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454B1 - A stereophonic audio system - Google Patents

A stereophonic audio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454B1
KR100699454B1 KR1020017013546A KR20017013546A KR100699454B1 KR 100699454 B1 KR100699454 B1 KR 100699454B1 KR 1020017013546 A KR1020017013546 A KR 1020017013546A KR 20017013546 A KR20017013546 A KR 20017013546A KR 100699454 B1 KR100699454 B1 KR 100699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ereo audio
audio system
signal level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5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110799A (en
Inventor
로버트 에드워드 쥬니어. 모리스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10110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7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4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확장된 공간 이미징을 갖는 합 및 차이 신호를 구비한 스테레오 시스템에 있어서, 더 중앙 방향으로의 중앙 오디오 성분의 집중화는 (L+R) 합 신호의 균등화에 의해 달성된다. 균등화는 저음 응답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인덕턴스를 경제적으로 합성하기 위해 자이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되는 원하는 저음 감소를 통해서 합 신호의 고음 응답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저음 주파수의 신호는 감소시키고 고음 주파수의 신호는 증가시키기 위한 (L+R) 합 신호에서의 균등화는 독단적으로 또는 협력하여 "온" 및 "오프"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다.In stereo systems with sum and difference signals with extended spatial imaging, the concentration of the central audio component in the more central direction is achieved by equalization of the (L + R) sum signal. Equalization involves increasing the treble response of the sum signal through the desired bass reduction achieved by using the gyrator to economically synthesize inductance while reducing bass response. In addition, the equalization in the (L + R) sum signal to reduce the low frequency signal and increase the high frequency signal is switchable between "on" and "off" modes, either alone or in concert.

Description

스테레오 오디오 시스템{A STEREOPHONIC AUDIO SYSTEM}Stereo audio system {A STEREOPHONIC AUDIO SYSTEM}

본 발명은 1999년 5월 13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60/134,005호로부터 그 우선권이 청구된다.The present invention claims priority from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0 / 134,005, filed May 13, 1999.

스테레오 향상 오디오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합(L+R) 및 차이(L-R) 신호 성분을 처리하는데, 그 합(L+R) 및 차이(L-R) 신호 성분은, 다른 방법으로 입수가능하지 않은 경우, 한 쌍의 좌측(L) 및 우측(R) 신호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차이 신호는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스피커를 통해서나 서라운드 시스템을 통해서 재생될 때 공간적으로 확장된 스테레오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Stereo enhanced audio systems typically handle sum (L + R) and difference (LR) signal components, which sum (L + R) and difference (LR) signal components, if not otherwise available, It can be generated from the left (L) and right (R) signals of the pair. The difference signal can be used to produce a spatially extended stereo image when played through a pair of left and right speakers or through a surround system.

합 신호에 대하여 차이 신호의 레벨을 부스팅(boosting)하는 것은 그러한 지각되는(perceived) 사운드 이미지를 넓힐 수 있다. 차이 신호의 그러한 처리는 저음(bass) 및 고음(treble) 둘 모두의 부스트를 포함하는 균등화를 포함한다. 그러나, 차이 신호에 있어서의 레벨의 증가는 사람이 사운드를 지각하는데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일예로, 중간 범위의 오디오 주파수에서의 차이 신호의 부스팅은 바람직하지 않게도 좌측 및 우측 스피커에 대한 청취자의 물리적인 위치에 매우 민감한 사운드 지각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공간적으로 확장된 스테레오 이미지는 텔레비전 또는 동화상 프로그래밍의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집중한 사람으로부터의 음성과 같이 일반적으로 중앙으로부터 발산될 사운드를 바람직하게 집중(localize)시키지 않는다. 이것은 사운드 시스템이 하나의 중앙 스피커를 구비하는지 또는 단지 좌측 및 우측 스피커를 구비하는지에 관한 경우이다.Boosting the level of the difference signal relative to the sum signal can widen such perceived sound image. Such processing of the difference signal involves equalization, including boosting of both bass and treble. However, increasing the level in the difference signal may have an undesirable effect on human perception of sound. In one example, boosting the difference signal at midrange audio frequencies may undesirably cause sound perception that is very sensitive to the listener's physical location relative to the left and right speakers. In addition, spatially expanded stereo images do not preferably localize sound that would normally be emitted from the center, such as speech from a person visually focused on the display of television or moving image programming. This is the case whether the sound system has one center speaker or just the left and right speakers.

