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626B1 - Mobile device with dual camera module and method of taking serial photograph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device with dual camera module and method of taking serial photograph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626B1
KR100697626B1 KR1020060051079A KR20060051079A KR100697626B1 KR 100697626 B1 KR100697626 B1 KR 100697626B1 KR 1020060051079 A KR1020060051079 A KR 1020060051079A KR 20060051079 A KR20060051079 A KR 20060051079A KR 100697626 B1 KR100697626 B1 KR 100697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inuous shooting
subject
shutter
camera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0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동영
김순진
공성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1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6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6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A portable terminal having dual camera modules and a continuous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increase the number of photographed frames twice and reduce frame intervals in half, thereby easily obtaining a desired still image with high-quality by photographing a subject with high speed. A portable terminal(100) comprises the followings: dual camera modules(110) which are closely arranged with each other and individually photograph a subject; and a control unit(120) which controls each camera module(110) to photograph the subject by turns in a continuous photographing mode. The each camera module(110) comprises the followings: a camera sensor(113,123) for converting the optical signal of the subject into video data; a lens(111,121) for focusing on the subject in the camera sensor(113,123); a shutter(112,122) for performing opening/closing operation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 a shutter operating unit(114,124) for operating the shutter(112,122); and a video processing unit(115,125) for processing the video data.

Description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연속촬영 방법{mobile device with dual camera module and method of taking serial photographs using the same}A mobile terminal having two camera modules and a continuous shooting method using the same {mobile device with dual camera module and method of taking serial photographs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two camera modu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연속촬영 방법의 흐름도.2 is a flow chart of a continuous shoot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휴대 단말기 110, 120: 카메라 모듈100: mobile terminal 110, 120: camera module

111, 121: 렌즈 112, 122: 셔터111, 121: lens 112, 122: shutter

113, 123: 카메라 센서 114, 124: 셔터 구동부113, 123: camera sensor 114, 124: shutter drive unit

115, 125: 영상 처리부 120: 제어부115, 125: image processor 120: controller

121: 연속촬영 명령부 130: 키 입력부121: continuous shooting command unit 130: key input unit

140: 저장부 150: 표시부140: storage unit 150: display uni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의 연속촬영 기술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연속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shooting technique in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two camera modules and a continuous shooting method using the same.

휴대폰, PDA 등 최근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 온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생활의 필수품으로 확고히 자리를 잡고 있다. 더욱이 사용자의 요구가 다양하게 나타나면서, 또한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제조업체들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면서, 휴대 단말기는 고유의 기본적 기능 외에 각종 부수적 기능들을 다양하게 갖추어가고 있다. 카메라 기능을 채용하여 휴대 단말기로 사진촬영을 수행하는 것은 그 좋은 예이다.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which have recently undergone remarkable developments, are now firmly established as necessities of modern life. Moreover, as the demands of users vary and the competition among manufacturers to meet them increases, portabl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ir basic functions. Taking a picture with a mobile terminal by employing a camera function is a good example.

휴대 단말기가 채용한 카메라 기능 중에는 종종 연속촬영 기능이 포함된다. 연속촬영 기능이란 아주 짧은 시간 간격으로 여러 장의 사진을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기능이다. 연속촬영 기능은 동적 상태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순간적인 장면을 포착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Camera functions employed by mobile terminals often include continuous shooting functions. Continuous shooting is a function that takes a series of pictures at very short time intervals. The continuous shooting function is useful when you want to capture a moment by shooting a dynamic subject.

그러나 종래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연속촬영 방법은 촬영 가능한 프레임(frame) 수가 제한되어 있다(예컨대, 초당 30 프레임). 따라서 아주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원하는 정지 영상을 얻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아울러, 피사체의 움직임 속도가 빠르면 연속촬영에 의하여 정지 영상을 얻더라도 그 화질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tinuous shoot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the number of frames that can be photographed is limited (for example, 30 frames per second).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shoot a fast moving subject and obtain a desired still image. In addition, if the moving speed of the subject is high, there may be a problem in image quality even if a still image is obtained by continuous shooting.

