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736B1 -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전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전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736B1
KR100703736B1 KR1020050006813A KR20050006813A KR100703736B1 KR 100703736 B1 KR100703736 B1 KR 100703736B1 KR 1020050006813 A KR1020050006813 A KR 1020050006813A KR 20050006813 A KR20050006813 A KR 20050006813A KR 100703736 B1 KR100703736 B1 KR 100703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rtable information
exhibition
provide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860A (ko
Inventor
안수진
옥형수
한동훈
정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6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736B1/ko
Priority to US11/337,695 priority patent/US20060168300A1/en
Priority to EP06250363A priority patent/EP1684253A1/en
Priority to CNB2006100027739A priority patent/CN100485661C/zh
Publication of KR20060085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different stations being capable of presenting different information simultaneously
    • G09B5/125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different stations being capable of presenting different information simultaneously the stations being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은 전시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전시 데이터 서버, 상기 정보를 저장하여 출력하는 휴대용 정보 제공기, 및 상기 전시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기를 포함한다.
미술관, 전시관, 박물관, 전시 가이드, 관람 안내, 유비쿼터스, PDA

Description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allery guide by realtime information proffering using stored data}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쿨타운 내의 PDA 기반 미술관 전시 관람 및 이용을 위한 전시 이용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쿨타운 미술관을 이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제어부, 휴대용 정보 제공기 및 전시 데이터 서버와 정보 관리부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저장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안내 시스템에 저장할 정보를 편집하고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안내 시스템을 관람자가 이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자가 전시를 관람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안내 시스템에서 가이드 투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관람 정보를 취합하여 분석하고 이를 다시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설정하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용 정보 제공기 400 : 정보 저장기
500 : 전시 데이터 서버 700 : 중앙 제어부
550 : 정보 관리부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전시관, 미술관, 또는 박람회 등의 장소에서 사용자가 전시된 작품 또는 사업 결과물을 관람하기 위해서는 작품 등에 대한 설명서를 읽거나, 카탈로그를 가지고 다니며 정보를 습득하였다. 그리고 전시관 큐레이터 또는 가이드의 직접 안내 또는 중앙 및 각 전시관별 안내방송이 제공되어 왔다. 그런데, 이는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가이드 시작 시점을 정확하게 맞추어 미술관 및 각 전시장을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원거리에서 이용할 경우 청취 및 내용의 정확한 이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하여 미술관의 홈페이지에 접속, 전시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나 이는 일반적으로 인터넷이 가능한 PC와 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가 구비되어 있는 한정적인 조건 하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며 또한 전시장에서 작품을 직접 관람하면서 작품과 관련 전시 정보간의 일대일 매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열람하는 것이 곤란한 점이 있다. 이외에도 작품 정보 및 전시관 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특정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기존 미술관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1)일반 오디오 플레이어 및 PDA 기기를 이용하여, 키패드 등을 활용한 키 입력 방식으로 가이드를 원하는 작품의 번호 및 ID를 입력한 후 이미 저장된 내용(Pre-loaded Taping Contents)을 듣거나 보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또한 작품에 PDA 등의 첨단 기기를 들고 가까이 접근할 경우 작품의 고유 아이디(ID)를 자동으로 센싱하여 이에 대한 오디오/텍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자동화된 방식이 차츰 상용화되어 가고 있는 단계에 놓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수동 키 입력 방식과 자동 센싱 방식을 차치하더라도 상기 두 경우 모두 오디오 및 텍스트 정보 에만 국한되고 이미지 기타 동영상 정보는 제외된 단점이 있으며 이는 점차 강화되어 가고 있는 사용자들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의 이용에 대한 니즈를 간과하고 있다.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과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전시관이나 미술관, 박람회에서 설명서나 카탈로그를 대체하고 정보 습득력을 높이는 개인용 단말기를 바탕으로 하는 전시 이용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출원(2002-157371)에서는 사용자의 무선 휴대 단말이 인지한 특정 전시물의 식별 정보를 전시 안내 센터의 서버가 수신하여 해당 전시물에 대한 정보를 무선 휴대 단말로 송신하는 전시 이용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이 전시 이용 시스템에서 무선 휴대 단말은 인식된 전시물의 식별 정보를 보내고, 이 전시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해당 전시물을 기억시키고자 할 경우에도 전시 안내 센터의 서버가 수신하여 저장한다. 그러나 이는 수동적으로 전시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만 할 뿐이며 무선 휴대 단말을 통한 다른 전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관련하여 HP 사의 쿨타운(Cooltown) 미술관에 대한 개념이 제시되고 있다. 쿨타운 미술관에 대해 살펴보면 도 1, 2와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쿨타운 내의 PDA 기반 미술관 전시 관람 및 이용을 위한 전시 이용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쿨타운 미술관은 전시장 내 서점, 그림, 조각 등의 전시물(900)과 이에 부착되어 있는 소형 RFID 태그(200)와 PDA(100), 웹서버(500)로 구성된다. 전시물(900)들은 전시물의 고유 엔트리를 발신하는 RFID 태그(200)를 부착하고 있으며 이는 전시물 자체의 정보를 제공하는 고유 URL을 무선 혹은 적외선 신호로 발신하여 PDA(100)에 전달한다. 관람자는 휴대한 PDA의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웹서버(500)에 관련 정보를 요청하고 이로부터 수신한 URL로 링크하여 관람중인 전시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수신된 URL을 북마크로 저장하면, 쿨타운 미술관 내 온라인 서점에서 관련된 서적이나 엽 서를 구매할 때 저장된 URL을 활용할 수 있다. 즉, 관람자가 쿨타운 서점으로 이동하면 관람자는 PDA를 사용하여 판매되는 서적이나 달력, 엽서 등이 있는 진열대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쿨타운 미술관을 이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PDA를 수령하여 구동한다(S11). 그리고 관람을 시작한다. 사용자가 PDA를 가지고 관람 중에 작품에 근거리 접근하여 RFID 신호를 전송하면(S12) PDA는 작품의 RFID 인식을 통한 고유 URL 정보를 획득한다(S13). PDA는 얻고자 하는 작품에 대한 URL을 웹서버에 전송하고 해당 작품의 정보를 요청한다(S14). PDA의 요청을 수신한 웹서버는 작품 정보를 검색한다(S15). 웹서버는 검색한 관련 웹 링크 정보를 PDA에 전송하고(S16), 사용자는 PDA를 통해 수신한 웹링크에 접속하여, 정보 열람 및 관련 부가서비스를 이용한다(S17).
