의 크기가 CIF급 이하이므로, 4*4 변환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환기의 변환 방식은 DCT(discrete cosine tramsform)과 IT(integer transform)이 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4*4변환기를 예로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mobile digital broadcasting (eg, DVB-H), a 4 * 4 converter can be used since the size of the video signal is CIF or less. In this case, the transformation method of the converter may be a DCT (discrete cosine tramsform) and an IT (integer transform). Here, the 4 * 4 convert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먼저 DCT 변환기의 동작을 살펴본다. First, let's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DCT converter.

하기 변환식은 4*4 DCT 변환 방식의 예로써, X는 공간 영역(spatial-domain)영상이며, Y는 주파수 영역(frequenc-domain) 영상이다. 즉, 하기 식은 4 포인트 DCT변환기를 사용하는 예로써, Y는 DCT 변환 결과를 나타내며, X는 4*4 입력 영상이고, 상기 입력 영상 X의 좌, 우에 각각 변환행렬1 및 변환행렬2가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변환행렬2는 변환행렬1을 대각선으로 트랜스포즈(transpose) 시킨 행렬이다.The following transformation is an example of a 4 * 4 DCT transformation scheme, where X is a spatial domain image and Y is a frequency domain image. That is, the following equation is an example of using a four-point DCT converter, where Y represents a DCT conversion result, X is a 4 * 4 input image, and the transformation matrix 1 and the transformation matrix 2 are arrang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put image X, respectively. . The transformation matrix 2 is a matrix in which the transformation matrix 1 is transposed diagonally.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6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6

여기서 각 행렬의 DCT 변환 계수 값은 하기와 같다,Here, the DCT transform coefficient values of each matrix are as follows.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7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7

상기와 같은 4*4 DCT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측의 IDCT부319는 이를 역변환하며, 이를 표현하면 하기와 같다. In case of receiving the 4 * 4 DCT as described above, the IDCT unit 319 of the receiver converts the inverse, and this is expressed as follows.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8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8

그리고 상기 4*4 IDCT 변환기의 각 행렬의 계수 값은 다음과 같다.The coefficient values of each matrix of the 4 * 4 IDCT converter are as follows.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9
Figure 112005060237715-pat00029

상기와 같이 표현되는 이유는 트랜스포즈(A transpose) 행렬 값이 A의 역행렬과 같기 때문이며, 이를 다시 표현하면 하기 수식과 같다. The reason why it is expressed as above is because the transpose matrix value is equal to the inverse of A, which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0
이때 상기 Y가 하기와 같은 신호가 입력된다고 가정하면, 리사이징하지 않는 경우에 X는 하기와 같이 얻어진다.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0
At this time, assuming that Y is input as follows, X is obtained as follows when not resizing.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1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1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2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2

따라서 1.2 리사이징을 하는 경우에는 Y행렬의 4*4 영역에서 2*2 스캔영역을 설정하면 되므로, 하기와 같은 식에 의해 구현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1.2 resizing, a 2 * 2 scan area may be set in the 4 * 4 area of the Y matrix, and the following equation is implemented.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3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3

상기 식은 하기의 식과 동일하며, 연산양은 25%로 줄어들게 된다,The equation is the same as the following equation, the amount of calculation is reduced to 25%,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4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4

1/4 리사이징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Y행렬의 4*4 영역에서 1*1 스캔영역을 설정하면 되므로, 하기와 같은 식에 의해 구현된다.In the case of 1/4 resizing, a 1 * 1 scan area may be set in the 4 * 4 area of the Y matrix, and thus implem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5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5

그리고 상기 식은 하기의 식과 동일하게 된다.And the said formula becomes the following formula.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6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6

두 번째로 인티져 변환(integer transform) 방식을 살펴본다.Second, we look at the integer transform method.

상기와 같은 DCT변환 및 IDCT 변환 방식은 mpeg 부호화 및 복호화기에서 사용되는 변환방식이다. 그러나 H.264의 경우 인티져 변환(integer transform) 방식 및 역 인티져 변환(inverse integer transform)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티져 변환 방식은 DCT 변환 방식의 변형으로, 상기 인티져 변환 방식은 DCT 변환 방식과 그 형태가 동일하며, 계수 값만 바뀐 형태이다. 즉, 4*4 인티져 변환은 하기와 같이 표현할 수 있으며, 변환 형태는 상기 DCT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다만 각 행렬의 계수 값이 다름을 알 수 있다. 하기의 수식에서 X는 역시 공간 영역(spatial-domain)영상이며, Y는 주파수 영역(frequency-domain)의 영상이다. 하기 식에서 Y는 인티져 변환을 수행한 결과이며, X는 4*4 입력 영상이고, 상기 입력영상 X의 좌우에 각각 변환행렬1 및 변환행렬2가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DCT변환 방식에서 변환행렬의 계수값을 a=1, b=2, c=1로 변환하면 상기 인티져 변환 방식이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티져 변환 방식의 연산이 상기 DCT 변환 방식의 연산보다 간단함을 알 수 있다.The DCT transform and IDCT transform schemes described above are transform schemes used in the mpeg encoder and decoder. However, for H.264, an integer transform method and an inverse integer transform method may be used. Here, the integer transform method is a modification of the DCT transform method. The integer transform method has the same form as the DCT transform method, and only the coefficient value is changed. That is, the 4 * 4 integer transform can be expressed as follows, and the transform typ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DCT, except that the coefficient values of each matrix are different. In the following equation, X is also a spatial-domain image and Y is a frequency-domain image. In the following equation, Y is a result of performing the integer transform, X is a 4 * 4 input image, and the transformation matrix 1 and the transformation matrix 2 are position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put image X, respectively. In this case, when the coefficient value of the transformation matrix is converted to a = 1, b = 2, and c = 1 in the DCT transformation method, it can be seen that the integer transformation method is obtaine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operation of the integer transform method is simpler than the operation of the DCT conversion method.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7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7

상기 식과 같은 IT 방식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비디오복호기는 상기 Y로부터 원 영상신호 X를 찾아내는 역변환 절차를 수행하여야 하며, 이는 IIT(inverse integer transform)로써 하기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The video decoder which receives the video data of the IT method as described above should perform an inverse transform procedure for finding the original video signal X from the Y, which can be expressed as an inverse integer transform (IIT).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8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8

이때 하기와 같은 Y가 입력된다고 가정하면, 리사이징을 하지 않는 경우 하기와 같은 X`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하기 식의 X`은 CIF 영상을 리사이징하지 않고 그대로 처리한 경우의 예가 될 수 있다. If it is assumed that Y is input as follows, X` can be obtained as follows when not resizing. Therefore, X ′ of the following equation may be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CIF image is processed without resizing.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9
Figure 112005060237715-pat00039

Figure 112005060237715-pat00040
Figure 112005060237715-pat00040

그러나 1/2 리사이징을 하는 경우, Y 행렬의 4*4 영역에서 2*2 스캔영역을 설정하면 되므로, 1/2 리사이징을 수행한 경우의 X`은 하기와 같은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즉, 1/2 리사이징의 경우, 하기 수식에 도시된 바와 같이 2*2(y11, y12, y21, y22) 조널필터(zonal filter)를 사용한 경우가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1/2 resizing, a 2 * 2 scan area may be set in the 4 * 4 area of the Y matrix, and thus X` in the case of 1/2 resizing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That is, in the case of 1/2 resizing, a 2 * 2 (y11, y12, y21, y22) zonal filter is used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5060237715-pat00041
Figure 112005060237715-pat00041

그리고 상기와 같은 1/2 리사이징 결과의 식은 하기 식과 동일하며, 이런 경우 연산량은 25% 감축된다.The 1/2 resizing result is the same as the following equation, in which case the amount of computation is reduced by 25%.

