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405B1 - Method for performing presentation in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performing presentation in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405B1
KR100703405B1 KR1020050084220A KR20050084220A KR100703405B1 KR 100703405 B1 KR100703405 B1 KR 100703405B1 KR 1020050084220 A KR1020050084220 A KR 1020050084220A KR 20050084220 A KR20050084220 A KR 20050084220A KR 100703405 B1 KR100703405 B1 KR 100703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ointer
presentation file
presentatio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2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29439A (en
Inventor
김보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4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405B1/en
Publication of KR20070029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4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4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에 있어서, 제1휴대단말기와 제2휴대단말기 사이에서 프리젠테이션 파일이 송수신되는 과정과;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의 송수신이 완료되면, 제1휴대단말기와 제2휴대단말기에 구비된 각각의 HUD(Head Up Display)를 통해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이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erforming a present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resentation file between a first portable terminal and a second portable terminal; Wh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presentation file is comple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displaying the presentation file through each head up display (HUD)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mobile terminals.

휴대단말기, 공유, 프리젠테이션 Handset, Share, Presentation

Description

휴대단말기를 통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METHOD FOR PERFORMING PRESENTATION IN WIRELESS TERMINAL}How to perform a presentation using a mobile device {METHOD FOR PERFORMING PRESENTATION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휴대단말기의 전체 블록 구성도.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통한 프리젠테이션 수행 동작 흐름도.2 is a flowchart of a presentation performing oper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포인터 설정 동작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inter setting opera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포인터 설정 동작 흐름도.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inter setting operati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프리젠테이션 수행시 디스플레이되는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displayed when performing a presentati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를 통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performing a present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공유 방법에 있어서, 종래에는 무선모듈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공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휴대단말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미리 설정된 규격에 맞도록 데이터의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확인하면서 통화를 수행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와 통화가 연결된 상대방이 동일한 데이터를 확인하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확인하고 있는 화면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상대방에게 통보해야만 상대방은 상기 사용자와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방향키등을 조작하여 상기 데이터의 원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었다. In the data shar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data can be shared by us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wireless module. In the case of displaying the shared data, the size of the data is adjusted to be displayed in the display unit so as to be displayed in the display unit on the display unit, and the presentation is performed using the data displayed in the display unit. It was difficult to conduct a call while checking the data. Even when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to whom the call is connected are confirming the same data, the other party must notify the other party of the exact position of the screen being checked by the user so that the other party operates the direction keys to display the same screen as the user. Could display the desired screen.

따라서 본원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를 통한 프리젠테이션 수행시 데이터의 공유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에 있어서, 제1휴대단말기와 제2휴대단말기 사이에서 프리젠테이션 파일이 송수신되는 과정과;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의 송수신이 완료되면, 제1휴대단말기와 제2휴대단말기에 구비된 각각의 HUD(Head Up Display)를 통해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이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veniently sharing data when performing a present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erforming a present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resentation file between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Wh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presentation file is comple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displaying the presentation file through each head up display (HUD)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mobile terminals.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통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에 있어서, 제1, 제2휴대단말기간에 호를 연결하여 상기 제1휴대단말기에서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상기 제2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제2휴대단말기가 동일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제1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포인터를 위치시키고, 상기 위치시킨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포인터 위치를 수신되면, 상기 제2휴대단말기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상기 수신된 포인터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erforming a present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transmitting a presentation file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by connecting a call in the first and second mobile terminal period; Displaying the same presentation file by the first and second mobile terminals; Placing a pointer on the presentation file displayed by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position of the positioned pointer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When receiving the pointer position from the first portable terminal,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displaying a pointer at the same position as the received pointer position in the presentation fil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re shown,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details may be changed or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in Esau.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휴대단말기의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5)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5)는 제1휴대단말기로부터 제2휴대단말기에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를 감지한 경우 무선처리부(140)를 통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상기 제2휴대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평면 또는 공간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영상출력부(150)를 제어한다. 상기 영상출력부(15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포인터를 설정할 경우 키입력부(115)의 키 조작을 통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포인터를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이동된 포인터를 제2휴대단말기의 영상출력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카메라부(125)로부터 입력되는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위치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포인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에서 사용자가 가리키는 위치를 알려주는 미리 설정된 모양의 화살표를 의미한다. 상기 포인터의 모양은 제1 휴대단말기에서 설정한 포인터와 제2휴대단말기에서 설정한 포인터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controller 105 controls the overall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0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signal to transmit the presentation file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processing unit 140 to the second file to the presentation file; Control to transmit to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5 controls the image output unit 150 to display the presentation file on a plane or space. When the pointer is set in the presentation file displayed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50, the pointer is controlled to move to the presentation file through the key manipulation of the key input unit 115, and the moved pointer is moved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The position of the pointer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by transmitting the position of the pointer to the presentation file displayed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detects a position input from the camera unit 125 and controls to display a pointer at the position. The pointer refers to an arrow of a preset shape indicating a position pointed to by the user in the displayed presentation file. The shape of the pointer may be displayed by distinguishing the pointer set by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nd the pointer set by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메모리부(11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받은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프리젠테이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 받은 경우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읽어 들여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10)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 디스플레이시 사용자로부터 설정 받은 포인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The memory unit 110 may be composed of a program memory and a data memory. The program memory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a genera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memory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presentation file previously input by a user, and performs a function of reading and outputting the presentation file when the presentation file is set to display the presentation. .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10 stores location information of a pointer set by a user when displaying the presentation file.