그런데, 이러한 쿨타운 미술관은 작품을 RFID를 통해 인식하여 작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항상 웹 서버에 대한 접속을 필요로 한다. 이는 비단 쿨타운 미술관뿐만 아니라, 전술한 특허 출원에서도 전시 안내 센터에서 서버를 통해 작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작품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미술관 내 웹 인트라넷 환경이 갖추어질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일일이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필요한 URL 입력을 통한 정보 링크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단점이 있다. 즉, 정보 검색 단계에서 작품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별도의 웹 서버 접속을 통해 정보 저장 웹 페이지로의 이동 단계를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실제 물품 정보와 동기화가 이루어진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물품에 대한 정보를 빨리 습득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관람 중에 물품 정보 또는 관람과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은 전시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전시 데이터 서버, 상기 정보를 저장하여 출력하는 휴대용 정보 제공기, 및 상기 전시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방법은 전시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보를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저장하는 제 1 저장 단계, 및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가 전시된 물품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전시 안내 시스템은 크게 전시된 작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전시 데이터 서버(500), 전시 데이터 서버(500)의 정보를 출력하는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 그리고 전시 데이터 서버(500)에 저장된 정보를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에 저장하고, 휴대용 정보 제공기를 충전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정보 저장기(400)를 주요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전시된 작품의 식별 정보를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에 제공하는 식별 모듈(200)과,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에 실시간으로 전시관 또는 미술관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관람자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인포데스크와 같은 중앙제어부가 존재한다(700). 중앙제어부(700)는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의 대여, 반납을 관리하며, 어떤 사용자에게 어떤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가 할당되었는지도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시관 내에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보낼 수 있으며, 각 사용자에 맞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에 저장할 데이터를 생성하고, 정보 저장기(400)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550)도 포함한다.
정보 관리부(550)는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에 저장될 작품 컨텐츠 정보를 편집하고, 작품의 배치 등을 관리하기도 한다. 이는 전시관 또는 미술관에 전시된 작품들에 대한 제반 정보들을 설정하고, 운영에 필요한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정보 저장기(400)에 저장될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이들의 자세한 실시예는 이후 도면에서 상술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제어부, 휴대용 정보 제공기 및 전시 데이터 서버와 정보 관리부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중앙제어부(700)는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의 사용 현황을 제어하고,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에 알림 메시지 등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휴대용 정보 제공기를 통해 사용자 로그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기기 설정부(710)는 사용자 정보 입력, 언어설정 및 자동/수동 모드 설정을 수행한다. 또한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기를 통해 반납, 대여원격관리, 작품컨텐츠 싱크, 로그정보 설정 기능을 수행한다. 정보 저장기가 여러 대의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를 동시에 충전 및 데이터를 처리하며 사용자 맞춤 서비스 및 대여, 반납, 관리를 담당한다.
네트워크 관리부(720)는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와 통신할 네트워크의 상태를 설정하고 관리한다. 또한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관리하며, 이 정보를 취합하여 이용 패턴 또는 가이드 정보를 수집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730)는 정보 관리부(550)로부터 변경된 작품 컨텐츠나 프로그램등을 원격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를 임시로 저장하고 이를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기 통신부(740)는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와 전시관 또는 미술관의 곳곳에 설치된 송수신 모듈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체 사용자들에게, 또는 일부 사용자들간에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컨텐츠 관리부(730)는 기기 통신부(740)를 통해 변경된 컨텐츠 정보를 송신한다.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는 사용자가 휴대하며 전시관 또는 미술관 등에 전시된 작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는 PDA, HPC,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디지털 장치가 될 수 있다.
