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823B1 - Communication System Among Toy Robots Using Messenger And Toy Robot Linked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System Among Toy Robots Using Messenger And Toy Robot Linked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823B1
KR100701823B1 KR1020060046341A KR20060046341A KR100701823B1 KR 100701823 B1 KR100701823 B1 KR 100701823B1 KR 1020060046341 A KR1020060046341 A KR 1020060046341A KR 20060046341 A KR20060046341 A KR 20060046341A KR 100701823 B1 KR100701823 B1 KR 100701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enger
instant
unit
toy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3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경석
최두아
박재범
Original Assignee
(주)시뮬레이션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뮬레이션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시뮬레이션연구소
Priority to KR1020060046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823B1/en
Priority to PCT/KR2007/000576 priority patent/WO200713616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8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A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oy robots using a messenger and the toy robots linked with the system are provided to convert information such as emoticons or messages delivered by using the messenger into preset command(bit signal) and/or audio signal(frequency band) type when the information is outputted as emotional expressions, thereby showing user's various emotional expressions through visual, auditory, and 3-D actions. A wire/wireless Internet network(150) is equipped. User terminals A and B(110,120) includ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s and communication program units for converting instant messages into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oy robots(130,140) to output the converted control signals, and are capable of conducting network communication. The toy robots(130,140) are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s A and B(110,120) in wire/wireless ways, and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instant messages. Each of the toy robots(130,140) further comprises one of a sound input unit and a sensor input unit for external inputting.

Description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Toy) 로봇간 통신시스템 및 이와 연동되는 토이 로봇{Communication System Among Toy Robots Using Messenger And Toy Robot Linked With The Same}Communication system among toy robots using messenger and toy robot linked with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스턴트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간의 통신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며,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between toy robots using an instant messe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shown in FIG.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토이 로봇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y robot shown in FIG.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인스턴트 메신지를 토이 로봇 제어신호(bits signal)로 변환하는 일례를 보인 변환테이블의 도표이며,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를 토이 로봇 제어신호(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주파수신호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며,5A is a diagram of a conversion table showing an example of converting an instant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toy robot control signal (bits signal), and FIG. 5B illustrates an instant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toy robot control signal (audio signal). The graph showing the frequency signal when converting and using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스턴트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간 통신의 일례를 보인 설명도이다.6 to 10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oy robot-to-robot communication using the instant messe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120 : 사용자 단말기 130, 140 : 토이 로봇110, 120: user terminal 130, 140: toy robot

220 :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 230 : 통신 프로그램부220: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230: communication program unit

240 : 네트워크 통신부 250 : 연결부240: network communication unit 250: connection unit

310 : 메시지 송수신 모듈 320 : 메시지/명령 해석 모듈310: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320: message / command interpretation module

330 : 단말기 상태감지/설정 모듈 340 :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330: terminal status detection / configuration module 340: user interface module

350 : 설정관리 모듈 360 : 대화상대 관리 모듈350: configuration management module 360: conversation partner management module

370 : 이기종 메신저간 메시지 변환모듈370: message conversion module between heterogeneous messengers

410 : 제어부 420 : 단말기 연결부410: control unit 420: terminal connection unit

430 : 구동부 440 : 센서입력부430: drive unit 440: sensor input unit

450 : 소리입력부 460 : 소리출력부450: sound input unit 460: sound output unit

470 : 메모리부 470: memory

본 발명은 토이 로봇간 통신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토이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신저를 활용한 로봇간 통신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토이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y robot inter-communication system and a toy robot used therei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robot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essenger and a toy robot used therein.

최근 인터넷 이용이 급속하게 확산됨에 따라, 대부분의 학생, 회사원 등의 컴퓨터 사용자들이 메일, 웹서핑, 채팅 등 인터넷상에서의 여러 가지 서비스를 이 용하고 있다.Recently, as the use of the Internet is rapidly spreading, most computer users, such as students and office workers, use various services on the Internet such as mail, web surfing, and chatting.

그 중 "채팅" 또는 "인터넷 대화", "메일", "카드 보내기", "메신저서비스", "게시판 이용", "인터넷 광고" 등이라 불리우는 여러 데이터 전송 서비스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Among them, various data transmission services called "chat" or "internet conversation", "mail", "send card", "messenger service", "use bulletin board", "internet advertisement", etc. are also widely used.

특히, 채팅 서비스는 채팅 서버에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가 채팅 서버와 CGI(Common Gateway Interface) 등으로 구현된 채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른 접속자와 텍스트를 주고 받음으로써 대화하는 서비스를 말하며, 메일 또는 메신저 서비스는 발신자가 정한 텍스트, 이미지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메일서버 또는 메신저 서버를 경유하거나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상대방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In particular, the chat service refers to a service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connected to the chat serv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using a chat program implemented with a chat server and a common gateway interface (CGI), and the like. Refers to a service that transmits digital data such as text and images determined by the sender to the counterpart's computer system via a mail server or a messenger server, or not through a server.

채팅 서비스는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채팅 서버에 접속하거나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설치된 별도의 채팅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채팅 서버에 접속한다. 그 다음, 대화방을 개설하거나 특정 사용자를 지정함으로써 대화할 상대방을 선택한 후, 텍스트 입력창에 원하는 텍스트 메시지를 입력하면 그 텍스트가 선택된 대화 상대방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되어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다.The chat service connects to a chat server by connecting a chat server through a web browser or by executing a separate chat program installed on a client computer. Next, after selecting a counterpart to chat by opening a chat room or designating a specific user, a desired text message is inputted into a text input window, and the text is transmitted to the selected chat counterpart's computer system to display the message.