키입력부(115)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을 위한 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115)는 사용자로부터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할 파일의 선택을 받는다. 또한 키입력부(115)는 상기 선택받은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전송할 휴대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무선처리부(140)를 통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전송하며,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포인터를 설정 할 경우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입력받는데 사용한다. 상기 키입력부(115)의 숫자/문자키 입력시 상기 숫자/문자키와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의 영역을 분할하여 상기 키입력부(115)의 숫자/문자키의 입력을 받아 상기 제어부(105)에서 상기 해당 영역에 표시하도록 한다. The key input unit 115 includes a key for inputting numeric and text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The key input unit 1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election of a file for presentation.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115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a phone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to transmit the selected presentation file. Thereafter, the presentation file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processor 140. When the pointer is set in the presentation file, the presentation file is used to receive the location of the pointer. When inputting the number / character key of the key input unit 115, the display file is divided into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 character key to receive the input of the number / character key of the key input unit 115 to receive the control unit ( In step 105), the corresponding area is displayed.

표시부(120)는 제어부(105)에서 키입력부(115)로부터의 키입력에 따라 현재 의 상태, 각 처리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하고, 촬영기능 실행을 나타내는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2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1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입력부(115)와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20)는 영상출력부(150)에서 출력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과 동일한 파일을 디스플레이 할 수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0)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공유하고있는 제2휴대단말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the current state, each processing, and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key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15 in the control unit 105. In addition,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is displayed, and a user interface indicating the execution of the shooting function is displayed. The display unit 120 may use an LC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10 may include an LCD controller, a memory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and an LCD display device. In this case, when the LCD is implemented using a touch screen method, the key input unit 115 and the LCD may be input units. The display unit 120 includes an image dat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mage data. Th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the same file as the presentation fil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150, and display the position of the pointer displayed in the presentation fil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can do.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20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sharing the presentation file.

카메라(125)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영상처리부(130)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30)는 상기 제어부(105)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부(110)의 규격에 맞춰 하는 전송하며, 또한 상기 영상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125), 영상처리부(130)를 하나의 카메라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출력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부(125)에 포인터를 위치시킬 위치의 정보를 입력 받는데 사용된다. The camera 125 photographs image data and includes a camera sensor that converts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It is assumed here that the camera sensor is a CCD sensor. The image processor 13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creen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The image processor 130 transmits an image signal receiv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5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the display unit 110, and compresses and decompresses the image data. The camera 125 and the image processor 130 may be one camera unit. The camera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pointer to be positioned in the camera unit 125 to display the pointer in the presentation file displayed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50 from the user. Used to receive input.

무선처리부(140)는 휴대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처리부(14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처리부(140)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송수신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wireless processor 140 performs commun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radio processor 140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The wireless processor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resentation file and periodically transmits position information of a pointer displayed in the presentation file.

데이터처리부(MODEM)(14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The data processor (MODEM) 140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and the like.

