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941B1 - Apparatus for alarming drowsy and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larming drowsy and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941B1
KR100718941B1 KR1020050117630A KR20050117630A KR100718941B1 KR 100718941 B1 KR100718941 B1 KR 100718941B1 KR 1020050117630 A KR1020050117630 A KR 1020050117630A KR 20050117630 A KR20050117630 A KR 20050117630A KR 100718941 B1 KR100718941 B1 KR 100718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rowsiness
activity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6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기철
신석범
Original Assignee
권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철 filed Critical 권기철
Priority to KR1020050117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9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9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05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 A61B5/352Detecting R peaks, e.g. for synchronising diagnostic apparatus; Estimating R-R inter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졸음상태를 가장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심박변이도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졸음상태를 가장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는 졸음 경고장치 및 그 경고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owsiness warning device and a warning method thereof, by using a heart rate variability capable of determining a user's drowsiness most accurately, to determine the user's drowsiness most accurately and quickly and to alert the user.

그 졸음 경고장치는 심박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HRV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신호 검출/저장부; 그 신호/검출 저장부에서 검출되어 저장된 HRV 데이터의 변이 값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신호분석부; 그 신호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운전자의 졸음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졸음 검출부; 및 그 졸음검출부에서 졸음상태로 판단되면 운전자에게 졸음상태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부를 포함한다.The drowsiness warning device includes a signal detection / storing unit for detecting HR signals in real time and storing HRV data; A signal analyzer for analyzing the variation value of the HRV data detected and stored in the signal / detection storage unit in real time; A drowsiness detector for analyzing the data analyzed by the signal analyzer in real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s drowsy; And a warning unit for warning the driver of the drowsiness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owsiness state is detected by the drowsiness detection unit.

졸음운전, 심박변이, 신호분석,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Drowsiness driving, heart rate variation, signal analysis, sympathetic nerve, parasympathetic nerve

Description

졸음 경고장치 및 졸음 경고방법{APPARATUS FOR ALARMING DROWSY AND METHOD THEREFOR}Drowsiness warning device and drowsiness warning method {APPARATUS FOR ALARMING DROWSY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실시간 자율신경분석에 의한 졸음경보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for a drowsiness alarm device by real-time autonomic neural analysis.

도 2는 도1의 실시간 신호검출/저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al-time signal detection / storage unit of FIG. 1. FIG.

도 3은 도1의 실시간 신호분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real-time signal analysis unit of FIG.

도 4는 도1의 졸음검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drowsiness detector of FIG. 1. FIG.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졸음 경고장치의 각각의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each embodiment of the drowsiness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졸음 경고장치를 이용한 졸음 경고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Figure 7 is a flow chart showing a drowsiness warning method using the drowsiness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졸음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심박변이를 이용하여 자율신경을 실시간으로 분석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하게 졸음 상태를 검출하여 이를 경고하거나 졸음으로 인한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졸음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며, 또한 그 같은 졸음 경고장치를 이용한 졸음 경고방법에 관한 것이 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wsiness war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analyzing the autonomic nerve in real time using a heart rate variance to detect drowsiness accurately and quickly to warn of this or to prevent drowsiness accidents in advance. It relates to a warning device, and also to a drowsiness warning method using such a drowsiness warning device.

일반적으로 피로한 상태에서 학습 또는 운전하거나, 장기간 운전을 하는 경우 학습자 또는 운전자는 무의식적으로 졸게 되어 공부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사고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In general, when learning or driving in a tired state, or driving for a long time, the learner or driver unconsciously sleeps, which may interfere with the study or cause an accident.

따라서 오래전부터 이와 같은 학습자, 특히 운전자의 운전 중 졸음을 경고하거나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며, 또한 현재에도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Therefore, a long time ago, various methods for warning or preventing drowsiness of such learners, especially drivers, have been proposed, and various researches and developments are being conducted.

한편 최근에는 운전자의 다양한 신체기관 또는 그 신체들의 기능을 이용하는 졸음감지 또는 경보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지의 예들로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눈 깜박임 횟수를 측정하거나, 수면시 심박수가 떨어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심박수가 소정의 심박수 내에서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면 졸음으로 판단하는 한국 특허등록 제295850호, 운전자의 맥박신호를 감지하여 졸음상태를 검출하는 한국 특허등록 제382154호, 손목시계형 저주파 자극기로 졸음을 퇴치하는 한국 실용등록 제362900호, 손목시계 형상으로 졸음상태를 감할 수 있는 한국 특허등록 제375776호, 평상시 맥박수와 운전시 맥박수를 비교하여 졸음을 검출해내는 한국 특허공개 10-2004-101941호 등이 있다. 또한, 이 외에도 운전자의 뇌파상태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윈도우와 오디오를 제어하여 졸음을 방지하는 방법,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이용한 졸음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Recently, drowsiness detection or warning devices using various body organs of drivers or functions of the bodies are known. As such known example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295850, which measures the number of blinks of a driver's eyes using a camera, or determines sleepiness when the heart rate falls below a reference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heart rate using the principle of falling heart rate during sleep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382154 to detect drowsiness by detecting driver's pulse signal, Korean Utility Registration No. 362100 to combat drowsiness with watch type low frequency stimulator, Korean patent registration to reduce drowsiness with watch shap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375776,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101941 which detects drowsiness by comparing the pulse rate in normal operation with the pulse rate in driving. In addition, a method of preventing drowsiness by continuously detecting the brainwave state of the driver and controlling the window and the audio, a method of determining the drowsiness using the biosignal of the driver, and the like have been propos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졸음상태 감지방법 또는 졸음운전 방지방법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초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운전자의 눈 깜박임을 이용하여 졸음을 검출하는 방법은 눈의 위치를 추적하는 장치의 성능이 측정의 정확도를 좌우하며 장치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drowsiness detection method or drowsy driving prevention method has been shown to cause a variety of problems. First, the method of detecting drowsiness by using the blink of the driver has a problem that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for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eye determines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and the device is expensive.

그리고 심박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연령, 성별 등의 개인차에 따라 심박수의 변동이 없는 경우도 있어 정확한 졸음상태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heart rate, there is a case in which the heart rate does not change according to individual differences such as age and gender,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ccurate drowsiness cannot be measured.

또한, 뇌파를 이용하는 방식은 측정시 잡음이 발생되어 졸음상태 또는 정상상태를 정확히 측정하거나 구별하는 정확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using the EEG has a problem that the noise is generated during the measurement, the accuracy of accurately measuring or distinguishing the drowsiness or the steady state is significantly reduced.

한편, 최근에는 의학 및 과학의 발달로 인해 자율신경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음은 물론 획기적이고 정확한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적용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cine and science, research on autonomic nerve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as well as innovative and accurate research results are being published, and various application technologies using the same have been studied.

인간의 자율신경은 중추신경과 달리 우리의 의지대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신체 상태나 감정에 의해 자동적으로 활동하는 것으로서, 생체활동에 관련된 오장육부의 활동은 여러 가지 기관들이 복잡하게 작용하여 그 상태를 알 수 없고 또한 조절할 수도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nlike the central nervous system, human autonomic nerves do not move according to our will, but are automatically activated by physical conditions or emotions. The activities of the five intestines related to biological activities are complicated and various organs can be known. It is known to be neither adjustable nor adjustable.