Figure 112005060237715-pat00042
Figure 112005060237715-pat00042

또한 1/4리사이징을 하는 경우, Y행렬의 4*4 영역에서 1*1 스캔영역을 설정하면 되므로, 1/4 리사이징을 수행한 경우의 X`은 하기와 같은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In the case of 1/4 resizing, a 1 * 1 scan area may be set in the 4 * 4 area of the Y matrix, and thus X` in the case of 1/4 resizing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5060237715-pat00043
Figure 112005060237715-pat00043

그리고 상기와 같은 1/4 리사이징 결과의 식은 하기 식과 동일하다.And the formula of the 1/4 resizing result a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e following formula.

Figure 112005060237715-pat00044
Figure 112005060237715-pat00044

상기한 바와 같이 비디오 복호기230은 역변환기를 구비하여 2차원 주파수 영역(frequency-domain) 영역의 영상 데이터를 2차원 공간 영역(spatial-domain)의 영상데이타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비디오복호기230의 역변환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IDCT부319 및 IIT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역변환기로써 상기 IDCT부 또는 IIT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IDCT부319 및 IIT부는 각각 영상 데이터의 리사이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ideo decoder 230 includes an inverse transformer to convert image data in a 2D frequency domain into image data in a 2D spatial domain. In this case, the inverse converter of the video decoder 230 may use the IDCT unit 319 and the IIT unit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IDCT unit or the IIT unit may be used as the inverse transformer, and the IDCT unit 319 and the IIT unit may each perform a resizing function of the image data.

도 26a 및 도 26b는 IIT부710을 사용하여 리사이징 기능을 수행하는 비디오복호기23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도 26a는 I,B,P 프레임 영상을 복호하는 비디오복호기230의 구성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6b는 I 및 P 프레임 영상을 복호하는 비디오복호기230의 구성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6a 및 도 26b의 구성에서 상기 IIT부71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상기 도 15a 및 도 15b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그 동작도 동일하게 수행된다.26A and 26B show a configuration of a video decoder 230 that performs a resizing function using the IIT unit 710. FIG. Here, FIG. 26A illustrate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video decoder 230 that decodes I, B, and P frame images, and FIG. 26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the video decoder 230 that decodes I and P frame images. 26A and 26B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ose of FIGS. 15A and 15B except for the IIT unit 710, and the operations thereof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여기서 상기 도 26a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6A.

상기 도 26a를 참조하면, 헤더분석부311은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헤더정보를 추출 및 분석한 후, 이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도 16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한 후, 이 값들을 각각 가변길이복호부315, IIT부710 및 움직임보상부335의 각 리사이저410,420 및 450에 인가한다. Referring to FIG. 26A, the header analyzer 311 extracts and analyzes header information of a received video signal and transmits the header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00. Then,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e resizing control value while performing the procedure as shown in FIG. 16 and applies these values to the resizers 410, 420, and 450 of the variable length decoder 315, the IIT unit 710, and the motion compensation unit 335, respectively.

이때 상기 가변길이복호부315 및 움직임보상부335의 동작은 상기 도 15a에서의 동작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비디호복호기230의 IIT부710은 상기 도 18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IT부710은 Y축 화소들을 리사이징하기 위하여 4포인트 및 2포인트 IIT부를 가지며, 또한 X축화소들을 리사이징하기 위하여 4포인트 및 2포인트 IIT부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IT부710의 Y리사이저는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에서 Y축의 리사이징 제어값을 확인한 후, 상기 가변길이 복호된 데이터를 상기 확인된 Y 리사이징제어값에 해당하는 IIT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IIT는 상기 데이터를 IIT하여 저장한다. 두 번째로 X리사이저는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에서 X축의 리사이징 제어값을 확인한 후, 상기 Y축으로 리사이징된 데이터를 상기 X축 리사이징 제어값에 해당하는 IIT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IIT는 상기 데이터를 IIT하여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X축 데이터들의 IIT를 수행하면, 상기 데이타는 Y축 및 X축 IIT를 수행한 결과값이 된다.In this case, the operations of the variable length decoder 315 and the motion compensation unit 335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peration of FIG. 15A. The IIT unit 710 of the video decoder 230 may have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FIG. 18. The IIT unit 710 may have four-point and two-point IIT units for resizing the Y-axis pixels, and may also have four-point and two-point IIT units for resizing the X-axis pixels. The Y resizer of the IIT unit 710 checks the resizing control value of the Y-axis from the resizing control value, and then transfers the variable length decoded data to the IIT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Y resizing control value. The IIT then IIT and store the data. Secondly, the X resizer checks the resizing control value of the X axis in the resizing control value, and then transfers the resized data on the Y axis to the IIT corresponding to the X axis resizing control value. The IIT then IIT and store the data. When the IIT of the X-axis data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data becomes a result of performing the Y-axis and the X-axis IIT.

상기한 바와 같이 IIT부710에서 역변환되는 데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리사이징 제어값에 의해 리사이징된 스캔영역(zonal filter)이 결정되며, 그 결과는 원 영상, 1/2 리사이징 영상 또는 1/1 리사이징 영상 데이터가 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verse transformed data in the IIT unit 710 is determined by the resizing control value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sult is a zonal filter, and the result is an original image, a 1/2 resizing image, or a 1/1 resizing image. It can be data.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휴대단말기에 구현할 수 있다. 도 27은 디지털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휴대전화기, PDA,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휴대전화기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a portable terminal. 27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a mobile phone, a PDA, a smart phone, or the like. Here, it will be assumed that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phone.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지털 방송수신기(Digital Broadcasting Receiver)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7의 구성은 휴대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방송의 RF튜너110, 복조기120 및 복호기130을 구비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복호기130은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00에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디지털방송 수신기의 복호기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5에서 제어부100은 휴대전화기의 MSM으로써, 휴대전화기의 전체적인 제어 이외에 휴대단말기의 통신되는 음성 및 데이터를 변조 및 복조(modulation and demodulation)하는 모뎀(MODEM) 기능과 부호화 및 복호화(coding and decoding)하는 코덱(CODEC)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모뎀 및 코덱 기능은 데이터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or: DSP)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분리독립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MSM 이외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용으로 처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프로세서(예를들면 DM 270 등)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프로세서가 제어부100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디도복호기를 독립적으로 구현한 경우에는 상기 비디오디코더 자체의 제어부에서 처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는 휴대전화기로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00은 MSM으로 가정한다.FIG. 2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the RF tuner 110, the demodulator 120, and the decoder 130 of the digital broadcast. The decoder 130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ler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is case, the decoder performance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In FIG. 25, the control unit 100 is an MSM of a mobile phone, and in addition to the overall control of the mobile phone, a modem (MODEM) function for modulating and demodulating voice and data communicated with the mobile phone, and encoding and decoding. and a codec function for decoding. In addition, the modem and codec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separated and independent of the controller 100 using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multimedia processor (for example, DM 270, etc.) for processing multimedia data in addition to the MSM, the multimedia processor may be the controller 100. In addition, when the video decoder is independently implemented, the video decoder may b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of the video decoder itself.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is assumed to be a mobile phone, and the control unit 100 is assumed to be an MSM.

상기 도 27을 참조하면, RF통신부195는 휴대전화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통신부195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7, the RF communication unit 195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a mobile phone. The RF communication unit 195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제어부100은 휴대전화기의 송수신되는 음성 및 데이터의 처리하며, 또한 휴대전화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ontrol unit 100 processes voice and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mobile phone, and also performs a function of performing overall control of the mobile phone.

먼저 상기 제어부100에서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처리부를 독립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CDMA 방식, UMTS 방식 또는 GSM 방식으로 채널 데이터들을 처리할 수 있다. First, the control unit 100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a transmitted signal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in order to process communication data.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may independently implement a data processing unit including a modem and a codec as described above. The data processor may process channel data in a CDMA method, a UMTS method, or a GSM method.

