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067B1 -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 및 그를 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 및 그를 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067B1
KR100709067B1 KR1020060094015A KR20060094015A KR100709067B1 KR 100709067 B1 KR100709067 B1 KR 100709067B1 KR 1020060094015 A KR1020060094015 A KR 1020060094015A KR 20060094015 A KR20060094015 A KR 20060094015A KR 100709067 B1 KR100709067 B1 KR 100709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local computer
targe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엽
임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전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전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전소프트
Priority to KR1020060094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단말기를 간단하게 세팅하는 전용의 테스트 장비로서 원격지의 컴퓨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무선통신단말기의 에러 테스트를 원격지에서 신속간편하게 수행하게 함으로써 테스트의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하고 개발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테스트장치는 시험대상 단말기를 한 대 이상 수납하여 세팅할 수 있는 가방 형태의 케이스에 접속케이블, 카메라, 전원부, 메모리, 랜포트 및 중앙처리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로컬 컴퓨터의 원격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시험대상 단말기가 원격 제어되도록 하는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상기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로컬 컴퓨터의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접속케이블로 연결된 시험대상 단말기의 테스트를 진행하고 그 결과 및 테스트시 카메라로 촬영된 단말기 화면 정보를 랜포트를 통해 로컬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통신단말기, 에러테스트, 원격제어, 테스트장치

Description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 {Test jig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remote tes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의 테스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테스트 장치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의 전반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테스트 장치에 탑재된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동작방법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동작방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동작방법의 또다른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테스트장치 110 : 케이스
120 : 접속케이블 122 : USB 포트
130 : 카메라 140 : 전원부
150 : 랜포트 152 : 랜카드
160 : 와이브로 칩 170 : 중앙처리부
180 : 메모리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의 에러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 하게는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단말기를 간단하게 세팅하고 원격지의 컴퓨터와 연결시켜 무선통신단말기의 개발 및 점검 과정에서 요구되는 에러 테스트를 원격지에서 신속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테스트의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하고 개발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무선통신단말기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개발자들은 자신이 개발한 단말기의 기능이 현지의 무선통신시스템과 실제로 연동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테스트하여야 한다. 그러한 테스트과정에서 오류가 발견되면 그 오류를 찾아서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찾아서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종래의 무선통신단말기의 테스트작업은 매우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졌다. 대표적인 종래의 오류테스트방식은 수동적인 방식이다. 즉, 검증자(테스터)는 테스트대상 무선통신단말기를 일일이 수동으로 조작하면서 그의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그러한 테스트작업의 수행 중에 무선통신단말기에 동작상의 오류가 발생하면 어떤 상황에서 그 에러가 발생하였는지를 설명하는 글을 파일로 남기는 작업을 한다. 대개의 경우 에러의 반복 재현성을 담보하기 위해 에러 발생이 일어나기까지 자신이 진행해왔던 테스트작업의 전 과정(즉, 오류 재현 경로)을 빠짐없이 파일(오류이력파일)에 기술하게 된다. 이렇게 작성된 오류이력파일은 에러 수정을 위해 관련 개발자에게 보고된다. 관련 개발자는 그 보고된 오류이력파 일에 기술된 내용에 따라 오류가 발생되는 과정을 그대로 재현하여 발생된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고 디버깅(debugging)한다.
이와 같은 오류테스트방식은 검증자의 입장에서 보면 자신이 테스트했던 과정을 일일이 기록하여 보고하여야 하는 점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다. 또한, 검증자가 수동으로 기록하는 과정에서 기록 오류를 범할 우려도 있다. 이런 경우 에러발생의 원인분석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힘들다. 이러한 오류테스트방식은 개발자 입장에서도 기록된 오류재현경로를 그대로 재현해나가야 하므로 오류를 추출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불합리함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무선통신단말기의 테스트작업은 테스트의 일관성과 완벽성을 기하기 위해 미리 마련된 테스트 시나리오에 의거하여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기존의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과정은 상당 부분 수동으로 진행되어왔다. 예를 들면, 무선통신단말기의 테스트를 위해, 문서로 된 테스트시나리오를 마련해두고, 어떤 신규 모델의 무선통신단말기에 대한 테스트 의뢰가 들어오면 검증자는 그 테스트 시나리오를 보고 무선통신단말기의 키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조작하여 테스트를 진행했다.