또한, 인간이 활동하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생성되는 기관은 심장이며, 이 심장이 박동하는 것은 항상 일정한 것 같지만 실제 정량적인 수치로 간격을 조사해보면 매 박동시마다 조금씩 다르다. 이를 심박변이도(HRV)라 하며 현재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평가하는데 사용한다. 1979년 이후로 HRV에 의한 생리학적, 병리학적 임상적인 관계를 분석하는 시도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으며, 1996년에 이르러서는 유럽심장학회와 북미심장학회의 구성원들로 태스크 포스(Task-Force)팀이 조직되어 HRV를 해석하는 표준안이 만들어져 있는 상태이다.In addition, the organ that produces the energy needed for human activity is the heart, and the heart beats always seem to be constant, but if you look at the interval with actual quantitative figures, it's a little different every beat. This is called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is used to evaluate the function of the current autonomic nervous system. Since 1979, attempts have been made to analyze the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clinical relationships caused by HRV. By 1996, the Task-Force team was a member of the European Heart Association and the North American Heart Association. It is organized and has a draft standard for interpreting HRV.

이러한 HRV해석방법은 의학계에서 환자의 건강상태나 심리상태를 검사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정보기기와 접목시켜 실시간 처리방식으로 전환하여 관련 분석기술을 산업계에 응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This HRV analysis method is used in the medical community to test the health and psychological state of patients.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ly related analytical technology to the industry by switching to a real-time processing method by integrating with various information devices.

이와 같이 인간의 내장기관의 활동을 관장하는 자율신경이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이루어져 인체의 신체 상태와 각성상태를 정확하게 나타낸다는 사실과,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자율신경계의 상태를 중추신경이 인지하기 전에 계수화 된 상태로 인식할 수 있거나 인식시켜줄 수 있다면 발생될 여러 가지 상황을 사전에 감지하여 이에 대비할 수 있다는 기술적 사상에 입각하여,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이 같은 기술적 사상을 인간의 졸음을 검출하는데 적용시키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하여 활발한 연구를 행하고 있다.As such,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hat controls the activities of the internal organs of the human body is composed of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nerves to accurately represent the physical state and arousal state of the human body, and the central nervous system recognizes the state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hat humans can recognize. Based on the technical idea that if it can be recognized as a digitized state or if it can be recognized beforehand, various technical situations can be detected in advanc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such technical ideas as human drowsiness. Active research is being made on the technical problem of applying to detection.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졸음상태를 정확히 판단하여 졸음을 경고하고 그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졸음 경고장치 및 그 경고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and technical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determine the drowsiness state of the user to warn drowsiness and to prevent accidents due to drowsiness warning It is to provide a device and a warn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심박 변이도를 이용한 자율신경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정확하고 신속하게 졸음상태를 검출하여 졸음 상태를 방지하고 이를 경고할 수 있는 졸음 경고장치 및 경고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owsiness warning device and a warning method capable of detecting a drowsiness state by detecting the drowsiness state accurately and quickly by analyzing autonomic nerves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in real time.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졸음 경고장치는, 심박신 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HRV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신호 검출/저장부; 그 신호/검출 저장부에서 검출되어 저장된 HRV 데이터의 변이값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신호분석부; 그 신호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운전자의 졸음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졸음 검출부; 및 그 졸음검출부에서 졸음상태로 판단되면 운전자에게 졸음상태를 경고하기 위한 졸음 경고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object, the drowsiness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detection / storage unit for detecting HR signal in real time to store HRV data; A signal analyzer for analyzing in real time the variation of the HRV data detected and stored in the signal / detection storage unit; A drowsiness detector for analyzing the data analyzed by the signal analyzer in real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s drowsy; And a drowsiness warning unit for warning the driver of the drowsiness state when the drowsiness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drowsiness state.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졸음 경고방법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심박을 검출하고, 검출된 심박수를 증폭시켜 필터링하는 단계; 필터링 된 유효심박신호를 디지털 심박신호로 변환시킨 후, 피크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HRV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HRV 데이터들 중 설정된 수만큼의 데이터를 전처리 하고, 전처리 된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재배치하여 HRV 데이터를 시계열에 따라 동기화 시킨 후, 리샘플링데이터와 이에 대한 역순데이터를 연결하고 코사인 함수의 값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 가중치가 적용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저주파대역과 고주파대역의 값을 추출한 후,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심볼링하여 각각의 주파수별 심볼릭 데이터를 산출하고, 동시에 교감신경 활동치를 반영하는 저주파대역 데이터와 부교감신경 활동치를 반영하는 고주파대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규화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실시간 졸음 검출부의 데이터 분석부에서 수신된 최대값과 최소값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상승상태인지 또는 하강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분석 및 판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또는 운전자의 교감신경의 활동성을 산출하는 단계; 동시에, 심볼릭 데이터 판단부에서 분석 및 판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또는 운전자의 부교감신경의 활동성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교감신경 활동성 값과 부교감신경 활동성 값을 비교하는 단계; 교감신경 활동성 값과 부교감신경 활동성 값의 비교결과 부교감신경 활동성 값이 큰 것으로 판단되면, 그 차가 규정 비율 이상이 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부교감신경 활동성 비율 판단 결과 판단된 비율이 규정된 비율 이상으로 판단되면,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실시간 졸음검출부에서 경고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o solve the above object, the drowsiness w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tecting the heart rate from the user's body, and amplifying the detected heart rate and filtering; Converting the filtered effective heart rate signal into a digital heart rate signal, detecting a peak value, and storing the detected HRV data; After preprocessing the set number of data among HRV data, rearranging the preprocessed data according to time, synchronizing HRV data according to time series, connecting resampling data with reverse order data and weighting using cosine function. Applying; After analyzing the weighted data, extract the values of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high frequency band, and then symbolize the data using the respective frequency bands to calculate the symbolic data for each frequency, and at the same time, the low frequency band data reflecting the sympathetic nerve activity. Calculating normalized data using high frequency band data reflecting the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Determining whether the data is in the rising state or the falling state by using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received by the data analyzer of the real-time drowsy detector; Calculating activity of the sympathetic nerve of the user or driver using the analyzed and determined data; At the same time, calculating the activity of the parasympathetic nerve of the user or driver using the data analyzed and determined by the symbol data determination unit; Comparing the calculated sympathetic activity value and parasympathetic activity valu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rasympathetic activity value is larg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sympathetic activity value and the parasympathetic activity value, deter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a prescribed ratio; If the determined ratio is greater than the prescribed ratio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ratio, transmitting a warning signal; And alerting the driver when a warn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al-time drowsiness detecto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졸음 경고장치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졸음 경고장치의 신호 검출/저장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졸음 경고장치의 신호분석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블럭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졸음 경고장치의 졸음 검출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졸음 경고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rowsiness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a whole,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ignal detection / storage of the drowsiness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detail, Figure 3 is a drowsiness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signal analysis unit, 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in detail the drowsiness detection unit of the drowsiness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owsiness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졸음 경고장치는 졸음 경고장치가 필요한 학생, 운전자 또는 검사자와 같은 사용자로부터 심박신호를 검출하여 저장하기 위한 신호 검출/저장부(100)를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drowsiness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detection / storage unit 100 for detecting and storing a heartbeat signal from a user such as a student, a driver, or an examiner who needs a drowsiness warning device. do.

