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8298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ord Information Digital Audio Sour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ord Information Digital Audio Sour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8298B1
KR100708298B1 KR1020050039569A KR20050039569A KR100708298B1 KR 100708298 B1 KR100708298 B1 KR 100708298B1 KR 1020050039569 A KR1020050039569 A KR 1020050039569A KR 20050039569 A KR20050039569 A KR 20050039569A KR 100708298 B1 KR100708298 B1 KR 100708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digital sound
file
lyric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16945A (en
Inventor
이중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9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298B1/en
Publication of KR20060116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9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2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음원 재생시간과 가사내용을 포함하는 가사정보 파일을 디지털음원 파일에 함께 저장함으로써, 디지털음원 파일의 재생시간과 일치하는 가사내용을 가사정보 파일로부터 읽어들여 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lyrics information file including a digital sound source playback time and lyrics contents together in a digital sound source file, thereby reading the lyric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layback tim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from the lyrics information file and displaying them on the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sound source lyrics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디지털음원의 오디오 신호를 스테레오로 출력하는 이어폰과, 음성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코덱과, 디지털음원의 재생시간과 가사내용 및 메뉴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기능 설정키와 스크롤 키, 숫자키 및 문자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와, 디지털음원 파일 및 가사정보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외부 장치를 데이터케이블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된 디지털음원 파일이 선택되면 디지털음원 파일에 가사내용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오디오신호의 재생시간과 일치하는 가사정보를 읽어 들여 화면으로 표시 제어하는 주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eaker for outputting audio signals and audio signals, earphones for outputting audio signals of digital sound sources in stereo, codecs for converting audio signals into digital data, and playback time, lyrics, and menus of digital sound sources. A display unit to be displayed as a display unit, a key input unit including a function setting key and a scroll key, numeric keys and character keys, a memory unit for storing digital sound source files and lyrics information files, a connecting unit for connecting an external device with a data cable, and Whe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downloaded from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is selected, the main control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lyrics content exists i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read the lyric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ay time of the audio signal to display on the screen control do.

디지털음원, 재생시간, 가사정보, 이동통신 단말기, 오디오 태그, 표시 Digital sound source, playing time, lyrics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udio tag, display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ord Information Digital Audio Sour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ord Information Digital Audio Sour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블록구성도.1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음원 파일의 가사정보 편집화면을 나타낸 예시도.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yrics information editing screen of a digital sound source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음원 파일에 가사정보를 편집 및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3A and 3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editing and storing lyrics information in a digital sound source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 파일이 재생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producing a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lyrics information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 파일이 재생되는 화면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creen state in which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the lyrics information file are rep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 : 송수신부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transceiver

12 : 마이크 13 : 스피커12: microphone 13: speaker

14 : 이어폰 15 : 코덱14 Earphone 15 Codec

16 : 표시부 17 : 키입력부16: display unit 17: key input unit

18 : 메모리부 19 : 멀티미이어 카드18: memory unit 19: multimedia card

20 : 열결부 30 : 주제어부20: heat connection 30: main fisherman

31 : 디지털신호 처리부 32 : 디코더31: digital signal processor 32: decoder

33 : DA 컨버터33: DA convert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음원 재생시간과 가사내용을 포함하는 가사정보 파일을 디지털음원 파일에 함께 저장함으로써, 디지털음원 파일의 재생시간과 일치하는 가사내용을 가사정보 파일로부터 읽어들여 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gital sound sour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by storing a lyrics information file including a digital sound source reproduction time and lyrics contents together in a digital sound source fi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sound source lyrics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reads the corresponding lyrics contents from a lyrics information file and displays them on a screen.

현재, 정보통신 분야의 눈부신 발전으로 정보 및 통신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맞고 있다. 이러한 변화 중에 대표적인 이동통신은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필수품으로 사용되고 있다.At present, due to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iel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undergoing a drastic change. Among these changes, representative mobile communication is being used as a necessity for individuals in modern society.

이와 같은 이동통신의 저변 확대와 함께 해당 단말기에는 더욱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으며, 기본적인 음성통화는 물론이고 메시지 송수신, 데이터 저장 기능, 날씨, 증권 등 각종 문자 서비스를 비롯하여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With the expansion of the base of such mobile communication, various functions are add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s, and provide wired / wireless Internet services, including basic voice calls, as well as various text services such as message transmission, data storage, weather, and stocks.

최근 들어, 정보의 저장 및 존재 형태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화 되고, 특히 음성 데이터도 디지털화되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전환하고, 오디오(Audio) 압축 기술(MP3, WMA, OGG)을 적용하여 적은 크기의 디지털 데이터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디지털음원 재생장치(MP3 플레이어 : 이하 디지털음원 재생장치라 칭함)가 주목 받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form of storage and presence of information has been digitized in analog, and in particular, voice data has also been digitized, so that analog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digital voice data, and audio compression techniques (MP3, WMA, OGG) are applied. Attention has been paid to digital sound source playback devices (MP3 play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gital sound source playback devices) capable of listening to music with digital data of size.

디지털음원 재생장치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디지털음원을 이동 중에도 들을 수 있도록 디지털음원 정보의 저장수단과 저장된 디지털음원을 재생하는 수단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BACKGROUND With the spread of digital sound source reproduction apparatuse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a means for storing digital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a means for reproducing stored digital sound sources have been released so that the digital sound source can be heard while moving.

종래의 디지털음원 재생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디지털음원을 듣기 위해서는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의 USB 포트에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된 데이터케이블을 연결하고, 인터넷 등으로 부터 다운로드 받은 다양한 디지털음원 파일을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서 다운로드 받게 된다.To listen to a digital sound sourc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digital sound source playback function, first, connect a data cable connected to a personal computer to the USB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n download various digital sound source files downloaded from the Internet. It will be downloaded from your computer.

