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079B1 - 하이퍼랜 2 기술에 기초한 네트워크에서 등시성 자원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퍼랜 2 기술에 기초한 네트워크에서 등시성 자원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079B1
KR100718079B1 KR1020027009494A KR20027009494A KR100718079B1 KR 100718079 B1 KR100718079 B1 KR 100718079B1 KR 1020027009494 A KR1020027009494 A KR 1020027009494A KR 20027009494 A KR20027009494 A KR 20027009494A KR 100718079 B1 KR100718079 B1 KR 100718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network
controller
isochronous
re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2213A (ko
Inventor
이봉 르갈라이스
크리스토프 빈센트
길레스 스트라우브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20082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4Scheduled or contention-free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58Isochrono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65Bandwidth and channe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0Negotiating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6Resource reserv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을 구성하기 위해 하이퍼랜 2 타입의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등시성 자원을 예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네트워크는 등시성 자원 관리자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 연결 제어기에 의해 화자 디바이스 및 청취자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단계와;
- 상기 연결의 일부가 될 상기 디바이스들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등시성 자원 관리자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와;
- 상기 연결의 일부가 될 상기 디바이스들에 대한 리스트의 함수에 따라서, 상기 등시성 자원 관리자를 통해 상기 화자 및 상기 청취자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대역폭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대역폭이 이용가능한 경우, 상기 화자 디바이스 및 상기 청취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이퍼랜 2 기술에 기초한 네트워크에서 등시성 자원 관리 방법{METHOD FOR ISOCHRONOUS RESOURCES MANAGEMENT IN A NETWORK BASED ON HIPERLAN 2 TECHNOLOGY}
본 발명은 IEEE 1394 표준을 따르는 버스와 같은 유선 버스의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는 적어도 일부 버스가 ETSI BRAN 하이퍼랜 2 타입의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무선 브리지 연결을 통해 링크된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디바이스로 하여금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컨버전스 레이어(convergence layer)에 관한 것이다.
하이퍼랜 2 및 IEEE 1394에 관한 기술적인 배경이 먼저 설명될 것이다.
(1) 하이퍼랜 2 1394 컨버전스 레이어
하이퍼랜 2로 지칭되는 새로운 세대의 무선 LAN은 ETSI BRAN 프로젝트에 의해 정의되고 있다. 소위 하이퍼랜 2 시스템은 5 GHz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의도되므로, 사용자의 이동성은 국부적인 서비스 영역으로 제약되고 있다. 하이퍼랜 2('HL2') 네트워크는 다른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에 대해 컨버전스 레이어 기능 중 일부와 라디오 엑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를 표준으로 한다. 도 1은 하이퍼랜 2의 일반적인 스택을 나타낸다.
특히, 1394 컨버전스 레이어(상세한 설명 부분에 있는 참고문헌, 즉 문서 [3] 참조)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등시성 연결을 관리하는 것에 대한 안전한 메커니즘을 설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EEE 1394 컨버전스 레이어는 두 종류의 디바이스, 즉 무선 브리지 디바이스 및 무선 비-브리지 디바이스로 하여금 HL2를 통해 동작하도록 허용한다.
(a) 무선 1394 브리지 디바이스. 상기 무선 1394 브리지 디바이스들은 유선 IEEE 1394 디바이스(제어기, 화자 또는 청취자)로 하여금 하이퍼랜 2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허용하기 위해서 브리지 기능을 갖는다. 그것들은 HL2 네트워크를 통한 IEEE 1394 직렬 버스의 상호연결을 허용하기 위해서 유선 IEEE 1394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b) 무선 1394 비-브리지 디바이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어떤 브리지 기능도 갖지 않는다. 그것들은 하이퍼랜 2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IEEE 1394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할 수 있는 IEEE 1394 애플리케이션을 갖는다.
IEEE P1394.1 문서(아래에서 문서 [6]을 참고)에 따르면, 브리지 모델은 두 직렬 버스를 연결하는 두 개의 포털(portal)로 이루어진 한 세트 및 단순히 두 개의 포털로 정의된다.
IEEE 1394 컨버전스 레이어는 직렬 버스의 서비스를 모방함으로써, 비-브리지 디바이스와 브리지 디바이스 모두가 동일한 주파수를 공유할 수 있다.
두 1394 애플리케이션은 HL2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적으로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 그 모델은 또한 실질적인 유선 브리지 인식 디바이스(real wired bridge aware device)로 하여금 무선 브리지를 사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허용한다.
도 2는 하이퍼랜 2 네트워크의 일예를 가상 IEEE 1394 버스로서 도시하고 있다. 그것은 각각의 브리지 디바이스(AW, BW 및 CW)를 통해 무선 버스(W)에 연결되는 세 개의 유선 1394 버스(A, B 및 C)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D)는 유선 버스에 연결되지 않고 무선 버스(W)에 직접 연결된다.
HL2에서, 모든 등시성 채널은 중앙 제어기를 포함하는 RLC(라디오 링크 제어 서브레이어 : Radio Link Control sublayer) 멀티캐스트 DLC(데이터 링크 제어 서브레이어 : Data Link Control sublayer) 사용자 연결 제어 절차에 의해서 구성된다. HL2에서는, 포함된 디바이스의 라디오 수신 품질에 의존하는 링크 예산(link budget)의 개념이 존재한다. HL2는 유동적인 강력함(변조 방식을 더 강력하게 할수록, 필요한 대역폭은 더 커짐)을 갖는 데이터 교환을 허용하는 몇 가지 변조 방식을 정의한다. 한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다른 디바이스에 전송하기를 원할 때, 상기 디바이스는 자신이 어떤 변조 방식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얼마나 많은 네트워크 자원이 (HL2 시간 슬롯과의 관계에서)필요한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링크 예산을 인식할 것이다. DLC 홈 확장(DLC Home Extension)(아래에서 참조 문헌[2]를 참고)에 있어서, 중앙 제어기가 임의의 종류의 연결을 위한 링크 예산의 인식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교정 메커니즘(calibration mechanism)이 정의된다.
(2) IEEE 1394 버스를 통해 등시성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IEC 61883 및 IEEE 1394-1995 직렬 버스.
직렬 버스에서의 등시성 자원 관리는 IEEE 1394-1995 표준에 설명된 등시성 자원 관리자(IRM : Isochronous Resource Manager) 기능에 의해 커버된다. IRM은 대역폭 및 채널을 할당하는 것을 실질적으로는 담당하지 않고 오히려 다른 노드가 등시성 자원에 대한 그들의 사용을 협력하여 레코딩할 수 있는 단일 위치를 제공한다.
IEC 61883 표준(아래의 참조 문헌[5]를 참고)은 IEEE 1394-1995 직렬 버스에 연결되는 장치 사이의 시청각 데이터 송신 프로토콜을 지정한다. 상기 표준은 또한 노드들이 버스 자원을 예약하기 위해서 IRM을 협력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연결 관리 절차, 즉 'CMP' : Connection Management Procedure)을 지정한다. 이러한 프로토콜에 의해 지정된 바와 같이, 버스 리셋이 단일의 직렬 버스 상에서 발생할 때는, 다음과 같은 액션이 수행된다:
버스 리셋 이전에 입력 및 출력 플러그를 연결한 모든 AV 디바이스는, 버스 리셋 바로 이전에 존재했던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5]에서의 정의 참조)에 있는 값에 따라, 1 초 동안, 버스 리셋 이후에 등시성 데이터 흐름을 개별적으로 계속해서 수신 및 송신할 것이다.