오디오처리부(14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45)는 상기 데이터처리부(135)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처리부(135)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거나 또는 제어부(105)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처리부(145)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무선처리부(140)를 통하여 송수신하고 HUD 모듈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시 사용자간에 음성을 입출력하여 호를 연결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audio processor 145 may configure a codec, and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The audio processor 145 reproduces the digital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data processor 135 by converting an analog signal through the audio codec or transmits an analog audio signal generated from a microphone through the audio codec.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or 135. The codec may be provided separately or included in the controller 105. The audio processor 145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d receives a presentation file through the wireless processor 140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nnecting a call by inputting and outputting voice between users during display using the HUD module.

영상출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HUD 모듈을 이용하여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평면 또는 공간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포인터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해당 위치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되도록 영상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출력부(150)는 HUD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HUD모듈(Head Up Display Module)은 광학기술인 홀로그램 기술(예를 들어 홀로그램 패턴 확산판을 사용하여) 등의 활용해 통해 소형 단말기 화면을 시각적으로 확대시켜 큰 화면으로 즐길 수 있는 표시장치이다. 과거 HUD 모듈은 주로 군사적인 용도(예를 들어, 공군파일럿의 헬멧에 적용)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현재에 이르러서는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조된 DMB 폰 등에 적용될 예정으로 사용자에게 휴대단말기의 표시부보다 큰 표시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출력부(150)는 이러한 HUD 모듈을 통해 각종 영상데이터(프리젠테이션 파일 및 포인터를 포함하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image output unit 150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a presentation file on a plane or space using a HU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function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inter into the displayed presentation file from the user and outputs an image to display the pointer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The imag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HUD module (not shown). The HUD module (Head Up Display Module) is a display device that visually enlarges the screen of a small terminal by using hologram technology (for example, using a hologram pattern diffuser), which is an optical technology, to enjoy a large screen. In the past, the HUD module was widely used mainly for military purposes (for example, in the helmet of an air force pilot), but now it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DMB phones with multimedia functions. can do. Accordingly, the image output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various image data (including a presentation file and a pointer) through the HUD modul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통한 프리젠테이션 수행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휴대단말기(10)에서 제2휴대단말기(20)에 호를 연결하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신호를 수신한 제2휴대단말기(20)는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제1휴대단말기(10)와 호를 연결하는 200단계를 실행한다. 제1휴대단말기(10)와 제2휴대단말기(20)간에 호가 연결됨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1휴대단말기(10)는 상기 제2휴대단말기(20)에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전송(송신)하도록 하는 295단계를 실행한다. 제2휴대단말기(20)는 상기 제1휴대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수신하는 210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의 수신을 완료함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제1휴대단말기(10)에 전송하는215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상기 제1휴대단말기(10)에서 제2휴대단말기(20)로 송신한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영상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220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제1휴대단말기(10)와 상기 제2휴대단말기(20)에서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디스플레이는 도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is a flowchart of a presentation performing oper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 signal for connecting a call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10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 is transmitted,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s a signal according to the signal. 1 carry out 200 steps for connecting the call with the mobile terminal (10).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all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0,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 transmits the presentation fil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0 (transmission). Step 295 is executed.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 performs step 210 of receiving the presentation file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10 and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reception of the presentation file is completed. Step 215 is then performed. Thereafter, step 220 is performed to output the presentation file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10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50. The display of the presentation file i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0 may be represented as shown in FIG. 5.