그런데, 이러한 수동식 테스트 방식은 검증자가 테스트 대상인 무선통신단말기가 바뀔 때마다 테스트 시나리오에 따른 키 입력을 다시 일일이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대단히 비효율적이다. 또한, 실제 수동식 키 입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검증자가 정해진 테스트 시나리오와 완전히 일치된 키 입력을 하여야 하는 것도 상당한 부담이다. 나아가, 새로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단말기가 개발되 면 그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적합한 테스트 시나리오를 별도로 마련해야 하는데, 그 작업이 문서작성 작업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테스트 시나리오의 작성과 실제 무선통신단말기에 대한 테스트 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서 본 출원인은 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할 수 있는 자동화 프로그램을 만들어 컴퓨터, 예컨대 노트북에 설치하고, 이 노트북에 테스트하고자 하는 무선통신단말기를 연결하여 자동으로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에서도 노트북 등의 컴퓨터에 무선통신단말기를 연결하여 테스트함에 따라 컴퓨터에 무선통신단말기를 유에스비(USB) 케이블 등으로 연결한 후 컴퓨터에서 자동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수행시켜야 하고, 프로그램에서 연결된 무선통신단말기에 대한 설정을 일일이 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시스템은 무선통신단말기를 전용으로 테스트하는 장비가 아니므로 프로그램의 설치 및 기동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작업 등 테스트를 위한 전단계에서 많은 부수적인 조작이 필요하여 테스트 작업이 더디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무선통신단말기를 간편하게 세팅하는 전용 테스트 장비를 마련함에 의해 무선통신단말기의 개발 및 점검 과정에서 요구되는 에러 테스트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단말기의 개발 및 점검 과정에서 요구되는 에러 테스트를 원격지에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테스트의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하고 개발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는 외부의 로컬 컴퓨터와 연결되고 시험대상 단말기가 세팅되어 로컬 컴퓨터의 원격제어신호를 처리하여 단말기의 원격 테스트를 수행하는 테스트 장치로서,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와 연결되는 다수의 접속케이블;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의 테스트시 단말기 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접속케이블에 연결된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 및 상기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로컬 컴퓨터의 원격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가 원격 제어되도록 하는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이 탑재된 메모리; 상기 로컬 컴퓨터와의 통신을 위한 랜포트; 상기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로컬 컴퓨터의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접속케이블로 연결된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의 테스트를 진행하고 그 결과 및 테스트시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단말기 화면 정보를 상기 랜포트를 통해 상기 로컬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를 한 대 이상 수납하여 세팅할 수 있는 가방 형태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접속케이블, 상기 카메라, 상기 전원부, 상기 메모리, 상기 랜포트 및 상기 중앙처리부가 설치되어,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를 상기 케이스 내에 세팅하고 테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은 시험대상 단말기가 수납되어 세팅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개폐가능한 가방 형태의 케이스에 시험대상 단말기가 접속되는 하나이상의 접속케이블과 테스트시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의 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외부의 원격제어신호를 받아 처리하는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이 탑재되는 메모리와 중앙처리부를 구비하고,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랜포트를 마련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한 대 이상의 시험대상 단말기를 세팅하고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테스트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상기 랜포트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테스트장치; 및 상기 테스트장치와 떨어져 위치하여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테스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테스트장치로 보낼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테스트장치로부터 테스트 결과와 단말기 화면 정보를 수신받아 테스터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로컬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은 상기 테스트장치에서 실행되어 상기 로컬 컴퓨터와 상기 테스트장치가 서로 통신가능하게 접속한 상태로 설정해주는 기능과, 상기 로컬 컴퓨터의 원격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를 제어하여 테스트를 수행하고, 테스트시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의 트레이스 정보와 화면 정보를 상기 로컬 컴퓨터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테스트 대상이 되는 무선통신단말기의 위치는 테스트하는 사람(이하, "테스터"라 함)과 동일한 위치에 있을 수도 있고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진 위치(이하, "원격지"라 함)에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테스트 대상이 되는 무선통신단말기(이하, "시험대상 단말기"라 함)의 개수도 한대 또는 여러 대일 수 있다. 나아가, 테스트 데이터는 테스터가 무선통신단말기와 시스템을 이용하여 미리 작성할 수도 있고(테스트시나리오) 로컬 컴퓨터에 연결된 무선통신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작성할 수도 있다. 테스터는 무선통신단말기와 시스템을 이용하여 테스트하고자 하는 내용을 테스트시나리오 형태로 작성하고 작성된 테스트시나리오를 로컬(동일한 위치) 또는 원격지에서 테스트장치에 연결된 시험대상 단말기에서 재현한다. 로컬 또는 원격지에서 재현된 테스트시나리오에 대한 결과데이터는 테스터가 위치한 곳으로 실시간 전송되어 확인되거나 특정한 파일 형태로 저장된 후 차후 오류 발생시 분석 데이터로 이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테스트시 시험대상 단말기의 세팅(setting)이 간편하고 로컬 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도 쉽게 시험대상 단말기에 접근하여 테스트할 수 있는 전용의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장치를 제공한다. 이제, 이 전용의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테스트장치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의 전반적인 구조도이다.