공간적으로 확장된 스테레오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L+R) 합 신호에 대하여 (L-R) 차이 신호의 레벨을 증가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L+R) 합 신호의 고음 응답을 증가시키는 것과 함께 (L+R) 합 신호의 저음 응답을 감소시키는 것은 청취자가 중앙 오디오 성분을 더욱 중앙 방향으로 더 양호하게 집중시키는 것을 돕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In a system that increases the level of the (LR) difference signal with respect to the (L + R) sum signal to produce a spatially extended stereo image, (L + R) increases the treble response of the sum signal with (L + R). It has been found that reducing the bass response of the + R) sum signal helps the listener better concentrate the center audio component in the center direction.

소비자 제품을 대해서, 원가를 낮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청취자가 중앙 오디오 성분을 더 중앙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서, 오디오 시스템의 (L+R) 합 신호에 있어서의 원하는 저음 감소는 인덕턴스를 경제적으로 합성시키기 위해 자이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된다. 자이레이터로 생성되는 인덕턴스는, (L+R) 합 신호 경로에 있는 레지스턴스와 협력하여, 그러한 감소적인 저음 주파수 응답을 경제적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더욱 비싸면서 부피가 커지고, 험(hum) 및 다른 전자기/정전기의 이질적인 잡음 및 신호의 픽-업(picking-up)에 영향을 받을 권선형 인덕턴스의 결함을 회피한다. 따라서, 자이레이터로 합성되는 인덕턴스는 더욱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오디오 시스템의 더 낮은 신호 레벨 부분에 사용될 수 있다. For consumer products, it is necessary to keep costs low.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help the listener to concentrate the central audio component more centrally, the desired bass reduction in the (L + R) sum signal of the audio system can be achieved by using a gyrator to economically synthesize the inductance. It is recognized that it can. The inductance produced by the gyrator, in cooperation with the resistance in the (L + R) sum signal path, provides such a reduced bass frequency response economically while at the same time more expensive, bulky, hum and other electromagnetic / It avoids defects in the wound inductance that will be affected by the heterogeneous noise of static electricity and the pick-up of the signal. Thus, the inductance synthesized by the gyrator is more economical and can be used for the lower signal level portion of the audio system.                 

게다가, 저음 주파수의 신호는 감소시키고 고음 주파수의 신호는 증가시키기 위한 (L+R) 합 신호의 균등화(들)는 "온" 및 "오프" 모드 사이에서 단독으로 또는 협력하여 스위칭가능하고, 및/또는, 단독으로 또는 협력하여 가변적으로 조정가능하다. 이러한 스위치 능력/조정 능력은 시스템의 응답을 청취자의 만족도에 맞추기 위해 더 큰 융통성을 가능케 한다.In addition, the equalization (s) of the (L + R) sum signal to reduce the low frequency signal and increase the high frequency signal is switchable alone or in concert between the "on" and "off" modes, and And / or variably adjustable alone or in concert. This switch capability / adjustment capability allows for greater flexibility in tailoring the system's response to the listener's satisfaction.

도면들이 이제 설명된다.The drawings are now described.

도 1은 중앙 오디오 성분에 대한 원하는 중앙 집중 위치선정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L+R) 합 신호의 원하는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는 그래프.1 is a graph showing the desired frequency response of a (L + R) sum signal to provide a desired centralized positioning effect on a central audio component.

도 2는 (L+R) 합 신호 경로에서의 균등화와 (L-R) 차이 신호 경로에서의 공간 이미지 확장 균등화에 대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for equalization in the (L + R) sum signal path and spatial image expansion equalization in the (L-R) difference signal path.

도 3은 (L+R) 합 신호 경로에서 균등화를 제공하는 도 2의 블록에 대한 개략도.3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block of FIG. 2 providing equalization in the (L + R) sum signal path.