기기 관리부(110)는 센서 등을 통해 수신한 작품의 식별 정보와 현재 위치한 전시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 정보를 브라우징부(120)와 디스플레이부(130)에 전달한다. 한편 기기 관리부(110)는 무선랜 접근 제어를 수행하며, 정보 제공기와 결합한 경우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하고, 정보의 동기화 여부를 검토한다. 그리고,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를 휴대하고 있는 현재 사용자에 대한 정보, 언어 설정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를 통해 취득한 컨텐츠의 접근 빈도, 사용자가 관심 목록으로 설정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 이동한 전시장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 정보는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가 저장하여 추후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를 반납할 경우, 정보 저장기를 통해 전시 데이터 서버에 기록될 수 있으며, 중앙제어부(700)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
브라우징부(120)는 저장된 컨텐츠를 출력하며, 사용자의 키 또는 터치 패드 등의 입력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수신한 작품의 식별 번호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3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브라우징부(120)에서 출력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저장된 컨텐츠가 이미지, 문자 정보인 경우, 화면을 통해 출력하고, 음성, 음악과 같은 청각적인 정보인 경우, 스피커, 헤드폰 등을 통해 출력한다. 이외에도 저장부(140)에 저장된 관심 목록, 관람했던 전시장 목록등에 대한 정보를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한다.
저장부(140)는 정보 저장기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중앙제어부(700)를 통해 수신한 변경된 정보 또는 동기화를 위해 수신한 컨텐츠 정보 등도 저장한다.
전시 데이터 서버(500)는 크게 기기 정보 관리부(510), 컨텐츠 관리부(520), 사용자 관리부(530)를 포함한다.
기기 정보 관리부(510)는 관람자가 사용한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에 저장된 관람 정보, 컨텐츠 정보,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의 이동 경로 등을 관리하고 분석한다. 예를 들어, 많은 관람자가 관심있게 살펴본 작품이 어디인지, 이동 시간이 많이 소요된 구간이 어디인지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520)는 전시된 작품을 설명하는 컨텐츠를 관리하고, 이를 정보 저장기를 통해 휴대용 정보 제공기(100)에 저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사용자 관리부(530)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분석한 결과를 저장한다. 사용자 관리부(530)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추후 사용자에게 테마별로 관람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 관리부(550)는 컨텐츠 제작부(551), 작품 관리부(552), 사용자 정보 관리부(553)로 나뉜다.
컨텐츠 제작부(551)는 작품의 정보를 나타내는 컨텐츠를 제작한다. HTML, XML 등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적합한 형태로 컨텐츠를 제작한다. 템플릿(Template) 파일을 이용하여 정보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출력할 포맷의 컨텐츠로 전환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작품 관리부(552)는 작품이 어느 위치에 존재하며, 어떤 식별 정보를 가지는지, 그리고 사용자들의 관심 목록에 많이 추가되었는지 등 작품 하나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작품 관리부(552)의 정보는 컨텐츠 제작부(551)에서 컨텐츠를 제작시에 참조로 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553)는 사용자들의 관람시 발생한 로그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들의 관람에 대한 정보를 분석한다.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관람 방식이 가능하며, 작품의 재배치시에도 참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저장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정보 저장기는 여러 대의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작품 정보를 저장하며, 또한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다. 도 5에서 정보 저장기(400)는 크게 충전부(410), 데이터 송신부(420), 데이터 저장부(430)를 포함한다. 충전부는 휴대용 정보 제공기(101 내지 125)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데이터 저장부(430)는 전시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작품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데이터 송신부(420)는 휴대용 정보 제공기(101 내지 125)에 작품 정보를 송신하여 저장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대의 휴대용 정보 제공기와 결합할 수 있으며, 관람자들에게 하나씩 대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안내 시스템에 저장할 정보를 편집하고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는 정보 관리부를 통해 전시관 또는 미술관을 관리하는 사람이 수행하는 과정이다. 먼저 작품을 등록한다(S111). 등록시에는 작품이 존재하는 전시관 위치, 작품의 식별번호 등을 필요로 한다. 작품을 등록한 후에는 해당 작품에 대한 정보를 출력 가능한 형태로 하여 편집한다(S112).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출력되는 것을 고려하여 편집할 수 있다. 템플릿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이 파일을 이용하여 편집 과정을 단순히 할 수 있다.
편집한 작품 정보는 전시 데이터 서버로 전송한다(S113). 그리고 작품 정보를 정보 저장기와 중앙 제어부로 전송한다(S114). 이는 정보 관리부에서 직접 저장할 수 있으며, 전시 데이터 서버에서 정보 저장기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정보 저장기에 결합한 다수의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작품 정보가 저장된다(S115). 작품 정보가 저장된 휴대용 정보 제공기는 관람자들이 대여하여 전시실을 이동하며 작품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 관람자가 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은 도 7에서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안내 시스템을 관람자가 이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관람자는 자신의 정보를 등록한다(S121). 여기에는 관람자 개인의 정보가 될 수 있으며, 단체 관람의 경우 그룹을 지어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정보 제공기를 통해 그룹 내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을 구성하는 전원에 대한 알림 메시지도 전송 가능하며, 같은 그룹의 사람들이 어디에서 관람중인지에 대한 정보도 제공가능하다. 그리고 관람에 필요한 다른 정보도 설정 가능하다. 관람 루트를 자동으로 표시해 줄것인지, 혹은 관람자가 자유로이 관람할 것인지 등도 설정할 수 있다.