본 테스트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단말기(10)를 세팅(setting)하여 외부의 로컬 컴퓨터(미도시)와 통신을 통해 로컬 컴퓨터의 명령신호를 시험대상 단말기(10)에 전달하고 시험대상 단말기(10)로부터 출력되는 테스트결과를 로컬 컴퓨터로 전달하여 테스트가 진행되도록 중계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테스트장치(100)에는 로컬 컴퓨터의 원격제어프로그램에서 보내오는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시험대상 단말기(10)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200)이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테스트장치(100)는 무선통신단말기(10)의 테스트를 위한 전용의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가방 형태로 개폐되어 그 내부에 시험대상이 되는 무선통신단말기(10)를 수납하여 접속(세팅)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케이스(110)는 가방 형태로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서 내부에 시험대상 단말기(10)를 적어도 하나이상 세팅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나아가, 케이스(110)에 손잡이(미도시)를 부수적으로 마련하여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본 장치(100)는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다. 이 케이스(110) 내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시험대상 단말기(10)를 연결할 수 있는 접속케이블(120)이 구비되어 있다. 접속케이블(120)은 시험대상 단말기(10)와 테스트장치(100)를 연결하여 테스트장치(100)에서 단말기(10)로 명령을 보내거나 단말기(10)의 트레이스(trace) 정보를 테스트장치(100)로 전달한다. 이 접속케이블(120)로는 범용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케이블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USB 케이블이 연결되는 USB 포트 1 내지 4의 4개의 USB 포트(122)가 마련되어 4개의 접속케이블(120)이 설치될 수 있는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그 수는 증감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또한 테스트되는 시험대상 단말기(10)의 화면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카메라(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카메라(130)는 시험대상 단말기(10)의 화면이 정확하게 촬영될 수 있는 위치로 케이스(110)에 고정되며, 그 위치는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130)는 케이스(110) 내부에 고정되어, 케이스(110)를 열면 펼쳐지고 케이스(110)를 닫으면 케이스(110) 내부에 수납되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설계된다. 나아가, 카메라(130)는 세팅될 수 있는 단말기(10)의 개수대로 설치되어 각기 대응되는 해당 단말기(10)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30)는 시험대상 단말기(10)의 테스트시 화면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원격지의 로컬 컴퓨터에 전송함으로써 테스터가 원격지에서 이를 보고 시험대상 단말기(10)의 오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본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0)를 구비한다. 이 전원부(140)는 케이스(100) 내에 세팅되는 시험대상 단말기(10)의 전원도 공급하게 된다. 전원부(140)는 배터리이거나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시험대상 단말기(10)의 트레이스 정보나 화면 정보를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TCP/IP)을 통해 로컬 컴퓨터로 보내기 위해 랜(LAN) 포트(150) 및 랜 카드(152)가 마련되어 있다. 이 랜 카드(152)는 유선 랜 카드이거나 아니면 무 선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 랜 카드일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와이브로(WiBro) 칩(160)이나 하향고속화패킷접속방식(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칩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직렬 통신을 위한 RS 232C의 통신포트(162)가 내장될 수 있다.
본 장치에는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처리부(CPU; 170)를 구비하고 있으며,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OS)과 드라이버(driver)가 탑재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80)를 마련하고 있다. 특히, 중앙처리부(170)는 접속케이블(120)을 통해 그에 접속된 시험대상 단말기(10)의 테스트 결과를 입력받는 한편 카메라(130)로부터 테스트시 시험대상 단말기(10)의 화면정보를 입력받아 랜 포트(150)를 통해 로컬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180)에는 운영시스템 외에 로컬 컴퓨터로부터 원격제어요청을 받아 시험대상 단말기(10)를 제어하고 트레이스 정보를 전송하는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은 본 테스트장치(100)에 전원이 인가(on)되면 자동으로 실행되어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초기화된다. 이 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도 3에는 본 테스트장치(100)에 운용시스템(OS)과 장치의 구성들을 지원하기 위한 각종 드라이버 및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이 계층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은 임베디드(embedded) 프로그램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드라이버로서 RS 232C, USB 드라이버, TCP/IP 및 카메라 드라이버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테스트장치에 탑재된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의 구조(architecture)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테스트장치와 떨어져 있는 로컬 컴퓨터로부터의 원격제어요청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시험대상 단말기를 제어하는 한편 시험대상 단말기의 처리결과, 예컨대 트레이스 정보 및 화면 정보 등을 로컬 컴퓨터로 전송하는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200)을 제공한다. 이 처리프로그램(200)은 또한 테스트 시나리오의 자동생성과 그것을 이용한 시험대상 단말기의 테스트를 수행한다. 이 프로그램(200)은 테스터(검증자)가 시험대상 단말기에 가한 키(key)입력 내용들이 테스트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200)에 전달되어 테스트 시나리오 파일로 저장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나아가, 그렇게 하여 얻어진 테스트 시나리오 파일을 시험대상 단말기의 에러 테스트에 적용하는 기능도 갖는다. 테스트장치에서 테스트시나리오 재생 시 처리프로그램(200)은 시험대상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변환하여 무선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고, 시험대상 단말기는 테스트장치가 전송해주는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된다.
