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892B1 -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 - Google Patents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892B1
KR100700892B1 KR1020050035109A KR20050035109A KR100700892B1 KR 100700892 B1 KR100700892 B1 KR 100700892B1 KR 1020050035109 A KR1020050035109 A KR 1020050035109A KR 20050035109 A KR20050035109 A KR 20050035109A KR 100700892 B1 KR100700892 B1 KR 100700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pening
lid
installation
sand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2550A (ko
Inventor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이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영 filed Critical 이재영
Priority to KR1020050035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892B1/ko
Publication of KR20060112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61H2205/125Foot reflex z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이 제공된다. 제공된 모래함은 다수의 재설제포대를 그 내부에 적재할 수 있도록 용기형태로 구성되며 그 상부면에는 소정형태의 개방부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부와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그 전면에는 손잡이를 구비한 커버가 설치된 뚜껑과, 상기 뚜껑이 여닫이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개방부와 상기 뚜껑의 소정부에 결합된 경첩과, 상기 경첩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개방부의 소정부에 고정설치된 물받이구와, 상기 물받이구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바닥면에 연결된 다수의 물배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SNOWPLOW BOX}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래함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래함의 또 다른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모래함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모래함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모래함의 또 다른 배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래함 2 : 본체
3 : 뚜껑 4 : 경첩
5 : 물받이구 6 : 물배출구
7 : 설치판 8 : 설치관
본 발명은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이 내리거나 기온이 내려가서 노면이 결빙되는 동절기에는 운행하는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염화칼슘이나 모래와 같은 제설재를 도로에 살포한다. 이와같은 제설재의 살포작업은 살포차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있지만, 살포차에 적재할 수 있는 염화칼슘이나 모래의 양에 한계가 있고, 뜻하지 않은 폭설을 대비하기 위해 도로변의 요소요소에는 제설재인 염화칼슘포대 또는 모래포대 등을 적재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제설재는 포대에 담겨진 상태로서 도로변에 다수개를 적층하는 방식으로 적재할 경우 적층된 재설제포대에 눈이 쌓이게 되므로 용이하게 발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르게, 별도의 구조물(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박스형태)을 도로변에 설치하여 그 내부로 재설제포대를 적층보관할 경우, 이러한 구조물이 차량에 대하여 장애물로 작용하게 되므로 운행중인 차량이 충돌하여 대형사고가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의 재설제포대의 설치방식에서 나타난 제반적인 문제점 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폐드럼통과 같은 재활용품을 구조물로 적용하므로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도로변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므로써 교통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모래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여러가지 형태의 교통표지 또는 표시기구 등을 설치하므로써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래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다수의 재설제포대를 그 내부에 적재할 수 있도록 용기형태로 구성되며, 그 상부면에는 소정형태의 개방부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부와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그 전면에는 손잡이를 구비한 커버가 설치된 뚜껑;
상기 뚜껑이 여닫이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개방부와 상기 뚜껑의 소정부에 결합된 경첩;
상기 경첩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개방부의 소정부에 고정설치된 물받이구; 및