관람자의 정보가 등록되면 관람자들은 휴대용 정보 제공기를 수령한다(S122). 관람자가 전시실을 이동하면 휴대용 정보 제공기가 작품에 부탁된 RFID를 인지하거나 적외선 센서를 통해 작품의 식별 정보를 센싱한다(S131).
또한 센싱에 있어 그룹센싱 방식도 가능하다. 이는 좁은 지역 등의 전시장 특수 환경을 반영하여, 각 작품별 센싱이 불가능한 경우 전시장 내 일정 구역을 그룹으로 센싱하여 PDA상에 그룹화된 작품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며 이 중 상세 정보 관람이 필요한 작품을 키패드상에서 터치 인 혹은 작품 번호의 키 입력 방식을 통해 선택하여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외에 상기 단계를 정보 요청이 필요한 작품 선택 단계라고 정의할 경우, 자동 센싱 방식이 아닌 개인이 작품 설명 및 정보 자세히 보기를 원하는 작품에 한해서만 가이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수동 방식으로 PDA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휴대용 정보 제공기는 센싱한 작품의 식별 정보에 대한 작품 정보를 검색한다(S132). 그리고 검색한 작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133). 이는 도 6의 과정에서 편집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시각적인 정보 외에도 음성, 음악과 같은 청각 적인 정보도 포함된다.
작품의 정보를 취득한 후에는 해당 작품을 다시 감상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141). 다시 감상하는 경우, 다시 작품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33). 한편 재감상하길 원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작품을 관심 목록에 추가할 지를 결정한다(S142). 관심 목록에 추가할 경우 휴대용 정보 제공기는 해당 작품을 선택했음을 저장한다(S143). 관심 목록에 추가하지 않을 경우, 관람자는 다음 작품으로 이동하여(S144), S131내지 S143 과정을 반복한다.
더 이상 감상할 작품이 없는 경우(S151), 관람자는 휴대용 정보 제공기를 반납한다(S152). 이 때, 관람자가 관심 목록에 추가한 작품들의 정보를 사용하여 카탈로그를 만든다든가, 엽서를 만드는 등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153).
관람자가 반납한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저장된 관람 정보, 관람 시간 등은 전시 데이터 서버에 전송되어 분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자가 전시를 관람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휴대용 정보 제공기로 PDA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PDA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디지털 정보와 멀티미디어 정보를 쉽게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을 제공하므로 서버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미술관 또는 전시관을 방문한다(S201). 방문시에 사용자는 관람을 예약하였는지 검토한다(S202). 검토결과 예약이 되었다면 예약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입력한다(S203). 만약 예약하지 않았다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한다 (S204). 그리고 휴대용 정보 제공기인 PDA에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PDA는 과거 해당 사용자의 로그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조회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PDA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S211). 또한 현 사용자에 대한 정보, 작품 정보에 대한 데이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관람 방식, 관람에 필요한 이동 경로 등의 정보 역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관람 방식을 설정한다(S212). 관람 방식으로 이동할 경로를 미리 설정하여 제시하는 가이드 관람과 사용자가 자유로이 작품을 감상하는 자유 관람이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선호에 따라 가이드 관람을 선택하거나(S213), 또는 자유 관람을 선택할 수 있다(S214). 그리고 PDA를 수령하여 관람을 시작한다(S215). 작품관람을 시작하며 이와 동시에 PDA의 Play 버튼을 눌러 PDA를 구동시킨다. PDA 구동시 PDA는 저장된 고객의 정보를 토대로, "** 고객님 X번째 방문입니다."와 같은 음성 안내를 시작하며 간단 사용법 안내 멘트 및 가이드와 관람 안내 시작 멘트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입장한 전시실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함께 "현재 고객님의 위치는 1층 전시장 입구 입니다. 그림과 같은 순서로 관람 하실 수 있습니다."와 같은 간단한 동선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작품 정보를 어떻게 디스플레이할 것인가에 따라 작품을 센싱하는 방법이 달라진다(S221). 자동으로 작품을 센싱하는 경우, PDA는 전시 작품에 부가된 RFID 등을 통해 작품의 식별 번호를 센싱한다(S222). 자동 센싱 방식의 경우 안정적인 작품 센싱을 위하여 센싱 알고리즘을 개발, 적용하여 센싱 정보의 오류로 인하여 생길 수 있는 작품 안내 정보 오류를 최소화한다. 이는 1)같은 센싱 ID 3회 연속 수, 2)대기중 버튼 활성화, 3)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화면을 유지하고 0.5초 경 과하면 새로운 작품 관람 단계로 넘어가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대기중 버튼을 도입하였다. 사용자는 대기중 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S223). 사용자가 대기중 버튼을 사용하지 않으면 바로 작품 번호를 센싱하고, 대기중 버튼을 사용하고 있으면 센싱한 작품의 정보와 용어등을 출력한다(S231). S231 단계에서 작품과 관련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이는 텍스트, 오디오, 등 다양한 형태로 전개된다. 또한 작품 확대 보기 서비스가 제공되며 작품 설명시 이해가 어렵거나 작품 이해에 필요한 용어의 경우 밑줄 표시되어 있어 이를 클릭하면 이와 관련한 용어설명을 보거나 들을 수 있는 용어 설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용어 설명은 작품 편집 시에 큐레이터 및 관련 전문가가 기 선별하여 작품 설명과 함께 제시하도록 한 결과물을 기반으로 별도 템플릿을 참조하여 작성된 것이다.
