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639B1 - Fuel cell apparatus - Google Patents

Fuel cell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639B1
KR100696639B1 KR1020050077873A KR20050077873A KR100696639B1 KR 100696639 B1 KR100696639 B1 KR 100696639B1 KR 1020050077873 A KR1020050077873 A KR 1020050077873A KR 20050077873 A KR20050077873 A KR 20050077873A KR 100696639 B1 KR100696639 B1 KR 100696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fuel
electronic device
cell body
electrical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8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23361A (en
Inventor
권호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7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639B1/en
Priority to US11/514,910 priority patent/US7507492B2/en
Publication of KR20070023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3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6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75Enclosures, casings or containers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30Fuel cell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장치는, 연료, 및 공기의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이 전기 에너지를 소정의 전자기기로 출력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를 가지면서 상기 전자기기에 대해 실질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료전지 본체를 포함한다.A fuel cell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by a reaction of fuel and air,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energy to a predetermined electronic device, and at least one of generating the electrical energy. It includes a fuel cell body that is installed to be substantially removable with respect to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electricity generating portion of.

연료전지, 본체, 전기발생부, 마운트부재, 힌지부, 착탈부재, 착탈, 회동, 전자기기 Fuel cell, main body, electricity generating part, mounting member, hinge part, detachable member, detachable, rotating, electronic device

Description

연료 전지 장치 {FUEL CELL APPARATUS}FUEL CELL APPARATUS {FUEL CELL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uel cel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측면 구성도이다.2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연료전지 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정면 구성도이다.3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fuel cell body illustrated in FIG. 1.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전기 발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shown in FIG.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연료전지 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fuel cell body illustrated in FIG. 1.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uel cel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 방식(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의 연료 전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cel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cell device of a 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알려진 바와 같이, 연료 전지(Fuel Cell)는 탄화수소 계열의 연료에 함유되어 있는 수소와, 별도로 공급되는 산소의 화학 반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시스템으로서 구성된다.As is known, a fuel cell is configured as a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directly converts the chemical reaction energy of hydrogen contained in a hydrocarbon-based fuel and oxygen supplied separately into electrical energy.

이러한 연료 전지는 크게,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와,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 방식(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로 구분될 수 있다.Such fuel cells may be broadly classified into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PEMFCs) and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s).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는 스택(stack)이라 불리는 연료 전지 본체(이하에서는, 편의상 "스택" 이라 한다)로서 구성되며, 개질기로부터 공급되는 수소와, 공기펌프 또는 팬의 가동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개질기는 연료를 개질하여 이 연료로부터 수소를 발생시키고, 이 수소를 스택으로 공급하는 연료처리장치로서의 기능을 한다.The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is configured as a fuel cell bod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ack" for convenience), called a stack, and is composed of hydrogen supplied from a reformer and air supplied by operation of an air pump or fan. It consists of a structure that generates electrical energy through a chemical reaction. Here, the reformer functions as a fuel treatment apparatus for reforming fuel to generate hydrogen from the fuel and supplying this hydrogen to the stack.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와 달리, 수소를 사용하지 않고 연료인 알코올류를 직접적으로 공급받아 이 연료 중에 함유된 수소와, 별도로 공급되는 공기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Unlike a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a direct methanol fuel cell is supplied with an alcohol, which is a fuel, without using hydrogen, and thus receives electrical energy by an electrochemical reaction of hydrogen contained in the fuel and separately supplied air. It consists of a structure that generates.

이 중에서,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는 여러 개의 단위 셀들을 평면적으로 배치하여 구성되는 모노폴라 타입을 예로 들 수 있는 바, 이 모노폴라 타입의 연료 전지는 공기가 자연 대류 작용에 의해 연료전지 본체의 한 쪽면을 통해 각각의 단 위 셀로 공급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mong these, the direct methanol fuel cell may be a monopolar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are arranged in a plane, and the monopolar type fuel cell may be formed by a natural convection of air. It consists of a structure that is supplied to each unit cell through the side.

그런데, 이와 같은 모노폴라 타입의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는 연료전지 본체의 한 쪽면을 통해 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따라 공기가 단위 셀들로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게 되는 등 단위 셀들의 출력을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노폴라 타입의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는 연료전지 본체의 한 쪽면을 통해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단위 셀들에서 발생되는 열이 용이하게 방출되지 못하게 되는 바, 사용자의 안전 및 전지 성능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monopolar type direct methanol type fuel cell is supplied with air through one side of the fuel cell body, air is not supplied to the unit cells according to the user's use environment. There was a problem that does not maximize. In addition, the monopolar type direct methanol fuel cell is not easily discharged from the heat generated by the unit cells as air is supplied through one side of the fuel cell body. There was a problem of falling.