이러한 채팅 서비스는 소위 "메신저(Messeng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This chat service is performed using a so-called "Messenger" program.

한편, 텍스트 메시지만을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을 뛰어넘어 자신의 감정 등을 표현하는 메시지 기능까지 수행되는데, 감정표현을 위한 특수 문자 조합인 "이모티콘(emoticon)"이 주로 이용된다. On the other hand, beyond the ability to send and receive only text messages, the message function to express their feelings, etc. is performed, a special character combination "emoticon" for expressing emotions is mainly used.

이러한 이모티콘은 텍스트 중심의 문자 이모티콘 또는 미리 정해진 이미지 이모티콘이 이용된다. 나아가 이미지 이모티콘을 자신만의 고유한 이모티콘을 생성하여 감정의 표현용으로 사용하는 단계까지 이용되고 있다. Such emoticons may be text-based text emoticons or predetermined image emoticons. Furthermore, the image emoticons are used to create their own emoticons to express their emotions.

그러나, 문자 또는 이미지 이모티콘만을 이용하여 대화하는 경우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2차원적인 시각적 감정만을 전달할 수 있을 뿐, 상대방의 감정을 3차원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현실적 감각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conversation using only letters or image emoticons, only two-dimensional visual emotions displayed on the monitor can be delivered, and there is a limit of realistic senses that can three-dimensionally convey the emotions of the other party.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신저를 이용하여 전달된 메시지 또는 이모티콘에 따른 감정표현을 동작 및/또는 소리출력으로 표출하는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간 통신시스템 및 이와 연동되는 토이 로봇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is a toy robot-to-robot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essenger for expressing the emotion expression according to the message or emoticon transmitted using the messenger as an operation and / or sound output and the interworking Is to provide a toy robo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신저를 이용하여 전달된 메시지 또는 이모티콘 등의 정보를 감정표현으로 출력하는 방식에 있어서, 그 정보를 기설정된 명령어(비트신호) 및/또는 오디오신호(주파수 대역)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감정표현을 시각, 청각 및 3차원 동작으로 표출할 수 있는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간 통신시스템 및 이와 연동되는 토이 로봇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utput information such as a message or emoticon transmitted using a messenger as an emotional expression, and converts the information into a predetermined command (bit signal) and / or an audio signal (frequency band). It is to provide a toy robot inter-communication system and a toy robot interlocked with the toy robot using a messenger capable of expressing various emotion expressions of the user by visual, auditory and three-dimensional motion.

상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 봇간 통신 시스템은, 유/무선 인터넷망과;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 및 인스턴트 메시지를 토이(Toy) 로봇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통신 프로그램부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A)와;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 및 인스턴트 메시지를 토이(Toy) 로봇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통신 프로그램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A)와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B)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B)로부터 인스턴트 메시지(A)를 수신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A)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신된 인스턴트 메시지(A)에 대응하여 작동되는 토이 로봇(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oy robot-to-robot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esse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network; A user terminal A including an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and a communication program unit converting an instant message into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toy robot,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control signal; And a communication program unit for converting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and the instant message into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toy robot, and outputting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instant message with the user terminal A through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network.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B); A toy robot (A)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 for receiving an instant message (A) from the user terminal (B) in a wired / wireless manner and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received instant message (A); It is done b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간 통신 시스템은, 유/무선 인터넷망과;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 및 인스턴트 메시지를 토이(Toy) 로봇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통신 프로그램부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A)와;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 및 인스턴트 메시지를 토이(Toy) 로봇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통신 프로그램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A)와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B)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B)로부터 인스턴트 메시지(A)를 수신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신된 인스턴트(A) 메시지에 대응하여 작동되는 토이 로봇(A)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A)로부터 인스턴트 메시지(B)를 수신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B)와 각각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신된 인스턴트 메시지(B)에 대응하여 작동되는 다수의 토이 로봇(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toy robot-to-robot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esse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network; A user terminal A including an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and a communication program unit converting an instant message into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toy robot,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control signal; And a communication program unit for converting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and the instant message into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toy robot, and outputting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instant message with the user terminal A through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network.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B); A toy robot (A) connec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that receives an instant message (A) from the user terminal (B) by wire / wireless and operated in response to the received instant (A) message; A plurality of toy robots (B)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B) for receiving an instant message (B) from the user terminal (A), respectively, by wire / wireless, and operated in response to the received instant message (B). It includes;

여기서,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지 송수신 모듈과,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및 명령어를 해석하는 메시지/명령어 해석 모듈을 포함한다.Here,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includes a message transceiving module for transceiving instant messages and a message / command parsing module for translating the instant messages and commands.

나아가,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는, 이기종 메신저간 인스턴트 메시지 호환을 위한 메시지 변환 모듈과, 상대방의 단말기 상태를 감지하며, 자신의 단말기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감지 및 상태설정 모듈과, 인스턴트 메신저의 계정정보, 감정표현정보, 상태제어정보 등을 설정하는 설정관리 모듈과, 인스턴트 메신저의 대화상대를 관리하는 대화상대관리 모듈 중 하나 이상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a message conversion module for the instant message compatibility between heterogeneous messengers, a state sensing and state setting module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terminal of the other party, setting its own terminal state, account information of the instant messeng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module of a setting management module for setting the emotion expression information, state control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a conversation partner management module for managing the conversation partner of the instant messenger.