한편 작품 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경우(S224), 사용자는 키패드를 활용하여 작품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재감상을 원하는 경우(S232), 다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는 다시 작품의 식별 정보를 센싱하여 S222에서 S231 과정을 반복할 수 있고, S231단계에서 출력한 정보를 다시 반복해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재감상을 원하지 않는 경우, 감상한 작품을 관심 목록에 추가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233). 관심 목록에 추가한다면, 작품 정보를 저장하여(S234) 관람을 마친 후에 선택한 작품을 토대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 작품이 존재하면, S221 단계에서 다시 관람에 필요한 정보 제공 과정이 반복된다. 다음 작품이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부가 서비스의 예로는 관심 목록으로 추가한 작품들을 구매하거나, 또는 카다로그, 엽서로 프린팅하기, 관심 작품들 다시 관람하기 등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엽서 및 일반 프린트물로 출력하는 출력서비스는 일정한 프린팅 포멧에 그림을 프린팅하여 샘플 카다로그(또는 달력)를 제작 하여 주는 것으로, 메일 혹은 휴대폰 등의 기타 커뮤니케이션 기기를 활용하여 선택작품 목록에 저장된 작품을 그림 엽서 및 메일로 보내거나 개인 기기 내에 저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작품과 관련된 미술관 내 상점의 해당 판매 물품을 검색해 볼 수 있으며 상점으로 이동하여 관련 상품을 손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연계 서비스가 제공된다. 도 8에서는 간단한 판매 물품 소개 및 가격 제시 서비스를 나타내고 있으나, 구매 인증 절차 등을 추가하여 실제 구매활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들은 모두 PDA 내에 저장되어 있는 선택작품 목록 내 찜 정보를 USB 등 활용 가능한 유무선 네트웍을 통해 자동으로 정보검색대 및 상점의 PC 등으로 전송함으로써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하다.
모든 서비스의 이용이 종료된 이후 PDA를 인포데스크에 반납하고(S243), 미술관 또는 전시관을 퇴장하게 된다. 추후, 전시 데이터 서버는 PDA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로그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저장기와 결합하며 충전과 함께 새로운 데이터 또는 변경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안내 시스템에서 가이드 투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가이드 투어는 먼저, 미술관의 큐레이터 및 관리자가 시기 및 특별 행사에 맞추어 별도로 테마를 기획한 이후 이를 편집툴 등을 활용하여 테마 및 관련 작품 을 전시 데이터 서버에 편집/등록하면 이를 휴대용 정보 제공기로 싱크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또한 관람자가 직접 자신이 관람을 원하는 작품만을 선택하거나 과거 방문 이력 등의 로그 정보에 기반하여 본인 고유의 테마와 관련 작품을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등록하는 방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테마와 작품의 등록 후 휴대용 정보 제공기 내 동선 자동 생성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관람 코스를 지정하게 되는데, 이는 작품/센서 번호 인식을 통한 개인별 위치 확인 방식에 기반하고 있다.
과거 로그정보를 분석하여 테마 선택 이전에 관람자의 취향에 부합하는 관람(투어)테마 추천 단계를 두는 방식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미술관의 홈페이지 및 인포데스크의 휴대용 정보 제공기를 관리하는 컴퓨터에서 테마를 작성, 등록하면 이를 휴대용 정보 제공기로 싱크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가이드 투어는 관람자에게 작품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전시관 전체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측면을 가진다.
관람자는 휴대용 정보 제공기를 수령한다(S301). 수령한 정보 제공기를 통해 과거 사용자들의 사용 패턴인 로그 분석을 통해 관람 테마를 추천한다(S302). 관람자는 추천된 테마 중에서 가이드 테마를 선택한다(S303). 그리고 자동으로 작품의 정보를 센싱할 것인지, 수동으로 입력할 것인지를 선택한다(S304). 설정이 완료하면 관람자에게 선택한 테마에 대한 안내를 오디오, 비디오 정보를 통해 제공한다(S310). 또한 선택한 테마 전시실과 층별 정보, 이동할 동선에 대한 정보도 안내한다(S311). 그리고 관람자가 관람을 시작하면 작품을 센싱한다(S312). 작품 센싱은 S304 단계에서 어떤 방식으로 센싱할 것인지 설정된 값에 따라 센싱한다. 그리고 센싱된 작품의 식별 정보에 따라, 작품 정보를 출력하고, 용어를 설명한다(S313). 이는 도 8의 S231 단계와 동일하다. 그리고 감상을 계속하고자 할 경우(S320),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미관람한 작품과 전시실을 표시한다(S321). 여기에서 관람자는 다음 이동 경로의 안내에 따라 이동한다(S322). 이동 후에 다시 S312 과정부터 수행한다. 한편 감상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관람을 완료하고, 도 8에서 살펴본 부가 서비스를 이용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관람 정보를 취합하여 분석하고 이를 다시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설정하는 순서도이다.