한편, 최근 들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SP(Playstation Portabl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전자기기들이 경량화, 소형화 및 첨단화로서 급속히 발전되고 있는 가운데 기존의 2차전지가 이들 전자기기의 고전력 소모에 적극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바, 전기 에너지의 출력을 극대화시키면서도 전자기기와 함과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연료전지의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Meanwhile, in recent years,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portable portable assistants (PSP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re rapidly developing as lightweight, miniaturized, and advanced devices.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it does not actively respond to the high power consumption of the device, the situation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fuel cells that are easy to carry and use, while maximizing the output of electrical energ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기 에너지의 출력을 극대화시키면서 전자기기와 함께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고 전자기기의 장착이 용이한 연료 전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fuel cell device which is portable and easy to use with an electronic device and easily mounts the electronic device while maximizing the output of electrical energ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장치는, 연료, 및 공기의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이 전기 에너지를 소정의 전자기기로 출력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를 가지면서 상기 전자기기에 대해 실질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료전지 본체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uel cel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by reaction of fuel and air,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energy to a predetermined electronic device. It includes a fuel cell body that is installed to be substantially removable with respect to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t least on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the electrical energy.

상기 연료 전지 장치는, 상기 전자기기가 탑재되는 마운트부재와, 상기 연료전지 본체와 상기 마운트부재의 상대적인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마운트부재와 상기 연료전지 본체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와, 상기 마운트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기를 착탈시키는 착탈부재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The fuel cell apparatus includes a mount member o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a hinge portion hinged to the mount member and the fuel cell body so that relative rotation of the fuel cell body and the mount member is performed, and the mount member. It may further include a detachable member for detaching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연료 전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마운트부재의 평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기에 형성된 제1 결합홈에 대해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fuel cell apparatus, the detachable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plane direction of the mount member and selectively detachable with respect to a first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상기 연료 전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마운트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기에 형성된 제2 결합홈에 대해 슬라이딩되면서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fuel cell apparatus, the detachable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coupling protrusion that is formed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mount member and is selectively detached while sliding with respect to a second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electronic device. .

상기 연료 전지 장치는, 상기 마운트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운트부재는 상기 연료 탱크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수납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료의 충전이 가능한 카트리지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uel cell apparatus may include a fuel tank installed at the mount member to store the fuel. In this case, the mount member may form an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fuel tank. The fuel tank may be detach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may be configured as a cartridge capable of filling the fuel.

상기 연료 전지 장치는, 상기 마운트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 탱크에 저장된 상기 연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연료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The fuel cell apparatus may include a fuel pump installed in the mount member and supplying the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to the electricity generator.

상기 연료 전지 장치는, 상기 연료전지 본체가 평판형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료전지 본체는 양측면에 복수의 통기공을 가지면서 상기 전기 발생부를 내장시키는 케이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fuel cell device, the fuel cell body may be formed as a flat plate type. In this case, the fuel cell body may include a cas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on both sides thereof to embed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상기 연료 전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발생부는 상호 대칭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전기 발생부는 막-전극 어셈블리와,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료를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로 공급하는 애노드부와,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다른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를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로 공급하는 캐소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fuel cell device,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may be provided as at least one pai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each of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s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an anode unit for supplying the fuel to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and the other side of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It may include a cathode for supplying air to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상기 연료 전지 장치는, 상기 캐소드부가 상기 케이스부재의 양측면에 대면하여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fuel cell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athode part is disposed fac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case memb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 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uel cel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장치(100)를 설명하면, 이 연료 전지 장치(100)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SP(Playstation Portabl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10)로 전기 에너지를 출력시키는 발전 시스템으로서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fuel cel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uel cell device 100,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SP (Playstation Portable),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It is configured as a power generation system for outputting electrical energy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실시예에 의한 연료 전지 장치(100)는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액체 연료를 직접적으로 제공받아 이 액체 연료 중에 함유된 수소의 산화 반응, 및 공기 중에 함유된 산소의 환원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 방식(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방식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The fuel cel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ceives the liquid fuel such as methanol and ethanol directly and generates electrical energy by the oxidation reaction of hydrogen contained in the liquid fuel and the reduction reaction of oxygen contained in the air. It may be configured as a 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method.