제1휴대단말기(10)는 상기 영상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소정의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설정하고자 할 경우 미리 설정된 위치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상기 포인터를 위치시키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키를 입력받아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설정받도록 하는 225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포인터의 위치는 키입력부(115)의 조작에 의해 위치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숫자/문자키와 유사하게 영역을 분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숫자/문자키를 입력 받아 상기 포인터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의 위치 설정 동작은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1휴대단말기(10)에서 사용자로부터 설정 받은 포인터의 위치 정보를 제2휴대단말기(20)에 전송하는 230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상기 제2휴대단말기(20)는 상기 제1휴대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제1휴대단말기(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과 상기 제2휴대단말기(20)의 영상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상기 포인터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235단계를 실행한다.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 displays a pointer at a preset position when a pointer indicating a predetermined position is to be set in the presentation file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50. Thereafter, in step 225, a direction key for moving the pointer to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to be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and the position of the pointer is set. The position of the pointer may be moved by manipulation of the key input unit 115, and the number / character key is moved so that the displayed presentation file is divided into areas similar to the number / letter key and moved to a desired area by the user. The pointer can be moved by receiving input. Positioning operation of the poin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herefore, step 230 of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inter set by the user from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0 is executed. Thereafter,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pointer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10 and the image of the presentation file displayed on the first mobile terminal 10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 In step 235, the pointer location is displayed in the presentation fil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또한 제2휴대단말기(2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휴대단말기(10)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제1휴대단말기(10)에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외에 포인터를 설정하도록 하는 240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상기 제2휴대단말기(20)에서 설정된 포인터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1휴대단말기(10)에 전송하는 245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상기 제1휴대단말기(10)와 상기 제2휴대단말기(20)에서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상기 설정된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250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제1휴대단말기(10)에서 설정된 포 인터와 상기 제2휴대단말기(20)에서 설정된 포인터는 색상, 모양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 allows a user to set a pointer in addition to the pointer displayed in the presentation file on the first mobile terminal 10 in the presentation file display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mobile terminal 10. Run the step. Thereafter, step 245 is perform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inter set in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10. Thereafter, step 250 is performed such that the set pointer is displayed in the presentation file displayed on the first mobile terminal 10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 in the same manner. The pointer set i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pointer set in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0 are displayed in color and shap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의 위치 설정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휴대단말기(10)는 제2휴대단말기(20)와 호가 연결되어 통화모드로 동작하는 300단계에서 제1휴대단말기(10)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메뉴를 입력받았는지 판단하는 305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통화모드 실행중 상기 입력받은 메뉴가 프리젠테이션 메뉴가 아님을 판단한 경우 상기 입력받은 메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310단계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입력받은 메뉴가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메뉴를 입력받았음을 확인한 경우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프리젠테이션 파일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315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 목록중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할 파일을 선택받는 320단계를 수행한다. 이후 제1휴대단말기(10)는 상기 320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영상출력부(150)를 통하여 공간 또는 평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325단계를 실행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sitioning operation of a pointer displayed in a presentation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mobile terminal 10 receives a menu for performing a presentation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 in step 300 in which a call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 and operates in a call mode. Step 305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application is successfu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menu is not a presentation menu while executing the call mode, step 310 is performed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menu.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menu has been input to the menu to perform the presenta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tep 315 of displaying a list of presentation files stored in the memory unit 110 is performed. In step 320, a file for performing a presentation is selected from the list of displayed presentation files. Thereafter, the first mobile terminal 10 executes step 325 of displaying the presentation file selected in step 320 on the space or plane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50.

제1휴대단말기(10)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사용자가 지정하는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하는 330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의 위치를 변경하고자하는 방향키를 입력받았는지 판단하는 335단계를 확인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입력된 키가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하는 방향키임을 확인한 경우 상기 입력된 방향키의 방향에 따라 상기 포인터를 해당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340단계를 실행한다. The first mobile terminal 10 executes step 330 for displaying a pointer indicating a location designated by the user at a preset location in the displayed presentation file. In operation 335, it is determined whether a direction key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ointer displayed at the preset position is receiv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key is a direction key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ointer, step 340 is performed to move the pointer to a correspond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input direction key.