관람자가 미술 작품이나 전시물을 관람시에는 여러가지 행동 패턴이 도출된다. 어떤 작품, 또는 전시물에서 오래 관람을 했는지, 또는 어떤 동선으로 관람을 했는지 등과 같은 개인적인 행동 패턴에서, 특정 요일에 관람하는 사람들의 공통된 관람 방식, 연령 정보 등의 패턴이 산출된다. 박물관, 미술관 또는 전시관 등에서는 많은 수의 사람들이 행동을 하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트래픽을 줄이기 위해서 이동 경로 등을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달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체 관람의 경우, 이들 단체 관람자들이 발생시킬 수 있는 트래픽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설정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사용자가 관람시에 행한 행동 패턴을 저장하여 이를 분석하고 다시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저장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휴대용 정보 제공기를 가지고 관람을 하는 사용자가 관람 중에 발생하는 정보를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저장한다(S351). 관람 중에 발생하는 정보란 전술한 바 와 같이 어느 작품에서 오랜 시간을 보냈는지, 이동 경로가 무엇인지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는 관람한 작품들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도 가능하고, 전시장소 곳곳에 설치된 무선 송수신 모듈을 통해서도 위치 인식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관람을 종료하면 휴대용 정보 제공기를 반납한다(S352). 반납한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는 해당 사용자의 관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 정보를 전시 데이터 서버로 전송한다(S353). 서버에서는 사용자의 로그 정보를 분석한다(S354). 분석할 정보의 예로는 작품당 관람시간, 특정 전시관에서의 체류시간, 작품과 작품간의 이동시간, 선호 작품등이 될 수 있다.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관람 패턴에 따른 자료를 구축한다(S355). 단체 관람인 경우 적합한 이동 순서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작품과 작품간의 관계, 이동 시간에 따라 어느 위치에 작품을 재배치할 것인지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 결과에 따라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S356). 이는 사용자의 관람 형태라든가, 사용자의 연령, 성별, 단체관람 여부, 관람 요일등에 맞추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관람할 경우, 이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분산하여 관람하도록 이동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한 정보를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저장한다(S357). 이는 정보 저장기에서 휴대용 정보 제공기를 충전하면서 작품 정보를 동기화를 맞추며 저장하는 것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작품 정보와 달리, 이동 경로는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어떤 사용자에 적합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에 맞게 설정된 휴대용 정보 제공기를 대여하여, 사용자는 관람을 시작 한다(S358).
이외에도,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여러 가지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고, 사용자에 맞게, 특정 이동 경로를 추천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빠른 관람을 원하는 경우의 이동 경로, 조용한 관람을 원하는 경우의 이동 경로 등을 선택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휴대용 정보 제공기를 반납시에 사용자의 관람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지만, 이외에도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가 관람하며 이동시에 휴대용 정보 제공기가 무선 모듈과 통신을 하므로, 이 시기에 어느 위치에서 어느 정도의 체류 시간을 가지는지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분석 가능하다. 이때에는 사용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 이동 경로를 보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구현함으로써 실제 물품 정보와 동기화가 이루어진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물품에 대한 정보를 빨리 습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함으로써 관람 중에 물품 정보 또는 관람과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8)

  1. 전시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전시 데이터 서버;
    상기 정보를 저장하여 출력하는 휴대용 정보 제공기;
    상기 전시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기; 및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전시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정보가 변경 또는 추가되는 경우, 상기 변경 또는 추가된 정보를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송신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가 제 2의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의 대여, 반납을 관리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저장된 물품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기는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의 전원을 충전하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전시된 물품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모듈은 RFID를 사용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는 적외선,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식별 모듈의 식별 정보를 감지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는 사용자의 관람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전시 데이터 서버는 상기 정보를 분석하여 관람자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기는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상기 이동 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는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따라 다르게 저장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관람 패턴에 대한 정보는,
    관람한 작품에 대한 정보, 관람 시간에 대한 정보,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선호 작품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시스템.
  17. 전시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보를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저장하는 제 1 저장 단계; 및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가 전시된 물품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전시된 물품에 대한 변경된 작품 컨텐츠나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가 제 2의 사용자의 제 2의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방법.
  20. 삭제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가 상기 전시된 물품의 식별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작품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작품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방법.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하는 단계는 적외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센싱하는 단계인,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방법.
  23. 삭제
  24. 제 17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하여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저장한 물품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방법.
  25. 제 1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관람 패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저장하는 제 2 저장 단계; 및
    상기 정보를 분석하여, 관람자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단계는,
    상기 생성된 이동 경로를 함께 저장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는 상기 휴대용 정보 제공기에 따라 다르게 저장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방법.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관람 패턴에 대한 정보는,
    관람한 작품에 대한 정보, 관람 시간에 대한 정보,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선호 작품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 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시 안내 방법.
