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901B1 - Mobile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Based On Text To Voice Converter - Google Patents

Mobile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Based On Text To Voice Conve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901B1
KR100705901B1 KR1020000038306A KR20000038306A KR100705901B1 KR 100705901 B1 KR100705901 B1 KR 100705901B1 KR 1020000038306 A KR1020000038306 A KR 1020000038306A KR 20000038306 A KR20000038306 A KR 20000038306A KR 100705901 B1 KR100705901 B1 KR 100705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xt
audio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3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04421A (en
Inventor
곽국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8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901B1/en
Publication of KR20020004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4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901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 혹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문자정보를 음성정보로도 서비스하기 위한 문자 및 음성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xt and voi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servicing text information provided to subscribers via wired or wireless network as voice information.

종래에는 서버가 제공하는 문자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희망하는 정보를 문자의 형태로 얻을 수 있었다.Conventionally, by receiving text information provided by a server and displaying it on a terminal, desired information can be obtained in the form of text.

본 발명은 서버에서 문자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단말기(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TV수상기)는 수신한 문자정보를 그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로 합성하여 출력하는 수단을 가지고 문자정보를 음성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에서 문자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음성정보로 가공하여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문자정보 및 음성정보를 재생하여 문자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그 문자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를 가청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서 문자신호와 음성신호의 출력제어, 동기화, 음성정보의 출력 진행의 속도제어를 수행하고, 음성정보에 대하여 하이퍼 링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ext information from a server, and the user's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V receiver) has a means for synthesizing the received text information into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ext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text information into voice information. To prin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cessed by the server with the tex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voice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reproduces the received text information and voice information to display the text information and the vo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xt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an audible signal and outpu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output control of the text signal and the voice signal, the synchronization, the speed control of the progress of the output of the voice information, and provides a hyperlink to the voice information.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정보 서비스장치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information service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텔레비젼을 위한 문자 및 음성정보 서비스 시스템{Mobile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Based On Text To Voice Converter}Text and voi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elevision {Mobile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Based On Text To Voice Converter}

도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서버 및 단말기의 개념도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er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청각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 블럭도4 is a server block diagram of an auditory informa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청각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에서 문자 및 음성정보의 가공처리 방법의 예5 is an example of a text and vo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 a server of an auditory informa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청각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도6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auditory informa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 제3실시예로서 청각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적용한 TV 수상기의 블럭도7 is a block diagram of a TV receiver to which the auditory information service system is appli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TV를 위한 문자 및 음성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xt and voi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V.

특히, 본 발명은 서버가 유선 혹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하는 문자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TV 수상기가 수신하여 그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로 합성하고, 이 합성된 문자정보 대응 음성신호를 단말기(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인테넷 TV수상기 등)에서 가청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유선 혹은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서버가 제공하는 문자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음성신호로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TV 수상기에 관한 것이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TV receiver receives text information provided by a serv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synthesizes the 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xt into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ext, and synthesizes the synthesized tex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ext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V receiver, which converts and outputs audible signals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or an Internet TV receiver, etc. so that text information provided by a server can be provided as a voice signal from a user terminal based on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t is about.

또한 본 발명은 서버가 유선 혹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문자정보와 함께 그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를 전송하고, 유선 혹은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서버가 제공하는 문자 및 음성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TV 수상기가 수신하여 음성신호를 가청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서버가 제공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문자 및 음성정보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 및 TV 수상기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vo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xt along with the text information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the mobile terminal or TV receiver to receive text and voic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rver based on the wired or wireless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erv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V receiver, which receive and convert an audio signal into an audible signal, thereby receiv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rver as text and voice information.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 가입자(단말기)를 위해서 기존의 음성통화 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등을 통한 다양한 콘텐츠 정보의 제공을 기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various content information is provided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terminal) through not only the existing voice call but also the Internet connection.

그러나, 휴대형인 무선 단말기는 휴대성을 높이기 위하여 소형 경량화되어 있고, 이러한 소형화에 따라 상기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디스플레이의 크기 또한 제한될 수 밖에 없다.However,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s small in size and light in order to increase portability, and according to the miniaturization, the size of the display for showing the information is inevitably limited.

따라서,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문자(이미지 등의 영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를 표현하는데에는 한 화면에 표현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제한되고,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충분한 내용 파악을 위해서 빈번하게 줄과 페이지를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Therefore,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can be represented on one screen is limited in expressing characters (which may include image information such as images) through the display of a small size. This is inconvenient to move the page.

상기한 불편함을 부분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에 보다 많은 정보가 표현될 수 있도록, 제공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소형이라는 점)에 맞춰서 재편집하고, 이 재편집한 정보를 가입자(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도 제안되고 있다.In order to partially solve the inconvenience, the information provided is re-edited in accordance with a portable terminal (small size) so that mor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a small sized display, and the re-edited information is read by a subscriber (terminal). A service to provide to people is also being proposed.

그러나, 이 경우에는 간략화된 문장표현으로 재편집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내용전달이 간단한 정보 서비스에는 적합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풍부한 내용전달이 요청되는 인터넷 서비스 등의 시스템에는 적용하기가 곤란하고, 또한 적용한다고 해도 공급자가 주관적 판단에 의해서 재편집한 정보이기 때문에 그 재편집된 정보가 원래의 정보내용을 충분하게 반영(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없었다.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information is re-edited with simplified sentence expression, it may be suitable for an information service that is simple in content delivery,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system such as an Internet service that requires relatively rich content delivery. In addition, even if applied, the information was re-edited by the subjective judgment, and thus, the re-edited information could not be regarded as sufficiently reflecting the original content.

더구나,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와 그 단말기가 문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신체적 능력을 갖춘 자를 위해서 제공되기 때문에,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서비스 대상에서 소외되기 쉽고, 또한 문자해독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사용자(문맹, 노인 등)의 경우에도 상기 서비스 대상에서 소외되기 쉽다(실질적으로 소외된 상태로 보아도 무방하다).Moreover, since the services of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terminal are provided for those with physical ability to identify texts, the visually impaired are easily alienated from the service target and cannot or cannot read texts (literacy). , Elderly, etc.) are also likely to be alienated from the service target (although they may be viewed as alienated in nature).

한편, 인터넷의 활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인터넷 접속기능을 TV수상기에 탑재한 인터넷 TV가 제안되어, 일반 가정에서도 TV수상기를 이용해서 인터넷 접 속과 정보검색 등의 각종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explosive increase in the use of the Internet, Internet TVs equipped with Internet access functions on TV receivers have been proposed, so that various services such as Internet access and information retrieval can be received using TV receivers in general homes.

그러나, 인터넷 TV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비하여 큰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그 대신 원거리에서 TV를 시청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된 인터넷 정보화면을 인식하기가 어렵고 집중력이 떨어져서 상세하게 문자를 읽어내기가 어렵다.However, the Internet TV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larger screen tha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instead of watching the TV from a long distance,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displayed Internet information screen and the concentration is low, and the text is read in detail. Is difficult.

또한, 인터넷 TV의 경우에도 시각적 정보 표현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시청각적 정보표현의 경우보다 집중력이나 정보에 대한 인지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고, 가족 등 다수가 모여서 여행이나 물건 구매와 같이 같은 목적으로 정보를 검색할 때, 여러가지 정보가 혼재하는 화면 중에서 공통된 부분의 정보를 공유해야 할 필요가 있지만 기존의 시각적 정보표현만으로는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어려웠다.In addition, Internet TV also relies only on visual information expression, so it is inevitably less concentrated and aware of information than in the case of audiovisual information expression, and a large number of family members gather to search for information for the same purpose, such as traveling or purchasing goods.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share information of a common part among the screens in which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are mixed, but it is difficult to satisfy such necessity only by the existing visual information expression.

본 발명은 유선 혹은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가입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기내에 문자정보를 그 문자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로 합성하여 가청신호로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문자의 형태로 제공되는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들을 시각은 물론 청각적으로도 서비스받을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TV수상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etwork-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subscriber based on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ncludes means for synthesizing text information into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ext information and outputting it as an audible signal.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V receiver to receive a variety of rich information provided in the form of visual and audio services.

