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987B1 -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 Google Patents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987B1
KR100718987B1 KR1020050068254A KR20050068254A KR100718987B1 KR 100718987 B1 KR100718987 B1 KR 100718987B1 KR 1020050068254 A KR1020050068254 A KR 1020050068254A KR 20050068254 A KR20050068254 A KR 20050068254A KR 100718987 B1 KR100718987 B1 KR 100718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button
electrode
mechanical switch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2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13713A (en
Inventor
배상호
박주욱
민동진
임병상
Original Assignee
(주)멜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멜파스 filed Critical (주)멜파스
Priority to KR1020050068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987B1/en
Publication of KR20070013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7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9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인체의 접촉 정보 및 압력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입력장치가 개시된다.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는 전자기기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버튼부, 버튼부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버튼부에 삽입되는 전극 팁, 버튼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버튼부의 가압에 의해서 제공되는 압력 정보를 감지하여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기계적 스위치부, 기계적 스위치부의 내부를 관통하고, 전극 팁 및 전극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전극 팁에서 감지되는 인체의 접촉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 전극 및 상기 기계적 스위치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기계적 스위치부 또는 상기 연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 정보 및 상기 압력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회로기판을 구비한다. 따라서, 하나의 회로기판을 사용하여 기계적 압력정보 및 전기적 압력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부품 수가 줄어들어 기판을 얇게 제작할 수 있다.An input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contact information and pressure information of a human body is disclosed.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formed on a button part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an electrode tip inserted into the button part to b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part, a lower part of the button part, and detects pressur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ressing of the button part. Mechanical switch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side of the mechanical switch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tip and the electrode pattern, the connection electrode and the mechanical for transmitting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detected by the electrode tip to the outside A circuit board is formed below the switch unit and includes an electrode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chanical switch unit or the connection electrode. The circuit board transfers the contact information and the pressure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erefore, since the mechanical pressure information and the electrical pressure information can be sensed using one circuit boar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thereby making the substrate thin.

인체 접촉 정보, 센서, 스위치, 기계식 스위치, 회로기판, 전자기기 Human body contact information, sensors, switches, mechanical switches, circuit boards, electronics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입력장치{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Input device of electronic device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의 기계식 스위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mechanical switch structure of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put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of FIG. 2.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input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어 흐름도이다.6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n input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다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put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put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n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of FIG. 8.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n input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0:버튼부 220:전극 팁 210: button portion 220: electrode tip

230:기계적 스위치부 240:연결 전극230: mechanical switch 240: connection electrode

250:회로기판 260:보강층250: circuit board 260: reinforcing layer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접촉 정보 및 압력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put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for sensing contact information and pressure information of a human body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최근에 많은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많은 기능들이 융합된 전자기기가 인기를 얻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춘 전자기기들이 등장하게 되었고, 다양한 기능의 추가에 따라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Recently, electronic devices having many functions have been used, and in particular, electronic devices in which many functions are fused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become popular. Therefore, electronic devices with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have emerged, and the necessity of a new user interface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various functions.

본 명세서에서 전자기기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와, 유선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기전자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lectronic device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smart phone, a handheld PC,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nd the like. It can be used to include.

특히,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는 전자기기의 경량화, 휴대성의 편의를 위해서디스플레이, 키패드 등의 관련 부품들 역시 그 크기가 소형화될 수 밖에 없고, 따라 서 사용자가 좀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이 필수적이다.In particular, the portabl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has to reduce the size of the related parts such as the display and the keypad for the light weight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venience of portability, thus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the user to use more conveniently. This is essential.

종래 기술의 전자기기에서 이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기계식 스위치(예를 들어, 키패드 방식)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기계식 스위치 구조 및 동작 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s a user interface used in the electronic apparatus of the prior art, a mechanical switch (for example, a keypad type) is mainly used. The mechanical switch structure and oper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기계식 스위치는 크게 키 버튼(101), 실리콘 러버(102), 돔 스위치(103), PCB(104)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계식 스위치는 주로 이동 통신 단말기를 비롯한 전자기기에 널리 사용된다. As shown in Fig. 1, a mechanical switch of the prior art is largely composed of a key button 101, a silicon rubber 102, a dome switch 103, a PCB 104, and the like. Such mechanical switches are widely used mainly in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키 버튼(101)은 사용자가 인체의 일부분, 일례로 손가락 등을 올려놓고 사용자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 때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기기에 사용자 입력을 하기 위해서는 키 버튼(101)에 손가락을 올려놓고 누름으로써, 키 버튼(101)에 압력이 가해진다. The key button 101 is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input a user by placing a part of the human body, for example, a finger. In this case, in order for a user to input a user to the device, pressure is applied to the key button 101 by putting a finger on the key button 101 and pressing the finger.

실리콘 러버(102)는 키 버튼(101)과 돔 스위치(103)를 연결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돔 스위치부로 전달한다. 돔 스위치(103)는 사용자의 입력을 전달 받아 PCB에 접촉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PCB(Printed Circuit Board, 104)는 돔 스위치부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전달 받아 이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기기가 제어되도록 한다.The silicon rubber 102 connects the key button 101 and the dome switch 103 and transmits a user input to the dome switch unit. The dome switch 103 receives the user's input and contacts the PCB to transmit the user's input to the outside. The PCB (Printed Circuit Board, 104) receives the user's input from the dome switch unit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device is controlled.

즉, 사용자가 키 버튼(101)에 압력을 가하면 실리콘부(102) 중 돔 스위치(103)의 돔(dome) 부분(105)과 접촉된 부분이 압력을 받아 돔 스위치의 돔 부분(105)을 누르게 되고, 돔 부분(105)은 PCB에 접촉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입력을 제 어부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applies pressure to the key button 101, the portion of the silicon portion 102 that is in contact with the dome portion 105 of the dome switch 103 receives pressure to open the dome portion 105 of the dome switch. When pressed, the dome portion 105 is in contact with the PCB so that the user's input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따라서, 종래의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는 기계적 스위치는 사용자의 신체를 이용하여 키 버튼(101)을 가압하는 방식에 의해서 눌려지며, 이때, 내부에서 키 입력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계적 스위치 방식은 눌려지는 영역이 확실한 포인팅 기능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조작하기가 편리하다. Therefore, the mechanical switch used as a conventional interface is pressed by the method of pressing the key button 101 by using the user's body,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enter the key inside. This mechanical switch system is easy for the user to operate since the pressed area has a definite pointing function.

