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689B1 -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faces by individual standard differen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faces by individual standard differ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689B1
KR100707689B1 KR1020050033164A KR20050033164A KR100707689B1 KR 100707689 B1 KR100707689 B1 KR 100707689B1 KR 1020050033164 A KR1020050033164 A KR 1020050033164A KR 20050033164 A KR20050033164 A KR 20050033164A KR 100707689 B1 KR100707689 B1 KR 100707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degree
separation
maximum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1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10680A (en
Inventor
전동훈
Original Assignee
퍼스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퍼스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퍼스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3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689B1/en
Publication of KR20060110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6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6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개인이격도에 의한 화상인증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데이터생성부는 인증이 요구되는 인증대상자로부터 획득한 화상데이터를 수치화하여 수치데이터를 생성한다. 제1저장부에는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기준수치데이터가 저장된다. 이격도산출부는 인증대상자의 수치데이터와 기준수치데이터의 차이를 수치로 나타낸 이격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격도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최소이격도에 해당하는 기준수치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검출한다. 또한 이격도산출부는 검출된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수치데이터와 인증대상자의 수치데이터를 기초로 산출된 이격도 중에서 가장 큰 값인 최대이격도 및 검출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출력한다. 이격도설정부는 인증대상자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개인별로 설정되어 있는 개인이격도 중에서 이격도산출부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개인이격도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인증부는 최대이격도가 개인이격도보다 작은 경우 인증허용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률적인 기준에 의한 인증에서 벗어나 개인별 특성을 반영하여 개인에 따라 화상데이터의 인준기준을 달리함으로써 본인 거부률 및 타인 수락률을 낮출 수 있다.Disclosed are an imag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dividual separation. The data generation unit generates numerical data by digitizing image data obtained from an authentication target that requires authentication. The first storage unit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and one or more reference numerical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separation degre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a separation degree numerically represen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numerical data of the authentication subject and the reference numerical data, and detect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numerical data corresponding to the smallest separation value, which is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calculated separation degrees. In addition, the separation calculation unit outputs the maximum separation degree, which is the largest value among the separation values calculated based on the reference numerical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numerical data of the authentication target, and the detect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eparation degree setting unit selects and outputs an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from the separation degree calculation unit among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s set for each individual in correspondence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uthentication subject. The authentication unit outputs an authentication permission signal when the maximum separation is smaller than the individual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ty rejection rate and the acceptance rate of others can be lowered by varying the standard of certification of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from the authentication based on the uniform standard.

Description

개인이격도에 의한 화상인증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faces by individual standard difference}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faces by individual standard difference

도 1은 종래의 화상인증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image authentication system;

도 2는 종래의 화상인증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인증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hentication process performed in a conventional image authentication system;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격도에 의한 화상인증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mag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dividual distan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격도에 의한 화상인증시스템에 구비되는 이격도설정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paration degree setting unit provided in the imag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격도에 의한 화상인증시스템에서 개인이격도를 이용하여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henticating using an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in an image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an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격도에 의한 화상인증시스템에서 개인이격도를 통계적인 방법에 의해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personal distance by a statistical method in an image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a personal d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개인이격도에 의한 화상인증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증여부의 판단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 기준이격도를 개인별 특성에 따라 차등있게 부여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화상인증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by differentially assigning a standard separation degree that is set as a criterion fo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It is about.

종래의 화상인증시스템은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의 신체 특정 부위를 연속해서 복수개 촬영한 후 각각의 영상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하나 또는 복수개의 수치데이터를 생성하여 등록한다. 다음으로, 종래의 화상인증시스템은 카메라 등을 통하여 입력되는 인증대상자의 화상데이터를 수치화한 후 등록되어 있는 기준수치데이터와 비교하여 두 데이터의 이격정도에 따라 인증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종래의 화상인증시스템은 인증대상자 전원에게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여 인증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종래의 인증시스템은 개인의 특성, 특정한 인증대상자의 중요도, 개인간 유사도 등에 대한 고려없이 인증여부에 대한 기준을 일률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본인거부률(False Reject Rate: FRR)과 타인수락률(False Accept Rate: FAR)이 실제와 부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 conventional image authentication system continuously photographs a plurality of specific body parts of a user registered in advance, extracts feature points from each image, and generates and registers one or a plurality of numerical data. Next, the conventional image authentication system digitizes image data of an authentication target input through a camera or the like and compares the image data with registered reference numerical data to determine whether to authenticate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egree of the two data. In this case, the conventional image authentication system determines whether to authenticate by applying the same criteria to all of the authentication target. Therefore, the conventional authentication system uniformly applies the criteria for certific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the importance of specific subjects, the similarity between individuals, etc., so that the False Reject Rate (FRR) and the False Accept Rate are others. : There is a problem that FAR) does not match the actual one.

종래기술의 화상인증시스템에서의 인증기준은 통제 등이 필요한 전원에게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하나의 수치화된 기준치가 된다. 이러한 시스템 및 방법하에서는 인증의 대상과 상황이 각기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를 반영하는 방법이 기준치를 전부 높이거나 혹은 낮추는 방법만을 취함으로서 타인임에도 거부되지 않거나 본인임에도 거부되는 경우가 생긴다. 특히 광학적센서가 초정밀하지 않은 경우, 상황변화가 다른 사람보다 심한 경우, 비밀취급이 필요한 공간이므로 엄격한 인증기준이 요구되는 경우, 대상적용자마다 중요도의 차이가 있는 경우 등의 상황에서 이러한 문제의 발생가능성이 높다.The authentication standard in the image authentication system of the prior art becomes one numerical reference value that is uniformly applied to a power source that requires control or the like. Under such systems and methods, although the subjects and circumstances of authentication are different, the method of reflecting them may only be raised or lowered in the standard, thereby being rejected by the other person or by the user. In particular, if the optical sensor is not very precise, if the situation changes more severely than others, it is a space that needs to be treated as a secret. Therefore, such a problem may occur in situations where strict certification criteria are required,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importance among the target users. This is high.

결과적으로, 종래의 인증시스템의 구성에 따르면 인증이 필요한 모든 사람에 대한 완벽한 인증성공률을 보장하기 위해서 기준치를 낮추면 타인거부률이 함께 낮아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며, 반대로 타인거부률을 높이기 위해서 인증기준을 높이면 이와 동반하여 인증되어야 할 이용자들의 본인거부률이 함께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authentication system, lowering the standard value in order to guarantee perfect authentication success rate for everyone who requires authentication results in lowering the rejection rate. Increasing the standard raises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rejection rate of users to be authenticated.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의 인증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및 인증방법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 and 2 are each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authentication system and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metho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인증시스템(100)은 데이터생성부(110), 저장부(120), 인증부(130) 및 통제기기(140)로 이루어진다.1 and 2, the conventional authentication system 100 includes a data generation unit 110, a storage unit 120, an authentication unit 130, and a control device 140.

데이터 생성부(110)는 화상입력장치인 카메라 등으로부터 입력받은 화상을 기초로 얼굴구성요소들간의 거리와 픽셀의 분포값 등과 같은 얼굴영역의 특징점을 수치화한 수치데이터를 생성한다(S200). 또한 데이터 생성부(110)는 선택적으로 화상입력장치 등을 통해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필터링 하거나 윤곽선을 강조하는 등 필요한 부분만으로 데이터화하기 위한 사전과정인 전처리과정을 수행한다.The data generating unit 110 generates numerical data obtained by quantifying feature points of a face region, such as a distance between face components and a distribution value of pixels, based on an image input from a camera, which is an image input apparatus (S200). In addition, the data generating unit 110 optionally performs a preprocessing process, which is a preliminary process for converting the image data input through an image input device or the like into only necessary parts such as emphasizing the outline.