이와 같은 연료 전지 장치(100)는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로서 구성되는 연료전지 본체(20)와, 전자기기(10)를 탑재하는 마운트부재(40)와, 연료전지 본체(20)와 마운트부재(40)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60)와, 전자기기(10)를 마운트부재(40)에 대해 착탈시키기 위한 착탈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연료 전지 장치(100)는 전자기기(10)를 마운트부재(40)에 대해 선택적으로 착탈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fuel cell device 100 includes a fuel cell body 20 configured as a direct methanol fuel cell, a mounting member 40 on which an electronic device 10 is mounted, a fuel cell body 20 and a mounting member ( It comprises a hinge portion 60 for hinge coupling 40, and a removable member 80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electronic device 10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member (40). That is, the fuel cel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 can be selectively detached from the mount member 40.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연료전지 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정면 구성도로서, 이 도면을 참조하면, 연료전지 본체(20)는 대략 사각형 형태의 평판형 본체로서 이루어지며, 연료, 및 공기의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전기 발생부들(21)을 구비한다.FIG. 3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fuel cell body shown in FIG. 1.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fuel cell body 20 is formed 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lat plate body, and includes fuel and air. A plurality of electricity generating units 21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by the reaction is provided.

본 실시예에서, 이들 전기 발생부(21)는 연료전지 본체(20)의 양측면에 대해 평면 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되며, 연료전지 본체(20)의 두께 방향으로 한 쌍이 서로 마주하면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1 참조).In this embodiment, these electricity generators 21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a planar direction with respect to both sides of the fuel cell body 20, and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a pair facing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uel cell body 20. May be (see FIG. 1).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전기 발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단면 구성도로 서, 이 도면을 참조하면, 각각의 전기 발생부(21)는 연료, 및 공기의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최소 단위의 연료 전지(fuel cell)로서 구비된다. 이러한 전기 발생부들(21)은 막-전극 어셈블리(Membrane-Electrode Assembly)(이하에서는, "MEA"라고 한다.)(21a)와, MEA(21a)의 일측에 배치되는 애노드부(21b)와, MEA(21a)의 다른 일측에 배치되는 캐소드부(2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4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electricity generator shown in FIG. 3. Referring to this diagram, each electricity generator 21 is a minimum unit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by reaction of fuel and air. It is provided as a fuel cell of a fuel cell. These electricity generating units 21 are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MEA") 21a, an anode portion 21b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EA 21a,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cathode part 21c arrange | positioned at the other side of the MEA 21a.

MEA(21a)는 일면에 제1 전극층을 형성하고, 다른 일면에 제2 전극층을 형성하며, 이들 전극층 사이에 전해질막을 형성하는 통상적인 MEA 구조로서 구비된다. 이 때, 제1 전극층은 연료에 함유된 수소를 전자와 수소 이온으로 분리시키며, 전해질막은 수소 이온을 제2 전극층으로 이동시키고, 제2 전극층은 제1 전극층으로부터 받은 전자, 수소 이온, 및 별도로 제공되는 산소를 반응시켜 수분, 및 열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 MEA 21a is provided as a conventional MEA structure in which a first electrode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a second electrode layer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and an electrolyte membrane is formed between these electrode layers.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layer separates the hydrogen contained in the fuel into electrons and hydrogen ions, the electrolyte membrane moves the hydrogen ions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provides electrons, hydrogen ions, and separately provided from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oxygen is reacted to generate moisture and heat.

애노드부(21b)는 MEA(21a)의 제1 전극층으로 연료를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애노드부(21b)는 연료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연료 통로(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면서 MEA(21a)의 제1 전극층에 밀착되게 배치된다.The anode portion 21b serves to disperse fuel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of the MEA 21a. This anode portion 21b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layer of the MEA 21a while having a fuel passage (not shown) that enables the flow of fuel.

그리고 캐소드부(21c)는 MEA(21a)의 제2 전극층으로 공기를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캐소드부(21c)는 대기 중의 공기를 자연 확산 또는 대류 작용에 의해 이 공기를 MEA(21a)의 제2 전극층으로 공급하는 복수의 구멍들(21d)을 가지면서 제2 전극층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캐소드부(21c)는 연료전지 본체(20: 도 1)의 양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The cathode portion 21c functions to disperse air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of the MEA 21a. The cathode portion 21c is arrang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layer with a plurality of holes 21d for supplying the air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of the MEA 21a by natural diffusion or convection. . Accordingly, the cathode portion 21c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both side surfaces of the fuel cell body 20 (FIG. 1).

상기에서와 같이 전기 발생부들(21)의 캐소드부(21c)를 연료전지 본체(20)의 양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 본체(2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면에 복수의 통기공들(23a)을 가지면서 전기 발생부들(21)을 내장시키는 케이스부재(23)를 구비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xpose the cathode portions 21c of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s 21 to the outside through both side surfaces of the fuel cell body 20, the fuel cell body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llustrated in FIGS. 1 and 5. As shown in the drawing, hav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23a on both sides, the case member 23 having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s 21 therein is provided.