상기 물받이구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바닥면에 연결된 다수의 물배출구; 를 포함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본체의 내부바닥면에는 상기 본체를 도로변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한 조의 설치공이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각 설치공에는 나사공이 마련된 캡이 나사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본체의 외둘레면 소정부에는 교통표지와 표지기를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뚜껑의 상부면에는 경광등을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은 폐드럼통 또는 재활용수지를 성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다수의 재설제포대를 그 내부에 적재할 수 있도록 용기형태로 구성되며, 그 상부면에는 소정형태의 개방부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부와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된 커버체;
상기 커버체의 상부면에 고정된 한 조의 뚜껑
상기 각 커버체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뚜껑이 여닫이식으로 개폐하기 위한 경첩이 설치되고, 그 하방에는 한 조의 체결바가 연장형성된 결합플레이트;
상기 각 본체의 밀착부위에 충진된 충격흡수용 방진고무체;
상기 각 본체의 외둘레면에 밀착되며, 그 일단과 타단은 상기 체결바에 고정된 보호플레이트;
상기 경첩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각 본체의 개방부에 고정설치된 물받이구; 및
상기 물받이구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바닥면에 연결된 물배출구; 를 포함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래함(1)은 본체(2)와, 경첩(4)에 의해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뚜껑(3)과, 상기 경첩(4)의 직하부에 설치된 물받이구(5)와, 이 물받이구(5)에 연결된 다수의 물배출구(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2)는 통상의 합성수지재 폐드럼통을 사용하거나 폐수지를 재활용하여 원통형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폐드럼통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설명하되, 폐드럼통은 그 상부면에 한 조의 마개가 설치된 것이 적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폐드럼통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뒤집은 상태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폐드럼통을 적용한 본체는 용기형태로 구성됨에 따라서 다수의 모래주머니를 그 내부에 적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2)의 그 상부면에는 소정형태의 개방부(21)가 마련되는데, 이와 같은 개방부(21)는 적어도 상기 본체(2)의 상부면 중앙부 보다 넓은 면적을 지니며 그 형태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2)의 상부면을 대각선방향으로 절단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고, 그 밖에도 여러가 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2)의 내부바닥면에는 상기 본체(2)를 도로변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한 조의 설치공(22)이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데, 이러한 설치공(22)은 본 발명의 모래함본체(2)를 폐드럼통에 의해 구성할 경우 폐드럼통자체에 마련된 구멍(즉, 마개가 나사결합된 구멍)을 적용한다. 아울러 상기 설치공(22)에는 나사공(231)이 마련된 캡(23)이 나사결합되는데, 이러한 캡(23)은 본 발명의 모래함본체(2)를 폐드럼통에 의해 구성할 경우 폐드럼통자체에 마련된 구멍에 나사결합된 마개를 적용한다.
또한, 상기 본체(2)의 외둘레면 소정부, 상기 뚜껑의 손잡이를 중심으로 하여 양 측면에는 교통표지(24)와 표지기(25)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교통표지(24)의 일례로는 도로의 굽은 정도를 알리는 화살표시를 들 수 있으며, 상기 표지기(25)는 통상의 솔라방식으로 점멸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뚜껑(3)은 상기 본체의 개방부와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합성수지재 폐드럼통을 사용하거나 폐수지를 재활용하여 성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다. 이와 같은 뚜껑(3)의 전면에는 커버, 예컨대 금속재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커버(3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커버(31)의 소정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뚜껑을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손잡이(311)를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뚜껑(31)의 상부면에는 위험상황을 알리는 경광등(32)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첩(4)은 상기 뚜껑이 여닫이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의 개방부와 상기 뚜껑(3)의 소정부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경첩은 바람직하게 90°의 각도로만 회동되는 구조를 적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경첩(4)은 상기 뚜껑(3)을 90°의 각도만큼만 개방시키며, 사용자가 뚜껑(3)에 가하던 힘을 해제하면 개방된 뚜껑은 자중에 의해 닫히게 된다.