종래기술에서 프레임 수를 증가시키려면 영상데이터의 처리 능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리고 영상데이터의 처리 능력은 휴대 단말기의 클록속도(clock speed)와 관련된다. 휴대 단말기에서 클록속도를 증가시키면 전력소모가 커질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의 동작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클록속도는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시키기 어려우며, 그에 따라 영상데이터의 처리 능력 또한 한계가 있다. 결국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면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는 촬영 가능한 프레임 수가 초당 30 프레임을 넘기 어려운 실정이다.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frames in the prior art, the processing power of image data must be supported. The processing capability of the image data is related to the clock speed of the portable terminal. Increasing the clock speed in the portable terminal not only increases power consumption but also may cause unstabl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ecause of this,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clock speed beyond a certain level, and thus the processing power of the image data is also limited. After all, in view of these points, it is difficult for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to record more than 30 frames per second.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연속촬영을 수행할 때 클록속도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촬영 가능한 프레임 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number of recordable frames without increasing the clock speed when performing continuous shooting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주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를 고속으로 촬영하여 원하는 정지 영상을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pture a very fast moving subject at high speed so that a desired still image can be easily obtain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속촬영을 수행하여 얻어진 정지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image quality of still images obtained by performing continuous shooting.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독립적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두 개의 카메라 모듈과, 연속촬영 모드에서 각각의 카메라 모듈이 번갈아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s,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camera modul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independently photographing a subjec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each camera module to alternately photograph the subject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It is configured by.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각각의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광신호를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카메라 센서에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렌즈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개폐 동작을 하는 셔터와, 셔터를 구동하는 셔터 구동부 와,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를 구비할 수 있고, 각각의 셔터 구동부는 연속촬영 모드에서 동작시각이 서로 엇갈리도록 각각의 셔터를 구동할 수 있다.I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amera module includes a camera sensor for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of the subject into image data, a lens for focusing the subject on the camera sensor, a shutt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bject for shooting the subject, and a shutter. The shutter driver for driving the image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image data, each shutter driver may drive the respective shutters so that the operation time is staggered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이 경우, 각 카메라 모듈의 프레임 간격이 t초일 때 셔터 구동부는 연속촬영 모드에서 셔터의 동작시각이 t/2초의 간격을 가지도록 셔터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연속촬영 명령을 생성하여 셔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연속촬영 명령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frame interval of each camera module is t seconds, the shutter driver may drive the shutter so that the operation time of the shutter has an interval of t / 2 seconds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continuous shooting command unit that generates a continuous shooting command and operates the shutter driver.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은 연속촬영 모드에서 촬영 가능한 프레임 수와 프레임 간격이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camera modules have the same number of frames and frame intervals that can be photographed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이 경우, 각 카메라 모듈의 프레임 수가 m개일 때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은 연속촬영 모드에서 모두 2m개의 프레임을 연속으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각 카메라 모듈의 프레임 간격이 t초일 때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은 연속촬영 모드에서 t/2초의 간격으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number of frames of each camera module is m, the two camera modules may continuously shoot 2m frames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Also, when the frame interval of each camera module is t seconds, the two camera modules may photograph the subject at intervals of t / 2 seconds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속촬영 방법은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연속촬영 방법으로, 연속촬영 모드에서 피사체의 영상데이터를 미리보기로 표시하는 단계와, 사진찍기 키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사진찍기 키 입력이 있으면 각각의 카메라 모듈을 번갈아 제어하여 피사체를 연속으로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inuous shoo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inuous shoot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having two camera modules,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to display the image data of the subject as a preview, and to check whether there is a picture taking key input And photographing a subject continuously by controlling each camera module alternately when there is a photographing key input.

본 발명의 연속촬영 방법은 사진찍기 키 입력이 없으면 미리보기 표시 단계로 돌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ntinuous shoo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no photographing key input, it is preferable to return to the preview display step.