저장부(120)에는 인증이 필요한 개인들의 비교기준이 될 화상이 수치데이터화되어 저장된다.The storage 120 stores numerical images of images to be compared criteria of individuals requiring authentication.

인증부(130)는 데이터생성부(110)로부터 제공받은 수치데이터와 저장부(120)로부터 독출한 대상자의 비교기준이 되는 기준수치데이터와의 차이인 이격도를 산출한다(S210). 또한 인증부(130)는 산출한 이격도와 전원에게 공통되는 인증기준인 기본이격도를 비교하여(S220) 인증대상자에 대한 인증여부를 외부통제기기(140)로 출력한다(S230).The authentication unit 130 calculates a separation degree that is a difference between the numerical data provided from the data generating unit 110 and the reference numerical data serving as a comparison standard of the target person read from the storage unit 120 (S210). 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unit 130 compares the calculated gap and the basic gap which is the authentication standard common to the power supply (S220), and outputs whether to authenticate the authentication target to the external control device 140 (S230).

통제기기(140)는 출입문, 금융입출금기, 모니터, 금고 등에 장착된 개폐장치 등을 의미하며, 인증부(130)로부터 인증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받아 장치의 개폐를 제어한다.The control device 140 refers to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mounted on a door, a financial teller machine, a monitor, a safe, and the like, and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authentication from the authentication unit 130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evice.

이와 같이 종래의 화상인증시스템 및 인증방법에 의할 경우 모든 인증대상자들을 일률적인 기준에 의해 인증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개인의 특성 등이 인증과정에 전혀 반영되지 않는다. 따라서 모든 인증대상자에 대한 원활한 인증을 위해서는 인증허용기준을 비 현실적으로 낮추어야 하는 문제가 존재하며, 이 경우 타인임에도 거부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한다. 또한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에 대한 인증거부률을 높이기 위해 인증허용기준을 높이면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아 결과적으로 본인인증률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mage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all the subjects of authentication are determined based on a uniform standard, so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are not reflected at all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 Therefore, in order to smoothly authenticate all the certification subjec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ertification acceptance criteria must be lowered unrealistically. In addition, if the authentication allowance standard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authentication rejection rate for unregistered use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uthentication rate for the registered user is not achieved, resulting in a lower authentication rat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증의 기준이 되는 기준이격도를 개인별로 차등있게 부여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본인인증률을 높이고, 타인거부률을 현저히 낮추어 더욱 정확하고 합리적으로 운영되는 인증시스템과 인증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tandard gap to be the standard of certification for each individual to perform the certification process to increase the authentication rate, significantly lower the rate of rejection of others, and more accurately and reasonably operated authentication system and certification To provide a wa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인증의 기준이 되는 기준이격도를 개인별로 차등있게 부여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본인인증률을 높이고, 타인거부률을 현저히 낮추어 더욱 정확하고 합리적으로 운영되는 인증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를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hentication method that is more accurate and reasonably operated by increasing the personal authentication rate and significantly lowering the rate of rejection of others by performing a certification process by differentially giving a standard gap as a standard of authentication for each individual.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on on a computer is provided.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격도에 의한 화상인증시스템은 인증이 요구되는 인증대상자로부터 획득한 화상데이터를 수치화하여 수치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기준수치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 상기 데이터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수치데이터와 상기 제1저장부로부터 독출한 상기 기준수치데이터의 차이를 수치로 나타낸 이격도를 산출한 후, 상기 제1저장부로부터 상기 산출된 이격도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최소이격도에 해당하는 기준수치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수치데이터와 상기 인증대상자의 수치데이터를 기초로 산출된 이격도 중에서 가장 큰 값인 최대이격도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이격도 산출부; 상기 검출된 인증대상자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개인별로 설정되어 있는 개인이격도 중에서 상기 이격도산출부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개인이격도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이격도설정부; 및 상기 이격도 산출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최대이격도가 상기 이격도설정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개인이격도보다 작은 경우 인증허용신호를 출력하는 인증부;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imag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numerical data by digitizing the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authentication target to be authenticated; A first storage unit storing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and at least one reference value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fter calculating the separation degree numerically represen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erical data provided from the data generation unit and the reference numerical data read out from the first storage unit, the minimum value which is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calculated separation degrees from the first storage unit Detec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egree, the maximum separation degree, which is the largest value of the separation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reference valu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numerical data of the authentication subject And a separation degree calculator for outputting the dete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dete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ubject of authentication, the personal separation degre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from the separation degree calculation unit is selected and output from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set for each individual in correspondence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Spacing degree setting unit; And an authentication unit outputting an authentication permission signal when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provided from the separation degree calculation unit is smaller than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provided from the separation degree setting unit.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격도에 의한 화상인증방법은,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기준수치데이터가 저장되는 수치데이터저장단계;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상기 개인이격도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개인이격도설정단계; 인증이 요구되는 인증대상자의 화상데이터를 획득하여 수치화하는 수치데이터룰 생성하는 수치데이터생성단계; 상기 입력된 수치데이터와 하나 이상의 상기 기준수치데이터와의 차이를 수치로 나타낸 이격도를 산출하는 이격도산출단계; 상기 산출된 이격도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최소이격도에 해당하는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수치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수치데이터에 의한 산출된 상기 이격도 중 가장 큰 값인 최대이격도를 산출하는 최대이격도산출단계; 상기 최소이격도에 해당하는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개인이격도를 기준이격도로 설정하는 기준이격도설정단계; 상기 인증대상자의 상기 최대이격도가 상기 기준이격도보다 작은 경우 인증허용신호를 출력하는 인증단계;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the numerical data storing step of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registered user and one or more reference numerical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personal distance setting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personal distance of the user; A numerical dat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numerical data rules for acquiring and digitizing image data of an authentication subject who requires authentication; Calculating a separation degree numerically represen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numerical data and at least one reference numerical data; The maximum value which is the largest value among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by the reference value data and the generated numerical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separation degree that is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calculated separation degree and the generated numerical data Calculating a maximum separation degree calculating a separation degree; A reference interval setting step of setting the personal separation degre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separation degree as a reference separation distance; And an authentication step of outputting an authentication permission signal when the maximum separation degree of the authentication target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separation degree.

이에 의해, 인증대상자별로 차등있게 부여되는 인증기준인 개인이격도를 해당대상자를 인증하는 기준으로 설정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고 실질적인 인증을 수행하여, 본인 거부률 및 타인수락률을 낮출 수 있도록 하여 화상인증시스템을 더욱 정확하고 합리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Accordingly, by setting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which is an authentication standard that is differentially granted to each subject, as a criterion for authenticating the subject, a more accurate and practical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to lower the rejection rate and the acceptance rate of others. Can operate more accurately and reasonably.

