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674B1 -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인코딩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인코딩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674B1
KR100710674B1 KR1020050131453A KR20050131453A KR100710674B1 KR 100710674 B1 KR100710674 B1 KR 100710674B1 KR 1020050131453 A KR1020050131453 A KR 1020050131453A KR 20050131453 A KR20050131453 A KR 20050131453A KR 100710674 B1 KR100710674 B1 KR 100710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oding
video
information
user
target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31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674B1/ko
Priority to US11/493,189 priority patent/US8130829B2/en
Priority to CN2006101116570A priority patent/CN199289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objects, e.g. MPEG-4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대상 오브젝트(object) 및 상기 대상 오브젝트에 적용될 이펙트(effect) 정보를 포함하는 인코딩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인코딩 정보를 적용하여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인코딩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대상 오브젝트(object) 및 상기 대상 오브젝트에 적용될 이펙트(effect) 정보를 포함하는 인코딩 정보를 입력받는 제1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인코딩 시 상기 인코딩 정보를 적용할지 여부에 대해 선택받는 제2 단계, 및 상기 인코딩 정보의 적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인코딩 정보를 적용하여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동영상, 인코딩, 오브젝트, 이펙트, 프레임,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인코딩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METHOD FOR ENCODING MOVING PICTURE OF MOBILE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인코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에서 동영상을 인코딩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휴대 단말기
310: 인코딩 정보 입력부
320: 인코딩 정보 적용부
330: 동영상 인코딩부
340: 오브젝트 추출부
350: 대상 오브젝트 판단부
360: 프레임 인코딩부
370: 데이터 확인부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대상 오브젝트(object) 및 상기 대상 오브젝트에 적용될 이펙트(effect) 정보를 포함하는 인코딩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인코딩 정보를 적용하여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편리함이 입증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에서는 휴대 단말기로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디지털카메라, MP3 PLAYER, 캠코더 등의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사용자가 다른 기기를 이용할 필요없이 휴대 단말기 하나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종래 휴대 단말기에서의 동영상 촬영은 화질과 사이즈만을 설정해서 촬영할 수 있었다. 또한, effect(brightness, white balance, 이와 유사한 다른 효과)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안 모든 프레임(frame)에 일률적으로 인코딩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였다. 즉, 하나의 동영상에 하나의 효과(effect)로 인코딩하게 되므로, 모두 같은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는 다음과 같은 사용자의 욕구는 충족시킬 수 없다. 즉 사용자는 배경을 조금 더 brightness을 어둡게 하고 사람에 해당하는 객체(object)는 조금 더 밝게 표현하거나 다른 효과를 주어서 배경과 다르게 돋보이게 하고 싶은 욕구가 있지만 종래의 방법으로는 이와 같은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휴대 단말기에서 동영상 인코딩에 대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대상 오브젝트 및 상기 대상 오브젝트에 적용될 이펙트 정보를 포함하는 인코딩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인코딩 정보를 적용하여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함으로써, 동영상 인코딩에 대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영상으로부터 1 프레임의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대상 오브젝트인 경우 이펙트 정보를 적용하여 인코딩 함으로써, 동영상의 각 프레임을 서로 다르게 인코딩할 수 있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영상 인코딩과 관련된 정보를 미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인코딩 수행 시 사용자가 선택한 오브젝트에 선별적으로 이펙트 정보를 적용하여 인코딩 함으로써, 획일적인 인코딩 방식에서 벗어나 좀 더 다양한 방식으로 동 영상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인코딩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대상 오브젝트(object) 및 상기 대상 오브젝트에 적용될 이펙트(effect) 정보를 포함하는 인코딩 정보를 입력받는 제1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인코딩 시 상기 인코딩 정보를 적용할지 여부에 대해 선택받는 제2 단계, 및 상기 인코딩 정보의 적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인코딩 정보를 적용하여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대상 오브젝트(object) 및 상기 대상 오브젝트에 적용될 이펙트(effect) 정보를 포함하는 인코딩 정보를 입력받는 인코딩 정보 입력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인코딩 시 상기 인코딩 정보를 적용할지 여부에 대해 선택받는 인코딩 정보 적용부, 및 상기 인코딩 정보의 적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인코딩 정보를 적용하여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하는 동영상 인코딩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인코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101)에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대상 오브젝트(object) 및 상기 대상 오브젝트에 적용될 이펙트(effect) 정보를 포함하는 인코딩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동영상 인코딩 전에 소정의 옵션(option) 메뉴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대상 오브젝트는 