본 발명의 연속촬영 방법에서, 피사체의 연속촬영 단계는, 연속촬영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연속촬영 명령에 따라 동작시각이 엇갈리도록 각 카메라 모듈의 셔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continuous shoo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inuous shooting step of the subject may include generating a continuous shooting command, and driving the shutter of each camera module so that the operation time is staggered according to the continuous shooting command.

이 경우, 각 카메라 모듈이 t초의 프레임 간격을 가질 때 셔터 구동 단계는 셔터의 동작시각이 t/2초의 간격을 가지도록 셔터를 구동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when each camera module has a frame interval of t seconds, the shutter driving step is preferably a step of driving the shutter so that the operation time of the shutter has an interval of t / 2 seconds.

본 발명의 연속촬영 방법에서, 각 카메라 모듈이 m개의 촬영 가능한 프레임을 가질 때 피사체의 연속촬영 단계는 2m개의 프레임을 연속으로 촬영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각 카메라 모듈이 t초의 프레임 간격을 가질 때 피사체의 연속촬영 단계는 t/2초의 간격으로 촬영이 이루어지는 단계일 수 있다.In the continuous shoo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ach camera module has m recordable frames, the continuous shooting step of the subject may be a step of continuously shooting 2m frames. In addition, when each camera module has a frame interval of t seconds, the continuous photographing step of the subject may be a step in which photographing is performed at an interval of t / 2 seconds.

실시예Exampl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more clearly communicate without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two camera modu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이하, 제1 카메라 모듈(110), 제2 카메라 모듈(120)이라 함)을 포함하며, 제어부(120), 키 입력 부(130), 저장부(140), 표시부(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two camera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amera module 110 and a second camera module 120), and includes a control unit 120 and a key input unit ( 130, a storage 140, and a display 150.

제1 카메라 모듈(110)은 제1 렌즈(111), 제1 셔터(112), 제1 카메라 센서(113), 제1 셔터 구동부(114), 제1 영상 처리부(115)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2 카메라 모듈(120)은 제2 렌즈(121), 제2 셔터(122), 제2 카메라 센서(123), 제2 셔터 구동부(124), 제2 영상 처리부(125)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제1, 제2 카메라 모듈(110, 120)은 서로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The first camera module 110 includes a first lens 111, a first shutter 112, a first camera sensor 113, a first shutter driver 114, and a first image processor 115. Similarly, the second camera module 120 includes a second lens 121, a second shutter 122, a second camera sensor 123, a second shutter driver 124, and a second image processor 125.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camera modules 110 and 120 are formed of the same components and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제1, 제2 렌즈(111, 121)는 각각의 카메라 센서(113, 123)에 피사체의 초점을 맞춘다. 특히, 연속촬영 모드에서 각각의 렌즈(111, 121)는 동일 피사체를 향하도록 제어된다.The first and second lenses 111 and 121 focus the subjects on the respective camera sensors 113 and 123. In particular,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each lens 111 and 121 is controlled to face the same subject.

제1, 제2 셔터(112, 122)는 각각의 셔터 구동부(114, 124)의 제어에 따라 독립적으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개폐 동작을 한다.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2 and 122 perform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for photographing a subject independently under the control of the shutter driving units 114 and 124.

제1, 제2 셔터 구동부(114, 124)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각각의 셔터(112, 122)를 구동한다. 특히, 연속촬영 모드에서 각각의 셔터 구동부(114, 124)는 연속촬영 명령부(121)의 제어에 따라 셔터(112, 122)의 동작시각이 서로 엇갈리도록 구동한다. 그러나 셔터(112, 122)의 동작시각을 제외한 나머지 촬영조건, 예컨대 프레임 수, 프레임 간격, 셔터 속도 등은 모두 동일하도록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shutter drivers 114 and 124 independently drive the shutters 112 and 12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In particular,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each of the shutter drivers 114 and 124 drives the operation time of the shutters 112 and 122 to be stagger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inuous shooting command unit 121. However, it is preferable to drive so that the remaining shooting conditions, for example, the number of frames, the frame interval, the shutter speed, etc., except for the operation time of the shutters 112 and 122 are all the same.