본 테스트장치에 설치되는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200)의 각 기능블록별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환경/유틸리티부(210)는 프로그램 환경 변수와 공통 유틸리티들을 관리하는 모듈이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I)(220)는 사용자의 입출력수단(키보드, 모니터 등)과 인터페이싱하는 모듈이다. 제어기(230)는 UI(220) 명 령을 하위 모듈로 전달하고 하위 모듈의 이벤트를 UI(220)로 전달하는 모듈이다. 시나리오 관리자(240)는 테스트 시나리오 파일의 작성과 재현을 담당하는 모듈이다. 장치관리자(250)는 본 장치에 현재 연결된 시험대상 단말기를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모듈이다. 코덱/파서(codec/parser; 260)는 테스트 시나리오 파일을 파싱(parsing)하고 그 파싱된 내용을 시험대상 단말기에 적합한 명령어로 변환하는 기능과, 시험대상 단말기와 통신 시 필요한 명령어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 모듈이다. 가상장치부(270)는 실제 물리적인 장치와 맵핑(mapping)되는 가상의 장치 모듈이며, 포트(280)는 시리얼이나 인터넷을 통해서 전달되어 오는 가상장치부(270)나 실제장치부(272)의 데이터를 받아서 목적지로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모듈이고, 메시지발송부(290)는 포트(280)를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를 코덱/파서(260)로 전달하는 모듈이다. 또한, 처리프로그램(200)은 테스터가 로컬 컴퓨터에서 수정한 바이너리(binary)를 시험대상 단말기에 다운로드시켜 적용하기 위한 바이너리 업데이트 관리자(29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바이너리 업데이트 관리자(292)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220), 제어기(230)를 거쳐 전달된 원격지의 테스터가 보낸 수정된 바이너리를 가상장치부(270)와 시리얼 포트(280)를 통해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적용하게 된다. 바이너리로는 단말기의 펌웨어(firmware), 운영시스템(OS), 단말기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기타 프로그램 등이 된다.
위와 같은 구조의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프로그램과 연결된 무선 통신단말기의 키패드 상의 키들을 입력하면, 무선통신단말기가 그 키 입력정보에 대응되는 명령어 데이터를 테스트장치의 처리프로그램으로 전송한다. 통신케이블을 통해 포트(280)로 전달된 무선통신단말기의 키 입력값은 수신되는 순서에 따라 메시지발송부(290)를 통해 코덱/파서(260)에 전달된다. 코덱/파서(260)는 무선통신단말기가 전송한 데이터를 소정의 적합한 파일형식으로 변환하여 메시지발송부(290), 포트(280), 가상장치부(270), 장치관리자(250)를 통해 테스트 시나리오 관리자(240)로 전달한다. 시나리오 관리자(240)는 메타정보를 활용하여 테스트 시나리오 파일을 XML 형식으로 새로 만들어서 그 테스트 시나리오 파일 안에 전달받은 정보를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처리프로그램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전송하는 명령어 데이터를 테스트 시나리오 파일로 실시간으로 저장한다.
테스트시나리오 파일 형식에는 테스트시나리오의 내용이 텍스트이므로 이를 기록할 수 있는 파일 형식이라면 특별히 제한이 없다. 바람직한 파일 형식의 예는 확장성 생성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형식의 파일을 들 수 있다. XML 형식의 테스트시나리오 파일을 구성하면 엔코딩 및 디코딩이 용이하고 외부 테스트시나리오 삽입 및 테스트 기능을 구분하기에 매우 효율적이다. 생성된 테스트시나리오 파일은 테스트장치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수단에 저장된다.
이상 설명한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200)이 탑재된 본 발명의 테스트장치는 원격지에 있는 테스터가 로컬 컴퓨터를 통해 멀리서 보내는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테스트장치에 세팅된 시험대상 단말기를 원격에서 테스트할 수 있도록 통제한 다. 이러한 원격 테스트는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5 및 도 6은 로컬 컴퓨터를 통해 원격지에 있는 테스트장치를 제어하여 무선통신단말기를 원격 테스트하는 시스템들을 예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로컬 컴퓨터(30a)와 원격지에 있는 테스트장치(100a)를 네트워크를 통해 일대일로 연결하여 테스트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때, 하나의 테스트장치(100a) 내에는 복수개의 시험대상 단말기(10a)가 접속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단말기가 세팅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테스트장치(100a)는 테스트장치에 접속된 복수의 시험대상 단말기(10a)들이 접속된 접속케이블의 USB 포트의 번호를 로컬 컴퓨터(30a)로 전송하고, 원격지에서 테스터가 이 포트번호의 정보를 보고서 어느 단말기를 테스트할 것인지를 확인하고 시험대상을 선택하여 테스트할 수 있게 한다.