버스 리셋 이전에 연결을 구축한 제어기는 자원을 재요청하기 위해서 1 초의 시간을 갖는다. 재요청되지 않은 자원은 버스 리셋의 1초 후에 IRM에 의해서 해제된다.
버스 리셋의 1 초 후에는, 버스 리셋 이전에 입력 및 출력 플러그를 연결한 모든 AV가 대응하는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에 있는 값(이 값은 일부 제어기에 의해서 갱신되었을 수 있음)에 따라 작동할 것이다.
이러한 절차는, 디바이스(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축된 버스 연결이 상기 디바이스가 사라지고 명확히 소스나 목적지 노드가 사라지는 경우에 해제되는 것을 보장한다.
그것은, 버스 리셋 이후에 등시성 스트림이 연결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존재 또는 부재에 따라 재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1394 컨버전스 레이어는 가상 직렬 버스를 모방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기 때문에, 그것은 하이퍼랜 2 네트워크에서의 등시성 연결 관리를 위한 유사 메커니즘을 제공할 것이다. 이 메커니즘은 실제 직렬 버스 상에 존재하는 것과 동일한 종류의 기능을 제공할 것이다. 그것은 또한 현존하는 HL2 하위 레이어 프로토콜(DLC/RLC) 상에 수월하게 매핑가능할 것이다.
아래의 설명은 이러한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청구된 바와 같이, 연결 설정을 위해 하이퍼랜 2 타입의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등시성 자원을 예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네트워크는 등시성 자원 관리자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연결 제어기에 의해 화자 디바이스(talker device) 및 청취자 디바이스(listener device)를 식별하는 단계와;
연결의 일부가 될 디바이스들에 대한 리스트를 등시성 자원 관리자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와;
연결의 일부가 될 디바이스들에 대한 리스트의 함수에 따라서, 등시성 자원 관리자를 통해 화자 및 청취자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대역폭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대역폭이 이용가능한 경우, 화자 디바이스 및 청취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등시성 자원 관리자를 통해 연결의 일부가 될 디바이스에 대한 리스트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연결 제어기를 통해 등시성 자원 관리자로부터 채널 식별자를 요청하는 단계와,
연결 제어기를 통해서 채널 식별자를 화자 디바이스 및 청취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와;
각각의 디바이스가, 채널 번호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의 중앙 제어기와 라디오 링크 제어 레이어 그룹 결합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 제어기가 멀티캐스트 매체 엑세스 제어 식별자를 상기 그룹에 귀속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의 리셋 이후에,
제 1 시간 간격(T)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그동안 제어기가 리셋 이전에 예약된 등시성 자원을 재요청하는 것이 필요한, 제 1 시간 간격 제공 단계와;
제 1 간격의 다음에 오는 제 2 시간 간격(
Figure 112006000076991-pct00028
T)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그동안 제어기가 등시성 자원 관리자와 새로운 예약을 수행할 수 없는, 제 2 시간 간격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 2 시간 간격은 네트워크의 모든 디바이스로 하여금 중앙 제어기에 의해 트리거된 네트워크 리셋 이후에 자신들의 리셋 절차를 끝 내도록 허용하기 위해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연결 제어기는 제 2 시간 간격을 저장하기 위한 레지스터를 포함하는데, 그 레지스터는 중앙 제어기에 의해서 프로그램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각 노드에 버스 생성 레지스터를 제공하는 단계와;
중앙 제어기로 하여금 네트워크 리셋 동안에 노드의 버스 생성 레지스터에 있는 컨텐트를 갱신하도록 하는 단계로서, 새로운 레지스터 컨텐트가 네트워크 리셋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노드로 전송되는, 갱신 단계와;
등시성 자원 관리자로 하여금, 노드로부터의 자원 요구 시에 버스 생성 레지스터 컨텐트의 가장 최근 값을 테스트하도록 하여, 만약 노드의 버스 생성 레지스터 컨텐트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요구를 거절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추가적인 보호 기간(
Figure 112006000076991-pct00002
T) 및 버스 생성 번호에 대한 개념이 고유 권리 내의 발명이며 별도로 청구될 수도 있다는 것이 주지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서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이미 설명되어진, 하이퍼랜 2의 일반적인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이미 설명되어진, 하이퍼랜 2 네트워크의 일예를 가상 IEEE 1394 버스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대한 일예 및 그것의 모델화를 가상 버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irtual_Channel_Available' 레지스터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Virtual_Channel_Available' 레지스터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가상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ViPCR)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가상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VoPCR)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3의 하이퍼랜 2 중앙 제어기 및 이동 단말기(MT1 및 MT2)에 대해 상대적인 T 및
Figure 112002023637962-pct00003
T 기간(각각은, 리셋 이후에 등시성 자원을 재요청하기 위한 지연과 제 1 지연의 종료 이후에 새로운 예약이 금지되는 지연을 나타냄)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중첩되지 않은 연결을 위해서 도 3의 중앙 제어기와 상이한 이동 단말기 사이에 교환되는 메시지를 예시하는 도면.
도 10은 이동 단말기(MT4)가 현존하는 연결 상에서 중첩되어질 중첩 등시성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그 경우에 중앙 제어기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 교환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브리지 환경에서 네트워크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가상 버스의 모델화를 나타내는 도면.
본 실시예는 하이퍼랜 2에 기초하는 무선 브리지에 의해 상호 연결된 IEEE 1394 유선 버스의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그렇지만,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원리는 다른 환경에서도 적용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특정 환경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BRAN 하이퍼랜 2 및 IEEE 1394 버스 표준에 관한 상세한 정보 및 관련된 사양은 특히 다음의 문서들에서 찾을 수 있다:
[1] ETSI BRAN 하이퍼랜 2 기술 사양, 데이터 링크 제어 레이어, 파트 1 : 기본적인 데이터 전송 기능.
[2] ETSI BRAN 하이퍼랜 2 기능 사양, 데이터 링크 제어 레이어, 파트 4 : 홈 환경을 위한 확장(Extension for Home Environment).
[3] ETSI BRAN 하이퍼랜 2 기술 사양, 패킷 기반의 컨버전스 레이어(Packet Based Convergence Layer), 파트 3 : IEEE 1394 서비스 특정 컨버전스 서브레이어(드래프트), 버전 0.0.0.(1999-12).
하이퍼랜 2에 관한 이들 세 개의 문서뿐만 아니라 다른 문서들은 유럽 전기통신 표준협회(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에서 입수할 수 있다.
[4] IEEE 1394-1995 표준, 고성능 직렬 버스에 대한 IEEE 표준.
[5] IEC 611883, 소비자 오디오/비디오 인터페이스를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
[6] 고성능 직렬 버스 브리지를 위한 IEEE 1394.1 드래프트 표준(1999년 2월 7일).