제1, 제2 카메라 센서(113, 123)는 각각의 렌즈(111, 121)를 통과한 피사체의 광신호를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각각의 영상 처리부(115, 125) 또는 제어부(120)로 보낸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센서(113, 123)는 광신호를 아날로그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및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 형태의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는 CCD 센서 또는 CMOS 센서이며, 신호 처리부는 DSP이다. 이와 달리, 신호 처리부는 영상 처리부(115, 125)에 포함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amera sensors 113 and 123 convert the optical signals of the subjects passing through the respective lenses 111 and 121 into image data and send them to the image processing units 115 and 125 or the control unit 120. . In detail, the camera sensors 113 and 123 include an image sensor for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into an analog electric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for converting the analog signal into image data in the form of a digital signal. For example, the image sensor is a CCD sensor or a CMOS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is a DSP. Alternatively,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ncluded in the image processor 115 or 125 or may be configured independently.

제1, 제2 영상 처리부(115, 125)는 각각의 카메라 센서(113, 123)에서 변환한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50)에 출력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하기 위한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영상 처리부(115, 125)는 예컨대 스케일러(scaler), 색변환기, 영상코덱(image codec)을 구비한다. 스케일러는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50)의 크기에 맞도록 조정하며, 색변환기는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50)의 색상규격에 맞도록 변환한다. 영상코덱은 예컨대 JPEG 코덱으로, 영상데이터를 압축하거나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복원한다. 영상코덱은 제어부(120)에 포함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image processing units 115 and 125 perform a process of outputting the image data converted by the camera sensors 113 and 123 to the display unit 150 or storing the image data in the storage unit 140. Specifically, each of the image processing units 115 and 125 includes, for example, a scaler, a color converter, and an image codec. The scaler adjusts the image data to match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color converter converts the image data to match the color standard of the display unit 150. The image codec is, for example, a JPEG codec, which compresses image data or restores compressed image data. The image codec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20 or may be configured independently.

제어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20)는 연속촬영 모드를 설정하며 키 입력부(130)로부터 사진찍기 명령을 수신한다. 수신된 사진찍기 명령에 따라 제어부(120)의 연속촬영 명령부(121)는 연속촬영 명령을 생성하고, 이에 따라 제1, 제2 셔터 구동부(114, 124)를 작동시킨다. 특히, 연속촬영 명령부(121)에서 생성하는 연속촬영 명령은 제1, 제2 셔터(112, 122)를 번갈아 구동하도록 하는 명령이다.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20 sets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and receives a picture taking command from the key input unit 130. The continuous shooting command unit 121 of the control unit 120 generates a continuous shooting command according to the received picture taking command, thereby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shutter drivers 114 and 124. In particular, the continuous shooting command generated by the continuous shooting command unit 121 is a command to alternately drive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2 and 122.

제어부(120)는 또한 제1, 제2 영상 처리부(115, 125)의 스케일러와 색변환기를 제어하여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50)로 보낸다. 아울러, 제어부(120)는 영상 처 리부(115, 125)에서 처리하기 전의 데이터(raw data)를 제1, 제2 카메라 센서(113, 123)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140)에 임시로 저장시키고, 임시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영상 처리부(115, 125)의 영상코덱에서 압축시켜 저장부(140)에 저장시킨다.The controller 120 also controls the scalers and color converters of the first and second image processing units 115 and 125 to transmit the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15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receives raw data from the first and second camera sensors 113 and 123 before processing by the image processor 115 and 125 and temporarily stores the data in the storage 140. Then, the temporarily stored image data is compressed in the image codec of the image processor 115 and 125 and stored in the storage 140.

키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특히, 키 입력부(130)는 연속촬영 모드의 선택, 사진찍기,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들을 구비한다.The key input unit 130 receives a user's opera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particular, the key input unit 130 includes keys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selecting a continuous shooting mode, taking a picture, and storing the picture.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40)는 영상 처리부(115, 125)에서 처리하기 전 데이터의 형태로 카메라 센서(113, 123)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임시로 저장하거나, 영상 처리부(115, 125)의 영상코덱에서 처리한 후의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The storage 140 stores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40 receives image data from the camera sensors 113 and 123 in the form of data before processing by the image processing units 115 and 125 and temporarily stores the image data or images of the image processing units 115 and 125. Receives and saves image data after processing by codec.