상기 다운로드된 디지털음원 파일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나 또는 외부 저장매체인 멀티미디어 카드(MMC : Multi Media Card)에 저장되고,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음원 재생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다운로드 받아 저장된 디지털음원 파일 리스트를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The downloaded digital sound source file is stored in a multimedia card (MMC: Multi Media Card) which is an internal memory or an external storage mediu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digital sound source playback function is selected by a user, the downloaded and stored digital sound source file list Will be displayed on the screen.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지털음원 재생 모드로 전환되고,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디지털음원 파일이 선택되면, 해당 디지털음원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나 또는 멀티미디어 카드로부터 선택된 디지털음원 파일을 읽어 들이게 된다.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to the digital sound source playback mode, and when a predetermined digital sound source fil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obile terminal reads the selected digital sound source file from a memory or a multimedia card.

상기 선택된 디지털음원 파일의 음원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디코딩 처리하고, 디코딩된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 또는 이어잭에 연 결된 스테레오 이어폰을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화면으로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음원 파일의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Decodes the sound source data of the selected digital sound source file into digital data, converts the decoded digital data into an audio signal, outputs it through stereo earphones connected to a speaker or ear jack, and simultaneously reproduces the sound on the screen. Information will be displayed.

그러나,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다운로드 받거나 또는 멀티미디어 카드에 저장된 디지털음원 파일에는 대부분 압축된 파일명(MP3, WMA, OGG)과 압축률이 저장되어 있을 뿐, 그 이외의 추가정보인 가사정보 등은 극히 제한적으로 제공되고 있다.However, most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s downloaded from personal computers or stored in the multimedia card store only the compressed file names (MP3, WMA, OGG) and compression rate, and other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lyrics information is extremely limited. It is becoming.

또한, 극히 제한적으로 제공되는 가사정보의 경우에도 디지털음원 재생시간에 맞춰 가사내용이 정확하게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는 단말기 화면으로 표시되는 가사내용과 오디오신호로 재생되는 가사내용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매번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lyrics information is provided in a very limited manner, since the lyrics contents are not displayed correctly on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playing tim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the user needs to confirm whether the lyrics contents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match the lyrics contents reproduced by the audio signal. There was a hassle to check each tim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재생되는 디지털음원 파일에 디지털음원 재생시간과 가사내용이 저장된 가사정보 파일을 함께 저장함으로써, 디지털음원 파일의 재생시간과 일치하는 가사내용을 가사정보 파일로부터 읽어들여 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storing the digital sound source playback time and the lyrics information files stored i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reproduc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sound source lyrics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ads the lyric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laying time of the lyrics from a lyrics information file and displays them on the scree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디지털음원의 오디오 신호를 스테레오로 출력하는 이어폰과, 음성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코덱과, 디지털음원의 재생시간과 가사내용 및 메뉴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기능 설정키와 스크롤 키, 숫자키 및 문자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와, 디지털음원 파일 및 가사정보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외부 장치를 데이터케이블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된 디지털음원 파일이 선택되면 디지털음원 파일에 가사내용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오디오신호의 재생시간과 일치하는 가사정보를 읽어 들여 화면으로 표시 제어하는 주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peaker for outputting audio signals and audio signals, earphones for outputting audio signals of a digital sound source in stereo, codecs for converting audio signals into digital data, and reproduction of digital sound sourc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ime, lyrics contents and menus on the screen, a key input unit having function setting keys, scroll keys, numeric keys and character keys, a memory unit for storing digital sound source files and lyrics information files, and an external device. Whe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downloaded from the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data cable and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is selected, check whether the lyrics content exists i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read and display the lyric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aying time of the audio signal on the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본 발명의 상기 주제어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디지털신호로 재생 처리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와, 디지털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음원의 음원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디코더, 및 디코딩된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DA컨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for reproducing and processing a multimedia file stored in a memory unit as a digital signal, a decoder for decoding sound source data of a digital sound source output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and decoded digital data.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DA converter for converting to an audio signal.

본 발명의 상기 표시부는 화면 상단에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음원의 스펙트럼과, 디지털음원이 재생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재생시간과,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음원 파일의 이름 및 용량과, 디지털음원의 재생시간과 일치하는 시점에 표시되는 가사내용, 및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음원을 제어하는 다수의 기능키가 화면 하단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op of the screen, the playback time for counting the spectrum of the digital sound source currently being played, the time when the digital sound source is played, the name and capacity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currently being played, and the playback tim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for controlling the lyrics content displayed at the point of time corresponding to and the digital sound source currently being reproduced ar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본 발명의 상기 외부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이동통신 단말기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ter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편집 프로그램을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하여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미리 저장된 디지털음원 파일이 선택되면 해 당 파일을 가사정보 편집화면으로 표시하고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가사정보 편집화면에 가사내용을 입력하고 입력된 가사내용에 시간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가사내용 입력과 시간정보 설정이 완료되어 저장하기가 선택되면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된 디지털음원 파일을 통신 케이블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에서 단말기로 다운로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nd execute a digital sound source lyrics information editing program on a personal computer, and when the pre-stored digital sound source files are selected, the files are displayed on the lyrics information editing screen and converted into an audio signal for output. And inputting lyrics contents on the lyrics information editing screen and setting time information on the input lyrics contents. When the input of the lyrics contents and setting of time information are completed and saved,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the lyrics information file are selected. And storing and downloading the edited digital sound source file from the personal computer to the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본 발명은 상기 가사내용에 시간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디지털음원 파일의 재생시간을 카운트하여 재생되는 디지털음원 파일을 스펙트럼으로 표시하고 현재 재생되고 있는 지점을 스펙트럼 상의 수직바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음원 파일의 가사내용을 가사내용 입력란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스펙트럼 상에 이동되는 수직바의 위치가 상기 가사내용 입력란에 입력된 가사내용과 일치하는 재생지점에 시간정보추가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가사내용에 시간정보를 설정하여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setting time information on the lyrics, the playing tim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s counted, and the displayed digital sound source file is displayed as a spectrum and the currently playing point is displayed by moving a vertical bar on the spectrum. Inputting lyrics content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nto a lyrics content input box, and selecting a time information add button at a playback point at which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bar moving on the spectrum matches the lyrics content input to the lyrics content input box; If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the time by setting the time information on the lyrics content.