여기서, 상기 토이 로봇(A, B)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A, B)와 각각 네트워크 통신 및 물리적 연결을 수행하는 단말기 연결부와,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Here, the toy robots A and B include a terminal connection unit for performing network communication and physical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s A and B, respectively,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overall control.

나아가, 상기 토이 로봇(A, B) 각각은,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작동을 하는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출력신호를 소리신호로 출력하는 소리출력부와, 외부 입력을 위한 센서입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Further, each of the toy robots (A, B), the memory unit, a driving unit for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output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More preferably, any one or more of the sensor input unit for the external inpu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통신부, 상대방 사용자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 및 토이(Toy) 로봇의 제어를 위해 수신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를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통신 프로그램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 및/또는 소리출력하는 것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oy robot using a messe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network communication,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configured to send and receive instant messages with the counterpart user terminal, and the instant message received for the control of the toy robot And a wired / wireless connection with a user terminal including a communication program unit for converting the control signal into a control signal, and outputting an operation and / or a soun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여기서,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지 송수신 모듈과,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및 명령어를 해석하는 메시지/명령어 해석 모듈을 포함한다.Here,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includes a message transceiving module for transceiving instant messages and a message / command parsing module for translating the instant messages and commands.

나아가,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는, 이기종 메신저간 인스턴트 메시지 호환을 위한 메시지 변환 모듈과, 상대방의 단말기 상태를 감지하며, 자신의 단말기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감지 및 상태설정 모듈과, 인스턴트 메신저의 계정정보, 감정표현정보, 상태제어정보 등을 설정하는 설정관리 모듈과, 인스턴트 메신저의 대화상대를 관리하는 대화상대관리 모듈 중 하나 이상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a message conversion module for the instant message compatibility between heterogeneous messengers, a state sensing and state setting module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terminal of the other party, setting its own terminal state, account information of the instant messeng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module of a setting management module for setting the emotion expression information, state control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a conversation partner management module for managing the conversation partner of the instant messenger.

여기서, 상기 토이 로봇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각각 네트워크 통신 및 물리적 연결을 수행하는 단말기 연결부와,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Here, the toy robot includes a terminal connection unit for performing network communication and physical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respectively,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overall control.

나아가, 상기 토이 로봇은,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작동을 하는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출력신호를 소리신호로 출력하는 소리출력부와, 외부 입력을 위한 센서입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y robot further includes a memory unit, a driving unit operating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a sound output unit outputting an output signal as a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and a sensor input unit for external inpu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y one or more of them.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스턴트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간의 통신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between toy robots using an instant messe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을 참조하여 각각의 실시예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G. 1 illustrates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configuration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스턴트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간 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A, B(110, 120), 사용자 단말기A, B(110, 120)간의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넷망(150) 및 사용자 단말기A(110)에 연결되는 토이 로봇A(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ne embodiment, the toy robot-to-robot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instant messe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rnet network to enable the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 B (110, 120), user terminal A, B (110, 120) And a toy robot A 130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 110.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스턴트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간 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A, B(110, 120), 사용자 단말기A, B(110, 120)간의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넷망(150) 및 사용자 단말기A, B(110, 120)에 각각 연결되는 토이 로봇A, B(130, 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nother embodiment, the toy robot inter-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instant messe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rnet network for enabling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user terminals A, B (110, 120), user terminals A, B (110, 120). It comprises a toy robot A, B (130, 140) connected to the 150 and the user terminal A, B (110, 120), respectively.

위 두가지 실시예의 차이는 어느 한쪽 사용자 단말기A, B(110, 120)에만 토이 로봇A, B(130, 140)이 존재하거나, 아니면 양쪽 사용자 단말기A, B(110, 120)에 모두 토이 로봇A, B(130, 140)이 존재하는 경우이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above two embodiments is that only toy robot A and B (130, 140) exist in either user terminal A, B (110, 120), or toy robot A in both user terminals A, B (110, 120). , B 130 and 140 exist.

인터넷망(15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A(110)는 사용자 단말기B(120)와 통신을 하며, 특히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미도시)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 인스턴트 메시지에 포함된 감정표현과 관련된 메시지는 토이 로봇A, B(130, 140)의 제어신호로 변환되어 토이 로봇A, B(130, 140)의 동작 및 오디오 출력를 수행하게 된다.The user terminal A 11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B 12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150, and in particular, exchanges instant messages using an instant messenger program (not shown). The message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emotion included in the instant message is converted into control signals of the toy robots A and B 130 and 140 to perform the operation and audio output of the toy robots A and B 130 and 140.

여기서, 토이 로봇A, B(130, 140)는 사용자 단말기A, B(110, 120)와 각각 근거리 또는 원거리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근거리 통신의 경우는 USB, 블루투스 또는 Zigbee 통신을 이용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의 경우는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Here, the toy robots A and B (130, 14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s A and B (110, 120) by short-range or long-distance wired / wireless, respectively.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USB, Bluetooth, or Zigbee communication may be used. In the case of telecommunications, wired /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may be us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A, B(110, 120)는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단말기 기본 구성(210)외에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220), 통신 프로그램부(230), 네트워크 통신부(240) 및 연결부(25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user terminal A, B (110, 120) is basically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220, communication program unit 230, network communication unit 240 and the connection unit (other than the basic terminal 210) 250).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220)는 네트워크 통신부(240)를 통하여 인스턴트 메시지를 주고 받거나 인스트턴 메시지/명령어를 해석하여 통신 프로그램부(230)로 전달한다.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220)의 세부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220 exchanges an instant message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240 or interprets an instant message / command word and transmits the instant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program unit 230.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220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3.

