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604B1 - Method for extending of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extending of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604B1
KR100700604B1 KR1020060012242A KR20060012242A KR100700604B1 KR 100700604 B1 KR100700604 B1 KR 100700604B1 KR 1020060012242 A KR1020060012242 A KR 1020060012242A KR 20060012242 A KR20060012242 A KR 20060012242A KR 100700604 B1 KR100700604 B1 KR 100700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range
short
identifiers
rang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민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2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6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6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communication range extending method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a portable terminal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other users existing out of the user's connection rang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by using an apparatus of another user existing within a connectable area as a base station, thereby overcoming restrictions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 portable terminal(100) comprises the followings. A transceiver(110) transceiv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type signal. A storage(120) stores IDs and ID-related data. A controller(130) searches a directly connectable ID and an indirectly connectable ID by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mong the stored IDs. A display(140) displays a representative name of the searched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able ID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130), and displays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such as a conversion window of a wireless Internet messenger during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n apparatus of the displayed ID.

Description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 방법 그리고 그 휴대단말기{METHOD FOR EXTENDING OF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TECHNICAL FOR EXTENDING OF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을 위한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extending the communication range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 방법의 구현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process of a communication range extension method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range extension system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을 위한 휴대단말기의 실행 화면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execution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tending the communication range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10: 송수신부 120: 저장부110: transceiver unit 120: storage unit

130: 제어부 140: 표시부130: control unit 140: display uni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거리 통신이 갖는 통신범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그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expanding a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capable of overcoming a limitation of a communication range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a portable terminal thereof.

일반적으로, 근거리 통신이란 전파를 정보의 전송 매체로 이용해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각종 정보처리 기기들 간에 정보를 교환하게 하는 통신을 말한다. 지금까지의 근거리 통신은 통신 기기들 간이 선으로서 연결된 유선 통신이 주를 이루었으나 이동성, 설치 확장의 용이성 등 무선통신의 장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원거리에 이어서 근거리마저도 무선통신이 유선통신의 자리를 대체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near field communication refers to communication that allows information to be exchanged between various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in close proximity by using radio waves as a transmission medium for information. Until now, short-distance communication has been mainly made of wired communication connected as a communication line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However, due to the advantages of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mobility and ease of installation expansion, wireless communication has replaced the place of wired communication even in the near distance even recently. The trend is.

근거리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기술 중, 주목받는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Loc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데이터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가정용무선통신(HomeRF) 등이 있다. 이런 기술들은 여러 분야에서 유선을 대체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Among the technologies used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ttention technologies include wireless LAN (Local Area Network), Bluetooth,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and home RF (HomeRF). have. These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by replacing wires in various fields.

무선랜은 컴퓨터를 활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분야에서, 블루투스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해 주변의 정보 기기들과 정보를 교환하는 분야, 적외선데이터통신은 적외선을 활용해 가까운 거리의 정보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 분야, 가정용무선통신은 가정용 전화기와 컴퓨터를 중심으로 가정용 전자제품 간의 정보 교환을 통한 가정자동화(Home Automation) 분야에 초점을 두고 개발되었다.Wireless LAN is used to connect to a network using a computer, Bluetooth is used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nearby information devices by mounting it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rared data communication uses infrared light to communicate data between information devices at close range. In the area of exchange, home wireless communication was developed with a focus on home automation through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home electronics, mainly home phones and computers.

상기 기술들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각기 다른 분야에서 개발되었으나, 기술 각각의 기능들이 발달함에 따라 서로 간의 기능 및 활용분야가 중복되게 되어 근거리 무선통신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상호 경쟁하게 되었다.The above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in different field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but as the functions of the technologies have developed, the functions and applications of the technologies overlap each other, thereby competing for superiority i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ield.