원격지의 로컬 컴퓨터(30a)에서 테스트장치(100a)를 통해 미리 작성된 테스트시나리오를 재현하여 시험대상 단말기(10a)의 원격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는데, 그 절차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테스트시나리오 재현을 설명하면 먼저, 테스트장치(100a)에 테스트하고자 하는 시험대상 단말기(10a)를 세팅하고, 로컬 컴퓨터(30a)와 테스트장치(100a)를 통신케이블로 연결한 다. 테스트장치(100a)에 연결된 시험대상 단말기(10a)의 포트 설정을 한 다음, 로컬 컴퓨터(30a)의 원격제어프로그램에서 테스트장치(100a)에 세팅된 시험대상 단말기와의 연결여부를 테스트하여 서로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테스트장치(100a)는 처리프로그램에서 테스트할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한다. 가상 디바이스 생성 시 테스트장치(100a)의 IP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 테스트장치(100a)에 연결된 무선통신단말기의 연결 포트 등을 설정하여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로컬 컴퓨터(30a)에서 테스트시나리오를 테스트장치(100a)에 보내면, 테스트장치(100a)의 코덱/파서(260)는 테스트시나리오를 디코딩을 하고 시험대상 단말기(10a)가 이해할 수 있는 명령어를 변경한다. 그리고 그 명령어를 제어기(230), 장치관리자(250), 가상장치부(270)를 거쳐 시리얼 포트(280)를 통해 시험대상 단말기(10a)로 보낸다. 명령어를 받은 시험대상 단말기(10a)는 내부 모듈에서 그 명령어를 처리한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원격지에서 단말기의 테스트를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원격지에 위치한 시험대상 단말기(10a)에 대한 테스트 결과도 로컬 컴퓨터(30a)에서 간편하게 받아볼 수 있다. 즉, 로컬 컴퓨터(30a)에서 원격지의 시험대상 단말기(10a)를 테스트시나리오에 의해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그 단말기(10a)에서 보내주는 테스트 결과 데이터는 테스트장치(100a)의 시리얼 포트(280)를 거쳐서 코덱/파서(260)로 제공되어 네트워크 패킷으로 인코딩되고, 그 인코딩 된 네트워크 패킷은 제어기(230), 장치관리자(250), 가상장치부(270), 인터넷 포트(280)를 거쳐서 인터넷을 통해 로컬 컴퓨터(30a)로 실시간 전송된다. 로컬 컴퓨터(30a)는 전송 받은 네트워크 패킷을 디코딩하여 다시 테스터가 볼 수 있는 데이터로 만든다. 그리하여 테스트 결과 데이터는 로컬 컴퓨터(30a)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어 테스터가 볼 수 있도록 표시된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하나의 로컬 컴퓨터(30b)와 원격지에 있는 다수의 테스트장치(100b-1,100b-2,100b-3)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여 테스트하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각 테스트장치(100b-1,100b-2,100b-3)는 랜카드와 랜포트를 통해 인터넷으로 로컬 컴퓨터(30b)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테스트장치 마다 고유의 식별번호, 예컨대 IP 어드레스를 갖고 있어 테스트장치(100b-1,100b-2,100b-3)를 원격지의 로컬 컴퓨터(30b)에서 선택하여 원격 제어하여 해당 테스트장치에 연결된 시험대상 단말기(10b-1,10b-2,10b-3)를 선택적으로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 로컬 컴퓨터(30b)에서 해당 테스트장치내에 연결된 복수개의 시험대상 단말기의 선택 및 제어는 위 도 5의 설명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7 내지 도 9는 테스터(검증자)가 원격지에서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그와 떨어진 테스트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구성을 예시하는 실시예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지에 위치한 테스트장치(100c)에 테스트 하고자 하는 시험대상 단말기(10c)를 접속하여 세팅하고, 테스트장치(100c)에 네트워크를 통해 로컬 컴퓨터(30c)를 연결한 후, 이 로컬 컴퓨터(30c)에 무선통신단말기(50c)를 연결하여 테스터가 보유한 무선통신단말기(50c)를 통해 테스트장치(100c)를 원격제어하여 시험대상 단말기(10c)의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로컬 컴퓨터(30c)와 제어용 무선통신단말기(50c)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유선의 경우 로컬 컴퓨터(30c)에 USB 케이블로 무선통신단말기(50c)를 접속시켜 연결하게 된다. 한편, 무선으로 연결될 경우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위의 제3실시예를 약간 변형하여 구현한 것으로서 로컬 컴퓨터(30d)에 여러대의 테스트장치(100d-1,100d-2,100d-3)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테스터가 무선통신단말기(50d)를 통해 로컬 컴퓨터(30d)를 경유하여 그와 연결된 원하는 테스트장치(100d-1,100d-2,100d-3)의 시험대상 단말기(10d-1,10d-2,10d-3)를 원격 제어하여 테스트할 수 있다. 좀더 부연설명하면, 다수의 테스트장치, 예를 들어 영국, 프랑스, 스페인에 위치한 테스트장치 1 내지 3(100d-1,100d-2,100d-3)이 로컬 컴퓨터(30d)와 공용망(public network)으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각 테스트장치(100d-1,100d-2,100d-3)에는 랜 카드에 고유 어드레스(IP 어드레스)가 배정되어 있어, 멀리 떨어진 원격지에서 테스터가 보유한 무선통신단말기(50d)를 통해 각국에 산재된 테스트장치들(100d-1,100d-2,100d-3) 중에서 테스트하고자 하는 단 말기가 연결된 테스트장치로 접근하여 해당 단말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한 곳에서도 그와 멀리 떨어진 여러 나라의 테스트장치를 원격 제어하여 시험대상의 무선통신단말기를 테스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도 9에 도시된 중계서버(70e)를 활용하는 원격 테스트 시스템을 이용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중계서버(70e)는 로컬 컴퓨터(30e)에서 원격지의 테스트장치(100e-1,100e-2,100e-3)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각 망의 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어떠한 상황에서도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현하기 위해 도입된다. 