본 발명은 상기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하기가 선택되면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음원과 가사정보를 하나의 파일로 저장할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기가 선택된 경우에는 디지털음원파일에 가사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오디오 태그에 가사정보의 유무데이터와 경로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storing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the lyrics information file, if the save is selected, the step of confirming whether to store the digital sound source and the lyrics information as one file, and storing the file as one file is easy. If select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the lyrics information i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the presence data and the path of the lyrics information in the audio tag.

본 발명은 상기 하나의 파일로 저장할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저장하는 파일이 독립된 파일로 저장하기가 선택된 경우에는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 보 파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오디오 태그에 독립된 가사정보 파일의 유무데이터와 경로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confirming whether to save the file as one file, when the storing file is selected as an independent f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a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a lyric information file, and stored as an independent tag information file. And storing the presence data and the path.

본 발명의 상기 가사정보 편집화면은 화면 상단에 다수의 기능키와, 선택된 디지털음원 파일명과 압축률 표시란과, 디지털음원 파일의 재생시간 표시란 및 오디오 신호의 전체 스펙트럼이 표시되고, 화면 하단에 가사내용을 입력하는 가사내용 입력란과, 디지털음원에 가사정보를 일치시키기 위한 시간정보 입력란과, 시간정보추가 버튼과,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는 버튼 및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 파일을 따로 분리해서 저장하는 버튼이 위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lyrics information editing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 selected digital sound source file name and a compression ratio display column, a play time display field of a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an entire spectrum of an audio signal are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Lyrics content input field to input contents, time information input field to match lyrics information to digital sound source, time information add button, button to sav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lyrics information file as one fil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lyrics And a button for separating and storing the information file.

본 발명의 상기 스펙트럼 상에는 디지털음원 파일의 재생시간에 따라 현재 재생되는 지점을 나타내는 수직바가 이동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pectrum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rtical bar indicating a current playback point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playback tim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본 발명의 상기 시간정보는 입력된 가사내용의 시작지점 시간 또는 시작과 끝나는 구간의 시간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ime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any one of the start point time of the input lyrics content or the time of the start and end s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가사정보 파일이 편집된 디지털음원 파일을 다운로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디지털음원 재생 메뉴와 재생 파일이 선택되면 디지털음원 파일을 일정블록 단위로 읽어 들여 디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디코딩된 디지털음원 파일의 오디오 태그를 판독하여 가사정보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가사정보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사정보 파일의 경로를 확인하여 가사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음원 파일의 음원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신호의 재생시간을 카운트하여 오 디오 신호의 재생시간과 상기 가사정보에 저장된 재생시간이 일치하는 시점에 가사내용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ownload and store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edited lyrics information file, and to read and decode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n a predetermined block unit when the stored digital sound source playback menu and playback file is selected, Reading an audio tag of the decoded digital sound source file to determine whether a lyrics information file exists; and if the lyrics information file exists, reading lyrics information by checking a path of the lyrics information file; Converting the sound source data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counting the play time of the audio signal and displaying the lyrics content at the time when the play time of the audio signal matches the play time stored in the lyrics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본 발명은 상기 가사정보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 가사정보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사정보 파일이 디지털음원 파일과 하나의 파일로 함께 저장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음원 파일에 가사정보가 함께 저장된 경우에는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를 분리하여 가사내용을 읽어들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lyrics information file exists, if the lyrics information file exists, checking whether the lyrics information file is stored together with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s one file, and the lyrics information i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f is stored toge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ading the lyrics content by separating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lyrics information.

본 발명은 상기 하나의 파일로 저장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사정보 파일이 독립된 파일로 저장된 경우에는 독립된 가사정보 파일의 경로를 확인하여 가사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reading the lyrics information by checking the path of the independent lyrics information file when the lyrics information file is stored as an independent file in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lyrics information file is stored as one file. .

본 발명의 상기 가사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은 화면 상단에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음원의 스펙트럼과, 디지털음원이 재생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재생시간과,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음원 파일의 이름 및 용량, 디지털음원의 재생시간과 일치하는 시점에 표시되는 가사내용 및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음원을 제어하는 다수의 기능키가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creen displaying the lyrics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ectrum of the digital sound source currently being 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a playback time for counting the time at which the digital sound source is played, the name and capacity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currently being played, and the digital. The lyrics content displayed at a time coinciding with the playback time of the sound source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for controlling the digital sound source currently being played are displayed on the scree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블록구성도이다.1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수신되는 음성 및 문자 신호를 데이터 신호 처리하는 송수신부(11)와, 음성 신호 를 입력하는 마이크(12)와,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3)와, 이어잭에 연결되어 재생되는 디지털음원의 오디오 신호를 스테레오로 출력하는 이어폰(14)과, 마이크(12)와 스피커(13) 및 이어폰(14)을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코덱(Codec, 15)과, 모드상태에 따른 각종 메시지와 메뉴 및 키 입력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16)와, 다수의 기능 설정키와 스크롤 키, 숫자키 및 문자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Key) 입력데이터를 출력하는 키입력부(17)와, 사진과 동영상, 디지털음원 및 벨소리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8)와, 외부 저장매체인 멀티미디어 카드(MMC : Multi Media Card, 19)와, 외부 장치를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등의 데이터케이블로 연결하는 연결부(20) 및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주제어부(3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ceiver 11 for processing data signals of voice and text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a microphone 12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and a voice signal. And a speaker 13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n earphone 14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f a digital sound source connected to the ear jack in stereo, a microphone 12, a speaker 13, and an earphone 14 A codec (15) for converting voice signals input and output through digital data, a display unit 16 for displaying various messages, menus and key input data according to mode status, and a plurality of function setting keys and scroll keys And a key input unit 17 for outputting key input data inputted by a user with a numeric key and a character key, and a memory unit 18 for storing multimedia files such as photographs, videos, digital sound sources, and ringtones. , A multimedia card (MMC: 19) that is an external storage medium, a connection part 20 for connecting an external device with a data cable such as a universal serial bus (USB), and a main control part 3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device. It is composed of

상기 연결부(20)와 데이터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외부 장치는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다.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20 via a data cable are, for example,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ike.