그러나 상기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은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각각의 통신기술에 따른 통신범위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그 범위를 벗어나는 기기와는 통신을 전혀 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다.However, although the use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s described above is expanding due to various advantages, as the name suggests, there is a limit to the communication range according to each communication technology. There is a fundamental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 통신이 갖는 통신범위의 한계를 극복하고 통신 범위를 벗어난 상대방과도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그 휴대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party out of the communication ran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extending the range and a portable terminal there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을 위한 휴대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방식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식별자와 식별자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식별자들 중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직접 연결 가능한 식별자와 간접 연결 가능한 식별자를 검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검색된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 가능한 식별자의 대표명을 표시하고, 상기 식별자의 기기와 근거리 통신 연결 시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rtable terminal for extending the communication range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dentifier and the identifier related data; A control unit for searching for a direct connectable identifier and an indirect connectable identifier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mong the identifier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representative name of an identifier directly or indirectly search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displaying an execution screen of a corresponding application when the device of the identifier is connected to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 방법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 방법은, 직접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제 1 지역 내의 식별자를 검색하는 과정과; 적어도 한 번의 간접연 결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제 2 지역 내의 식별자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제 1 지역 또는 제 2 지역 내의 식별자의 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mmunication range extension method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range extension method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es the steps of: searching for an identifier in a first region capable of direct short-range communication; Retrieving an identifier in a second region in which local area communication is possible through at least one indirect connection;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a device of an identifier within the searched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 시스템은, 근거리 통신기능을 갖는 제 1 휴대단말기와; 제 1 휴대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 1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범위 내에 있는 제 1군의 휴대단말기들과; 상기 제1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범위 밖에 있으며 상기 제 1군의 휴대단말기들의 근거리 통신 범위 내에 있는 제 2군의 휴대단말기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mmunication range extension system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hav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A first group of mobile terminals hav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functio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first portable terminal and within a short range communication range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nd a second group of mobile terminals outside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range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withi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range of the first group of mobile terminal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을 위한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for extending a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 방식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10)와; 식별자와 식별자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20)와;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식별자들 중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직접 연결 가능한 식별자와 간접 연결 가능한 식별자를 검색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제어부 (130)의 제어를 받아 검색된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 가능한 식별자의 대표명을 표시하고, 상기 식별자의 기기와 근거리 통신 연결 시 무선 인터넷 메신저의 대화창과 같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transceiver 110 which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of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ethod; A storage unit 120 for storing the identifier and the identifier related data; A controller 130 for searching for a direct connectable identifier and an indirect connectable identifier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mong identifiers stored in the storage 120;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representative name of a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identifier search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and displaying an execution screen of a corresponding application such as a chat window of a wireless internet messenger when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made with a device of the identifier ( 140).

상기 송수신부(110)는 블루투스나 적외선데이터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의 신호를 주고받는 역할을 수행하며, 고주파(RF) 신호를 주고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transmitter / receiver 110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infrared data communication, and may transmit and receive high frequency (RF) signals.

상기 제어부(13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식별자들 중 직접 연결 가능한 근거리 통신의 통신범위 내에 있는 식별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통신범위 내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휴대단말기를 매개체로 하여 통신범위 밖에 있지만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식별자를 검색하고, 표시부(140)에 검색된 식별자를 표시하도록 하며, 표시된 식별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휴대단말기와 상기 송수신부(110)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하도록 한다.When the application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s executed, the controller 130 searches for an identifier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hat can be directly connected among the identifier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identifies the identifier within the searched communication range. The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mobile terminal is searched for an identifier that is out of communication range but can be indirectly connected, and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the retrieved identifier, and the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identifier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displayed identifiers. The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transmitter / receiver 110 and displays an execution scree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140.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표시부(140)에 검색된 식별자를 표시하는데 있어서, 직접 연결이 가능한, 즉, 근거리 통신의 통신범위 내에 있는 식별자들과; 적어도 한번 이상의 간접적 연결을 통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수행이 가능한 식별자들, 즉, 근거리 통신 범위 밖에 있지만 상기 근거리 통신범위 내에 있는 식별자들을 매개체로 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식별자들 및 두 번 이상의 간 접 연결을 통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식별자들을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in displaying the retrieved identifier on the display unit 140, identifiers that can be directly connected, that is,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Identifiers capabl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through at least one indirect connection, that is, identifiers capable of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via an identifier outsid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range but with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range, and two or more times. Through indirect connection, identifiers capable of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can be distinguished and displayed.