상기 물받이구(5)는 경첩(4)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개방부(21)의 소정부, 즉 개방부의 내측에 고정설치된다. 아울러 상기한 다수의 물배출구(6)는 관형태로 구성되는데, 그 일단이 상기 물받이구(5)의 후방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본체(2)의 내부바닥면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물배출구(6)를 상기 물받이구(5)에 고정하는 구조는 기존에 제안된 여러가지 관연결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래함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래함은 도로변에 있는 콘크리트면에 설치하기 위해 해당 콘크리트면에 설치판(7), 즉 나사고정구(71)가 돌출되어 있는 설치판(7)을 앙카볼트 등으로 고정설치한 후 이 나사고정구(71)가 캡(23)의 나사공(231)에 나사결합되도록하므로써 견고하게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나사고정구(71)의 외둘레에는 충격흡수고무(71a)를 게재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본체(2)의 내부에는 다수의 재설제포대가 적재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모래함은 폭설시 사용자가 뚜껑(3)을 개방하여 본체(2)에 적재된 재설제포대를 도로에 살포할 수 있고, 겨울철이외에는 유조차 등의 사고시 도로에 유출된 기름의 미끄러움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재설제포대에 담겨진 모래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모래함(1)은 그 본체(2)가 직립형 드럼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도로변에 설치시 차량의 소통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 불의의 사고로 차량이 충돌하더라도 그 내부에 적층된 재설제포대 및 본체자체가 충격을 흡수하므로써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2)의 양측에 설치된 교통표지 및 표시병과 뚜껑(3)에 마련된 경광등(32)은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상황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래함의 또 다른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래함(1)을 지면에 설치할 경우에는 해당 지면에 한 조의 설치관(8)을 삽입설치하되, 이 설치관(8)은 설치공(22)과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설치한 후, 설치공(22)을 통해 설치봉(81)을 설치관의 내경에 삽입하므로써 본체(2)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 2실시예>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모래함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모래함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모래함(100)은 적어도 하나의 본체(200)와, 이 본체(200)에 결합되는 커버체(600)와, 상기 커버체(600)에 마련된 뚜껑(300)과, 결합플레이트(400)와, 방진고무체(700)와, 보호플레 이트(5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200)의 내부에는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물받이구와 물배출구(도면에 미도시됨.)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200)는 다수의 재설제포대를 그 내부에 적재할 수 있도록 용기형태로 구성되며, 그 상부면에는 소정형태, 즉 적어도 반원형보다 넓은 원형태의 개방부가 마련되는데, 이와 같은 본체는 도 5a에서와 같이 2개를 맞닿게 설치되며, 콘크리트면 또는 지면에 설치할 경우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설치구조로써 견고하게 설치된다.
상기 커버체(600)는 상기 본체의 개방부와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커버체(600)에는 뚜껑(300)과 결합플레이트(400)이 설치되는데, 상기 뚜껑(300)은 전술한 제 1실시예와는 상이하게 원판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기 개방부와 동일형태로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결합플레이트(400)는 상기 커버체(60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결합플레이트(400)는 상기 뚜껑(300)이 여닫이식으로 개폐하기 위한 경첩(410)이 설치되고, 그 하방에는 한 조의 체결바(420)가 연장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방진고무체(700)는 상기 각 본체(200)의 밀착부위, 즉 상기 체결바(420)의 내측에 충진된다.
상기 보호플레이트(500)는 상기 각 본체(200)의 외둘레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보호플레이트(500)의 재질은 바람직하게 폴리카보네이트, 즉 곡면시공이 가능하고, 유리의 250배이상의 강도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를 를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일단과 타단이 상기 체결바(420)에 고정(리벳팅고정 등)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모래함(100)은 본체(200)를 1개 이상으로 설치하므로써, 보다 많은 양의 재설제포대를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아울러, 각 본체(200)의 외둘레면에 설치된 보호플레이트(500)는 소정의 강도와 탄성을 공유하고 있어서, 충격을 보다 원활하게 완충함과 아울러 본체를 보호할 수 있고, 각 본체의 밀착부위에 설치된 방진고무체(700)는 충격을 더욱 원활하게 완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모래함의 또 다른 배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또 다른 배열상태에 의한 모래함(100')은 3개의 본체(200a,200b,200c)를 일체화한 것인데, 이와 같은 본체(200a,200b,200c)를 일체화하기 위해 상기한 결합플레이트 및 방진고무체가 적용된다. 이와 같이 3개의 본체를 일체화한 모래함은 보다 많은 양의 재설제포대를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원활하게 완충할 수 있는데, 특히 도로가 나뉘는 장소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는 본체(200a)를 감싸는 보호플레이트에 양방향 화살표(← →)와 같은 도로표지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은 폐드럼통과 같은 재활용품을 구조물로 적용하므로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도로변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므로써 교통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과 함께 여러가지 형태의 교통표지 또는 표지병을 설치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다수의 재설제포대를 그 내부에 적재할 수 있도록 용기형태로 구성되며, 그 상부면에는 소정형태의 개방부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부와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그 전면에는 손잡이를 구비한 커버가 설치된 뚜껑; 및