상기 주제어부(30)는 메모리부(18)와 멀티미디어 카드(19)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미디어 파일을 디지털신호로 재생 처리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31)와,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3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음원의 음원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디코더(Decoder, 32), 및 상기 디코딩된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DA컨버터(Digital Analog Converter, 33)로 구성된다.The main control unit 30 i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31 for reproducing and processing digital media files stored in the memory unit 18 and the multimedia card 19 as a digital signal, and is output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31. A decoder 32 decodes the sound source data of the digital sound source into digital data, and a DA analog converter 33 converts the decoded digital data into an audio signal.

상기한 구성으로 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인 전화통화를 위하여 음성을 송신할 경우에는 상기 마이크(12)를 통해서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음성신호 는 코덱(15)에서 코딩되어 주제어부(30)로 인가된다. 이때, 주제어부(30)는 상기 코딩된 신호를 부호화하고 압축하여 송수신부(11)를 통해서 송신 처리하게 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voice for a general telephone call, when the voice signal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2, the input voice signal is coded by the codec 15 and the main controller 30 Is applied. At this time, the main control unit 30 encodes and compresses the coded signal and transmits it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1.

상기 송수신부(11)를 통해서 음성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주제어부(30)에서 복호화하고, 압축을 풀어 코덱(15)으로 전송하게 되면, 코덱(15)은 해당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스피커(13)를 통하여 음성으로 출력하게 된다.When a voice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11,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is decoded by the main controller 30, decompressed, and transmitted to the codec 15. The signal is decoded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13 as voice.

또한, 일반적인 디지털음원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음원 재생 모드가 설정되고 소정의 디지털음원 파일이 선택되면, 주제어부(30)는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31)를 통해 디지털음원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18) 또는 멀티미디어 카드(19)로부터 해당 디지털음원 파일을 읽어 들이게 된다.In addition, when reproducing a general digital sound source file, if a digital sound source reproduction mode is set by a user and a predetermined digital sound source file is selected, the main control unit 30 stores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through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1.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s read from the memory unit 18 or the multimedia card 19.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31)는 해당 디지털음원 파일의 음원데이터를 디코더(32)로 전송 처리하고, 디코더(32)는 상기 전송된 음원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DA 컨버터(33)로 인가하게 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31 transmits and processes sound source data of the corresponding digital sound source file to the decoder 32, and the decoder 32 decodes the transmitted sound source data into a digital audio signal and converts the decoded digital audio signal into a DA converter. It is applied to (33).

상기 DA 컨버터(33)는 디코딩된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코덱(15)을 통해서 스피커(13) 또는 이어잭에 연결된 스테레오 이어폰(14)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디지털음원 파일을 감상하게 된다.The DA converter 33 converts the decoded digital data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s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codec 15 to the stereo earphone 14 connected to the speaker 13 or the ear jack. You will appreciate i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우선, 사용자는 디지털음원 파일에 가사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가사정보 편집 프로그램을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사 및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의 홈페이지 를 통해서 패치 파일로 다운로드 받아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하게 된다.First, a user downloads a lyrics information editing program that stores lyrics information in a digital sound source file, for example, as a patch file through the homep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ufactur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ompany and installs it on his personal comput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음원 파일의 가사정보 편집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yrics information editing screen of a digital sound source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에 디지털음원 파일의 가사정보 편집 프로그램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가사정보 편집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개인용 컴퓨터의 화면에는 디지털음원 파일의 가사정보 편집화면(200)이 표시된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lyrics information editing program is executed by the user while the lyrics information editing program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s installed in the user's personal computer, the lyrics information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s edited on the screen of the personal computer. The screen 200 is displayed.

상기 가사정보 편집화면(200)은 일반적인 미디어 플레이어 다수의 기능키 예컨대 플레이, 정지, 환경설정 및 도움말 등이 화면 상단에 위치되고, 그 아래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음원 파일명과 압축률 표시란(201)과, 디지털음원 파일의 재생시간 표시란(202) 및 오디오 신호의 전체 스펙트럼이 표시된다.The lyrics information editing screen 200 has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such as play, stop, preferences, and help of a general media player at the top of the screen, and a digital sound file name and a compression ratio display field 201 selected by the user below. And the reproduction time display field 202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the entire spectrum of the audio signal are displayed.

상기 스펙트럼 상에는 디지털음원 파일의 재생시간에 따라 현재 재생되는 지점을 나타내는 수직바(203)가 이동 표시된다.On the spectrum, a vertical bar 203 indicating a point currently being reproduced is displayed in movement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상기 가사정보 편집화면(200)의 하단에 가사내용을 입력하는 가사내용 입력란(204)과, 디지털음원에 가사정보를 일치시키기 위한 시간정보 입력란(205)이 위치되고, 그 상측에 시간정보추가 버튼(206)과,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는 버튼(207), 및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 파일을 따로 분리해서 저장하는 버튼(208)이 위치하여 구성된다.Lyrics content input field 204 for inputting the lyrics content at the bottom of the lyrics information editing screen 200, and time information input field 205 for matching the lyrics information to the digital sound source, the time information add button above 206, a button 207 for storing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the lyrics information file in one file, and a button 208 for separately storing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the lyrics information file separately.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음원 파일에 가사정보를 편집 및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A and 3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editing and storing lyrics information in a digital sound source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에 가사정보 편집 프로그램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사정보를 추가할 디지털음원 파일을 검색하여 재생 선택하게 되면(S301), 가사정보 편집화면(200)이 개인용 컴퓨터 화면에 표시된다(S302).As shown in FIG. 3A, when the user edits and selects a digital sound source file to which the lyrics information is to be added and the lyrics information editing program is installed on the user's personal computer (S301), the lyrics information editing screen 200 This personal computer screen is displayed (S302).