또한 본 발명은 유선 혹은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가입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를 문자정보와 그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로 가공하여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 기에서 상기 문자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음성정보를 가청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에서 제공되는 문자 및 음성 정보들을 시청각적으로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한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 및 TV 수상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cessed by the server of the network-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subscriber based on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o process the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xt information and the vo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xt,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nd decoding vo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xt information, and converting and decoding the decoded voice information into an audible signal so that text and vo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a server of an information service system can be visually serviced. Provide ser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V receiv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버에서 제공하는 문자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된 문자정보를 그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로 합성하는 수단과, 상기 합성된 문자정보 대응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신호 출력수단과, 상기 문자정보 및 음성신호의 처리와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상기 문자정보 및 음성신호의 처리 및 출력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ext information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er, means for synthesizing the received text information into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ext, and a voice signal for outputting the synthesized 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voice signal. Output means,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processing and output of the text information and voice signal, and user interface means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for processing and output control of the text information and voice signal to the control means. 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버에서 문자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하여 가공하는 문자정보 가공처리수단과, 상기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하여 가공하는 음성정보 가공처리수단과, 상기 가공처리된 문자정보 및 음성정보를 동기화하여 가입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동기화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ext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for processing text inform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voic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for processing to service vo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xt, the processed text information and And a synchronization means for synchronizing voice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same to a subscriber.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버에서 제공하는 문자 및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된 문자정보를 디코딩하는 문자정보 디코딩수단과, 상기 음성정보를 디코딩하는 음성정보 디코딩수단과, 상기 문자정보 및/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문자정보 및 음성신호의 처리와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상기 문자정보 및 음성신호의 처리 및 출력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ext and voice information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er, text information decoding means for decoding the received text information, voice information decoding means for decoding the speech information, and the text information. And / or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processing and output of the text information and voice signal, and inputting a user command to the control means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the text information and voice sig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user interface means for.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가입자에게 정보를 서비스하는 시스템이 제공하는 문자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TV수상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V receiver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ext information provided by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subscriber based on a network, and synthesizing and outputting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ext.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문자정보와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를 가입자에게 서비스하는 서버로부터 문자정보와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문자를 디스플레이함과 함께 상기 문자 대응 음성정보를 가청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TV수상기를 제공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ext information and vo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text from a server serving text information and vo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text to a subscriber based on a network, and displays the text and the text corresponding voice information. Provides a TV receiver for converting the output into an audible signal.

상기한 바와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문자 및 음성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text and voi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본 발명을 적용하는 네트워크 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이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이고, 또 이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하는 문자정보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할 때, 이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의 단말기에 문자 및 음성정보를 서비스하는 경우를 실시예로써 설명한다.When the network-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ext information serviced by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based on the Internet, text and voice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terminal of the subscri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case is described as an example.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하는 네트워크 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이 TV 시스템이고, 이 TV 시스템에서 서비스하는 문자정보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할 때, 이 TV 시스템 가입자의 단말기가 TV수상기인 경우를 실시예로써 설명한다.In addition, a case where the network-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TV system and the terminal of the subscriber of the TV system is a TV receiver when the text information serviced by the TV system is based on the Internet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인터넷 시스템은 크게 나누어 볼 때, 서버와 네트워크 및 클라이언트로 구성 되어 있고, 여기서 서버는 인터넷 정보를 저장, 가공처리, 관리하면서 이 서버에 접속된 단말기(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한 정보를 보내준다.The Internet system is largely divided into a server, a network, and a client, where the server sends information requested from a terminal (client) connected to the server while storing, processing, and managing Internet information.

클라이언트는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가 되며, PCS나 셀룰러폰 등과 같은 휴대형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다.The client may be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y be a portabl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PCS or a cellular phone.

클라이언트(단말기)는 인터넷 주소와 하이퍼 링크를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존재하는 서버를 찾아서 그 서버로부터 희망하는 정보를 가져와서 여러가지 표현 방법(시,청각적 표현)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해 준다.The client (terminal) finds the server where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exists through the internet address and hyperlink, gets the desired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nd delivers it to the user through various expression methods (visual and audio expression).

네트워크는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 혹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로의 정보 전달의 통로를 형성하며,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약속된 통신규격인 프로토콜에 맞추어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한다.The network forms a passage of information transfer from the server to the client or the client to the server, and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a protocol, which is a promised communication standard between the server and the client.

그런데, 일반적으로 서버는 어떤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또 전달하기 위해서 정보를 적절한 형태로 가공하여 저장하는데, 예를 들면 문자로 이루어진 문서나, 그래픽 정보, 또는 실시간 영상 및 음성정보, 실행 프로그램 등의 형태로 정보를 가공하여 저장하고 또 이러한 정보들을 희망하는 사용자(단말기)에게 서비스해 준다.However, in general, the server processes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an appropriate form in order to express and transmit certain information more effectively, for example, a document composed of text, graphic information, or real-time video and audio information, an execution program, and the like. The information is processed into a form and stored, and the information is served to a desired user (terminal).

따라서, 단말기는 서버에 이미 가공되어 저장된 정보를 가져와서 사용자에게 표현해 줄 수 있는 기능을 가져야하고, 이를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정보의 디코딩수단과 디코딩된 결과를 표시해주기 위한 LCD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가지는 것이 대부분이다.Therefore, the terminal should have a function of bringing the information already processed and stored in the server and expressing it to the user. To this e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display means such as an LCD for displaying the decoded result and the decoded result. Most have.

그러나,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휴대성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이동통 신 단말기는 휴대의 편의성을 위해서 소형경량화 되어 있고, 이 것에 의해서 상기 서버로부터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해 주기 위한 디스플레이 등의 크기가 제한될 수 밖에 없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portability is compact and lightweight for convenience of portability, and the size of a display for deliver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to the user may be limited. There is no choice but to.

본 발명은 제한된 사이즈의 단말기 디스플레이가 가지는 정보 전달(인지)의 제약과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시각적 정보의 접근 방법 뿐만 아니라 청각적인 방법으로 서버로부터의 서비스 정보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limitations and inconveniences of information transfer (cognition) of the limited size terminal display, so that the access to the service information from the server can be made not only by the conventional visual information access method but also by the auditory method. do.

도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문자 및 음성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문자정보 위주로 서비스되는 경우에 적용된 제1실시예 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text and voi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first embodiment applied to service based on text information.

통상의 서버에서는 문자정보 위주로 서비스한다.In normal servers, the service is mainly based on character information.

이 문자정보(101)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클라이언트(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해서 가공처리된 정보이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단말기에게 제공된다.This character information 101 is information processed to provide to the client (terminal) as described above, and is provided to the terminal via the network.

문자정보(101)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용 단말기(102)에 입력되어 기존의 시각적 정보표현(103) 뿐만 아니라 청각적 정보표현(104)의 형태로 서비스된다.The text information 101 is input to the portable terminal 102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serviced in the form of the audio information representation 104 as well as the existing visual information representation 103.

이 것을 위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용 단말기(102)는 문자정보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은 물론, 상기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를 상기 문자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합성하는 음성합성수단을 가진다.To this end, the portable terminal 102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speech synthesis means for decompressing and displaying text information and synthesizing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ext based on the text information.

이 음성합성수단은 문자의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는 문자정보와 더불어, 그 문자(문장)를 단말기가 읽어준다고 그 의미를 해석하면 무난할 것이다.This speech synthesizing means will be safe if the terminal interprets the meaning that the character (sentence) is read by the terminal together with the character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orm of the character.

그리고, 시각적 정보표현을 포함하여, 청각적 정보표현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5)를 가진다.And a user interface 105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to the auditory information representation, including the visual information representa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5)는 상기 문자정보를 음성신호로 합성(변환)하고 또 그 것을 출력하는데 관련된 명령들과, 상기 문자정보가 하이퍼 링크를 포함하고 있을 때 그 것을 표현해 주거나 또는 연결하는데 관련된 명령들을 휴대용 단말기(102)에 입력한다.The user interface unit 105 includes instructions related to synthesizing (converting) the text information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text information, and commands related to expressing or connecting the text information when the text information includes a hyperlink. Input to portable terminal 102.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단말기 제어동작은 도2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terminal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mmand input by the user interface un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이동통신 시스템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문자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201)와, 상기 신호 수신부(201)에서 수신된 문자정보를 사용자 명령에 따라 시각적 정보 및/또는 청각적 정보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202)와, 상기 제어부(202)에 의해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203)와, 상기 제어부(202)에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 및, 상기 제어부(202)의 제어를 받아 상기 문자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처리함과 함께, 상기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문자정보를 청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신호처리부(20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signal receiving unit 201 for receiving text information provid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erver through a network, and the signal receiving unit. The control unit 202 performs control for outputting the text information received at 201 as visual information and / or audio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command, and data for storing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202. A storage unit 203, a user interface unit 204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to the controller 202, and a display process to visually express the text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2; And a signal processor 205 for synthesizing the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ext and expressing the text information audibly.