상기 실시 예에서는 포인터의 위치 변경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의 위치를 방향키의 입력을 통해 이동하도록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상기 키입력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를 변경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영상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되는 공간 또는 평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도 5의 예시도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키입력부(115)의 숫자/문자키와 부합하도록 영역을 분할하여 사용자로부터 이동하고자 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숫자/문자키를 입력받아 상기 영역의 중앙에 상기 포인터를 위치시키도록 한다. 이후 상기 선택받은 영역에 위치한 포인터를 방향키의 입력을 통하여 상기 선택받은 영역내부에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pointer displayed at the preset position in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ointe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y moving the input of the direction key. As another method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ointer according to the key input, the presentation file displayed on the space or plane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50 is displayed in the key input unit 115 of the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FIG. By dividing the area so as to correspond to the number / letter key of), the pointer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area by receiving a number / letter key corresponding to the area to be moved from the user. Thereafter, the pointer located in the selected area may be moved within the selected area through the input of a direction key.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의 위치 설정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 3에서와 같이 제1휴대단말기(10)는 제2휴대단말기(20)와 호가 연결되어 통화모드인 400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상기 통화모드중 상기 도 3과 같이 제1휴대단말기(10)에 프리젠테이션메뉴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여 상기 입력여부에 따라 프리젠테이션 파일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목록중 프리젠테이션을 실행할 파일을 선택받아 상기 선택받은 파일을 공간 또는 평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405단계에서 430단계까지를 수행한다. 이후 제1휴대단말기(10)는 상기 제1휴대단말기(10)에 구비된 카메라부(125)를 동작하도록 하는 카메라 메뉴를 입력받았 는지 확인하는 435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제1휴대단말기(10)의 제어부(105)는 상기 카메라메뉴를 실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입력받았음을 판단한 경우 상기 카메라부(125)를 통하여 상기 포인터를 위치시키고자 하는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440단계를 실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1휴대단말기(10)의 영상출력부(150)에서 출력되어 공간 또는 평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존재하는 포인터를 사용자로부터 카메라부(115)로부터 입력받은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445단계를 실행한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sitioning operation of a pointer displayed in a presentation f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as shown in FIG. 3,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0 to execute a call mode 400. Thereafter, in the call mode, as shown in FIG. 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esentation menu is input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10, and a list of presentation files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input. Receives the selected file to be displayed in space or plane. In addition, steps 405 to 430 are performed to display a pointer at a preset location of the displayed presentation file. Thereafter, the first mobile terminal 10 executes step 435 for checking whether a camera menu for operating the camera unit 125 provided in the first mobile terminal 10 is receiv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rol unit 105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 receives a signal for executing the camera menu, the controller 105 inputs position information for positioning the pointer through the camera unit 125. Receive step 440. Accordingly, a pointer existing at a preset position of the presentation fil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150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 and displayed in space or plane is inputted to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115 by the user. Step 445 is performed to move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상기 카메라메뉴 동작에 따른 카메라부(115)는 상기 실시 예에서와 같이 종래의 카메라부(115)를 통하여 포인터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HUD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카메라부를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포인터의 위치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The camera unit 115 according to the camera menu operation may receiv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er through the conventional camera unit 115 as in the above embodiment, and although not shown, a camera unit having a separate HUD camera module It may be provided to receiv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er from the camera uni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유된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 없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휴대단말기마다 동일한 프리젠테이션 화면을 출력할 뿐만 아니라, 상대측의 포인터 조작을 사용자가 즉시 인지함으로써 프리젠테이션의 진행을 원할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isplaying a shared presentation file without a separate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outputs the same presentation screen for each mobile terminal, but also has the effect of smoothing the presentation by allowing the user to immediately recognize the manipulation of the other party's pointer.