표시부(150)는 피사체의 실시간 영상데이터를 제1 영상 처리부(115) 또는 제2 영상 처리부(125)로부터 수신하여 미리보기(preview)로 표시하거나, 연속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제1, 제2 영상 처리부(115, 125) 또는 저장부(14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표시부(150)는 예컨대 LCD를 사용한다.The display unit 150 receives the real-time image data of the subject from the first image processor 115 or the second image processor 125 and displays them in a preview, or sequentially or continuously captures the image data of the first and second images. It is received from the processing unit 115 or 125 or the storage unit 140 and displayed on the screen. The display unit 150 uses, for example, an LCD.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연속 사진촬영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연속 사진촬영 방법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 또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Next, a continuous photograph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will also be clearer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continuous picture taking metho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연속촬영 방법의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continuous shoot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20)는 키 입력부(130)에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연속촬영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확인한다(201).1 and 2, first, the controller 120 receives a signal input to the key input unit 130 and checks whether a continuous shooting mode is selected (201).

연속촬영 모드이면, 제어부(120)는 제1 카메라 센서(113)와 제1 영상 처리부(115)를 제어하여 피사체의 실시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50)에 미리보기로 표시한다(202). 이때, 제어부(120)는 제1 카메라 센서(113)와 제1 영상 처리부(115) 대신에 제2 카메라 센서(123)와 제2 영상 처리부(125)를 제어하여 미리보기 표시를 수행할 수도 있다.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first camera sensor 113 and the first image processor 115 to display the real-time image data of the subject on the display unit 150 as a preview (202).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the second camera sensor 123 and the second image processor 125 instead of the first camera sensor 113 and the first image processor 115 to perform a preview display. .

이어서, 제어부(120)는 키 입력부(130)로부터 사진찍기 명령에 대한 키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203). 사진찍기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계속해서 미리보기 표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202).Subsequently, the controller 120 checks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for taking a picture command from the key input unit 130 (203). If a picture taking command is not received, the control unit 120 continues to perform a preview display function (202).

사진찍기 명령이 있으면, 제어부(120)의 연속촬영 명령부(121)는 연속촬영 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제1, 제2 셔터 구동부(114, 124)로 각각 전송한다(204). 이때 생성되는 연속촬영 명령은 제1 셔터(112)와 제2 셔터(122)를 번갈아 구동하도록 하는 명령이다. 즉, 연속촬영 명령은 각 셔터(112, 122)의 동작시각이 서로 엇갈리도록 설정한다.If there is a picture taking command, the continuous shooting command unit 121 of the control unit 120 generates a continuous shooting command and transmits the continuous shooting command to the first and second shutter drivers 114 and 124, respectively (204). The continuous shooting command generated at this time is a command to alternately drive the first shutter 112 and the second shutter 122. That is, the continuous shooting command is set so that the operation times of the shutters 112 and 122 are staggered.

예를 들어, 각 카메라 모듈(110, 120)에서 연속촬영이 가능한 프레임 수가 m개이고, 제1 셔터(112)의 동작시각이 T1_1, T2_1, T3_1, …, Tm_1, 제2 셔터(122)의 동작시각이 T1_2, T2_2, T3_2, …, Tm_2라고 하자. 이때 프레임 간격이 t초라고 하면, Tn_1과 T(n+1)_1 사이의 시간 간격 및 Tn_2와 T(n+1)_2 사이의 시간 간격은 각각 t초이다(이 때, n은 1, 2, …, m-1). 그러나 Tn_1과 Tn_2 사이의 시간 간격 및 Tn_2와 T(n+1)_1 사이의 시간 간격은 각각 t/2초가 된다.For example, the number of frames that can be continuously photographed in each camera module 110 and 120 is m, and the operating times of the first shutter 112 are T 1_1 , T 2_1 , T 3_1,. , T m_1 , operation time of the second shutter 122 is T 1_2 , T 2_2 , T 3_2,. Let T m_2 . If the frame interval is t seconds, the time interval between T n_1 and T (n + 1) _1 and the time interval between T n_2 and T (n + 1) _2 are each t seconds (where n is 1). , 2,…, m-1). However, the time interval between T n_1 and T n_2 and the time interval between T n_2 and T (n + 1) _1 become t / 2 seconds, respectively.