신호 검출/저장부(100)는 사용자의 심박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센서(110)를 구비한다. 그 심박 검출센서(110)는 2채널 전극센서 또는 광전맥파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전맥파 센서는 발광 및 수광소자를 가지는 광학센서를 이용 하여 손가락 끝 또는 귓불 등으로부터 빛을 투과하여 혈관을 통해 흐르는 혈액의 양에 따라 산란된 신호로부터 심박을 측정하도록 형성된다. The signal detector / storage unit 100 includes a detection sensor 110 for detecting a heartbeat signal of the user. The heartbeat detection sensor 110 may be formed as a two-channel electrode sensor or a photo pulse wave sensor. Here, the photoelectric wave sensor is formed to measure the heart rate from the signal scattered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blood flowing through the blood vessel through the light from the fingertip or earlobe using an optical sensor hav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element.

상기 심박 검출센서(110)에는 그로부터 검출된 심박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120)가 연결된다. The heartbeat detection sensor 110 is connected to an amplifier 120 for amplifying the heartbeat signal detected therefrom.

이어서, 상기 증폭기(120)에는 그로부터 증폭된 심박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130)가 연결된다. 그 필터(130)는 60Hz 대역의 신호와 고주파 또는 저주파 잡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ubsequently, the amplifier 120 is connected with a filter 130 for filtering the heart rate signal amplified therefrom. The filter 130 is preferably formed to remove a 60Hz band signal and high frequency or low frequency noise.

또한, 필터(130)에는 그로부터 필터링 된 유효 심박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A/D 변환기(140)가 연결된다. 즉, A/D 변환기(140)는 아날로그 심박신호를 디지털 심박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130 is connected to the A / D converter 140 for converting the effective heart rate signal filtered therefrom into a digital signal. That is, the A / D converter 140 serves to convert the analog heartbeat signal into a digital heartbeat signal.

상기 A/D 변환기(140)에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심박신호의 피크값을 검출하기 위한 피크 검출기(150)가 연결된다. 피크 검출기(150)는 일명 자동 상관관계 피크 검출방식이라 칭하는 오토컬러레이션 피크 디텍팅(Auto-correlation peak detecting)방법을 이용하여 피크값을 검출해 낸다. 특히, 피크 검출기(150)는 이와 같은 피크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박 변이도 데이터, 즉 HRV 데이터를 산출한다. 또한, 피크 검출기(150)는 피크값으로부터 분당 심박수를 산출해낼 수 도 있다.The A / D converter 140 is connected to a peak detector 150 for detecting a peak value of the heartbeat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e peak detector 150 detects the peak value by using an auto-correlation peak detecting method, which is called an autocorrelation peak detection method. In particular, the peak detector 150 calculates heart rate variability data of the user, that is, HRV data using the peak value. In addition, the peak detector 150 may calculate the heart rate per minute from the peak value.

상기 피크 검출기(150)에는 그로부터 검출된 HRV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HRV 데이터 저장기(160)가 연결된다. 특히, 그 HRV 데이터 저장기(160)는 피크 검출기(150)에서 피크값이 산출될 때마다 HRV 데이터 저장기(160)에 순서대로 저장된다.The peak detector 150 is connected with an HRV data store 160 for storing the HRV data detected therefrom. In particular, the HRV data store 160 is stored in order in the HRV data store 160 each time a peak value is calculated at the peak detector 150.

전술된 바와 같은 신호/검출 저장부(100)에는 검출되어 저장된 HRV 데이터의 변이값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신호분석부(200)가 연결된다. 그 신호 분석기(200)는 졸음의 순간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일정시간 주기마다 현재상태가 졸음상태인지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의 분석주기는 실시예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는 바, 예컨대 운전상태인 경우 또는 고속운전의 경우에는 실시간 분석주기를 매초마다와 같이 빠르게 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를 학습자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그 분석주기를 5초 또는 그 이상의 주기로 설정하여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The signal / detection storage unit 100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a signal analyzer 200 for analyzing in real time the variation value of the detected and stored HRV data. The signal analyzer 2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analyze in real time whether the current state is drowsy at regular intervals in order to accurately analyze the moment of sleepiness. The analysis cycle of the signal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r the user's discre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driving state or the high speed operation, the real-time analysis cycle may be as fast as every second. Of course, when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learner, the signal may be analyzed by setting the analysis period to 5 seconds or mor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신호 분석부(200)는 신호 검출/저장부(100)에 검출되어 저장된 HRV 데이터 또는 변이값을 설정된 분석주기마다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해, HRV 신호저장기(160)에 연결되어 그곳에 저장된 데이터를 설정된 수만큼 수신하거나 추출하여 전처리 하기 위한 데이터 전처리부(210)를 구비한다. 여기서, 추출 데이터의 개수는 사용자 또는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바, 예컨대 비교적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250내지 300개의 신호를 추출하며, 300여개의 신호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처리부(210)에서는 유실된 데이터를 내삽방식으로 처리하고 아티팩트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In more detail, the signal analysis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HRV signal storage unit 160 to analyze the HRV data or the variance values detected and stored in the signal detection / storage unit 100 in real time at each set analysis period. It is provided with a data preprocessor 210 for pre-processing by receiving or extrac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data stored there. Here, the number of extracted data can be set by a user or an input program. For example, for a relatively accurate measurement, it is preferable to extract 250 to 300 signals and extract about 300 signals. Of course, the preprocessing unit 210 serves to process the lost data by interpolation and to remove artifacts.

상기 전처리부(210)에는 그곳에서 전처리를 완료한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재배치하기 위한 데이터 리샘플링부(220)가 연결된다. 그 데이터 리샘플링부(220)는 예컨대, 현시점 이전의 전처리 HRV 데이터를 시계열에 따라 동기화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데이터 전처리부(210)에서 전처리된 HRV 데이터는 시간개념이 없이 피크가 추출될 때마다 생성되는 데이터이므로, 이를 리샘플링을 통해 진행시간에 따라 HRV 데이터를 재배치하기 위한 것이며, 이때 리샘플링은 HRV의 평균 심박동수를 기준 주파수로 하여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processing unit 210 is connected to a data resampling unit 220 for relocating the data, which has been preprocessed therein, over time. The data resampling unit 220 is, for example, a device for synchronizing preprocessing HRV data prior to the present time according to time series, and HRV data preprocessed in the data preprocessor 210 is generated whenever a peak is extracted without time concept. As the data, this is to relocate the HRV data according to the progress time through resampling. In this case, the resampling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the average heart rate of the HRV as a reference frequency.

상기 데이터 리샘플링부(220)에는 그곳에서 리샘플링이 완료된 데이터에 대해 가중치를 적용한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한 가중치데이터 생성부(230)가 연결된다. 그 가중치데이터 생성부(230)는 리샘플링된 데이터에 대한 신호 패턴을 변환시키는 방식으로, 리샘플링된 데이터에 대칭되는 역순데이터를 생성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ata resampling unit 220 is connected to a weight data generation unit 230 for generating data to which weights are applied to the resampled data therein. The weight data generator 23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reverse order data that is symmetrical to the resampled data in a manner of converting a signal pattern for the resampled data.