키입력부170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기능키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방송 수신을 위한 채널 선택, 방송수신모드 제어 등과 같은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키들이 포함된다. The key input unit 170 includes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he function key includes keys for selecting a function such as channel selection for digital broadcast reception, broadcast reception mode control, et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메모리19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전화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 채널의 선택 및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프로그램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비휘발을 요구하는 데이터들(예를들면 비트맵, 폰트, 폰북 등)을 저장하는 NVM(non-volatile memory)와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memory 190 may include program memory and data memories. The program memory includes programs for controlling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cellular phone and programs for selecting a digital broadcast channel and processing a broadcast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data memory is a non-volatile memory (NVM) for storing non-volatile data (e.g., bitmap, font, phonebook, etc.) and RAM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while executing the programs. It may be configured as.

표시부15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정보들을 표시하며, 또한 디지털 방송수신모드시 복호기130에서 처리되는 방송 영상신호를 표시한다. 오디오처리부160은 스피커 및 마이크를 구비하며, 통신모드시 휴대단말기의 송수화기로 사용되며, 디지털 방송 수신모드시 방송 오디오신호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and also displays a broadcast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decoder 130 in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audio processor 160 includes a speaker and a microphone, is used as a handset of a mobile terminal in a communication mode, and plays a function of reproducing a broadcast audio signal in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mode.

RF튜너110은 상기 제어부100의 채널 제어데이타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방송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의 주파수를 하향변환하여 중간주파수 신호를 발생한다. 복조기(demodulator)는 상기 변조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RF tuner 110 generates a broadcast frequency signal of the channel selected by the channel control data of the controller 100, and down-converts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to generate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demodulator demodulates the modulated digital broadcast signal into an original signal.

복호기130은 상기 복조부120에서 복조된 방송신호를 영상 및 오디오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영상 및 오디오신호를 각각 복호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복호기130은 상기 도 2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비디오복호기230은 상기 도 15a 또는 도 15b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디오복호기230은 상기 도 20과 같이 제어부100이 비디오 복호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할 수도 잇다.The decoder 130 separates the broadcast signal demodulated by the demodulator 120 into video and audio, and decodes and outputs the separated video and audio signals, respectively. The decoder 130 may have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and the video decoder 230 may have a configuration as illustrated in FIG. 15A or 15B.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0, the video decoder 230 may include a video decoding program and may be processed in software.

영상메모리18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호 동작시 복호를 위한 헤더정보들 및 방송데이타들을 저장하는 버퍼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영상메모리18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되는 방송데이타들을 복호하기 위한 각종 테이블들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영상메모리180은 녹화모드시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상기 복호기130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저장하며, 재생모드시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여 선택된 방송신호를 상기 복호기130에 출력한다.The image memory 180 includes buffers for storing header information and broadcast data for decoding in a decod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memory 180 also stores various tables for decoding broadcast data recei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memory 180 stores the broadcast signal output from the decoder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in the recording mode, and outputs the broadcast signal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100 to the decoder 130 in the playback mode.

상기 27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디지털 방송수신신호는 VHF(174MHz - 230MHz: C5 - C12) 영역과 UHF(470MHz - 862MHz: C21 - C69) 영역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의 고주파 대역의 L-Band(1GHz-2.6GHz), S-Band (2.6GHz-3.95GHz) 신호가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방송채널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RF튜너110에서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제어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RF튜너110은 상기 채널 데이터에 따른 RF주파수를 생성하여 혼합하므로써, 선택된 채널의 중간주파수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 IF)는 36.17 MHz가 될 수 있다. In the 27,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a signal in a VHF (174 MHz-230 MHz: C5-C12) region and a UHF (470 MHz-862 MHz: C21-C69) region. However, it can be L-Band (1GHz-2.6GHz) and S-Band (2.6GHz-3.95GHz) signals of higher frequency bands as needed. 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a broadcast channel, the controller 100 outputs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selected by the RF tuner 110. The RF tuner 110 generates and mixes an RF frequency according to the channel data, thereby generating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frequency (IF) may be 36.17 MHz.

상기와 같은 아날로그의 중간주파수신호는 복조기120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복조기120은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변환(analog to digital conversion)한 후, 설정된 방식의 복조 방식으로 복조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변조 방식은 CODFM((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부호화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조기120은 Zarlink 사에서 제조 및 판매하는 MT352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복조부120에서 복조된 신호는 8비트의 MPEG-2 TS 데이터로 출력된다. 즉, 상기 복조부120은 상기 RF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선택된 채널의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며, 캐리어(carrier)수 및 추가 심볼 등에 따라 제어되며 FFT(Fast Fourier Transform) 순환회로를 돌게 된다. 그리고 상기 FFT신호는 에러보정을 통해 최종신호로 재생되기 위해 순서와 간격이 재구성되고, 최종 출력인 MPEG-2 TS로 출력된다.The analog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s applied to the demodulator 120. Then, the demodulator 120 demodulates the received analog signal by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and then demodulates the demodulated signal in the set method. Here, the modulation schem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may use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ODF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modulator 120 uses an MT352 manufactured and sold by Zarlink. In this case, the signal demodulated by the demodulator 120 is output as 8-bit MPEG-2 TS data, that is, the demodulator 120 converts the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output from the RF tuner 110 into digital data. I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rriers, additional symbols, etc., and goes through a fast fourier transform (FFT) circuit. It is output as MPEG-2 TS.

상기 복조기120에서 출력되는 MPEG-2 TS신호는 복호기130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복호기130은 수신되는 MPEG-2 TS신호를 각각 영상, 오디오 및 데이터로 분리하고 이들 각각을 복호한 후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영상신호는 RGB 또는 YUV 등의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오디오신호는 일반적으로 PCM 스테레오 사운드 형태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복호기13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상기 표시부150에 출력되어 표시되고 오디오신호는 스피커160에 인가되어 재생된다.The MPEG-2 TS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20 is applied to the decoder 130. The decoder 130 then separates the received MPEG-2 TS signal into video, audio and data, respectively, and decodes each of the received MPEG-2 TS signals and outputs the video and audio signals. In this case, the video signal may be a signal such as RGB or YUV, and the audio signal is generally output in the form of PCM stereo sound.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decoder 130 is output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audio signal is applied to the speaker 160 and reproduced.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복호기130의 비디오복호기230에 입력되는 비디오데이타를 리사이징하기 위한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한다. 상기 비디오복호기230의 리사이징 요인들은 하나 이상이 요인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리사이징 요인들 중 가장 중요한 리사이징 요인은 상기 표시부150의 화면 크기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되는 디지털방송 신호는 일반 디지털 텔레비전 등에서 표시될 수 있는 크기의 해상도를 가지게 되는데, 이런 경우 상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신호를 복호하기 전에 상기 표시부150에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리사이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미 방송되는 해상도가 휴대단말에 적합한 크기로 방송되는 경우에도, 각각의 휴대단말이 상이한 표시부 해상도를 가지며 복호화 속도와 화질에 따라 리사이징을 필요로 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a resizing control value for resizing the video data input to the video decoder 230 of the decoder 130. One or more resizing factors of the video decoder 230 may use these factors. Among the resizing factors, the most important resizing factor may be the screen size of the display unit 150. That is, the received digital broadcast signal has a resolution that can be displayed on a general digital televis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resize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so that it can be proper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before decoding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Do. In addition, even when the broadcasted resolution is broadcasted in a size suitable for the portable terminal, each portable terminal has a different display resolution and requires resizing according to the decoding speed and image quality.

또한 상기 화면 크기 이외에 다른 리사이징 요인으로는 디지털 방송신의 이미지 스캔 방식, 블록스캔 방식, 복호기230의 복호속도 및 휴대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디코딩화질 종류 들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와 같은 리사이징 요인들 중에서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요인들을 참조하여 상기 복호기120의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한다.In addition to the screen size, other resizing factors may include image scanning methods, block scan methods, decoding speeds of the decoder 230, and types of decoding qualit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e resizing control value of the decoder 120 by referring to at least one or more of the above resizing factors.