이러한 케이스부재(23)는 전기 발생부들(21)을 내장시키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도면에서와 같이 이의 양측면에 통기공들(23a)이 캐소드부(21c)의 구멍들(21d: 도 4)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전기 발생부들(21)의 캐소드부(21c)는 케이스부재(23)의 내측에서 이 케이스부재(23)의 양측면과 대면하여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통기공들(23a)들은 케이스부재(23)의 양측면에 전기 발생부들(21)에 상응하는 크기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대기 중의 공기는 자연 확산 또는 대류 작용에 의해 케이스부재(23)의 통기공들(23a), 및 캐소드부(21c)의 구멍들(21d: 도 4)을 통해 MEA(21a: 도 4)의 제2 전극층으로 공급된다.The case member 2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m to form a receiving space for embedding the electricity generating portions 21,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vent holes 23a are formed in the holes of the cathode portion 21c.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ield 21d (Fig. 4). That is, the cathode portion 21c of the electricity generating portions 21 may be disposed to face both sides of the case member 23 inside the case member 23. Alternatively, the vent holes 23a may be formed in sizes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al generators 21 on both sides of the case member 23. Accordingly, the air in the atmosphere is formed through the vent holes 23a of the case member 23 and the holes 21d (Fig. 4) of the cathode portion 21c by natural diffusion or convection. Is su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이에 더하여, 애노드부(21b)와 캐소드부(21c)는 연료, 및 공기를 MEA(21a: 도 4)의 제1,2 전극층으로 공급하는 기능 외에,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을 직렬로 연결시켜 주는 전도체로서의 기능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node portion 21b and the cathode portion 21c connect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in series in addition to supplying fuel and air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layers of the MEA 21a (FIG. 4). It also functions as a conductor.

본 실시예에서, 마운트부재(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10)가 실질적으로 탑재되는 부분으로서,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힌지부(60)에 의해 연료전지 본체(2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nt member 40 is a portion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 is substantially mounted, as shown in Figs. 1 and 2, by the hinge unit 60 described further below. 20) is rotatably coupled.

이러한 마운트부재(40)는 통상적인 체결부재를 통해 전자기기(10)의 외관을 이루는 패키지에 일체로서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고, 전자기기(10)의 패키지에 대 해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구조일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후자를 예로 하여 뒤에서 더욱 설명하기로 한다.The mount member 40 may be a structure tha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package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through a conventional fastening member, or may be a structure that is selectively detachable with respect to the packag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tter will be described further below.

본 실시예에서, 마운트부재(40)는 전자기기(10)의 배면과 실질적으로 결합하는 베이스판(41)과, 전자기기(1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대(43)로서 구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nt member 40 is configured as a base plate 41 that is substantially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a support 43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electronic device 10.

이 베이스판(41)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이 내부 공간에는 연료전지 본체(20)의 전기 발생부들(21: 도 3)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 라인 및/또는 전기 발생부들(21)로부터 발생되는 미반응 연료 및 공기, 이산화탄소, 수분, 열 등을 처리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이 구비될 수 있다.The base plate 41 is formed as a case form form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in which the pipeline for supplying fuel to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s 21 (Fig. 3) of the fuel cell body 20 and / Alternatively, various components may be provided to process unreacted fuel and air, carbon dioxide, moisture, heat, etc. generated from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s 21.

여기서, 베이스판(41)에는 연료전지 본체(20)의 전기 발생부들(21) 또는 전기 발생부들(21)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를 처리하는 별도의 전기 처리수단과 전자기기(1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 단자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Here, the base plate 4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separate electrical processing means for processing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from the electricity generator 21 or the electricity generator 21 of the fuel cell body 20. Connection terminals or the like for connecting may be provided.

이에 더하여, 베이스판(41)에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30)가 구비되는 바, 이 연료 탱크(30)는 베이스판(41)에 형성된 수납부(45)에 수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수납부(45)는 연료 탱크(30)의 외관에 상응하는 형태의 홈으로서 지지대(43)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연료 탱크(30)는 수납부(45)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료의 충전이 가능한 카트리지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수납부(45)에 수납된 상태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파이프 라인 등에 의해 연료전지 본체(20)의 전기 발생부들(21)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late 41 is provided with a fuel tank 30 for storing fuel, and the fuel tank 30 may be installed to be accommodated in an accommodating part 45 formed in the base plate 41. . At this time, the accommodating part 45 is formed along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upport 43 as a groov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fuel tank 30. In addition, the fuel tank 30 is detach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part 45, and is formed as a cartridge that can be filled with fuel. The fuel tank 30 is connected to the fuel by the pipeline 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art 45. It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s 21 of the battery body 20.