따라서 프레임 수는 실질적으로 2m개로 증가한 것과 같으며, 프레임 간격이 절반으로 감소하므로, 아주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의 정지 영상도 쉽게 고화질로 촬영할 수 있다.Therefore, the number of frames is substantially increased to 2m, and the frame interval is reduced by half, so that still images of very fast moving subjects can be easily captured in high quality.

연속촬영 명령을 받은 제1, 제2 셔터 구동부(114, 124)는 각각 제1 셔터(112)와 제2 셔터(122)를 번갈아 구동한다(205). 이에 따라 제1 셔터(112)와 제2 셔터(122)는 번갈아 열리며 연속적으로 피사체 촬영을 수행한다. 이때, 제1, 제2 렌즈(111, 121)는 서로 동일한 피사체를 향하며 각각의 카메라 센서(113, 123)에 피사체의 초점을 맞춘다.The first and second shutter drivers 114 and 124 that receive the continuous shooting command alternately drive the first shutter 112 and the second shutter 122 (205). Accordingly, the first shutter 112 and the second shutter 122 are alternately opened to continuously photograph the subject.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lenses 111 and 121 face the same subject and focus the subject on the respective camera sensors 113 and 123.

각각의 카메라 센서(113, 123)는 렌즈(111, 121)를 통과한 피사체의 광신호를 영상데이터로 변환하고, 표시부(150)는 각각의 영상 처리부(115, 125)를 거친 영상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206). 이때, 영상 처리부(115, 125)는 연속촬영된 프레임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50)의 규격에 맞추어 전송하고, 제어부(120)는 영상 처리부(115, 125)를 거치지 않은 영상데이터를 저장부(140)에 임시로 저장시킨다.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는 썸네일(thumbnail) 영상일 수 있다.Each of the camera sensors 113 and 123 converts the optical signal of the subject passing through the lenses 111 and 121 into image data, and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the image data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espective image processing units 115 and 125. (206). At this time, the image processing unit 115 and 125 transmits the frame-specific image data of the continuous shooting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control unit 120 stores the image data not passed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unit 115 and 125. 140) temporarily. Th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may be a thumbnail image.

이어서, 제어부(120)는 키 입력부(130)로부터 저장 명령에 대한 키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207). 저장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미리보기 표시 단계(202)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Subsequently, the controller 120 checks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for the storage command from the key input unit 130 (207). If the storage command is not received,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o return to the preview display step 202 agai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저장 명령이 있으면,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임시로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불러들여 영상 처리부(115, 125)의 영상코덱에서 압축 처리한 후 다시 저장부(140)에 저장한다(208). 이러한 영상데이터의 처리 과정은 휴대 단말기에서 다른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에도 병행하여 수행될 수 있다.If there is a storage command, the controller 120 loads the image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140, compresses the image data in the image codecs of the image processing units 115 and 125, and stores the image data in the storage 140 again (208). ). The processing of the image data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while other tasks are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이어서, 제어부(120)는 연속촬영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201)로 돌아가도록 제어한다.Subsequently,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o return to step 201 to confirm whether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is selected.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se are mere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서 연속촬영을 수행할 때 클록속도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촬영 가능한 프레임 수를 두 배로 증가시키고 프레임 간격을 절반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아주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도 고속으로 촬영하여 원하는 정지 영상을 고화질로 쉽게 얻을 수 있다. 차후에 기술이 발전하여 클록속도가 증가하고 촬영 가능한 프레임 수가 늘어나더라도, 본 발명은 그 상황에서 지원하는 프레임 수의 두 배 만큼의 프레임을 촬영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촬영 가능한 프레임 수보다 항상 두 배 만큼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performing continuous shooting in a mobile terminal, the number of recordable frames can be doubled and the frame interval can be reduced by half without increasing the clock speed. Therefore, even a very fast moving subject can be shot at high speed to easily obtain a desired still image in high quality. Even if the technology advances later and the clock speed increases and the number of recordable frames increases,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as many frames as twice the number of frames supported in the situa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wice as many effects as the number of frames that can be photographed in the portable terminal.