본 발명에 따른 인증시스템은 출입통제, PC 보안, 휴대폰단말기 보안, 전자금융 서비스를 위한 개인인증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증시스템은 지문, 홍채, 얼굴 등 다양한 형태의 화상데이터를 사용자 인증을 위한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에 대한 정의를 기술한다.Th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access control, PC security, mobile terminal security, personal authentication for electronic banking services. 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various types of image data such as fingerprint, iris, and face as data for user authentication. Hereinafter, the definitions of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격도(difference from standard imaginal date and caputred imaginal date)는 획득된 인증대상의 수치데이터와 기 저장된 기준수치데이터와의 차이정도를 수치로 표현한 것이다. 기준이격도는 인증을 허용하는데 사용되는 인증비교기준값을 의미하며, 기준이격도가 낮을수록 엄격한 인증수행이 되고, 높을수록 여유로운 인증수행이 된다. 개인이격도는 개인의 특성에 따라 차등있게 부여되는 해당 개인만의 인증비교기준값를 의미하며, 기본이격도는 모든사람에게 공통되는 일률적인 인증비교기준값를 의미한다.The difference from standard imaginal date and caputred imaginal date is a numerical representation of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the acquired numerical data of the authentication target and the previously stored standard numerical data. The standard gap refers to the value of the certification comparison standard used to allow certification. The lower the standard gap is, the more rigorous the certification is, and the higher the margin is.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refers to the certification comparison standard value only for the individual give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and basic separation degree refers to the uniform certification comparison standard value common to all peopl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격도에 의한 화상인증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mag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dividual distan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격도에 의한 화상인증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mag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생성부(310)는 화상입력장치인 카메라 등으로부터 화상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화상에 대해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수치데이터를 생성한다. 이격도산출부(320)는 데이터생성부(310)로부터 수치데이터를 입력받고, 제1저장부(35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수치데이터를 독출하여 상호간의 차이를 수치로 나타낸 이격도를 산출한다. 또한 이격도산출부(320)는 산출된 이격도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최소이격도에 해당하는 기준수치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검출하여 이격도설정부(360)로 출력한다. 또한 이격도산출부(320)는 검출된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수치데이터와 인증대상자의 수치데이터를 기초로 산출된 이격도 중에서 가장 큰 값인 최대이격도를 인증부(330)로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3, the data generation unit 310 receives an image from a camera, which is an image input device, and performs numerical preprocessing on the received image. The spacing calculation unit 320 receives numerical data from the data generating unit 310, reads the reference numerical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350, and calculates the spacing between the numerical values. In addition, the spacing calculation unit 320 detec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data corresponding to the smallest spacing, which is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calculated spacing, and outpu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pacing setting unit 360. In addition,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320 outputs, to the authentication unit 330, the maximum distance, which is the largest value, among the distances calculated based on the reference numerical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numerical data of the authentication target.

이 때 인증대상자의 수치데이터와 해당 대상자의 기준수치데이터와의 이격도 중에서 최대값인 최대이격도를 기초로 하여 인증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은 최대이격도가 기준이격도보다 작은 경우만 허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인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ake more accurate authentication by allowing only the case where the maximum separation is smaller than the standard separation to determine whether to be certified based on the maximum separation, which is the maximum value, among the separation between the numerical data of the candidate and the reference numerical data of the target. Because.

이격도설정부(360)는 이격도산출부(320)로부터 입력받은 해당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개인이격도를 출력한다.The separation degree setting unit 360 outputs a personal separation degre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received from the separation degree calculation unit 320.

인증부(330)는 최대이격도가 개인이격도보다 작은 경우 인증허용신호를 출력하고, 최대이격도가 개인이격도보다 큰 경우 인증거부신호을 출력한다. 이 때, 인증부(330)는 이격도산출부(320)로부터 최대이격도를 입력받고, 이격도설정부(360)로부터 인증대상자에 대응하는 개인이격도를 입력받는다.The authentication unit 330 outputs an authentication permission signal when the maximum separation degree is smaller than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and outputs an authentication rejection signal when the maximum separation degree is larger than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At this time, the authentication unit 330 receives the maximum distance from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320, and receives the individual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target from the distance setting unit 360.

이러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기존의 일률적인 기준에 의한 인증에서 벗어나 개인적인 특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기준을 달리함으로써 본인 거부률을 낮추고, 타인 수락률을 낮출 수 있게 된다.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lower the rejection rate of the person and lower the acceptance rate of others by changing the standard so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can be reflected from the existing uniform standard authentica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격도에 의한 화상인증시스템에 구비되는 이격도설정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paration degree setting unit provided in the imag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이격도설정부(360)는 데이터입력부(410), 제2저장부(420),갱신부(430), 시스템인터페이스(440) 및 제어부(45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distance setting unit 360 includes a data input unit 410, a second storage unit 420, an update unit 430, a system interface 440, and a controller 450.

데이터입력부(420)는 운영자로부터 사용자의 식별정보,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개인이격도, 개인이격도 설정의 한계치인 최대허용이격도와 최소허용이격도 및 이격도 변경주기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값들은 인증시스템의 운영방침, 대상 자의 중요도, 인증공간의 중요도 등을 바탕으로 임의적으로 정할 수 있는 값이다. 예를 들어 회사의 간부에게는 자유로운 출입보장을 위해 좀 더 큰 개인이격도를 설정할 수 있고, 비밀 등을 취급하는 대상자의 경우 엄격한 인증을 위하여 해당 개인이격도를 낮추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통계적인 결과에 의해 본인거부률이 높은 사용자의 경우는 좀 더 높은 개인이격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타인거부률이 낮은 사용자의 경우 해당 사용자의 개인이격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The data input unit 420 receives a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 individual separ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 maximum allowable separation, a minimum allowable separation, and a change interval of the separation, which are limits of the personal separation setting. These values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based on the operation policy of the certification system, the importance of the subject, and the importance of the certification space. For example, the executives of the company can set a larger personal distance to ensure free access, and in the case of subjects dealing with secrets, lower the individual distance for strict authentica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results, a user with a high self-denial rate can set a higher personal separation rate, and a user with a low-denial rate of denial can set a low personal separation level of the user.

제2저장부(420)에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개인이격도가 저장된다. 또한, 제2저장부(420)에는 인증부(330)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이격도보다 작아 인증허용된 결과허용이격도가 저장된다. 인증시마다 저장되는 결과허용이격도는 데이터입력부(410)를 통하여 입력된 소정의 이격도변경주기에 해당하지 않으면 기존의 개인이격도를 유지하면서 제2저장부(420)에 저장된다. 제2저장부(420)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이격도는 갱신부(430)에서 통계적 방법에 의하여 연산된 결과에 의해 갱신된다. 즉, 갱신부(430)는 데이터입력부(410)를 통하여 입력된 소정의 갱신주기(예를 들면, 1주)에 해당하면 제2저장부(420)에 저장되어 있는 결과허용이격도의 빈도수를 산출하고, 제2저장부(420)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이격도를 최대빈도수를 가지는 결과허용이격도로 갱신한다. 인증이 허용된 경우만으로 한정된 최대이격도인 결과최대이격도의 빈도수를 개인이격도의 갱신에 반영함으로써 실질적인 기준에 의한 인증에 가까워지도록 합리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최대빈도수의 결과최대이격도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가장 높은 빈도수를 가지는 빈도수를 가지는 결과최대이격도가 복수개인 경우, 갱신부(440)는 인접한 복수개의 결과최대이격도의 빈도수를 합하여 중간최대빈도수를 산출하고, 중간최대빈도수 산출의 기초가 된 결과최대이격도 중 어느 하나를 개인이격도로 갱신한다.The second storage unit 420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individual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 addition, the second storage unit 420 is stored less than the individual clearance provided from the authentication unit 330, the result allowed clearance is stored. The result allowable interval stored at each authentication i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420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individual interval if the interval does not correspond to the predetermined interval change period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unit 410. The individual distanc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420 is updated by the result calculated by the statistical method in the update unit 430. That is, the update unit 430 calculates the frequency of the result allowable separation degre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420 when i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update period (for example, one week)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unit 410. Then, the individual distanc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420 is updated to the result allowable distance having the maximum frequency. It is possible to operate reasonably close to the certification based on the actual criteria by reflecting the frequency of the resultant maximum separation degree, which is the maximum separation degree limited only when the authentication is allowed, in the update of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resultant maximum spacing of the maximum frequency,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esult maximum spacings having a frequency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the updater 440 calculates the median maximum frequency by adding the frequencies of a plurality of adjacent result maximum spacings, Update any of the resulting maximum spacings, which are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median maximum frequency, to the individual spacing.