그리고 지지대(43)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베이스판(41)의 배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 지지대(43)는 연료전지 본체(20)와 마운트부재(40)가 상대적인 회동이 이루어진 경우, 본 장치(100) 및 전자기기(10)의 스탠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And the support base 43 is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base board 41, having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The support 43 has a function of stably maintaining the standing state of the apparatus 10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 when the fuel cell body 20 and the mounting member 40 are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이러한 지지대(43)의 내부 공간에는 연료전지 본체(20)의 전기 발생부들(21)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의 전압 레벨을 조절하는 인버터, 컨버터 또는 장치의 전반적인 구동에 필요한 각종 제어 신호를 처리하고 인가하는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internal space of the support 43 processes and applies various control signals necessary for the overall driving of the inverter, the converter, or the apparatus for adjusting the voltage level of the power output from the electric generators 21 of the fuel cell body 20. A controller (not shown) may be provided.

이에 더하여, 지지대(43)의 내부 공간에는 연료 탱크(30)에 저장된 연료를 소정의 펌핑 압력으로 배출시키고, 이 연료를 연료전지 본체(20)의 전기 발생부들(21)로 공급하는 연료 펌프(50)가 구비된다. 이 연료 펌프(50)는 파이프 라인 등에 의해 연료 탱크(30)와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연료 탱크(30)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support 43, a fuel pump for discharging the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30 at a predetermined pumping pressure, and supplying the fuel to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s 21 of the fuel cell body 20 ( 50). The fuel pump 50 is connected to the fuel tank 30 by a pipeline or the like, and preferably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fuel tank 30.

본 실시예에서, 힌지부(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전지 본체(20)와 마운트부재(40)의 상대적인 회동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서, 연료전지 본체(20)의 상단부와 마운트부재(40)의 상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inge portion 60,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o enable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fuel cell body 20 and the mounting member 40, the upper end of the fuel cell body 20 And the upper end of the mount member 40 is hingedly formed.

이 힌지부(60)는 연료전지 본체(20)와 마운트부재(40)가 소정 각도 만큼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점(61)을 형성하는 바, 이 힌지점(61)은 연료전지 본체(20)의 상단부와 마운트부재(40)의 상단부가 동축 상으로 힌지 결합됨으로서 형성된다. 이 때, 힌지부(60)에 의한 연료전지 본체(20)와 마운트부재(40)의 회동 각도(θ)는 대략 45°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inge portion 60 forms a hinge point 61 to rotate the fuel cell body 20 and the mounting member 40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hinge point 61 is formed of the fuel cell body 20. The upp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mount member 40 are formed by hinged coaxially.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angle θ of the fuel cell body 20 and the mounting member 40 by the hinge portion 60 satisfy approximately 45 °.

여기서, 힌지부(60)는 연료전지 본체(20)와 연료 탱크(30)를 연결하는 파이프 라인, 및 연료전지 본체(20)의 전기 발생부들(21)과 컨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선 등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힌지부(60)는 연료전지 본체(20)와 마운트부재(40)가 상대적인 회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전체 장치(100)의 운전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Here, the hinge part 60 may include a pipeline for connecting the fuel cell body 20 and the fuel tank 30, and a conductor wir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s 21 and the controller of the fuel cell body 20 to the fuel cell body 20. It can be made as a structure that can pass easily. In addition, the hinge portion 60 is a conventional on-off switch for selectively turning on and off the operation of the entire apparatus 100 as the fuel cell body 20 and the mounting member 40 are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It may be provided.

본 실시예에서, 착탈부재(8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장치(100)의 마운트부재(40)에 대해 전자기기(10)를 용이하게 착탈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마운트부재(4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돌기(81)를 구비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tachable member 80 is to easily detach the electronic device 10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member 40 of the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mounting member At least one first coupling protrusion 81 formed at 40 is provided.

구체적으로, 제1 결합돌기(81)는 베이스판(41)의 대략 하측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로서 구비되며, 베이스판(41)의 평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81 is provided as a plurality on the substantially lower edge portion of the base plate 41, and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lane direction of the base plate 41.

한편, 이러한 제1 결합돌기(81)에 대응하여 전자기기(10)의 패키지에는 복수의 제1 결합홈(11)이 형성되는 바, 본 실시예에 의한 제1 결합돌기(81)는 제1 결합홈(11)에 억지 끼워 맞춤식으로 용이하게 암수 결합되거나 제1 결합홈(11)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는 원형의 형태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연료 전지 장치(100)는 마운트부재(40)에 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81)와, 전자기기(10)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11)에 의하여 전자기기(10)를 마운트부재(40)에 대해 선택적으로 착탈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11 are formed in the packag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81,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8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irst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shape that can be easily male and female easi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1 or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coupling groove 11. Accordingly, the fuel cel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81 formed in the mounting member 40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11 formed in the electronic apparatus 10.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detach the 10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member (40).