그러나, 종래 기술의 기계식 스위치에서는 스위칭을 위해서 사용자가 키 버튼 부분에 매번 압력을 가하여야 하므로, 1회성이 아닌 지속적이고 연속적인 스위칭을 요하는 경우에는 입력 과정에 번거로움이 있다. 예를 들어, 오늘날 널리 쓰이고 있는 네비게이션 기능이나 스크롤 기능 등을 구현할 때에는 연속적으로 스위치를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in the mechanical switch of the prior art, since the user must apply pressure to the key button part every time for switching, it is cumbersome for the input process in the case of requiring continuous and continuous switching instead of one-time. For example, when implementing a navigation function or a scroll function that is widely used today, it is inconvenient to press a switch continuously.

또한, 보다 복잡한 기능의 추가에 따라 GUI 환경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기존의 기계식 스위치만으로는 구현상의 어려움과 사용상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이러한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 많은 한계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hange of GUI environment is accelerating with the addition of more complicated functions, and the demand for new interface devices to cope with this is increasing.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providing.

따라서, 전자기기의 다양한 기능의 추가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자의 간단한 접촉(touch)만으로 전자기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전자기기 제어 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new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simple touch of a user in order to implement a multimedia function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various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인체의 접촉에 의한 전기적 방법 및 인체의 가압에 의한 기계적 방법을 함께 사용하 는 버튼을 구현하고, 기존 터치패드의 내구성을 개선하면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button using a combination of the electrical method by the human body and the mechanical method by the pressure of the human body, and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existing touch pad While providing an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회로 기판으로 전기적 방법 및 기계적 방법을 모두 감지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부품 수가 줄어 제조 비용을 줄이며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detect both an electrical method and a mechanical method with a single circuit board, thereby facilitating manufacture,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manufacturing a thin thicknes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축전지 원리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긴 수명과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long life and high reliability by using a sensing method using a battery principl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연속 입력과 포인팅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자기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Furth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providing a continuous input and pointing function of a us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쉽게 장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that can be easily mounted on a miniaturized electronic device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by a user.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는 버튼부, 전극 팁, 기계적 스위치부, 연결 전극 및 회로기판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button portion, an electrode tip, a mechanical switch portion, a connecting electrode and a circuit board.

버튼부는 전자기기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며,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버튼부를 누르면, 누르는 힘에 의해서 신호를 전자기기에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버튼부의 가압을 이용한 기계적 신호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버튼부를 누르는 순간, 손 끝에서 전하가 버튼부로 전달되므로 전자기기에서 상기 전하를 감지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The button part is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in general,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part, a signal is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by a pressing force. Therefore, a mechanical signal using the pressing of the button unit can be used, and at the moment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unit, electric charges are sensed by the electronic device because electric charges are transferred to the button unit at the fingertips.

전극 팁은 버튼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버튼부에 삽입되며, 도체 또는 유전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팁은 사용자의 인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사용자의 인체에서 전하가 흘러 들어가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The electrode tip is inserted into the button portion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utton portion, and may be made of a conductor or a dielectric. Therefore, the electrode tip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human body to serve as a medium through which charge flows in the user's human body.

기계적 스위치부는 버튼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버튼부의 가압에 의해서 제공되는 기계적 압력 정보를 감지하여 외부로 전달한다. 따라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에 버튼부를 가압하는 기계적 압력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기계적 압력 정보에 따라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The mechanical switch unit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utton unit and senses the mechanical pressur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ressing of the button unit and transmits it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mechanical pressure information for pressing the button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troller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echanical pressure information.

연결 전극은 기계적 스위치부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양단부가 기계적 스위치부에 양 표면으로 노출되고, 전극 팁 및 전극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전극은 전극 팁에서 감지되는 인체의 접촉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에서는 인체의 접촉 정보에 따라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The connecting electrode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mechanical switch part, and both ends thereof may be exposed to both surfaces of the mechanical switch part, and the electrode tip and the electrode patter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connection electrode transmits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detected by the electrode tip to the outside. Similarly, the controller generates the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회로기판은 기계적 스위치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기계적 스위치부 또는 상기 연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 정보 및 압력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 때, 회로기판은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 또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연성회로기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circuit board is formed under the mechanical switch part, includes an electrode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chanical switch part or the connection electrode, and serves as a medium for transmitting the contact information and the pressure information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circuit board may be manufactured as a PCB (Printed Circuit Board) or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는 버튼부를 눌러서 신호를 입력하는 기계적인 방식과, 버튼부의 전극 팁과 접촉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전기적인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전기적인 방식 을 통해 연속적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가압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선택 기능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mechanical method of inputting a signal by pressing a button part, and an electrical method of inputting a signal in contact with an electrode tip of the button part. Therefore, the user can continuously input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an electrical method,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se a selection function of inputting a signal by pressing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또한, 하나의 회로기판을 이용하여 기계적 압력정보 및 전기적 압력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부품 수가 줄어들어 기판을 얇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하고 그에 따른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장착하기가 편리하다.In addition, mechanical pressure information and electrical pressure information can be detected using a single circuit board, so that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so that the board can be manufactured thinly,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easily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It is convenient to do

그리고, 상기 전기적인 감지 방법 및 기계적인 감지 방법은 다양한 메커니즘을 따르도록 전자기기의 입력장치가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적인 감지 방법은 유전체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서 사용자의 인체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기계적인 감지 방법은 돔 스위치 감지 방법 및 스프링 스위치 감지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ical sensing method and the mechanical sensing method may be designed for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to follow a variety of mechanisms. For example, the electrical sensing method may use a method of detecting contact with a human body by a change in capacitance of a dielectric, and the mechanical sensing method may use a dome switch sensing method and a spring switch sensing method. hav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실시예Example 1 One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기기라 함은 휴대폰, PDA 등과 같이 버튼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모든 기기를 총칭하여 의미할 수 있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put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of FIG. 2.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lectronic device may collectively mean all devices that input signals using a button method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는 버튼부(210), 전극 팁(220), 기계적 스위치부(230), 연결 전극(240), 회로기판(250) 및 보강층(260)을 구비한다.2 and 3,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button unit 210, an electrode tip 220, a mechanical switch 230, a connection electrode 240, a circuit board 250, and a reinforcing layer 260. It is provided.