기업망 및 테스트 지역의 망 구성이 보안을 위해 방화벽과 같은 보안시스템을 설치한 경우가 많고, 이러한 사설망(private network)에 테스트장치(100e-1,100e-2,100e-3)가 연결되어 있어 로컬 컴퓨터(30e)에서 접근하기가 곤란한 경우, 인터넷과 연결된 모든 망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 연결이 가능하도록 중계서버(70e)가 도입된다. 즉, 로컬 컴퓨터(30e)에서 방화벽이 구축된 사설망에 연결된 테스트장치들(100e-1,100e-2,100e-3)에 접근하기 위해서 공용망쪽에 중계서버(70e)를 배치하고 그 중계서버(70e)에 테스트장치(100e-1,100e-2,100e-3)에 세팅된 시험대상 단말기들을 등록하고, 로컬 컴퓨터(30e) 쪽에서는 중계서버(70e)에 등록된 단말기들의 리스트 중에서 테스트를 원하는 단말기를 선택하여 접근 제어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중계서버(70e)는 중계서버(70e)와 연결된 원격지 시험대상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보유함으로써 로컬 컴퓨터(30e)에서 테스트하기를 원 하는 원격지 단말기를 쉽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무선통신단말기의 테스트 결과를 리포팅(reporting)하는 기능을 보여주는 동작설명도들로, 특히 도 10은 테스트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1은 테스트 결과를 중계서버에 업로드하고 나서 나중에 로컬 컴퓨터에서 다운로드하여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예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스터(tester)가 로컬 컴퓨터(30f)에서 원격지에 있는 테스트장치(100f)에 연결된 시험대상 단말기(10f)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시험대상 단말기(10f)의 테스트 결과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다. 테스트 결과는 시험대상 단말기(10f)의 각종 디버깅(debugging) 정보로서, 예를 들어 단말기(10f)로부터 얻는 트레이스정보 및 카메라로 촬영된 단말기(10f)의 화면정보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외에도 테스트 결과로는 트레이스와 화면의 동기화(sync) 정보, 각종 음성데이터 등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으로, 로컬 컴퓨터(30g)에서 중계서버(70g)를 거쳐 테스터장치(100g)에 연결된 시험대상 단말기(10g)를 제어하여 테스트하고, 시험대상 단말기(10g)의 트레이스정보 및 화면정보를 테스트장치(100g)를 통해 중계서버(70g)에 전송하여 파일로 저장하고(업로드), 테스터는 시험대상 단말기(10g)의 트레이스정보 및 화면정보가 필요할 때 로컬 컴퓨터(30g)에서 중계서버(70g)에 저장된 해당 정보들을 꺼내서(해당 파일의 다운로드) 볼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시스템은 테스트장치에 연결된 시험대상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여 실시간으로 단말기의 테스트 결과를 보거나, 아니면 테스트 결과를 서버에 저장하였다가 나중에 필요할 때 볼 수 있는 리포팅(reporting) 기능을 제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본 테스트장치는 무선 랜카드, 와이브로(WiBro) 칩, 하향고속화패킷접속방식(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칩을 내장하고 무선으로 로컬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스터는 로컬 컴퓨터(30h)에서 무선망(wireless network; 90h)을 통해 본 테스트장치(100h)에 직접 접근하여 테스트장치(100h)에 세팅된 시험대상 단말기(10h)를 무선으로 원격 제어하여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고, 그 결과를 무선으로 받아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원격 제어는 이동중에도 시험대상 단말기에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것의 응용으로는 예를 들어 단말기 제조사가 주로 테스트하는 드라이빙 테스트(driving test)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좀더 부연설명하면, 본 테스트장치에 시험대상 단말기를 세팅하여 차량에 싣고서, 테스터는 차량에서 떨어진 원격지에서 차량 이동중에 무선으로 테스트장치에 접근하여 제어함에 의하여 이동중의 단말기의 성능 테스트에도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시스템은 이상 설명한 많은 기능의 수행 이외에도 로컬 컴퓨터에서 테스트장치를 통해 단말기 바이너리(binary)를 시험대상 단말기로 보내 설치하는 기능 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은 로컬 컴퓨터에서 단말기의 바이너리의 문제점을 수정한 후, 수정된 바이너리를 원격지의 테스트장치를 통해 해당 단말기로 다운로드되게 한다. 이러한 바이너리의 단말기로의 다운로드는 테스트장치에서 전원부를 제어하여 단말기의 전원을 껐다가 키면서 바이너리가 단말기에 다운로드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시스템은 시험대상 단말기로부터 바이너리를 테스트장치를 통해 로컬 컴퓨터로 전송받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단말기를 간편하게 접속하는 전용 테스트 장비를 마련함에 의해 무선통신단말기의 개발 및 점검 과정에서 요구되는 에러 테스트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단말기의 테스트를 원격지에서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테스트의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하고 개발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테스트장치는 무선송수신수단, 예컨대 무선랜, 와이브로 칩, HSDPA 칩 등을 내장하여 원격지에서 무선으로 테스트장치에 곧바로 접근하여 단말 기를 테스트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을 이용하면, 무선통신단말기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아주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테스트 시나리오의 작성과 그것을 테스트에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무선통신단말기의 개발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류의 빠른 수정을 통한 개발기간 단축 및 품질 좋은 제품을 적기에 출시할 수 있도록 해준다.