상기 신호 수신부(201)는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되는 문자정보를 수신하며,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특성에 적합한 형태로 변조된 정보를 받아서 이 정보를 디지털 정보의 형태로 제어부(202)에 전달한다.The signal receiving unit 201 receives text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from a server, receives modulated information in a form suitable fo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202 in the form of digital information.

신호 수신부(201)는 예를 들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뎀일 수 있다.The signal receiver 201 may be, for example, a modem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물론, 이동통신 시스템이 음성통화를 목적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문자정보의 부가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형태라면 신호 수신부(201)는 음성신호의 변복조 처리는 물론, 상기한 바와같은 문자정보의 복조처리를 함께 수행하는 구성요소가 될 수도 있다.Of course, i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a form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service of the text inform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the voice call, the signal receiving unit 201, as well as the demodulation process of the voice signal as well as the demodulation process of the text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also be a component to perform.

제어부(202)는 신호 수신부(201)로부터 입력된 문자정보들을 시각적 혹은 청각적, 혹은 시청각적 정보로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과 처리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로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시,청각적 정보의 처리와 출력에 대한 적절한 제어를 수행한다.The controller 202 performs data storage and processing control for outputting text information input from the signal receiving unit 201 as visual, audio, or audiovisual information, and in particular, a user command input to the user interface unit 204.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proper control of the processing and output of the visual and audio information is performed.

데이터 저장부(203)는 제어부(202)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서버로부터의 각종 정보에 대한 처리 결과의 저장과, 데이터 처리를 위한 임시 데이터 저장, 그리고 저장된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출력 등이 이루어지는 메모리 수단이 된다.The data storage unit 203 stores processing results for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rom the server made by the control unit 202, temporary data storage for data processing, and outputs for visually and audibly expressing the stored information. Memory means.

신호 처리부(205)는 문자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시각적 표현을 이루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회로 등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처리)수단을 포함하고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205 includes a display (processing) means composed of a display for driving a visual expression by displaying text information and a driving circuit thereof.

특히, 신호 처리부(205)는 문자를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문자정보를 그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로 합성하기 위한 음성합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중요한 특징이다.In particular, it is an important fea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5 further includes speech synthesis means for synthesizing the character information into the speech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n order to convert the character into the speech signal.

이 음성합성수단은 기존에 알려진 문자/음성 합성기(문자/음성 합성 알고리즘)를 적용할 수 있고, 음성합성기술에 대해서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회로구성과 알고리즘 등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speech synthesis means can apply a conventionally known character / voice synthesizer (character / voice synthesis algorithm), and since the voice synthesis technology is well known, detailed circuit configurations and algorithms will be omitted.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는 서버로부터의 상기 문자정보의 시각적 표현이나, 청각적 표현, 시청각적 동시 표현 등에 관련된 명령을 입력하며, 예를 들면 키이 스위치를 이용한 입력이나, 터치 스크린 방식을 이용한 사용자 명령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204 inputs a command related to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tex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n audio representation, an audiovisual simultaneous expression, and the like, for example, an input using a key switch or a user command using a touch screen method. Input can be mad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는 문자정보를 음성신호로 변환(합성)하여 출력할 것인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음성변환' 명령의 입력수단을 가진다.The user interface unit 204 has an input means of a 'voice conversion' command for determining whether to convert (combine) and output text information into a voice signal.

이 '음성변환'명령의 입력수단에 대응하여 제어부(202)는 '음성변환'명령의 입력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음성변환'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상기 신호 처리부(205)에 포함되는 음성합성수단을 동작(active 또는 enable 등의 제어가 될 수 있다)시킨다.In response to the input means of the 'voice conversion' command, the control unit 202 has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oice conversion' command is input, and is included 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5 when the 'voice conversion' command is input. The voice synthesizing means (which may be active or enable control).

'음성변환'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02)는 신호 처리부(205)의 음성합성수단을 동작시키고, 이 음성합성수단에 의해서 상기 문자정보가 그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로 합성되어 스피커 등의 출력매체를 통해서 청각적 표현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것이다.When the voice conversion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unit 202 operates the voice synthesizing means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5, and the character information is synthesized into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to output the speaker or the like. It will be delivered to the user in the form of auditory expression through the medium.

사용자는 현재 음성으로 변환되어 청각적으로 표현되는 부분의 문자정보를 문자정보를 음성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볼 수 있는데, 이 때 디스플레이되는 형태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가 '음성/display형태선택' 명령의 입력수단을 가진다.The user can view the text information of the part which is converted into the current voice and is expressed acoustically through the display by synchronizing the text information with the voice. In this case, the user interface unit 204 selects the voice / 'display type selection' command.

이 것에 대응하여 제어부(202)는 신호 처리부(205)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화(설정)하는데,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205)의 디스플레이수단이 화면 스크롤 기능을 가질 때, 음성이 진행되면서 그 음성에 해당되는 문서 부분이 상측 또는 하측, 또는 좌측이나 우측으로 스크롤되는 디스플레이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한 페이지(한 화면) 단위로 갱신되어 표현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Corresponding to this, the control unit 202 controls (sets) the display form by controlling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5.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means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5 has a screen scroll function, the voice progresses while The documen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may have a display form scrolling up or down, left or right, or may be updated and expressed in units of one page (one screen).

또는 문서 제목 등의 중요 정보만 디스플레이되는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it may be performed in the form of displaying only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a document titl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는 음성신호 출력의 진행과 관련하여, '속도조정', '정지', '직전', '다음' 등의 명령 입력수단을 가진다.The user interface unit 204 has command input means such as 'speed adjustment', 'stop', 'previous', 'next', etc. in connection with the progress of the audio signal output.

이 것에 대응하여 제어부(202)는 상기 명령의 입력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한다.In response to this, the controller 202 recognizes whether the command is input and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mmand.

'속도조정'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02)는 사용자가 음성 진행의 빠르기를 희망하는 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When a 'speed adjustment' command is input, the controller 202 may control the speed at which the user desires to speed up the voice process.

예를 들면, 중요한 부분과 생각을 요하는 부분에서는 느린 속도로, 관심도가 덜한 부분은 빠른 속도로 음성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문자의 디스플레이 속도도 음성의 진행 속도에 추종하여 변화된다.For example, an important part and a part requiring thought may be a slower speed, and a lesser interested part may cause the voice to proceed at a higher speed. In this case, the display speed of the text is also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peed of the voice.

이러한 음성진행의 속도 제어는 제어부(202)에서 신호 처리부(205)에 음성진행의 속도조정 명령을 내리고, 이 속도조정 명령에 대응하여 신호처리부(205)에서 상기 합성된 음성의 출력 진행속도를 가속 혹은 감속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The speed control of the voice progression gives a speed adjustment command of the voice progression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5 in the control unit 202, and accelerates the output traveling speed of the synthesized voice 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5 in response to the speed adjustment command. Or by decelerating.

물론, 신호 처리부(205)는 이 음성진행의 속도에 맞춰서 디스플레이 문자정 보의 진행속도를 제어한다.Of course,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5 controls the speed of display character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peed of the voice progression.

'정지' 명령의 경우 제어부(202)는 신호 처리부(205)를 제어하여 음성출력을 정지시킨다.In the case of a 'stop' command, the controller 202 controls the signal processor 205 to stop the audio output.

이 '정지'명령은 정보를 분석할 필요가 있는 경우나 혹은 다음 동작을 결정하기 위해서 정보의 시각적, 청각적 출력을 멈출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될 수 있다.This 'stop' command can be used when the information needs to be analyzed or when the visual and audio output of the information needs to be stopped to determine the next action.

'정지'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제어부(202)는 신호 처리부(205)를 제어하여 음성출력의 정지 뿐만 아니라 그 시점의 문자정보 디스플레이 또한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정지해 준다.When the 'stop'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unit 202 controls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5 to stop not only the voice output but also the text information display at that time without further progressing.

'음성변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정지' 동작은 중단되고 음성 및 문자정보의 출력은 계속 진행된다.When the 'voice conversion' command is input, the 'stop' operation is stopped and the output of voice and text information continues.

'직전/다음'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02)는 현재 음성이 진행되고 있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기준을 가지고 이전에 시청하던 정보위치로 돌아가거나 혹은 앞으로 건너뛰기를 수행한다.When the 'previous / next'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unit 202 returns to the previously viewed information position or skips forward with a predetermined criterion from the point where the voice is currently being processed.

이러한 제어를 위해서 제어부(202)는 데이터 저장부(203)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For this control, the controller 202 may us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203.