상기 두 개의 문서 [4] 및 [6]은 IEEE 협회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문서 [5]는 IEC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등시성 자원 관리자(IRM : Isochronous Resource Manager) 기능은 도 1의 가상 버스에서 정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등시성 자원 예약 메커니즘은,
등시성 자원(채널 및 대역폭)을 예약하는 기능과,
제어기, 화자 또는 청취자 중 어느 하나가 HL2 네트워크를 떠났을 때 이러한 자원을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등시성 자원 예약 메커니즘은 컨버전스 레이어 내에 위치한다. 이것은 애플리케이션 및 브리지 레이어 모두가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도록 허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IRM 기능은 하이퍼랜 2(HL2) 중앙 제어기의 1394 컨버전스 레이어 상에 위치된다. 그것은 "채널 이용가능 레지스터" 및 "대역폭 이용가능 레지스터"를 제공함으로써, 다른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이 적절한 로크(lock) 요구("lock_req/res")를 사용하여 자원을 예약할 수 있게 한다. IEEE 1394-1995 IRM에 대한 차이로 인해서, 이러한 레지스터는 서로 약하게 연결됨으로써, 예약이 특정 크기의 대역폭에 대해서 이루어질 때, IRM은 그것이 어떤 채널에 관한 것인지를 인식한다. 이것은 중앙 제어기로 하여금 그 채널에 대한 링크 예산을 계산하도록 허용한다(그것은 매체 엑세스 제어를 나타내는 그룹 MAC-ID-MAC의 요소인 디바이스를 인식한다). 만약 충분한 네트워크 자원이 있다면, IRM은 승인 lock_res 메시지를 생성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상기 IRM은 거절 lock_res 메시지를 생성할 것이다.
모든 HL2 네트워크의 변경에 있어서(디바이스가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됨)(즉, 각 가상 버스의 리셋에 있어서), 네트워크 자원은 1 초 내에 IRM으로부터 재요청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이러한 자원은 해제된다. HL2에서, 버스 리셋은 전파되는데 있어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본 실시예에 따라, '버스 생성 번호(bus generation number)'가 IRM 레지스터에서 사용됨으로써, IRM은 새로운 자원 요청과 기존의 자원 요청을 구분하고 그에 따라서 반응할 수 있다. 버스 생성 번호에 대한 비트는 HL2 IRM에 대해서 특정적이고, 표준 IEEE 1394-1995 버스 IRM에 대해서 정의되지 않는다.
1. 서론
본 발명은 HL2 네트워크를 위해 IEEE 1394-1995 버스의 등시성 연결 관리를 따를 것을 제안한다. 다음에서, "가상"이란 용어는 가상 버스에 첨부되는 용어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데이터 속도는 실질적인 직렬 버스에서보다는 무선 매체에서 더 느리기 때문에, 가상 채널의 수는 예컨대 32로 제한될 수 있다. 물론, 다른 값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의 좌측에는 4 개의 디바이스, 즉 화자 디바이스, 청취자 디바이스 및 1394 제어기로서 각각 동작하는 세 개의 이동 단말기(MT1, MT2 및 MT3)와 중앙 제어기(CC)가 연결되는 무선 버스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우측에서는 무선 네트워 크의 모델화를 가상 버스로서 나타내고 있는데, 그 가상 버스에는 네 개의 디바이스가 연결된다.
IEEE 1394 등시성 채널은 멀티캐스트 그룹의 매체 엑세스 제어 식별자('MAC-IDs' : Medium Access Control Identifiers)에 매핑된다. 데이터 링크 제어 레이어 홈 확장('DLC HE' : Data Link Control Layer Home Extension)에서는, 멀티캐스트 채널 수에 대한 현행의 제한이 존재한다(최대 채널 수는 32 개다).
본 실시예에 따라, VIRM(가상 IRM) 레지스터는 V_BANDWIDTH_AVAILABLE 및 V_CHANNEL_AVAILABLE로 정의된다. 이러한 레지스터는 중앙 제어기의 1394 컨버전스 레이어에 존재한다.
등시성 스트림을 제공하거나 싱크(sink)시킬 수 있는 그러한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서, ViPCR(가상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 : Virtual input Plug Control registers) 및 VoPCR(Virtual output Plug Control Registers)과 같은 레지스터들이 또한 정의된다.
하이퍼랜 2 환경에서, 자원 관리(멀티캐스트 그룹 및 네트워크 대역폭)는 중앙 제어기를 통해 수행된다.
가상 등시성 자원 관리자(VIRM)는 임의의 노드의 컨버전스 레이어 상에서 동작할 수 있고, 직렬 버스에서처럼, IRM 기능은 임의의 IRM 가능 노드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필요한 것은, 한 번에 하나의 IRM만이 동작하여야 하고 모든 노드는 그것이 어디에 있는지를 인식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간략화의 이유로, IRM은 직렬 버스 상에서 사이클 마스터(cycle master) 내에 위치된다.
또한, 프로토콜을 간략히 하기 위해서(노드는 그것이 어디에서 동작하는지를 인식하고, bus_reset 전파와 자원 재요청 사이에는 더 적은 제약이 존재함), IRM은 중앙 제어기의 컨버전스 레이어에서 동작하는 것이 제안된다. 가상 IRM은 HL2 네트워크에 대한 RLC 멀티캐스트 연결 제어 절차를 구동시켜야 한다.
가능한 한 IEC 61883 표준(문서 [5])을 준수하기 위해서, 연결이 IEEE 1394 제어기에 의해 구축되어야 하는 것이 제안된다. 1394 제어기는 화자 및 청취자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1394 노드이다. 1394 제어기의 개념은 IEC 61883 표준(문서 [5])에서 정의되고 사용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VIRM에서 대역폭 및 채널을 예약할 것이고, 다음의 규칙에 따라 가상 입력 및 출력 제어 플러그 레지스터(청취자의 'ViPCR' 및 화자의 'VoPCR')를 구성할 것이다.
2. 제어 및 상태 레지스터 설명
2.1 등시성 자원 관리자(VIRM) 레지스터
본 실시예에 따라, VIRM 레지스터는 중앙 제어기의 1394 CL에 구현된다. 엑세스를 위한 규칙뿐만 아니라 포맷이 본 실시예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2.1.1 VIRTUAL_CHANNEL_AVAILABLE 레지스터
상기 레지스터는 가상의 등시성 자원 관리자(VIRM) 상에 구현되어 있다. 그것은 (유선 직렬 버스 IRM의 CHANNEL_AVAILABLE 레지스터와 비교해서) 2 쿼드렛(two quadlets)의 길이를 갖는다. 2-쿼드렛 판독 및 로크(lock) 비교 교환 처리만이 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 채널을 예약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지원될 것이다. 이러한 레지스터의 비트 0 내지 31은 가상 버스의 등시성 채널 0 내지 31에 대응한다. 직렬 버스 IRM에 대해서처럼, 0의 비트 값은 대응하는 채널이 예약되었고 따라서 추가적인 예약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VIRM에 대해 특정한 본 실시예에 따라, 버스 생성 번호를 위해 일부 비트(즉, 비트 32 내지 36)가 사용된다. 다른 비트는 예비된다.
이러한 레지스터 상에서의 판독 및 로크 비교 교환 처리는 새로운 채널을 예약하거나 또는 가상 버스 리셋 이후에 이미 예약된 채널을 재요청하기 위해서 예약 제어기에 의해 사용된다.
도 4는 'Virtual_Channel_Available' 레지스터의 포맷을 나타낸다.
엑세스를 위한 규칙:
·가상 버스 리셋 동작:
가상 버스 리셋 이후에(버스 생성 번호를 전달하는, 중앙 제어기로부터의 self_id 패킷이 수신된 이후에), 이용가능한 채널을 나타내는 레지스터 비트는 클리어된다. 모든 채널은 다시금 이용가능하게 된다. 'Gen_Number' 비트는 (버스 리셋 이후에 전송되고 VIRM을 구현하는 노드에 의해서 수신된 self_id 패킷에 존재하는 정보에 따라) 또한 갱신된다. 타이머(T)가 개시된다. 타이머가 만료되기 이전에, 자원(채널)은 재요청되어야 한다. 자원 재요청을 받아들일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VIRM은 Gen_Number 비트를 로크 요구 내의 대응하는 비트와 비교한다. 만약 그것들이 일치한다면, VIRM은 요구가 리셋 이전에 가상 버스 상에 존재하는 디바이스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자원 재요청 요구는 받아들여진다. 만약 다른 한편으로, 그것들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자원 재요청 요구는 거절된다. 타이머(T)가 만료되었을 때, 재요청되지 않은 자원은 해제된다(그룹 Mac_Ids는 컨버전스 레이어에서 해제된다).
