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058B1 - Apparatus for interactive study using microphone having position senso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teractive study using microphone having position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058B1
KR100716058B1 KR1020060077429A KR20060077429A KR100716058B1 KR 100716058 B1 KR100716058 B1 KR 100716058B1 KR 1020060077429 A KR1020060077429 A KR 1020060077429A KR 20060077429 A KR20060077429 A KR 20060077429A KR 100716058 B1 KR100716058 B1 KR 100716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icrophone
position detection
audio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7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99483A (en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랩트리
이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랩트리, 이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랩트리
Priority to KR1020060077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058B1/en
Publication of KR20060099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4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0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감지 센서가 내장된 마이크를 이용한 대화형 학습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학습기는, 내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감지 센서를 통하여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위치감지신호,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및 버튼을 통하여 입력되는 컨트롤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및 합성한 합성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 중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음원소스와 합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 중 위치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마우스 동작을 수행하거나 제스처 및 율동을 인식하여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컨트롤 신호 또는 리모콘을 통하여 제공되는 컨트롤 신호에 응답하여 내장된 메모리 또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자막 및/또는 영상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본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나 어린이들의 어학 등의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active learner using a microphone with a built-in position sensor, the interactive lea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movement through the at least one built-in position sensor, by the user At least one microphone for transmitting a synthesized signal obtained by converting an input audio signal and a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a button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audio signal among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is processed and synthesized with a sound source, and the mouse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mong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or the gesture and the movement are recognized. And a main body configured to signal-process and output subtitles and / or video signals provided in an internal memory or externally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icrophone or a control signal provided through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learning efficiency, such as language of infants and children.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어학, 마이크, 노래반주기 Accelerometer, Gyro Sensor, Language, Microphone, Music Cycle

Description

위치감지 센서가 내장된 마이크를 이용한 대화형 학습기{Apparatus for interactive study using microphone having position sensor}Apparatus for interactive study using microphone having position sens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의 외형 사시도이고,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lea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마이크의 내부 구성블록도이고,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icrophone of FIG. 1;

도 3은 도 1의 본체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of FIG. 1.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CPU 블록 200 : 마이크100: CPU block 200: microphone

225 : 오디오 신호 입력부 245 : 위치감지 센서부225: audio signal input unit 245: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275 ; 전송부 355 : 영상신호 처리부275; Transmitter 355: Image signal processor

370 : 제2 메인 프로세스 유닛 398 : 버튼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370: second main process unit 398: button input and display

400 : 본체 427 : 신호 수신부400: main body 427: signal receiving unit

460 : 오디오 신호 처리부460: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본 발명은 위치감지 센서가 내장된 마이크를 이용한 대화형 학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해 움직이는 마이크의 위치를 파악하여 율동게임, 율동학습, 노래반주 등이 가능한 위치감지 센서가 내장된 마이크를 이용한 대화형 학습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active learner using a microphone with a built-in position sensor, and more specifically, to detect a position of a microphone moved by a user, and includes a position sensor capable of rhythm game, rhythm learning, song accompaniment, and the like. To an interactive learner using an integrated microphone.

어학 등의 학습을 위한 종래의 기술은 학습자가 학습에 필요한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여 학습하는 방식과 학습자가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인터넷이나 기타 유선통신을 통해 학습시스템에 접속하여 학습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Conventional techniques for learning languages, such as the way in which learners install and learn a separate device for learning and the learner accesses the learning system through the Internet or other wired communication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device to learn Are distinguished.

어학 등의 경우에 학습시스템을 이용하는 방식은 학습자가 전화기를 이용하여 시스템에 접속한 후에 시스템이 들려주는 음성안내방송과 학습내용방송에 따라 청취연습, 집중 말하기, 원하는 부분 다시 듣기 등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게 해 준다. 이 방식은 일방적인 청취위주의 학습방법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발음 및 청취 능력을 평가하지 못하며 회화능력을 향상시키거나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 못한다. In the case of language, etc., the learning system is used to learn a foreign language by listening to the voice guidance broadcasted by the system and listening to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and listening to the desired part after the learner accesses the system using a telephone. It allows you to learn. Since this method provides only one-sided listening-based learning method, it does not evaluate learner's pronunciation and listening ability, and does not provide a method for improving or evaluating conversational ability.

학습자가 별도의 장치를 설치해서 학습하는 방식은 학습자가 장치에서 들려주는 소리를 청취하고 발음할 때 학습자의 음성을 학습자에 의해 기 저장된 학습자의 음성표본과 비교하는 기법을 통해 발음한 음성의 해당문장에 대한 적절성과 발음의 정확성을 판단하여 교정할 수 있게 해 준다. The learner installs a separate device and learns that the learner's voice is compared with the learner's voice sample pre-stored by the learner when the learner listens and pronounces the sound heard from the device. It allows you to judge and correct the adequacy and correctness of pronunciation.

이러한 학습방식 중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들은 학습자가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유아나 어린이는 이러한 시스템에 접근하기가 어려 울 뿐 아니라, 장치의 경우에도 쉽게 조작하기가 어렵다. 또한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쉽게 싫증을 내기 때문에 원하는 수준의 학습효과를 위해서는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내용이나 장치를 구비한 학습방법이 필요하다.Of these learning methods, however, these conventional methods are not suitable for learners as children or children. Infants and children are not only difficult to access such a system, but also difficult to operate in the case of devic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easily get tired, for the desired level of learning effect is required a learning method having a content or device that can cause interest.