나아가,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수정한 바이너리를 신속하게 무선통신단말기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Claims (9)

  1. 외부의 로컬 컴퓨터와 연결되고 시험대상 단말기가 세팅되어 로컬 컴퓨터의 원격제어신호를 처리하여 단말기의 원격 테스트를 수행하는 테스트 장치로서,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와 연결되는 다수의 접속케이블;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의 테스트시 단말기 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접속케이블에 연결된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 및 상기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운영시스템(OS), 장치의 구성들을 지원하기 위한 드라이버들, 및 상기 로컬 컴퓨터의 원격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가 원격 제어되도록 하는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이 탑재된 메모리;
    상기 로컬 컴퓨터와의 통신을 위한 랜포트와 랜카드;
    상기 운영시스템과 상기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을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동 실행시켜 상기 로컬 컴퓨터의 원격제어 명령을 받아 처리하여 상기 접속케이블로 연결된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를 제어하여 테스트를 진행하고 그 결과 및 테스트시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단말기 화면 정보를 상기 랜포트를 통해 상기 로컬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를 한 대 이상 수납하여 세팅할 수 있는 가방 형태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접속케이블, 상기 카메라, 상기 전원부, 상기 메모리, 상기 랜포트와 랜카드 및 상기 중앙처리부가 설치되어,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를 상기 케이스 내에 세팅하고 테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케이블은 범용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랜카드는 유선 또는 무선 랜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컴퓨터와의 통신에 있어 다양한 무선 지원을 위해 와이브로(WiBro) 칩 및/또는 하향고속화패킷접속방식(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칩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은
    프로그램 환경 변수와 공통 유틸리티들을 관리하는 환경/유틸리티 모듈;
    사용자의 입출력수단과 인터페이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모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의 명령을 하위 모듈로 전달하고 하위 모듈의 이벤트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로 전달하는 제어 모듈;
    테스트 시나리오 파일을 작성하고 재현하는 시나리오 관리자 모듈;
    현재 연결된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를 관리하는 장치관리자 모듈;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 파일을 파싱(parsing)하고 그 파싱된 내용을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에 적합한 명령어로 변환하고,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와 네트워크 통신 시 필요한 명령어를 생성하는 코덱/파서 모듈;
    실제 물리적인 장치와 맵핑(mapping)되는 가상장치 모듈;
    시리얼이나 인터넷을 통해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받아서 목적지로 전송하는 포트를 통해 전달된 메시지를 상기 코덱/파서 모듈로 전달하는 메시지발송 모듈; 및
    테스터가 상기 로컬 컴퓨터에서 수정한 바이너리(binary)를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에 다운로드시켜 적용하기 위한 바이너리 업데이트 관리자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너리 업데이트 관리자 모듈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제어 모듈을 거쳐 전달된 원격지의 테스터가 보낸 수정된 바이너리를 상기 가상장치 모듈과 상기 포트를 통해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적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
  7. 시험대상 단말기가 수납되어 세팅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개폐가능한 가방 형태의 케이스에 시험대상 단말기가 접속되는 하나이상의 접속케이블과 테스트시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의 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외부의 원격제어신호를 받아 처리하는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 운영시스템(OS) 및 드라이버들이 탑재되는 메모리와 중앙처리부를 구비하고,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랜포트 및 랜카드를 마련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한 대 이상의 시험대상 단말기를 세팅하고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테스트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상기 랜포트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테스트장치; 및
    상기 테스트장치와 떨어져 위치하여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테스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테스트장치로 보낼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테스트장치로부터 테스트 결과와 단말기 화면 정보를 수신받아 테스터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로컬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은 상기 테스트장치에서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동 실행되어 상기 로컬 컴퓨터와 상기 테스트장치가 서로 통신가능하게 접속한 상태로 설정해주는 기능과, 상기 로컬 컴퓨터의 원격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를 제어하여 테스트를 수행하고, 테스트시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의 트레이스 정보와 화면 정보를 상기 로컬 컴퓨터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요청 처리프로그램은 소정 형식의 테스트 시나리오 파일을 생성하고 그 파일 안에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의 테스트 명령어 데이터를 순서대로 기록하여 상기 테스트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 파일을 오픈하여 그 파일 내용을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에서 인식될 수 있는 명령어로 변환하여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명령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의 키 조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컴퓨터와 상기 테스트장치 사이에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중계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계서버에 상기 테스트장치에 세팅된 상기 시험대상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등록하여, 상기 로컬 컴퓨터와 상기 테스트장치가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중계서버를 경유하여 주고받을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