·가상 버스 리셋 타이머(T) 만료와 그 다음 가상 버스 리셋 사이의 기간에 대응하는 표준 동작:
VIRM은 임의의 직렬 버스 IRM로서 동작할 것이다. 그것은 이미 예약된 채널 상의 로크 요구를 거절할 것이다. 채널이 (로크 요구 메시지를 통해서) 예약되었을 때, IRM은 이 채널 상의 RLC_GROUP_JOIN 메시지를 수신할 준비가 된다. 제 1 RLC_GROUP_JOIN 메시지가 그 채널에 대해 수신되었을 때, 중앙 제어기는 새로운 그룹 MAC-ID를 생성할 것이다. 동일한 채널에 대한 그 다음 RLC_GROUP_JOIN 메시지는 동일한 그룹 MAC-ID에 이동 단말기를 추가할 것이다.
2.1.2 VIRTUAL_BANDWIDTH_AVAILABLE 레지스터
이 레지스터도 또한 VIRM 상에 구현된다. 그것은 제어기로 하여금 특정 채널에 대한 대역폭을 예약하도록 허용한다. 그것은 하나의 쿼드렛 길이를 갖는다. 비트 27 내지 31은 버스 생성 번호에만 사용된다. 다른 비트 0 내지 26은 컨버전스 레이어 레벨에서 초 당 수 비트 또는 수 바이트로 가상 버스 상에서 이용가능한 대역폭을 나타내는데만 사용된다. 대역폭 비트에 대해서, 일부 예약된 값은 허용되지 않는다(일예로, OxFFFF 값은 예약된다).
이러한 레지스터로의 판독 요구는 디바이스로 하여금 HL2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대역폭을 획득하도록 허용한다.
대역폭의 예약은 arg_value가 다음과 같은 2 쿼드렛으로 구성되는 로크 요구 메시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 제 1 쿼드렛은 선택된 채널을 나타낸다. 즉, 1로 설정된 비트만이 선택된 채널을 나타낸다. lsb는 채널 0에 대응하고, msb는 채널 31에 대응한다.
- 제 2 쿼드렛은 비트 0 내지 25에 대한 상기 레지스터로의 이전 판독 결과와 비트 26 내지 31에 대한 제어기의 생성 번호로 구성된다.
데이터 값은 특정 채널에 대해서 요구되는 비트 속도를 나타내는 쿼드렛이다.
상기 요구는, 만약
·arg_value에 표시된 채널이 CHANNEL_AVAILABLE 레지스터에서 이용가능하지 않거나,
·로크 요구에 표시된 생성 번호가 IRM의 생성 번호와 다르거나,
·로크 요구에 표시된 대역폭의 크기가 이용가능한 대역폭(제어기에 의해 판독된 이후에 다른 노드가 예약한 대역폭) 보다 더 클 경우에는 거절될 것이다.
엑세스를 위한 규칙:
·표준 동작(가상 버스 리셋 타이머 T 만료와 그 다음 가상 버스 리셋 사이의 기간):
IRM이 VIRTUAL_BANDWIDTH_AVAILABLE 레지스터에 대해 로크 요구를 받았을 때, 그것은 요구된 대역폭뿐만 아니라 그것의 대상이 되는 채널을 인식한다. 그런 후에, 그것은 멀티캐스트 그룹의 MAC-ID{라디오 링크 제어('RLC')의 결과로서임} 멀티캐스트 결합 절차에 관련하여 토폴로지 맵(교정을 통해 구성되었고, 문헌[2]의 6.5절에 설명되어 있음)을 계산할 것이고, 컨버전스 레이어는 특정 1394 채널에 대한 이동 단말기의 리스트를 인식한다. 따라서, 그것은 링크 품질에 따라 이러한 멀티캐스트 그룹에 대한 관련 변조 방식을 결정할 수 있음으로써, 이용가능한 자원(HL2 시간 슬롯)이 충분히 있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만약 이용가능한 자원이 충분히 있다면, 그것은 예약을 받아들일 것이고, 멀티캐스트 그룹 내의 RLC 멀티캐스트 연결 설정 절차를 개시할 것이다. 만약 RLC 절차가 성공적이라면, 그 때는 승인 로크 응답 메시지가 로크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생성될 것이다. 만약 (링크 예산의 부족이나 RLC 실패로 인해) 예약이 실패한다면, 그 때는 로크 요구가 로크 응답 메시지에 의해서 거절 될 것이다. 거절 로크 응답 메시지의 아규먼트(argument)(old_value)에 있어, 대응하는 에러 코드가 삽입될 것이고(일예로, 이용가능한 대역폭 비트의 금지된 값 중 하나), 그럼으로써 요구자에게는 거절 이유가 통보된다.
직렬 버스 IRM에 대해서와 같이, 만약 판독 처리 중에 이미 판독되어 아규먼트로서 로크 요구 메시지 내에 삽입된 대역폭이 현재 이용가능한 대역폭에 대응하지 않는다면, 로크 요구는 거절된다(두 동시발생적인 예약 절차가 충돌함).
·가상 버스 리셋 동작:
가상 bus_reset 이후에(버스 생성 번호를 전달하는, 중앙 제어기로부터의 self_id 패킷이 수신된 이후에), Bandwidth_available 비트는 리셋된다(모든 대역 폭은 다시금 이용가능하게 된다). Gen_Number 비트는 VIRM에 의해 수신되는 self_id 패킷에 존재하는 정보에 따라 또한 갱신된다. 타이머 T가 개시된다. 타이머가 만료되기 이전에, 자원(대역폭)은 재요청되어야 한다. 자원 재요청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VIRM은 Gen_Number 비트를 사용한다(만약 그것들이 일치한다면, 자원 재요청은 받아들여지고, 만약 그것들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자원 재요청은 거절된다). 타이머 T가 만료되었을 때, 재요청되지 않은 자원은 해제된다(멀티캐스트 그룹 내에 임의의 존재하는 멀티캐스트 연결은 RLC를 사용하여 해제된다).
도 5는 'Virtual_Channel_Available' 레지스터의 포맷을 제공한다.
2.1.3 ViPCR 및 VoPCR 가상 입력 및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
ViPCR 레지스터(또는 레지스터 세트)는 등시성 스트림을 싱크시킬 수 있는 디바이스의 1394 컨버전스 레이어 내에 구현된다. 그것은 [5]에서 정의된 iPCR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이 레지스터는 명령 및 상태 레지스터(CSR) 구조에 따라 구현된다. 생성 필드는 가상 버스 리셋 통보에서의 시간 차이를 고려하기 위해 추가된다. 생성 번호는 각각의 가상 버스 리셋에서 모듈로 25 로 증가한다.
도 6은 ViPCR 레지스터의 포맷을 나타낸다.