버튼부(210)는 전자기기의 본체에 외부로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버튼부(210)는 제1 버튼(210a) 및 제2 버튼(210b)을 포함한다. 제1 버튼(210a)은 전기적 방식과 기계적 방식을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인접한 제2 버튼(210b)은 전기적인 방식만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버튼(210a)과 제2 버튼(210b)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제1 버튼(210a) 및 제2 버튼(210b)의 조작이 서로 방해 받지 않는다. The button unit 210 is mounted to be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button unit 210 includes a first button 210a and a second button 210b. The first button 210a may be used in a combination of an electrical method and a mechanical method, and the adjacent second button 210b may be used only in an electrical method. The first button 210a and the second button 210b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manipulation of the first button 210a and the second button 210b is not disturbed by the structure.

제1 버튼(210a)에는 접촉 감지 영역(212) 및 가압 감지 영역(214)이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버튼(210a)의 접촉 감지 영역(212)에 손을 접촉시키면, 전기적인 방법에 의해서 신호가 입력되고, 그 위치에서 하부를 향하여 누르면 기계적 신호가 전달된다. 그리고, 제2 버튼(210b)에는 접촉 감지 영역(212) 만이 형성되고, 전기적인 신호 만을 감지할 수 있다. The touch sensing region 212 and the pressure sensing region 214 ar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first button 210a. Therefore, when the user touches the hand to the touch detection area 212 of the first button 210a, a signal is input by an electrical method, and when pressed downward from the position, a mechanical signal is transmitted. In addition, only the touch detection area 212 is formed in the second button 210b, and only an electrical signal may be detected.

제1 버튼(210a)에는 접촉 감지 영역(212) 및 가압 감지 영역(214)의 하부에 기계적 스위치부(230)와 연결 전극(24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연결 전극(240)은 기계적 스위치부(230)의 내부를 관통하며, 전극 팁(22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회로기판(250)에 인체의 접촉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적 스위치부(230)와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전극(240)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종래보다 그 두께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버튼을 원형의 형상으로 배열하여 휴대폰의 메뉴 키 등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버튼부를 원형의 형상이 아닌 십자가 형상 또는 일렬로 배치하는 등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다. The mechanical switch unit 230 and the connection electrode 240 may be disposed below the contact sensing region 212 and the pressure sensing region 214 in the first button 210a. In this case, the connection electrode 240 may penetrate the inside of the mechanical switch 2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ip 220, and may transmit contact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to the circuit board 250. Therefore, since the mechanical switch unit 230 and the connection electrode 240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are integrally formed, the thickness thereof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related art. However,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uttons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nd used to be mounted on a menu key of a mobile phone, and the like, and the buttons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ross or a line rather than a circular shape. have.

전극 팁(220)은 버튼부(210)에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일단부가 버튼부(210)의 표면에 노출되고, 타단부는 연결 전극(240)과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인체가 전극 팁(220)에 접촉되는 순간, 사용자의 인체에서 전기가 흘러나와 전극 팁(220)으로 전달되며, 전극 팁(220)은 연결 전극(240)으로 상기 접촉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의 인체에 의한 인체 접촉 정보는 인체의 열, 캐패시턴스, 저항, 전류 등과 같은 접촉 정보일 수도 있다. The electrode tip 220 may be inserted to penetrate the button portion 210, one end thereof may be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210, and the other end thereof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electrode 240. Therefore, as soon as the user's body contacts the electrode tip 220, electricity flows from the user's body to the electrode tip 220, and the electrode tip 220 transmits the contact signal to the connection electrode 240. Done. At this time, the human body contact information by the user's human body may be contact information such as heat, capacitance, resistance, current, etc. of the human body.

기계적 스위치부(230)는 실리콘부(232) 및 돔 스위치(234)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인체의 일부분 즉, 손가락 등을 버튼부(210)에 올려놓고 가압을 하면, 상기 가압에 의한 압력이 기계적 스위치부(230)에 가해진다. 그리고, 기계적 스위치부(23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며, 제어부에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The mechanical switch unit 230 includes a silicon unit 232 and a dome switch 234. When a user presses a part of the human body, that is, a finger or the like on the button unit 210,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mechanical switch unit 230. In addition, the mechanical switch 230 detects this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and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실리콘부(232)는 버튼부(2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실리콘부(232)의 하부에 돌출된 누름 돌출부(232a)를 포함한다. 이 때, 연결 전극(240)은 실리콘부(232)의 내부에 장착되고, 일단부는 전극 팁(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누름 돌출부(232a)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회로기판(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silicon portion 232 is positioned below the button portion 210 and includes a push protrusion 232a that protrudes below the silicon portion 232. At this time, the connection electrode 240 is mounted inside the silicon portion 232, one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ip 220, and the other end is partially exposed to the pressing protrusion 232a, thereby providing a circuit board 250. ) Is electrically connected.