여러 패턴(pattern)을 모아서 하나의 사람 객체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나의 패턴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 오브젝트는 동그라미, 사각형과 같은 모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펙트 정보는 상기 대상 오브젝트에 어떤 효과(effect)를 주는 것으로, 다른 오브젝트와 다르게 상기 대상 오브젝트에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펙트 정보는 사진에서 배경을 대상 오브젝트로 설정하고, 상기 배경만 환하게 하거나 어둡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102)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인코딩 시 상기 인코딩 정보를 적용할지 여부에 대해 선택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동영상 인코딩 시 상기 동영상에서 이펙트 정보를 적용하고자 하는 대상 오브젝트만 선택하거나 전체의 동영상을 대상 오브젝트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동영상의 촬영 시에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동영상 인코딩 전에 소정의 옵션(option) 메뉴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코딩 정보를 적용할지 여부를 선택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코딩 정보의 비적용이 선택되는 경우, 단계(108)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인코딩 정보와 무관하게 일반적인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코딩 정보의 적용이 선택되는 경우, 단계(103)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1 프레임의 오브젝트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영상은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동영상을 각각의 프레임으로 분할하여 각 프레임의 오브젝트에 대해서 이펙트 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1 프레임의 오브젝트는 동영상을 다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첫번째 프레임의 오브젝트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104)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특성 또는 부가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가 상기 대상 오브젝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의 특정 또는 부가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대상 오브젝트와 연관하여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가 상기 대상 오브젝트인 경우, 단계(105)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이펙트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1 프레임을 인코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가 상기 대상 오브젝트가 아닌 경우, 단계(106)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이펙트 정보와 무관하게 상기 1 프레임을 인코딩할 수 있다.
단계(107)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남은 프레임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남은 프레임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단계(103) 내지 상기 단계(106)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남은 프레임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동영상 인코딩을 종료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에서 동영상을 인코딩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부호(201)에서, 동영상 인코딩 시 1 프레임의 오브젝트를 추출한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 모두를 대상 오브젝트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는 상기 네잎클로버, 접시, 두부를 대상 오브젝트로 설정할 수 있다.
도면부호(202)에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오브젝트를 모두 대상 오브젝트로 판단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이펙트 정보를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 이펙트 정보는 보라색을 입히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오브젝트에 보라색을 입힐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휴대 단말기(300)는 인코딩 정보 입력부(310), 인코딩 정보 적용부(320), 동영상 인코딩부(330), 오브젝트 추출부(340), 대상 오브젝트 판단부(350), 프레임 인코딩부(360) 및 데이터 확인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 정보 입력부(310)는 사용자로부터 대상 오브젝트 및 상기 대상 오브젝트에 적용될 이펙트 정보를 포함하는 인코딩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대상 오브젝트는 여러 패턴(pattern)을 모아서 하나의 사람 객체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나의 패턴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펙트 정보는 상기 대상 오브젝트에 어떤 효과(effect)를 주는 것으로, 다른 오브젝트와 다르게 상기 대상 오브 젝트에만 적용할 수 있다.
인코딩 정보 적용부(32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인코딩 시 상기 인코딩 정보를 적용할지 여부에 대해 선택받을 수 있다. 인코딩 정보 적용부(320)는 상기 동영상의 촬영 시에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동영상 인코딩 전에 소정의 옵션(option) 메뉴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동영상 인코딩부(33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코딩 정보의 비적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인코딩 정보와 무관하게 일반적인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인코딩 정보의 적용이 선택되는 경우, 동영상 인코딩부(330)는 상기 인코딩 정보를 적용하여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브젝트 추출부(340)는 1 프레임의 오브젝트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1 프레임의 오브젝트는 동영상을 다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첫번째 프레임의 오브젝트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대상 오브젝트 판단부(350)는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특성 또는 부가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가 상기 대상 오브젝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대상 오브젝트 판단부(350)는 상기 오브젝트의 특정 또는 부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대상 오브젝트와 연관하여 파악할 수 있다.