VoPCR 레지스터(또는 레지스터 세트)는 등시성 스트림을 제공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1394 컨버전스 레이어 내에 구현된다. 그것은 [5]에서 정의된 oPCR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이 레지스터는 CSR 구조에 따라 구현된다. 생성 필드는 가상 버스 리셋 통보에서의 시간 차이를 고려하기 위해서 추가된다([3] 참조). 버스 생 성 번호는 각각의 가상 버스 리셋에서 모듈로 25 로 증가된다.
도 7은 VoPCR 레지스터의 포맷을 나타낸다.
페이로드, 오버헤드 ID, 점대점 연결 카운터 및 온-라인 필드들은 [5]에서 정의된 oPCR의 등가 필드와 동일한 정의를 갖는다.
그것이 문서 [5]와 일치되도록 하기 위해 6 비트 상에서 코딩되는 한편, 채널은 0 내지 31의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생성 번호는 노드에 의해서 수신되는 마지막 가상 버스 리셋의 생성을 나타낸다. 그것은 각각의 가상 버스 리셋시 증가 카운터를 사용하거나 가상 버스 리셋 통보와 관련된 카운터를 사용하여 노드 자체에 의해서 설정되고 중앙 제어기에 의해서 관리된다. 이 필드는, 모든 무선 단말기가 동시에 가상 버스 리셋을 통보 받지 않기 때문에 필요하다.
Vo 및 ViPCR 레지스터를 위한 엑세스 규칙
·표준 동작(가상 버스 리셋 타이머 T의 만료와 그 다음 가상 버스 리셋 사이의 기간):
노드의 컨버전스 레이어가 PCR(입력 또는 출력 중 어느 하나) 상에서 로크 요구를 수신하여 채널 비트가 설정되었을 때, RLC 결합 요구 절차가 중앙 제어기에 대해 개시될 것이다. 일단 RLC 결합 응답 메시지가 긍정적으로 수신되면, 그 때는 성공적인 로크 응답 메시지가 생성된다. 그렇지 않다면, 로크 요구는 거절된다.
·버스 리셋 동작 : PCR을 구현하는 컨버전스 레이어가 버스 리셋을 통보 받 았을 때, 그것은 자신의 PCR(들)의 Gen_bus_number 비트를 새로운 값으로 설정한다. 컨버전스 레이어는 간격 T에 대한 타이머를 개시하고, 자신이 버스 리셋 이전에 했었던 것처럼 데이터를 싱크하거나 제공하는 동작을 한다. 그것은 또한 PCR의 채널 비트를 클리어시킨다. 만약 채널 비트가 T 타임아웃 이전에 다시 기록된다면,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다면, 컨버전스 레이어는 멀티캐스트 그룹을 떠나기 위해서 중앙 제어기에 대하여 RLC_Leave 절차를 발생시킬 것이다.
엑세스를 위한 규칙(제어기 애플리케이션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애플리케이션은 먼저 IRM을 통해 채널을 예약하고(VIRTUAL_CHANNEL_AVAILABLE 레지스터를 판독한 이후에 로크 요구를 함으로써), 그런 이후에 자신이 구성하기를 원하는 멀티캐스트 그룹의 노드의 ViPCRs 및 VoPCR에 예약 채널을 기록한다. 일단 모든 로크 응답 메시지가 획득되면, 그것은 로크 요구 메시지를 VIRTUAL_BANDWIDTH_AVAILABLE 레지스터에 전송함으로써 해당 대역폭을 예약한다. 이어서, VIRM은 그 멀티캐스트 그룹에 대한 링크 예산을 안전하게 계산할 수 있다.
가상 버스 리셋이 발생하였을 때, 애플리케이션은 1 초 간격 내에 해당 Vo 또는 ViPCRs 및 IRM 레지스터로부터의 자원을 재요청해야 한다. 그런 후에, 그것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Figure 112002023637962-pct00004
T 기간 동안에는 임의의 새로운 예약 요구 전송을 중단한다.
2.2 가상 버스 리셋 및 자원 재요청 또는 해제
가상 버스 리셋 동작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떠났거나 (RLC 결합 절차에 후속하여) 새로운 디바이스가 결합되었다는 것을 중앙 제어기의 HL2 라디오 링크 제어 레이어가 검출하였을 때, 1394 컨버전스 레이어 레벨에서의 식별('self_id') 절차는, 중앙 제어기가 모든 다른 디바이스 컨버전스 레이어에 가상 버스 리셋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보장한다. 따라서, 각각의 1394 컨버전스 레이어는, 일정한 전파 지연을 가지고, 가상 버스 리셋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트리거되는 상부 레이어에 대해 가상 버스 리셋을 생성할 수 있다.
각각의 디바이스는 이미 언급되어진 생성 번호인 가상 버스 리셋 번호를 저장하는데만 사용되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버스 생성 번호는 각각의 버스 리셋시 중앙 제어기에 의해 증가된다. 버스 리셋 생성 번호는 self_id 메시지에 포함된다.
제어기가 버스 리셋 지시를 수신하였을 때, 그것은 1 초 내에 모든 연결을 재할당하여야 한다. 그 이후에는, 상기 제어기가
Figure 112002023637962-pct00005
T 기간 동안에 재요청 또는 일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디바이스는 상기
Figure 112002023637962-pct00006
T 기간 동안에 요구를 수신 및 받아들일 수 있다(도 8 참조).
시간 간격
Figure 112002023637962-pct00007
T는 중앙 제어기 상에서의 버스 리셋 이벤트와, 리셋을 수신하는 마지막 이동 단말기 상에서의 버스 리셋 이벤트 사이의 시간 차이 보다 더 길 것이다. 그러한 원리는, 이동 단말기가 디바이스 상에서 버스 리셋이 종료한 이후에는 결코 자원을 재요청하려 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보장한다.
스플릿 타임아웃 레지스터에 대해서와 같이, 컨버전스 레이어가
Figure 112006000076991-pct00008
T 제어 및 상태 레지스터('CSR')를 포함함으로써, 중앙 제어기는 이 값이 이동 단말기에 오버로드되는 경우에 그 값을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제안된다{만약 MT의 수가 중요 인자만큼 증가한다면, 버스 리셋은
Figure 112006000076991-pct00009
T 기간 보다 더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고, 따라서 자원 예약은 때때로 실패할 수 있다(즉 다른 버스 리셋을 생성한다). 따라서, 일부 경우에는, 이러한 값을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1394의 스플릿 타임아웃에 대해서와 같이)
Figure 112006000076991-pct00010
T CSR은 디폴트 값을 가질 것이다.
만약 어떤 이유로 인해서 버스 리셋이 HL2 네트워크에서 전파될
Figure 112006000076991-pct00011
T 보다 더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면, 그 때는 중앙 제어기가 버스 리셋 생성 번호를 증가시켜야 하고 다른 버스 리셋을 개시하여야 한다.
도 8은 도 3의 중앙 제어기 및 이동 단말기(MT1 및 MT2)에 대한 상대적인 T 및
Figure 112002023637962-pct00012
T 기간을 나타내고 있다.
중앙 제어기의 1394 컨버전스 레이어가 버스 리셋 시퀀스를 개시할 때, 그것은 가상 IRM 내의 모든 대역폭 및 채널을 자유롭게 해야 할 것이다. 동시에, 디바이스가 가상 버스 리셋을 수신하였을 때는, ViPCR 및 VoPCR이 해제되어야 할 것이고, 타이머 T=(1s+
Figure 112006000076991-pct00013
T)가 초기화되어야 할 것이다.