즉, 제어부(202)가 문서를 분석하여, 문서 중의 띄어쓰기나, 마침표, 혹은 줄바꿈, 페이지 바꿈 등의 표시를 검색하고 이 정보들을 데이터 저장부(203)에 저장해 둠으로써 건너뛰기 검색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202 analyzes the document, searches for spaces, periods, or line breaks, page breaks, and the like in the document,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data storage unit 203 to facilitate skip search. It can be realized.

직전이나 다음으로의 건너뛰기를 위한 기준으로는 예를 들면, 제어부(202)가 상기 신호 수신부(201)로부터 수신하여 입력된 문자정보에 대하여, 단어 혹은 문장 혹은 문단이나 페이지 단위를 구분하여 데이터 저장부(203)에 저장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로부터 '직전/다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기준을 가지고 사용자가 희망하는 위치로의 건너뛰기를 실행하여, 건너 뛴 위치의 정보를 신호 처리부(205)에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및 음성출력하도록 제어한다.As a reference for skipping immediately before or to the next, for example, the controller 202 stores data by dividing words or sentences, paragraphs, or page units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ignal receiver 201. When the 'previous / next' command is inputted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204, the user skips to the desired position with the above criteria, and the skipped posi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 In step 205, control is performed to display and output audio.

따라서, 사용자가 현재 음성이 진행되는 부분이 관심있는 부분이 아닐 경우에는 '다음 단어' 혹은 '다음 문장' 혹은 '다음 문단', '다음 페이지' 등으로 건너뛰기를 실행하여 음성을 진행시킴으로써, 보다 빠르게 희망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is not interested in the part where the current voice progresses, the voice is advanced by executing a skip to 'next word' or 'next sentence' or 'next paragraph', 'next page', or the like. You can quickly search for the information you want.

또한, 이미 진행되었던 정보를 다시 찾아갈 때에도 '직전 단어', '직전 문장', '직전 문단', '직전 페이지' 등의 명령에 따라 쉽게 검색해 볼 수 있다.In addition, when you go back to the information that was already in progress, you can easily search by the command, such as 'previous word', 'previous sentence', 'previous paragraph', 'previous page'.

한편, 건너뛰기 명령을 실행할 때에도 제어부(202)가 신호 처리부(205)를 제어하여 문자와 음성의 동기화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음성변환'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정지' 명령의 수행상태에서 '직전/다음' 명령이 내려진 경우에는 제어부(202)가 신호처리부(205)의 디스플레이수단만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만 건너뛰도록 하고, 사용자가 희망하는 정보위치에서 '음성변환' 명령이 입력되면 그 위치의 문자 및 그 문자 대응 음성신호의 동기화 출력을 시작한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executing the skip command, the control unit 202 controls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5 to achieve a synchronization output of the text and voice, and the 'speech conversion' command is not input or the 'stop' command is performed. When the 'previous / next' command is issued in the state, the control unit 202 controls only the display means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5 to skip only the display, and when the 'voice conversion' command is input at the desired information position. Synchronization output of the text at the position and the tex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ext is started.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가 하이퍼 링크에 관련한 명령의 입력수단을 더 가질 수 있고, 이 것에 대응하여 제어부(202)는 적어도 상기 입력된 문자정보 중에서 하이퍼 링크를 검색하기 위한 수단 및 하이퍼 링크로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하이퍼 링크 검색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203)에 저장한다.Meanwhile, the user interface unit 204 may further have a means for inputting a command relating to a hyperlink, and in response thereto, the control unit 202 may include at least a means for searching for a hyperlink among the inputted text information and a hyperlink. Means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of the data, and stores the hyperlink search data in the data storage unit 203.

알려진 바와같이 하이퍼 링크는 문서의 한 부분에, 관련된 정보가 존재하는 사이트나 파일정보를 연결시킨 것이며, 사용자가 이 부분을 선택함으로써 관련 사이트나 파일 위치로 네트워크의 연결이 변경된다.As is known, hyperlinks link a site or file with relevant information to a section of the document, and the user's selection changes the network's connection to the relevant site or file location.

하이퍼 링크는 문자정보의 경우 대개 하이퍼 링크 부분의 색상을 달리하거나, 밑줄로 표현되고 있다.In the case of text information, hyperlinks are usually expressed in different colors or underlined.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가 가지는 하이퍼 링크에 관련된 명령으로는 '하이퍼 링크 연결', '하이퍼 링크 검색', '하이퍼 배경음향 선택' 등 이다.Commands related to the hyperlink of the user interface unit 204 include 'hyper link connection', 'hyper link search', and 'hyper background sound selection'.

'하이퍼 링크 검색' 명령은 제어부(202)로 하여금 상기 입력 문자정보 중에서 검색 및 저장된 하이퍼 링크를 찾아 문자 및 음성으로 알려주도록 하며, '하이퍼 링크 연결' 명령은 상기 검색된 '하이퍼 링크'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하이퍼 링크로의 연결을 수행하도록 하며, '하이퍼 배경음향 선택'은 하이퍼 링크가 검색되었을 때 이 것을 청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수단으로 음향신호를 이용하게 한다.The 'hyperlink search' command causes the controller 202 to find a hyperlink searched and stored among the input text information and to inform the user by text and voice, and the 'hyper link connection' command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searched 'hyper link'. The hyper background sound selection is used to connect to the hyperlink. When the hyperlink is detected, an acoustic signal is used as a means of audibly informing the hyperlink.

하이퍼 배경음향은 신호 처리부(205)의 음성합성수단 또는 별도의 음향 데이터 처리수단이 여러가지의 다양한 음향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가, 제어부(202)에 의해서 하이퍼 링크가 검색되면 그 때에 음향신호를 출력해 주는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고, 이때 배경음향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되며, 선택된 정보(배경음향의 종류)는 일종의 배경음향 설정 데이터로서 제어부(202)가 인식하고 있다.The hyper background sound has various sound data by the voice synthesizing means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5 or the separate sound data processing means, and outputs an acoustic signal when the hyperlink is searched by the control unit 202. In this case, the background sound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taste, and the selected information (type of background sound) is recognized by the controller 202 as a kind of background sound setting data.

따라서, 문서정보가 하이퍼 링크를 포함할 때, 사용자는 문서정보를 음성신호로 청취하더라도 하이퍼 링크가 있는 위치에서 상기 선택한 배경음향이 출력되어 하이퍼 링크의 존재 사실을 청각적으로도 인식할 수 있게 되며, 이 하이퍼 링크로 의 연결을 명령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document information includes the hyperlink, even if the user listens to the document information as a voice signal, the selected background sound is output at the location where the hyperlink is located, so that the user can acoustically recognize the existence of the hyperlink. In this case, the hyperlink can be commanded.

또한, '하이퍼 링크 검색' 명령을 이용해서, 문자정보 중에서 하이퍼 링크가 존재하는 부분만을 찾아서 일종의 발췌 및 요약된 정보의 형태로 검색할 수 있고, '하이퍼 링크 연결' 명령을 이용해서 희망하는 사이트나 파일로의 이동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Hyper Link Search' command, it is possible to search only the portion of the text information where the hyperlink exists and search in the form of excerpts and summarized information, and by using the 'Hyper Link Link' command, Moving to a file can be done simply.

또한, '직전/다음' 명령과 조합하여 하이퍼 링크에 대한 상기 건너뛰기를 실행시켜, 희망하는 정보(하이퍼 링크 정보)의 손쉬운 검색과 연결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skip for the hyperlink can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the 'previous / next' command, so that an easy search and connection of the desired information (hyperlink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도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문자 및 음성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문자정보와 함께 이 문자정보에 대응되는 음성정보가 서비스되는 경우에 적용된 제2실시예 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text and voi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pplied to a case in which vo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xt information is served together with text information. Example.

통상의 서버에서는 문자정보만 서비스하지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서버가 문자정보와 함께 이 문자정보에 대응되는 음성정보를 동시에 서비스 한다.In a typical server, only text information is servic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simultaneously services text information and vo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xt information.

즉, 휴대용 단말기 전용서버(301)가 문자, 그래픽, 오디오(음성), 비디오(영상), 실행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서비스하며, 이 서버(301)로부터의 정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클라이언트(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해서 가공처리된 정보이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단말기에게 제공된다.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dedicated server 301 services information such as text, graphics, audio (audio), video (video), and execution program, and the information from the server 301 is a client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ed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terminal and provide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문자 및 음성정보(301)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용 단말기(302)에 입력되어 기존의 시각적 정보표현 뿐만 아니라 청각적 정보표현의 형태로 서비스된다.The text and voice information 301 is input to the portable terminal 302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serviced in the form of audio information expression as well as existing visual information expression.