또한, 상기 가중치데이터 생성부(230)에서는 리샘플링데이터와 이에 대한 역순데이터를 연결하고 코사인 함수의 값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적용한다. 원래의 데이터와 그 역순의 데이터를 조합하는 이유는 코사인 함수를 사용하여 가중치를 적용할 때 완전한 1주기를 만들어 줌으로써, 고속 퓨리에 변환시 불필요한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weight data generator 230 connects the resampling data and the reverse order data and applies a weight using a value of a cosine function. The reason for combining the original data and the data in the reverse order is to make a complete cycle when applying the weight using the cosine function,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unnecessary noise during fast Fourier transform.

상기 가중치데이터 생성부(230)에는 생성된 가중치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주파수 분석부(240)가 연결된다. 그 주파수 분석부(240)는 가중치데이터를 고속 퓨리에 변환법을 이용하여 저주파대역(LF:0.04~0.15Hz)과 고주파대역(HF:0.15~0.4HZ)의 값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주파수를 분석한다. 이때, 저주파대역의 값은 현재시점에서의 교감신경 활동치를 반영하는 반면, 고주파대역의 값은 현재시점에서의 부교감신경 활동치를 반영하게 되는 것이다. The weight data generator 230 is connected to a frequency analyzer 240 for analyzing the generated weight data. The frequency analyzer 240 analyzes the frequency by extracting values of the low frequency band (LF: 0.04 to 0.15 Hz) and the high frequency band (HF: 0.15 to 0.4 HZ) from the weight data using a fast Fourier transform method. At this time, the value of the low frequency band reflects the sympathetic nerve activity at the present time, while the value of the high frequency band reflects the parasympathetic activity at the current time.

상기 주파수 분석부(240)에는 그 곳에서 산출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데 이터를 심볼링하기 위한 데이터 심볼링부(250)가 연결된다. 그 데이터 심볼링부(250)는 상기 주파수 분석부(240)에서 산출된 저주파대역의 값과 그 값 직전에 생성된 저주파대역값을 비교하고, 또한 동일방식으로 주파수 분석부(240)에서 산출된 고주파대역의 값과 그 값 직전에 생성된 고주파대역 값을 각각 비교하여, 각각의 주파수별 누적 심볼릭 데이터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requency analysis unit 240 is connected to a data symbol unit 250 for symbolizing data using the frequency band calculated there. The data symbolizing unit 250 compares the low frequency band value calculated by the frequency analyzer 240 with the low frequency band value generated immediately before the value, and is calculated by the frequency analyzer 240 in the same manner. Preferably, the high frequency band is compared with a high frequency band value generated immediately before the value to calculate cumulative symbol data for each frequency.

예컨대, 저주파대역의 값의 처리에 있어서, 직전까지의 누적된 심볼릭데이터 값이 +5일 경우 그 직전 시점에서의 저주파대역 값과 현재시점의 저주파역 값을 비교하여 현재시점이 크면 +1을 더한 +6이 누적 심볼릭 데이터 값이 되는 것이고, 그리고 직전시점의 저주파대역 값과 현재시점의 저주파대역 값을 비교하여 현재시점과 같으면 +0을 더한 +5가 누적심볼릭 데이터 값이 되는 것이며, 또한 직전 시점의 저주파대역 값과 현재시점의 저주파대역 값을 비교하여 현재시점이 작으면 -1을 더한 +4가 누적심볼릭 데이터 값으로 되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processing of the low frequency band, if the cumulative symbolic data value up to +5 is +5, the low frequency band value at the previous time point is compared with the low frequency value at the present time point, and +1 is added if the current time point is large. +6 is the cumulative symbolic data value, and if the low frequency band value of the previous point is compared with the low frequency value of the present point, and is equal to the current point, +5 plus +0 is the cumulative symbolic data point. If the current time is small, +4 plus -1 is the cumulative symbol data.

선택적으로, 상기와 같이 현시점 까지의 누적심볼릭 데이터를 수집하여 시계열상에 나열하면 교감신경 또는 부교감신경의 시간에 따른 변화의 흐름을 알 수 있다.Optionally, by collecting cumulative symbol data up to the present time and arranging them on a time series, the flow of change over time of the sympathetic nerve or parasympathetic nerve can be seen.

한편, 상기 주파수분석부(240)에는 상기와 같이 산출된 교감신경 활동치를 반영하는 저주파대역 데이터와 부교감신경 활동치를 반영하는 고주파대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규화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데이터 정규화부(260)가 연결된다. 데이터 정규화부(260)는 주파수분석부(240)에서 산출되는 전체대역(TP) 데이터에서 초저주파대역(VLF) 데이터를 차감한 후 저주파대역 데이터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한 저주파 정규화데이터와 전체대역(TP) 데이터에서 초저주파대역(VLF) 데이터를 차감한 후 고주파대역 데이터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한 고주파 정규화데이터를 산출한다. 저주파 정규화 데이터는 자율신경분석시 교감신경 활동성 비율을 의미하고, 고주파 정규화 데이터는 자율신경분석시 부교감신경 활동성 비율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analyzer 240 has a data normalization unit 260 for calculating normalized data using low frequency band data reflecting the sympathetic nerve activity value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and high frequency band data reflecting the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value. Connected. The data normalization unit 260 subtracts the ultra low frequency band (VLF) data from the full band (TP) data calculated by the frequency analyzer 240, and then divides the low frequency normalized data and the total band ( TP) subtracts VLF data from the data and divides the data into high frequency band data to calculate high frequency normalized data expressed as a percentage. Low frequency normalized data means sympathetic nerve activity rate in autonomic nerve analysis, and high frequency normalized data means sympathetic nerve activity rate in autonomic nerve analysis.

또한, 상기 데이터 심볼링부(250) 및 데이터 정규화부(260)에는 이들 각각에서 산출되는 데이터를 저장하여, 후술되는 실시간 졸음 검출부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제공하는 데이터 저장부(270)가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data symbolizing unit 250 and the data normalizing unit 260 are connected to a data storage unit 270 that stores data calculated from each of them, and transmits or provides a signal to a real-time drowsiness detection unit described lat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신호 분석부(200)에는 그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이용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졸음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실시간 졸음 검출부(300)가 연결된다. The signal analyzer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a real time drowsiness detector 30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drowsy by using and analyzing the data analyzed therefrom.

실시간 졸음 검출부(300)는 상기 데이터 심볼링부(250) 및 데이터 정규화부(260)로부터 산출되어 데이터 저장부(270)에 저장되는 저주파대역 심볼릭 데이터의 흐름과, 고주파대역 심볼릭 데이터의 흐름과, 교감신경 활동성과 부교감신경 활동성의 흐름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졸음상태를 실시간으로, 설정된 순간마다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The real-time drowsy detector 300 is a low frequency band symbolic data flow calculated from the data symbolizing unit 250 and the data normalizing unit 260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70, a high frequency band symbolic data flow, By analyzing the flow of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is configured to detect the user's drowsy state in real time, every set moment.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실시간 졸음 검출부(300)는 신호 분석부(200)의 데이터 저장부(270)에 저장된 저주파 심볼릭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로부터 최대값과 최소값의 위치를 찾아 상승 상태인지 또는 하강 상태인지를 분석하는 심볼릭 데이터 판단부(310)를 구비한다. In more detail, the real-time drowsiness detection unit 300 is provided with low-frequency symbolic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70 of the signal analysis unit 200, and finds the position of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therefrom in the rising state or the falling state. A symbolic data determination unit 310 for analyzing the recognition is provided.