본 발명에서, 착탈부재(80)는 상기에서와 같이 홈과 돌기의 구조로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되는 탄성 돌기를 마운트부재(40)에 채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소정의 브라켓을 마운트부재(40)에 채용하여 전자기기(10)의 길이 방향측 가장자리 부분이 브라켓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방식의 구조일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member 80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grooves and protrusions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configured by employing an elastic protrusion elastically bia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o the mounting member 40, By employing a predetermined bracket to the mounting member 40 may be a structure of the longitudinal edge por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 is sliding along the bracke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fuel cel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우선, 연료전지 본체(20)와 마운트부재(40)가 서로 폴딩된 상태에서, 전자기기(10)는 마운트부재(40)의 제1 결합돌기(81)에 결합된다. 이 때 전자기기(10)는 이의 패키지에 제1 결합홈(1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결합홈(11)에 제1 결합돌기(81)가 억지 끼워 맞춤식으로 암수 결합됨으로써 마운트부재(4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fuel cell body 20 and the mounting member 40 are folded to each other, the electronic device 10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81 of the mounting member 40.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coupling groove 11 is formed in the packag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81 is forcibly fit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1 so that the mounting member ( 40) to be firmly fixed.

이러한 상태에서, 연료전지 본체(20) 또는 마운트부재(40)는 힌지부(60)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 경우, 연료전지 본체(20)는 마운트부재(40)에 대해 대략 45°의 회동 각도를 유지하면서 이의 양측면이 대기 중으로 노출된 상태에 있다.In this state, the fuel cell body 20 or the mounting member 40 is rotated around the hinge portion 60. In this case, the fuel cell body 20 is in a state where both sides thereof are exposed to the air while maintaining a rotation angle of approximately 45 ° with respect to the mount member 40.

이 후, 장치(100)의 정상적인 운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연료 펌프(50)는 연료 탱크(30)에 저장된 연료를 배출시키고, 이 연료를 연료전지 본체(20)의 전기 발생부들(21)로 공급한다. 그러면, 전기 발생부들(21)의 애노드부(21b)는 연료를 MEA(21a)의 제1 전극층으로 분산시키게 된다.After that, the normal operation of the apparatus 100 is performed, and the fuel pump 50 discharges the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30, and uses the fuel to generate electricity 21 of the fuel cell body 20. To supply. Then, the anode portion 21b of the electricity generating portions 21 distributes the fuel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of the MEA 21a.

이와 동시에, 대기 중의 공기는, 연료전지 본체(20)의 양측면이 대기 중으로 노출됨에 따라, 자연 확산 또는 대류 작용에 의해 케이스부재(23)의 통기공들(23a)을 통과하여 전기 발생부들(21)로 공급된다. 그러면, 전기 발생부들(21)의 캐소드 부(21c)는 공기를 MEA(21a)의 제2 전극층으로 분산시키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air in the air passes through the air vents 23a of the case member 23 by natural diffusion or convection, as both sides of the fuel cell body 20 are exposed to the air. Is supplied. Then, the cathode portion 21c of the electricity generating portions 21 distributes air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of the MEA 21a.

따라서, 전기 발생부들(21)은 MEA(21a)의 제1 전극층에 의한 연료의 산화 반응, 및 MEA(21a)의 제2 전극층에 의한 산소의 환원 반응에 의해 기설정된 용량의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이 전기 에너지를 전자기기(10)로 출력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s 21 generate electric energy of a predetermined capacity by the oxidation reaction of the fuel by the first electrode layer of the MEA 21a and the reduction reaction of oxygen by the second electrode layer of the MEA 21a. This electrical energy is output to the electronic device 10.

이로써, 전자기기(10)는 전기 에너지를 제공받아 구동되게 되는 바, 본 장치(100)의 회동 구조에 의해 스탠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자기기(10)가 본 장치(100)의 마운트부재(40)에 거치된 상태로 구동되는 바, 사용자는 전자기기(10)를 통해 편안한 자세로서 동영상 등을 시청하거나 각종 정보, 게임 등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electronic device 10 is driven by receiving electric energy, and thus, the standing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by the rotational structure of the apparatus 100.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10 is driven while being mounted on the mounting member 40 of the device 100, the user can watch a video or the like in a comfortable posture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10 or various information, games, etc. You can then run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료전지 본체(20)가 힌지부(6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마운트부재(40)와 폴딩되는 경우, 본 장치(100)는 그 구동이 정지되면서 전자기기(10)의 구동을 오프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is state, when the fuel cell body 20 is rotated around the hinge portion 60 to be folded with the mounting member 40, the device 100 is stopped the driving of the electronic device 10 It turns off the driving of.