도 4는 도 3의 저음 및 고음 균등화 회로의 스위칭을 나타내는 도면.4 illustrates switching of the bass and treble equalization circuit of FIG.

도 5는 도 4의 스위칭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5 illustrates an alternative embodiment to the switching of FIG.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숫자 지정이 주어지는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 1은 중앙 오디오 성분에 대한 원하는 중앙 집중 위치선정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L+R) 합 신호의 원하는 주파수 응답(10)의 공칭적인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주파수 응답은 580 Hz에서 시작하는 최대 저음(14)과 최소 저음(12)의 점선 사이에 서 감소된 저음 응답의 여러 레벨을, 250 Hz와 300 Hz 사이의 최소 응답과, 그 다음에 100 Hz에서의 1 dB 이득에 대한 증가적인 저음 응답으로 나타낸다. 공칭상 고음 응답은, 점선으로 도시된 최소 고음(16)과 최대 고음(18) 제한 범위 내에서, 580 Hz에서 시작하여 대략 2,000 Hz 이상에서의 대략 4dB의 최대 이득까지 증가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 which like elements are given the same numerical designations, FIG. 1 is a nominal graph of the desired frequency response 10 of a (L + R) sum signal to provide a desired centralized positioning effect on a central audio component. Indicates. This frequency response varies the level of the bass response reduced between the maximum bass (14) and the minimum bass (12) dotted lines starting at 580 Hz, followed by a minimum response between 250 Hz and 300 Hz, followed by 100 Hz. This is represented by the increased bass response to the 1 dB gain at. The nominal treble response increases from 580 Hz to a maximum gain of approximately 4 dB above about 2,000 Hz, within the minimum treble 16 and maximum treble 18 limits shown by dashed lines.

도 2는 (L+R) 합 신호 경로에서의 본 균등화부(20)와, (L-R) 차이 신호 경로에 있는 공간 이미지 확장 균등화부(22)를 블록도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L-R) 차이 신호를 사용하는 공간 이미지 확장 균등화(22)는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2 shows, in block diagram form, the equalizer 20 in the (L + R) sum signal path and the spatial image expansion equalizer 22 in the (L-R) difference signal path. Spatial image extension equalization 22 using (L-R) difference signals is known in the art.

도 2는 L 및 R 신호로부터의 (L+R) 및 (L-R) 신호 형성을 나타내지만, 이것은, 검출된 신호가 이미 (L+R) 및 (L-R) 형태이고 별도의 L 및 R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매트릭스 디코딩되어야 하는, 미국에서의 FM 또는 텔레비전 스테레오 프로그램에 대한 경우일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일예로 차이(L-R) 및 합(L+R) 신호가 인코딩 및 디코딩 둘 모두 되어야 하는 경우에 대한 매트릭싱 인코더/디코더(24/26)가 도시되어 있다.2 shows (L + R) and (LR) signal formation from L and R signals, but this indicates that the detected signal is already in (L + R) and (LR) forms and provides separate L and R signals. It does not need to be the case for an FM or television stereo program in the United States, which must be matrix decoded in order to do so. Thus, as an example a matrixing encoder / decoder 24/26 is shown for the case where the difference (L-R) and sum (L + R) signals must be both encoded and decoded.

도 3은 청취자가 중앙 오디오 성분을 더욱 중앙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것을 돕는 (L+R) 합 신호 경로에 균등화를 제공하는 도 2의 블록(20)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LC 네트워크(30)는 도 1의 저음 주파수 응답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저항(32)을 갖는 디바이더이다. 시뮬레이팅된 자이레이터(gyrator) 인덕턴스(34)는 더 낮은 주파수에서 감소된 임피던스를 가짐으로써, 인덕턴스(34)와 직렬 상태인 커패시터(36)의 임피던스를 인계 받아 더 낮은 주파수에서 응답을 상승시킬 때까지 디바이더 저항(32)을 통해 저음 응답을 감소시킨다. 이 디바이더는 신호를 버퍼링하고 op-amp(40) 둘레의 피드백을 사용하는 간단한 직렬식 RC 네트워크가 도 1에 도시된 고주파수 부스트를 제공하도록 허용하는 op-amp 스테이지(38)의 입력단에 배치될 수 있다.FIG. 3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block 20 of FIG. 2 providing equalization in the (L + R) sum signal path which helps the listener to concentrate the central audio component more centrally. The LC network 30 is a divider with a resistor 32 that effectively implements the bass frequency response of FIG. Simulated gyrator inductance 34 has a reduced impedance at lower frequencies, taking over the impedance of capacitor 36 in series with inductance 34 to raise the response at lower frequencies. Reduce the bass response through the divider resistor 32 up to. This divider can be placed at the input of the op-amp stage 38 which allows a simple serial RC network that buffers the signal and uses feedback around the op-amp 40 to provide the high frequency boost shown in FIG. have.