그 심볼릭 데이터 판단부(310)는 하강상태인지 상승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하 강 시간이 규정시간 또는 허용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지를 판단하고, 또한 하강 속도가 일정범위 이상으로 증가하는 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ymbolic data determination unit 310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falling state or the rising state, and determines whether the falling time lasts more than the prescribed time or the allowed time, and also determines whether the falling speed increases over a certain range. It is desirable to be.

심볼릭 데이터 판단부(310)에는 사용자 또는 운전자의 교감신경의 활동성을 산출하기 위한 교감신경 활동성 산출부(320)가 연결된다. Symmetric data determination unit 310 is connected to the sympathetic activity calculation unit 320 for calculating the activity of the sympathetic nerve of the user or driver.

또한, 심볼릭 데이터 판단부(310)에는 사용자 또는 운전자의 부교감신경의 활동성을 산출하기 위한 부교감신경 활동성 산출부(330)가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symbol data determining unit 310 is connected to the parasympathetic activity calculator 330 for calculating the activity of the parasympathetic nerve of the user or driver.

한편, 전술된 교감신경 활동성 산출부(320) 및 부교감신경 활동성 산출부(330)에는 이들 각각의 산출부에서 산출된 교감신경 활동성 값과 부교감신경 활동성 값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한 활동성 값 비교부(340)가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sympathetic activity calculating unit 320 and parasympathetic activity calculating unit 330 in the activity value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the size of the sympathetic activity value and the parasympathetic activity value calculated by each of these calculation unit ( 340 is connected.

그리고 그 활동성 값 비교부(340)에는 그로부터 비교된 편차 또는 차이의 결과 중 부교감신경 활동성 값의 차이가 규정 비율 이상으로 되는지를 판단하는 부교감신경 활동성 비율 판단부(350)가 연결된다. 여기서, 부교감신경 활동성의 비율의 기준값은 6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그 부교감신경 활동성 비율이 60% 이상인 경우에는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졸음 직전상태이거나 졸음상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activity value comparison unit 340 is connected to the parasympathetic activity ratio determination unit 350 that determines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asympathetic activity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cribed ratio among the results of the deviation or difference compared therefrom. Here, the reference value of the ratio of the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is preferably set to 60%, because when the ratio of the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is 60% or m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or the user is in a state of drowsiness or drowsiness.

부교감신경 활동성 비율 판단부(350)에는 그로부터 판단된 비율이 규정된 비율, 예컨대 60% 이상으로 된 경우에는 그 신호를 수신하여 후속되는 경고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경고신호 송신부(360)가 연결된다.The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ratio determining unit 350 is connected to a warning signal transmitting unit 360 for receiving the signal and operating a subsequent warning unit when the ratio determined therefrom becomes a prescribed ratio, for example, 60% or more.

상기 실시간 졸음검출부(300)에는 운전자의 졸음상태가 확인되면 이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부(400)가 연결된다. 이 경고부(400)는 알람 등을 발생시킬 수 있는 청각적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사이렌과 같은 청각적 수단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운전자의 신체의 일부를 자극하는 방식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eal-time drowsiness detection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warning unit 400 for warning the driver's drowsy state is confirmed. The warning unit 400 may be configured in an acoustic manner capable of generating an alarm, or may be configured in an acoustic means such as a siren, or may be formed in a manner of stimulating a part of the driver's body.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졸음경보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rowsiness alarm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졸음 경보장치는 운전자에 적용하는 경우 운전대에 적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5, the drowsiness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steering wheel when applied to the driver.

이 경우, 운전대(500)의 주변, 즉 운전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에는 운전자의 손바닥을 통해 심박동을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심박 검출센서(1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대의 중앙부에는 심박 검출센서(110)로부터 수신되는 심박 데이터를 저장하는 신호 검출/저장부(100), 그 신호/검출 저장부(100)에 검출되어 저장된 HRV 데이터의 피크값을 분석하기 위한 실시간 신호분석부(200), 그 신호 분석부(200)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운전자의 졸음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실시간 졸음 검출부(300) 및 졸음 판단시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경고부(400)가 패키지화하여 설치된다. In this case, a plurality of heartbeat detection sensors 110 for detecting a heartbeat through the palm of the driver ar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steering wheel 500, that is, the part held by the driver. In addition, in the center of the steering wheel to analyze the peak value of the HRV data detected and stored in the signal detection / storage unit 100, the signal / detection storage unit 100 that stores the heart rate data received from the heart rate detection sensor 110 Real-time signal analysis unit 200 for analyzing, the real-time drowsiness detection unit 30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is drowsy by analyzing the data analyzed from the signal analysis unit 200 and a warning unit for alerting the driver when the drowsiness determination ( 400 is packaged and installed.

이와 같이, 운전대에 졸음 경고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경고부(400)를 운전대(500)에 설치된 경고음 부저에 연결시켜 그 부저를 이용하여 경고음을 통해 운전자의 졸음상태를 경고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drowsiness warn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steering wheel, the warning unit 400 may be connected to the warning sound buzzer installed in the steering wheel 500 to warn the drowsiness state of the driver through the warning sound.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졸음 경고장치를 대중적이고 휴대가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보청기 또는 이어폰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the drowsiness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he form of hearing aids or earphones to be popular and portable.

예컨대, 이어폰 또는 보청기 형태로 형성된 졸음 경고장치(600)의 단부에는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는 탐침식 심박 검출센서(110)가 구비되며, 그 본체의 내부에는 심박 검출센서(110)로부터 수신되는 심박 데이터를 저장하는 신호 검출/저장부(100), 그 신호/검출 저장부(100)에 검출되어 저장된 HRV 데이터의 피크값을 위한 신호분석부(200), 그 신호 분석부(200)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졸음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실시간 졸음 검출부(300) 및 졸음 판단시 이를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경고부(400)가 내장된다. For example, the end of the drowsiness warning device 600 formed in the form of earphones or hearing aids is provided with a probe type heart rate detection sensor 110 is inserted into the user's ear, the heart rate received from the heart rate detection sensor 110 in the body. The signal detection / storage unit 100 storing data, the signal analysis unit 200 for peak values of HRV data detected and stored in the signal / detection storage unit 100, and analyzed by the signal analysis unit 200. The real-time drowsiness detection unit 300 for analyzing the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drowsy and a warning unit 400 for warning the user when the drowsiness determination is built.