통신 프로그램부(230)는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220)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를 토이 로봇A, B(130, 140)의 제어를 위해 명령어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명령어를 토이 로봇A, B(130, 140)의 제어신호로 다시 변환하여 토이 로봇A, B(130, 140)로 전달한다. The communication program unit 230 converts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220 into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toy robots A and B 130 and 140, and converts the converted command into a toy robot A and B 130. The controller 140 converts the control signal back to 140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toy robots A and B 130 and 140.

여기서, 제어신호는 비트(Bits)신호의 경우와 오디오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다. 이 제어신호의 변환예는 도 5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Here, the control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udio frequency signal as in the case of the bit signal. An example of conversion of this control signal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5.

네트워크 통신부(240)는 인터넷 통신을 위한 모듈이며, 연결부(250)는 토이 로봇A, B(130, 140)와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포트를 의미한다.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240 is a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et, and the connection unit 250 means a port for physically connecting to the toy robots A and B (130, 140).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shown in FIG. 2.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220)는 메시지 송수신 모듈(310), 메시지/명령 해석 모듈(320), 단말기 상태감지/설정 모듈(330),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340), 설정관리 모듈(350), 대화상대관리 모듈(360) 및 이기종 메신저간 메시지 변환 모듈(3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220 includes 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310, a message / command interpretation module 320, a terminal state detection / setting module 330, a user interface module 340, a setting management module 350, and a conversation partner. It comprises a management module 360 and the message conversion module 370 between the heterogeneous messenger.

메시지 송수신 모듈(310)은 사용자 단말기간의 인스턴트 메시지 송수신 및 통신 프로그램부(230)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한다.The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310 performs instant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user terminals and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communication program unit 230.

메시지/명령 해석 모듈(320)은 사용자 단말기간의 인스턴트 메시지 또는 명령어(슬래쉬 '/') 등을 해석하여 메시지 송수신 모듈(310)을 통해 통신 프로그램부(230)로 전달한다.The message / command interpretation module 320 interprets an instant message or a command (slash '/') between the user terminals and transmits the message / command to the communication program unit 230 through the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310.

단말기 상태감지/설정 모듈(330)는 사용자 단말기의 인스턴트 메신저 상태를 감지하고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erminal state detection / setting module 330 detects and sets an instant messenger state of the user terminal.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340)은 사용자 단말기의 인스턴트 메신저의 사용자 조작 및 화면 등의 기본 입출력을 수행한다.The user interface module 340 performs basic input / output such as user manipulation and screen of an instant messenger of a user terminal.

설정관리 모듈(350)은 사용자 단말기의 인스턴트 메신저의 계정정보, 감정표현 정보, 상태제어 정보 등의 인스턴트 메신저 기능 정보 및 토이 로봇에 전달할 정보를 설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setting management module 350 is responsible for setting instant messenger function information such as account information, emotion expression information, and state control information of the instant messenger of the user terminal and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toy robot.

대화상대관리 모듈(360)은 인스턴트 메신저의 대화상대를 관리하여, 이기종 메신저간 메시지 변환 모듈(370)은 이기종 메신저간 메시지 호환을 위한 모듈로서 작용한다.The conversation partner management module 360 manages the conversation partner of the instant messenger, and the heterogeneous messenger message conversion module 370 serves as a module for message compatibility between heterogeneous messengers.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토이 로봇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y robot shown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토이 로봇A, B(130, 140) 각각은 제어부(410), 단말기 연결부(420), 구동부(430), 센서입력부(440), 소리입력부(450), 소리출력부(460) 및 메모리부(470)를 포함한다.As shown, toy robots A and B (130, 140) are each of the control unit 410,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420, the driving unit 430, the sensor input unit 440, the sound input unit 450, the sound output unit 460 ) And a memory unit 470.

제어부(410)는 토이 로봇A, B(130, 14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단말기 연결부(420)는 사용자 단말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매개체이며, 메모리부(470)는 프로그램 저장 및 실행을 위한 모듈이다.The controller 410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toy robots A and B (130, 140),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420 is a medium that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e memory unit 470 is for storing and executing the program Module.

센서입력부(440)와 소리입력부(450)는 입력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경우의 입력부로서, 이들 구성은 본 발명에서 부가적으로 추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The sensor input unit 440 and the sound input unit 450 are input units when an input signal is directly input from a user, and these components are additional components in the present invention.

센서입력부(440)와 소리입력부(450)를 통해 외부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A(110)의 메신저를 통해 상대방 사용자 단말기B(120)의 메신저로 인스턴트 메시지 형태로 전달되고, 전달된 인스턴트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기B(120)의 통신 프로그램부(230)에 의해 토이 로봇B(14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구동부(430)를 구동하게 된다. When there is an external input through the sensor input unit 440 and the sound input unit 450, the instant message is delivered to the messenger of the counterpart user terminal B 120 through the messenger of the user terminal A 110, and the delivered instant message. Is converted into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oy robot B 140 by the communication program unit 230 of the user terminal B (120), thereby driving the drive unit (430).