그리고 전자기기(10)의 결합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전자기기(10)에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전자기기(10)는 제1 결합홈(11)으로부터 제1 결합돌기(81)가 이탈되면서 마운트부재(40)와 분리되게 된다.And when the user's external force acts on the electronic device 1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electronic device 10 is the first coupling projection 81 from the first coupling groove (11) It is separated from the mount member 40 while being separated.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uel cel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연료 전지 장치(200)는 전기 실시예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마운트부재(140)에 대해 전자기기(110)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시키는 착탈부재(180)를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uel cel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electrical embodiment, while the removable member 180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electronic device 110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member 140 in a sliding manner. Can be configured.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착탈부재(180)는 마운트부재(140)의 베이스판(141)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돌기(181)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detachable member 18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81 that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141 of the mount member 140.

이러한 제2 결합돌기(181)는 베이스판(141)의 대략 상,하측 가장자리 부분에 길게 돌출 형성되며, 베이스판(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 때, 제2 결합돌기(181)는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전자기기(110)의 제2 결합홈(111)에 대해 슬라이딩되면서 착탈되는 레일 형태로서 구비된다.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81 is formed to protrude elongated on the upper and lower edge portions of the base plate 141 and is form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141. At this time,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81 is provided as a rail form detachable while sliding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111 of the electronic device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이러한 제2 결합돌기(181)에 대응하여 전자기기(110)의 패키지에는 제2 결합홈(111)이 형성되는 바, 본 실시예에 의한 제2 결합돌기(181)는 전자기기(110)의 제2 결합홈(111)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거나 제2 결합홈(111)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Meanwhile, a second coupling groove 111 is formed in the package of the electronic device 11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81.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8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electronic device 110. Sliding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111 of the) or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oupling groove (111).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연료 전지 장치(200)는 마운트부재(140)에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181)와, 전자기기(110)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홈(111)에 의해 마운트부재(140)에 대하여 전자기기(11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fuel cell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mounting member formed by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81 formed on the mounting member 140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11 formed on the electronic device 110. The electronic device 11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140 in a sliding manner.

본 실시예에 의한 연료 전지 장치(2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전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uel cel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above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 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Naturally,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전지 본체의 양측면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고 전자기기에 대해 연료전지 본체가 회동 가능한 접이식 구조로서 이루어지며 전자기기를 착탈시키기 위한 착탈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연료전지 본체의 온도 상승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전기 에너지의 출력을 극대화시킬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에 대한 연료 전지의 장착이 용이하고, 전자기기의 다양한 사용 환경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전자기기와 함께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supplying air through both sides of the fuel cell body, the fuel cell body is made of a foldable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has a detachable member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electronic device, the fuel cell It not only ensures the safety of temperature rise of the main body but also maximizes the output of electric energy, and it is easy to install fuel cells for electronic devices, and it is portable with electronic devices regardless of various usage environments of electronic devices. And the effect is easy to use.

Claims (13)