이러한 필요에 의하여 다양한 유아나 어린이용 학습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단어그림책을 이용한 학습방식이나 DVD나 VCD를 이용한 비주얼 어학 학습 등이 개발되었다. 또한, 놀이하듯 어학 등을 학습할 수 있는 방법으로 노래 그림책, 알파벳그림책, 이야기 그림책 등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그림책이나 비주얼 학습 방법등의 경우에는 시각적효과나 청각적 효과에만 의존하고 있어 유아나 어린이들에 있어서 지속적인 재미나 흥미를 유발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지속적인 재미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면서도 효율적인 어학이나 기타 학습을 할 수 있는 학습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Due to these needs, various learning systems for infants and children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learning methods using word picture books and visual language learning using DVDs and VCDs have been developed. In addition, as a way to learn a language, such as playing a song picture book, alphabet picture book, story picture book, etc. to learn naturally. However, these picture books and visual learning methods rely solely on visual and auditory effects, making it difficult to induce continuous fun or interest in infants and childre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learner capable of efficient language and other learning while still causing fun and interest to infants and childre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위치감지 센서가 내장된 마이크를 이용한 대화형 학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active learner using a microphone with a built-in position sensor that can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율동이나 놀이를 통하여 흥미를 유발하고 자연스럽게 어학 등을 학습할 수 있는 위치감지 센서가 내장된 마이크를 이용한 대화형 학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active learner using a microphone with a position sensor that can induce interest through learning or playing and naturally learn languag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학 등의 학습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 감지 센서가 내장된 마이크를 이용한 대화형 학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active learner using a microphone with a built-in position sensor that can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such as languag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래반주기 기능이 추가된 대화형 학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active learner with the singing cycle function.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학습기는, 내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감지 센서를 통하여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위치감지신호,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및 버튼을 통하여 입력되는 컨트롤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및 합성한 합성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 중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음원소스와 합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 중 위치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마우스 동작을 수행하거나 제스처 및 율동을 인식하여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컨트롤 신호 또는 리모콘을 통하여 제공되는 컨트롤 신호에 응답하여 내장된 메모리 또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자막 및/또는 영상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본체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some of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interactive lea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sensing signal generated by the movement through the at least one built-in position sensor, input by the user At least one microphone for transmitting an audio signal and a combined signal obtained by converting and synthesizing a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a button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audio signal among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is processed and synthesized with a sound source, and the mouse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mong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or the gesture and the movement are recognized. And a main body configured to signal-process and output subtitles and / or video signals provided in an internal memory or externally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icrophone or a control signal provided through a remote controller.

상기 본체는, 상기 마이크의 버튼 또는 상기 리모콘을 통하여 선곡된 노래에 따른 반주, 자막 및 영상을 출력하는 노래반주기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의 실시간 저장 및 재생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song reciprocating function for outputting accompaniment, subtitles and images according to a song selected through the button of the microphone or the remote controller, and real time storing and reproducing of an audi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icrophone. It may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마이크는, 사용자의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신호 입력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마이크의 움직임에 따른 위치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감지센서부와; 상기 본체의 컨트롤,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컨트롤, 및 노래 등의 선곡을 위한 컨트롤 신호가, 상기 마이크의 외부에 부착된 버튼을 통하여 입력되는 버튼 입력부와; 상기 마이크의 동작에 관한 전반적인 컨트롤을 수행하며, 상기 오디오 신호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 및 제어하고, 상기 위치감지신호의 변환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컨트롤을 수행하고, 인코딩된 상기 오디오 신호와 상기 위치감지신호와 상기 컨트롤 신호를 합성한 합성신호를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출력하는 CPU 블록과; RF 송수신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합성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유선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컨트롤 신호의 정보 및/또는 상기 마이크의 동작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microphone may include an audio signal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audio signal of a user, amplify the digital signal, and convert the audio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having at least one position detection sensor to generate a posi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icrophone; A button input unit for inputting a control signal for selection of a control of the main body, a control of the position sensor, and a song, etc. through a button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microphone; Performs overall control on the operation of the microphone, encodes and controls the digital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signal input unit, converts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controls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and encodes the encoded audio signal And a CPU block converting the synthesized signal obtained by combining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to be suitable for transmission. It may be provided with a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ule for transmitting the synthesized signal wirelessly or by wire. The microphone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of the control signal and / or an operation state of the microphone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it.

그리고, 상기 위치감지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및/또는 자이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CPU블록은, 상기 마이크의 동작에 관한 전반적인 컨트롤을 수행하는 제1메인프로세스 유닛과; 상기 오디오 신호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 및 제어하는 오디오 코덱과; 상기 위치감지신호의 변환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컨트롤을 수행하는 센서컨트롤 및 변환부와; 인코딩된 상기 오디오 신호와 상기 위치감지신호와 상기 컨트롤 신호를 합성한 합성신호를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합성 및 변환부와; 상기 CPU 블록으로 입출력되는 각 종 신호들을 위한 신호입출력 인터페이스들과; 상기 전송부의 컨트롤 및 채널 선택을 위한 RF컨트롤 및 채널선택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unit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nd / or a gyro sensor. The CPU block includes: a first main process unit which performs overall control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microphone; An audio codec for encoding and controlling a digital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signal input unit; A sensor controller and converter configured to convert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control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A data synthesizing and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encoded audio signal,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into a synthesized signal suitable for transmission; Signal input and output interfaces for various signals input and output to the CPU block; An RF controller and a channel selector for controlling the transmitter and selecting a channel may be provided.

상기 본체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되는 상기 합성신호를 수신하여 컨트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위치감지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신호 수신부와; 외부로부터의 2가지 이상의 신호 입출력을 위한 다목적 입출력 컨트롤러와 메모리 인터페이스 및 광학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각종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컨트롤 신호, 상기 위치감지신호 및 기타 신호등을 수신하여 상기 본체의 전반적인 동작 컨트롤을 수행하는 제2메인 프로세스 유닛과; 상기 제2메인 프로세스 유닛에 의해 컨트롤되며,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및 상기 제2메인 프로세스 유닛을 통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하고 음원, 에코, 효과음 등을 믹싱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처리부와; 상기 본체의 동작을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오디오 파일, 플래시 에니메이션 및 동영상파일을 포함하는 콘텐츠, 운영체제 등의 저장, 데이터 백업 등을 위한 메모리부와; 상기 제2메인 프로세스 유닛에 의해 컨트롤되며, 자막, 동영상, 및 상기 위치감지신호를 통한 마이크의 위치표시등의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거나,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외부메모리 카드정보 수신을 위한 외부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외부확장팩의 추가를 위한 복수의 확장슬롯을 포함하는 외부확장팩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스캐너, 유/무선 마우스 연결, 발음펜, 및/또는 프린터 등과의 연결을 위한 USB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body includes: a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synthesized signal transmitted by wire or wirelessly and separating and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position detection signal; A multi-purpose input / output controller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two or more signals from the outside, and various interfaces including a memory interface and an optical interface, and receive the control signal,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other signals to perform overall operation control of the main body. A second main processing unit; The audio signal is controlled by the second main process unit, and the audio signal output through the signal receiving unit and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main process unit are signal processed, mixed with a sound source, echo, effect sound, etc., and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An audio signal processor for outputting to the outside; A memory unit for storing various software, audio files, flash animation and video files for operation of the main body, storage of an operating system, etc., data backup; A video signal controlled by the second main process unit, which processes video signals such as caption, video, and position indication of a microphone through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outputs them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or processes an externally input video signal. The processing unit may be provided.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expansion pack interface including an external memory card interface for receiving external memory card information and / or a plurality of expansion slots for adding an external expansion pack.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USB interface for connecting to a scanner, a wired / wireless mouse, a pronunciation pen, and / or a printer.

또한, 상기 본체는, 리모콘 또는 버튼을 통하여 상기 본체의 컨트롤 및 정보 입력을 위한 버튼 입력부와; 입력정보의 디스플레이 및 동작정보의 확인을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보안을 위한 보안블록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include a button input unit for inputting control and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through a remote controller or a button;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put information and checking operation information.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security block for the security of the main body.