그러면 상기 복호기130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리사이징 제어값에 의해 수신되는 부호화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리사이징하며, 상기 리사이징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복호한 후 표시부150에 출력하여 표시하게 된다. Then, the decoder 130 resizes the encoded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the resizing control value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0, decodes the resized digital broadcast signal, and outputs the decoded digital broadcast signal to the display unit 150 for displa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에 따라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리사이징하여 처리하므로, 영상처리 시간을 대폭 감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신기의 구성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특히 휴대단말기에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현하는 경우,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하기 전에 휴대단말기의 표시부 크기에 따라 수신되는 비디오신호의 복호 영역을 리사이징하여 복호하므로써, 휴대단말기의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수신기 또는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등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 이외에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스캔 방식(이미지 스캔 방식 및(또는) 블록스캔 방식), 복호하고자 하는 영상의 화질 및 복호 처리 속도 등을 감안하여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하기 전에 복호할 영 역을 리사이징하므로써, 비디오 복호기의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적응적으로 비디오 데이터의 복호기를 소형화하여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zes the received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ed screen,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image processing time, there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iver. Can be implemented. In particular, when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is implement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efficiently implemented by resizing and decoding the decoding region of the received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display unit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before decoding the encoded video data.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In addition to the size of the screen displayed o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or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 scanning method (image scanning method and / or block scanning method) of a received broadcast signal, image quality and decoding processing speed of an image to be decoded By resizing the area to be decoded before decoding the received video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ideo data decoder can be adaptively downsized and processed quickly while maintaining the performance of the video decoder.

Claims (50)