상기 식별자는 전화번호나 무선인터넷 아이디(ID)와 같은 특정 서비스 가입자를 식별하는 식별자일 수 있으며, 상기 식별자 관련 데이터는 전화번호에 지정되는 가입자 이름, 별명, 다른 전화번호, 전자우편주소 등이나 무선인터넷 ID에 지정되는 가입자 이름, 대화명, 전자우편주소, 전화번호 등과 같은 식별자와 매칭되는 데이터이다.The identifier may be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specific service subscriber such as a telephone number or a wireless Internet ID, and the identifier-related data may include a subscriber name, an alias, another telephone number, an e-mail address, etc. The data is matched with an identifier such as a subscriber name, a screen name, an e-mail address, a phone number, etc., which are specified in the Internet ID.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와 같은 도시된 구성들 외에도, 키패드나 마이크로폰 혹은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키보드와 같은 외부 입력 수단과 체결되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입력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n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a microphone, or a touch scree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is coupled to an external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to receive a signal.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텔레비전이나 모니터와 같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체결되어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include an output means such as a speaker,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utput terminal that is coupled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such as a television or a monitor to output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메모리 카드와 같은 외부저장매체를 삽입하여 데이터 저장을 가능토록 하는 저장매체 삽입부 혹은 방송수신모듈이나 카메라 모듈, MP3 모듈, 인터넷 뱅킹 모듈과 같은 부가기능을 갖는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storage medium insertion unit for inserting an external storage medium, such as a memory card, or a unit having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a camera module, an MP3 module, or an internet banking module.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휴대단말기의 컨버전스화에 따라 그 변형이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와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100)에 더 포 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t is not possible to enumerate all of the variations due to the convergence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understood that the unit of the same level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 방법의 구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process of a communication range extension method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 방법은, 직접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제 1 지역 내의 식별자를 검색하는 단계(S210)와; 적어도 한 번의 간접 연결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제 2 지역 내의 식별자를 검색하는 단계(S220)와; 상기 검색된 제 1 지역 또는 제 2 지역 내의 식별자의 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S230)Z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method for expanding a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es: searching for an identifier in a first region in which short-range communication is directly possible (S210); Searching for an identifier in a second area in which local area communication is possible through at least one indirect connection (S220);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of the identifier in the searched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S230).

상기 제 2 지역, 즉, 간접적으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범위는 상기 제 1 지역 내에 없으나 검색된 제 1 지역 내의 식별자를 매개체로 하여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 가능한 범위일 수 있다. 또한 두 번 이상의 간접 연결을 통해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 가능한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region, that is, a range in which indirect short-range communication is possible may be a range that is not within the first region but can be connected by short-range communication using an identifier in the searched first region as a medium. It may also include ranges that can be connected in short-range communications through two or more indirect connections.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식별자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인터넷 메신저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친구나 직장 동료 등의 지인 목록에서 지인을 구분하는 식별자이다. 휴대단말기에서의 구현을 위해 상기 식별자는 휴대전화번호나 무선인터넷 가입 아이디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dentifier is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acquaintances from a list of acquaintances such as a friend or a work colleague of an application such as a wireless Internet messenger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implementation in a mobile terminal, the identifier may be a mobile phone number or a wireless internet subscription ID.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과정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range extension system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 시스템(300)은, 블루투스나 적외선데이터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기능을 갖는 제 1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제 1 휴대단말기(100)와 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 1 휴대단말기(100)의 근거리 통신범위 내에 있는 제 1군의 휴대단말기들(310-1~310-4)과; 상기 제 1 휴대단말기(100)의 근거리 통신범위 밖에 있으며 상기 제 1군의 휴대단말기들(310-1~310-4)의 근거리 통신 범위 내에 있는 제 2군의 휴대단말기들(320-1~320-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ommunication range extension system 300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includes a first portable terminal 100 hav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Bluetooth or infrared data communication; A first group of mobile terminals 310-1 to 310-4 hav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functio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and within a short range communication range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The second group of mobile terminals 320-1 to 320 that are outside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range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and are withi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range of the first group of mobile terminals 310-1 to 310-4. -5)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제 1 휴대단말기(100)에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 1 휴대단말기(100)는 저장하고 있는 식별자 및 관련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 1군의 휴대단말기들(310-1~310-4), 즉, 직접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의 휴대단말기들을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검색한다. 또한 제 2군의 휴대단말기들(320-1~320-5), 즉, 직접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없으나, 상기 검색된 제 1군의 휴대단말기들(310-1~310-4)을 매개체로 하여 간접적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 휴대단말기들을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검색한다. 상기 검색이 완료되면, 상기 제 1 휴대단말기(100)는 검색된 휴대단말기들을 표시하고, 그중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application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s executed i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refers to the stored identifier and related data, and the first group of portable terminals 310-1 to 310-4. In other words, the mobile terminals within the range where direct local area communication is possible are searched using local area communica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second group of mobile terminals 320-1 to 320-5, that is, not within a range capable of direct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first group of mobile terminals 310-1 to 310-4 are mediated. In order to indirectly perform near field communication, the mobile terminals are searche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When the search is completed,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the searched mobile terminals and performs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portable terminal selected by the user,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메신저를 사용하는 경우, 최초 무선 인터넷 메신저가 실행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친구찾기와 같은 검색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제 1군 및 제 2군의 휴대 단말기를 검색하여, 도 4a와 같은, 제 1군 및 제 2군 휴대단말기들을 그 범위를 구분하여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 화면에서는 확대나 축소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그룹을 선택하면, 즉, 1군 혹은 2군을 선택하면, 도 4b와 같은 해당 그룹의 대화상대들을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 화면에서는 검색된 대화상대가 많을 경우를 대비해 스크롤바 기능 및 그룹별 표시 기능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대화상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선택된 대화상대의 휴대단말기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연결을 설정하고 도 4c와 같은 대화창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대방과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하는데, 제 2군의 대화상대가 선택된 경우는 제 1군의 휴대단말기들 중 선택된 대화상대와 연결해 줄 수 있는 휴대단말기를 매개체로 하여 연결을 설정하는데, 즉, 제 1군의 휴대단말기를 블루투스 기지국으로 이용하여 제 2군의 휴대단말기와 무선인터넷 메신저로 메시지를 주고 받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a user of a mobile terminal uses a wireless messenger using a Bluetooth function, when the first wireless internet messenger is executed or a search function such as a friend search is executed by the user, the portable terminal is configured as a first group and The mobile terminal of the second group is searched for, and a screen in which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mobile terminals are divided and displayed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4A. This screen can be provided with a zoom in or zoom out function.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group, that is, the group 1 or the group 2, a screen showing the conversation partners of the group as shown in FIG. 4B is displayed. In this screen, a scroll bar function and a group display function may be applied in case a large number of searched contacts are used.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t least one of the conversation partner displayed on the screen, the mobile terminal establishes a connection using the selected conversation partner's mobile terminal and Bluetooth, and displays a chat window as shown in FIG. 4C to allow the user to talk with the other party. When the second group of conversation partners is selected,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using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with the selected conversation partner among the first group of mobile terminals, that is, the first group of mobile terminals is connected. By using a Bluetooth base station, a message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a second group of mobile terminals and a wireless Internet messenger.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제 1군과 제 2군만으로 나누어 설명했지만 제 1군 및 제 2군의 휴대단말기들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는 제 3군, 제 1군 및 제 2군, 제 3군의 휴대단말기들을 이용하여 통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는 제 4군의 휴대단말기와도 이론상으로는 얼마든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 야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 For example, in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divided into only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the third group, the first group, the second group, and the second group can establish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the mobile terminals of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The fourth group of mobile terminals, which can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three groups of mobile terminals, may theoretically perform short range communica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그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연결 가능한 영역 내에 있는 다른 사용자의 기기를 기지국으로 활용하여 본인의 연결범위 밖에 있는 사용자와도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거리에 제약을 가진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의 새로운 기술적 지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 method and system for expanding a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terminal, by using a device of another user within a user connectable area as a base station, In addition, by enabling the communication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ere is an effect of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having a limited communication distance and providing a new technical indicator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Claims (26)