상기 오디오 신호처리부는, 상기 신호수신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었다가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 및 D/A컨버터와; 음원샘플 저장을 위한 음원메모리와; 음원, 상기 오디오 신호들, 에코, 효과음 등의 믹싱 및 신호처리를 위한 사운드엔진을 구비할 수 있다.The audio signal processor may include an A / D converter and a D / A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udio signal output through the signal receiver and an audio signal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inputted; A sound source memory for storing sound source samples; A sound engine for mixing a sound source, the audio signals, the echo, the effect sound,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상기 메모리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AM을 구비하는 메인 메모리와;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이상의 ROM을 구비하는 저장메모리와; 데이터 백업을 위한 백업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includes a main memory having at least one RAM; A storage memory including at least one ROM including a flash memory; A backup memory for data backup may be provided.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디코딩을 위한 비디오 디코더와; 자막신호, 동영상신호, 및 상기 위치감지신호 등의 영상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각종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그래픽 엔진과; 상기 그래픽 엔진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인코딩을 위한 비디오 인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The video signal processor includes: a video decoder for decoding an externally input video signal; A graphics engine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having various controllers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such as a caption signal, a video signal, and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 video encoder for encod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graphics engine may be provided.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놀이를 통하여 흥미를 유발하고 자연스런 학습을 할 수 있어 학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interest and natural learning through play can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out any other intention than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학습기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대화형 학습기의 외형은 단지 하나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유아나 어린이에게 친근감, 호감을 얻을 수 있는 디자인으로 변경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interactive lea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earance of the interactive learner is just one example and can be changed or modified into a design that can obtain affinity and affinity for an infant or a chil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학습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00)와 본체(400)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1, the interactive lea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microphone 200 and a main body 400.

상기 마이크(200)는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될 수 있다. 기본으로는 2개가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200)는 내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감지 센서를 통하여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위치감지신호,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및 버튼을 통하여 입력되는 컨트롤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및 합성한 합성신호를 전송한다. The microphone 20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Basically, two are provided. The microphone 200 converts and synthesizes a position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movement through at least one built-in position detection sensor, an audio signal input by a user, and a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a button into an electrical signal. Send the composite signal.

상기 마이크(200)는 외형적으로는 종래의 일반적인 마이크에 버튼 입력부(295) 및 디스플레이부(290)를 더 구비한다. The microphone 200 further includes a button input unit 295 and a display unit 290 in a conventional general microphone.

상기 본체(400)는, 상기 마이크(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 중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음원소스와 합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 중 위치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마우스 동작을 수행하거나 제스처 및 율동을 인식하여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200)를 통하여 전송되는 컨트롤 신호 또는 리모콘을 통하여 제공되는 컨트롤 신호에 응답하여 내장된 메모리 또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자막 및/또는 영상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본체(400)는 상기 마이크(200)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상기 본체(4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TV 또는 PC의 스피커로 전송한다. 또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상기 본체(4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TV 또는 PC의 디스플레이 장치(LCD,CRT,PDP) 등에 전송한다. The main body 400 processes the audio signal among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200, synthesizes the audio signal with a sound source, and outputs a mouse, using a position detection signal among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200. A subtitle provided from an internal memory or an external device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icrophone 200 or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icrophone 200 or outpu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by performing an operation or recognizing a gesture and a movement; Alternatively, the video signal is processed and output. That is, the main body 400 processes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20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a speaker of a TV or PC connected to the main body 400 by wire or wirelessly. In addition, the video signal is processed and transmitted to a display device (LCD, CRT, PDP) of a TV or PC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 to the main body 400.

상기 본체(400)는 외형적으로는 상기 마이크(200)의 보관을 위한 수용홈을 구비하며, 컨트롤 신호나 기타 신호 입력을 위한 버튼 입력부(398) 및 입력신호 확인 및 검증을 위한 디스플레이부(392)를 구비한다. 또한 TV나 PC 등과 연결되어 신호전송을 위한 케이블(375)이나 USB 포트 등을 구비한다.The main body 400 externally includes a receiving groove for storing the microphone 200, a button input unit 398 for inputting a control signal or other signals, and a display unit 392 for checking and verifying an input signal. ). In addition, it is connected to a TV or PC, etc., and has a cable 375 or a USB port for signal transmission.

상기 마이크(200) 및 상기 본체(400)의 내부 구성은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설명한다.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icrophone 200 and the main body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상기 마이크의 내부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2 shows an internal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the microphon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200)는 오디오 신호 입력부(225), 위치감지 센서부(245), 버튼 입력부(295), CPU 블록(100), 및 전송부(275)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 the microphone 200 includes an audio signal input unit 225, a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245, a button input unit 295, a CPU block 100, and a transmission unit 275. .

상기 오디오 신호 입력부(225)는 사용자의 오디오신호(210)를 입력받아 증폭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audio signal input unit 225 receives and amplifies the audio signal 210 of the user,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s the amplified signal.

상기 오디오 신호 입력부(225)는 오디오 신호(210)가 입력되면 이를 증폭하기 위한 앰프(amplifier)(220) 및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230)를 구비한다. The audio signal input unit 225 includes an amplifier 220 for amplifying the audio signal 210 when it is input, and an A / D converter 230 for converting the amplified audio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상기 위치감지 센서부(24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마이크의 움직임에 따른 위치 감지 신호(X,Y,Z)를 발생시킨다. The position sensor 245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osition sensor to generate position detection signals (X, Y, Z)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icrophone.

상기 위치감지 센서부(245)는 위치 감지를 위치감지신호(X,Y,Z)를 발생시키는 위치감지 센서(240) 및 상기 위치감지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위치감지 센서 인터페이스(250)를 구비한다.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unit 245 includes a position detecting sensor 240 for generating position detecting signals X, Y, and Z, and a position detecting sensor interface 250 for inputting / outputting the position detecting signal. .

여기서 상기 위치감지 센서(240)는 X방향,Y방향, 및 Z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각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3개의 위치감지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X 방향 및 Y방향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242)와 Z방향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gyro) 센서(244)를 구비할 수도 있다.Here,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240 preferably has on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movement in the X, Y, and Z directions. However, it may be provided with three position sensors that can detect each direction. In addition, an acceleration sensor 242 for detecting movements in the X and Y directions and a gyro sensor 244 for detecting movements in the Z direction may be provided.