몇 가지 경우가 가상 버스 리셋 이후에 발생할 수 있다:
·어떠한 디바이스도 연결해제되지 않음
버스 리셋 이전에 자원을 할당했고 버스 리셋을 수신하는 제어기는 화자와 청취자 모두가 여전히 네트워크 상에 있는지 여부를 검사해야 한다. 만약 화자와 청취자 모두가 네트워크 상에 있다면, 그 때는 제어기가 VIRM의 자원을 재할당해야 한다. VIRM은 로크 요구가 재요청이고 (제어기가 실제로 버스 리셋을 수신하기 이전에 디바이스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는)새로운 요청은 없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해서 버스 생성 번호 비트를 사용한다. 제어기는 또한 청취자의 ViPCR 및 화자의 VoPCR을 재구성해야 할 것이다.
이 경우에, HL2 연결은 해제되지 않고 계속해서 동작할 수 있다.
·1394 제어기가 연결해제됨
IEC 61883 문서는, 제어기가 연결해제되는 경우에는 이 제어기에 의해 구축된 연결이 끊기게 될 것이라는 것을, 명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가상 IRM은 재요청을 위해 T 시간 간격 동안 기다릴 것이다. 재요청이 수신되지 않은 채로 시간이 다 되었을 때, 중앙 제어기는 화자 및 각각의 청취자에게 RLC_RELEASE 메시지를 전송한다. 화자 및 청취자는 멀티캐스트 그룹을 떠날 것이다. 어떤 디바이스도 멀티캐스트 그룹 내에 존재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CC는 레지스터 내의 예약된 자원을 자유롭게 될 것이다. 유사한 방식으로, 이러한 연결(즉, 버스로부터 제거되는, 제어기에 의해 구축된 연결) 중에 있는 화자 및 청취자는 어떠한 자원 재요청도 그들의 PCR에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검출할 것이고, RLC_LEAVE를 CC에 전송함으로써 멀티캐스트 그룹을 떠나야만 할 것이다.
·화자 또는 청취자가 연결해제됨
화자가 없거나 또는 모든 청취자가 네트워크를 떠난 경우에는 연결이 끊어져 야 한다. 1394 제어기는 화자와 청취자를 찾으려고 시도할 것이고, 만약 이러한 상황이 고려되지 않는다면, 그 때는 제어기가 필요한 자원을 재할당하지 않을 것이다.
각각의 디바이스는 타임아웃을 관리할 것이고, HL2 연결을 해제해야 할 것이다.
2.3 비-버스 리셋 자원 해제
직렬 버스 상에서처럼, 애플리케이션(또는 브리지 레이어)은 언제라도 가상 버스 상의 일부 자원을 해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예약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것이다(특정 채널에 대한 일부 대역폭을 해제한 후에 일부 채널을 해제하기 위해서 PCR 및 IRM 레지스터에 기록함)
2.4 시나리오
2.4.1 무선 디바이스간의 등시성 연결
2.4.1.1 비-중첩 연결
(1) 1394 제어기는 채널을 할당하기 위해서 중앙 제어기 내에 위치한 가상 등시성 자원 관리자에 대해 비교 및 교환 처리를 수행한다. 이것은 IEEE 1394-1995 처리이다.
(2) 제어기는 이전 단계의 채널을 설정하기 위해 ViPCR 및 VoPCR(오프로 설정되는 온라인 비트 가짐) 어드레스에서 lock_req 메시지를 화자 및 청취자에게 전송한다. 만약 그것의 생성 번호가 제어된 디바이스와 다르다면, 제어기는 연결을 구축할 수 없고, 그 결과 적절한 ≪에러 코드≫를 가지고 생성되는 거절 lock_res 메시지를 야기한다.
(3) 화자와 청취자 둘 모두는 그 채널 상에서 결합 RLC 절차를 수행한다. 결합이 완료된 이후에, 화자와 청취자 둘 모두는 제어기에 대해 승인 lock_resp를 생성한다.
(4) 제어기가 lock_resp를 획득하였을 때, 중앙 제어기는 어떤 디바이스가 멀티캐스트 그룹의 요소인지를 인식한다. 이어서, 제어기는 (위에서 설명된 절차에 따라) BANDWIDTH_AVAILABLE 레지스터 상에 lock_req를 전송하다.
(5) IRM은 필요한 HL2 대역폭{링크 예산 및 선택된 물리 레이어(PHY) 모드에 따름}을 계산한다.
(6) 두 가지 경우가 가능하다:
(a) 대역폭이 이용가능하다면, (7)으로 가고, IRM은 긍정적인 로크 응답을 전송하고, 바로 직후에(새로운 lock_req를 받아들이기 전에) 대역폭 레지스터(PHY 모드를 고려함)를 갱신한다.
(b) 대역폭이 이용가능하지 않다면, IRM은 (arg 값 내에 적절한 에러 코드를 갖는)부정적인 로크 응답을 전송한다. 대역폭 레지스터는 불변한다-제어기는 (에러 코드를 통해서) 그것이 요청 중에 루프(loop)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인지한다.
(7) 만약 대역폭이 이용가능하였다면, 중앙 제어기는 멀티캐스트 그룹으로의 멀티캐스트 DLC 사용자 연결(DUC : DLC User Connection) 설정을 개시한다. 만약 RLC가 성공한다면, 긍정적인 로크 응답이 생성되고(대역폭 이용가능 레지스터가 PHY 모드를 고려함으로써 갱신된다), 그렇지 않다면 부정적인 로크 응답이 생성된다.
(8)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로크 응답이 생성될 때까지는 어떠한 다른 로크 요구도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도 9는 비-중첩 연결에 대해서 도 3의 중앙 제어기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의 메시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2.4.1.2 중첩 연결
중첩 연결은 IEC 61883 사양에 정의되어 있다. 연결을 중첩시키는 것은 청취자를 이미 존재하는 연결에 추가시키는데 있다. 그러한 경우에, HL2 멀티캐스트 연결 및 IRM CSR이 1394 컨버전스 레이어에 이미 존재한다.
도 10은 중첩된 등시성 연결에 대한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여기서는 이동 단말기(MT4)가 현존하는 연결 상에 중첩될 것이다.
다음의 단계들은 디바이스(MT4)가 어떻게 새로운 청취자가 되는지를 설명한다:
(1) 제어기는 점대점 연결 카운터를 증가시키도록 화자의 VoPCR을 설정한다. 그것은 또한 lock_req를 전송하고 생성 번호를 검사함으로써 채널을 새로운 청취자의 ViPCR에 로드한다.
(2) MT4는 이제 대응 채널에 대해서 RLC_GROUP_JOIN 메시지를 중앙 제어기에 전송할 수 있다.
(3) 만약 링크 예산이 그룹 멀티캐스트를 결합하기 위해 MT4를 추가하도록 허용한다면, 중앙 제어기는 관련된 멀티캐스트 MAC_ID를 갖는 확인응답(acknowledgement)을 역전송한다.
(4) 청취자 및 화자 모두는 제어기에 lock_resp를 전송할 수 있다.
(5) 중앙 제어기는 멀티캐스트 DUC 설정 절차를 MT4 디바이스에 전송할 것이다. 이어서, 디바이스(MT4)는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된다. 가능하게는, PHY 모드가 변경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RLC 변경 절차까지도 개시될 수 있다.
도 11은 이러한 경우에 중앙 제어기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서 교환되는 메시지를 나타낸다.
2.4.2 브리지 환경에서의 등시성 연결 설정
후술하는 부분은, 1394 컨버전스 레이어 내에 정의된 바와 같은 등시성 예약 메커니즘이 브리지 환경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네트워크는 포털(portal)(MT1 내지 MT4)을 통해 하이퍼랜 2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지는 4 개의 직렬 버스(1 내지 4로 번호가 매겨짐)로 구성된다(도 12 참조).