그리고, 돔 스위치(234)는 누름 돌출부(232a)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돔 스위치(234)의 돌출된 부분(D)에서 양단부가 항상 고정 전극(25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극 팁(220)에 손을 대면, 돔 스위치(234)가 눌려지지 않아도, 회로기판(250)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버튼부(210)를 누르면, 누름 돌출부(232a)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돔 스위치(234)의 돌 출된 부분(D)이 회로기판(250)의 감지 전극(252b)과 접촉되어 기계적인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The dome switch 234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rotrusion 232a, and both ends of the dome switch 23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xed electrode 252a at all times. Therefore, when the user touches the electrode tip 220, the electrical circuit board 250 detects an electrical signal even when the dome switch 234 is not pressed. Then,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unit 210, the pushed protrusion 232a moves downward, and the protruding portion D of the dome switch 234 is in contact with the sensing electrode 252b of the circuit board 250 so as to contact the machine. Will generate a positive signal.

연결 전극(240)은 기계적 스위치부(230)를 관통하며, 전극 팁(220)과 회로기판(2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 때, 연결 전극(240)은 상부 전극(242) 및 하부 전극(244)을 포함한다. 상부 전극(242)은 전극 팁(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실리콘부(232)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하부 전극(244)은 상부 전극(242)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누름 돌출부(232a) 표면으로 노출되고, 돔 스위치(234)와 접촉된다. 따라서, 연결 전극(240)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인체에서 흐르는 전하를 회로기판(250)에 전달하게 된다. The connection electrode 240 penetrates the mechanical switch 230 and serves as a medium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tip 220 and the circuit board 250. In this case, the connection electrode 240 includes an upper electrode 242 and a lower electrode 244. The upper electrode 24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ip 220 and partially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ilicon portion 232. The lower electrode 244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electrode 242 to be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pressing protrusion 232a and is in contact with the dome switch 234. Accordingly, the connection electrode 240 is formed in a T-shape, and transfers electric charges flowing in the human body of the user to the circuit board 250.

회로기판(250)은 기계적 스위치부(230)의 하부에 형성되고, 전극 팁(220)에 접촉되도록 밀착된다. 이 때, 회로기판(250)은 인체 접촉 정보가 전기 신호인 경우 이를 전달하기 위한 Flexible PCB, PCB, 전선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Flexible PCB, PCB로 제조되는 회로기판(250) 상에는 다양한 전극패턴을 그려 넣을 수 있다.The circuit board 250 is formed under the mechanical switch 23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lectrode tip 220. In this case, the circuit board 250 may be any one of a flexible PCB, a PCB, and a wire for transferring the human body contact information when the electrical signal is an electrical signal. In addition, various electrode patterns may be drawn on the circuit board 250 manufactured by the flexible PCB and the PCB.

그리고, 회로기판(250)은 전극패턴(252)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패턴(252)은 회로기판(250) 상에 인쇄되며, 고정 전극(252a)과 감지 전극(252b)을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 전극(252a)은 돔 스위치(234) 중 돌출된 부분(D)의 양단부에 고정되며, 이 부분(D)은 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감지 전극(252b)은 고정 전극(252a)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돌출된 부분(D)이 기계적인 압력에 의해서 하부를 향하여 이동하면 돌출된 부분(D)과 서로 접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250 may include an electrode pattern 252. The electrode pattern 252 is printed on the circuit board 250 and includes a fixed electrode 252a and a sensing electrode 252b. The fixed electrode 252a may be fixed to both ends of the protruding portion D of the dome switch 234, and the portion D may be formed of a conductor. In addition, the sensing electrode 252b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xed electrode 252a. When the protruding portion D moves downward by mechanical pressure, the sensing electrode 252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D.

보강층(260)은 버튼부(210)와 실리콘부(232) 사이에서 삽입될 수 있으며, 버튼부(210)는 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층에 의해서는 각 구성요소 간에 접착성을 높일 수 있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보강층을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보강층은 본 구조에서 생략되어도 그 기능을 수행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The reinforcement layer 26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button portion 210 and the silicon portion 232, and the button portion 210 may use a tape. Therefore, the reinforcement layer can increase the adhesiveness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ement layer may be made of plastic, metal,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However, since the reinforcement layer is omitted in the present structure, it does not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reinforcement layer and may be omitted according to the designer's intention.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회로기판(250)에서 전달된 인체 접촉 정보에 의해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가압에 의한 기계적 정보에 의해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제어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는 콘트롤러 칩(controller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not shown)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based on human body contac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ircuit board 250,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based on mechanical information by pressing, and the first and second parts. The electronic device is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ntroller chip.

그리고, 제1 및 제2 제어 신호는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다양한 신호로 응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및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may be applied to various signals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may be signals for controlling display means of the electronic device.

즉, 제1 및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전극 팁(220)에서 감지된 인체 접촉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수단에 적용되는 줌 배율 또는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의 위치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상의 포인터의 위치 또는 이동 정보인 포인팅 정보를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are based on the human body contact information sensed by the electrode tip 220, the zoom magnification applied to the display means or the position of the displayed image or th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pointer o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It may be a signal for controlling pointing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또한, 제1 및 제2 제어 신호는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볼륨 또는 게임 콘트롤 기능을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 팁(220)에서 감지된 인체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자기 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may be signals for controlling volume or game control functions a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providing various functions based on human body contact information sensed by the electrode tip 220.

이 때,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는 전자기기에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일 수도 있고, 각각 다른 동작(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 달리,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를 조합하여 전자기기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a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the same opera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or may be set as a signal for controlling to perform different operations (functions). Alternatively,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by combining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예를 들어,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는 전자기기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번호 입력을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극 팁(220)에 손가락을 접촉만 하더라도 제1 제어 신호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번호를 입력하는 신호가 생성되어 전자기기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손가락에 압력을 가하여 누르는 경우에도 제2 제어 신호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번호를 입력하는 신호가 생성되어 전자기기가 제어되어 번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signals for controlling number inpu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an electronic device. In this case, even if the user only touches the finger on the electrode tip 220, a signal for inputt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witch is generated as the first control signal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a signal for inputt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witch is generated as the second control signal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controlled to input the number.