한편, 개인이격도의 갱신시 최대빈도수의 결과최대이격도가 운영자가 설정한 개인이격도 설정허용값인 최대허용이격도 및 최소허용이격도와 동일하면 소정의 보정값(예를 들면, 0.1)를 감하거나 가하여 조정한 값을 새로운 개인이격도로 갱신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ximum frequency is the same as the maximum allowable and minimum allowable distances, which are set by the operator, as a result of the maximum frequency when the individual distance is updated, the predetermined correction value (for example, 0.1) is reduced or added. Update a value to a new personal separation.

제어부(450)는 데이터입력부(410)로부터 입력받은 값들을 제2저장부(420)에저장하고 이격도산출부(320)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개인이격도를 제2저장부(420)로부터 독출하여 시스템인터페이스(440)를 통하여 인증부(320)로 출력한다. The control unit 450 stores the values received from the data input unit 410 in the second storage unit 420 and stores the personal separation degre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received from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320. Read from the) and outputs to the authentication unit 320 through the system interface 44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격도에 의한 화상인증시스템에서 개인이격도를 이용하여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henticating using an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in the imag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1저장부(350)에는 인증의 비교기준인 등록된 사용자의 두 개 이상 복수의 기준수치데이터가 저장된다(S510). 기준수치데이터는 본인임이 확인된 등록된 사용자들에 대해 정해진 화상을 전처리하여 수치화한 것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storage unit 350 stores two or more pieces of reference numerical data of registered users, which are comparison criteria of authentication (S510). The reference numerical data means that the image defined for the registered users whose identity has been verified is preprocessed and digitized.

이격도설정부(360)는 데이터입력부(420)를 통하여 운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이와 연계되어 있는 개인이격도를 입력받는다(S520).The distance setting unit 360 receives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ndividual distance associated with the user from the operator through the data input unit 420 (S520).

데이터생성부(310)는 카메라 혹은 광학단말기 등을 통하여 획득한 이용자의 화상을 전처리하여 수치화한 수치데이터를 생성한다(S530). 이격도산출부(320)는 생성된 수치데이터를 저장되어 있는 모든 기준수치데이터와 비교하여 이격도를 산 출한다(S540). 만약 저장되어 있는 모든 인증대상자가 100명이고, 해당 대상자마다 기준데이터가 다섯개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면, 이격도산출부(320)는 현재 인증이 진행되는 대상자의 수치데이터에 대해 500개의 이격도를 산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격도산출부(320)는 산출된 이격도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최소이격도를 산출하며, 최소이격도에 해당하는 기준수치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이격도 중 가장 큰 최대이격도를 산출한다(S550).The data generation unit 310 generates numerical data obtained by preprocessing the image of the user acquired through a camera or an optical terminal (S530). The spacing calculation unit 320 calculates the spacing by comparing the generated numerical data with all stored reference numerical data (S540). If all of the stored subjects are 100, and each of the subjects has five pieces of reference data stored therein,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320 calculates 500 separations for the numerical data of the subject currently being authenticated. do. Next,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320 calculates the minimum distance, which is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calculated distances, and the largest maximum distance amo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numerical data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distan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To calculate (S550).

이상의 과정에서 최소이격도는 인증대상자의 수치데이터와 가장 일치도가 높은 기준데이터에 의해 산출된 값이므로, 해당 기준데이터에 대응하는 등록된 사용자를 인증대상자로 가정한다. 이어서, 최소이격도에 대응하는 식별정보를 가진 등록된 사용자의 기준수치데이터들과 인증대상자의 수치데이터에 의해 산출된 이격도 중에서 가장 큰 값인 최대이격도를 산출하고, 이를 인증을 위한 기준이격도와 비교한다. 검출된 사용자의 식별정보는 개인이격도 독출을 위하여 이격도설정부(360)로 제공되고 최대이격도는 인증을 위하여 인증부(330)로 제공된다.In the above process, since the minimum distance is calculated by reference data having the highest agreement with the numerical data of the authentication subject, it is assumed that the registered user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data is the authentication target. Subsequently, a maximum separation degree, which is the largest value among the separation values calculated by the reference numerical data of the registered user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separation degree and the numerical data of the authentication subject, i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separation degree for authentication. The detect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separation degree setting unit 360 for reading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and the maximum separation degree is provided to the authentication unit 330 for authentication.

이격도설정부(360)는 이격도산출부(320)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개인이격도를 선택하여 인증부(330)로 출력한다(S560).The separation degree setting unit 360 selects an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from the separation degree calculation unit 320 and outputs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to the authentication unit 330 (S560).

인증부(330)는 이격도설정부(360)로부터 입력받은 개인이격도와 이격도산출부(320)로부터 입력받은 최대이격도를 비교한다(S570). 만약, 최대이격도가 개인이격도보다 작으면, 인증부(330)는 인증허용신호를 출력한다(S580). 이와 달리, 최대이격도가 개인이격도보다 크면 인증부(330)는 인증거부신호를 출력한다(S590). 외부통제기기, 예를 들어 출입문제어장치, 근태관리장치, 금고, 현금입출금기 등의 개폐장치 등은 인증허용 또는 인증거부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The authentication unit 330 compares the individual separation received from the separation setting unit 360 with the maximum separation received from the separation calculation unit 320 (S570). If the maximum distance is less than the individual distance, the authentication unit 330 outputs an authentication permission signal (S580). In contrast, if the maximum separation degree is greater than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the authentication unit 330 outputs an authentication rejection signal (S590). An external control device, for example, an access control device, time and attendance control device, a safe box, and an opening / closing device such as a cash dispenser, performs an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an authorization permission or an authorization rejection signal.

이격도의 기본값을 설정함에 있어서, 일부 대상자에 대해 공통의 기준이격도를 부여하면 종래의 일률적인 기준이격도에 의한 인증과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격도에 의한 인증이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표 1에는 개인이격도에 의한 인증에 사용되는 제1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기재되어 있다.In setting the default value of the separation degree, if a common reference spacing is given to some subjects, the conventional authentication based on the uniform reference spacing and the authentication by the individual spac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Table 1 lists the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used for authentication based on individual distance.

등록자 registrant 식별정보  Identification Information 기준수치데이터  Standard numerical data  naze 0001 0001 a1,a2,a3...  a1, a2, a3 ...  of 0002 0002 b1,b2,b3...  b1, b2, b3 ...  bottle 0003 0003 c1,c2,c3...  c1, c2, c3 ... .....  ..... ....  .... ....  ....

인증대상자의 수치데이터 "A"가 데이터생성부(310)로부터 입력되면, 이격도 산출부(320)부는 제1저장부(350)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기준수치데이터를 기초로 이격도와 최소이격도, 최소이격도에 해당하는 인증대상자의 이격도 중 최대이격도를 산출한다.When the numerical data "A" of the person to be authenticated is input from the data generation unit 310, the separation degree calculation unit 320 is based on all the reference numerical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350, and the minimum separation degree and minimum separation degree. Calculate the maximum separation among the separation degrees of the certification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egree.

표 2에는 이격도 산출부(320)에서 산출한 이격도와 최소이격도, 최대이격도가 기재되어 있다.Table 2 lists the spacing, the minimum spacing, and the maximum spacing calculated by the spacing calculator 320.