구동부(430)는 토이 로봇의 구동을 위한 것이며 일반적으로 모터가 이에 해당되며, 소리출력부(460)는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The driving unit 430 is for driving a toy robot and generally corresponds to a motor, and the sound output unit 460 performs a function such as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구동부(430)는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통신 프로그램부(230)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토이 로봇의 구동을 수행하게 되는데, 구동되는 객체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토이 로봇의 팔, 다리, 눈, 머리, 몸, 허리 등 다양한 부분을 구동부(43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통신 프로그램부(23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각 부위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driving unit 430 drives the toy robo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program unit 230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The driven objec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That is, various parts such as arms, legs, eyes, head, body, and waist of the toy robo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430 so that each part can be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program unit 230. do.

소리출력부(460)도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통신 프로그램부(230)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감정표현 소리를 출력하게 된다.The sound output unit 460 similarly outputs the emotion expressing soun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program unit 230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메모리부(470)는 선택적인 구성요소로서,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220)가 사용자 단말기 내에 기설치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토이 로봇을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통신 프로그램부(230)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he memory unit 470 is an optional component. When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220 is already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he memory unit 470 is configured to store a separate communication program unit 230 to implement a toy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lement.

여기서, 제어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트신호와 주파수(오디오)신호로 구분되어 전달되게 된다.Here, the control signal is divided into a bit signal and a frequency (audio) signal as described above and transmitted.

이 때, 비트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에는 비트신호에 토이 로봇의 동작을 위한 신호와 소리 출력을 위한 신호로 구분되어 전달되고, 나아가 동작신호인 경우에도 토이 로봇의 각 부위를 구동할 수 있는 신호로 더욱 세분화된다.In this case, when the bit signal is transmitted, the bit signal is divided into a signal for operation of the toy robot and a signal for sound output, and in addition, the bit signal is a signal capable of driving each part of the toy robot. More granular

주파수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에는 스테레오 사운드 채널을 사용하게 되는데, 하나의 채널은 사운드 채널로 사용되어 소리출력부(460)를 통해 소리로 출력되고, 다른 하나의 채널은 제어용 주파수 신호를 할당하여 토이 로봇의 동작 제어를 위해 구동부(430)로 연결된다. When a frequency signal is transmitted, a stereo sound channel is used. One channel is used as a sound channel and is output as a soun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460. The other channel is a toy robot by assigning a control frequency signal. It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430 for the operation control.

토이 로봇의 제어신호가 비트 신호 또는 주파수 신호의 여부에 따라 토이 로봇의 구성이 변경되어져야 함은 당연하다.Of course, the configuration of the toy robot should be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the control signal of the toy robot is a bit signal or a frequency signal.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를 토이 로봇 제어신호(bits signal)로 변환하는 일례를 보인 변환테이블의 도표이며,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를 토이 로봇 제어신호(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주파수신호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FIG. 5A is a diagram of a conversion table showing an example of converting an instant message into a toy robot control signal (bits signal), and FIG. 5B converts an instant message into a toy robot control signal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shows the frequency signal graph in the case of use.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턴트 메신저 메시지 또는 명령어는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220)를 거쳐 통신 프로그램부(230)를 통해 토이 로봇 명령어로 변환되고, 토이 로봇 명령어에 따라 로봇 제어신호를 토이 로봇에게 전달한다.As shown in FIG. 5A, the instant messenger message or command is converted into a toy robot command through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gram unit 230, and transmits a robot control signal to the toy robot according to the toy robot command. To pass.

인스턴트 메시지/명령어가 ‘/하하’는 토이 로봇 명령어 ‘S1’으로 변환되고, ‘S1’에 따라 토이 로봇 제어신호 ‘00 1101000’으로 전달되어 토이 로봇 제어신호 ‘00 1101000’에 따라 토이 로봇이 구동되거나 소리를 출력하게 된다.Instant message / command '/ haha' is converted to toy robot command 'S1', toy robot control signal '00 1101000 'is transmitted according to' S1 'and toy robot is driven according to toy robot control signal '00 1101000' Or sound.

로봇 제어신호에서 앞의 2자리 비트는 토이 로봇의 구동 구동신호 인지, 소리 출력신호인지를 구분하며, 뒤의 비트수는 토이 로봇 각각의 부위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로서 구분된다.The first two digits of the robot control signal distinguish whether it is a driving drive signal or a sound output signal of the toy robot, and the number of bits behind is divided as a signal for driving each part of the toy robot.

도 5b를 참조하면, 주파수 신호(오디오 신호)의 전송방식의 경우인데, 여기서는 스트레오 채널을 이용한다.Referring to FIG. 5B, a case of transmitting a frequency signal (audio signal) is used, in which a stereo channel is used.

하나의 채널은 사운드 채널로 이용되어 오디오신호는 그대로 소리출력부(460)를 통해 소리로 출력되며, 다른 채널은 구동 제어 신호(구동부 주파수1 신호 내지 구동부 주파수3 신호)로 사용된다. One channel is used as a sound channel and the audio signal is output as soun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460 as it is, and the other channel is used as a drive control signal (drive unit frequency 1 signal to drive unit frequency 3 signal).