상기 실시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4 방향 스위치, 통화 또는 종료 스위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고, 이동 통신 단말기가 아닌 다양한 전자기기에도 모두 적용 가능하다.The above embodiment may be similarly applied to a four-way switch, a call or a termination switch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가 서로 상이한 기능을 제어하는 예로서, 사용자가 전극 팁(220)에 손가락을 접촉만 하는 경우 전극 층에서 감지한 인체 접촉 정보는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출력된 이미지의 위치를 이동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이미지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극 팁(220)에 접촉한 손가락에 압력을 가하여 누르는 경우, 기계적 스위치부(230)에서 감지한 기계적 압력 정보가 제어부로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된 이미지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이미지가 확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as an example of controlling different functions, when the user only touches the finger on the electrode tip 220, the human body contact information detected in the electrode layer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display means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image to be moved. When the user presses the finger touching the electrode tip 220 by applying pressure, the mechanical pressur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echanical switch 230 is transferred to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enlarges and displays the output image. 2 control signals may be generated to enlarge the imag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는 버튼부를 눌러서 신호를 입력하는 기계적인 방식과, 버튼부의 전극 팁과 접촉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전기적인 방식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복잡한 기능을 추가한 GUI 환경에서 사용자와의 새로운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Accordingly,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imultaneously use a mechanical method of inputting a signal by pressing a button part and an electrical method of inputting a signal by contacting an electrode tip of the button part, thereby providing a more complicated function. It is suitable for use as a new interface device with the user in the added GUI environment.

또한, 회로기판(250)에서 접촉 정보와 압력 정보를 모두 감지할 수 있으므로 부품 수가 줄어들어 기판을 얇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하고 그에 따른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장착하기가 편리하다. In addition, since both the contact information and the pressure information can be sensed by the circuit board 250,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so that the board can be manufactured thinner,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easily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It is convenient.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input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는 버튼부(210), 전극 팁(220), 기계적 스위치부(230), 연결 전극(240) 및 회로기판(250)를 포함한다. 이 때, 사용자는 버튼부(210)의 접촉 감지 영역 및 가압 감지 영역에 손가락을 접촉시킨다. 여기서, 접촉 감지 영역 및 가압 감지 영역은 동일한 영역에 배치되므로 같은 위치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을 상기 영역에 접촉시키면, 전극 팁(220)에 접촉되게 되고, 전극 팁(220)은 연결 전극(240)의 상부 전극(242)과 접촉되며, 하부 전극(244)을 통해서 돔 스위치(2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돔 스위치(234)의 양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고정 전극(252a)에 의해서 사용자의 접촉 정보를 외부에 전달할 수 있다. 4 and 5,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button unit 210, an electrode tip 220, a mechanical switch unit 230, a connection electrode 240, and a circuit board 250. At this time, the user contacts the finger with the touch sensing area and the pressure sensing area of the button unit 210. Here, the touch sensing region and the pressure sensing reg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same position because they are disposed in the same region. When the finger touches the area, the electrode tip 2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de tip 220, and the electrode tip 220 contacts the upper electrode 242 of the connection electrode 240, and the dome switch is connected through the lower electrode 244. 234 is electrically connected. Therefore,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by the fixed electrode 252a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dome switch 234.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부(210)를 하부를 향하여 누르면(ⓐ), 돔 스위치(234)의 돌출된 부분(D) 중 중앙부가 하부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부가 감지 전극(252b)에 접하게 되고, 감지 전극(252b)에 의해서 가압 정보가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에서는 감지 전극(252b)에서 신호를 전달 받아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pushes the button portion 210 downward (ⓐ), the center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D of the dome switch 234 moves downward. 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nsing electrode 252b, and the pressuriz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by the sensing electrode 252b. Therefore, the controller may generate a second control signal by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sensing electrode 252b.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어 흐름도이다.6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n input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인체의 일부분으로 버튼부(210)에 접촉하거나 버튼부(210)를 가압하여 사용자 입력을 가하는 경우 전자기기의 제어 과정은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6, when the user contacts the button unit 210 with a portion of the human body or presses the button unit 210 to apply a user input, a control process of the electronic device is as follows.

단계(S401)에서 사용자는 인체의 일부분을 본 발명의 전자기기 입력장치의 버튼부(210)에 접촉한다. 이 때, 버튼부(210)는 접촉 감지 영역(212)과 접촉 감지 영역(212) 및 가압 감지 영역(214)이 동시에 형성되는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step S401, the user contacts a part of the human body to the button unit 210 of the electronic devic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button unit 210 may be divided into a region in which the touch sensing region 212, the touch sensing region 212, and the pressure sensing region 214 are simultaneously formed.

단계(S402)에서 본 발명의 전자기기 입력장치의 전극 팁(220)은 인체 접촉 정보를 감지한다. 인체 접촉 정보는 전기적 신호일 수 있고, 전극 팁(220)은 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In step S402, the electrode tip 220 of the electronic devic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human body contact information. The human body contact information may be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electrode tip 220 may be configured of a conductor.

단계(S403)에서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입력장치의 전극패턴(252)은 전극 팁(220)에서 감지한 인체 접촉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한다.In operation S403, the electrode pattern 252 of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human body contac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electrode tip 220 to the controller.

단계(S404)에서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입력장치의 제어부는 전달된 인체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In step S404, the controller of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he first control signal based on the transmitted human body contact information.

단계(S405)에서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는 사용자의 인체로 버튼부(210)를 눌러서 접촉과 연관된 기계적 압력 정보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고, 기계적 압력 정보가 감지되지 않으면 단계(S408)에서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한다. In operation S405,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whether mechanical pressur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contact is detected by pressing the button unit 210 with the human body of the user, and if mechanical pressure information is not detected, in operation S408. The electronic devic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generated first control signal.