디지털 방송수신장치의 비디오 복호기에 있어서,In the video decoder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리사이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리사이징제어부와,A resizing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esizing the received video data; 복조된 비디오스트림에서 헤더정보를 분석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분리 출력하는 헤더분석부와,A header analyzer for analyzing the header information from the demodulated video stream and separating and outputting the video data; 상기 헤더분석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데이타를 가변길이 테이블에 의해 원래의 화소 데이터 크기로 복호하는 가변길이복호부와,A variable length decoder which decodes the video data output from the header analyzer to the original pixel data size by a variable length table; 상기 복호된 비디오데이타를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부와,An inverse quantization unit for inversely quantizing the decoded video data; 상기 역양자화된 주파수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리사이징 제어신호에 의해 2차원 공간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로 리사이징 변환하는 역변환부와,An inverse transform unit for resizing the video data of the inverse quantized frequency domain into video data of a two-dimensional space domain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상기 역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 중 움직임보상 데이터를 움직임 보상하여 합산하는 움직임보상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a motion compensator configured to motion-compensate and add motion compensation data among the inversely converted video data and the separated video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부가 역이산여현변환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inverse transform unit is an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이산여현변환부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unit,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의 Y축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포인트 역이산여현변환기를 선택하는 Y축 리사이저와,A Y-axis resizer for selecting a point inverse discrete cosine converter set by the Y-axis control signal of the resizing control signal; 복수개의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며, 상기 선택된 포인트의 역이산변환기가 리사이징된 영역의 Y축 비디오데이타들을 역이산변환하는 상기 Y축 역이산변환기들과,The Y-axis inverse discrete transformers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the inverse discrete transformers of the selected point inversely discretely transforming Y-axis video data of a resized region,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의 X축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포인트 역이산여현변환기를 선택하는 X축 리사이저와,An X-axis resizer for selecting a point inverse discrete cosine converter set by the X-axis control signal of the resizing control signal; 복수개의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며, 상기 선택된 포인트의 역이산여현변환기가 상기 Y버퍼에 저장된 리사이징된 영역의 X축 비디오데이타들을 역이산여현변환하는 상기 X축 역이산여현변환기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wherein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er of the selected point comprises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ers for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ing the X-axis video data of the resized region stored in the Y buffer. Said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길이복호부가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리사이징하는 리사이저를 더 구비하여,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variable length decoder further comprises a resizer for resizing the separated video data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상기 수신되는 가변길이부호화 비디오 데이터를 원래 길이의 비디오데이타로 복호하는 테이블변환기와,A table converter for decoding the received variable length coded video data into video data having an original length; 상기 테이블변환기에서 복호되는 비디오데이타를 저장하는 버퍼와,A buffer for storing video data decoded by the table converter;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리사이징 영역에 포함되는 블록의 데이터까지 복호하도록 상기 테이블변환기를 제어하며, 상기 버퍼에 상기 리사이징 영역의 비디오데이타들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리사이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the resizer for controlling the table converter to decode data of a block included in the resizing area set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controlling to store video data of the resizing area in the buffer.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보상부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tion compensation unit, 상기 수신되는 움직임 보상 벡터값을 저장하는 버퍼와,A buffer for storing the received motion compensation vector value; 상기 움직임 벡터값을 비교하기 위해 이전 프레임 영상을 저장하는 이전영상저장부와,A previous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 previous frame image to compare the motion vector values; 상기 움직임 벡터값을 비교하기 위해 다음 프레임 영상을 저장하는 다음영상 저장부와,A next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 next frame image to compare the motion vector values; 상기 움직임벡터 값, 이전영상저장부 다음 영상저장부의 출력을 입력하며, 움직임보상선택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각각 하프펠, 쿼터펠 및 옥타펠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보상기들과,A motion compensator for inputting the motion vector value and an output of a previous image storage part and a motion compensation selection signal driven by a motion compensation selection signal to respectively perform half-pel, quarter-pel and octapel motion compensation;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하프펠, 쿼터펠 또는 옥타펠 보상기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리사이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a resizer for selecting one of the half pel, quarter pel or octapel compensators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징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표시부 크기에 따라 상기 리사이징 제어 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6.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5, wherein the resizing control unit determines the resizing control valu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징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표시부 화면크기 및 상기 헤더분석부에서 분석된 이미지스캔 방식에 의해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6.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5, wherein the resizing control unit determines the resizing control value by the display unit screen siz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the image scanning method analyzed by the header analyz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표시부 화면크기, 상기 헤더분석부에서 분석된 이미지스캔 방식 및 블록스캔 방식에 의해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6.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5,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resizing control value by a display unit screen siz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 image scan method analyzed by the header analyzer, and a block scan method. 제5항에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표시부 화면크기, 상기 헤더분석부에서 분석된 이미지스캔 방식 및 블록스캔 방식,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호 속도에 의해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resizing control value based on the display unit screen siz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 image scan method and the block scan method analyzed by the header analyzer, and the decoding speed selected by the user. Said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표시부 화면크기, 상기 헤더분석부에서 분석된 이미지스캔 방식 및 블록스캔 방식,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호 속도,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복호속도에 의해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screen size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by the display unit size, the image scanning method and the block scanning method analyzed by the header analyzing unit, the decoding speed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decoding speed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determining a resizing control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부가 역인티져변환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inverse transform unit is an inverse integer transform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역인티져변환부가,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nverse integer conversion unit,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의 Y축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포인트 역인티져변환기를 선택하는 Y축 리사이저와,A Y axis resizer for selecting a point inverse integer converter set by the Y axis control signal of the resizing control signal; 복수개의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며, 상기 선택된 포인트의 역인티져변환기가 리사이징된 영역의 Y축 비디오데이타들을 역인티져변환하는 상기 Y축 역인티져변환기들과,The Y-axis de-integrator converters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the inverse-inverter converters of the selected point de-integrating the Y-axis video data of the resized region,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의 X축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포인트 역인티져변환기를 선택하는 X축 리사이저와,An X-axis resizer for selecting a point de-integrator converter set by the X-axis control signal of the resizing control signal; 복수개의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며, 상기 선택된 포인트의 역인티져변환기가 상기 Y버퍼에 저장된 리사이징된 영역의 X축 비디오데이타들을 역인티져변환하는 상기 X축 역인티져변환기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wherein the inverse integer converter of the selected point is configured to inversely transform the X-axis video data of the resized region stored in the Y buffer; The device.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3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길이복호부가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리사이징하는 리사이저를 더 구비하여,The apparatus of claim 12, wherein the variable length decoder further comprises a resizer for resizing the separated video data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상기 수신되는 가변길이부호화 비디오 데이터를 원래 길이의 비디오데이타로 복호하는 테이블변환기와,A table converter for decoding the received variable length coded video data into video data having an original length; 상기 테이블변환기에서 복호되는 비디오데이타를 저장하는 버퍼와,A buffer for storing video data decoded by the table converter;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리사이징 영역에 포함되는 블록의 데이터까지 복호하도록 상기 테이블변환기를 제어하며, 상기 버퍼에 상기 리사이징 영역의 비디오데이타들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리사이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the resizer for controlling the table converter to decode data of a block included in the resizing area set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controlling to store video data of the resizing area in the buffer. .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4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보상부가,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motion compensation unit, 상기 수신되는 움직임 보상 벡터값을 저장하는 버퍼와,A buffer for storing the received motion compensation vector value; 상기 움직임 벡터값을 비교하기 위해 이전 프레임 영상을 저장하는 이전영상저장부와,A previous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 previous frame image to compare the motion vector values; 상기 움직임 벡터값을 비교하기 위해 다음 프레임 영상을 저장하는 다음영상 저장부와,A next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 next frame image to compare the motion vector values; 상기 움직임벡터 값, 이전영상저장부 다음 영상저장부의 출력을 입력하며, 움직임보상선택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각각 하프펠, 쿼터펠 및 옥타펠 움직임 보상 을 수행하는 움직임보상기들과,A motion compensator for inputting the motion vector value and the output of a previous image storage part and a motion compensation selection signal driven by a motion compensation selection signal to perform half-pel, quarter-pel and octa-fel motion compensation;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하프펠, 쿼터펠 또는 옥타펠 보상기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리사이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a resizer for selecting one of the half pel, quarter pel or octapel compensators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징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표시부 크기에 따라 상기 리사이징 제어 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15.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4, wherein the resizing control unit determines the resizing control valu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6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징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표시부 화면크기 및 상기 헤더분석부에서 분석된 이미지스캔 방식에 의해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5, wherein the resizing controller determines the resizing control value by a display unit screen siz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an image scan method analyzed by the header analyzer.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7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16항에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표시부 화면크기, 상기 헤더분석부에서 분석된 이미지스캔 방식 및 블록스캔 방식,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호 속도에 의해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resizing control value by the display unit screen siz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 image scan method and the block scan method analyzed by the header analyzer, and the decoding speed selected by the user. Said device.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8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디지털 방송수신장치의 비디오 복호기에 있어서,In the video decoder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리사이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리사이징제어부와,A resizing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esizing the received video data; 복조된 비디오스트림에서 헤더정보를 분석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분리 출력하는 헤더분석부와,A header analyzer for analyzing the header information from the demodulated video stream and separating and outputting the video data; 상기 헤더분석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데이타를 가변길이 테이블에 의해 원래의 화소 데이터 크기로 복호하며, 상기 가변길이 복호시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리사이징 영역에 포함되는 블록의 데이터까지 복호하도록 상기 테이블변환기를 제어한 후, 상기 버퍼에 상기 리사이징 영역의 비디오데이타들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가변길이복호부와,The table converter decodes the video data output from the header analysis unit to the original pixel data size by a variable length table, and decodes the data of a block included in the resizing area set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when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is performed. After controlling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for controlling to store the video data of the resizing area in the buffer, 상기 복호된 비디오데이타를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부와,An inverse quantization unit for inversely quantizing the decoded video data; 상기 역양자화된 주파수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리사이징 제어신호에 의해 2차원 공간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로 리사이징 변환하는 역변환부와,An inverse transform unit for resizing the video data of the inverse quantized frequency domain into video data of a two-dimensional space domain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적어도 하나의 리사이징을 위한 움직임보상기를 구비하며, 상기 리사이징제 어신호에 의해 상기 움직임보상기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움직임보상기가 상기 역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 중 움직임보상 데이터를 움직임 보상하여 합산하는 움직임보상부와,And a motion compensator for at least one resizing, wherein the motion compensator is selected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the selected motion compensator motion-compensates motion compensation data among the inversely converted video data and the separated video data. Motion compensation unit to add up, 상기 역변환부 및 움직임보상부의 출력을 표시데이타 형태로 변환하는 색변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a color converting unit converting outputs of the inverse converting unit and the motion compensating unit into display data.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부가 역이산여현변환부이며, 상기 역이산여현변환부는 리사이징 변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Y축 역이산여현변환기 및 X축 역이산여현변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대응되는 Y축 및 X축 역이산여현변환기가 구동되어 상기 가변길이복호된 비디오데이타를 리사이징하여 역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20. The resizing control signal of claim 19, wherein the inverse transform unit is an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unit, and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unit includes at least one Y-axis inverse cosine cosine transformer and an X-axis inverse cosine cosine transformer for resizing transformation. And a corresponding Y-axis and X-axis inverse discrete cosine converter are driven to resize the variable length decoded video data and perform inverse transformation.