이와 같이, 졸음 경고장치가 보청기 또는 이어폰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경고부(400)를 알람 또는 진동방식으로 구현하여 경고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drowsiness warning device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earing aid or earphone, the warning unit 400 may be implemented in an alarm or vibration manner to warn.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졸음 경고장치를 이용한 졸음 경고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rowsiness warning method using the drowsiness warn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졸음 경고장치를 이용한 졸음 경고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owsiness warning method using the drowsiness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운전자 또는 학습자와 같은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접속되거나 부착된 검출센서(110)를 통해 심박을 측정하고, 그 심박 검출센서(110)로부터 검출된 심박수를 증폭기(120)를 통해 증폭시켜, 필터(130)를 통해 60Hz 대역의 신호와 고주파 또는 저주파 잡음을 제거한다(S110). Referring to FIGS. 7 and 1 to 4, first, a heart rate is measured through a detection sensor 110 connected to or attached to a part of a user's body such as a driver or a learner, and then detected from the heartbeat detection sensor 110. The amplified heart rate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120, and the filter 130 removes a 60 Hz band signal and high frequency or low frequency noise (S110).

이와 같이 필터링 된 유효심박신호를 A/D 변환기(140)에서 디지털 심박신호로 변환시킨 후, 피크 검출기(150)에서 피크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HRV 데이터를 HRV 데이터 저장기(160)에 저장한다(S120). After converting the filtered effective heartbeat signal into the digital heartbeat signal by the A / D converter 140, the peak detector 150 detects the peak value and stores the detected HRV data in the HRV data storage 160. (S120).

이후, 전술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신호/검출 저장부(100)에 저장된 HRV 데이 터들 중 설정된 수만큼을 신호분석부(200)의 데이터 전처리부(210)로 이송시켜 전처리 하고, 전처리를 완료한 데이터를 데이터 리샘플링부(220)에서 시간에 따라 재배치하여 HRV 데이터를 시계열에 따라 동기화 시킨 후, 가중치 데이터 생성부(230)에서 리샘플링 데이터와 이에 대한 역순데이터를 연결하고 코사인 함수의 값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적용한다(S210).Thereafter, the data is transferred to the data preprocessor 210 of the signal analyzer 200 and preprocessed by the set number of HRV data stored in the signal / detection storage unit 100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and the preprocessed data is completed. The data resampling unit 220 rearranges the data according to time to synchronize the HRV data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and then the weight data generator 230 connects the resampling data and the reverse order data to the weighted data using the cosine function. Apply (S210).

이와 같이 리샘플링 데이터에 가중치가 적용되면, 주파수 분석부(240)에서 가중치가 적용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저주파대역(LF:0.04~0.15Hz)과 고주파대역(HF:0.15~0.4HZ)의 값을 추출한 후, 데이터 심볼링부(250)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심볼링하여 각각의 주파수별 심볼릭 데이터를 산출하고, 동시에 데이터 정규화부(260)에서 교감신경 활동치를 반영하는 저주파대역 데이터와 부교감신경 활동치를 반영하는 고주파대역 데이터 이용하여 정규화 데이터를 산출하여 데이터 저장부(270)로 이송하여 저장한다(S220).When the weight is applied to the resampling data as described above, the frequency analyzer 240 analyzes the weighted data to extract values of the low frequency band (LF: 0.04 to 0.15 Hz) and the high frequency band (HF: 0.15 to 0.4 HZ). In addition, the data symbolizing unit 250 symbolizes data using each frequency band to calculate symbolic data for each frequency, and at the same time, the low frequency band data and parasympathetic data reflecting the sympathetic nerve activity in the data normalizing unit 260. Normalized data is calculated using high-frequency band data reflecting nerve activity values and transferred to the data storage unit 270 to be stored (S220).

위와 같이 신호분석부(200)에서 데이터의 분석이 실시간으로 분석되어 처리된 데이터 값이 데이터 저장부(270)에 입력되어 저장되면, 실시간 졸음 검출부(300)의 데이터 분석부(310)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위치를 찾아 상승상태인지 또는 하강상태인지를 분석하고(S310-1), 분석결과가 하강상태인지 상승상태인지를 판단하며(S310-2), 하강상태이면 그 하강 시간이 규정시간 또는 허용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지를 판단하고(S310-3), 또한 하강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경우 그 하강 속도가 일정범위 이상으로 증가하는 지를 판단한다(S130-4). 본실시예에서는 규정된 하강시간을 1분으로, 또한 하강속도의 지속적인 증가범위를 20%로 설정 하였으나, 이는 사용자 또는 입력되는 설정치에 의해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판단단계(S310-2, S310-3, S310-4)에서 부정적(아니오)으로 판단되면, 다시 분석단계(S110)로 복귀되어 재분석하거나, 또는 각각의 판단단계이전의 판단단계로 복귀되어 재판단하는 방식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분석 및 판단이 행해짐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nalysis of the data is analyzed in real time by the signal analyzer 200 and the processed data value is input to the data storage unit 270 and stored, the maximum value in the data analyzer 310 of the real-time drowsiness detector 300. And find the location of the minimum value and analyze whether it is in the rising state or the falling state (S310-1), and determines whether the analysis result is the falling state or the rising state (S310-2), if the falling state, the falling time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uration lasts longer than the allowed time (S310-3), and if the falling time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alling speed is increased beyond the predetermined range (S130-4). In this embodiment, the prescribed falling time is set to 1 minute and the continuous increase range of the falling speed is set to 20%. However, this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by a user or an input setting value.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egative (No) in each of the determination step (S310-2, S310-3, S310-4), it is returned to the analysis step (S110) and re-analyzed, or to the determination step before each determination step It will be clear that the analysis and judgment is carried out continuously and repeatedly in a manner that is returned and judged.

이후, 심볼릭 데이터 판단부(310)에서 위와 같은 분석 및 파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교감신경 활동성 산출부(320)에서 사용자 또는 운전자의 교감신경의 활동성을 수치로서 산출한다(S320). Subsequently, the sympathetic nerve activity calculating unit 320 calculates the activity of the sympathetic nerve of the user or the driver as a numerical value by using the above analysis and breaking data in the symbolic data determination unit 310 (S320).

동시에, 심볼릭 데이터 판단부(310)에서 위와 같은 분석 및 파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부교감신경 활동성 산출부(330)에서 사용자 또는 운전자의 부교감신경의 활동성을 수치로서 산출한다(S330). At the same time, the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calculating unit 330 calculates the activity of the parasympathetic nerve of the user or the driver as a numerical value by using the above analysis and breaking data in the symbol data determination unit 310 (S330).

이와 같이 각각의 교감신경 활동성 및 부교감신경 활동성이 산출되면, 활동성 값 비교부(340)에서 교감신경 활동성 값과 부교감신경 활동성 값의 크기를 비교한다(S340).As described above, when each sympathetic activity and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are calculated, the activity value comparison unit 340 compares the size of the sympathetic activity value and the parasympathetic activity value (S340).

교감신경 활동성 값과 부교감신경 활동성 값의 비교결과, 부교감신경 활동성 값이 큰 것으로 판단되면, 부교감신경 활동성 비율 판단부(350)에서 비교된 편차 또는 차이의 결과 중 부교감신경 활동성 값의 차이가 규정 비율 이상으로 되는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교감신경 활동성의 비율의 기준값을 60%로 설정하였지만 그 판단 기준값은 임의로 설정되어 이용될 수 있다.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ympathetic nerve activity value and the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value is large, the difference of the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value among the results of the deviation or difference compared in the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ratio determination unit 350 is a prescribed ratio It judges whether it is abnormal. In this embodiment, the reference value of the ratio of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is set to 60%, but the judgment reference value may be arbitrarily set and used.