프레임 인코딩부(360)는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가 상기 대상 오브젝트인 경우, 상기 이펙트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1 프레임을 인코딩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 인코딩부(360)는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가 상기 대상 오브젝트가 아닌 경우, 상기 이펙트 정보와 무관하게 상기 1 프레임을 인코딩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확인부(370)는 남은 프레임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레임 인코딩부(360)는 남은 프레임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남은 프레임 데이터에 대한 인코딩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 인코딩부(360)는 상기 남은 프레임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레임 데이터에 대한 인코딩을 종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휴대 단말기(400)는 입력부(410), 표시부(420), 메모리(430), 제어부(440), 무선회로부(450), 아날로그 음성 처리부(460), GPS 수신부(470) 및 카메라(48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10)는 사용자로부터 동영상에 이펙트(effect)주기 원하는 오브젝트(object) 정보를 입력받을 때나 특정 오브젝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410)는 키패드나 기타 조그셔틀과 같은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420)는 레코딩시 특정 오브젝트에 이펙트가 들어가 있는 프레임(frame)을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다.
메모리(430)는 동영상 촬영을 할 때 각 프레임을 처리할 데이터를 저장한 것으로, 특정 시점에 제어부(440)와 연계하여 표시부(420)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가 선택한 object에 특정 effect정보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메모리(430)는 적절한 위치에 RECORDING된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다.
카메라(480)는 휴대 단말기(400)에 프레임 정보를 보내주는 것으로 제어부(440)와 연계하여 초당 적절한 프레임을 제어부(440)의 DSP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눈에 보이는 것과 같은 RAW DATA를 수집하는 곳으로 EFFECT가 설정되기 전의 DATA을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통상 모뎀DSP와 연계된 휴대 단말기의 모든 DATA을 적절하게 처리하도록 해주는 PROCESSOR을 의미할 수 있으며, 무선회로부(450)로부터 기저대역신호의 처리를 위한 기저대역신호처리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부분은 메모리(430)에 있는 DATA을 가지고 사용자에게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하여 마지막으로 원하는 DATA을 다시 메모리(430)에 위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날로그 음성 처리부(460)는 상기 동영상을 저장할 때 소리가 MIC을 통해 아날로그성격의 전기적인 신호로 들어오면 이를 디지털(DIGITAL)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42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MIC는 RECORING을 할 때 동영상 파일의 음성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레코딩되는 동영상에 음성 정보가 추가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컴퓨터 단말기, 통신 단말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말기, VoIP,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gaco,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또는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인코딩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대상 오브젝트 및 상기 대상 오브젝트에 적용될 이펙트 정보를 포함하는 인코딩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인코딩 정보를 적용하여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함으로써, 동영상 인코딩에 대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으로부터 1 프레임의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대상 오브젝트인 경우 이펙트 정보를 적용하여 인코딩 함으로써, 동영상의 각 프레임을 서로 다르게 인코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 인코딩과 관련된 정보를 미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인코딩 수행 시 사용자가 선택한 오브젝트에 선별적으로 이펙트 정보를 적용하여 인코딩 함으로써, 획일적인 인코딩 방식에서 벗어나 좀 더 다양한 방식으로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5)

  1.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인코딩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패턴에 의해 구현되는 객체인 대상 오브젝트(object), 및 상기 대상 오브젝트에 적용될 이펙트(effect) 정보를 포함하는 인코딩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제1 단계;
    동영상의 인코딩 시, 상기 입력된 인코딩 정보를 적용할지 여부에 대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제2 단계; 및
    상기 인코딩 정보의 적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인코딩 정보를 적용하여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인코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인코딩 정보는, 상기 동영상 인코딩 전에 소정의 옵션(option) 메뉴를 통해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인코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코딩 정보의 비적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인코딩 정보를 적용하지 않고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인코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동영상의 촬영 시에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동영상 인코딩 전에 소정의 옵션(option) 메뉴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인코딩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패턴에 의해 구현되는 객체인 대상 오브젝트(object), 및 상기 대상 오브젝트에 적용될 이펙트(effect) 정보를 포함하는 인코딩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인코딩 정보 입력부;
    동영상의 인코딩 시, 상기 입력된 인코딩 정보를 적용할지 여부에 대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인코딩 정보 적용부; 및