등록자 registrant 이 격 도 The price 최소이격도  Minimum separation 최대이격도  Separation  naze |a1-A|=0.52 |a2-A|=0.51 |a3-A|=0.56  | A1-A | = 0.52 | a2-A | = 0.51 | a3-A | = 0.56 0.51    0.51 0.56    0.56  of |b1-A|=0.79 |b2-A|=0.87 |b3-A|=0.83  B1-A | = 0.79 | b2-A | = 0.87 | b3-A | = 0.83  bottle .....  ..... .......... .....  .....

이격도산출부(320)는 인증대상자의 수치데이터 A와 저장되어 있는 기준수치데이터와의 차이인 이격도(|a1-A|,|a2-A|,|a3-A|,|b1-A|,|b2-A|...)를 산출한다. 이격도는 소수점이하 3자리를 반올림하여 소수점이하 2자리의 숫자로 나태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도산출부(320)는 산출된 이격도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최소이격도(|a2-A|=0.51)를 구한 후, 최소이격도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식별정보(0001)를 검출하여 이격도설정부(360)로 출력한다. 한편, 이격도산출부(320)는 최소이격도에 해당하는 기준수치데이터 a2의 대상자인 갑(식별정보 0001)에 대응하는 이격도 0.52,0.51,0.56...중에서 가장 큰 값인 0.56을 최대이격도로 설정하여 인증부(330)로 출력한다. 이격도설정부(360)는 입력받은 사용자의 식별정보인 0001에 해당하는 개인이격도 0.57를 인증부(330)로 출력한다. 인증부(330)는 이격도산출부(320)로부터 입력받은 최대이격도값인 0.56과 이격도설정부(360)에서 입력받은 개인이격도인 0.57를 비교하여 최대이격도가 개인이격도보다 작은 경우이므로 인증허용신호를 출력한다. 인증이 허용된 최대이격도는 결과최대이격도로서 제2저장부(450)에 저장되며 추후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개인이격도를 갱신하는 기초자료로 이용된다. The separation degree calculation unit 320 separates the separation degree (| a1-A |, | a2-A |, | a3-A |, | b1-A |,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the numerical data A of the authentication subject and the stored reference numerical data). | B2-A | ...) is calculated. The separation degree is preferably rounded to three digits after the decimal point to two digits after the decimal point. The spacing calculation unit 320 obtains the smallest spacing (| a2-A | = 0.51), which is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calculated spacings, and then detec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0001)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spacing and sets the spacing degree setting unit 360. Will output Meanwhile,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320 sets 0.56, which is the largest value among the separation distances 0.52, 0.51, 0.56, corresponding to the head (identification information 0001) that is the target of the reference numerical data a2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distance, to set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Output to the authentication unit 330. The separation degree setting unit 360 outputs the personal separation degree 0.57 corresponding to 0001, which i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authenticator 330. The authentication unit 330 compares 0.56, which is the maximum separation value input from the separation calculation unit 320, and 0.57, which is the individual separation input received from the separation setting unit 360, so that the maximum separation degree is smaller than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Output The maximum separation allowed by the authentication i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450 as a result maximum separation degree and is used as a basic data for updating the personal separation degree corresponding to the user later.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인증시스템에서 개인이격도를 통계적인 방법에 의하여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updating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by a statistical method in the imag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입력부(420)를 통해 최대허용이격도, 최소허용이격도 및 이격도 변경주기 등을 포함하는 초기값을 입력받는다(S610). 이격도는 수치가 클수록 기준화상데이터와 차이가 큼을 의미하므로, 최대허용이격도는 개인이격도를 설정함에 있어 인증을 허용할 수 있는 가장 여유로운 기준수치가 되며, 반대로 최소허용이격도는 가장 엄격한 기준수치로 운영자가 임의로 정할 수 있는 초기설정값이다.Referring to FIG. 6, an initial value including a maximum allowable separation degree, a minimum allowable separation degree, and a separation period change period is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unit 420 (S610). The larger the gap, the larger the difference from the reference image data, so the maximum allowable gap is the most relaxed baseline that allows for authentication in setting the individual gap, while the minimum allowable gap is the strictest baseline. Initial setting value that can be set arbitrarily.

이격도산출부(320)는 데이터생성부(310)로부터 입력받은 인증대상자의 수치테이터와 제1저장부(350)로부터 입력받은 기준수치데이터를 기초로 두 데이터의 차이값인 이격도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이격도산출부(320)는 산출된 이격도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최소이격도를 구하고, 최소이격도에 해당하는 기준수치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검출하여 이격도설정부(360)로 출력한다. 이격도 설정부(360)는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대상자의 개인이격도를 인증부(330)로 출력한다. 이와 함께 이격도산출부(320)는 최소이격도에 해당하는 기준수치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모든 기준수치데이터와 인증대상자의 수치데이터와의 차이인 이격도 중에서 가장 큰 값인 최대이격도를 인증부(330)로 출력한다. 인증부(330)는 이격도산출부(320)로부터 입력받은 최대이격도를 이격도설정부(360)로부터 입력받은 개인이격도와 비교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한다(S620). 제어부(430)는 이격도산출부(320)로부터 입력받은 최대이격도가 개인이격도보다 작아 인증이 허용된 결과최대이격도를 매 인증시마다 제2저장부(450)에 저장한다(S630). 이러한 결과최대이격도는 소수 세번째 자리에서 올림하여 소수 두번째자리를 갖는 값으로 정해진다. 갱신부(440)는 운영자로부터 입력받은 소정의 이격도변경주기(예를 들면,1주)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680), 해당하지 않으면 기존의 개인이격도를 유지한다(S650). 최초의 개인이격도는 개인별 특성을 차후에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본이격도와 동일수치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acing calculation unit 320 calculates a spacing degree that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data based on the numerical data of the authentication subject received from the data generating unit 310 and the reference numerical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storage unit 350. Next, the spacing calculation unit 320 obtains the minimum spacing, which is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calculated spacing, detec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numerical data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spacing, and outpu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pacing setting unit 360. The separation degree setting unit 360 outputs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of the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authenticator 330. In addition,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320 transmits the maximum separation degree, which is the largest value, among the separation values that are the difference between all the reference value data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numerical data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separation degree and the numerical data of the authentication subject, to the authenticator 330. Output The authentication unit 330 performs the authentication process by comparing the maximum separation degree input from the separation degree calculation unit 320 with the individual separation input from the separation degree setting unit 360 (S620). The control unit 430 stores the resultant maximum separation degree in the second storage unit 450 at each authentication time, as the maximum separation degree input from the separation degree calculation unit 320 is smaller than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so that authentication is allowed (S630). As a result, the maximum separation is rounded up to the third decimal place. The update unit 440 determines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separation degree change period (for example, one week) received from the operator (S680), otherwise maintains the existing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S650). The initial individual separation is preferably set to the same value as the basic separation in that individual characteristics can be reflected later.