상기 위치감지 센서(240)를 이용하여 마우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율동이나 제스처를 입력하거나 인식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마이크를 이용하여 원을 그리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원이 표시되면서, 원 또는 circle 이라는 발음이 발생되는 등의 율동 학습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센서를 이용한 흔들기 카운팅이 가능하다. 또한, 잘 알려진 게임인 청기 백기 게임, 모양그리기, 삼바 댄스 등을 할 수 있으며, 비트 박스나 템버린 등의 기능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Using the position sensor 240 may perform a mouse function, it is possible to input or recognize the user's movements or gestures. Accordingly, when the user draws a circle using a microphone, the circl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the rhythm learning such as the pronunciation of the circle or the circle is generated. And shake counting using sensor is possible. In addition, the well-known game Cheonggi white flag game, shape drawing, samba dance, etc. can be used, it can also be used as a function such as beat box and tember.

상기 버튼 입력부(295)는 상기 본체(400)의 컨트롤, 상기 위치감지센서(240)의 컨트롤, 및 노래 등의 선곡을 위한 컨트롤 신호들을 상기 마이크(200)의 외부에 부착된 버튼을 통하여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The button input unit 295 inputs control signals for selection of a control of the main body 400, a control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240, and a song through a button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microphone 200. It is for.

상기 버튼 입력부(295)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들은 상기 CPU 블록(100) 내의 버튼 인터페이스(160)를 통하여 입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신호의 정보 및/또는 상기 마이크(200)의 동작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90)는 단순히 상기 버튼입력부(295)를 통하여 입력되는 숫자나 컨트롤 키의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Signals input through the button input unit 295 are input / output through the button interface 160 in the CPU block 100. In addition, a display unit 290 may be provided to display information of the control signal and / or an operation state of the microphone 200 so that a user may recognize the control signal. The display unit 290 may simply display a signal of a number or a control key input through the button input unit 295.

상기 CPU 블록(100)은, 상기 마이크(200)의 동작에 관한 전반적인 컨트롤을 수행하며, 상기 오디오 신호 입력부(225)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 및 제어하고, 상기 위치감지신호의 변환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240)의 컨트롤을 수행하고, 인코딩된 상기 오디오 신호와 상기 위치감지신호와 상기 컨트롤 신호를 합성한 합성신호를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The CPU block 100 performs overall control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microphone 200, encodes and controls a digital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signal input unit 225, converts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To perform the control of the position sensor 240, and converts the encoded audio signal and the synthesized signal obtained by combining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to be suitable for transmission and output.

상기 CPU 블록(100)은, 제1메인 프로세스 유닛(MPU;Main Process Unit), 오디오 코덱(110), 센서 컨트롤 및 변환부(130), 데이터 합성 및 변환부(120), 신호 입출력 인터페이스들(150,160), 전송부(275), 및 RF 컨트롤 및 채널선택부(140)를 구비한다.The CPU block 100 may include a first main process unit (MPU), an audio codec 110, a sensor control and conversion unit 130, a data synthesis and conversion unit 120, and signal input / output interfaces (MPU). 150, 160, a transmitter 275, and an RF control and channel selector 140.

상기 제1메인프로세스유닛(170)은 상기 마이크(200)의 동작에 관한 전반적인 컨트롤을 수행한다. 상기 제1메인프로세스 유닛(170)은, 일반적인 마이크의 기능 컨트롤 뿐만 아니라 상기 위치감지신호의 컨트롤 및 기타 신호들의 입출력을 컨트롤하게 된다.The first main process unit 170 performs overall control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microphone 200. The first main process unit 170 controls not only the function control of a general microphone but also the control of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the input / output of other signals.

상기 오디오 코덱(110)은 상기 오디오 신호 입력부(225)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 및 컨트롤 한다. 상기 오디오 코덱(110)은 SBC(Smart Bitrate Control) 방식 또는 ADM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한다. 상기 오디오 코덱(110)은 상기 오디오 신호 입력부(225)의 A/D 컨버터(230)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dio codec 110 encodes and controls the digital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signal input unit 225. The audio codec 110 encodes or decodes an audio signal using a smart bitrate control (SBC) method or an ADM method. The audio codec 110 may include a function of the A / D converter 230 of the audio signal input unit 225.

상기 센서 컨트롤 및 변환부(130)는 상기 위치감지신호의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240)의 컨트롤을 수행한다. 즉 상기 센서 컨트롤 및 변환부(130)는 상기 제1메인프로세스 유닛(170)에 의해 컨트롤되어 상기 위치감지센서(240)의 컨트롤을 수행하며, 상기 위치감지 신호를 변환시킨다. 이경우에 상기 위치감지 센서(240)로부터 출력되는 위치감지신호가 디지털 신호인경우에는 신호변환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는 신호 변환을 수행한다.The sensor control and conversion unit 130 converts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controls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240. That is, the sensor control and conversion unit 130 is controlled by the first main process unit 170 to control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240 and to convert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In this case, when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240 is a digital signal, signal conversion may not be performed, and in the case of an analog signal, signal conversion is performed.

상기 데이터 합성 및 변환부(120)는 인코딩된 상기 오디오 신호와 상기 위치감지신호와 상기 컨트롤 신호를 합성한 합성신호를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합성신호는 오디오 신호, 상기 위치감지신호, 상기 컨트롤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포함한다.The data synthesizing and converting unit 120 converts the encoded audio signal and the synthesis signal obtained by synthesizing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so as to be suitable for transmission. The synthesized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udio signal,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상기 신호입출력 인터페이스들(150,160)은 상기 CPU 블록(100)으로 입출력되는 각종 신호들의 입출력을 위한 것이다. 여기에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50), 버튼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하며, 기타 필요한 모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한다.The signal input and output interfaces 150 and 160 are for input and output of various signals input and output to the CPU block 100. This includes the display interface 150, the button interface 160, and all other necessary interfaces.

상기 전송부(275)는 상기 데이터 합성 및 변환부(120)에서 출력되는 합성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출력한다. 무선으로 출력하는 경우에는 베이스 밴드(base band) 전송 방식등과 같은 방식으로 전송하며, RF 송수신 모듈을 구비하여 안테나(285)를 통하여 출력한다. The transmitter 275 outputs the synthesized signal output from the data synthesizing and converting unit 120 by wire or wirelessly. In the case of outputting wirelessly, it transmits in the same manner as a base band transmission method, and is provided through an antenna 285 having an RF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상기 RF 컨트롤 및 채널선택부(140)는 상기 전송부(275)의 컨트롤 및 채널 선택을 위한 것이다. The RF control and channel selector 140 is for control and channel selection of the transmitter 275.