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부가 역인티져변환부이며, 상기 역인티져변환부는 리사이징 변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Y축 역인티져변환기 및 X축 역인티져변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대응되는 Y축 및 X축 역인티져변환기가 구동되어 상기 가변길이복호된 비디오데이타를 리사이징하여 역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21. The apparatus of claim 20, wherein the inverse transform unit is an inverse integer transform unit, and the inverse integer transform unit includes at least one Y-axis de-integrator converter and an X-axis de-integrator converter for resizing transformation, and corresponds to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a Y-axis and an X-axis inverse integer converter are driven to resize the variable length decoded video data and perform inverse transformation. 디지털방송수신기에 있어서,In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채널선택신호를 발생하며,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비디오 데이터를 리사이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hannel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esizing video data of a received broadcast signal; 상기 제어부의 채널선택에 의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신호의 채널을 선택하는 튜너와,A tuner for selecting a channel of a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channel selection of the controller; 상기 선택된 디지털 방송채널의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와,A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a signal of the selected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상기 복조된 디지털방송신호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을 분리하는 역다중화기와, 상기 분리된 비디오스트림의 데이터들을 복호하는 비디오복호기와, 상기 분리된 오디오스트림의 데이터를 복호하는 오디오복호기를 구비하며, 상기 비디오복호기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수신되는 비디오데이타의 복호영역을 리사이징하고 상기 리사이징된 영역의 비디오데이타들을 복호하는 복호기와,A demultiplexer for separating audio and video streams from the demodulated digital broadcast signal, a video decoder for decoding data of the separated video stream, and an audio decoder for decoding data of the separated audio stream; The decoder includes: a decoder for resizing the decoding area of the video data received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and decoding the video data of the resized area; 상기 복호된 비디오데이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ecoded video data; 녹화모드시 상기 복조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를 저장하며, 상기 복호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일시저장하는 버퍼들로 구성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a digital broadcast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in a recording mode and to temporarily store data processed by the decode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복호기가,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video decoder, 복조된 비디오스트림에서 헤더정보를 분석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분리 출력하는 헤더분석부와,A header analyzer for analyzing the header information from the demodulated video stream and separating and outputting the video data;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리사이징하며, 상기 리사이징된 비디오데이타를 가변길이 테이블에 의해 원래의 화소 데이터 크기로 복호하는 가변길이복호부와,A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for resizing the separated video data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decoding the resized video data to original pixel data size by a variable length table; 상기 복호된 비디오데이타를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부와,An inverse quantization unit for inversely quantizing the decoded video data; 상기 역양자화된 주파수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리사이징 제어신호에 의해 2차원 공간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로 리사이징 변환하는 역변환부와, An inverse transform unit for resizing the video data of the inverse quantized frequency domain into video data of a two-dimensional space domain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화소이동 간격으로 상기 화소데이타의 움직임을 보상하는 움직임보상부와,A motion compensator for compensating for the movement of the pixel data at a pixel movement interval set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상기 역변환부의 출력과 상기 움직임보상부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부와,An adder which adds an output of the inverse transform unit and an output of the motion compensation unit; 상기 가산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부의 표시 데이터로 변환하는 색변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a color converting unit converting video data output from the adding unit into display data of a display unit.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부가 역이산여현변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24.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23, wherein the inverse transform unit is an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unit.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역이산여현변환부가,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unit,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의 Y축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포인트 역이산여현변환기를 선택하는 Y축 리사이저와,A Y-axis resizer for selecting a point inverse discrete cosine converter set by the Y-axis control signal of the resizing control signal; 복수개의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며, 상기 선택된 포인트의 역이산변환기가 리사이징된 영역의 Y축 비디오데이타들을 역이산변환하는 상기 Y축 역이산변환기들과,The Y-axis inverse discrete transformers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the inverse discrete transformers of the selected point inversely discretely transforming Y-axis video data of a resized region,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의 X축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포인트 역이산여현변환기를 선택하는 X축 리사이저와,An X-axis resizer for selecting a point inverse discrete cosine converter set by the X-axis control signal of the resizing control signal; 복수개의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며, 상기 선택된 포인트의 역이산여현변환기가 상기 Y버퍼에 저장된 리사이징된 영역의 X축 비디오데이타들을 역이산여현변환하는 상기 X축 역이산여현변환기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wherein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er of the selected point comprises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ers for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ing the X-axis video data of the resized region stored in the Y buffer. Said device.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부가 역인티져변환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23, wherein the inverse transform unit is an inverse integer transform unit.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역인티져변환부가,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the inverse integer conversion unit,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의 Y축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포인트 역인티져변환기를 선택하는 Y축 리사이저와,A Y axis resizer for selecting a point inverse integer converter set by the Y axis control signal of the resizing control signal; 복수개의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며, 상기 선택된 포인트의 역인티져변환기가 리사이징된 영역의 Y축 비디오데이타들을 역인티져변환하는 상기 Y축 역인티져변환기들과,The Y-axis de-integrator converters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the inverse-inverter converters of the selected point de-integrating the Y-axis video data of the resized region,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의 X축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포인트 역인티져변환기를 선택하는 X축 리사이저와,An X-axis resizer for selecting a point de-integrator converter set by the X-axis control signal of the resizing control signal; 복수개의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며, 상기 선택된 포인트의 역인티져변환기가 상기 Y버퍼에 저장된 리사이징된 영역의 X축 비디오데이타들을 역인티져변환하는 상기 X축 역인티져변환기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wherein the inverse integer converter of the selected point is configured to inversely transform the X-axis video data of the resized region stored in the Y buffer; The device.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길이복호부가,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상기 수신되는 가변길이부호화 비디오 데이터를 원래 길이의 비디오데이타로 복호하는 테이블변환기와,A table converter for decoding the received variable length coded video data into video data having an original length; 상기 테이블변환기에서 복호되는 비디오데이타를 저장하는 버퍼와,A buffer for storing video data decoded by the table converter;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리사이징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데이타까지 복호하도록 상기 테이블변환기를 제어하며, 상기 버퍼에 상기 리사이징 영역의 비디오데이타들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리사이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a resizer configured to control the table converter to decode pixel data included in the resizing area set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to store video data of the resizing area in the buffer.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보상부가,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motion compensation unit, 상기 수신되는 움직임 보상 벡터값을 저장하는 버퍼와,A buffer for storing the received motion compensation vector value; 상기 움직임 벡터값을 비교하기 위해 이전 프레임 영상을 저장하는 이전영상저장부와,A previous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 previous frame image to compare the motion vector values; 상기 움직임 벡터값을 비교하기 위해 다음 프레임 영상을 저장하는 다음영상 저장부와,A next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 next frame image to compare the motion vector values; 상기 움직임벡터 값, 이전영상저장부 다음 영상저장부의 출력을 입력하며, 움직임보상선택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각각 하프펠, 쿼터펠 및 옥타펠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보상기들과,A motion compensator for inputting the motion vector value and an output of a previous image storage part and a motion compensation selection signal driven by a motion compensation selection signal to respectively perform half-pel, quarter-pel and octapel motion compensation;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하프펠, 쿼터펠 또는 옥타펠 보상기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리사이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a resizer for selecting one of the half pel, quarter pel or octapel compensators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표시부 화면크기에 의해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24.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23,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resizing control value based on the display unit screen siz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표시부 화면크기 및 상기 헤더분석부에서 분석된 이미지스캔 방식에 의해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24.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23,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resizing control value by the display unit screen siz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the image scanning method analyzed by the header analyzer.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표시부 화면크기, 상기 헤더분석부에서 분석된 이미지스캔 방식 및 블록스캔 방식,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호 속도,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복호속도에 의해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screen size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by the display unit size, the image scanning method and the block scanning method analyzed by the header analyzer, the decoding speed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decoding speed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determining a resizing control value. 송신신호를 RF 대역으로 상승변환하며, 수신되는 RF신호를 하강변환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RF통신부와, 상기 송신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며, 상기 수신되는 기저대역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디지털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An RF communication unit for up-converting a transmission signal to an RF b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RF signal to a baseband signal, and a data processo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ssion signal and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baseband signal. In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채널선택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 화면 크기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의 비디오 데이터를 리사이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hannel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esizing video data of the digital broadcasting signal received according to the display unit screen size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제어부의 채널선택에 의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신호의 채널을 선택하는 튜너와,A tuner for selecting a channel of a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channel selection of the controller; 상기 선택된 디지털 방송채널의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와,A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a signal of the selected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상기 복조된 디지털방송신호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을 분리하는 역다중화기와, 상기 분리된 비디오스트림의 데이터들을 복호하는 비디오복호기와, 상기 분리된 오디오스트림의 데이터를 복호하는 오디오복호기를 구비하며, 상기 비디오 복호기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수신되는 비디오데이타의 복호영역을 리사이징하고 상기 리사이징된 영역의 비디오데이타들을 복호하는 복호기와,A demultiplexer for separating audio and video streams from the demodulated digital broadcast signal, a video decoder for decoding data of the separated video stream, and an audio decoder for decoding data of the separated audio stream; The decoder includes: a decoder for resizing the decoding area of the video data received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and decoding the video data of the resized area; 상기 복호된 비디오데이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ecoded video data; 녹화모드시 상기 복조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를 저장하며, 상기 복호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일시저장하는 버퍼들로 구성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a digital broadcast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in a recording mode and to temporarily store data processed by the decoder.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복호기가,The video decoder of claim 33, wherein the video decoder comprises: 복조된 비디오스트림에서 헤더정보를 분석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분리 출력하는 헤더분석부와,A header analyzer for analyzing the header information from the demodulated video stream and separating and outputting the video data; 상기 헤더분석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데이타를 가변길이 테이블에 의해 원래의 화소 데이터 크기로 복호하며, 상기 가변길이 복호시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리사이징 영역에 포함되는 블록의 데이터까지 복호하도록 상기 테이블변환기를 제어한 후, 상기 버퍼에 상기 리사이징 영역의 비디오데이타들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가변길이복호부와,The table converter decodes the video data output from the header analysis unit to the original pixel data size by a variable length table, and decodes the data of a block included in the resizing area set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when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is performed. After controlling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for controlling to store the video data of the resizing area in the buffer, 상기 복호된 비디오데이타를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부와,An inverse quantization unit for inversely quantizing the decoded video data; 상기 역양자화된 주파수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리사이징 제어신호에 의해 2차원 공간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로 리사이징 변환하는 역변환부와,An inverse transform unit for resizing the video data of the inverse quantized frequency domain into video data of a two-dimensional space domain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적어도 하나의 리사이징을 위한 움직임보상기를 구비하며,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움직임보상기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움직임보상기가 상기 역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 중 움직임보상 데이터를 움직임 보상하여 합산하는 움직임보상부와,And a motion compensator for at least one resizing, wherein the motion compensator is selected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the selected motion compensator motion-compensates and adds motion compensation data among the inversely converted video data and the separated video data. With the motion compensation part to do, 상기 역변환부 및 움직임보상부의 출력을 표시데이타 형태로 변환하는 색변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a color converting unit converting outputs of the inverse converting unit and the motion compensating unit into display data.