상기 가사정보 편집화면(200)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음원 파일명과 압축률이 표시란(201)에 표시되고, 상기 디지털음원 파일의 재생되는 시간이 카운트되어 재생시간 표시란(202)에 표시되며,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디지털음원의 오디오 신호가 출력된다(S303).In the lyrics information editing screen 200, the name and compression rat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selected by the user is displayed in the display field 201, the playing tim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s counted and displayed in the play time display field 202, The audio signal of the digital sound source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connected to the personal computer (S303).

상기 디지털음원이 재생되면 오디오 신호의 전체 스펙트럼이 표시되는 스펙트럼 상에는 재생시간에 따라 현재 재생되는 지점을 나타내는 수직바(203)가 이동 표시된다.When the digital sound source is reproduced, a vertical bar 203 indicating a point currently being reproduced is displayed on the spectrum in which the entire spectrum of the audio signal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time.

사용자에 의해 가사내용 입력란(204)에 상기 디지털음원의 가사내용이 임의로 입력되면 입력된 가사내용을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S304). 여기서, 입력되는 가사내용은 한 소절씩 입력하거나 또는 한 마디씩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lyrics contents of the digital sound source are arbitrarily input to the lyrics contents input field 204 by the user, the input lyrics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S304). Here, it is preferable to input the lyrics content by one measure or one word.

디지털음원이 재생되는 시간과 일치되게 이동되는 스펙트럼 상의 수직바(203)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가사내용에 해당하는 재생지점 또는 구간을 나타내는 시점에 사용자로부터 시간정보추가 버튼(206)이 선택되면, 해당 가사내용에 시간정보를 추가하여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S305). 여기서, 추가되는 시간정보는 해당 가사내용의 시작 지점시간 또는 시작과 끝나는 지점의 구간시간을 표시하게 된다.When the time information add button 206 is selected by the user at the time when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bar 203 on the spectrum that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time when the digital sound source is played indicates the playback point or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lyrics input by the user, In addition, time information is added to the corresponding lyric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S305). Here, the added time information is to display the start point time or the segment time of the start and end point of the lyrics content.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생되는 디지털음원에 대한 가사정보 입력이 모두 완료된 상태(S311)에서, 사용자가 디지털음원과 가사정보를 하나의 파일로 저장할 것인지 또는 독립된 파일로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하고(S312), 사용자에 의해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기 버튼(207)이 선택된 경우에는 디지털음원 파일에 가사정보를 함께 저장하게 된다(S313).As shown in FIG. 3B, in a state where all of the lyrics information input for the reproduced digital sound source is completed (S31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stores the digital sound source and the lyrics information as one file or as a separate file. In operation S312, when the user selects the save as one file button 207, the lyrics information is stored together i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S313).

상기 디지털음원 파일에 가사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S313)에서, 디지털음원 파일의 예컨대 아티스트 정보, 곡의 제목, 앨범 타이틀 및 출판년도 등의 부가정보가 기록되는 오디오 태그(Audio Tag)에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가 함께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유무데이터와 가사정보의 경로를 저장하게 된다(S314).In the step of storing lyrics information together i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S313), the digital sound source is recorded in an audio tag in which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artist information, a song title, an album title, and a publication year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s recorded. The path of the presence data and the lyric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file and the lyrics information are stored together is stored (S314).

또한, 상기 사용자가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를 하나의 파일로 저장할 것인지 또는 독립된 파일로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S312)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가사만 따로 저장하기 버튼(208)이 선택된 경우에는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 파일을 각각 저장하게 된다(S315).In addition, when the user determines whether to store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the lyrics information as a single file or as a separate file (S312), when the user stores the lyrics alone button 208 is selected, The sound source file and the lyrics information file are stored respectively (S315).

상기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 파일을 각각 저장하는 단계(S315)에서, 디지털음원 파일의 부가정보가 기록되는 오디오 태그에 독립된 가사정보 파일이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유무데이터와 가사정보 파일의 경로를 저장하고(S316), 상기 독립된 가사정보 파일은 디지털음원 파일에 추가되는 별도의 공간을 할당받아 저장하게 된다(S317). 여기서, 상기 디지털음원 파일에 추가되는 별도의 공간은 예컨대 디지털음원 파일의 오디오 태그에 부가정보 저장공간을 할당 받거나 또는 디 지털음원 파일의 메인 데이터 저장 공간을 할당 받을 수 있다. In step S315, respectively, storing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the lyrics information file, storing the presence data and the path of the lyrics information file indicating whether the independent lyrics information file is stored in the audio tag in which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s recorded. (S316), the independent lyrics information file is allocated and stored an additional space added to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S317). In this case, the additional space added to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may be allocated additional information storage space to an audio tag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or the main data storage spac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상기 디지털음원 파일의 가사정보 편집이 모두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용 데이터케이블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가사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음원 파일 또는 가사정보 파일이 따로 저장된 디지털음원 파일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해당 파일을 전송 처리하게 된다(S318).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용 데이터케이블은 예컨대, 일반적인 데이터케이블 및 USB 데이터케이블 등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결부(20)에 연결된다.When the lyrics information editing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s completed, the user connects the personal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data cabl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or the lyrics information including the lyric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file is selected separately stored i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the personal computer transmits the file to the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318). The data cabl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 example, a general data cable and a USB data cable,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파일 전송이 완료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리(18)와 멀티미디어 카드(19)에 해당 파일을 저장하게 된다(S319).When the file transfer is completed from the personal comput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file in the memory 18 and the multimedia card 19 (S319).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 파일이 재생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 파일이 재생되는 화면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producing a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lyrics information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state in which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lyrics information file are rep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음원 재생 기능이 선택하게 되면(S401), 주제어부(30)는 상기 메모리부(18) 또는 멀티미디어 카드(19)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음원 파일을 검색하여 디지털음원 파일 리스트를 표시부(16)에 표시하게 된다(S402).As shown in FIG. 4, when the digital sound source reproducing function is selected by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401), the main control unit 30 is a digital unit stored in the memory unit 18 or the multimedia card 19. The sound source file is searched and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lis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 (S402).