이격도 변경주기에 해당하는 경우 갱신부(440)는 제2저장부(450)에 저장되어 있는 결과최대이격도들 중에서 가장 높은 빈도수를 가지는 결과최대이격도를 산출하고 이를 새로운 개인이격도로 갱신한다(S660). 인증이 허용된 경우만으로 한정된 최대이격도인 결과최대이격도의 빈도수를 개인이격도의 갱신에 반영함으로써 실질적인 기준에 의한 인증에 가까워지도록 합리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최대빈도수의 결과최대이격도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가장 높은 빈도수를 가지는 결과최대이격도가 복수개인 경우, 갱신부(440)는 인접한 복수개의 결과최대이격도의 빈도수를 합하여 중간최대빈도수를 산출하고, 중간최대빈도수 산출의 기초가 된 결과 최대이격도 중 어느 하나를 개인이격도로 갱신한다. 예를 들어, 결과최대이격도가 0.55인 경우가 50회, 0.56인 경우가 70회, 0.57인 경우가 70회, 0.58인 경우가 60회인 경우 이 때, 70회의 최대빈도수를 가지는 결과최대이격도가 0.56과 0.57로 복수개인 경우 결과최대이격도가 0.55인 경우와 0.56인 경우의 빈도수를 합하면 120회가 되고, 이것을 0.55 또는 0.56중의 하나인 0.56의 빈도수로 하고,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0.57의 빈도수와 0.58의 빈도수를 합한 130회의 빈도수를 0.57 또는 0.58중의 하나인 0.58의 결과최대이격도의 빈도수로 산출하고 그 중 최대빈도수의 결과최대이격도인 0.58을 개인이격도로 갱신한다. 만약 복수개의 최대빈도수를 가지는 결과최대이격도에 대해 상술한 과정을 거친 후에 동일한 최대빈도수가 발생하면, 동일한 방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최대빈도수를 가지는 최대이격도의 값을 이용하여 개인이격도를 갱신할 수 있다. If it corresponds to the separation interval change period, the update unit 440 calculates the result maximum separation degree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among the result maximum separation degree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450 and updates it to a new individual separation (S660). . It is possible to operate reasonably close to the certification based on the actual criteria by reflecting the frequency of the resultant maximum separation degree, which is the maximum separation degree limited only when the authentication is allowed, in the update of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resultant maximum spacing of the maximum frequency,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esultant maximum spacings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the updater 440 calculates the median maximum frequency by adding the frequencies of a plurality of adjacent resultant maximum spacings, and the median maximum frequency. Update any one of the maximum separations resulting from the calculation to the individual separation. For example, if the resultant maximum separation is 0.55, 50 times, 0.56 is 70 times, 0.57 is 70 times, 0.58 is 60 times, and the maximum frequency is 70 times. And the number of multiples of 0.57 are 120 times when the resulting maximum separation is 0.55 and 0.56, which is 120 times, which is 0.56, which is either 0.55 or 0.56, and the frequency of 0.57 and 0.58 by the same method. The sum of 130 frequencies is calculated as the frequency of resultant maximum separation of 0.58, which is either 0.57 or 0.58, and the resultant maximum distance of 0.58, which is the maximum frequency, is updated to individual separation. If the same maximum frequency occurs after the above-described process for the resultant maximum spacing having a plurality of maximum frequency numbers, the same method is repeatedly performed. In this way, the individual distance can be updated by using the value of the maximum distance having the maximum frequency.

최대빈도수가 복수개인 경우를 처리하는 또 다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소수두번째 자리를 유효자리수로 하여 저장되어 있는 결과최대이격도 0.57의 빈도수가 20회이고, 0.58의 빈도수가 40회이고 0.59의 빈도수가 30회,0.60의 빈도수가 40회라고 가정하면 0.51,0.52,0.53,0.54...로 저장되었던 이격도를 저장기본단위를 두배로 하여 빈도수를 산출한다. 즉, 소수 두번째 자리를 유효자리수로 하여 0.50, 0.52, 0.54, 0.56, 0.58 및 0.60와 같이 0.02단위별로 빈도수를 구하고, 그 중간의 최대이격도는 올림한 최대이격도의 빈도수로 한다. 따라서 0.57의 빈도수는 올림하여 0.58의 빈도수로 하고, 0.58의 결과이격도는 변동이 없도록 하면, 결과적으로 0.58의 분포도는 60회가 된다. 또한, 0.59의 빈도수는 올림하여 0.60의 빈도수로 하고, 0.60의 경우 변동이 없도록 하면 0.60의 빈도수가 70회가 된다. 이어서 최대빈도수를 가지는 결과최대이격도를 구하면, 최대빈도수는 70회이고, 최대빈도수에 대응하는 결과최대이격도는 0.60이 되어 0.60의 결과최대이격도가 당해 대상자의 개인이격도로 갱신된다. 이상의 과정을 수행한 후에도 최대빈도수를 가지는 결과최대이격도가 복수개인 경우, 다음 양의 정수배인, 즉,0.03단위별로 빈도수를 구하고 중간수치의 결과이격도는 올림하여 0.03단위별로 인증허용이격도의 빈도수를 구하는 방식으로 최대빈도수 가지는 결과최대이격도를 산출한다. Another way to handle the case of multiple maximum frequencies is as follows.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frequency of the maximum separation of 0.57 is 20 times, the frequency of 0.58 is 40 times, the frequency of 0.59 is 30 times, and the frequency of 0.60 is 40 times. Calculate the frequency by doubling the storage base unit from the spacing stored as, 0.52,0.53,0.54 ... That is, the frequency is determined by 0.02 units, such as 0.50, 0.52, 0.54, 0.56, 0.58, and 0.60, with the second decimal place as the significant digit, and the maximum distance in the middle is the frequency of the rounded up maximum distance. Therefore, if the frequency of 0.57 is rounded up to a frequency of 0.58, and the resulting separation of 0.58 is not changed, the distribution of 0.58 becomes 60 times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0.59 is rounded up to 0.60, and in the case of 0.60, if there is no change, the frequency of 0.60 is 70 times. Subsequently, when the resulting maximum spacing with the maximum frequency is obtained, the maximum frequency is 70 times, and the resulting maximum spacing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frequency is 0.60, and the resulting maximum spacing of 0.60 is updated to the individual spacing of the subject. Even after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if there is more than one resultant gap with the maximum frequency, the frequency of each of the following positive integers, that is, 0.03 units, is obtained, and the resultant distance of the intermediate value is rounded up to obtain the frequency of the authentication allowance gap by 0.03 units. In this way, the maximum number of frequencies yields the resulting maximum separation.

한편, 개인이격도의 갱신시 최대빈도수의 결과최대이격도가 운영자가 설정한 개인이격도 설정허용 상한값인 소정의 최대허용이격도와 개인이격도 설정허용 하한값인 소정의 최소허용이격도 사이에 존재하면(S680) 개인이격도를 해당 결과최대이격도로 갱신한다(S690). 이때, 결과최대이격도가 결과최대허용이격도와 동일하면 소정의 보정값(예를 들면, 0.1)을 감하고, 최소이격도와 동일하면 소정의 보정값을 가하여 조정한 값(예를 들면, 0.1)을 새로운 개인이격도로 갱신한다(S685). On the other hand, if the maximum frequency of the result of the maximum frequency at the time of updating the personal distance is present between the predetermined maximum allowable distance, which is the upper limit of the allowable personal distance setting, which is set by the operator, and the predetermined minimum allowable distance, which is the lower limit of the allowable setting of the personal distance, the personal distance is S680. Update the result to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S690). At this time, if the resultant maximum separation is equal to the resultant maximum allowable separation, the predetermined correction value (for example, 0.1) is subtracted. If the resultant maximum separation is the same as the minimum separation value, the adjusted value (for example, 0.1) is added by applying the predetermined correction value. Update to a new personal separation (S685).

이와같이 인증이 허용된 결과최대이격도를 기초로 통계적인 방법에 의하여 가장 높은 빈도수를 가지는 수치를 개인이격도의 갱신을 위한 데이터로 사용함으로써, 해당대상자를 인증함에 있어서 좀더 실질적인 기준을 인증의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다. 표 3에는 제2저장부(450)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기재되어 있다.Thus, by using the numerical value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as the data for updating the personal distance by the statistical method based on the maximum distance of the result allowed for authentication, more practical criteria can be applied as the standard of authentication in authenticating the relevant subject. Can be. Table 3 describes the data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450.