Claims (9)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에 있어서, In the presentation perform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제1휴대단말기와 제2휴대단말기 사이에서 프리젠테이션 파일이 송수신되는 과정과,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resentation file between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의 송수신이 완료되면, 제1휴대단말기와 제2휴대단말기에 구비된 각각의 HUD(Head Up Display)를 통해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이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Wh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presentation file is completed, performing the presentation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presentation file through each head up display (HUD) provided in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Way.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휴대단말기 및 제2휴대단말기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대한 각자의 포인터 위치를 상대측 휴대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상대측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대한 상대측 휴대단말기의 포인터 위치를 수신하는 과정과,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transmit their respective pointer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displayed presentation file to the opposite portable terminal, and receive the pointer positions of the opposite portable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presentation file from the opposite portable terminal. Process, 상기 제1휴대단말기 및 제2휴대단말기가 상기 송신 및 수신되는 포인터 정보를 통해 상대측 휴대단말기의 포인터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포인터를 위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And positioning the pointer at the same position as the pointer position of the counterpart mobile terminal through the pointer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 .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휴대단말기에서 프리젠테이션 파일의 n번째 화면 데이터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받은 경우 상기 n번째 화면 데이터를 알리는 신호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When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selected to display n-th screen data of the presentation file, transmitting a signal indicating the n-th screen data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의 n번째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휴대단말기는 상기 제1휴대단말기와 동일한 상기 n번째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  The second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signal for displaying the nth screen data of the presentation file further comprises displaying the same nth screen data as the first mobile terminal. How to conduct presentations. 휴대단말기를 통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presentation via a mobile terminal, 제1, 제2휴대단말기간에 호를 연결하여 상기 제1휴대단말기에서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상기 제2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Transmitting a presentation file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by connecting a call to the first and second mobile terminal periods; 상기 제1, 제2휴대단말기가 동일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Displaying the same presentation file by the first and second mobile terminals; 상기 제1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포인터를 위치시키는 과정과,Placing a pointer on the displayed presentation file in the first mobile terminal; 상기 위치시킨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과,Transmitting the position of the located pointer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상기 제1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포인터 위치를 수신되면, 상기 제2휴대단말기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상기 수신된 포인터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통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 When the pointer location is received from the first portable terminal,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includes displaying the pointer at the same position as the received pointer position in the presentation file. How to perform a presentation.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이 상기 각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HUD(Head Up Display)를 통해 출력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통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And a process of outputting the presentation file through a head up display (HUD) provided in each of the portable terminal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의 위치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ositioning process of the pointer comprises: 숫자/문자키와 대응되도록 설정되어진 영역 중 사용자로부터 현재 포인터를 이동하고자 하는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숫자/문자키의 입력을 받는 과정과, A process of receiving an input of a number / letter key to move the current pointer from the user to an area to be moved among the areas set to correspond to the number / letter key; 상기 입력된 숫자/문자키에 대응되는 영역의 중심으로 상기 현재 포인터를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 And moving the current pointer to a center o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input number / character key.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프리젠테이션 파일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1휴대단말기의 포인터 및 상기 제2휴대단말기의 포인터는 각각의 색상 또는 모양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 The pointer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nd the pointer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displayed in the presentation file are displayed at least one of each color or shape is displayed separat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50084220A 2005-09-09 2005-09-09 Method for performing presentation in wireless terminal KR1007034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220A KR100703405B1 (en) 2005-09-09 2005-09-09 Method for performing presentation in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220A KR100703405B1 (en) 2005-09-09 2005-09-09 Method for performing presentation in wireless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439A KR20070029439A (en) 2007-03-14
KR100703405B1 true KR100703405B1 (en) 2007-04-03

Family

ID=38101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220A KR100703405B1 (en) 2005-09-09 2005-09-09 Method for performing presentation in wireless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4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016B1 (en) * 2012-08-29 2019-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files during video telephony in electronic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4418A (en) * 2000-08-23 2002-02-28 Casio Comput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20040075644A1 (en) * 2002-10-18 2004-04-22 Hitachi, Ltd. Presentation system
KR20050011264A (en) * 2003-07-22 200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projection or pointer of mobile phone
KR20050081082A (en) * 2004-02-12 2005-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Projector using mobi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4418A (en) * 2000-08-23 2002-02-28 Casio Comput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20040075644A1 (en) * 2002-10-18 2004-04-22 Hitachi, Ltd. Presentation system
KR20050011264A (en) * 2003-07-22 200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projection or pointer of mobile phone
KR20050081082A (en) * 2004-02-12 2005-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Projector using 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439A (en) 200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499B1 (en) Method for key information displaying in wireless terminal
EP1761008B1 (en) Multi-tasking apparatus and method in portable terminal
KR10069024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camera in a portable terminal
KR20170029837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7975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message
KR100790177B1 (en) Method and device for image displaying in wireless terminal
US7664531B2 (en) Communication method
KR100703315B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files in bluetooth of wireless terminal
JP4371798B2 (en) Mobile terminal device
KR1007262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going call in bluetooth terminal
KR20080092646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according to call
JP2006338406A (en) Communication system, image display system,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recording medium
EP3128722A1 (en) Fil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0703405B1 (en) Method for performing presentation in wireless terminal
KR20170013579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8492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ey inputting in slid type wireless mobile terminal
KR20160066269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0187810B (en) Drawing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KR100703333B1 (en) Method for multi media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 wireless terminal
KR100640427B1 (en) Method for changing data and background in wireless terminal
KR100689547B1 (en) Method for selectively displaying menu items of mobile wireless handset
KR200900129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pplication being executed
KR10059806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menu moving according to the key press timing and its method
KR102108656B1 (en) A character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character in its own handwritin
KR20170082382A (en) Mobile terminal and screen zoom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