구동 제어신호에 있어서, 인스턴트 메신저 메시지는 사용자의 입력 및 UI 조작에 따른 명령어는 토이 로봇 명령어로 변환되고(여기까지는 비트신호 전송방식과 동일함) 토이 로봇 명령어에 따라 도시된 구동부 주파수1 신호 내지 구동부 주파수 3 신호로 변환되어 토이 로봇에게 전달되어 토이 로봇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In the driving control signal, the instant messenger message is converted into a toy robot command (up to the same as the bi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the comman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and UI manipulation is driven. It is converted into a frequency 3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toy robot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toy robot.

상술한 비트신호 전송방식 또는 주파수신호 전송방식에 따라 토이 로봇의 세부적인 구성은 달리 구성됨은 당연하며, 이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은 동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충분히 실시가능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oy robo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bit signal transmission method or 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method is naturally configured differentl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it can be sufficient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제어신호 방식의 변환신호들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간략화하여 설명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rted signal of the control signal method shown in Figures 5a and 5b is merely described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스턴트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간 통신의 일례를 보인 설명도이다.6 to 8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oy robot-to-robot communication using the instant messe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A(610a)의 인스턴트 메신저(620a)로부터 감정 메시지(/하하)를 단말기B(610b)의 인스턴트 메신저(620b)로 전달하면, 단말기B(610b)의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220)에서는 이를 이모티콘으로 인스턴트 메신저(620b) 창에 디스플레이하고, 통신 프로그램부(230)에서는 토이 로봇 명령어(도 5a 참조) 및 로봇제어신호(도 5a 및 도 5b 참조)로 변환하여 토이 로봇B(600b)로 전달한다. Referring to FIG. 6, when an emotional message (/ down) is transferred from the instant messenger 620a of the terminal A 610a to the instant messenger 620b of the terminal B 610b,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of the terminal B 610b is transmitted. In operation 220, an emoticon is displayed on the instant messenger 620b window, and the communication program 230 converts the toy robot command (see FIG. 5A) and the robot control signal (see FIGS. 5A and 5B) into a toy robot B. To 600b.

이어서, 토이 로봇B(600b)는 로봇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부(410), 구동부(430) 및 소리출력부(460)를 통해 상대방 감정표현 메시지를 동작으로 표현하거나 소리로 표현하게된다.Subsequently, the toy robot B 600b may express the other party's emotion expression message through an operation or a sound through the controller 410, the driver 430, and the sound output unit 460 according to the robot control signal.

도 7를 참조하면, 단말기A(710a)의 인스턴트 메신저(720a)로부터 멜로디 메시지(/12345)를 단말기B(710b)의 인스턴트 메신저(720b)로 전달하면, 단말기B(710b)의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220)에서는 이를 이모티콘으로 인스턴트 메 신저(720b) 창에 디스플레이하고, 통신 프로그램부(230)에서는 토이 로봇 명령어(도 5a 참조) 및 로봇제어신호(도 5a 및 도 5b 참조)로 변환하여 토이 로봇B(700b)로 전달한다. Referring to FIG. 7, when the melody message (/ 12345) is transferred from the instant messenger 720a of the terminal A 710a to the instant messenger 720b of the terminal B 710b,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of the terminal B 710b is transmitted. In operation 220, an emoticon is displayed on the instant messenger 720b window, and the communication program 230 converts the toy robot command (see FIG. 5A) and the robot control signal (see FIGS. 5A and 5B) into a toy robot. To B 700b.

이어서, 토이 로봇B(700b)는 로봇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부(410), 구동부(430) 및 소리출력부(460)를 통해 상대방 멜로디 메시지를 동작으로 표현하거나 소리로 표현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toy robot B 700b may express the other party's melody message through an operation or a sound through the controller 410, the driver 430, and the sound output unit 460 according to the robot control signal.

도 8를 참조하면, 단말기A(810a)의 인스턴트 메신저(820a)로부터 알람 메시지(/알람 0700a)를 단말기B(810b)의 인스턴트 메신저(820b)로 전달하면, 단말기B(810b)의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220)에서는 이를 이모티콘으로 인스턴트 메신저(820b) 창에 디스플레이하고, 통신 프로그램부(230)에서는 토이 로봇 명령어(도 5a 참조) 및 로봇제어신호(도 5a 및 도 5b 참조)로 변환하여 토이 로봇B(700b)로 전달한다. Referring to FIG. 8, when an alarm message (/ alarm 0700a) is transferred from the instant messenger 820a of the terminal A 810a to the instant messenger 820b of the terminal B 810b,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of the terminal B 810b is transmitted. The unit 220 displays this as an emoticon in the instant messenger 820b window, and the communication program unit 230 converts the toy robot command (see FIG. 5A) and the robot control signal (see FIGS. 5A and 5B) into a toy robot. To B 700b.

이어서, 토이 로봇B(700b)는 로봇제어신호에 따라(알람으로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제어부(410), 구동부(430) 및 소리출력부(460)를 통해 상대방 멜로디 메시지를 동작으로 표현하거나 소리로 표현하게 된다.Next, the toy robot B 700b expresses the other party's melody message as an operation or sounds through the control unit 410, the driving unit 430, and the sound output unit 460 according to the robot control signal (at a time set as an alarm). Will be represent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a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메신저를 이용하여 전달된 메시지 또는 이모티콘에 따른 감정표현을 동작 및/또는 소리출력으로 표출하는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간 통신시스템 및 이와 연동되는 토이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y robot inter-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essenger for expressing emotion expressions according to a message or emoticon transmitted using a messenger as an action and / or a sound output, and a toy robot linked thereto. It becomes possible.