도 12는 브리지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일예이다.
무선 네트워크는 가상의 1394 버스로서 모델화될 수 있다(도 13 참조). 각각의 포털은 가상 버스에 연결되는 브리지로서 표현되어 있다. 그러한 브리지는,
유선 직렬 버스에 연결되는 포털(이것은 실제 포털임)과;
가상 버스에 연결되는 포털{이것은 1394 컨버전스 레이어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가상 포털(즉, 가상 iPCR 및 oPCR 레지스터)임}로 구성된다. 가상 버스의 IRM은 VIRM으로 표기되고, 중앙 제어기의 1394 컨버전스 레이어에 구현된다. 또한, 가상 버스 상에 등시성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책임지는 디바이스는 가상 제어기로 지칭된다.
도 13은 가상 버스의 모델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4.2.1 비-중첩 연결
상이한 단계들은 다음과 같다:
(1) 제어기는 연결 메시지를 청취자의 포털에 전송한다. 이 디바이스의 가상 포털은 가상 버스 상에서의 연결 구축을 위한 가상 제어기가 된다.
(2) 가상 제어기는 이전 부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가상 버스 상에 자원을 예약한다.
(3) 만약 자원이 가상 버스 상에서 이용가능하다면, 청취자 포털(LP)은 P1394.1 드래프트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브리지 연결 메시지를 화자 포털에 전송한다.
2.4.2.2 중첩 연결
제어기는 연결 메시지를 청취자의 포털에 전송한다. 이러한 연결 메시지는, 상기 연결이 사용 중에 있는 현재 채널 번호를 나타냄으로써 중첩 연결이라는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청취 포털은 그것의 ViPCR의 할당된 채널 비트를 설정하고, lock_req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화자의 포털의 VoPCR을 설정한다. 화자의 포털은 그것의 VoPCR에서 point_to_point_connection_counter를 증가시킬 것이다.
다음으로, 가상 버스 상에서는, 중첩 연결에 관한 모든 것이 이루어진다.
두문자어 및 약어
브리지(Bridge) : 직렬 버스 네트에서 두 개의 버스를 연결할 수 있는 두 직렬 버스 노드의 세트.
중앙 제어기(CC : Central Controller) : 하이퍼랜 2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엑세스 포인트의 제어 기능과 동등한 DLC 레이어(데이터 링크 제어 레이어)에 대한 제어 기능을 제공하지만, 반드시 고정 네트워크에 첨부되지는 않는다. 중앙 제어기 기능은 무선 디바이스에 삽입된다.
제어기(Controller) : 직렬 버스 상에서 등시성 연결을 구축하는 디바이스.
포털(Portal) : 브리지를 직렬 버스에 연결하는 노드.
가상 버스(Virtual Bus) : 그것은 1394 직렬 버스로서의 무선 네트워크의 모델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IEEE 1394 표준을 따르는 버스와 같은 유선 버스의 네트워크에 이용가능하고, 특히 디바이스로 하여금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컨버전스 레이어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9)

  1.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채널 및 대역폭을 포함하는 등시성 자원(isochronous resources)을 예약(reserve)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는 등시성 자원 관리자 및 중앙 제어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방법은,
    연결 제어기에 의해 화자 디바이스(talker device) 및 청취자 디바이스(listener device)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의 일부가 될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상기 등시성 자원 관리자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의 일부가 될 상기 디바이스의 리스트에 따라서, 상기 등시성 자원 관리자를 통해 상기 화자 디바이스 및 상기 청취자 디바이스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대역폭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대역폭이 이용가능한 경우, 상기 화자 디바이스 및 상기 청취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등시성 자원을 예약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시성 자원 관리자를 통해 상기 연결의 일부가 될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리스트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연결 제어기를 통해 상기 등시성 자원 관리자로부터 채널 식별자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 제어기를 통해서 상기 채널 식별자를 상기 화자 디바이스 및 상기 청취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와;
    각각의 디바이스가, 채널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상기 중앙 제어기와 라디오 링크 제어 레이어 그룹 결합 절차(radio link layer group join procedure)를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 제어기가 멀티캐스트 매체 엑세스 제어 식별자(multicast medium access control identifier)를 상기 그룹에 귀속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등시성 자원을 예약하기 위한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리셋(reset) 이후에,
    제 1 시간 간격(T)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그동안 제어기가 상기 리셋 이전에 예약된 등시성 자원을 재요청(reclaim)하는 것이 필요한, 제 1 시간 간격 제공 단계와;
    상기 제 1 간격의 다음에 오는 제 2 시간 간격(
    Figure 112006000076991-pct00029
    T)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그동안 연결 제어기가 상기 등시성 자원 관리자와 새로운 예약을 수행할 수 없는,제 2 시간 간격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등시성 자원을 예약하기 위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상기 네트워크의 모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중앙 제어기에 의해 트리거된 네트워크 리셋 이후에 자신들의 리셋 절차를 끝내도록 허용하기 위해 설정되는, 등시성 자원을 예약하기 위한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연결 제어기는 상기 제 2 시간 간격을 저장하기 위한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레지스터는 상기 네트워크의 중앙 제어기에 의해서 프로그램가능하게 되는, 등시성 자원을 예약하기 위한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간 간격 동안에, 연결 제어기는 상기 리셋 절차 이전에 예약된 자원에 대한 어떠한 재요청도 하지 않는, 등시성 자원을 예약하기 위한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등시성 자원 관리자는 상기 중앙 제어기에 구현되는, 등시성 자원을 예약하기 위한 방법.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에 버스 생성 레지스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 제어기로 하여금 네트워크의 리셋 동안에 디바이스의 상기 버스 생성 레지스터에 있는 컨텐트를 갱신하도록 하는 단계로서, 새로운 레지스터 컨텐트가 네트워크 리셋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갱신 단계와;
    상기 등시성 자원 관리자로 하여금, 디바이스로부터의 자원 요구 시에 상기 버스 생성 레지스터 컨텐트의 가장 최근 값을 테스트하도록 하여, 만약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버스 생성 레지스터 컨텐트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요구를 거절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등시성 자원을 예약하기 위한 방법.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하이퍼랜 2 타입인, 등시성 자원을 예약하기 위한 방법.
KR1020027009494A 2000-01-27 2001-01-26 하이퍼랜 2 기술에 기초한 네트워크에서 등시성 자원 관리 방법 KR100718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400220.0 2000-01-27
EP00400220 2000-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213A KR20020082213A (ko) 2002-10-30
KR100718079B1 true KR100718079B1 (ko) 2007-05-16

Family

ID=8173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494A KR100718079B1 (ko) 2000-01-27 2001-01-26 하이퍼랜 2 기술에 기초한 네트워크에서 등시성 자원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277402B2 (ko)
EP (1) EP1266484B1 (ko)
JP (1) JP4689130B2 (ko)
KR (1) KR100718079B1 (ko)
CN (1) CN1163022C (ko)
AT (1) ATE381174T1 (ko)
AU (1) AU776277B2 (ko)
BR (1) BR0107894A (ko)
CA (1) CA2399013A1 (ko)
DE (1) DE60131841T2 (ko)
IL (1) IL150919A0 (ko)
MX (1) MXPA02007283A (ko)
WO (1) WO2001056226A1 (ko)
ZA (1) ZA2002059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5311B1 (en) 2000-09-14 2004-04-2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nection-oriented network over a serial bus
EP1199840A1 (en) * 2000-10-19 2002-04-24 THOMSON multimedia Method for connecting an IEEE1394 remote device to a cluster of IEEE1394 devices through a wireless link
MXPA03003414A (es) * 2000-10-19 2003-08-07 Thomson Licensing Sa Metodo para reservar recursos isocronos en una red que comprende un enlace inalambrico.