이 것을 위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용 단말기(302)는 문자정보를 디 코딩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은 물론, 상기 문자에 대응하여 서버(301)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기 위한 음성신호 처리수단을 가진다.To this end, the portable terminal 302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decodes and displays text information, but also decodes and outputs vo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er 301 in response to the text. Have

그리고, 시각적 정보표현을 포함하여, 청각적 정보표현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3)를 가진다.And a user interface unit 303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to the audio information representation, including the visual information representa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3)는 상기 문자정보와 음성정보의 디코딩 및 디코딩된 문자와 음성정보를 출력하는데 관련된 명령들과, 상기 서버(301)로부터 서비스되는 정보가 하이퍼 링크를 포함하고 있을 때 그 것을 표현해 주거나 또는 연결하는데 관련된 명령들을 휴대용 단말기(302)에 입력한다.The user interface unit 303 expresses the commands related to the decoding of the text information and the voice information and the output of the decoded text and voic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serviced from the server 301 when the information includes the hyperlink. Commands related to giving or connecting to the portable terminal 302 are entered.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3)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단말기 제어동작은 도6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terminal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mmand input by the user interface unit 30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4는 상기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며, 가입자에게 서비스할 정보 중에서 시각적 표현을 위한 정보를 가공처리하고 하이퍼 링크가 존재하는 위치에 링크 정보를 연결시켜 출력하는 시각적 정보 처리부(401)와, 가입자에게 서비스할 정보 중에서 청각적 표현을 위한 정보를 가공처리하고 하이퍼 링크가 존재하는 위치에 링크 정보를 연결시켜 출력하는 청각적 정보 처리부(402)와, 상기 시각적 정보 처리부(401)와 청각적 정보 처리부(402)에서 출력된 시,청각적 정보를 입력받아 시각적 정보와 청각적 정보를 동기화시켜 주기 위한 시청각 정보 동기화 처리부(4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Figure 4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information for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to be serviced to the subscriber and outputs by connecting the link information to the position where the hyperlink exists 401, an audio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02 for processing the information for the audio representation among the information to be serviced to the subscriber, and connecting and outputting link information to a location where a hyperlink exists; and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01 And audio-visu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processing unit 403 for receiving visual and audio information output from the audio-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02 to synchronize visual and audio information.

시각적 정보 처리부(401)는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표현이 적합하도록 시각적 정보(문자, 그래픽, 영상 정보 등)를 가공처리한다.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01 processes the visual information (characters, graphics, video information, etc.) so that the expression is suitable for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 디스플레이를 고려하여, 문서의 형식이나 삽입 그림의 배치, 또한 이들을 이동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및 프로토콜 특성에 적합한 코딩 또는 인코딩 등의 가공처리를 수행한다.For example, in consideration of the displa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cessing of the format of the document or the layout of the inserted picture, and coding or encoding suitable for the network and protocol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 performed.

또한 시각적 정보 처리부(401)는 시각적 정보에 하이퍼 링크가 포함될 때, 그 하이퍼 링크정보를 연결시켜 준다.In addition,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01 connects the hyperlink information when the hyperlink is included in the visual information.

시각적 정보 처리부(401)에 의해서 처리된 시각적 정보의 예를 도5에서 부호 501로 표시하였다.An example of visual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01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501 in FIG. 5.

여기서 예시된 시각적 정보(501)에서 'link', 'link:URL1', 'link:URL2' 는 하이퍼 링크 정보이다.In the visual information 501 illustrated here, 'link', 'link: URL1', and 'link: URL2' are hyperlink information.

청각적 정보 처리부(402)는 청각적 정보를 단말기가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할 때 참조 가능하도록 귀절, 문장, 문단, 페이지 등으로 분리하고, 하이퍼 링크가 존재하는 부분에 링크 정보를 연관지은 후, 해당 정보를 단말기와 약속된 위치에 약속된 규격으로 삽입하여 출력한다.The auditor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02 divides the auditory information into sections, sentences, paragraphs, pages, and the like so that the terminal can refer to the user's command, and associates the link information with the hyperlink. The information is inserted into the promised standard at the location agreed with the terminal and output.

청각적 정보 처리부(402)에 의해서 처리된 청각적 정보의 예를 도5에서 부호 502로 표시하였다.An example of the auditory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auditor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02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502 in FIG.

예시된 청각적 정보(502)에서 '문장'은 문장의 시작점, '귀절'은 귀절의 시작점을 각각 나타내며, 'link', 'link:URL1' 은 링크 정보이다.In the illustrated auditory information 502, 'sentence' indicates the starting point of the sentence, 'section' indicates the starting point of the passage, and 'link' and 'link: URL1' are link information.

시청각 정보 동기화 처리부(403)는 시각적 정보 처리부(401)와 청각적 정보 처리부(402)에서 각각 처리된 정보가 단말기에서 동기화되어 표현될 수 있도록 종기에 대한 정보를 삽입하여 출력한다.The audiovisu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processor 403 inserts and outputs information about a boil so that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or 401 and the audio information processor 402 may be express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terminal.

동기화 처리된 정보의 예를 도5에서 부호 503으로 예시하였다.An example of synchronized information is shown at 503 in FIG.

동기화 처리된 시청각 정보(503)에서 '문자순서'는 문자 형태의 정보로서 그 진행의 순서를 나타내며, '음성순서'는 음성 형태의 정보로서 그 진행의 순서를 나타내고 또한 '문자순서'와 '음성순서'의 일련번호가 동일하면 같은 내용의 정보가 문자와 음성으로 동시 동기화 되어 출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synchronized audiovisual information 503, 'text order' indicates the order of the progress as text information, and 'voice order' indicates the order of the progress as voice information, and also indicates the 'text order' and 'voice'. If the sequence number of the sequence is the same, it means that the information of the same content is synchronized and output by text and voice simultaneously.

도4 및 도5에 표현된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하면, 정보의 청각적 형태는 상세한 정보를 표현하고 있고, 시각적 형태는 정보의 요약과 키워드 등의 중요 정보를 표현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4 and 5, the auditory form of information represents detailed information, and the visual form represents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a summary of information and keywords.

시각적 정보와 그 시각적 정보에 대응하는 청각적 정보의 가공 형태를 도5에 예시한 바와같이 둠으로써, 사용자가 제목이나 키워드, 요약 등을 단말기 디스플레이로 보면서(시각적 정보에 기초), 그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음성신호(청각적 정보에 기초)로 서비스 받을 수 있게 된다.By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and processing form of audi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sual information as illustrated in FIG. 5, the user can view the title, keyword, summary, etc. on the terminal display (based on visual information), and the details thereof. Can be serviced by a voice signal (based on auditory information).

이렇게 하는 이유는 이미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고려할 때, 문자형태의 정보(시각적 표현)로 정보 전체를 표현하기에는 적당하지 않기 때문에 시각적으로는 요약된 내용을 보여주고, 청각적으로는 그 요약된 내용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들려주는 것이 사용자가 희망하는 정보를 보다 쉽고 또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hat it is not suitable to express the entire information in the form of information (visual represent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isplay size of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present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ummarized contents can provide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more easily and efficiently.

또한, 기존의 시청각적 정보의 실시간 서비스(실시간 영상/음성 서비스)와 다르게,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가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서 청각적 및 시각적 재생을 제어할 수 있도록 단말기와 약속한 위치에 약속된 제어신호를 서비스 정보 그 자체 에 삽입하여 보낸다는 것이다.In addition, unlike the existing real-time service (real-time video / audio service) of the audio-visual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ignal promised in the position promised to the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can control the audio and visual playback by receiving a user's command Is inserted into the service information itself and sent.

상기 청각적 정보 처리부(402)에 의해서 가공처리되는 청각적 정보는 음성신호 그 자체일 수도 있고, 단말기에서 음성신호로서 재생될 문자정보(음성신호용)일 수도 있다(즉, 청각적 정보이지만 실질적으로 서비스되는 정보의 형태는 문자정보가 될 수 있다).The auditory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auditor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02 may be a voice signal itself, or may be text information (for voice signals) to be reproduced as a voice signal in a terminal (ie, audio information but substantially The type of information serviced may be textual information).