KR1020060094015A 2006-09-27 2006-09-27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 및 그를 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 KR100709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015A KR100709067B1 (ko) 2006-09-27 2006-09-27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 및 그를 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015A KR100709067B1 (ko) 2006-09-27 2006-09-27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 및 그를 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9067B1 true KR100709067B1 (ko) 2007-04-18

Family

ID=3818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015A KR100709067B1 (ko) 2006-09-27 2006-09-27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 및 그를 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0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259B1 (ko) 2008-12-30 2011-09-16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휴대폰의 품질 테스트 박스
KR101712175B1 (ko) * 2016-11-04 2017-03-03 (주)스마트인디지털 컴퓨터 기능 테스트 장치
KR20170025735A (ko) * 2015-08-31 2017-03-08 에스케이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 원격 제어 시스템을 활용한 로밍 서비스 테스트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08225A (ko) * 2021-01-25 2022-08-03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테스트를 위한 원격 접속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926A (ko) * 1999-04-22 2000-11-15 윤종용 무선가입자망의 무선망 성능 검증 장치
KR20040077639A (ko) * 2004-05-06 2004-09-04 (주)링크제니시스 무선통신단말기의 시험방법 및 시스템
KR100464006B1 (ko) 2002-04-12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용 휴대 단말기의 원격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37537A (ko) * 2004-05-06 2005-04-22 (주)링크제니시스 무선통신 단말기의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78552A (ko) * 2004-12-31 2006-07-05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핸드폰 시험용 파레트 및 파레트를 이용한 핸드폰의시험장치
KR20060093819A (ko) * 2005-02-22 2006-08-28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단말기 기능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926A (ko) * 1999-04-22 2000-11-15 윤종용 무선가입자망의 무선망 성능 검증 장치
KR100464006B1 (ko) 2002-04-12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용 휴대 단말기의 원격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77639A (ko) * 2004-05-06 2004-09-04 (주)링크제니시스 무선통신단말기의 시험방법 및 시스템
KR20050037537A (ko) * 2004-05-06 2005-04-22 (주)링크제니시스 무선통신 단말기의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78552A (ko) * 2004-12-31 2006-07-05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핸드폰 시험용 파레트 및 파레트를 이용한 핸드폰의시험장치
KR20060093819A (ko) * 2005-02-22 2006-08-28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단말기 기능 검사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259B1 (ko) 2008-12-30 2011-09-16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휴대폰의 품질 테스트 박스
KR20170025735A (ko) * 2015-08-31 2017-03-08 에스케이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 원격 제어 시스템을 활용한 로밍 서비스 테스트 방법 및 시스템
KR101718232B1 (ko) 2015-08-31 2017-03-20 에스케이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 원격 제어 시스템을 활용한 로밍 서비스 테스트 방법 및 시스템
KR101712175B1 (ko) * 2016-11-04 2017-03-03 (주)스마트인디지털 컴퓨터 기능 테스트 장치
KR20220108225A (ko) * 2021-01-25 2022-08-03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테스트를 위한 원격 접속 시스템 및 방법
KR102518842B1 (ko) * 2021-01-25 2023-04-06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테스트를 위한 원격 접속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04143B (zh) 一种固件升级方法及升级装置
CN110633209B (zh) 一种车载安卓多媒体导航仪自动化测试方法及系统
CN111651366B (zh) Sdk测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828128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testing of applications using an application independent GUI map
CN103246586B (zh) android平台上利用USB存储设备进行ADB调试的方法
KR100618319B1 (ko) 무선통신단말기의 에러 테스트 방법
CN103365770A (zh) 移动终端软件测试系统及软件测试方法
CN107678949B (zh) 实现嵌入式设备不同通信方式的自动化测试方法
KR100709067B1 (ko) 무선통신단말기 테스트 장치 및 그를 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 원격 테스트 시스템
CN105120259A (zh) 数字电视机检测方法及装置
CN105138454A (zh) 一种针对b/s架构安全软件的自动化测试方法
US20100312541A1 (en) Program test device and program
KR100892141B1 (ko) 휴대용 장치의 자동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0585577B1 (ko) 테스트 시나리오 파일 자동 작성에 의거한 무선통신단말기테스트 방법
EP3923144A1 (en) Method for developing and testing a connectivity driver for an instrument
KR101035097B1 (ko) 모바일기기를 위한 검증이력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92864B1 (ko) 애플리케이션 검증 시스템 및 방법
CN113315681A (zh) 一种基于智能家庭网关插件的自动化测试方法及系统
WO2018066932A1 (ko) M2m 어플리케이션 테스트 장치 및 방법
CN111856241A (zh) 一种芯片量产平台系统及其实现方法
CN104063306A (zh) 智能终端软件测试中的自动登录方法、装置和系统
CN103491366B (zh) 一种数字机顶盒的测试方法、装置及系统
CN112069009A (zh) 一种在Recovery模式下进行压力测试的方法、装置和终端设备
KR100860125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원격 진단 방법 및 시스템
JP5010170B2 (ja) 自動通信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