US8009590B2 (en) 2000-10-19 2011-08-30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linking several communication busses using wireless links
US6977939B2 (en) * 2001-01-26 2005-12-2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mulating ethernet functionality over a serial bus
US6820150B1 (en) * 2001-04-11 2004-11-1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ality-of-service delivery facilities over a bus
US7269137B2 (en) * 2001-08-24 2007-09-11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setting up an isochronous data stream connection, with the application of a predetermined, total isochronous delay on one or more routing paths
CN1589552A (zh) * 2001-11-23 2005-03-02 汤姆森许可贸易公司 用于管理包括网桥的通信网络中的连接的方法和设备
EP1401154A3 (en) * 2002-09-12 2010-08-04 Thomson Licensing Device for connecting a wireless network to at least one other network
US7403531B2 (en) * 2003-05-30 2008-07-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LAN admission control for multimedia service
FR2854016A1 (fr) * 2003-04-17 2004-10-22 Thomson Licensing Sa Methode de transmission des messages de reinitialisation de bus ieee 1394 et appareil implementant la methode
CN100469039C (zh) * 2004-08-05 2009-03-11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用缓慢离开机制处理用户离开、切换组播业务频道请求的方法和装置
JP4846381B2 (ja) * 2006-02-08 2011-12-28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帯域割り当て方法、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装置
JP5140312B2 (ja) * 2007-04-27 2013-02-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における接続制御方法、移動通信管理装置、および移動局装置
US8345553B2 (en) * 2007-05-31 2013-01-01 Broadcom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duction of transmission delay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2003824B1 (en) * 2007-06-12 2012-01-18 Alcatel Lucent Method of performing multicast admission control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entral admission controller and communications network
US8332557B2 (en) * 2008-12-12 2012-12-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broadcasting USB data streams
JP5321349B2 (ja) * 2009-08-24 2013-10-23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データ転送方法及びデータ転送装置
US9003466B2 (en) 2010-04-22 2015-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isochronous data stream management in high speed audio/video networks
US8973074B2 (en) * 2010-04-22 201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isochronous communication in audio/video networks
US10148592B1 (en) * 2015-06-29 2018-12-04 Amazon Technologies, Inc. Prioritization-based scaling of computing resources
EP3326408B1 (en) * 2015-07-22 2020-04-01 Intel IP Corporation Convergence layer for 5g communication systems
CN113504933A (zh) * 2021-05-28 2021-10-15 曲阜师范大学 一种车间机器更新方法及系统
US11741093B1 (en) 2021-07-21 2023-08-29 T-Mobile Usa, Inc. Intermediate communication layer to translate a request between a user of a database and the database
US11924711B1 (en) 2021-08-20 2024-03-05 T-Mobile Usa, Inc. Self-mapping listeners for location tracking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6428A (ja) * 1993-08-10 1995-03-10 Philips Electron Nv 薄膜soi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1611A (en) * 1994-06-07 1995-10-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Quality of service management for source routing multimedia packet networks
US5815678A (en) * 1995-07-14 1998-09-29 Adapte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a communications bus
JP3271493B2 (ja) * 1995-09-26 2002-04-02 ヤマハ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およびデータ伝送方法
JP3171241B2 (ja) * 1998-03-06 2001-05-28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方法
WO1999055028A1 (fr) * 1998-04-21 1999-10-28 Thomson Multimedia Procede de synchronisation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et appareils de mise en oeuvre
JP3815063B2 (ja) * 1998-07-14 2006-08-30 ソニー株式会社 バスネットワークの同期通信設定の解除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するバスネットワーク、並びに情報提供媒体
JP2000032030A (ja) * 1998-07-14 2000-01-28 Sony Corp バスネットワークの同期通信設定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するバスネットワーク、並びに情報提供媒体
FR2786355B1 (fr) * 1998-11-25 2001-01-12 Thomson Multimedia Sa Procede de gestion de bande passante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comportant une liaison sans fil
US6539450B1 (en) * 1998-11-29 2003-03-25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isochronous bandwidths on a bus
JP3436174B2 (ja) * 1999-03-09 2003-08-11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方法
US6445711B1 (en) * 1999-04-23 2002-09-03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d sending an asynchronous control mechanism packet used to control bridge devices within a network of IEEE STD 1394 serial buses
FR2798024A1 (fr) * 1999-08-27 2001-03-02 Canon Kk Procede et dispositif de communication dans un reseau de type centralise et reseau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US6728821B1 (en) * 1999-11-29 2004-04-27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isochronous bandwidths on a bus
JP3454217B2 (ja) * 1999-12-28 2003-10-06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経路制御方法、機器制御装置、及びブリッ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6428A (ja) * 1993-08-10 1995-03-10 Philips Electron Nv 薄膜soi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99013A1 (en) 2001-08-02
DE60131841T2 (de) 2008-12-04
BR0107894A (pt) 2002-11-05
US20030078063A1 (en) 2003-04-24
JP4689130B2 (ja) 2011-05-25
JP2003521198A (ja) 2003-07-08
IL150919A0 (en) 2003-02-12
US7277402B2 (en) 2007-10-02
ATE381174T1 (de) 2007-12-15
EP1266484A1 (en) 2002-12-18
WO2001056226A1 (en) 2001-08-02
DE60131841D1 (de) 2008-01-24
CN1397126A (zh) 2003-02-12
ZA200205929B (en) 2003-07-24
AU776277B2 (en) 2004-09-02
CN1163022C (zh) 2004-08-18
KR20020082213A (ko) 2002-10-30
MXPA02007283A (es) 2002-12-09
AU3169401A (en) 2001-08-07
EP1266484B1 (en)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079B1 (ko) 하이퍼랜 2 기술에 기초한 네트워크에서 등시성 자원 관리 방법
KR100549480B1 (ko) 정보 통신 시스템, 정보 통신 방법, 정보 신호 처리 장치, 정보 신호 처리 방법 및 기억매체, 직렬 버스 브릿지 및 단말 장치
JP4143405B2 (ja) 無線リンクを介してieee1394規格遠隔装置をieee1394規格装置のクラスタへ接続する方法
US6738816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liable real-time communications among a plurality of nodes having functions conforming to IEEE-1394 serial bus and participating in a session of sharing the maximum bandwidth
JP4124725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リンクのリソース管理方法
JP4443225B2 (ja) ブリッジを有する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接続を管理する方法及び装置
US7843957B2 (en) Method for managing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wireless links with more than two wireless devices
US7020725B2 (en) Method of reserving isochronous resources in a network comprising a wireless link
US20050220070A1 (en) Apparatus for requesting channel time allocation (CTA) in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during allocated channel time in coordinator-based wireless network
US20080098141A1 (en) Bridge and Transmit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System
WO2006004283A1 (en) Apparatus for requesting channel time allocation (cta) in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during allocated channel time in coordinator-based wireless network
JP2005318191A (ja) Ieee1394ネットワークを使用したマスタ/スレーブ同期通信システムおよび、同期通信資源の自動割当方法
JP2010041192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04072661A (ja) バ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