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부가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의 Y축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포인트 역이산여현변환기를 선택하는 Y축 리사이저와,3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4, wherein the inverse transform unit selects a point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er set by the Y axis control signal of the resizing control signal; 복수개의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며, 상기 선택된 포인트의 역이산변환기가 리사이징된 영역의 Y축 비디오데이타들을 역이산변환하는 상기 Y축 역이산변환기들과,The Y-axis inverse discrete transformers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the inverse discrete transformers of the selected point inversely discretely transforming Y-axis video data of a resized region,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의 X축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포인트 역이산여현변환기를 선택하는 X축 리사이저와,An X-axis resizer for selecting a point inverse discrete cosine converter set by the X-axis control signal of the resizing control signal; 복수개의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며, 상기 선택된 포인트의 역이산여현변환기가 상기 Y버퍼에 저장된 리사이징된 영역의 X축 비디오데이타들을 역이산여현변환하는 상기 X축 역이산여현변환기들로 구성된 역이산변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er having an inverse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er of the selected point performing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ing of the X-axis video data of the resized region stored in the Y buffer Th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rete conversion unit.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부가,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inverse transform unit,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의 Y축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포인트 역인티져변환기를 선택하는 Y축 리사이저와,A Y axis resizer for selecting a point inverse integer converter set by the Y axis control signal of the resizing control signal; 복수개의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며, 상기 선택된 포인트의 역인티져변환기가 리사이징된 영역의 Y축 비디오데이타들을 역인티져변환하는 상기 Y축 역인티져변환기들과,The Y-axis de-integrator converters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the inverse-inverter converters of the selected point de-integrating the Y-axis video data of the resized region,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의 X축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포인트 역인티져변환기를 선택하는 X축 리사이저와,An X-axis resizer for selecting a point de-integrator converter set by the X-axis control signal of the resizing control signal; 복수개의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며, 상기 선택된 포인트의 역인티져변환기가 상기 Y버퍼에 저장된 리사이징된 영역의 X축 비디오데이타들을 역인티져변환하는 상기 X축 역인티져변환기들로 구성되는 역인티져변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 inverse integer transform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wherein the inverse integer transformer of the selected point is configured to inversely transform the X-axis video data of the resized region stored in the Y buffer; Disclaim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길이복호부가,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unit, 상기 수신되는 가변길이부호화 비디오 데이터를 원래 길이의 비디오데이타로 복호하는 테이블변환기와,A table converter for decoding the received variable length coded video data into video data having an original length; 상기 테이블변환기에서 복호되는 비디오데이타를 저장하는 버퍼와,A buffer for storing video data decoded by the table converter;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리사이징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데이타 까지 복호하도록 상기 테이블변환기를 제어하며, 상기 버퍼에 상기 리사이징 영역의 비디오데이타들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리사이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a resizer configured to control the table converter to decode pixel data included in the resizing area set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to store video data of the resizing area in the buffer.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보상부가,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motion compensation unit, 상기 수신되는 움직임 보상 벡터값을 저장하는 버퍼와,A buffer for storing the received motion compensation vector value; 상기 움직임 벡터값을 비교하기 위해 이전 프레임 영상을 저장하는 이전영상저장부와,A previous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 previous frame image to compare the motion vector values; 상기 움직임 벡터값을 비교하기 위해 다음 프레임 영상을 저장하는 다음영상 저장부와,A next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 next frame image to compare the motion vector values; 상기 움직임벡터 값, 이전영상저장부 다음 영상저장부의 출력을 입력하며, 움직임보상선택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각각 하프펠, 쿼터펠 및 옥타펠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보상기들과,A motion compensator for inputting the motion vector value and an output of a previous image storage part and a motion compensation selection signal driven by a motion compensation selection signal to respectively perform half-pel, quarter-pel and octapel motion compensation;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하프펠, 쿼터펠 또는 옥타펠 보상기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리사이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a resizer for selecting one of the half pel, quarter pel or octapel compensators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표시부 화면크기에 의해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35.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34,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resizing control value based on the display unit screen siz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의 화면크기에 결정된 상기 리사이징 제어신호에 상기 헤더분석부에서 분석된 이미지스캔 방식에 따른 스캔방식에 따른 리사이징 요인을 부가하여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35. 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resizing control value by adding a resizing factor according to a scan method according to an image scan method analyzed by the header analyzer to the resizing control signal determined by the screen size of the display unit. Said device.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의 화면크기에 의해 결정된 상기 리사이징 제어신호에 상기 헤더분석부에서 분석된 이미지스캔 방식 및 블록스캔 방식,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호 속도,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복호속도 등의 리사이징 요인을 부가하여 상기 리사이징 제어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35. 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n image scanning method and a block scanning method analyzed by the header analyzing unit in response to the resizing control signal determined by the screen size of the display unit, a decoding speed selected by a user, and decoding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 resizing control value is determined by adding a resizing factor such as speed. 디지털 방송수신장치에서 부호화된 비디오데이터를 복호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decoding the video data encoded i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리사이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결정하는 과정과,Determining a control signal for resizing the received video data; 복조된 비디오스트림에서 헤더정보를 분석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분리 출력하는 과정과,Parsing and outputting video data by analyzing header information in the demodulated video stream;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리사이징하며, 상기 리사이징된 비디오데이타를 가변길이 테이블에 의해 원래의 화소 데이터 크기 로 복호하는 과정과,Resizing the separated video data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decoding the resized video data to the original pixel data size by a variable length table; 상기 복호된 비디오데이타를 역양자화하는 과정과,Dequantizing the decoded video data; 상기 역양자화된 주파수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리사이징 제어신호에 의해 2차원 공간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로 리사이징 변환하는 역변환과정과, An inverse transform process of resizing the video data of the inverse quantized frequency domain into video data of a two-dimensional space domain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상기 역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 중 움직임보상 데이터를 움직임 보상하여 합산하는 과정과,Motion compensating and summing motion compensation data among the inversely converted video data and the separated video data; 상기 움직임 보상된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converting the motion compensated video data into data for display on a display unit.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과정이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되는 Y 행렬의 스캔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캔영역의 데이터를 역이산여현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43.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42, wherein the inverse transform process sets a scan area of the Y matrix set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s the data of the set scan area.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과정이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되는 Y 행렬의 스캔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캔영역의 데이터를 역인티져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43.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42, wherein the inverse transform process sets a scan area of the Y matrix set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and inversely transforms the data of the set scan area. 제42에 있어서, 상기 가변길이 복호 과정이,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process, 상기 수신되는 가변길이부호화 비디오 데이터를 원래 길이의 비디오데이타로 복호하여 저장하는 과정과,Decoding and storing the received variable length coded video data into video data having an original length;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리사이징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데이타까지 복호시 상기 복호 동작을 중단하는 과정과,Stopping the decoding operation when decoding up to pixel data included in the resizing area set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상기 저장된 복호데이타들에서 상기 리사이징 영역의 복호된 비디오데이타들을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outputting decoded video data of the resizing area from the stored decoded data.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보상과정이,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the motion compensation process, 움직임 벡터값을 비교하기 위해 이전 프레임 영상 및 다음 프레임 영상 및 수신되는 움직임 벡터값을 저장하는 과정과,Storing a previous frame image, a next frame image, and a received motion vector value to compare the motion vector values; 상기 움직임벡터 값, 이전영상 및 이전 영상을 상기 리사이징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움직임보상기를 통해 움직임 보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otion compensation method comprises the step of compensating for the motion vector value, the previous image and the previous image through a motion compensator selected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징 제어신호를 결정하는 과정이,43. 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determining the resizing control signal, 상기 표시부의 화면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화소데이타들이 포함된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리사이징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 법.And determining a control signal that can be resized to select an area including pixel data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a screen size of the display unit.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를 결정하는 과정이,43. 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determining the resizing control signal,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표시부 화면크기, 상기 헤더정보에 포함된 이미지스캔 방식 및 블록스캔 방식,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호 속도,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복호속도에 의해 상기 리사이징 제어신호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resizing control signal is determined by the screen size of the display unit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the image scanning method and the block scanning method included in the header information, the decoding speed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decoding speed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The method.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영상처리 방법에 있어서,In the image processing method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채널선택신호를 발생하며,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비디오 데이터를 리사이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Generating a channel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esizing video data of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상기 제어부의 채널선택에 의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신호의 채널을 선택하는 과정과,Selecting a channel of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channel selection of the controller; 상기 선택된 디지털 방송채널의 신호를 복조하는 과정과, Demodulating the signal of the selected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상기 복조된 디지털방송신호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의 데이터들을 각각 복호하며, 상기 비디오데이타를 복호하는 과정이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수신되는 비디오데이타의 복호영역을 리사이징하고 상기 리사이징된 영역의 비디오데이타들을 복호하는 과정과,The decoding region of the video data received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is a process of separating the audio and video stream from the demodulated digital broadcast signal, decoding the data of the separated video and audio stream, respectively, and decoding the video data. Resizing and decoding video data of the resized area; 상기 복호된 비디오 및 오디오데이타를 표시 및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displaying and playing the decoded video and audio data.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방송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In the broadcast signal process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채널선택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 화면 크기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의 비디오 데이터를 리사이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Generating a channel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esizing the video data of the digital broadcasting signal received according to the display unit screen size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채널선택신호에 의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신호의 채널을 선택하는 과정과,Selecting a channel of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the channel selection signal; 상기 선택된 디지털 방송채널의 신호를 복조하는 과정과,Demodulating the signal of the selected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상기 복조된 디지털방송신호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의 데이터들을 각각 복호하며, 상기 비디오복호과정은 상기 리사이징제어신호에 의해 수신되는 비디오데이타의 복호영역을 리사이징하고 상기 리사이징된 영역의 비디오데이타들을 복호하는 과정과,The audio and video streams are separated from the demodulated digital broadcast signal, and the data of the separated video and audio streams are decoded, respectively. The video decoding process resizes the decoding area of the video data received by the resizing control signal. Decoding video data of the resized area; 상기 복호된 비디오 및 오디오데이타를 표시 및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displaying and playing the decoded video and audio data.
KR1020050100299A 2004-10-26 2005-10-24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signal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07229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59,400 US7986846B2 (en) 2004-10-26 2005-10-2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signal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N2005101166274A CN1767650B (en) 2004-10-26 2005-10-2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signal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EP05023380A EP1655966A3 (en) 2004-10-26 2005-10-2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signal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860 2004-10-26
KR20040085860 2004-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312A KR20060049312A (en) 2006-05-18
KR100722972B1 true KR100722972B1 (en) 2007-05-30