KR1020050006813A 2005-01-25 2005-01-25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전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0703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813A KR100703736B1 (ko) 2005-01-25 2005-01-25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전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US11/337,695 US20060168300A1 (en) 2005-01-25 2006-01-24 Gallery tour guide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provision of information using stored data
EP06250363A EP1684253A1 (en) 2005-01-25 2006-01-24 Gallery tour guide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provision of information using stored data.
CNB2006100027739A CN100485661C (zh) 2005-01-25 2006-01-25 使用存储的数据来实时提供信息的艺术馆导游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813A KR100703736B1 (ko) 2005-01-25 2005-01-25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전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860A KR20060085860A (ko) 2006-07-28
KR100703736B1 true KR100703736B1 (ko) 2007-04-05

Family

ID=3600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813A KR100703736B1 (ko) 2005-01-25 2005-01-25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전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168300A1 (ko)
EP (1) EP1684253A1 (ko)
KR (1) KR100703736B1 (ko)
CN (1) CN100485661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004B1 (ko) * 2014-09-15 2015-06-04 (주)유양디앤유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전시장 내 관람객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210031337A (ko) * 2019-09-11 2021-03-19 (주)이앤제너텍 웨어러블 통신 장치를 이용한 관제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6904B2 (en) 2006-12-08 2010-04-27 Universal City Studios Lllp Attraction multilanguage audio device and method
US9449289B2 (en) * 2006-12-22 2016-09-20 Vringo Infrastructure Inc. Mobile terminal,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updating a work plan
CN101018062B (zh) * 2007-03-07 2011-04-20 徐建荣 智能导游讲解系统及其工作方法
AU2007100441B4 (en) * 2007-05-28 2007-06-28 The Captioning Studio Go-Access! Personal Guide and Venue Access System
US8275352B2 (en) 2007-06-28 2012-09-25 Apple Inc. Location-based emergency information
US8311526B2 (en) 2007-06-28 2012-11-13 Apple Inc. Location-based categorical information services
US9109904B2 (en) 2007-06-28 2015-08-18 Apple Inc. Integration of map services and user applications in a mobile device
US8108144B2 (en) 2007-06-28 2012-01-31 Apple Inc. Location based tracking
US8175802B2 (en) 2007-06-28 2012-05-08 Apple Inc. Adaptive route guidance based on preferences
US8180379B2 (en) 2007-06-28 2012-05-15 Apple Inc. Synchronizing mobile and vehicle devices
US8385946B2 (en) 2007-06-28 2013-02-26 Apple Inc. Disfavored route progressions or locations
US8290513B2 (en) 2007-06-28 2012-10-16 Apple Inc. Location-based services
US8774825B2 (en) 2007-06-28 2014-07-08 Apple Inc. Integration of map services with user applications in a mobile device
US9066199B2 (en) 2007-06-28 2015-06-23 Apple Inc. Location-aware mobile device
US8332402B2 (en) 2007-06-28 2012-12-11 Apple Inc. Location based media items
US8762056B2 (en) 2007-06-28 2014-06-24 Apple Inc. Route reference
US8375133B2 (en) 2007-08-07 2013-02-1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ynchronizing and managing content over multiple devices
KR20090042496A (ko) * 2007-10-26 2009-04-30 (주) 살아있는미술관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US8355862B2 (en) 2008-01-06 2013-01-15 Apple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location information
US9250092B2 (en) 2008-05-12 2016-02-02 Apple Inc. Map service with network-based query for search
US8644843B2 (en) 2008-05-16 2014-02-04 Apple Inc. Location determination
US8019819B2 (en) * 2008-06-18 2011-09-13 Emergency 24,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xpositions and conventions
US20090319182A1 (en) * 2008-06-18 2009-12-24 Dante Monteverde User positioning guidance system, devices, and methods
FR2932941B1 (fr) * 2008-06-19 2012-10-19 Le Hub Procede de production de contenus multimedia de geolocalisation, systeme de gestion comportementale de tels contenus multimedia, et procede de geoguidage utilisant ces contenus mutlimedia
US8359643B2 (en) 2008-09-18 2013-01-22 Apple Inc. Group formation using anonymous broadcast information
US8260320B2 (en) 2008-11-13 2012-09-04 Apple Inc. Location specific content
US8670748B2 (en) 2009-05-01 2014-03-11 Apple Inc. Remotely locating and commanding a mobile device
US8660530B2 (en) 2009-05-01 2014-02-25 Apple Inc. Remotely receiving and communicating commands to a mobile device for execution by the mobile device
US8666367B2 (en) 2009-05-01 2014-03-04 Apple Inc. Remotely locating and commanding a mobile device
ITVI20090281A1 (it) * 2009-11-24 2011-05-25 Manuela Fagarazzi Sistema interattivo per la trasmissione a distanza di contenuti multimediali
DE102011018642A1 (de) * 2011-04-21 2012-10-25 Ulrich Kurze Mobile elektronische Zeigereinrichtung
KR20130123029A (ko) * 2012-05-02 2013-11-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전시품 감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3672A (ko) * 2012-09-10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DE102013100875B4 (de) * 2013-01-29 2019-07-04 Gürsan Acar Ausstellungsführungssystem und Ausstellungsführungsverfahren