단계(S405)에서 사용자의 인체 접촉과 연관된 기계적 압력 정보가 감지되면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는 단계(S406)에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단계(S407)에서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2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한다.When the mechanical pressur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user's human body contact is detected in step S405,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in step S406 and the generated first control signal in step S407. Alternatively, the electronic devic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or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제1 제어 신호 또는 제2 제어 신호는 전자기기에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일 수도 있고, 각각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로 설정될 수도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 때, 제2 제어 신호가 생성되면, 제1 제어 신호는 차단되어 제2 제어 신호에 의해서 기능이 작동되거나,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가 동시에 발생될 경우에 다르게 설정된 기능이 작동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trol signal or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a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the same opera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or may be set as a signal for controlling to perform different operations.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e first control signal is cut off so that the function is activa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or the function set differently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Can be.

실시예Example 2 2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다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put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버튼부(310), 전극 팁(320), 기계적 스위치부(330), 연결 전극(340) 및 회로기판(350)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7, a button unit 310, an electrode tip 320, a mechanical switch 330, a connection electrode 340, and a circuit board 350 are provided.

버튼부(310)는 전자기기의 본체에 외부로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버튼부(310)에는 복수개의 접촉 감지 영역(312) 및 가압 감지 영역(314)이 배열된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감지 영역(312)은 5개의 접촉 감지 영역(312)이 일렬로 배열되고, 양단부에 형성된 접촉 감지 영역(312)에는 가압 감지 영역(314)이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접촉 감지 영역 및 가압 감지 영역을 십자가 형태와 같이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 감지 영역(312) 및 접촉 감지 영역(314)에는 전극 팁(320), 기계적 스위치부(330), 연결 전극(340) 및 회로기판(350)이 배치될 수 있다. The button unit 310 is mounted to be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a plurality of touch sensing regions 312 and a pressure sensing region 314 are arranged in the button 310. As illustrated in FIG. 7, five touch sensing regions 312 are arranged in a line, and the pressure sensing regions 314 may be identically disposed in the touch sensing regions 312 formed at both ends thereof. Can be.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ing region and the pressure sensing region may be arrang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ross shape according to a designer's intention. In addition, an electrode tip 320, a mechanical switch 330, a connection electrode 340, and a circuit board 350 may be disposed in the pressure sensing region 312 and the contact sensing region 314.

이 외의 전극 팁(320), 기계적 스위치부(330), 연결 전극(340) 및 회로기판(350)은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구성 요소의 기능 및 효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Other electrode tips 320, mechanical switch 330, connection electrode 340 and circuit board 35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components are substantially the same.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of the previous embodiment, and repeated content may be omitted.

실시예Example 3 3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put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of FIG. 8.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는 버튼부(410), 기계적 스위치부(430), 연결 전극(440), 회로기판(450) 및 보강층(460)을 구비한다.8 and 9,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button unit 410, a mechanical switch unit 430, a connection electrode 440, a circuit board 450, and a reinforcing layer 460.

버튼부(410)는 전자기기의 본체에 외부로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버튼부(410)는 유전체의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그리고, 버튼부(4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휴대폰의 메뉴 키 등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버튼부(410)의 상부에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접촉 감지 영역(412)과 가압 감지 영역(414)이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버튼부를 링 형상 이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The button unit 410 is mounted to be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the button unit 41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dielectric material, and directly contacts the human body of the user. Since the button unit 410 is formed in a ring shape, the button unit 410 may be mounted on a menu key of a mobile phone and used. In this case, the touch sensing region 412 and the pressure sensing region 414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unit 410.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portion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other than the ring shap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그리고, 버튼부의 하부에는 기계적 스위치부(430)가 배치된다. 기계적 스위치부(430)는 실리콘부(432) 및 돔 스위치(434)를 포함한다. 실리콘부(432)는 버튼부(4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실리콘부(432)의 하부에 돌출된 누름 돌출부(432a)를 포함한다. 이 때, 연결 전극(440)은 실리콘부(432)의 내부에 장착되고, 일단부는 버튼부(410)의 하부에 밀착되며, 타단부는 누름 돌출부(432a)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회로기판(4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돔 스위치(434)는 누름 돌출부(432a)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돔 스위치(434) 중 돌출된 부분(D)의 양단부가 항상 고정 전극(45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버튼부(410)를 누르면, 누름 돌출부(432a)가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돌출된 부분(D)이 회로기판(450)의 감지 전극(452b)과 접촉되어 기계적인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체의 일부분 즉, 손가락 등을 버튼부(410)에 올려놓고 가압을 하면, 상기 가압에 의한 압력이 기계적 스위치부(430)에 가해진다. 그리고, 기계적 스위치부(43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며, 제어부에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In addition, a mechanical switch unit 430 is disposed below the button unit. The mechanical switch unit 430 includes a silicon unit 432 and a dome switch 434. The silicon portion 432 is positioned below the button portion 410 and includes a push protrusion 432a that protrudes below the silicon portion 432. At this time, the connection electrode 440 is mounted inside the silicon portion 432, one end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utton part 41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partially exposed by the pressing protrusion 432a so as to expose the circuit board 450. ) Is electrically connected. The dome switch 434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rotrusion 432a, and both ends of the protruding portion D of the dome switch 434 are alway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xed electrode 452a.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portion 410, the pressing protrusion 432a is moved downward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D contacts the sensing electrode 452b of the circuit board 450 to generate a mechanical signal. do. 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a part of the human body, that is, a finger or the like on the button unit 410,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mechanical switch unit 430. In addition, the mechanical switch unit 430 detects this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and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연결 전극(440)은 기계적 스위치부(430)를 관통하며, 상부 전극(442) 및 하 부 전극(444)을 포함한다. 상부 전극(442)은 버튼부(4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실리콘부(432)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버튼부(410)의 하부와 접촉된다. 그리고, 하부 전극(444)은 상부 전극(442)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누름 돌출부(432a) 표면으로 노출되고, 돔 스위치(434)의 돌출된 부분(D)과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따라서, 연결 전극(440)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인체에서 흐르는 전하를 회로기판(450)에 전달하게 된다. The connection electrode 440 passes through the mechanical switch 430 and includes an upper electrode 442 and a lower electrode 444. The upper electrode 442 is positioned below the button portion 410 and partially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ilicon portion 432 to contact the lower portion of the button portion 410. The lower electrode 444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electrode 442 to be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pressing protrusion 432a and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D of the dome switch 434. Therefore, the connection electrode 440 is formed in a T-shape to transfer charges flowing in the human body of the user to the circuit board 450.