서비스 청각정보가 음성신호(디지털 음성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되어 전송될 것이다) 그 자체인 경우에 단말기는 서버로부터의 음성신호(디지털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가청신호로 변환출력하는 수단을 가지면 될 것이며, 단말기에서 재생될 음성신호용 문자정보일 경우에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하는 바와같이 문자를 음성신호로 합성하는 수단을 가지면 될 것이다.If the service auditory information is a voice signal (processed in the form of digital voice data and transmitted) itself, the terminal may have a means for decoding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digital data) from the server into an audible signal. In the case of the text information for the voice signal to be reproduced in the terminal, it is only necessary to have means for synthesizing the text into the voice signal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도 이며, 이동통신 시스템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동기화된 시청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601)와, 상기 신호 수신부(601)에서 수신된 시청각 정보를 사용자 명령에 따라 시각적 정보 및/또는 청각적 정보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602)와, 상기 제어부(602)에 의해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603)와, 상기 제어부(602)에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4) 및, 상기 제어부(602)의 제어를 받아 상기 시청각 정보의 디코딩 및 출력 동기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60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6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signal receiver 601 for receiving synchronized audiovisual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 network from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erver, and the signal receiver 601. The control unit 602 performs a control for outputting the audiovisua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user as visual information and / or audio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command, and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602 ( 603, a user interface unit 604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to the controller 602, and a signal processor 605 for performing decoding and output synchronization processing of the audiovisual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2. )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신호 수신부(601)는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되는 동기화된 시청각 정보를 수신하며,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특성에 적합한 형태로 변조된 정보 를 받아서 이 정보를 디지털 정보의 형태로 제어부(602)에 전달한다.The signal receiving unit 601 receives the synchronized audiovisua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from the server, receives the modulated information in a form suitable fo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and transfer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602 in the form of digital information. do.

신호 수신부(601)는 예를 들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뎀일 수 있다.The signal receiver 601 may be, for example, a modem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제어부(602)는 신호 수신부(601)로부터 입력된 시청각 정보들을 시각적 혹은 청각적, 혹은 시청각적 정보로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과 처리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4)로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시,청각적 정보의 처리와 출력에 대한 적절한 제어를 수행한다.The controller 602 performs data storage and process control for outputting audiovisual information input from the signal receiver 601 as visual, audio, or audiovisual information, and in particular, a user command input to the user interface unit 604.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proper control of the processing and output of the visual and audio information is performed.

데이터 저장부(603)는 제어부(602)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서버로부터의 각종 정보에 대한 처리 결과의 저장과, 데이터 처리를 위한 임시 데이터 저장, 그리고 저장된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출력 등이 이루어지는 메모리 수단이 된다.The data storage unit 603 is configured to store processing results for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rom the server made by the control unit 602, temporary data storage for data processing, and output for visually and audibly expressing the stored information. Memory means.

신호 처리부(605)는 시청각 정보에서 문자정보를 디코딩하고 또한 디스플레이 하여 시각적 표현을 이루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회로 등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처리)수단을 포함하고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605 includes a display (processing) means composed of a display, a driving circuit, and the like for decoding and displaying character information from the audiovisual information to form a visual representation.

또한, 신호 처리부(605)는 시청각 정보에서 청각정보를 디코딩하여 가청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605 includes audio signal processing means for decoding audio information from audiovisual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audio information as an audible signal.

이 음성신호 처리수단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청각적 정보의 형태에 따라 두가지의 실시예가 가능하다.This voice signal processing means is possible in two embodiments depending on the type of auditory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er.

하나는 서버로부터의 청각적 정보가 음성신호 그 자체일 경우에는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가청신호로 출력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서버로부터의 청각적 정보가 청각적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정보인 경우에는 그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신호 로 합성하여 출력하는 경우이다.One is when the audio information from the server is the audio signal itself, and the audio signal is decoded and output as an audible signal. The other is when the audio information from the server is charac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dio information. In the case of synthesizing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4)는 서버로부터의 상기 시청각 정보의 시각적 표현이나, 청각적 표현, 시청각적 동시 표현 등에 관련된 명령을 입력하며, 예를 들면 키이 스위치를 이용한 입력이나, 터치 스크린 방식을 이용한 사용자 명령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604 inputs a command related to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audiovisual information, an audio representation, an audiovisual simultaneous representation, and the like from a server. For example, an input using a key switch or a user command using a touch screen method may be used. Input can be mad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4)가 가질 수 있는 명령과 그 명령에 대응하는 단말기 동작을 설명한다.A command that the user interface 604 may have and a termina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will be described.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4)는 '청각정보' 명령의 입력수단을 가지며, 이 '청각정보' 명령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어부(602)는 신호 처리부(605)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현하면서 청각적 정보가 동시에 존재하는 지점에서 약속된 표식을 보여준다.The user interface unit 604 has an input means of the 'audible information' command, and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aural information' command, the control unit 602 controls the signal processing unit 605 to express information on the display. Show the promised marker at the point where the information exists at the same time.

예를 들면, 시청각 정보의 동시 서비스의 경우 스피커 모양의 그래픽이나, 문자로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줄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simultaneous service of audiovisual information, the user may be informed of this by a graphic of a speaker or text.

이 표식은 사용자가 '제거'명령을 내리지 않으면 청각적 정보와 연관되어 있는 시각적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계속하여 표시된다.This marker is displayed continuously while the visu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auditory information is displayed unless the user issues a 'remove' command.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4)는 '제거' 명령의 입력수단을 가지며 이에 대응하여 제어부(602)는 '제거' 명령의 인식을 수행한다.Accordingly, the user interface unit 604 has an input means of the 'remove' command, and correspondingly, the control unit 602 performs recognition of the 'remove' command.

사용자는 '청각정보'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제어부(602)로 하여금, 시청각적 정보를 단말기에서 재생시킨다.The user inputs an 'audio information' command to cause the controller 602 to reproduce the audiovisual information in the terminal.

즉, 제어부(602)의 제어를 받아 신호 처리부(605)가 시각적 정보의 디코딩 및 디스플레이 처리, 청각적 정보의 디코딩 및 가청신호로의 출력, 그리고 시청각적 정보의 동기화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정보의 시청각적 표현이 이루어지게 된다.That i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2, the signal processing unit 605 performs decoding and display processing of visual information, decoding of audio information and output to an audio signal, and synchronization of audiovisual information, thereby Audiovisual expression is achieved.

한편, 도6에 도시한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4)의 '음성/디스플레이 형태', '속도조정', '정지', '직전/다음', '하이퍼 링크 연결', '하이퍼 링크 검색', '하이퍼 배경음향 선택' 등의 명령과 그에 따른 제어부(602)의 제어동작은 도2에서 설명한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6 'voice / display form', 'speed adjustment', 'stop', 'previous / next', 'hyper link connection', ' Hyperlink search ',' hyper background sound selection 'and the like, and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602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다만,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는 서버로부터의 시청각 정보에서, 청각적 정보에도 하이퍼 링크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청각적 정보의 하이퍼 링크 정보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과, 청각적 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건너뛰기'나 '하이퍼 링크 연결' 등의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며, 청각적 정보에 대한 제어 동작은 상기 문자정보에 대한 제어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따르므로 도2의 제1실시예 설명을 참조한다.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udiovisual information includes hyperlink information in the audiovisual information from the server, the hyperlink information of the auditory information can be searched, and the auditory information The only difference is that a search such as 'skip' or 'hyperlink connection' can be performed, and the control operation on the auditory informa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trol operation on the text information. Reference is made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FIG.

도7은 본 발명 제3실시예로서 청각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적용한 TV 수상기의 블럭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TV receiver to which the auditory information service system is applied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청각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적용한 TV 수상기는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701)와, 상기 신호 수신부(701)에서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 명령에 따라 시각적 정보 및/또는 청각적 정보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702)와, 상기 제어부(702)에 의해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703)와, 상기 제어부(702)에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4) 및, 상기 제어부(702)의 제어를 받아 상기 시청각 정보의 디코딩 및 출력 동기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705)와, 상기 제어부(702)의 제어를 받아 TV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TV수신부(706)와, 상기 TV수신부(706)에 의해서 수신된 소정 채널의 TV방송신호(영상/음성)와 상기 신호처리부(705)에서 출력된 시청각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및 가청신호로 출력하는 TV신호 처리부(70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The TV receiver using the auditory information service system receives a signal receiver 701 for receiving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 network from a server, and visually and / or auditoryly receive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ignal receiver 701 according to a user command. A control unit 702 for performing control for outputting information, a data storage unit 703 for storing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702, and a user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to the control unit 702 A signal processing unit 705 for performing decoding and output synchronization processing of the audiovisual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rface unit 704 and the control unit 702 and receiving a TV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2. A TV receiver 706, a TV broadcast signal (video / audio) of a predetermined channel received by the TV receiver 706, and audio-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or 705 It has been configured to include a TV signal processor 707 to output to the display and an audible signal.