주제어부(30)는 상기 디지털음원 파일 리스트 상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디지털음원 파일을 선택하고 재생버튼을 선택하게 되면(S403), 선택된 디지털음원 파일을 일정블록 단위로 버퍼(도시되지 않음)로 읽어 들이고(S404), 읽어 들인 디지털 음원 파일을 디코딩하게 된다(S405).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digital sound file and selects a play button on the digital sound file list (S403), the main control unit 30 reads the selected digital sound file into a buffer (not shown) in units of predetermined blocks. (S404), the read digital sound source file is decoded (S405).

상기 디코딩된 디지털음원 파일의 오디오 태그에 유무데이터를 확인하여 가사정보 파일이 존재하는지 유무를 판단하고(S406), 디지털음원 파일에 가사정보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디지털음원 파일의 음원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함과 더불어 재생시간을 카운트하여 표시부(16)에 표시하며(S407), 오디오 신호를 코덱(15)을 통해 스피커(13) 또는 이어폰(14)으로 출력하게 된다(S408).The presence or absence of lyrics information files is determined by checking presence or absence data in the audio tag of the decoded digital sound source file (S406). When lyrics information is not present i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the sound source data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s converted into an audio signal. In addition, the playback time is coun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 (S407), and the audio signal is output to the speaker 13 or the earphone 14 through the codec 15 (S408).

또한, 상기 디지털음원 파일에 가사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사정보의 경로를 확인하여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가 하나의 파일로 저장되어 있는지 또는 독립된 파일로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409), 디지털음원 파일에 가사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음원 파일인 경우에는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를 분리하게 된다(S410).In addition, when lyrics information exists i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check the path of the lyrics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the lyrics information are stored as a single file or as an independent file (S409). In the case of a digital sound source file having lyrics information stored i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the lyrics information are separated (S410).

상기 디지털음원 파일에 가사정보 파일이 함께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09)에서, 가사정보 파일이 독립된 파일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사정보 파일이 저장된 경로를 확인하여 가사정보 파일을 버퍼로 읽어 들여 저장하게 된다(S411).In step S409, when the lyrics information file is stored i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when the lyrics information file is stored as an independent file, the lyrics information file is checked as a buffer by checking the path where the lyrics information file is stored. Read and store (S411).

주제어부(30)는 상기 디지털음원 파일의 음원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함과 더불어 재생시간을 카운트하여 표시부(16)에 표시하고, 오디오 신호를 코덱(15)을 통해 스피커(13) 또는 이어폰(14)으로 출력하게 된다(S412).The main control unit 30 converts the sound source data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nto an audio signal, counts the playing time, and displays the playback time on the display unit 16. The audio signal is output from the speaker 13 or the earphone (eg, through the codec 15). 14) (S412).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의 재생시간과 가사정보 파일에 저장된 재생시간 정보와 일치되는 시점에 가사내용을 버퍼로부터 읽어 들여(S413), 표시부(16)에 가 사내용을 표시하게 된다(S414).When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reproduced audio signal matches the reproduction time information stored in the lyrics information file, the contents of the lyrics are read from the buffer (S413), and the lyric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 (S414).

도 5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16)는 화면 상단에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음원의 스펙트럼이 표시되고, 그 아래로 디지털음원이 재생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재생시간(501)과,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음원 파일의 이름 및 용량(502), 디지털음원의 재생시간과 일치하는 시점에 표시되는 가사내용(503) 및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음원을 제어하는 다수의 기능키(504)가 표시된다.As shown in FIG. 5, the display unit 16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 spectrum of a digital sound source currently being reproduced at the top of the screen, and a playback time 501 counting the time at which the digital sound source is reproduced.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504 for controlling the name and capacity 502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currently being played, the lyrics contents 503 displayed at a time coinciding with the playback tim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and the digital sound source currently being played. ) Is display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 되거나 또는 멀티미디어 카드에 저장되는 디지털음원 파일에 디지털음원 재생 시간정보 및 가사내용이 저장된 가사정보 파일을 함께 저장함으로써, 디지털음원 파일 재생시에 디지털음원 재생시간과 일치하는 가사내용을 가사정보 파일로부터 읽어 들여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digital sound source playing time information and the lyrics information file having the lyrics content stored i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downloa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stored in the multimedia card. Lyrics that match to are read from the lyrics file and displayed on the scree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는 디지털음원 파 일에 디지털음원 재생 시간정보 및 가사내용이 저장된 가사정보 파일을 함께 저장하여 디지털음원 파일 재생시에 디지털음원 재생시간과 일치하는 가사내용을 화면으로 표시함으로써, 디지털음원 재생시에 편리하게 가사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digital sound source playing time information and the lyrics information file having the lyrics content stored i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displaying on the screen, the lyrics can be conveniently checked during digital sound source playback.

Claims (18)