근거리 통신 방식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of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ethod; 식별자들와 식별자들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A storage unit for storing identifiers and identifier-related data;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식별자들 중 직접 연결 가능한 근거리 통신의 통신범위 내에 있는 식별자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통신범위 내의 식별자들에 해당하는 휴대단말기를 매개체로 하여 통신범위 밖에 있지만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식별자들을 검색하는 제어부와; Search for the identifiers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hat can be directly connected among the identifier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search for the identifiers that can be indirectly connected outside the communication rang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s within the searched communication range. A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검색된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 가능한 식별자들의 대표명을 표시하고, 상기 식별자들의 기기와 근거리 통신 연결 시 무선 인터넷 메신저의 대화창과 같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을 위한 휴대단말기.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presentative names of the directly or indirectly searchable identifier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for displaying an execution screen of a corresponding application such as a chat window of a wireless internet messenger when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device of the identifiers is performed. Portable terminal for extending the communication range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ceiver unit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를 주고받는 역할을 수행하며, 고주파(RF) 신호를 주고받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을 위한 휴대단말기.A mobile terminal for extending a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which performs a role of exchanging and receiving a signal of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further include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high frequency (RF) signa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s 블루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을 위한 휴대단말기.Portable terminal for communication range extension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luetooth.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s 적외선 데이터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을 위한 휴대단말기.A portable terminal for extending a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rared data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검색된 식별자들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며, 표시된 식별자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휴대단말기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을 위한 휴대단말기.Displaying the retrieved identifiers on a display unit,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identifier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transceiver, and displaying an execution scree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Portable terminal for extending the communication range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표시부에 검색된 식별자들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직접 연결이 가능한 식별자들과; 적어도 한번 이상의 간접적 연결을 통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수행이 가능한 식별자들을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을 위한 휴대단말기.Displaying indicators retrieved on the display unit, the identifiers capable of direct connection; A mobile terminal for extending the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by distinguishing identifiers capabl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through at least one indirect conn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들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dentifiers 특정 서비스 가입자를 식별하는 식별자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을 위한 휴대단말기.Handheld terminal for extending the communication range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specific service subscrib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서비스 가입자를 식별하는 식별자들은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dentifiers identifying the particular service subscriber are 전화번호나 무선인터넷 아이디(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을 위한 휴대단말기.A mobile terminal for extending the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lephone number or a wireless Internet ID (I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들 관련 데이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dentifier-related data is 식별자들와 매칭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을 위한 휴대단말기.Handheld terminal for extending the communication range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matching the identifi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들와 매칭되는 데이터는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ata matching the identifiers are 전화번호에 지정되는 가입자 이름, 별명, 다른 전화번호, 전자우편주소와;Subscriber name, alias, other telephone number, email address assigned to the telephone number; 무선인터넷 ID에 지정되는 가입자 이름, 대화명, 전자우편주소,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을 위한 휴대단말기.A mobile terminal for extending a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comprising a subscriber name, a screen name, an e-mail address, and a phone number specified in a wireless Internet ID. 직접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제 1 지역 내의 식별자들을 검색하는 단계와;Retrieving identifiers in a first region where direct local area communication is possible; 적어도 한 번의 간접 연결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제 2 지역 내의 식별자들을 검색하는 단계와;Retrieving identifiers in a second area that are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over at least one indirect connection; 상기 검색된 제 1 지역 또는 제 2 지역 내의 식별자들의 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 방법.And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a device of identifiers in the searched first region or second reg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역은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region is 상기 제 1 지역 내에 없으나 검색된 제 1 지역 내의 식별자들을 매개체로 하여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 가능한 범위와;A range capable of being connected in short-range communication via the identifiers in the first region that are not in the first region but found; 두 번 이상의 간접 연결을 통해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 가능한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 방법.A method of extending a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ange that can be connected by short-range communication through two or more indirect connection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들은12. The apparatus of claim 11, wherein the identifiers are 특정 서비스 가입자를 식별하는 식별자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 방법.Method of extending a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specific service subscriber.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서비스 가입자를 식별하는 식별자들은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identifiers identifying the particular service subscriber are 전화번호나 무선인터넷 아이디(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 방법.Method of extending the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lephone number or wireless Internet ID (ID).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is 블루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 방법.Communication range expansion method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luetooth.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is 적외선 데이터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범위 확장 방법.Communication range expansion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rared data communic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60012242A 2006-02-08 2006-02-08 Method for extending of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KR1007006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242A KR100700604B1 (en) 2006-02-08 2006-02-08 Method for extending of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242A KR100700604B1 (en) 2006-02-08 2006-02-08 Method for extending of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0604B1 true KR100700604B1 (en) 2007-03-28