또한, 메신저를 이용하여 전달된 메시지 또는 이모티콘 등의 정보를 감정표현으로 출력하는 방식에 있어서, 그 정보를 기설정된 명령어(비트신호) 및/또는 오디오신호(주파수 대역)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감정표현을 시각, 청각 및 3차원 동작으로 표출할 수 있는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간 통신시스템 및 이와 연동되는 토이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n a method of outputting information such as a message or emoticon transmitted using a messenger as an emotion expression, various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converted by converting the information into a predetermined command (bit signal) and / or an audio signal (frequency b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oy robot-to-robot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essenger capable of expressing expressions in visual, audio, and three-dimensional motions, and a toy robot linked thereto.

Claims (12)

유/무선 인터넷망과;Wired / wireless internet network;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 및 인스턴트 메시지를 토이(Toy) 로봇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통신 프로그램부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A,B)와;An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and a communication program unit converting an instant message into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toy robot and outputting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상기 사용자 단말기(A,B)와 유/무선으로 각각 연결되고, 수신된 인스턴트 메시지에 대응하여 작동되는 토이 로봇(A,B);을 포함하되,And toy robots A and B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s A and B, respectively, and operated in response to the received instant message. 상기 토이 로봇(A, B)는 외부 입력을 위한 센서입력부 또는 소리입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입력부 또는 소리입력부를 통해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은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으로 전송되어 상대방 사용자 단말기(A,B)의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형태로 전달되거나, 전달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를 통신 프로그램을 통해 토이 로봇(A,B)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토이 로봇(A,B)에게 전달되는,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간 통신 시스템.The toy robot (A, B) further comprises any one or more of a sensor input unit or a sound input unit for an external input, if there is an input through the sensor input unit or the sound input unit, the input is transmitted to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The toy robot A may be converted into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oy robots A and B via the communication program, or transmitted in the form of the instant message through the messenger programs of the counterpart user terminals A and B. Toy robot inter-communication system using messenger, which is transmitted to B).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는,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지 송수신 모듈과,Message sending and receiving module for sending and receiving instant messages,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및 명령어를 해석하는 메시지/명령어 해석 모듈을 포함하는,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간 통신 시스템.A toy / robot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essenger, comprising a message / command interpreting module for interpreting the instant message and the comman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는,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이기종 메신저간 인스턴트 메시지 호환을 위한 메시지 변환 모듈과,Message conversion module for instant message compatibility between heterogeneous messenger, 상대방의 단말기 상태를 감지하며, 자신의 단말기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감지 및 상태설정 모듈과,A state sensing and state setting module for detecting a state of the other party's terminal and setting a state of the terminal of the other party; 인스턴트 메신저의 계정정보, 감정표현정보, 상태제어정보 등을 설정하는 설정관리 모듈과,A setting management module for setting account information, emotion expression information, state control information, etc. of an instant messenger; 인스턴트 메신저의 대화상대를 관리하는 대화상대관리 모듈 중 하나 이상의 모듈을 더 포함하는,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간 통신 시스템.A toy robot-to-robot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essenger,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modules of a chat partner management module for managing a chat partner of an instant messeng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토이 로봇(A, B) 각각은,Each of the toy robots (A, B), 메모리부와,Memory section,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작동을 하는 구동부와,A driving unit operating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출력신호를 소리신호로 출력하는 소리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간 통신 시스템.And a sound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n output signal as a sound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삭제delete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통신부, 상대방 사용자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 및 토이(Toy) 로봇의 제어를 위해 수신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를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통신 프로그램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A user including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network communication, an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n instant message with a counterpart user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program unit 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received instant message to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toy robot. Connected to the terminal via wired or wireless, 상기 토이 로봇은 외부 입력을 위한 센서입력부 또는 소리입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입력부 또는 소리입력부를 통해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은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으로 전송되어 상대방 사용자 단말기의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형태로 전달되거나, 전달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를 통신 프로그램을 통해 토이 로봇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 및/또는 소리 출력하는,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The toy robot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of a sensor input unit or a sound input unit for external input, and when there is an input through the sensor input unit or the sound input unit, the input is transmitted to 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to transmit a messenger of the counterpart user terminal. A toy robot using a messenger, which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the instant message through a program or converts the delivered instant message into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toy robot through a communication program, and outputs motion and / or soun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는,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지 송수신 모듈과,Message sending and receiving module for sending and receiving instant messages,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및 명령어를 해석하는 메시지/명령어 해석 모듈을 포함하는,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A toy robot utilizing a messenger, comprising a message / command interpreting module for interpreting the instant message and the command.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는,The instant messenger program unit, 이기종 메신저간 인스턴트 메시지 호환을 위한 메시지 변환 모듈과,Message conversion module for instant message compatibility between heterogeneous messenger, 상대방의 단말기 상태를 감지하며, 자신의 단말기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감지 및 상태설정 모듈과,A state sensing and state setting module for detecting a state of the other party's terminal and setting a state of the terminal of the other party; 인스턴트 메신저의 계정정보, 감정표현정보, 상태제어정보 등을 설정하는 설정관리 모듈과,A setting management module for setting account information, emotion expression information, state control information, etc. of an instant messenger; 인스턴트 메신저의 대화상대를 관리하는 대화상대관리 모듈 중 하나 이상의 모듈을 더 포함하는,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Toy robot utilizing a messenger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modules of the chat partner management module for managing a chat partner of the instant messenger.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토이 로봇은,The toy robot,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각각 네트워크 통신 및 물리적 연결을 수행하는 단말기 연결부와,A terminal connect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network communication and physical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respectively;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Toy robot using a messenger,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overall control.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토이 로봇은,The toy robot, 메모리부와,Memory section,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작동을 하는 구동부와,A driving unit operating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출력신호를 소리신호로 출력하는 소리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 로봇.The toy robot further comprises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output signal as a sound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KR1020060046341A 2006-05-24 2006-05-24 Communication System Among Toy Robots Using Messenger And Toy Robot Linked With The Same KR1007018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341A KR100701823B1 (en) 2006-05-24 2006-05-24 Communication System Among Toy Robots Using Messenger And Toy Robot Linked With The Same
PCT/KR2007/000576 WO2007136167A1 (en) 2006-05-24 2007-02-02 Communication system among toy robots using messenger and toy robot linked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341A KR100701823B1 (en) 2006-05-24 2006-05-24 Communication System Among Toy Robots Using Messenger And Toy Robot Linked With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1823B1 true KR100701823B1 (en) 2007-03-30