또한 상기 마이크(200)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260)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공급부(260)는 충전지나 건전지의 수용을 위한 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충전지의 충전을 위한 충전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컨트롤을 위한 전원 컨트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crophone 2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60 for supplying power. The power supply unit 260 may include a space for accommodating a rechargeable battery or a battery, and may include a charging connector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In addition, a power controller for power control may be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200)는 일반적인 마이크 기능 이외에도 위치감지 센서를 통한 마우스 기능 및 율동게임기능, 율동을 통한 학습기능, 노래반주기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icrophone 200 may include a mouse function and a rhythm game function, a learning function through rhythm, and a singing cycle function in addition to the general microphone function.

도 3은 상기 본체(400)의 내부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4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400)는, 적어도 두가지 이상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플레시(flash)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등을 통한 학습 및 위치감지 센서를 통한 게임 및 학습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3, the main body 400 performs at least two or more roles. That is, the game and the learning through the position sensor and the learning through flash animation and video.

부수적으로는, 상기 마이크(200)의 버튼 또는 리모콘을 통하여 노래가 선곡되면, 선곡된 노래에 따른 반주, 자막 및 영상 및 오디오신호(음성)를 출력하는 노래반주기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200)를 통하여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의 실시간 저장 및 재생기능을 구비한다. 이는 어학학습기의 기능 중 필수적인 것이다. Incidentally, when a song is selected through a button or a remote controller of the microphone 200, a song cycle function for outputting accompaniment, subtitles and images and audio signals (voice) according to the selected song is performed. In addition, it has a real-time storage and playback function of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icrophone 200. This is essential for the function of language learners.

상기 본체(400)는 신호수신부(527), 제2메인 프로세스 유닛(370), 오디오신호 처리부(460), 메모리부(320), 및 영상신호처리부(355)를 구비한다.The main body 400 includes a signal receiver 527, a second main process unit 370, an audio signal processor 460, a memory 320, and an image signal processor 355.

상기 신호수신부(427)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되는 상기 합성신호를 수신하여 컨트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위치감지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신호수신부(427)는 이와는 별도로 일반적인 유선마이크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기 위한 앰프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signal receiver 427 receives the synthesized signal transmitted by wire or wirelessly, and outputs the synthesized signal into a control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position detection signal. The signal receiver 427 may include an amplifier for receiving and amplifying an audio signal of a general wired microphone separately from the signal receiver 427.

상기 신호수신부(427)는 무선으로 상기 합성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이를 수신하기 위한 RF 송수신 모듈(425)과, 상기 RF 송수신 모듈(425)을 통하여 수신되는 상기 합성신호를 베이스 밴드 전송방식을 통하여 전송하며, 상기 합성신호를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여 컨트롤신호(Con), 오디오신호(Audio), 및 위치감지신호(Data)로 분리하기 위한 코덱(4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덱(430)은 A/D 컨버터 및 D/A 커버터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receiver 427 is an RF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425 for receiving the synthesized signal when it is wirelessly received, and the synthesize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F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425 through a baseband transmission method. And a codec 430 for encoding or decoding the synthesized signal and separating the synthesized signal into a control signal Con, an audio signal, and a position detection signal Data. The codec 430 may include functions of an A / D converter and a D / A coverter.

상기 제2메인 프로세스 유닛(370)은, 외부로부터의 2가지 이상의 신호 입출력을 위한 다목적 입출력 컨트롤러(GPIO; General Process Input Output Controller)와, 메모리 인터페이스 및 광학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각종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컨트롤 신호(Con), 상기 위치감지신호(Data) 및 기타 신호등을 수신하여 상기 본체의 전반적인 동작 컨트롤을 수행한다.The second main process unit 370 includes a general process input / output controller (GPIO)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two or more signals from the outside, and various interfaces including a memory interface and an optical interface. The control signal Con,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Data, and other signals are received to perform overall operation control of the main body.

상기 오디오신호 처리부(460)는, 상기 제2메인 프로세스 유닛(370)에 의해 컨트롤되며, 상기 신호 수신부(427)를 통하여 출력되는 오디오신호(Audio) 및 상기 제2메인 프로세스 유닛(370)을 통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하고 음원, 에코, 효과음 등을 믹싱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The audio signal processor 460 is controlled by the second main process unit 370 and is output through the audio signal and the second main process unit 370 output through the signal receiver 427. It processes the input audio signal and converts the sound source, echo, effect sound, etc.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460)는 A/D 컨버터(410) 및 D/A컨버터(435,450), 음원메모리(445), 사운드 엔진(440)을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가 2개 이상일 경우에 이를 믹싱하기 위한 믹서(410)를 추가할 수 있다The audio signal processor 460 includes an A / D converter 410, a D / A converter 435 and 450, a sound source memory 445, and a sound engine 440. Additionally, if there are two or more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a mixer 410 for mixing them may be added.

상기 D/A 컨버터(435)는 상기 신호수신부(427)를 통하여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코덱(430)이 상기 D/A 컨버터(435)의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D/A 컨버터(435)는 필요 없을 수 있다. The D / A converter 435 converts the digital audio signal output through the signal receiver 427 into an analog signal. When the codec 430 includes a function of the D / A converter 435, the D / A converter 435 may not be necessary.

상기 A/D 컨버터(410)는 상기 유선마이크(4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MIC3) 및 상기 D/A 컨버터(435)를 통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MIC1,MIC2)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믹서(410)는 이들을 믹싱한다. The A / D converter 410 converts the audio signal MIC3 input through the wired microphone 420 and the audio signals MIC1 and MIC2 output through the D / A converter 435 into digital signals. . The mixer 410 mixes them.

그리고 상기 D/A 컨버터(450)는 상기 사운드 엔진(44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아나로그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즉 스피커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사운드 엔진(44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신호수신부(427)를 통하여 수신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되었다가 상기 제2메인 프로세스 유닛(370)을 통하여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D / A converter 450 converts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engine 440 and outputs the analog signal. That is, output to the speaker. The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engine 440 is an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ignal receiving unit 427 and an audio signal stored in the memory unit 320 and output through the second main process unit 370. It includes.

상기 음원메모리(445)는 음원 샘플을 저장한다. 상기 음원메모리(445)에 저장되는 음원데이터는 학습용 음원데이터나 노래용 음원데이터를 포함한다.The sound source memory 445 stores sound source samples. The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sound source memory 445 includes sound source data for learning or sound source data for songs.

상기 사운드 엔진(440)은 음원, 상기 오디오 신호들, 에코, 효과음 등의 믹싱 및 신호처리를 위한 것이다. 상기 사운드 엔진(440)은 상기 마이크(20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2메인 프로세스 유닛(370)으로부터 컨트롤 및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The sound engine 440 is for mixing and signal processing of a sound source, the audio signals, echo, effect sound, and the like. The sound engine 440 receives an audio signal from the microphone 200 and a control and audio signal from the second main process unit 370 to perform signal processing.