더욱 상세하게, 자이레이터(34)는 저항(44)을 통해 접지에 연결된 이미터 전극과 저항(46)을 통해 바이어싱되는 베이스 전극을 구비하는 범용 트랜지스터(42)를 포함한다. 베이스 전극에 연결된 커패시터(48)는, 거의 1인 이득을 갖는 이미터 폴로어 증폭기 구성에서 피드백 저항(50)과 협력하여, 자이레이터로 시뮬레이팅되는 대략 1.5 H(Henries)의 유효한 인덕턴스를 제공한다. 자이레이터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회로 구성이 존재하는데, 그 대부분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자이레이터(34)의 구성은 단순히 예시적일 뿐이고, 최소의 부품 비용으로 필요한 동작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More specifically, gyrator 34 includes a general purpose transistor 42 having an emitter electrode connected to ground through resistor 44 and a base electrode biased through resistor 46. Capacitor 48 connected to the base electrode, in cooperation with the feedback resistor 50 in an emitter follower amplifier configuration with a gain of nearly one, provides an effective inductance of approximately 1.5 H (Henries) simulated with the gyrator. . There are other circuit configurations for providing a gyrator circuit, most of which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illustrated gyrator 34 is merely illustrative and is chosen to provide the required operation with minimal component cost.

커패시터(36)는, 더 낮은 저음 주파수에서 이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즉 상술된 바와 같이, 100 Hz에서 1 dB 이득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자이레이터(34)를 저항(32)에 연결하여, 낮은 저음 주파수에서 증가적인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저항(46)을 통해 제공되는 바이어스는 트랜지스터(42)를 선형적인 동작 범위에 배치한다.Capacitor 36 connects gyrator 34 to resistor 32 to increase the gain at lower bass frequencies, i.e. to have a 1 dB gain at 100 Hz, as described above. Provides increased impedance at frequency. The bias provided through the resistor 46 places the transistor 42 in a linear operating range.

고역 통과 필터(38)는 자신의 음 단자에 연결되는 피드백 저항(52)을 구비하는 op-amp(40)와, 그 음 단자로부터 AC 접지를 또한 제공하는 바이어스 소스에 연결되는 커패시터 및 저항(54, 56)으로 이루어진 직렬 RC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주파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커패시터(54)의 임피던스는 떨어지고 피드백은 감소됨으로써, op-amp(40)의 이득을 증가시킨다. 바이어스는 op-amp(40)를 선형적인 동작 범위에 배치하도록 조정된다.The high pass filter 38 includes an op-amp 40 having a feedback resistor 52 connected to its negative terminal, and a capacitor and resistor 54 connected to a bias source that also provides AC ground from the negative terminal. And a serial RC network consisting of 56). To increase the frequency, the impedance of capacitor 54 drops and the feedback de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gain of op-amp 40. The bias is adjusted to place the op-amp 40 in a linear operating range.

도 4는 도 3의 저음 및 고음 균등화(들) 회로의 스위칭을 나타낸다. 균등화 부분은 단독으로 또는 협력하여 "온" 또는 "오프"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이것은 시스템의 응답을 청취자의 만족도에 맞추기 위해 큰 융통성을 가능케 한다.4 shows the switching of the bass and treble equalization (s) circuit of FIG. The equalization portion can be switched to the "on" or "off" mode alone or in concert. This allows great flexibility to tailor the system's response to the listener's satisfaction.