회로기판(450)은 기계적 스위치부(430)의 하부에 형성되고, 버튼부(410)에 접촉되도록 밀착된다. 그리고, Flexible PCB, PCB로 제조되는 회로기판(450) 상에는 다양한 전극패턴을 그려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전극패턴(452)은 회로기판(450) 상에 인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전극(452a)과 감지 전극(452b)을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 전극(452a)은 상기 돌출된 부분(D)의 양단부에 고정되며, 이 부분(D)은 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감지 전극(452b)은 고정 전극(452a)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돌출된 부분(D)이 기계적인 압력에 의해서 하부를 향하여 이동하면 돌출된 부분(D)과 서로 접하게 된다. 이 외의, 버튼부(410)와 실리콘부(432) 사이에서 삽입될 수 있는 보강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The circuit board 450 is formed under the mechanical switch unit 43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utton unit 410. In addition, a variety of electrode patterns may be drawn on the circuit board 450 made of a flexible PCB or a PCB. Accordingly, the electrode pattern 452 is printed on the circuit board 450, and includes the fixed electrode 452a and the sensing electrode 452b in this embodiment. The fixed electrode 452a may be fixed to both ends of the protruding portion D, and the portion D may be formed of a conductor. In addition, the sensing electrode 452b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xed electrode 452a. When the protruding portion D moves downward by mechanical pressure, the sensing electrode 452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D.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layer that can be inserted between the button portion 410 and the silicon portion 432, it may be omitted according to the designer's int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n input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버튼부(410)에 손가락(f)을 올려놓게 되면, 사용자의 인체로부터 버튼부(410)의 접촉면으로 흐르는 전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버 튼부(410)의 정전 용량(C)이 변하게 되며, 원래의 정전 용량과 비교하여 접촉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하게 키 스트로크를 검출해낼 수 있으므로 높은 신뢰도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버튼부(410)의 하부에는 기계적 스위치부(430) 및 연결 전극(440)이 형성되어 접촉 정보를 외부로 전달한다. 또한, 사용자의 인체와 접촉되는 금속 접촉 부위가 없으므로 물리적으로 고장이 생길 이유가 없으므로 긴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금속 접촉부를 가지지 않으므로 먼지나 습기 등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0, when a user places a finger f on the button unit 410, a current flowing from the human body of the user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button unit 410 is generated. Therefore, the capacitance C of the button unit 410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ntact compared to the original capacitanc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key stroke more accurately,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 reliability. In this case, a mechanical switch 430 and a connection electrode 440 are formed below the button unit 410 to transmit contact information to the outside.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metal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of the user, there is no reason for physical failure to have a long life. In addition, since it does not have a metal contact portion, it is hardly affected by dust or moistur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인체 접촉 정보를 감지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하면서, 사용자의 기계적 입력을 감지하여 전자기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by sensing the human body contact information, the technical effect of effectively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by detecting the user's mechanical input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회로기판을 이용하여 기계적 압력정보 및 전기적 압력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부품 수가 줄어들어 기판을 얇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하고 그에 따른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장착하기가 편리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mechanical pressure information and electrical pressure information by using a single circuit board, so that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to make the substrate thin, easy to manufacture and thereb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miniaturized electronic It is convenient to mount on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연속 입력과 포인팅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자기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 접촉 정보를 감지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터치식 스위치와 사용자의 압력을 감지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기계식 스위치를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터치패드의 내구성을 개선하면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 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that can effectively provide a continuous input and pointing function of the use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imultaneously implementing a touch switch to control the device by sensing the body contact information and a mechanical switch to control the device by sensing the pressure of the user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existing touch pad while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It can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that ca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쉽게 장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는 버튼부의 정전 용량이 변하게 되며, 원래의 정전 용량과 비교하여 접촉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하게 키 스트로크를 검출해낼 수 있으므로 높은 신뢰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인체와 접촉되는 금속 접촉 부위가 없으므로 물리적으로 고장이 생길 이유가 없으므로 긴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금속 접촉부를 가지지 않으므로 먼지나 습기 등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using a sensor, it can be easily mounted on a miniaturized electronic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the user. In addition, in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acitance of the button unit is changed,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act is compared with the original capacitance,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key stroke more accurately, thereby obtaining high reliability. .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metal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of the user, there is no reason for physical failure to have a long life. In addition, since it does not have a metal contact portion, it is hardly affected by dust or moistur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11)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입력장치에 있어서,In the input device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전자기기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버튼부;A button part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버튼부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버튼부에 삽입되는 전극 팁;An electrode tip inserted into the button part to be expos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utton part;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의 가압에 의해서 제공되는 압력 정보를 감지하여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기계적 스위치부;A mechanical switch unit formed under the button unit and configured to sense pressur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ressing of the button unit and to transmit the pressure information to the outside; 상기 기계적 스위치부의 내부를 관통하고, 일면이 상기 전극 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극 팁에서 감지되는 인체의 접촉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 전극; 및A connection electrode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mechanical switch part, one surface of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ip, and configured to transmit contact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detected by the electrode tip to the outside; And 상기 기계적 스위치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기계적 스위치부에 의해서 전달되는 상기 압력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전극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패턴이 상기 연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접촉 정보 및 상기 압력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회로기판;An electrode pattern formed under the mechanical switch part and configured to sense the pressur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mechanical switch part, wherein the electrode patter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lectrode to provide the contact information and the pressure information. A circuit board transferring to the outside; 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입력장치.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계식 스위치부는The mechanical switch unit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부를 향하여 돌출된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는 실리콘부; 및A silicon part disposed under the button part and including a push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And 상기 누름 돌출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입력장치.And a dome switch disposed below the pressing protrus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ressing protrus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연결 전극은 상기 전극 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누름 돌출부 표면에 노출되고, 상기 돔 스위치와 접촉되는 하부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입력장치.The connection electrode may include an upper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ip, and a lower electrode extending below the upper electrode to be exposed to the pressing protrusion surface and in contact with the dome switch.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부 및 상기 기계적 스위치부 사이에 개재되어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보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입력장치.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es a reinforcing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button unit and the mechanical switch unit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입력장치에 있어서,In the input device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전자기기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유전체를 이용하여 형성된 버튼부;A button part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formed using a dielectric;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의 가압에 의해서 제공되는 압력 정보를 감지하여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기계적 스위치부;A mechanical switch unit formed under the button unit and configured to sense pressur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ressing of the button unit and to transmit the pressure information to the outside; 상기 기계적 스위치부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밀착되며, 인체의 접근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상기 버튼부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 인체의 접촉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 전극; 및A connection electrode which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mechanical switch part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button part and transmits contact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to the outside according to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button part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human body approaching; And 상기 기계적 스위치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기계적 스위치부에 의해서 전달되는 상기 압력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전극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패턴이 상기 연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접촉 정보 및 상기 압력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회로기판;An electrode pattern formed under the mechanical switch part and configured to sense the pressur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mechanical switch part, wherein the electrode patter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lectrode to provide the contact information and the pressure information. A circuit board transferring to the outside; 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입력장치.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버튼부 및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보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입력장치.And a reinforcing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button unit and the circuit board to increase adhesion.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입력장치에 있어서,In the input device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전자기기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표면에 복수개의 접촉 감지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가압 감지 영역이 형성되는 버튼부;A button part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having a plurality of touch sensing regions and at least one pressure sensing region formed on a surface thereof;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압 감지 영역의 가압에 의해서 제공되는 압력 정보를 감지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기계적 스위치부;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utton unit, the mechanical switch unit for detecting the pressur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sensing region and transmits to the outside; 상기 기계적 스위치부의 내부를 관통하는 연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전극에 의해서 상기 접촉 감지 영역에서 발생하는 인체의 접촉 정보를 감지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전기적 스위치부; 및An electrical switch unit including a connection electrode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mechanical switch unit and sensing contact information of a human body generated in the touch sensing region by the connection electrode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contact information to the outside; And 상기 기계적 스위치부에 의해서 전달되는 압력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전극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패턴이 상기 전기적 스위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접촉 정보 및 상기 압력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회로기판;A circuit board including an electrode pattern for sensing pressur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mechanical switch unit, wherein the electrode patter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switch unit to transmit the contact information and the pressure information to the outside; 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입력장치.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접촉 감지 영역 및 상기 가압 감지 영역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입력장치.The touch sensing region and the pressure sensing region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in whole or in par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전기적 스위치부는 The electrical switch unit 상기 버튼부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버튼부에 삽입되는 전극 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전극은 상기 전극 팁 및 상기 전극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전극 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체의 접촉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입력장치.An electrode tip inserted into the button part to b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part, wherein the connection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ip and the electrode patter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ip to provide contact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outsid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버튼부는 유전체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연결 전극은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밀착되고, The button portion is formed using a dielectric, and the connection electro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utton portion, 인체의 접근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상기 버튼부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 인체의 접촉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입력장치.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to the outsid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of the button portion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human body approach.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기계식 스위치부는The mechanical switch unit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부를 향하여 돌출된 누름 돌출부를 포함 하는 실리콘부; 및A silicon part disposed below the button part and including a push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And 상기 누름 돌출부의 하부에서 배치되는 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입력장치.And a dome switch disposed under the pressing protrusion.
KR1020050068254A 2005-07-27 2005-07-27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KR1007189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254A KR100718987B1 (en) 2005-07-27 2005-07-27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254A KR100718987B1 (en) 2005-07-27 2005-07-27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713A KR20070013713A (en) 2007-01-31
KR100718987B1 true KR100718987B1 (en) 2007-05-16