Claims (13)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독립적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두 개의 카메라 모듈; 및Two camera modul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independently photographing a subject; And 연속촬영 모드에서 각각의 상기 카메라 모듈이 번갈아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of the camera modules to take turns photographing the subject in a continuous shooting mode;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각각의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피사체의 광신호를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 센서에 상기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렌즈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개폐 동작을 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구동하는 셔터 구동부와, 상기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를 구비하며,Each camera module includes a camera sensor for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of the subject into image data, a lens for focusing the subject on the camera sensor, a shutt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bject, and a shutter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 A shutter driver for driving and an image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image data; 각각의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연속촬영 모드에서 동작시각이 서로 엇갈리도록 각각의 상기 셔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each of the shutter drivers drives the shutters so that their respective operating times are staggered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각 카메라 모듈의 프레임 간격이 t초일 때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연속촬영 모드에서 상기 셔터의 동작시각이 t/2초의 간격을 가지도록 상기 셔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shutter driver drives the shutter so that the operation time of the shutter has an interval of t / 2 seconds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when the frame interval of each camera module is t seconds.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연속촬영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셔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연속촬영 명령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continuous shooting command unit for generating a continuous shooting command to operate the shutter driv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연속촬영 모드에서 촬영 가능한 프레임 수와 프레임 간격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two camera modules are portable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frames that can be taken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and the frame interval is the sam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각 카메라 모듈의 상기 프레임 수가 m개일 때 상기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연속촬영 모드에서 모두 2m개의 프레임을 연속으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when the number of frames of each camera module is m, the two camera modules continuously photograph 2m frames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각 카메라 모듈의 상기 프레임 간격이 t초일 때 상기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연속촬영 모드에서 t/2초의 간격으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two camera modules photograph the subject at intervals of t / 2 seconds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when the frame interval of each camera module is t seconds.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연속촬영 방법으로,Continuous shoot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having two camera modules, 연속촬영 모드에서 피사체의 영상데이터를 미리보기로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image data of the subject as a preview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사진찍기 키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Checking for a photographic key input; And 상기 사진찍기 키 입력이 있으면 각각의 상기 카메라 모듈을 번갈아 제어하여 상기 피사체를 연속으로 촬영하는 단계;Taking a photograph of the subject by controlling each camera module alternately when the photographing key is input;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촬영 방법.Continuous shoot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사진찍기 키 입력이 없으면 상기 미리보기 표시 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촬영 방법.And returning to the preview display step if there is no input of the photographing key.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피사체의 연속촬영 단계는, 연속촬영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연속촬영 명령에 따라 동작시각이 엇갈리도록 상기 각 카메라 모듈의 셔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촬영 방법.The continuous shooting of the subject may include generating a continuous shooting command and driving the shutters of the camera modules so that the operation time is staggered according to the continuous shooting command. Way.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각 카메라 모듈이 t초의 프레임 간격을 가질 때 상기 셔터 구동 단계는 상기 셔터의 동작시각이 t/2초의 간격을 가지도록 상기 셔터를 구동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촬영 방법.And the shutter driving step when the camera module has a frame interval of t seconds, driving the shutter so that an operation time of the shutter has an interval of t / 2 seconds.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각 카메라 모듈이 m개의 촬영 가능한 프레임을 가질 때 상기 피사체의 연속촬영 단계는 2m개의 프레임을 연속으로 촬영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촬영 방법.And continuous shooting of the subject when each camera module has m recordable frames, continuously shooting 2m frames.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각 카메라 모듈이 t초의 프레임 간격을 가질 때 상기 피사체의 연속촬영 단계는 t/2초의 간격으로 촬영이 이루어지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촬영 방법.And continuous shooting of the subject when each camera module has a frame interval of t seconds.
KR1020060051079A 2006-06-07 2006-06-07 Mobile device with dual camera module and method of taking serial photographs using the same KR1006976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079A KR100697626B1 (en) 2006-06-07 2006-06-07 Mobile device with dual camera module and method of taking serial photograph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079A KR100697626B1 (en) 2006-06-07 2006-06-07 Mobile device with dual camera module and method of taking serial photograph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7626B1 true KR100697626B1 (en) 2007-03-21