이러한 스위칭은 마이크로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제공되는 각각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공될 수 있고, 그 스위칭은, 적절하게는, 이산 성분일 수 있거나 모놀리식 집적 회로(monolithic integrated circuit)에 제공될 수 있는 릴레이(relay),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MOS/CMOS FET 등과 같은 일반적으로 이용가능한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제어 신호는 각각의 자이레이터 및 고음 부스트 회로에 있는 트랜지스터(60, 62)를 포화(saturate) 또는 컷-오프 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트랜지스터에 인가된다. 또한, 트랜지스터(60, 62)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와, 트랜지스터(58)에 의해 제공되는 바이어스는 각각 가변적으로 조정가능하고, 트랜지스터(60, 62)에 대해서 그 트랜지스터를 "온"과 "오프" 사이에서 스위칭하는데 필요한 제어 신호의 제한 범위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Such switching may be provided in response to each control signal provided by a microprocessor (not shown), which switching may suitably be discrete or provided to a monolithic integrated circuit. Achieved by commonly available devices such as relays, bipolar transistors, MOS / CMOS FETs, and the like. A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each transistor to saturate or cut off transistors 60, 62 in each gyrator and treble boost circuit. 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transistors 60 and 62 and the bias provided by the transistor 58 are variably adjustable, respectively, for the transistors 60 and 62 to " on " and " off " It can be adjusted within the limits of the control signal needed to switch between.

도 5는 도 4의 스위칭 장치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자이레이터(34) 및 LC 네트워크(30)를 위한 스위치는 접지로부터 제거되어, 각각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일반적인 스위치(64)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고역 통과 필터 회로(38)는 그것의 각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일반적인 스위치(66)에 의해 스위칭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5 shows an alternative embodiment to the switching device of FIG. 4, where switches for the gyrator 34 and the LC network 30 are removed from ground, so that the general switch 64 responds to each control signal. The high pass filter circuit 38 is shown as being switched by a general switch 66 in response to its respective control signal.

여러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들의 예시적인 값들은, 저항(32)은 3.3 ㏀이고, 커패시터(36)는 0.22 ㎌이고, 저항(46)은 68 ㏀이고, 저항(44)은 1 ㏀이고, 저항(50)은 2.2 ㏀이고, 저항(52,56)은 15 ㏀이며, 커패시터(54)는 0.01 ㎌이다. 트랜지스터(42, 58, 60, 및 62)는 비-임계적인 신호 타입인 일예로 2N2222일 수 있고, op-amp(40)는 비-임계적인 범용의 MC3404 op-amp이다.Exemplary values of the elements shown in the various figures are: resistor 32 is 3.3 kV, capacitor 36 is 0.22 kV, resistor 46 is 68 kV, resistor 44 is 1 kV, and resistor 50 is 2.2 kV, resistors 52 and 56 are 15 kV, and capacitor 54 is 0.01 kV. Transistors 42, 58, 60, and 62 may be, for example, 2N2222, which is a non-critical signal type, and op-amp 40 is a non-critical general purpose MC3404 op-amp.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간적으로 확장된 스테레오 오디오 이미지의 중앙 집중화에 이용된다.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centralization of spatially extended stereo audio images.

Claims (18)