Family

ID=3801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254A KR100718987B1 (en) 2005-07-27 2005-07-27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98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459B1 (en) * 2009-02-18 2011-04-25 에이디반도체(주) Capacitive touch sensor module
KR101949026B1 (en) * 2017-07-07 2019-02-1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Manufacture method of tactile sensor and tactile sensor used thereb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780A (en) * 2004-07-24 2006-01-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Tact switch structure with touch terminal
KR20060095430A (en) * 2005-02-28 2006-08-31 (주)멜파스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inpu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780A (en) * 2004-07-24 2006-01-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Tact switch structure with touch terminal
KR20060095430A (en) * 2005-02-28 2006-08-31 (주)멜파스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713A (en)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8958B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plural entry switches
US8124903B2 (en) Inpu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704005B2 (en) Input device which allows button input operation and coordinate input operation to be performed in the same operation plane
US7324020B2 (en) General purpose input board for a touch actuation
TWI407336B (en) Electronic devices and input modules thereof
US20090138831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a user selection in a user interface
US8228162B2 (en) Pressure sensitive switch and input device using pressure sensitive switch
KR100718988B1 (en)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JP4984667B2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switch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KR100718987B1 (en)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KR100678411B1 (en)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input device
CA2960302C (en) Capacitive touch sensor
KR101106278B1 (en) Complex-type input device with touch sensing features
KR200412587Y1 (en) Input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70041094A (en) Button structure for direction finding
KR101583827B1 (en) Input device
JP3926590B2 (en) Coordinat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O2006066456A1 (en) A inductive-switch user interface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thereof
KR102187092B1 (en) Gesture detection device using force sensor switch
US20230297178A1 (en) Electronic pen
KR101639979B1 (en) Pointing module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67607B1 (en) Capacitive Input Device
KR100706704B1 (en) Case for applying signal
KR101621219B1 (en) Pointing module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70010680A (en) Portable apparatus having side key module with scroll and click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