    상기 인코딩 정보의 적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인코딩 정보를 적용하여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하는 동영상 인코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인코딩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코딩 정보의 비적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인코딩 정보를 적용하지 않고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정보 적용부는 상기 동영상의 촬영 시에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동영상 인코딩 전에 소정의 옵션(option) 메뉴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인코딩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50131453A 2005-12-28 2005-12-28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인코딩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KR100710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453A KR100710674B1 (ko) 2005-12-28 2005-12-28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인코딩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US11/493,189 US8130829B2 (en) 2005-12-28 2006-07-26 Method of encoding moving picture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for executing the method
CN2006101116570A CN1992894B (zh) 2005-12-28 2006-08-21 编码移动终端中运动图片的方法和执行该方法的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453A KR100710674B1 (ko) 2005-12-28 2005-12-28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인코딩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0674B1 true KR100710674B1 (ko) 2007-04-24

Family

ID=3818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453A KR100710674B1 (ko) 2005-12-28 2005-12-28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인코딩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30829B2 (ko)
KR (1) KR100710674B1 (ko)
CN (1) CN19928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8839B1 (en) * 2013-12-17 2015-06-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cure online pictur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962A (ko) * 2000-12-01 2002-06-08 조정남 동영상 인코딩 장치 및 무선 단말기의 동영상 디코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83669A (zh) * 2000-06-28 2002-12-04 索尼公司 附加信息嵌入装置及附加信息嵌入方法
DE60141570D1 (de) * 2001-06-29 2010-04-29 Nokia Corp Bildeditierverfahren
JP2003125361A (ja) * 2001-10-12 2003-04-2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040052142A (ko) 2002-12-13 2004-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JP2004227519A (ja) * 2003-01-27 2004-08-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処理方法
JP4265231B2 (ja) * 2003-01-31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受信方法
KR100641455B1 (ko) 2004-04-09 200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합성 방법 및 장치
KR100642688B1 (ko) 2004-08-06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상의 일부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962A (ko) * 2000-12-01 2002-06-08 조정남 동영상 인코딩 장치 및 무선 단말기의 동영상 디코딩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4296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92894B (zh) 2012-06-13
US8130829B2 (en) 2012-03-06
CN1992894A (zh) 2007-07-04
US20070147499A1 (en)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92282B (zh) 音频数据处理方法及装置、计算机装置及可读存储装置
WO2012027186A1 (en) Audio processing based on scene type
CN109982148B (zh) 一种直播方法、装置、计算机设备与存储介质
CN104167213B (zh) 音频处理方法和装置
KR20090091243A (ko) 푸시 오버 셀룰러를 위한 데이터 캡처 방법 및 장치
US9794309B2 (en) Method and a media device for pre-buffering media content streamed to the media device from a server system
TW201123815A (en) Method for providing background sound to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applying the method
US10964332B2 (en) Audio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marking an audio signal with spatial information
US98136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image in portable terminal
KR101776958B1 (ko) 휴대용단말기에서 다자간 통화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04200824B (zh) 音频录制方法和装置
KR100710674B1 (ko)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인코딩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KR20100041108A (ko) Udta 정보를 이용한 MP4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N110767203B (zh) 音频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2467909A (zh) 网络混音方法
CN107948704B (zh) 用于对音频数据进行动态合成的方法、系统以及移动终端
CN112565923A (zh) 一种音视频流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176852B1 (ko) 화상 또는 영상 합성 방법
KR1007244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악파일 이득 조정장치
KR101119067B1 (ko) 무선 단말기
CN105430260B (zh) 获取视频图像的方法及装置
KR20070069551A (ko) 화상 통화와 채팅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하여 통합된 이미지채널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JP5979843B2 (ja)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210140A1 (en) Radio gateway audio port configuration
CN114125510A (zh) 媒体资源播放方法和相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