    상기 뚜껑이 여닫이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개방부와 상기 뚜껑의 소정부에 결합된 경첩; 을 포함하되,
    상기 경첩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개방부의 소정부에 고정설치된 물받이구와, 상기 물받이구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바닥면에 연결된 다수의 물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바닥면에는 상기 본체를 도로변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한 조의 설치공이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각 설치공에는 나사공이 마련된 캡이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다수개로 구성하되, 상기 각 본체의 밀착부위에는 충격흡수용 방진고무체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개방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커버체에는 한 조의 체결바를 연장형성하여 이 체결바를 통해 보호플레이트를 상기 각 본체의 외둘레면에 밀착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
KR1020050035109A 2005-04-27 2005-04-27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 KR100700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109A KR100700892B1 (ko) 2005-04-27 2005-04-27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109A KR100700892B1 (ko) 2005-04-27 2005-04-27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550A KR20060112550A (ko) 2006-11-01
KR100700892B1 true KR100700892B1 (ko) 2007-03-28

Family

ID=3762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109A KR100700892B1 (ko) 2005-04-27 2005-04-27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8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276A (ko) * 1999-10-08 2001-06-15 가나이 쓰토무 차량주행지원장치
KR20020065855A (ko) * 2001-02-07 2002-08-1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불휘발성 메모리를 갖는 기록 장치
KR20030021291A (ko) * 2001-09-05 2003-03-15 (주)이앤비코리아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타늄 졸 제조 및 제조장치
KR20040045360A (ko) * 2003-11-22 2004-06-01 이재영 가드레일 설치용 모래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276A (ko) * 1999-10-08 2001-06-15 가나이 쓰토무 차량주행지원장치
KR20020065855A (ko) * 2001-02-07 2002-08-1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불휘발성 메모리를 갖는 기록 장치
KR20030021291A (ko) * 2001-09-05 2003-03-15 (주)이앤비코리아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타늄 졸 제조 및 제조장치
KR20040045360A (ko) * 2003-11-22 2004-06-01 이재영 가드레일 설치용 모래함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45360 *
2001502760000 *
2002658550000 *
20032129100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550A (ko) 200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7936A1 (en) Impact absorbing barrier assembly
KR101066918B1 (ko) 가드레일용 지주 고정장치
KR100700892B1 (ko)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모래함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EP3724401B1 (en) Kinetic energy absorbing barrier structure
KR101049892B1 (ko) 도로 가드레일용 지주대
ES2339413A1 (es) Dispositivo para la proteccion de usuarios de motocicletas.
KR20080079366A (ko) 차선 분리선용 도로 안전 표지병
KR200229403Y1 (ko) 도로용 충격흡수형 차량 충돌방지장치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WO2020058935A1 (en) Protection device for guardrail
KR200407503Y1 (ko) 도로표지병
KR200314397Y1 (ko) 가드레일 설치용 모래함
KR20040045360A (ko) 가드레일 설치용 모래함
JPS6137406B2 (ko)
KR200363977Y1 (ko) 도로 설치용 방호물
KR200166007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완화장치
KR200151916Y1 (ko) 폐타이어 수납케이스
KR200320639Y1 (ko) 충격 흡수가 가능한 도로 중앙 분리대 충격흡수 고무커버구조
KR200299258Y1 (ko) 방충패널과 충격흡수재를 이용한 충격흡수시설
KR100191162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흡수 완화장치 및 다단계차량충격흡수완화시스템
KR200313293Y1 (ko)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의 차량방호 충격흡수판
KR200304279Y1 (ko)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
KR200425204Y1 (ko) 도로 경계 표시봉
KR200320438Y1 (ko) 충격 흡수 탱크를 이용한 가드레일 형 중앙 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