물론, 각각의 판단단계(S340, S350)에서 부정적인 결과(아니오)로 판단되면, 다시 분석단계(S110)로 복귀되어 연속 반복적으로 판단 및 분석단계가 실행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Of cours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egative result (no) in each of the determination step (S340, S350),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determination and analysis step is carried out repeatedly to return to the analysis step (S110).

부교감신경 활동성 비율 판단후, 판단된 비율이 규정된 비율, 예컨대 60% 이상으로 판단되면, 경고신호 송신부(360)는 그 신호를 수신하여 송신을 준비한다(S360).After determining the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ratio, if the determined ratio is determined to be a prescribed ratio, for example, 60% or more, the warning signal transmitter 360 receives the signal and prepares for transmission (S360).

위와 같이, 실시간 졸음검출부(300)에서 운전자의 졸음상태가 확인되면 경고부(400)는, 경고신호 송신부(360)로부터 그 신호를 수신하여 운전자 또는 사용자에게 그들이 졸음상태에 있음을 경고한다(S400). 여기서, 사용자에 대한 경고방식은 알람 또는 사이렌을 이용한 청각적 방식, 경광등을 이용한 시각적 방식, 신체의 일부를 자극하는 방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owsiness state of the driver is confirmed in the real-time drowsiness detection unit 300, the warning unit 400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warning signal transmitter 360 to warn the driver or user that they are in a drowsy state (S400). ). Here, the warning method for the user may be made of an auditory method using an alarm or a siren, a visual method using a warning lamp, a method of stimulating a part of the body, and the like.

따라서, 운전자 또는 사용자의 생체기관을 이용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하게 졸음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경고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by using the driver's or user's biological system,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quickly determine whether drowsiness and to warn 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졸음 경고장치는 사용자의 졸음상태를 가장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심박변이도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졸음상태를 가장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어 신뢰성 및 제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rowsiness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heart rate variability that can determine the user's drowsiness state most accurate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user's drowsiness state most accurately and quickly to alert the driver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and productability.

또한, 운전대, 이어폰,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하여 졸음상태를 판단 및 경고할 수 있으므로 적용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d warn drowsiness by implementing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steering wheel, earphon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pplicability is improved.

Claims (8)

심박변이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HRV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신호 검출/저장부와, 상기 신호/검출 저장부에서 검출되어 저장된 HRV 데이터의 피크값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신호분석부와, 상기 신호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운전자의 졸음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졸음 검출부와, 상기 졸음검출부에서 졸음상태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이를 경고하기 위한 졸음 경고부를 포함하며;A signal detector / storage unit for detecting HRV data in real time and storing HRV data, a signal analyzer for analyzing in real time peak values of HRV data detected and stored in the signal / detection storage unit, and the signal analyzer A drowsiness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is drowsy by analyzing the data analyzed in real time, and a drowsiness warning unit for warning the us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owsiness state is the drowsiness detection unit; 상기 실시간 신호 분석부는 The real time signal analysis unit 상기 신호 검출/저장부에 검출되어 저장된 HRV 데이터 또는 피크값을 설정된 분석주기마다 실시간으로 수신하거나 추출하여 전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전처리부와, A data preprocessor for pre-processing or extracting the HRV data or the peak value detected and stored in the signal detection / storage in real time for each set analysis period; 상기 전처리부에 연결되며, 전처리를 완료한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재배치하기 위한 데이터 리샘플링부와, A data resampling unit connected to the preprocessing unit and repositioning the preprocessed data according to time; 상기 데이터 리샘플링부에 연결되며, 리샘플링이 완료된 데이터에 대해 가중치를 적용한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한 가중치데이터 생성부와, A weight data gen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data resampling unit and configured to generate data to which weight is applied to the resampled data; 상기 가중치데이터 생성부에 연결되며, 생성된 가중치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주파수 분석부와, A frequency analyzer connected to the weight data generator and configured to analyze the generated weight data; 상기 주파수 분석부에 연결되며, 분석되어 산출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심볼링하기 위한 데이터 심볼링부와, A data symbol unit connected to the frequency analyzer and configured to symbolize data using the analyzed frequency band; 상기 주파수분석부에 연결되며, 산출된 교감신경 활동치를 반영하는 저주파대역 데이터와 부교감신경 활동치를 반영하는 고주파대역 데이터 이용하여 정규화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데이터 정규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 경고장치.And a data normalization unit connected to the frequency analyzer and configured to calculate normalization data using low frequency data reflecting the calculated sympathetic activity and high frequency data reflecting the parasympathetic activit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졸음 검출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al-time drowsiness detector 상기 실시간 신호 분석부로부터 산출되어 제공되는 저주파 심볼릭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로부터 최대값과 최소값의 위치를 찾아 상승상태인지 또는 하강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심볼릭 데이터 판단부;A symbolic data determination unit receiving low frequency symbolic data calculated and provided by the real-time signal analysis unit and determining a position of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therefrom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ignal is in the rising state or the falling state; 상기 판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교감신경의 활동성을 산출하기 위한 교감신경 활동성 산출부;A sympathetic activity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sympathetic activity of a user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상기 심볼릭 데이터 판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부교감신경의 활동성을 산출하기 위한 부교감신경 활동성 산출부;A parasympathetic neural activity calculating unit coupled to the symbolic data determin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activity of the parasympathetic nerve of the user; 상기 교감신경 활동성 산출부 및 부교감신경 활동성 산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산출부에서 산출된 교감신경 활동성 값과 부교감신경 활동성 값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한 활동성 값 비교부; 및An activity value comparison unit connected to the sympathetic activity calculating unit and the parasympathetic activity calculating unit, for comparing the magnitudes of the sympathetic activity values and the parasympathetic activity values calculated by the respective calculating units; And 상기 활동성 값 비교부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비교된 편차 또는 차이의 결과 중 부교감신경 활동성 값의 차이가 규정 비율 이상으로 되는지를 판단하는 부교감신경 활동성 비율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 경고장치.And a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ratio determining unit connected to the activity value comparing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a difference in parasympathetic activity valu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cribed ratio among the results of the deviation or difference compared therefro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4항에 따른 졸음 경고장치를 이용한 졸음 경고방법에 있어서,In the sleepiness warning method using the sleepiness war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심박을 검출하고, 검출된 심박수를 증폭시켜 필터링하는 단계;Detecting a heart rate from the body of the user and amplifying and filtering the detected heart rate; 상기 필터링된 유효심박신호를 디지털 심박신호로 변환시킨 후, 피크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HRV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Converting the filtered effective heartbeat signal into a digital heartbeat signal, detecting a peak value, and storing the detected HRV data; 상기 HRV 데이터들 중 설정된 수만큼의 데이터를 전처리 하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재배치하여 HRV 데이터를 시계열에 따라 동기화 시킨 후, 리샘플링데이터와 이에 대한 역순데이터를 연결하고 코사인 함수의 값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After preprocessing the set number of data among the HRV data, rearranging the preprocessed data according to time, synchronizing the HRV data according to time series, connecting the resampling data and the reverse order data, and using the value of the cosine function. Applying a weight;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저주파대역과 고주파대역의 값을 추출한 후,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심볼링하여 각각의 주파수별 심볼릭 데이터를 산출하고, 동시에 교감신경 활동치를 반영하는 저주파대역 데이터와 부교감신경 활동치를 반영하는 고주파대역 데이터 이용하여 정규화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After analyzing the data to which the weight is applied, extract the values of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high frequency band, and then symbolize the data using the respective frequency bands to calculate symbolic data for each frequency, and at the same time reflect the sympathetic nerve activity. Calculating normalized data using high frequency band data reflecting data and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분석된 데이터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상승상태인지 또는 하강상태인지 여부를 분석 및 판단하는 단계;Analyz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ata is in the rising state or the falling state using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analyzed data; 분석 및 판단된 데이터의 최대치와 최소치가 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교감신경의 활동성을 산출하는 단계Calculating the activity of the sympathetic nerve of the user using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analyzed and determined data 동시에, 분석 및 판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부교감신경의 활동성을 산출하는 단계;At the same time, calculating the activity of the parasympathetic nerve of the user using the analyzed and determined data; 상기 산출된 교감시경 활동성 값과 부교감시경 활동성 값을 비교하는 단계;Comparing the calculated sympathetic activity value and parasympathetic activity value; 교감신경 활동성 값과 부교감신경 활동성 값의 비교결과 부교감신경 활동성 값이 큰 것으로 판단되면, 그 차가 규정 비율 이상이 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rasympathetic activity value is larg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sympathetic activity value and the parasympathetic activity value, deter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a prescribed ratio; 부교감신경 활동성 비율 판단 결과 판단된 비율이 규정된 비율 이상으로 판단되면,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단계;If the determined ratio is greater than the prescribed ratio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ratio, transmitting a warning signal; 경고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 경고방법.Drowsiness warn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lerting the driver when a warning signal is receiv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최대값 과 최소값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상승상태인지 또는 하강상태인지 여부를 분석 및 판단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nalyz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ata is in the rising state or the falling state using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data comprises: 상기 최대값과 최소값의 위치를 찾아 각각의 값이 상승상태인지 또는 하강상태인지를 분석하는 단계;Finding positions of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and analyzing whether each value is in a rising state or a falling state; 분석결과가 하강상태인지 상승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analysis result is a falling state or a rising state; 판단결과 하강상태이면 하강 시간이 규정시간 또는 허용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Judging whether the fall time lasts more than the prescribed time or the allowed time if the falling result is determined; And 하강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경우 그 하강 속도가 일정범위 이상으로 증가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졸음 경고방법.If the fall time lasts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drowsiness warn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falling speed increases over a certain range.
KR1020050117630A 2005-12-05 2005-12-05 Apparatus for alarming drowsy and method therefor KR1007189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630A KR100718941B1 (en) 2005-12-05 2005-12-05 Apparatus for alarming drowsy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630A KR100718941B1 (en) 2005-12-05 2005-12-05 Apparatus for alarming drowsy and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8941B1 true KR100718941B1 (en) 2007-05-16