합(L+R) 및 차이(L-R) 신호와 각각의 신호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과;Means for providing sum (L + R) and difference (L-R) signals and respective signal paths; 공간적으로 확장된 스테레오 오디오 효과를 상기 차이(L-R) 신호로 제공하기 위한 수단과;Means for providing a spatially extended stereo audio effect as said difference (L-R) signal; 중앙 사운드의 명확한 위치를 좌측 및 우측 사운드 발산 스피커 사이의 중앙에 더 근접하게 집중시키기 위해 상기 합(L+R)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Means for processing the sum (L + R) signal to focus a clear position of center sound closer to the center between the left and right sound emitting speakers, 저음 주파수의 신호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과;Means for reducing a signal level at a bass frequency; 고음 주파수의 신호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Means for increasing the signal level of the high frequency, 저음 주파수의 신호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자이레이터(gyrator)를 포함하는, 상기 처리 수단을Said means for reducing the signal level of the bass frequency comprises a gyrator; 포함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시스템.Included, stereo audio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이레이터는 상기 합(L+R) 신호 경로에 대해 분로(shunt) 상태인, 스테레오 오디오 시스템.2. The stereo audio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gyrator is shunt for the sum (L + R) signal path.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음 신호 감소는 100 Hz 내지 580 Hz의 대역 내에 있는 주파수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시스템.2. The stereo audio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bass signal reduction comprises a frequency in a band of 100 Hz to 580 Hz.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음 신호 증가는 580 Hz 이상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시스템.2. The stereo audio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treble signal increase comprises a frequency of at least 580 Hz. 제 1항에 있어서, 저음 주파수의 신호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과 고음 주파수의 신호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은 독자적으로 또는 협력하여 "온" 및 "오프"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한, 스테레오 오디오 시스템.2. The stereo audio system of claim 1, wherein reducing the signal level of the low frequency and increasing the signal level of the high frequency is switchable between " on " and " off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은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시스템.7. The stereo audio system of claim 6, wherein the switching is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시스템.8. The stereo audio system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signal is provided by a microprocessor. 합(L+R) 및 차이(L-R) 신호와 각각의 신호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과;Means for providing sum (L + R) and difference (L-R) signals and respective signal paths; 공간적으로 확장된 스테레오 오디오 효과를 상기 차이(L-R) 신호로 제공하기 위한 수단과;Means for providing a spatially extended stereo audio effect as said difference (L-R) signal; 중앙 사운드의 명확한 위치를 좌측 및 우측 사운드 발산 스피커 사이의 중앙에 더 근접하게 집중시키기 위해 상기 합(L+R)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Means for processing the sum (L + R) signal to focus a clear position of center sound closer to the center between the left and right sound emitting speakers, 저음 주파수의 신호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과;Means for reducing a signal level at a bass frequency; 고음 주파수의 신호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Means for increasing the signal level of the high frequency, 신호레벨을 저음 주파수로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과 고음 주파수의 신호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독자적으로 또는 협력하여 "온" 및 "오프" 모드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한, 상기 처리 수단을The means for reducing the signal level to the bass frequency and the means for increasing the signal level of the high frequency may independently or cooperatively switch the processing means between the "on" and "off" modes. 포함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시스템.Included, stereo audio system.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은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시스템.10. The stereo audio system of claim 9, wherein the switching is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시스템.11. The stereo audio system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signal is provided by a microproces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음 주파수의 신호 레벨 감소와 고음 주파수의 신호 레벨 증가는 독단적으로 또는 협력하여 "온" 및 "오프"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한, 스테레오 오디오 시스템.2. The stereo audio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level reduction of the low frequency and the signal level increase of the high frequency are arbitrarily or cooperatively switchable between "on" and "off" mod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은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시스템.13. The stereo audio system of claim 12, wherein the switching is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시스템.18. The stereo audio system of claim 17, wherein the control signal is provided by a microprocessor.
KR1020017013546A 1999-05-13 2000-05-12 A stereophonic audio system KR10069945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00599P 1999-05-13 1999-05-13
US60/134,005 1999-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799A KR20010110799A (en) 2001-12-13
KR100699454B1 true KR100699454B1 (en) 2007-03-27