상기 신호 수신부(701)는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데, 서버가 문자 위주로 정보를 서비스한다면 문자정보를 수신하고, 서버가 동기화된 시청각 정보를 서비스한다면 동기화된 시청각 정보를 수신하며,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가 이루어진다면, 인터넷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특성에 적합한 형태로 변조된 정보를 받아서 이 정보를 디지털 정보의 형태로 제어부(702)에 전달한다.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인 경우에는 다양한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 채널에 문자정보, 음성정보 등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아날로그 방송인 경우에는 텔레텍스트(teletext)로 제공되는 정보에 문자정보, 음성정보 등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The signal receiving unit 701 receive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hrough the network, the server receives the text information if the service mainly text information, if the server services the synchronized audiovisual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synchronized audiovisual information, If an Internet-based information service is provided, information modulated in a form suitable fo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for accessing the Internet is received, and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702 in the form of digital inform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digital broadcasting, text information and voic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a data channel for transmitting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and in the case of analog broadcasting, text information, voice information, etc. may be included in information provided in teletext. It can be transmitted including.

제어부(702)는 신호 수신부(701)로부터 입력된 문자정보 또는 문자 및 음성의 시청각 정보들을 시각적 혹은 청각적, 혹은 시청각적 정보로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과 처리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4)로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시,청각적 정보의 처리와 출력에 대한 적절한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4)로부터 입력된 TV제어명령에 대응하여 TV수신부(706)를 제어함으로써 방송채널의 조정이나 음량조정 등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702 performs data storage and processing control for outputting the text information input from the signal receiving unit 701 or the audio and visual information of the text and voice as visual, audio, or audiovisual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user command input to 704, appropriate control of the processing and output of the visual and audio information is performed. In addition, the TV receiver 706 is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TV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user interface 704 to adjust the broadcast channel or adjust the volume.

데이터 저장부(703)는 제어부(702)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서버로부터의 각종 정보에 대한 처리 결과의 저장과, 데이터 처리를 위한 임시 데이터 저장, 그리고 저장된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출력 등이 이루어지는 메모리 수단이 된다.The data storage unit 703 stores processing results for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rom the server made by the control unit 702, temporary data storage for data processing, and outputs for visually and audibly expressing the stored information. Memory means.

신호 처리부(705)는 시청각적 정보를 디코딩하여 시각적 정보와 청각적 정보를 출력한다.The signal processor 705 decodes the audiovisual information and outputs visual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이때 신호처리부(705)는 서버로부터의 청각적 정보가 음성신호 그 자체일 경우에는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가청신호로 출력하고, 서버로부터의 청각적 정보가 청각적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정보인 경우에는 그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로 합성하여 출력한다.At this time, if the auditory information from the server is the audio signal itself, the signal processing unit 705 decodes the audio signal and outputs it as an audible signal. If the auditory information from the server is charac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ditory information, The synthesized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s output.

따라서, 상기 신호 수신부(701)와 신호 처리부(705)는 시각적 정보 대응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 및 가청신호로 변환출력하는 수단이거나, 혹은 문자정보를 수신하여 음성신호로 합성하는 수단이거나, 혹은 이 두가지 기능을 모두 갖는 경우로 각각 실시할 수 있다.Therefore, the signal receiving unit 701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705 are means for receiving and decoding the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isual information and decoding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or means for receiving and synthesizing the text information into the audio signal. Each of these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4)는 서버로부터의 상기 시청각 정보의 시각적 표현이나, 청각적 표현, 시청각적 동시 표현 등에 관련된 명령을 입력하며, 예를 들면 키이 스위치를 이용한 입력이나, 터치 스크린 방식을 이용한 사용자 명령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704 inputs a command related to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audiovisual information, an audio representation, an audiovisual simultaneous representation, and the like from the server, and for example, an input using a key switch or a user command using a touch screen method. Input can be mad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4)가 가질 수 있는 명령과 그 명령에 대응하는 단말기 동작은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ommand that the user interface 704 has and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not be repeated.

다만 사용자 인터페이스(704)가 TV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음량, 채널선택, 전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을 겸할 수 있고, TV 제어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는 제어부(702)가 TV수신부(706)를 제어하여 채널조정이나 음량조절 등을 수행하게 된다.However, the user interface 704 may also serve as a means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volume, channel selection, power, etc.) for TV control, and when the TV control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unit 702 receives the TV receiver 706. ) To adjust channel or volume.

신호 처리부(705)에서 출력된 시각적 정보와 청각적 정보는 TV신호 처리부(707)에 입력된다.The visual and audio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or 705 is input to the TV signal processor 707.

TV신호 처리부(707)는 TV 수신부(706)의 출력과 상기 시/청각적 정보의 선택적인 출력(디스플레이 및 가청신호 출력)을 수행하거나, 또는 이미 알려진 기존의 화면 분할이나 중첩 기법, 예를 들면 PIP(Picture In Picture) 기법을 이용해서 TV 화면과 함께 인터넷 정보 검색 화면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V signal processing unit 707 performs the output of the TV receiving unit 706 and the selective output of the visual and audio information (display and audio signal output), or known screen division or overlapping techniques, for example, Using the Picture In Picture (PIP) technique,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Internet information search screen together with the TV screen on one screen.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문자 및 음성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서비스되는 정보가 시청각적으로 제공되므로 정보 검색과 확인에 편리한 것은 물론, 시각 장애인, 문맹, 노인의 경우에도 청각정보 서비스 기능을 이용해서 인터넷 등의 정보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text and voi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rvice information is provided visually, it is convenient for information search and confirmation, and the hearing information service function is also used for the visually impaired, illiterate, and the elderly. It is possible to receive information services such as the Internet.

특히, 시각과 청각의 동시활용은 정보전달(습득) 능력을 배가시키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정보에 대한 인지를 보다 명확하고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In particular, simultaneous use of sight and hearing doubles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cquisition) ability, thus providing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information more clearly and quickly.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TV 등에 적용하여, 문자정보를 음성정보로도 변환하여 시청각적으로 정보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Internet TV, etc., it is also possible to convert the text information into voice information to confirm the information search results visually.