상기 사운드 엔진(440)은 상기 오디오 신호를 반주음에 혼합하거나 에 코(echo)처리하거나 코러스 등의 효과를 갖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거나 복원하는 코덱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The sound engine 440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mixing the audio signal with accompaniment, echo processing, chorus, or the like, and include a codec interface for compressing or restoring the audio signal. Can be.

상기 메모리부(320)는 상기 본체(4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오디오 파일, 플래시 에니메이션 및 동영상파일을 포함하는 컨텐츠, 운영체제 등의 저장, 데이터 백업 등을 위한 것이다.  The memory unit 320 is for storing various software, audio files, flash animation and video files for operating the main body 400, storage of an operating system, etc., data backup, and the like.

상기 메모리부(3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AM을 구비하는 메인 메모리(322)와,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이상의 ROM을 구비하는 저장메모리(324)와, 데이터 백업을 위한 백업메모리(326)를 구비한다. The memory unit 320 may include a main memory 322 including at least one RAM, a storage memory 324 including at least one ROM including a flash memory, and a backup memory 326 for data backup. It is provided.

상기 영상신호처리부(355)는 상기 제2메인 프로세스 유닛(370)에 의해 컨트롤되며, 자막, 동영상, 및 상기 위치감지신호를 통한 마이크의 위치표시등의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면 TV, PC)로 출력하거나,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한다.The image signal processor 355 is controlled by the second main process unit 370, and processes an image signal such as a caption, a video, and a position display of a microphone through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to display an external display device (for example, TV, PC) or externally processed video signal.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355)는, 비디오인코더(362), 비디오 디코더(364), 및 그래픽 엔진(350)을 구비할 수 있다.The video signal processor 355 may include a video encoder 362, a video decoder 364, and a graphics engine 350.

상기 비디오 인코더(362)는 상기 그래픽 엔진(3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인코딩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영상신호는 텔레비전 영상신호(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나 VGA 신호 일 수 있다.The video encoder 362 encode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graphics engine 350 and outputs the encoded image signal to the outside. The video signal may be a television video signal (CVBS) or a VGA signal.

상기 비디오 디코더(364)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Video input)의 디코딩을 위한 것이다.The video decoder 364 is for decoding a video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상기 그래픽 엔진(350)은 노래용 영상데이터, 학습용 영상데이터, 및 게임 용 영상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자막신호, 학습 또는 노래 동영상신호, 및 상기 위치감지신호 등의 영상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각종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영상신호를 처리한다.  The graphic engine 350 is configured to process video signals including video data for songs, video data for learning, video data for games, video signals such as caption signals, video signals for learning or singing, and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Various controllers are provided to process video signals.

상기 그래픽엔진(350)은 NTSC/PAL, VGA, CRTC 신호 처리를 위한 컨트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자막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문자프레임, 배경화면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비디오 DAC, 상기 배경화면에 자막 또는 가사를 겹쳐서 디스플레이하기위한 오버레이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영상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The graphics engine 350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processing NTSC / PAL, VGA, and CRTC signals. In addition, a video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text frame for displaying a caption, a video DAC for displaying an image of a background screen, and an overlay controller for superimposing the caption or lyrics on the background screen.

상기 본체(400)는 외부메모리 카드(312)의 정보 수신을 위한 외부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310) 및/또는 외부확장팩(342)의 추가를 위한 복수의 확장슬롯(예를 들면 10슬롯)을 포함하는 외부확장팩 인터페이스(3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400)의 보안을 위한 보안블록(3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body 400 includes a plurality of expansion slots (for example, 10 slots) for adding an external memory card interface 310 and / or an external expansion pack 342 for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external memory card 312. The external expansion pack interface 340 may be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the security block 330 for the security of the main body 400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외부 메모리 카드(312)는 SD메모리 카드 또는 MMC 메모리 카드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확장팩(342)은 컨텐츠의 보강 및 수정, 교체를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400)는, 스캐너, 유/무선 마우스 연결, 발음펜, 및/또는 프린터 등과의 연결을 위한 USB 인터페이스(382)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external memory card 312 may be an SD memory card or an MMC memory card. The external expansion pack 342 is for reinforcing, modifying, and replacing content. In addition, the main body 400 may further include a USB interface 382 for connecting to a scanner, a wired / wireless mouse, a pronunciation pen, and / or a printer.

상기 스캐너를 이용하는 경우는 어학 등의 학습을 위하여 영문 동화책 등을 스캔하고 TTS 발음을 통하여 이를 읽어주는 기능 구현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음펜의 경우에는 상기 본체(400)와 연결되어 동화나 학습 컨텐츠에 이용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scanner, it is for realizing a function of scanning an English fairy tale book for learning language and the like and reading it through TTS pronunciation. In the case of the pronunciation pen, it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400 to be used for a fairy tale or learning content.

상기 본체(400)에는, 리모콘(396) 또는 버튼을 통하여 상기 본체의 컨트롤 및 정보 입력을 위한 버튼 입력부(394)와, 입력정보의 디스플레이 및 동작정보의 확인을 위한 디스플레이부(39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컨트롤을 위한 패널 컨트롤러(3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입력부(394)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392)는 상기 마이크(200)를 구성하는 버튼 입력부(295) 및 디스플레이부(290)와 그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하다.The main body 400 further includes a button input unit 394 for controlling the main body and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a remote controller 396 or a button, and a display unit 392 for displaying input information and confirming operation information. can do. In addition, a panel controller 390 for controlling them may be provided. The button input unit 394 and the display unit 392 have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s the button input unit 295 and the display unit 290 constituting the microphone 200.

또한 상기 본체(400)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385)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공급부(385)는 충전지나 건전지의 수용을 위한 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충전지의 충전을 위한 충전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컨트롤을 위한 전원 컨트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원레벨은 5 ~ 8 V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4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385 for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unit 385 may include a space for accommodating a rechargeable battery or a battery, and may include a charging connector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In addition, a power controller for power control may be provided. The power level may be 5 ~ 8V.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학습기는 위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마우스 기능을 구현하고, 율동을 통한 게임이나 학습이 가능하다. 그리고 어학 학습을 위한 실시간 녹음 및 저장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MP3, 동영상(MPEG) 등의 플레이어, 플레시 플레이어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반 노래 반주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The interactive lea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mplements a mouse function using a position sensor, and can play or learn through movement. And it has a real-time recording and storage function for language learning, and may be provided with a player such as MP3, video (MPEG), flash player and the like. It also performs the function of a regular song half cycle.