삭제delete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A speaker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nd an audio signal; 디지털음원의 오디오 신호를 스테레오로 출력하는 이어폰과;An earphone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f a digital sound source in stereo; 음성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코덱과;A codec for converting an audio signal into digital data; 디지털음원의 재생시간과 가사내용 및 메뉴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layback time, lyrics, and menu of the digital sound source on a screen; 기능 설정키와 스크롤 키, 숫자키 및 문자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와;A key input unit including a function setting key, scroll keys, numeric keys, and character keys; 디지털음원 파일 및 가사정보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the lyrics information file; 외부 장치를 데이터케이블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A connection part connecting an external device with a data cable; And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디지털신호로 재생 처리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와,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음원의 음원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디코더 및 디코딩된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DA컨버터로 이루어지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된 디지털음원 파일이 선택되면 디지털음원 파일에 가사내용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오디오신호의 재생시간과 일치하는 가사정보를 읽어 들여 화면으로 표시 제어하는 주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장치.A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reproducing and processing the multimedia file stored in the memory unit as a digital signal, a decoder for decoding sound source data of a digital sound source output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converting the decoded digital data into an audio signal Whe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downloaded from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is selected and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s selected, the lyrics content exists i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the lyric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aying time of the audio signal is rea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Digital sound source lyrics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main control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play unit, 화면 상단에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음원의 스펙트럼과, 디지털음원이 재생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재생시간과,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음원 파일의 이름 및 용량과, 디지털음원의 재생시간과 일치하는 시점에 표시되는 가사내용, 및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음원을 제어하는 다수의 기능키가 화면 하단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장치.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at the point of time that matches the spectrum of the currently playing digital sound source, the playing time that counts the playing tim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the name and capacity of the currently playing digital sound file, and the playing tim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Apparatus for providing digital sound source lyrics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yrics content,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for controlling the currently reproduced digital sound source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xternal device,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이동통신 단말기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장치.Digital sound source lyrics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편집 프로그램을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하여 실행시키는 단계와;Installing and executing a digital sound source lyrics information editing program on a personal computer; 상기 미리 저장된 디지털음원 파일이 선택되면 해당 파일을 가사정보 편집화면으로 표시하고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와;If the pre-stored digital sound source file is selected, displaying the file as a lyrics information editing screen and converting the file into an audio signal; 상기 가사정보 편집화면에 가사내용을 입력하고 입력된 가사내용에 시간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Inputting lyrics contents on the lyrics information editing screen and setting time information on the input lyrics contents; 상기 가사내용 입력과 시간정보 설정이 완료되어 저장하기가 선택되면 디지 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및 Storing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the lyrics information file when the lyrics content input and time information setting is completed and the selection is made to save; And 상기 편집된 디지털음원 파일을 통신 케이블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에서 단말기로 다운로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방법.And downloading and storing the edited digital sound source file from the personal computer to the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사내용에 시간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 of setting time information on the lyrics content, 디지털음원 파일의 재생시간을 카운트하여 재생되는 디지털음원 파일을 스펙트럼으로 표시하고 현재 재생되고 있는 지점을 스펙트럼 상의 수직바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와, Counting the playing tim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to display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being played as a spectrum and displaying the currently playing point by moving a vertical bar on the spectrum; 상기 디지털음원 파일의 가사내용을 가사내용 입력란에 입력하는 단계, 및Inputting lyrics contents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nto lyrics contents input field, and 상기 스펙트럼 상에 이동되는 수직바의 위치가 상기 가사내용 입력란에 입력된 가사내용과 일치하는 재생지점에 시간정보추가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가사내용에 시간정보를 설정하여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방법.If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bar to be moved on the spectrum is added to the playback point that matches the lyrics content input to the lyrics content input button is selected, the step of setting the time information on the lyrics content to display on the screen; Digital sound source lyric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하기가 선택되면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음원과 가사정보를 하나의 파일로 저장할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와,7. The method of claim 5 or 6, wherein in the step of storing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the lyrics information file, the step of confirming whether to save the digital sound source and the lyrics information as a single file by the user when the save is selected; 상기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기가 선택된 경우에는 디지털음원파일에 가사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오디오 태그에 가사정보의 유무데이터와 경로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방법.If the save as one file is selected, the step of storing the lyrics information i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the presence and absence data and the path of the lyrics information in the audio tag further comprises the digital sound source lyric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 to Provide Informa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파일로 저장할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confirming whether to save as one file: 상기 저장하는 파일이 독립된 파일로 저장하기가 선택된 경우에는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 파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오디오 태그에 독립된 가사정보 파일의 유무데이터와 경로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방법.If the storing file is selected as an independent file,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dividing and storing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the lyrics information file and storing the presence data and the path of the independent lyrics information file in the audio tag. Digital sound source lyric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5 항,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사정보 편집화면은, 화면 상단에 다수의 기능키와, 선택된 디지털음원 파일명과 압축률 표시란과, 디지털음원 파일의 재생시간 표시란 및 오디오 신호의 전체 스펙트럼이 표시되고, 화면 하단에 가사내용을 입력하는 가사내용 입력란과, 디지털음원에 가사정보를 일치시키기 위한 시간정보 입력란과, 시간정보추가 버튼과,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는 버튼 및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 파일을 따로 분리해서 저장하는 버튼이 위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방법.9. The lyrics information editing scree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6 and 8, wherein the lyrics information editing screen includes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t the top of the screen, a selected digital sound source file name and a compression ratio display field, and a playing tim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Display field and full spectrum of audio signal are displayed, lyrics content input field to input lyrics contents at the bottom of screen, time information input field to match lyrics information to digital sound source, time information add button,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lyrics And a button for storing the information file as a single file and a button for separately storing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the lyrics information file.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스펙트럼 상에는 디지털음원 파일의 재생시간에 따라 현재 재생되는 지 점을 나타내는 수직바가 이동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방법.And a vertical bar indicating a point currently being reproduced according to a reproduction tim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s displayed on the spectrum.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사정보 편집화면은,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yrics information editing screen, 화면 상단에 다수의 기능키와, 선택된 디지털음원 파일명과 압축률 표시란과, 디지털음원 파일의 재생시간 표시란 및 오디오 신호의 전체 스펙트럼이 표시되고, 화면 하단에 가사내용을 입력하는 가사내용 입력란과, 디지털음원에 가사정보를 일치시키기 위한 시간정보 입력란과, 시간정보추가 버튼과,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는 버튼 및 디지털음원 파일과 가사정보 파일을 따로 분리해서 저장하는 버튼이 위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방법.At the top of the screen, a number of function keys, the selected digital sound file name and compression rate display field, the play time display field of the digital sound file, the full spectrum of the audio signal are displayed. Time information field to match lyrics information to digital sound source, Add time information button, Button to sav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lyrics information file as one file and Button to separat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lyrics information file separately Digital sound source lyric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 this position.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스펙트럼 상에는 디지털음원 파일의 재생시간에 따라 현재 재생되는 지점을 나타내는 수직바가 이동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방법.And a vertical bar indicating a point currently being reproduced according to a reproduction tim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s displayed on the spectrum. 제 5 항, 제 6 항, 제 8 항, 제 10 항, 제 11 항 및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정보는 입력된 가사내용의 시작지점 시간 또는 시작과 끝나는 구간의 시간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 털음원 가사정보 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6, 8, 10, 11, and 12, wherein the time information is one of a start point time or a start and end time period of the input lyrics content. Digital sound source lyric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set to any one. 가사정보 파일이 편집된 디지털음원 파일을 다운로드 저장하는 단계와;Downloading and storing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n which the lyrics information file has been edited; 상기 저장된 디지털음원 재생 메뉴와 재생 파일이 선택되면 디지털음원 파일을 일정블록 단위로 읽어 들여 디코딩하는 단계와;Reading and decoding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n predetermined block units when the stored digital sound source reproduction menu and the reproduction file are selected; 상기 디코딩된 디지털음원 파일의 오디오 태그를 판독하여 가사정보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Reading an audio tag of the decoded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checking whether a lyrics information file exists; 상기 가사정보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사정보 파일의 경로를 확인하여 가사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와;If the lyrics information file exists, reading the lyrics information by checking the path of the lyrics information file; 상기 디지털음원 파일의 음원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Converting sound source data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And 상기 오디오 신호의 재생시간을 카운트하여 오디오 신호의 재생시간과 상기 가사정보에 저장된 재생시간이 일치하는 시점에 가사내용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방법.Counting the playback time of the audio signal and displaying the lyrics content on the screen when the playback time of the audio signal matches the playback time stored in the lyrics information. How to Provid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사정보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lyrics information file exists, 가사정보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사정보 파일이 디지털음원 파일과 하나의 파일로 함께 저장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If the lyrics information file exists, checking whether the lyrics information file is stored together with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s one file, and 상기 디지털음원 파일에 가사정보가 함께 저장된 경우에는 디지털음원 파일 과 가사정보를 분리하여 가사내용을 읽어들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방법.When lyrics information is stored together in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the method of providing digital sound source lyrics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ing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and the lyrics information to read the lyrics content.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파일로 저장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사정보 파일이 독립된 파일로 저장된 경우에는 독립된 가사정보 파일의 경로를 확인하여 가사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4 or 15, wherein in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lyrics information file is stored as an independent file, reading the lyrics information by checking the path of the independent lyrics information file when the lyrics information file is stored as an independent file. Digital sound source lyric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사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은, 화면 상단에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음원의 스펙트럼과, 디지털음원이 재생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재생시간과,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음원 파일의 이름 및 용량, 디지털음원의 재생시간과 일치하는 시점에 표시되는 가사내용 및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음원을 제어하는 다수의 기능키가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방법.17. The display of claim 16, wherein the screen displaying the lyrics content includes a spectrum of the digital sound source currently being 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a playback time for counting the time at which the digital sound source is played, and a nam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file being played. And a capacity, lyrics content displayed at a time coinciding with the playback tim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for controlling the digital sound source currently being played on the screen. .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사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은, 화면 상단에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음원의 스펙트럼과, 디지털음원이 재생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재생시간과,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음원 파일의 이름 및 용량, 디지털음원의 재생시간과 일치하는 시점에 표시되는 가사내용 및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음원을 제어하는 다수의 기능키가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방법.16. The digital display according to claim 14 or 15, wherein the screen on which the lyrics are displayed includes a playback time for counting a spectrum of a digital sound source currently being 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a time at which the digital sound source is played, and a digital currently being played. Digital sound sour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name and capacity of the sound source file, the contents of the lyrics displayed at the same time as the playing tim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for controlling the digital sound source currently being played on the screen. How to provide housework information.
KR1020050039569A 2005-05-12 2005-05-1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ord Information Digital Audio Sour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082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569A KR100708298B1 (en) 2005-05-12 2005-05-1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ord Information Digital Audio Sour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569A KR100708298B1 (en) 2005-05-12 2005-05-1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ord Information Digital Audio Sour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945A KR20060116945A (en) 2006-11-16
KR100708298B1 true KR100708298B1 (en) 2007-04-17