Family

ID=38277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630A KR100718941B1 (en) 2005-12-05 2005-12-05 Apparatus for alarming drowsy and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94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74594A1 (en) * 2007-08-06 2010-04-1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leepiness judging device
KR101034886B1 (en) 2009-12-30 2011-05-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rowsy state using alteration in period of heart rate variability
KR101047210B1 (en) * 2009-02-03 2011-07-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Driving drowsiness driving prevention device
KR101060268B1 (en) 2009-12-30 2011-08-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rowsiness using adjacent heart rate difference
CN110648501A (en) * 2019-09-26 2020-01-03 泽一交通工程咨询(上海)有限公司 Driving fatigue monitoring and alarming device based on video and bracele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688A (en) 1997-07-15 1999-02-09 Omron Corp System for monitoring mind and body information of driver engaging in vehicle-driving work and system for controlling safety operation
US6293361B1 (en) 1998-01-14 2001-09-25 Daimlerchrysler Ag Process and system for braking a vehicle
KR20040101941A (en) * 2003-05-27 2004-12-03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Sleepiness level det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688A (en) 1997-07-15 1999-02-09 Omron Corp System for monitoring mind and body information of driver engaging in vehicle-driving work and system for controlling safety operation
US6293361B1 (en) 1998-01-14 2001-09-25 Daimlerchrysler Ag Process and system for braking a vehicle
KR20040101941A (en) * 2003-05-27 2004-12-03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Sleepiness level detection devic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74594A1 (en) * 2007-08-06 2010-04-1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leepiness judging device
US8346352B2 (en) 2007-08-06 2013-01-0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leepiness judging device
EP2174594A4 (en) * 2007-08-06 2013-02-20 Toyota Motor Co Ltd Sleepiness judging device
KR101259229B1 (en) * 2007-08-06 2013-04-29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Sleepiness judging device
KR101047210B1 (en) * 2009-02-03 2011-07-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Driving drowsiness driving prevention device
KR101034886B1 (en) 2009-12-30 2011-05-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rowsy state using alteration in period of heart rate variability
KR101060268B1 (en) 2009-12-30 2011-08-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rowsiness using adjacent heart rate difference
CN110648501A (en) * 2019-09-26 2020-01-03 泽一交通工程咨询(上海)有限公司 Driving fatigue monitoring and alarming device based on video and bracele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1286B1 (en) Organism fatigue evaluation device and organism fatigue evaluation method
RU2330607C2 (en) Methods and device for consciousness monitoring
CN105142515B (en)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mankind's sleep stage for being conducive to waking up
KR2007000991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health
KR10063454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health
WO2008069337A1 (en) Device for judging degree of awakening and method for judging degree of awakening
JP4867215B2 (en) Physiological / psychological state determination device, physiological / psychological state determination method, reference data generation device, and reference data generation method.
WO2007149553A2 (en) Alertness/drowsiness and cognitive capacity index
KR20130010207A (en) System for analyze the user's health and stress
KR100718941B1 (en) Apparatus for alarming drowsy and method therefor
KR20180138328A (en) System of Predicting Dementia and Operating Method The Same
JPH08299443A (en) Doze preventing device
JP2006247055A (en) Vigilance-determining device
JP4238321B2 (en) Mental stress assessment device
EP1983894A2 (en) Assessment of attention span or lapse thereof
JP4609539B2 (en) Sleepiness detection device
KR20190078929A (en) Smart desk for improving concentration
JP4822796B2 (en) Sleep meter and sleep state determination method
JPH0670898A (en) Device for monitoring sleeping state
KR1010348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rowsy state using alteration in period of heart rate variability
EP4327743A1 (en) Sleeping state estimation system
Deng et al. Fatigue detection based on infrared video pupillography
JPH09262216A (en) Estimating apparatus of degree of concentration
KR20220126041A (en) Method for Emotion Evaluation using heart dynamics, and system adopting the method
JPH0779937A (en) Detection system for arousal degr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