노래 반주기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곡의 선택은 상기 마이크(200)의 버튼 입력부(295)나, 상기 본체(400)의 버튼 입력부(394), 또는 리모콘(396)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음원 메모리(445)에 저장된 음원데이터와 외부 확장팩(342)에 의해 추가로 저장되는 음원데이터는 상기 제2메인프로세스 유닛(37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사운드 엔진(440)에 의해 입출력이 제어된다. 그리고, 음원데이터의 노래 가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노래 반주용 배경화면 등 영상데이 터는 상기 제2메인프로세스 유닛(37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그래픽 엔진(350)에 의해 입출력이 제어된다. 특히 노래 반주기의 경우에는 종래의 노래 반주기의 동작이나 구성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지 않은 구성들이 있더라도 본 발명이 노래반주기에 필요한 구성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노래 반주기에 필요한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In the case of operating in the half cycle of the song, the selection of the song is made through the button input unit 295 of the microphone 200, the button input unit 394 of the main body 400, or the remote controller 396. The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sound source memory 445 and the sound source data additionally stored by the external expansion pack 342 are controlled by the sound engine 440 controlled by the second main process unit 370. . Image data such as a song accompaniment background image including song lyrics data of sound source data is controlled by the graphics engine 350 controlled by the second main process unit 370.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song half cycle, the operation or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song half cycle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s clear that you have all of them and can perform all of the functions needed for a song cycle.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embodiments is merely given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학습기는, 어학 등의 학습기능 및 노래 반주기 기능을 구비하며, 위치감지 센서를 통한 율동 게임, 율동학습, 마우스 기능구현을 통하여 흥미를 유발하고 자연스럽게 어학 등을 학습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ractive lea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learning functions such as language and song half-period function, and induces interest through the movement game, the action learning, the mouse function through the position sensor and the language naturally. Can be learned and efficient learning becomes possible.

Claims (17)

대화형 학습기에 있어서:In the interactive learner: 내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감지 센서를 통하여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위치감지신호,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및 버튼을 통하여 입력되는 컨트롤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및 합성한 합성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와;At least one position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movement through at least one built-in position detection sensor, an audio signal input by a user, and a control signal inputted through a button and converted 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n synthesized One or more microphones; 상기 마이크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 중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음원소스와 합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 중 위치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마우스 동작을 수행하거나 제스처 및 율동을 인식하여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컨트롤 신호 또는 리모콘을 통하여 제공되는 컨트롤 신호에 응답하여 내장된 메모리 또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자막 및/또는 영상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본체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학습기. The audio signal among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is processed and synthesized with a sound source, and the mouse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mong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or the gesture and the movement are recognized. And a main body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a subtitle and / or video signal provided in an internal memory or an external memory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icrophone or a control signal provided through a remote controller. Interactive lear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상기 마이크의 버튼 또는 상기 리모콘을 통하여 선곡된 노래에 따른 반주, 자막 및 영상을 출력하는 노래반주기 기능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학습기. And a karaoke cycle function for outputting accompaniment, subtitles, and images according to a song selected through the button of the microphone or the remote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의 실시간 저장 및 재생기능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학습기. And a real time storage and playback function of an audi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icro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icrophone, 사용자의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신호 입력부와;An audio signal input unit which receives an audio signal of a user, amplifies it, and converts it into a digital signal;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마이크의 움직임에 따른 위치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감지센서부와;A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having at least one position detection sensor to generate a posi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icrophone; 상기 본체의 컨트롤,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컨트롤, 및 노래 등의 선곡을 위한 컨트롤 신호가, 상기 마이크의 외부에 부착된 버튼을 통하여 입력되는 버튼 입력부와; A button input unit for inputting a control signal for selection of a control of the main body, a control of the position sensor, and a song; 상기 마이크의 동작에 관한 전반적인 컨트롤을 수행하며, 상기 오디오 신호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 및 제어하고, 상기 위치감지신호의 변환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컨트롤을 수행하고, 인코딩된 상기 오디오 신호와 상기 위치감지신호와 상기 컨트롤 신호를 합성한 합성신호를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출력하는 CPU 블록과; Performs overall control on the operation of the microphone, encodes and controls the digital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signal input unit, converts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controls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and encodes the encoded audio signal And a CPU block converting the synthesized signal obtained by combining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to be suitable for transmission. RF 송수신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합성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유 선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학습기.And an RF transmitter / receiver module for transmitting the synthesized signal wirelessly or by wi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icrophone 상기 컨트롤 신호의 정보 및/또는 상기 마이크의 동작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학습기.And a display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of the control signal and / or an operation state of the microphone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the control signal.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위치감지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및/또는 자이로 센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학습기.And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unit has an acceleration sensor and / or a gyro sens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PU블록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PU block, 상기 마이크의 동작에 관한 전반적인 컨트롤을 수행하는 제1메인프로세스 유닛과;A first main process unit performing overall control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microphone; 상기 오디오 신호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 및 제어하는 오디오 코덱과;An audio codec for encoding and controlling a digital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signal input unit; 상기 위치감지신호의 변환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컨트롤을 수행하는 센서컨트롤 및 변환부와;A sensor controller and converter configured to convert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control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인코딩된 상기 오디오 신호와 상기 위치감지신호와 상기 컨트롤 신호를 합성한 합성신호를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합성 및 변환부와;A data synthesizing and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encoded audio signal,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into a synthesized signal suitable for transmission; 상기 CPU 블록으로 입출력되는 각종 신호들을 위한 신호입출력 인터페이스들과;Signal input / output interfaces for various signals input / output to the CPU block; 상기 전송부의 컨트롤 및 채널 선택을 위한 RF컨트롤 및 채널선택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학습기.And an RF controller and a channel selector for controlling the transmitter and selecting the chan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되는 상기 합성신호를 수신하여 컨트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위치감지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신호 수신부와;A signal receiver which receives the synthesized signal transmitted by wire or wirelessly, and separates the synthesized signal into a control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position detection signal; 외부로부터의 2가지 이상의 신호 입출력을 위한 다목적 입출력 컨트롤러와 메모리 인터페이스 및 광학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각종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컨트롤 신호, 상기 위치감지신호 및 기타 신호등을 수신하여 상기 본체의 전반적인 동작 컨트롤을 수행하는 제2메인 프로세스 유닛과;A multi-purpose input / output controller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two or more signals from the outside, and various interfaces including a memory interface and an optical interface, and receive the control signal,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other signals to perform overall operation control of the main body. A second main processing unit; 상기 제2메인 프로세스 유닛에 의해 컨트롤되며,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및 상기 제2메인 프로세스 유닛을 통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하고 음원, 에코, 효과음 등을 믹싱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처리부와;The audio signal is controlled by the second main process unit, and the audio signal output through the signal receiving unit and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main process unit are signal processed, mixed with a sound source, echo, effect sound, etc., and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An audio signal processor for outputting to the outside; 상기 본체의 동작을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오디오 파일, 플래시 에니메이션 및 동영상파일을 포함하는 콘텐츠, 운영체제 등의 저장, 데이터 백업 등을 위한 메모리부와; A memory unit for storing various software, audio files, flash animation and video files for operation of the main body, storage of an operating system, etc., data backup; 상기 제2메인 프로세스 유닛에 의해 컨트롤되며, 자막, 동영상, 및 상기 위치감지신호를 통한 마이크의 위치표시등의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거나,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학습기.A video signal controlled by the second main process unit, which processes video signals such as caption, video, and position indication of a microphone through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outputs them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or processes an externally input video signal. Interactive learner comprising a processing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ain body, 외부메모리 카드정보 수신을 위한 외부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외부확장팩의 추가를 위한 복수의 확장슬롯을 포함하는 외부확장팩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학습기. And an external expansion pack interface including an external memory card interface for receiving external memory card information and / or a plurality of expansion slots for adding an external expansion pac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ain body, 스캐너, 유/무선 마우스 연결, 발음펜, 및/또는 프린터 등과의 연결을 위한 USB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학습기.And a USB interface for connecting a scanner, a wired / wireless mouse, a pronunciation pen, and / or a print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ain body, 리모콘 또는 버튼을 통하여 상기 본체의 컨트롤 및 정보 입력을 위한 버튼 입력부와;A button input unit for inputting control and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through a remote controller or a button; 입력정보의 디스플레이 및 동작정보의 확인을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학습기.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put information and checking operation inform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보안을 위한 보안블록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학습기.Interactive learner further comprises a security block for the security of the main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처리부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udio signal processor, 상기 신호수신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었다가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 및 D/A컨버터와;An A / D converter and a D / A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udio signal output through the signal receiver and an audio signal stored and input into the memory unit; 음원샘플 저장을 위한 음원메모리와;A sound source memory for storing sound source samples; 음원, 상기 오디오 신호들, 에코, 효과음 등의 믹싱 및 신호처리를 위한 사운드엔진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학습기. And a sound engine for mixing a sound source, the audio signals, the echo, the effect sound, and the like, and processing the sig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emory unit, 적어도 하나 이상의 RAM을 구비하는 메인 메모리와;A main memory having at least one RAM;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이상의 ROM을 구비하는 저장메모리와;A storage memory including at least one ROM including a flash memory; 데이터 백업을 위한 백업메모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학습기. Interactive learner having a backup memory for data backup.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는,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디코딩을 위한 비디오 디코더와;A video decoder for decoding an externally input video signal; 자막신호, 동영상신호, 및 상기 위치감지신호 등의 영상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각종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그래픽 엔진과;A graphics engine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having various controllers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such as a caption signal, a video signal, and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상기 그래픽 엔진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인코딩을 위한 비디오 인코더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학습기.And an video encoder for encod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graphic engin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엔진은,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graphics engine, 상기 제2메인 프로세스 유닛에 의해 컨트롤되며, 노래 가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노래 반주용 배경화면 등의 영상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학습기.And an input / output of image data such as a song accompaniment background image including song lyrics data, which is controlled by the second main process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엔진은,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ound engine, 상기 음원 메모리에 저장된 노래 음원데이터와 외부 확장팩에 의해 추가로 저장되는 노래 음원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학습기. And an input / output of song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sound source memory and song sound source data additionally stored by an external expansion pack.
KR1020060077429A 2006-08-17 2006-08-17 Apparatus for interactive study using microphone having position sensor KR1007160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429A KR100716058B1 (en) 2006-08-17 2006-08-17 Apparatus for interactive study using microphone having position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429A KR100716058B1 (en) 2006-08-17 2006-08-17 Apparatus for interactive study using microphone having position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483A KR20060099483A (en) 2006-09-19
KR100716058B1 true KR100716058B1 (en) 2007-05-08