식별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 개인 이격도Individual separation 1회 결과최대이격도1 time maximum result 2회 최대결과이격도2 times maximum result separation 3회 최대결과이격도3 times maximum result separation .......... 00010001 0.570.57 0.540.54 0.550.55 0.510.51 .......... 00020002 0.540.54 0.500.50 0.520.52 0.490.49 .......... 00030003 0.610.61 0.670.67 0.410.41 0.480.48 ..........

이격도설정부(360)는 이격도산출부(320)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예를 들어,0001)가 입력되면 사용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개인이격도(예를 들어, 0.57)를 인증부(330)로 출력한다. 출력된 개인이격도(예를 들어,0.57)보다 인증대상자의 최대이격도(예를 들어 0.54)가 작으면 인증부(330)는 인증허용신호를 통제기기(340)로 출력한다. 이와 함께 인증부(330)는 인증허용된 결과최대이격도(예를 들어, 0.54)를 제2저장부(450)에 저장한다. 결과최대이격도는 데이터입력부(420)로부터 입력된 변경주기에 해당하면 저장되어 있는 결과최대이격도 중에서 최대빈도수에 해당하는 결과최대이격도가 개인이격도로 갱신된다.The separation degree setting unit 360 outputs a personal separation degree (for example, 0.57)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uthentication unit 330 whe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0001) is input from the separation degree calculation unit 320. do. If the maximum separation degree (for example, 0.54) of the authentication target is smaller than the output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for example, 0.57), the authentication unit 330 outputs the authentication permission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340. 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unit 330 stores the maximum allowed separation distance (for example, 0.54) in the second storage unit 450. If the resultant maximum separation degree corresponds to the change period input from the data input unit 420, the resultant maximum separation degre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frequency of the stored result maximum separation degree is updated to the personal separation.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O-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ny type of recording device that stores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O-ROM, magnetic tape, and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발명에 따른 개인이격도에 의한 화상인증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개인별 로 인증의 기준되는 인증기준이격도를 달리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인증방법에서 문제가 되었던 대상자 모두를 인증하기 위하여 전체적인 기준을 낮추어 타인수락률 또한 높아지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인이격도를 통계적인 방법으로 산출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개인의 실질적이고 합리적인 이격도의 기준을 갱신할 수 있도록 하여 계속하여 인증대상자의 변화상황을 효율적으로 반영하여 진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운영자의 운영지침에 의하여 개인이격도에 의한 기준이 필요한 대상자와 해당 대상자에 대한 개인이격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출입이 좀 더 자유로와야 하는 경우 또는 반대로 출입이 더욱 엄격해야 하는 경우에 따라 운영자가 직접 그 기준이격도를 부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유연하고 정확한 화상인증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ag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according to the invention, by allowing the individual to set different standards of authentication standard gap of authentication by individual, lowering the overall standard in order to authenticate all the subjects that have been a problem in the conventional authentication method The rate can also effectively overcome the increasing problem.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in a statistical manner so that it is possible to update the standard of the actual and reasonable separation degree of the individual to continue to effectively evolve by reflecting the change situation of the subject. Furthermore, the operator's operating instructions allow the operator to set the individual distance for the person who needs the criteria according to the individual distance and the individual distance for the person, and also if the access should be more free or vice versa. By directly assigning and setting the standard separation degree, a more flexible and accurate image authentication system can be realized.

Claims (10)