Family

ID=36743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299A KR100722972B1 (en) 2004-10-26 2005-10-24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signal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22972B1 (en)
CN (2) CN10166261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645B1 (en) 2009-07-10 2014-0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orward error correction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decoding method thereof
KR101857811B1 (en) * 2011-11-16 2018-05-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mbedded display port interface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60492B (en) * 2006-09-30 2011-02-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processing video frequency in mobile multimedia broadcast
KR100948413B1 (en) * 2008-03-05 2010-03-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up/down sampling of image block in the integer DCT domain
CN102438135B (en) * 2011-01-14 2013-12-04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Down-sampling decoding method and device for high-resolution video on small-size display equipment
KR102105497B1 (en) 2011-06-28 2020-04-29 소니 주식회사 Television apparatus, mobile phone, reproducing device, camera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6533630B (en) * 2016-12-09 2019-08-27 天津大学 A kind of highly reliable emergency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digital broadcasting signaling aggregation
CN108989849B (en) * 2018-08-01 2021-01-29 广州长嘉电子有限公司 DVB-T2+ S2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CN109379169B (en) * 2018-12-07 2021-03-2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Code speed adjusting device for resisting sudden large error cod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9335A (en) * 1995-11-01 1997-06-06 Texas Instr Inc <Ti> Multiformat television receiver system and television picture generating method
KR19990065544A (en) * 1998-01-14 1999-08-05 구자홍 Decoder device of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20020009909A (en) * 2000-07-27 2002-02-02 구자홍 video decoder with down conversion function and method of decoding a video signal
KR20040008931A (en) * 2002-07-19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416723A2 (en) * 2002-10-25 2004-05-06 Humax Co., Ltd. Method for resizing an image using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3918A1 (en) * 1999-12-20 2003-03-06 Jiang Hong H.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video image decoding
KR100828342B1 (en) * 2000-06-10 2008-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with lower data-rate and less degradation of image quality
KR100450939B1 (en) * 2001-10-23 2004-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Compressed video decoder with scale-down function for image reduction and method thereof
CN1212723C (en) * 2002-06-06 2005-07-27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9335A (en) * 1995-11-01 1997-06-06 Texas Instr Inc <Ti> Multiformat television receiver system and television picture generating method
KR19990065544A (en) * 1998-01-14 1999-08-05 구자홍 Decoder device of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20020009909A (en) * 2000-07-27 2002-02-02 구자홍 video decoder with down conversion function and method of decoding a video signal
KR20040008931A (en) * 2002-07-19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416723A2 (en) * 2002-10-25 2004-05-06 Humax Co., Ltd. Method for resizing an image using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645B1 (en) 2009-07-10 2014-0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orward error correction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decoding method thereof
US8707121B2 (en) 2009-07-10 2014-04-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orward error correction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decoding method thereof
KR101609607B1 (en) 2009-07-10 2016-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orward error correction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decoding method thereof
KR101857811B1 (en) * 2011-11-16 2018-05-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mbedded display port interface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312A (en) 2006-05-18
CN1767650B (en) 2010-10-06
CN101662610A (en) 2010-03-03
CN1767650A (en)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68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signal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100722972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signal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US9509996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ultiplexing of video streams
CN106331714B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7634794B1 (en) Broadcasting service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0887590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57845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video and voice signals according to different standards
US729561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coding and displaying different resolution video signals
US6091458A (en) Receiver having analog and digital video modes and receiving method thereof
JP4981927B2 (en) CAVLC extensions for SVCCGS enhancement layer coding
US20120141037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20160127728A1 (en) Video compression apparatus, video playback apparatus and video delivery system
WO2008060732A2 (en) Techniques for variable resolution encoding and decoding of digital video
US20050074177A1 (en) Video coding method
US6590938B1 (en) DCT domain conversion of a higher definition signal to lower definition signal
US20080031357A1 (en) Decoding device,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6040875A (en) Method to compensate for a fade in a digital video input sequence
US10412417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an encoding process or a decoding process on an image at high speed
Fischer et al. Video coding (mpeg-2, mpeg-4/avc, hevc)
KR100548243B1 (en) A method of transmitting encoded video signal with rate control for mobile phone
JPH1093992A (en) Method for storing decoded multi-color digital image bit map in ram to display
KR100258956B1 (en) Digital receiver for simultaneously receiving multi-channel signals and processing method therefor
KR01717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the standing fictures from a receiver of digital dbs
Zdepski et al. Overview of the Grand Alliance HDTV video compression system
Peng et al. DTV and low-cost video deco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