Family

ID=38723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341A KR100701823B1 (en) 2006-05-24 2006-05-24 Communication System Among Toy Robots Using Messenger And Toy Robot Linked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01823B1 (en)
WO (1) WO2007136167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4005A (en) * 2012-12-31 2014-07-09 北京新媒传信科技有限公司 Robot control method and terminal
KR20190105736A (en) 2018-03-06 2019-09-18 한지욱 Electronic to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30123641A (en)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큐브컴 Smart toy and its control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7046B2 (en) * 2009-11-06 2014-04-01 Sony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3D) video for two-dimensional (2D) video messenger applications
US8570358B2 (en) 2009-11-06 2013-10-29 Sony Corporation Automated wireless three-dimensional (3D) video conferencing via a tunerless television device
CN105867594A (en) * 2015-01-20 2016-08-17 南京跃豚智能科技有限公司 Jewelry and jewelry interaction method
CN105854306A (en) * 2015-01-20 2016-08-17 南京跃豚智能科技有限公司 Toy interaction method
CN105854305A (en) * 2015-01-20 2016-08-17 南京跃豚智能科技有限公司 Toy and interaction method of toy
CN105854313A (en) * 2015-01-20 2016-08-17 南京跃豚智能科技有限公司 Interactive toy and toy interaction method
CN106227347B (en) * 2016-07-26 2019-05-21 北京光年无限科技有限公司 The means of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towards intelligent robot
FR3078178B1 (en) * 2018-02-20 2020-02-28 Universite De Reims Champagne-Ardenne INTERCONNECTION PROCESS BETWEEN ROBO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505A (en) * 2000-08-18 2002-02-25 구자홍 Toy performance apparatus and method using chatting
KR20020042248A (en) * 2000-11-30 2002-06-05 한가람 Method and system for perceiving emotion from the text and visualizing the perceived emo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1351B1 (en) * 1999-09-14 2003-10-07 Aidentity Matrix Smart toys
US20020059386A1 (en) * 2000-08-18 2002-05-1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oys through computer communication
KR100417402B1 (en) * 2000-08-18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Toy able to seperation of central controller
KR20000072753A (en) * 2000-09-25 2000-12-05 오재덕 An intelligent toy with Wireless Local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505A (en) * 2000-08-18 2002-02-25 구자홍 Toy performance apparatus and method using chatting
KR20020042248A (en) * 2000-11-30 2002-06-05 한가람 Method and system for perceiving emotion from the text and visualizing the perceived emo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4005A (en) * 2012-12-31 2014-07-09 北京新媒传信科技有限公司 Robot control method and terminal
KR20190105736A (en) 2018-03-06 2019-09-18 한지욱 Electronic to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30123641A (en)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큐브컴 Smart toy and its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36167A1 (en)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823B1 (en) Communication System Among Toy Robots Using Messenger And Toy Robot Linked With The Same
KR100968298B1 (en) User interface for conducting chats over a network
CN103368816A (en) Instant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virtual character and system
US20090157223A1 (en) Robot chatting system and method
US8929949B2 (en) Mobile terminal and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CN103797761B (en) Communication method, client, and terminal
EP2031481A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US20090091470A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WO2021006538A1 (en) Avatar visual transformation device expressing text message as v-moji and message transformation method
CN101406752B (en) Interactive device and method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KR20080045924A (en) Method for expressing emotion and intention in remote interaction and real emoticon system therefor
KR100756344B1 (en) Toy robot using &#39;personal media&#39; website
KR20070008477A (en) Motion operable robot chatting system capable of emotion transmission
CN111108491B (en) Conference system
KR20090075397A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 comprising emoticon
JP3604915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090054609A (en) Voip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s with telephone communication service comprising emotional contents effect
KR20080076202A (en) Controlling method of instant messenger ser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96755B1 (en) Toy performance apparatus and method using chatting
KR20080080710A (en) Method and terminal for transmitting user&#39;s action
KR101164080B1 (en) A method and a terminal for transmitting characters by phonemic symbol unit in chatting service of wireless messenger
KR100799160B1 (en) Method for coordinating robot and messenger and device thereof
JP2004054471A (en) Communication terminal for displaying emotion/action expression of character from face character and communication mediating system using the same terminal
KR10128037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073100A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