인증이 요구되는 인증대상자로부터 획득한 화상데이터를 수치화하여 수치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A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numerical data by digitizing image data obtained from an authentication target for authentication;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준수치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A first storage unit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registered user and a plurality of reference numerical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상기 데이터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수치데이터와 상기 제1저장부로부터 독출한 상기 기준수치데이터의 차이를 수치로 나타낸 이격도를 산출한 후, 상기 제1저장부로부터 상기 산출된 이격도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최소이격도에 해당하는 기준수치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수치데이터와 상기 인증대상자의 수치데이터를 기초로 산출된 이격도 중에서 가장 큰 값인 최대이격도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이격도산출부;After calculating the separation degree numerically represen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erical data provided from the data generation unit and the reference numerical data read out from the first storage unit, the minimum value which is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calculated separation degrees from the first storage unit Detec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egree, the maximum separation degree, which is the largest value of the separation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reference valu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numerical data of the authentication subject And a separation degree calculation unit configured to out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user. 상기 검출된 인증대상자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개인별로 설정되어 있는 개인이격도 중에서 상기 이격도산출부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개인이격도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이격도설정부; 및Based on the dete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ubject of authentication, the personal separation degre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from the separation degree calculation unit is selected and output from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set for each individual in correspondence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Spacing degree setting unit; And 상기 이격도 산출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최대이격도가 상기 이격도설정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개인이격도보다 작은 경우 인증허용신호를 출력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인증시스템.And an authentication unit outputting an authentication permission signal when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provided from the separation degree calculation unit is smaller than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provided from the separation degree sett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격도설정부는,The separation degree setting unit, 운용자로부터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상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이격도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A user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and a personal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registered user information from an operator; And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상기 개인이격도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A second storage unit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and the personal distance; 상기 이격도산출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개인이격도를 상기 제2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인증시스템.And a control unit for reading out and outputting a personal separation degree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paration degree calculation unit from the second storage unit.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인증부는 상기 이격도산출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최대이격도 중에서 상기 이격도설정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개인이격도보다 작은 최대이격도인 결과최대이격도를 상기 이격도설정부로 출력하고,The authentication unit outputs the resultant maximum separation degree to the separation degree setting unit, which is a maximum separation degree smaller than the personal separation degree provided from the separation degree setting unit among the maximum separation degrees provided from the separation degree calculation unit, 상기 제2저장부에는 인증시마다 상기 인증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결과최대이격도 및 상기 사용자 인테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운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소정의 이격도변경주기가 저장되며, The second storage unit stores the resultant maximum separation degree provided from the authentication unit and a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change period input from the operator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every time the authentication is performed. 상기 이격도설정부는 상기 이격도변경주기마다 개인이격도를 상기 결과최대이격도 중에서 최대 빈도수의 결과최대이격도로 갱신하는 갱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인증시스템.And the separation degree setting unit further comprises an updating unit for updating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to the resultant maximum separation frequency of the maximum frequency among the resultant maximum separation degrees at each interval changing period.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갱신부는 상기 최대빈도수의 결과최대이격도가 복수개인 경우 인접한 복수개의 결과최대이격도의 빈도수를 합하여 중간최대빈도수를 산출하고 상기 중간최대빈도수 산출의 기초가 된 결과최대이격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개인이격도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인증시스템The update unit calculates the median maximum frequency by summing the frequencies of a plurality of adjacent resultant maximum spacing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esultant maximum spacings of the maximum frequency, and converts any one of the resultant maximum spacings as the basis of the intermediate maximum frequency count as the individual spacing. Image authent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updating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갱신부는 가장 높은 빈도수를 가지는 상기 결과최대이격도가 상기 개인이격도의 상한값인 최대허용이격도인 경우 소정의 보정값을 감하고, 가장 높은 빈도수를 가지는 상기 결과최대이격도가 상기 개인이격도의 하한값인 최소허용이격도인 경우 소정의 보정값을 가하여 상기 개인이격도로 설정하며,The updating unit subtracts a predetermined correction value when the resultant maximum spacing with the highest frequency is the maximum allowable spacing, which is the upper limit of the individual spacing, and the minimum allowable result with the highest frequency is the lower limit of the personal spacing. In the case of the separation degree, a predetermined correction value is applied to set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상기 최대허용이격도와 상기 최소허용이격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운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인증시스템. And the maximum allowable distance and the minimum allowable distance are input from the operator through the user interface.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준수치데이터가 저장되는 수치데이터저장단계;A numerical data storage step of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registered user and a plurality of reference numerical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상기 개인이격도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개인이격도설정단계;A personal distance setting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personal distance of the user; 인증이 요구되는 인증대상자의 화상데이터를 획득하여 수치화하는 수치데이터룰 생성하는 수치데이터생성단계;A numerical dat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numerical data rules for acquiring and digitizing image data of an authentication subject who requires authentication; 상기 입력된 수치데이터와 하나 이상의 상기 기준수치데이터와의 차이를 수치로 나타낸 이격도를 산출하는 이격도산출단계;Calculating a separation degree numerically represen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numerical data and at least one reference numerical data; 상기 산출된 이격도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최소이격도에 해당하는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수치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수치데이터에 의한 산출된 상기 이격도 중 가장 큰 값인 최대이격도를 산출하는 최대이격도산출단계;The maximum value which is the largest value among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by the reference value data and the generated numerical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separation degree that is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calculated separation degree and the generated numerical data Calculating a maximum separation degree calculating a separation degree; 상기 최소이격도에 해당하는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개인이격도를 기준이격도로 설정하는 기준이격도설정단계;A reference interval setting step of setting the personal separation degre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separation degree as a reference separation distance; 상기 인증대상자의 상기 최대이격도가 상기 기준이격도보다 작은 경우 인증허용신호를 출력하는 인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인증방법.And an authentication step of outputting an authentication permission signal when the maximum separation degree of the authentication target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separation degre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개인이격도설정단계는,The personal distance setting step, 운영자로부터 이격도 변경주기를 입력받는 갱신환경입력단계;An update environment input step of receiving a separation rate change cycle from an operator; 상기 인증대상자에 대해 산출된 상기 최대이격도 중에서 상기 인증대상자에 대응하는 상기 개인이격도보다 작은 상기 최대이격도인 결과최대이격도를 저장하는 결과최대이격도저장단계;A result maximum distance storing step of storing a resultant maximum separation degree which is the maximum separation degree smaller than the personal separation degree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subject among the maximum distance degrees calculated for the authentication subject; 상기 이격도 변경주기에 도달하면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결과최대이격도 중에서 빈도수가 가장 높은 이격도로 상기 개인이격도를 갱신하는 개인 이격도갱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인증방법.And a personal separation degree updating step of updating the individual separation degree with the highest spacing frequency among the resultant maximum separation degrees stored in the storage means when the separation degree change period is reached.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개인이격도갱신단계는 상기 최대빈도수의 결과최대이격도가 복수개인 경우 인접한 상기 복수개의 결과최대이격도의 빈도수를 합하여 중간최대빈도수를 산출하고 상기 중간최대빈도수 산출의 기초가 된 상기 결과최대이격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개인이격도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인증방법.In the step of updating the individual spacing,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esultant maximum spacings of the maximum frequency, the frequency of the plurality of adjacent resultant maximum spacings is added to calculate a median maximum frequency and any one of the resultant maximum spacings which is the basis of the calculation of the median maximum frequency. Image authent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updating to the individual distance.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개인이격도갱신단계는,The personal separation degree update step, 상기 개인이격도의 상한값인 최대허용이격도와 개인이격도 하한값인 최소허용이격도를 입력받은 갱신허용범위입력단계;An update allowance range input step of receiving a maximum allowable gap, which is an upper limit of the individual gap, and a minimum allowable gap, which is a lower limit of the individual gap; 상기 최대빈도수의 결과최대이격도가 상기 최대허용이격도인 경우 소정의 보정값을 감하고, 상기 최소허용이격도인 경우 소정의 보정값을 가하는 보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인증방법.And a correction step of subtracting a predetermined correction value when the resultant maximum separation degree is the maximum allowable separation degree and applying a predetermined correction value when the maximum allowable separation degree is the maximum allowable separation degree. 제 6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인증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image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records a program for execution on a computer.
KR1020050033164A 2005-04-21 2005-04-21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faces by individual standard difference KR1007076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164A KR100707689B1 (en) 2005-04-21 2005-04-21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faces by individual standard differ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164A KR100707689B1 (en) 2005-04-21 2005-04-21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faces by individual standard differe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680A KR20060110680A (en) 2006-10-25
KR100707689B1 true KR100707689B1 (en) 2007-04-16

Family

ID=37616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164A KR100707689B1 (en) 2005-04-21 2005-04-21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faces by individual standard differ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68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253A (en) * 2000-09-19 2002-03-27 박지원 Image abstraction type apparatus for certifying a identity and method for certifying the identity using the same
KR20020057522A (en) * 2001-01-05 2002-07-11 조양호 Face-image recognition method of similarity measure using correlation
US6438251B1 (en) 1997-12-03 2002-08-20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processing image information and method of preventing forgery of certificates or the like
KR20030016521A (en) * 2001-08-21 2003-03-03 김정용 Id certification system using bar-code and face recogni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040042501A (en) * 2002-11-14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Face detection based on template match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8251B1 (en) 1997-12-03 2002-08-20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processing image information and method of preventing forgery of certificates or the like
KR20020022253A (en) * 2000-09-19 2002-03-27 박지원 Image abstraction type apparatus for certifying a identity and method for certifying the identity using the same
KR20020057522A (en) * 2001-01-05 2002-07-11 조양호 Face-image recognition method of similarity measure using correlation
KR20030016521A (en) * 2001-08-21 2003-03-03 김정용 Id certification system using bar-code and face recogni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040042501A (en) * 2002-11-14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Face detection based on template matc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680A (en) 200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7030B2 (en) Conditional and situational biometric authentication and enrollment
US7793109B2 (en) Random biometric authentication apparatus
US11716330B2 (en) Mobile enrollment using a known biometric
CN104683114B (en) Based on the identity identifying method of finger print information
CN110895689B (en) Mixed mode illumination for facial recognition authentication
US200602040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Marasco et al. Biometric multi‐factor authentication: On the usability of the FingerPIN scheme
KR20220115507A (en) method and system for seamless biometric system self-enrollment
Podio Personal authentication through biometric technologies
Priya et al. A novel algorithm for secure Internet Banking with finger print recognition
Raina Integr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procedure in customer oriented payment system in trusted mobile devices.
Lone et al. Smartphone-based biometric authentication scheme for access control management in client-server environment
KR1007076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faces by individual standard difference
US20200125705A1 (en)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n association of biometric information with a character-based password
Ameh et al. Securing cardless automated teller machine transactions using bimodal authentication system
US20230084042A1 (en) A method, a system and a biometric server for controlling access of users to desktops in an organization
US20200204377A1 (en) Digital notarization station that uses a biometric identification service
KR101988365B1 (en) Fac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US11997087B2 (en) Mobile enrollment using a known biometric
CN111222126B (en) Medical identity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block chain technology
Pandiaraja et al. An Overview of Joint Biometric Identification for Secure Online Voting with Blockchain Technology
KR20210025277A (en) Electronic terminal apparatus providing authority for secure document through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matching rate of face imag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link Who holds the key to IT security?
Rolfsøn An evaluation of authentication methods for solutions that require a high degree of both security and user-friendliness on mobile phones
Jagadiswary et al. Multimodal Biometric Fusion Using Image Encryption Algorith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