Family

ID=3770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569A KR100708298B1 (en) 2005-05-12 2005-05-1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ord Information Digital Audio Sour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829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2939A1 (en) * 2015-08-05 2017-02-09 (주)굿타임위드미 Method for providing multi-language lyrics service and terminal and server performing same
KR20220017308A (en)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ying audio and displaying a scre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728A (en) * 2001-11-15 2003-05-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scramble using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728A (en) * 2001-11-15 2003-05-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scramble using mobile termina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407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945A (en) 200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07120A1 (en) Mobile storage device with wireless bluetooth module attached thereto
KR200601163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etting equalizing functionality in a digital audio player
US20080022845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song selcetion function
KR20140113643A (en) Information-sharing device, information-sharing method, information-sharing program and terminal device
JP4500730B2 (en) Karaoke device and electronic sample device
JP2005062880A (en) Audio player with text display function, and display method
KR1007082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ord Information Digital Audio Sour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2150Y1 (en) Mp3 player combined use wireless headset having bluetooth module
KR20000042809A (en) Method for receiving and reproducing music files
JP2007219647A (en) Portable terminal
KR2000002747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p3 player in one
CN101242440A (en) A mobile phone with voice repeating function
JP5304611B2 (en) Scre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397307B1 (en) Karaoke system for use with hand phone and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KR101393714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thereof
JP2001290498A (en) Portable audio unit
KR100678159B1 (en) Method for replaying music file of portable radio terminal equipment
KR100350505B1 (en) Method for editing of music file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605919B1 (en) Method for offering sound per function and mobile phone therefor
KR100540776B1 (en) Wireless network audio system
JP2004005832A (en) Data-reproducing device, and system, method and program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the program
KR20080110247A (en) Ear-phone attached remote control storing multimedia data, and system for playing multimedia data using the ear-pho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78105B1 (en) MP3 player
KR20080014188A (en) System and method of music file serching service in portable device
KR200306443Y1 (en) Pda having accompaniment ut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