WO2014149794A1 (en) * 2013-03-15 2014-09-25 Cleveland Museum Of Art Guided exploration of an exhibition environment
CN104101342A (zh) * 2013-04-10 2014-10-15 苏州金螳螂展览设计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技术的展馆自主导航系统
WO2015152951A1 (en) * 2014-03-31 2015-10-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navigation recommendations
US10367818B2 (en) 2014-04-30 2019-07-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sponse to a machine-readable link
WO2016025015A1 (en) 2014-08-11 2016-02-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hotspot payoffs with alternatives lists
US9691036B2 (en) * 2015-03-26 2017-06-27 Ca, Inc. Decision making in an elastic interface environment
TR201605283A2 (ko) * 2016-04-22 2017-11-21 Arzu Sibel Ikinci
KR102147314B1 (ko) * 2017-12-20 2020-08-25 주식회사 케이아이비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
CN110827657B (zh) * 2018-08-14 2022-12-20 北京高德云图科技有限公司 一种景区内游览路线的显示方法及显示装置
WO2020072739A1 (en) * 2018-10-05 2020-04-09 Msra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interacting with artwork
CN112365383A (zh) * 2020-12-07 2021-02-12 上海光数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校园作品采集和展示系统
FR3140748A1 (fr) * 2022-12-21 2024-04-19 Avenria Stand interactif
FR3140746A1 (fr) * 2022-10-13 2024-04-19 Avenria Stand interacti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555A (ko) * 2002-12-06 2004-06-12 주식회사 유비드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지능형 디지털 전시 시스템
KR20040095376A (ko) * 2003-04-28 2004-11-15 파워라인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무인 전시물 안내 시스템 및안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5517A2 (en) * 1994-11-02 1996-05-23 Visible Interactive Corporation Interactive personal interpretive device and system for retrieving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objects
KR100259996B1 (ko) * 1998-04-22 2000-06-15 박기석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진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3636064B2 (ja) 2000-11-21 2005-04-06 日本電気株式会社 展示施設における展示案内システム、展示案内方法、プログラム記憶用記録媒体、展示案内センターのサーバ
US7308486B2 (en) * 2001-12-06 2007-12-11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Mobile guide communications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555A (ko) * 2002-12-06 2004-06-12 주식회사 유비드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지능형 디지털 전시 시스템
KR20040095376A (ko) * 2003-04-28 2004-11-15 파워라인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무인 전시물 안내 시스템 및안내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49555
1020040095376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004B1 (ko) * 2014-09-15 2015-06-04 (주)유양디앤유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전시장 내 관람객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WO2016043358A1 (ko) * 2014-09-15 2016-03-24 ㈜유양디앤유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전시장 내 관람객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210031337A (ko) * 2019-09-11 2021-03-19 (주)이앤제너텍 웨어러블 통신 장치를 이용한 관제 서비스 시스템
KR102262325B1 (ko) * 2019-09-11 2021-06-08 ㈜이앤제너텍 웨어러블 통신 장치를 이용한 관제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25298A (zh) 2006-08-30
KR20060085860A (ko) 2006-07-28
US20060168300A1 (en) 2006-07-27
EP1684253A1 (en) 2006-07-26
CN100485661C (zh) 200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736B1 (ko)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전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US8799220B2 (en) Content creation, distribution, interaction, and monitoring system
Oppermann et al. A nomadic information system for adaptive exhibition guidance
US9767418B2 (en) Identifying events
US20060188230A1 (en) Method, system and portable device for real-time provision of gallery guide and exhibit information
US200301554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relevant to a physical world
CN101971599A (zh) 通信的方法、系统和产品
KR20060103837A (ko) 콘텐츠 추천 시스템, 통신 단말 및 콘텐츠 추천 방법
JP200019472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提供媒体
JP2003122766A (ja) 物理的実体を用いてニーズと情報を共有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1981570A (zh) 用于与内容对象集成、关联和交互的开放式架构
JP200926577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提供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提供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録媒体等
US20170006101A1 (en) Adding a card to a mash guide/proximity grid
KR101958424B1 (ko) 공공 디스플레이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뉴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뉴스 제공 방법
US20170004529A1 (en) Mash guide/proximity grid
KR100930305B1 (ko) 쌍방향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00228653A1 (en) Data reproduction device, content delivery system, and content delivery method
JP2001285526A (ja) 双方向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US20170005972A1 (en) Geotag
US20170308929A1 (en) Social Network Based Advertisement
JP4423441B2 (ja) ガイドシステムおよびガイド装置
KR100678327B1 (ko) 무선 사이트 제공 및 접속 방법과 무선 사이트 제공을 위한네트워크 시스템
JP2004354150A (ja) 施設利用支援システム
TW200804764A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mobil guidance of show place
Ciavarella et al. Design of handheld interactive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