연료, 및 공기의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이 전기 에너지를 소정의 전자기기로 출력시키기 위한 연료 전지 장치에 있어서,A fuel cell device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by reaction of fuel and air,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energy to a predetermine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상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를 가지면서 상기 전자기기에 대해 실질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료전지 본체;A fuel cell body having a at least on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the electrical energy, the fuel cell main body being detachably mounted to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연료전지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기기가 탑재되는 마운트부재; 및A mounting member mounted to the fuel cell body to mount the electronic device; And 상기 마운트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기를 착탈시키는 착탈부재Detachable member formed on the mount member for detaching the electronic device 를 포함하며,Including;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마운트부재의 평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기에 형성된 제1 결합홈에 대해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장치.The detachable member includes at least one first engag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plane direction of the mount member and selectively detachable with respect to a first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electronic device.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연료전지 본체와 상기 마운트부재의 상대적인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마운트부재와 상기 연료전지 본체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장치.And a hinge portion hingedly coupled to the mount member and the fuel cell body such that relative rotation of the fuel cell body and the mount member is achieved. 삭제delete 연료, 및 공기의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이 전기 에너지를 소정의 전자기기로 출력시키기 위한 연료 전지 장치에 있어서,A fuel cell device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by reaction of fuel and air,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energy to a predetermine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상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를 가지면서 상기 전자기기에 대해 실질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료전지 본체;A fuel cell body having a at least on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the electrical energy, the fuel cell main body being detachably mounted to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연료전지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기기가 탑재되는 마운트부재; 및A mounting member mounted to the fuel cell body to mount the electronic device; And 상기 마운트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기를 착탈시키는 착탈부재Detachable member formed on the mount member for detaching the electronic device 를 포함하며,Including;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마운트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기에 형성된 제2 결합홈에 대해 슬라이딩되면서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장치.The detachable member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coupling protrusion formed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mount member and selectively detachable while sliding with respect to a second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electronic device.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마운트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장치.And a fuel tank installed on the mount member to store the fuel. 제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마운트부재는 상기 연료 탱크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형성하는 연료 전지 장치.And the mount member forms an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fuel tank. 제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수납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료의 충전이 가능한 카트리지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 장치.The fuel tank is provided detachably to the housing portion, the fuel cell devi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cartridge capable of filling the fuel. 제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마운트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 탱크에 저장된 상기 연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연료 펌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장치.And a fuel pump installed in the mount member to supply the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to the electricity generator.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연료전지 본체가 평판형으로서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 장치.A fuel cell device in which the fuel cell body is a flat plate type.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연료전지 본체는 양측면에 복수의 통기공을 가지면서 상기 전기 발생부를 내장시키는 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장치.The fuel cell body includes a cas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on both sides to embed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제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전기 발생부는 상호 대칭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으로서 구비되는 연료 전지 장치.And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is provided as at least one pai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제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상기 각 전기 발생부는,Each of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막-전극 어셈블리와,Membrane-electrode assembly,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료를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로 공급하는 애노드부와,An anode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to supply the fuel to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다른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를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로 공급하는 캐소드부A cathod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to supply the air to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장치.Fuel cell device comprising a. 제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캐소드부가 상기 케이스부재의 양측면에 대면하여 배치되는 연료 전지 장치.And a cathode part disposed to face both side surfaces of the case member.
KR1020050077873A 2005-08-24 2005-08-24 Fuel cell apparatus KR1006966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873A KR100696639B1 (en) 2005-08-24 2005-08-24 Fuel cell apparatus
US11/514,910 US7507492B2 (en) 2005-08-24 2006-09-05 Electronic device having fuel cel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873A KR100696639B1 (en) 2005-08-24 2005-08-24 Fuel cell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361A KR20070023361A (en) 2007-02-28
KR100696639B1 true KR100696639B1 (en) 2007-03-19

Family

ID=41623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873A KR100696639B1 (en) 2005-08-24 2005-08-24 Fuel cell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63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7139A (en) * 2003-01-21 2004-08-12 Toshiba Corp Electronic equipment and its operation control method
JP2004296163A (en) 2003-03-26 2004-10-21 Toshiba Corp Electronic equipment system and fuel supply method therefor
KR20050075346A (en) * 2002-10-01 2005-07-20 어드밴스드 에너지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Fuel cell power packs and methods of making such pac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346A (en) * 2002-10-01 2005-07-20 어드밴스드 에너지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Fuel cell power packs and methods of making such packs
JP2004227139A (en) * 2003-01-21 2004-08-12 Toshiba Corp Electronic equipment and its operation control method
JP2004296163A (en) 2003-03-26 2004-10-21 Toshiba Corp Electronic equipment system and fuel supply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361A (en)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29958B (en) Fuel storage devices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3773910B2 (en) Fuel cell unit for electronic equipment
US20090325009A1 (en)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7745059B2 (en) Fuel cells cartridge and electric apparatus having built-in fuel cell
US7507492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uel cell system
JP2010198741A (en) Fuel cell device
KR100696639B1 (en) Fuel cell apparatus
CA2412558A1 (en) Reduced size fuel cell for portable applications
KR100551063B1 (en) Fuel cell system
KR101109314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fuel cell power system
KR100696640B1 (en) Fuel cell apparatus
WO2005055352A1 (en) Fuel cell
KR100709246B1 (en) Fuel cell system
JP3724470B2 (en) FUEL CELL SYSTEM, PORTABLE ELECTRIC DEVICE USING FUEL CELL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FUEL CELL
KR20070023908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fuel cell system
US20070248870A1 (en) Fuel cell
JP4678108B2 (en) Direct dimethyl ether fuel cell
KR20070014678A (en) Fuel cell system
KR100695112B1 (en) Direct liquid feed fuel cell system having double fuel storage
JP5428148B2 (en) FUEL CELL AND METHOD OF OPERATING FUEL CELL
EP1901386B1 (en) Apparatus having a Fuel Cell
JP2010097910A (en) Electronic device
JP2005116292A (en) Wearable fuel cell
KR20050116442A (en) Fuel cell system
KR101201809B1 (en) Fuel cel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