Family

ID=4156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242A KR100700604B1 (en) 2006-02-08 2006-02-08 Method for extending of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60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246A (en) * 2001-07-12 2003-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establishing link between bluetooth apparatuses using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246A (en) * 2001-07-12 2003-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establishing link between bluetooth apparatuses using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9449C (en) Terminal identification
EP3200549B1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EP2260476B1 (en) Sophisticated automated relationship alerter
US20060094359A1 (en) Method for detecting bluetooth device using company ID
US9451029B2 (en) Method of remote control for portable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TW201325197A (en) Method for switching calls between devices
JP5849857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CN104158854B (en) Resource share method and device
KR201500274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device name in portable terminal
CN112074019A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9185192B2 (en) Method and system of power saving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KR20050006707A (en) Remote cotrol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N104618987A (en) Method and device for accessing network
KR100700604B1 (en) Method for extending of communication range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KR20140119917A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erminal thereof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CN104469656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NFC
CN111800836B (en) Communication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2739846A (en) Group sha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9195226B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1010850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879046B (en) Network scanning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KR20080035781A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with winc service in wireless terminal
KR20040015840A (en) Method for transfer call/sms/instant message using instant messenger in mobile phone
CN104010017A (en)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pplied thereto
KR101303020B1 (en) Method of executing a voice call service and a messenger service concurrentl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