Family

ID=37630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7429A KR100716058B1 (en) 2006-08-17 2006-08-17 Apparatus for interactive study using microphone having position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05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143B1 (en) 2007-06-27 2009-01-07 안희달 Case with a built-in sensor
KR101142194B1 (en) 2010-09-06 2012-05-07 김태형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by using Global Positioning Infor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539B1 (en) * 2007-04-18 2008-11-06 삼성전기주식회사 Multilateral game apparatus using zigbee communication, and method of the same
US8380119B2 (en) 2008-05-15 2013-02-19 Microsoft Corporation Gesture-related feedback in eletronic entertainmen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8688A (en) * 1996-02-09 1997-08-19 Yamaha Corp Karaoke machine
KR20040050993A (en) * 2002-12-11 2004-06-18 고종택 Play Appliance Combine Learing for Portable of children's
KR20050019331A (en) * 2003-08-18 2005-03-03 고봉국 Song room learning machine
KR20050043038A (en) * 2003-11-04 2005-05-11 이철 The toy to study as wal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8688A (en) * 1996-02-09 1997-08-19 Yamaha Corp Karaoke machine
KR20040050993A (en) * 2002-12-11 2004-06-18 고종택 Play Appliance Combine Learing for Portable of children's
KR20050019331A (en) * 2003-08-18 2005-03-03 고봉국 Song room learning machine
KR20050043038A (en) * 2003-11-04 2005-05-11 이철 The toy to study as wal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143B1 (en) 2007-06-27 2009-01-07 안희달 Case with a built-in sensor
KR101142194B1 (en) 2010-09-06 2012-05-07 김태형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by using Global Positioning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483A (en)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4420B2 (en) Music game software and input device utilizing a video player
US6633741B1 (en) Recap, summary, and auxiliary information generation for electronic books
US969781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interpretation style of music, and equipment
DK2165531T3 (en) Audio Animation System
KR20090008047A (en) Audio input device and karaoke to detect motion and position, and method for accompaniment thereof
JP2008264575A (en)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device
KR100716058B1 (en) Apparatus for interactive study using microphone having position sensor
KR101378362B1 (en) Robot controlled by optical identification
WO201406193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laying sound
CN103295432A (en) Touch and read story telling machine
KR101809617B1 (en) My-concert system
US10332496B2 (en) Reference display device, referen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H1141538A (en) Voice recognition character display device
JP2011007868A (en) Karaoke device displaying lyric subtitle while avoiding face image in background video image
KR20100052023A (en) Educational apparatus or tablet
US20080020365A1 (en) Learning Apparatus Using To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25033B1 (en) Karaoke chip with various functions and karaoke system using thereof
WO2009002195A2 (en) Integrated television karaoke device
KR20040021092A (en) device and method for children's education using voice recognition
KR20200085433A (en) Voice synthesis system with detachable speaker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074018B1 (en) Supplementary apparatus to learning
KR20140095176A (en) Light pen with Potable multi-language translator
JP2017021266A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JPH10149193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KR100726721B1 (en)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have study function and method for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