Family

ID=4156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079A KR100697626B1 (en) 2006-06-07 2006-06-07 Mobile device with dual camera module and method of taking serial photograph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62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344B1 (en) * 2011-12-29 2013-02-06 주식회사 앤비젼 A method and an appratus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a stereo-vision system
WO2013100239A1 (en) * 2011-12-29 2013-07-04 주식회사 앤비젼 Method for processing images in a stereo vis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WO2018159864A1 (en) * 2017-02-28 2018-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378Y1 (en) 2004-04-06 2004-08-21 송은아 Device for Mounting Bicular Lens on Mobile Phone
KR200379501Y1 (en) 2004-12-15 2005-03-18 엑스엠엘주식회사 Portable device having a capacity of 3D and 2D display
KR20060047007A (en) * 2004-11-12 200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phone having dual camera
KR20060046955A (en) * 2004-11-12 200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lurality of pictures simultaneously in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378Y1 (en) 2004-04-06 2004-08-21 송은아 Device for Mounting Bicular Lens on Mobile Phone
KR20060047007A (en) * 2004-11-12 200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phone having dual camera
KR20060046955A (en) * 2004-11-12 200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lurality of pictures simultaneously in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79501Y1 (en) 2004-12-15 2005-03-18 엑스엠엘주식회사 Portable device having a capacity of 3D and 2D displa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344B1 (en) * 2011-12-29 2013-02-06 주식회사 앤비젼 A method and an appratus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a stereo-vision system
WO2013100239A1 (en) * 2011-12-29 2013-07-04 주식회사 앤비젼 Method for processing images in a stereo vis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CN104094595A (en) * 2011-12-29 2014-10-08 高夫准株式会社 Method for processing images in a stereo vis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10045008B2 (en) 2011-12-29 2018-08-07 Golfzon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images in a stereo vis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WO2018159864A1 (en) * 2017-02-28 2018-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7457B2 (en) Imaging device
JP2000050151A (en) Image pickup device
AU201320174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amera device
KR20130123481A (en) Apparatus and mehod for processing a image in camera device
JP2007082049A (en)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JP2006174412A (en) Imaging apparatus
US9154758B2 (en)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with concurrent live view frame and picture image processing
JP5909997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JP4810323B2 (en) Imaging device, program, recording medium
KR100697626B1 (en) Mobile device with dual camera module and method of taking serial photographs using the same
KR1015478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KR102058860B1 (en) Apparatus and mehod for processing a image in camera device
JP2009065320A (en) Imaging device
JP2008236489A (en) Display device and imaging device
JPWO2007145032A1 (en) Image processing circuit, portable terminal, and sensor control method
JP2005260879A (en) Digital camera
JP5105298B2 (en)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JP2011066699A (en) Imaging apparatus and display program for same
US8411181B2 (en) Image pick-up apparatus for controlling generation of an electronic shutter pulse signal based on one of a detected brightness of an imaging object and an obtained current exposure value, and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JPWO2020161969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photograph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JP4733597B2 (e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of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JP2007228050A (en) Camera with moving picture generating function
JP4188808B2 (en) Imaging device
JP2006261914A (en) Image display method
JP2008227839A (en) Image-ta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