Claims (2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단말기에 가입자가 희망하는 소정의 정보를 문자 정보의 형태로 서비스할 때, (a).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문자정보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수단과, (b). 상기 신호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문자정보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처리수단과, (c). 상기 신호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문자정보를 그 문자에 대응하는 청각적 신호로 변환하여 가청신호로 출력하는 청각적 신호 처리수단과, (d).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문자정보와 청각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e). 상기 제어수단에 상기 문자정보와 청각적 신호의 출력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es the subscriber terminal with predetermined information desired by the subscriber in the form of text information, (a). Signal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ext information provided from a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b). Display processing means for decoding and displaying the character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means, and (c). An audio signal processing means for converting the text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means into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ext and outputting the audible signal; and (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text information and the audio signal in response to a user command, and (e). And a user interface means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text information and the audio signal to the control mean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단말기에 가입자가 희망하는 소정의 정보를 문자정보와 이 문자정보에 대응하는 청각적 정보(음성,음향,음악 등)의 형태로 서비스할 때, (a).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시청각적 정보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수단과, (b). 상기 신호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시청각적 정보에서 문자정보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처리수단과, (c). 상기 신호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시청각 정보에서 청각적 정보(음성,음향,음악 등)를 디코딩하여 가청신호로 출력하는 청각적 신호 처리수단과, (d).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문자정보와 청각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e). 상기 제어수단에 상기 문자정보와 청각적 신호의 출력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es the subscriber terminal with predetermined information desired by the subscriber in the form of text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voice, sound, music, etc.) corresponding to the text information, (a). Signal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udio-visual information provided from a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b). Display processing means for decoding and displaying character information from the audiovisua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means, and (c). Audible signal processing means for decoding audio information (voice, sound, music, etc.) from the audiovisua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means and outputting it as an audible signal; and (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text information and the audio signal in response to a user command, and (e). And a user interface means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text information and the audio signal to the control mean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가 희망하는 소정의 정보를 단말기에서 시각적으로 표현할 문자정보와, 이 문자정보에 대응하여 단말기에서 재생할 청각적 신호용 문자정보의 형태로 가입자 단말기에 서비스할 때, (a).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시청각적 정보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수단과, (b). 상기 신호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시청각적 정보에서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표현할 문자정보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처리수단과, (c). 상기 신호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시청각 정보에서 청각적 신호용 문자정보를 그 문자에 대응하는 청각적 신호로 변환하여 가청신호로 출력하는 청각적 신호 처리수단과, (d).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문자정보와 청각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e). 상기 제어수단에 상기 문자정보와 청각적 신호의 출력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ervices the subscriber terminal in the form of text information that the subscriber desires to visually express in the terminal and text information for audio signal to be reproduced in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ext information, (a). Signal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udio-visual information provided from a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b). Display processing means for decoding and displaying character information to be visually represented on a display from the audiovisua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means, and (c). Auditory signal processing means for converting the audio signal information from the audiovisua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means into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and outputting it as an audible signal; and (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text information and the audio signal in response to a user command, and (e). And a user interface means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text information and the audio signal to the control means.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정보와 청각적 신호의 출력이 이루어질 때, 상기 문자정보와 청각적 신호가 서로 동기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3, wherein the text information and the audio signal are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when the text information and the audio signal are output. terminal.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정보와 청각적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2 or 3, wherein at least one of the text information and the audio signal is selected by a user.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정보와 청각적 정보(음성,음향,음악 등)가 표현될 때 그 진행의 정지, 계속, 진행속도, 전/후 진행의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character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voice, sound, music, etc.) are stopped, continued, speeded up, before / aft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of progress is adjusted.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적으로 표현될 정보의 표현 시작점이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4.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or 3, wherein a start point of expression of the information to be audibly expressed is selected by a user.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수신된 정보가 하이퍼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하이퍼 링크 검출수단을 포함하면, 상기 시청각적 정보의 표현 과정에서 하이퍼 링크가 검출된 위치일 때 음성,음향,음악을 포함하는 청각적 정보를 이용하여 하이퍼 링크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audiovisu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if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hyperlink and the terminal includes a hyperlink detecting means. When the hyperlink is detected in the expression proc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inform the user of the hyperlink by using audible information including voice, sound, music.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수신된 정보가 하이퍼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하이퍼 링크 검출수단을 포함하면, 상기 하이퍼 링크가 검출된 위치에 대하여 하이퍼 링크를 요약해서 음성,음향,음악을 포함하는 청각적 정보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or 3, wherein if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hyperlink and the terminal includes hyperlink detecting mean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summary of a hyperlink with respect to the detected location, and notifying the user with auditory information including voice, sound, and music.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수신된 정보가 하이퍼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하이퍼 링크 검출수단을 포함하면, 상기 하이퍼 링크를 음성,음향,음악을 포함하는 청각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상기 하이퍼 링크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4. The hyperlin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3, wherei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a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hyperlink and the terminal includes a hyperlink detecting means. And inform the user by using audible information including voice, sound, and music, and connect the hyperlink by a user selection. (a). 문자정보를 가입자 단말기에서 시각적으로 표현해 주기 위하여 가공처리하고 이 문자정보에 해당하는 관련 정보로의 연결이 가능한 하이퍼 링크 정보를 자동으로 삽입하는 시각적 정보처리수단과, (b). 상기 문자정보에 대응하는 청각적 정보(음성,음향,음악 등)를 가입자 단말기에 청각적으로 표현해 주기 위하여 가공처리하고 이 청각적 정보(음성,음향,음악 등)에 하이퍼 링크를 삽입하는 청각적 정보처리수단과, (c). 상기 시각적 정보처리수단 및 청각적 정보처리수단에 의해서 처리된 문자정보와 대응되도록 청각적 정보(음성,음향,음악 등)를 자동으로 동기화 처리하는 동기화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문자 및 청각적 정보 서버.(a).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for processing textual representations in the subscriber terminal and visually inserting hyperlink information capable of linking to releva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xt information, and (b). Acoustic information (voice, sound, music, etc.)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nformation is processed in order to audibly express to the subscriber terminal, and the audio information to insert a hyperlink in the audio information (voice, sound, music, etc.)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and (c). And network processing means for automatically synchronizing audio information (voice, sound, music, etc.) to correspond to text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and the audio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Text and Audio Information Serv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정보처리수단에 의한 시각적 정보는 서비스할 정보에 대한 요약과 키워드 등의 발췌 정리된 정보이고, 이 것에 대응하여 상기 청각적 정보처리수단에 의한 청각적 정보는 구술형식의 상세 설명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문자 및 청각적 정보 서버.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visual information by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is a summary of information to be serviced and extracted information such as keywords, and the audio information by the auditory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correspondingly is oral form. Network-based text and audio information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처리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시각적 정보 및 청각적 정보의 동기화에 의해서, 단말기의 시청각적 정보 표현의 시점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문자 및 청각적 정보 서버.12. The network-based text and audio information server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timing of the presentation of the audiovisu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controlled by the synchronization of the visual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made by the synchronization processing mean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적 정보처리수단에 의한 청각적 정보의 가공처리가 상기 시각적 정보에 해당하는 실질의 청각적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문자 및 청각적 정보 서버.12. The network-based text and audio information server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processing of the audio information by the audio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is an actual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isual informa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적 정보처리수단에 의한 청각적 정보의 가공처리가 상기 시각적 정보에 해당하는 청각적 신호용 문자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문자 및 청각적 정보 서버.12. The network-based text and auditory information server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processing of the auditory information by the auditory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is text information for auditory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visual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00038306A 2000-07-05 2000-07-05 Mobile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Based On Text To Voice Converter KR1007059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306A KR100705901B1 (en) 2000-07-05 2000-07-05 Mobile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Based On Text To Voice Conve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306A KR100705901B1 (en) 2000-07-05 2000-07-05 Mobile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Based On Text To Voice Conver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421A KR20020004421A (en) 2002-01-16
KR100705901B1 true KR100705901B1 (en) 2007-04-10

Family

ID=1967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306A KR100705901B1 (en) 2000-07-05 2000-07-05 Mobile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Based On Text To Voice Conve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590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395B1 (en) * 2005-05-25 2012-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ocking station's controlling mobile station on TV display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015A (en) * 1997-10-08 1999-05-06 김덕중 Audio web browser device using speech synthesis
KR19990051467A (en) * 1997-12-19 1999-07-05 윤종용 Voice output processing circuit of radio call receiver
KR19990061920A (en) * 1997-12-31 1999-07-26 서평원 Voice output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message
KR19990061649A (en) * 1997-12-31 1999-07-26 김영환 Text service method of mobile phone
KR20000013794A (en) * 1998-08-13 2000-03-06 윤종용 Short message service identifying method in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03178A (en) * 1999-06-21 2001-01-15 홍일 Communica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regeneration of media and information data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015A (en) * 1997-10-08 1999-05-06 김덕중 Audio web browser device using speech synthesis
KR19990051467A (en) * 1997-12-19 1999-07-05 윤종용 Voice output processing circuit of radio call receiver
KR19990061920A (en) * 1997-12-31 1999-07-26 서평원 Voice output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message
KR19990061649A (en) * 1997-12-31 1999-07-26 김영환 Text service method of mobile phone
KR20000013794A (en) * 1998-08-13 2000-03-06 윤종용 Short message service identifying method in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03178A (en) * 1999-06-21 2001-01-15 홍일 Communica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regeneration of media and information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421A (en)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3886B2 (en) Subtitle extraction device
US74838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navigation of an information appliance
KR100233354B1 (en) Interactive display system and interactive display recognition system
KR101702659B1 (en) Appratus and method for syncronizing moving picture contents and e-book contents and system thereof
KR100571347B1 (en) Multimedia Contents Servi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User Preferences and Its Recording Media
JP4197195B2 (en) Providing audio information
US75001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notating a line-based document
US7221405B2 (en) Universal closed caption portable receiver
JP412766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0700202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content in a program
JPH11103452A (en) Interaction and screen control method in interactive program
US7035531B2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commentary information
US20040194137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ural presentation of program guide
KR100705901B1 (en) Mobile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Based On Text To Voice Converter
JP2009141858A (en) Display device and search word extracting method
WO1997037344A1 (en) Terminal having speech output function, and character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terminal
JP4846674B2 (en) Still image extraction apparatus and still image extraction program
JPH10322478A (en) Hypertext access device in voice
JP5073535B2 (en)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ENT REPRODUCTION METHOD, CONTENT REPRODUCTION SYSTEM, CONTENT REPRODUC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PROGRAM
JP2008225783A (en) Content reproduction system, viewing terminal, web page display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050078894A (en) Caption pres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2002325214A (en) Related program referring receiver, related program referring transmitter and related program referring program
KR1004815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ferring to information by one click using the caption informations
JPS6387887A (en) Teletext receiver
JPH11250068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