Family

ID=2246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546A KR100699454B1 (en) 1999-05-13 2000-05-12 A stereophonic audio system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177707B1 (en)
JP (1) JP4868647B2 (en)
KR (1) KR100699454B1 (en)
CN (1) CN1227950C (en)
AU (1) AU5008100A (en)
DE (1) DE60013807T2 (en)
MX (1) MXPA01011426A (en)
WO (1) WO2000070913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5828B2 (en) 2003-02-25 2010-03-09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at least a data area of the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CN100520948C (en) * 2003-03-03 2009-07-29 三星电子株式会社 Method for managing defect of recording media
EP1647014B1 (en) 2003-07-04 2012-09-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overwrite recording on a write-once optical disc
KR101024916B1 (en) 2004-03-19 2011-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writing data in high density optical write once disc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1113866B1 (en) 2004-03-19 2012-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Data structure for a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of recording data on the recording medium
KR101049117B1 (en) 2004-06-08 2011-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optical write once disc
KR101014727B1 (en) 2004-06-23 201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overwrite in Optical write once disc
KR101012378B1 (en) 2004-08-16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 reproducing in Optical storage
JP5144265B2 (en) 2004-09-14 2013-02-1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edium
GB2419265B (en) 2004-10-18 2009-03-11 Wolfson Ltd Improved audio processing
KR101227485B1 (en) 2005-11-25 201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cording m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on the recording medium
KR20070058291A (en) 2005-12-02 200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cording me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the recording medi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9716A (en) * 1979-05-15 1980-10-21 Northern Telecom Limited Amplitude equalizer circuit
US4451927A (en) * 1982-03-24 1984-05-29 Harris Corporation Separation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lural channel transmis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8669A (en) * 1986-03-27 1988-05-31 Hughes Aircraft Company Stereo enhancement system
US4759065A (en) * 1986-09-22 1988-07-1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Automotive sound system
US4866774A (en) * 1988-11-02 1989-09-12 Hughes Aircraft Company Stero enhancement and directivity servo
JP2767389B2 (en) * 1994-11-08 1998-06-18 ローム株式会社 Equalizer and audio device using the same
US5692050A (en) * 1995-06-15 1997-11-25 Binaur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patially enhancing stereo and monophonic signals
JPH09252500A (en) * 1996-03-15 1997-09-22 Shuichi Sato Stereo reproduction system in audio equipment
DE59611450D1 (en) * 1996-05-17 2008-01-03 Micronas Gmbh Surround sound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9716A (en) * 1979-05-15 1980-10-21 Northern Telecom Limited Amplitude equalizer circuit
US4451927A (en) * 1982-03-24 1984-05-29 Harris Corporation Separation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lural channel transmis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13807T2 (en) 2005-04-14
WO2000070913A2 (en) 2000-11-23
DE60013807D1 (en) 2004-10-21
CN1364393A (en) 2002-08-14
AU5008100A (en) 2000-12-05
MXPA01011426A (en) 2002-06-04
CN1227950C (en) 2005-11-16
WO2000070913A9 (en) 2002-04-18
KR20010110799A (en) 2001-12-13
JP4868647B2 (en) 2012-02-01
JP2003500916A (en) 2003-01-07
EP1177707A2 (en) 2002-02-06
WO2000070913A3 (en) 2001-08-16
EP1177707B1 (en) 200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454B1 (en) A stereophonic audio system
US5701344A (en) Audio processing apparatus
US5129006A (en) Electronic audio signal amplifier and loudspeaker system
US4479235A (en) Switching arrangement for a stereophonic sound synthesizer
US5265166A (en) Multi-channel sound simulation system
US6711265B1 (en) Centralizing of a spatially expanded stereophonic audio image
KR100307301B1 (en) Voice signal processing device with spatial stereo extension
US6947564B1 (en) Stereophonic spatial expansion circuit with tonal compensation and active matrixing
EP0042441B1 (en) Tone control circuit
US4257067A (en) Sound enhancement system for television receivers
US3050583A (en) Controllable stereophonic electroacoustic network
JPH10233653A (en) Sc filter having specific aliasing prevention function and voice signal processor provided with the filter
JPH05115100A (en) Sound emphasis circuit
JPH10229322A (en) Filter circuit and audio signal processor provided with the filter circuit
JPS6327462Y2 (en)
KR900010615Y1 (en) Low frequency only amplifier circuit
KR850003259Y1 (en) Imitation stereo
JPH04119708A (en) Automatic noise suppression method for amplifier and automatic noise suppression device
JPH0735518Y2 (en) Surround circuit
JPS5832362Y2 (en) FM broadcast playback device
JPH0221835Y2 (en)
JP3118040B2 (en) Loudness control circuit
JPH10136496A (en) Stereo sound source moving acoustic system
WO2000042819A1 (en) A stereophonic spatial expansion circuit with tonal compensation and active matrixing
JPH0588020U (en) Subwoofer output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